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029B1 -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029B1
KR101920029B1 KR1020120085340A KR20120085340A KR101920029B1 KR 101920029 B1 KR101920029 B1 KR 101920029B1 KR 1020120085340 A KR1020120085340 A KR 1020120085340A KR 20120085340 A KR20120085340 A KR 20120085340A KR 101920029 B1 KR101920029 B1 KR 10192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mobile device
data signal
audio data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8038A (en
Inventor
김준태
한정은
김미향
이병희
김태언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029B1/en
Priority to JP2013158667A priority patent/JP2014033444A/en
Priority to PCT/KR2013/006966 priority patent/WO2014021670A1/en
Priority to EP13178902.6A priority patent/EP2693721B1/en
Priority to AU2013211541A priority patent/AU2013211541B2/en
Priority to TW102127553A priority patent/TW201412141A/en
Priority to CN201310336763.9A priority patent/CN103581791B/en
Priority to US13/959,238 priority patent/US9241215B2/en
Publication of KR2014001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038A/en
Priority to US14/984,777 priority patent/US9525942B2/en
Priority to US15/383,222 priority patent/US1005136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0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와;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of the mobile device receiving an audio data signal;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of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input audio data signal; A balanced amateur for outputting a signal of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input audio data signal; And an audio signal processor for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using at least one filter.

Description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기술에 해당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of outputting and reproducing an audio data signal effectively including a balanced amateur.

모바일 장치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 사용되는 오디오 출력 수단(Receiver, 수화기)에 대한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에 대한 통신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생 주파수 대역도 넓어지고 있다.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5]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of a mobile device, a technique for an audio output means (receiver, receiver) used in the mobile device is rapidly developing. Also, as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he mobile device is rapidly developed,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for the audio data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device is also widening.

그런데 상기 모바일 장치에 부착되는 오디오 출력 수단의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의 오디오 출력 수단이 부착되고 있다. 하지만 소형의 오디오 출력 수단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는 전화 통화의 수화음 정도에 대응하는 재생 주파수 대역에 국한된 음향을 들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생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면서 넓어진 재생 주파수 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오디오 출력 수단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udio output means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a small audio output means is attached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of the mobile device. However, when a small-sized audio output means is attached,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has to listen to sound limited to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the sound of the telephone call.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n audio output means capable of covering a wide range of reproduction frequency bands as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for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mobile device is wide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outputting an audio data signal including a balanced amateu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한 각각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including a balanced amateur that outputs audio data signals by adjusting respective reproduction frequency bands for audio output means through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와;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of the mobile device receiving an audio data signal;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of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input audio data signal; A balanced amateur for outputting a signal of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input audio data signal; And an audio signal processor for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using at least one fil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단계;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으로 출력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밸런스드 아마추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n audio data signal in the mobile device; Adjusting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input audio data signal and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received audio data signal using at least one filter; Outputting the adjusted audio data signal of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o the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and outputting the adjusted audio data signal of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o the balanced amateu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되는 재생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a balanced amateur has an advantage that a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n which an audio data signal is reproduced is wide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한 각각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obile device including the balanced amateu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audio data signal can be reproduced by adjusting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for the audio output means through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도 1은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오디오 출력 수단의 주파수 스펙트럼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합쳐진 주파수 스펙트럼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10은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나타나 있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12는 와이드 밴드 재생시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나타나 있는 도면이다.
도 13는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다이나믹 리시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밴드 패스 필터가 오디오 출력 수단에 사용된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이 실행되는 과정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2 is a front view of a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a mobile device including one audio output means.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ayback frequency band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of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ection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of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ection adjusting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8 is a view showing a frequency spectrum in which the frequency spectrum of the audio output means and the frequency spectrum of the balanced amateur are combined.
9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 crossover frequency.
1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 frequency spectrum at the time of wide band reproduc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a dynamic receiver and balanced amateur are simultaneously used in a narrow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14 is a diagram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band-pass filter used in the audio output means.
FIG. 1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is performed.
1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members per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the connector 165. &Quot; External device " includes other devices (not shown), a cell phone (not shown), a smart phone (not shown), a tablet PC (not shown) and a server (not shown).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7),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the mobile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ler 110,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 multimedia module 140, a camera module 150, a GPS module 155, Output module 160, a sensor module 170, a storage unit 175, a power supply unit 180, and a display unit 190.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132. The multimedia module 140 includes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module 141, an audio reproduction module 142, (143). The camera module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camera 151 and a second camera 152. The input / output module 160 includes a button 161, a microphone 162, a speaker 163, A motor 167, a connector 165, and a keypad 166.

제어부(110)는 CPU(111), 모바일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모바일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모바일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stores a ROM or a ROM 112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100 and a signal or data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RAM) 113 that is used as a storage area for operations performed in the RAM 100 (e.g., RAM). The CPU 111 may include a single core, a dual core, a triple core, or a quad core. The CPU 111, the ROM 112, and the RAM 113 may be interconnected via an internal bus.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하기에서 설명될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 및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 및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110)는 이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 multimedia module 140, a camera module 150, a GPS module 155, an input / output module 160, a sensor module 170, The storage unit 175, the power supply unit 180, and the display unit 190,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n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300,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10, a crossover frequency change unit 900, an audio output means usage determination unit 1100, The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300,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10, the crossover frequency changing unit 900, the audio output means usage determination unit 1100, (111) are separately formed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m.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모바일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모바일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llows the mobile device 10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antenna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communicate with a mobile phone 100 via a mobile phone with a phone number (not shown), a smartphone (not shown), a tablet PC or other device (not shown) , A text message (SMS), or a multimedia message (MMS).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132. For example, it may include only the wireless LAN module 131, only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or both the wireless LAN module 131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wireless LAN modul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t a place where a wireless access point (not shown) is insta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wireless LAN module 131 may support IEEE 802.11x of the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may wirelessly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100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may include bluetooth,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the like.

모바일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132 according to performance.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100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depending on performance.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include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module 141, an audio reproducing module 142, or a moving picture reproducing module 143. The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e.g.,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or a dat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through a broadcast communication antenna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E. G., An Electric Program Guide (EPS) or an Electric Service Guide (ESG)). The audio playback module 142 may play back a digital audio file (e.g., a file having a file extension of mp3, wma, ogg, or wav) stored or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moving picture playback module 143 may play back digital moving picture files (e.g., files having file extensions mpeg, mpg, mp4, avi, mov, or mkv) stored or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moving picture reproducing module 143 can reproduce the digital audio file.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include an audio reproduction module 142 and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module 143 except for the broadcasting communication module 141. [ The audio reproducing module 142 or the moving picture reproducing module 143 of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00.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camera 151 and a second camera 152 for capturing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Further, the first camera 151 or the second camera 152 may include an auxiliary light source (e.g., a flash (not shown)) for providing the light amount required for photographing. The first camera 15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the second camera 152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Alternatively, the first camera 151 and the second camera 15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capture a three-dimensional still image or a three-dimensional moving image.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모바일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GPS 모듈(155)로부터 산출되는 모바일 장치(100)의 위치는 위도, 경도, 높이, 3차원 방향(orientation)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The GPS module 155 receives radio waves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not shown) on the earth orbit and uses a time of arrival from a GPS satellite (not shown) to the mobile device 100 So as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calculated from the GPS module 155 may be represented by at least one of latitude, longitude, height, and orientation.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로폰(162), 스피커(163), 오디오 출력 수단(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진동모터(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module 160 includ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ttons 161, a microphone 162, a speaker 163, an audio output means 164, a connector 165, a keypad 166, and a vibration motor 167 One can be included.

