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061B1 -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061B1
KR101901061B1 KR1020170051102A KR20170051102A KR101901061B1 KR 101901061 B1 KR101901061 B1 KR 101901061B1 KR 1020170051102 A KR1020170051102 A KR 1020170051102A KR 20170051102 A KR20170051102 A KR 20170051102A KR 101901061 B1 KR101901061 B1 KR 101901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m
lever
hot ai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703A (ko
Inventor
신중광
Original Assignee
신중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광 filed Critical 신중광
Publication of KR2017012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6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8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32Cooling, or cooling and pressing, package closures after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등의 튜브 용기에 내용물을 자동으로 충전하고 튜브 용기를 실링하여 포장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캠 구동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하나의 입력축과 복수 개의 출력축을 가지도록 구현한 새로운 캠 구동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동력원으로 각각의 공정 파트들을 일괄적으로 연계하여 구동 및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당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튜브 용기를 세워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자동 정렬 및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으로 배출이 가능하고, 내용물 충전에 앞서 튜브 용기를 정확한 위치에 세팅할 수 있으며, 튜브 용기를 예비 가열 후에 융착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실링 불량문제를 배제할 수 있는 등 전체적인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Apparatus for filling and packing of tube type vessel}
본 발명은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등의 튜브 용기에 내용물을 자동으로 충전하고 튜브 용기를 실링하여 포장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형태의 용기는 병 등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비해 가볍고 컴팩트하게 성형할 수 있어 휴대하기 용이하며, 외부의 충격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아 최근에는 화장품 용기 등으로 그 사용용도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튜브형태의 용기는 사용자가 외측을 손쉽게 눌러 그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단부에는 개폐 캡이 나사 결합되어 있거나 원터치 캡이 결합되어 있고, 하단부는 밀봉상태의 실링 처리가 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튜브형태의 용기 내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과정은 상단부의 개폐 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개방된 용기의 개방구를 통해 에어노즐수단을 투입하여 용기 내부의 각종 이물질을 제거한 후, 용기를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내용물 주입수단에 의해 용기 내측에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주입하고, 계속해서 용기의 하단부 개방구를 열융착, 초음파 접착 등으로 실링 처리하여 포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튜브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포장하는 대부분이 수작업에 의존하는 관계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을 위한 튜브 용기의 이송방식이 콘베이어 벨트 등에 의한 직선이송 방식으로서 작업면적을 넓게 차지함으로 인해 공장 레이아웃에 불리한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수 개의 튜브 용기가 놓여진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튜브 용기 이송방식을 적용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함은 물론, 에어노즐수단, 내용물 주입수단, 실링처리수단 등을 회전 테이블의 둘레 주변부에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회전 테이블이 한스텝씩 회전할 때마다 충전 및 포장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충전 및 포장 자동화 장치를 많이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튜브 용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을 별도로 구비하고, 이러한 공급수단으로부터 이송되어 공급되는 튜브 용기로의 내용물 충전 또한 일반적인 충진기 등과 같은 별도의 충전수단을 거쳐 충전이 이루어진 후, 다시 실링수단으로 이송된 다음에 개방되어 있던 튜브 용기의 끝단을 실링하고, 이렇게 실링된 튜브 용기를 절단수단으로 이송하여 실링된 튜브 용기의 끝단을 절단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튜브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포장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의 충전 및 포장 자동화 장치는 각각 연계적으로 동작되는 충진부나 실링부, 그리고 커팅부 등의 연결되는 부분이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각 공정 파트 간의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공정 파트별로 개별 구동수단을 갖추어야 함에 따라 기기 자체의 사이즈가 상당히 커짐은 물론 각 공정 파트의 구동수단 간의 오차 등으로 전체적인 기기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각 공정 파트의 개별적인 구동수단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는 관계로 분당 충전 및 포장할 수 있는 물량에 한계가 있는 등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5-008169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캠 구동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하나의 입력축과 복수 개의 출력축을 가지도록 구현한 새로운 캠 구동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동력원으로 각각의 공정 파트들을 일괄적으로 연계하여 구동 및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당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브 용기를 세워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자동 정렬 및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으로 배출이 가능하고, 내용물 충전에 앞서 튜브 용기를 정확한 위치에 세팅할 수 있으며, 튜브 용기를 예비 가열 후에 융착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실링 불량문제를 배제할 수 있는 등 전체적인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는 장치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세워진 상태로 용기를 공급함과 더불어 공급용 원판을 통해 용기를 하나씩 투입하는 용기 공급부와, 장치 본체의 센터에 배치되면서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받는 인덱스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원주 둘레를 따라가면서 설치되는 용기 탑재를 위한 다수의 용기 홀더를 가지는 분할형 턴테이블과,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의 상부에 위아래로 설치되며 각 공정 파트들의 구성품 상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상부 지지체 및 각 공정 파트의 구성품 지지를 위한 하부 지지체와,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공정 파트들로서, 용기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클리너부, 용기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아이 마크부, 용기 속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부, 용기의 상단부을 가열하는 핫에어부, 용기의 상단부를 접합하는 씰링부, 용기의 상단부를 커팅하는 칼날부 및 용기를 최종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의 회전을 위한 인덱스를 구동시켜줌과 더불어 각 공정파트들의 작동을 위한 캠 구동 장치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모터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입력으로 하여 각 공정파트 중 선택된 공정파트들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출력을 가지는 캠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 공급부는 튜브 용기를 세워진 상태로 공급하는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배출측 선단에 위치되며 캠 구동 장치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함과 더불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용기 안착홈을 이용하여 용기를 한 피치씩 옮겨주는 공급용 원판과, 상기 공급용 원판의 둘레부 일측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캠 구동 장치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공급용 원판에 있는 용기를 분할형 턴테이블의 회전영역 내로 투입하는 회전식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공정 파트로서, 에어 클리너부의 전단 영역에 위치됨과 더불어 하부 지지체 상에 지지되며 분할형 턴테이블의 회전영역 내로 투입되는 용기를 받아 정위치시켜주는 용기세팅용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클리너부는 상부 지지체의 암 상에 수직 자세로 지지되면서 상하 동작 가능한 노즐 홀더와, 상기 노즐 홀더의 하단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용기 속에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이 마크부는 상부 지지체의 암 상에 수직 자세로 지지되면서 상하 동작 가능한 센서 홀더 및 상기 센서 홀더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용기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선을 감지하는 아이 마크센서 어셈블리와, 하부 지지체 상의 모터 슬라이드 장치의 안내 및 지지를 받으면서 캠 구동 장치측의 와이어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축을 이용하여 용기가 안착되어 있는 용기 홀더를 회전시켜주는 아이마크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분할형 턴테이블의 둘레부 맞은편 일측에서 장치 본체 상에 설치되는 충전 포스트와, 상기 충전 포스트의 상단부 전면으로 위치되어 내용물을 용기에 주입하는 노즐헤드 어셈블리와, 상기 노즐헤드 어셈블리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캠 구동장치측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상하 동작하면서 내용물 토출을 위한 펌핑작용을 수행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핫에어부는 상부 지지체 상에 지지되는 핫에어 모터 및 스크류축과, 하부 지지체 상에 지지되면서 스크류축과 연결되어 상하 동작가능한 핫에어 슬라이드 장치와, 상기 핫에어 슬라이드 장치의 슬라이더에 지지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핫에어 공급관이 연결되며 용기의 상단부를 둘러싸면서 접합부위에 핫에어를 분사하는 핫에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핫에어부는 핫에어 어셈블리의 전단위치에서 핫에어 어셈블리의 몸체부에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며 핫에어 어셈블리의 가열에 앞서 용기의 상단부를 둘러싸면서 접합부위에 핫에어를 미리 분사하여 예열하는 보조 핫에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는 상부 지지체의 암의 선단부에 수직 자세로 고정되는 동시에 하강 동작을 통해 한쌍의 융착용 레버의 상단부를 벌려주는 레버작동용 제1푸셔와, 하부 지지체 상에 설치되는 레버 블럭과, 상기 레버 블럭 상에 힌지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아 복원 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용기를 융착시켜주는 히터바가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융착용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공정 파트로서, 씰링부의 후단 영역에 위치되어 용기 상단부의 융착부위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부 지지체의 암의 선단부에 수직 자세로 고정되는 동시에 하강 동작을 통해 한쌍의 가압용 레버의 상단부를 벌려주는 레버작동용 제2푸셔와, 하부 지지체 상에 설치되는 레버 바와, 상기 레버 바 상에 힌지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아 복원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용기의 상단 융착부위를 가압하는 가압 블럭이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가압용 레버를 포함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상부 지지체의 암의 선단부에 수직 자세로 고정되는 동시에 하강 동작을 통해 한쌍의 커팅용 레버의 상단부를 벌려주는 레버작동용 제3푸셔와, 하부 지지체 상에 설치되는 레버 블럭과, 상기 레버 블럭 상에 힌지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아 복원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용기의 상단 융착부위를 절단하는 커터가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커팅용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하부 지지체 상에 설치되는 롤 브라켓과, 상기 롤 브라켓 상에 롤 축의 양단을 통해 지지되면서 롤 축과 함께 회전가능한 동시에 와이어에 걸려있는 와이어 롤과, 선단부에 용기 상단부분을 잡아주는 한쌍의 용기 픽업용 롤을 가지면서 와이어 롤의 롤 축에 후단부 양측이 연결되어 지지됨과 더불어 상하 회전을 통해 경사진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와이어 픽업용 롤브라켓의 양측면에 밀착 배치되어 핀에 의해 지지되고 와이어 픽업용 롤브라켓의 회전 시 후단부가 스토퍼핀에 의해 간섭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한쌍의 용기 픽업용 롤 사이를 벌려주는 역할의 한쌍의 용기이젝트용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와이어 픽업용 롤브라켓 상에 설치되어 아래로 경사지게 배출되는 용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용기배출용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이 마크부측과 배출부측의 작동을 위한 