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102B1 - Glasses for taking stereo scopic image - Google Patents

Glasses for taking stereo scopic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102B1
KR101908102B1 KR1020100135631A KR20100135631A KR101908102B1 KR 101908102 B1 KR101908102 B1 KR 101908102B1 KR 1020100135631 A KR1020100135631 A KR 1020100135631A KR 20100135631 A KR20100135631 A KR 20100135631A KR 101908102 B1 KR101908102 B1 KR 101908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eye camera
right eye
frame
lef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3768A (en
Inventor
김두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102B1/en
Publication of KR2012007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7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1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two or more proj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26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for obtaining three-dimensional pi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을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 상기 안경 프레임의 좌안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좌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안경 프레임의 우안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우안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입체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입체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또는 기타 장비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 having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3D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 frame; A left eye camera module installed on the left eye fram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And a right eye camera module provided on the right eye fram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tereoscopic image can be taken with a simple operation while wearing glasses,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a camera or other equipment for taking a stereoscopic image separately.

Description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 {Glasses for taking stereo scopic imag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lasses having a stereoscopic image shooting function,

본 발명은 입체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3D 카메라를 휴대할 필요 없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입체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 capable of photographing a stereoscopic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ctacle having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capable of easily photographing a stereoscopic image while wearing glasses without having to carry a separate 3D camera.

일반적으로 입체영상(3D 영상)은 사람의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사람의 두 눈은 약 65mm 정도 떨어져 있고, 두 눈의 시차에 의해 좌안과 우안이 각각 다른 2차원 화상을 볼 경우, 뇌는 양안에 맺힌 2차원 상을 조합하여 3차원 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In general, the stereoscopic image (3D image) is implemented using the human binocular parallax. The human eye is about 65mm apart. When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show different two-dimensional images due to the parallax of the two eyes, the brain combines the two-dimensional images formed in both eyes and recognizes them as three-dimensional images.

최근 들어 3D TV가 보급되면서 3D 영상 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용 휴대 카메라에서도 도 1에서와 같은 입체영상 촬영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Recently, the 3D video market is getting bigger with the spread of 3D TV. Accordingly, a stereoscopic image shooting function as shown in FIG. 1 is also added to a personal portable camera.

도 1을 참조하면, 3D 카메라(1)는 전면에 2개의 카메라모듈(2a, 2b)을 구비한다. 좌안 카메라모듈(2a)과 우안 카메라모듈(2b)은 각각 사람의 좌안과 우안의 역할을 한다. 3D 카메라(1)는 좌안 카메라모듈(2a)에서 촬영된 영상과 우안 카메라모듈(2b)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각각 별도로 저장하거나, 두 이미지를 조합하여 3D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은 야간 촬영을 위한 플래시(3)이고, 미설명 부호 4는 조작버튼(4)이다.Referring to FIG. 1, the 3D camera 1 includes two camera modules 2a and 2b on its front side. The left-eye camera module 2a and the right-eye camera module 2b serve as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human, respectively. The 3D camera 1 stores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module 2a and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camera module 2b separately or combines the two images into a 3D image format for storage.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flash (3) for night-time shooting, and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n operation button (4).

그러나 카메라가 점차 경박단소화 되어 간다고 하여도, 3D 카메라(1)는 별도로 휴대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을 피할 수 없다. 즉, 3D 카메라(1)는 핸드-헬드(Hand-Held) 장치의 한계를 여전히 피할 수 없다.
However, even if the camera gradually becomes thinner and shorter, the inconvenience that the 3D camera 1 must be carried separately is inevitable. That is, the 3D camera 1 still can not avoid the limitation of the hand-held device.

