KR101925219B1 - An electrical terminal - Google Patents

An electrical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219B1
KR101925219B1 KR1020170105908A KR20170105908A KR101925219B1 KR 101925219 B1 KR101925219 B1 KR 101925219B1 KR 1020170105908 A KR1020170105908 A KR 1020170105908A KR 20170105908 A KR20170105908 A KR 20170105908A KR 101925219 B1 KR101925219 B1 KR 101925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elastic contact
ceiling
terminal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9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성원
조석제
한대희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2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a terminal having sufficient contact force for a firm coupling state while simultaneously relatively facilitating insertion of a counterpart.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including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12a, 12b) extended upwar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eiling surface (22) for covering the upper part between the two side surfaces.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astic contact part (24) formed on the lower part of a ceiling surface through a first bending part (21) molded downward from the ceiling surf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a counterpart is inserted; a contact floating part (26) formed between the elastic contact part and the ceiling part through a second bending part (23) formed upwards from the elastic contact part and having a free end part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ceiling part; and a support piece (16) extended from the ceiling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lastic contact part and having the end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contact part. A counterpart inserted in the front is inserted between the contact part of the elastic contact part and the contact part of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deformation amount is minimum and the contact pressure is sufficiently maintained.

Description

전기 단자{An electrical terminal}An electrical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컨넥터에 사용되는 전기 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상대물을 삽입하는 힘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대물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접촉 유지 능력이 우수한 전기 단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terminal used in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terminal used for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와 같이 다양한 부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컨넥터라는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컨넥터의 내부에는 전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단자(Terminal)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는 상대물과의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도 1에는 이러한 단자의 일례가 예시되어 있다. For example, it is common to use a component called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various parts such as an automobile. A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Such a terminal can be said to mainta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by contact with a mating object, and an example of such a terminal is illustrated in Fig.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전기 단자(이하에서는 단순히 단자라고 칭함)는, 상대물(예를 들면 탭)과의 접촉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4)와, 상기 연결부(4)의 후방에서 일체로 성형되는 바렐부(2)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단자는 한 장의 금속판에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an electrical terminal made of a metal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terminal)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4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rough contact with a mating object (for example, a tap) And a barrel portion 2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barrel portion 2. These terminals are made by a progressive die in a sheet of metal.

상기 바렐부(2)는 전선의 내부 도체를 클램핑하는 와이어 바렐(2a)과, 상기 와이어 바렐(2a)의 후방에 형성되어 피복을 클램핑하는 절연체 바렐(2b)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전기적 연결부(4)는 예를 들면 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본체(4c)의 내부에 성형된 탄성접촉부(4a)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대물이 단자의 내부로 끼워지면 상대물은 상기 탄성접촉부(4a)과 본체(4c)의 일측을 형성하는 접촉부(4b) 사이로 삽입된다. 참고로 탄성접촉부(4a)과 접촉부(4b) 사이의 공간 치수를 단자 갭(GAP)이라고 칭한다.The barrel portion 2 generally comprises a wire barrel 2a for clamping an inner conductor of a wire and an insulator barrel 2b formed at the rear of the wire barrel 2a to clamp the cover.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 is provided with an elastic contact portion 4a form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4c made,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cylinder. Therefore, when the counterpart is fitted into the terminal, the counterpart is inserted betwee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4a and the contact portion 4b form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4c. For reference, the spatial dimension betwee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4a and the contact portion 4b is referred to as a terminal gap (GAP).

