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452B1 -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Google Patents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452B1
KR101907452B1 KR1020120024702A KR20120024702A KR101907452B1 KR 101907452 B1 KR101907452 B1 KR 101907452B1 KR 1020120024702 A KR1020120024702 A KR 1020120024702A KR 20120024702 A KR20120024702 A KR 20120024702A KR 101907452 B1 KR101907452 B1 KR 10190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terminal
user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3225A (en
Inventor
박태형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452B1/en
Publication of KR2013010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2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4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단말 및 그 무선단말의 정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를 확인하는 모션 패턴 확인부와, 상기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모션 패턴이 발생한 제2 내지 제N(N=2,3..N) 무선단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고,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제2 내지 제N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과 텍스트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공유영역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공유 처리부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rminal and a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pattern confirmation unit that confirms pattern information of motion sensed from one or more sensor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or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one or mor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specific time interval from the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N = 2, 3, ... N) wireless terminals that have motion patterns at a specific time interv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n the screen And if one of the one or more pieces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ted on the screen is selected, the us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hared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to Nth wireless terminals and a shared area for mutually sharing one or more texts and contents.

Description

무선단말 및 그 무선단말의 정보처리 방법{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rminal and a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무선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무선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시간 간격대에 모션 패턴을 발생시킨 다수의 사용자들 간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who have generated a motion pattern at a specific time interval through an application of a wireless terminal using pattern information of a motion sensed from one or more sensors provided in a user wireless terminal To be shared with each other.

근래 들어 무선인터넷이 지원되는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들은 온라인 상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상호간 채팅이나 컨텐츠를 교환 및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Recently, with the spread of smart phones with wireless internet support, users can chat and exchange contents with each other through a smart phone online.

그러나, 사용자들이 일과에 집중하고 있는 와중에 시도 때도 없이 들어오는 채팅 요청은 오히려 사용자들의 짜증을 유발하는 등 사회적인 문제점으로도 두각되고 있으며, 특히, 밤 12시가 넘은 늦은 시간대인 경우에는 더욱 더 그러하다.
However, when a user is concentrated in a daily routine, a chat request that comes in without an attempt is more likely to be a social problem such as causing a user's irrita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late time zone exceeding 12 o'clock in the night.

한편, 늦은 밤 시간대에 심심함을 달래려고 지인들과 채팅을 하고 싶지만, 늦은 시간에 전화를 걸 수도 없고, 잠자리에 들었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무작정 메시지를 보내는 것도 힘든 상황이 연출되기도 하는 바, 늦은 밤 시간대에 사용자 본인과 같이 심심함을 달래기 위해 채팅을 원하는 사용자들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I would like to chat with my friends to calm down late at night, but I can not make calls in the late hou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way to easily and conveniently interconnect the users who want to chat with the user in the time zone in order to appease the user.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not obvious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so that the inventive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judged based on the recognition based on such recognition I will revea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신망 상의 정보처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 상의 정보처리 서버로부터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모션 패턴이 발생한 제2 내지 제N(N=2,3..N) 무선단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고,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제2 내지 제N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과 텍스트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공유영역이 출력되도록 처리함으로써, 늦은 밤 시간대에 사용자 본인과 같이 심심함을 달래기 위해 채팅을 원하는 사용자들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단말과 정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rm pattern information of a motion sensed by one or more sensors, and to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or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N = 2), in which a motion pattern is generated at a specific time interval, is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 3., 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s, processes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output on the screen, and selects any one of the one or more pieces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One or more texts and contents are mutually shared with applications provided to the second to Nth wireless terminals of the us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processing the output so that the public domai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at enables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interconnect users want to chat to appease the simsimham as your own in the late night hour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but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vention. There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를 확인하는 모션 패턴 확인부와, 상기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모션 패턴이 발생한 제2 내지 제N(N=2,3..N) 무선단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고,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제2 내지 제N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과 텍스트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공유영역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공유 처리부를 구비한다.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pattern checking unit for checking pattern information of a motion sensed by one or more sensor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a motion pattern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or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N = 1, 2, 3, 4, 5, 6, 7, 8, 9,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roces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output on the screen, If any one of them is selected, the applications provided to the second to Nth wireless terminals of the us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ent and a shared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output such that the public domain which share at least one cross.