와이어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장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롤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롤지지용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와이어의 진행 경로를 아이 마크측과 배출부측으로 유도하는 복수 개의 롤과, 캠 구동 장치측에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각 롤에 의한 경로 안내를 받으면서 아이 마크부측과 배출부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캠 구동 장치는 케이스의 전후측으로 관통 지지되면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입력축과, 전면 및/또는 후면에 캠 홈을 가지면서 입력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캠과, 전면 및/또는 후면에 캠 홈을 가짐과 더불어 제1캠의 뒷쪽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입력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캠과, 상기 제1캠의 회전 시 제1캠의 캠 홈을 따라 상하 동작하는 제1출력로드와, 상기 제2캠의 회전 시 제2캠의 캠 홈을 따라 동작하는 제1연결로드를 매개로 상하 동작하는 제2출력로드와, 상기 제2캠의 회전 시 제2캠의 캠 홈을 따라 상하 동작하는 제3출력로드와, 상기 제1캠의 회전 시 제1캠의 캠 홈을 따라 동작하는 제2연결로드를 매개로 상하 동작하는 제4출력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 구동 장치는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고 서보모터측과 연결되어 서보모터 구동 시 회전 및 상하 동작하는 제5출력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 구동 장치의 케이스의 후면쪽에 수직 설치되고 입력축의 후단부에 전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함께 회전가능한 제6출력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 구동 장치의 케이스의 후면쪽에 수평 설치되고 입력축의 후단부에 전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함께 회전가능한 제7출력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 구동 장치는 용기 상승 및 하강을 위한 제2출력로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상호 간의 볼스크류 전동이 가능하게 조합된 볼/스크류 바와 볼/스크류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볼/스크류 슬라이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모터 동력을 입력으로 하는 하나의 캠 구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복수 개의 출력을 이용하여 다수의 공정 파트, 예를 들면 용기 공급부, 아이 마크부, 용기 리프팅 및 충전부, 용기 배출부 등의 공정 파트를 연계적으로 일괄 구동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각 공정 파트에 속해 있던 구동수단의 수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구조 단순화는 물론 동력 구성 및 제어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공정 파트들의 일괄적인 연계 구동 및 제어를 통해 생산량을 분당 100개 이상으로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둘째, 튜브 용기의 공급에서부터 내용물을 충전과 더불어 내용물이 충전된 튜브 용기의 끝단을 실링 및 컷팅함은 물론 배출까지의 공정을 하나의 동력원을 통하여 자동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은 물론 짧은 사이클 타임 내에 충전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튜브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하기 전에 튜브 용기에 표시된 표시부를 통하여 튜브 용기를 정확한 위치로 세팅할 수 있어 튜브 용기가 항상 정확하게 방향을 맞춘 상태에서 실링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튜브 용기에 내용물 충전 시 튜브 용기를 노즐측으로 상승시킬 수 있어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등 실링 및 충전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튜브 용기의 길이에 따라 조합형 턴테이블의 단위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모든 튜브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등 장치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는 등 실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튜브 용기의 실링 시 1차 예열을 거친 후에 2차 융착을 실시하는 실링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실링 불량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전체 구조를 전면에서 본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전체 구조를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본체 구조물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용기 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에어 크리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아이 마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충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핫에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씰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냉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칼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용기 배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서 캠 구동 장치의 후면 출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서 조합형 턴테이블의 단위 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테이블승강용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서 용기 배출부 및 아이 마크부의 작동을 위한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서 캠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서 캠 구동 장치의 각 부품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전체 구조를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전체 구조를 후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본체 구조물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가이, 상기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장치 본체(37)의 센터 위치 하부에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도 12의 도면부호 38),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을 위한 인덱스(미도시) 등이 배치되고, 센터 위치 상부에는 상부 지지체(14) 및 하부 지지체(28), 그리고 분할형 턴테이블(27)이 위로부터 아래로 순차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체(14)는 후술하는 캠 구동 장치(100)측과 연결되는 센터축 구조물(15)에 의해 지지되면서 캠 구동 장치(100)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상승 및 하강 동작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하부 지지체(28)는 장치 본체(37)측에 고정되는 구조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 본체(37)의 일측에는 용기 공급을 위한 용기 공급부(25)가 분할형 턴테이블(27)의 둘레부위와 접선으로 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영역 내로 용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27)의 둘레를 따라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는 공정파트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용기 공급부(25)와 인접한 위치에서부터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영역 내로 투입되는 용기를 받아 정위치시켜주는 용기세팅용 홀더(44), 용기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클리너부(29), 용기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아이 마크부(30), 용기 속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부(31), 용기의 상단부를 가열하는 핫에어부(32), 용기의 상단부를 접합하는 씰링부(33), 용기의 상단부를 커팅하는 칼날부(35) 및 용기를 최종 배출하는 배출부(36) 등이 원주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
특히,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27)은 원통형 지지체(84)의 둘레면을 따라가면서 차례로 연이어 배치하여 조립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단위 테이블(17)을 포함하며, 이때의 각 단위 테이블(17)은 원통형 지지체(84) 상의 가이드(85)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각 단위 테이블(17)은 충전부, 배출부 등의 작업영역 위치에서 캠 구동 장치(100)측 동력에 의해 상하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분할형 턴테이블(27)은 구동부(38)로부터 동력을 받는 인덱스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원주 둘레를 따라가면서 설치되는 용기 탑재를 위한 다수의 용기 홀더(26)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27)의 각 단위 테이블(17)은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수평부재에는 용기 홀더(26)의 삽입 장착을 위한 홀(86)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홀(86) 내에 용기 홀더(26)가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27)은 인덱스의 상부에 조립되어 인덱스 작동 시 스텝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인덱스 작동에 의해 분할형 턴테이블(27)이 스텝 방식으로 회전하는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용기 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공급부(25)는 장치 본체(37)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컨베이어 장치(24)를 통해 세워진 상태로 용기를 공급함과 더불어 공급용 원판(20)을 통해 용기를 하나씩 투입하는 역할을 하는 공정파트이다.
이를 위하여, 장치 본체(37)의 일측에는 튜브 용기를 세워진 상태로 이송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일정길이의 컨베이어 장치(24)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때의 컨베이어 장치(24)의 선단부는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영역 일측과 접선방향으로 접하는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24)의 선단부, 배출측에는 원판 가장자리를 따라가면서 일정피치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용기 안착홈(41)을 가지는 공급용 원판(20)이 배치되고, 이때의 공급용 원판(20)의 축(87)은 아래로 수직 연장되어 캠 구동 장치(100)측과 풀리 및 벨트 전동 수단(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용 원판(20)의 둘레영역 일측에는 회전식 푸셔(21)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이때의 회전식 푸셔(21)는 캠 구동 장치(100)로부터 동력을 받아 일정각도 회전 및 복귀되면서 밀대(40)를 이용하여 공급용 원판(20)에 있는 용기를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영역 내로 투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푸셔(21)의 축(88)은 아래로 수직 연장되어 캠 구동 장치(100)측과 풀리 및 벨트 전동 수단(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용 원판(20)이 회전하게 되면 그 용기 안착홈(41) 내에 하나씩 끼워져 있는 용기들은 한 스텝씩 전진하면서 진행되고, 계속해서 푸셔 작동범위 영역에 위치한 하나의 용기는 회전식 푸셔(21)의 작동에 의해 밀려나면서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영역 내로 투입되어 용기 홀더(26) 내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에어 크리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클리너부(29)는 용기 속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서, 노즐 홀더(42)와 에어 노즐(43)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 홀더(42)는 원형의 바 형태로서, 외부 일측에는 고압의 에어 공급을 위한 튜브(228)가 연결되며, 그 상단부를 통해 상부 지지체(14)의 암(41) 상에 수직 자세로 지지되면서 상하 동작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에어 노즐(43)은 에어를 직접 분사하는 수단으로 노즐 홀더(42)의 하단부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 시 단위 테이블(17)에 있는 홀더 브라켓(45) 상의 용기 홀더(26) 내의 용기가 에어 노즐(43)의 아래에 위치되면, 상부 지지체(14)의 하강 작동에 의해 에어 노즐(43)이 용기 속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에어 노즐(43)로부터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용기 속의 이물질 등이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27)의 둘레부에 배치되어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영역 내로 투입되는 용기를 받아 정위치시켜주는 수단으로 용기세팅용 홀더(44)가 마련된다.
상기 용기세팅용 홀더(44)는 대략 "ㄱ"자 형태의 판으로서, 하부 지지체(28)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브라켓(89)의 하단부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면서 투입되는 용기의 앞쪽과 옆쪽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용기세팅용 홀더(44)는 에어 클리너부(29)의 전단 영역에 위치되어 용기를 정위치시켜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 공급부(25)의 회전식 푸셔(21)의 밀대(40)로부터 밀려나서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영역 내로 용기가 밀려나오면, 이때의 용기는 용기세팅용 홀더(44)에 의해 앞쪽과 한쪽 옆쪽이 규제됨과 더불어 아래로 떨어지면서 그 하부에 위치되는 홀더 브라켓(45) 상의 용기 홀더(26) 내에 캡이 있는 아래쪽부터 삽입되어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아이 마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이 마크부(30)는 용기에 있는 표시선을 감지하여 용기의 올바른 방향(정확한 씰링을 위한 용기 상단부 방향)을 잡아주는 공정파트이다.
