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582B1 -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for traveling means - Google Patents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for travel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582B1
KR101908582B1 KR1020120022441A KR20120022441A KR101908582B1 KR 101908582 B1 KR101908582 B1 KR 101908582B1 KR 1020120022441 A KR1020120022441 A KR 1020120022441A KR 20120022441 A KR20120022441 A KR 20120022441A KR 101908582 B1 KR101908582 B1 KR 10190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module
fluid
piezoelectric element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1355A (en
Inventor
성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씨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씨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씨에너지
Priority to KR102012002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582B1/en
Publication of KR2013010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5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using fluid strea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3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using impacting bodi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은, 이동 시 유체가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의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이동체의 출입구 형성 공간에 배치되며,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압전 모듈; 및 출입구 형성 공간에서 압전 모듈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유체에 의해서 상기 압전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함으로써 압전 모듈의 상기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회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과 같은 유체의 세기에 비례하여 압전 모듈에 대해 회전 모듈이 회전함으로써 압전소자에 타격을 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에너지의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n entrance forming space of a moving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of a fluid so that the fluid can be discharged after being flow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uring movement, A piezoelectric module; And a rotation module provided to surround the piezoelectric module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and hitt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of the piezoelectric module by rotating relative to the piezoelectric module by the flu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module rotates relative to the piezoelectric module in proportion to the intensity of the fluid such as wind, thereby hitt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generated.

Description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FOR TRAVELING MEANS}[0001]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FOR TRAVELING MEANS [0002]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A moving object applied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is disclosed. More particularly, a moving body applied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generating electric energy from an external force such as wind is disclosed.

최근 자연의 에너지 사용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발전량의 크기도 점점 대형화되고 있어 이를 위한 발전 시스템의 용량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인 신재생의 에너지 발전,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의 경우 불규칙한 자연에너지로 인하여 발전량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사람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야 되는 문제가 있어 추가적인 발전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Recently, the proportion of natural energy use is steadily increasing, and the size of power generation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Generally, in the case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olar power or wind power generation, irregular natural energy sources are not stable a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m far from people. Therefore, additional power generation system is conside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분산전원으로서 초전도 발전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으나,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 효율 등을 고려할 때, 압전 발전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 중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superconducting power generation systems have been considered as various types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However, consider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 piez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under development.

일반적인 풍력발전의 형태는 산간지역 등 바람이 많이 부는 곳의 고정된 위치에서 대형 프로펠러를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도시 지역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의 시스템을 구성한다. 또한, 태양광 발전의 형태는 산간지역이나 햇빛이 잘 드는 곳의 고정된 위치에서 대형 태양집광판을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필요한 곳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의 시스템을 구성한다. 진동이나 압력을 이용한 발전기술은 일반적으로 세라믹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인구 유동이 많은 전철이나 고속도로 등의 바닥에 설치하여 에너지를 수확한다.Typical wind turbines form a system in which large propellers are installed at fixed locations in windy areas such as mountainous areas to generate electricity and transfer energy to urban areas. In addition, the form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onstitutes a system in which a large solar collector is installed at a fixed position in mountainous areas or sunshine areas to generate electricity and transmit electric power to a required place. Power generation technology using vibration or pressure generally uses ceramic piezoelectric elements to harvest energy by installing it on the bottom of a train or a highway with large population flow.

