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289B1 -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인쇄물 제조 장치 그리고 인쇄물 - Google Patents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인쇄물 제조 장치 그리고 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289B1
KR101900289B1 KR1020110126404A KR20110126404A KR101900289B1 KR 101900289 B1 KR101900289 B1 KR 101900289B1 KR 1020110126404 A KR1020110126404 A KR 1020110126404A KR 20110126404 A KR20110126404 A KR 20110126404A KR 101900289 B1 KR101900289 B1 KR 10190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ffer layer
opening
print
pri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748A (ko
Inventor
케이고 스가이
세이고 모모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6967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030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6967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16368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0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084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articles composed of at least two different materials, e.g. using cutters of different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2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a continuous 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2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a continuous ink jet
    • B41J2002/022Control methods or devices for continuous 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Backlit symb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5Di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k Jet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우라도, 광누출이나 인쇄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재(107)에 소정 패턴으로 인쇄층(109)을 형성하는 공정과, 기재 및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111)를 개구부 형성 영역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108)을, 개구부 형성 영역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인쇄층에 접하여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인쇄물 제조 장치 그리고 인쇄물{PRINTED MATTER MANUFACTURING METHOD, PRINTED MATTER MANUFACTURING DEVICE AND PRINTED MATTER}
본 발명은,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인쇄물 제조 장치 그리고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의 계기판은, 기재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차광부 등의 인쇄층을 성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인쇄물에 있어서는, 용도에 따라서는 관통공 등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는, 예를 들면 다이커팅(die cutting) 등에 의해 형성되지만, 인쇄층의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서는 다이커팅시에 인쇄층에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개구부의 형성 영역에 대해서는, 인쇄층을 얇게 형성함으로써, 펀칭시의 인쇄층에 부여하는 대미지를 작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4127239호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존재한다.
인쇄층을 얇게 형성하는 영역은, 다이(die;型)보다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펀칭 후의 인쇄층에는, 얇은 영역이 잔존하게 되어, 이 부분으로부터 광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영역보다도 얇게 형성한 인쇄층이라도, 인쇄층의 재질이나 개구부의 형성 영역의 두께에 따라서는, 파손의 발생이 확실히 억제된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우라도, 광누출이나 인쇄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인쇄물 제조 장치 그리고 인쇄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인쇄물 제조 방법은, 기재에 소정 패턴으로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개구부 형성 영역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을, 상기 개구부 형성 영역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물 제조 방법에서는,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완충층이 부담하여, 인쇄층으로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인쇄층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완충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완충층을 형성할 때의 재료비를 낮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층을 상기 인쇄층보다도 작은 경도로 형성하는 순서를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완충층이 인쇄층보다도 크게 변형되어,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인쇄층을 연필 경도 H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완충층을 연필 경도 H 미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층을 상기 인쇄층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의 가공 개시측과는 반대측에 접하여 형성하는 구성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인쇄층에 가공 개시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반대측에 위치하는 완충층에도 가해져, 당해 충격을 부담하게 되기 때문에,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완충층을 인쇄층에 대하여 가공 개시측에 접하여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도, 펀칭 공구가 인쇄층에 이르기 전에 완충층과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부담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완충층의 측면을, 상면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완충층을 덮어 인쇄층을 형성했을 때에, 완충층의 측면과 상면과의 교차부가 에지가 되어 인쇄층에 응력 집중을 발생시켜, 인쇄층에 균열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쇄층의 인쇄 패턴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개구부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완충층을 형성하는 순서를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완충층의 형성 위치 등의 정보를 별도 입력할 필요가 없어져, 완충층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작업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을 액적 토출 방식으로 성막하는 구성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최저한의 재료로 효율적으로 완충층을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동일한 액적 토출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층 및 완충층을 성막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쇄물 제조 장치는, 기재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성막 장치를 갖고,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인쇄물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을, 상기 성막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전면적으로 형성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물 제조 장치에서는,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완충층이 부담하여, 인쇄층으로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인쇄층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완충층을 상기 인쇄층보다도 작은 경도로 형성시키는 구성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완충층이 인쇄층보다도 크게 변형되어,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인쇄층을 연필 경도 H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완충층을 연필 경도 H 미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완충층을 상기 인쇄층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의 가공 개시측과는 반대측에 접하여 형성시키는 구성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인쇄층에 가공 개시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반대측에 위치하는 완충층에도 가해져, 당해 충격을 부담하게 되기 때문에,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완충층을 인쇄층에 대하여 가공 개시측에 접하여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도, 펀칭 공구가 인쇄층에 이르기 전에 완충층과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부담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완충층의 측면을, 상면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완충층을 덮어 인쇄층을 형성했을 때에, 완충층의 측면과 상면과의 교차부가 에지가 되어 인쇄층에 응력 집중을 발생시켜, 인쇄층에 균열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인쇄층의 인쇄 패턴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개구부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완충층을 형성시키는 구성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완충층의 형성 위치 등의 정보를 별도 입력할 필요가 없어져, 완충층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작업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을 액적 토출 방식으로 성막하는 구성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최저한의 재료로 효율적으로 완충층을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동일한 액적 토출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층 및 완충층을 성막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인쇄물은, 기재에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인쇄물로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이 상기 개구부 형성 영역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물에서는,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완충층이 부담하여, 인쇄층으로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인쇄층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완충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완충층을 형성할 때의 재료비를 낮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물 제조 방법은, 기재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을 전면적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물 제조 방법에서는,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완충층이 부담하여, 인쇄층으로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인쇄층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쇄물 제조 장치는, 기재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성막 장치를 갖고,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인쇄물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을, 상기 성막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전면적으로 형성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물 제조 장치에서는,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완충층이 부담하여, 인쇄층으로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인쇄층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인쇄물은, 기재에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인쇄물로서,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이 전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물에서는,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를 완충층이 부담하여, 인쇄층으로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인쇄층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캐리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캐리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액적 토출 헤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광조사 수단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인쇄물 제조 장치 그리고 인쇄물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달리하고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인쇄물을 제조할 때에 이용되는 인쇄물 제조 장치인 인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인쇄 장치(인쇄물 제조 장치)(1)는, 지지체(기재)(P) 상에 광경화형 잉크를 토출한 후에, 토출한 광경화형 잉크에 광조사를 행하여 당해 광경화형 잉크를 경화시켜, 지지체(P) 상에 문자·숫자나 각종의 도안 등을 묘화하는 것이다.
