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570B1 -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 Google Patents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570B1
KR101919570B1 KR1020170050509A KR20170050509A KR101919570B1 KR 101919570 B1 KR101919570 B1 KR 101919570B1 KR 1020170050509 A KR1020170050509 A KR 1020170050509A KR 20170050509 A KR20170050509 A KR 20170050509A KR 101919570 B1 KR101919570 B1 KR 10191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exchange
exchange membrane
support
membra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7418A (en
Inventor
조근도
김희우
이덕연
이동익
임기환
박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웰
Priority to KR102017005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570B1/en
Publication of KR2018011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4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5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25B9/10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25B9/23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comprising ion-exchange membranes in or on which electrode material is embedd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는 양극 전극, 양극 전극과 접하는 제1 면 및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제2 면에 접하고, 양극 전극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이 밀착되도록 이온 교환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지지체, 이온 교환 멤브레인과의 사이에 지지체를 두고,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제2 면에 비접촉적으로 대향하는 음극 전극을 포함하고, 지지체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제2 면의 일부와 음극 전극 사이에 이격 공간을 제공하는 개방부를 포함하도록 성형된다.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n 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n anode electrode,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and a second surface opposing the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ion exchange membrane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a cathode electrode which has a support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first fac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an opening that provides a spacing space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a portion of the cathode electrode.

Description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수소수 제조 장치{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a hydroge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소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a small water 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물에 용해된 수소 분자는 강력한 환원력을 가지고 있어서 물 속의 활성 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카니즘은 물 분자만 생성할 뿐이어서 다른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다. 한편, 세포 내에서 대사 과정 중에 생기는 활성 산소가 단백질이나 유전자의 변성을 초래하고 노화에 기여한다는 점도 널리 알려져 있는데, 만약 수소 분자가 풍부하게 용해된 물, 즉 수소풍부수 내지 수소수를 이용하여 세포 내에 활성 산소를 제거할 수 있다면 세포를 좀더 오래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학계에서는 물에 다량 용해된 수소 분자가 세포 내에서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알레르기 감소, 대사 촉진 등의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Hydrogen molecules dissolved in water have strong reducing power, which can remove active oxygen in water. This mechanism produces only water molecules, so no other by-products are produced. On the other hand, it is widely known that active oxygen generated during metabolism in a cell causes denaturation of proteins or genes and contributes to aging. If hydrogen molecules are abundantly dissolved in water, that is, hydrogen-rich water or water- If you can remove the active oxygen in your body, you will be able to keep your cells healthy longer. In the academic world, there have been various reports that hydrogen molecules dissolved in water have effects such as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llergy reduction and metabolism in cells.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용존 수소 농도는 이론적으로 최대 약 1.6 ppm 정도까지 이를 수 있지만, 아무런 수소 강화 처리를 하지 않은 보통의 수돗물이나 생수에서는 0.1 ppm 이하의 농도를 보인다. 이렇듯 자연적으로는 담수나 수돗물 속의 용존 수소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용존 수소 농도를 인위적으로 강화하여 수소수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 at room temperature can reach up to about 1.6 ppm theoretically, but it is less than 0.1 ppm in ordinary tap water or mineral water without any hydrogenation treatment. In this way,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hydrogen in fresh water and tap water is very low, so several methods have been used to artificially strengthen the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 to produce hydrogen peroxid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소 발생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수소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using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hydrogen generation performance and efficiency.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는 양극 전극, 상기 양극 전극과 접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에 접하고,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이 밀착되도록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체를 두고,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에 비접촉적으로 대향하는 음극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의 일부와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이격 공간을 제공하는 개방부를 포함하도록 성형된다.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n 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n anode electrode,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ion exchange membrane such that the anode electrode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are in intimat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upport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second fac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support is shaped to include an opening that provides a spaced space between a portion of the second sid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cathode electr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간격을 제공하는 갭퍼(gapp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극 전극은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제1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gapper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cathode electrode to provide a first spacing, wherein the cathode electrode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by the first spacing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 또는 상기 제1 간격은 1 cm 이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 또는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이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 화학적 상태인 동안에도,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과 상기 음극 전극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확보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이 상기 이온을 전달하지 못하는 전기 화학적 상태인 동안에,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 중에서 상기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음극 전극과 비접촉적으로 대향하는 제1 면적은,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 중에서 상기 지지체에 직접 접촉하는 제2 면적에 비해 클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or the first spacing may be within 1 cm. 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r the first spacing of the support is determined such that a spacing gap is secured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cathode electrode, even while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in an electrochemical state capable of transporting ions . In one embodiment, while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in an electrochemical state in which it can not transfer the ions, a first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which is in contactless contact with the cathode electrode, The area may be greater than a second area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ppo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갭퍼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 및 상기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이격 공간으로 흐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 및 상기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이격 공간으로 흐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apper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is discharged, an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can flow into the spaced space.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is discharged, and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can flow into the spaced sp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 또는 메탈라스 방식으로 형성된 망형 구조를 갖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 금속,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상기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의 침수로 인해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이 팽윤된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극 전극은 백금 소재 또는 백금 코팅된 전도성 소재이고, 상기 음극 전극은 백금 소재, 백금 코팅된 전도성 소재, 또는 티타늄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 또는 메탈라스 방식으로 형성된 망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has a porous structure formed by a punching method or a mesh-like structure formed in a metal-lathing manner, and the support is made of a metal, ceramic, or metal having rigidity capable of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ion- It can be made of plastic material. 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ay be greater than the swollen thicknes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due to submersion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 one embodiment, the anode electrode is a platinum or platinum coated conductive material, and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a platinum material, a platinum coated conductive material, or a titanium material.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may have a porous structure formed by a punching method or a meshed structure formed in a metal lath method.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의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 사이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 전극에서 발생하는 수소가, 물의 유동에 따라 상기 물에 희석됨으로써 수소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소수 제조 장치는 상기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물이 수용된 저수 공간에서 상기 물의 유동을 강제적으로 일으키는 유동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rive circuit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 Hydrogen generated in the cathode electrode can be diluted with the water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thereby producing hydrogenated water. In one embodiment,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low gen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cibly causing the water to flow in a water storage space in which the water is accommodat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수소수 제조 장치는 수소 발생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는 음극 표면에서 생성된 수소가 생성 직후 다른 구조물의 방해 없이 확산될 수 있고, 물이 바로 전극 주위를 채워 수소 기체막 형성에 의한 전기 분해 효율의 저하 없이 전기 분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ydrogen water 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an improve hydrogen production performance and efficiency. Specifically,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ffuse the generated hydrogen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structures immediately after the formation of the hydrogen, So that electrolysis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deterioration.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는, 종래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가 전극들 사이에 멤브레인을 놓고 섭씨 140도 이상의 고열과 50기압 정도의 압력을 가하며 밀착시켜 제조되는 것과 달리, 멤브레인과 전극들을 단순히 기계적으로 밀착시키는 체결 구조로도 제조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membrane is placed between electrodes and a high temperature of 140 ° C or more and a pressure of about 50 atmospheres are applied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가 건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가 수용액에 침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가 건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가 수용액에 침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가 건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가 수용액에 침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퍼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갭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를 이용한 수소수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 a dried 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 a dri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ate in which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n exploded view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of FIG.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n a dried stat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p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pper of Fig.
1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us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or reduced from the actual dimension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of FIG.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는 양극 전극(11), 이온 교환 멤브레인(12), 지지체(13) 및 음극 전극(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은 건조한 상태에서는 평판 필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는, 측면을 통해 액체나 기체가 유입 내지 유출되지 않도록 이온 교환 멤브레인(12)과 지지체(13) 사이, 또는 지지체(13)과 음극 전극(14) 사이를 밀폐하는 개스킷, 또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의 측면을 폐쇄하면서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팽윤 또는 수축 시에도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ogether,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may include an anode electrode 11, an ion exchange membrane 12, a support 13, and a cathode electrode 14.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may be in the form of a flat film in the dry state. Although not shown, 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support 13, or between the support 13 and the membrane 13, A gasket sealing the gap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s 14 or a housing capable of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even when swelling or contraction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while closing the side surfac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하우징은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의 측면 중에서, 특히 지지체(13)와 음극 전극(14)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외부로부터 물을 주입하는 입수구와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에 의해, 지지체(13)와 음극 전극(14)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물의 흐름은 입수구에서 배출구로 향하는 특정한 경로 내지 방향을 갖도록 통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uch a housing is provided with a water inlet for inject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a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from the sid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in particular at a portion between the support 13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Outlet. With this housing, the flow of water in the spaced-apart space between the support 13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can be controlled to have a specific path or direction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양극 전극(11)은 양극 전극(11)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12) 사이에서, 즉 양극 전극(11)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의 경계면에서, 소위 산소 발생 반응(Oxygen Evolution Reaction)을 일으키는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산소 발생 반응은 다음과 같다.The positive electrode 11 is form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11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that is, the interfac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11 and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Oxygen Evolution Reaction). The oxygen generation reaction is as follows.

