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783B1 -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783B1
KR101919783B1 KR1020120027286A KR20120027286A KR101919783B1 KR 101919783 B1 KR101919783 B1 KR 101919783B1 KR 1020120027286 A KR1020120027286 A KR 1020120027286A KR 20120027286 A KR20120027286 A KR 20120027286A KR 101919783 B1 KR101919783 B1 KR 101919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indow
light
lay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125A (ko
Inventor
유인석
변휘섭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783B1/ko
Priority to US13/738,588 priority patent/US9392706B2/en
Priority to EP13000788.3A priority patent/EP2640041B1/en
Priority to CN201310054771.4A priority patent/CN103312839B/zh
Publication of KR2013010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 G01J1/045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having a throughhole enabling the optical element to fulfil an additional optical function, e.g. a mirror or grating having a through-hole for a light collecting or light injecting optical fib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04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with determina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1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2217/94102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ivation
    • H03K2217/94108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ivation making use of ref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되고 관통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관통창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 상기 케이스의 관통창을 커버하며 상기 광센서 상부에 위치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글래스, 및 상기 글래스의 내측에 적층되며, 상기 광센서의 상부에 미세홀이 형성된 윈도우층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광센서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전면 광센서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윈도우층의 개구부의 어두운 영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전면의 베젤영역에서 광센서를 위해 윈도우층을 개방함으로써 형성되는 어두운 영역부분을 최소화 함으로써 보다 일체감 있는 전면 디자인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 스마트폰이 보급화 되면서, 전면 전체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부 옆의 베젤영역에 카메라, 센서, 스피커 등을 위한 작은 개구부를 형성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전면의 베젤영역에서 광센서를 위해 윈도우층을 개방함으로써 형성되는 어두운 영역부분을 최소화 함으로써 보다 일체감 있는 전면 디자인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되고 관통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관통창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 상기 케이스의 관통창을 커버하며 상기 센서 상부에 위치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글래스, 및 상기 글래스의 내측에 적층되며, 상기 광센서의 상부에 미세홀이 형성된 윈도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센서는 주변의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부만 구비한 조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센서는 적외선을 출력하는 송신부와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출력 후 대상물에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한 근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윈도우층의 미세홀은 상기 수신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윈도우층은 상기 송신부의 상부에 형성된 IR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광센서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전면 광센서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윈도우층의 개구부의 어두운 영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체형 전면 디자인에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외관을 갖은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후면의 후면커버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센서와 윈도우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센서와 윈도우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광센서와 윈도우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이동 단말기의 광센서와 윈도우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센서와 윈도우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센서와 윈도우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비교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및 조도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한다.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170), 마이크(122), 음향출력부(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메모리카드 장착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력소모가 큰점을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191)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교체형의 경우 사용자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배터리 장착부(104)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M카드 장착부(105)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06)는 배터리 장착부(104)의 옆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터리 장착부(104)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배터리(191)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로부터 분리하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장착부(104)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어 배터리(191)의 대형화가 가능하다.
도 4에는 USIM카드 장착부(104)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06)는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 실장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측면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삽입 분리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 커버(103)는 상기 리어케이스의 표면을 커버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된 배터리(191), USIM카드, 메모리카드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상기 외장부품을 보호한다. 최근에는 방수기능을 부가하여, 상기 외장부품에 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배터리 커버(103)를 결합시 밀폐되도록 하는 방수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센서(142)가 위치한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광센서(142), 글래스(210), 윈도우층(22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되고 관통창이 형성된 케이스(101, 102), 상기 관통창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케이스(101, 102) 내부에 배치되는 광센서(142), 상기 케이스(101, 102)의 관통창을 커버하며 상기 광센서(142) 상부에 위치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글래스(210) 및 상기 글래스(210)의 내측에 적층되며, 상기 광센서(142)의 상부에 미세홀(224)이 형성된 윈도우층(220)을 포함한다.
