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313B1 -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313B1
KR101907313B1 KR1020170062941A KR20170062941A KR101907313B1 KR 101907313 B1 KR101907313 B1 KR 101907313B1 KR 1020170062941 A KR1020170062941 A KR 1020170062941A KR 20170062941 A KR20170062941 A KR 20170062941A KR 101907313 B1 KR101907313 B1 KR 101907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unit
air
contamin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3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ondition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mprising: an air-conditioning device purifying air;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inside a room, and each measuring a pollution level of air; and a control unit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controlling a ventilation direction of the air-conditioning devic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the pollution levels of an area that the plurality of sensors have measured, and controls the ventilation direction toward the area with the highest pollution level when a deviation of the area with the highest pollution level exceeds a reference value.

Description

공조 시스템 및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 및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The following descrip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describe the prior art.

산업화에 의해 미세 먼지 등이 발생하여 실내 공기가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조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Industrial dust has been generated due to the generation of fine dust and the like. Accordingly, an air conditioner for purifying indoor air has been developed.

일반적으로 공조 장치의 송풍 방향은 실내를 전반적으로 정화하도록 기본 방향으로 세팅되어 있다. 그러나 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각각의 영역마다 다르고, 경우에 따라 실내의 특정 지역을 선택하여 국부적으로 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zoning, 구역제).Generally, the ventilation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set to the basic direction so as to purify the room as a whole. However, the pollution degree of indoor air differs according to each area, and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select a specific area in the room and to purify it locally (zoning).

공개특허 제10-2005-0115343호(공개 일자: 2005.12.07.)에서는 송풍팬 주위에 유로를 형성하는 회전체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정화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다.Open No. 10-2005-0115343 (published on Dec. 2005)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rotating body forming a flow path around a blowing fan is freely rotatable so that air can freely chang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purified air Purifier.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실내의 오염도에 따라 오염도가 높은 영역을 국부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나아가 공조 장치와 오염 영역의 거리에 따라 송풍 세기를 조절하지 못하면, 정화된 공기가 오염 영역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정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does not disclose a configuration capable of locally purifying an area having a high degree of contamin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 room. Further, if the blowing intensity can no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contaminated area, the purified air can not reach the contaminated area, and thus the cleaning effect is deteriorated.

본 발명에서는 실내의 오염도를 판단하여 오염도가 높은 영역을 집중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공조 장치와 오염 영역의 거리에 따라, 송풍 세기를 조절하여, 정화 효과를 향상시킨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상기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intensively purifying a region having a high degree of contamination by judg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room.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improves the purifying effect by adjusting the blow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contaminated area.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은 공기를 정화하는 공조 장치; 실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센서; 복수 개의 상기 센서와 무선 통신하고,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센서가 측정한 영역의 오염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purifying air; A plurality of sensor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oom and measuring the degree of pollution of the air; And a controll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controlling a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wherein the controller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area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When the reference value is exceeded, the blowing direction can be controlled to the region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과 상기 공조 장치의 거리에 따라, 송풍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blow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distance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공조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된 유입구와 배출구;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한 필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된 제1송풍 유닛;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배치된 제2송풍 유닛; 상기 제2송풍 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송풍 유닛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송풍 유닛의 구동에 의해 송풍 방향이 변경되고,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se; An inlet and an outle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se; A filte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 first blowing unit disposed inside the case; A second blowing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econd air blowing unit, wherein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e through the inlet port, purified through the filter,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control the air blowing direction to the region where the pollution degree is the highest when the deviation of the region with the highest contamination degre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Can be controlled.

상기 제1송풍 유닛은 제1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송풍 유닛은 제2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과 상기 공조 장치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송풍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blowing unit includes a first blowing fan and the second blowing unit includes a second blowing fan,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blowing fan, the second blowing unit, And the second blowing fan, so that the blowing intensity can be controlled.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2송풍 유닛을 틸팅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can tilt the second blow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2송풍 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drive unit may rotate the second blowing unit.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해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단계; 제어부가 복수 개의 상기 센서가 측정한 영역의 오염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하고,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 이하이면, 기본 방향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measuring a pollution degree of a room by a plurality of sensors; A second step of calculating a mean value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rea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judging whether a deviation of the area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exceeds a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ing direction to the region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when the deviation of the region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controls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third Step < / RTI >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과 상기 공조 장치의 거리에 따라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lowing intensity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distance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1단계로 피드백될 수 있다.The third step may be fed back to the first step.

