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824B1 -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824B1
KR101913824B1 KR1020170135971A KR20170135971A KR101913824B1 KR 101913824 B1 KR101913824 B1 KR 101913824B1 KR 1020170135971 A KR1020170135971 A KR 1020170135971A KR 20170135971 A KR20170135971 A KR 20170135971A KR 101913824 B1 KR101913824 B1 KR 101913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ook
vehicle
joi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광
Original Assignee
이남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광 filed Critical 이남광
Priority to KR102017013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3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seat sub-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차량 시트에 유아 시트가 시트결합구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결합구는 차량 시트에 구비된 요부형 조인부와, 유아 시트에 구비된 철부형 조인부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부형 조인부는 차량 시트의 내부로 구비된 탄성체의 배면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편에 제1숫나사부를 갖는 지지포스트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포스트에 조인캡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조인캡은 타측의 개방된 내주연부에 제1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숫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측의 폐쇄된 부분에 언록킹 조인편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조인편은 차량 시트의 시트 커버에 형성된 타공부 내측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철부형 조인부는 유아 시트의 시트패널에 제2암나사부를 갖는 지지홈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암나사부에 결합되어지는 조인후크부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조인후크부는 후크축의 일측에 제2숫나사부가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후크편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숫나사부와 후크편 사이의 외주연부에 슬라이딩 패스부가 형성되어 유아 시트가 차량 시트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차량 시트와 등받이의 일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INFANT SEAT COUPLING STRUCTURE FOR VEHICLE}
이 건 발명은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아 시트의 배면으로 구비된 철부형 조인부가 차량 시트의 내부에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된 요부형 조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어린이 좌석 안전장치(child restraint system )가 구비되어 주행 중 유아를 보호하게 된다.
어린이 좌석 안전장치는 적용 연령에 따라 생후 9개월 미만의 자립불능의 유아 대상으로 하는 유아용 침대, 9개월~4세 정도까지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저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부스터 시트로 구분되어 있다.
4세부터 8세까지, 4세부터 10세까지 등 주로 유아를 구속하기 위한 안전 시트는 체중에 따라 15kg 이상 25kg 이하, 15kg 이상, 36kg 이하로 적응시키는 것이 있고, 신장에 따라 100cm 이상 125cm미만, 100cm이상 138cm미만이 있다.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시트벨트나 에어백은 성인 탑승자보호가 주체이기 때문에 연소자는 충분한 구속성능을 받으면서 승차할 수가 없어 이를 보완하는 목적으로 국내에서는 2006년 6월 부터 만 6세 미만 어린아이를 태울 때는 카시트(유아 시트) 장착을 의무화했으며, 안전 벨트를 매야하고 이를 어기면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러한 어린이 좌석 안전장치는 차량 시트에 유아 시트를 설치할 경우, 차량 시트의 측면으로 설치되는 안전 벨트를 이용하여 유아 시트를 고정시켰다. 즉, 유아 시트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설치공으로 안전 벨트를 끼워 넣은 뒤 안전 벨트의 선단부를 반대 방향의 버클에 채워 놓는 것으로 유아 시트가 차량 시트에 고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 벨트를 이용한 유아 시트는 후방으로 설치되는 설치공 하측부를 감싸면서 지지 하였기 때문에 충돌시나 급정지시 유아 시트가 안전 벨트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거나 전방으로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 판매되는 차량은 차량의 뒷좌석(차량 시트)에 유아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고리가 차량 시트의 좌석과 등받이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뒷좌석 뒤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설치하여 뒷좌석의 고정고리와 뒷좌석 뒤의 고정고리를 이용하여 유아 시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여 안정성을 높였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4959호(2013.01.15)의 차량용 유아안전시트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유아안전시트는 등받이 배면에 가로방향으로 제1시트고정벨트를 구비하며, 세로방향으로 하부에 시트고정구를 갖는 제2시트고정벨트를 구비하고, 등받이 상단 일측에 벨트고리를 형성하여 차량 시트에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시트고정구가 걸고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시트고정구를 차량 시트와 등받이 틈사이로 끼워 걸쳐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고, 시트고정구에 의하여 차량 시트와 등받이의 일부가 찢겨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받이가 앞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벨트고리에 형성된 틈으로 안전 벨트를 끼워 넣을 때 불편함이 있었고,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벨트고리가 벌어지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벨트고리의 틈이 넓어져 분실될 경우 안전 벨트를 끼워 넣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4959호(2013.01.15)