이 중, 풍력 발전의 경우 바람의 세기가 가령 6 내지 7m/s의 유속을 가져야 발전을 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그런데, 현재 이러한 유속의 풍력을 이용하는 발전 시스템은 구축되지 않은 상태이다. Among them, in the case of wind power genera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wind strength must be 6 to 7 m / s to generate electricity. However, a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wind power at such a flow rat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따라서, 바람의 세기가 가령 낮은 유속을 갖더라도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piezoelectric hubbysting system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generating electric energy even if the wind intensity has a low flow rate, for examp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바람과 같은 유체의 세기에 비례하여 압전 모듈에 대해 회전 모듈이 회전함으로써 압전소자에 타격을 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에너지의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ezoelectric device capable of applying a striking force to a piezoelectric element by rotating a rotary module relative to a piezoelectric module in proportion to the intensity of a fluid such as wind, And to provide a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바람의 속도가 예를 들면 7 m/s의 속도가 아닌 낮은 속도의 바람뿐만 아니라 유체의 흐름을 포함하는 다양한 외력을 받아 효율적인 발전을 할 수 있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한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low of a fluid, which is capable of efficiently generating electricity by receiving various external forces including a flow of a fluid as well as a low- To provide a piezoelectric hovering system using the flow of the piezoelectric hover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유체의 흐름에 의한 변형이 용이한 세라믹과 폴리머 소재의 하이브리드 재질의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풍력에 의해 최대한 많이 진동하게 하여 보다 에너지 발전 효율이 높은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ezoelectric device including a piezoelectric material of a ceramic material and a polymer material which can be easily deformed by the flow of fluid, To provide a harves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은, 이동 시 유체가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의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이동체의 출입구 형성 공간에 배치되며,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압전 모듈; 및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에서 상기 압전 모듈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유체에 의해서 상기 압전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압전 모듈의 상기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회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바람과 같은 유체의 세기에 비례하여 압전 모듈에 대해 회전 모듈이 회전함으로써 압전소자에 타격을 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에너지의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n entrance forming space of a moving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of a fluid so that the fluid can be discharged after being flow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uring movement, A piezoelectric module; And a rotation module tha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piezoelectric module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and strikes the piezoelectric element of the piezoelectric module by rotating relative to the piezoelectric module by the fluid. , The rotation module is rotated relative to the piezoelectric module in proportion to the intensity of fluid such as wind, so that the piezoelectric element can be struck,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generated electric energy.

상기 회전 모듈은 링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면에는 상기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복수 개의 타격부재가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외면에는 상기 유체로부터 외력을 받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가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The rotary module is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striking members strik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on the outer surface, a plurality of propellers receiving external force from the fluid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 시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압전소자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압전소자 및 상기 타격부재는 일부 중첩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타격부재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striking member may have a length that overlaps a part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strik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piezoelectric element can strik the piezoelectric element when the rotation module rotates.

상기 회전 모듈 내에서 자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 모듈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자유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전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증대시키는 볼(ball) 타입의 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ball type auxiliary member which is freely moveable in the rotation module and increases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by freely moving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tation module .

상기 회전 모듈은 고정 상태의 상기 압전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의 일벽에 축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on module may be axially coupled to one wall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piezoelectric module in a fixed state.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의 일벽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모듈에는 초전도체가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에서 상기 회전 모듈은 부상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유체의 유입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A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on one wall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and the rotary module is provided with a superconductor, so that the rotary module maintains the floating state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and can rotate in place in response to the inflow of the fluid.

상기 회전 모듈은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에서 고정되고, 상기 압전 모듈은 상기 회전 모듈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The rotation module is fixed in the entrance formation space, and the piezoelectric module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module.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의 입구는 출구에 비해 선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entrance opening forming space may be formed such that an entrance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is positioned at a front end of the entrance as compared with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상기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은 상기 이동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은 상기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들과 연통되도록 상기 이동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hovering system may be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entrance forming space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iezoelectric hovering systems.

