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432B1 - Apparatus for switch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witc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432B1
KR101919432B1 KR1020170033959A KR20170033959A KR101919432B1 KR 101919432 B1 KR101919432 B1 KR 101919432B1 KR 1020170033959 A KR1020170033959 A KR 1020170033959A KR 20170033959 A KR20170033959 A KR 20170033959A KR 101919432 B1 KR101919432 B1 KR 101919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t
housing
elastic memb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9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6190A (en
Inventor
박한욱
남정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432B1/en
Publication of KR2018010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1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4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45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4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스위치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되는 버튼부와, 버튼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구동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부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버튼부의 이동 시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며, 버튼부가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 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relating to a switch device is disclosed. The switch device includes a housing part, a button part moved in the housing part, a sensor part sensing an movement of the button part to transmit an electric signal to the driving part, an elastic member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guide portion having a pushing portion for pressing the pushing portion, the pushing portion being formed to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pushing portion is moved within the housing portion.

Description

스위치 장치{APPARATUS FOR SWITCHING}[0001] APPARATUS FOR SWITCHING [0002]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치 장치 설치 시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조작 시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a space required when a switch device is installed and improving operational feeling during operation.

일반적으로 전자, 기계 장비들 특히 차량 내부의 조작기기에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SWITCH)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창문을 개폐시키는 윈도우(WINDOW) 스위치, 조향 장치를 ON/OFF시키는 조향 라이트(LIGHT) 스위치 및 음향 장치를 구동시키는 오디오(AUDIO) 스위치, 와이퍼(WIPER)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차량에 배치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various kinds of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electronic and mechanical equipments are provided in the manipulating equipments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re are a WINDOW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of a vehicle, a LIGHT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steering device, an AUDIO switch for driving the sound device, a wiper switch for driving the wiper Etc. are disposed in the vehicle.

스위치는 작동 방식에 따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푸시(PUSH)형 스위치, 힌지(HINGE)결합 및 지지부재로 작동되는 시소(SEESAW)형 스위치, 텀블러(TUMBLER)형 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적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switches are available, such as a push-type switch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 hinge (HINGE), a seesaw switch operated by a support member, and a tumbler type switch, .

그 중 종래의 텀블러 스위치의 경우 누름부, 작동부 등의 구성으로 인해 버튼부에 보다 큰 공간이 요구되었으며, 조작 각도에 따라 누름부와 동작부 사이 간격이 발생하여 원위치로 복원 시 내부 부품이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umbler switch, a larger space is required for the button portion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ushing portion,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like, and the gap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operation por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gle, .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3688호(2012.11.15 등록, 발명의 명칭: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3688 (registered on November 15, 2012, entitled Tumbler Switch Un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위치 설치 시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유도부로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a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a switch and improving operation feeling by an induction part.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구동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부;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버튼부의 이동 시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 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part; A button portion moved in the housing portion; A sensor unit sensing movement of the button unit and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driving unit; And an elastic member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elastic member when the button portion is moved, the guide portion being formed so that the button por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movement in the housing portion do.

또한, 상기 유도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와 접하며 상기 가압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guiding part provided inside the housing part and contacting the pressing part to provide a moving path of the pressing part.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과 접하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버튼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버튼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상기 가압부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protru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utton portion toward both ends of the guid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is installed in the button portion, .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버튼부의 내측면과 접하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탄성부재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버튼부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부와 접하며, 상기 버튼부 측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may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astic member toward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housing por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button portion, And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housing portion.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접하는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n outer surface thereof contacting with the guide portion is rounded.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압부와 접하는 일면이 상기 가압부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guid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on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is convexly rounded toward the pressing portion side.