케이스(101, 102)는 전자부품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는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배면을 커버하는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 102)는 케이스(101, 102) 내부의 전자부품으로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기 위해 소정의 관통창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관통창은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형성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부(132, 133), 음향 출력 모듈(152),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70) 등을 위한 관통창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관통창은 광센서(142)가 실장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관통창으로서, 프론트 케이스(101)에 형성될 수도 있고 리어 케이스(102)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01)에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케이스(101, 102)는 광센서(142)만을 위한 독립적인 관통창을 구비할 수도 있고, 최근 전면 일체형의 디자인 추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커다란 관통창에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여 전면에 배치되는 음향출력모듈(152), 사용자 입력부(131), 카메라 모듈(121) 및 광센서(142) 등을 모두 배치할 수 있다.
광센서(142)는 빛을 감지하여 이를 다시 처리가 용이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검지하는 소자를 의미하며, 여기서 빛은 적외선, 가시광선 등과 같이 파장을 갖은 전자기파를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에 이용되는 광센서(142)의 예로 조도센서와 근접센서 등이 있으며, 본 실시 에서는 광수신부(1421)만을 구비한 조도센서를 광센서(142)로 이용한다.
조도센서(142)는 광 수신부만을 구비한 것으로 주변의 광을 수신하여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주변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제어와 관련성이 많아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시킬 수 있다.
글래스(210)는 케이스(101, 102)에 형성된 관통창에 체결되어 상기 광센서(142)의 상부를 커버한다. 상기 관통창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142)를 포함해 디스플레이부, 음향출력 모듈 등이 함께 배치되는 관통창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 음향출력 모듈 등을 상기 글래스(210)가 모두 커버한다.
윈도우층(220)은 글래스(210) 하부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부(151), 카메라 모듈(121) 및 광센서(142) 등의 배치에 따라 전면의 영역을 분할하고, 전자부품을 노출시키기 않기 위해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검은색 윈도우층(220)이 가장 많이 이용되나,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기 위해 흰색이나 핑크색 등 밝은 색상의 윈도우층(220)이 등장하고 있다.
흰색과 같은 밝은 색상의 윈도우층(220)은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글래스(210)에 가장 인접한 부분에 형성하는 제1 레이어(221)와 상기 제1 레이어(221) 하부에 디스플레이부(151) 이외의 영역에서 빛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어두운 색상의 제2 레이어(222)로 구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종래의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윈도우층(10)은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광센서(20)가 위치하는 부분에 개구부(18)를 형성한다.
상기 윈도우층의 개구부를 통해 보이는 광센서(20)는 내측으로 함몰되어있어 사용자의 눈에는 어둡게 보인다 검은색의 윈도우층인 경우 상기 개구부는 전체 외관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으나, 흰색과 같이 밝은 색의 윈도우층(15)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개구부(18)를 통해 보이는 어두운 영역은 윈도우층(15)과 구분이 명확해 전면 외관의 일체감을 저해한다.
이에 본 발명의 윈도우층(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큰 사이즈의 개구부 대신에 복수개의 미세홀(224)을 구비한다. 상기 미세홀(224)은 윈도우층(220)에 형성된 지름 0.1mm이하의 작은 사이즈의 홀로, 그 크기가 작을 수록 사용자는 미세홀(22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유사하게 인식하게 되어 전면 디자인에 일체감을 줄 수 있다.
미세홀(224)은 종래의 윈도우층(220) 개구부보다 빛이 통과하는 양은 적어질 수 있으나, 광센서(142)의 감도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높이면, 적은 빛의 양으로도 충분히 광센서(142)가 작동 가능하므로, 이동 단말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0.05mm 이하 0.03mm 이상의 범위의 미세홀(224)을 형성할 수 있다. 0.03mm미만로 작아지는 경우 광센서(142)가 빛을 센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0.03mm 이상으로 형성하고, 시각적으로 미세홀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사용자가 쉽게 구분하지 못할 정도의 작은 사이즈의 미세홀(224)을 위해 0.05mm이하의 사이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미세홀(224) 간의 간격은 넓을 수록 윈도우층(220)에 형성하는 미세홀(224)의 전체 면적이 작아지므로 미세홀(224) 간의 간격이 넓은 것이 외관의 고급화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다. 다만, 그 간격이 너무 넓으면 광수신율이 떨어지므로, 광수신율을 저해하지 않을 수준에서 미세홀(224)간의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적으로는 미세홀(224)의 지름의 2배 정도, 0.05mm 이상 0.1mm 이하의 간격으로 형성 할 때 광수신율을 확보하면서 전면 외관의 일체감을 줄 수 있다.
