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506B1 - 이동식 기중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기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506B1
KR101902506B1 KR1020160035124A KR20160035124A KR101902506B1 KR 101902506 B1 KR101902506 B1 KR 101902506B1 KR 1020160035124 A KR1020160035124 A KR 1020160035124A KR 20160035124 A KR20160035124 A KR 20160035124A KR 101902506 B1 KR101902506 B1 KR 101902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rane
actuator
boo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842A (ko
Inventor
연재득
Original Assignee
연재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재득 filed Critical 연재득
Priority to KR1020160035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50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64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with a slewing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고정되어 중량물을 상하차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이동수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동시에 붐대의 길이를 단축시켜 중량물의 안전한 상하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동식 기중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수단과 이동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기중기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기중기는 제1 지지대와 제1 지지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회동지지대; 회동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붐대; 붐대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1 액츄에이터; 및 회동지지대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붐대의 제1 단부가 회동지지대의 제1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액츄에이터의 제1 단부가 붐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액츄에이터의 제2 단부가 회동지지대의 제2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액츄에이터의 제1 단부가 회동지지대의 제1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액츄에이터의 제2 단부가 이동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기중기{Transportable crane}
본 발명은 이동식 기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럭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고정되어 중량물을 상하차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이동수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동시에 붐대의 길이를 단축시켜 중량물의 안전한 상하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동식 기중기에 관한 것이다.
기중기(起重機, crane)라 함은 하물(荷物)을 들어올려서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총칭한다. 기중기는 기계장치 중에서도 가장 먼저 고안된 것으로 여겨지며, 약 5,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 피라미드를 만들 당시에 중량물 운반용으로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인력 또는 축력(畜力)이 사용되었으나, 나중에는 수력(水力)이 사용되었고, 19세기 중엽부터는 증기기관의 발달과 더불어 증기동력(蒸氣動力)이 사용되어 모빌 크레인(mobile crane)도 나타났다. 19세기 말경부터 전력(電力)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중량물 운반용 크레인이 급속히 발달하여 오늘날과 같은 여러 종류의 근대적인 크레인이 되었으며, 중량물을 인상하기 위한 붐대의 조작에 유압장치가 사용되어 트럭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장착되어서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되어 있다.
한편, 이동수단에의 기중기의 장착은 이동수단에도 그리고 기중기에도 각각 다른 제한점을 야기하였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기중기(100)의 하나의 구체예의 주요 구성부를 살펴보면, 이동수단(101)의 적재함(102)에 기중기(104)가 탑재되고, 기중기(104)는 붐대(105), 붐대(105)의 일측단부를 힌지축(106a)에 의해 힌지가능하게 고정시켜 작동기준점으로 기능하는 지지대(106) 및 지지대(106)를 기준으로 붐대(105)를 가동시켜 중량물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장치(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지지대(106)에 힌지가능하게 고정되는 붐대(105)의 타측단부(일측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는 중량물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윈치(108) 및 윈치(108)에 매달려서 윈치(108)에 의해 승하강되는 걸고리(109)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걸고리(109)에는 이송의 대상이 되는 중량물(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톤백 등을 매달 수 있다. 또한, 유압장치(107)는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으로서, 유압실린더(107a)와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107a)를 기준으로 출입하여 가변되는 실린더로드(107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되지 않는 한, 유압 대신 공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기중기의 지지대(106)가 적재함(102)의 내측, 즉 캐빈(103)에 근접하게 위치될수록 기중기가 이동수단, 즉 트럭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중량물의 승하강 시에도 트럭의 전복 등의 안전 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으나, 반대로 붐대(105)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며, 붐대의 길이의 증가는 붐대의 중량의 증가를 수반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붐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위험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붐대(105)를 제1 축(105a), 제2 축(105b) 및 제3 축(105c) 등을 포함하여 신축가능한 다단붐대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여전히 붐대(105) 자체의 내구성, 특히 중량물 인상에 대한 안전 상의 문제는 상기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밖에 없고, 오히려 붐대 자체의 구성이 복잡해져서 제작 과정에서의 생산단가의 상승은 물론,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라는 단점도 수반할 수 있다.