또한, 상기 센서부는 광 센서(PHOTO SENSOR) 방식으로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senses movement of the button unit by a photosensor method.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 설치되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와 결합되며 발광부와 수광부가 구비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 광원의 흐름이 차단 또는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substrate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And a sensing unit coupled to the base unit and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e light source is interrupted or allowed to flow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s the button unit moves in the housing unit. do.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하우징부 외부에 배치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하는 버튼본체; 및 상기 버튼본체에서 상기 센서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por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portion; A button body coupled to the operating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housing portion and moving within the housing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utton body toward the sensor unit and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또한, 스위치 장치는, 상기 센서부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센서부를 둘러싸며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 device further includes a lid part surrounding the sensor part and coupled with the housing so that the sensor part is fixed in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탄성부재로 인하여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 버튼부가 하우징부 내에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storing the button portion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housing portion without further manipulation of the user due to the elastic member.

또한, 버튼부의 이동 만으로 인해 센서부에서 전기적 신호가 전달 혹은 차단되므로 추가적인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스위치 장치 설치 시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ecause the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or blocked by the sensor unit only by movement of the button portion, no additional device is required, so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switch device can be minimized and space utilization can be enhanced.

또한, 유도부로 인하여 버튼부가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 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l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utton portion is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moving within the housing portion due to the guide portion.

또한, 가압부는, 가이드부와 접하는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가이드부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버튼부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Further, since the pressing portion is rounded on the outer side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friction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is reduced and the button por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가압부와 접하는 일면이 가압부 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으로 버튼부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one surface contacting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ly rounded toward the pressing portion sid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utton portion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또한, 덮개부로 인하여 기판부를 위치고정시켜 돌출부와 감지부와의 간격을 유지시켜 센서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d part fixes the position of the base part, the gap between the projecting part and the sensing part is maintained,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sensor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조작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원위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상향 조작 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하향 조작 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portion of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illustrating the original state of 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pward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downward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Further,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조작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원위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상향 조작 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하향 조작 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portion of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riginal state of 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pward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downward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는 하우징부(100), 버튼부(200), 센서부(300), 유도부(400), 덮개부(500)를 포함한다.1 to 4, 6 and 7, the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100, a button part 200, a sensor part 300, an induction part 400 And a lid part 500.

하우징부(100)는 스위치 장치(1)의 외관으로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뒤에 설명할 버튼부(200)가 하우징부(100)의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센서부(300) 역시 하우징부(100) 내에 설치된다. The housing part 100 is formed as an outer appearance of the switch device 1 and has a hollow interior and a button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movably within the housing part 100, (100).

하우징부(100) 내에 버튼부(200)가 위치되도록 하우징부(100)의 전방(도 6 기준 좌측) 측으로 통과부(110)가 형성된다. 버튼부(200)는 통과부(110)를 통과하여 하우징부(100)의 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버튼부(200)를 상하(도 6 기준)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passage portion 11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the left side in FIG. 6) of the housing portion 100 so that the button portion 200 is positioned in the housing portion 100. The button unit 200 is disposed in the housing unit 100 through the passing unit 110 and can move the button unit 200 up and down (refer to FIG. 6)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통과부(110)는 버튼부(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과부(110)에서 버튼부(200), 구체적으로 뒤에 설명할 버튼본체(220)의 상하면(도 6 기준)과 마주하는 각 면 사이의 간격은 버튼본체(220)의 상하 간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passing part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utton part 200.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200 of the passage portion 110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body 220 to be described later (refer to FIG. 6) do.

이로 인하여 통과부(110)를 거쳐 하우징부(100) 내의 위치되는 버튼부(200)가 통과부(110)와 바로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보다 통과부(110)와 버튼부(200) 간 간격을 형성하여 버튼부(200)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gap between the passing part 110 and the button part 200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utton part 200 positioned in the housing part 100 and the passing part 110 directly through the passing part 110 So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button unit 200 can be improved.

받침부(120)는 통과부(110)의 단부에서 내측(도 6 기준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통과부(110)를 통과하여 하우징부(100) 내 위치하는 버튼부(200)와 접한다. 받침부(120)는 복수 개가 서로 대칭되며 마주보며 형성되고, 받침부(120)에는 결합홀부(125)가 형성된다.The receiving portion 120 is protruded inwar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passing portion 110 (reference right in FIG. 6) and is in contact with the button portion 200 located in the housing portion 100 through the passing portion 110 .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120 are symmetrically opposed to each other, and a receiving hole portion 125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0.