상기 미세홀(224)은 윈도우층(220)을 상기 글래스(210)에 인쇄하여 적층한 후에 레이저 가공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의 세기를 조절하여 글래스(210)는 손상없이 윈도우층(220)만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광센서(142)를 위한 개구부 대신에 빛의 파장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미세홀(224)로 대체하여 광센서(142)의 기능을 해치지 않고도 외관상 통일감을 주어 외관의 고급화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광센서(141)부를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에 이용된 광센서(141)는 상기 광센서(141)는 적외선을 출력하는 광송신부(1411)와 상기 광송신부(1411)로부터 출력 후 대상물(1)에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하는 광수신부(1412)를 구비한 근접센서이다.
근접센서(141)는 사물의 접근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로서, 최근에 터치스크린에서 더 나아가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기술로 이동 단말기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근접센서(141)도 디스플레이부의 제어와 관련성이 많아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광송신부(1411)에서 빛(주로 근적외선)을 출력하고, 대상체에 반사되어 다시 광수신부(1412)로 입사된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근접여부를 판단한다. 즉, 근접센서(141)는 광송신부(1411)와 광수신부(1412)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구성된다.
상기 광수신부(1412)는 상술한 조도센서에서와 같이 미세홀(224)을 이용하더라도 그 기능에 큰 영향이 미치지 않으나, 광송신부(1411)는 미세홀(224)을 이용하면, 오작동이 일어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도면으로, 광수신부(1412)와 광송신부(1411)를 구비한 근접센서(141) 상부에 미세홀(224)이 형성된 윈도우층(225)이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광송신부(1411)는 빛(대표적인 예로 근적외선)이 송신부로부터 사출되면, 일부 빛은 상기 미세홀(224)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윈도우층(225)에 부딪치는 빛은 인접한 광수신부(1412)로 반사될 수 있다. 이 경우 근접센서(141)는 항상 사물이 근접해 있는 것으로 감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9과 같이 광수신부(1412) 상부의 윈도우층(225)에는 미세홀(224)을 형성하고, 광송신부(1411) 상부의 윈도우층(225)에는 상기 광송신부(1411)의 빛이 사출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영영에 IR홀(228)(infrared rays hole)을 형성한다.
IR홀(228)은 광송신부(1411)(예를 들면 적외선 LED)로 부터 빛이 사출되는 부분만 윈도우층(225)을 제거하면 되는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종래에 전체 광센서의 상부 윈도우층을 제거한 개구부(18) 보다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상기 IR홀(228)을 통해 내부의 광센서(141) 부품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으므로, IR홀(228)에 대응하는 부분의 글래스(210)에 가시광선 차단 잉크를 도포하여 내부의 광센서(141) 부품이 보이지 않고 검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수신부(1412)에 대응하는 윈도우층(225)에 미세홀(224)을 형성하고 광송신부(1411)에 대응하는 윈도우층(225)은 종래의 개구부보다 작은 사이즈의 IR홀(228)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광센서를 위해 윈도우층(15)에 형성한 큰 사이즈의 어두운 개구부(18)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종래의 디자인에 비해 전면의 디자인에 일체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케이스
210: 글래스 220, 225: 윈도우층
224: 미세홀 228: IR홀
140, 141: 광센서

Claims (9)

  1.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되고 관통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관통창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적외선을 출력하는 광송신부와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출력 후 대상물에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하는 광수신부를 구비하는 광센서;
    상기 케이스의 관통창을 커버하며 상기 광센서 상부에 위치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글래스; 및
    상기 글래스의 내측에 적층되는 불투명한 윈도우층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층은 상기 광수신부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미세홀 및 상기 광송신부에 형성되며 상기 미세홀의 크기보다 더 큰 IR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주변의 광을 감지하는 광수신부만 구비한 조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홀에 대응하는 글래스에 가시광선 차단 잉크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층은,
    상기 윈도우층의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제1 레이어와,
    상기 제1 레이어 하부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로부터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제2 레이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층은 흰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은,
    상기 글래스에 상기 윈도우층의 인쇄 후에 레이저 가공방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의 지름은 0.03mm 이상 0.0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홀 간의 간격은 0.05mm 이상 0.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027286A 2012-03-16 2012-03-16 이동단말기 KR101919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86A KR101919783B1 (ko) 2012-03-16 2012-03-16 이동단말기
