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589B1 - Hub apparatus for network, Sub apparatus for motion and Comunication robo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ub apparatus for network, Sub apparatus for motion and Comunication robo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589B1
KR101898589B1 KR1020170000471A KR20170000471A KR101898589B1 KR 101898589 B1 KR101898589 B1 KR 101898589B1 KR 1020170000471 A KR1020170000471 A KR 1020170000471A KR 20170000471 A KR20170000471 A KR 20170000471A KR 101898589 B1 KR101898589 B1 KR 10189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hub device
hub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9828A (en
Inventor
홍을표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589B1/en
Publication of KR2018007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5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허브 기기는,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소정의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 서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서브 기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로봇은, 상기 허브 기기와, 상기 소정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가진 서브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 기기는, 상기 허브 기기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A hu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ub-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a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sub-device.
The communication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device having the hub device and a drive section for providing power for the predetermined operation.
A sub-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connectable to the hub device.

Description

네트워크용 허브 기기, 동작용 서브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로봇{Hub apparatus for network, Sub apparatus for motion and Comunication robot using the same}[0001] HUB DEVICE FOR NETWORK [0002]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3]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커뮤니케이션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robot for informing a user of information.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물 들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Internet of Things (IoT) is an intelligent technology and service that connects objects based on the Internet and communicates information between people, things, things and things.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주변 상황(사물 또는 환경)을 감지하여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시키는 '네트워크 기술',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등이 있다.The technologies for implementing the Internet of things include 'sensing technology' for sensing information by sensing the surroundings (object or environment), 'network technology' for connecting objects to the Internet, and 'service interface technology' for processing information .

이렇게 다양화된 네트워크 환경에 부응하여, 기기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기기들과 공유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보다 적극적으로 소통이 가능한 허브 기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In response to this diversified network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ub device that can manage devices integrally and communicate more actively with users based on information shared with devices.

사물과 사물 간의 상호 정보 소통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 들이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Mutual information communication between objects and objects means that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out any human intervention.

한편, 사람과 사물 간의 상호 정보 소통은, 사물이 인간에게 정보를 주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람이 감지할 수 있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수단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사람과 상호 정보 소통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mutual information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objects requires means by which objects give information to human beings. To this end, visual or auditory means that can be perceived by humans are utilized. In addition, communication robots capable of mutual information communication with people are being developed.

사람과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제스쳐(gesture) 또는 아이 컨택트(eye contact)의 역할이 크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사람과 사물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는 커뮤니케이션 로봇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사용자에게 능동적으로 출력 방향을 향하는 동작 및 기타 제스쳐와 같은 동작이 없어, 사용자의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사용자의 주의를 효율적으로 환기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It is a known fact that the role of gesture or eye contact is great in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people. However, in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objects, when a communication robot provides visual or auditory information to a user, there is no action such as an operation to actively direct the output direction to a user and an operation such as a ges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efficiently ventilated. The first problem is solving this problem.

만약 상기 제 1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과 같은 수준의 복잡 다단한 모션들을 커뮤니케이션 로봇에 구현 시킨다면, 이는 지나치게 제작 비용 및 제품 가격이 상승하여 실용화 가능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비용대비 효과가 큰 커뮤니케이션 로봇의 전체 동작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problem, if communication robots are implemented with complicated multi-level motions of the same level as huma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s and product prices are increased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is lowered. The third task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implement the overall operation mechanism of the cost effective communication robot.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허브 기기 또는 커뮤니케이션 로봇의 동작이나 제스쳐를 다양화하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ersify the operation and the gesture of the hub device or the communication robot.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에 따라 소정의 모션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로봇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함에 따라 지루함을 느껴 다른 동작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로봇으로 변경하고 싶은 욕구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 로봇에 기설정해둔 여러가지 세팅을 다시 설정함에 따라 불편을 느낄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 로봇 전체를 교체해야 함에 따라 비용이 크게 드는 문제가 있다. 제 4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It is possible to select a communication robot capable of a predetermined motion according to a taste desired by the user, and feel the desire to change to a communication robot capable of other operations by feeling bored according to use. However, it is inconvenient to re-set various settings previously set in the communication robo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mmunication robots have to be replaced entirely, resulting in a large cost. The fourth task is to solve this problem.

사용자는 여러 장소에서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로봇을 사용하고 싶은 욕구를 느낄 수 있다. 왜냐하면, 여러 장소 마다 서로 다른 커뮤니케이션 로봇이 사용된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세팅 등의 일관성이나 그로인한 친숙함이 사라져, 불편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제 5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Users can feel the desire to use one communication robot in various places. This is because, if different communication robots are used in various places, the consistency of the settings and the familiarity of the users are lost and the users may feel inconvenience. The fifth problem is solving this problem.

본 발명의 제 6과제는 디스플레이의 화상 출력 방향과 커뮤니케이션 로봇의 동작을 관련시켜,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ate the image output direction of the display to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robot, and effectively transmit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본 발명의 제 7과제는, 커뮤니케이션 로봇의 주변 기기를 편리하게 리모트 컨트롤하는 것이다.A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tely control a peripheral device of a communication robot conveniently.

상기 제 1 내지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브 기기는,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소정의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 서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서브 기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to fifth problems, a hub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a sub-devic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an engaging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상기 제 6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허브 기기는, 상기 허브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 감지 센서와,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상 출력 방향을 상기 방향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방향으로 하기위해, 상기 서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sixth problem, the hub device may include a direction sensor for sensing a direction of a user with respect to the hub device, and a display for visually outputt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b-device so that the image output direction of the display is directed to the direc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direction sensor.

상기 제 7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허브 기기는, 소정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광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원거리 제어가 필요한 특정 주변 기기의 방향으로 상기 광 신호 조사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서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seventh problem, the hub device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peripheral devic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b-device so that the optical signal irradiating direction i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a specific peripheral device requiring remote control.

상기 제 4 및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허브 기기의 제어 신호를 상기 서브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서브 연결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ourth and fifth problems, the coupl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sub connec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hub device to the sub device.

상기 제 4 및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허브 기기에 결합 가능한 복수의 서브 기기 중 현재 결합된 서브 기기가 어느 것인지 판단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ourth and fifth problems,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determine which of a plurality of sub-devices which can be coupled to the hub device is currently coupled to the sub-device.

상기 제 4 및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제어 가능한 복수의 구동부 중 현재 결합된 서브 기기가 가진 구동부가 무엇인지 판단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ourth and fifth problems,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determine what the driving unit of the currently coupled sub-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that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상기 제 1 내지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로봇은, 상기 허브 기기와, 상기 소정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가진 서브 기기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to fifth problems, the communication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device having the hub device and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power for the predetermined operation.

상기 제 6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커뮤니케이션 로봇은, 상기 허브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 기기는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상 출력 방향을 상기 방향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방향으로 하기위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sixth problem, the communication robot may include a direction sensor for sensing a direction of a user with respect to the hub device. The hub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to set the image output direction of the display to the direction of the user sensed by the direction sensing sensor.

상기 제 4 및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기기는 상기 결합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ourth and fifth problems, the sub-device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seated.

상기 제 4 및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허브 기기는, 상기 허브 기기의 제어 신호를 상기 서브 기기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구비된 서브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기기는, 상기 서브 연결 단자와 접촉되게 상기 안착부에 구비된 허브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ourth and fifth problems, the hub device may include a sub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oupling unit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of the hub device to the sub device. The sub-device may include a hub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sub connection terminal.

상기 제 4 및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기기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허브 기기는 복수의 서브 기기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ourth and fifth problems, the plurality of sub-devices may be provided, and the hub device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nectable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sub-devices.

상기 제 4 및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기기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ourth and fifth problems, the sub-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er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n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상기 제 4 및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기기의 동작을 감지하는 구동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ourth and fifth problems, a driv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sub-device may be included.

상기 제 1 내지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브 기기는 상기 허브 기기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to fifth problems, a sub-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connectable to the hub device.

상기 제 1 내지 6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기기는, 상기 허브 기기의 대향 방향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to sixth problems, the sub-device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ub device in the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directions.

상기 제 1 내지 6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기기는, 상기 허브 기기의 대향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to sixth problems, the sub-device may include a driver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ub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내지 6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기기는, 상기 서브 기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to sixth problems, the sub-device may include a driver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sub-device.

허브 기기 및 서브 기기가 시각적 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모션을 수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로봇에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은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 로봇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감성적 요소를 더하는 효과가 있다.The hub device and the sub-device output the visual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efficient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the motion, so that the communication robot has the effect of giving a living-like feeling to the communication robot. That is, it has an effect of adding emotional element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he user and the communication robot.

여러가지 모션이 수행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화상 출력 내용을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인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허브 기기(또는 커뮤니케이션 로봇)의 정보 전달 과정에서 사용자의 주의를 강하게 환기 시키고, 사용자에게 정보에 대한 기억을 강하게 각인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 is an effect of efficiently recognizing the image output contents of the display to the user by providing a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motions. Furthermore, the user's attention is strongly voiced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rocess of the hub device (or the communication robot), and the memory of the information can be strongly imprinted to the user.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서브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저 비용으로 선택적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any one of several types of sub-devices at low cost.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서브 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면서도, 사용 환경을 쉽게 일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 environment can be set easily and consistently while the user uses various kinds of sub-devices at the same time.

사용자가 허브 기기만을 제어하더라도, 해당 허브 기기와 연결되는 모든 서브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ven if the user controls only the hub device, all the sub devices connected to the hub device can be controlled.