삭제delete

그리고 상대물이 삽입되면, 탄성접촉부(4a)과 접촉부(4b) 사이의 위치에서 전기적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기적 접촉 상태에서 상대물이 본체(4c)에서 이탈하게 되면 전기적 접촉은 끊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단자의 탄성접촉부(4a)이 외팔보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 의한 피로 하중에 의하여 단자 자체의 형상의 변화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형상의 변화는, 예를 들면 탄성접촉부(4a)의 탄성력을 저하시키는 등과 같이 전기적으로 안정된 연결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또한 단자 갭 치수 또한 제조시마다 산포가 발생되어 일정한 품질의 단자를 제공하지 못한다.When the mating part is inserted, the electric contact state is maintained at the position between the elastic contact part 4a and the contact part 4b. When the counterpart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4c in such an electrical contact state, the electrical contact is broken.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lastic contact portion 4a of the terminal has the shape of a cantilever, the shape of the terminal itself is inevitably changed due to fatigue load due to long-term use. Such a change of the shape has a bad influence on the electrically stable connection, for example, by lower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4a. In addition, the terminal gap dimension is also scatter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so that it can not provide a terminal with a constant quality.

삭제delete

이와 같은 단자의 결합 및 분리에서, 전기적 연결은 두 가지 관점에서 관찰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대물을 본체(4c)의 내부로 삽입하는 삽입력과 상대물이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힘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삽입력은 작을 수록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하게 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이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힘, 즉 접촉 상태의 압력은 전기적 연결 상태의 안정성을 담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such terminals,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observed from two viewpoints. That is, two aspects must be considered, namely, an insertion force for inserting the counterpart into the main body 4c and a force for stabl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counterpart is inserted. The smaller the insertion force, the greater the convenience of use. The force that maintains the contact between the two sides in the inserted state, that is, the pressure in the contact state, can guarantee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여기서 상기 탄성접촉부(4a)이 삽입된 상대물에 가하는 힘은 실질적으로는 탄성력에 기초하는 압력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탄성접촉부(4a)이 전기적 연결부(4) 내에서 상대물을 누르는 힘을 "접촉력"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접촉력은 상술한 삽입력과 서로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들을 어떻게 조화시키는가에 단자의 성능 및 신뢰도가 좌우된다.Here, the force applied to the mating object to which the elastic contact portion 4a is inserted may be regarded as substantially based on the elastic for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sing force of the resilient contact portion 4a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4 is referred to as "contact force ". Since the contact for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bove-described insertion force,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terminal depend on how to harmonize them.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력을 낮게 하면서도 장기간 사용에도 접촉력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in which the insertion force is low and the contact force is not lowered even in long-term us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상의 편의성을 최대한 높임과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 대한 내구성 및 신뢰도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단자를 제공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that maximizes durability and reliability for long-term use while maximizing ease of use and has substantially the same meaning.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양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양측면, 상기 양측면 사이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천정면을 포함하는 전기 연결부를 가지는 전기 단자이고; 상대물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에서, 상기 천정면에서 하방으로 성형되는 제1벤딩부를 통하여 천정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탄성접촉부와; 상기 탄성접촉부에서 상방으로 성형되는 제2벤딩부를 통하여 탄성접촉부와 천정부 사이에서 형성되고 그 자유단부가 천정부의 저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상부; 상기 탄성접촉부의 반대측의 천정면에서 연장 성형되고, 단부가 상기 탄성접촉부의 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편을 구비한다. 여기서 전방에서 삽입되는 상대물은, 탄성접촉부의 접촉부와 바닥면의 접촉부 사이로 삽입되면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전기 단자.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al terminal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eiling surface for covering an upper portion between the both side surfaces; An elastic contac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iling surface through a first bending portion formed downward from the ceiling surf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mating object is inserted;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formed betwee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and the ceiling portion through the second bending portion formed upward i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the free end of the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portion; And a support piece extending from the ceiling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and supporting the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Wherein an electric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resilient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lectric contac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천정부는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속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탄성접촉부 및 지지편은 천정부의 길이 방향 단부 양측에 각각 성형되는 전기 단자.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iling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continuou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either side, and the elastic contact portion and the supporting piece are each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end portion of the ceil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천정부가 성형된 측벽과 대향하는 측면에는, 천정면의 상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한편이 구비되는 전기 단자.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riction port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opposite to the sidewall formed with the ceiling portion so as to restrict upward movement of the ceiling surfa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양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양측면, 상기 양측면 사이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천정면을 포함하는 전기 연결부를 가지는 전기 단자이고; 상기 천정면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연장 성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부에 의하여 그 자유단부가 천정면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성형되는 탄성지지편과; 상기 천정면의 길이 방향 타측에서 연장 성형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부에 의하여 그 자유단부가 탄성지지편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지지편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방에서 삽입되는 상대물은, 탄성접촉부의 접촉부와 바닥면의 접촉부 사이로 삽입되면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al terminal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eiling surface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both side surfaces; An elastic gripping part formed to extend from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ceiling surface and being shaped so that its free end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surface by at least one bending part; And a supporting piece extending from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ceiling face and elastically contacting the free end of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with the bottom of the elastic supporting piece by at least one bending portion. Then, the mating member inserted in the front is insert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자는, 상대물의 삽입에 의하여 변형되는 탄성접촉부는 양측의 벤딩부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응력이 분산되어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더불어 탄성접촉부을 형성하는 한 쌍의 벤딩부와 천정면의 저면에 접촉하는 자유단부와, 탄성접촉부을 지지하는 지지편의 구성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견고한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단자가 프리로드(Preload)를 가지고 있어서 보다 견고한 접촉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일정한 단자 GAP 치수를 확보할 수 있어 일정한 품질 수준의 단자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entirety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deformed by the insertion of the mating member by the bending portions on both sides, so that stress concentration is not generated. In additio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s a whole can be firmly established by the structure of the pair of bending portions forming the elastic contact portion, the free end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face, and the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elastic contact portion, Preload), it is possible to have a stronger contact force and to secure a constant terminal GAP dimension, thereby providing a terminal with a constant quality level.