US13/738,588 US9392706B2 (en) 2012-03-16 2013-01-10 Mobile terminal
EP13000788.3A EP2640041B1 (en) 2012-03-16 2013-02-15 Mobile terminal with optical sensor
CN201310054771.4A CN103312839B (zh) 2012-03-16 2013-02-20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86A KR101919783B1 (ko) 2012-03-16 2012-03-16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125A KR20130105125A (ko) 2013-09-25
KR101919783B1 true KR101919783B1 (ko) 2018-11-19

Family

ID=4789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286A KR101919783B1 (ko) 2012-03-16 2012-03-16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92706B2 (ko)
EP (1) EP2640041B1 (ko)
KR (1) KR101919783B1 (ko)
CN (1) CN1033128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780A (ko) * 2013-12-02 201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R3019290A1 (fr) * 2014-03-31 2015-10-02 Netatmo Dosimetre portatif comportant une pluralite d'orifices
WO2015101756A1 (fr) * 2014-01-02 2015-07-09 Netatmo Dosimetre portatif comportant une pluralite d'orifices
FR3016033B1 (fr) * 2014-01-02 2016-01-15 Netatmo Dosimetre comportant une pluralite de micro-orifices
KR20150102513A (ko) * 2014-02-28 201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커버 부착 상태 확인 방법
CN204119279U (zh) * 2014-06-18 2015-01-21 锤子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102209513B1 (ko) * 2014-07-01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9453976B2 (en) * 2014-09-30 2016-09-27 Apple Inc. Optical connector
DE102014017281A1 (de) * 2014-11-21 2016-05-25 e.solutions GmbH Optische Detek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selben
CN104589742A (zh) * 2014-12-26 2015-05-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提高光透过率精度的装置和光检测方法
EP3104190B1 (en) 2015-06-08 2024-04-17 ams AG Optical sensor arrangement
US10102789B2 (en) 2015-10-30 2018-10-16 Essential Products, Inc. Mobile device with display overlaid with at least a light sensor
US9870024B2 (en) 2015-10-30 2018-01-16 Essential Products, Inc. Camera integrated into a display
US9754526B2 (en) 2015-10-30 2017-09-05 Essential Products, Inc. Mobile device with display overlaid with at least a light sensor
US9767728B2 (en) 2015-10-30 2017-09-19 Essential Products, Inc. Light sensor beneath a dual-mode display
US9823694B2 (en) 2015-10-30 2017-11-21 Essential Products, Inc. Camera integrated into a display
US9864400B2 (en) * 2015-10-30 2018-01-09 Essential Products, Inc. Camera integrated into a display
US10331260B2 (en) 2015-10-30 2019-06-25 Essential Products, Inc. Variable transparency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9843736B2 (en) 2016-02-26 2017-12-12 Essential Products, Inc. Image capture with a camera integrated display
KR102536146B1 (ko) * 2016-04-07 202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503145B2 (en) 2016-05-27 2022-11-15 Analog Devices, Inc. Smartphone companion device material sensing and improved phone performance
KR102516344B1 (ko) * 2016-06-21 202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19231B1 (en) 2016-09-22 2022-08-16 Apple Inc. Forming glass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US11535551B2 (en) 2016-09-23 2022-12-27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800141B2 (en) 2016-09-23 2020-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glass component with crack hindering internal stress regions
US11565506B2 (en) 2016-09-23 2023-01-31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870261B2 (en) * 2016-11-04 2020-12-22 Apple Inc. Structured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386132B1 (ko) * 2017-03-30 2022-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JP6934369B2 (ja) * 2017-08-30 2021-09-15 太陽誘電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CN108357206B (zh) * 2018-01-30 2024-02-13 苏州德龙激光股份有限公司 玻璃盖板油墨层开孔的方法
