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928B1 -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928B1
KR101917928B1 KR1020160152097A KR20160152097A KR101917928B1 KR 101917928 B1 KR101917928 B1 KR 101917928B1 KR 1020160152097 A KR1020160152097 A KR 1020160152097A KR 20160152097 A KR20160152097 A KR 20160152097A KR 101917928 B1 KR101917928 B1 KR 101917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ure
closing force
actuating
door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302A (ko
Inventor
윤정식
Original Assignee
윤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식 filed Critical 윤정식
Priority to KR102016015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9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8Traction spring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증강시키는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를 착탈 가능케 결합한 상태로 도어에 고정 설치하는 메인브래킷(100)과; 상기 메인브래킷 하부에서 상기 도어클로저의 작동축(A1)에 결합하여 도어클로저와 연동하는 작동캠(200)과; 상기 메인브래킷에 설치하여 상기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조절하는 폐쇄력조절블록(300)과; 상기 작동캠과 접동하는 작동롤러(402)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브래킷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는 회동암(400)과; 상기 회동암(400)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한 연결암(500)과; 상기 작동롤러와 상기 연결암 간에 설치되어 폐쇄력을 유지하는 코일스프링(6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증강시켜 도어의 완전히 닫힘 및 도어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어, 조립 품질과 더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부품간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작동성 및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CLOSING POWER REINFORCEMENT DEVICE FOR DOOR CLOSER}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도어(출입문 또는 방화문)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증강시켜 도어의 완전히 닫힘 및 도어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상업용 건물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현관 또는 피난계단, 재연구역 등에 설치되는 도어(출입문 또는 방화문)에는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열린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여 이용자의 출입시 도어를 일일이 직접 닫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클로저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특히 피난계단이나 재연구역 등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경우에는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화문이 반드시 닫히게 함과 동시에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어클로저(Door closer)가 반드시 설치된다.
일반적인 도어클로저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도어(20) 상부에 도어클로저(10)의 보디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보디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과 오일 댐퍼에 의해 일정한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작동축(11)의 상단부를 상기 보디케이스의 상부로 돌출 형성한 후,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 절첩되는 로드(12)의 일단부를 결합하여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게 하고, 상기 로드(12)의 타단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케 하여 그 단부를 문틀(30)에 회동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된 후, 직접 닫지 않더라도 도어클로저 내부의 스프링과 오일 댐퍼의 조합에 의해 작동축이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도어를 닫아주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도어클로저의 경우에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는 폐쇄력이 너무 강하면 이용자가 출입을 위해서 도어를 열 때 너무 많은 힘을 들어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일정 압력 이상으로 높일 수 없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설계 단계에서 도어의 크기가 증대되는 경우에 일반적인 도어클로저만을 이용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닫거나, 도어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에는 도어클로저 자체의 폐쇄력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피난계단이나 재연구역 등에 설치된 방화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힐 때, 재연구역 내부에 설치된 급기댐퍼에 의하여 방연풍속과 차압이 발생하여 방화문 방향으로 전도될 경우에는 방화문이 도어클로저에 의하여 닫히는 과정에서 전도되는 압력에 의하여 방화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고, 도어가 멈추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화재 발생 상황에도 불구하고 방화문이 도어클로저에 의해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에는 화염과 연기가 방화문이 열린 틈을 통해 아래층 또는 위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인명 대피를 위해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피난계단 등이 화염과 연기에 노출됨으로써 화재로 인한 재산, 인명 피해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폐쇄력이 약한 도어클로저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증강시키는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가 