이 건 발명은 유아 시트가 차량 시트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유아 시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차량 시트와 등받이의 일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차량 시트와 유아 시트가 일체화될 정도로 결합되도록 하여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어 높은 안전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차량 시트(CS)에 유아 시트(BS)가 시트결합구(A)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결합구(A)는 차량 시트(CS)에 구비된 요부형 조인부(10)와, 유아 시트(BS)에 구비된 철부형 조인부(20)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부형 조인부(10)는 차량 시트(CS)의 내부로 구비된 탄성체(ST)의 배면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편(110)에 제1숫나사부(111)를 갖는 지지포스트(11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포스트(112)에 조인캡(12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조인캡(120)은 타측의 개방된 내주연부에 제1암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숫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측의 폐쇄된 부분에 언록킹 조인편(1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조인편(122)은 차량 시트(CS)의 시트 커버(SC)에 형성된 타공부(CH) 내측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철부형 조인부(20)는 유아 시트(BS)의 시트패널(SP)에 제2암나사부(211)를 갖는 지지홈부(21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암나사부(211)에 결합되어지는 조인후크부(220)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조인후크부(220)는 후크축(221)의 일측에 제2숫나사부(222)가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후크편(23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숫나사부(222)와 후크편(223) 사이의 외주연부에 슬라이딩 패스부(2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록킹 조인편(122)은 제1관통홀(123a)과 제2관통홀(123b)의 일부가 맞대어져 하나의 언록킹조인홀(123)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관통홀(123a)의 직경(D1)이 제2관통홀(123b)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홀(123a)의 직경(D1)이 상기 조인후크부(220)의 후크편(223) 직경(D3)과 동일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조인홀(123)의 내부폭(W1)은 상기 조인후크부(220)의 슬라이딩 패스부(224)의 폭(W2)과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캡(120)은 외주연부에 역삼각형태를 갖는 보강리브(12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조인캡(120)과 조인후크부(220)는 각각 스토퍼(S)에 의하여 유동이 방지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스토퍼(S)는 스토퍼핀 또는 세트스크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패널(SP)은 상부 또는 하부가 절첩구(30)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며, 양측에 시트벨트삽입홈(SG)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첩구(30)에 의하여 접혀져 서로 맞대어지는 부분에 각각 고정핀가이드(4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핀가이드(40)에 고정핀(41)이 삽입됨으로서 시트패널(SP)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 커버(SC)에 형성된 타공부(CH)는 상기 타공부(CH)가 형성된 시트 커버(SC)의 내,외측에 보호가이드링(5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타공부(CH)가 형성된 시트 커버(SC)의 외측에 타공 커버(HC)가 매직 테이프(MT)로 덮혀지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부(210)에 간격유지링(R)이 삽입됨으로서 상기 조인후크부(220)의 후크축(221)이 인출되는 길이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유아 시트의 배면으로 구비된 철부형 조인부가 차량 시트의 내부에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된 요부형 조인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서차량 시트에 유아 시트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결합 및 분리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가운데 유아 시트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에 걸고리 형태의 시트 고정구가 사용되지 않음으로서 차량 시트 및 등받이의 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아 시트의 배면이 차량 시트의 전면에서 어느 정도 눌러 가압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차량 시트의 쿠션 또는 복원력에 의하여 유아 시트가 차량 시트의 전면에 일체화될 정도로 결합됨으로서 주행중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서 높은 안정성을 더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가 차량 시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에 있어 차량 시트의 타공부 및 홈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7a 내지 도7c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가 차량 시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에 있어 차량 시트의 타공부 및 홈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7a 내지 도7c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아 시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은 유아 시트가 차량 시트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착탈 과정에서 차량 시트 및 등받이의 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지지력이 최대한 확보되어 