CN108469300B (zh) * 2018-03-14 2021-01-2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环境感光孔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CN108769297A (zh) * 2018-03-28 2018-11-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CN108600430A (zh) * 2018-03-30 2018-09-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CN110365817B (zh) * 2018-04-10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和移动终端
CN110839324B (zh) * 2018-08-15 2021-08-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设备
US11420900B2 (en) 2018-09-26 2022-08-23 Apple Inc. Localized control of bulk material properties
KR20210002171A (ko) * 2019-06-26 2021-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80010B2 (en) 2019-07-09 2023-06-20 Apple Inc. Evaluation of transparent components for electronic devices
KR20210029017A (ko) * 2019-09-05 202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193822B (zh) * 2020-03-19 2021-06-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US11460892B2 (en) * 2020-03-28 2022-10-04 Apple Inc. Glass cover member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CN113453458B (zh) 2020-03-28 2023-01-31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壳体的玻璃覆盖构件
US11666273B2 (en) 2020-05-20 2023-06-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including a glass ceramic region
KR20220019898A (ko) * 2020-08-10 2022-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22140541A1 (en) 2020-12-23 2022-06-30 Apple Inc. Laser-based cutting of transparent components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220100190A (ko) * 2021-01-08 2022-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을 덮는 글래스기판 상에 개구 형성을 위해 인쇄되는 잉크층을 가지는 전자장치
KR20230102701A (ko) * 2021-12-30 202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UDC(under display camera)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4101A1 (en) * 2006-05-25 2007-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llumination sens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1268A (en) * 1996-11-25 1998-11-03 Morita; Yoshimitsu Sensing device for reflective clear material using infrared LED
JP2001086215A (ja) 1999-09-14 2001-03-30 Pioneer Electronic Corp 電話機
US7714265B2 (en) 2005-09-30 2010-05-11 Apple Inc.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light sensor
US8031174B2 (en) 2007-01-03 2011-10-04 Apple Inc. Multi-touch surface stackup arrangement
KR20100081052A (ko)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센서를 이용한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731618B2 (en) * 2009-04-23 2014-05-20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22632B1 (ko) 2009-08-26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996082B2 (en) 2010-11-19 2015-03-31 Apple Inc. Proximity sensor arrangement having a cold mirror in a mobile device
US8912480B2 (en) 2011-08-31 2014-12-16 Apple Inc. Light sensor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4101A1 (en) * 2006-05-25 2007-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llumination sens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125A (ko) 2013-09-25
CN103312839B (zh) 2016-05-11
CN103312839A (zh) 2013-09-18
EP2640041A1 (en) 2013-09-18
US20130242479A1 (en) 2013-09-19
EP2640041B1 (en) 2014-08-06
US9392706B2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783B1 (ko) 이동단말기
KR20100046594A (ko) 휴대 단말기
KR10196030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02302B1 (ko) 이동 단말기
KR101772074B1 (ko) 이동 단말기
KR101949733B1 (ko) 이동단말기
KR20130094613A (ko) 이동 단말기
KR20130104765A (ko) 이동단말기
KR20150059470A (ko) 이동 단말기
KR10161494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센서의 오작동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919781B1 (ko) 이동단말기
KR1015619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09605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26419A (ko) 이동단말기
KR20140076790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91588A (ko) 이동 단말기
KR101962127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919785B1 (ko) 이동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61931A (ko) 이동단말기
KR20130139592A (ko) 이동단말기
KR20130091185A (ko) 이동 단말기
KR101613954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129608A (ko) 이동단말기
KR101975339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