개발되었는데, 본원 출원인 또한 2009년에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를 개발하여 특허 제10-1034735호로 등록받은 바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구조와 기능이 개선된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를 계속 개발하고 있는데, 본원 출원인이 가장 근래에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10-1666743호의 기술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는,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도어클로저(101)의 배면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면(111)을 가지고, 상기 결합면(111)의 양측에는 도어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공(112)을 형성한 장착면(113)을 가지고 구비하는 메인브라켓(114)과, 상기 메인브라켓(114)의 중앙부에 도어클로저(101)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작동축(102) 방향으로 절곡하고 작동축보스(105)와 간섭이 없도록 보스홈(115)을 형성한 연결편(116)과, 중앙부에 작동축보스(105)와 간섭이 없도록 보스홈(118)을 형성하여 연결편(116)에 결합되는 작동판(117)과, 상기 작동판(117)의 전면부 측에는 작동수단(130)의 작동롤러가 결합되어 작동캠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폐쇄력발생수단(150)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작동홀(121)을 포함하여 도어클로저(101)를 도어프레임에 장착하고 증강장치(100)를 도어클로저(101)와 연결되는 유지수단(110)과; 상기 도어클로저(101)의 작동축(102)과 연결되어 도어클러저(101)를 폐쇄시키는 작동수단(130)과; 상기 유지수단(110)과 작동수단(130)을 연결하여 증가된 폐쇄력을 작동수단(130)을 통하여 도어클로저(101)로 전달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여지게하는 폐쇄력발생수단(150)으로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100)를 구성하고; 상기 작동수단(130)은, 대직경을 가지는 개방원주면(133)과, 개방원주면(13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폐쇄원주면(134)을 가지고 개방원주면(133)과 폐쇄원주면(134)의 연결위치에는 작동롤러(132)가 걸림되어 폐쇄력을 전달 수 있는 걸림턱(135)을 형성하여 작동축(102)에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작동캠(131)과, 상기 작동캠(131)과 연접되어 폐쇄력발생수단(150)의 폐쇄력을 전달받아 작동캠(131)을 회전시켜 도어클로저(101)의 닫힘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는 작동롤러(132)로 구성하고; 상기 작동캠(131)의 걸림턱(135)은 작동캠(131)의 중심(P)에서 폐쇄원주면(134)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작동캠(131)의 중심(P)에서 개방원주면(133)과 걸림턱(135)의 교차점(P1)이 이루는 각은 도어가 닫혀지는 시점에서 폐쇄력을 더 부여할 수 있도록 10°가 되도록 구성하고; 작동판(117)에 형성되는 작동홀(121)에 삽입되는 부싱(136)과 작동롤러(132)를 유지하는 롤러축(137)의 상면헤드(138)는 도어클로저(101)의 저면부와 연접되고 부싱(136)의 상면과 작동롤러(132)의 저면에는 폐쇄력발생수단(150)의 폐쇄로드를 연결하고; 상기 부싱(136)의 폭(B)은 작동홀(121)의 깊이(D)보다 0.1~0,5㎜ 크게 형성하여 작동롤러(132)의 내륜(139)과 밀착되어 작동롤러(132)가 구름운동 가능하면서 작동판(117)의 두께방향으로 유격을 없앨 수 있게 구성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919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0628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3473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6674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는 구성 부품의 수가 너무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생산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는 도어클로저(101)의 배면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면(111)을 가지고, 상기 결합면(111)의 양측에는 도어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공(112)을 형성한 장착면(113)을 가지고 구비하는 메인브라켓(114)과, 상기 메인브라켓(114)의 중앙부에 도어클로저(101)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작동축(102) 방향으로 절곡하고 작동축보스(105)와 간섭이 없도록 보스홈(115)을 형성한 연결편(116)과, 중앙부에 작동축보스(105)와 간섭이 없도록 보스홈(118)을 형성하여 연결편(116)에 결합되는 작동판(117)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작동판(117)에 형성되는 작동홀(121)에 삽입되는 부싱(136)과 작동롤러(132)를 유지하는 롤러축(137)의 상면헤드(138)는 도어클로저(101)의 저면부와 연접되고 부싱(136)의 상면과 작동롤러(132)의 저면에는 폐쇄력발생수단(150)의 폐쇄로드를 연결함으로써 작동수단(130)은 도어클로저를 폐쇄위치로 밀고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이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힘에 의하여 도어클로저와 코일스프링이 발생시키는 도어 폐쇄력을 극복하고 도어가 개방되고, 이 과정에서 도어클로저의 작동축이 개방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작동캠도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작동캠의 걸림턱에 연접되어 있던 작동롤러는 작동캠의 개방원주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롤러 및 작동판에 형성된 작동홀에 삽입되는 부싱과 작동롤러를 유지하는 롤러축 및 폐쇄로드 등의 작동 과정에서 상호 마찰 저항이 발생하는 구간이 많아서 그에 따른 마모 발생이 심하고, 그로 인해 조립 부품 간의 유격이 발생하면서 코일스프링이 발생시키는 도어 폐쇄력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작동성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도어클로저를 착탈 가능케 결합하는 결합판(101)을 가운데에 형성하고, 상기 결합판(101)이 도어프레임에 밀착되지 않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장착공(102a)을 구비한 부착판(102)을 상기 결합판(101)의 양단부에서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판(101)의 하단부에는 상기 도어클로저를 지지하면서 도어클로저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작동축(A1)과 간섭이 없도록 요입홈(103a)을 구비한 설치판(103)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메인브래킷(100)과;