버튼(161)은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및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16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r rea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 lock button, a volume button, a menu button, a home button, . ≪ / RTI >

마이크로폰(16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마이크로폰(162)은 음성통화서비스를 위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microphone 162 receives a voice or a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The microphone 162 may receive a user's voice for voice call service.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모바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모바일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peaker 163 may transmit various signals (for example, a radio signal, a broadcast signal, a radio signal, a radio signal, a radio signal, a radio signal, and the lik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the multimedia module 140, or the camera module 1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A digital audio file, a digital moving picture file, a picture taking, etc.)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 The speaker 163 can output sound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mobile device 100 (e.g., a button oper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telephone call or a ring back tone). The speaker 163 may be formed at one or a plurality of positions at appropriate positions or positions of the housing of the mobile device 100.

오디오 출력 수단(164, Receiver, 수화기)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켜 모바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164)은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eans 164 (receiver, receiver) can reproduce an audio data signal according to commun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nd output it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The audio output means 164 may be formed at one or more locations in the housing of the mobile device 100 at appropriate locations or locations.

커넥터(165)는 모바일 장치(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The connector 165 may be used a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mobile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or a power source (not shown).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of the mobile device 100 is transferr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via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or an external device ). ≪ / RTI > Power can be input from a power source (not shown) or can be charged to a battery (not shown)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

키패드(166)는 모바일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모바일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표시부(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모바일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The keypad 166 may receive a key input from a user for control of the mobile device 100. The keypad 166 includes a physical keypad (not shown) formed on the mobile device 100 or a virtual keypad (not show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90. The physical keypad (not shown) formed on the mobile device 100 may be exclud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mobile device 100. [

진동모터(167)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모바일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7)가 동작한다.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7)는 표시부(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표시부(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The vibration motor 167 can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into mechanical vib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For example, when the mobile device 100 in the vibration mode receives a voice call from another device (not shown), the vibration motor 167 operates. And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mobile device 100 in one or more. The vibration motor 167 can operate in response to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 touching the display unit 190 and a continuous movement of the touch on the display unit 190. [