일측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은, 무선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확인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위치정보 확인부가 확인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더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to the serve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주소록의 사용자 지인정보를 상기 서버로 더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further transmit user information of an address book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server.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에서의 정보처리 방법은,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모션 패턴이 발생한 제2 내지 제N(N=2,3..N) 무선단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선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제2 내지 제N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과 텍스트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공유영역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checking pattern information of a motion sensed by one or more sensor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in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ausing the application to transm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or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N = 2, 3, ... N) mobile terminals in which a motion pattern is generated for a specific time interval is receiv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cessing information to be output on the screen; Processing the applications provided to the second to Nth wireless terminals of us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to output one or more mutually sharing shared areas of text and contents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보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rding medium characterized by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는,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지자기 센서, 터치 센서, 근접 센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a geomagnetism sensor, a touch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션 패턴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이 좌우, 또는 상하 또는 앞뒤로 흔들리는 횟수 또는 패턴정보와, 삼각, 사각, 원, 타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도형의 형상을 그리는 패턴정보와,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터치 패턴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attern information for drawing a shape of a fig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number of times the user wireless terminal swings left and right, up and down or back and forth, pattern information, and a triangle, a square, , And one or more touch pattern information input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간단한 모션 만으로 사용자들이 스스로 채팅 등을 원하는 시간대에 채팅을 원하는 다른 사용자들 정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늦은 밤 시간대에 전화를 걸거나, 잠자리에 들었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무작정 메시지를 보내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늦은 밤 시간대에 사용자 본인과 같이 심심함을 달래기 위해 채팅을 원하는 사용자들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상호 연결해 줄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share information of other users who want to chat in a time zone in which users want to chat by themselves with only a simple motion, And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connect users who want to chat in order to appease the user like the user in the late night ti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의 통신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처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에서의 모션 패턴정보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처리 서버와 무선단말 간 모션 패턴정보를 이용한 특정 시간대별 사용자 식별정보 공유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form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above,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atio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tion patter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in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ha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specific time periods using motion pattern information between a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의 통신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정보처리 서버(100)와 저장매체(105)로 이루어지는 정보처리 시스템이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10)들과 연결되어,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31)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and a storage medium 105 is connected to user wireless terminals 11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one or more And uses the pattern information of motion sensed by the sensor 31 to proces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specific time interval band to be mutually shared.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은, 실시방법 및 통신망 연결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and the network connection method.

우선, 정보처리 서버(100)와 저장매체(105)가 직접 연결되는 구성과 통신망이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가능하며, 도면 상에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정보처리 서버(100)와 저장매체(105), 사용자 무선단말(110)간 연결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Firs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and the storage medium 105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munication network.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the storage medium 105, and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의 핵심 구성인 정보처리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31)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한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매체(105)에 저장하고, 저장매체(105)를 통해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사용자 식별정보들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110)들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이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which is a core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wireless terminals 110 that are sensed by one or more sensors 31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10 Receiv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otion pattern information or motion pattern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otion pattern information or motion pattern information to each us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vided into time intervals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05.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time interval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05, The application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s 110 plays a role of mutually sh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time interval band do.

여기서, 상기 특정한 시간 간격대는, 상기 무선단말(110)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시점의 시간으로부터 수분 또는 수십분 전 시간부터 수분 또는 수십분 후 시간까지의 간격대를 포함하며, 동일 시간 또는 수백분전/후 시간까지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pecific time interval interval may include a time interval of several minutes or tens of minutes to several minutes or tens of minutes after the time whe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and may be the same time or several hundreds of minutes / It can include up to a later time.

