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440B1 -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440B1
KR101920440B1 KR1020170105393A KR20170105393A KR101920440B1 KR 101920440 B1 KR101920440 B1 KR 101920440B1 KR 1020170105393 A KR1020170105393 A KR 1020170105393A KR 20170105393 A KR20170105393 A KR 20170105393A KR 101920440 B1 KR101920440 B1 KR 10192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target
touch
sensor module
self
for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김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실리콘인사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실리콘인사이드 filed Critical (주)실리콘인사이드
Priority to KR102017010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440B1/ko
Priority to PCT/KR2018/009506 priority patent/WO2019039807A1/ko
Priority to CN201880003020.0A priority patent/CN10969918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 센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센싱타겟과 코일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가변하는 인덕턴스를 이용해 가해진 힘의 정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3D 터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센싱타겟(Sensing Target), 상기 센싱타겟의 하부에 위치하며, 서로의 일측면이 접면하는 상층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하층 FPCB로 구성되고, 상기 상층 FPCB 및 하층 FPCB 각각의 타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코일(Coil)이 형성되는 2-레이어 FPCB 및 상기 센싱타겟과 2-레이어 FPCB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도록 그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터(Supporter)를 포함하여, 상기 센싱타겟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화하는 센싱타겟과 코일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인덕턴스(Inductance)가 가변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SELF INDUCTIVE FORCE SENSOR MODULE FOR 3D TOUCH IMPLEMENTATION}
본 발명은 포스 센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센싱타겟과 코일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가변하는 인덕턴스를 이용해 가해진 힘의 정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3D 터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MP3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과 같은 가전기기에는 각종 작동상태를 보여주거나 터치를 통한 입력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다.
특히 최근에는 접거나 구부려도 동일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어 다양한 전자기기에 이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아몰레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과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을 들 수 있다.
아몰레드란 백라이트에 의해 빛을 발하는 LCD와는 달리 그 자체에서 빛을 발하는 디스플레이를 말하며,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라고도 한다.
그리고 TFT-LCD란 LCD에 있는 화소마다 액티브 소자인 TFT(박막트랜지스터)를 부가하여 각 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LCD를 말한다.
위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전자기기들은 터치패널 상의 x축과 y축 좌표를 이용해 터치패널의 어느 지점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는지를 감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근에는 단순히 터치가 아닌 터치의 강도(터치패널의 z축으로 가하여진 힘의 크기)를 감지하여 종래와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애플사의 3D 터치를 참조하면, 단순히 손가락을 탭하거나 드래그하는 것뿐만 아니라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터치의 강도를 차등화한 기술을 아이폰이나 애플와치에 적용하여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터치패널을 터치하는 강도를 감지하는데 있어 종래의 압력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은 실생활에서는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터치하는 강도의 차이가 크지 않아 감도 차이를 충분히 파악하여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3D 터치를 구현하는데 있어 터치패널의 z축으로 가하여진 힘의 크기를 보다 높은 감도로 측정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센싱타겟과 코일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가변하는 인덕턴스를 이용해 터치패널에 가해진 힘의 정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3D 터치를 구현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센싱타겟(Sensing Target); 상기 센싱타겟의 하부에 위치하며, 서로의 일측면이 접면하는 상층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하층 FPCB로 구성되고, 상기 상층 FPCB 및 하층 FPCB 각각의 타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코일(Coil)이 형성되는 2-레이어 FPCB; 및 상기 센싱타겟과 2-레이어 FPCB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도록 그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터(Supporter); 를 포함하여, 상기 센싱타겟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화하는 센싱타겟과 코일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인덕턴스(Inductance)가 가변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싱타겟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금속필름(Metal Film)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일은 나선형 패턴(Spiral Pattern)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층 FPCB와 하층 FPCB 상에 형성되는 각각의 코일은 서로 같은 방향의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일에는 교류 전류(AC)가 인가됨으로써 센싱타겟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은 아몰레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또는 플렉서블 아몰레드 패널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어 3D 터치 구현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은 