이 인쇄 장치(1)는, 지지체(P)를 올려놓는 기대(base;2)와, 기대(2) 상의 지지체(P)를 도 1 중의 X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3)와, 광경화형 잉크를 토출하는 액적 토출 헤드(도시하지 않음)와, 당해 액적 토출 헤드를 복수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캐리지(4)와, 이 캐리지(4)를, X방향과 직교하는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장치(3) 및 이송 장치(5)에 의해, 지지체(P)와 캐리지(4)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각각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반송 장치(3)는, 기대(2) 상에 설치된 워크스테이지(workpiece stage;6) 및 스테이지 이동 장치(7)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워크스테이지(6)는, 스테이지 이동 장치(7)에 의해 기대(2) 상을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쇄 장치(1)의 상류측에 배치된 반송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반송되는 지지체(P)를, 예를 들면 진공 흡착 기구에 의해 XY평면 상에 보유지지하는 것이다. 스테이지 이동 장치(7)는, 볼 나사 또는 리니어 가이드 등의 베어링 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제어 장치(8)로부터 입력되는, 워크스테이지(6)의 X좌표를 나타내는 스테이지 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워크스테이지(6)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캐리지(4)의 설명도이고, 도 2는 측단면도, 도 3은 저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4)는, 이송 장치(5)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직사각형판 형상의 것으로, 저면(4a)측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의 액적 토출 헤드(성막 장치)(9)를, Y방향을 따라서 배열시킨 상태로 보지한 것이다.
이들 복수의 액적 토출 헤드(9(9Y, 9C, 9M, 9K, 9W))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것으로, 제어 장치(8)로부터 입력되는 묘화 데이터나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광경화형 잉크의 액적을 토출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액적 토출 헤드(9(9Y, 9C, 9M, 9K, 9W))는, Y(옐로), C(시안;cyan), M(마젠타;magenta), K(흑)에 대응한 광경화형 잉크 및, 투명색 또는 백색(W)의 광경화형 잉크를 각각 토출한 것이며, 각각의 액적 토출 헤드(9)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4)를 통하여 튜브(배관)(10)가 연결되어 있다.
Y(옐로)에 대응하는 액적 토출 헤드(9Y)에는, 튜브(10)를 개재하여 Y(옐로) 용의 광경화형 잉크를 충전·저장한 제1 탱크(11Y)가 접속되어 있어, 이에 따라 액적 토출 헤드(9Y)에는, 이 제1 탱크(11Y)로부터 Y(옐로)용의 광경화형 잉크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C(시안)에 대응하는 액적 토출 헤드(9C)에는 C(시안) 용의 광경화형 잉크를 충전한 제2 탱크(11C), M(마젠타)에 대응하는 액적 토출 헤드(9M)에는 M(마젠타)용의 광경화형 잉크를 충전한 제3 탱크(11M), K(흑)에 대응하는 액적 토출 헤드(9K)에는 K(흑)용의 광경화형 잉크를 충전한 제4 탱크(11K), W(투명 또는 백(白), 여기에서는 투명으로 함)에 대응하는 액적 토출 헤드(9W)에는 W(투명)용의 광경화형 잉크를 충전한 제5 탱크(11W)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액적 토출 헤드(9)에는, 대응하는 광경화형 잉크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액적 토출 헤드(9Y, 9C, 9M, 9K, 9W), 튜브(배관)(10), 탱크(11Y, 11C, 11M, 11K, 11W)에는, 각 색(Y, C, M, K, W)의 시스템 각각에, 히터 등의 가열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즉, 각각의 색의 시스템에서는, 액적 토출 헤드(9), 튜브(10), 탱크(11) 중 적어도 하나에, 광경화형 잉크의 점도를 저하시켜 그 유동성을 높이는 가열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광경화형 잉크는, 액적 토출 헤드(9)로부터의 토출성이 양호해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광경화형 잉크는,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의 잉크 등, 소정 파장의 빛을 받아 경화되는 타입의 것으로, 모노머와 광중합 개시제와 각 색에 대응하는 안료를 함유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계면 활성제나 열라디칼 중합 금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광경화형 잉크는, 통상은 그 성분(배합) 등에 의해 흡수하는 빛(자외선)의 파장역 등이 상이한 점에서, 경화하는 파장의 최적값, 즉 최적 경화 파장도, 잉크마다 상이하다.