2H2O(l) → 4H+(aq) + O2(g) + 4e- 2H 2 O (1)? 4H + (aq) + O 2 (g) + 4e -

일 실시예에서, 양극 전극(11)은, 예를 들어, 백금 소재 또는 백금 코팅된 전도성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양극 전극(11)은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에 접하는 면만, 예를 들어, 백금 코팅된 전도성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양극 전극(11)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12) 사이에, 예를 들어, 백금 소재의 촉매층(catalyst layer)이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백금 소재 촉매층은 양극 전극(11)의 일부일 수도 있고,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일부일 수 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ode electrode 11 may be embodied, for example, of a platinum or platinum coated conductive material. In another embodiment, the anode electrode 11 may be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that is platinum-coated, for example, only on the sid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n another embodiment, a catalyst layer of, for example, platinum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 At this time, the platinum catalyst layer may be a part of the anode electrode 11 or a part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양극 전극(11)은 용매인 물이 양극 전극(11)을 통과하여 양극 전극(11)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또는 발생한 산소 가스가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에서 양극 전극(11)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가스 확산성 소재, 투과성 소재, 또는 다수의 공극이나 통공을 가진 다공성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양극 전극(11)은 메시(mesh) 구조 또는 메탈라스(metal lath)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anode electrode 11 is formed so that water as a solvent passes through the anode electrode 11 and can easily reach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For example, a gas diffusion material, a permeable material, or a porous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voids or through holes so as to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exchange membrane 12 through the anode electrode 11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node electrode 11 may be implemented as a mesh structure or a metal lath structure.

한편, 양극 전극(11)은 산소 발생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소 이온(H+)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을 통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 내부로 잘 주입되도록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에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양극 전극(11)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 사이의 밀착 결합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node electrode 11, the hydrogen ion (H + ) generated by the oxygen generating reaction is ion-exchanged to be well injected into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through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membrane 12.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 실시예에서, 양극 전극(11)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 사이의 밀착 결합은, 양극 전극(11)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 사이가 박리되지 않을 정도의 체결 강도를 보장하는 물리적 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 전극(11)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 사이의 밀착 결합은,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을 사이에 둔 양극 전극(11)과 지지체(13)의 기구적 체결 또는 양극 전극(11)과 음극 전극(14)의 기구적 체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s establish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Can be achieved by physical bonding which ensures a sufficient fastening strength that does not peel off. For example, the positive electrode 11 and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ositive electrode 11 and the support 13, which have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therebetween, Or by mechanical fastening of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일 실시예에서, 양극 전극(11)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 사이의 밀착 결합은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를 내부에 고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강체(rigid)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극 전극(11)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1 면(121) 사이의 밀착 결합은 열압착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may be achieved by a separate rigid structure that is capable of fixedly mounting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therein. Can be achieved by a housing. In one embodiment,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first surface 121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can also be achiev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은, 예를 들어,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Polymer Electrolyte Membrane)일 수 있고, 양극 전극(11)과 음극 전극(14) 사이에, 좀더 구체적으로는 양극 전극(11)과 지지체(13) 사이에 개재한다.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은 제1 면(121)과 제2 면(122)을 가지는 평판 필름의 형태로 구현되어, 양극 전극(11)과 경계면에서 산소 발생 반응에 따라 발생한 수소 이온을 제1 면(121)에서 받아들이고,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을 통과한 수소 이온을 제2 면(122)에서 수용액 내에 배출함으로써, 수소 이온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ion exchange membrane 12 may be, for example,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support body 13).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lat film having a first surface 121 and a second surface 122 so that hydrogen ions generated by the oxygen generating reaction at the interface with the anode electrode Hydrogen ions can be selectively transferred by taking in the hydrogen ions from the ion exchange membrane 121 and discharging hydrogen ions from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through the second surface 122 into the aqueous solution.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은 높은 양성자 교환 성능을 가지면서, 양극 전극(11)에서 생성되는 산화제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내화학성 및 내구성을 갖는 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은 듀폰사에서 제조 판매하고 있는 나피온막을 이용할 수 있다.The ion exchange membrane 12 can effectively block the oxidants generated in the anode electrode 11 while having a high proton exchange performance and can be realized as a membrane having chemical resistance and durability. For example,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may be a Nafion membrane manufactured and sold by DuPont.