높은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는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유아 시트 결합구조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트(CS)에 유아 시트(BS)가 시트결합구(A)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시트결합구(A)는 차량 시트(CS)에 구비된 요부형 조인부(10)와, 유아 시트(BS)에 구비된 철부형 조인부(20)로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요부형조인트(10)는 차량 시트(CS)의 내부에 매립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평상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시트(CS)의 외관이 조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철부형 조인부(20)가 용이하게 착탈 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지지편(110)과 지지포스트(112) 및 조인캡(120)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110)은 직사각형태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 시트(CS)의 내부로 구비된 탄성체(ST)의 배면에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이 동시에 걸려질 수 있게 구비되어 별도의 고정구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편(11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포스트(112)는 지지편(110)의 전면에 전방 즉, 차량 시트(CS)의 표면을 향하여 앞쪽이 돌출되는 방향을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지지포스트(112)의 전방인 일측단부는 차량 시트(CS)의 시트 커버(SC)의 내측면에 거의 근접된 곳까지 위치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포스트(112)의 후방인 타측단부는 지지편(110)에 맞대어져 연결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110)이 합성수지재일 경우, 사출성형과정에서 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재일경우, 지지편(110)의 전방에 지지포스트(112)의 후방이 맞대어져 용접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포스트(112)는 원기둥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외주연부에 소정 길이를 갖는 제1숫나사부(11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인캡(120)이 나사 결합됨으로서 시트 커버(SC)의 내측 배면을 향하여 인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조인캡(120)은 후술하는 시트패널(SP)에 돌출되게 구비된 조인후크부(220)가 삽입되어 록킹되도록 하거나, 록킹된 상태에서 언록킹이 이루어져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조인캡(120)은 타측의 개방된 내주연부에 제1암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숫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어지고, 일측의 폐쇄된 부분에 언록킹 조인편(122)이 형성된다.
상기 언록킹 조인편(122)은 조인캡(12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제1관통홀(123a)과 제2관통홀(123b)의 일부가 맞대어져 하나의 언록킹조인홀(123)이 형성된다. 이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홀(123a)의 직경(D1)이 제2관통홀(123b)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홀(123a)의 직경(D1)이 후술하는 조인후크부(220)의 후크편(223) 직경(D3)과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서 후크편(223)이 제1관통홀(123a)을 통해 내부로 삽입 또는 외부로 분리(인출)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언록킹조인홀(123)의 내부폭(W1)은 후술하는 조인후크부(220)의 슬라이딩 패스부(224)의 폭(W2)과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서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홀(123a)로 삽입된 후크축(221)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관통홀(123b)에 삽입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후크편(223)의 직경(D3)이 제2관통홀(123b)의 직경(D2) 보다 큼으로서 후크편(223)이 형성된 후크축(221)이 역방향 즉, 언록킹 조인편(122)의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후크축(221)이 조인캡(120)의 내부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록킹 조인편(122)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트(CS)의 시트 커버(SC)에 형성된 타공부(CH) 내측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되어 시트패널(SP)에 구비된 조인후크부(220)의 후크축(221) 및 후크축(221)에 형성된 후크편(223)과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서 차량 시트(CS)에 유아 시트(BS)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인캡(120)은 외주연부에 보강리브(124)가 형성되어 조인캡(120)에 충분한 지지력 내지는 보강력이 더 제공됨으로서 사용 과정에서 과도하게 작용되는 힘 또는 충격력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때, 과도하게 작용하는 힘 또는 충력력은 주행중인 차량이 급제동으로 인한 작용과 반작용에 의하여 유아의 체중이 시트패널(SP)을 통해 조인후크부(220)와 조인캡(120)에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상기 조인캡(120)과 후술하는 조인후크부(220)는 각각 스토퍼(S)가 구비되어 주행중인 차량의 진동 또는 유아 시트(BS)의 시트패널(SP)을 차량 시트(CS)의 조인캡(120)에 결합 및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나사로 연결된 부분이 회전되어 길이가 가변되거나 언록킹조인홀(123) 및 후크축(221)에 형성된 슬라이딩 패스부(224)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아 시트(BS)의 시트패널(SP)을 차량 시트(CS)의 전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은 시트패널(SP)의 배면에 형성된 후크축(221)의 슬라이딩 패스부(224)는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조인캡(120)의 언록킹 조인편(122)에 형성된 언록킹조인홀(123)을 구비하는 제1관통홀(123a)과 제2관통홀(123b) 역시 항상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해야만 한다.