센서 모듈(170)은 모바일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모바일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모바일 장치(100)의 동작(예, 모바일 장치(100)의 회전, 모바일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모바일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7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us of the mobile device 100. [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17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user is approaching the mobile device 100, a light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the amount of light around the mobile device 100, (Not shown) that detects the motion of device 100 (e.g., rotation of mobile device 100, acceleration or vibration applied to mobile device 100). At least one of the sensors may detect the state,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The sensors of the sensor module 170 may be added or deleted depending on the capabilities of the mobile device 100.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표시부(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모바일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75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the multimedia module 140, the camera module 150, the GPS module 155, the input / And may store signals or data input / outpu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display unit 160, the sensor module 170, and the display unit 190. The storage unit 175 may store control programs and applications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100 or the control unit 110. [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모바일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 " storage unit " includes a storage unit 175, a ROM 112 in the control unit 110, a RAM 113, or a memory card (not shown) Stick).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모바일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모바일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supply power to one or a plurality of batteries (not shown) disposed in the housing of the mobile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One or more batteries (not shown) supply power to the mobile device 100.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supply power to the mobile device 100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표시부(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제공되는 모바일 장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9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90 may display a screen of the mobile device provid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display unit 190 may include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a variety of services (e.g., call, data transmission, broadcasting, photographing) to the user. The touch screen may transmit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ouch input to the user interface to the control unit 110. [ The touch screen can receive at least one touch via a user's body (e.g., a finger including a thumb) or a touchable input means (e.g., a stylus pen). Also, the touch screen can receive a continuous movement of one touch among at least one touch. The touch screen may transmit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inuous movement of the input touch to the control unit 110. [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일정 간격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모바일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s not limited to the contact between the touch screen and the user's body or the touchable input means, but includes a non-contact (e.g., a distance between the touch screen and the user's body or a detectable interval can do. The interval that can be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mobile device 100. [ The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resistive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or an acoustic wave method.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표시부(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을 실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may convert the analog signals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to digital signals (e.g., X and Y coordinates).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90 using the digital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cause the shortcut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90 to be selected in response to a touch or execute a shortcut ic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a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1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164)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켜 모바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수화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164)은 복수개일 수 있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 제2 오디오 출력 수단(202), 제3 오디오 출력 수단 등이 상기 모바일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는 두 개의 오디오 출력 수단(164)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 제2 오디오 출력 수단(202)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은 다이나믹 리시버(Dynamic Receiver), 밸런스드 아마추어(Balanced Armature) 등의 다양한 리시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시버는 다양한 종류의 기존의 리시버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면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는 진동판에 부착된 코일에 전류를 흘려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는 리시버를 의미한다.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는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중앙 코일에 연결된 진동판이 사용되어, 상기 진동판의 떨림에 의해서 전기 신호가 음향 신호로 변환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의 일종이다.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는 저역, 중역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코일이 감긴 아마추어에 전기 신호가 들어오게 되어 영구자석 사이에서 움직이면서 연동된 진통판이 진동됨으로써 수화음이 재생되는 트랜스듀서의 일종이다.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역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와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동시에 재생시켜 저음역 대역 및 고음역 대역 모두의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재생시켜 모든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수화음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164. The audio output means 164 may reproduce an audio data signal and output it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 sound.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200, the second audio output means 202, the third audio output mean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100.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audio output means 164 are formed by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200 and the second audio output means 20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udio output means may be formed of various receivers such as a dynamic receiver and a balanced armature. At this time, various types of existing receivers can be used as the receiver, and the types thereof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case, the dynamic receiver means a receiver for supplying an electric current to a coil attached to a diaphragm and vibrating the diaphragm using a permanent magnet to reproduce an audio data signal. The dynamic receiver is a type of transducer in which a diaphragm connected to a center coil moving up and down in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permanent magnet is used and an electric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coustic signal by shaking of the diaphragm. The dynamic receiver has a characteristic of effectively reproducing a low frequency band 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nd a balanced amateur is a type of transducer in which the electric signal comes into the coiled amateur, and the vibrating plate is vibrated by moving between the permanent magnets. The balanced amateur has a characteristic of effectively reproducing a high frequency reproduction band.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ynamic receiver for reproducing a low-frequency band and a balanced amateur for reproducing a high-frequency band are simultaneously reproduced and reproduced in a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both a low-frequency band and a high- Can be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은 다이나믹 리시버, 밸런스드 아마추어 등의 다양한 리시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과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의 종류 중의 하나인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어 복수개의 오디오 출력 수단에 의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은 복수개일 수 있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제2 오디오 출력 수단, 제3 오디오 출력 수단, 제N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하기에서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는 제어부(11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을 수도 있다.3,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300,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10, at least one audio output unit 200, and a balanced amateur unit 202 . The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may be formed of various receivers such as a dynamic receiver and a balanced amateur.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data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200 and the balanced amateur 202 which is one of the types of the audio output means, A data signal can be output. The balanced amateur 202 may be located near the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200. The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udio output means, a second audio output means, a third audio output means, and an N-th audio output means, Audio output means. The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300 and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1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1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0. [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에 포함되고,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는 이동통신 데이터 수신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데이터 수신부(312)는 이동통신망의 음성통화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는 음성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생성된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란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오디오 출력 수단에서 재생되어 모바일 장치(100) 외부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통신 모듈(120 내지 130)을 이용한 상기 이동통신 데이터 수신부(302)를 통하여 수신된 외부 모바일 장치의 타 사용자의 음성 내지 음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의 타 사용자의 음성 내지 음향 신호가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 내부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가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한 상기 이동통신 데이터 수신부(302)를 통하여 모바일 장치(100)로 수신된다. 이렇게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100)로 수신된 전기 신호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될 수 있다.The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300 is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1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0, and receives an audio data signal. The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data receiving unit 302.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data receiving unit 312 may receive the audio data signal using th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udio data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a voice frequency band. The audio data signal refers to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bout sound that is reproduced by the audio output means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to be provided to the user. For example, the audio data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voice or sound of another user of the external mobile device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ata receiving unit 302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s 120 to 130 of the mobile device 100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voice or sound signal of another user of the external mobile devic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 signal in the external mobile device, and the converted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 100). Thus,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by the user's mobile device 100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and may be an audio data signal provided to the user.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과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는 하기에서 설명될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전달 받아 재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킬 수 있고,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대역일 수 있으나, 겹치는 대역이 존재할 수도 있다. 도 4는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402)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도 4a의 모바일 장치(400)에서는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이 재생된다. 그리고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402)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412)이 도시되어 있다. 도 4b의 그래프의 X축은 주파수(frequency)이고, Y축은 음압(SPL, Sound Pressure Level)이다. 따라서 상기 도 4b의 그래프는 상기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402)의 주파수에 따른 음압이 나타난 스펙트럼(412)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402)이 재생시킬 수 있는 대역은 도 4b에 도시된 재생 주파수 대역(420)과 같다. 다음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200,202)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들(210,212)이 도시되어 있다. 도 5b의 그래프의 X축은 주파수이고, Y축은 음압이다. 따라서 상기 도 5b의 그래프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주파수에 따른 음압이 나타난 스펙트럼들(210,212)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5b에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서 재생되는 제1 재생 주파수 대역(5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제2 재생 주파수 대역(512)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의 주파수 스펙트럼(210)과 밸런스드 아마추어(202)의 주파수 스펙트럼(212)이 합쳐져서 주파수 스펙트럼(214)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합쳐진 주파수 스펙트럼(21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주파수 대역(500)은 도 4b의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420)보다 넓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디오 출력 수단들을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되는 재생 주파수 대역이 넓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first audio output means 200 and the balanced amateur 202 receive the audio data signal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10 to be described later and output the audio dat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to provide the audio data signal to the use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200 may reproduce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signal and the balanced amateur 202 may reproduce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signal.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 band different from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but overlapping bands may exist. FIG. 4 is a view showing a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a mobile device including one audio output means,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a mobile device including a balanced amateu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A, a mobile device 400 including one audio output means 402 is illustrated. In the mobile device 400 of FIG. 4A, one audio output means is reproduced. Referring to FIG. 4B, the frequency spectrum 412 of the audio data signal reproduced by the one audio output means 402 is shown. The X-axis in the graph of FIG. 4B is the frequency and the Y-axis is the sound pressure level (SPL). Accordingly, the graph of FIG. 4B indicates the spectrum 412 in which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one audio output means 402 appears. Therefore, the band that the one audio output means 402 can reproduce is the same as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420 shown in FIG. 4B. Next, referring to FIG. 5A, a mobile device 100 including a balanced amateur is shown,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B, the frequency spectra 210 and 212 of the audio data signal reproduced by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200 and 202 are shown. The X-axis of the graph of FIG. 5B is the frequency and the Y-axis is the negative pressure. Therefore, the graph of FIG. 5B indicates spectra 210 and 212 in which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is exhibited. 5B shows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510 reproduced by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512 reproduced by the balanced amateur. Therefore,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spectrum 210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200 and the frequency spectrum 212 of the balanced amateur 202 are combined and the frequency spectrum 214 appears.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mbined frequency spectrum 214,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wider than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420 of the mobile device including one audio output means of FIG. 4B. 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n which audio data signals are reproduced is widened by using a plurality of audio output means.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에 포함되고,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202)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주파수에 따른 필터링(filtering)을 행할 수 있다. 도 6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가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도 6a에서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frequency)에 따른 음압(SPL)을 나타내는 스펙트럼(6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6b에서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에서 사용되는 로 패스 필터(LPF, Low Pass Filter,620)에 대한 주파수 응답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는 도 6b에 도시된 로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200)에서 재생되는 고 음역 대역을 커팅(cutting)하고 저 음역 대역을 보존하는 필터링을 행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c에는 상기 로 패스 필터(620)에 의해 필터링된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630)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필터링 이전의 도 6a의 재생 주파수 대역(640)과 필터링 후의 도 6c의 재생 주파수 대역(650)을 비교해보면, 고 음역 대역이 커팅되어 있고 저 음역 대역이 보존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도 7a에서는 밸런스드 아마추어(202)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frequency)에 따른 음압(SPL)을 나타내는 스펙트럼(7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7b에서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에서 사용되는 하이 패스 필터(HPF, High Pass Filter,720)에 대한 주파수 응답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는 도 7b와 같이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밸런스드 아마추어(202)에서 재생되는 저 음역 대역을 커팅(cutting)하고 고 음역 대역을 보존하는 필터링을 행하여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c에는 상기 하이 패스 필터(720)에 의해 필터링된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730)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필터링 이전의 도 7a의 재생 주파수 대역(740)과 필터링 후의 도 7c의 재생 주파수 대역(750)을 비교해보면, 저 음역 대역이 커팅되어 있고 고 음역 대역이 보존된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 의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이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주파수 스펙트럼(630)과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주파수 스펙트럼(730)이 합쳐진 주파수 스펙트럼(800)이 나타나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되면 도 8과 같이 넓은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딥(dip)이 없이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복수의 오디오 출력 수단들에 대한 각각의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or 310 is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100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10 and uses at least one filter to convert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200, And adjusts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202).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filter may perform filtering according to a frequency. FIG. 6 is a diagram showing contents of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ection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FIG. 7 is a diagram showing contents of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ection adjusting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Referring to FIG. 6, a spectrum 610 representing a sound pressure SPL according to a frequency of an audio data signal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200 is shown in FIG. 6A. 6B shows a frequency response graph for a low pass filter (LPF) 620 used in the audio signal processor 3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audio signal processor 310 cuts the high-frequency band reproduced by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200 using the low-pass filter shown in FIG. 6B and performs filtering to preserve the low-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output means can be adjusted. Accordingly, FIG. 6C shows a spectrum 630 showing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audio data signal filtered by the low-pass filter 620. In this case, when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640 of FIG. 6A before filtering and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650 of FIG. 6C after filtering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t can be seen that the high frequency band is cut and the low frequency band is preserved. 7, a spectrum 710 representing the sound pressure SPL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balanced amateur 202 is shown. FIG. 7B shows a frequency response graph for a high pass filter (HPF) 720 used in the audio signal processor 310. FIG. At this time, the audio signal processor 310 cuts the low-frequency band reproduced by the balanced amateur 202 using the high-pass filter as shown in FIG. 7B, performs filtering to preserve the high-frequency band, The frequency band can be adjusted. Accordingly, FIG. 7C shows a spectrum 730 representing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audio data signal filtered by the high-pass filter 720. FIG. In this case, when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740 of FIG. 7A before filtering and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750 of FIG. 7C after filtering are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the low frequency band is cut and the high frequency band is preserved. 8, in FIG. 8, a frequency spectrum 630 of a first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whos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adjusted by an audio signal processor and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he frequency spectrum 800 of the balanced amateur frequency spectrum 730 is shown. Therefore, when the audio data signal is reproduced by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data signal can be reproduced without a dip in a wid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s shown in FIG. 8 . Therefore, the mobile device including the balanced amateu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audio data signal can be reproduced by adjusting each reproduction frequency band for a plurality of audio output means through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9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202) 이외에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는 제어부(11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오디오 출력 수단(200),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는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9,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300,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10, at least one audio output unit 200, and a balanced amateur 202, An over-frequency changing unit 90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crossover frequency changing unit 90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1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0. [ Here, the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300,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10, the audio output unit 200, and the balanced amateur unit 20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는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Crossover Frequency)를 변경한다. 도 10은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나타나 있는 도면이다. 도 10a에는,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10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1020)이 나타나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1010)과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1020)이 교차하는 지점의 주파수가 크로스오버 주파수(1030)이다.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시켜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b에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증가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1032)가 증가되면, 그에 따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1012)은 도 10a에 비하여 적용 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1022)은 도 10a에 비하여 적용 범위가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증가하게 되면, 예를 들면 도 10b의 경우에는 제1 필터인 로 패스 필터의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반대로 제2 필터인 하이 패스 필터의 적용 범위가 좁아져서,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조정 전인 도 10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로 패스 필터의 적용이 커져서 저음역 대역이 강조되어 필터링되므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저음역 대역이 강조되어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0c에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감소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1034)가 감소되면, 그에 따라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1014)은 도 10a에 비하여 적용 범위가 좁아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1024)은 도 10a에 비하여 적용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감소하게 되면, 예를 들면 도 10c의 경우에는 제1 필터인 로 패스 필터의 적용 범위가 좁아지고 반대로 제2 필터인 하이 패스 필터의 적용 범위가 넓어져서,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조정 전인 도 10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이 패스 필터의 적용이 커져서 고음역 대역이 강조되어 필터링되므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고음역 대역이 강조되어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변경을 통하여 강조되는 음역 대역을 변경하여 리시버를 재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변경은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에서 결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의 변경을 결정할 수도 있다. The crossover frequency changing unit 900 changes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first filter used for adjusting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second filter used for adjusting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Change the crossover frequency at which the frequency response intersects. 10 is a diagram showing a crossover frequency. 10A shows a frequency response 1010 of a first filter used for adjusting a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frequency response 1010 of a second filter used for adjustment of a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1020 < / RTI > The frequency at which the frequency response 1010 of the first filter and the frequency response 1020 of the second filter cross each other is the crossover frequency 1030. [ The crossover frequency changing unit 90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crossover frequency by changing the crossover frequency. FIG. 10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rossover frequency is increased. When the crossover frequency 1032 is increased, the frequency response 1012 of the first filter used for adjusting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s wider than that of FIG. 10A. Conversely, The frequency response 1022 of the second filter used for the regenerative frequency band adjustment of the balanced armature becomes narrower than that of FIG. 10A. Therefore, when the crossover frequency is increas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10B,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low-pass filter, which is the first filter, is widened and conversely,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high- The application of the low-pass filter is relative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10A, so that the low-frequency band is emphasized and filtered, so that the low-frequency band is emphasized in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and the audio data signal can be output to the user. Conversely, FIG. 10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rossover frequency is reduced. When the crossover frequency 1034 is decreased, the frequency response 1014 of the first filter used for adjusting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becomes narrower than that of FIG. 10A. Conversely, The frequency response 1024 of the second filter used for the regenerative frequency band adjustment of the balanced amateur is wider than that of FIG. 10A. Therefore, if the crossover frequency is reduc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10C,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low-pass filter, which is the first filter, becomes narrower a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high- The application of the high pass filter is relatively increase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is emphasized and filtered, so that the high frequency band is emphasized in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so that the audio data signal can be outputted to the user. 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ceiver can be reproduced by changing the frequency band emphasized through the change of the crossover frequency. The change of the crossover frequency may be determined by the crossover frequency changing unit 900, but may be changed by the user.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1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202) 이외에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 및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와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0)는 각각 제어부(11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30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200),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202)는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11,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300,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10, at least one audio output unit 200, and a balanced amateur 202, An output means usage determination unit 1100, and a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input unit 1110. The audio output means usage determination unit 1100 and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input unit 111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1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0. [ Here, the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300,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10, the at least one audio output unit 200, and the balanced amateur unit 20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각각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하거나 미사용하는 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미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서만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한 사용 여부 결정은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에서 결정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The audio output means usage determination unit 1100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The audio output means usage determination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and determine whether to use or not use the balanced audio output means. Therefore, when the audio output means use determination unit 110 determines to use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determines that the balanced amateur is not used, the audio data signal is reproduced only by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 The audio output means use determination unit 1100 may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audio output means, but may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audio output means.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0)는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는다.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1110)는 모바일 장치(100)의 입력 모듈(160)에 포함된 버튼(161), 키패트(166),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input unit 1110 receives an input for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And may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via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input unit 1110 to adjust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At this time,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input unit 1110 may receive the first audio output signal from the user using the button 161, the keypad 166, or the touch screen included in the input module 160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an input for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wide band)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와이드 밴드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including the balanced amateu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ide band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capable of a wide band voice call service in which a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supported have.