그리고 이와 같이 견고한 접촉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실제로는 상대물의 삽입을 위한 간격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상대물의 삽입 간격을 크게 하여 삽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자는,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삽입이 가능함과 동시에 결합 상태에서 충분한 접촉 압력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 간격을 크게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단자 전체의 변형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적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단자는, 삽입력을 최소화함으로써 핸들링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견고한 접촉 압력을 가지고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ability to have such a strong contact force means that the interval for inserting the mating object can be made larger in actuality, and the inserting force can be minimized by increasing the inserting interval of the mating objec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relatively smooth insertion is possible and a sufficient contact pressure can be obtained in a coupled state. The fact that the inserting interval can be increased in this way means that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entire terminal can be substantially minimized, and it is nevertheless the same meaning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stably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advantages of handling convenience by minimizing the insertion force and having a solid contact pressure.

도 1은 종래의 단자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단자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단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단자의 펼친 상태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erminal;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단자의 내부 구조를 도 2를 참고하면서 설명한 후, 단자의 내부 구조가 외관 부분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단자는, 상대물과이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전기 연결부(10)와, 상기 전기 연결부(10)의 후방에 형성되는 배럴부(30)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배럴부(30) 자체의 형상 및 구조 등은 공지된 것과 동일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10 for electrical contact with a counterpart and a barrel portion 30 formed at the rear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10. Her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arrel 30 itself are the same as known on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전기 연결부(10)는 전체적으로 통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바닥면(13)과, 상기 바닥면(13)의 양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양측면(12), 그리고 어느 하나의 양측면과 연결되고 천정을 형성하는 천정면(22)로 구성되고 있다. 거의 대부분의 터미널과 동일하게 본 발명의 터미널도 한 장의 금속 플레이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고, 각각의 부분을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소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cylindrical in shape and has a bottom surface 13, two side surfaces 12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13, And a ceiling surface 22 forming a ceiling surface. Like the terminal of almost all of the terminals,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made of a so-called progressive metal by cutting one metal plate into a desired shape and bending each part.

본 발명의 전기 연결부(10)는 전방에 상대물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R)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삽입공간(R)은 상술한 바닥면(13)과 양측면(12), 그리고 천정면(22)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내부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물인 탭은, 상기 천정면(2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만들어지는 탄성접촉부(24)과, 바닥면(13) 사이를 통하여 삽입되어 탄성력을 받으면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R in which a mating object can be inserted in front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0. The insertion space R is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13 and both side surfaces 12, It can be said to be an inner space created by the front surface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ing tab is inserted through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formed whil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iling surface 22 and insert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13 to be electrically contacted while receiving elastic force.