상기 화상 출력 방향이 사용자를 향한 특정 방향으로 되게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브 기기(또는 커뮤니케이션 로봇)에 대한 집중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 is an effect that concentration of the user's hub device (or communication robot) can be increased by changing the image output direction to a specific direction toward the user.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에 배치된 리모트 컨트롤 모듈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 로봇의 동작에 따라 주변 기기의 방향에 맞추어 리모트 컨트롤 모듈의 광 신호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irection of irradiation of the optical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modul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robot through the remote control module disposed in the display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기기(1)가 복수의 서브 기기(9)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허브 기기(1)의 기능 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서브 기기(9)의 기능 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의 허브 기기(1)와 서브 기기(9-1)가 결합 가능하게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허브 기기(1)와 서브 기기(9-2)가 결합 가능하게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허브 기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허브 기기(1)와 서브 기기(9-1)가 결합된 커뮤니케이션 로봇을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1)의 모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허브 기기(1)와 서브 기기(9-2)가 결합된 커뮤니케이션 로봇을 좌측에서 바라본 입면도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1)의 모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후/좌/우/상/하”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6, 도 7, 도 9 및 도 10에 표시된 전(F), 후(R), 좌(Le), 우(Ri), 상(U) 및 하(D)의 도시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 illustrates a network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a hub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ively associated with any one of a plurality of sub-devices 9.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hub device 1 of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of the sub-device 9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hub device 1 and the sub-device 9-1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hub device 1 and the sub device 9-2 of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ub device 1 of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communication robot having the hub device 1 and the sub device 9-1 shown in FIG. 3, and shows the motion of the sub device 9-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is a top view of the communication robot with the hub device 1 and the sub device 9-2 shown in Fig. 3 as viewed from the left side, and shows the motion of the sub device 9-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Expression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 front / rear / left / right / upper / lower " referred to hereinafter are referred to as front (F), rear (R), left Le, Ri, Phase U and D, but this is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y may be defined differently.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의 용어 중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는,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 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The term "first, second, third, or the like" preceding the term of the components mentioned below is intended only to avoid confusion of the referred component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order, It is irrelevant to the mainstream relationship. For example, an invention including only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the first component is also feasible.

이하에서 언급하는 '원주 방향'이란 스핀 회전축(Os)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의미하고, '원심 방향'이란 스핀 회전축(Oa1, Oa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원심 반대 방향'이란 스핀 회전축(Oa1, Oa2)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Refers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spin rotation axis Os and the term " centrifugal direction " refers to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pin rotation axes Oa1 and Oa2, and " Means a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rotation axes Oa1 and Oa2.

이하, 소정의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Hereinafter, the predetermined network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home network as an exampl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액세서리(accessary, 2, 3a, 3b), 게이트웨이(gateway, 4), 공유기(Access Point, 7) 및 허브 기기(hub robot, 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추가로 서버(8) 및 단말기(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ssory 2, 3a, 3b, a gateway 4, A router (Access Point) 7 and a hub robot (1). In addition, the home network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8 and a terminal 6.

상기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직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구축될 수 있다. 액세서리(2, 3a, 3b), 게이트웨이(4), 공유기(7) 및 허브 기기(1)는 정해진 통신규약(protocol)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network may be constructed based on technologies such as Wi-Fi, Ethernet, zigbee, z-wave, bluetooth, and the like. The accessory 2, 3a, and 3b, the gateway 4, the router 7, and the hub device 1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able to the networ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2, 3a, 3b, 4, 7, 1)에 구비된 통신 모듈이 정해진다. 장치와 네트워크, 또는 장치 상호간의 통신 방식에 따라 장치에 다수개의 통신 모듈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a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each of the devices (2, 3a, 3b, 4, 7, 1)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is determine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apparatus to hav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apparatus and the network or between the apparatuses.

액세서리(2, 3a, 3b)는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The accessory 2, 3a, 3b compris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on with the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s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액세서리(2,3a,3b)는 소정의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3a,3b)는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기능을 발휘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2,3a,3b)는 소정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광 신호(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cessory (2,3a, 3b) may comprise a sensor module for sensing a predetermined circumstance. The accessory (2,3a, 3b)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that affect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accessory (2,3a, 3b)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module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for example, an infrared signal)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peripheral device.

센서 모듈을 구비한 액세서리(2,3a,3b)는, 기압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공기질 센서, 전자 코 센서,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수면 센서(예를 들어 사용자의 잠옷이나 속옷에 부착하고 사용자가 잠을 자는 동안 코콜이, 무호흡, 뒤척임 등을 감지), 근접센서, 조도센서, 가속도센서, 자기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스코프센서, 모션센서, RGB센서, 적외선센서(IR 센서 : infrared sensor), 초음파센서, 원격감지센서, SAR, 레이더, 광센서(예를 들어, 영상센서, 이미지센서) 등을 구비한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The accessory (2,3a, 3b) with the sensor module can be used as an air sensor, a humidit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radiation sensor, a heat sensor, a gas sensor, an air quality sensor, , A sleep sensor (eg, attached to a user's pajamas or underwear and sensing cocolei, apnea, and cockpit while the user is sleeping), proximity sensor, illuminance sensor, acceleration sensor, magnetic sensor, gravity sensor, gyroscope sensor, An imag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remote sensing sensor, an SAR, a radar, an optical sensor (for example, an image sensor, an image sensor) .

제어모듈을 구비한 액세서리(2,3a,3b)는, 조명을 제어하는 스마트 라이팅, 전원의 인가 및 정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플러그, 보일러 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여부 및 강도 등을 조절하는 스마트 온도 조절기, 가스의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가스락 등을 예로 들 수 있다.The accessory (2, 3a, 3b) with the control module is provided with smart lighting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 smart plug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and the degree of the power supply, a smart temperature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intensity of the boiler or the air conditioner , And a smart gas lock that controls whether or not the gas is shut off.

리모트 콘트롤 모듈을 구비한 액세서리(2,3a,3b)는, 원격 제어 가능한 가전기기 등에 적외선(IR) 신호를 발신하는 적외선 LED 등을 구비한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The accessories (2,3a, 3b) having a remote control module include an infrared LED or the like that emits an infrared (IR) signal to a remote controllable home appliance or the like.

액세서리(예를 들어, 3a,3b)는 소정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정하여진 용도만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3a)는 영상 카메라이고, 액세서리(3b)는 스마트 플러그이다.The accessories (for example, 3a and 3b) can be installed only for the purpose set to perform a predetermined performance. For example, the accessory 3a is a video camera and the accessory 3b is a smart plu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2)는 가전기기, 도어, 창문 또는 벽체 등 외부의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The accessory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Further, it can be provided so as to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he accessory 2 may be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such as a household appliance, a door, a window or a wall.

게이트웨이(4)는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2, 3b)와 공유기(7) 간의 통신을 매개한다. 게이트웨이(4)는 무선으로 액세서리(2)와 통신한다. 게이트웨이(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공유기(7)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4)와 공유기(7) 간의 통신은 이더넷(Ethernet) 또는 와이파이(wi-fi)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The gateway 4 media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one or more accessory 2, 3b and the router 7. The gateway 4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accessory 2. The gateway 4 communicates with the router 7 by wire or wirelessl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gateway 4 and the router 7 may be based on Ethernet or wi-fi.

공유기(7)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8)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8)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 인터넷에 접속된 각종 단말기(6)로 서버(8)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기(6)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예로 들 수 있다.The router 7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8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rver 8 is connectable via the Internet.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8 through various terminals 6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terminal 6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C (personal computer) or a smart phone.

액세서리(2, 3b)는 게이트웨이(4)와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액세서리(3a)는 게이트웨이(4)를 거치지 않고 공유기(7)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accessory 2, 3b may be provided for communicating with the gateway 4. As another example, the accessory 3a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router 7 without going through the gateway 4.

공유기(7)는 게이트웨이(4)를 거치지 않고 상기 액세서리(3a) 또는 통신 모듈을 탑재한 기타 기기(5)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기들(5, 3a)은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게이트웨이(4)를 경유하지 않고도 공유기(7)와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The router 7 may be provided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accessory 3a or other device 5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without going through the gateway 4. [ These devices 5 and 3a are preferably equipped with a Wi-Fi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router 7 without passing through the gateway 4.

허브 기기(1)는 공유기(7)와 유선(예를 들어, 이더넷) 또는 무선(예를 들어, wi-fi)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4) 및 공유기(7)를 매개로 허브 기기(1)와 액세서리(2, 3b) 상호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예로 공유기(7)를 매개로 허브 기기(1)와 액세서리(3a) 또는 기타 기기(5) 상호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hub device 1 may be connected to the router 7 via a wired (e.g., Ethernet) or wireless (e.g., wi-fi)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hub device 1 and the accessory 2 or 3b can be performed via the gateway 4 and the router 7 and the hub device 1 and the accessory 3a ) Or other devices (5) can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액세서리(2, 3b)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게이트웨이(4)와 공유기(7)를 차례로 경유하여 허브 기기(1)로 전송될 수 있고, 허브 기기(1)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공유기(7)와 게이트웨이(4)를 차례로 경유하여 액세서리(2, 3b)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액세서리(3a) 또는 기타 기기(5)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공유기(7)를 경유하여 허브 기기(1)로 전송될 수 있고, 허브 기기(1)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공유기(7)를 경유하여 액세서리(3a) 또는 기타 기기(5)로 전송될 수 있다.Specificall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ccessory 2, 3b can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1 via the gateway 4 and the router 7 in turn,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ub device 1 can be transmitted to the router 7 and the gateway 4 in that order to the accessory 2, 3b.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ccessory 3a or other device 5 can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1 via the router 7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ub device 1 can be transmitted to the router 7, To the accessory (3a) or other device (5).