결합홀부(125)는 받침부(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버튼본체(2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부(221)가 삽입된다. 이로 인하여 버튼부(200)가 하우징부(100)에 위치 고정되며 사용자의 의도, 조작 모드(MODE)에 따라서 버튼부(200)를 상하(도 6 기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engaging hole 125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a position fixing portion 221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utton body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us, the button unit 200 is fixed to the housing unit 100 and the button unit 200 can be moved up and down (refer to FIG. 6)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operation mode (MODE).

버튼부(200)는 하우징부(100) 내에서 이동되는 것으로 조작부(210), 버튼본체(220), 돌출부(230)를 포함한다. 조작부(210)는 하우징부(100)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조작부(210)를 누름으로써 조작부(210)와 연결되는 버튼본체(220)가 하우징부(100) 내에서 이동하도록 한다.The button unit 200 includes an operation unit 210, a button body 220, and a protrusion 230, which are moved within the housing unit 100. The operation unit 210 is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unit 100 and allows the user to directly press the operation unit 210 to move the button body 220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210 within the housing unit 100.

조작부(210)는 캡(CAP) 형상으로 버튼본체(2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10)는 상측(도 6 기준)면에서 외측(도 6 기준 좌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면으로 형성되고, 하측(도 6 기준)면에서 외측(도 6 기준 좌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면이 형성된다. The operation unit 210 may be coupled to the button body 220 in the form of a cap (CAP). The operation unit 2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surface which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reference in FIG. 6) toward the outer side (reference left side in FIG. 6) 6 reference left side), an upward sloping surface is formed.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조작부(210)를 가압 시 조작부(210)의 외측면이 수직을 이루는 점에 비하여 자유도 및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degree of freedom and the operation feeling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point w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portion 210 is vertical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portion 210.

버튼본체(220)는 조작부(210)와 결합되며 하우징부(100)를 관통하여 하우징부(100) 내에서 상하(도 6 기준)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button body 220 is engaged with the operation unit 210 and moves up and down (refer to FIG. 6) in the housing unit 100 through the housing unit 10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본체(220)는 하우징부(100) 내에서 상하(도 6 기준)방향으로 이동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좌우(도 7 기준)방향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The button body 2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vertically (refer to FIG. 6) in the housing part 10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the right and left It is possibl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본체(220)의 양 측면은 받침부(120)와 접하며, 버튼본체(220)의 양 측면에서 외측(도 7 기준 좌우 방향)으로 위치고정부(221)가 돌출 형성된다.7, both side surfaces of the button body 2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120, and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utton body 220 (on the left side in FIG. 7) The position fixing portion 221 is protruded.

위치고정부(221)는 받침부(120)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25)에 삽입되며 이로 인하여 버튼본체(220)가 하우징부(100)에 결합되어 상하(도 6 기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에 따라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osition fixing part 22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25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120 so that the button body 220 is coupled to the housing part 100 and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de desired by the user.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본체(220)의 내측으로 설치홈부(223)가 형성된다. 설치홈부(223)의 통과부(110) 측 일측(도 5 기준 좌측)은 폐쇄되고, 뒤에 설명할 센서부(300)(도 5 기준 우측) 측은 개방부의 형상을 가진다. 6 and 7, an installation groove 223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utton body 2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mounting groove portion 223 on the side of the passing portion 110 (left side in FIG. 5) is closed, and the sensor portion 300 (reference right side) to be described later has a shape of an opening portion.

이로 인하여 설치홈부(223)에는 뒤에 설명할 유도부(400), 구체적으로 탄성부재(410), 가압부(420)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버튼부(200)를 상하(도 6 기준) 방향으로 조작하여도 버튼부(200)가 탄성부재(410)에 의해 원위치(도 6 참조) 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guide portion 400, specifically, the elastic member 410 and the pressing portion 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portion 223. 6) by the elastic member 410 even if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unit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refer to FIG. 6).