도 4는, 액적 토출 헤드(9)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a)는 액적 토출 헤드(9)를 워크스테이지(6)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4(b)는 액적 토출 헤드(9)의 부분 사시도, 도 4(c)는 액적 토출 헤드(9)의 1노즐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적 토출 헤드(9)는, 복수(예를 들면 180개)의 노즐(N)을 Y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본 실시 형태에서는 X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 복수의 노즐(N)에 의해 노즐열(N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1열분의 노즐을 나타냈지만, 액적 토출 헤드(9)에 설치하는 노즐수 및 노즐열 수는 임의로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면 X방향으로 배열한 노즐열(NA)을 Y방향으로 복수열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10)와 연결되는 재료 공급공(20a)이 형성된 진동판(20)과, 노즐(N)이 설치된 노즐 플레이트(21)와, 진동판(20)과 노즐 플레이트(21)와의 사이에 설치된 리저버(reservoir;리퀴드 리저버)(22)와, 복수의 격벽(23)과, 복수의 캐비티(액실)(2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노즐 플레이트(21)의 표면(저면)은, 복수의 노즐(N)을 형성한 노즐면(21a)으로 되어 있다. 진동판(20) 상에는, 각 노즐(N)에 대응하여 압전 소자(구동 소자)(PZ)가 배치되어 있다. 압전 소자(PZ)는, 예를 들면 피에조 소자로 이루어져 있다.
리저버(22)에는, 재료 공급공(20a)을 통하여 공급되는 광경화형 잉크가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캐비티(24)는, 진동판(20)과, 노즐 플레이트(21)와, 1쌍의 격벽(23)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각 노즐(N)에 대하여 1대 1로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캐비티(24)에는, 한 쌍의 격벽(23)의 사이에 형성된 공급구(24a)를 통하여, 리저버(22)로부터 광경화형 잉크가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 소자(PZ)는, 압전 재료(25)를 한 쌍의 전극(26) 사이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한 쌍의 전극(26)에 구동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압전 재료(25)가 수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압전 소자(PZ)가 배치되어 있는 진동판(20)은, 압전 소자(PZ)와 일체가 되어 동시에 외측(캐비티(24)의 반대측)으로 요곡(flex)하도록 되어 있어, 이에 따라서 캐비티(24)의 용적이 증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캐비티(24) 내에 증대한 용적분에 상당하는 광경화형 잉크가, 리퀴드 리저버(22)로부터 공급구(24a)를 통하여 유입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로부터 압전 소자(PZ)로의 구동 신호의 인가가 정지하면, 압전 소자(PZ)와 진동판(20)은 모두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와, 캐비티(24)도 원래의 용적으로 되돌아온다. 이에 따라, 캐비티(24) 내의 광경화형 잉크의 압력이 상승하여, 노즐(N)로부터 지지체(P)를 향하여 광경화형 잉크의 액적(L)이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액적 토출 헤드(9)는, 그 노즐 플레이트(21)의 저면, 즉 노즐(N)의 형성면(노즐면)(NS)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4)의 저면(4a)보다 하측이 되도록, 당해 저면(4a)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4)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열하는 복수(도면에서는 5개)의 액적 토출 헤드(9)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광조사 수단(12)이 서로 이웃해 배치되어 있다. 즉, 광조사 수단(12)은, Y방향으로 배열된 액적 토출 헤드(9)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광조사 수단(12)은, 광경화형 잉크를 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수의 LED(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광조사 수단(12)은, 광경화형 잉크의 중합을 촉진시키는 파장의 빛을 사출 가능하다면, LED로 한정되는 일 없이, 이 이외에도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LD)나, 나아가서는 수은등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엑시머 램프 등을 광조사 수단(12)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경화형 잉크로서 자외선 경화형의 잉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을 사출하는 각종 광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LED로 이루어지는 광조사 수단(12)은, 조사하는 빛이, 액적 토출 헤드(9)가 토출하는 광경화형 잉크의, 최적 경화 파장을 포함하는 파장 대역을 갖는 빛으로 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광경화형 잉크는, 그 성분(배합) 등에 의해 최적 경화 파장이 상이한 것이 상정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빛을 조사함으로써, 각 광경화형 잉크의 최적 경화 파장을 가진 빛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광조사 수단(12)의 설명도이다. 광조사 수단(12)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판(市販)의 LED를 광원(13a)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 동체(element body) 측면을 장방형이나 정방형 등의 다각형으로 가공한 광원(13b)이 보다 적합하게 이용된다. 즉, 이 광원(13b)은,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횡으로 정렬되고, 직사각형 형상의 큰 하나의 광조사원(광조사 수단(12))으로서 캐리지(4)에 부착되어 이용된다. 그때, 각 광원(13b)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 또는 정방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것을 종횡으로 정렬시켰을 때에 고밀도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형성한 광조사원(광조사 수단(12))은, 그 광량이 충분히 많아져 있다.