또한, 상기 정보처리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시, 상호 지인 관계와, 상호 동호회원 관계와, 상호 주소록에 포함된 관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특정 관계로 이루어진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식별정보들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110)들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이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시, 상호 지인 관계와, 상호 동호회원 관계와, 상호 주소록에 포함된 관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특정 관계로 이루어진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지인들간 특정 시간대별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를 더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시, 사용자 무선단말(110)들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일정 범위 이내 위치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서, 사용자와 인접한 지인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더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lassified and stored in time intervals, the relation information, the mutual association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included in the mutual address book, And stor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having the specific relationship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included relationships, and stores the applications in the wireless terminals 11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relationship included in the buddy list of the application and the relationship included in the mutual address book, the relationship included in the buddy list of the applicati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made to be mutually shared, 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is further received through the application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through the time interval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s 110. Thus, You can also do more to make it happen.

또한, 상기 정보처리 서버(100)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사용자들의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과 텍스트 내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sel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in an application provided in a wireless terminal 110 of users sh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an further perform a role of providing mutually shared areas.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처리 서버(100)와 저장매체(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나, 상기 저장매체(105)가 외부 통신망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정보처리 서버(100) 만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and a storage medium 105. When the storage medium 105 is located on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 ≪ / RTI >

상기 저장매체(105)는, 정보 수신 시간 간격대별로 순차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자 식별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무선단말(110) 식별정보 등을 하나 이상 연결하여 저장하되, 사용자들 간 상호 지인 관계와, 사용자들 간 상호 동호회원 관계와, 사용자들 간 상호 주소록에 포함된 관계와, 사용자들 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특정 관계로 이루어진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로 각각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medium 105 stores one or more pieces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in a sequential or independent mann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eption time interval, Classifies them in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users having a specific relation including at least one relation among the users, the relationship included in the mutual address book between the users, and the relation included in the buddy list of the application between the users .

또한, 상기 저장매체(105)는,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가 더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시, 사용자 무선단말(110)들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일정 범위 이내 위치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is further received through the application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the storage medium 105 stor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ime interval, , And may store and stor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users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s 11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 이름, 아이디, 별칭, 사진, 이미지, 무선단말(110) 번호, 애플리케이션 고유 아이디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 name, an ID, an alias, a photograph, an image, a wireless terminal 110 number, an application unique ID,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05)는 상기 정보처리 시스템에 구비되거나, 또는 통신망 상에 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105 may be provid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r may be provided in a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110)은, 하나 이상의 센서(31)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모션 패턴이 발생한 제2 내지 제N(N=2,3..N) 무선단말(110)들의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한 후,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제2 내지 제N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과 텍스트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공유영역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pattern information of a motion sensed from one or more sensors 31 and generat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or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N = 2, N = 1, 2, 3, 4), in which motion patterns are generated in a specific time interval by at least on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specific time interval from a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3.)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s 110 is received,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utput on the screen, and one of the one or more pieces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is selected The second to Nth wireless terminals 110 of the us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processing for outputting the inverse.

또한, 상기 무선단말(110)은,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더 전송함으로서, 사용자와 인접한 지인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더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terminal 110 may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and then transmit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110 may sha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quaintances of the acquaintances adjacent to the user Can be performed.

여기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10)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을 포함한다.
Here,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includes all terminals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처리 서버(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정보처리 시스템 상의 정보처리 서버(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일 뿐, 본 발명은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2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hown in FIG. 1, and each configuration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처리 서버(100)는, 통신부(21)와, 확인부(22)와, 저장부(23)와, 처리부(24)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a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 a confirmation unit 22, a storage unit 23, a processing unit 24, And a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the constituent units.