와이드 밴드 판단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wide band)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은 내로우 밴드(narrow band) 재생 주파수 대역보다 넓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재생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상기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은 50 내지 7000 Hz 이고, 상기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은 300 내지 3400 Hz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은 상기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통신 모듈(120 내지 132) 또는 GPS 모듈(155)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하거나 캐리어를 판단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음성 채널 정보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wide band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apparatus is capable of a wide band voice call service in which a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supported. The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has an audio data signal reproduction frequency band wider than the narrow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he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50 to 7000 Hz, and the narrow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300 to 3400 Hz. The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determined by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s 120 to 132 or the GPS module 155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it is a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제어부(110)는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도 11에서 설명된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모두 사용함으로 제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는 저음역 대역뿐만 아니라 고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이 지원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모두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wide band determination unit to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bile apparatus is capable of a wide band voice call service in which a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supported. For example, let us consider a case where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a dynamic receiver for reproducing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balanced amateur for reproducing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for reproducing the high frequency ban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audio output means usage determination unit 1100 described in FIG. 11 to use both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use both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because the reproduction in the high-frequency band as well as the low-frequency band is supported in the wide-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그리고 제어부(11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를 제어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에 대해서는 로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해서는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200)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202)이 도 12a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사용되는 로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사용되는 하이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20)이 도 12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사용되는 로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사용되는 하이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20)이 교차하는 지점의 주파수가 크로스오버 주파수(1230)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240)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250), 및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이 합쳐진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260)이 도 12c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를 제어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함으로써,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음역 대역 및 고음역 대역 모두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10 to adjust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using a low pass filter for the dynamic receiver as the first audio output unit and uses a high pass filter for the balanced amateur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can be adjusted. A spectrum 1200 representing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fo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a spectrum 1202 representing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for the balanced amatera are shown in FIG. 12A. And a frequency response 1210 for a low pass filter used fo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a frequency response 1220 for a high pass filter used for the balanced amateur are shown in FIG. 12B. Here, the frequency at which the frequency response 1210 for the low pass filter used fo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ntersects with the frequency response 1220 for the high pass filter used for the balanced armature is the crossover frequency 1230, Respectively. And a spectrum 1250 representing a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for the adjusted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1250. A spectrum 1250 representing a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for the adjusted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he spectrum 1260 representing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t which the two reproduction frequency bands are combined is shown in Fig. 12C. 12, when the mobile device is capable of providing a wideband voice call service in which a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supported,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audio signal processor 310 to generate a first audio output signal And the balanced amateur, the audio data signal can be reproduced for both the low-frequency band and the high-frequency band as shown in FIG. 12C and provided to the user.

