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652B1 -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652B1
KR101917652B1 KR1020160162175A KR20160162175A KR101917652B1 KR 101917652 B1 KR101917652 B1 KR 101917652B1 KR 1020160162175 A KR1020160162175 A KR 1020160162175A KR 20160162175 A KR20160162175 A KR 20160162175A KR 101917652 B1 KR101917652 B1 KR 101917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module
user
term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181A (ko
Inventor
윤요환
Original Assignee
(주)유니즈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즈소프트 filed Critical (주)유니즈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16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6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체적으로 내장되며, 영상정보를 화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서 영상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정보를 압축하는 압축모듈과, 상기 압축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축모듈에서 영상정보가 압축된 이후 압축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저장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장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압축된 영상정보를 화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모듈은, 이산 코사인 변환 방법을 이용하되, 픽셀정보의 밝기 값의 자릿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정보의 용량을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단말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한쌍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머리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한쌍의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며 한쌍의 상기 접촉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길이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정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수분 흡수재질로 마련되며, 외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영상정보에 따른 사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사운드가 사용자의 뼈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접촉부에 내장되어 진동하는 골전도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가 본체에 일체적으로 내장되기 때문에, 단말기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이에 의해서, 연속적이고 효과적으로 3차원 영상 콘텐츠가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3D VIRTUAL REALITY CONTENTS IMPLEMENTING SYSTEM}
본 발명은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VR(Virtual Reality)이란, 인간의 시각, 청각 등 감각을 통하여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부에서 가능한 것을 현실인 것처럼 유사 체험하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VR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이 근래에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VR 장치로 헤드기어 장치가 있다. VR 헤드기어 장치는 360도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단말기가 내부에 설치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사용자가 VR 헤드기어를 머리에 장착한 다음, 단말기를 구동시키면, 단말기의 화면에서 3차원 영상이 재생된다. 단말기에는 자이로(Gyro) 센서 등 각종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센서를 기초로 단말기의 화면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한다.
종래의 단말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VR 헤드기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VR 헤드기어를 착용한 상태에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경우, 단말기가 VR 헤드기어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따라, 3차원 영상 콘텐츠의 실시가 중단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단말기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단말기를 본체에 일체적으로 내장하여, 연속적이고 효과적으로 3차원 영상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체적으로 내장되며, 영상정보를 화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서 영상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정보를 압축하는 압축모듈과, 상기 압축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축모듈에서 영상정보가 압축된 이후 압축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저장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장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압축된 영상정보를 화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모듈은, 이산 코사인 변환 방법을 이용하되, 픽셀정보의 밝기 값의 자릿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정보의 용량을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단말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한쌍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머리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한쌍의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며 한쌍의 상기 접촉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길이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정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수분 흡수재질로 마련되며, 외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영상정보에 따른 사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사운드가 사용자의 뼈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접촉부에 내장되어 진동하는 골전도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용량 압축모듈 포함하는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베이스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압축모듈과 상기 저장모듈과 상기 표시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가 본체에 일체적으로 내장되기 때문에, 단말기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이에 의해서, 연속적이고 효과적으로 3차원 영상 콘텐츠를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정보가 압축된 다음 저장모듈에 저장되기 때문에, 영상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이 효과적으로 절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의 본체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의 구성간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의 압축모듈에서 영상정보의 압축을 실시하는 경우 이용되는 영상정보와 프레임정보와 픽셀정보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방법의 표시단계를 구체적인 단계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방법에서, 영상정보가 수신된 이후, 영상정보를 압축하기 전에 실시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방법 영상정보를 압축하는 단계를 구체적인 단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의 본체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의 구성간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의 압축모듈에서 영상정보의 압축을 실시하는 경우 이용되는 영상정보와 프레임정보와 픽셀정보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100)은 본체(110)와 단말기(120)와 서버(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11)와 접촉부(112)와 연결부(113)와 조절부(11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1)는 후술하는 통신모듈(121)과 압축모듈(122)과 저장모듈(123)과 표시모듈(124)이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연결부(113)가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11)에는 통신모듈(121)과 압축모듈(122)과 저장모듈(123)과 표시모듈(124)이 일체적으로 설치되므로, 단말기(120)가 별도로 삽입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일반적인 VR 헤드기어 장치 보다 제품의 내구도, 마감 등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11)의 정면측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에 의해서, 표시모듈(124)이 구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1)의 측면측에는 후술하는 표시모듈(124)에서 표시되는 3차원 영상의 밝기, 색상, 초점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버튼(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11)는 무게,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모듈(121)과 압축모듈(122)과 저장모듈(123)과 표시모듈(124)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접촉부(112)는 상술한 베이스부(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접촉된다.