상기 공조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된 유입구와 배출구;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한 필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된 제1송풍 유닛;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배치된 제2송풍 유닛; 상기 제2송풍 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송풍 유닛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송풍 유닛의 구동에 의해 송풍 방향이 변경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송풍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se; An inlet and an outle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se; A filte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 first blowing unit disposed inside the case; A second blowing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econd air blowing unit.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e through the inlet port, purified through the filter,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 The blowing direction is changed by driving the second blow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해 송풍 방향을 변경하여 오염 영역을 집중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 공조 장치와 오염 영역 사이의 거리에 따라 송풍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오염 영역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tion area can be intensively purified by changing the air blowing direction by a plurality of sensors. Further, by adjusting the blow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contaminated area, the purified air can accurately reach the contaminated area.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제2송풍 유닛이 "기본 모드"로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제2송풍 유닛이 틸팅 구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제2송풍 유닛이 회전 구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second blowing unit is controlled in the "basic mode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second blowing unit is driven for tilting.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second blowing unit is rotationally driven.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are omit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은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제2송풍 유닛이 "기본 모드"로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제2송풍 유닛이 틸팅 구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제2송풍 유닛이 회전 구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공조 시스템(1000)은 공조 장치(100), 센서(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n air condition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second air blowing unit is controlled in "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at the air blowing unit is driven in a tilting manner,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second air blowing unit is rotationally drive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1000 may include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a sensor 200, and a control unit 300.

공조 장치(100)는 공기 정화 및 청정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공조 장치(100)는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조 장치(1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송풍 방향"과 "송풍 세기"가 제어될 수 있다. "송풍 방향"은 공조 장치(100)에서 배출된 정화된 공기의 이동 방향일 수 있다. "송풍 세기"는 공조 장치(100)에서 배출된 정화된 공기의 이동 속도일 수 있다. 이 경우, "송풍 세기"가 강해질 수록 이동 속도는 빨라진다.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can be used for air purification and cleaning purposes. The air conditioner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can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and the "blowing intensity" by the control unit 300. The "air blowing direction" may b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100. The "blowing intensity" may be the moving speed of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100. In this case, the stronger the "blowing intensity", the faster the moving speed.

공조 장치(100)는 케이스(110), 유입구(120), 배출구(130), 필터(140), 제1송풍 유닛(150), 제2송풍 유닛(160) 및 구동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ase 110, an inlet 120, an outlet 130, a filter 140, a first blowing unit 150, a second blowing unit 160 and a drive unit 170 .

케이스(110)는 공조 장치(100)의 외장 부재로 중공 형태일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각종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유입구(120)와 배출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유입구(120)와 배출구(1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입구(120)는 케이스(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구(130)는 케이스(110)의 윗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be in the form of a hollow external member of the air conditioner 100.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component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se 110.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30)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se (110). The inlet 120 and the outlet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example, the inlet 12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ase 110. The discharge port 1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필터(140)와 제1송풍 유닛(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140)는 제1송풍 유닛(15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filter 140 and a first blower unit 1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110. In this case, the filter 140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blowing unit 150.

케이스(110)의 타측에는 제2송풍 유닛(160)과 구동 유닛(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송풍 유닛(160)은 구동 유닛(170)에 장착되어, 케이스(110)의 윗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송풍 유닛(160)은 배출구(1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air blowing unit 160 and a driv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10. The second air blowing unit 160 may be mounted on the drive unit 170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In this case, the second blowing unit 160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 130.

제1송풍 유닛(150)은 제1송풍팬(151)과 제1모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 유닛(150)은 외부 공기를 유입구(120)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1송풍 유닛(150)은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필터(140)를 투과하도록 유동시킬 수 있다. 제1송풍 유닛(150)은 필터(140)를 투과한 공기가 배출구(130)를 통해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blowing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blowing fan 151 and a first motor 152. The first blowing unit 150 may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inlet 120. The first blowing unit 150 can flow the air inside the case 110 to pass through the filter 140. The first blowing unit 150 can flow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14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0.

즉, 제1송풍 유닛(150)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구(120)를 통하여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필터(140)를 투과하여 정화된 후,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at is,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inlet 120 by the first air blowing unit 150, is purified through the filter 14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30 have.