도 4,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30)는 버튼본체(220)에서 센서부(300) 측(도 6 기준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뒤에 설명할 발광부(321) 및 수광부(325)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부(321) 및 수광부(325) 간 신호를 전달 혹은 차단한다.4 and 6 to 7, the protrusion 2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truded from the button body 220 toward the sensor unit 300 (reference right in FIG. 6) And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321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25 to transmit or interrupt signals betwe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321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25.

구체적으로, 돌출부(230)는 발광부(321) 및 수광부(325) 사이에 배치되어 버튼부(200)가 하우징부(100)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발광부(321)과 수광부(325) 사이 광원의 흐름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돌출부(230)는 가림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trusion 230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325,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325 are disposed in the housing unit 100, Of the flow. The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in a thin film shape.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는 기판부(310), 감지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0)는 광 센서(PHOTO SENSOR) 방식으로 버튼부(200)의 이동을 감지한다.Referring to FIGS. 3, 4, 6 and 7, the sensor unit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unit 310 and a sensing unit 320. The sensor unit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00 in the form of a photo sensor.

기판부(310)는 하우징부(10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덮개부(50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위치 고정되게 형성된다. 기판부(310)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방식으로 형성된다.The substrate unit 31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unit 100 and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fixed in position. The substrate portion 310 is formed by a PCB (PRINTED CIRCUIT BOARD) method.

감지부(320)는 기판부(310)와 결합되며, 광원을 방출하는 발광부(321)와 발광부(321)로부터 방출된 광원을 수용하는 수광부(325)가 구비된다. 발광부(321)와 수광부(325)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감지부(320)는 'ㄷ'자 형상으로 발광부(321)와 수광부(325)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이 기판부(3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The sensing unit 320 is coupled to the substrate unit 310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321 for emitting a light source and a light receiving unit 325 for receiving a light source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321. The light emitting portion 321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25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nsing portion 320 is formed with a portion that connects the light emitting portion 321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25 in a '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부(320)는 좌측(도 7 기준)에 발광부(321)가 형성되고, 우측(도 7 기준)에 수광부(325)가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좌측(도 7 기준)에 수광부(325)가 형성되고, 우측(도 7 기준)에 발광부(321)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The sensing unit 3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ght emitting unit 321 formed on the left side (reference to FIG. 7) and a light receiving unit 325 formed on the right side (reference to FIG. 7) A light receiving portion 325 is formed on the left side (reference in FIG. 7),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321 is formed on the right side (reference in FIG. 7).

감지부(320)는 중앙을 기준으로 기판부(310)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돌출부(230)는 이에 대응하여 버튼본체(220)에서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e sensing units 320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unit 31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nsing unit 320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30 may protrude from the button body 220 correspondingly.

돌출부(230)는 버튼부(200)가 원위치에 있을 시 감지부(320)의 'ㄷ' 형상 중 개방되는 일측을 통과하여 발광부(321) 및 수광부(325) 사이에 배치된다. The protrusion 230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325 through one side of the 'C' shape of the sensing unit 320 when the button unit 200 is in the home position.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부(400)는 탄성부재(410), 가압부(420), 가이드부(43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 6, and 7, the guide unit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410, a pressing unit 420, and a guide unit 431.

탄성부재(410)는 버튼부(200)의 내측에 설치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버튼본체(220)에 형성되는 설치홈부(22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탄성부재(410)는 스프링(SP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41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button unit 200 and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elastic member 410 is specifically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223 formed in the button body 220. The elastic member 410 may be formed in a spring shape.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부(420)는 탄성부재(410)와 결합되며 버튼부(200)가 상하(도 6 기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부재(410)를 가압한다.3, 4, 6, and 7, the pressing portion 4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410, and the button portion 200 is vertically (refer to FIG. 6) The elastic member 410 is pressed.

가압부(420)는 뒤에 설명할 가이드부(431)와 접하는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라 탄성부재로(4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탄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The pressing portion 420 is formed so as to have an outer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4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ounded. And is formed in a bullet shape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astic member 410.