예를 들어, 액세서리(2, 3a, 3b)의 센서 모듈에 의해 획득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8), 단말기(6) 또는 허브 기기(1)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버(8), 허브 기기(1) 또는 단말기(6)로부터 상기 센서 모듈, 제어모듈, 또는 리모트 콘트롤 모듈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액세서리(2)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신호의 전송은 게이트웨이(4) 및/또는 공유기(7)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or module of the accessory 2, 3a, 3b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8, the terminal 6, or the hub device 1 via the network. It is also possible tha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nsor module, the control module or the remote control module from the server 8, the hub device 1 or the terminal 6 is transmitted to the accessory 2. The transmission of such a signal is made via the gateway 4 and / or the router 7.

액세서리(2, 3a, 3b)와 허브 기기(1) 간의 통신은, 게이트웨이(4)와 공유기(7)만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가 인터넷 등의 외부 통신망과 단절된 경우에도 액세서리(2, 3a, 3b)와 허브 기기(1)간의 통신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ccessory 2, 3a, 3b and the hub device 1 is possible only with the gateway 4 and the router 7. For example, even when the home network is disconnected from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accessory 2, 3a, 3b and the hub device 1 is possible.

허브 기기(1)가 공유기(7)를 통해 서버(8)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허브 기기(1)나 액세서리(2)로부터 송신된 정보가 서버(8)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8)에 저장된 정보들은 서버(8)와 접속된 단말기(6)가 수신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ub device 1 or the accessory 2 can be stored in the server 8 when the hub device 1 is connected to the server 8 via the router 7. [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8 can be received by the terminal 6 connected to the server 8.

또한, 단말기(6)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서버(8)를 경유하여 허브 기기(1)나 액세서리(2)로 전송될 수 있다.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단말기인 스마트폰(smart phone)은 그래픽 기반의 편리한 UI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UI를 통해 허브 기기(1) 및/또는 액세서리(2)를 제어하거나, 허브 기기(1) 및/또는 액세서리(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업데이트함으로써, 허브 기기(1) 및/또는 액세서리(2)를 통해 구현 가능한 기능을 확장할 수도 있다.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6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1 or the accessory 2 via the server 8. [ A smart phone, which is a widely used terminal, provides a convenient UI based on a graphi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ub device 1 and / or the accessory 2 through the UI, And / or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ccessory 2 can be processed and displayed. Further, by upda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phone,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hub device 1 and / or the accessory 2 can be extend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버(8)와 무관하게 단말기(6)와 허브 기기(1)이 직접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허브 기기(1)와 단말기(6)가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erminal 6 and the hub device 1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server 8. For example, the hub device 1 and the terminal 6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Blue-Tooth method.

한편, 단말기(6)를 활용하지 않고도, 허브 기기(1) 만으로도 액세서리(2)를 제어하거나 액세서리(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accessory 2 or display and pro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ccessory 2 by using only the hub device 1 without using the terminal 6. [

허브 기기(1)는 허브 기기(1)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50)를 포함한다. 입력부(50)는, 액세서리(2)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입력부(50)는, 스위치(51) 또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0)는 마이크(53)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기기(1)에 마이크(53)가 구비된 경우, 허브 기기(1)의 제어부(20)는 마이크(5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The hub device 1 includes an input 50 for receiv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hub device 1. [ The input unit 50 may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accessory 2. [ The input unit 50 may include a switch 51 or a touch-type display. The input unit 50 may include a microphone 53. When the microphone 53 is provided in the hub device 1, the control unit 20 of the hub device 1 can recognize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53 and extract the instruc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시, 게이트웨이(4)가 구비되지 않으며, 게이트웨이(4)가 수행하던 기능을 허브 기기(1)가 겸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그 이외의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in that the gateway 4 is not provided and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gateway 4 is the hub device 1, And the other feature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3을 참고하여, 허브 기기(1)와 서브 기기(9)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허브 기기(1)와 서브 기기(9)가 서로 결합된 조립체를 커뮤니케이션 로봇(1, 9)으로 정의한다.Referring to FIG.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b device 1 and the sub-device 9 will be described below. An assembly in which the hub device 1 and the sub-device 9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defined as communication robots 1 and 9.

허브 기기(1)는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31)을 포함한다.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허브 기기(1)의 제어부(20)는 허브 기기(1)를 제어한다. 허브 기기(1)의 제어부(20)는 서브 기기(9)를 제어할 수 있다.The hub device 1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31 for communicating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The hub device 1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sub-device 9. The hub device (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b-device (9). The control unit 20 of the hub device 1 controls the hub device 1. [ The control unit 20 of the hub device 1 can control the sub-device 9.

서브 기기(9)는 허브 기기(1)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서브 기기(9)는 허브 기기(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기기(9)는 소정의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서브 기기(9)는 상기 소정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60)를 포함한다.The sub-device (9)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hub device (1). The sub-device (9)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ub device (1). The sub-device 9 is provided so as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sub-device 9 includes a drive unit 60 that provides power for the predetermined operation.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를 제어하게 구비된다.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의 동작을 제어하게 구비된다.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의 구동부(60)를 제어한다.The hub device 1 is provided to control the sub-device 9. The hub device (1)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b-device (9). The hub device (1) controls the driving unit (60) of the sub-device (9).

서브 기기(9)에 결합된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의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기기(9-1, 9-2)의 소정의 회전축(Oa2, Ob2)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소정의 회전축(Oa2, Ob2)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허브 기기(1)는 위치가 변경된다. 다른 예로, 서브 기기(9-3)는 바퀴 등의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서브 기기(9-3)가 이동함에 따라 허브 기기(1)의 위치가 변경된다.The hub device 1 coupled to the sub-device 9 can be changed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ub-device 9. 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al motion about predetermined rotation axes Oa2 and Ob2 of the sub-devices 9-1 and 9-2, a hub devic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rotation axes Oa2 and Ob2 (1) is changed in position. As another example, the sub-device 9-3 may include a moving means such as a wheel, and the position of the hub device 1 is changed as the sub-device 9-3 moves.

서브 기기(9)에 결합된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의 동작에 따라 대향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기기(9-1)의 소정의 회전축(Oa1, Oa2)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에 따라, 허브 기기(1)의 대향 방향이 변경된다. 다른 예로, 서브 기기(9-2)의 소정의 회전축(Ob1, Ob2, Ob3)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에 따라, 허브 기기(1)의 대향 방향이 변경된다.The hub device 1 coupled to the sub device 9 can be ch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ub device 9. [ For example,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ub device 1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tion about the predetermined rotation axis Oa1, Oa2 of the sub-device 9-1. As another example,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ub device 1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tion about the predetermined rotation axis Ob1, Ob2, Ob3 of the sub-device 9-2.

서브 기기(9)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기기(9)는 각각 허브 기기(1)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허브 기기(1)는 복수의 서브 기기(9)에 호환 가능하게 구비된다. 허브 기기(1)는 복수의 서브 기기(9)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A plurality of sub-devices 9 may be provided. A plurality of sub-devices 9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hub device 1, respectively. The hub device 1 is provided to be compatible with a plurality of sub-devices 9. The hub device 1 is provided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able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sub-devices 9.

허브 기기(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1)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기기(9-1)는 제 1스핀 회전축(Oa1) 및 좌우 틸팅 회전축(Oa2)을 중심으로 허브 기기(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 기기(9-1)는 서브 기기(9-1)의 케이스에 부착된 물체를 모션 회전축(Oa3)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도 9참고)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hub device 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b-device 9-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b-device 9-1 can rotate the hub device 1 around the first spin rotation axis Oa1 and the left and right tilting rotation axis Oa2. The sub-device 9-1 can rotate an object attached to the case of the sub-device 9-1 around the motion rotation axis Oa3 (see FIG. 9).

허브 기기(1)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2)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기기(9-2)는 제 2스핀 회전축(Ob1), 틸팅 회전축(Ob2) 및 어퍼 회전축(Ob3)을 중심으로 허브 기기(1)를 회전시킬 수 있다.(도 10참고)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hub device 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b-device 9-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ub-device 9-2 can rotate the hub device 1 about the second spin rotation axis Ob1, the tilting rotation axis Ob2 and the upper rotation axis Ob3 (see FIG. 10). The contents will be described later.

허브 기기(1)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3)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기기(9-3)은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허브 기기(1)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 기기(9-3)는 차량일 수 있고, 허브 기기(1)는 차량의 운전석에서 보이는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hub device 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b-device 9-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ub-device (9-3)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hub device (1) by using the moving means. The sub-device 9-3 may be a vehicle, and the hub device 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position shown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본 설명에서는 3가지 실시예의 서브 기기(9-1, 9-2, 9-3)를 예로 들고 있으나, 허브 기기(1)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 기기(9)는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더욱 많은 종류의 서브 기기(9)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description, the sub-devices 9-1, 9-2, and 9-3 of the three embodiments ar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hub device 1 and the sub-device 9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hereto need not be limited thereto . More sub-devices 9 may be provided.

도 4를 참고하여, 허브 기기(1)의 기능적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4,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hub device 1 will be described below.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제어부(20)는 허브 기기(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서버(8) 또는 단말기(6)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The hub device (1) includes a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function of the sub-device (9). 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at least one function of the hub device 1. [ The control unit 20 may be provided in the server 8 or the terminal 6, and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using a network.