달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기중기(200)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3-0069535호)의 경우와 같이, 기중기(204)가 트럭(201)의 적재함(202)의 후단, 즉 적재함(202)을 기준으로 캐빈(203)에 대향되는 단부에 설치되는 경우, 특히 중량물(도시하지 않음)의 승강 시, 트럭의 캐빈(203) 쪽이 들리거나 아예 트럭(201) 자체가 전복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우트리거(205)를 필수적으로 더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기중기(204)를 구성하는 붐대가 이중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아우트리거(outrigger)는 크레인 안정 장치의 일종으로, 대차로부터 빔을 수평으로 돌출시키고, 그 선단에 장비한 잭으로 지지하는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주로 트럭 크레인에 사용되며, 유압장치에 의해 좌우 2개씩의 빔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내고, 다 밀려 나오면 빔 선단의 잭을 마찬가지로 유압 실린더에서 눌러, 기중기 본체의 하중을 잭의 4 점에서 받도록 하며, 이것에 의해 하물을 매달아 올릴 때 기중기가 전도(轉倒) 지지점을 하물 측에 가깝게 붙여 안정을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아우트리거의 추가 설치는 트럭의 주행안정성, 특히 공차 상태의 트럭의 주행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식 기중기 자체의 구성이 복잡해져서 제작 과정에서의 생산단가의 상승은 물론,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라는 단점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트럭의 적재함의 측면 쪽에 기중기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역시 중량물의 적재 시 전복 등의 위험을 피하기는 어렵고, 기중기가 트럭의 적재함에 편중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는 예외 없이 트럭 자체의 주행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트럭을 자주 옮기지도 않으면서도 트럭 근처의 중량물들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붐대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기중기의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이동수단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식 기중기의 개발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럭을 자주 옮기지도 않으면서도 트럭 근처의 중량물들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붐대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기중기의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이동수단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식 기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중기는, 이동수단과 이동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기중기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기중기는 제1 지지대와 제1 지지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회동지지대; 회동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붐대; 붐대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1 액츄에이터; 및 회동지지대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붐대의 제1 단부가 회동지지대의 제1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액츄에이터의 제1 단부가 붐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액츄에이터의 제2 단부가 회동지지대의 제2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액츄에이터의 제1 단부가 회동지지대의 제1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액츄에이터의 제2 단부가 이동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회동지지대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는 서로에 대하여 30 내지 150°의 범위 이내의 각도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회동지지대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측면에 이들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에 함께 고정되는 보강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붐대의 제2 단부에 중량물을 걸기 위한 걸고리가 더 연결될 수 있다.
붐대의 제2 단부에 윈치가 더 고정되고, 윈치에 걸고리가 연결될 수 있다.
기중기가 이동수단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한 쌍의 기중기의 붐대의 제2 단부들이 가로대로 서로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윈치가 가로대에 고정되고, 윈치에 걸고리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럭을 자주 옮기지도 않으면서도 트럭 근처의 중량물들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붐대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기중기의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이동수단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식 기중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기중기의 하나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동식 기중기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중기의 하나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식 기중기의 측면도로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직전의 기중기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이동식 기중기의 측면도로서, 기중기에 중량물을 매달아 이동수단의 적재함에 올려놓는 승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이동식 기중기를 구성하는 회동지지대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중기(1)는, 이동수단(10)과 이동수단(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기중기(20)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기중기(20)는 제1 지지대(21a)와 제1 지지대(21a)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 지지대(21b)를 포함하는 회동지지대(21); 회동지지대(2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붐대(22); 및 붐대(22)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1 액츄에이터(23); 및 회동지지대(21)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2 액츄에이터(24);를 포함하되, 붐대(22)의 제1 단부(22a)가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액츄에이터(23)의 제1 단부가 붐대(2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액츄에이터(23)의 제2 단부가 회동지지대(21)의 제2 지지대(21b)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액츄에이터(24)의 제1 단부가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액츄에이터(24)의 제2 단부가 이동수단(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수단(10)은 자가주행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수단으로서, 자가주행을 위한 동력부와, 자가주행을 위한 바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바퀴 대신 무한궤도(캐터필러)가 장착된 이동수단 역시 가능함은 이해되어야 한다. 동력부 역시 가솔린엔진이나 디젤엔진 등 다양한 엔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용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트럭이나 경운기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수단(10)은 기중기 및/또는 중량물을 탑재할 수 있는 적재함(11)과 운전자가 탑승하여 조종할 수 있는 캐빈(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동수단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로서 트럭을 설정하여 설명하며, 따라서 이동수단과 트럭을 동일하게 취급하여 상호 호환적으로 동일한 부호(즉, 10)를 사용하기로 한다.