지지체(13)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과 음극 전극(1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지지체(13)에 의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의 일부와 음극 전극(14)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소정의 이격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음극 전극(14)은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의 일부와 비접촉적으로 대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체(13)는 두께 방향으로 지지체(13)을 관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방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13)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방부(131)가 제공하는 빈 공간은 상술한 이격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 있다.The support 1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 A predetermined spacing space can be ensured between the part of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by the support 13 and also through at least a part of this predetermined spacing space , The cathode electrode 14 can be in contactless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 To this end, the support 13 may have one or more openings 131 through the support 13 in the thicknes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mpty space provided by the one or more openings 131 of the support 13 may constitute part or all of the above-described spacing space.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13)는 두께 방향으로 크게 둘 이상의 부분으로 나뉠 수 있고, 각 부분에서 개방부(131)의 단면 크기가 달라지도록 설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방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13)의 개방부(131)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과 가까운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고, 음극 전극(14)과 가까운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13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openings 131, each of which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por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designed such that the cross- have. For example, the open portion 131 of the support body 13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cross-sectional area at a portion close to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at a portion close to the cathode electrode 14, As shown in Fig.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13)는 소정 두께의 격벽 구조 또는 타공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13)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는 개방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격벽 구조는, 예를 들어, 허니콤(honeycomb) 구조일 수 있다. 타공 구조는 복수의 타공을 포함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네잎 클로버와 같은 모양을 가진 하나의 큰 타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13 may have a porous structure formed by a partition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a perforation structure. Specifically, the support 13 may have an opening 131 including at least one through-hole. The barrier rib structure may be, for example, a honeycomb structure. The perforation structur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rforations, but may also include a single large perforation, for example, having the same shape as a four-leaf clover.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13)는 메탈라스 방식으로 형성된 망형 구조를 가질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13)는 메탈라스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개방부들(1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과 음극 전극(14)은 지지체(13)의 세부 구조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져 서로 직접 대면(face-to-face)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본질적으로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과 음극 전극(14)이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비접촉적으로 대향한다는 점은 일관된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13)는 상대적으로 얇은 2차원 메시 구조 또는 타공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포함하는 개방부(131)와 상대적으로 두꺼운 적어도 하나의 기둥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upport 13 may have a meshed structure formed in a metal-lath manner. Specifically, the support 13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131 formed by a metal lath method. In this case,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may not be face-to-face with each other because they are partially covered by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upport body 13, It is essentially consistent that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are in contactless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spacing space therebetw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13 may comprise an opening 131 comprising at least one cavity formed by a relatively thin two-dimensional mesh structure or perforation structure and at least one relatively thick column.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의 일부와 음극 전극(14) 사이에서 지지체(13)과 음극 전극(14)에 의해 확보되는 이격 공간은, 음극 전극(14)의 표면 근처에서 수소 이온과 전자가 결합하여 수소 기체가 발생할 환경을 조성하고, 나아가 발생한 수소 기체가 모여 기포화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듯 이격 공간에서 수소 기체가 원활하게 발생하면서 전기 분해가 이루어지는 것은 외부의 전원에서 양극 전극(11), 이온 교환 멤브레인(12)과 음극 전극(14)을 포함하는 전류 회로가 형성됨을 의미한다. The space reserved by the support member 13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between a part of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is located near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14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hydrogen ions and electrons are combined to generate hydrogen gas, and further, a space in which the generated hydrogen gas can gather and saturate can be provided. The fact that the hydrogen gas is smoothly generated in the spacing space and electrolysis is performed means that a current circuit including the anode electrode 11,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is form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지지체(13)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을 눌러서 양극 전극(11)에 밀착시킬 수 있는 기계적 강성을 갖추면서,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과 음극 전극(14)의 상호 비접촉적 대향과 수소 기체의 기포화를 위한 이격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13)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 금속,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13)는 절연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전계를 강화하여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에서 음극 전극(14)으로 수소 이온이 좀더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유전체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The support 13 has a mechanical stiffness that allows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to be pressed against the anode electrode 11 and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vide mutual non-contact opposing faces of the cathode electrode 14 and a spacing space for bubbling the hydrogen gas. For example, the support 13 may be made of a rigid metal, ceramic or plastic material that can prevent deformation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13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that the hydrogen ions can be more efficiently delivered from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to the cathode electrode 14, It can be realized as a dielectric material.

또한, 지지체(13)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이 양극 전극(11)과 밀착할 수 있도록 양극 전극(11)과 기계적으로 체결되거나, 또는 외부의 강체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의 측면을 폐쇄하는 개스킷에 의해 지지체(13), 이온 교환 멤브레인(12) 및 양극 전극(11)이 함께 기계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The support 13 can also be mechanically fastened to the anode electrode 11 or mechanically fastened to the external rigid housing so that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can be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anode 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upport 13,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anode electrode 11 can be mechanically integrated together by a gasket that closes the sid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13)는 개방부(131)의 이격 공간이 상술한 하우징의 입수구부터 출수구까지 이어지는 유동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도록 매니폴드(manifold) 구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13 may be formed with a manifold structure such that the spacing space of the openings 131 constitutes part or all of the flow path lead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he above-described housing.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13)과 음극 전극(14)도 일정 거리 이격되어, 지지체(13)과 음극 전극(14) 사이에도 빈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이 이온을 전달하지 못하는 전기화학적 상태인 동안에, 다시 말해, 탈수 건조된 상태일 때에, 지지체(13)의 두께는 서로 대향하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과 음극 전극(14)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upport 13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are als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an empty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13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In this case, when the ion exchange membranes 12 are in an electrochemical state in which ions can not be delivered, that is, in a dehydrated and dried state,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13 is se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s 12 And may be determined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urfaces 12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한편, 음극 전극(14)은 지지체(13)에 의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과 이격되어 있고, 음극 전극(14)의 표면 근처의 이격 공간 내에서 소위 수소 발생 반응(Hydrogen Evolution Reaction)을 일으키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수소 발생 반응은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athode electrode 14 is spaced apart from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by the support member 13, and a cathode (not shown) which causes a so-called hydrogen evolution reaction in a space in the vicinity of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14 Electrode. The hydrogen generation reaction is as follows.