이로 인하여 버튼부(200)가 이동 시 가이드부(431) 상에서 원활하게 이동되고 가이드부(431)와의 마찰을 감소시켜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button portion 200 is smoothly moved on the guide portion 431 when moving,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button portion 200 and the guide portion 431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feeling.

도 3,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31)는 버튼부(200)의 이동방향(도 6 기준 상하방향) 측 하우징부(100)의 내측면과 결합되고 가압부(420)와 접하며 가압부(420)에 이동경로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6 to 8, the guide part 43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part 431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utton part 200 (reference vertical direction in FIG. 6) And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420 and provides a moving path to the pressing portion 420. [

가이드부(431)는 가압부(420)와 접하는 일면이 하우징부(100)의 내측면과 접하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버튼부(200)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6 기준 우측)으로 돌출된다.The guide portion 431 is protru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utton portion 200 (reference right in FIG. 6) as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431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00.

가이드부(431)는 가압부(420)와 접하는 일면이 가압부(420) 측(도 6 기준 좌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43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420 is formed to be convexly rounded toward the pressing portion 420 side (reference left side in FIG. 6).

하우징부(100)의 내측면과 접하는 가이드부(431)의 상측 또는 하측(도 6 기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가압부(420)가 탄성부재(410)을 일 방향(도 6 기준 좌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The pressing portion 420 presses the elastic member 410 in one direction (left side in FIG. 6) from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reference in FIG. 6) of the guide portion 431 contact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00, Thereby reducing the pressing force.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버튼부(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도 탄성부재(410)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하여 가압부(420)가 가이드부(431)가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도 6의 버튼부(200)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silient member 410 even if the user pushes the button unit 20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pushing unit 420 moves along the path provided by the guide unit 431, As shown in FIG.

도 6에서의 버튼부(200)의 위치를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의 원위치로 정한다.The position of the button unit 200 in FIG. 6 is set to the original value of the switch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덮개부(500)는 센서부(300)가 위치 고정되도록 센서부(300)를 둘러싸며 하우징부(100)와 결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덮개부(500)의 외측면이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삽입되는 방식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볼트 결합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1, 3, and 4, the lid 5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rrounds the sensor unit 300 and fixes the sensor unit 300 to the housing unit 100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d part 5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Operation principle and effect of the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는 하우징부(100), 버튼부(200), 센서부(300), 유도부(400), 덮개부(500)를 포함한다.1 to 4 and 6, a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unit 100, a button unit 200, a sensor unit 300, an induction unit 400, And a lid part 500.

하우징부(100)는 차량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기기 내에서 스위치 장치(1)로 조작이 필요한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버튼부(200)를 상하 방향(도 6 기준)으로 가압하거나 당기면 버튼부(200)가 하우징부(100) 내에서 상하 방향(도 6 기준)으로 이동된다.The housing part 100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operation with the switch device 1 is required not only in the vehicle but also in other electronic devices. When the user presses or pulls the button part 200 up and down (refer to FIG. 6) 200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fer to FIG. 6) in the housing part 100. [

사용자는 구체적으로 조작부(210)를 가압하거나 당기는데 조작부(210)의 상면은 상측(도 6 기준)에서 외측(도 6 기준 좌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하면은 하측(도 6 기준)에서 외측 (도 6 기준 좌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6,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210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reference in FIG. 6) toward the outer side (reference left in FIG. 6) 6 < / RTI > reference left side).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조작부(210)를 가압 시 조작부(210)의 외측면이 수직을 이루는 점에 비하여 자유도 및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egree of freedom and the operation feeling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point w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portion 210 is vertical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portion 210.

버튼본체(220)는 통과부(110)를 통과하여 하우징부(100) 내에 설치되고, 하우징부(100)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25)에 위치고정부(221)가 삽입됨으로 인하여 버튼본체(220)가 하우징부(100) 내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하며 스위치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The button body 22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part 100 through the passing part 110 and the position fixing part 22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part 125 formed in the housing part 100, 220 can stably rotate without being disengaged from the housing part 100, so that the switch device 1 can be operated.