기중기(20)는 제1 지지대(21a)와 제1 지지대(21a)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 지지대(21b)를 포함하는 회동지지대(21); 회동지지대(2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붐대(22); 및 붐대(22)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1 액츄에이터(23); 및 회동지지대(21)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2 액츄에이터(24);를 포함한다.
회동지지대(21)는 이동수단(10), 바람직하게는 이동수단(10)의 적재함(11)에 힌지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붐대(22)와 붐대(22)를 가변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23)를 함께 고정시켜 결과적으로 제1 액츄에이터(23)의 동작에 의한 붐대(22)의 가변 범위를 넘어서 붐대(22)를 추가로 가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붐대(22)의 제1 단부(22a)가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액츄에이터(23)의 제1 단부가 붐대(2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액츄에이터(23)의 제2 단부가 회동지지대(21)의 제2 지지대(21b)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액츄에이터(24)의 제1 단부가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액츄에이터(24)의 제2 단부가 이동수단(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붐대(22)의 가동범위를 2단으로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단계별로 살펴보면, 먼저 회동지지대(21)를 고정시킨 상태,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지지대(21)의 제2 지지대(21b)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제1 액츄에이터(23)를 작동시켜 붐대(22)의 단부가 트럭(10)의 적재함(11)을 벗어나 트럭 주위에 놓여진 중량물(50)(예를 들면, 톤백) 쪽으로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붐대(22)의 단부에 중량물을 고정(예를 들면, 톤백의 고리에 붐대(22)의 단부에 고정되는 걸고리(25)를 걸어서 고정)시킨 후, 다시 제1 액츄에이터(23)를 작동시켜 붐대(22)를 인상시킬 수 있다.
이후, 도 5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액츄에이터(23)에 의한 붐대(22)의 인상에 의하여 톤백 등과 같은 중량물이 적재함(11) 상에 적재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적절한 후속작업, 예를 들면, 걸고리의 하강 및 걸고리의 고리로부터의 해제 등에 의하여 중량물을 적재함 상에 적치시킬 수 있다. 이때, 붐대(22)의 최대 인상 위치 및 그에 따른 중량물의 적재함 상에서의 적재 위치, 즉, 붐대(22)의 가변가능한 범위는 제1 액츄에이터(23)의 조작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는 하나, 종국적으로는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 까지가 가변 범위가 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지지대(21)의 위치 너머 캐빈(12) 쪽으로 가변범위를 넓혀 중량물의 적재 범위를 캐빈(12) 쪽으로 더 접근시켜 보다 많은 중량물을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가 허용하는 범위까지 붐대(22)를 가변시킨 후, 그 상태에서 제2 액츄에이터(24)를 작동시켜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를 캐빈(12) 쪽으로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 붐대(22)의 가변범위를 캐빈(12) 쪽으로 더 넓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붐대(22)에 매달린 중량물을 캐빈(12)에 근접하도록 하여 적재함(11)의 내측 깊숙한 곳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붐대(22)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여도 붐대의 단부 및/또는 붐대에 고정되는 걸고리 등이 트럭 외에 놓여지는 중량물 쪽으로 충분히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붐대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은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붐대의 길이의 증가로 인하여 야기되는 문제점을 원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즉, 붐대의 중량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며, 중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붐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위험이 야기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붐대의 길이의 감소 및 기중기 전체의 무게중심이 트럭(10)의 적재함(11)의 중심부 근처에 위치하여도 적재함 상의 임의의 위치에 기중기에 의해 인상된 중량물을 적절히 적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중량물의 적재 이전 및/또는 이후에도 트럭(10)의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와 제2 지지대(21b)는 서로에 대하여 30 내지 150°의 범위 이내의 각도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이격되는 각도를 제1 각도(α)라 표기한다. 