허브 기기(1)은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31)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31)은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직비 모듈, 지웨이브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31)은 직접 통신하고자 하는 장치의 통신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hub device 1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31 for communicating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ule 31 may includ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occupancy module, a geo-wave module,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module 31 may vary depending on what type of communication method of a device to directly communicate.

통신 모듈(31)은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통신 모듈(31)이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한다는 것은, 통신 모듈(31)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공유기(7), 게이트웨이(4), 액세서리(2, 3a, 3b), 서버(8) 및 단말기(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한다는 의미이다.The communication module 31 communicates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31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means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31 is connected to the router 7, the gateway 4, the accessories 2, 3a and 3b, the server 8 and the terminal 6). ≪ / RTI >

통신 모듈(31)을 통해 입력부(5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31)을 통해 서브 기기(9)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브 기기(9)의 구동 감지부(70)로부터 획득된 현재의 동작 상태 정보가, 통신 모듈(31)을 통해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서브 기기(9)의 서브 입력부(85)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put unit 5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 can be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ub-device 9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 can be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Current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rive sensing unit 70 of the sub-device 9 can be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 [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ub-input unit 85 of the sub-device 9 can be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통신 모듈(31)을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허브 기기(1)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허브 기기(1)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허브 기기(1)의 출력부(40)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허브 기기(1)의 리모트 컨트롤 모듈(33)이 제어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31 via the network to the hub device 1 and the hub device 1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output unit 40 of the hub device 1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remote control module 33 of the hub device 1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통신 모듈(31)을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허브 기기(1)로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서브 기기(9)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서브 기기(9)의 구동부(60)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서브 기기(9)의 서브 출력부(81)가 제어될 수 있다.The sub-device 9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ub module 1 on the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 [ The driving unit 60 of the sub-device 9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sub output unit 81 of the sub-device 9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허브 기기(1)는, 통신 모듈(31)을 통해 네트워크(N) 상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6)는 입력부(50)로부터 지시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6)는 서브 기기(9)의 구동 감지부(70)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6)는 서브 기기(9)의 서브 입력부(85)로부터 지시를 저장할 수 있다.The hub device 1 may include a storage unit 36 for sto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twork 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 [ The storage unit 36 may store instructions from the input unit 50. [ The storage unit 36 may stor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drive sensing unit 70 of the sub-device 9. [ The storage unit 36 may store an instruction from the sub-input unit 85 of the sub-device 9. [

허브 기기(1)는 허브 기기(1)의 각 구성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9)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439)는 충전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39)는, 허브 기기(1)가 서브 기기(9)와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허브 기기(1)는, 배터리(39)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ub device 1 may include a battery 39 that supplies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hub device 1. [ The battery 439 may be provided for charging. The battery 39 may be provided so that the hub device 1 is charg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sub-device 9. The hub device 1 may include a charging module (not shown)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39 wired or wirelessly.

허브 기기(1)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출력부(40)를 포함한다. 출력부(4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4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41)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41)는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1)의 화상 출력 방향을 허브 기기(1)의 '대향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출력부(40)는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46)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b device 1 includes an output unit 40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The output unit 40 includes a display 41 for visually outputting information. The display 41 may be a touch sensitive display. The display 41 can output an image. The image output direction of the display 41 can be defined a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ub device 1. [ The output unit 40 may include a speaker 46 for outputting information audibly.

허브 기기(1)는, 사용자가 통신 모듈(31)을 통하지 않고 직접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50)를 포함한다. The hub device 1 includes an input unit 50 through which a user can directly input commands or the lik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 [

입력부(50)는 스위치(5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51)는 허브 기기(1)의 전원을 ON/OFF하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51)는, 허브 기기(1)의 기능의 설정, 소정의 네트워크와 페어링(pairing), 단말기(6)와의 페어링을 위한 기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51)는 서브 기기(9)와의 페어링 등을 위한 기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스위치의 누름 시간 및/또는 연속 누름 횟수 등의 조합을 통해, 허브 기기(1)에 다양한 명령이 내려지도록 기 설정할 수 있다. 스위치(51)는 허브 기기(1)의 기 설정된 세팅을 리셋 시킬 수 있는 리셋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51)는 허브 기기(1)을 절전 상태 또는 미출력 상태로 전환시키는 슬립(Sleep)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50 may include a switch 51. The switch 51 may include a power switch for turning the power of the hub device 1 on and off. The switch 51 may include a function switch for setting the function of the hub device 1, pairing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and pairing with the terminal 6. [ The switch 51 may include a function switch for pairing with the sub-device 9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set various commands to be issued to the hub device 1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pressing time of the function switch and / or the number of continuous pressing times. The switch 51 may include a reset switch that can reset a predetermined setting of the hub device 1. [ The switch 51 may include a sleep switch for switching the hub device 1 into a power-saving state or a non-power-saving state.

입력부(50)는 외부의 시각적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52)를 포함한다. 카메라(52)는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52)는 사용자의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52)에서 획득한 이미지 정보는 저장부(36)에 저장될 수 있다.The input unit 50 includes a camera 52 for sensing an external visual image. The camera 52 may acquire an image for recognizing the user. The camera 52 may acquire an image for recognizing the direction of the user.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amera 52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6. [

입력부(50)는 외부의 소리를 센싱하는 마이크(53)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입력부(50)는 복수의 마이크(53)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은 사용자의 얼굴의 위치가 될 수 있다. 입력부(50)는, 평면 상의 음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3개의 마이크(53a, 53b, 53c)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0)는, 공간 상의 음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4개의 마이크(53a, 53b, 53c 및 추가의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이크(53)에서 획득한 소리 정보 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저장부(36)에 저장될 수 있다. 허브 기기(1)의 복수의 마이크(53) 대신 서브 기기(9)의 복수의 서브 마이크(88)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허브 기기(1)의 마이크(53)와 서브 기기(9)의 서브 마이크(88)가 각각 구비되어, 마이크(53) 및 서브 마이크(88)를 통해 감지되는 소리 정보를 근거로 음원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put unit 50 may include a microphone 53 for sensing an external sound. In order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ound source, the input unit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phones 53. The sound source can be the position of the user's face. The input unit 50 may include three microphones 53a, 53b, and 53c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a sound source on a plane. The input unit 50 may include four microphones (53a, 53b, 53c and additional microphones)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sound source in space. The sound information obtained by the microphone 53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6. [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sub-microphones 88 of the sub-device 9 are provided instead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53 of the hub device 1. [ The microphones 53 of the hub device 1 and the sub microphone 88 of the sub device 9 are provided to respectively receive sound information from the microphone 53 and the sub microphone 88,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the position.

허브 기기(1)은, 허브 기기(1)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감지 센서는 카메라(52) 및/또는 복수의 마이크(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b device 1 may include a direction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direc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hub device 1. [ The direction sensor may include a camera 52 and / or a plurality of microphones 53. [

허브 기기(1)은 소정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광 신호(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 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주변 기기'란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한 주변의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가 가능한 세탁기, 냉장고, 공기조화기, 로봇청소기, 티브이 등이 상기 소정의 주변 기기가 된다. 리모트 컨트롤 모듈(33)은, 소정의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소정의 광 신호를 조사(emitting)하는 발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LED일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모듈(33)이 상기 광 신호를 조사하는 방향은 서브 기기(1)의 동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모듈(33)이 상기 광 신호를 조사하는 방향을 허브 기기(1)의 '대향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거리 제어가 필요한 특정 주변 기기의 방향으로 리모트 컨트롤 모듈(33)의 광 신호 조사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특정 기기를 광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The hub device 1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module 33 fo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for example, an infrared signal)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peripheral device. 'Peripheral device' means a peripheral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peripheral device is a washing machine, a refrigerator, an air conditioner, a robot cleaner, a TV, etc.,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 module 33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not shown) that emits a predetermined optical signal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peripheral device.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an LED that emits infrared ray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mote control module 33 irradiates the optical signal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ub-device 1. [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mote control module 33 irradiates the optical signal can be defined a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ub device 1. [ Thus, the optical signal irradiat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module 33 can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specific peripheral device requiring the remote control, and the specific device can be controlled with the optical signal.

허브 기기(1)는, 허브 기기(1)의 제어 신호를 서브 기기(9)에 전달하기 위한 서브 연결 단자(37)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연결 단자(37)는 허브 기기(1)의 결합부(101)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ub device 1 may include a sub connection terminal 37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hub device 1 to the sub device 9. [ The sub connection terminal 37 may be disposed at the coupling portion 101 of the hub device 1. [

도 5를 참고하여, 서브 기기(9)의 기능적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5,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ub-device 9 will be described below.

서브 기기(9)는 각 구성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93)를 포함한다. 전원 장치(93)는 충전이 가능하게 구비된 서브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장치(93)는, 외부의 유선 전원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전원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는 소켓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장치(93)는 상기 서브 배터리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 기기(1)와 서브 기기(9)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모듈은 허브 기기(1)의 배터리(39)를 충전시킬 수 있다.The sub-device 9 includes a power supply 93 for supplying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power source device 93 may include a sub-battery (not shown) provided to be capable of being charged. The power supply unit 93 may include a power connection unit (not shown) to which an external wired power cable can be connected. The power connection may be implemented as a socket. The power supply device 93 may include a charging module (not shown) that can charge the sub-battery wirelessly or by wire. The charging module can charge the battery 39 of the hub device 1 in a state where the hub device 1 and the sub device 9 are coupled.