본 발명의 탄성접촉부(24)는 천정면(22)에서 하방으로 1차 벤딩되는 제1벤딩부(21)를 통하여 천정면(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성형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접촉부(24)는 상대적으로 가장 하방에 위치하도록 중간에서 절곡된 접촉부(24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탄성접촉부(24)의 자유단부 측에 위치하는 접촉부상부(26)는, 탄성접촉부(24)에서 상방으로 2차 벤딩되는 제2벤딩부(23)을 통하여 탄성접촉부(24)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촉부상부(26)의 자유단부(26a)는 천정면(22)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어서, 제2벤딩부(23) 및 접촉부상부(26)에게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ceiling surface 22 through the first bending portion 21 which is first bent downward from the ceiling surface 22.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24a which is bent at an intermediate position so as to be located at the most downward position. The upper portion 26 of the contact portion locat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positioned above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through the second bending portion 23 that is secondarily bent upward from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 The free end portion 26a of the contact portion upper portion 26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surface 22 and giv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23 and the contact portion upper portion 26.

그리고 탄성접촉부(24)는 천정면(22)의 후방에서 제1벤딩부(21)을 통하여 성형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접촉부(24)의 하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천정면(22)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편(16)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편(16)의 자유단부(16a)는 상기 탄성접촉부(24)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탄성접촉부(24)이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ceiling surface 22 through the first bending portion 2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formed in the ceiling face 22 The supporting piece 16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ing piece 16 is formed. The free end portion 16a of the support piece 16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so that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functions to maintai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at a certain height have.

이와 같은 탄성접촉부(24)는, 자유단부(26a)가 천정면(22)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탄성접촉부(24)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탄성접촉부(24)이 일정한 프리로드를 받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단자의 탄성접촉부(24)는, 예를 들면 종래의 것과 같은 자유단 상태가 아니라,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미리 가지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삽입되는 상대물에 대하여 충분한 접촉 압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Such an elastic contact portion 24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n a state in which the free end portion 26a elastically contacts the bottom face of the ceiling face 22 so that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t can be said that it receives a certain preload. That is, since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elastic restoring force in advance, not in the free end state as in the conventional case, for example, You can.

이와 같은 본 발명 단자의 탄성접촉부(24)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탄성접촉부(24)는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제1벤딩부(21) 및 제2벤딩부(23)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탄성접촉부(24)의 접촉부상부(26)는 그 자유단부(26a)가 천정면(22)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접촉부상부(26)도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탄성접촉부(24)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탄성접촉부(24)의 전방에는 지지편(16)이 그 하부를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bending portion 21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23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 The free end portion 26a of the contact portion upper portion 26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surface 22 so that the contact portion upper portion 26 substantially has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piece 16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n front of it.

본 발명에서의 탄성접촉부(24)는 접촉부(24a)를 중심으로 상방을 향하도록 절곡 성형되어 있다. 즉, 접촉부(24a)는 상대물이 바닥면(13)의 접촉부(13a)에 탄성적으로 근접될 수 있도록, 탄성접촉부(24)에서 가장 낮은 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성형된 부분이다. 상기 탄성접촉부(24)는, 대략 중심부분의 접촉부(24a)를 중심으로 그 전후에 상향 경사면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상기 탄성접촉부(24)의 접촉부(24a)의 하부에 대응하는 바닥면(13)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접촉부(13a)가 포밍(Forming)되어 있다. 이러한 저면접촉부(13a)와 탄성접촉부(24a)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이러한 간격 사이로 상대물이 삽입되면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대물이 삽입되면 탄성접촉부(24)는 상방으로 탄성 변형하게 된다.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nd formed so as to face upward with the contact portion 24a as a center. That is, the contact portion 24a is a portion molded so as to have the lowest position i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so that the mating object can be elastically brought close to the contact portion 13a of the bottom surface 13. [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formed so as to have an upward inclined surface around the contact portion 24a of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as a center. A contact portion 13a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13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24a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contact portion 13a and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a, and electrical contact is made while the counterpart is inserted between the gap. Therefore, when the mating object is inserted,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elastically deformed upward.