백라이트 라이트 가이드(Backlight Light Guide)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에 적용되어 3D 터치 구현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변하는 상기 인덕턴스는 연동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인덕티브 센서, 분압저항, 비교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싱타겟과 코일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가변하는 인덕턴스를 이용해 터치패널에 가해진 힘의 정도를 감지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3D 터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층에 코일이 형성된 두 개 층의 FPCB로 이루어진 2-레이어 FPCB를 통해 보다 높은 감도로 3D 터치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TFT-LCD 패널 모두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3D 터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을 분해하여 투영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레이어 FPCB 상에 형성된 나선형 패턴 코일을 투영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지 않았을 때 센싱타겟의 평면과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졌을 때 센싱타겟의 평면과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지 않았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졌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FT-LCD 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지 않았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FT-LCD 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졌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누르는 힘의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센싱타겟과 코일 사이의 거리가 인덕턴스를 결정하고, 이와 연동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변화한 인덕턴스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누른 힘의 정도를 도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3D 터치를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싱타겟(Sensing Target)(10), 서로의 일측면이 접면하는 상층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21)와 하층 FPCB(22)로 구성되고, 상기 상층 FPCB 및 하층 FPCB 각각의 타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코일(Coil)(23)이 형성되는 2-레이어 FPCB(20) 및 상기 센싱타겟과 2-레이어 FPCB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도록 그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터(Supporter)(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100)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설명을 돕기 위해,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을 분해하여 투영한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레이어 FPCB 상에 형성된 나선형 패턴 코일을 투영한 평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상기 센싱타겟(10)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막 또는 필름과 같은 구성으로서 본 발명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100)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센싱타겟(10)은 아몰레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또는 플렉서블 아몰레드 패널 하부에 밀착 배치되어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될 수 있고, 백라이트 라이트 가이드(Backlight Light Guide) 하부에 밀착 배치되어 TFT-LCD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센싱타겟(1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금속필름(Metal Film)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ITO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투명 도전막으로 인듐과 산화 주석의 화합물인 In2O3, SnO2로 된 막을 말하고, 상기 금속필름은 문자 그대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필름 형태의 소재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센싱타겟(10)의 하부에는 2-레이어 FPCB(20)가 위치하는데, 상기 2-레이어 FPCB는 상층 FPCB(21)와 하층 FPCB(22)를 포함하고, 상기 상층 FPCB와 하층 FPCB는 서로의 일측면이 접면함과 동시에 각각의 타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코일(23)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23)은 나선형 패턴(Spiral Pattern)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파란색 나선형 패턴의 코일을 상층 FPCB(21)에 형성된 코일로 보면 노란색 나선형 패턴의 코일은 하층 FPCB(22)에 형성된 코일에 해당하며, 도면과 같이 상기 상층 FPCB에 형성되는 코일과 상기 하층 FPCB에 형성되는 코일은 같은 방향의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코일(23)에는 교류 전류(AC)가 흐르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교류 전류가 만약 파란색 나선형 패턴의 코일로 흘러 들어가 노란색 나선형 패턴의 코일로 흘러 나오는 것을 가정하면 평면상에서 볼 때 실제 교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교류 전류가 노란색 나선형 패턴의 코일(23)로 흘러 들어가 파란색 나선형 패턴의 코일로 흘러 나오더라도 교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은 평면상으로 동일하게 된다.
나선형 패턴의 상기 코일(23)에 교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센싱타겟(10)에는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센싱타겟(10)과 2-레이어 FPCB(20)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상기 센싱타겟과 2-레이어 FPCB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터(30)를 더 포함한다.
단면도가 도시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조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터(30)는 센싱타겟(10)이 힘을 받아 아래 방향으로 눌리더라도 2-레이어 FPCB(20) 또는 상기 2-레이어 FPCB 상의 코일(23)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즈를 가지면 충분하다.
도 4a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지 않았을 때 센싱타겟의 평면과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 4b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졌을 때 센싱타겟의 평면과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된다.