서브 기기(9)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서브 출력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출력부(8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서브 디스플레이(8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82)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82)는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서브 출력부(81)는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서브 스피커(8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출력부(81)는 시각적인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서브 발광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발광부(84)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sub-output 81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The sub output unit 81 may include a sub display 82 for visually outputting information. The sub-display 82 may be a touch sensitive display. The sub display 82 can output an image. The sub output unit 81 may include a sub-speaker 83 for outputting information audibly. The sub output unit 81 may include a sub light emitting unit 84 for displaying a visual signal. The sub light-emitting portion 84 may include an LED.

서브 기기(9)는, 사용자가 통신 모듈(31) 또는 허브 기기(1)에 명령하지 않고, 서브 기기(9)에 직접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서브 입력부(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sub-input unit 85 tha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input commands or the like to the sub-device 9 without commanding the communication module 31 or the hub device 1. [

서브 입력부(85)는 서브 스위치(86)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스위치(86)는 서브 기기(9)의 전원을 ON/OFF하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스위치(86)는, 서브 기기(9)의 기능의 설정을 위한 기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스위치(86)는 허브 기기(1)와의 페어링 등을 위한 기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스위치의 누름 시간 및/또는 연속 누름 횟수 등의 조합을 통해, 서브 기기(9)에 다양한 명령이 내려지도록 기 설정할 수 있다. 서브 스위치(86)는 서브 기기(9)의 기 설정된 세팅을 리셋 시킬 수 있는 리셋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스위치(86)는 서브 기기(9)을 절전 상태 또는 미출력 상태로 전환시키는 슬립(Sleep)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input section 85 may include a sub-switch 86. The sub switch 86 may include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sub-device 9. [ The sub switch 86 may include a function switch for setting the function of the sub-device 9. [ The sub-switch 86 may include a function switch for pairing with the hub device 1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set various commands to the sub-device 9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pressing time and / or the number of times of pressing the function switch. The sub switch 86 may include a reset switch that can reset a predetermined setting of the sub-device 9. [ The sub switch 86 may include a sleep switch for switching the sub-device 9 into a power-saving state or a non-power-saving state.

서브 입력부(85)는 외부의 시각적 이미지를 센싱하는 서브 카메라(87)를 포함한다. 서브 카메라(87)는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서브 카메라(87)는 사용자의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ub-input unit 85 includes a sub-camera 87 for sensing an external visual image. The sub camera 87 may acquire an image for recognizing the user. The sub camera 87 can acquire an image for recognizing the direction of the user.

서브 입력부(85)는 외부의 소리를 센싱하는 서브 마이크(88)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서브 입력부(85)는 복수의 서브 마이크(88)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입력부(85)는, 평면 상의 음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3개의 마이크(85a, 85b, 85c)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입력부(85)는, 공간 상의 음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4개의 마이크(85a, 85b, 85c 및 추가의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ub-input unit 85 may include a sub-microphone 88 for sensing an external sound. In order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sound source, the sub-input unit 85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microphones 88. The sub input unit 85 may include three microphones 85a, 85b and 85c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sound source on the plane. The sub-input section 85 may include four microphones (85a, 85b, 85c and additional microphones)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sound source in space.

서브 기기(9)은, 서브 기기(9)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감지 센서는 서브 카메라(87) 및/또는 복수의 서브 마이크(88)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direction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direc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ub- The direction sensor may include a sub-camera 87 and / or a plurality of sub-microphones 88.

허브 기기(1)와 서브 기기(9)가 결합된 커뮤니케이션 로봇(1, 9)은, 허브 기기(1)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커뮤니케이션 로봇(1, 9)의 방향 감지 센서는 카메라(52) 및/또는 서브 카메라(8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로봇(1, 9)의 방향 감지 센서는 마이크(53) 및/또는 서브 마이크(8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로봇(1, 9)의 방향 감지 센서는 허브 기기(1)의 1개의 마이크(53)와 서브 기기(9)의 복수의 서브 마이크(88)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뮤니케이션 로봇(1, 9)의 방향 감지 센서는 허브 기기(1)의 복수의 마이크(53)와 서브 기기(9)의 1개의 서브 마이크(88)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뮤니케이션 로봇(1, 9)의 방향 감지 센서가 마이크(53)와 서브 마이크(88)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마이크(53)와 서브 마이크(88)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robots 1 and 9 to which the hub device 1 and the sub device 9 are connected include a direction sensor for sensing the direc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hub device 1. [ The direction sensors of the communication robots 1, 9 may include a camera 52 and / or a sub camera 87. [ The direction sensor of the communication robots 1, 9 may include a microphone 53 and / or a sub microphone 88. [ It is possible for the direction sensors of the communication robots 1 and 9 to include one microphone 53 of the hub device 1 and a plurality of submics 88 of the sub-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irection sensors of the communication robots 1 and 9 include a plurality of microphones 53 of the hub device 1 and one sub microphone 88 of the sub device 9. [ When the direction sensors of the communication robots 1 and 9 include both the microphone 53 and the sub microphone 88, th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53 and the sub microphone 88 is synthesized, Can be detected.

서브 기기(9)은 모션을 수행하는 구동부(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41)의 출력 내용 또는 스피커(46)의 출력 내용과 함께 서브 기기(9)이 모션을 수행함으로써,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사람과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제스쳐(모션) 또는 아이 컨택트(eye contact)의 역할이 큰 것처럼, 구동부(60)에 의한 서브 기기(9)의 모션은 출력부(40)의 출력 내용을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인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구동부(60)에 의한 서브 기기(9)의 모션은, 사용자와 서브 기기(9)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감성적 요소를 더하기 위한 것이다. The sub-device 9 includes a driving unit 60 for performing motion. By performing the motion of the sub-device 9 together with the output contents of the display 41 or the output contents of the speaker 46, it is possible to give the living creature the same feeling. The motion of the sub-device 9 by the driving unit 60 is effective for the user to efficiently output the output contents of the output unit 40 to the user as if the gesture (motion) or eye contact plays a large role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son and the person As shown in FIG. The motion of the sub-device 9 by the driver 60 is for adding emotional element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ub-

구동부(60)는 복수의 구동부(61, 62, 6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부(61, 62, 63)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동되어 복합적인 모션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구동부(60)는 서로 다른 모션을 수행하는 제 1구동부(61) 및 제 2구동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서로 다른 모션을 수행하는 제 1구동부(61), 제 2구동부(62) 및 제 3구동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구동부(60)의 다양한 예시 들을 설명한다.The driving unit 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61, 62, and 63.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61, 62, and 63 may be driven independently, or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to enable complex motion. The driving unit 6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61 and a second driving unit 62 that perform different motions. The driving unit 6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61, a second driving unit 62, and a third driving unit 63 that perform different motions. The number of the driving units 60 may be increased. Various examples of the driver 60 will be described below.

서브 기기(9)는, 허브 기기(1)의 대향 방향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서, 서브 기기(9-1)는, 제 1파트(911)에 대해 제 2파트(913)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 1스핀 회전축(Oa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도 9의 a1 참고) 동력을 제공하는 제 1스핀 구동부(60)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고한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 기기(9-2)는 제 1파트(921)에 대해 제 2파트(923)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 2스핀 회전축(Ob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도 10의 b1 참고) 동력을 제공하는 제 2스핀 구동부(60)를 포함한다.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driving unit 60 for chang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hub device 1 is opposed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9, the sub-device 9-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part 913 is rotated about the first spin rotation axis Oa1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911, (See a1 in Fig. 9). 10, the sub-device 9-2 rotates the second part 923 about the second part 921 about the second spin rotation axis Ob1 extend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Refer to b1 in Fig. 10) and a second spin driver 60 for providing power.