상기 이동체는 차량, 철도, 배 또는 비행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수단일 수 있다.The moving body may be a moving means including a vehicle, a railroad, a ship or an airplan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이동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 시 유체가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출입구 형성 공간을 구비하는 압전 하우징;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에 배치되는 압전 모듈; 및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에서 상기 압전 모듈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유체에 의해서 상기 압전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압전 모듈의 상기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회전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다양한 이동체에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A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able body and a movable body coupled to the moving body in such a manner that the moving body is mov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piezoelectric housing having a forming space; A piezoelectric module disposed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And a rotation module tha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piezoelectric module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and strikes the piezoelectric element of the piezoelectric module by rotating relative to the piezoelectric module by the fluid.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s can be applied to various mobile bodie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은, 이동 시 유체가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의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이동체의 출입구 형성 공간에서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의 내벽에 배치되는 압전소자들을 구비하는 압전 모듈; 및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에서 상기 압전 모듈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이동 시 상기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회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of the moving body formed with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fluid so that the fluid can be discharged after being flow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uring the movement, A piezoelectric module including piezoelectric elements disposed on the piezoelectric substrate; And a rotation module disposed rotatably inside the piezoelectric module in the entrance formation space and strik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when the fluid move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electric energy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과 같은 유체의 세기에 비례하여 압전 모듈에 대해 회전 모듈이 회전함으로써 압전소자에 타격을 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에너지의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module rotates relative to the piezoelectric module in proportion to the intensity of the fluid such as wind, thereby hitt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의 속도가 예를 들면 7 m/s의 속도가 아닌 낮은 속도의 바람뿐만 아니라 유체의 흐름을 포함하는 다양한 외력을 받아 효율적인 발전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of the wind can be efficiently generated by receiving various external forces including the flow of the fluid as well as the low speed wind, for example, at a speed of 7 m / 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의 흐름에 의한 변형이 용이한 세라믹과 폴리머 소재의 하이브리드 재질의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풍력에 의해 최대한 많이 진동하게 하여 보다 에너지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nergy generation efficiency by vibrating as much as possible by wind power, including a piezoelectric material of a hybrid material of ceramics and polymer, which is easily deformed by the flow of the flui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이 철도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이 이동체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하베스팅 시스템이 이동체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하베스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ailway.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3 is a plan view of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ving body applied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mobile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bile body.
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moving object applying harves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ving object.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oving object apply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applic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many aspects of the claimed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cisen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이 철도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ailway,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of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은, 압전소자(115, 도 2 참조)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정류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압전소자(115)를 포함하는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은 고효율 소형의 발전 시스템으로서 소형 발전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101), 예를 들면 철도(101)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동 중에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진동하여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tify and store electric energy generat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see FIG. 2). The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100 including such a piezoelectric element 115 can be used as a miniature power generation apparatus as a high efficiency compact power generation system. Particularly, the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moving body 101,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way 101 moving in one direction, and can generate electricity by vibrating due to the wind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다만,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이 철도 타입의 이동체(101)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배 또는 비행 수단 등의 이동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 moving object 101 of a railway type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moving object such as a vehicle, It is natural to be able to.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은, 이동 시 바람이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바람의 입구(106) 및 출구(107)가 형성된 철도의 출입구 형성 공간(105)에 배치되며 압전소자(115)를 구비하는 압전 모듈(110)과, 출입구 형성 공간(105)에서 압전 모듈(110)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압전 모듈(110)의 압전 소자(115)를 타격하는 회전 모듈(150)포함할 수 있다.1 to 3, a piezoelectric hove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 inlet 106 and an outlet 107 for allowing the wind to flow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piezoelectric module 110 which is disposed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of the railway where the railway is formed and in which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is provided; And a rotary module 150 for hitt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of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

먼저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철도(101)에 구비되는 출입구 형성 공간(105)에 대해 설명하면, 출입구 형성 공간(105)은 바람이 유입되는 입구(106) 및 바람이 배출되는 출구(107)가 형성되며, 따라서 철도(101)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바람은 입구(106)를 통해 유입된 후 회전 모듈(150)을 회전시키고 이후 출구(10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provided in the railway 10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100. 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includes an inlet 106 through which the wind flows, The wind is flowed through the inlet 106 and then the rotary module 150 is rotated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07 to the outside Can be discharged.

여기서, 철도(101)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출입구 형성 공간(105)의 입구(106)는 출구(107)에 비해 선단에 위치하며, 바람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철도(101)의 이동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entrance 106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exit 107 in comparison wit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ailway 101 and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railway 101 so that the wind can flow smoothly.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moving direction.

한편, 본 실시예의 압전 모듈(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출입구 형성 공간(105)의 중앙 부분에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압전 모듈(110)은, 고정축(111)과, 고정축(111)의 외면에서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압전소자(115)를 구비할 수 있다.2 and 3,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of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fixedly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may include a fixed shaft 111 and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115 arrang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shaft 111.

각각의 압전소자(115)는 방사 방향을 향함으로써 후술할 회전 모듈(150)의 타격부재(151)에 의해 타격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Each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115 can be struck by the striking member 151 of the rotation module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generate electric energy by being directed in the radial direction.

압전소자(115)는 기본적으로 발전량이 우수한 세라믹(ceramic) 압전소자를 비롯하여 물리적 유연성이 뛰어난 폴리머(polymer)나 폴리머와 세라믹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압전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뛰어난 물리적 유연성으로 인해 내구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발전에 용이하다.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may be a polymer piezoelectric element having excellent physical flexibility as well as a ceramic piezoelectric element having excellent power generation, or a hybrid piezoelectric element in which a ceramic and a polymer are mixed. Therefore, it has durability due to excellent physical flexibility and is thus easy to generate.

