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711B1 -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711B1
KR101918711B1 KR1020180002419A KR20180002419A KR101918711B1 KR 101918711 B1 KR101918711 B1 KR 101918711B1 KR 1020180002419 A KR1020180002419 A KR 1020180002419A KR 20180002419 A KR20180002419 A KR 20180002419A KR 101918711 B1 KR101918711 B1 KR 101918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lip
housing
actu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탁
강익주
안혁
한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아
Priority to KR102018000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711B1/ko
Priority to PCT/KR2018/012523 priority patent/WO201913547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68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U-shaped staples or clamps, e.g. without a forming anv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클립을 대상 부위에 제공하는 클립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되어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과, 상기 하우징 후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에 의해 고정되는 작동블럭과,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작동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을 전진 및 후진시키고,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파단되도록 형성된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에 의해 클립이 대상 부위를 파지하고, 그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위치 및 그 후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의 분리 시점을 특정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시술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Medical clip applier}
본 발명은 의료용 클립을 대상 부위에 제공하는 클립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 부위로의 클립의 제공, 대상 부위의 파지, 고정 등의 동작이 연속적이면서 정확한 동작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클립은 개방형 또는 내시경형 외과 수술시 절단된 혈관의 양쪽을 지혈하기 위해 사용되나, 천공시의 점막 결손, 누공, 수술문합부의 누출, 수술 위치에 대한 확인과 카테터, 영양관, 스텐트의 고정과 같은 비출혈에 대한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는 조직 손상을 초래하지 않고 뚜렷한 지혈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으로, 조직괴사나 천공 등의 합병증이 거의 없어 위장관 출혈의 지혈술 등에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지혈 클립을 제공하기 장치로는, 미국등록특허 US8,162,959호, 일본등록특허 JP4,921,173호 등이 있으며, 지혈부위의 양측에 지혈 클립을 제공하고, 지혈 클립을 파지하여 혈관을 압박시킴으로써 혈관의 폐색을 유도하게 된다.
종래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에 지혈 클립이 수용되고, 지혈 클립을 하우징 내외측으로 진퇴시키는 작동부 등으로 크게 구성된다.
특히 내시경형 외과 수술의 경우, 내시경관을 통해 지혈 클립 장치의 선단부를 시술 부위로 이동시키고, 지혈 클립을 돌출시켜 지혈부위를 파지하고, 그 상태로 지혈 클립을 고정시킨 후, 고정된 지혈 클립을 작동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지혈 클립의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혈 클립 제공 장치는 클립의 이동과 공급이 정확한 타이밍에 의한 제어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여,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복잡한 구성에 의해 부품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혈 클립 제공장치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있다.
또한, 지혈부위의 파지 후 지혈 클립을 하우징 등과 분리시킬 때 지혈부위에 과도하게 힘이 주어지거나, 이런 과정에서 하우징에 힘이 과하게 작용되어 장치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또한, 기존 지혈 클립 제공장치는 지혈 클립을 분리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구성이 지혈 클립의 암의 고정 또는 지혈 클립의 분리 순간에 가해지는 힘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지혈 클립의 분리시 암의 과고정 및 지혈 부위에 과잉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지혈 클립의 분리되는 힘이 암의 고정에 적용될 경우 분리 시점의 불명확화 및 암 고정의 풀림, 지혈부위를 잡고 있는 파지력의 균형이 깨지게 되어, 지혈부위의 과잉 파지에 따른 조직 손상이나, 지혈 부위의 풀림에 따른 지혈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혈 클립 제공장치는 지혈 클립의 분리에 따른 힘이 지혈 클립의 암에 최소한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지혈부위의 파지, 파지된 상태의 유지 및 고정, 지혈 클립의 분리 동작이 지혈부위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지혈 클립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우므로 기기 내부의 구조적인 수단으로 정확한 동작이 보장되어야 한다.