서브 기기(9)는, 허브 기기(1)의 대향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2)는 제 1파트(921)에 대해 제 2파트(923)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동력을 제공하는 틸팅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서브 기기(9-2)의 틸팅 구동부(60)는, 틸팅 회전축(Ob2)을 중심으로 제 2파트(923)가 회전하게(도 10의 b2 참고)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틸팅 회전축(Ob2)는 허브 기기(1)의 화상 출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틸팅 회전축(Ob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서브 기기(9-2)는 제 2파트(923)에 대해 제 3파트(925)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동력을 제공하는 어퍼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기기(9-2)의 어퍼 구동부(60)는 어퍼 회전축(Ob3)을 중심으로 제 3파트(925)가 회전하게(도 10의 b3 참고)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어퍼 회전축(Ob3)는 허브 기기(1)의 화상 출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어퍼 회전축(Ob3)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driver 60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ub device 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b-device 9-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lting drive unit 60 that provides power to tilt the second part 92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921 . The tilting drive unit 60 of the sub-device 9-2 can provide the power to rotate the second part 923 around the tilting rotary axis Ob2 (see b2 in FIG. 10). The tilting rotary shaft Ob2 extends in the direction transverse to the image output direction of the hub device 1. [ The tilting rotary shaft Ob2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sub-device 9-2 may include an upper drive part 60 that provides power to the second part 923 such that the third part 925 is tilted forward and backward. The upper drive portion 60 of the sub-device 9-2 can provide the power to rotate the third part 925 about the upper rotation axis Ob3 (see b3 in Fig. 10). The upper rotating shaft Ob3 extends in a direction across the image output direction of the hub device 1. [ The upper rotating shaft Ob3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서브 기기(9)는, 허브 기기(1)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동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기기(9)는, 허브 기기(1)의 대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동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한다. 도 9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서, 서브 기기(9-1)는 제 2파트(913)에 대해 제 3파트(915)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게(도 9의 a2 참고) 동력을 제공하는 좌우 틸팅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서브 기기(9-1)의 좌우 틸팅 구동부(60)는, 좌우 틸팅 회전축(Oa2)을 중심으로 제 2파트(913)가 회전하게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좌우 틸팅 회전축(Oa2)은 허브 기기(1)의 화상 출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좌우 틸팅 회전축(Oa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driving unit 60 that drives the hub device 1 to tilt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ub-device (9) includes a driving unit (60) that drives the sub-device (9) to tilt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ub device (1). 9, the sub-device 9-1 is configured so that the third part 915 of the second part 913 is til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see a2 in Fig. 9) And a tilting driving unit 60. The left and right tilting drive unit 60 of the sub-device 9-1 can provide power to rotate the second part 913 around the left and right tilting rotary axis Oa2. The left and right tilting rotary axes Oa2 can extend in the image output direction of the hub device 1. [ The left-right tilting rotary shaft Oa2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서브 기기(9)는, 서브 기기(9)의 외측면에 부착시킨 '부착 물체'를 이동시키게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1)는 모션 회전축(Oa3)을 중심으로 부착 부재(917)가 회전하게(도 9의 a3 참고)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션 회전축(Oa3)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에는, 부착 부재(917)의 이동 궤도인 부착 대응부(M)를 도시한다. 부착 대응부(M)는 상기 부착 물체가 서브 기기(9-1)의 케이스의 외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보여준다. 부착 대응부(M)는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부착 대응부(M)는 상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재(917) 및 상기 부착 물체 중 어느 하나는 자석(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석에 의해 당겨지는 물질(자석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부착 부재(917)는 자석이 될 수 있고, 상기 부착 물체에는 금속 또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부착 부재(917)는 금속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부착 물체에는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부착 부재(917)는 서브 기기(9-1)의 내측에 배치된다. 부착 부재(917)는 서브 기기(9-1)의 케이스의 내측면을 마주보며 이동하게 구비된다. 부착 부재(917)는 서브 기기(9-1)의 케이스(320)의 외측에 접촉하는 상기 부착 물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하게 구비된다. 부착 부재(917)는 모션 구동부(60)에 의해 소정의 이동 경로로 이동하여 서브 기기(9-1)의 케이스의 외측의 자력장을 변화시킨다. 부착 부재(917)는, 케이스(320)의 외측면에 부착시킨 상기 부착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부착 부재(917a, 917b)가 구비된다. 2 개의 부착 부재(917a, 397b)는 일체로 이동 및 회전한다. 상기 부착 물체는 커뮤니케이션 로봇(1, 9)의 외부를 장식하는 장식물 일 수 있다. 상기 부착 물체는 사용자에게 알릴 정보 보드(예를 들어, 전자 보드 또는 종이를 붙일 수 있는 기구)일 수 있다. 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driving unit 60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attachment object'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b-device 9. [ 9, the sub-device 9-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ovide power to rotate the attachment member 917 about the motion rotation axis Oa3 (see a3 in Fig. 9). The motion rotation axis Oa3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ig. 9 shows an attachment corresponding portion M which is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attachment member 917. Fig. The attachment corresponding portion M shows a path through which the attachment object can move whil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sub-device 9-1. The attachment corresponding portion M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attachment corresponding portion M may be provided in a convex arc shape upward. One of the attachment member 917 and the attachment object may include a magnet (permanent magnet or electromagnet) and the other may include a substance (magnet or metal) pulled by the magnet. In one example, the attachment member 917 may be a magnet, and a metal or a magnet may be disposed on the attachment object. As another example, the attachment member 917 may be a metal or the like, and a magnet may be disposed on the attachment object. The attachment member 917 is disposed inside the sub-device 9-1. The attaching member 917 is provided to move whil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sub-device 9-1. The attachment member 917 is provided to move to move the attachment object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case 320 of the sub-device 9-1. The attachment member 917 moves by the motion driving unit 60 in a predetermined movement path to change the magnetic field outside the case of the sub-device 9-1. The attachment member 917 is provided so as to move the attachment object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320. And at least two attachment members 917a and 917b arranged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two attachment members 917a and 397b move and rotate integrally. The attachment object may be a decoration for decorating the outside of the communication robots 1, 9. The attachment object may be an information board (for example, an electronic board or a mechanism for attaching paper) to be informed to the user.

서브 기기(9)는, 상기 서브 기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3)은 주행 수단(바퀴)을 작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이동 구동부(60)의 구동에 의해 서브 기기(9-3)의 위치가 이동되고, 서브 기기(9-3)에 결합된 허브 기기(9-3)의 위치가 이동된다.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driver 60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sub-device. Referring to FIG. 3, the sub-device 9-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movement driving unit 60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operating a traveling means (a wheel). The position of the sub apparatus 9-3 is moved by the drive of the movement driving unit 60 and the position of the hub apparatus 9-3 coupled to the sub apparatus 9-3 is moved.

서브 기기(9)는, 구동부(60)에 의한 현재의 모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구동 감지부(70)를 포함한다. 서브 기기(9)는, 복수의 구동부(60)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구동 감지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기기(9)는 제 1구동부(61)의 구동을 감지하는 제 1구동 감지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기기(9)는 제 2구동부(62)의 구동을 감지하는 제 2구동 감지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기기(9)는 제 3구동부(63)의 구동을 감지하는 제 3구동 감지부(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device 9 includes a drive sensing unit 70 that can sense the current motion state of the drive unit 60. [ 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e sensing units 70 for sensing the plurality of drive units 60, respectively. 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first drive sensing unit 71 for sensing the drive of the first drive unit 61. 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second drive sensing unit 72 for sensing the drive of the second drive unit 62. 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third drive sensing unit 73 for sensing the drive of the third drive unit 63.

도 9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1)는 제 1스핀 구동부(60)에 의해 제 1파트(911)에 대해 제 2파트(913)가 회전한 각도를 감지하는 제 1스핀 구동 감지부(70)를 포함한다. 서브 기기(9-1)는 좌우 틸팅 구동부(60)에 의해 제 2파트(913)에 대해 제 3파트(915)가 회전한 각도를 감지하는 좌우 틸팅 구동 감지부(70)를 포함한다. 서브 기기(9-1)는 모션 구동부(60)에 의해 서브 기기(9-1)의 케이스에 대해 부착 부재(917)가 회전한 각도를 감지하는 모션 구동 감지부(70)를 포함한다.9, the sub-device 9-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rt 911 for detecting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part 913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911 by the first spin driving part 60, 1 spin drive sensing part 70. [ The sub-device 9-1 includes a left and right tilting drive sensing unit 70 for sens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third part 915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rt 913 by the left / right tilting drive unit 60. [ The sub apparatus 9-1 includes a motion drive sensing unit 70 that senses the angle at which the attachment member 917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ase of the sub apparatus 9-1 by the motion drive unit 60. [

도 10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2)는 제 2스핀 구동부(60)에 의해 제 1파트(921)에 대해 제 2파트(923)가 회전한 각도를 감지하는 제 2스핀 구동 감지부(70)를 포함한다. 서브 기기(9-2)는 틸팅 구동부(60)에 의해 제 1파트(921)에 대해 제 2파트(923)가 회전한 각도를 감지하는 틸팅 구동 감지부(70)를 포함한다. 서브 기기(9-2)는 어퍼 구동부(60)에 의해 제 2파트(923)에 대해 제 3파트(925)가 회전한 각도를 감지하는 어퍼 구동 감지부(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sub-device 9-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pin driving unit 80 for detecting an angle of rotation of the second part 923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921 by the second spin driving unit 60 And a two-spin drive sensing unit 70. The sub-device 9-2 includes a tilting drive sensing unit 70 that senses an angle of rotation of the second part 923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921 by the tilting drive unit 60. [ The sub-device 9-2 includes an upper drive sensing unit 70 that senses an angle of rotation of the third part 925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rt 923 by the upper drive unit 60. [

도 3을 참고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기기(9-3)은 이동 구동부(60)에 의해 서브 기기(9-3)가 이동한 거리,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는 이동 구동 감지부(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ub-device 9-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mobile device that detects movement distance, movement speed, And a sensing unit 70.

본 실시예에서, 구동 감지부(70)는 서브 기기(9)에 구비되나, 허브 기기(1)에 구동 감지부(7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drive sensing unit 70 is provided in the sub-device 9,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rive sensing unit 70 is provided in the hub device 1.

서브 기기(9)는, 상기 서브 연결 단자와 접촉되게 구비된 허브 연결 단자(91)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연결 단자(91)는 서브 기기(9)의 안착부(901)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b-device 9 may include a hub connection terminal 91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sub connection terminal. The hub connection terminal 91 may be disposed at the seating portion 901 of the sub-

허브 기기(1)가 서브 기기(9)와 결합시, 허브 기기(1)의 서브 연결 단자(37)는 서브 기기(9)의 허브 연결 단자(91)와 접촉 연결된다. 서브 연결 단자(37)와 허브 연결 단자(91)의 연결을 통해서, 허브 기기(1)의 제어부(20)의 제어 신호가 서브 기기(9)로 전달될 수 있다. 서브 연결 단자(37)와 허브 연결 단자(91)의 연결을 통해서, 서브 기기(9)로부터 획득된 정보다 허브 기기(1)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hub device 1 is coupled with the sub device 9, the sub connection terminal 37 of the hub device 1 is in contact with the hub connection terminal 91 of the sub device 9.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 of the hub device 1 can be transmitted to the sub device 9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sub connection terminal 37 and the hub connection terminal 91. [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ub device 9 can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1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sub connection terminal 37 and the hub connection terminal 91. [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허브 기기(1)와 서브 기기(9)가 결합된 상태에서 허브 기기(1)의 제어부(20)는 서브 기기(9)를 제어한다. 제어부(20)는 소정의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 서브 기기(9)의 동작을 제어한다. 4 and 5, the control unit 20 of the hub device 1 controls the sub-device 9 in a state where the hub device 1 and the sub-device 9 are coupled.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b-device 9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operation.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41)의 화상 출력 방향을 상기 방향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방향으로 하기위해, 서브 기기(9)의 동작을 제어하게 구비된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41)의 화상 출력 방향을 상기 방향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방향으로 하기위해, 구동부(60)를 제어한다. 제어부(20)는 복수의 구동부(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b-device 9 in order to set the image output direction of the display 41 to the direc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dir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driving unit 60 to set the image output direction of the display 41 to the direc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sensor. 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60.