이는 유아 시트(BS)의 시트패널(SP)을 차량 시트(CS)의 전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시트패널(SP)이 차량 시트(CS)에 대하여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또는 90°회전시켜 슬라이딩 패스부(224)가 수직방향을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후크편(223)이 언록킹홀(123)의 제1관통홀(123a)을 관통하여 조인캡(12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 후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딩 패스부(244)가 제1관통홀(123a)의 하부로 위치된 내부폭(W1)을 경유하여 제2관통홀(123b)에 삽입된다.
이후, 도7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시트패널(SP)을 역방향으로 직각 또는 -90°회전시키면 슬라이딩 패스부(224)가 수평방향을 유지함으로서 슬라이딩 패스브(224)가 제1관통홀(123a)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슬라이딩 패스부(224)의 폭(W2)이 제1관통홀(123a)과 제2관통홀(123b)의 사이의 내부폭(W2)과 일치하여 시트패널(SP)의 하부로 내림과 동시에 후크축(221)이 하부로 위치된 제2관통홀(123b)로 이동됨과 동시에 후크편(223)이 제2관통홀(123b)의 배면에 걸려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인캡(120)의 언록킹 조인편(122)과 조인후크부(220)의 슬라이딩 패스부(224)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S)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기 스토퍼(S)는 스토퍼핀 또는 세트스크류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토퍼핀을 사용하게 될 경우, 별도의 스토퍼핀홀이 상기 조인캡(120)의 외주연부나 후술하는 지지홈부(210)의 외주연부에 형성되도록 하고, 세트스크류를 사용하게 될 경우, 세트스크류 암나사홀이 스토퍼핀홀이 형성된 동일한 부분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부형 조인부(20)는 유아 시트(BS)의 시트패널(SP)의 배면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인캡(120)에 결합되도록 한 것으로 시트패널(SP)의 배면에 제2암나사부(211)를 갖는 지지홈부(210)가 형성됨으로서 조인후크부(220)가 상기 제2암나사부(211)에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인후크부(220)는 원기둥 형태를 갖는 후크축(221)의 일측에 제2숫나사부(222)가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후크편(23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숫나사부(222)와 후크편(223) 사이의 외주연부에 슬라이딩 패스부(224)가 형성되어 조인캡(120)에 형성된 언록킹홀(123)의 내부폭(W1)을 통해 제1관통홀(123a)에서 제2관통홀(123b)을 통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제1관통홀(123a)에서는 외부로부터 제1관통홀(123a)의 내부로 또는 제1관통홀(123a)에서 외부로 후크축(221)이 인입출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제2관통홀(123b)에서는 외부로 인입출이 불가능한 록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인후크부(220)의 후크축(221)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222)가 지지홈부(210)에 형성된 제2암나사부(211)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 또는 깊이에 따라 시트패널(SP)의 배면으로부터 후크편(223)이 인출되는 길이가 가변된다. 이는 차량 시트(CS)의 내부로 구비된 조인캡(120)의 언록킹 조인편(122)과의 최적의 거리 또는 간격을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간격을 더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지홈부(210)의 내부에 미리 간격유지링(R)을 삽입할 경우, 제2숫나사부(222)가 제2암나사부(211)에 일정한도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인후크부(220)가 구비된 시트패널(SP)은 유아 시트(BS)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유아의 신체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제조와 보관 및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단으로 분리되어 상부 또는 하부가 절철부(30)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시트패널(SP)의 양측에 시트벨트삽입홈(SG)이 형성되어 미도시한 유아 시트 벨트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절첩구(30)에 의하여 접혀져 서로 맞대어지는 부분에는 각각 고정핀가이드(40)가 형성되어짐으로서 절첩구(30)에 의하여 시트패널(SP)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가이드(40)에 고정핀(41)이 삽입되어 접혀진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는 