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565B1 - Regular motion inducion type toilet bowl - Google Patents

Regular motion inducion type toile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565B1
KR101909565B1 KR1020170040984A KR20170040984A KR101909565B1 KR 101909565 B1 KR101909565 B1 KR 101909565B1 KR 1020170040984 A KR1020170040984 A KR 1020170040984A KR 20170040984 A KR20170040984 A KR 20170040984A KR 101909565 B1 KR101909565 B1 KR 101909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user
water
toilet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9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0944A (en
Inventor
이경노
Original Assignee
이경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노 filed Critical 이경노
Priority to KR102017004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565B1/en
Publication of KR2018011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9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5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쾌변유도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 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하고,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발거치부를 배관형성부의 전면에 일체로 제작하여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이 채워지는 저수통(10)과, 상기 저수통(10)의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부에 변기시트(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부에 오물과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마련된 상태로 지면에 안착되는 배관형성부(30)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함으로써 허벅지가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전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거치부(40)가 더 포함되여 구성되고,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배수홈(41)을 형성하고,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상기 배수홈(41)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51)과 상기 배출공(51)을 상호 연결하는 격자형 배수라인(52)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완충거치판(50)을 설치하여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 외곽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바닥을 걸림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걸림턱(60)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20)를 바라보는 방향의 상기 돌출걸림턱(60)에는 사용자 발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eshment induction type toilet seat, in which a user lifts his or her thighs and lifts a thigh such that a defecation posture such as that in a conventional toilet is taken,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a separate footrest membe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conomic benefit of the consum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napkin (10) comprising a water receptacle (10) filled with water, a body portion (2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receptacle (10) to extend forward and having a toilet seat (21) And a pipe forming part (30) which is seated on the ground with a pipe through which dirt and water flow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seat (20), wherein a user seated on the toilet seat (21) The guide member 4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 forming part 30 so as to protrude forward so as to lift up the thigh and the user's feet are raise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51 communicating with the drainage grooves 4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raction tooth portion 4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51 communicated with the drainage grooves 4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tooth portion 40, A grid-like vessel interconnecting the balls 51 A rubber cushioning plate 50 having a line 52 formed thereon is installed to allow water to be drained out of the rubber cushion 4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cushion 40, A protruding locking protrusion 60 is formed on the protruding locking protrusion 60 so as to allow a user to hold the protruded portion of the protruded locking protrusion 60 62 are formed.

Description

쾌변유도형 양변기{REGULAR MOTION INDUCION TYPE TOILET BOWL}{REGULAR MOTION INDUCTION TYPE TOILET BOWL}

본 발명은 쾌변유도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 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하고,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발거치부를 배관형성부의 전면에 일체로 제작하여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eshment induction type toilet seat, in which a user lifts his or her thighs and lifts a thigh such that a defecation posture such as that in a conventional toilet is taken,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a separate footrest membe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conomic benefit of the consumer.

많은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변비는 흔히 변을 보는 간격이 긴 경우를 말하지만, 대변이 너무 굳어서 변을 보기가 어렵거나 대변 양이 너무 적은 경우, 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치 않은 경우 관장이나 변비 약을 복용해야만 변을 볼 수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의학적으로는 1주일에 3회 이하의 배변, 대변 양이 30g 이하인 경우, 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하지 않거나 자꾸 변을 보고 싶은 느낌이 드는 경우를 변비라고 한다. Many modern people suffer from constipation often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interval is long, but if the stool is too stiff to see the stool, or if the amount of stool is too small, if you are not comfortable after seeing stool, And the like. Medically speaking, if you have less than 3 bowel movements a week, a stool weight of 30g or less, and you feel uncomfortable even after seeing your stomach, you may feel constipated.

짧은 기간의 변비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만성이 되면 복부 팽만감, 복통, 식용감퇴, 두통 피부발진, 어깨 결림 등 전신증상이 생기며 치핵이나 치열과 같은 항문 질환이 생기기도 하고, 장내 세균의 이상 증식으로 인해 대장암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Short-term constipation is not a problem, but when it is chronic, it causes systemic symptoms such as abdominal bloating, abdominal pain, edema decline, headache skin rash, shoulder stiffness, and anal diseases such as dental calculus and dentition. And may progress to colorectal cancer.