여기서, 상기 정보처리 서버(100)는 실시예 설명을 위해 도면 상에는 단일 서버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각각의 수단이나 구성부가 각각 하나 이상의 서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Here, alth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is shown as a single server in the drawing for the sake of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 each of the means and constituent units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by one or more servers.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통신부(21)는, 복수의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31)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pattern of motion sensed from one or more sensors 31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10 through applications provided in a plurality of user wireless terminals 110, And receiv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of information or mo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1)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외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와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주소록 정보 등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10)로부터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10)로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 inclu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or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other tha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or data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such as address book information and transmits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확인부(22)는, 상기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들-사용자 식별정보와 기타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와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주소록 정보 등-과 사용자의 회원정보와, 동호회원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 정보 등을 확인하여, 저장부(23)에서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매체(105)에 저장시, 상호 지인 관계와, 상호 동호회원 관계와, 상호 주소록에 포함된 관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특정 관계로 이루어진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거나, 및/또는 사용자 무선단말(110)들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일정 범위 이내 위치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onfirmation unit 2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 such a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th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Information on the user, member information of the user, group membership information, buddy list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 like, and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05 by divid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ime interval, Classifying and sto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users having a specific rel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utual acquaintance relationship, a mutual partner association, a relationship included in a mutual address book, and a relationship included in a buddy list of the application, and / O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users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s 110. [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저장부(23)는, 상기 통신부(21)가 수신한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한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매체(105)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torage unit 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each piece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pplications that transmit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otion pattern information or motion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1, And stores them in the storage medium 105. FI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23)는, 상기 확인부(22)를 통한 확인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시, 상호 지인 관계와, 상호 동호회원 관계와, 상호 주소록에 포함된 관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특정 관계로 이루어진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23 may sto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time interval group and sto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3 using the confirmation result through the confirmation unit 22,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users having a specific rel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relationships included in the address book and the buddy list of the application.

또한, 상기 저장부(23)는, 상기 확인부(22)를 통한 확인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시, 사용자 무선단말(110)들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일정 범위 이내 위치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3 may sto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s 110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lassified by time interval and stored, using the confirmation result through the confirmation unit 22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users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처리부(24)는, 상기 저장부(23)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05)에 저장된 정보들을 근거로 하여,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사용자 식별정보들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110)들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이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processing unit 2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time interval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05 via the storage unit 23, And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s 110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utually sha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time interval.

예를 들면, 상기 처리부(24)는, 저장매체(105) 상에 밤12시를 기준으로 하여 10분 간격인 11시50분에서 12시 10분까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각각의 사용자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의 아이디 등-을 각각의 사용자의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거나, 저장매체(105) 상에 밤12시를 기준으로 하여 10분 이전인 11시50분에서 12시까지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각각의 사용자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의 아이디 등-을 각각의 사용자의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들이 상호 접속하여 채팅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24 may stor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11:50 to 12:10, which is 10 minutes apart at 12 o'clock, on the storage medium 105, Or an ID of a user to which the user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110 of each user or transmits the application to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110 of each user or transmits the application to the storage medium 105 at 11:50 By transmitt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Ds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 the users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s 110 of the respective users through the internet, And so on.

본 발명의 일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23)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시, 상호 지인 관계와, 상호 동호회원 관계와, 상호 주소록에 포함된 관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특정 관계로 이루어진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 경우, 상기 처리부(24)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식별정보들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110)들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이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시, 상호 지인 관계와, 상호 동호회원 관계와, 상호 주소록에 포함된 관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특정 관계로 이루어진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tual acquaintance relationship, the mutual association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included in the mutual address book, In a case whe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users having a specific relation including at least one relation included in the buddy list of the application is classified and stored, the processing unit 24 may classify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110) are mutually sh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specific time interval, the mutual relationship, the mutual membership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included in the mutual address book, the buddy list of the application Sh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having the specific relationship including at least one relation included in It can be locked.