그러나, 제어부(110)는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하지 않다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 또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중 어느 하나로 입력받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전체 재생 주파수 대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1100)로부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사용하고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미사용한다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고 상기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음역 대역이 좁게 지원되므로 상기 리시버 사용 판단부(1100)는 고음역 대역에 해당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인 밸런스드 아마츄어를 미사용한다는 정보를 제어부(110)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wide band determination unit to receive from the wide band determination uni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bile device is not capable of a wide band voice call service in which a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support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o output the entir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signal input through eithe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or the balanced amateur. For example, in the above case, the control unit 110 may receive information that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s used by the audio output means use determination unit 1100 and the balanced amateur is not used. Because the low-frequency band is relatively narrow in the low-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nd the narrow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n the region where the wide-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not supported, the receiver usage determination unit 1100 determines that the high- Since the controller 110 can transmi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balanced amateur is unused.

하지만, 제어부(110)는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와이드 밴드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지 않는 지역에 위치한다는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에도, 상기 리시버 사용 판단부(1100)로부터 밸런스드 아마츄어를 사용한다는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모바일 장치가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고음역 대역이 일정 영역 지원되기 때문이다. 이때 제어부(110)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를 제어하여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키면 상대적으로 고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이 풍부해지는데,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는 고음역 대역에 대한 지원이 좁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켜 고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에는 내로우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에서 다이나믹 리시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300)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302)이 도 13a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사용되는 로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3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사용되는 하이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320)이 도 12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사용되는 로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10)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사용되는 하이 패스 필터에 대한 주파수 응답(1220)이 교차하는 지점의 주파수가 크로스오버 주파수(1330)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1330)는 도 12b의 크로스오버 주파수(1230)에 비해서 감소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를 제어하여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켜 고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을 향상시킨 결과이다. 그리고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340),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에 대한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350), 및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이 합쳐진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1360)이 도 12c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로우 밴드 재생 영역에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다이나믹 리시버뿐만 아니라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모두 재생시키고 고음역 대역이 풍부하게 재생되도록 필터링하여, 하나의 다이나믹 리시버만 재생된 주파수에 따른 음압 스펙트럼(1370)에 비하여, 고음역 대역에서도 풍부한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재생을 출력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wide band determination unit to receive from the wide band determination uni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not supported, the receiver usage determination unit 1100) using a balanced amateur. This is because even if the mobile device exists in the low-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he high-frequency band is supported in a certain area.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crossover frequency changing unit 900 to reduce the crossover frequency. This is because, if the crossover frequency is reduced, the reproduction for the higher frequency band is enriched, and the support for the higher frequency band is narrow in the narrow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herefore, the controller 110 can improve the reproduction of the high frequency band by reducing the crossover frequency. FIG. 13 shows a case where a dynamic receiver and balanced amateur are simultaneously used in a low-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Referring to FIG. 13, a spectrum 1300 representing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fo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a spectrum 1302 representing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for the balanced armature are shown in FIG. 13A. And a frequency response 1310 for a low pass filter used in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a frequency response 1320 for a high pass filter used in the balanced amateur are shown in FIG. Here, the frequency at which the frequency response 1210 for the low pass filter used fo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ntersects with the frequency response 1220 for the high pass filter used for the balanced armature is the crossover frequency 133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crossover frequency 1330 is reduced compared to the crossover frequency 1230 of FIG. 12B. This is the result that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crossover frequency changing unit 900 to reduce the crossover frequency and improve the reproduction of the high frequency band. A spectrum 1340 representing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for the first regenerated frequency band that has been adjusted, a spectrum 1350 representing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for the regenerated second regenerative frequency band, The spectrum 1360 representing the sound pressur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t which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combined is shown in Fig. 12C. 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C, even when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in the narrow band reproduction region, both balanced receivers as well as dynamic receivers are reproduced, So that the reproduction of the rich audio data signal can be outputted even in the high frequency band as compared with the sound pressure spectrum 1370 according to the reproduced frequency of only one dynamic recei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주변 환경에 대한 소음을 판단하는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mbient nois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noise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e device.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는 모바일 장치의 주변 환경에 대한 소음을 판단한다. 상기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100)의 센서 모듈(170) 또는 입출력 모듈(160)에 포함된 마이크(162) 등을 사용하여 주변 환경의 소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는 상기 소음이 고음역 대역에 속하는지 저음역 대역에 속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의 주변 환경 소음이 미리 정해진 일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110)가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900)을 제어하여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가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때 상기 소음이 상기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로부터 저음역 대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켜 고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이 효과적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소음이 상기 주변 환경 소음 판단부로부터 고음역 대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증가시켜 저음역 대역에 대한 재생이 효과적인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를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소음이 저음역 대역에 속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310)을 제어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에 사용되는 제1 필터를 밴드 패스 필터(BPF, Band Pass Filter)로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최저음역 대역을 커팅하는 주파수 응답(1400)을 가지는 밴드 패스 필터를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에 사용하고,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저음역 대역의 소음이 발생하는 주변에서 효과적으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 The ambient nois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nois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obile device. The ambient noise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the nois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the sensor module 170 of the mobile device 100 or the microphone 162 included in the input and output module 160. [ The ambient noise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noise belongs to a high-frequency band or a low-frequency band. Accordingly, when the ambient noise of the mobile devic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from the ambient noise determining unit,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crossover frequency changing unit 900 to change the crossover frequency. For example, let us consider a case where a dynamic receiver and a balanced amateur are used as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belongs to the low-frequency band from the ambient noise determination unit, the controller 110 may reduce the crossover frequency and relatively reproduce the balanced amateur, which is effective for high- have. On the contrar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ise belongs to the high-frequency band from the ambient noise determination unit, the controller 110 increases the crossover frequency, and outputs the dynamic receiver, which is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s shown in Fig. When the noise belongs to the low frequency band,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audio signal processor 310 to filter the first filter used in the dynamic receiver, which is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nto a band pass filter (BPF) Filter). 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4, a bandpass filter having a frequency response 1400 for cutting the lowest frequency band is used for a dynamic receiver, which is a first audio output means, By using the high-pass filt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produce the audio data signal in the vicinity of the noise of the low-frequency ba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국가 또는 지역을 판단하는 지역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gion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country or an area where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지역 판단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국가를 판단한다. 상기 지역 판단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통신 모듈(120 내지 132)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연결된 기지국, 또는 캐리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위치하는 국가 또는 지역을 판단할 수 있다.The area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country where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The area determining unit may analyze the information on the base station or the carrier to which the mobile device is connected by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s 120 to 132 of the mobile device to determine the country or region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지역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100)가 위치한 국가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를 제어하여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시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가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때 상기 지역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가 미주 지역에 위치한다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10)가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미주 지역의 사용자는 고음역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선호한다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감소시켜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보다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지역 판단부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가 유럽 지역에 위치한다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10)가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유럽 지역의 사용자는 저음역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선호한다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증가시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인 다이나믹 리서버를 보다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country or region where the mobile device 100 is located, and may control the crossover frequency changing unit to change the crossover frequency. For example, let us consider a case where a dynamic receiver and a balanced amateur are used as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f the controller 11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in the Americas region,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Americas prefers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high frequency band The crossover frequency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criterion so that the balanced amateur can be reproduced more abundant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 mobile unit is located in the European region from the region determination unit,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European region prefers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low-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rossover frequency according to the criterion, thereby reproducing the dynamic server as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more abundant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에 따르면 상기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로부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입력을 받아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including the balanced amateu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over frequency can be changed by receiving the input for changing the crossover frequency from the regenera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input unit.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는 도 1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는다. 이때 상기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하는 조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하는 조정을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이 다이나믹 리시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가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도 15는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이 실행되는 과정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터치스크린(190)으로부터 사용자가 부드러운 소리를 원하는 경우 왼쪽(1510)으로, 또렷한 소리를 윈하는 경우 오른쪽(1520)으로 향하는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 받은 터치를 제어부(110)가 검출하여, 부드러운 소리에 해당하는 왼쪽 터치(1510)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가 크로스오버 주파수(1530)를 도 15b와 같이 증가(1545)시켜 저음역 대역에 해당하는 로 패스 필터의 주파수 응답(1540)을 확장시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 해당하는 다이나믹 리시버를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반대로, 또렷한 소리에 해당하는 오른쪽 터치(1520)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가 크로스오버 주파수(1530)를 도 15b와 같이 감소(1555)시켜 고음역 대역에 해당하는 하이 패스 필터의 주파수 응답(1550)을 확장시켜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풍부하게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소리에 대한 입력을 받아 복수의 오디오 출력 수단들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행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통화 상대방의 음색에 맞추어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들을 수 있고, 통화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음색을 조정하여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들을 수도 있다.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input receives an input for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as described in Fig. Wherein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first filter used for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second filter used for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of the balanced amateur are crossed from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input unit An adjustment to change the over frequency can be input. And the playback frequency band adjustment input may receive an adjustment to change the crossover frequency from the user using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let us consider a case where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uses a dynamic receiver and a balanced amateur. FIG. 1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djustment is performed. Referring to FIG. 15A, the user can input a touch from the touch screen 190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to the left 1510 when a soft sound is desired, and to a right 1520 when a clear sound is desired. When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touch input as described above and detects a left touch 1510 corresponding to a soft sound, the control unit 110 increases the crossover frequency 1530 as shown in FIG. 15B 1545) to expand the frequency response 1540 of the low-pass filter corresponding to the low-frequency band, thereby richly reproducing the dynamic receiv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On the contrary, when the right touch 1520 corresponding to a clear sound is detected, the controller 110 reduces (1555) the crossover frequency 1530 as shown in FIG. 15B to set the frequency of the high- The response 1550 can be expanded to play richly in a balanced amateur. 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receive an input of a desired sound and reproduce an audio data signal desired by the user using a plurality of audio output means. For example, when a user is making a call using a mobile device, the user can listen to a desired audio data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tone of the called party, and even when there is difficulty in making a call, .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1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1600 단계). Referring to FIG. 16, first,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of the mobile device and an audio data signal reproduced in a balanced amateur are received (Step 1600).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1610 단계).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주파수에 따른 필터링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대역에는 로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대역에는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일 수 있다.Next,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mobile device using at least one filter and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mobile device And adjusts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that reproduces the band (Step 1610).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filter can perform frequency-dependent filtering. For example,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djusted using the low pass filter in the first reproduction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djusted using the high pass filter in the second reproduction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 dynamic receiver for reproducing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balanced amateur for reproducing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 balanced amateur for reproducing the high frequency band.