이러한 접촉부(112)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머리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112)는 후술하는 연결부(113)에 의해서 베이스부(111)에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부(113)의 길이가 조절되는 경우, 한쌍의 접촉부(11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가 조절가능한 접촉부(112)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의 크기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10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112)의 외면에는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12)는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 되는 수분이 흡수되도록 수분을 흡수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접촉부(112)에는 골전도 스피커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골전도 스피커는 후술하는 저장모듈(123)에 저장된 영상정보(i1)를 기초로 3차원 영상의 사운드를 재생한다. 골전도 스피커란, 소리정보를 진동으로 변환시킨 후 진동을 머리뼈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귀로 사운드를 제공하는 스피커를 의미한다. 이러한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머리뼈를 통해서 사운드가 전달되므로, 별도로 스피커를 베이스부(111)에 장착할 필요가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연결부(113)는 상술한 베이스부(111)와 접촉부(112)를 연결하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의 상측면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13)의 일측에는 연결부(113)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114)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연결부(113)는 탄성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111)와 접촉부(112)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조절부(114)는 연결부(113)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한쌍의 접촉부(112)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연결부(113)의 길이 조절한다.
이러한 조절부(114)의 측면에는 조그다이얼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조그다이얼의 조절에 의해서, 연결부(113)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베이스부(111)와 접촉부(112)와 연결부(113)와 조절부(114)를 포함하는 본체(110)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의 크기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100)이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영상정보를 화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본체(110)에 일체적으로 내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20)는 본체(110)에 일체적으로 내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체(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과도하게 움직인다 하더라도, 단말기(12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말기(120)에 따르면, 연속적이고 효과적으로 3차원 영상 콘텐츠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20)는 통신모듈(121)과 압축모듈(122)과 저장모듈(123)과 표시모듈(124)과 배터리모듈(125)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21)은 후술하는 서버(130)에서 영상정보(i1)를 수신받는 것으로써, 본체(110)의 베이스부(1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통신모듈(121)은 후술하는 압축모듈(122)에 영상정보(i1)를 전달하도록 압축모듈(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통신모듈(121)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WIFI(Wireless Fidelity) 방식, 4G(LTE : Long Term Evolu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네트워크에서 영상정보(i1)를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압축모듈(122)은 통신모듈(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모듈(12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정보(i1)를 압축하는 것으로써, 본체(110)의 베이스부(1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영상정보(i1)는 복수개의 프레임정보(i2)로 구성되며, 프레임정보(i2)는 다시 복수개의 픽셀정보(i3)로 구성된다.
영상정보(i1)를 압축하는 방법은 데이터 손실의 측면에서, 크게 손실(Loss) 압축 방법과 무손실(Lossless) 압축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손실 압축은 정보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함으로써 파일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지만, 영상정보(i1)의 품질을 어느 정도 떨어진다. 무손실 압축방법은 압축과정에서 데이터의 손실은 전혀 없지만, 압축효율이 떨어져 파일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축 방법은, 보다 구체적인 방법적인 면에서, 시간 중복성(Temproal Correlation)에 따른 프레임정보(i2)를 변환하는 방법(Motion Estimation)과 공간 중복성(Spatial Redundancy)을 이용한 픽셀정보(i3)를 변환하는 방법(이산 코사인 변환 방법(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레임정보(i2)를 변환하는 방법은 인접한 프레임정보(i2) 중 움직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변환시켜 영상정보(i1)의 파일 크기를 축소하는 방법이다.
픽셀정보(i3)를 변환하는 방법은 하나의 프레임정보(i2)에 포함되는 픽셀의 밝기 값의 자릿수 범위를 줄여 정보를 압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이산 코사인 변환 기법으로 실시되는 이산 코사인 변환 기법이란, 픽셀정보(i3)는 주파수영역으로 변환시킨 다음, 특정 주파수 성분, 즉, 유효정보가 내재 되어 있지 않은 특정 주파수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영상정보(i1)의 파일 크기를 줄이는 기법이다.