4H+(aq) + 4e- → 2H2(g)4H + (aq) + 4e - ? 2H 2 (g)

일 실시예에서, 음극 전극(14)은 예를 들어 티타늄 소재, 또는 티타늄 모재에 백금 코팅한 소재, 또는 백금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음극 전극(14)은 음극 전극(14)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에 대향하는 면만, 예를 들어, 백금 코팅된 전도성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극 전극(14)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에 대향하는 면에 예를 들어 백금 소재의 촉매층이 부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athode electrode 14 may be embodied, for example, of a titanium material, or a platinum coated material on a titanium base material, or a platinum material. In another embodiment, the cathode electrode 14 may be embodied as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platinum coated only on the side where the cathode electrode 14 faces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n another embodiment, a catalyst layer of, for example, a platinum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14 facing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

음극 전극(14)은 발생한 수소 기체 내지 기포가 이격 공간으로부터 음극 전극(14)을 통과하여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의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메시 구조 또는 메탈라스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극 전극(14)은 가스확산성 소재, 투과성 소재, 또는 다수의 공극이나 통공을 가진 다공성 소재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athode electrode 14 is formed of, for example, a mesh structure or a metal lath structure so that the generated hydrogen gas or bubbles can be easily discharged from the spaced space through the cathode electrode 14 and the outsid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thode electrode 14 may be embodied as a gas diffusing material, a permeable material, or a porous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voids or apertures.

한편, 음극 전극(14)의 표면 부근의 이격 공간 내에서 발생한 수소 기체 분자들은 기체 상태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의 바깥으로 방출되어야 한다. 종래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는 캐소드 전극이 이온 교환 멤브레인과 강하게 밀착되어 일체화된 구조이므로, 캐소드 전극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 사이에 공간이 거의 없으며, 이에 따라 캐소드 전극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접합부에서 발생한 수소 기체 분자들은 확산 또는 압력에 의해 캐소드 전극 곳곳에 형성된 타공부까지 개별적으로 이동하고, 타공부에서 기포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ydrogen gas molecules generated in the space in the vicinity of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14 must b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in a gaseous state. The conventiona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thode electrode is intimately integrated with the 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re is almost no space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 hydrogen gas molecules generated at the junction of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The bubbles can be individually moved to the treads formed at the portions of the cathode electrode by the diffusion or the pressure, and the bubbles can be formed in the tread.

통상적으로, 수소 기체 분자들이 포집하면서 발생한 기포는 전극의 표면에 부착되어 점점 커지다가, 기포의 무게와 전극 표면에 대한 점착력보다 기포의 부피에 의한 부력이나 외력이 더 커져야 전극의 표면에서 이탈하고 유동한다. 타공부에서 포집되는 수소 기포는 타공부에서 잘 이탈하지 않고 붙어있으면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의 바깥쪽으로 상당한 크기까지 성장할 것이다. 수소수 내에 포획된 수소 기포가 크면 수소 기체는 머지 않아 대기 중으로 비산해 버리므로 수소 농도는 오래 유지될 수 없다. Generally, bubbles generated by the capture of hydrogen gas molecules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nd gradually increase. When the bubbles or external force due to the volume of the bubbles become larger than the weight of the bubbles and the adhesion to the electrode surface, do. The hydrogen bubbles collected in the rudder will grow to a considerable size outside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hile sticking away from the rudder. If the hydrogen bubbles trapped in hydrogen water are large, the hydrogen gas will soon scatter into the atmosphere and the hydrogen concentration can not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는, 이격 공간 내에서 수소 분자들이 서로 모여 작은 기포를 형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작은 수소 기포들은 더 성장하기 전에 수용액의 유동에 의해 음극 전극(14)의 공극을 통해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 바깥의 수용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음극 전극(14)의 표면에서 생성되는 수소 기체 분자의 경우에도, 메시 구조 또는 메탈라스 구조의 음극 전극(14)은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음극 전극(14)의 표면에 부착되었다가 이탈하는 수소 기포가 크기나 양에 있어서 미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해 생성된 수소수의 내에서 수소 클러스터는 좀더 잘게 분포할 수 있고, 수소 농도가 좀더 오래 유지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ydrogen molecules can gather together to form small bubbles within the spacing space. The generated small hydrogen bubbles can be discharged to the aqueous solution outside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through the air gap of the cathode electrode 14 by the flow of the aqueous solution before further growth. Even in the case of the hydrogen gas molecule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14, since the cathode electrode 14 having the mesh structure or the metal lath structure has a small surface area, the hydrogen bubble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14, It may be small in size and quantity. Hence, the hydrogen cluster within the hydrogen gener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more finely distributed and the hydrogen concentration can be maintained longer.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가 건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가 수용액에 침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는 도 1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에 대응할 수 있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ried stat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Fig. For example, FIGS. 3 and 4 may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고분자 전해질로써 구현되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은 건조한 상태에서는 평판 필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체(13)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방부(131)를 가질 수 있다. 지지체(13)는 제1 두께(D1)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두께(D1)는 1 cm 이내일 수 있다. 개방부(131)의 외벽은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을 양극 전극(11)에 골고루 밀착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mplemented as a polymer electrolyte may have a shape of a flat film in a dry state. The support (13) may have one or more openings (131)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upport 13 may have a first thickness D1, for example, the first thickness D1 may be less than 1 cm. The outer wall of the open portion 131 may also prevent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adhere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to the anode electrode 11 evenly.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13)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이 건조한 상태일 때에,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 중 단지 일부와 직접 접촉하면서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을 양극 전극(11)에 밀착시키고,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 중 다른 일부를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음극 전극(14)과 비접촉적으로 대향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 중에서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음극 전극(14)과 비접촉적으로 대향하는 제1 면적은,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 중에서 지지체(13)에 직접 접촉하는 제2 면적에 비해 클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13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n direct contact with only a portion of the second sid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when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s dry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thode electrode 14 in a noncontact manner with the spacing space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first area of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which faces away from the cathode electrode 14 with a spaced space therebetween,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area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pport (13) in the support (122).

한편, 수용액 속의 이온을 선택적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이 수용액 속에 침지되어야 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가 수용액 속에 침지되었을 때에 고분자 전해질이 용매, 예를 들어 물을 흡수하면서 팽윤된(swollen) 상태가 예시된다.4, whe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i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the polymer electrolyte is immersed in a solvent, for example, an aqueous solution, for example, A swollen state is exemplified while absorbing water.