본 발명은 사람이 일상적으로 착용하는(wearing) 안경에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3D 카메라 등과 같은 별도의 핸드-헬드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3D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method for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so that a 3D image can be easily taken anytime and anywhere without having to include a separate hand-held device such as a 3D camera by adding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to glasses wearing a person on a daily basi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안경 프레임; 상기 안경 프레임의 좌안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좌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안경 프레임의 우안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우안 카메라모듈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tacle having a stereoscopic image shooting function includes a spectacle frame; A left eye camera module installed on the left eye fram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And a right eye camera module mounted on the right eye fram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 및 우안 카메라모듈은 전방을 지향하도록 설치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are installed so as to face the fro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 및 우안 카메라모듈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한다.
The eyeglasses having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the left and right eye camera modul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보호 커버는 선택적으로 카메라모듈을 개폐하는 셔터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over is a shutt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amera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보호 커버는 투명한 재료로 구성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ov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과 우안 카메라모듈은 초점거리가 50mm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cal length of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is 50 m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과 우안 카메라모듈은 47deg의 렌즈화각을 갖는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have a lens angle of view of 47 de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우안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각각 별도로 저장하는 메모리수단을 더 포함한다.
The eyeglasses having the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 memory means for separately storing images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images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camera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우안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여 3D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기를 더 포함한다.
The eyeglasses having the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 an image signal processor for synthesizi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camera module and converting them into a 3D image format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기에서 합성된 3D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acle having the stereoscopic image shooting function further includes a memory means for storing the 3D image synthesiz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포트를 더 포함한다.
The eyeglasses having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port for exchang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통신포트는 USB 포트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port is a USB po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안경프레임의 걸이구에는 카메라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es having the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includ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amera module in the hanger portion of the spectacle fram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안경프레임의 걸이구에는 카메라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버튼과, 카메라모듈을 동작시키는 동작버튼이 설치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tacle frame having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is provided with a power butt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camera module and an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camera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은, 상기 전원버튼 및 동작버튼은 정전식 터치키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button and the operation button of the spectacle having the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are constituted by the electrostatic touch key.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에 따르면, 사람이 일상적으로 착용하는(wearing) 안경에 듀얼 카메라를 설치하여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3D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장비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입체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안경 착용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물을 그대로 3D 이미지로 촬영할 수 있어서 3D 이미지 촬영에 적합한 새로운 입체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glasses having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camera is installed in a spectacle wearing a person on a daily basis to give a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so that a device for photographing a 3D image needs to be carried separately A stereoscopic image can be easily taken anytime and anywhere, and an object viewed with the eyes of a wearer can be photographed as a 3D image, thereby providing a new stereoscopic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suitable for 3D image photographing.

도 1은 일반적인 3D 카메라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부가한 안경의 사시도
도 3은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촬영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예에서 동작 흐름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싱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7은 도 6의 예에서 동작 흐름을 보인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ypical 3D camera,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ctacle with a stereoscopic image t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shooting a 3D image using binocular parallax,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low in the example of FIG. 4,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flow in the example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부"와 같은 구성들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며,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예컨대,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부"는 어떤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데이터베이스,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는 더 큰 구성요소 또는 "~부"에 포함되거나, 더 작은 구성요소들 및 "~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는 자체적으로 독자적인 CPU를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such as "to" described below are components that perform certain roles, and refer to hardwar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For example, "to" may be configured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As an example, "to" may include certain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firmware, microcode, database, variables. Also, "part" may be included in a larger element or "part, " or may include smaller elements and" parts. &Quot; Also, "part" may have its own CPU.

그리고, 각 구성요소의 위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좌측", "우측", "좌안", "우안" 등의 방향을 한정하는 용어들은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의 입장에서 방향을 정의한 것이다. 즉, 좌안 카메라모듈이라 함은 안경 착용자의 좌안에서 바라보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로서, 안경 프레임의 좌안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모듈을 의미한다.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terms defining the directions of "left", "right", "left eye", "right eye", etc. are def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wearer wearing the glasses. That is, the left eye camera module means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n image viewed from the left eye of the wearer of a spectacle, and is a camera module installed on the left eye fram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부가한 안경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경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ctacle with a stereoscopic ima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yeglass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일반적인 안경과 마찬가지로 안경 프레임은 좌안 렌즈를 거치하기 위한 좌안 프레임(11), 우안 렌즈를 거치하기 위한 우안 프레임(12), 좌안 프레임(11) 및 우안 프레임(12) 각각에서 밴딩부(13)를 매개로 연결되어 귀에 걸도록 구비된 걸이구(14)로 구성된다.As in the case of ordinary glasses, the spectacle frame includes a left-eye frame 11 for mounting the left eye lens, a right eye frame 12 for mounting the right eye lens, a left-eye frame 11 and a right eye frame 12, And a hook 14 connected to the ear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ear.

좌안 프레임(11)에는 좌안에서 바라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좌안 카메라모듈(21)이 설치되고, 우안 프레임(12)에는 우안에서 바라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우안 카메라모듈(22)이 설치된다. 좌안 카메라모듈(21)과 우안 카메라모듈(22)은 사람의 시선으로 피사체를 촬영해야 하므로 전방을 지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카메라모듈의 지향각은 얼라인(align)된 상태로 고정된다.The left eye frame 11 is provided with a left eye camera module 21 for photographing a subject viewed from the left eye and a right eye camera module 22 for photographing a subject viewed from the right eye. The left eye camera module 21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22 are installed so as to be directed forward because the subject must be photographed by the human eye. Also,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camera module is fixed in an aligned state.