압축모듈(122)은 통신부에서 전달되는 영상정보(i1)를 수신한 후, 내부의 버퍼에 영상정보(i1)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이후, 압축모듈(122)은 임시적으로 저장된 영상정보(i1)를 진단하여, 상술한 압축방법 중 가장 적합한 압축방법을 선택 또는 병합하여 영상정보(i1)를 압축한 다음, 저장모듈(123)로 전송한다.
압축모듈(1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정보(i2)를 변환시키거나, 픽셀정보(i3)를 변환시킴으로써, 영상정보(i1)를 압축하는데, 이러한 영상정보(i1)의 압축은, 통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정보(i1)가 후술하는 저장모듈(123)에 저장되기 전에 실시되기 때문에, 압축모듈(122)에 따르면, 저장모듈(123)의 저장공간이 크게 절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압축모듈(122)에 의하며, 저장공간이 부족함에 의해서 발생되었던 종래의 문제점, 즉, 새로운 3차원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영상파일을 계속해서 삭제시켜야 하거나, 외부의 PC에서 영상파일을 다시 인코딩하여 영상파일의 크기를 줄인 다음, VR 헤드기어의 단말기로 영상파일을 다시 전송해야 하는 문제점이 효과적으로 극복될 수 있다.
저장모듈(123)은 압축모듈(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압축모듈(122)로부터 압축된 영상정보(i1)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으로써, 본체(110)의 베이스부(1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저장모듈(123)은 저장된 영상정보(i1)를 표시모듈(124)로 전송할 수 있도록 표시모듈(1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저장모듈(123)은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하드디스크(HDD : Hard Disk)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압축모듈(122)로부터 압축된 영상정보(i1)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표시모듈(124)은 저장모듈(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장모듈(123)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정보(i1)를 화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본체(110)의 베이스부(1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표시모듈(124)은 영상정보(i1)를 표시할 수 있도록,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타입으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빛을 굴절시켜 3차원 영상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모듈(125)은 상술한 통신모듈(121)과 압축모듈(122)과 저장모듈(123)과 표시모듈(124)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베이스부(111)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배터리모듈(125)에 따르면, 통신모듈(121)과 압축모듈(122)과 저장모듈(123)과 표시모듈(124)에 전원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서버(130)는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업체 또는 기타 개인 등이 제공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단말기(120)의 통신모듈로 영상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서버(130)는 통신모듈로부터 영상정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정보를 통신모듈로 전송한다.
이러한 서버(130)의 통신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WIFI(Wireless Fidelity) 방식, 4G(LTE : Long Term Evolu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모듈로 영상정보(i1)를 전송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110)와 단말기(120)와 서버(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100)에 따르면, 단말기(12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이에 의해서, 연속적이고 효과적으로 3차원 영상 콘텐츠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100)에 따르면, 외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정보(i1)가 압축된 다음 저장모듈(123)에 저장되기 때문에, 영상정보(i1)가 저장되는 공간이 효과적으로 절약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방법의 표시단계를 구체적인 단계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방법에서, 영상정보가 수신된 이후, 영상정보를 압축하기 전에 실시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방법 영상정보를 압축하는 단계를 구체적인 단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방법은 요청단계와 송신단계와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요청단계는 단말기(120)에서 서버(130)로 영상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송신단계는 상술한 요청단계 이후, 서버(130)에서 영상정보를 단말기(12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표시단계는 상술한 송신단계에 따라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단말기(120)가 화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표시단계는 구체적으로 수신된 영상정보를 압축모듈(122)에서 압축한 다음, 저장모듈(123)에 저장하고, 이후, 저장모듈(123)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표시모듈(124)에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모듈(122)에 영상정보가 수신된 직후에는, 압축모듈(122)은 내부의 버퍼에 영상정보(i1)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이후, 압축모듈(122)은 임시적으로 저장된 영상정보(i1)를 진단하여, 상술한 압축방법 중 가장 적합한 압축방법을 선택 또는 병합하여 영상정보(i1)를 압축한 다음, 저장모듈(123)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단계에서는 영상정보(i1)의 압축이 저장모듈(123)에 저장되기 전에 실시되기 때문에, 저장모듈(123)의 저장공간이 크게 절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청단계와 송신단계와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방법에 의하면, 저장공간이 부족함에 의해서 발생 되었던 종래의 문제점, 즉, 새로운 3차원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영상파일을 계속해서 삭제시켜야 하거나, 외부의 PC에서 영상파일을 다시 인코딩하여 영상파일의 크기를 줄인 다음, VR 헤드기어의 단말기로 영상파일을 다시 전송해야 하는 문제점이 효과적으로 극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110 : 본체