본 발명에서는 탄성접촉부(24)는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하여 과도하게 상방으로 변형됨으로써 영구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접촉부(24)에서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제한부(32)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제한부(32)는, 어느 하나의 측면(12b)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내측으로 벤딩시킴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excessively deformed upward due to an unintended external force, so that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restricting portion 32 at a portion spaced upward from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is restricting portion 32 is made by cutting a part of one of the side surfaces 12b and bending the incised portion inward.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 단자가 상대물과 결합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은 단자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기 위한 상대물은, 전방에서 삽입공간(R)을 통하여 후방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탄성접촉부(24)의 접촉부(24a)와 바닥면(13)의 접촉부(13a) 사이를 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접촉부(24a)는 상부를 향하는 하중이 받으면서 탄성적으로 변형하게 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joining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ounterpart will be described. The counterpart for making electrical contact with such a terminal comes to the rear through the insertion space R from the front. The contact portion 24a of the resilient contact portion 24 and the contact portion 13a of the bottom surface 13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24a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receiving a load directed upward.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접촉부(24)이 상방으로 힘을 받게 되면, 그 양측의 벤딩부(21,23)가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된다. 여기서 탄성접촉부(24)을 상승시키는 힘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각각의 벤딩부(21,23)에 각각 분배되면서 각 벤딩부(21,23)가 탄성 변형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탄성접촉부(24)을 상승시키는 힘이 양측으로 분배된다는 것은, 궁극적으로는 응력을 적절하게 분배함으로써 응력집중에 의한 손상 등을 방지한다는 것인데, 예를 들면 탄성접촉부(24) 및 그 주변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응력을 받거나 균일하게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영구 변형의 우려를 해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subjected to upward force, the bending portions 21 and 23 on both sides thereof are elastically bent. Here, the force for raising the resilient contact portion 24 is distributed to the respective bending portions 21 and 23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so that the bending portions 21 and 23 will be elastically deformed. The fact that the force for raising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distributed to both sides ultimately prevents damag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by appropriately distributing the stress. For example,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and the periphery thereof are entirely It means that the problem of permanent deformation is solved because it is subjected to uniform stress or uniformly elastic deformation.

그리고 탄성접촉부(24)을 상승시키는 힘이 양측으로 분배된다는 것은, 양측의 벤딩부(21,23)에서 이러한 탄성력을 흡수하고 있어서, 궁극적으로 충분한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때 탄성접촉부(24)의 자유단부를 형성하는 접촉부상부(26)의 자유단부(26a)가 천정면(22)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음과 동시에 지지편(16)의 자유단부(16a)에 의하여 하측 부분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제2벤딩부(23)에서도 제1벤딩부(21)과 같이 충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The fact that the force for raising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distributed to both sides means that the bending portions 21 and 23 on both sides absorb this elastic force and ultimately have sufficient elastic restoring force. At this time, the free end portion 26a of the contact portion upper portion 26 forming the free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surface 22 and the free end portion 16a of the support piece 16 It is natural that the second bending portion 23 provides a sufficient elastic restoring force just like the first bending portion 21 because the lower por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접촉부(24)는 그 양측에 성형되어 있는 벤딩부(21,23)에 의하여 충분한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되고, 이는 탄성접촉부(24)의 높이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즉, 탄성접촉부(24)이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닥면(13)의 접촉부(13a)와 탄성접촉부(24)의 접촉부(24a) 사이의 갭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has a sufficient elastic restoring force due to the bending portions 21 and 23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which is also related to a change in the height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That is, since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has a sufficient restoring force, the gap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3a of the bottom surface 13 and the contact portion 24a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can be made relatively large.