다음으로,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1620 단계). 즉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Next,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s reproduced with the adjusted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nd the audio data signal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by reproducing the balanced amateur with the adjusted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Step 1620 ). That is,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s reproduced with the adjusted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nd the balanced amateur is reproduced with the adjusted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o output the audio dat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by reproducing the sound signal, to provide.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17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1700 단계). Referring to FIG. 17, first,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of the mobile device and an audio data signal reproduced from the balanced amateur are received (Step 1700).

다음으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한다(1710 단계).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주파수이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변경됨으로써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변화하게 된다.Next, the crossover frequency at which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first filter used to adjust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crosses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second filter used to adjust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is changed (1710 step). The crossover frequency is a frequency at which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first filter used to adjust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second filter used to adjust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intersect. Accordingly,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first filter and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second filter are changed by changing the crossover frequency.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1720 단계). 상기 1710 단계에서 변화된 제1 필터을 사용하여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변화된 제2 필터을 사용하여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오디오 출력 수단은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일 수 있다.Next,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mobile device using at least one filter and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mobile device And adjusts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that reproduces the band (step 1720).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may be adjusted using the first filter changed in step 1710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may be adjusted using the changed second filte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 dynamic receiver for reproducing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 balanced amateur for reproducing the high frequency band.

다음으로,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1730 단계). 즉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Next,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s reproduced with the adjusted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nd the audio data signal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by reproducing the balanced amateur with the adjusted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Step 1730 ). That is,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s reproduced with the adjusted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nd the balanced amateur is reproduced with the adjusted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o output the audio dat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by reproducing the sound signal, to provide.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18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1800 단계). Referring to FIG. 18, first,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of the mobile device and an audio data signal reproduced from the balanced amateur are received (Step 1800).

다음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1810 단계). 즉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각각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사용하거나 미사용하는 결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미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에서만 오디오 데이터 신호가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일 수 있다.Next, whethe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are used or not is determined (Step 1810). That is, whether to use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is determined and used or not used.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s used and the balanced amateur is determined to be unused, the audio data signal may be reproduced only by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provided to the use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 dynamic receiver for reproducing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balanced amateur for reproducing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 balanced amateur for reproducing the high frequency band.

다음으로, 사용함으로 결정된 각각의 오디오 출력 수단에 대해여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한다(1820 단계).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주파수에 따른 필터링을 행할 수 있다.Next, in step 1820,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adjusted using at least one filter for each audio output means determined to be used.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filter can perform frequency-dependent filtering.

다음으로, 조정된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함으로 결정된 각각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1830 단계). 즉 조정된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함으로 결정된 각각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켜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Next, in step 1830, each audio output means determined to be used in the adjuste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reproduced and the audio data signal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That is, each of the audio output means determined to be used in the adjuste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reproduced to reproduce the sound signal, thereby outputting the audio dat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and providing the audio data signal to the user.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1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1900 단계). Referring to FIG. 19, first,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of the mobile device and an audio data signal reproduced from the balanced amateur are received (Step 1900).