즉, 작동부의 동작에 의한 지혈 클립의 공급 및 작동, 지혈부위의 파지, 지혈 클립의 고정, 지혈 클립의 분리가 연속적이고, 정확한 타이밍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여야 하나, 종래 기술들은 이러한 요구 조건에 있어서 미흡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상 부위로의 클립의 제공, 대상 부위의 파지, 고정 등의 동작이 연속적이면서 정확한 동작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되어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과, 상기 하우징 후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에 의해 고정되는 작동블럭과,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작동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을 전진 및 후진시키고,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파단되도록 형성된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블럭은, 상기 블럭고정홈에 탄성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블럭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러너와, 상기 클립을 고정시키는 클립고정부와, 상기 작동와이어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럭고정홈에 탄성결합되는 고정날개와, 상기 작동와이어 선단부가 결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블럭과 작동와이어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유도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블럭에는, 상기 파단유도홈에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보조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블럭의 수용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수직단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블럭의 고정 위치 및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작동와이어의 파단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와이어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는 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러너는, 상기 작동블럭에 조립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작동블럭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절곡예정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작동와이어와 함께 분리되도록 형성된 연결관이 더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대상 부위로의 클립의 제공, 대상 부위의 파지, 그리고 그 상태의 고정 및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는 작동부의 분리가 연속적이면서 정확한 동작에 의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립이 대상 부위를 파지하고, 그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위치 및 그 후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의 분리 시점을 특정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시술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립의 대상 부위 파지 후 추가적인 힘에 의해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이 분리되게 되는데, 이 경우 클립에 추가적인 힘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상기 분리 시점의 정확화가 구현되고, 클립의 풀림이나 비틀림 현상이 방지되며, 대상 부위의 파지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조직 손상이나 지혈 부위의 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대한 모식도.
도 2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
도 6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7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8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9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
본 발명은 의료용 클립을 대상 부위에 제공하는 클립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대상 부위로의 클립의 제공, 대상 부위의 파지, 그리고 그 상태의 고정 및 작동와이어(300)를 포함하는 작동부의 분리가 연속적이면서 정확한 동작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클립이 대상 부위를 파지하고, 그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위치 및 그 후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 및 작동부 등의 분리 시점을 특정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클립의 대상 부위 파지 후 추가적인 힘에 의해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이 분리되게 되는데, 이 경우 클립에 추가적인 힘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상기 분리 시점의 정확화가 구현되고, 클립의 풀림이나 비틀림 현상이 방지되며, 대상 부위의 파지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조직 손상이나 지혈 부위의 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는 하우징과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10), 그리고 클립(10)과 결합되어 클립(10)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작동부(20)로 크게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클립(10)과 작동부(20)와 연결되어 클립(10)을 직선운동시키고, 클립(10)의 고정 위치 및 작동부(20)와의 분리시점을 특정하기 위해 하우징(100), 작동블럭(200) 그리고 작동와이어(300)의 구성을 그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클립(10)에 의해 파지되는 대상 부위는 출혈 또는 비출혈 부위에 파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어떠한 부위, 대상에 해당되며, 예컨대 지혈 부위, 천공시의 점막 결손, 누공, 수술문합부의 누출, 수술 위치에 대한 확인과 카테터, 영양관, 스텐트의 고정과 같은 비출혈 부위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작동부(20)와 클립(10)은 공지된 형태를 사용하며, 도 1에 도시된 작동부(20)는 지지부재(22)를 지지하면서 손잡이(21)를 당김으로써 이와 탄성연결된 작동와이어(300)에 의해 클립(10)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고, 클립이 파지가 완료되면 하우징(100)과 연결된 연결관(140) 및 작동부(20) 등을 분리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되어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과, 상기 하우징(100) 후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120)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고정되는 작동블럭(200)과,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작동블럭(20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작동와이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 제공 장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되어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과, 상기 하우징(100) 후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2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손잡이(21)와, 손잡이(21)를 지지하면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지지부재(22)로 구현된다. 상기 지지부재(22)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클립(1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되며, 지지부재(22)를 당기면 클립이 후진하게 되고, 지지부재(22)를 놓으면 클립(10)이 전진하게 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와이어(300)와 연결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작동와이어(300)가 동작되도록 하여, 작동와이어(300)의 움직임에 따라 클립이 전진 또는 후진되게 된다.