또한, 압전소자(115)의 종류로는 PVDF의 사용이 기본적이고, 바륨 티타네이트, PZT 결정 또는 PZT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NKN계, BZT-BCT계, BNT계, BSNN, BNBN계 등의 무연(Lead-free) 압전소재, PLZT, P(VDF-TrFE), 수정, 전기석, 로셸염, 티탄산바륨, 인산이수소암모늄, 타르타르산에틸렌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typ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the use of PVDF is basic and may include barium titanate, PZT crystal or PZT fiber. In addition, lead-free piezoelectric materials such as NKN type, BZT-BCT type, BNT type, BSNN and BNBN type, PLZT, P (VDF-TrFE), quartz, tourmaline, rochelite, barium titanate, Ammonium, tartaric acid ethylenediamine, and the like.

다만, 압전소자(115)의 종류 및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충분한 발전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다른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the type and material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other materials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generate a sufficient amount of power generation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100.

또한, 압전 모듈(110)은 도선(미도시)에 의해 정류부(미도시)와 연결되며, 따라서 압전소자(115)의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는 도선을 따라 정류부로 이송되어 정류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module 110 is connected to a rectifying part (not shown) by a conductive line (not shown), so that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hitting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can be transferred to the rectifying part along the conductor and rectified .

한편, 본 실시예의 회전 모듈(1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 형성 공간(105)에서 압전 모듈(110)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입구(106)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압전 모듈(110)의 압전소자(115)를 타격하는 역할을 한다.2 and 3, the rotation module 1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enclose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and to receiv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06 And strikes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of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이러한 회전 모듈(150)은 전체적으로 링(ring) 형상을 가지며, 내면에는 압전소자(115)를 타격하기 위한 복수 개의 타격부재(151)가 그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외면에는 바람으로부터 외력을 받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155)가 그 둘레를 따라 마련된다.The rotation module 150 has a ring shape as a whole and has a plurality of striking members 151 for strik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Propellers 155 ar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여기서, 타격부재(151)의 단부는 압전소자(115)의 단부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 모듈(150)이 회전할 때 타격부재(151)가 압전소자(115)를 타격하여 진동시킬 수 있다. 다만, 타격부재(151)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어 압전소자(115)를 타격할 수도 있지만 회전 모듈(150)의 회전의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end of the striking member 151 overlaps at least a part of the end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so that the striking member 151 strikes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when the rotating module 150 rotates by the wind, . However, the striking member 151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strike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bu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odule 150 can be smoothly performed.

회전 모듈(150)의 외면에 구비되는 프로펠러(15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 형성 공간(105)의 입구(106)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으로부터 외력을 받아 회전 모듈(150)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펠러(155)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따라서 외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3, the propeller 155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module 150 receives the external force from the wind flowing through the inlet 106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So that it can rotate in one direction. Such a propeller 155 is arrang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and thus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회전 모듈(150)은 고정 상태의 압전 모듈(1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출입구 형성 공간(105)을 형성하는 상부벽에 축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회전 모듈(150)을 축 회전시키는 축 구조와 압전 모듈(110)의 축 구조는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며, 따라서 압전 모듈(110)에 대해 회전 모듈(150)은 상대 회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otation module 15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wall forming 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in a fixed state. At this time, mutual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shaft structure for rotating the rotation module 150 and the shaft structure of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and thus the rotation module 150 is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또는, 본 실시예의 회전 모듈(150)이 압전 모듈(11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초전도체 베어링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출입구 형성 공간(105)을 형성하는 상부벽에 영구자석(미도시)이 구비되고, 회전 모듈(150)에는 초전도체(미도시)가 구비되어 출입구 형성 공간(105)에서 회전 모듈(150)은 부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바람의 유입에 따라 회전 모듈(150)은 압전 모듈(110)에 대해 회전하면서 압전 모듈(110)의 압전소자(115)를 타격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uperconductor bearing principle may be applied so that the rotation module 150 of the present embodiment rotates relative to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The rotating module 150 is provided with a superconductor (not shown) to rotate the rotating module 150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The rotating module 150 is provided with a magnet (not shown) on the upper wall forming 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The rotation module 150 may hit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of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while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in accordance with the inflow of wind.