제1송풍 유닛(150)은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모터(15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세기, 파장 등을 제어하여, 제1송풍팬(151)의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써, 공조 장치(100)의 "송풍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blower unit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and controlled.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direction, intensity, and wavelength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motor 152 to chang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irst blowing fan 151 so that the "blowing intensity"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Can be controlled.

제2송풍 유닛(160)은 구동 유닛(170)에 장착되어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송풍 유닛(160)은 배출구(1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송풍 유닛(160)은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특정 방향으로 유동시켜, "송풍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The second air blowing unit 160 may be mounted on the drive unit 170 and disposed above the case 110. The second blowing unit 160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 130. The second blowing unit 160 can flow the discharged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0 in a specific direction to determine the "blowing direction ".

제2송풍 유닛(160)은 제2송풍팬(161), 제2모터(162) 및 하우징(16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63)은 제2송풍 유닛(160)의 외장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163)은 구동 유닛(170)과 연결되어 구동할 수 있다. 하우징(163)의 내부에는 제2송풍팬(161)과 제2모터(162)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모터(162)는 하우징(163)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송풍팬(161)은 제2모터(162)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blowing unit 160 may include a second blowing fan 161, a second motor 162, and a housing 163. The housing 163 may be an exterior member of the second air blowing unit 160. The housing 163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170 and can be driven. The second blowing fan 161 and the second motor 162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63. However, the second motor 16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163. The second blowing fan 161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162 and is rotatable.

하우징(163)에는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개구(미도시)와, 제2송풍팬(161)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63 may be formed with an inlet opening (not shown)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0 flows and a discharge opening (not shown)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by the second blowing fan 161.

제2송풍 유닛(160)은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2모터(16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세기, 파장 등을 제어하여, 제2송풍팬(161)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공조 장치(100)의 "송풍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blowing unit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and controlled.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direction, intensity, and wavelength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motor 162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blowing fan 161 so that the "blowing intensity"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Can be controlled.

구동 유닛(170)은 제2송풍 유닛(160)을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 유닛(170)은 하우징(163)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유닛(170)은 하우징(163)을 틸팅시키거나, 하우징(16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송풍 유닛(160)의 구동에 의해 공조 장치(100)의 "송풍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The drive unit 170 can drive the second blowing unit 160. [ The drive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63. [ The drive unit 170 can tilt the housing 163 or rotate the housing 163. [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can be changed by driving the second blowing unit 160. [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2송풍 유닛(160)의 틸팅 구동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틸팅 구동은 제2송풍 유닛(160)이 기울어지는 구동일 수 있다. 틸팅 구동 시, 하우징(163)의 일측은 상승(화살표 A 참조)하고, 하우징(163)의 타측은 하강(화살표 B 참조)할 수 있다. 틸팅 구동시, 제2송풍 유닛(160)의 회전축과 지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틸팅 구동시, 제2송풍 유닛(160)의 회전축과 케이스(110)의 중심축(1)이 이루는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tilting drive of the second blow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tilting drive may be a drive in which the second blowing unit 160 is inclined. At the time of tilting driving, one side of the housing 163 rises (see arrow A) and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63 falls (see arrow B). At the time of tilting driving,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blowing unit 160 and the horizontal plane can be changed. The angle formed by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blowing unit 160 and the central axis 1 of the case 110 can be changed during tilting driving.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회전 구동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회전 구동은 제2송풍 유닛(160)을 케이스(110)의 중심축(1)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일 수 있다. 회전 구동시, 제2송풍 유닛(160)의 회전축과 지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유지될 수 있다. 회전 구동시, 제2송풍 유닛(160)의 회전축과 케이스(110)의 중심축(1)이 이루는 각도는 유지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rotation dri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rotary drive may be a drive for rotating the second blowing unit 160 about the central axis 1 of the case 110. [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blowing unit 160 and the horizontal plane can be maintained.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blowing unit 160 and the center axis 1 of the case 110 can be maintained during the rotational driving.