종래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들은 수용액 속에서 기능 시에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팽윤에 따른 기계적인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양 전극들 사이에 이온 교환 멤브레인을 개재한 상태로 열압착되어 일체화된다. 이렇게 열압착을 통해 일체화된 전극-멤브레인-전극 구조물은 비록 고분자 전해질의 팽윤과 수축을 견딜 수 있어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겠지만, 캐소드 전극과 이온 교환 멤브레인 사이에서 생성된 수소 분자를 외부로 배출시키려면 전도성의 가스 확산 소재로 캐소드 전극을 만들어야 하는 등의 제약을 감수해야 한다.Conventional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are thermally pressed and integrated by interposing an ion exchange membrane between both electrodes in order to suppress mechanical deformation due to swelling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in an aqueous solution during operation. Although the electrode-membrane-electrode structure integrated through thermocompression can withstand swelling and shrinkage of the polymer electrolyte, durability can be ensured. However, in order to discharge hydrogen molecules generat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The cathode must be made of a conductive gas diffusion material.

반면에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는 팽윤에 따른 외형 변화를 억제하지 않고, 지지체(13)의 개방부(131) 내부로 팽윤된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이 팽윤되었음에도, 지지체(13)의 두께가 적절히 선택된다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과 음극 전극(14)이 여전히 비접촉적으로 대향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on the other hand, can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swollen into the open portion 131 of the support 13 without inhibiting the external shape change due to swelling . If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13 is appropriately selected,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may still be in contactless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though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s swollen. .

이에 따라, 지지체(13)의 제1 두께(D1)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이 소정의 전하를 띤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 화학적 상태인 동안에, 다시 말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고분자 전해질이 충분한 양의 용매를 흡수하고 이온화되어 선택적으로 소정의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서 부피가 증가한 때에, 지지체(13)의 개방부(131) 내부로 팽윤된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일부가 수용되어 개방부(131) 내부의 빈 공간을 잠식한 후에도,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과 음극 전극(14) 사이에 여전히 충분한 소정의 이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Thus, the first thickness D1 of the support 13 can be maintained within the range of the thicknes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while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s in an electrochemical state capable of transferring ions with a predetermined charge, A part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swollen into the open portion 131 of the support body 13 when the volume becomes large as the electrolyte absorbs a sufficient amount of solvent and becomes ionized and selectively transferring predetermined ions, Is determined so as to secure a sufficient predetermined spacing between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even after the cathode electrode 14 is received and the void space inside the opening 131 is encapsulated .

달리 표현하면, 지지체(13)의 제1 두께(D1)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이 팽윤하여 지지체(13)의 개방부(131) 내부로 침투하더라도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팽윤된 제2 면(122)에 대해 음극 전극(14)이 비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thickness D1 of the support 13 is sufficient to prevent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from swelling and penetrating into the open portion 131 of the support 13, 12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cathode electrode 14 can maintain noncontact with the swollen second surface 122 of the cathode 12.

하나의 큰 개방부(131) 중 일부분 또는 복수의 작은 개방부들(131) 중 일부에서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팽윤된 제2 면(122)과 음극 전극(14)이 접촉할 경우에는 수소 발생 성능의 저하가 예상되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지지체(13)의 제1 두께(D1)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이 소정의 전하를 띤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 화학적 상태인 동안에도,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의 일부와 음극 전극(14)의 일부가 지지체(13)의 개방부(131) 중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 비접촉적으로 대향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swollen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come into contact with some of the one or the plurality of small openings 131 of the one large opening 131, Performance degradation is expected, but is not outside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In other words, the first thickness D1 of the support 13 can be maintained even while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s in an electrochemical state capable of transferring ions of a predetermined charge, A part of the anode electrode 122 and a part of the cathode electrode 14 can be contactlessly opposed to each other with at least a part of the open portion 131 of the support member 13 interposed therebetween.

한편, 만약 지지체(13)가 소정 두께의 골조 구조 또는 3차원 메쉬 구조를 가질 경우에, 개방부(131)의 이격 공간은 정형적인 또는 비정형적인 공극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이 팽윤하여 공극의 내부로 일부 수용되더라도, 지지체(13)의 두께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팽윤된 제2 면(122)에 대해 음극 전극(144)이 비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upport body 13 has a frame structure or a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pacing space of the openings 131 can be configured as regular or irregular voids. In this case, even though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s swollen and partially contained within the voi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13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wollen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 The negative electrode 144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so as to maintain the non-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144.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a)가 건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a)가 수용액에 침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ried state,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Fig.

도 5를 참조하면, 도 3과 마찬가지로, 고분자 전해질로써 구현되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은 건조한 상태에서는 평판 필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체(13a)는 두께 방향으로 두 부분으로 나뉘어, 소정 단면을 가지는 제1 두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 개방부(131a)와, 소정 단면을 가지는 제2 두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개방부(132)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s in FIG. 3,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mplemented as a polymer electrolyte may have a flat film shape in a dry state. The support body 13a is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has one or more first openings 131a of a first thickness having a predetermined cross section and one or more second openings 131a of a second thickness having a predetermined cross- (132).

도 6을 참조하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팽윤된 제2 면(122)이 제1 두께의 제1 개방부(131a)의 내부 공간을 모두 잠식하였지만, 제2 두께의 제2 개방부(132)가 여전히 적절한 이격 공간을 제공하고 있고,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과 음극 전극(14)이 여전히 비접촉적으로 대향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13a)의 두께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이 용매를 흡수하여 팽윤된 상태에서도,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과 음극 전극(14)이 비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lthough the swollen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encapsulates all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opening 131a of the first thickness, the second opening 122 of the second thickness 132 still provide a suitable spacing space and the second sid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may still be in non-contact conta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13a can be adjusted such that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when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s swollen by absorbing the solvent It can be determined so as to maintain non-contact.

또한,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이 팽윤된 상태에서 이온이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의 제2 면(122)으로부터 방출되어 이격 공간을 거쳐 음극 전극(14)으로 전달되는 동안에 이격 공간에서 기체화되도록 이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한, 지지체(13a)의 세부 구조는 격벽 구조, 타공 구조, 골조 구조, 3차원 메시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gas to be vaporized in the space while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is swollen while ions are discharged from the second surface 1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ransferred to the cathode electrode 14 through the space As long as a spacing space can be secur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upport body 13a can be design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partition structure, a perforated structure, a framework structure, a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and the like.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13')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지지체(1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ppor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13' of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지체(13')는 입수구(133) 및 출수구(134)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입수구(133)를 통해 유입된 물은 출수구(134)를 통해 유출될 수 있고, 입수구(133)와 출수구(134) 사이의 공간은 유동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13')는 매니폴드(manifold) 구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support 13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inlet 133 and the outlet 134.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133 can flow out through the outlet port 134 and the space between the inlet port 133 and the outlet port 134 can constitute a flow path. As such, the support 13 'can be formed with a manifold structure.