이를 위하여, 상부 지지체(14)의 암(41)에는 바 형태의 센서 홀더(46)가 그 상단부를 통해 지지되면서 수직 자세로 연장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되는 센서 홀더(46)의 하단부에는 브라켓(90) 상에 지지되는 센서(91)를 포함하는 아이마크센서 어셈블리(47)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아이마크센서 어셈블리(47)의 센싱방식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지지체(28) 상에는 모터 승하강 안내를 위한 모터 슬라이드 장치(48)가 수직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 슬라이드 장치(48)의 슬라이더(48a)에는 모터 브라켓(92)이 설치되며, 상기 모터 브라켓(92)의 하단 수평부재에는 축(93)을 가지는 아이마크 서보모터(227)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아이마크 서보모터(227)를 포함하는 모터 브라켓(92) 전체는 캠 구동 장치(100)측의 와이어(49)에 의해 구동되면서 위아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82)로부터 아래로 내려온 와이어(49a)는 하부 지지체(28)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롤(94)을 경유한 후에 모터 브라켓(92)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핀(229)의 하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핀(229)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와이어(49b)는 재차 와이어 가이드 장치(82)측을 향해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캠 구동 장치(100)의 구동 시 와이어 가이드 장치(82)측에서 내려오는 와이어(49a)가 위로 당겨지게 되면, 모터 브라켓(92) 및 아이마크 서보모터(227)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와이어 가이드 장치(82)측으로 올라가는 와이어(49b)가 위로 당겨지게 되면 모터 브라켓(92) 및 아이마크 서보모터(227)는 원래의 높이로 상승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 시 단위 테이블(17)에 있는 홀더 브라켓(45) 상의 용기 홀더(26) 내의 용기가 아이마크센서 어셈블리(47)의 앞쪽에 위치되면, 상부 지지체(14)의 하강 작동에 의해 아이마크센서 어셈블리(47)가 용기 상단의 표시부가 있는 높이까지 하강하게 된다.
계속해서, 와이어 작동에 의해 아이마크 서보모터(227)가 하강하게 되고, 이렇게 하강한 상태에서 아이마크 서보모터(227)의 축(93)은 용기 홀더(26)의 상단 플랜지 부분(24a) 상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아이마크 서보모터(227)의 작동 시 축(93)에 의해 용기 홀더(26)를 포함하는 용기 전체가 회전하게 되므로서, 이때의 회전하는 용기의 상단에 상단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선이나 표시마크 등을 아이마크센서 어셈블리(47)에서 감지하여 용기의 정위치를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충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31)는 용기 속에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정량 충전하는 공정파트로서, 호퍼(95)로부터 공급되는 내용물 토출을 위한 노즐헤드 어셈블리(51), 실질적으로 내용물을 펌핑하는 피스톤 로드(18) 및 내용물을 주입하는 내용물 충전노즐(96)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장치 본체(37)에는 분할형 턴테이블(27)의 둘레부 맞은편 일측에 충전 포스트(50)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충전 포스트(50)의 상단부에는 수직의 내용물 충전노즐(96)을 가지는 노즐헤드 어셈블리(5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헤드 어셈블리(51)의 저면으로는 피스톤 로드(18)가 수직으로 연결되고, 이때의 피스톤 로드(18)의 하단부는 커플러(97)를 통해 캠 구동 장치(100)의 제4출력로드(110)와 연결되어 상하 펌핑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헤드 어셈블리(51)의 내부구조 및 그 토출방식은 종래의 구조 및 토출방식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 시 단위 테이블(17) 상의 용기가 내용물 충전노즐(96)의 하부에 위치되면, 도 14a 및 도 14b에서 볼 수 있듯이, 캠 구동 장치(100)측의 동력, 예를 들면 캠 구동 장치(100)의 제2출력로드(107)의 하강 작동→테이블 승강용 레버(16) 선단부의 상승 작동→단위 테이블(17)의 상승 작동에 의해 용기 또한 상승하면서 용기 상단부 내로 내용물 충전노즐(96)이 위치된다.
계속해서, 캠 구동 장치(100)의 제4출력로드(110)의 상승 작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18)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피스톤 로드(18)의 펌핑작용에 의해 노즐헤드 어셈블리(51) 내의 내용물이 내용물 충전노즐(96)을 통해 토출되어 용기에 채워지게 되며, 내용물의 충전을 마친 용기 및 단위 테이블(17)은 캠 구동 장치(100)의 제2출력로드(107)의 상승 작동과 동시에 자체 무게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하강 복귀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핫에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핫에어부(32)는 용기 상단부의 씰링부위에 열풍을 가해 미리 예열하는 공정파트로서, 용기의 상단부 둘레를 수용하면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핫에어 어셈블리(56)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 지지체(14)와 하부 지지체(28)에는 모터 브라켓(99)와 핫에어 슬라이드 장치(54)가 각각 수직 설치되고, 상기 모터 브라켓(99)의 상부에는 핫에어 실린더(52)가, 상기 핫에어 슬라이드 장치(54)의 슬라이드(54a)에는 핫에어 어셈블리(56)의 몸체부(56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핫에어 어셈블리(56)의 몸체부(56a)에 수직의 로드(53)가 연결되고, 이때의 로드(53)의 상단은 핫에어 실린더(52)의 로드와 연결되어, 핫에어 실린더(52)의 전후진 작동 시(로드 상하 작동 시) 핫에어 어셈블리(56)를 포함하는 몸체부(56a)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핫에어 실린더(52)의 작동 시 핫에어 어셈블리(56)가 핫에어 슬라이드 장치(54)의 안내를 받으면서 하강 및 상승 동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핫에어 어셈블리(56)의 일측면에는 핫에어 공급관(55)이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용기의 주변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핫에어 노즐(200)이 부착된다.
특히, 예열 효과 증대를 통해 씰링공정에서의 접착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 수지 재질의 용기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등이 코팅되어 있는 용기 등도 접착을 가능하게 해주는 수단으로 본 예열에 앞서 예비 예열을 수행하는 보조 핫에어 어셈블리(58)가 마련된다.
상기 보조 핫에어 어셈블리(58)는 핫에어 어셈블리(56)의 몸체부(56a)에 브라켓(57)을 매개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그 하단부에는 용기의 주변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보조 핫에어 노즐(201)이 부착된다.
물론, 이때의 보조 핫에어 노즐(201)에도 외부로부터의 핫에어 공급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 핫에어 어셈블리(58)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보조 핫에어 어셈블리(58)는 핫에어 어셈블리(56)의 가열에 앞서 용기의 상단부를 둘러싸면서 접합부위에 핫에어를 미리 분사하여 예열하게 되며, 핫에어 어셈블리(56)의 작업영역의 바로 앞선 영역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 시 단위 테이블(17) 상의 용기가 보조 핫에어 어셈블리(58) 또는 핫에어 어셈블리(56)의 하부에 위치되면, 캠 구동 장치(100)측의 동력에 의한 상부 지지체(14)의 하강 동작 및 순차적인 핫에어 실린더(52)의 작동에 의해 핫에어 어셈블리(56) 및 보조 핫에어 어셈블리(58)가 하강하게 되고, 계속해서 이렇게 하강한 핫에어 어셈블리(56)의 핫에어 노즐(200)과 보조 핫에어 노즐(201)이 용기 상단부를 둘러싸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핫에어가 분사되면서 용기 상단부분이 열풍에 의해 가열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씰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씰링부(33)는 예열 및 가열을 마친 용기의 상단부를 실질적으로 접합하여 씰링하는 공정파트로서, 양편의 히터 바 수단으로 용기 상단부를 눌러주는 방식으로 씰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 지지체(14)의 암(41)의 선단부에는 레버작동용 제1푸셔(59)가 수직 자세로 설치된다.
이때의 상기 레버작동용 제1푸셔(59)의 하단부 양측단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오목한 호 형상의 곡면부(202)로 되어 있어서, 레버작동용 제1푸셔(59)의 하강 시 곡면부(202)에 의해 한쌍의 융착용 레버(63)의 상단부 사이가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한쌍의 융착용 레버(63)의 상단부에는 아이들 롤러(203)가 각각 장착되고, 이때의 양쪽의 아이들 롤러(203)는 레버작동용 제1푸셔(59)의 양쪽 곡면부(202)와 각각 접하면서 푸셔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작동용 제1푸셔(59)가 하강하면 폭이 넓어지는 곡면부(202)의 궤적을 따라 양편의 아이들 롤러(203)가 벌어지게 되므로서, 서로 좁혀져 있던 양편의 융착용 레버(63)의 상단부가 벌어지게 되며, 상대적으로 벌어져 있던 융착용 레버(63)의 하단부는 좁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체(28) 상에는 레버 블럭(60)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레버 블럭(60)에는 힌지핀(39)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서로 간에 걸쳐져 있는 위아래 2개의 스프링(61)의 탄력을 받아 복원 가능한 한쌍의 융착용 레버(6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융착용 레버(63)의 서로 마주보는 하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용기를 눌러서 접합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가능한 히터바(62)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융착용 레버(63)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히터 바(62)는 슬라이드 장치(204)에 의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되며, 회전운동을 하는 레버측과 직선운동을 하는 히터 바(62)측 간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융착용 레버(63)의 하단부와 히터 바(62)의 양측면은 장공(230)과 핀 롤러(231)에 의한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 시 단위 테이블(17) 상의 용기 상단부가 양편의 융착용 레버(63)에 있는 히터 바(62) 사이에 위치되면, 상부 지지체(14)의 하강 작동에 의해 레버작동용 제1푸셔(59)가 하강하게 되고, 계속해서 레버작동용 제1푸셔(59)의 하강에 의해 융착용 레버(63)의 상단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하단부가 좁혀지면서 용기 상단부를 사이에 두고 레버 하단의 양편의 히터 바(62)가 압착되면서 용기 상단부를 가압 및 융착하게 되므로서, 내용물이 채워져 있는 용기 상단부가 씰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씰링 작업 후 상부 지지체(14)의 상승 및 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히터 바(62)가 있는 융착용 레버(63)의 하단부는 원래의 벌어진 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냉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부(34)는 분할형 턴테이블(27)의 둘레부에 배치되어 씰링을 마친 용기 상단부를 냉각시켜주는 공정 파트로서, 씰링부(33)의 후단 영역에 위치되어 용기 상단부의 눌러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 지지체(14)의 암(41)의 선단부에는 레버작동용 제2푸셔(63)가 수직 자세로 설치된다.