대직경을 가지는 개방원주면(201)과, 상기 개방원주면(201)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는 폐쇄원주면(202)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원주면(201)과 폐쇄원주면(202)의 연결 위치에는 걸림턱(203)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클로저의 작동축(A1)에 결합하는 작동캠(200)과;
상기 부착판(102)의 수직벽(102b)에 공회전 가능케 설치된 위치조절볼트(301)에 나사 결합되어 위치조절볼트(30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부착판(102)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한 폐쇄력조절블록(300)과;
일단부는 상기 연결편에 회전 가능케 피벗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작동캠(200)과 접동하는 작동롤러(402)를 설치한 회동암(400)과;
일단부를 상기 회동암(400)의 롤러결합부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통공(501)을 형성한 연결암(500)과;
일단부는 상기 폐쇄력조절블록(300)에 설치된 스프링핀(302)에 연결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암(500)의 통공(501)에 연결하여 상기 작동롤러(402)를 폐쇄력조절블록(300) 쪽으로 당기는 폐쇄력을 유지하는 코일스프링(6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결암(500)은, 가운데 부분에 상기 작동캠(200)과 간섭이 없도록 절개홈(50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서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 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건축물에 설치되는 도어(출입문 또는 방화문)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증강시켜 도어의 완전히 닫힘과 동시에 도어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작동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는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증강시켜 도어의 완전히 닫힘 및 도어가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 수를 대폭 줄여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어, 조립 품질과 더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 절감을 통해 경제성과 제품의 시장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작동 과정에서 부품간 마찰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부품의 마모 및 그로 인한 유격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제품의 작동성 및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상품성을 가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저면도.
도 6은 일반적인 도어용 도어클로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종래기술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는 일측에 도어클로저를 착탈 가능케 결합한 상태로 도어에 고정 설치하는 메인브래킷(100)과; 상기 메인브래킷(100) 하부에서 상기 도어클로저의 작동축(A1)에 결합하여 도어클로저와 연동하는 작동캠(200)과; 상기 메인브래킷(100)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조절하는 폐쇄력조절블록(300)과; 상기 작동캠(200)과 접동하는 작동롤러(402)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브래킷(100) 일측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는 회동암(400)과; 상기 회동암(400)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한 연결암(500)과; 상기 작동롤러(402)와 상기 연결암(500) 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롤러(402)를 폐쇄력조절블록(300) 쪽으로 당기는 폐쇄력을 유지하는 코일스프링(6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메인브래킷(100)은, 일측에 도어클로저를 착탈 가능케 결합한 상태로 도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도어클로저를 착탈 가능케 결합하는 결합판(101)을 가운데에 형성하고, 상기 결합판(101)이 도어프레임에 밀착되지 않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장착공(102a)을 구비한 부착판(102)을 상기 결합판(101)의 양단부에서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판(101)의 하단부에는 상기 도어클로저를 지지하면서 도어클로저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작동축(A1)과 간섭이 없도록 요입홈(103a)을 구비한 설치판(103)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결합판(101)의 전면에는 도어클로저의 배면을 밀착되도록 도어클로저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상기 결합판(101) 양측 가장자리에 착탈 가능케 나사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합판(101)의 후면이 도어프레임에 밀착되지 않도록 결합판(101)의 양단부를 반복 절곡하여 부착판(10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102)에는 도어프레임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장착공(102a)을 구비함으로써 메인브래킷(100)은 부착판(102)에 의해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설치판(103)은 상기 결합판(101) 중앙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상기 결합판(101)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기 도어클로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작동축(A1)과 간섭이 없도록 설치판(103)의 전면 중앙에는 요입홈(103a)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홈(103a) 일측에는 상기 회동암(400)의 피벗 결합을 위하여 설치공(103b)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캠(200)은, 상기 메인브래킷(100) 하부에서 상기 도어클로저의 작동축(A1)에 결합하여 도어클로저와 연동하도록 대직경을 가지는 개방원주면(201)과, 상기 개방원주면(201)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는 폐쇄원주면(202)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원주면(201)과 폐쇄원주면(202)의 연결 위치에는 걸림턱(203)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클로저의 작동축(A1) 하단부에 결합한다.