일 실시예에서, 입수구(133)는 펌프와 연결될 수 있고, 펌프는 강제로 물의 유동을 유발할 수 있다. 펌프에 의해 입수구(133)를 통해 유입된 물은 지지체(13')와 음극 전극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흐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소 분자들이 더욱 활발하게 생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let 133 can be coupled to a pump, which can force the flow of water.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33 by the pump can flow into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support 13 'and the cathode electrode, so that hydrogen molecules can be generated more actively.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20)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n exploded view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 of FIG.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20)는 양극 전극(21), 이온 교환 멤브레인(22), 지지체(23), 음극 전극(24) 및 갭퍼(25)를 포함한다. 이온 교환 멤브레인(12)은 건조한 상태에서는 평판 필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20)는 도 1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의 변형 실시예에 대응하며,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9 and 10,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 includes an anode electrode 21, an ion exchange membrane 22, a support 23, a cathode electrode 24, and a gapper 25.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may be in the form of a flat film in the dry state.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rresponds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of FIG. 1, and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can be applied to this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 전극(21), 이온 교환 멤브레인(22) 및 음극 전극(24)은 도 1의 양극 전극(11), 이온 교환 멤브레인(12) 및 음극 전극(14)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양극 전극(21)은 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 또는 메탈라스 방식으로 형성된 망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백금 소재 또는 백금 코팅된 전도성 소재일 수 있다.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은 양극 전극(21)과 접하는 제1 면(221) 및 지지체(23)와 접하는 제2 면을 가질 수 있다. 음극 전극(24)은 지지체(23)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고,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의 제2 면(222)에 비접촉적으로 대향할 수 있다. 음극 전극(24)은 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 또는 메탈라스 방식으로 형성된 망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백금 소재, 백금 코팅된 전도성 소재, 또는 티타늄 소재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node electrode 21,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and the cathode electrode 24 ar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anode electrode 11, the ion exchange membrane 12 and the cathode electrode 14 in Fig. . ≪ / RTI > The anode electrode 21 may have a porous structure formed by a punching method or a meshed structure formed by a metal lath method, and may be a platinum material or a platinum-coated conductive material.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may have a first surface 221 in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21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23. The cathode electrode 24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2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contact the second surface 2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in a noncontact manner. The cathode electrode 24 may have a porous structure formed by a punching method or a meshed structure formed by a metal lath method, and may be a platinum material, a platinum-coated conductive material, or a titanium material.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20)는 도 1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에 비해 갭퍼(2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지지체(23)의 두께는 도 1의 지지체(13)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갭퍼(25)는 지지체(23)와 음극 전극(24) 사이에 배치되어, 일정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간격은 1 cm 이내일 수 있다.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 may further include a gapper 25 as compared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of Figure 1 a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23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13 May be less than the thickness. The gapper 25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23 and the cathode electrode 24, and can provide a constant gap. For example, the interval may be within 1 cm.

일정 간격은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이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 화학적 상태인 동안에도, 이온 교환 멤브레인(22)과 음극 전극(24)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확보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이 이온을 전달하지 못하는 전기 화학적 상태인 동안에,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의 제2 면(222) 중에서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음극 전극(24)과 비접촉적으로 대향하는 제1 면적은,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의 제2 면(222) 중에서 지지체(23)에 직접 접촉하는 제2 면적에 비해 클 수 있다.The constant interval can be determined so that a spaced space is secured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and the cathode electrode 24, even while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is in an electrochemical state capable of transferring ions. While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is in an electrochemical state where it can not transfer ions, the second surface 2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athode electrode 24 in a non- 1 area may be larger than a second area that directly contacts the support 23 in the second surface 2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

실시예에 따라, 갭퍼(25)의 측면에, 외부로부터 물을 주입하는 입수구와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갭퍼(25)의 구성에 의해, 지지체(23)와 음극 전극(24)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물의 흐름은 입수구에서 배출구로 향하는 특정한 경로 내지 방향을 갖도록 통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ide surface of the gapper 25 may include a water inlet for inject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By the configuration of such a gapper 25, the flow of water in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23 and the cathode electrode 24 can be controlled to have a specific path or direction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지지체(23)는 이격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23)는 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 또는 메탈라스 방식으로 형성된 망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지체(23)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 금속,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체(23)의 두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20)가 침수로 인해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이 팽윤된 두께보다 클 수 있다.The support 23 may comprise an opening which constitutes at least part of the spacing sp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upport body 23 may have a porous structure formed by a punching method or a meshed structure formed in a metal lath method. The support 23 may be made of a metal, ceramic or plastic material having rigidity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23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at which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 is swollen due to immersion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실시예에 따라, 지지체(23)는 개방부의 이격 공간이 상술한 갭퍼(25)의 입수구부터 출수구까지 이어지는 유동 경로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도록 매니폴드(manifold) 구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23)는 도 7 및 8의 지지체(13')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upport 23 can be formed with a manifold structure such that the spacing space of the openings constitutes part or all of the flow path lead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he gapper 25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support 23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support 13 'of Figs.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20)가 건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20)가 수용액에 침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XI-XI' 선에 따른 단면도에 대응할 수 있다.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 in a dried stat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 i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Figs. 11 and 12 may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XI 'in Fig.

도 11을 참조하면, 고분자 전해질로써 구현되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은 건조한 상태에서는 평판 필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갭퍼(25)는 지지체(23)와 음극 전극(24) 사이에 이격 공간(251)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2 두께(D2)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두께(D2)는 1 cm 이내일 수 있다. 지지체(23)는 제3 두께(23)를 가질 수 있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implemented as a polymer electrolyte may have a shape of a flat film in a dried state. The gapper 25 has a second thickness D2 so as to provide a spacing space 251 between the support 23 and the cathode electrode 24. For example, the second thickness D2 may be within 1 cm. The support 23 may have a third thickness 23 and may have one or more opening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도 12를 참조하면,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20)가 수용액 속에 침지되면,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은 용매, 예를 들어, 물을 흡수하면서 팽윤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갭퍼(25)의 제2 두께(D2)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이 소정의 전하를 띤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 화학적 상태인 동안에, 다시 말해,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의 고분자 전해질이 충분한 양의 용매를 흡수하고 이온화되어 선택적으로 소정의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서 부피가 증가한 때에, 지지체(23)의 개방부 내부로 팽윤된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의 일부가 수용되어 개방부 내부의 빈 공간을 잠식한 후에도,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의 제2 면(222)과 음극 전극(24) 사이에 여전히 충분한 소정의 이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whe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20 i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may have a swollen state while absorbing a solvent, for example, water. The second thickness D2 of the gapper 25 is sufficient to ensure that the polymer electrolyt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is sufficient while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is electrochemically capable of transferring ions of a predetermined charge, A portion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swollen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support body 23 is accommodated when the volume increases as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absorbs the positive solvent and is ionized to selectively deliver the predetermined ions, Can still be determined so as to secure a sufficient predetermined spacing between the second surface 2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and the cathode electrode 24,