이때의 상기 레버작동용 제2푸셔(63)의 하단부 양측단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오목한 호 형상의 곡면부(202)로 되어 있어서, 레버작동용 제2푸셔(63)의 하강 시 곡면부(202)에 의해 한쌍의 가압용 레버(66)의 상단부 사이가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한쌍의 가압용 레버(66)의 상단부에는 아이들 롤러(203)가 각각 장착되고, 이때의 양쪽의 아이들 롤러(203)는 레버작동용 제2푸셔(63)의 양쪽 곡면부(202)와 각각 접하면서 푸셔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작동용 제2푸셔(63)가 하강하면 폭이 넓어지는 곡면부(202)의 궤적을 따라 양편의 아이들 롤러(203)가 벌어지게 되므로서, 서로 좁혀져 있던 양편의 가압용 레버(66)의 상단부가 벌어지게 되며, 상대적으로 벌어져 있던 가압용 레버(66)의 하단부는 좁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체(28) 상에는 레버 바(64)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레버 바(64)에는 힌지핀(39)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서로 간에 걸쳐져 있는 하나의 스프링(61)의 탄력을 받아 복원 가능한 한쌍의 가압용 레버(6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압용 레버(66)의 서로 마주보는 하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용기를 눌러서 냉각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냉각에어를 공급받는 에어 호스(205)가 연결되어 있는 냉각에어 분사가 가능한 가압블럭(65)이 장착된다.
따라서,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 시 단위 테이블(17) 상의 용기 상단부가 양편의 가압용 레버(66)에 있는 가압블럭(65) 사이에 위치되면, 상부 지지체(14)의 하강 작동에 의해 레버작동용 제2푸셔(63)가 하강하게 되고, 계속해서 레버작동용 제2푸셔(63)의 하강에 의해 가압용 레버(66)의 상단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하단부가 좁혀지면서 용기 상단부를 사이에 두고 레버 하단의 양편의 가압블럭(65)이 압착되면서 용기 상단부를 가압되므로서, 내용물이 채워져 있는 용기 상단부의 씰링부위가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씰링 작업 후 상부 지지체(14)의 상승 및 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블럭(65)이 가압용 레버(66)의 하단부는 원래의 벌어진 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칼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칼날부(35)는 씰링은 물론 냉각을 용기의 상단부를 커팅하는 공정파트로서, 양편의 커터 수단으로 용기 상단부를 잘라내는 방식으로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 지지체(14)의 암(41)의 선단부에는 레버작동용 제3푸셔(68)가 수직 자세로 설치된다.
이때의 상기 레버작동용 제3푸셔(63)의 하단부 양측단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오목한 호 형상의 곡면부(202)로 되어 있어서, 레버작동용 제3푸셔(63)의 하강 시 곡면부(202)에 의해 한쌍의 커팅용 레버(67)의 상단부 사이가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한쌍의 커팅용 레버(67)의 상단부에는 아이들 롤러(203)가 각각 장착되고, 이때의 양쪽의 아이들 롤러(203)는 레버작동용 제3푸셔(63)의 양쪽 곡면부(202)와 각각 접하면서 푸셔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작동용 제3푸셔(63)가 하강하면 폭이 넓어지는 곡면부(202)의 궤적을 따라 양편의 아이들 롤러(203)가 벌어지게 되므로서, 서로 좁혀져 있던 양편의 커팅용 레버(67)의 상단부가 벌어지게 되며, 상대적으로 벌어져 있던 커팅용 레버(67)의 하단부는 좁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체(28) 상에는 레버 블럭(69)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레버 블럭(69)에는 힌지핀(39)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서로 간에 걸쳐져 있는 위아래 2개의 스프링(61)의 탄력을 받아 복원 가능한 한쌍의 커팅용 레버(6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커팅용 레버(67)의 서로 마주보는 하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용기 상단부를 잘라낼 수 있는 커터(70)가 장착되어 있는 커터블럭(206)이 결합되는 동시에 이때의 커터블럭(206)은 레버블럭(69) 하단에 가로걸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장치(204)에 지지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커팅용 레버(67)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커터블럭(206)의 경우, 슬라이드 장치(204)에 의한 안내를 받아 직선운동을 하게 되므로, 회전운동을 하는 레버측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커팅용 레버(67)의 하단부와 커터블럭(206)의 양측면은 장공(230)과 핀로러(231)에 의한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 시 단위 테이블(17) 상의 용기 상단부가 양편의 커팅용 레버(67)에 있는 커터(79) 사이에 위치되면, 상부 지지체(14)의 하강 작동에 의해 레버작동용 제3푸셔(68)가 하강하게 되고, 계속해서 레버작동용 제3푸셔(68)의 하강에 의해 커팅용 레버(67)의 상단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하단부가 좁혀지면서 용기 상단부를 사이에 두고 레버 하단의 양편의 커터(70)가 마주 대하면서 용기 상단부를 커팅하게 되며, 결국 용기 상단부가 규격에 맞게 적당히 커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팅 작업 후 상부 지지체(14)의 상승 및 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커터(70)가 있는 커팅용 레버(67)의 하단부는 원래의 벌어진 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칼날부(35)는 커팅 영역의 바깥쪽으로 설치되는 고무롤러(207)와 경사진 구조의 슈트(208)로 구성되는 스크랩 배출부(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용기 배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배출부(36)는 충전에서부터 씰링 및 커팅공정까지 마친 제품을 최종적으로 배출하는 공정파트이다.
이를 위하여, 하부 지지체(28)에는 대략 "ㄷ"자 형태의 롤 브라켓(71)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롤 브라켓(71) 내에 롤 축(72)을 가지는 와이어 롤(73)이 배치되는 동시에 이때의 롤 축(72)의 양단은 롤 브라켓(71)에 베어링 등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롤(73)은 롤 축(72)과 함께 롤 축을 중심으로 하여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롤(73)에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82)로부터 연장되어 아래로 내려오는 와이어(49)가 걸쳐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단부에 용기 상단부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면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한쌍의 용기 픽업용 롤(74)을 가지는 한쌍의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이 마련되고, 이때의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의 후단부는 훅(75a) 구조를 이용하여 와이어 롤(73)의 롤 축(72)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지지되며, 이에 따라 롤 축(72)의 회전 시 용기 픽업용 롤(74)을 포함하는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 전체도 회전되면서 용기 픽업용 롤(74)이 있는 앞쪽부분이 위로 들려지거나 아래로 내려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에 있는 한쌍의 용기 픽업용 롤(74) 중에서 앞쪽으로 위치되는 하나의 용기 픽업용 롤(74)은 그 양단 축이 스프링(210)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에 형성되는 슬롯(211)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의 양측면에 밀착 배치되어 핀(76)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와이어 픽업용 롤브라켓(75)의 회전 시 후단부가 스토퍼핀(76)에 의해 간섭되면서 전방으로 이동가능한 한쌍의 용기이젝트용 바(78)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용기이젝트용 바(78)의 핀(76) 관통 체결부위는 장공(76a)으로 이루어져 용기이젝트용 바(78)의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의 앞부분이 위로 상승하게 되면 이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의 측면에 있는 용기이젝트용 바(78)도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고, 계속해서 기울어지는 용기이젝트용 바(78)의 후단부가 롤 브라켓(75)에 있는 스토퍼핀(77)에 접촉 간섭되면서 앞쪽으로 밀리게 된다.
즉, 상기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의 회전 시에 이와 함께 용기이젝트용 바(78)도 위로 들려지게 되는데, 이때의 용기이젝트용 바(78)는 어느 정도 위로 들려지다가 그 후단부가 스토퍼핀(77)에 닿게 되고, 계속해서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은 위쪽으로 회전되지만 용기이젝트용 바(78)는 스토퍼핀(77)과의 간섭때문에 함께 위로 들려지지 못하면서 그 대신에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이 위로 회전되는 것에 상응하여 앞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계속해서, 앞쪽으로 이동하는 용기이젝트용 바(78)의 선단에 의해 앞쪽에 있는 와이어 픽업용 롤(74)의 축부분이 앞쪽으로 밀리면서 다른 하나의 와이어 픽업용 롤(74)과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므로서, 결국 양편의 와이어 픽업용 롤(74) 사이에 끼워져 있던 용기 상단부가 밑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출부(36)에는 와이어 픽업용 롤브라켓(75) 상에 설치되어 아래로 경사지게 배출되는 용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용기배출용 가이드판(79)이 더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배출용 가이드판(79)은 와이어 픽업용 롤브라켓(75)의 저면부에 대략 수직 자세로 설치되며, 와이어 픽업용 롤브라켓(75)의 앞쪽이 위로 들려질 때 함께 들려지면서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되므로서, 아래로 떨어지는 용기를 슈트(232)측으로 보내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 시 단위 테이블(17) 상의 용기가 용기픽업용 롤(74)의 하부에 위치되면, 캠 구동 장치(100)의 제3출력로드(108)의 상승 작동에 의해 용기가 위로 올라오게 되고, 이렇게 올라오는 용기의 상단부, 즉 실링처리된 직선형의 상단부가 한쌍의 용기픽업용 롤(74) 사이를 밀면서 진입함과 더불어 그 사이에 물리게 된다.