구동 유닛(170)은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0)는 구동 유닛(17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하우징(163)의 틸팅 방향과 틸팅 각도를 제어하고, 회전 방향과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공조 장치(100)의 "송풍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and controll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00 applie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drive unit 170 to control the tilting direction and the tilting angle of the housing 163, and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Blowing direction "

제2송풍 유닛(160)은 제어부(300)에 의해 "기본 모드"와 "변경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기본 모드"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기본 방향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고, "변경 모드"는 특정 지역이 오염된 상황에서 오염 지역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The second blowing unit 16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0 to the "basic mode" and the " change mode ". The "basic mode" is to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in the normal direction in a general situation and the "change mode" controls the "blowing direction"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기본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 모드"에서는 제2송풍 유닛(160)의 제2송풍팬(161)이 off될 수 있다. 또, 제2송풍 유닛(160)은 회전축과 지평면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은 제1송풍 유닛(150)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된 정화 공기는, 제2송풍 유닛(160)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송풍되지 않고, 실내 전반에 균등하게 퍼질 수 있다.Hereinafter, the "basic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basic mode ", the second blowing fan 161 of the second blowing unit 160 can be turned off. The second blowing unit 16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 axis and the horizontal plan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low of air can be generated only by the first blowing unit 150. [ As a result, the purifi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0 is not blown in a specific direction by the second blowing unit 160, but can spread evenly throughout the room.

이와 달리, 다른 "기본 모드"에서는 제2송풍팬(161)이 on될 수 있다. 또, 제2송풍 유닛(160)은 회전축과 지평면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송풍팬(151)의 구동력에 제2송풍팬(161)의 구동력이 더해지기 때문에, 제2송풍팬(161)이 off되었을 때보다 "송풍 세기"가 쎄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blowing fan 161 may be turned on in another "basic mode ". The second blowing unit 16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 axis and the horizontal plan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ince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blowing fan 161 is added to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blowing fan 151, the blowing intensity can be set to be higher than when the second blowing fan 161 is turned off.

이와 달리, 또 다른 "기본 모드"에서는 제2송풍팬(161)이 on될 수 있다. 또, 제2송풍 유닛(160)은 회전축이 지평면과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2송풍 유닛(160)이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므로, 공조 장치(100)의 주변에 균등하게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blowing fan 161 may be turned on in another "basic mode ". Further, the second blowing unit 160 can be rotated so that the rotational axis thereof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second air blowing unit 160 rotates in an inclined state, so that the air evenly cleaned can be discharged to the periphery of the air conditioner 100.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변경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변경 모드"에서는 제2송풍팬(161)이 on될 수 있다. "변경 모드"에서는 제2송풍 유닛(160)을 틸팅 및/또는 회전시켜 "송풍 방향"을 실내의 특정 오염 영역으로 맞춘 후, 제2송풍 유닛(1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특정 오염 영역이 집중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Hereinafter, the "change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change mode ", the second blowing fan 161 can be turned on. In the "change mode", the second blowing unit 160 can be fixed after the second blowing unit 160 is tilted and / or rotated to match the "blowing direction" to a specific contaminated area in the room. As a result, a specific contaminated area can be intensively purified.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공조 장치(100)의 "송풍 세기"는 제1송풍 유닛(150)의 제1송풍팬(151)의 회전수와 제2송풍 유닛(160)의 제2송풍팬(161)의 회전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 공조 장치(100)의 "송풍 방향"은 구동 유닛(170)에 의한 제2송풍 유닛(160)의 구동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송풍팬(151)과 제2송풍팬(161)과 구동 유닛(170)을 제어하여, "송풍 세기"와 "송풍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blowing intensity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is determined b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blowing fan 151 of the first blowing unit 150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blowing fan 161 of the second blowing unit 160 The number of revolutions can be changed. The air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can be changed by driving the second blowing unit 160 by the drive unit 170. [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first blowing fan 151, the second blowing fan 161 and the drive unit 170 to control the "blowing intensity" and the "blowing direction".

센서(200)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200)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200)는 공조 장치(100)에 의해 정화되는 실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서(200)가 2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sensor 200 can measure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A plurality of sensors 200 may exist.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room to be cleaned by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re are two sensors 2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센서(210)는 실내의 제1영역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센서(220)는 실내의 제2영역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서로 이격되거나, 이웃하거나, 일부분이 오버랩될 수 있다. 한편, "오염도"는 실내 공기가 미세 먼지, CO2 등의 오염 물질에 의해 오염된 정도를 수치화한 값일 수 있다.The first sensor 210 may sens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rst area of the room. The second sensor 220 can sense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second area of the room. In this case,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spaced apart, neighboring, or partially overlapping. On the other hand, the "pollution degree" may be a value obtained by quantifying the degree to which indoor air is contaminated by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and CO 2 .