또한, 광조사 수단(12)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액적 토출 헤드(9)의 노즐열(NA)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광원(13b)을 배열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광원(13b)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광원(13b) 사이(15)가, 복수의 노즐(N)의,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노즐(N) 사이(16)에 대응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조사 수단(12)은, 노즐(N)로부터 토출된 광경화형 잉크에 대하여, 광원(13b)으로부터의 빛을 확실히 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광원(13b) 사이(15)와 대응하는 위치에 노즐(N)이 있는 경우에, 이 노즐(N)로부터 토출된 잉크에 대하여 광원(13b)으로부터의 빛이 충분히 조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회피되어 있다.
또한, 도 5(c)에서는, 노즐(N)과 광원(13b)이 1:1로 배치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노즐(N)은 광원(13b)에 비해 현격히 작고, 따라서 복수의 노즐에 대하여 1개의 광원(13b)이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광원(13b) 사이(15)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노즐(N) 사이(16)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c)에서는, 노즐열(NA)을 따르는 광원(13b)의 열을 2열 형성하고 있지만, 1열이라도 좋고, 3열 이상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 5(c)에서는 광조사 수단(12)을 단일의 광원군으로서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군에 의해 하나의 광조사 수단(12)을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광원(13b)으로 이루어지는 광조사 수단(12)은, 도 5(b)에 나타낸 광원(13b)의 발광면(14)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지(4)의 저면(4a)과 거의 동일 면이 되도록 캐리지(4)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광조사 수단(12)은 그 발광면이, 대응하는 액적 토출 헤드(9)의 노즐면보다 높은 위치가 되어 있다. 따라서, 액적 토출 헤드(9)에서는, 광조사 수단(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노즐(N)에 조사되고, 노즐(N) 내의 잉크가 경화되어 노즐 막힘을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확실히 방지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4)에는, 광조사 수단(12)의 근방에, 냉각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냉각 수단은,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의 것이나, 펠티어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 등, 공지의 것이 이용된다. 이러한 냉각 수단이 광조사 수단(12)의 근방에 배치됨으로써, LED로 이루어지는 광원(13b(13a))이 자신이나 주변의 열에 의해 열화되고, 수명이 저하된다는 점이 억제되어, 광조사 수단(12)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로 되돌아와, 캐리지(4)를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5)는, 예를 들면 기대 (2)를 걸치는 교량 구조를 한 것으로, Y방향 및 XY평면으로 직교하는 Z방향에 대하여, 볼 나사 또는 리니어 가이드 등의 베어링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하에 이송 장치(5)는, 제어 장치(8)로부터 입력되는, 캐리지(4)의 Y좌표 및 Z좌표를 나타내는 캐리지 위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캐리지(4)를 Y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Z방향으로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8)는, 스테이지 이동 장치(7)에 스테이지 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이송 장치(5)에 캐리지 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액적 토출 헤드(9)의 구동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묘화 데이터 및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8)는, 지지체(P)와 캐리지(4)를 상대 이동시키기 위해, 워크스테이지(6)의 이동에 따른 지지체(P)의 위치 결정 동작 및, 캐리지(4)의 이동에 따른 액적 토출 헤드(9)의 위치 결정 동작의 동기 제어를 행하고, 또한 액적 토출 헤드(9)에 액적 토출 동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지지체(P) 상의 소정의 위치에 광경화형 잉크의 액적을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장치(8)는, 액적 토출 헤드(9)에 액적 토출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과는 별도로, 광조사 수단(12)에 광조사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도 되어 있다.
인쇄 장치(1)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 상기 인쇄 장치(1)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인쇄물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계기의 계기판(미터 문자판)을 인쇄물로서 예시한다.
이 인쇄물(100)에는, 투명 투광부(103)와, 착색 투광부(104, 105)와, 차광부(106), 개구부(111)를 갖는 의장이 구성되어 있다.
투명 투광부(103)는, 빛을 투과하는 투명의 부위이며, 눈금이나 문자를 구성하고 있다. 착색 투광부(104)는, 예를 들면, 빛을 투과하는 청색의 부위이며, 방향 지시기의 지시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착색 투광부(105)는, 예를 들면, 빛을 투과하는 황색 부위이며, 시프트 포지션을 나타내는 표시부이다. 차광부(106)는, 빛을 투과하지 않는 흑색의 부위이며, 눈금이나 문자의 배경부이다. 개구부(111)는, 인쇄물(100)을 관통해 형성되어 있으며, 미터 지시침을 지지하여 회전하는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삽입관통되는 개소이다.