또한, 상기 처리부(24)는, 상기 저장부(23)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시, 사용자 무선단말(110)들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일정 범위 이내 위치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자 식별정보들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110)들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이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시, 사용자 무선단말(110)들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일정 범위 이내 위치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vid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3 according to time intervals, the processing unit 24 searches for a user who is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s 110, The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s 110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mutually shar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time interval b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can be mutually sha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s 110.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24)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사용자들의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과 텍스트 내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영역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is selected in the application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10 of users sh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processing unit 24 searches the application of the selected user, Provide one or more mutually shared area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 서버(100)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부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는 단일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셋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components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can be configured as a single program or a set of programs.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11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er wireless terminal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 3은 이동통신 내지 통신 시스템 상에서 운용되는 무선단말(110)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도면상에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무선단말(110)은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외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 키패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안테나와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현재 또는 향후 통신이 가능한 무선단말(110)의 기능과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3, the wireless terminal 110 operating on a mobile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system is appli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figure, the wireless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Liquid Crystal Display), an antenna and a battery, and may include all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capable of current or future communication .

바람직하게, 전술한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참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110)의 주요 기능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모션센서(31)와, 모션패턴 확인부(32)와, 위치정보 확인부(33)와, 무선 통신부(34)와, 공유 처리부(35)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단말(110)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상기 각 구성부는 추가 또는 제외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in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fers to the hardware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includes at least one motion sensor 31, a motion pattern verifier 32, And a control unit 30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The wireless terminal 110 includes a wireless terminal 110 and a wireless terminal 110. The wireless terminal 110 includes an information check unit 33,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4, a sharing processing unit 35,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each of the components may be added or excluded.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모션 센서(31)는 상기 무선단말(110)의 각종 모션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31)로서,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지자기 센서, 터치 센서, 근접 센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The motion sensor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31 for sensing various mo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a geomagnetism sensor, a touch sensor, can do.

여기서, 도면 상의 모션 센서(31)는 단일 구성을 도시되었으나, 하나 이상의 복수개 센서(31)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although the motion sensor 31 in the drawing is shown as a single configuration, 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ensors 31. [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모션 패턴 확인부(32)는, 상기 모션 센서(31)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motion pattern checking unit 3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role of checking a pattern of motion sensed by the motion sensor 31. [

즉, 상기 모션 패턴 확인부(32)는, 상기 모션 센서(31)들로부터 센싱되는 각종 모션(motion)의 패턴, 즉,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10)이 좌우, 또는 상하 또는 앞뒤로 흔들리는 횟수 또는 패턴과, 삼각, 사각, 원, 타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준 도형의 형상을 그리는 패턴과,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패턴, 사용자의 근접 패턴 등을 확인한다.
That is, the motion pattern verifying unit 32 recognizes patterns of various motions sensed by the motion sensors 31, that is, the number of times or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rocks left and right, A pattern for drawing a shape of a reference graphic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riangle, a square, a circle, and an ellipse, a pattern input on the touch screen, and a proximity pattern of the user.