즉, 작동와이어(300)가 전진하면 하우징(100) 전방으로 클립을 전진시켜 상기 클립을 대상 부위에 도달시키고, 힘을 가하여 지지부재를 후방으로 당기면 대상 부위를 파지함과 동시에 클립은 하우징(100) 내부로 수용되면서 특정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그 후 추가적인 힘을 가하면 작동와이어(300)와 클립의 연결부(본 발명에서는 작동블럭(200))가 끊어지면서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 및 작동부가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 제어 및 작동부의 작동, 그리고 작동부 등의 분리 동작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클립 위치의 고정 및 분리 시점의 특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현되고, 추가적인 힘을 가하여도 클립에 전달되는 영향이 최소가 되어, 대상 부위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의 구현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클립을 수용하고 전진 및 후진을 안내하게 되는 하우징(100)의 형태를 개선하고, 위치 제어를 위한 작동블럭(200)과, 작동와이어(300)를 도입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1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클립을 수용하게 되며, 클립의 단부는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대상 부위를 파지한 이후에는 클립의 아암(arm)의 일정 부분이 수용되며, 후술할 작동블럭(200)도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상기 하우징(100)에 절삭된 형태로 형성되며, 후술할 작동블럭(2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블럭(20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최소 두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0) 양측에 서로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작동블럭(200)이 이동되는 유격거리 즉, 클립을 하우징(100) 전방측으로 최대한 돌출시키기 위한 작동블럭(200)의 위치와 클립이 하우징(100) 내부로 수용되고 작동블럭(200)이 고정되면서 작동와이어(300)가 파단되는 위치까지 작동블럭(200)이 안내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110)에는 후술할 작동블럭(200)에 형성된 가이드러너(210)가 결합되면서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상기 작동블럭(200)이 안정적이면서 스무드하게 움직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120)이 구비된다.
상기 블럭고정홈(120)은 후술할 작동와이어(300)의 작동에 따라 작동블럭(200)이 움직이게 되고, 작동와이어(300)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작동블럭(200)의 움직임이 제어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작동블럭(200)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작동블럭(200)이 고정됨에 따라 이와 연결된 클립이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블럭고정홈(120)은 클립의 고정 위치 및 추가적인 힘에 따라 작동와이어(300) 등의 파단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럭고정홈(120)의 위치는 이와 같은 클립의 고정 위치 및 파단 위치 즉, 작동와이어(300)의 분리되는 지점을 고려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및 작동블럭(200), 그리고 작동와이어(300)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직선운동만을 수행하므로, 상기 블럭고정홈(120)은 클립의 진행방향을 따라 즉,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클립의 개방정도, 클립의 고정 위치,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 등의 분리위치 등을 고려하여, 상기 블럭고정홈(120)의 갯수와 간격 등을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선단부에는 절곡예정팁(130)이 구비되어, 클립을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한 후 내측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클립의 무단 이탈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블럭(200)은 전방측으로는 클립과 결합되고 후방측으로는 작동와이어(300)와도 결합되어, 작동와이어(300)의 작동에 따라 클립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블럭(200)은 기본적으로 상기 하우징(100) 내벽을 탄성가압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10)에 의해 안내되어 하우징(100) 내벽을 따라 움직이다가 상기 블럭고정홈(120)의 위치에서는 상기 블럭고정홈(120)과 탄성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작동블럭(20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면 클립의 파지 상태도 고정되게 되는 것으로, 작동블럭(200)이 고정되는 위치는 필요에 따라 클립의 개방정도, 클립의 고정 위치,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 등의 분리위치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게 되며, 이는 블럭고정홈(120)의 위치와 갯수 등의 조절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도록 하여, 별도의 결합 및 고정을 위한 부가적인 구성 수단이 필요치 않고, 작동블럭(20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작동블럭(20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의 탄성결합을 구현하고, 파지 후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작동블럭(200)의 블럭고정홈(120)에 결합되는 부분이 경사지게(후방측으로 낮게) 형성되거나, 탄성유동될 수 있도록 탄성보조홈(260) 같은 것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립에 의한 대상 부위를 파지하면서 작동와이어(3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작동블럭(200)이 함께 연동되어 움직이게 되고,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는 시점에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더욱 추가적인 힘을 발휘하면 작동블럭(200)은 블럭고정홈(120)에 고정되어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와이어(300)만 파단되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파단(분리)을 위한 추가적인 힘을 가해도 클립에 추가적인 힘이 전달되지 않아 클립은 안정적으로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서 작동와이어(300)만 분리되게 된다.