제1 각도(α)가 30° 미만인 경우,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와 제2 지지대(21b) 간의 이격되는 간격이 너무 좁아지게 되고, 따라서 붐대(22)의 전체 가변 범위를 늘리기 위해서는 제2 액츄에이터(24)의 피스톤로드(24b)의 행정거리가 너무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150°를 초과하는 경우,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와 제2 지지대(21b) 간의 이격되는 간격이 너무 넓어지게 되고, 따라서 회동지지대(21)에 의해 한정되는 붐대(22)의 전체 가변 범위가 너무 넓어져서 제1 액츄에이터(23)의 피스톤로드(23b)의 행정거리가 너무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지지대(21)의 제1 지지대(21a)와 제2 지지대(21b)의 측면에 이들 제1 지지대(21a)와 제2 지지대(21b)에 함께 고정되는 보강판(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보강판(30)의 구성에 의해, 중량물을 승강 및 이동시킬 때 회동지지대(21)에 가해질 수 있는 하중을 충분히 견디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붐대(22)의 제2 단부, 즉 회동지지대(21)에 고정되는 붐대(22)의 제1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 중량물을 걸기 위한 걸고리(25)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걸고리(25)는 중량물을 묶는 로프에 고정된 고리에 걸어 중량물의 승강 및 이동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걸고리 대신 기계식, 특히 유압식 매니퓰레이터 등 다른 중량물을 고정시키는 수단의 사용도 가능함은 이해되어야 하며, 중량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 중량물을 적절히 파지하거나 고정시켜 승강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붐대(22)의 제2 단부에는 윈치(26)가 더 고정될 수 있다. 윈치는 원통형의 드럼에 와이어 로프를 감아, 도르래를 이용해서 중량물(重量物)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기계를 총칭하며, 권양기라고도 한다. 작은 것은 드럼을 손으로 회전시키는 수동식이지만 큰 것은 전동기나 내연기관을 사용해서 회전시킨다. 드럼에는 클러치나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어 원동기에서 동력을 전하거나 끊을 수가 있다. 드럼의 수에 따라 단동, 복동, 다동 윈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윈치의 규격이나 종류에 제한없이 해당 중량물의 승강 및 이동에 적절한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함은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윈치(26)의 와이어 로프의 단부에 상기 걸고리(25)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걸고리에 의해 파지 내지는 고정되는 중량물을 윈치의 조작에 의해 쉽게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기중기(20)는 이동수단(10), 특히 이동수단(10)의 적재함(11)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한 쌍의 기중기(20)의 붐대(22)의 제2 단부들이 가로대(27)로 서로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량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 및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붐대(22) 자체를 보강하여 중량물에 의한 변형 내지는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로대(27)가 설치되는 경우, 윈치(26)가 가로대(27)에 고정되고, 윈치(26)에 걸고리(2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중기(20)는 이동수단(10), 특히 이동수단(10)의 적재함(11)에 직접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기중기(20)는 프레임(4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회동지지대(21) 및 제2 액츄에이터(24), 특히 제2 액츄에이터(24)의 유압실린더(24a)의 일측단부가 프레임(40)에 고정되되, 더 바람직하게는 나사 또는 볼트 등과 같은 기계적인 체결요소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회동지지대(21) 및 제2 액츄에이터(24)가 고정된, 즉, 기중기(20)가 설치된 프레임(40)을 이동수단(10), 특히 이동수단(10)의 적재함(11)에 역시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중기(20)의 동작을 위한 유압의 공급 및 유압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CB)가 또한 이동수단(10), 특히 이동수단(10)의 적재함(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중기(1)는 트럭과 같은 차량에 탑재해서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중량물을 승강시켜 트럭에 탑재하여 이동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기중기에서와 같이 측면으로 중량물을 탑재하는 경우, 아우트리거(즉, 받침대)를 설치하지 않으면 전복의 위험이 증대되나, 본 발명에서는 기중기의 위치를 트럭, 특히 트럭의 적재함의 중심부 근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짧은 붐대를 사용하여 중량물을 승하강 및 적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재 작업 시 뿐만 아니라 중량물의 적재 후에도 중량물과 기중기를 함께 탑재한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기중기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균형을 이루어주도록 하여 적재 작업의 안정성 및 주행의 안정성 모두를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중기의 구성이 간단하여 트럭과 같은 이동수단에 고정적으로 및/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트럭과 같은 차량의 전원(12V 배터리)을 이용하여 유압펌프 등을 구동시키므로써 유압실린더와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지는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를 가동시켜 중량물의 승하강 및 적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이동식 기중기 10: 이동수단(트럭) 11: 적재함
12: 캐빈 20: 기중기 21: 회동지지대
21a: 제1 지지대 21b: 제2 지지대 22: 붐대
23: 제1 액츄에이터 23a: 유압실린더 23b: 피스톤로드