제어부(20)는, 원거리 제어가 필요한 특정 주변 기기의 방향으로 허브 기기(1)의 리모터 컨트롤 모듈(33)의 상기 광 신호 조사 방향이 변경되도록 서브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b apparatus so that the optical signal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remotely controlled module 33 of the hub apparatus 1 i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specific peripheral apparatus requiring the remote control.

허브 기기(1)에 결합 가능한 서브 기기(9)의 종류는 복수일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복수의 서브 기기(9)로서 서브 기기(9-1), 서브 기기(9-2) 및 서브 기기(9-3)을 예로 들었다. There may be a plurality of types of sub-devices 9 that can be coupled to the hub device 1. In this description, the sub apparatus 9-1, the sub apparatus 9-2, and the sub apparatus 9-3 are exemplified as the plurality of sub apparatus 9.

제어부(20)는, 허브 기기(1)에 결합 가능한 복수의 서브 기기(9) 중 현재 결합된 서브 기기(9)가 어느 것인지 판단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어부(20)는, 제어부(20)가 제어 가능한 복수의 구동부(60) 중 현재 결합된 서브 기기(9)가 가진 구동부(60)가 무엇인지 판단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통해, 허브 기기(1)에 현재 결합된 서브 기기(9)의 가능 동작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적절한 서브 기기(9)의 적절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is provided to be able to judge which of the plurality of sub-devices 9 that can be coupled to the hub device 1 is currently coupled to the sub-device 9. The control unit 20 is provided to be able to determine what the driving unit 60 of the currently coupled sub-device 9 among the plurality of the driving units 60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 i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ossible operation of the sub-device 9 currently coupled to the hub device 1, and to control the proper operation of the appropriate sub-device 9 accordingly.

제어부(20)는 입력부(50)로부터 제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20)는 출력부(40)가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출력부(40)의 정보 출력과 함께 구동부(6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 can receiv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50. [ 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output unit 40 to output predetermined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60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utput of the output unit 40. [

일 예로, 제어부(20)는, 카메라(52) 또는 서브 카메라(87)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자가 누구인지 인식하고, 이를 근거로 출력부(40) 및 구동부(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0)는 인식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사용자와 일치하면, 디스플레이(41)에서 웃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구동부(60)를 작동시켜 소정의 모션을 구현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 recognizes the user based on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52 or the sub camera 87, and can operate the output unit 40 and the driving unit 60 based on the image have. When the recognized user coincides with the preset user, the control unit 20 displays a smile image on the display 41 and operates the driving unit 60 to implement a predetermined motion.

다른 예로, 제어부(20)는, 상기 방향 감지 센서를 기초로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근거로 출력부(40) 및 구동부(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41)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고, 구동부(60)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41)가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0 may recognize the fac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irection detection sensor, and operate the output unit 40 and the driving unit 60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The control unit 20 displays predetermin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41 and operates the driving unit 60 to operate the display 41 to face the user's face.

제어부(20)는 통신 모듈(31)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구동부(60)의 작동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입력부(50)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구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저장부(36)에 저장된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구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60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 [ 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60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50. [ The control unit 20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60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36. [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와 결합되는 결합부(101)를 포함한다. 서브 기기(9)는 결합부(101)가 안착되는 안착부(901)를 포함한다. 결합부(101)는 서브 기기(9)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부(101) 및 안착부(901)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901)는 함몰된 홈을 형성하고, 결합부(101)는 안착부(90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6 and 7, the hub device 1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01 which is engaged with the sub-device 9. The sub-device (9) includes a seating portion (901) on which the coupling portion (101) is seated. The engaging portion 10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b-device 9. Either the engaging portion 101 or the seating portion 901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seat portion 901 forms a recessed groove, and the engagement portion 101 is inserted into the seat portion 901 and engaged.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10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41)는 노출부(103)에 배치된다. 카메라(52)는 노출부(103)에 배치된다. 마이크(53)는 노출부(103)에 배치된다. 리모트 컨트롤 모듈(33)은 노출부(103)에 배치된다.The hub device (1) includes an exposed portion (103)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sub-device (9). The display 41 is disposed in the exposed portion 103. The camera 52 is disposed in the exposed portion 103. The microphone 53 is disposed in the exposed portion 103. The remote control module 33 is disposed in the exposed portion 103. [

결합부(101)에 서브 연결 단자(37)가 배치된다. 허브 기기(1)가 서브 기기(9)와 결합된 상태에서 서브 연결 단자(37)에 접촉되는 위치에 허브 연결 단자(91)가 배치된다. 허브 연결 단자(91)는 안착부(901)에 배치된다. 허브 연결 단자(91)는 서브 연결 단자(37)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And the sub connection terminal 37 is disposed in the coupling portion 101. The hub connection terminal 91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hub device 1 is in contact with the sub connection terminal 37 in a state where the hub device 1 is coupled with the sub device 9. [ The hub connection terminal 91 is disposed in the seating portion 901. [ And the hub connection terminal 91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b connection terminal 37. [

도 8을 참고하여, 허브 기기(1)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8,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hub device 1 will be described below.

허브 기기(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허브 기기(1)는 디스플레이(41)가 전방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허브 기기(1)와 서브 기기(9)가 결합된 상태에서, 허브 기기(1)는 서브 기기(9)에 의해 지지된다.The hub device 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The hub device 1 can be arranged such that the display 41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front. In a state where the hub device 1 and the sub device 9 are coupled, the hub device 1 is supported by the sub device 9. [

허브 기기(1)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는 투과부(110)를 포함한다. 허브 기기(1)는 투과부(110)를 지지하는 허브 전면 케이스(120)를 포함한다.The hub device 1 includes a transmissive portion 110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31 is transmitted. The hub device (1) includes a hub front case (120) supporting the transmission portion (110).

투과부(110)는 화상 출력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된다. 투과부(110)는 화상 출력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투과부(110)에는 카메라(52)가 통과하며 배치되는 카메라 안착홀(110a)이 형성된다. 투과부(110)에는 마이크(53)가 감지하는 소리를 통과시키는 마이크 홀(110b)이 형성된다. 투과부(110)에는 복수의 마이크(53a, 53b)에 대응하는 복수의 마이크 홀(110b1, 110b2)이 형성된다.The transmissive portion 1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in the image output direction.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image output direction. The camera mount hole 110a through which the camera 52 passes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portion 110. [ A microphone hole 110b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portion 110 to allow a sound sensed by the microphone 53 to pass therethrough. A plurality of microphone holes 110b1 and 110b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53a and 53b are formed in the transmission portion 110. [

허브 전면 케이스(120)는 디스플레이 메인부(130)의 전면을 덮어준다. 허브 전면 케이스(120)는 투과부(110)의 배면이 안착되는 투과부 안착면(126)을 포함한다. 투과부 안착면(126)은 화상 출력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허브 전면 케이스(120)는 투과부 안착면(12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외측면부(128)를 포함한다. 외측면부(128)는 투과부 안착면(126)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외측면부(128)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바라볼 때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표면을 형성한다. 외측면부(128)의 후단은 서브 기기(9)에 결합될 수 있다.The hub front case 120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ain part 130. The hub front case 120 includes a transmissive seating surface 126 on which the back side of the transmissive portion 110 is seated. The transmissive part seating surface 126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image output direction. The hub front case 120 includes an outer side portion 128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ermeable seating surface 126. The outer side surface portion 128 projects rearward from the transmission side seating surface 126. The outer side surface portion 128 forms a surfac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s viewed from the left or right side. And the rear end of the outer side portion 128 can be coupled to the sub-

허브 전면 케이스(120)에는 카메라 안착홀(120a)이 형성된다. 투과부의 카메라 안착홀(110a) 및 디스플레이 전면 케이스의 카메라 안착홀(120a)은 서로 연결된다. 허브 전면 케이스(120)에는 마이크(53)가 감지하는 소리를 통과시키는 마이크 홀(120b)이 형성된다. 투과부(110)에는 복수의 마이크(53a, 53b)에 대응하는 복수의 마이크 홀(120b1, 120b2)이 형성된다. 투과부의 마이크 홀(110b) 및 디스플레이 전면 케이스의 마이크 홀(120b)은 서로 연결된다. 허브 전면 케이스(12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홀(120c)이 형성된다.A camera mounting hole 120a is formed in the hub front case 120. The camera seating hole 110a of the transmission portion and the camera seating hole 120a of the display front cas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microphone hole 120b is formed in the hub front case 120 to allow a sound sensed by the microphone 53 to pass therethrough. A plurality of microphone holes 120b1 and 120b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53a and 53b are formed in the transmission portion 110. [ The microphone hole 110b of the transmission portion and the microphone hole 120b of the display front cas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hub front case 120, a display hole 120c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31 passes is formed.