다만, 압전 모듈(110)에 대한 회전 모듈(150)의 상대 회전을 가능케 하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the structure for enabling relative rotation of the rotation module 150 with respect to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출입구 형성 공간(105)의 입구(106)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의 세기가 가령 약하더라도(예를 들면, 7m/s보다 작더라도) 회전 모듈(150)의 프로펠러(155)에 외력을 가하여 회전 모듈(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 모듈(150)의 타격부재(151)가 압전 모듈(110)의 압전소자(115)를 타격할 수 있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intensity of the wind flowing through the inlet 106 of the entrance formation space 105 is weak (for example, less than 7 m / s), the propeller of the rotation module 150 The rotating member 150 of the rotating module 150 can strike the piezoelectric element 115 of the piezoelectric module 110 to apply the external force to the rotating module 150, Can be generated.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의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 description of parts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ose of the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100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ving body applied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200)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시스템(100)과 마찬가지로 회전 모듈(250)과 압전 모듈(210)을 구비하되, 회전 모듈(250)의 내부에서 압전소자(215)들 사이사이에 자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 모듈(250)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자유 이동함으로써 압전소자(215)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증대시키는 보조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module 250 and a piezoelectric module 210, similar to the system 1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s freely movably mounted between the piezoelectric elements 215 inside the piezoelectric module 250 to move freely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tation module 250 to increase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s 215 The auxiliary member 270 may be formed of a metal.

따라서, 회전 모듈(250)의 회전 시 타격부재(251)가 압전소자(215)를 타격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것과 아울러 볼(ball) 형상의 보조부재(270)가 압전소자(215)를 타격함으로써 전기에너지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otary member 250 rotates, the striking member 251 generates electric energy by hitt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215, and a ball-shaped auxiliary member 270 hits the piezoelectric element 215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ncrease the electric energy generation amount.

다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조부재(270)에는 탄성력을 구비한 탄성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보조부재(270)는 압전소자(215)들 사이사이에서 더욱 활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압전소자(215)에 대한 타격 세기 및 타격수를 높일 수 있다.
However, although not shown, an elastic member (not shown) having an elastic force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member 270, so that the auxiliary member 270 can move more actively between the piezoelectric elements 215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iking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rokes for the piezoelectric element 215.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하베스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들의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oving object applying harvesting system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a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이 이동체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mobile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bile body.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300)이 적용되는 철도(301)의 출입구 형성 공간(305)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출입구 형성 공간(105, 도 1 참조)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entrance forming space 305 of the railway 301 to which the piezoelectric hovering system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has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entrance forming space 105 (see FIG. 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Lt; / RTI >

즉, 본 실시예의 출입구 형성 공간(305)은 철도(301)의 길이 방향을 따라(보다 정확히는, 철도(301)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길게 배치되며 따라서 출입구 형성 공간(305)의 입구(306)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은 회전 모듈(350)의 프로펠러(351)에 외력을 가하여 회전 모듈(350)을 압전 모듈(31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은 다음의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300)으로 이동하여 다음의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200)을 구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doorway forming space 305 of this embodiment is dispos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way 301 (more precisely, bias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railway 301) May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propeller 351 of the rotation module 350 to rotate the rotation module 350 with respect to the piezoelectric module 310. [ The wind may also move to the next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300 to drive the next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200.

이처럼, 철도(3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출입구 형성 공간(305)이 형성됨으로써 바람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전 모듈(310)에 대한 회전 모듈(350)의 상대 회전을 가속시킬 수 있어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ntrance formation space 305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way 301, the wind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otation module 350 with respect to the piezoelectric module 310 can be accelerat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하베스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들의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oving object applying harvesting system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a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하베스팅 시스템이 이동체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moving object applying harves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ving objec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400)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 200, 300)과는 달리, 이동체(401)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the figure, unlike the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100, 200, 3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

본 실시예의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400)은, 이동체(40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출입구 형성 공간(405)을 구비하는 압전 하우징(403)과, 출입구 형성 공간(405)에 배치되는 압전 모듈(401) 및 회전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4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piezoelectric housing 403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ing body 401 and having an entrance forming space 405 and a piezoelectric housing 403 disposed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405, A module 401 and a rotation module 450. [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별도로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400)을 제작한 후 이동체(401)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철도와 같은 이동체(401)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버스 또는 승용차 등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400)의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mobile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overing system 400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applied to the mobile body 401.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moving object 401 such as the railway shown in FIG. 6, but also to a bus or passenger car, for example. That is,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400 can be extended.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하베스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들의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oving object applying harvesting system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a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 적용 하베스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oving object apply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500)은, 복수 개의 압전소자(515)들을 구비한 압전 모듈(510)이 출입구 형성 공간(505)의 내벽(506)에 배치되고, 회전 모듈(550)은 압전 모듈(51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에 의한 회전 모듈(550)의 회전 시 압전 모듈(510)의 압전소자(515)들을 타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iezoelectric module 510 having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515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506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505, The rotation module 550 is disposed inside the piezoelectric module 510 to generate electric energy by striking the piezoelectric elements 515 of the piezoelectric module 510 when the rotation module 550 is rotated by the fluid flow have.