달리 표현하면, 갭퍼(25)의 제2 두께(D2)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의 제2 면(222)이 팽윤하여 지지체(23)의 개방부 내부로 침투하더라도 이온 교환 멤브레인(22)의 팽윤된 제2 면(222)에 대해 음극 전극(24)이 비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The second thickness D2 of the gapper 25 is such that even though the second surface 222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22 swells and penetrates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support 23,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athode electrode 24 can maintain noncontact with the swollen second surface 222. [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갭퍼(25')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갭퍼(2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pper 2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pper 25' of FIG.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갭퍼(25')는 입수구(251) 및 출수구(252)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입수구(25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출수구(252)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입수구(251)와 출수구(252) 사이의 공간은 유동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갭퍼(25')는 매니폴드(manifold) 구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and 14, the gapper 25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inlet 251 and the outlet 252.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51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52 and the space between the inlet 251 and the outlet 252 can constitute a flow path. As such, the gapper 25 'can be formed with a manifold structure.

일 실시예에서, 입수구(251)는 펌프와 연결될 수 있고, 펌프는 강제로 물의 유동을 유발할 수 있다. 펌프에 의해 입수구(25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지지체(예를 들어, 도 10의 25)와 음극 전극(예를 들어, 도 10의 24)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흐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소 분자들이 더욱 활발하게 생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let 251 can be connected to a pump, which can force the flow of water.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51 by the pump can flow in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support (for example, 25 in FIG. 10) and the cathode electrode (for example, 24 in FIG. 10) Molecules can be generated more actively.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를 이용한 수소수 제조 장치(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 1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water 110 us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5를 참조하면, 수소수 제조 장치(110)는 수조(111),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 구동 회로부 케이스(113) 및 구동 회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수조(111)와 구동 회로부 케이스(113)는 일체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조(111)와 구동 회로부 케이스(113)는 분리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15, the water producing apparatus 110 may include a water tank 111,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a driving circuit case 113, and a driving circuit 114. In an embodiment, the water tub 111 and the driving circuit unit case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some embodiments, the water tub 111 and the drive circuit case 113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는 도 1 내지 도 14에 예시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0, 10a, 20)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의 캐소드 전극은 수조(111)에 저수된 담수 또는 수돗물과 접하고,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의 나머지 구성은 구동 회로부 케이스(113)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는 구동 회로부(114)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물을 전기 분해하면서 캐소드 전극 쪽에서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수소수 제조 장치(110)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가 이온 교환 멤브레인과 캐소드 전극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수소 분자를 발생시키고 기포화시킬 수 있어서, 수소 발생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수소수 제조 장치(110)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가 수소 분자 클러스터를 작고 고르게 생성할 수 있으므로, 생성된 수소수의 수소 농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may be implemented a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 10a, 20 illustrated in FIGS. In one embodiment, the cathode electrod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is in contact with fresh water or tap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11,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may be embodied in the drive circuit case 113 have.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can generate hydrogen from the cathode side while electrolyzing water by the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driving circuit 114.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110 can maximize the hydrogen generation efficiency since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can generate and saturate hydrogen molecules in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ion-exchange membrane and the cathode electrode. In addition, the hydrogen-water producing apparatus 110 can maintain the hydrogen concentration of the produced hydrogen water for a long time because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can generate small and even hydrogen molecule clusters.

아래의 표 1은 다양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전기 분해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케이스1은 백금 코팅된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 사이에 고가의 개질된 이온 교환막이 개재된, 일반적인 양극-막-음극의 조합으로 구성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수소수를 생성한 경우이고, 케이스2는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 사이에 나피온막이 개재된, 일반적인 양극-막-음극의 조합으로 구성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수소수를 생성한 경우이며, 케이스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를 이용하여 수소수를 생성한 경우이다. 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performing electrolysis using various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Case 1 is a case where hydrogen water is produced us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general anode-membrane-cathode with a platinum-coated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modified with an expensive ion-exchange membran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ase 3 is a case in which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general anode-membrane-cathode with a Nafion membrane interposed between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is used. Case 3 is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 Is used to generate the water number.

케이스case 전압(V)Voltage (V) 전기분해시간(min)Electrolysis time (min) 용존수소 농도(ppb)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 (ppb) 1One 1212 55 175175 22 1212 55 7777 33 1212 55 220220

표 1을 참조하면,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여 동일한 전기 분해 시간 동안 전기 분해를 수행한 경우, 케이스3은 케이스1에 비해 훨씬 저 비용으로 구현됨에도 불구하고, 수소수 제조 장치 내의 용존 수소 농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when electrolysis is performed for the same electrolysis time by applying the same voltage, although the case 3 is realized at a much lower cost than the case 1, the dissolved hydrogen concentration in the hydrogen- .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 16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6을 참조하면, 수소수 제조 장치(110')는 수조(111'),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 구동 회로부 케이스(113'), 구동 회로부(114') 및 유동 발생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110')는 도 15의 수소수 제조 장치(110)의 변형 실시예에 대응할 수 있고, 도 15을 참조하여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16,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110 'includes a water tank 111',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 a driving circuit case 113', a driving circuit 114 ', and a flow generating unit 115, . ≪ / RTI >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110 of FIG. 15, and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5 may also be applied to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 구동 회로부(114') 및 유동 발생부(115)는 구동 회로부 케이스(11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 구동 회로부(114') 및 유동 발생부(115)는 수조(11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동 발생부(115)는 저수 공간을 통한 물의 유동을 강제적으로 일으킬 수 있다. 유동 발생부(115)는 예를 들어, 펌프 또는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유동 발생부(115)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의 입수구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입수구에 물을 강제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의 출수구에서 수소 분자가 활발하게 발생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 the driving circuit portion 114' and the flow generating portion 115 may be disposed in the driving circuit portion case 113 '. In other word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 the driving circuit portion 114' and the flow generating portion 115 may be disposed outside the water tank 111 '. The flow generating portion 115 can forcefully cause 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water storage space. The flow generating portion 115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pump or a motor. The flow generating part 115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 and may forcibly supply water to the inlet. Accordingly, hydrogen molecules can be actively generated at the outlet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