먼저 도 4a의 (b)를 보면, 터치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지 않아 센싱타겟(10)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때 (a)를 보면 2-레이어 FPCB(20)의 나선형 패턴의 코일(23)에 교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센싱타겟 상에 와전류가 발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a와 같이 평형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4b에서처럼 터치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졌을 때에는, (b)와 같이 센싱타겟(10)의 힘이 가하여진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휘게 되고, 이는 상기 센싱타겟과 코일(23)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센싱타겟 상의 와전류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대적인 자기장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코일의 실효 인덕턴스가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연동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변화하는 인덕턴스를 감지한다면 터치패널의 z축 방향으로 가하여진 힘의 정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인덕티브 센서, 분압저항, 비교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덕티브 센서 양단에 걸리는 전압과 분압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비교부를 통해 비교하고 제어부를 통해 특정 동작 수행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코일(23)의 실효 인덕턴스 변화 여부 및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회로 구성이 본 발명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에 해당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100)은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TFT-LCD 패널 모두에 적용되어 3D 터치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으로, 도 5a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지 않았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고, 도 5b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졌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며, 도 6a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FT-LCD 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지 않았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고, 도 6b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FT-LCD 패널의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졌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된다.
먼저 도 5a는 상기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100)이 아몰레드 패널 또는 플렉서블 아몰레드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며, 상기 아몰레드 패널 또는 플렉서블 아몰레드 패널 상에는 온-셀 커패시티브 터치 패턴(On-Cell Capacitive Touch Pattern)과 커버 글라스(Cover Glass)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이 경우에는 아몰레드 패널 또는 플렉서블 아몰레드 패널에 z축 방향으로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후 도 5b와 같이 아몰레드 패널 또는 플렉서블 아몰레드 패널에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진 경우, 와전류가 형성된 상태로 이와 밀착하여 배치된 센싱타겟(10)이 아래 방향으로 휘고, 이는 센싱타겟과 코일(23)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켜 센싱타겟 상의 와전류를 증가시키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대적인 자기장이 감소하여 코일의 실효 인덕턴스를 감소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온-셀 커패시티브 터치 패턴과 연동한 커패시티브 터치 센서(Capacitive Touch Sensor)가 터치패널 상에 터치가 이루어진 x좌표 및 y좌표를 구하게 되고, 변화하는 인덕턴스를 감지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z축 방향으로 가하여진 힘의 정도(또는 힘에 의해 터치 패널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감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3D 터치를 구현하게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도 6a는 상기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100)이 백라이트 라이트 가이드 하부에 배치되어 TFT-LCD 패널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며, 상기 백라이트 라이드 가이드 상에는 TFT-LCD 패널, 온-셀 커패시티브 터치 패턴, 그리고 커버 글라스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본 도면은 TFT-LCD 패널에 z축 방향으로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후 도 6b와 같이 TFT-LCD 패널에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진 경우, 와전류가 형성된 상태로 이와 밀착하여 배치된 센싱타겟(10)이 아래 방향으로 휘면서 센싱타겟과 코일(23)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고, 이는 센싱타겟 상의 와전류를 증가시켜 상대적인 자기장이 감소함으로써 결국 코일의 실효 인덕턴스를 감소시킨다.