보관중일 경우, 시트패널(SP)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차량 시트(CS)에 유아 시트(BS)를 장착할 경우, 비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한 장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 건 발명에서는 상기 시트패널(SP)이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하여 공간활용율을 높이는 가운데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이러한 분리된 형태 이외에 하나의 형태를 즉, 분리되지 하는 하나의 패널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패널(SP)의 양측에 형성된 시트벨트 삽입홈(SG)이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차량 시트(CS)의 시트 커버(SC)에는 타공부(CH)가 형성되어 있어 시트패널(SP)의 조인후크부(220)의 후크축(221)이 차량 시트(CS)의 내부에 구비된 조인캡(120)의 언록킹 조인편(122)으로 용이한 삽입 또는 분리가 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타공부(CH)는 타공부(CH)가 형성된 시트 커버(SC)의 내,외측에 보호가이드링(50)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서 후크축(221)이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시트 커버(SC)의 일부가 물리거나 찢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공부(CH)가 형성된 시트 커버(SC)의 외측 또는 주변에는 타공 커버(HC)가 매직 테이프(MT)로 덮혀지게 구비됨에 따라 평상시 즉, 유아 시트(BS)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타공부(CH)가 매직 테이프(MT)에 의하여 부착된 타공 커버(HC)에 의하여 커버됨에 따라 타공부(CH)의 주면이 미려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고, 유아 시트(BS)를 사용하게 될 경우, 매직 테이프(MT)에 의하여 부착된 타공 커버(HC)를 뜯어 타공부(CH)가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된다.
A:시트결합구 BS:유아 시트
CH:타공부 CS:차량 시트
SC:시트 커버 SP:시트패널
ST:탄성체 10:요부형 조인부
20:철부형 조인부 110:지지편
111:제1숫나사부 112:지지포스트
120:조인캡 121:제1암나사부
122:언록킹 조인편 210:지지홈부
211:제2암나사부 220:조인후크부
221:후크축 222:제2숫나사부
233:후크편 224:슬라이딩 패스부

Claims (7)

  1. 차량 시트(CS)에 유아 시트(BS)가 시트결합구(A)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결합구(A)는 차량 시트(CS)에 구비된 요부형 조인부(10)와, 유아 시트(BS)에 구비된 철부형 조인부(20)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부형 조인부(10)는 차량 시트(CS)의 내부로 구비된 탄성체(ST)의 배면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편(110)에 제1숫나사부(111)를 갖는 지지포스트(11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포스트(112)에 조인캡(12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조인캡(120)은 타측의 개방된 내주연부에 제1암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제1숫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어지며, 일측의 폐쇄된 부분에 언록킹 조인편(1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조인편(122)은 차량 시트(CS)의 시트 커버(SC)에 형성된 타공부(CH) 내측면에 맞대어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철부형 조인부(20)는 유아 시트(BS)의 시트패널(SP)에 제2암나사부(211)를 갖는 지지홈부(21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암나사부(211)에 결합되어지는 조인후크부(220)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조인후크부(220)는 후크축(221)의 일측에 제2숫나사부(222)가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후크편(23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숫나사부(222)와 후크편(223) 사이의 외주연부에 슬라이딩 패스부(2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조인편(122)은 제1관통홀(123a)과 제2관통홀(123b)의 일부가 맞대어져 하나의 언록킹조인홀(123)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관통홀(123a)의 직경(D1)이 제2관통홀(123b)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홀(123a)의 직경(D1)이 상기 조인후크부(220)의 후크편(223) 직경(D3)과 동일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조인홀(123)의 내부폭(W1)은 상기 조인후크부(220)의 슬라이딩 패스부(224)의 