24: 제2 실린더 24a: 유압실린더 24b: 피스톤로드
25: 걸고리 26: 윈치 27: 가로대
30: 보강판 40: 프레임 50: 중량물
CB: 콘트롤박스 h: 힌지
100: 이동식 기중기 101: 이동수단 102: 적재함
103: 캐빈 104: 기중기 105: 붐대
105a: 제1 축 105b: 제2 축 105c: 제3 축
106: 지지대 106a: 힌지축 107: 유압장치
107a: 유압실린더 107b: 피스톤로드 108: 윈치
109: 걸고리
200: 이동식 기중기 201: 트럭 203: 캐빈
204: 기중기 205: 아우트리거

Claims (7)

  1. 이동수단과 이동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기중기를 포함하되,
    여기에서 기중기는 제1 지지대와 제1 지지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회동지지대; 회동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붐대; 붐대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1 액츄에이터; 및 회동지지대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붐대의 제1 단부가 회동지지대의 제1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액츄에이터의 제1 단부가 붐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액츄에이터의 제2 단부가 회동지지대의 제2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액츄에이터의 제1 단부가 회동지지대의 제1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 액츄에이터의 제2 단부가 이동수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붐대의 가동범위를 2단으로 임의로 조절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회동지지대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가 서로에 대하여 30 내지 150°의 범위 이내의 각도로 이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회동지지대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측면에 이들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에 함께 고정되는 보강판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붐대의 제2 단부에 중량물을 걸기 위한 걸고리가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중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붐대의 제2 단부에 윈치가 더 고정되고, 윈치에 걸고리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중기.
  6. 제 1 항에 있어서,
    기중기가 이동수단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한 쌍의 기중기의 붐대의 제2 단부들이 가로대로 서로 일체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중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윈치가 가로대에 고정되고, 윈치에 걸고리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중기.
KR1020160035124A 2016-03-24 2016-03-24 이동식 기중기 KR101902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24A KR101902506B1 (ko) 2016-03-24 2016-03-24 이동식 기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24A KR101902506B1 (ko) 2016-03-24 2016-03-24 이동식 기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842A KR20170110842A (ko) 2017-10-12
KR101902506B1 true KR101902506B1 (ko) 2018-09-28

Family

ID=6013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124A KR101902506B1 (ko) 2016-03-24 2016-03-24 이동식 기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5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2667A (ja) * 2000-12-28 2004-07-29 ラズロ ヴィダ, 鉄道用コンテナ積換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2667A (ja) * 2000-12-28 2004-07-29 ラズロ ヴィダ, 鉄道用コンテナ積換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842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08809B (zh) 用于起重机的卷筒机架***
CN201587817U (zh) 带手摇绞盘的旋转车载吊机
CN202658902U (zh) 吊装布料两用式混凝土布料机
CN207861747U (zh) 预制混凝土块吊运车
KR101902506B1 (ko) 이동식 기중기
US1489161A (en) Portable crane
CN103253602B (zh) 可提升式自行履带车超起装置及起重机
RU93078U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кран
JP4422845B2 (ja) カウンタウエイト取付け方法及び枠体支持手段
CN105621261A (zh) 一种轨道式物料吊装装置
JP5600533B2 (ja) クレーン用フック装置
US2642198A (en) Hoisting cradle
CN206493879U (zh) 车载双滑块多点装卸吊及物流车
RU2305638C1 (ru) Манипулятор
CN207684726U (zh) 一种随车起重机加副吊钩机构
JP7392820B2 (ja) クレーンの連結ビーム取付方法
RU2676900C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кран
CN220056111U (zh) 轮胎门式起重机
CN219341524U (zh) 一种便携式车载吊机
CN219384527U (zh) 具有防晃功能的吊机
RU2547100C1 (ru) Кран-манипулятор (варианты)
CN221165732U (zh) 一种机电设备安装辅助装置
CN216785534U (zh) 外墙施工起重设备
KR20190103494A (ko) 차량 탑재형 크레인용 선회 포스트
CN2861283Y (zh) 一种地锚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