다음으로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는다(1910 단계). 이때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일 수 있다.Next, in operation 1910, an input for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is received. And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to adjust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 dynamic receiver for reproducing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balanced amateur for reproducing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 balanced amateur for reproducing the high frequency band.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1910 단계에서 입력받은 각각의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조정한다(1920 단계).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는 주파수에 따른 필터링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의 제1 재생대역에는 로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고,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대역에는 하이 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할 수 있다.Next,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mobile device using at least one filter and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mobile device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reproducing the band is adjusted to each of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s inputted in step 1910 (step 1920).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filter can perform frequency-dependent filtering. For example,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djusted using the low pass filter in the first reproduction band of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and the reproduction frequency band may be adjusted using the high pass filter in the second reproduction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다음으로,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1930 단계). 즉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을 재생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재생시켜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모바일 장치 외부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Next,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s reproduced with the adjusted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nd the audio data signal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by reproducing the balanced amateur with the adjusted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Step 1930 ). That is,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is reproduced with the adjusted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nd the balanced amateur is reproduced with the adjusted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o output the audio dat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by reproducing the sound signal, to provide.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20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2000 단계). Referring to FIG. 20, at first, at least one audio output means of the mobile device and an audio data signal reproduced from the balanced amateur are received (Step 2000).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wide band) 재생 주파수 대역이 지원되는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2002 단계). 이때,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은 내로우 밴드(narrow band) 재생 주파수 대역보다 넓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재생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통신 모듈 또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하거나 캐리어를 판단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에 대한 음성 채널 정보가 와이드 밴드 재생 주파수 대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capable of a wide band voice call service in which a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supported (step 2002). At this time, the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has an audio data signal reproduction frequency band wider than the narrow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channel information for the audio data signal is a wide ba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by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or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or GPS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하면,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두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2004 단계). 예를 들어,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제1 오디오 출력 수단은 저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다이나믹 리시버이고,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재생시키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고음역 대역을 재생시키는 경우를 살펴보자. 상기의 경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하면, 저음역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고음역 주파수 대역에 대한 재생이 모두 지원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모두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킴으로써 저음역 주파수 대역과 고음역 주파수 대역 모두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Next, if the mobile device is capable of providing a wideband voice call service, the controller 110 can reproduce the audio data signal through both the audio output means and the balanced amateur (Step 2004). For example, let us consider a case where the first audio output means for reproduc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a dynamic receiver for reproducing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balanced amateur for reproducing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is for reproducing the high frequency band. In this case, if a wideband voice communication service is available, not only a low frequency band but also a high frequency band can be support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0 can reproduce the audio data signal for both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by reproducing the audio data signal through both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balanced amateur.

그러나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불가능하면,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2006 단계). 상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저음역 주파수 대역과 고음역 주파수 대역 모두에 대하여 재생이 지원되지는 아니하므로, 상기 오디오 출력 수단과 밸런스드 아마추어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다.However, if the mobile device can not provide a wideband voice call service, the controller 110 can reproduce the audio data signal through either the audio output means or the balanced amateur (Step 2006). When the wideband voice call service is not possible, the audio data signal can be reproduced through either the audio output means or the balanced amateur, since reproduction is not supported for both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uch arbitrary software may be stored in a memory such as, for example, a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storage device such as ROM or the like, or a memory such as a RAM, a memory chip, a device or an integrated circuit, , Or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e.g., a computer), such as a CD, a DVD, a magnetic disk, or a magnetic tape, as well as being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or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ntroller and a memory and the memory may be read by a machine suitable for storing programs or programs containing instructions embody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is is an example of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used. Accordingly, the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comprising code for implementing the apparatus or method as claimed in any of the claims herein, and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such as a computer) for storing such a program. In addition, such a program may be electronically transported through any medium such as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via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ly includes the same.

또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may receive and store the program from a program providing devic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The program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and a memory for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program to the transceiver upon request or automatically by the mobile device.

100 : 모바일 장치
110 : 제어부
200 : 오디오 출력 수단
202 : 밸런스드 아마추어
300 : 오디오 데이터 신호 입력부
310 : 오디오 신호 처리부
900 : 크로스오버 주파수 변경부
1100 : 오디오 출력 수단 사용 판단부
1110 :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 입력부
100: mobile device
110:
200: audio output means
202: Balanced amateur
300: Audio data signal input unit
310: audio signal processor
900: Crossover frequency changing section
1100: audio output means use judgment unit
1110: Playback frequency band adjustment input unit

Claims (21)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나믹 리시버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와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전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모바일 장치.
In a mobile device,
A dynamic receiver for outputting a signal of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an audio data signal;
A balanced amateur for outputting a signal of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ata signal;
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using at least one filter,
Wherein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balanced armature are disposed side by side on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망의 음성통화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audio data signal using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서비스를 위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for the voice call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는 음성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dio data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a voice frequency ba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crossover frequency at which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first filter used for regenerating the regenerative frequency band of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second filter used for regenerating the regenerative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ry are chang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와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balanced amateu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receives an input for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와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와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Determining whether a wideband voice call service is available in the mobile device,
And outputting the audio data signal through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balanced amateur when the wideband voice call service is available and outputting the audio data signal through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balanced amateur when the wideband voice call service is not available, And outputs an audio data signal.
삭제delete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입력받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된 제1 재생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다이나믹 리시버로 출력시키고 조정된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밸런스드 아마추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와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전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Receiving an audio data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Adjusting a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input audio data signal and a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received audio data signal using at least one filter; And
Outputting the adjusted audio data signal of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o the dynamic receiver and outputting the audio data signal of the adjusted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to the balanced amateur,
Wherein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balanced amateur are disposed side by side on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이동통신망의 음성통화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the audio data signal comprises receiving the audio data signal using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서비스를 위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receiving a user's voice for the voice call ser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는 음성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udio data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a voice frequency band.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1 필터의 주파수 응답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재생 주파수 대역 조정에 사용되는 제2 필터의 주파수 응답이 교차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changing a crossover frequency at which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first filter used to regenerate the regenerative frequency band of the dynamic receiver crosses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second filter used to regenerate the regenerative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Wherein the mobile device is a mobil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와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에 대한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balanced amateu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의 상기 제1 재생 주파수 대역과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제2 재생 주파수 대역을 조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 input for adjusting the first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second reproduction frequency band of the balanced amateu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와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와이드 밴드 음성통화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다이나믹 리시버와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wideband voice call service is available in the mobile device,
And outputting the audio data signal through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balanced amateur when the wideband voice call service is available and outputting the audio data signal through the dynamic receiver and the balanced amateur when the wideband voice call service is not availabl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n audio data signal to the mobile device.
삭제delete 제11항 내지 제14항, 및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device including a balanced amateu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and 16 to 19.
KR1020120085340A 2012-08-03 2012-08-03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200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340A KR101920029B1 (en) 2012-08-03 2012-08-03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58667A JP2014033444A (en) 2012-08-03 2013-07-31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EP13178902.6A EP2693721B1 (en) 2012-08-03 2013-08-01 Audio output apparatus
PCT/KR2013/006966 WO2014021670A1 (en) 2012-08-03 2013-08-01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3211541A AU2013211541B2 (en) 2012-08-03 2013-08-02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102127553A TW201412141A (en) 2012-08-03 2013-08-02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336763.9A CN103581791B (en) 2012-08-03 2013-08-05 Mobil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US13/959,238 US9241215B2 (en) 2012-08-03 2013-08-05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984,777 US9525942B2 (en) 2012-08-03 2015-12-30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383,222 US10051368B2 (en) 2012-08-03 2016-12-19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340A KR101920029B1 (en) 2012-08-03 2012-08-03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038A KR20140018038A (en) 2014-02-12
KR101920029B1 true KR101920029B1 (en) 2018-11-19