허브 전면 케이스(120)에는 전면 케이스 고정부(129)가 구비된다. 전면 케이스 고정부(129)는 허브 전면 케이스(120)의 후측에 배치된다. 전면 케이스 고정부(129)는 체결 부재에 의해 허브 후방부 고정부(159)와 체결된다.The hub front case 120 is provided with a front case fixing part 129. The front case fixing portion 129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hub front case 120. The front case fixing portion 129 is fastened to the hub rear fixing portion 159 by the fastening member.

허브 기기(1)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메인부(130)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메인부(130)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메인부(130)는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5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메인부(130)는 복수의 마이크(53a, 53b)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메인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안착되는 제 1PCB(133)를 포함한다. 제 1PCB(133)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출력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메인부(130)는 카메라(52)가 안착되고 카메라(52)를 제어하는 카메라 PCB(13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메인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9)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9)는 디스플레이 메인부(130)는 배터리(39)가 고정되는 제 2PCB(137)를 포함한다. 제 2PCB(137)는 제 1PCB(133)의 후측에 배치된다. 카메라 PCB(135)는 제 1PCB(133)와 제 2PCB(137)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display main part 130 is disposed inside the hub device 1. [ The display main unit 130 includes a display panel 131 for outputting an image. The display main unit 130 includes a microphone 53 for sensing sound. The display main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phones 53a and 53b. The display main unit 130 includes a first PCB 133 on which the display panel 131 is mounted. The first PCB 133 controls the output of the display panel 131. The display main section 130 includes a camera PCB 135 on which the camera 52 is seated and which controls the camera 52. The display main unit 130 may include a battery 39 that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panel. The battery 39 includes a display main part 130 and a second PCB 137 to which the battery 39 is fixed. The second PCB 137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PCB 133. The camera PCB 13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CB 133 and the second PCB 137.

허브 기기(1)는 디스플레이 메인부(130)를 내부에 수용하는 허브 후방부(150)를 포함한다. 허브 후방부(150)는 내부 공간(150a)을 형성한다. 내부 공간(150a)은 허브 전면 케이스(120) 및 허브 후방부(150)에 의해 구획된다.The hub device (1) includes a hub rear portion (150) for receiving the display main portion (130) therein. The hub rear portion 150 forms an inner space 150a. The inner space 150a is defined by the hub front case 120 and the hub rear portion 150. [

허브 후방부(150)는 디스플레이 메인부(130)의 둘레를 덮어주는 측벽부(151)를 포함한다. 허브 후방부(150)는 디스플레이 메인부(130)의 후방을 덮어주는 후벽부(153)를 포함한다. 측벽부(151)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허브 후방부 고정부(159)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허브 후방부(150)는 서브 기기(9)에 탈부착 가능 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hub rear portion 150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151 for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main portion 130. The hub rear portion 150 includes a rear wall portion 153 for covering the rear portion of the display main portion 130. A plurality of hub rear fixing portions 159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wall portion 151. The hub rear portion 150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sub-device 9.

1 : 허브 기기 9, 9-1, 9-2, 9-3 : 서브 기기
1, 9 : 커뮤니케이션 로봇 20 : 제어부
31 : 통신 모듈 33 : 리모트 컨트롤 모듈
37 : 서브 연결 단자 40 : 출력부
50 : 입력부 60 : 구동부
70 : 구동 감지부 91 : 허브 연결 단자
101 : 결합부 901 : 안착부
1: hub device 9, 9-1, 9-2, 9-3:
1, 9: communication robot 20:
31: Communication module 33: Remote control module
37: Sub connection terminal 40: Output section
50: input unit 60:
70: drive detection unit 91: hub connection terminal
101: engaging portion 901:

Claims (1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파트와, 상기 제 1파트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파트와, 상기 제 2파트를 상기 스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스핀 구동부를 포함하는 서브 기기; 및
상기 서브 기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파트가 회전될 시 함께 회전되는 허브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 기기는,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허브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 감지 센서;
소정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스핀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화상이 상기 방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스핀 구동부를 제어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A second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spin rotation axi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pin driving part which rotates the second part around the spin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Sub equipment; And
And a hub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b-device and rotated together when the second part is rotated
The hub device includes:
A display for outputting an image;
A direction sensor for sensing a direction of a user with respect to the hub device;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predetermined network;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pin driving unit,
Wherein,
And controls the spin driving unit such that an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is directed to a direction of a user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senso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파트가 상기 스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각도를 감지하는 제 1스핀 구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first spin driv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angle of rotation of the second part about the spin rotation axi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기기는, 함몰된 홈을 이루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 기기는, 상기 안착부의 홈 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b-device includes a seating part forming a recessed groove,
Wherein the hub device includes a coupling portion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seating por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기기는, 상기 허브 기기의 제어 신호를 상기 서브 기기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에 구비된 서브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기기는, 상기 서브 연결 단자와 접촉되게 상기 안착부에 구비된 허브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hub device includes a sub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oupling unit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of the hub device to the sub device,
And the sub-device includes a hub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b connection termina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기기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허브 기기는 복수의 서브 기기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lurality of sub-devices are provided,
Wherein the hub device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nectable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sub-devic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파트는,
상기 제 1파트에 대해, 틸팅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서브 기기는,
상기 제 2파트를 상기 틸팅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틸팅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화상이 상기 방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틸팅 구동부를 더 제어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part comprises:
Wherein the first part is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ound the tilting rotary shaft,
The sub-
And a tilting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econd part about the tilting rotary shaft,
Wherein,
And further controls the tilting drive unit such that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is directed to the direc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senso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파트가 상기 틸팅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각도를 감지하는 틸팅 구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tilting driv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angle of rotation of the second part about the tilting rotary shaf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기기는,
상기 제 2파트에 대해, 어퍼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 3파트; 및
상기 제 3파트를 상기 어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어퍼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화상이 상기 방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어퍼 구동부를 더 제어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b-
A third part, which is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bout the upper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n upper drive portion for rotating the third part around the upper rotation shaft,
Wherein,
And further controls the upper driver so that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is directed to the direc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senso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기기는,
상기 제 3파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hub device include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hird par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기기는,
상기 제 2파트에 대해, 좌우 틸팅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 3파트; 및
상기 제 3파트를 상기 좌우 틸팅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좌우 틸팅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화상이 상기 방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좌우 틸팅 구동부를 더 제어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b-
A third part provided on the second part so as to be til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bout the left and right tilting rotary shafts; And
Further comprising a left and right tilting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third part around the left and right tilting rotary shafts,
Wherein,
And further controls the left and right tilting driver so that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is directed to the direc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ng sensor.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기기는,
상기 제 3파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뮤니케이션 로봇.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hub device include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hird part.
KR1020170000471A 2017-01-02 2017-01-02 Hub apparatus for network, Sub apparatus for motion and Comunication robot using the same KR1018985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71A KR101898589B1 (en) 2017-01-02 2017-01-02 Hub apparatus for network, Sub apparatus for motion and Comunication robo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71A KR101898589B1 (en) 2017-01-02 2017-01-02 Hub apparatus for network, Sub apparatus for motion and Comunication robo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28A KR20180079828A (en) 2018-07-11
KR101898589B1 true KR101898589B1 (en) 2018-09-13

Family

ID=6291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471A KR101898589B1 (en) 2017-01-02 2017-01-02 Hub apparatus for network, Sub apparatus for motion and Comunication robo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5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429B1 (en) 2019-07-12 2021-0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Internet of things hub of ship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110B1 (en) * 2008-06-29 2015-06-2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Automatic transfer of information through physical docking of devices
KR101542410B1 (en) * 2009-12-17 201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appliance having a detachable communication modem
KR101589232B1 (en) * 2008-04-18 2016-01-27 더블유.아이.엔.-와이어리스 인터그레이티드 네트워크 에스.알.엘. Support device for sensors and/or actuators that can be part of a wireless network of sensors/actuators
WO2016111916A1 (en) * 2015-01-06 2016-07-14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nternet of things (iot) remote control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077B1 (en) * 2014-12-01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232B1 (en) * 2008-04-18 2016-01-27 더블유.아이.엔.-와이어리스 인터그레이티드 네트워크 에스.알.엘. Support device for sensors and/or actuators that can be part of a wireless network of sensors/actuators
KR101530110B1 (en) * 2008-06-29 2015-06-2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Automatic transfer of information through physical docking of devices
KR101542410B1 (en) * 2009-12-17 201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ntrol method for an electric appliance having a detachable communication modem
WO2016111916A1 (en) * 2015-01-06 2016-07-14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nternet of things (iot) remote control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28A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376B1 (en) Robot for Communication
KR101281806B1 (en) Personal service robot
KR20130060952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service robot
CN110625594B (en) Robot
KR101962151B1 (en) Robot for Communication
KR101898589B1 (en) Hub apparatus for network, Sub apparatus for motion and Comunication robot using the same
CN110633249B (en) robot
KR101992380B1 (en) Robot for Communication
US11413739B2 (en) Communication robot
KR101961375B1 (en) Robot for Communication
US20210337693A1 (en) Robot
US11402055B2 (en) Robot
CN110625619B (en) Robot
US11298835B2 (en) Robot
US20190389055A1 (en) Robot
EP3597373A1 (en) Backlash prevention mechanism for tilting motion of a domestic robot
US11556131B2 (en) Robot
CN220964937U (en) Interactive bracket
KR101922952B1 (en) a Bending apparatus and a Robot including the same
US10901397B2 (en) Multifunctional component and system therefor
KR20160083786A (en) Mobile robot and method for docking with charge station of the mobile robot using user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