계기판(100)은, 도 7의 확대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성의 수지 기판(기재)(107)과, 이 수지 기판(107)의 이면(107b)에 형성된 착색 투광부(104, 105) 및 차광부(106)의 색에 대응한 화상층(인쇄층)(109)과, 완충층(108)을 갖고 있다.
수지 기판(107)은, 폴리카보네이트나 PET 등의 투명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지 기판(107)의 표면측에는, 용도에 따라서, 외광에 의해 발생하는 눈부심을 줄이기 위한 눈부심 방지층이 형성된다.
완충층(108)은, 개구부(111)의 형성 예정 위치(개구부 형성 영역) 및 그 주위에 있어서의 수지 기판(107)의 이면(107b)에 투명색 광경화형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연필 경도 H 미만, 보다 상세하게는 연필 경도 B∼2B 정도로 성막된다. 또한, 완충층(108)은, 측면이 성막시의 상면(도 7에서는 하면)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화상층(109)은, 착색 투광부(104)의 위치에 청색의 광경화형 잉크를 도포하여 성막된 청색부(109B), 착색 투광부(105)의 위치에 황색 광경화형 잉크를 도포하여 성막된 황색부(109Y), 착색 투광부(104, 105) 및 투명 투광부(103) 이외의 영역인 차광부(106)의 위치에 흑색의 광경화형 잉크를 도포하여 성막된 흑색부(109K)를 갖고 있다. 흑색부(109K)는, 개구부 형성 영역에 있어서, 완충층(108)의 수지 기판(107)과는 반대측에 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투명 투광부(103)는, 흑색부(109K)가 성막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 개구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청색부(109B), 황색부(109Y), 흑색부(109K)는, 각 색의 광경화형 잉크를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연필 경도 H 이상, 보다 상세하게는 연필 경도 2H∼H 정도로 성막된다.
개구부(111)는, 상기 인쇄 장치(1)에 의한 인쇄 처리 후에, 도시하지 않는 펀칭 장치에 의해, 수지 기판(107), 완충층(108), 화상층(109)(흑색부(109K))을 관통하도록 펀칭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어서, 상기 인쇄 장치(1) 및 펀칭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물(100)을 제조하는 순서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8)는, 수지 기판(107)의 이면(107b) 상에, 전술한 인쇄 장치(1)의 액적 토출 헤드(9)를 이용하여 투명색 광경화형 잉크를 개구부(111)의 형성 예정 위치 및 그 주위에 토출·도포함과 함께, 광조사 수단(12)으로부터, 예를 들면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완충층(108)을 성막한다.
이때, 제어 장치(8)는, 화상층(109)의 인쇄 패턴의 위치 정보 및 개구부(111)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완충층(108)을 형성하는 위치를 설정하고, 액적 토출 헤드(9)로부터 광경화형 잉크를 토출시킨다.
다음으로, 성막된 완충층(108) 상에, 전술한 인쇄 장치(1)를 이용하여, 흑색, 청색, 황색 광경화형 잉크의 소정 위치로의 도포·광조사를 순차 행함으로써,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층(109)을 성막한다(도 8에서는 흑색부(109K)만 도시). 이때, 예를 들면, 황색, 흑색의 순서로 토출·경화시키면, 옅은 색의 잉크 방울에 대하여 짙은 색의 잉크 방울이 스며들고, 스며든 짙은 색이 눈에 띄는 점에서 경계 윤곽이 선명하지 않게 되지만, 반대로 짙은 색 잉크부터 먼저 토출·경화시키면, 눈에 띄는 색에 의해 미리 경계 윤곽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경계 윤곽을 선명히 형성할 수 있어,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 기판(107) 상에 완충층(108) 및 화상층(109)을 성막하면, 프레스 장치 등의 펀칭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111) 형성 영역과 대향하는 위치가 되도록 펀칭 다이(M)를 세트한 후에(도 8(b) 참조),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층(109)측으로부터 수지 기판(107)측으로 펀칭 다이(M)를 이동(하강)시켜 화상층(109)(흑색부(109K)), 완충층(108), 수지 기판(107)을 순차 펀칭하여 개구부(111)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펀칭시에 펀칭 다이(M)와의 접촉에 수반하여 화상층(109)(흑색부(109K))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는, 화상층(109)의 이면측에 형성된 완충층(108)이 변형되어 부담하게 되어, 화상층(109)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된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인쇄물 제조 장치 그리고 인쇄물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와의 차이는, 인쇄물의 구조 및 인쇄물의 제조 방법뿐으로 그 이외는 공통이기 때문에, 공통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만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달리하고 있다.