또한, 상기 모션 패턴 확인부(32)는, 상기 모션 센서(31)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을 기 정해진 기준 패턴(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10)이 좌우, 또는 상하 또는 앞뒤로 흔들리는 횟수 또는 패턴과, 삼각, 사각, 원, 타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준 도형의 형상을 그리는 패턴과,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패턴)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otion pattern verifying unit 32 determines a motion pattern to be sensed by the motion sensor 31 based on a predetermined reference patter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rocks left and right, A pattern for drawing a shape of a reference graphic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riangle, a square, a circle, and an ellipse, and a pattern input on a touch screen) to determine whether to start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를들면, 서비스 개시를 확인하기 위해 기 설정한 패턴이 무선단말(110)이 좌우로 두 번 흔들리는 패턴인 경우, 상기 모션 패턴 확인부(32)는 자이로 센서(31)를 통해 무선단말(110)이 좌우로 두 번 흔들리는 것이 센싱되는 것이 확인되면, 확인된 모션 패턴과 기 정해진 패턴을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개시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wireless terminal 110 has a pattern that is pre-set to confirm the start of the service, the motion pattern verifying unit 32 checks the motion patter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through the gyro sensor 31 ) Is confirmed to be shaken twice to the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art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paring the determined motion pattern with the predetermined pattern.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위치정보 확인부(33)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나 통신망 기지국 정보, 지역 네트워크 망 또는 중계기 정보 등을 이용하여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 확인방식은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단말(110)에 대한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3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nformation, network base station information, local network or repeater information, , The location information checking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can be performed in various manners as the related art develops. The technique for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is a well-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무선 통신부(34)는, 상기 모션 패턴 확인부(32)를 통해 확인한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신망 상의 정보처리 서버(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위치정보 확인부(33)를 통해 확인된 상기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 내지 각종 사용자 무선단말(110)을 통한 요청정보 등을 통신망 상의 정보처리 서버(100)로 더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or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motion pattern verification unit 32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confirm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33 or the request information through the various wireless terminals 110 to the server 100. [ To the processing server (100).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34)는, 상기 정보처리 서버(100)로부터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모션 패턴이 발생한 제2 내지 제N(N=2,3..N) 무선단말(110)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더 수행하며, 이외 상기 무선단말(110)과 정보처리 서버(100) 간 각종 정보나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며, 통신망을 통한 사용자들의 무선단말(110) 간 정보 공유에 따른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4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specific time interval interval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second to Nth (N = 2, 3. N) receiv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s 110,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10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s 110 by users.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공유 처리부(35)는, 상기 무선 통신부(34)가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한 후,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제2 내지 제N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과 텍스트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공유영역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haring processing unit 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4 so as to be output on the screen, And processes the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to Nth wireless terminals 110 of the us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output one or more mutually sharing shared areas with text and content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10)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부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는 단일 프로그램 내지 프로그램 셋 형태,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components of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10 can be configured as a single program, a program set, or an application form.

이하, 전술한 정보처리 시스템이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31)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using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sensed by the one or more sensors 31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ay mutually shar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specific time interval b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여기서, 도면 3의 무선단말(110) 내 구성부의 기능과 역할은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이 가능한 바, 별도의 무선단말(110) 내 구성부 명칭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Here,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components in the wireless terminal 110 of FIG. 3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pplications, and the names of the components in the separate wireless terminal 110 will be described as application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110)에서의 모션 패턴정보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processing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in the wireless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사용자 무선단말(110)은 특정 시간 간격대에 모션 패턴을 발생시킨 다수의 사용자들 간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호 공유하기 위한 정보 처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410).
First,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drives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lication for mutually sha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who have generated a motion pattern at a specific time interval (S410).

이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31)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을 확인하고, 확인된 모션의 패턴을 기 정해진 기준 패턴(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10)이 좌우, 또는 상하 또는 앞뒤로 흔들리는 횟수 또는 패턴과, 삼각, 사각, 원, 타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준 도형의 형상을 그리는 패턴과,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패턴)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S420).
The application then checks the pattern of motion sensed from the one or more motion sensors 31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10 and transmits the pattern of the identified motion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pattern A pattern of a reference fig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number of times or patterns of shaking from left to right or upward or downward or back and forth and a reference fig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triangle, square, circle, and ellipse and a pattern input on the touch screen) (Step S420).

서비스 정책 상 통신망 상의 정보처리 서버(100)로 전송하는 정보 중 위치정보가 추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S430),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신망 상의 정보처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440).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added 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service policy (S430), the application may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or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S440).

만약, 서비스 정책 상 통신망 상의 정보처리 서버(100)로 전송하는 정보 중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S45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나 통신망 기지국 정보, 지역 네트워크 망 또는 중계기 정보 등을 이용하여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를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와 같이 통신망 상의 정보처리 서버(100)로 전송(SS460).
I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is added 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service policy (S450), information o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information, Or repeater information or the like to identif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and then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wireless terminal 110 to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or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SS46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처리 서버(100)와 무선단말(110) 간 모션 패턴정보를 이용한 특정 시간대별 사용자 식별정보 공유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ha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pecific time period using motion pattern inform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정보처리 서버(100)는 통신부(21)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31)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510).
First,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receives a motion sensed from one or more sensors 31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110 from applications provided in a plurality of user wireless terminals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S510).