변비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변비증이라고 하는데, 만성 변비의 원인으로는 대장이 아닌 다른 질환이나 약물에 의한 변비, 대장이나 직장항문의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여 오는 기질적 변비, 대장/직장 및 항문의 기능 이상으로 오는 기능적 변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The cause of chronic constipation is constipation due to diseases other than the large intestine, drug constipation, structural abnormalities of the colon or rectum, constipation / rectum, Functional constipation that comes over the function of the anus can be largely divided.

이 중에서 대부분은 직장 항문의 기능 이상으로 생기는 기능성 변비이다. 기능성 변비는 대장의 움직임이 전반적으로 떨어져 생기는 이완형 변비, 대장의 일부분의 움직임이 떨어져서 생기는 이상운동형 변비, 골반 출구 폐쇄로 인한 직장형 변비로 다시 크게 나눌 수 있다. Most of these are functional constipation caused by abnormal function of rectal anus. Functional constip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relaxation constipation, which causes general movement of the large intestine, abnormal constipation caused by movement of the part of the colon, and rectal constipation due to pelvic outlet obstruction.

직장형 변비는 배변 자세와 관련이 된다. 현대인들이 사용하는 좌변기는 서양인들이 사용하던 높이와 구조를 그대로 들여와 사용하기 때문에 서양인들 보다 키가 작고 체구도 작은 동양인들은 좌변기에 착석시, 변이 나오기 힘든 꾸부정한 자세가 된다. 이러한 꾸부정한 자세로 인해 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게 되고 변이 가늘게 나오고, 이것을 시원히 보려고 배에 힘을 주거나 배를 주무르거나 하는 편법 등이 행해진다. Rectal constipation is associated with bowel position. Since the left side of the toilet used by modern people uses the height and structure used by Westerners, Orientals smaller than the Westerners and smaller in body size are in a more or less strenuous position when seated on the left side. Such a moderate posture prevents the mutation from coming out cooler, and the mutation is narrowed out, and it is done to force the abdomen to see it coolly, or to make the abdomen dry.

배에 힘을 주게 되면 배 근육과 골반 근육이 같은 신경계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항문을 오히려 오무린 상태에서 변이 나오는 모순적인 결과를 나타내게 되고, 그렇게 되면 변을 시원히 보기 위해 더 많은 힘을 항문에 주게 되어 직장이 늘어나고 변비가 악화되는 악순화를 겪게 된다. When the abdominal muscles and the pelvic muscles are connected by the same nervous system, the anus causes a contradictory result that comes from mutation in the omurine state, so that more force is given to the anus And the evil purifying that the work increases and the constipation gets worse.

재래식 화장실에서 변을 볼 때는 허리가 곧게 펴지고, 골반이 뒤로 빠져서 항물이 잘 벌어지고, 골반 근육이 펴지는 자세가 되어서 의학적으로 아주 변을 보기 수월한 자세가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It is known that when you see the side of the toilet in the conventional toilet, your back straightens, the pelvis falls back, the cuff becomes well worn, and the pelvic muscles stretch out and become medically easy to see.

이에 공개특허 제10-2007-0120478호(쾌변을 위한 좌변기)와 공개특허 제10-2005-0120449호(원활한 배변을 유도하는 변기시트) 등은 좌변기에 착석시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좌대의 전방을 허벅지가 들려지도록 후방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하고 있다. Open No. 10-2007-0120478 (toilet seat for a pleasant stay)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0120449 (seat for a toilet which induces a smooth bowel movement) have the same defecation postures as those in a conventional toilet when seated in a toilet seat So that the thighs are lifted above the rear of the seat.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변기시트를 교체하지 않고, 착석의자와 같은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하여 양변기의 전방에 위치시켜 대변 용무를 볼 때, 상기 발 받침부재에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쾌변을 유도하고 있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when a separate footrest member such as a sitting chair is purchased without replacing the toilet seat as described above, an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toilet seat so as to see the full-length work, the thigh is lifted up on the footrest member And to induce a refreshment.