작동와이어(300)가 분리되면서 작동부 및 이들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140), 도입관(150) 등도 동시에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분리되는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 널리 알려진 바 있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에 연결된 연결관(14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구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작동부의 손잡이 등을 당김으로서 하우징(100)의 후단부와 연결관(140)과의 연결부가 동시에 당겨지도록 하여 결합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작동와이어(300), 연결관(140) 이를 연결하는 도입관(150)과, 작동부가 작동블럭(200)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와이어(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작동블럭(20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을 전진 및 후진시키고, 작동블럭(200)으로부터 파단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동와이어(300)는 작동블럭(200)과 결합되는 헤드부(310)와, 상기 헤드부(310)에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와 연결된 몸체부(320)로 구성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된 작동블럭(200)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부의 손잡이를 당기면 작동와이어(300)도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블럭(200) 및 클립도 후방으로 당겨져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이때 클립은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의 손잡이를 놓거나 밀면 작동왕이어는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블럭(200) 및 클립도 전방으로 이동해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클립은 대상부위를 파지하기 위해 입(jaw)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작동와이어(300)는 클립의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파단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작동블럭(200)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작동블럭(200)을 움직이는데 제한이 없도록 하면서, 추가적인 힘을 가하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되어 서로 분리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에서 추가적인 힘은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지지되어 작동블럭(200)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작동와이어(300)를 당김으로써 작동블럭(200)의 움직임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만 분리시키는 힘이다. 이에 의해 작동블럭(200)에 결합된 클립도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더 이상의 추가적인 힘은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동블럭(200)과 작동와이어(300)는 추가적인 힘을 가하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되는 구조가 실현되기 위해 결합된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위해 작동와이어(300)의 선단부에는 헤드부(310)가 작동블럭(200)의 내부에는 이를 수용하는 수용부(2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작동와이어(3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수용부(240)와 헤드부(310)의 구성에 의해 작동블럭(200)이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240)는 후방으로 갈수록 수직단면적이 좁게 형성되도록 하여, 추가적인 힘이 더해지면 상기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가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수용부(240)는 상기 작동블럭(200)의 고정 위치 및 상기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의 파단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홈(241)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클립의 고정 위치 및 파단되는 시점을 수용홈(241)의 형태를 달리하여 구분함으로써, 수용홈(241)을 따라 움직이는 작동와이어(300)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블럭(200)의 고정 및 파단 위치의 제어가 제대로 구현되는 것을 부수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이다
도면은 클립 및 작동부 등의 구성은 편의상 생략하고, 본 발명의 주요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하우징(100), 작동블럭(200) 그리고 작동와이어(300)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양단에 개방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양측부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 상측부에는 블럭고정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10)가 양측으로 두개, 블럭고정홈(120)이 상측으로 두개, 작동블럭(200)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고정되게 되며, 상기 블럭고정홈(120)에는 상기 작동블럭(200)이 탄성결합되어 작동블럭(200)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단면 형상과 유사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블럭(20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을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러너(210)가 구현된다. 상기 가이드러너(210)가 가이드부(110)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작동블럭(200)의 움직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러너(210)는 상기 작동블럭(200)에 조립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작동블럭(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상기 가이드부(110)에 결합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작동블럭(200)의 양측에서 상기 가이드부(11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 예컨대, 핀, 돌기 형태, 단추, 고정날개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의 전방측, 예컨대 선단부에는 클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고정부(220)가 형성된다. 클립의 형태나 작동방식에 따라 클립고정부(22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블럭(200)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작동와이어(3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는 고정날개(2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날개(230)는 작동블럭(200)의 후방측으로 낮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면서도 상기 블럭고정홈(120)에는 탄성결합되도록 하고, 클립의 대상 부위 파지 후에는 일정한 힘 이상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한다.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하우징(100)의 상측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날개(230)도 상기 작동블럭(200)의 상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며, 상기 고정날개(230)가 상측으로 움직이면서 블럭고정홈(120)에 작동블럭(200)이 탄성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블럭(200)의 탄성결합을 보조하기 위해 탄성보조홈(2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시 작동블럭(200)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가 수용되는 수용부(240)가 형성되어 작동와이어(300)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블럭(200)이 안정적으로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에는 상기 수용부(240)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블럭(200)과 작동와이어(300)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유도홈(250)이 형성된다. 상기 파단유도홈(250)은 상기 수용부(240)에 연통되어 작동와이어(300)의 후진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40)의 단면적보다는 좁게 형성되어 작동와이어(300)가 후진 방향으로 추가적인 힘이 발생할 경우 상기 파단유도홈(250)을 따라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보조홈(260)이 상기 파단유도홈(250)에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여 파단시 작동와이어(300) 및 작동블럭(200)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의 주요부의 작동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작동블럭(200)을 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에 고정시켜 대상 부위로 향하도록 클립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클립에 의해 대상 부위를 파지하면서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와이어(300)를 당긴다(도 5(a)).