상기 개방원주면(201)과 폐쇄원주면(202)은 상기 작동캠(200)의 외주에 한꺼번에 형성하되, 개방원주면(201)과 폐쇄원주면(202)이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는 상기 작동롤러(402)가 걸리면서 작동롤러(402)에 가해지는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을 상기 작동캠(200)에 전달하여 코일스프링(600)의 압력이 도어클로저의 작동축(A1)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걸림턱(203)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턱(203)은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압력이 상기 작동롤러(402)를 통해 상기 작동캠(200)으로 전달될 때, 코일스프링(600)에서 전달되는 압력이 손실 없이 작동캠(200)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작동롤러(402)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작동롤러(402)의 직경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작동롤러(402)가 개방원주면(201)과 폐쇄원주면(202), 걸림턱(203)에 접동하는 과정에서 작동캠(200)의 유연한 회전과 작동롤러(402)의 유연한 접동이 가능하도록 개방원주면(201)과 걸림턱(203)과 폐쇄원주면(202)이 상호 연결되는 지점은 모두 곡률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캠(200)의 걸림턱(203)은 작동캠(200)의 중심에서 폐쇄원주면(202)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중심에서 개방원주면(201)과 걸림턱(203)의 교차점이 이루는 각이 약 1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도어가 닫히는 시점에서 폐쇄력을 더 부여하여 완전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폐쇄력조절블록(300)은, 상기 메인브래킷(100)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부착판(102)의 수직벽(102b)에서 공회전 가능케 설치된 위치조절볼트(301)에 나사 결합되어 위치조절볼트(30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부착판(102)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한다.
즉, 상기 폐쇄력조절블록(300) 상하단부에 밀착턱(303)을 형성하여 상기 메인브래킷(100)의 일측 부착판(102) 상하단부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부착판(102)의 폭(가로)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케 된다.
또한, 폐쇄력조절블록(300)의 내측면 중앙에는 밀착부(304)를 형성하여 상기 밀착부(304)가 상기 부착판(102)의 전면에 연접되어 안정되게 움직일 수 있게 하고, 하단부에는 스프링핀(302)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일단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절볼트(301)를 이용해 폐쇄력조절블록(300)의 위치를 상기 작동캠(200) 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코일스프링(600)이 수축되면서 코일스프링(600)에 의한 폐쇄력이 저감되고, 폐쇄력조절블록(300)의 위치를 상기 작동캠(200)과 점점 멀어지게 이동시키면, 상기 코일스프링(600)이 신장되면서 코일스프링(600)에 의한 폐쇄력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회동암(400)은, 상기 작동캠(200)과 접동하는 작동롤러(402)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브래킷(100) 일측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연결편에 회전 가능케 피벗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작동캠(200)과 접동하는 작동롤러(402)를 설치한다.
상기 작동롤러(402)는 회동암(400)의 단부에 롤러샤프트(403)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되, 상기 롤러샤프트(403)의 상면헤드는 외부 구조물과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최대한 납작한 형태로 형성하여 회동암(400)의 작동이 롤러샤프트(403)에 의한 마찰저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암(500)은, 상기 회동암(400)에 회동 가능케 결합하기 위하여 일단부를 상기 회동암(400)의 롤러결합부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통공(501)을 형성하여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일단부를 연결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연결암(500)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작동캠(200)과 간섭이 없도록 절개홈(502)을 형성함으로써 작동캠(200)에 의해 상기 회동암(400)이 일측으로 회동할 때, 회동암(400)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암(500)이 작동캠(20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동캠(200)의 크기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일스프링(600)은, 상기 작동롤러(402)와 상기 연결암(500) 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롤러(402)를 폐쇄력조절블록(300) 쪽으로 당기는 폐쇄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폐쇄력조절블록(300)에 설치된 스프링핀(302)에 연결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암(500)의 통공(501)에 연결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설치판(103)에 회동 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작동롤러(402)를 지지하는 회동암(400)의 롤러설치부(401)가 코일스프링(600) 쪽으로 당겨지면서, 작동롤러(402)가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상기 작동캠(20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외접하게 되고, 그로 인해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이 작동캠(200)을 통해 도어클로저의 작동축(A1)으로 전달됨으로써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이 증강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브래킷(100)의 결합판(101)에 도어클로저를 결합한 후, 메인브래킷(100)의 부착판(102)을 일반적인 도어클로저 설치 방법과 같이 도어프레임 일면에 나사로 고정 설치한다.