제1센서(210)와 제2센서(220)는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영역의 오염도와 제2영역의 오염도를 전기적 신호 형태로 제어부(300)에 송신할 수 있다. 제1센서(210)와 제2센서(220)는 제어부(300)와 무선 통신(예를 들면, Wi-Fi, RF 통신)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210 and the second senso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to transmit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first area and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second area to the controller 300 in an electrical signal form. The first sensor 210 and the second sensor 220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e.g., Wi-Fi, RF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300. [

제어부(300)는 제1송풍 유닛(150) 및 제2송풍 유닛(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송풍 유닛(150)과 제2송풍 유닛(160)을 제어하여, "송풍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송풍팬(151)과 제2송풍팬(161)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송풍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lowing unit 150 and the second blowing unit 160. [ The control unit 300 can control the first blowing unit 150 and the second blowing unit 160 to control the "blowing intensity ". The control unit 300 can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wing fan 151 and the second blowing fan 161 to control the "blowing intensity ".

제어부(300)는 구동 유닛(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구동 유닛(17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제2송풍 유닛(1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구동 유닛(170)을 제어하여, "송풍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70. The control unit 300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second blowing unit 160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drive unit 170. [ The control unit 300 can control the drive unit 170 to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

제어부(300)는 복수 개의 센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복수 개의 센서(2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복수 개의 센서(200)가 측정한 영역의 오염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오염도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The control unit 30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 The control unit 300 may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rea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and determine whether the variation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rea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제어부(300)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오염도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제어부(300)에 기설정된 값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can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to the region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when the variation i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 the region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Her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control unit 300. [

특정 영역의 오염도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특정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오염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특정 영역은 집중적으로 정화되어야 한다.If the deviation of the pollution degree of the specific reg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means that the pollution degree of the specific region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regions. In this case, the specific area must be intensively cleansed.

일 예로, 제어부(300)는 제1영역의 오염도를 제1센서(210)로부터 전달받고, 제2영역의 오염도를 제2센서(220)로부터 전달받아, 제1영역의 오염도와 제2영역의 오염도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영역과 제2영역 중 제1영역의 오염도가 높은 경우, 제1영역의 오염도를 평균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조 장치(100)의 "송풍 방향"을 제1영역으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300 receives the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area from the first sensor 210, receives the pollution degree of the second area from the second sensor 220, The average value of the pollution degree can be calculated. The controller 300 can compa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rst region with the average value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rst region is high. The control unit 300 can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to the first area when the deviation of the first area exceeds the reference valu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1단계(S1), 제2단계(S2) 및 제3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tep (S1), a second step (S2), and a third step (S3).

제1단계(S1)는 복수 개의 센서(200)에 의해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센서(210)가 실내의 제1영역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제2센서(220)가 실내의 제2영역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first step S1 may be a step of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room by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210 measure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rst area of the room, and the second sensor 220 measure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econd area of the room.

제2단계(S2)는 제어부(300)가 복수 개의 센서(200)가 측정한 영역의 오염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In the second step S2, the control unit 300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area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viation of the area with the highest contamination degre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일 예로, 제어부(300)는 제1센서(210)와 제2센서(220)로부터 제1영역과 제2영역 각각의 오염도를 수신받아, 제1영역의 오염도와 제2영역의 오염도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제어부(300)는 제1영역의 오염도가 제2영역의 오염도보다 크면, 제1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이 경우, 기준값은 제어부(300)에 저장된 기설정된 값일 수 있다. 제1영역의 오염도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1영역이 집중적으로 오염된 것을 의미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300 receives the pollution degre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rom the first sensor 210 and the second sensor 220, calculates the average of the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pollution degree of the second region, .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rst region is larger tha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second region. In this cas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predetermined value stored in the control unit 300. If the variation i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rst reg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means that the first region is intensively contaminated.