버튼부(200)가 하우징부(100) 내에서 상하(도 6 기준)방향으로 이동하며, 버튼부(200)의 이동으로 센서부(300)에서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 혹은 차단됨으로 인하여 설정된 모드로 구동된다.The button unit 200 moves up and down (refer to FIG. 6) in the housing unit 100 and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sensor unit 300 is transmitted or blocked by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00, .

이로 인하여 추가적인 누름부 등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스위치 장치(1) 설치 시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dditional pressing parts and the like, which minimizes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switch device 1,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sability.

도 4,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20)가 통과부(110)의 단부에서 하우징부(100) 내측(도 7 기준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버튼본체(22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 인하여 버튼본체(220)의 하우징부(100) 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4 and 7, the receiving part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end of the passing part 110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part 100 (reference lower side in FIG. 7) The main body 220 is coupled to be rotatable to prevent the main body 22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using part 100 of the button body 220.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튼본체(220)에서 센서부(300)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0)가 감지부(320)의 발광부(321)와 수광부(325) 사이에 배치되며 도 6의 원위치 상태에서는 발광부(321)와 수광부(325) 사이에 광원의 흐름을 차단한다.6, 8, and 9, a protrusion 230 protruding from the button body 2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toward the sensor unit 300, 32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325 and blocks the flow of the light sour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325 in the home position state of FIG.

도 8,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210)를 가압 혹은 당기면 버튼본체(220)가 상하(도 6 기준) 방향으로 이동하며 돌출부(230)가 발광부(321)와 수광부(325) 사이의 광원의 흐름이 허용되도록 위치가 변경된다. When the user pushes or pulls the operation unit 210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button body 220 moves up and down (refer to FIG. 6), and the protrusion 230 moves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325 The position is changed so that the flow of the light source is allowed.

돌출부(230)가 감지부(320)에서 이격됨으로 인하여 발광부(321)와 수광부(325) 사이에 광원의 흐름이 허용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센서부(300)가 구동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며 설정된 모드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된다.The projecting portion 230 is separated from the sensing portion 320 so that the light source is allowed to flow betwe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321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25. The sensor portion 300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driving portion, The driving unit is operated.

유도부(400)는 버튼부(200)의 하우징부(100) 내에서의 이동 후 원위치(도 6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보조하는 것으로, 도 6의 원위치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210)를 상측(도 8 기준)으로 이동시키면 버튼본체(220)의 우측(도 8 기준)은 하측(도 8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6, the guiding unit 400 assists in restoring the button unit 200 to the home position (state of FIG. 6) after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00 in the housing unit 100. In the home position state of FIG. 6, 8), the right side (refer to FIG. 8) of the button body 220 moves downward (reference to FIG. 8).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부(431)는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에 상향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가이드부(431)와 가압부(420)가 접하는 면은 조작부(210) 측(도 8 기준 좌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8, the guide portion 431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00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431 and the pressing portion 42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8 reference left).

가이드부(431)는 하우징부(100)의 내측면과 접하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버튼부(200)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8 기준 우측)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중앙부 지점은 통과부(110)가 형성되는 하우징부(100)의 일측면에서 가장 이격되게 배치된다. The guide portion 431 protrudes from the both end portions contact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00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utton portion 200 (right side in FIG. 8). Specifically, the center portion is disposed at the most apart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100 where the passing portion 110 is formed.

가이드부(431)가 볼록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처리됨으로 인하여 탄성부재(4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가압부(420)가 가이드부(431)를 따라 가이드부(431)의 중앙부로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friction generated when the pressing portion 420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guide portion 431 along the guide portion 431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10 due to the rounding of the guide portion 431 in a convex shape .