그러나, 종래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발 받침부재가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발에 걸려 본래의 위치에서 멀어져 양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시 상기 발 받침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되는 번거러움이 따르게 됨은 물론 대변 용무시 발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 받침부재가 움직이게 되어 배변 용무를 원활히 볼 수 없게 되고, 발 받침부재가 위치하는 바닥면에 오물이 쌓이거나 더러워져 화장실의 위생상태를 불량하게 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footrest member is provided with a separate footrest member, it is troublesome that the footrest member is caught by the foot of the user who uses the toilet and is moved away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return the footrest member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by the user using the toilet seat The footrest member is mov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foo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tool, so that it becomes impossible to smoothly observe the work of the stoo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toilet is deteriorated due to accumulation of dirt on the floor surface where the footrest member is located In fact.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발 거치부를 양변기의 배관형성부 전면에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변 용무시 허벅지가 들어 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t mount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eshing-inducing toilet bowl which enables the user to take a resting posture such as that in a toilet and does not need to purchase a separate footrest member, thereby helping the economic benefit of the consumer.

또한, 화장실의 청소시 상기 발 거치부에 고이는 물이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발 거치부의 사용성을 높이고, 종래 별도로 구입한 발 받침부재가 발에 걸려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문제 및 종래 발 받침부재가 위치하는 바닥면의 위생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여 양변기 주위의 깨끗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toilet is cleaned, water accumulated in the foot rest portion can be drain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foot rest portion. Conventionally, the foot restraint member, which is conventionally purchased separately, So that the hygienic condition of the floor surface is prevented from becoming poor, so that a clean and pleasant condition around the toilet can be maintain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채워지는 저수통(10)과, 상기 저수통(10)의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부에 변기시트(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부에 오물과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마련된 상태로 지면에 안착되는 배관형성부(30)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함으로써 허벅지가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전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거치부(40)가 더 포함되여 구성되고,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배수홈(41)을 형성하고,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상기 배수홈(41)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51)과 상기 배출공(51)을 상호 연결하는 격자형 배수라인(52)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완충거치판(50)을 설치하여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 외곽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바닥을 걸림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걸림턱(60)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20)를 바라보는 방향의 상기 돌출걸림턱(60)에는 사용자 발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craft comprising: a water receptacle (10) filled with water; a body portion (21) provided forwardly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receptacle (10) And a pipe forming part (30) which is seated o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a pipe through which dirt and water flows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20). The toilet seat And a push-out tooth part 4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forming part 30 so as to protrude frontward so as to lift the user's feet by lifting the user's feet by lifting the thighs A plurality of drainage grooves 41 communicating with the drainage grooves 4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raction tooth portion 40. The drainage grooves 4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raction tooth portion 40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outer side, The hole (51) and the discharge hole (5 1, a grid-like drainage line 52 for interconnecting the drainage line 52 and the drainage line 5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xtraction tooth 40 so that water can be drained. A protruding hook 60 is formed at the protruding hook 60 so as to allow the user sitting on the toilet seat 21 to hang the foot so that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21. The protruding hook 60, And a recessed portion 62 for preventing slipping of the foot is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양변기의 제작시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발 거치부가 배관형성부 전면에 일체로 제작되어 화장실에 설치됨에 따라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에 도움이 됨은 물론 대변 용무시 허벅지가 들어올려지게 되어 쾌변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oot rest part in which the user's foot is restrained is manufactured integrally on the front face of the pipe forming part and is installed in the toilet,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a separate foot rest member, When working, the thighs will be lifted so that a refreshment can be induced.