폭(W2)과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캡(120)은 외주연부에 역삼각형태를 갖는 보강리브(12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조인캡(120)과 조인후크부(220)는 각각 스토퍼(S)에 의하여 유동이 방지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스토퍼(S)는 스토퍼핀 또는 세트스크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패널(SP)은 상부 또는 하부가 절첩구(30)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어지며, 양측에 시트벨트삽입홈(SG)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구(30)에 의하여 접혀져 서로 맞대어지는 부분에 각각 고정핀가이드(4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핀가이드(40)에 고정핀(41)이 삽입됨으로서 시트패널(SP)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커버(SC)에 형성된 타공부(CH)는 상기 타공부(CH)가 형성된 시트 커버(SC)의 내,외측에 보호가이드링(5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타공부(CH)가 형성된 시트 커버(SC)의 외측에 타공 커버(HC)가 매직 테이프(MT)로 덮혀지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부(210)에 간격유지링(R)이 삽입됨으로서 상기 조인후크부(220)의 후크축(221)이 인출되는 길이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KR1020170135971A 2017-10-19 2017-10-19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KR10191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71A KR101913824B1 (ko) 2017-10-19 2017-10-19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71A KR101913824B1 (ko) 2017-10-19 2017-10-19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824B1 true KR101913824B1 (ko) 2018-10-31

Family

ID=6409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971A KR101913824B1 (ko) 2017-10-19 2017-10-19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09U (ko) * 2020-07-16 2022-01-25 이재효 유아 안전 시트용 등받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70Y1 (ko) 2006-05-10 2006-07-20 한일내장(주) 차량용 조립식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70Y1 (ko) 2006-05-10 2006-07-20 한일내장(주) 차량용 조립식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09U (ko) * 2020-07-16 2022-01-25 이재효 유아 안전 시트용 등받이
KR200495582Y1 (ko) * 2020-07-16 2022-07-05 이재효 유아 안전 시트용 등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0563B1 (en) Child seat
US8240772B2 (en) Seatbelt holding structure
US6019388A (en) Occupant protecting device
US8979197B2 (en) Child seat having an anchoring harness
US20130300169A1 (en) Child Seat
JP2002079859A (ja) 補助シートへの子供用ショルダ・ハーネスの取付け具
KR20140031142A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CN110077294B (zh) 儿童安全座椅
CN101314352A (zh) 儿童座椅用安全带夹紧装置及儿童座椅
JP2014104941A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ハーネスカバー
KR101913824B1 (ko) 차량용 유아 시트 결합구조
CA3040510C (en) Car seat with belt guide
US9033369B2 (en) Holding covers for seat belt attachment
AU2013100483A4 (en) An insert
AU2020210268A1 (en)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KR200153330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
JP2007125182A (ja) 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
KR200382186Y1 (ko) 안전벨트 길이 조정장치
KR200293773Y1 (ko) 안전벨트의 텅스톱퍼
KR0170085B1 (ko) 차랑용 어린이 보호의자
JP3073383U (ja) 車両用幼児防護用品
WO1997036522A1 (en) Seat belt adjuster with removable locking arm
KR101479700B1 (ko) 유아용 안전시트
JPH07323770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KR20100006459U (ko) 안전벨트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