이에 더하여 가이드부(431)와 접하는 가압부(420)의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처리됨으로 인하여 가이드부(431)와 가압부(420) 간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사용자가 도 6과 같이 버튼부(200)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버튼부(200)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탄성부재(410)의 탄성복원력 및 가압부(420), 가이드부(431)의 형상에 의해 복원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420 contacting with the guide portion 431 is processed in a rounded manner,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guide portion 431 and the pressing portion 420 is reduce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10 and the shape of the pressing part 420 and the guide part 431 are restored without directly manipulating the button part 200 so that the elastic part 200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기판부(310)는 하우징부(100) 내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덮개부(500)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위치 고정되므로 돌출부(230)가 감지부(320)의 발광부(321) 및 수광부(325) 사이에 위치하거나 이격됨에 있어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substrate 310 is disposed in the housing part 100 and is specifical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part 500 so that the protruding part 230 protrudes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325 ),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sensing.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는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와 비교하여, 가이드부(433)가 버튼부(200)의 내측면, 구체적으로 버튼본체(220)의 내측면과 결합된다.Next, the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0, the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guide part 433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utton part 200 Specific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body 220. [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10)는 하우징부(100) 내에 고정되고, 가이드부(433)는 버튼부(200)의 내측면과 접하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탄성부재(41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10, the elastic member 4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 the housing part 100, and the guide part 433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guide part 433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part 200, The elastic member 410 is protru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astic member 41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와 달리 탄성부재(410)는 가압부(420)보다 센서부(300) 측에 더 근접하여 배치되고, 가압부(420) 및 탄성부재(410)가 하우징부(100) 내에 형성되는 설치홈부(123)에 설치된다.Unlike the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410 is arranged closer to the sensor portion 300 than the pressing portion 420, and the pressing portion 420 and the elastic member 410 ar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23 formed in the housing part 100.

도 10을 참조하면, 설치홈부(123) 내에서 가압부(420)가 탄성부재(410)를 우측(도 10 기준)으로 가압하면, 탄성부재(410)가 가이드부(433)를 향해 가압부(420)를 좌측(도 10 기준)으로 탄성지지하며, 좌측(도 10 기준)으로 탄성복원력이 발생된다. 10, when the pressing portion 420 presses the elastic member 410 to the right (refer to FIG. 10) in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23, the elastic member 410 moves toward the guide portion 433 toward the pressing portion (Refer to FIG. 10), and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left side (reference to FIG. 10).

이에 따라 가압부(420)는 통과부(110)가 형성되는 하우징부(100)의 일면을 향해 탄성부재(410)보다 근접하여 배치되고, 가이드부(433) 또한 가압부(420)와 접하도록 형성된다.The pressing portion 420 is disposed closer to the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100 where the passing portion 110 is formed than the elastic member 410 and the guide portion 433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420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는 가압부(420)와 탄성부재(410)의 배치 및 가이드부(433)가 버튼부(200)의 내측면과 접하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탄성부재(41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ed such that the arrang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420 and the elastic member 410 and the arrangement of the guide portion 433 at both ends of the guide portion 433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2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elastic member 410 protru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astic member 410.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ame structure and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장치(1)에서 탄성부재(410)는 일단부(도 11 기준 좌측)가 가압부(420)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도 11 기준 우측)은 하우징부(100)에 고정된다. Next, the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1, in the switch device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4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essing portion 420 at one end (reference left in FIG. 11) The reference right side in Fig. 11) is fixed to the housing part 100. [

가압부(420)와 탄성부재(410)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10)는 하우징부(100)의 내측면(도 11 기준 상하측면)과 고정 결합되며, 버튼부(200)를 상하(도 11 기준) 방향으로 조작 시 버튼본체(220)가 상하로 이동하여 버튼부(200)의 내측면과 접하는 가이드부(433)를 따라 도 11의 원위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The pressing portion 420 and the elastic member 41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elastic member 410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ide surface (the upper and lower reference surfaces in FIG. 11) of the housing part 100. When the button part 200 is op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shown in FIG. 11 along the guide portion 433 which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200.