제3단계(S3)는 제어부(300)가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하고(S3-1, 변경 모드),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 이하이면, 기본 방향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S3-2, 기본 모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00)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과 공조 장치(100)의 거리에 따라 "송풍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third step S3,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blowing direction" to the region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S3-1, change mode) when the deviation of the region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f the deviation of the high region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a step of controlling the air blowing direction in the basic direction (S3-2, basic mode).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300 can control the "blowing intensity"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air conditioner 100 and the area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일 예로, 제1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부(300)는 구동 유닛(17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송풍 방향"이 제1영역을 향하도록 제2송풍 유닛(600)을 구동시킨다. 나아가 제어부(300)는 제1영역과 공조 장치(100)의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한 거리에 따라 제1송풍팬(151)과 제2송풍팬(161)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송풍 방향"을 제어하여 제1영역을 집중적으로 정화할 수 있으며, "송풍 세기"를 제어하여 정화된 공기가 제1영역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300 applie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drive unit 170 to cause the second blowing unit 600 to move in the " blowing direction " . Further,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air conditioner 100, and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wing fan 151 and the second blowing fan 161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region can be intensively cleaned by controlling the "air blowing direction ", and the purified air can accurately reach the first region by controlling the" blowing intensity ".

제1영역의 편차가 기준값 이하이면, 제어부(300)는 기본 방향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본 방향"은 "기본 모드"의 "송풍 방향"을 의미한다. 그 결과, 정화된 공기는 실내 전반에 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다.If the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300 can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in the basic direction. On the other hand, "basic direction" means "blowing direction" of "basic mode ". As a result, the purified air can b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room.

제3단계(S3)는 제1단계(S1)로 피드백될 수 있다. 즉, 제1단계(S1), 제2단계(S2), 제3단계(S3)는 공조 장치(100)가 off될 때까지 계속 반복될 수 있다. 반복 과정에서 오염 영역의 오염도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변경 모드"와 "기본 모드"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third step S3 may be fed back to the first step S1. That is, the first step S1, the second step S2, and the third step S3 may be repeated until the air conditioner 100 is turned off. The "change mode" and the "basic mode" can be selectively applied depending on whether the deviation of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contaminated area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n the repeated proces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공조 장치 110: 케이스
120: 유입구 130: 배출구
140: 필터 150: 제1송풍 유닛
160: 제2송풍 유닛 170: 구동 유닛
200: 센서 300: 제어부
1000: 공조 시스템
100: air conditioner 110: case
120: inlet 130: outlet
140: filter 150: first blowing unit
160: second blowing unit 170: drive unit
200: sensor 300:
1000: Air conditioning system

Claims (10)

공기를 정화하는 공조 장치;
실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센서; 및
복수 개의 상기 센서와 무선 통신하고,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센서가 측정한 영역의 오염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과 상기 공조 장치의 거리에 따라, 송풍 세기를 제어하며,
상기 공조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된 유입구와 배출구;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한 필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된 제1송풍 유닛;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배치된 제2송풍 유닛; 및
상기 제2송풍 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송풍 유닛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송풍 유닛의 구동에 의해 송풍 방향이 변경되고,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제1송풍 유닛은 제1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송풍 유닛은 제2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과 상기 공조 장치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송풍 세기를 제어하는 공조 시스템.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purifying the air;
A plurality of sensor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oom and measuring the degree of pollution of the air; And
And a controll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controlling a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area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controls the air blowing direction to the area having the highest contamination degree when the deviation of the area with the highest contamination degre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distance of the air conditioner,
The air-
case;
An inlet and an outle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se;
A filte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 first blowing unit disposed inside the case;
A second blowing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And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second blowing unit,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e through the inlet port, purified through the filter,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by the first blowing unit,
The air blowing direction is changed by driving the second blow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control the blowing direction to an area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when the deviation of the area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exceeds a reference value,
Wherein the first blowing unit includes a first blowing fan and the second blowing unit includes a second blowing fa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wing fan and the second blowing fan to control the blow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distance of the air conditio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2송풍 유닛을 틸팅시키는 공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rive unit tilts the second blow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제2송풍 유닛을 회전시키는 공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rive unit rotates the second blowing unit.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해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제1단계;
제어부가 복수 개의 상기 센서가 측정한 영역의 오염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하고,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의 편차가 기준값 이하이면, 기본 방향으로 송풍 방향을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과 공조 장치의 거리에 따라 상기 공조 장치의 송풍 세기를 제어하며,
상기 공조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된 유입구와 배출구;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한 필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된 제1송풍 유닛;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배치된 제2송풍 유닛; 및
상기 제2송풍 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송풍 유닛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송풍 유닛의 구동에 의해 송풍 방향이 변경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송풍 방향을 제어하며,
상기 제1송풍 유닛은 제1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송풍 유닛은 제2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가장 높은 영역과 공조 장치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송풍 세기를 제어하는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A first step of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room by a plurality of sensors;
A second step of calculating a mean value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rea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judging whether a deviation of the area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exceeds a reference valu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ing direction to the region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when the deviation of the region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controls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third ≪ / RTI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ing intensity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air conditioner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The air-
case;
An inlet and an outle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ase;
A filte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 first blowing unit disposed inside the case;
A second blowing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And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second blowing unit,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ase through the inlet, purified through the filter,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by the first blowing unit, and the blowing direction is changed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blow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lowing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first blowing unit includes a first blowing fan and the second blowing unit includes a second blowing fa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wing fan and the second blowing fan to control the blow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highest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distance of the air conditioner.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1단계로 피드백되는 공조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third step is fed back to the first step.
삭제delete
KR1020170062941A 2017-05-22 2017-05-22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1907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941A KR101907313B1 (en) 2017-05-22 2017-05-22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941A KR101907313B1 (en) 2017-05-22 2017-05-22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313B1 true KR101907313B1 (en) 2018-12-07