일부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와 구동 회로부(114')는 유수식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수식 모듈의 입수구는 물이 공급되는 임의의 장치, 예를 들어, 수도꼭지 또는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고, 유수식 모듈의 출수구는 수조(11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동 발생부(115)는 유수식 모듈과 이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 구동 회로부(114') 및 유동 발생부(115)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112'), 구동 회로부(114') 및 유동 발생부(115)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 회로부 케이스(113')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and the drive circuitry 114' may be embodied as flow-through modules. For example, the inlet of the metering module may be connected to any device to which water is supplied, for example, a tap or a drain, and the outlet of the metering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tank 111 '. In some embodiments, the flow generating portion 115 may be impleme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umping module. In some embodiments,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 the drive circuit portion 114', and the flow generating portion 115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12 ', the driving circuit portion 114', and the flow generating portion 115 may be disposed outside the driving circuit portion case 113 '.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xemplary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erein with reference to specific te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have been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fined in the claims .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3)

양극 전극;
상기 양극 전극과 접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이온 교환 멤브레인;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에 접하고,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이 밀착되도록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지지체;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체를 두고,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에 비접촉적으로 대향하는 음극 전극;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간격을 제공하는 갭퍼(gapper)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의 일부와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이격 공간을 제공하는 개방부를 포함하도록 성형되며,
상기 음극 전극은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제1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이 물을 흡수하면서 팽윤된 상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은 상기 지지체의 상기 개방부 내부로 침투하고,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은 상기 갭퍼에 의해 상기 음극 전극과 비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An anode electrode;
An 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support contact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supporting the ion exchange membrane such that the anode electrode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are in intimate contact;
A cathode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support, the ion exchange membrane non-contact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A gapper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cathode electrode to provide a first gap,
The support is shaped to include an opening that provides a spaced space between a portion of the second sid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cathode electrode,
Wherein the cathode electrode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by the first interval,
Wherein the second sid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penetrates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support when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in a swollen state while absorbing water and the second sid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gapper Wherei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do not contact each oth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 또는 상기 제1 간격은 1 c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or the first spacing is within 1 c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 또는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이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 화학적 상태인 동안에도,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과 상기 음극 전극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확보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or the first gap is determined so as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cathode even when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in an electrochemical state capable of transferring ions Membrane electrode assembl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이 상기 이온을 전달하지 못하는 전기 화학적 상태인 동안에,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 중에서 상기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음극 전극과 비접촉적으로 대향하는 제1 면적은,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상기 제2 면 중에서 상기 지지체에 직접 접촉하는 제2 면적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first area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that is opposite to the cathode electrode with the space therebetween while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in an electrochemical state in which the ion exchange membrane fails to transfer the ions, Wherein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s larger than a second area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exchange membrane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p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갭퍼는, 제1 에지에 형성되어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 및 상기 제1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에지에 형성되어 상기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이격 공간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pper includes a water inlet formed at a first edge and a water inlet, and a water outlet formed at a second edge opposite to the first edge to discharge the water,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 및 상기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이격 공간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includes a water inlet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and a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water is discharged, and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inlet flows into the spacing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 또는 메탈라스 방식으로 형성된 망형 구조를 갖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 금속,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has a porous structure formed by a punching method or a meshed structure formed in a metal lathing manner,
Wherein the support is made of a metal, ceramic or plastic material having rigidity that can prevent deformation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상기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의 침수로 인해 상기 이온 교환 멤브레인이 팽윤된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greater than the swollen thicknes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due to submersion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극은 백금 소재 또는 백금 코팅된 전도성 소재이고,
상기 음극 전극은 백금 소재, 백금 코팅된 전도성 소재, 또는 티타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ode electrode is a platinum or platinum-coated conductive material,
Wherein the cathode electrode is a platinum material, a platinum-coated conductive material, or a titanium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극 및 상기 음극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타공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 또는 메탈라스 방식으로 형성된 망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porous structure formed by a punching method or a mesh-like structure formed by a metal lath method.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청구항의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 및
상기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의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 사이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 전극에서 발생하는 수소가, 물의 유동에 따라 상기 물에 희석됨으로써 수소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제조 장치.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nd a driving circuit unit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hydrogen generated in the cathode electrode is diluted with the water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to produce hydrogen wat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물이 수용된 저수 공간에서 상기 물의 유동을 강제적으로 일으키는 유동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flow gen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orcibly causing the water to flow in the water storage space in which the water is stored.
KR1020170050509A 2017-04-19 2017-04-19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KR101919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509A KR101919570B1 (en) 2017-04-19 2017-04-19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509A KR101919570B1 (en) 2017-04-19 2017-04-19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418A KR20180117418A (en) 2018-10-29
KR101919570B1 true KR101919570B1 (en) 2018-11-19

Family

ID=6410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509A KR101919570B1 (en) 2017-04-19 2017-04-19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57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17A (en) 2021-04-06 2022-10-13 김희우 Portable Flow-type electrolysis Apparatus
KR20220138615A (en) 2021-04-06 2022-10-13 김희우 Flow-type Electrolysis Apparatus having inserted electrode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17A (en) 2021-04-06 2022-10-13 김희우 Portable Flow-type electrolysis Apparatus
KR20220138615A (en) 2021-04-06 2022-10-13 김희우 Flow-type Electrolysis Apparatus having inserted electrod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418A (en)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899B2 (en) Oxygen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AU2003257326B2 (en) Electrolyzer
US6743541B2 (en) Monopolar cell pack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nd direct methanol fuel cell
EP2616569B1 (en) Oxygen concentrator and method
US20190368483A1 (en) Hydrogen supply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hydrogen supply system
US8721867B2 (en) Method of shutting down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JP4165655B2 (en) Electrolytic device, electrochemical reaction membrane device, and porous conductor
JP5181012B2 (en) Water electrolysis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583342A1 (en) Electrochemically actuated valve
KR101919570B1 (e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JP2012146524A (en) Fuel cell
JP4856770B2 (en) Water electrolysis equipment
JP6903575B2 (en) Intermediate module of electrochemical cell stack
JP5140123B2 (en) Water electrolysis system
US3506493A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barrier with microporous openings
JP5207847B2 (en) Fuel cell stack
KR20060135266A (en) Direct liquid feed fuel cell stack
JP5714462B2 (en) Fuel cell
JPH08138715A (en) Solid polymer fuel cell and manufacture thereof
JP4838879B2 (en) Water electrolysis equipment
JP3297250B2 (en) Electrolytic ozone generator
JP4554328B2 (en) High pressure hydrogen production equipment
JP5095714B2 (en) Water electrolysis equipment
JPH116092A (en) Feeder part of gas diffusion electrode and its production
CN117099229A (en) Aging method of fuel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