또한, 종래 별도의 발 받침부재로 인해 발생되는 발 받침부재의 위치이탈 문제, 발 받침부재가 위치되는 바닥면의 위생불량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한 화장실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발 거치부의 상면에 배수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발 거치부에 고이는 물이 자연배수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dislocation of a footrest member caused by a separate footrest member and hygienic failure of a floor surface where a footrest member is located, so that a comfortable toilet can be maintained, As the drainag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mounting portion,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foot mounting portion can be drai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에 완충거치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거치판의 배출공이 배수홈과 연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걸림턱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FIG.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refreshment induction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top surface state of a tak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drain groov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a release 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ushioning plate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a take-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hole of the buffering damp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age groove;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state of the projecting j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lines and the siz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 or practice of the manufacturer or manufacturer producing the article.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are st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relaxation induction typ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홈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거치부의 상면에 완충거치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거치판의 배출공이 배수홈과 연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걸림턱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이다.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top surface of a take-up 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top surface of a tak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shioning dummy plate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a dummy tooth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hole of the cushioning dumm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drainage groove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in an enlarged scale, the state of the projecting jaw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는 배변 용무를 보는 경우, 사용자가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 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하여 배변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변기의 제조시 몸체부(20)와 배관형성부(30), 발거치부(40)를 일체로 제작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함으로써 가정이나 업소등에서 장기간 효과적인 사용을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to 6, in the case of a toilet-operated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atches a toilet, the user lifts his or her thighs and lifts his / her bowel movement So that the body part 20, the pipe forming part 30 and the guide tooth part 40 are integrally manufactured and supplied to consumers in the production of the toilet machine, thereby enabling effective use for a long time at home or business.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는 물이 채워지는 저수통(10)과, 상기 저수통(10)의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부에 변기시트(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부에 오물과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마련된 상태로 지면에 안착되는 배관형성부(30)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저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발거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receptacle 10 filled with water and a body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receptacle 10 so as to extend forward and having a toilet seat 21 rotatably installed thereon And a pipe forming part (30) placed o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a pipe through which dirt and water flows is provided in a lower part of the body part (20), wherein the pipe forming part (30) (40) formed so as to protrude forward in an integrated state.

즉, 상기 발거치부(40)는 양변기의 제조시,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전면에 상기 발거치부(4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제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쾌변을 위한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고, 종래 발 받침부재가 발에 걸려 양변기로부터 멀어져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야 되는 번거러움을 해소함은 물론 발 받침부재가 위치되는 바닥면에 오물이 쌓이거나 더러워져 화장실의 위생상태를 불량하게 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guide tooth portion 40 is manufactured by integrally forming the guide tooth portion 4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 forming portion 30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toilet bowl, thereby providing a separate foot support member It is possible to save the user from the need to purchase and to save the trouble of the conventional foot support member being moved from the toilet seat to the original position by being caught by the foot, and also to accumulate dirt on the floor where the footrest member is located, So that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toile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러한, 상기 발거치부(40)는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함으로써 허벅지가 들어올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전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상면은 평면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llow the user sitting on the toilet seat 21 to lift the thigh by raising his / her feet to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 forming part 30 in a united state,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foot of the user is raised is formed to have a planar structure.

상기와 같이 배관형성부의 전면에 상기 발거치부(40)가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의 양변기를 화장실의 바닥면에 설치시 상기 배관형성부와 발거치부의 하측이 바닥면에 안착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화장실의 바닥면과 양변기 하단 사이의 이격부분을 가리도록 상기 배관형성부와 발거치부의 하단둘레를 마감부재로 메워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설치를 완료하면 되는 것이다. When the toilet-shaped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jector teeth portion 4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 form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ilet, the pipe forming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jector tooth portion are mounted on the floor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outlet portion is closed with the closing member so as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ilet bowl and the lower end of the toilet bowl, thereby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배수홈(41)이 형성되어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낙하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a drainage groove 4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tooth portion 40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side so that the water dropp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tooth portion 40 can be drained.