예를 들면 상대물 탭이, 바닥면(13)의 접촉부(13a)와 탄성접촉부(24)의 접촉부(24a) 사이를 통하여 삽입되어 탄성접촉부(24)이 상방으로 변형하는 변형량을 최소화하더라도 충분한 접촉력(접촉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대물과 결합할 때 탄성접촉부(24)의 탄성 변형량이 작다는 것은, 삽입력의 측면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탄성접촉부(24)의 접촉부(24a)와 바닥면(13)의 접촉부(13a) 사이를 종래보다 큰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하게 되면, 단자 전체의 변형량이 줄어들게 되어 장시간 사용에 의한 피로 하중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ven if the counterpart tap is insert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3a of the bottom surface 13 and the contact portion 24a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to minimiz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n the upward direction, (Contact pressure) can be maintained. Here, the fact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amount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when coupled with the mating member is small means that there is convenience in use in terms of the insertion force. If the contact portion 24a of the resilient contact portion 24 and the contact portion 13a of the bottom surface 13 are formed to have a gap larg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ase,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entire terminal is reduced, Is expected to be able to cope with the problem.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단자의 구조에 대하여 보충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은 단자는 금속 스트랩에서 출발하여 다수의 금형 작업을 가지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도 4에서 화살표(A)는 금속 스트랩 방향(또는 길이 방향)이고, 화살표(B)는 금속 스트랩에 대한 직각 방향(가로 방향)이다.Next, a supplementary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The terminal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a progressive mold starting from a metal strap and having a number of mold operations. In Fig. 4, the arrow A is the direction of the metal strap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rrow B i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etal strap (the lateral direction).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탄성접촉부(24)는 하나의 측벽(12b)에서 가로 방향(B)에서 형성된다. 즉, 측벽(12b)과 인접하게 천정면(22) 형성하여 절곡하고, 이러한 천정면(22)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 크기 연장하여 상술한 탄성접촉부(24)을 성형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접촉부(24)과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일측(후방)으로는 접촉부상부(26)를 형성하고, 타측(전방)으로는 상술한 지지편(16)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4, the aforementioned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B at one side wall 12b. That is, the ceiling face 22 is formed adjacent to the side wall 12b and bent.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formed b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iling face 22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can be seen that the contact portion upper portion 26 is formed at one side (rear side) in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and the support piece 16 is formed at the other side (front side).

평면 상의 금속판에서 위와 같은 배치를 두고 본 발명의 단자를 설계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금속 스트랩에서 길이 방향으로 현저한 이익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정면(22)을 바닥면(13)에서 연장 성형하는 것과 비교하면,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금속 스트랩에서 최종적으로 폐기되어야 하는 스트랩의 길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Whe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with the above arrangement in a planar metal plate, a substantial advantage can be se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tal strap. For exampl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eiling surface 22 is formed by extending the bottom surface 13, it is considered that the length of the strap to be finally disposed of in the metal strap can be remarkably reduced .

그리고 상기 탄성접촉부(24)이 성형되는 측벽(12b)과 다른 측벽(12a)의 외측 단부(도 3에서는 상단부)에는 제한편(14a,14b)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제한편(14a,14b)은 도 3에서와 같이 단부가 하방으로 벤딩되어 천정면(22)의 상부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A first side 14a and a second side 14b are formed on the side wall 12b on which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formed and on the outer side end (upper end in FIG. 3) of the other side wall 12a. As shown in Fig. 3, the ends 14a and 14b can be bent downward to regulate the upper portion of the ceiling surface 22. As shown in Fi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접촉부의 양측의 벤딩부를 형성하고, 자유단부가 천정면을 저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대물의 삽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집중을 최소화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변형 또는 하중을 받도록 설계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are formed, and the free end portion makes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surface, thereby minimizing the stress concentration occurring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ating member, It is understood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design to receiv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적혀 있는 사항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전기 연결부
12 ..... 측벽
13 ..... 바닥면
16 ..... 지지편
21 ..... 제1벤딩부
22 ..... 천정면
23 ..... 제2벤딩부
24 ..... 탄성접촉부
26 ..... 접촉부상부
10 ..... electrical connection
12 ..... side wall
13 ..... floor
16 ..... Support
21 ..... First bending portion
22 ..... ceiling front
23 ..... second bending part
24 ..... elastic contact
26 ..... contact portion upper