상기 (S510)과정에서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S520), 상기 정보처리 서버(100)는 저장부(23)를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매체(105)에 저장시, 사용자 무선단말(110)들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일정 범위 이내 위치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다(S530).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in step S510,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may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in the storage unit 23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is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s 110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vided into time segments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05 (S530).

상기 (S510)과정에서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S540), 상기 정보처리 서버(100)는 저장부(23)를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매체(105)에 저장한다(S550).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is not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in step S510,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may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23) and stor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medium 105 (S550).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S530)과정과 (S540)과정에서, 정보처리 서버(100)는 확인부(22)를 통해 상기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들-사용자 식별정보와 기타 무선단말(110)의 위치정보와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주소록 정보 등-과 사용자의 회원정보와, 동호회원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 정보 등을 확인한 후, 저장부(23)를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시간 간격대별로 구분하여 저장매체(105)에 저장시, 상호 지인 관계와, 상호 동호회원 관계와, 상호 주소록에 포함된 관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특정 관계로 이루어진 사용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in the processes (S530) and (S540)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 through the confirmation unit 22, The membership information of the user, the buddy list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 like, and then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10 in the storage unit 23, When sto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medium 105 by divid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ime interv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tual acquaintance relationship, the mutual partner association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included in the mutual address book, and the relationship included in the buddy list of the applicati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having the specific relationship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이후, 정보처리 서버(100)는 처리부(24)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05)에 저장된 정보들을 근거로 하여,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확인한 후(S560), 상기 확인된 사용자 식별정보들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110)들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으로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들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이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들을 상호 공유하도록 처리한다(S570).
Thereaft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confirm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time interval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05 through the processing unit 24 (S56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included in the specific time interval band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s 110 of the user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570).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정보처리 서버(100)에서 전송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580).
The application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process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00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S580).

이후,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은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지 확인한 후,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S590), 상기 선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제2 내지 제N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과 텍스트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공유영역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595).
After checking whether one or more pieces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10 selects one or more pieces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590) (S595) so that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to Nth wireless terminals 110 of the user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hared area sharing one or more of the text and the content are outputted.

100 : 정보처리 서버 110 : 사용자 무선단말
30 : 제어부 31 : 모션 센서
32 : 모션 패턴 확인부 33 : 위치정보 확인부
34 : 무선 통신부 35 : 공유 처리부
100: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110: User wireless terminal
30: control unit 31: motion sensor
32: motion pattern checking unit 33: position information checking unit
34: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5:

Claims (8)