도어클로저가 결합된 메인브래킷(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어클로저의 보디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작동축(A1)의 상단부에 연결된 링크의 단부를 문틀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도어클로저의 보디 내부에 설치된 유압장치에 의해 도어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축(A1)의 하단부에 설치된 작동캠(200)과 외접하는 작동롤러(402)는 작동캠(200)의 개방원주면(201)과 폐쇄원주면(202)을 연결하는 걸림턱(203) 부분에 외접한 상태에서, 작동롤러(402)를 지지하는 회동암(400)의 롤러설치부(401)에 일단부가 피벗 결합되고, 타단부는 코일스프링(600)이 연결된 연결암(500)이 폐쇄력조절블록(300)과 연결된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암(400)의 롤러설치부(401)를 코일스프링(600) 쪽으로 당기기 때문에 상기 작동롤러(402)가 걸림턱(203)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이용자에 의해 발생한 도어를 개방하는 힘이 도어클로저와 코일스프링(600)이 발생시키는 도어 폐쇄력을 극복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어의 개방으로 인해 도어클로저의 작동축(A1)이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작동축(A1)의 하단부에 결합된 작동캠(200)도 작동축(A1)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작동캠(200)의 걸림턱(203)에 연접되어 있던 작동롤러(402)는 작동캠(200)의 개방원주면(201)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작동롤러(402)가 위치하고 있던 걸림턱(203)의 중심부를 지나는 중심원의 직경보다 개방원주면(201)의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작동캠(200)에 의해 작동롤러(402)가 개방원주면(201)에 의해 밀려나면서 회동암(400)이 폐쇄력조절블록(300)에서 먼 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롤러(402)와 폐쇄력조절블록(300)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회동암(400)의 롤러설치부(401)에 일단부가 피벗 결합된 연결암(500)에 형성된 통공(501)과, 상기 폐쇄력조절블록(300)의 스프링핀(302) 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600)이 신장되고, 그로 인해 탄성이 증가하면서 코일스프링(600)의 증가한 탄성력이 상기 작동롤러(402)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 또는 전기 또는 기계적인 도어 개방장치에 의해 작용하는 물리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한 물리력이 해소되거나, 전기 또는 기계적인 도어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강제로 닫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증가한 탄성력이 작동롤러(402)를 통해 작동캠(200)에 작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어클로저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도어클로저의 작동축(A1)이 회전하면서 작동캠(200)이 함께 회전할 때, 작동캠(200)의 개방원주면(201)에 연접하던 작동롤러(402)가 원래 위치인 걸림턱(203)으로 이동하면서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이 작동롤러(402)를 닫힘 방향, 즉 폐쇄력조절블록(300) 쪽으로 당기면서 도어클로저의 유압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캠(200)에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이 부가되고, 그로 인해 작동캠(200)을 더 강한 회전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이 증강되어 도어의 닫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작동롤러(402)가 걸림턱(203)을 벗어나 개방원주면(201)에 위치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이 작동롤러(402)에 전달되더라도 작동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동캠(200)의 개방원주면(201)에 작동롤러(402)가 위치하기 때문에 작동캠(200)의 회전력에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이 직접적으로 개입되지 않음으로 코일스프링(600)에 의한 폐쇄력의 증강은 이루어지지 않다가, 작동롤러(402)가 걸림턱(203)으로 이동한 후에야 코일스프링(600)에 의한 폐쇄력의 증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메인브래킷(100)의 일측에서 위치조절볼트(301)로 위치 조절이 가능케 설치된 폐쇄력조절블록(300)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600)이 신장되는 범위를 조절하여 코일스프링(600)에 의한 폐쇄력 증강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폐쇄력조절블록(300)의 위치가 작동캠(200)과 가까워지면, 코일스프링(600)이 최대신장거리가 줄어들고, 그로 인해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폐쇄력이 감소하고, 폐쇄력조절블록(300)의 위치가 작동캠(200)과 멀어지면, 코일스프링(600)이 최대신장거리가 늘어나면서 코일스프링(600)의 탄성력이 증가하여 폐쇄력이 증강된다.