상기 작동와이어(300)를 당겨 작동블럭(200)을 후진시키면 상기 작동블럭(200)은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게 된다. 이 위치가 클립에 의해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는 지점이며, 이 위치에서 파지된 상태의 유지 즉 클립을 고정시키게 된다(도 5(b)).
그리고, 추가적인 힘을 가하면 상기 작동블럭(200)의 수용부(240)로부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가 빠져나오면서 파단유도홈(250)이 벌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작동블럭(20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힘에 의해서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의 길이보다,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의 고정날개(230)가 받는 힘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후방 블럭고정홈(120)에서의 작동블럭(200)의 이동이 더 어렵도록 후방 블럭고정홈(120)의 길이가 더 길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럭고정홈(120)은 하우징(100)의 일부분을 절삭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부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와 함께 분리되도록 형성된 연결관(140)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관(140)이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의 선단부를 형성하게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관(140)의 수직 단면의 길이가 더 작게, 즉,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120)에 작동블럭(200)이 결합되게 되면 추가적인 힘을 주더라도 작동블럭(200)이 더 이상 후방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도 5(c))
따라서, 처음 클립에 의해 파지된 힘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클립의 위치가 고정되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유도홈(250)으로부터 파단될 수 있을 정도의 추가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도 5(c)), 작동와이어(300)가 파단유도홈(250)으로부터 파단되면서,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연결관(140)이 하우징(100)에서 분리가 되어, 작동와이어(300), 연결관(140) 이를 연결하는 도입관(150) 및 작동부가 작동블럭(200) 및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가 되게 된다(도 5(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립에 의한 대상 부위를 파지하면서 작동와이어(3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작동블럭(200)이 함께 연동되어 움직이게 되고,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는 시점에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더욱 추가적인 힘을 발휘하면 작동블럭(200)은 블럭고정홈(120)에 고정되어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와이어(300)만 파단되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파단(분리)을 위한 추가적인 힘을 가해도 클립에 추가적인 힘이 전달되지 않아 클립은 안정적으로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서 작동와이어(300)만 분리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예시도이다
도면은 클립 및 작동부 등의 구성은 편의상 생략하고, 본 발명의 주요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하우징(100), 작동블럭(200) 그리고 작동와이어(300)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하우징(100)은 양단에 개방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양측부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 상측부에는 블럭고정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10)가 양측으로 두개, 블럭고정홈(120)이 상하측으로 두개, 즉 하우징(100)의 후방 상하측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연결관(140)과는 상관없이 하우징(100)의 일부를 절삭하여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고정되게 되며, 상기 블럭고정홈(120)에는 상기 작동블럭(200)이 탄성결합되어 작동블럭(200)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단면 형상과 유사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러너(210)가 구현된다. 상기 가이드러너(210)가 가이드부(110)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작동블럭(200)의 움직임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의 전방측, 예컨대 선단부에는 클립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고정부(220)가 형성된다. 클립의 형태나 작동방식에 따라 클립고정부(22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블럭(200) 선단부에 끼움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은 상기 작동와이어(3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는 고정날개(230)가 구비된다. 상기 블럭고정홈(120)이 하우징(100) 상하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날개(230)는 작동블럭(200)의 상하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날개(230)가 벌어지면서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게 된다.