즉, 화장실의 경우 필수적으로 물 청소가 이루어지는데, 물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청소에 사용된 오염수가 고여 있게 되어 양변기의 사용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됨은 물론 비위생적인 상태가 지속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거치부(40)에 상기 배수홈(41)을 형성하여 상기 발거치부(40)에 고이게 되는 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toilet, the water is essentially cleaned. In the process of cleaning the water, the contaminated water used for the cleaning is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tooth 40, causing unpleasant feeling when using the toilet, The drainage grooves 41 may be formed in the guide tooth 40 so that the drainage of the water to be floated on the guide tooth 40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상기 배수홈(41)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51)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완충거치판(5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변기시트(21)에 앉아 발을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올려놓을 시, 상기 완충거치판(50)에 의해 발의 미끌림을 방지하고, 상기 완충거치판(50)의 상부에 고이는 물이 상기 배출공(51)을 통해 상기 발거치부(40)의 배수홈(41)을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 rubber cushioning plate 50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51 communicating with the drainage grooves 4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tooth 40. That is, when the foot is placed on the toilet seat 21 and the foo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tooth portion 40, the foot is slid by the buffering and holding plate 50, Water is moved along the drainage groove 41 of the ejection tooth portion 40 through the discharge hole 51 and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완충거치판(50)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공(51)을 상호 연결하는 격자형 배수라인(52)을 형성하여 상기 완충거치판(50)의 상면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라인(52)을 따라 상기 배출공(51)으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a grid-shaped drain line 52 connecting the exhaust holes 5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ing plate 50 so that water introduc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ing plate 50 flows into the drain line 52 to be easily moved to the discharge hole 51 so a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 외곽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양변기 사용자가 발바닥을 걸림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거치부(40)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의 미끌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A user of the toilet seat protruding in the upward direction and seated on the toilet seat 21 can hold the soles so that the soles can be hu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tooth portion 40, So that the slip phenomenon can be prevented.

이때, 상기 몸체부(20)를 바라보는 방향의 상기 돌출걸림턱(60)에는 경사면(6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61)에는 사용자 발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62)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an inclined surface 61 is formed on the protruding locking protrusion 60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20, and a concave / convex portion 62 for preventing slippage of the user's foot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61 .

즉,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이나 상기 완충거치판(50)의 상면이 미끄러운 경우, 상기 변기시트(21)에 앉은 양변기 사용자가 상기 돌출걸림턱(60)의 경사면(61)에 발의 뒤꿈치부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대변 용무시 발의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ejected tooth portion 4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ing damping plate 50 is slippery, the user of the toilet seat sitting on the toilet seat 21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61 of the protruding engagement protrusion 6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of the foot when the stool is in us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쾌변유도형 양변기는 사용자가 발거치부에 발을 올려 허벅지가 들어 올려져 재래식 화장실에서와 같은 배변 자세가 취해지도록 하여 배변을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양변기의 배관형성부 전면에 상기 발거치부가 일체로 제작되어 종래 별도의 발 받침부재를 구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고, 발 받침부재가 발에 걸려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불편함 및 발 받침부재가 위치하는 바닥면에 오물이 쌓이거나 더러워져 화장실의 위생상태를 불량하는 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lift his / her thighs by lifting his / her feet on the guide tooth,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observe the bowel movement more easily as in the conventional toilet,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a separate footrest member so that the economical advantage of the consumer can be achieved and the disadvantage that the footrest member is caught by the foot and deviates from its original position and that the footrest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toilet is poor due to the accumulation of dirt on the floor surface where it is located or the soiling.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10: 저수통 20: 몸체부
21: 변기시트 30: 배관형성부
40: 발거치부 41: 배수홈
50: 완충거치판 51: 배출공
60: 돌출걸림턱 61: 경사면
62: 요철부
10: low water bottle 20: body part
21: toilet seat 30: pipe forming part
40: a guide tooth 41: a drain groove
50: cushioning plate 51: discharge hole
60: protruding jaw 61: inclined surface
62:

Claims (5)