계속해서, 캠 구동 장치(100)의 와이어(49)가 이동하면서, 즉 한쪽의 와이어(49a)가 올라가고 다른 한쪽의 와이어(49b)가 내려가면서 와이어 롤(73)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용기가 물려 있는 용기 픽업용 롤(74)을 포함하는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의 선단부가 위로 들려지게 되며, 계속해서 용기이젝트용 바(78)의 전진에 의해 앞쪽의 용기 픽업용 롤(74)이 밀려남과 동시에 롤 사이가 벌어지면서 용기가 밑으로 떨어져 용기배출용 가이드판(79)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을 위한 인덱스(미도시)를 구동시켜줌과 더불어 각 공정파트들의 작동을 위한 캠 구동 장치(100)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모터(10) 포함하는 구동부(38)의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구동모터(10)와 캠 구동 장치(100)는 장치 본체(37)의 하부 공간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는 장치 본체(37) 상에 설치되는 전동 샤프트(212)가 수평 자세로 설치됨과 더불어 이렇게 설치되는 전동 샤프트(212)의 선단부에는 듀얼 풀리(12)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전동 샤프트(212)의 후단부는 인덱스(미도시)측으로 연결되어 모터 동력을 인덱스측에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모터 동력을 인덱스측에 제공하여 인덱스를 구동하는 방식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0)의 축에 장착되는 모터측 풀리(213)와 듀얼 풀리(12) 사이, 또 상기 캠 구동 장치(100)의 입력축(102)에 장착되는 캠측 풀리(11) 사이에는 전동벨트(13)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0)의 동력은 풀리 및 벨트 전동에 의해 인덱스측과 캠 구동 장치(100)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서 캠 구동 장치의 후면 출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캠 구동 장치(100)의 복수 개의 출력 중 제6출력로드(112)와 제7출력로드(113)을 보여준다.
상기 제6출력로드(112)와 제7출력로드(113)는 캠 구동 장치(100)의 입력축(102)과 기어 전동수단(미도시)를 매개로 연결되어 입력축(102)의 회전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6출력로드(112)는 일종의 회전축으로서, 그 상단부와 용기 공급부(25)에 있는 공급용 원판(20)의 샤프트(216)에는 각각 전동 풀리(217)가 장착되는 동시에 이때의 양편의 전동 풀리(217) 사이에는 전동 벨트(218)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캠 구동 장치(100)의 제6출력로드(112)의 회전력에 의해 샤프트(216)가 회전되면서 공급용 원판(20)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샤프트(216)와 회전식 푸셔(21)의 축(88)은 기어장치(미도시)로 연결되어 회전식 푸셔(21)측으로도 함께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7출력로드(113)에는 와이어 풀리(218)이 장착되며, 이때의 와이어 풀리(218)에는 와이어(49)의 일단이 고정되는 동시에 이곳에서 연장되는 와이어(49)를 다수의 롤러(220)를 경유하여 와이어 가이드 장치(82)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7출력축(117)의 단속 회전에 의해 와이어(49)가 당겨지거나 놓아지게 되면, 이때의 와이어(49)의 이동에 의해 아이 마크부(30)측과 배출부(36)측에 동력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여기서는 분할형 턴테이블(27)의 높이와 용기 공급부(25)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모터 베이스(221) 상의 높이조절용 모터(222)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용 모터(222)의 축에는 구동기어(미도시)가 장착되는 동시에 이때의 구동기어는 캠 구동 장치(100)의 제5출력축(111)에 장착되는 전동기어(19)와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베이스(221)는 분할형 턴테이블(27)측의 플레이트(223) 위에 놓여지면서 이와 결합되고, 또 플레이트(223)는 핀블럭(224)을 통해 용기 공급부(25)의 프레임측에서 연장되는 암(225)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용 모터(222)가 작동하게 되면, 캠 구동 장치(100)의 슬라이드 구조물(124)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와 함께 높이조절용 모터(222)를 포함하는 플레이트(223) 및 암(225) 전체도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분할형 턴테이블(27)과 용기 공급부(25)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서 조합형 턴테이블의 단위 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테이블승강용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캠 구동 장치(100)의 제2출력로드(107)의 상하 동작을 이용하여 분할형 턴테이블(27)에 있는 각각의 단위 테이블(17)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캠 구동 장치(100)의 제2출력로드(107)의 상단부에는 길이중간 부분을 축으로 하여 시이소 운동하는 바 모양의 테이블 승강용 레버(16)의 후단부가 연결되고, 이렇게 연결되는 테이블 승강용 레버(16)의 선단부에는 레일을 따라 승하강 안내를 받는 슬라이드 블럭(17b)이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17b)에는 테이블 로드(17a)가 수직 연결되는 동시에 이때의 테이블 로드(17a)의 상단부는 단위 테이블(17)의 하단부와 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출력로드(107)의 하강 작동 시 테이블 승강용 레버(16)의 선단부가 상승하면서 슬라이드 블럭(17b) 및 테이블 로드(17a)를 통해 단위 테이블(17)의 하단부를 위로 밀어서 올려주게 되므로서, 단위 테이블(17)의 상승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2출력 로드(107)의 상승 작동 시 단위 테이블(17)은 자체 무게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내려와 있게 된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서 용기 배출부 및 아이 마크부의 작동을 위한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아이 마크부(30)측과 배출부(36)측의 작동을 위한 와이어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와이어 가이드 장치(82)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장치 본체(37)의 상부에는 길다란 사각바 형태의 롤지지용 플레이트(80)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롤지지용 플레이트(80)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측면에는 와이어(49a,49b)의 진행 경로를 유도하는 복수 개의 롤(81a,81b,81c)이 설치된다.
그리고, 롤지지용 플레이트(80) 상의 롤(81a,81b,81c) 간을 경유하는 와이어(49a,49b)의 경우 어느 1개의 와이어(49b)의 끝은 스프링(226)을 통해 롤지지용 플레이트(80)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49a,49b)는 캠 구동 장치(100)의 제7출력로드(113)로부터 연장되어 위로 올라온 후에 롤지지용 플레이트(80)의 각 롤(81a,81b,81c)을 경유한 후에 아이 마크부(30)측이나 배출부(36)측으로 각각 2줄이 제공되며, 이렇게 제공되는 2줄의 와이어(49a,49b)는 아이 마크부(30)측의 가이드 롤(94)과 배출부(36)측의 와이어 롤(73)에 각각 감겨진 후에 되돌아 오게 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 가이드 장치(82)는 2세트가 구비될 수 있게 되고, 각 세트의 와이어 가이드 장치(82)는 아이 마크부(30)측과 배출부(36)측에 각각 배속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캠 구동 장치(100)로부터의 와이어 당겨짐 및 놓아짐과 같은 단속 작용이 일어나게 되면, 이때의 와이어(49a,49b)의 움직임에 의해 아이 마크부(30)측에서는 아이마크 서보모터(227)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배출부(36)측에서는 용기 픽업용 브라켓(75)의 선단부 들려짐 및 내려짐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 예로서, 캠 구동 장치(100)의 제7출력로드(113)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49a)는 1차 롤러(81a)와 2차 롤러(81b)를 거쳐 아이 마크부(30)의 가이드 롤(94)에 걸쳐진 다음에 연결핀(229)측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229)측 상단에서 연장되는 와이어(49b)는 3차 롤러(81c)를 거쳐 스프링(226)측에 연결된다.
다른 예로서, 캠 구동 장치(100)의 제7출력로드(113)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49a)는 1차 롤러(81a)와 2차 롤러(81b)를 거쳐 배출부(36)의 와이어 롤(73)에 걸쳐진 다음에 위로 연장되어 별도의 연결핀(미도시)측 한쪽 끝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측 다른 한쪽 끝에서 연장되는 와이어(49b)는 3차 롤러(81c)를 거쳐 스프링(226)측에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캠 구동 장치(10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서 캠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에서 캠 구동 장치의 각 부품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 구동 장치(100)는 구동모터(도 12의 도면부호 10)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면서 충전부, 용기 공급부 및 용기 배출부 등과 같은 공정 파트의 작동을 위한 복수 개의 출력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동력 구성 및 제어의 최적화를 통한 공정 파트들의 일괄적인 연계 구동 및 제어로 분당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캠 구동 장치(100)의 케이스(101)는 장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케이스(101)의 내부에 후술하는 입력축, 제1캠(103) 및 제2캠(140), 다수의 로드 등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케이스(101)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다수의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입력축(102)이 구비된다.