여기서, 회전 모듈(550)의 회전 시 회전 모듈(550)의 타격부재(551)와 압전소자(515)들의 상호 접촉이 가능하도록 압전소자(515)들은 출입구 형성 공간(505)의 내벽(506)에 배치되고, 타격부재(551)들은 회전 모듈(550)에서 외측에 구비된다.The piezoelectric elements 515 are connected to the inner wall 506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505 so that the striking member 551 of the rotation module 550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s 515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rotation module 550 is rotated. And the striking members 551 are disposed on the outside in the rotation module 550.

이처럼, 압전소자(515)들이 출입구 형성 공간(505)에 부착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의 압전소자(515)가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 모듈(550)의 회전 시 상대적으로 많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piezoelectric elements 515 are attached to the entrance forming space 505, so that a relatively larger number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515 can be mounted, thereby generat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electric energy when the rotation module 550 is rotated .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압전 모듈(510)이 출입구 형성 공간(505)의 내벽(506)에 배치되고 그 내측에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모듈(550)이 구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모듈의 내측에 별도의 압전 모듈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게 회전 모듈의 내측에도 타격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회전 모듈의 회전 시 회전 모듈의 외측 및 내측에 있는 압전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전기 에너지 생성량을 증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iezoelectric module 510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506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505 and the rotating module 55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ll 506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fluid, The structure of the piezoelectric module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parate piezoelectric module may be provided inside the rotation module and a striking member may be provided inside the rotation module so that the piezoelectric module located outside and inside the rotation module, So that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generated can be increased.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압전 모듈은 고정 구조를 갖고 이에 대해 회전 모듈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다고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압전 모듈에 대해 회전 모듈이 상대 회전하는 구조이면 된다. 즉, 회전 모듈이 고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압전 모듈이 회전할 수도 있고, 반대로 회전 모듈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압전 모듈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piezoelectric module has a fixed structur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module is rot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suffices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module rotates relative to the piezoelectric module. That is, it is natural that the rotating module may have a fixed structure, and the piezoelectric module may rotate, and conversely, the rotating module may rotate in one direction and the piezoelectric module may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101 : 이동체
105 : 출입구 형성 공간
106 : 입구
107 : 출구
110 : 압전 모듈
115 : 압전소자
150 : 회전 모듈
151 : 타격부재
155 : 프로펠러
270 : 보조부재
100: Moving body application Piezoelectric hovering system
101: Moving object
105: space for forming a doorway
106: Entrance
107: Exit
110: Piezoelectric module
115: piezoelectric element
150: rotation module
151: Striking member
155: Propeller
270: auxiliary member

Claims (12)