계기판(100)은, 도 9의 확대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성의 수지 기판(기재)(107)과, 이 수지 기판(107)의 이면(107b)에 형성된 투명색 완충층(108)과, 완충층(108)의 수지 기판(107)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착색 투광부(104, 105) 및 차광부(106)의 색에 대응하는 화상층(인쇄층)(109)을 갖고 있다.
수지 기판(107)은, 폴리카보네이트나 PET 등의 투명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지 기판(107)의 표면측에는, 용도에 따라서, 외광에 의해 발생하는 눈부심을 줄이기 위한 눈부심 방지층이 형성된다.
완충층(108)은, 수지 기판(107)의 이면(107b)의 전면(全面)에, 투명색의 광경화형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연필 경도 H 미만, 보다 상세하게는 연필 경도 B∼2B 정도로 성막된다.
화상층(109)은, 착색 투광부(104)의 위치에 청색의 광경화형 잉크를 도포하여 성막된 청색부(109B), 착색 투광부(105)의 위치에 황색 광경화형 잉크를 도포하여 성막된 황색부(109Y), 착색 투광부(104, 105) 및 투명 투광부(103) 이외의 영역인 차광부(106)의 위치에 흑색의 광경화형 잉크를 도포하여 성막된 흑색부(109K)를 갖고 있다. 투명 투광부(103)는, 흑색부(109K)가 성막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 개구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청색부(109B), 황색부(109Y), 흑색부(109K)는, 각 색의 광경화형 잉크를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연필 경도 H 이상, 보다 상세하게는 연필 경도 2H∼H 정도로 성막된다.
개구부(111)는, 상기 인쇄 장치(1)에 의한 인쇄 처리 후에, 도시하지 않는 펀칭 장치에 의해, 수지 기판(107), 완충층(108), 화상층(109)을 관통하도록 펀칭 형성된 것이다.
이어서, 상기 인쇄 장치(1) 및 펀칭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물(100)을 제조하는 순서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기판(107)의 이면(107b) 상에, 전술한 인쇄 장치(1)를 이용하여 투명색의 광경화형 잉크를 전면적으로 토출·도포함과 함께, 광조사 수단(12)으로부터, 예를 들면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완충층(108)을 성막한다.
다음으로, 성막된 완충층(108) 상에, 전술한 인쇄 장치(1)를 이용하여, 흑색, 청색, 황색의 광경화형 잉크의 소정 위치로의 도포·광조사를 순차 행함으로써,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층(109)을 성막한다. 이때, 예를 들면, 황색, 흑색의 순서로 토출·경화시키면, 옅은 색 잉크 방울에 대하여 짙은 색의 잉크 방울이 스며들고, 스며든 짙은 색이 눈에 띄는 점에서 경계 윤곽이 선명하지 않게 되지만, 반대로 짙은 색의 잉크부터 먼저 토출·경화시키면, 눈에 띄는 색에 의해 미리 경계 윤곽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경계 윤곽을 선명히 형성할 수 있어,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 기판(107) 상에 완충층(108) 및 화상층(109)을 성막하면, 프레스 장치등의 펀칭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111) 형성 영역과 대향하는 위치가 되도록 펀칭 다이(M)를 세트한 후에(도 10(b) 참조),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층(109)측으로부터 수지 기판(107)측에 펀칭 다이(M)를 이동(하강)시켜 화상층(109), 완충층(108), 수지 기판(107)을 순차 펀칭하여 개구부(111)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펀칭시에 펀칭 다이(M)와의 접촉에 수반하여 화상층(109)에 가해지는 충격의 일부는, 화상층(109)의 이면측에 형성된 완충층(108)이 변형되어 부담함으로써, 화상층(109)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의 조건으로 실시했다.
화상층(109)을 50㎛의 두께로 성막하고, 완충층(108)을 각각 4㎛, 8㎛, 10㎛, 13㎛, 18㎛의 두께로 성막한 인쇄물(100)에 대해서 개구부(111)를 형성한 결과, 완충층(108)을 10㎛, 13㎛, 18㎛의 두께로 성막한 인쇄물(100)에 대해서는 화상층(109)에 깨짐(splintering)이나 갈라짐(cracking)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완충층(108)을 4㎛, 8㎛의 두께로 한 인쇄물(100)의 화상층(109)에 대해서는, 펀칭 개구부(111)의 주변에 깨짐이나 갈라짐이 발생했다.