Claims (4)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양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양측면, 상기 양측면 사이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천정면을 포함하는 전기 연결부를 가지고, 금속 스트랩에서 만들어지는 전기 단자에 있어서;
천정면에서 상대물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의 하방으로 성형되는 제1벤딩부(21)를 통하여 천정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탄성접촉부(24)와;
상기 탄성접촉부(24)에서 상방으로 성형되는 제2벤딩부(23)를 통하여 탄성접촉부와 천정부 사이에서 형성되고 그 자유단부가 천정부의 저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상부(26);
상기 탄성접촉부(24)의 길이방향 반대측의 천정면에서 연장 성형되고, 단부가 상기 탄성접촉부의 저면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편(16)을 구비하고;
상기 천정부 및 탄성접촉부는 어느 하나의 측벽(12b)에서, 금속 스트랩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연속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탄성접촉부 및 지지편은 천정부의 길이 방향 단부 양측에 각각 성형되고;
탄성접촉부(24)는, 접촉부(24a)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상향 경사면을 가지고, 상대물의 삽입에 의하여 탄성접촉부(24)가 힘을 받으면 양측의 제1벤딩부(21) 및 제2벤딩부(23)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전기 단자.
An electrical terminal made of a metal strap, the electrical terminal comprising: a bottom surface; two side surface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eiling surface for covering the top between the two side surfaces;
An elastic contact portion (24)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iling surface through a first bending portion (21) formed downwar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a mating object is inserted at a ceiling front face;
A contact upper portion 26 formed betwee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and the ceiling portion through a second bending portion 23 formed upward i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and having its free end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portion;
And a support piece (16) extending from the ceiling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and having an end abutting against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The ceiling portion and the elastic contact portion are formed by bending a continuous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etal strap on either one of the side walls 12b, and the elastic contact portion and the support piece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ceiling portio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has an upward inclined surfa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bout the contact portion 24a. When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4 is subjected to the force by the insertion of the counterpart,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portions 21, (23) is elastically bent so as to make an electrical conta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가 성형된 측벽과 대향하는 측벽에는, 천정면의 상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한편이 구비되는 전기 단자.
The electrical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wall opposed to the sidewall formed with the ceil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striction piece formed so as to restrict upward movement of the ceiling surfa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측벽(12b)의 일부를 절개한 후 내측으로 벤딩시켜 만들어지고, 탄성 접촉부(24)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 단자.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restricting portion (32) made by cutting a part of one of the side walls (12b) and bending inwardly and restricting the rise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Electrical terminals to be constructed.


삭제delete
KR1020170105908A 2017-08-22 2017-08-22 An electrical terminal KR101925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08A KR101925219B1 (en) 2017-08-22 2017-08-22 An electrical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08A KR101925219B1 (en) 2017-08-22 2017-08-22 An electrical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219B1 true KR101925219B1 (en) 2018-12-04

Family

ID=6466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908A KR101925219B1 (en) 2017-08-22 2017-08-22 An electrical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219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367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89442B1 (en) Electrical terminal element
JP5946804B2 (en) connector
JP6591251B2 (en) connector
JP6227103B2 (en) connector
KR101738337B1 (en) Connector
JP2020057499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et
KR102131066B1 (en) Terminals with reduced vertical drag
JP2020087837A (en) connector
KR20130124353A (en) Contact and connector with contacts
JP2019186062A (en) connector
US10707619B2 (en) Movable connector
JP6069541B2 (en) connector
KR101925219B1 (en) An electrical terminal
JP5444283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7147171A (en) connector
US2017026403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JP2009104915A (en) Connector
KR100907541B1 (en) Receptacle Terminal
CN108155502B (en) Connecting terminal and connector
KR100787202B1 (en) Receptacle terminal
US2017035887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power terminal
US20230246366A1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4386676B2 (en) connector
KR102674178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