이러한 입력축(102)의 선단부에는 캠측 풀리(도 12의 도면부호 11)가 장착되며, 이때의 캠측 풀리(11)는 구동모터(도 12의 도면부호 10)의 동력을 분배하여 전달하는 후술하는 듀얼 풀리(도 12의 도면부호 12)와 전동 벨트(도 12의 도면부호 13)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0)의 동력이 듀얼 풀리(12)를 거쳐 입력축(102)에 전달되면서 입력축(102)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축(102)에는 2개의 캠, 즉 제1캠(103)과 제2캠(104)가 동축 구조를 이루면 일정 간격을 두고 앞뒤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제1캠(103)과 제2캠(104)은 입력축(102)과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캠(103)과 제2캠(104)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전면과 후면에 소정의 캠 선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캠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캠 회전 시 캠 홈의 캠 선도가 그리는 궤적을 따라 후술하는 로드들이 동작하게 되므로서 로드들의 상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캠(103)과 제2캠(104)이 가지는 복수 개의 캠 홈은 원판형태로 이루어진 캠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형성되는 동시에 캠 직경방향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면서 서로 간섭을 주지 않는 개별적인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캠(103)의 회전 시 제1캠(103)의 캠 홈을 따라 상하 동작하는 제1출력로드(10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출력로드(105)는 후술하는 상부 지지체(도 1과 도 2의 도면부호 14)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로드 상단부는 센터축 구조물(도 1과 도 2의 도면부호 15)의 하단측과 연결되고, 로드 하단부에는 제1롤베어링(114)을 가지는 베어링 블럭(115)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블럭(115)의 한쪽 측면부는 케이스(101)에 수직 설치되는 제1슬라이드 장치(116)의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상기 제1롤베어링(114)은 제1캠(103)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 홈 내에 삽입 위치되어 캠 궤적을 따라가면서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캠(103)의 회전 시 제1출력로드(105)는 캠 홈을 따라가는 제1롤베어링(114)과 제1슬라이드 장치(116)의 안내를 받는 베어링 블럭(115)에 의해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제1출력로드(105)의 상하 동작에 의해 상부 지지체(14) 또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캠(104)의 회전 시 제2캠(104)의 캠 홈을 따라 동작하는 제1연결로드(106)를 매개로 상하 동작하는 제2출력로드(107)가 구비된다.
상기 제2출력로드(107)는 후술하는 테이블승강용 레버(도 14의 도면부호 16)를 매개로 용기 승하강을 위한 단위 테이블(도 14의 도면부호 17)을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로드 상단부에는 테이블승강용 레버(16)측과 결합되고, 로드 하단부는 제1연결로드(106)의 후단부에 핀 구조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로드(106)는 대략 "ㄴ"자 형태로서 그 꺽인 부위가 케이스(101)측에 힌지 구조로 지지되어 이곳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선단부에는 제2롤베어링(117)이 장착되며, 이때의 제2롤베어링(117)은 제1캠(103)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 홈 내에 삽입 위치되어 캠 홈을 따라가면서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출력로드(107)는 케이스(101)에 수직 설치되는 제2슬라이드 장치(118)의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하 동작 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캠(103)의 회전 시 제1연결로드(106)의 제2롤베어링(117)은 제1캠(103)의 캠 홈을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동시에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제1연결로드(106)는 힌지 구조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이렇게 회전하는 제1연결로드(106)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출력로드(107)가 제2슬라이드 장치(118)의 안내를 받으면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이와 함께 제2출력로드(107)에 장착되어 있는 케이블승강용 레버(16)가 위아래로 움직이게 되므로서, 결국 단위 테이블(17) 및 용기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캠(104)의 회전 시 제2캠(104)의 캠 홈을 따라 상하 동작하는 제3출력로드(108)가 구비된다.
상기 제3출력로드(108)는 후술하는 용기 배출부에 위치하는 단위 테이블(17) 및 이 단위 테이블(17) 상의 용기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로드 상단부는 별도의 중간 매개체(미도시)를 통해, 또는 직접 단위 테이블(17)의 하단측과 근접하게 되고, 로드 하단부에는 슬라이드 블럭(119)이 장착되는 동시에 이때의 슬라이드 블럭(119)의 전면에는 롤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블럭(119)의 양측단부는 케이스(101)에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20)에 끼워져 상하 안내를 받게 되고, 상기 롤베어링은 제2캠(104)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 홈 내에 삽입 위치되어 캠 궤적을 따라가면서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캠(104)의 회전 시 제3출력로드(108)는 캠 홈을 따라가는 롤베어링과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안내를 받는 슬라이드 블럭(119)에 의해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제5출력로드(108)의 상하 동작에 의해 용기 배출부에 위치한 용기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캠(103)의 회전 시 제1캠(103)의 캠 홈을 따라 동작하는 제2연결로드(109)를 매개로 상하 동작하는 제4출력로드(110)가 구비된다.
상기 제4출력로드(110)는 후술하는 내용물 충전부의 내용물 펌핑을 위한 피스톤 로드(도 6의 도면부로 18)를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로드 상단부에는 피스톤 로드(18)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로드 하단부는 제2연결로드(109)의 후단부에 핀 구조로 연결되며, 이때의 제2연결로드(109)의 선단부에는 제1캠(103)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 홈 내에 삽입 위치되어 캠 홈을 따라가면서 상대적으로 상하 동작될 수 있는 제3롤베어링(121)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로드(109)는 직선의 바 형태로서, 바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회전식 가이드 블럭(123)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회전식 가이드 블럭(123)은 케이스(101)의 앞쪽에 수평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제3슬라이드 장치(122)의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가이드 블럭(123)의 경우 제1캠(103)의 회전에 따른 제2연결로드(109)의 시이소 운동 시 제3슬라이드 장치(122)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제2연결로드(109)를 따라 이동하여 제2연결로드(109)의 움직임을 안내함과 더불어 제2연결로드(109)의 회전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연결로드(109)의 시이소 운동을 위한 회전중심점이 로드 길이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으므로, 제2연결로드(109)의 시이소 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캠(103)의 회전 시 제2연결로드(109)의 제3롤베어링(121)은 제1캠(103)의 캠 홈을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동시에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제2연결로드(109)는 회선식 가이드 블럭(123)과의 지지점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이소 운동을 하게 된다.
계속해서, 이렇게 시이소 운동하는 제2연결로드(109)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4출력로드(110)가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이와 함께 제4출력로드(110)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18)가 위아래로 움직이게 되므로서, 결국 펌핑작동에 의한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1)의 내측에 설치되고 서보모터측과 연결되어 서보모터 구동 시 회전 및 상하 동작하는 제5출력로드(111)가 구비된다.
상기 제5출력로드(111)는 분할식 테이블의 높낮이와 공급부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출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101)의 후면부 일측에는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제5출력축(111) 및 이것을 수용하는 슬라이드 구조물(124)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구조물(124)의 저면부에는 볼/스크류 지지체(125)가 수직 설치되는 동시에 이때의 볼/스크류 지지체(125)는 제5출력축(111)의 하단부분과 볼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5출력축(111)이 회전하게 되면 볼/스크류 지지체(111)를 기준하여 제5출력축(111)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구조물(124) 전체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5출력로드(111)의 상단부에는 전동기어(도 13의 도면부호 19)가 장착되며, 이때의 전동기어(19)로부터 받는 동력에 의해 제5출력로드(111)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5출력로드(111)의 회전 및 상하 동작에 의해 분할식 테이블 및 공급부 테이블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입력축(102)의 후단부에는 기어류 등과 같은 전동수단(미도시)을 매개로 하여 함께 회전가능한 제6출력로드(도 13의 도면부호 113)가 수직 자세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6출력로드(113)는 케이스(101)의 후면쪽에 위치되면서 용기 공급 진행을 위한 공급부의 공급용 원판(도 3의 도면부호 20)과 회전식 푸셔(21)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입력축(102)의 후단부에는 기어류 등과 같은 전동수단(미도시)을 매개로 하여 함께 회전가능한 제7출력로드(도 13의 도면부호 113)이 수평 자세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7출력로드(113)는 케이스(101)의 후면쪽에 위치되면서 아이 마크부 및 배출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움직여주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82)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캠 구동 장치(100)는 용기 상승 및 하강을 위한 제2출력로드(107)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볼/스크류 슬라이드 장치(126)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101)의 후면부 일측에는 가이드 구조물(127)이 수직 자세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구조물(127)의 내측에는 볼/스크류 바(128)가 나란하게 수직 설치되며, 상기 볼/스크류 바(128)에는 제2슬라이드 장치(118)의 후면부에 결합되는 볼/스크류 슬라이더(129)가 볼스크류 결합구조로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 바(128)의 상단부에는 서보모터(도 13의 도면부호 22)의 축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기어(미도시)와 치합 전동되는 전동기어(도 13의 도면부호 23)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보모터(22)의 작동에 의해 볼/스크류 바(128)가 회전하게 되면, 볼스크류 전동에 의해 볼/스크류 슬라이더(129)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결국 테이블승강용 레버(16)를 포함하는 제2출력로드(107) 전체의 상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므로서, 상하 높이가 조절된 테이블승강용 레버(16)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는 개별 테이블의 상승 및 하강 스트로크 또한 용기 규격에 맞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이 개방되어 있고 캡이 닫혀 있는 용기는 캡쪽을 아래로 하여 세워진 상태로 용기 공급부(25)의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된 후, 공급용 원판 및 회전식 푸셔에 의해 1개씩 분할형 턴테이블의 둘레에 해당하는 회전영역으로 투입된다.
한편,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의 각 단위 테이블에는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홀더가 하나씩 탑재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때의 분할형 턴테이블(27)은 인덱스 구동으로 스텝 방식으로 회전된다.
다음, 용기 공급부(25)로부터 투입되는 용기는 용기 세팅용 홀더에 의해 용기 홀더 안착된 후, 에어 클리너부(29)로 한 스텝 진행하게 된다.
다음, 에어 클리너부(29)의 작업영역에 용기가 위치하면, 용기 속의 이물질이 제거된 후에 아이 마크부(30)로 한 스텝 진행하게 된다.
다음, 아이 마크부(30)의 작업영역에 용기가 위치하면, 아이마크 서보모터의 작동에 의해 용기를 포함하는 용기 홀더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아이마크 센서 어셈블리의 검출작용에 의해 용기의 방향이 맞춰진 후에 충전부(31)로 한 스텝 진행하게 된다.