Family

ID=4891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340A KR101920029B1 (en) 2012-08-03 2012-08-03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9241215B2 (en)
EP (1) EP2693721B1 (en)
JP (1) JP2014033444A (en)
KR (1) KR101920029B1 (en)
CN (1) CN103581791B (en)
AU (1) AU2013211541B2 (en)
TW (1) TW201412141A (en)
WO (1) WO201402167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1200A1 (en) 2000-11-01 2002-05-02 Chang William Ho Controller for device-to-device pervasive digital output
US11204729B2 (en) 2000-11-01 2021-12-21 Flexiworld Technologies, Inc. Internet based digital content services for pervasively providing protected digital content to smart devices based on having subscribed to the digital content service
US10915296B2 (en) 2000-11-01 2021-02-09 Flexiworld Technologies, Inc. Information apparatus that includes a touch sensitive screen interface for managing or replying to e-mails
US9965233B2 (en) 2000-11-20 2018-05-08 Flexiworld Technologies, Inc. Digital content services or stores over the internet that transmit or stream protected or encrypted digital content to connected devices and applications that access the digital content services or stores
US10860290B2 (en) 2000-11-01 2020-12-08 Flexiworld Technologies, Inc. Mobile information apparatuses that include a digital camera, a touch sensitive screen interface, support for voice activated command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or chipset supporting IEEE 802.11
US9836257B2 (en) 2001-01-19 2017-12-05 Flexiworld Technologies, Inc. Mobile information apparatus that includes intelligent wireless display, wireless direct display, or transfer of digital content for playing over air the digital content at smart televisions, television controllers, or audio output devices
JP5590111B2 (en) * 2012-12-26 2014-09-1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Frequency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device
CN105101039B (en) * 2015-08-31 2018-12-18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Stereo restoring method and device
US9949057B2 (en) * 2015-09-08 2018-04-17 Apple Inc. Stereo and filter control for multi-speaker device
EP3193514B1 (en) 2016-01-13 2019-07-24 VLSI Solution Oy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cross-over frequency of a loudspeaker
FR3054766B1 (en) * 2016-07-29 2019-07-12 Custom Art - Piotr Granicki IMPROVED BALANCED ARMATURE SPEAKER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0698A (en) * 2001-04-02 2002-10-11 Star Micronics Co Ltd Receiv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80063223A1 (en) * 2006-08-28 2008-03-13 Van Halteren Aart Z Multiple Receivers With A Common Spou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401A (en) * 1993-06-03 1994-12-22 Nec Corp Digital filter
US5893068A (en) * 1993-06-03 1999-04-06 Nec Corporation Method of expanding a frequency range of a digital audio signal without increasing a sampling rate
US6809635B1 (en) * 2001-03-30 2004-10-26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using a vibration motor as a loudspeaker and method of use thereof
JP3646939B1 (en) * 2002-09-19 2005-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Audio decoding apparatus and audio decoding method
JP2005006053A (en) * 2003-06-12 2005-01-06 Tadashi Masuda Woofer device and multi-way speaker device equipped with same
EP1499157A1 (en) * 2003-07-18 2005-01-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Speaker driving circuit and mobile terminal
EP1507438B1 (en) * 2003-07-31 2018-03-28 Panasonic Corporation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JP2005184040A (en) 2003-12-15 2005-07-07 Sony Corp Apparatus and system for audio signal reproducing
JP4368210B2 (en) * 2004-01-28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speaker-equipped device
WO2007112404A2 (en) 2006-03-27 2007-10-04 Knowles Electronics, Llc Electroacoustic transducer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076489A1 (en) * 2006-08-07 2008-03-27 Plantronics, Inc. Physically and electrically-separated, data-synchronized data sinks for wireless systems
JP4396683B2 (en) * 2006-10-02 2010-0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Speech coding apparatus, speech coding method, and program
KR100813272B1 (en) * 2006-12-20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bass enhancement using stereo speaker
KR101377135B1 (en) * 2007-01-02 201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nhancing Audio signal of low frequency and medium frequency and apparatus therefor
US8135163B2 (en) * 2007-08-30 2012-03-13 Klipsch Group, Inc. Balanced armature with acoustic low pass filter
EP2101512B1 (en) * 2008-03-12 2012-07-18 AKG Acoustics GmbH In-ear earphone with multiple transducers
ES2796552T3 (en) 2008-07-11 2020-11-27 Fraunhofer Ges Forschung Audio signal synthesizer and audio signal encoder
WO2010049867A1 (en) * 2008-10-28 2010-05-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audio speaker arrangement
JP5499469B2 (en) * 2008-12-16 2014-05-21 ソニー株式会社 Audio output device, video / audio reproduction device, and audio output method
JP5126145B2 (en) 2009-03-30 2013-01-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Bandwidth expans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and telephone terminal
KR20120027249A (en) * 2009-04-21 2012-03-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Driving of multi-channel speakers
JP5671929B2 (en) 2010-10-12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Earphone, acoustic converter
GB201021912D0 (en) * 2010-12-23 2011-02-02 Soundchip Sa Noise Reducing Earphone
US9167337B2 (en) * 2011-01-28 2015-10-20 Haebora Co., Ltd. Ear microphone and voltage control device for ear microphone
KR101802239B1 (en) * 2011-06-14 201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Speaker apparatus
US9247342B2 (en) * 2013-05-14 2016-01-26 James J. Croft, III Loudspeaker enclosure system with signal processor for enhanced perception of low frequency outp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0698A (en) * 2001-04-02 2002-10-11 Star Micronics Co Ltd Receiv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80063223A1 (en) * 2006-08-28 2008-03-13 Van Halteren Aart Z Multiple Receivers With A Common Sp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11541A1 (en) 2014-02-27
JP2014033444A (en) 2014-02-20
US20140038664A1 (en) 2014-02-06
WO2014021670A1 (en) 2014-02-06
AU2013211541B2 (en) 2017-07-06
US20170099543A1 (en) 2017-04-06
TW201412141A (en) 2014-03-16
EP2693721A2 (en) 2014-02-05
KR20140018038A (en) 2014-02-12
CN103581791B (en) 2019-02-19
US9241215B2 (en) 2016-01-19
US10051368B2 (en) 2018-08-14
US20160112798A1 (en) 2016-04-21
CN103581791A (en) 2014-02-12
EP2693721A3 (en) 2017-08-16
US9525942B2 (en) 2016-12-20
EP2693721B1 (en) 202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29B1 (en)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8290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021148B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sound effect
US201100267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olume in an electronic machine
CN110618805B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electric quantity of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JP2021505092A (en) Methods and devices for playing audio data
CN109524016B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150134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udness level determination
CN109353297B (en) Volume adjustment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955285B1 (en) Method for setting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peri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9360582B (en) Audio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360577B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rocessing audio
CN109448676B (en) Audio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8966026B (en)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video file
CN114040319B (e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optimizing playback quality of terminal equipment
CN106657621A (en) Sound signal adaptive adjustment device and sound signal adaptive adjustment method
KR20140089868A (en) Mobile apparatus providing hybrid-widg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91061B1 (en) Electronic device and audio playback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N106358135A (en) Stereo reducing method and device
CN105101039B (en) Stereo restoring method and device
KR102187009B1 (en) Tethering distribu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entral mediator
EP4254168A1 (en) Audio playing method, failure detection method for screen sound-produc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6657617A (en) Method for controlling playing of loudspeakers and mobile terminal
KR2016004139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136872A (en) Tethering distribu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entral medi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