앞의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찬가지로 TFT-LCD 패널 또한 온-셀 커패시티브 터치 패턴과 연동한 커패시티브 터치 센서가 터치패널 상에 터치가 이루어진 x좌표 및 y좌표를 구함과 동시에, 변화하는 인덕턴스를 감지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z축 방향으로 가하여진 힘의 정도(또는 힘에 의해 터치 패널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감지함으로써 최종적으로 3D 터치를 구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센싱타겟과 코일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가변하는 인덕턴스를 이용해 터치패널에 수직으로 가해진 힘의 정도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3D 터치를 구현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층에 하나 이상의 코일이 형성된 두 개 층의 FPCB로 이루어진 2-레이어 FPCB를 통해 보다 높은 감도로 3D 터치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TFT-LCD 패널 모두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상용화 가능성과 시장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센싱타겟
20: 2-레이어 FPCB
21: 상층 FPCB
22: 하층 FPCB
23: 코일
30: 서포터
100: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Claims (8)

  1. ITO(Indium Tin Oxide)로 형성되는 센싱타겟(Sensing Target);
    상기 센싱타겟의 하부에 위치하며, 서로의 일측면이 접면하는 상층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와 하층 FPCB로 구성되고, 상기 상층 FPCB 및 하층 FPCB 각각의 타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코일(Coil)이 서로 짝을 짓도록 형성되는 2-레이어 FPCB; 및
    상기 센싱타겟과 2-레이어 FPCB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있을 수 있도록 그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터(Supporter); 를 포함하되,
    상기 짝을 지은 코일은 각각 상층 FPCB와 하층 FPCB 상에 형성되되 동일한 z축에 각 코일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같은 방향의 나선형 패턴(Spiral Pattern)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싱타겟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화하는 센싱타겟과 코일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인덕턴스(Inductance)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는 교류 전류(AC)가 인가됨으로써 센싱타겟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은 아몰레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또는 플렉서블 아몰레드 패널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어 3D 터치 구현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은 백라이트 라이트 가이드(Backlight Light Guide)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에 적용되어 3D 터치 구현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가변하는 상기 인덕턴스는 연동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인덕티브 센서, 분압저항, 비교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KR1020170105393A 2017-08-21 2017-08-21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KR10192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93A KR101920440B1 (ko) 2017-08-21 2017-08-21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PCT/KR2018/009506 WO2019039807A1 (ko) 2017-08-21 2018-08-20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CN201880003020.0A CN109699185A (zh) 2017-08-21 2018-08-20 用于实现3d触控的自感式力传感器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93A KR101920440B1 (ko) 2017-08-21 2017-08-21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440B1 true KR101920440B1 (ko) 2018-11-20

Family

ID=6456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93A KR101920440B1 (ko) 2017-08-21 2017-08-21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20440B1 (ko)
CN (1) CN109699185A (ko)
WO (1) WO2019039807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2651A1 (ko) * 2019-02-08 2020-08-13 주식회사 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20200105251A (ko) * 2019-02-28 2020-09-07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WO2020218679A1 (ko) * 2019-04-25 2020-10-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힘 센서
KR20210000177A (ko)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다모아텍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02524A1 (ko) *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20210009777A (ko)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다모아텍 인덕티브 센싱과 정전용량형 센싱을 이용하는 터치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09937A (ko)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다모아텍 전원 버튼 및 인덕티브 터치 포스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9034A (ko) * 2019-09-05 2021-03-15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20210146048A (ko) * 2020-05-26 2021-12-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량성 터치 기반의 보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
KR102364056B1 (ko) 2020-12-31 2022-02-18 주식회사 다모아텍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US11460357B2 (en) 2019-06-24 2022-10-04 Damoatech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on button and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831B1 (ko) * 2020-07-07 2022-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8747A (ja) * 2011-02-15 2012-09-06 Nippon Soken Inc 操作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08404B (zh) * 2008-11-28 2010-06-02 清华大学 用于测试曲面间隙的柔顺式双层电涡流传感器的制备方法
KR101091005B1 (ko) * 2009-11-06 2011-12-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인덕티브 터치 센싱장치
KR101581672B1 (ko) * 2014-06-09 2015-12-31 주식회사 더한 정전용량형 터치와 유도전자기장 입력을 동시에 감지하는 다중 입력 패드 및 입력 시스템