이와 같이 안경에 듀얼 카메라를 설치하면,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사체(30)를 촬영할 때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담을 수 있고, 두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각각 별도로 저장되어 추후 PC 등에서 3D 이미지로 합성되거나 안경 내부에서 직접 3D 이미지 포맷으로 합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dual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spectacles, the images can be captured using the binocular parallax when the subject 30 is photographed. Images photographed by the two camera modules are separately stored, It can be synthesized as a 3D image or synthesized in 3D image format directly from inside the glasses.

또한, 사람의 눈이 위치한 곳에 인접하여 좌안 카메라모듈(21)과 우안 카메라모듈(22)이 설치되므로, 사실감이 높은 3D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ft eye camera module 21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22 are provided adjacent to a place where a person's eyes are located, a 3D image with high realism can be obtained.

좌안 카메라모듈(21)과 우안 카메라모듈(22)은 바람직하게는 초점거리가 50mm인 광학계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 카메라모듈은 47deg의 렌즈화각을 갖는다. 이러한 초점거리와 렌즈화각을 갖는 카메라모듈은의 광학계는 흡사 사람의 눈과 비슷하다. 따라서 실제 사람이 뇌에서 인식하는 것과 유사한 3D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The left eye camera module 21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22 preferably have an optical system with a focal length of 50 mm. Each camera module has a lens angle of view of 47 deg. A camera module having such a focal length and lens angle of view has an optical system similar to a human eye. Thus, a 3D image similar to what the real person perceives in the brain can be obtained.

카메라모듈은 안경이 고유의 두께와 규격 등을 유지해야 하므로 소켓 타입의 소형 카메라모듈로 설치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이 걸이구(14) 내부에 장치한 배터리(도시 안함) 및 구동회로 등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도시 안함)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밴딩부(13)를 경유해야 하므로, RF(Rigid Flexible) 타입의 카메라모듈이 설치된다. 그리고 차동 직렬(Differential Serial) 통신을 사용하여 카메라모듈과 인쇄회로기판간 라인의 수를 최대한 줄인다.The camera module is installed with a small camera module of the socket type because the glasses have to maintain the inherent thickness and size. In order for the camera modul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printed with a battery (not shown) and a driving circuit installed inside the hook 14, the bending portion 13 must pass through the RF module Rigid flexible type camera module is installed. By using differential serial communication, the number of lines between the camera modul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좌안 카메라모듈(21)과 우안 카메라모듈(22)을 은폐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커버가 사용된다. 보호 커버는 카메라모듈의 렌즈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일 수 있다. 또는 투명한 글래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a protective cover is used to conceal the left-eye camera module 21 and the right-eye camera module 22 and to protect them from external impact, moisture, and the like. The protective cover may be a shutt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Or a transparent glas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구(14)의 외부로는 전원버튼(23), 카메라모듈을 동작시키는 동작버튼(24),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포트(26)가 설치된다.2, a power button 23, an operation button 24 for operating the camera module, and a communication port 26 for exchang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are provided outside the hook 14 .

전원버튼(23)과 동작버튼(24)은 정전식 터치키로 구성된다. 정전식 터치키는 감압식 터치 방식이 압력을 주어 터치패드를 굴절시키는 것과 달리 소프트 터치를 인식하는 키이다. 따라서 버튼 조작시 압력에 의해 안경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wer button 23 and the operation button 24 are constituted by an electrostatic touch key. The electrostatic touch key is a key for recognizing a soft touch as opposed to a pressure sensitive touch method which applies pressure to refract the touch pa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lasses from being pushed by the pressure during the button operation.

통신포트(26)는 다양한 방식의 포트로 구성될 수 있겠으나, 범용성이 높은 USB 포트로 구성된다.The communication port 26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ports, but is configured with a universal USB port.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 내부의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시스템은 두 개의 카메라모듈(21, 22)과, 제어부(40)와, 전원부(52)와, 터치키(54)와, 메모리수단(56)과, USB 포트(58)로 구성된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inside a spec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camera modules 21 and 22, a control unit 40, a power source unit 52, a touch key 54, a memory unit 56, a USB port 58).