다음, 충전부(30)의 작업영역에 용기가 위치하면, 노즐헤드 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해 용기 속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에 핫 에어부(32)로 한 스텝 진행하게 된다.
다음, 핫 에어부(32)의 작업영역에 용기가 위치하면, 보조 핫에어 어셈블리 및/또는 핫에어 어셈블리에서 분사되는 핫에어에 의해 용기의 상단이 예열된 후에 씰링부(33)로 한 스텝 진행하게 된다.
다음, 씰링부(33)의 작업영역에 용기가 위치하면, 양편의 히터 바에 의해 용기 상단부가 가압 및 융착되어 씰링처리가 된 후에 냉각부(34)로 한 스텝 진행하게 된다.
다음, 냉각부(34)의 작업영역에 용기가 위치하면, 양편의 가압블럭에 의해 씰링처리된 용기 상단부가 눌려지면서 냉각된 후에 칼날부(35)로 한 스텝 진행하게 된다.
다음, 칼날부(35)의 작업영역에 용기가 위치하면, 양편의 커터에 의해 냉각처리된 용기 상단부가 커팅된 후에 배출부(36)로 한 스텝 진행하게 된다.
다음, 배출부(36)의 작업영역에 용기가 위치하면, 한쌍의 용기픽업용 롤 사이에 용기 상단부가 물리게 되고, 계속해서 경사지게 기울어짐과 더불어 용기픽업용 롤로부터 놓여지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용기 공급에서부터 내용물 충전 및 씰링 처리 후에 배출되기 까지의 전체 공정이 자동화 공정으로 진행되면서 용기의 충전 및 포장 공정이 완료된다.
10 : 구동모터
11 : 캠측 풀리
12 : 듀얼 풀리
13 : 전동 벨트
14 : 상부 지지체
15 : 센터측 구조물
16 : 테이블 승강용 레버
17 : 단위 테이블
18 : 피스톤 로드
19 : 전동기어
20 : 공급용 원판
21 : 회전식 푸셔
22 : 서보모터
23 : 전동기어
24 : 컨베이어 장치
25 : 용기 공급부
26 : 용기 홀더
27 : 분할형 컨베이어
28 : 하부 지지체
29 : 에어클리너부
30 : 아이 마크부
31 : 충전부
32 : 핫에어부
33 : 씰링부
34 : 냉각부
35 : 칼날부
36 : 배출부
37 : 장치 본체
38 : 구동부
39 : 힌지핀
40 : 밀대
41 : 암
42 : 노즐 홀더
43 : 에어 노즐
44 : 용기세팅용 홀더
45 : 홀더 브라켓
46 : 센서 홀더
47 : 아이마크센서 어셈블리
48 : 모터 슬라이드 장치
49 : 와이어
50 : 충전 포스트
51 : 노즐 헤드 어셈블리
52 : 핫에어 실린더
53 : 로드
54 : 핫에어 슬라이드 장치
55 : 핫에어 공급관
56 : 핫에어 어셈블리
57 : 브라켓
58 : 보조 핫에어 어셈블리
59 : 레버작동용 제1푸셔
60 : 레버 블럭
61 : 스프링
62 : 히터 바
63 : 레버작동용 제2푸셔
64 : 레버 바
65 : 가압 블럭
66 : 가압용 레버
67 : 커팅용 레버
68 : 레버작동용 제3푸셔
69 : 레버 블럭
70 : 커터
71 : 롤 브라켓
72 : 롤 축
73 : 와이어 롤
74 : 용기픽업용 롤
75 : 용기픽업용 롤브라켓
76 : 핀
77 : 스토퍼핀
78 : 용기이젝트 바
79 : 용기배출용 가이드판
80 : 롤지지용 플레이트
81 : 롤
82 : 와이어 가이드 장치
84 : 원통형 지지체
85 : 가이드
86 : 홀
87 : 축
88 : 축
89 : 브라켓
90 : 브라켓
91 : 센서
92 : 모터 브라켓
93 : 축
94 : 가이드 롤
95 : 호퍼
96 : 내용물 충전노즐
97 : 커플러
99 : 모터 브라켓
100 : 캠 구동 장치
101 : 케이스
102 : 입력축
103 : 제1캠
104 : 제2캠
105 : 제1출력로드
106 : 제1연결로드
107 : 제2출력로드
108 : 제3출력로드
109 : 제2연결로드
110 : 제4출력로드
111 : 제5출력로드
112 : 제6출력로드
113 : 제7출력로드
114 : 제1롤베어링
115 : 베어링 블럭
116 : 제1슬라이드 장치
117 : 제2롤베어링
118 : 제2슬라이드 장치
119 : 슬라이드 블럭
120 : 가이드 플레이트
121 : 제3롤베어링
122 : 제3슬라이드 장치
123 : 회전식 가이드블럭
124 : 슬라이드 구조물
125 : 볼스크류 지지체
126 : 볼/스크류 슬라이드 장치
127 : 가이드 구조물
128 : 볼/스크류 바
129 : 볼/스크류 슬라이더
200 : 핫에어 노즐
201 : 보조 핫에어 노즐
202 : 곡면부
203 : 아이들 롤러
204 : 슬라이드 장치
205 : 에어 호스
206 : 커터 블럭
207 : 고무 롤러
208 : 슈트
209 : 스크랩 배출부
210 : 스프링
211 : 슬롯
212 : 전동 샤프트
216 : 샤프트
217 : 전동 풀리
218 : 전동 벨트
219 : 와이어 풀리
220 : 롤러
221 : 모터 메이스
222 : 높이조절용 모터
223 : 플레이트
224 : 핀블럭
225 : 암
226 : 스프링
227 : 아이마크 서보모터
228 : 튜브
229 : 연결핀
230 : 장공
231 : 핀롤러
232 : 슈트

Claims (20)

  1. 장치 본체(37)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컨베이어 장치(24)를 통해 세워진 상태로 용기를 공급함과 더불어 공급용 원판(20)을 통해 용기를 하나씩 투입하는 용기 공급부(25);
    장치 본체(37)의 센터에 배치되면서 구동부(38)로부터 동력을 받는 인덱스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원주 둘레를 따라가면서 설치되는 용기 탑재를 위한 다수의 용기 홀더(26)를 가지는 분할형 턴테이블(27);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27)의 상부에 위아래로 설치되며 각 공정 파트들의 구성품 상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상부 지지체(14) 및 각 공정 파트의 구성품 지지를 위한 하부 지지체(28);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27)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공정 파트들로서, 용기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클리너부(29);
    용기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아이 마크부(30), 용기 속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부(31);
    용기의 상단부를 가열하는 핫에어부(32), 용기의 상단부를 접합하는 씰링부(33);
    용기의 상단부를 커팅하는 칼날부(35) 및 용기를 최종 배출하는 배출부(36);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을 위한 인덱스를 구동시켜줌과 더불어 각 공정파트들의 작동을 위한 캠 구동 장치(100)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모터(10) 포함하는 구동부(40);
    상기 구동모터(10)로부터 동력을 입력으로 하여 각 공정파트 중 선택된 공정파트들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출력을 가지는 캠 구동 장치(100);
    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36)는 하부 지지체(28) 상에 설치되는 롤 브라켓(71)과, 상기 롤 브라켓(71) 상에 롤 축(72)의 양단을 통해 지지되면서 롤 축(72)과 함께 회전가능한 동시에 와이어(49)에 걸려있는 와이어 롤(73)과, 선단부에 용기 상단부분을 잡아주는 한쌍의 용기 픽업용 롤(74)을 가지면서 와이어 롤(73)의 롤 축(72)에 후단부 양측이 연결되어 지지됨과 더불어 상하 회전을 통해 경사진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용기 픽업용 롤브라켓(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공급부(25)는 튜브 용기를 세워진 상태로 공급하는 컨베이어 장치(24)와, 상기 컨베이어 장치(24)의 배출측 선단에 위치되며 캠 구동 장치(100)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함과 더불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용기 안착홈(41)을 이용하여 용기를 한 피치씩 옮겨주는 공급용 원판(20)과, 상기 공급용 원판(20)의 둘레부 일측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캠 구동 장치(100)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공급용 원판(20)에 있는 용기를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영역 내로 투입하는 회전식 푸셔(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27)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공정 파트로서, 에어 클리너부(29)의 전단 영역에 위치됨과 더불어 하부 지지체(28) 상에 지지되며 분할형 턴테이블(27)의 회전영역 내로 투입되는 용기를 받아 정위치시켜주는 용기세팅용 홀더(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부(29)는 상부 지지체(14)의 암(41) 상에 수직 자세로 지지되면서 상하 동작 가능한 노즐 홀더(42)와, 상기 노즐 홀더(42)의 하단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용기 속에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 노즐(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 마크부(30)는 상부 지지체(14)의 암(41) 상에 수직 자세로 지지되면서 상하 동작 가능한 센서 홀더(46) 및 상기 센서 홀더(46)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용기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선을 감지하는 아이 마크센서 어셈블리(47)와, 하부 지지체(28) 상의 모터 슬라이드 장치(48)의 안내 및 지지를 받으면서 캠 구동 장치(100)측의 와이어(49)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축(93)을 이용하여 용기가 안착되어 있는 용기 홀더(26)를 회전시켜주는 아이마크 서보모터(2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31)는 분할형 턴테이블(27)의 둘레부 맞은편 일측에서 장치 본체(37) 상에 설치되는 충전 포스트(50)와, 상기 충전 포스트(50)의 상단부 전면으로 위치되어 내용물을 용기에 주입하는 노즐헤드 어셈블리(51)와, 상기 노즐헤드 어셈블리(51)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캠 구동장치(100)측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상하 동작하면서 내용물 토출을 위한 펌핑작용을 수행하는 피스톤 로드(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핫에어부(32)는 상부 지지체(14) 상에 지지되는 핫에어 모터(52) 및 스크류축(53)과, 하부 지지체(28) 상에 지지되면서 스크류축(53)과 연결되어 상하 동작가능한 핫에어 슬라이드 장치(54)와, 상기 핫에어 슬라이드 장치(54)의 슬라이더에 지지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핫에어 공급관(55)이 연결되며 용기의 상단부를 둘러싸면서 접합부위에 핫에어를 분사하는 핫에어 어셈블리(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핫에어부(32)는 핫에어 어셈블리(56)의 전단위치에서 핫에어 어셈블리(56)의 몸체부에 브라켓(57)에 의해 지지되며 핫에어 어셈블리(56)의 가열에 앞서 용기의 상단부를 둘러싸면서 접합부위에 핫에어를 미리 분사하여 예열하는 보조 핫에어 어셈블리(5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33)는 상부 지지체(14)의 암(41)의 선단부에 수직 자세로 고정되는 동시에 하강 동작을 통해 한쌍의 융착용 레버(63)의 상단부를 벌려주는 레버작동용 제1푸셔(59)와, 하부 지지체(28) 상에 설치되는 레버 블럭(60)과, 상기 레버 블럭(60) 상에 힌지핀(39)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스프링(61)의 탄력을 받아 복원 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용기를 