KR102476610B1 (ko) * 2015-10-02 202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EP3165997B1 (en) * 2015-11-04 2020-05-27 Alpine Electronics, Inc. Automotive input apparatus comprising a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CN205721728U (zh) * 2016-04-28 2016-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感测器件、触控面板和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8747A (ja) * 2011-02-15 2012-09-06 Nippon Soken Inc 操作検出装置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570A (ko) * 2019-02-08 2020-08-19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WO2020162651A1 (ko) * 2019-02-08 2020-08-13 주식회사 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102264330B1 (ko) * 2019-02-08 2021-06-14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20200105251A (ko) * 2019-02-28 2020-09-07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102264320B1 (ko) * 2019-02-28 2021-06-14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US11971315B2 (en) 2019-04-25 2024-04-30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ce sensor
WO2020218679A1 (ko) * 2019-04-25 2020-10-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힘 센서
KR102313316B1 (ko) * 2019-06-24 2021-10-18 주식회사 다모아텍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00177A (ko)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다모아텍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US11460357B2 (en) 2019-06-24 2022-10-04 Damoatech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wer-on button and inductive touch force sensor
KR102496360B1 (ko) 2019-06-24 2023-02-06 주식회사 다모아텍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25964A (ko) 2019-06-24 2021-10-19 주식회사 다모아텍 인덕티브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02524A1 (ko) * 2019-07-04 2021-01-07 주식회사 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102279960B1 (ko) * 2019-07-04 2021-07-21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20210004463A (ko) * 2019-07-04 2021-01-13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20210103997A (ko) 2019-07-18 2021-08-24 주식회사 다모아텍 전원 버튼 및 인덕티브 터치 포스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92236B2 (en) 2019-07-18 2022-07-19 Damoatech Co., Ltd. Touch force sensor using inductive sensing and capacitive sensing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20210009937A (ko)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다모아텍 전원 버튼 및 인덕티브 터치 포스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15414B1 (ko) 2019-07-18 2021-10-21 주식회사 다모아텍 인덕티브 센싱과 정전용량형 센싱을 이용하는 터치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27667A (ko) 2019-07-18 2021-10-22 주식회사 다모아텍 인덕티브 센싱과 정전용량형 센싱을 이용하는 터치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63531B1 (ko) 2019-07-18 2022-02-16 주식회사 다모아텍 인덕티브 센싱과 정전용량형 센싱을 이용하는 터치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09777A (ko)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다모아텍 인덕티브 센싱과 정전용량형 센싱을 이용하는 터치 포스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93936B1 (ko) * 2019-09-05 2021-08-26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20210029034A (ko) * 2019-09-05 2021-03-15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KR102398758B1 (ko) * 2020-05-26 2022-05-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량성 터치 기반의 보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
KR20210146048A (ko) * 2020-05-26 2021-12-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량성 터치 기반의 보조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
KR20220097137A (ko)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다모아텍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64056B1 (ko) 2020-12-31 2022-02-18 주식회사 다모아텍 터치 및 터치 포스를 감지하는 하이브리드 센서 및 그 동작 방법
US11507230B2 (en) 2020-12-31 2022-11-22 Damoatech Co., Ltd. Hybrid sensor for detecting touch and touch for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807A1 (ko) 2019-02-28
CN109699185A (zh)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440B1 (ko)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KR101954368B1 (ko) 3d 터치 구현을 위한 뮤추얼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US10452215B2 (en) Mutual capacitive force sensor and touch display device with force sensing function and force sensing method thereof
US10042467B2 (en) Integrated capacitive fingerprint sensor
CN105278782B (zh) 带传感器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8803839B2 (en) Capacitive coupling of a capacitive touchscreen to a printed circuit and controller
JP6336604B2 (ja) 寄生キャパシタンス減少のための変調型電源
KR101780493B1 (ko)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US10078400B2 (en) Touch sensor panel and method correcting palm input
EP2474889A2 (en) Digitizer-integrated display module
JP6900231B2 (ja) タッチ検出装置及び方法
KR20140078922A (ko) 압력 센서부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CN106293192A (zh) 压力感测输入装置
KR20130126228A (ko) 압력 감지가 가능한 매트릭스 스위칭 타입 터치 스크린 패널
US94053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region presses on a capacitive sensing device
US20220171489A1 (en) Force Sensing Touch Panel
US20120105354A1 (en) Tactile Feedback Cover Lens for a Capacitive Touchscreen System
US11003279B2 (en) Touch sensor with peripheral electrodes
KR101318446B1 (ko) 표시장치용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KR20160134531A (ko) 연성 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자기-정전용량형 터치 패널
CN107272971B (zh) 抓握管理
KR20190094989A (ko)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터치 패널
KR20220048942A (ko) 터치 표시 장치
US11989362B1 (en) Inductance coil of a capacitance module
US11681375B1 (en) Non-uniform pressure actuation threshold val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