상기 고정날개(230)는 작동블럭(200)의 후방측으로 수직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블럭고정홈(120)에 도달하게 되면 가압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작동블럭(2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면서도 상기 블럭고정홈(120)에는 탄성결합되도록 하고, 클립의 대상 부위 파지 후에는 일정한 힘 이상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블럭(200)의 탄성결합을 보조하기 위해 탄성보조홈(2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시 작동블럭(200)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가 수용되는 수용부(240)가 형성되어 작동와이어(300)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블럭(200)이 안정적으로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240)는 후방으로 갈수록 수직 단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블럭(200)의 고정 위치 및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의 파단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홈(241)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클립의 고정 위치 및 파단되는 시점을 수용홈(241)의 형태를 달리하여 구분함으로써, 수용홈(241)을 따라 움직이는 작동와이어(300)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블럭(200)의 고정 및 파단 위치의 제어가 제대로 구현되는 것을 부수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블럭(200)에는 상기 수용부(240)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블럭(200)과 작동와이어(300)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유도홈(250)이 형성된다. 상기 파단유도홈(250)은 상기 수용부(240)에 연통되어 작동와이어(300)의 후진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40)의 단면적보다는 좁게 형성되어 작동와이어(300)가 후진 방향으로 추가적인 힘이 발생할 경우 상기 파단유도홈(250)을 따라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보조홈(260)이 상기 파단유도홈(250)에 인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하여 파단시 작동와이어(300) 및 작동블럭(200)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의 주요부의 작동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작동블럭(20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대상 부위로 향하도록 클립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클립에 의해 대상 부위를 파지하면서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와이어(300)를 당긴다(도 9(a)).
상기 작동와이어(300)를 당겨 작동블럭(200)을 후진시키면 상기 작동블럭(200)은 블럭고정홈(120)에 탄성결합되게 된다. 이 위치가 클립에 의해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는 지점이며, 이 위치에서 파지된 상태의 유지 즉 클립을 고정시키게 된다(도 9(b)).
그리고, 추가적인 힘을 가하면 상기 작동블럭(200)의 제1수용홈(241)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가 빠져나오면서 상기 제1수용홈(241)보다 수직 단면적이 좁은 제2수용홈(241)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에 의해 작동블럭(200)의 고정날개(230)가 벌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블럭고정홈(120)에 의해 작동블럭(20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힘에 의해서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더 추가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작동와이어(300)는 파단유도홈(250)에 도달하게 되면서 작동블럭(2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의 헤드부(310)가 파단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럭고정홈(120)은 하우징(100)의 일부분을 절삭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부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작동와이어(300)와 함께 분리되도록 형성된 연결관(140)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관(140)이 상기 하우징(100)의 후측부 내부에 완전히 수용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작동블럭(200)이 연결관(140)에 의해서도 걸리는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추가적인 힘을 주더라도 작동블럭(200)이 더 이상 후방으로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도 9(c))
따라서, 처음 클립에 의해 파지된 힘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클립의 위치가 고정되며, 작동와이어(300)가 파단유도홈(250)으로부터 파단될 수 있을 정도의 추가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도 9(c)), 작동와이어(300)가 파단유도홈(250)으로부터 파단되면서,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연결관(140)이 하우징(100)에서 분리가 되어, 작동와이어(300), 연결관(140) 이를 연결하는 도입관(150) 및 작동부가 작동블럭(200) 및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가 되게 된다(도 9(d), 9(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립에 의한 대상 부위를 파지하면서 작동와이어(3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작동블럭(200)이 함께 연동되어 움직이게 되고, 대상 부위의 파지가 완료되는 시점에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더욱 추가적인 힘을 발휘하면 작동블럭(200)은 블럭고정홈(120)에 고정되어 작동블럭(200)이 블럭고정홈(120)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와이어(300)만 파단되어 작동블럭(200)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파단(분리)을 위한 추가적인 힘을 가해도 클립에 추가적인 힘이 전달되지 않아 클립은 안정적으로 대상 부위를 파지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서 작동와이어(300)만 분리되게 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대상 부위로의 클립의 제공, 대상 부위의 파지, 그리고 그 상태의 고정 및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는 작동부의 분리가 연속적이면서 정확한 동작에 의해 구현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클립이 대상 부위를 파지하고, 그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위치 및 그 후 클립으로부터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의 분리 시점을 특정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클립의 대상 부위 파지 후 추가적인 힘에 의해 작동와이어 및 작동부 등이 분리되게 되는데, 이 경우 클립에 추가적인 힘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상기 분리 시점의 정확화가 구현되고, 클립의 풀림이나 비틀림 현상이 방지되며, 대상 부위의 파지력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조직 손상이나 지혈 부위의 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 : 클립 20: 작동부