융착시켜주는 히터바(62)가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융착용 레버(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턴테이블(27)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공정 파트로서, 씰링부(33)의 후단 영역에 위치되어 용기 상단부의 융착부위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부 지지체(14)의 암(41)의 선단부에 수직 자세로 고정되는 동시에 하강 동작을 통해 한쌍의 가압용 레버(66)의 상단부를 벌려주는 레버작동용 제2푸셔(63)와, 하부 지지체(28) 상에 설치되는 레버 바(64)와, 상기 레버 바(64) 상에 힌지핀(39)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스프링(61)의 탄력을 받아 복원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용기의 상단 융착부위를 가압하는 가압 블럭(65)이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가압용 레버(66)를 포함하는 냉각부(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35)는 상부 지지체(14)의 암(41)의 선단부에 수직 자세로 고정되는 동시에 하강 동작을 통해 한쌍의 커팅용 레버(67)의 상단부를 벌려주는 레버작동용 제3푸셔(68)와, 하부 지지체(28) 상에 설치되는 레버 블럭(69)과, 상기 레버 블럭(69) 상에 힌지핀(39)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동시에 스프링(61)의 탄력을 받아 복원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용기의 상단 융착부위를 절단하는 커터(70)가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커팅용 레버(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6)는 와이어 픽업용 롤브라켓(75)의 양측면에 밀착 배치되어 핀(76)에 의해 지지되고 와이어 픽업용 롤브라켓(75)의 회전 시 후단부가 스토퍼핀(76)에 의해 간섭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한쌍의 용기 픽업용 롤(74) 사이를 벌려주는 역할의 한쌍의 용기이젝트용 바(7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6)는 와이어 픽업용 롤브라켓(75) 상에 설치되어 아래로 경사지게 배출되는 용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용기배출용 가이드판(7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 마크부(30)측과 배출부(36)측의 작동을 위한 와이어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장치 본체(37)의 상부에 설치되는 롤지지용 플레이트(80)와, 상기 롤지지용 플레이트(80) 상에 설치되어 와이어(49)의 진행 경로를 아이 마크측(30)과 배출부(36)측으로 유도하는 복수 개의 롤(81)과, 캠 구동 장치(100)측에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각 롤(81)에 의한 경로 안내를 받으면서 아이 마크부(30)측과 배출부(36)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되는 와이어(49)를 포함하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8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 장치(100)는 케이스(101)의 전후측으로 관통 지지되면서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입력축(102)과, 전면 및/또는 후면에 캠 홈을 가지면서 입력축(10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캠(103)과, 전면 및/또는 후면에 캠 홈을 가짐과 더불어 제1캠(103)의 뒷쪽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입력축(10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캠(104)과, 상기 제1캠(103)의 회전 시 제1캠(103)의 캠 홈을 따라 상하 동작하는 제1출력로드(105)와, 상기 제2캠(104)의 회전 시 제2캠(104)의 캠 홈을 따라 동작하는 제1연결로드(106)를 매개로 상하 동작하는 제2출력로드(107)와, 상기 제2캠(104)의 회전 시 제2캠(104)의 캠 홈을 따라 상하 동작하는 제3출력로드(108)와, 상기 제1캠(103)의 회전 시 제1캠(103)의 캠 홈을 따라 동작하는 제2연결로드(109)를 매개로 상하 동작하는 제4출력로드(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 장치(100)는 케이스(101)의 내측에 설치되고 서보모터측과 연결되어 서보모터 구동 시 회전 및 상하 동작하는 제5출력로드(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 장치(100)의 케이스(101)의 후면쪽에 수직 설치되고 입력축(102)의 후단부에 전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함께 회전가능한 제6출력로드(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 장치(100)의 케이스(101)의 후면쪽에 수평 설치되고 입력축(102)의 후단부에 전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함께 회전가능한 제7출력로드(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 장치(100)는 용기 상승 및 하강을 위한 제2출력로드(107)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상호 간의 볼스크류 전동이 가능하게 조합된 볼/스크류 바(128)와 볼/스크류 슬라이더(129)로 구성되는 볼/스크류 슬라이드 장치(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KR1020170051102A 2016-04-25 2017-04-20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KR101901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50422 2016-04-25
KR1020160050422 2016-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703A KR20170121703A (ko) 2017-11-02
KR101901061B1 true KR101901061B1 (ko) 2018-09-20

Family

ID=6038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102A KR101901061B1 (ko) 2016-04-25 2017-04-20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0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716A (ko) 2020-01-22 2021-07-30 (주)비알코셈 꽃잎 혼합 클렌징워터 충진 시스템
KR102637362B1 (ko) * 2023-07-07 2024-02-19 (주)하이엘코스메틱 액상 제품 수용 튜브 제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429B1 (ko) * 2017-12-29 2018-04-04 방금석 치약튜브 내부로의 치약 투입장치
CN115489120A (zh) * 2022-10-27 2022-12-20 南京贝生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熔融沉积成型的3d打印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83B1 (ko) * 2006-02-14 2007-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핫 에어 분사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 용기의 개방부용융장치
KR200437213Y1 (ko) * 2006-12-21 2007-11-13 (주)아모레퍼시픽 포장튜브 실링장치의 핫에어 노즐
WO2015036185A1 (de) * 2013-09-13 2015-03-19 Khs Gmbh Verfahren und behältertransporteur zum umformen eines behälterstromes, sowie vorrichtung dam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495A (ja) * 1997-11-06 1999-05-25 Ckd Corp ワーク搬送作業装置
JP2003040203A (ja) * 2001-07-31 2003-02-13 Toppan Printing Co Ltd ロータリー式液体充填密封包装装置
KR100599430B1 (ko) * 2004-02-16 2006-07-12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JP4426476B2 (ja) * 2005-01-28 2010-03-03 ワイエル工業株式会社 樹脂性チューブの充填・シール機の自動段取り替え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83B1 (ko) * 2006-02-14 2007-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핫 에어 분사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 용기의 개방부용융장치
KR200437213Y1 (ko) * 2006-12-21 2007-11-13 (주)아모레퍼시픽 포장튜브 실링장치의 핫에어 노즐
WO2015036185A1 (de) * 2013-09-13 2015-03-19 Khs Gmbh Verfahren und behältertransporteur zum umformen eines behälterstromes, sowie vorrichtung dam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716A (ko) 2020-01-22 2021-07-30 (주)비알코셈 꽃잎 혼합 클렌징워터 충진 시스템
KR102637362B1 (ko) * 2023-07-07 2024-02-19 (주)하이엘코스메틱 액상 제품 수용 튜브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703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061B1 (ko) 튜브 용기 충전 및 포장 장치
AU2019261540B2 (en) Packaging apparatus and system
KR100865512B1 (ko) 종형(縱型) 충전 포장기
AU2014279317B2 (en) Packing method and packaging device for implementing packing method
CN103043256A (zh) 一种高效自动化包装机
CN107054768B (zh) 一种自动包装机
CN107416270A (zh) 全自动纸品包装机
KR102253034B1 (ko) 식품을 청결하게 포장하는 식품제조장치
KR101538328B1 (ko) 콘돔 포장기용 콘돔 자동 공급장치
CN208101093U (zh) 一种自动盖帽热合机
CN113734522A (zh) 一种中药颗粒袋装机
KR101869814B1 (ko) 스틱 포장기용 상점 순간멈춤 장치
CN205582741U (zh) 电子元器件自动包封装置
CN205470167U (zh) 塑料容器自动打包机
JPH0699917A (ja) 商品充填包装方法及び装置
CN211196817U (zh) 一种自动进料的封尾机装置
CN102173103B (zh) 一种输液袋体熔合机的引流管装配装置
CN218987139U (zh) 一种用于纸杯的自动包装封口机
CN217805575U (zh) 一种中药颗粒袋装机
CN207225782U (zh) 一种横向进给的中药材封装机
CN214566611U (zh) 一种薄膜封口机
KR20010025632A (ko) 과일포장기의 비닐봉지 벌림장치
CN206547285U (zh) 一种菌料自动装袋机
CN116424663A (zh) 一种智能食品包装袋封口设备
CN116002154A (zh) 药粒封包方法及药粒封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