물이 채워지는 저수통(10)과, 상기 저수통(10)의 하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부에 변기시트(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하부에 오물과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마련된 상태로 지면에 안착되는 배관형성부(30)로 이루어진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올려 거치함으로써 허벅지가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관형성부(30)의 전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거치부(40)가 더 포함되여 구성되고,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배수홈(41)을 형성하고,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에 상기 배수홈(41)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공(51)과 상기 배출공(51)을 상호 연결하는 격자형 배수라인(52)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완충거치판(50)을 설치하여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거치부(40)의 상면 외곽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변기시트(21)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바닥을 걸림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걸림턱(60)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20)를 바라보는 방향의 상기 돌출걸림턱(60)에는 사용자 발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유도형 양변기.
A body 20 in which a toilet seat 21 is rotatabl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receptacle 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body 20 And a pipe forming part (30) which is seated on the ground with a pipe through which dirt and water flow is provided,
A user who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21 elevates his or her legs to be lifted up so that the thighs can be lifted up to the front of the pipe forming unit 30, (40) is further comprise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4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tooth portion 4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age recess 4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tooth portion 40, A cushioning plate 50 made of rubber and provided with a lattice type drainage line 52 connecting the drainage hole 51 and the discharge hole 51 is provided to drain water,
A protruding hook 60 protruding upward to allow the user sitting on the toilet seat 21 to hold the sole for hanging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tooth 40, (60)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62) for preventing slippage of the user's foo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40984A 2017-03-30 2017-03-30 Regular motion inducion type toilet bowl KR1019095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84A KR101909565B1 (en) 2017-03-30 2017-03-30 Regular motion inducion type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84A KR101909565B1 (en) 2017-03-30 2017-03-30 Regular motion inducion type toilet bow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44A KR20180110944A (en) 2018-10-11
KR101909565B1 true KR101909565B1 (en) 2018-10-18

Family

ID=6386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984A KR101909565B1 (en) 2017-03-30 2017-03-30 Regular motion inducion type toilet bow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5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731B1 (en) * 2021-02-03 2022-12-29 주식회사 로얄통상 Portable toilet seat for portable toil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211A (en) * 2003-04-15 2004-11-11 Kikuhiyori Kk Urinal
JP2006289035A (en) * 2005-04-13 2006-10-26 Yoshiki Seki Japanese style and western style toilet bowl
KR100999079B1 (en) * 2010-05-07 2010-12-07 송경진 Urinal for ma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6211A (en) * 2003-04-15 2004-11-11 Kikuhiyori Kk Urinal
JP2006289035A (en) * 2005-04-13 2006-10-26 Yoshiki Seki Japanese style and western style toilet bowl
KR100999079B1 (en) * 2010-05-07 2010-12-07 송경진 Urinal for m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44A (en)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06268A1 (en) Bidet for infants and children
US20070101487A1 (en) Secure and hygienic shower/commode chair seat/cover and commode incorporating the same
KR101909565B1 (en) Regular motion inducion type toilet bowl
CN101153499A (en) Multifunctional closestool
KR101909562B1 (en) Regular motions inducion type seat for toilet bowl
JP2009297445A (en) Toilet seat apparatus and toilet apparatus
KR102400150B1 (en) Bathtub with toilet seat
JP3670352B2 (en) Bath chair
JP5945059B1 (en) Nursing shower chair
JP2019010275A (en) Ostomate and healthy person common toilet seat
JP6708896B2 (en) Nursing bed where you can excrete while wearing nursing pants and take a bath
JP4392648B2 (en) Shower wheelchair
KR100934126B1 (en) Bath
CN211484269U (en) Old seat of bathing of disconnect-type seat face
JP2009225882A (en) Care bed
KR20140065885A (en) Toilet bowl
CN209391838U (en) One kind kneeling formula closet
KR200320368Y1 (en) Toilet Bowl
CN221153904U (en) Portable bidet
CN212394736U (en) Bath tub
JP2019058359A (en) Chair for assisting in bathroom
CN201022656Y (en) Sitting and washing basin matching with water closet
CN2605810Y (en) Disposable sanitary seat mat of toilet
JP6771234B2 (en) Toilet bowl with urinal seat
CN209235979U (en) It is multi-functional to exempt from crouch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