전원부(52)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DC 전원을 각 구성요소로 전달한다. 배터리의 전원을 승압하거나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정전압 레귤레이터 등이 이용된다.The power supply unit 52 transfers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each component. A constant voltage regulator or the like is used for boosting or stabilizing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터치키(54)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전식 터치키이다. 정전식 터치키는 터치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패드와, 전용의 터치키 칩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별도의 터치키 칩을 사용하지 않고, 제어부(40)를 구성하는 마이컴 등에 터치 인식 알고리즘 등이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touch key 54 is an electrostatic touch key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static touch key comprises a detection pad for detecting a touch input, and a dedicated touch key chip. On the other hand, a touch recognition algorithm or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 microcomputer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40 without using a separate touch key chip.

메모리수단(56)은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이고, USB 포트(58)는 USB 2.0 또는 1.1 규격의 포트이다.The memory means 56 is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photographed images, and the USB port 58 is a USB 2.0 or 1.1 standard port.

제어부(40)는 안경에서 입체영상을 촬영하는 전체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제어부(40)는 마이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터치입력 인터페이스부(42)와, USB 포트(58)에 접속된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부(44)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40 is a means for controlling all the components for shooting a stereoscopic image in glasses. The control unit 40 may include a microcomputer or the like. The touch input interface unit 42 for processing touch input and the USB interface unit 44 for exchang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port 58 are also included.

도 5는 도 4의 시스템에서의 동작흐름을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키인 전원버튼(23)을 조작하는 것으로 단계가 시작된다(ST110). 이후 제어부(40)는 배터리의 전원을 카메라모듈에 공급한다(ST120). 그리고 카메라모듈의 전방에 설치된 보호 커버를 개방한다(ST130). 사용자의 동작버튼(24) 조작을 대기하다가, 동작버튼(24)이 입력되면 좌안 카메라모듈(21)과 우안 카메라모듈(22)을 각각 동작시켜 이미지를 캡쳐한다(ST140). 그리고 나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각각 별도로 분리하여 메모리수단(56)에 저장한다.Fig. 5 shows the operational flow in the system of Fig. Referring to FIG. 5, the step is started by the user operating the power button 23 as a touch key (ST110). Thereafter, the control unit 40 supplies power of the battery to the camera module (ST120). Then, the protective cover installed in front of the camera module is opened (ST130). When the operation button 24 is input, the left eye camera module 21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22 are operated respectively to capture an image (ST140). Th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separately separ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means 56.

이후에 사용자가 USB 포트(58)에 메모리스틱이나 외부기기 등을 연결하여 저장된 이미지를 추출하고,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PC 등에서 합성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reafter, the user may connect a memory stick or an external device to the USB port 58 to extract a stored image, and synthesize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in a PC or the like to generate a 3D image.

대체의 실시예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내부에 이미지 신호 처리기(ISP;Image Signal Processor)를 직접 내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신호 처리기(60)는 좌안 카메라모듈(21)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우안 카메라모듈(22)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여 3D 이미지 포맷으로 생성한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can be directly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image signal processor 60 combin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module 21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camera module 22, and generates the image in the 3D image format.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T210 내지 ST240까지는 도 5의 예시에서 ST110 내지 ST140까지와 동일하다. 이후에 이미지 신호 처리기(60)에서 3D 이미지를 생성하고(ST250), 3D 이미지 파일이 메모리수단(56)에 저장된다(ST260).Referring to FIG. 7, steps ST210 to ST240 are the same as ST110 to ST140 in the example of FIG. Thereafter, a 3D image is generated in the image signal processor 60 (ST250), and the 3D image file is stored in the memory means 56 (ST260).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1 : 좌안 프레임 12 : 우안 프레임
13 : 밴딩부 14 : 걸이구
21 : 좌안 카메라모듈 22 : 우안 카메라모듈
23 : 전원버튼 24 : 동작버튼
26 : 통신포트 30 : 피사체
40 : 제어부 42 : 터치입력 인터페이스부
44 : USB 인터페이스부 52 : 전원부
54 : 터치키 56 : 메모리수단
58 : USB 포트 60 : 이미지 신호 처리기
11: Left eye frame 12: Right eye frame
13: Bending part 14: Hook part
21: Left eye camera module 22: Right eye camera module
23: Power button 24: Action button
26: Communication port 30: Subject
40: control unit 42: touch input interface unit
44: USB interface unit 52:
54: touch key 56: memory means
58: USB port 60: Image signal processor

Claims (15)