111 : 베이스부
111a : 버튼
112 : 접촉부
113 : 연결부
114 : 조절부
120 : 단말기
121 : 통신모듈
122 : 압축모듈
123 : 저장모듈
124 : 표시모듈
125 : 배터리모듈
130 : 서버
i1 : 영상정보
i2 : 프레임정보
i3 : 픽셀정보

Claims (5)

  1.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체적으로 내장되며, 영상정보를 화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서 영상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정보를 압축하는 압축모듈과, 상기 압축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축모듈에서 영상정보가 압축된 이후 압축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장모듈과, 상기 저장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장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압축된 영상정보를 화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모듈은,
    이산 코사인 변환 방법을 이용하되, 픽셀정보의 밝기 값의 자릿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영상정보의 용량을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단말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한쌍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머리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한쌍의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며 한쌍의 상기 접촉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길이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정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수분 흡수재질로 마련되며, 외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영상정보에 따른 사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사운드가 사용자의 뼈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접촉부에 내장되어 진동하는 골전도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용량 압축모듈 포함하는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베이스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압축모듈과 상기 저장모듈과 상기 표시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5. 삭제
KR1020160162175A 2016-11-30 2016-11-30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KR101917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175A KR101917652B1 (ko) 2016-11-30 2016-11-30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175A KR101917652B1 (ko) 2016-11-30 2016-11-30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181A KR20180062181A (ko) 2018-06-08
KR101917652B1 true KR101917652B1 (ko) 2018-11-13

Family

ID=6260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175A KR101917652B1 (ko) 2016-11-30 2016-11-30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6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453Y1 (ko) * 2015-12-15 2016-05-26 (주)아바엔터테인먼트 단말기가 고정되는 hmd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007B1 (ko) * 2013-01-08 2014-07-11 주식회사 고글텍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KR102298200B1 (ko) * 2013-11-21 2021-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55792B1 (ko) * 2015-12-16 2016-09-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453Y1 (ko) * 2015-12-15 2016-05-26 (주)아바엔터테인먼트 단말기가 고정되는 hmd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181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0609A1 (en) Hybrid rendering for a wearable display attached to a tethered computer
CN110221431B (zh) 用于眼镜装置的便携式计算盒
CN110881136B (zh) 视频帧率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91801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2133531B1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 그에 따른 시스템
CN106454321A (zh) 全景视频的处理方法、装置及***
CN113422903A (zh) 拍摄模式切换方法、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JP2022516663A (ja) データ伝送方法と電子デバイス
CN111010576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WO2022017149A1 (zh) 一种虚拟现实vr场景的视频处理方法及相关设备
WO2018120657A1 (zh) 一种共享虚拟现实数据的方法和设备
KR20170103582A (ko) 전자장치에서의 비디오 스트리밍 장치 및 방법
KR20220101693A (ko) 에너지 효율적인 디스플레이 처리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00095651A (ko) 고 동적 범위 콘텐트를 재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38350A (ko) 통신 범위 정보의 처리 방법 및 단말
CN110636337B (zh) 视频图像的截取方法、装置及***
KR20160131882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4915996A (zh) 通信异常处理方法及相关装置
KR101917652B1 (ko)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 구현 시스템
CN114237646A (zh) 游戏试玩方法及相关装置
CN109429076B (zh) 多媒体数据的播放卡顿处理方法以及装置
CN113542749A (zh) 流媒体***和流媒体服务器
KR102103430B1 (ko) 클라우드에 기반한 가상현실 서비스의 레이턴시 측정방법 및 시스템
CN112887703A (zh) 头戴式显示设备的控制方法、头戴式显示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56733A (ko)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