무선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를 확인하는 모션 패턴 확인부;
상기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모션 패턴이 발생한 제2 내지 제N(N=2,3..N) 무선단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고,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제2 내지 제N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과 텍스트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공유영역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공유 처리부;를 구비하는 무선단말.
In a wireless terminal,
A motion pattern verifying unit for verifying pattern information of a motion sensed by one or more sensor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or the motion pattern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one or mor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specific time interval period from a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N = 2, 3, ..., N) wireless terminals that have motion patterns in the first to Nth wireless termina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ocesses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elects any one of the one or more pieces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ted on the screen, the second to Nth And a shared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p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to output one or more shared areas of text and contents.
제 1항에 있어서,
무선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확인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위치정보 확인부가 확인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로 더 전송하는,
무선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cation information checking unit for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nd further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to the serve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주소록의 사용자 지인정보를 상기 서버로 더 전송하는,
무선단말.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nd further transmitting, to the server, information of a user of the address book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시간 간격대는,
상기 서버에서 정보를 수신한 시점의 시간으로부터 수분 또는 수십분 전 시간부터 수분 또는 수십분 후 시간까지의 간격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ime interval is from a time of several minutes or tens of minutes to a time of several minutes or several tens of minutes after the time when th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e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지자기 센서, 터치 센서, 근접 센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단말.
The sensor according to claim 1,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touch sensor, a proximity sensor,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패턴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이 좌우, 또는 상하 또는 앞뒤로 흔들리는 횟수 또는 패턴정보와,
삼각, 사각, 원, 타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도형의 형상을 그리는 패턴정보와,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터치 패턴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단말.
2. The method of claim 1,
A number of times or pattern information that the user wireless terminal shakes right and left or up and down or back and forth,
Pattern information for drawing a shape of a figu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riangle, a square, a circle, and an ellipse,
A touch scre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touch pattern information input on a touch screen;
Wireless terminal.
무선단말에서의 정보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모션(motion)의 패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모션(motion)의 패턴정보 또는 모션의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특정한 시간 간격대에 모션 패턴이 발생한 제2 내지 제N(N=2,3..N) 무선단말들의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선택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제2 내지 제N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들과 텍스트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상호 공유하는 공유영역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에서의 정보처리 방법.
A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terminal,
Checking pattern information of a motion sensed by one or more sensors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in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Process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or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mo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application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One or more pieces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specific time interval from a server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second to Nth (N = 2, 3, ... N) wireless Processing the receiv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s is received;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one of the one or more pieces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is selected, the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to Nth wireless terminals of the us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cessing the content to output one or more shared areas that are mutually shared.
제 7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7.
KR1020120024702A 2012-03-09 2012-03-09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9074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702A KR101907452B1 (en) 2012-03-09 2012-03-09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702A KR101907452B1 (en) 2012-03-09 2012-03-09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225A KR20130103225A (en) 2013-09-23
KR101907452B1 true KR101907452B1 (en) 2018-10-12

Family

ID=4945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702A KR101907452B1 (en) 2012-03-09 2012-03-09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45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833A (en) 2004-03-05 2005-09-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nfrastructure sensor device, center station,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995B1 (en) * 2005-03-24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Authentication and personal contents transmission method for having personal contents in common, and display apparatus and server thereof
JP4332738B2 (en) * 2005-03-31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communication packet
US8522271B2 (en) * 2008-02-14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ring user profiles
KR20110087898A (en) * 2010-01-27 2011-08-03 (주) 프람트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motion master data of terminal provided with motion sensor
KR20110086680A (en) * 2011-07-13 2011-07-29 디지엠정보기술(주) Sensor using a smartphon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n-screen-based multi-user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5833A (en) 2004-03-05 2005-09-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nfrastructure sensor device, center station,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225A (en)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723B1 (en) Geo-fence authorization provisioning
US9247010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real-time social and business interactions/networking
US2018017672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on-based machine-assisted interactions
CN104737194B (en)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using the device
CN104798417B (en) Geography fence based on semantic locations
US20170011348A1 (en) Venue notifications
CN110710190B (en) Method, terminal,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user portrait
US20140323106A1 (en) System, appartus, and method for utilizing sensor data
WO2014187243A1 (en) Third application login method and corresponding apparatus and terminal
KR102153526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information
KR101584983B1 (en)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erver for finding missing object based on beacon
US20130227425A1 (en) Situ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with server and user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WO20161474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5827265A (en) Method and device of data transmission based on wearable device
JP6354750B2 (en) Community service system and community service method
CN101847193A (en) Terminal equipment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on display interface of terminal equipment
KR101907452B1 (en) Wireles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2790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automatic response method
KR20150016416A (en) Recording Medium,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Processing
US113304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Hsieh et al. Toward a mobile application for social sharing context
WO2016140984A1 (en) A smart iot wearable
WO2016054290A1 (en) Using proximity sensors for receiving signals in a facility
KR20170043913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mpanion thereof
US20200143309A1 (en) Portable real-time experience communications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