따라서 폐쇄력조절블록(300)의 위치 조절을 통해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증강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간소한 구조를 통해 도어클로저의 폐쇄력을 효과적으로 증강시킬 수 있게 되어 우수한 기능성과 안전성 및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A: 도어클로저 A1: 작동축
100: 메인브래킷 101: 결합판
102: 부착판 102a: 장착공
103: 설치판 103a: 요입홈
103b: 설치공 200: 작동캠
201: 개방원주면 202: 폐쇄원주면
203: 걸림턱 300: 폐쇄력조절블록
301: 위치조절볼트 302: 스프링핀
400: 회동암 401: 롤러설치부
402: 작동롤러 500: 연결암
501: 통공 502: 절개홈
600: 코일스프링

Claims (2)

  1. 도어클로저를 착탈 가능케 결합하는 결합판(101)을 가운데에 형성하고, 결합판(101)이 도어프레임에 밀착되지 않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장착공(102a)을 구비한 부착판(102)을 결합판(101)의 양단부에서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한 메인브래킷(100)과;
    대직경을 가지는 개방원주면(201)과, 개방원주면(201)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는 폐쇄원주면(202)을 구비하고, 개방원주면(201)과 폐쇄원주면(202)의 연결 위치에는 걸림턱(203)을 형성하여 도어클로저의 작동축(A1)에 결합하는 작동캠(200)과;
    상기 부착판(102)의 수직벽(102b)에서 공회전 가능케 설치된 위치조절볼트(301)에 나사 결합되어 위치조절볼트(301)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부착판(102)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한 폐쇄력조절블록(300)과;
    일단에는 작동캠(200)의 폐쇄원주면(202)에 연접되는 작동롤러(402)와 연결되고 타단에는 통공(501)을 형성한 연결암(500)과;
    일단부는 폐쇄력조절블록(300)에 설치된 스프링핀(302)에 연결하고, 타단부는 연결암(500)의 통공(501)에 연결하여 작동롤러(402)를 폐쇄력조절블록(300) 쪽으로 당기는 폐쇄력을 유지하는 코일스프링(60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101)의 하단부에는 도어클로저를 지지하면서 도어클로저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작동축(A1)과 간섭이 없도록 요입홈(103a)을 구비하여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설치판(103)을 더 포함하고;
    일단부는 설치판(103)과 회전 가능케 피벗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작동캠(200)과 접동하는 작동롤러(402)를 설치하여 연결암(500)과 연결되는 회동암(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
  2. 삭제
KR1020160152097A 2016-11-15 2016-11-15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 KR101917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97A KR101917928B1 (ko) 2016-11-15 2016-11-15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97A KR101917928B1 (ko) 2016-11-15 2016-11-15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02A KR20180054302A (ko) 2018-05-24
KR101917928B1 true KR101917928B1 (ko) 2018-11-12

Family

ID=6229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097A KR101917928B1 (ko) 2016-11-15 2016-11-15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9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02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457B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JP2007528952A (ja) 家具用ヒンジの制動装置
JP2004518837A (ja) ドア閉め装置
US20210115715A1 (en) Assembly of Door and Door Frame With Reduced Risk of Squeeze Caused Injuries
KR101917928B1 (ko)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증강장치
US20220349251A1 (en) Vertical blind
KR101812506B1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833262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레버형 잠금장치
KR101207763B1 (ko) 도어클로저
JP3963858B2 (ja) 扉閉鎖順位調整器
JP5383284B2 (ja) 横軸回転窓
JP6617943B2 (ja) 閉鎖機構付きピボットヒンジ
KR102116350B1 (ko) 여닫이 도어의 내장형 양방향 힌지구조
KR20060133392A (ko) 풀오픈 도어시스템
KR101165929B1 (ko) 도어클로저
KR102255003B1 (ko) 여닫이문 귀환장치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KR102373709B1 (ko) 도어클로저용 폐쇄력 보조장치
WO2017100980A1 (zh) 一种通风窗或门以及用于此类通风窗或门的关节装置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20170142138A (ko)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폐쇄력 보조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JP4473549B2 (ja) 窓用開閉角度停止装置
JP3733567B2 (ja) 給排気口のはね上げ障子駆動装置
JP3439664B2 (ja) 扉装置
KR20110121180A (ko) 도어 클로저 일체형 도어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