이동체에 장착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시 유체가 일정한 방향으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유체의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상기 이동체의 출입구 형성 공간에 배치되며,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압전 모듈; 및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에서 상기 압전 모듈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유체에 의해서 상기 압전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압전 모듈의 상기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회전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의 일벽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모듈에는 초전도체가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에서 상기 회전 모듈은 부상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유체의 유입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의 입구는 출구에 비해 선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은 상기 이동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이 각각 장착되는 상기 출입구 형성 공간은 상호 연통되어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는,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1. A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mounted on a moving body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A piezoelectric module having a piezoelectric element, the piezoelectric module being disposed in an entrance forming space of the moving body,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fluid being formed such that the fluid can flow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n be discharged; And
A rotation module provided to surround the piezoelectric module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and hitt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of the piezoelectric module by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piezoelectric module by the fluid;
/ RTI >
Wherein a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on one wall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and a superconductor is provided in the rotating module so that the rotating module maintains the floating state in the entrance forming space and is rotatable in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inflow of the fluid,
Wherein the entrance opening forming space is formed such that an entrance of the entrance forming space is positioned at a front end of the exit opening as compared with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Wherein the moving body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 is dispos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Wherein the entrance forming spaces in which the plurality of moving object applying piezoelectric hubbing systems are mounte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flow of the fl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듈은 링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면에는 상기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복수 개의 타격부재가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외면에는 상기 유체로부터 외력을 받는 복수 개의 프로펠러가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module is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striking members strik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are provided along the peripheries, and a plurality of propellers, which receive an external force from the fluid,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 시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압전소자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압전소자 및 상기 타격부재는 일부 중첩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타격부재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는,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striking member have a length that overlaps a part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striking member so that the piezoelectric element strikes the piezoelectric element when the rotation module rotates, and the striking membe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듈 내에서 자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 모듈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자유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전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증대시키는 볼(ball) 타입의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ll type auxiliary member which is freely movable in the rotation module and increases the amount of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by freely moving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tation module, , Moving Body Applied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차량, 철도, 배 또는 비행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수단인,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ing body is a moving means including a vehicle, a railroad, a ship or an airplan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22441A 2012-03-05 2012-03-05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for traveling means KR1019085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441A KR101908582B1 (en) 2012-03-05 2012-03-05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for travel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441A KR101908582B1 (en) 2012-03-05 2012-03-05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for traveling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55A KR20130101355A (en) 2013-09-13
KR101908582B1 true KR101908582B1 (en) 2018-10-16

Family

ID=4945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441A KR101908582B1 (en) 2012-03-05 2012-03-05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for travel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5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1930A (en) * 2019-04-26 2019-08-06 江苏理工学院 A kind of lorry disturbing flow device with energy recovery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1178B (en) * 2015-09-02 2017-07-21 北京印刷学院 Railway operation remotely monitors elastic deformation energy storage piezoelectricity deformation mass-energy conversion equipment
GB2565789A (en) * 2017-08-22 2019-02-27 Airbus Operations Ltd Energy harvester and method for converting kinetic energy to electrical energ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9980A (en) * 2001-11-12 2003-07-25 Jigyo Sozo Kenkyusho:Kk Oscillatory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494A (en) * 2009-12-16 2011-06-22 (주)사람과 환경 Piezoelectric generator unit for using a piezoelectric bimorph
KR101112492B1 (en) * 2010-04-20 2012-02-24 이진용 Generator using piezoelectric plement
KR101367019B1 (en) * 2011-10-24 2014-02-25 주식회사 에이엠씨에너지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by using by using water fl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9980A (en) * 2001-11-12 2003-07-25 Jigyo Sozo Kenkyusho:Kk Oscillatory gen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1930A (en) * 2019-04-26 2019-08-06 江苏理工学院 A kind of lorry disturbing flow device with energy recovery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55A (en)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2910B2 (en) Multiple weight pendulum-based wave energy harvesting apparatus incorporating magnetic repulsion-based piezoelectric power generation mechanism
US7939960B2 (en) Aerial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using floating body
US5333996A (en) Dual fluid rotor apparatus
US20100148512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flowing fluid using generally prolate turbine
KR101908582B1 (en)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for traveling means
CN202978758U (en) Frequency-controllable piezoelectric power generator
US20150322918A1 (en) Piezoelectric-Based Wind Turbine
CN104314736B (en) Totally-enclosed power generation device simultaneously utilizing wave energy and wind energy
US20170268483A1 (en)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309438B1 (en) Apparatus for wind power generator
US9546644B2 (en) Wind turbine for installation in buildings
CN103475263A (en) Tab type piezoelectric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KR20130009583A (en) Piezoelectric harvesting system by using fluid
US10641095B2 (en) Energy conversion device
CN111771861B (en) Bird repelling device for power equipment
CN211082122U (en) Compound pendulum frequency-raising type wave energy collecting device
CN108266327B (en) Novel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TWM548209U (en) Wind power-generation equipment for vehicle
KR20070077653A (en) A vertical-type wind power system
JP2008184957A (en) Wind-powered generator apparatus
US20050286996A1 (en) Wind-guiding device for windmill generator
KR20180105446A (en) Blade for the wind power generator and wind power generator comprising the same
CN110685874A (en) Fastening mechanism for cabin cover of wind driven generator
CN104953936A (en) Solar inclined-single-shaft group tracking system
WO20190939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electric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