이 점을 제외하면 제2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Except for this point,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so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s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스위치 장치 100: 하우징부
110: 통과부 120: 받침부
123, 223: 설치홈부 125: 결합홀부
200: 버튼부 210: 조작부
220: 버튼본체 221: 위치고정부
230: 돌출부 300: 센서부
310: 기판부 320: 감지부
321: 발광부 325: 수광부
400: 유도부 410: 탄성부재
420: 가압부 431, 433: 가이드부
500: 덮개부
1: Switch device 100: Housing part
110: passing portion 120:
123, 223: an installation groove 125:
200: button portion 210:
220: Button body 221: Position fixing part
230: protrusion 300: sensor part
310: substrate portion 320: sensing portion
321: Light emitting portion 325:
400: guide portion 410: elastic member
420: pressing portion 431, 433: guide portion
500:

Claims (1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구동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부;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버튼부의 이동 시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구비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 후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되는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와 접하며 상기 가압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버튼부의 내측면과 접하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상기 탄성부재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버튼부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부와 접하며, 상기 버튼부 측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A housing part;
A button portion moved in the housing portion;
A sensor unit sensing movement of the button unit and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driving unit; And
An elastic member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guide portion having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elastic member when the button portion is moved, the button portion being formed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movement in the housing portion,
The guide portion
And a guide portio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nd contacting the pressing portion to provide a moving path of the pressing portion,
Wherein the guide portion protru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lastic member toward both ends of the guid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housing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button portion and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ward the button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hous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접하는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an outer surface contacting the guide portion is roun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압부와 접하는 일면이 상기 가압부 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one surface there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is rounded convexly toward the pressing portion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광 센서(PHOTO SENSOR) 방식으로 상기 버튼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senses movement of the button unit by a photo sensor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에 설치되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와 결합되며 발광부와 수광부가 구비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 광원의 흐름이 차단 또는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or unit includes:
A substrate part installed in the housing part; And
And a sensing unit coupled to the substrate unit and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Wherein the light source is interrupted or allowed to flow betwe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s the button moves within the hous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하우징부 외부에 배치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이동하는 버튼본체; 및
상기 버튼본체에서 상기 센서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utton unit includes:
An operating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portion;
A button body coupled to the operating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housing portion and moving within the housing portion; And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utton body toward the sensor unit and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센서부를 둘러싸며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d part surrounding the sensor part and coupled with the housing part so that the sensor part is fixed in position.
KR1020170033959A 2017-03-17 2017-03-17 Apparatus for switching KR1019194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959A KR101919432B1 (en) 2017-03-17 2017-03-17 Apparatus for switc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959A KR101919432B1 (en) 2017-03-17 2017-03-17 Apparatus for switc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90A KR20180106190A (en) 2018-10-01
KR101919432B1 true KR101919432B1 (en) 2018-11-16

Family

ID=6387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959A KR101919432B1 (en) 2017-03-17 2017-03-17 Apparatus for switc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43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927B1 (en) * 2012-10-29 2014-03-25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Multi mode di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927B1 (en) * 2012-10-29 2014-03-25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Multi mode di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90A (en)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3093C2 (en) Control device
JP3213042U7 (en)
KR100619892B1 (en) Switch assembly
KR101919432B1 (en) Apparatus for switching
KR100835142B1 (en) Scroll pushing swtich module
US7518070B2 (en) Electrical switch
EP3611600B1 (en) Keyboard
KR200468484Y1 (e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US4873403A (en) On-off switch system for a pair of conductors
KR20190018277A (en) Paddle shift switch unit for vehicle
KR101779339B1 (en) Switch apparatus
US7564001B2 (en) Switch and remote controller using the same
JP4600206B2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JP4910666B2 (en) Switch device and remote control transmitter using the same
JP2015015075A (en) Cover for switch, sealing structure for switch,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896772B1 (en) Switch apparatus
KR101126484B1 (en)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JP4844372B2 (en) Switch device and remote control transmitter using the same
JP4502789B2 (en) Equipment with operated members
JP5169703B2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JPH11213795A (en) Push button switch apparatus provided with hold function
KR101811766B1 (en) Switch for remote controller
KR102515107B1 (en) Touch switch unit for vehicle
JP2007103285A (en) Switching device and remote control transmitter using this
JP5272689B2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