그 때문에, 완충층(108)의 두께는, 화상층(109)의 두께에 대하여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펀칭 가공시에 화상층(109)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층(108)이 부담하여, 화상층(109)으로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때문에, 개구부(111)를 형성하는 경우라도, 광누출이나 화상층(109)에 균열 등의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층(108)을 화상층(109)보다도 작은 경도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완충층(108) 및 화상층(109)에 동일 정도의 충격·부하가 가해진 경우라도, 완충층(108)의 쪽이 화상층(109)보다도 크게 변형됨으로써, 화상층(109)에 가해지는 충격·부하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층(108)이 개구부 형성 예정 위치 및 그 주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층(108)을 형성할 때의 재료비를 낮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완충층(108)의 성막에 필요로 하는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층(109)의 인쇄 패턴에 관한 정보 및 개구부(111)의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8)가 완충층(108)을 형성하는 위치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완충층(108)의 형성 위치 등의 정보를 별도 입력할 필요가 없어져, 완충층(108)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작업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층(108) 및 화상층(109)의 쌍방을 액적 토출 방식으로 성막하기 때문에, 최저한의 재료로 효율적으로 완충층(108) 및 화상층(109)을 성막할 수 있음과 함께, 동일한 인쇄 장치(1)를 이용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층(108)이 수지 기판(107)에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계 변경 등에 의해 개구부(111)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라도, 변경 후의 위치에 있어서 화상층(109)에 가해지는 충격·부하를 효과적으로 경감시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전술한 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제(諸)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를 이용한 액적 토출 방식으로 완충층(108)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완충층(108)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를 이용한 액적 토출 방식으로 완충층(108)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스핀 코팅법이나 딥법, 인쇄법 등에 의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층(108)을 화상층(109)에 대하여 펀칭시의 가공 개시측과는 반대측에 접하여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완충층(108)을 화상층(109)에 대하여 펀칭시의 가공 개시측에 접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펀칭 다이(M)가 화상층(109)에 이르기 전에 완충층(108)이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부담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층(109)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1 : 인쇄 장치(인쇄물 제조 장치) 
8 : 제어 장치
9 : 액적 토출 헤드(성막 장치) 
107 : 수지 기판(기재) 
108 : 완충층 
109 : 화상층(인쇄층) 
111 : 개구부

Claims (18)

  1. 기재에 소정 패턴으로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개구부 형성 영역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을, 상기 개구부 형성 영역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을 관통하여,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의 각각에 동축(同軸)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층을, 상기 인쇄층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의 가공 개시측과는 반대측에 접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을 상기 인쇄층보다도 작은 경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을 연필 경도 H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완충층을 연필 경도 H 미만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의 측면을 상면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인쇄 패턴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개구부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완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을 액적 토출 방식으로 성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
  8. 기재에 소정 패턴으로 인쇄층을 형성하는 성막 장치를 갖고,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개구부 형성 영역에 형성되는 인쇄물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을, 상기 성막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개구부 형성 영역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형성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을 관통하여,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의 각각에 동축(同軸)으로 형성하고,
    상기 완충층을, 상기 인쇄층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의 가공 개시측과는 반대측에 접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완충층을 상기 인쇄층보다도 작은 경도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인쇄층을 연필 경도 H 이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완충층을 연필 경도 H 미만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장치.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완충층의 측면을 상면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장치.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인쇄층의 인쇄 패턴에 관한 정보와, 상기 개구부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완충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을 액적 토출 방식으로 성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장치.
  15. 기재에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인쇄물로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이 상기 개구부 형성 영역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을 관통하여,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의 각각에 동축(同軸)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층은, 상기 인쇄층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의 가공 개시측과는 반대측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인쇄물.
  16. 기재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을 전면적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을 관통하여,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의 각각에 동축(同軸)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층을, 상기 인쇄층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의 가공 개시측과는 반대측에 접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방법.
  17. 기재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성막 장치를 갖고,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인쇄물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을, 상기 성막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전면적으로 형성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을 관통하여,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의 각각에 동축(同軸)으로 형성하고,
    상기 완충층을, 상기 인쇄층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의 가공 개시측과는 반대측에 접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제조 장치.
  18. 기재에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 및 상기 인쇄층을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인쇄물로서,
    상기 인쇄층에 접하여, 상기 개구부가 형성될 때에 상기 인쇄층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층이 전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을 관통하여, 상기 기재,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완충층의 각각에 동축(同軸)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층은, 상기 인쇄층에 대하여, 상기 개구부를 형성할 때의 가공 개시측과는 반대측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물.