Family

ID=6466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941A KR101907313B1 (en) 2017-05-22 2017-05-22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31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152A (en) * 2019-03-20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er
CN112178866A (en) * 2020-08-20 2021-01-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method, air purification devic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865056A (en) * 2021-10-23 2021-12-31 宁波爱科特环境电器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and intelligent terminal
EP3945257A1 (en) * 2020-07-30 2022-02-02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N114251769A (en) * 2020-09-21 2022-03-29 Lg电子株式会社 Air purif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9757A (en) * 2004-07-15 2006-02-02 Ipsquare Inc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1002166A (en) * 2009-06-19 2011-01-06 Panasonic Corp Air clean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9757A (en) * 2004-07-15 2006-02-02 Ipsquare Inc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1002166A (en) * 2009-06-19 2011-01-06 Panasonic Corp Air cleaning system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152A (en) * 2019-03-20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er
WO2019151846A3 (en) * 2019-03-2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purifier
US11571648B2 (en) 2019-03-20 2023-02-0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KR102609239B1 (en) * 2019-03-20 202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er
EP3945257A1 (en) * 2020-07-30 2022-02-02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N114061004A (en) * 2020-07-30 2022-02-18 Lg电子株式会社 Air purifier
CN114061004B (en) * 2020-07-30 2023-08-15 Lg电子株式会社 Air purifier
CN112178866A (en) * 2020-08-20 2021-01-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method, air purification devic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251769A (en) * 2020-09-21 2022-03-29 Lg电子株式会社 Air purification system
CN114251769B (en) * 2020-09-21 2024-03-08 Lg电子株式会社 Air purification system
CN113865056A (en) * 2021-10-23 2021-12-31 宁波爱科特环境电器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and intelligent terminal
CN113865056B (en) * 2021-10-23 2022-09-27 宁波爱科特环境电器有限公司 Air purification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and intelligent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313B1 (en) 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US10359204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327400B2 (en) Air cleaner
KR100580301B1 (en) Ai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02892B1 (en) Air ventilation system
KR20170086246A (en) Movable air purify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37177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perating the same
KR20180126217A (en) Air purifier
JP6394701B2 (en) Air cleaner
KR20180073760A (en) Air cleaner
US20170122606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307508A (en) Dehumidifying apparatus
KR20170027917A (en) Air purifying system having supplementary fa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75727A (en) Air cleaner and air quality control method in multi-direction of the same
KR102485739B1 (en) fan assembly
KR20190055863A (en) Human scanning type air purifier
KR20230023280A (en) Ventilating seat with adjustable airflow rat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EP3415831B1 (en) Cooling fan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cooling fan automatic control device
KR102561126B1 (en) Air purifier
KR20170077663A (en) Air conditioner system
KR20170015670A (en) Dehumidification apparatus having laundry drying fucn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77573B1 (en) Blower module for seat of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KR0182122B1 (en) A wind-direction display method of airconditioner
JP3909418B2 (en) Pulse air jet nozzle
JPH10148382A (en) Air conditio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