21 : 손잡이 22 : 지지부재
100 : 하우징 110 : 가이드부
120 : 블럭고정홈 130 : 절곡예정팁
140 : 연결관 150 : 도입관
200 : 작동블럭 210 : 가이드러너
220 : 클립고정부 230 : 고정날개
240 : 수용부 241 : 수용홈
250 : 파단유도홈 260 : 탄성보조홈
300 : 작동와이어 310 : 헤드부
320 : 몸체부

Claims (9)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전진 및 후진되어 대상 부위를 파지하는 클립과, 상기 하우징 후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클립의 전진 및 후진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의 진행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블럭고정홈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블럭고정홈에 의해 고정되는 작동블럭;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작동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블럭을 전진 및 후진시키고,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파단되도록 형성된 작동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블럭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러너;
    상기 클립을 고정시키는 클립고정부;
    상기 작동와이어의 동작에 따라 상기 블럭고정홈에 탄성결합되는 고정날개;
    상기 작동와이어 선단부가 결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작동블럭과 작동와이어의 파단을 유도하는 파단유도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은,
    상기 블럭고정홈에 탄성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보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의 수용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수직단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블럭의 고정 위치 및 상기 작동블럭으로부터 작동와이어의 파단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수용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와이어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는 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러너는,
    상기 작동블럭에 조립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작동블럭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절곡예정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작동와이어와 함께 분리되도록 형성된 연결관과 작동부와 연결되는 도입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된 블럭고정홈의 선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KR1020180002419A 2018-01-08 2018-01-08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KR101918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19A KR101918711B1 (ko) 2018-01-08 2018-01-08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PCT/KR2018/012523 WO2019135474A1 (ko) 2018-01-08 2018-10-23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19A KR101918711B1 (ko) 2018-01-08 2018-01-08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711B1 true KR101918711B1 (ko) 2018-11-14

Family

ID=6432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19A KR101918711B1 (ko) 2018-01-08 2018-01-08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8711B1 (ko)
WO (1) WO201913547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2636A1 (en) 2010-07-14 2012-01-1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s with electrodes
US20120109160A1 (en) * 2010-10-11 2012-05-03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dical devices with detachable pivotable jaw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4083A1 (de) * 2003-07-26 2005-02-24 Carl Stah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doskopischen Applizierung von sich schließenden medizinischen Clips
WO2005046489A1 (en) * 2003-11-07 2005-05-26 Scimed Life Systems, Inc. Endoscopic hemoscopic clipping apparatus
KR101781403B1 (ko) * 2016-04-27 2017-09-25 주식회사 엔도비전 지혈용 클립 제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2636A1 (en) 2010-07-14 2012-01-1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s with electrodes
US20120109160A1 (en) * 2010-10-11 2012-05-03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dical devices with detachable pivotable ja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5474A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0105A (en) Control handle for an endoscope
JP4879900B2 (ja) 外科用ステープル器具
US7063661B2 (en) Endoscopic mucous membrane resection instrument and endoscopic mucous membrane resection method
EP2123225B1 (en) Endoscope device
US5300082A (en) Endoneedle holder surgical instrument
US20040162569A1 (en) Transmitting an actuating force along a curved instrument
WO2012111761A1 (ja) 内視鏡および内視鏡用処置具
US200602710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ndoscopic application of self-closing medical clips
KR101656944B1 (ko) 내시경용 주사장치
JP2003504104A (ja) 電気−機械式駆動装置と共に使用される平行な拡張あご装置
CN112672700B (zh) 连发施夹钳和连发施夹钳送料装置
JP2000254143A (ja) 内視鏡用止血クリップ装置
WO2015151627A1 (ja) 心耳結紮用処置具
JP2019193764A (ja) ワーキングチャネル案内要素を備えた装置
WO2005110187A1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1918711B1 (ko) 의료용 클립 제공 장치
CN106264714B (zh) 一种高频电外科手术器械及其驱动装置
JP5019723B2 (ja) 切開鉗子
JP2001120557A (ja) 穿刺針システム
EP3689255B1 (en) Recoverable percutaneous anchor
JP2001170063A (ja) 内視鏡用処置具の操作装置
KR20220080625A (ko) 내시경용 결찰장치
JPH10216148A (ja) スネア付き鉗子装置
KR20160079989A (ko) 내시경용 포셉
US8747298B2 (en) Probe manip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