KR1020110126404A 2010-12-02 2011-11-30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인쇄물 제조 장치 그리고 인쇄물 KR101900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9678 2010-12-02
JPJP-P-2010-269679 2010-12-02
JP2010269679A JP5803094B2 (ja) 2010-12-02 2010-12-02 印刷物及び印刷装置並びに印刷物製造方法
JP2010269678A JP5716368B2 (ja) 2010-12-02 2010-12-02 印刷物及び印刷装置並びに印刷物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748A KR20120060748A (ko) 2012-06-12
KR101900289B1 true KR101900289B1 (ko) 2018-09-19

Family

ID=4616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404A KR101900289B1 (ko) 2010-12-02 2011-11-30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인쇄물 제조 장치 그리고 인쇄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39093B2 (ko)
KR (1) KR101900289B1 (ko)
CN (1) CN1025555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0240B2 (ja) 2014-07-25 2018-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DE102016015481A1 (de) * 2016-12-23 2018-06-28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Dekorelement, Modul und Kraftfahrzeug-Zierbautei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043A (ja) * 2007-10-16 2009-05-07 Denso Corp 表示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010002A1 (it) * 2001-01-11 2002-07-11 Silvano Bacciottini Macchina perfezionata per la cordonatura perforazione o taglio circolare di carta e simili
JPS5916779A (ja) * 1982-07-20 1984-01-27 Jeol Ltd カラ−印字又は印刷方式及び装置
JPH03266695A (ja) 1990-03-16 1991-11-2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貴金属カード
JPH04290787A (ja) * 1991-03-19 1992-10-15 Hitachi Maxell Ltd 放電破壊記録体
US5264172A (en) * 1991-11-08 1993-11-23 Kaumagraph Flint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molded applique product
JPH0822586B2 (ja) * 1992-08-27 1996-03-06 理研ビニル工業株式会社 塗装感を有する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34924Y (zh) * 1992-09-29 1993-06-02 毛志亮 书写复合印膜
JPH08207194A (ja) * 1995-02-01 1996-08-13 Ykk Kk 蓄光体
EP0816123B1 (en) * 1996-06-27 2009-02-18 Daiwa Seiko Inc. Member for fishing or sport tool
EP0836155A3 (en) * 1996-10-09 1999-03-3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7150906B2 (en) * 2001-06-13 2006-12-19 Denso Corporatio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086438A (ja) * 2002-08-26 2004-03-18 Brother Ind Ltd 成形部品、操作パネル、電子機器および成形部品の製造方法
EP1607418B1 (en) * 2003-03-20 2008-07-09 Tokuyama Corporation Polymerization curable composition
JP4127239B2 (ja) 2004-05-11 2008-07-30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板の製造方法
JP4827450B2 (ja) 2005-07-15 2011-1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30464A (ja) 2005-07-29 2007-02-08 Fujifilm Holdings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7118450A (ja) 2005-10-28 2007-05-17 Fujifilm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GB0523163D0 (en) * 2005-11-14 2005-12-21 Suisse Electronique Microtech Patterning of conductive layers with underlying compressible spacer layer or spacer layer stack
JP5028862B2 (ja) 2006-05-24 2012-09-19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903529B2 (ja) 2006-10-25 2012-03-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0588555C (zh) * 2006-11-28 2010-02-10 比亚迪精密制造有限公司 模内标签注塑片材的套色印刷工艺
JP4934473B2 (ja) 2007-02-01 2012-05-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080184930A1 (en) 2007-02-01 2008-08-07 Koji Furukawa Ink-jet recording device
JP2008213449A (ja) 2007-02-06 2008-09-18 Fujifilm Corp 下塗り液、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966710B2 (ja) 2007-02-08 2012-07-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8142866B2 (en) 2007-08-29 2012-03-27 Denso Corporation Display pane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position of ink us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265165B2 (ja) 2007-09-28 2013-08-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0076028A (ja) * 2008-09-25 2010-04-08 Fujifilm Corp 積層フィルム
EP2392816B1 (en) * 2010-06-03 2013-10-09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à.r.l. Stress Relief in Pressurized Fluid Flow System
CN103874668A (zh) * 2011-08-23 2014-06-18 Hoya株式会社 强化玻璃基板的制造方法和强化玻璃基板
US8557632B1 (en) * 2012-04-09 2013-10-15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fabric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KR20140124940A (ko) * 2013-04-16 2014-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너기판, 도너기판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발광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043A (ja) * 2007-10-16 2009-05-07 Denso Corp 表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42509A1 (en) 2012-06-07
US9139093B2 (en) 2015-09-22
KR20120060748A (ko) 2012-06-12
CN102555508B (zh) 2015-07-29
CN102555508A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588B2 (en) Drawing device
US20200130255A1 (en) Method for modeling three-dimensional object
US10293554B2 (en) Three-dimensional object form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object forming method
US8002388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16043618A (ja) 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方法
US11260593B2 (en) Shaping device and shaping method
JP2018024156A (ja) 三次元造形装置
KR101900289B1 (ko) 인쇄물 제조 방법 및 인쇄물 제조 장치 그리고 인쇄물
JP5929102B2 (ja)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5796293B2 (ja) 印刷方法、印刷装置及び成形印刷物製造方法並びに成形印刷物製造装置
JP2015517420A (ja) チップを基板に接合するための方法
JP5716368B2 (ja) 印刷物及び印刷装置並びに印刷物製造方法
JP5760445B2 (ja) 印刷方法、印刷装置及び成形印刷物製造方法並びに成形印刷物製造装置
JP5803094B2 (ja) 印刷物及び印刷装置並びに印刷物製造方法
JP201211113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181765A (ja)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液滴吐出装置
JP2013094742A (ja) 描画方法
JP2012206421A (ja) 描画装置、描画方法
JP2012101145A (ja) 液滴吐出装置、液滴吐出方法及び成形印刷物製造装置並びに成形印刷物製造方法
JP2012161920A (ja) 記録方法
JP5842595B2 (ja) 描画方法
JP5397089B2 (ja) 画像記録方法および描画装置
JP2012143920A (ja) 検出方法
JP2012206422A (ja) 描画装置、描画方法
JP2012055793A (ja) 液滴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