안경 프레임;
상기 안경 프레임의 좌안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좌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안경 프레임의 우안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우안 카메라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각각 별도로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및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합성하여 3D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기;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수단은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기에서 합성된 3D 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은 전방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좌안 프레임은 좌안 렌즈를 거치하고, 상기 우안 프레임은 우안 렌즈를 거치하며,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과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은 각각 전방의 피사체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좌안 프레임과 상기 우안 프레임에 중첩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을 은폐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을 개폐하고,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은 전방을 지향하고 지향각이 얼라인되어 고정되며,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과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은 초점거리가 50mm이고, 47deg의 렌즈화각을 가지며,
상기 좌안 프레임 또는 상기 우안 프레임의 걸이구에는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좌안 프레임 또는 상기 우안 프레임의 걸이구에는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버튼과 상기 좌안 카메라모듈 및 상기 우안 카메라모듈을 동작시키는 동작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전원버튼 및 동작버튼은 정전식 터치키로 구성된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
Glasses frame;
A left eye camera module installed on the left eye fram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And
And a right eye camera module mounted on the right eye fram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Memory means for separately stor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camera module; And
And an image signal processor for synthesiz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camera module and converting the synthesized image into a 3D image format,
Wherein the memory means stores the 3D image synthesiz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Wherein the left and right eye camera modules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are installed forward,
The left eye frame is mounted on the left eye lens, the right eye frame is mounted on the right eye lens,
The left and right eye camera modules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are respectively superimposed on the left eye frame and the right eye frame in a direction toward a subject ahead,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covers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Wherein the right eye camera module and the left eye camera module are oriented forward,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have a focal length of 50 mm, a lens angle of view of 47 de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is built in the hook frame of the left eye frame or the right eye frame,
A power butt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ft and right eye camera modules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and an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left eye camera module and the right eye camera module are installed in the hooks of the left eye frame or the right eye frame,
Wherein the power button and the operation button are configured by an electrostatic touch ke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는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포트를 더 포함하는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port capable of exchang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포트는 USB 포트인 입체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안경.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communication port is a USB po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135631A 2010-12-27 2010-12-27 Glasses for taking stereo scopic image KR1019081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631A KR101908102B1 (en) 2010-12-27 2010-12-27 Glasses for taking stereo scopic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631A KR101908102B1 (en) 2010-12-27 2010-12-27 Glasses for taking stereo scopic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768A KR20120073768A (en) 2012-07-05
KR101908102B1 true KR101908102B1 (en) 2018-10-15

Family

ID=4670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631A KR101908102B1 (en) 2010-12-27 2010-12-27 Glasses for taking stereo scopic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1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54B1 (en) * 2011-04-01 2013-03-19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Camera goggles
KR101279519B1 (en) * 2011-11-11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controlling apparatus of stereopsis glasses and method thereof
US9500865B2 (en) * 2013-03-04 2016-11-22 Alex C. Ch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behavior and providing information
KR102242681B1 (en) * 2019-02-25 2021-04-27 주식회사 모플래닛 Smart wear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3 dimensional face and space information using thi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8406A (en) * 2000-05-11 2001-11-16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with lens co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8406A (en) * 2000-05-11 2001-11-16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with lens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768A (en)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181161U (en) Wearable imaging device
CN109814719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isplaying information based on wearing glasses
US9851803B2 (en) Autonomous computing and telecommunications head-up displays glasses
US10534184B2 (en) Auxiliary device for head-mounted displays
EP2963479B1 (en) Glasses-type head mounted display
US20230218976A1 (en) Swim ar goggles
KR102587025B1 (en) Wearable glass device
TWI564590B (en) Image can strengthen the structure of the glasses
JP2014011655A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system
CN105657099B (en) Portable 3D camera and the mobile phone that 3D video can be shot
CN105549203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9874754B2 (en) Glasses-type terminal
KR101908102B1 (en) Glasses for taking stereo scopic image
KR20130059827A (en) Glasses type camera using by pupil tracker
CN110100199A (en) It acquires, the system and method for registration and multimedia administration
WO2016169339A1 (en) Image enhancing eyeglasses structure
WO2020189450A1 (en) Device provided with plurality of markers
KR20130040379A (en) Single, part three-dimensional images with in the center of the case
CN112526749B (en) Display device, recording medium,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CN207181825U (en) The wearable smart machine of shooting direction can be identified
US20220373803A1 (en) Actuator aligned multichannel projector assembly
CN112684603B (en) Intelligent glasses
EP4332658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path thereof
KR20090008750A (en) 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
JP2017108302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