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662B1 -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662B1
KR101896662B1 KR1020110115398A KR20110115398A KR101896662B1 KR 101896662 B1 KR101896662 B1 KR 101896662B1 KR 1020110115398 A KR1020110115398 A KR 1020110115398A KR 20110115398 A KR20110115398 A KR 20110115398A KR 101896662 B1 KR101896662 B1 KR 101896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electrode
concave portion
light emit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0185A (en
Inventor
문선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662B1/en
Publication of KR2013005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6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6Materials, e.g. epoxy or silicone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호 이격된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을 구비하는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1 오목부; 상기 제1 오목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전극분리부; 상기 발광소자 상에 형광체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지층;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전극층 상에 렌즈; 및 상기 전극층 하측에 배치되는 절연막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절연막 패턴을 관통하는 돌출 전극을 포함한다.
Embodiments relate to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backlight unit, and an image display device.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includes: an electrode layer having a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 the first recess; An electrode separator for electrically separa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 resin layer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include a phosphor; A lens on the resin layer and the electrode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pattern disposed under the electrode layer, wherein the electrode layer includes a protruding electrode penetrating the insulating layer pattern.

Description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backlight unit,

실시예는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backlight unit, and an image display device.

발광소자(LED)는 전기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는 반도체소자로서, 화합물 반도체의 조성을 제어하여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등 다양한 파장(색)의 빛을 구현할 수 있으며, 형광물질을 이용하거나 색을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백색 빛을 구현할 수 있다.A light emitting device (LED) is a semiconductor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 energy into light energy. The compound semiconductor can control the composition of the compound semiconductor to realize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colors) such as red, green, blue and ultraviolet rays. It is possible to realize white light with high efficiency.

발광소자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 등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냉음극관(CCFL: 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을 대체하는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 형광등이나 백열 전구를 대체할 수 있는 백색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자동차 헤드 라이트 및 신호등에까지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has advantage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semi-permanent lifetime, fast response speed, safe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compared to conventional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and incandescent lamps. Accordingly, a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replacing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constituting a backlight of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capable of replacing a fluorescent lamp or an incandescent lamp, And traffic lights.

종래기술에 의한 발광소자 패키지는 패키지 바디 상에 발광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패키지 바디 상에 전극층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 상에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상에 소정의 렌즈 형태의 몰딩부가 형성된다.In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light emitting device is mounted on a package body, and an electrode layer is formed on the package bod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Also,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 resin layer including a phosphor and a molding portion of a predetermined lens shape are formed on the resin layer.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측면으로 돌출되는 전극을 구비하나, 이러한 측면 돌출형태의 전극은 SMD(surface-mount devices) 등의 공정시 틸트(tilt)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안정적인 전극구조가 요구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electrodes protruding laterally are provided. However, such side-protruding electrodes suffer from problems such as tilt during the process of SMD (surface-mount devices) and the like, and a stable electrode structure is required .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발광소자 패키지는 고온고습 동작시 신뢰성 문제가 지적된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 의하면 렌즈 몰딩부와 전극층 사이의 기본적인 접착력의 약화로 인해 측면부위가 습기 유입에 취약하여 기밀성(Sealing quality)이 문제가 되어 신뢰성의 이슈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has a reliability problem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operation.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basic adhesion between the lens molding portion and the electrode layer is weakened, the side portion is vulnerable to the inflow of moisture, which causes a problem of sealing quality, which is a problem of reliability.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렌즈 몰딩부의 탄성계수가 전극층의 탄성계수보다 큼으로써 열응력 스트레스(stress)가 발생하여 기밀성(Sealing quality)이 저하되어 습기 유입시 습기침투에 의한 신뢰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elastic modulus of the lens mold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ectrode layer, so that thermal stress stress is generated and the sealing quality is lowered,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reliability due to moisture penetration during moisture inflow .

실시예는 안정적인 전극 구조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backlight unit, and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stable electrode structure.

또한, 실시예는 신뢰성이 개선된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the embodiment is intended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backlight unit and a video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reliability.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호 이격되며 제1돌출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층과 제2돌출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극층을 구비하는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1 오목부;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에 각각 형성된 제2 오목부; 상기 제1 오목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전극분리부; 상기 발광소자 상에 형광체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지층;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전극층 상에 렌즈; 및 상기 전극층 하측에 배치되는 절연막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전극과 상기 제2돌출전극은 상기 절연막 패턴을 관통하며, 상기 제1돌출전극은 상기 제1오목부 및 상기 제2오목부에 대응되어 배치되어 노출되고, 상기 제2돌출전극은 상기 제2오목부에 대응되어 배치되어 노출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ode laye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layer including a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including a second protruding electrode,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respectively;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 the first recess; An electrode separator for electrically separa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 resin layer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include a phosphor; A lens on the resin layer and the electrode layer; And an insulating film pattern disposed below the electrode layer, wherein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penetrate the insulating film pattern, and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i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cess to be expos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실시예는 안정적인 전극 구조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can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backlight unit, and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stable electrode structur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신뢰성이 개선됨으로써 광효율이 증대된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e backlight uni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light efficiency can be provided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제1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제2 단면도.
도 4 내지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방법의 공정 단면도.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first 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second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to 11 are process sectional view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over)"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over)"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layer (film), area, pattern or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being "on" or "under" the substrate, each layer Quot; on "and" under "are intended to include both" directly "or" indirectly " do. Also, the criteria for top, bottom, or bottom of each lay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실시예)(Exampl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제1 단면도이며,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의 제2 단면도이다.2 is a 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예를 들어,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or exampl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II' of FIG.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상호 이격된 제1 전극층(221)과 제2 전극층(222)을 구비하는 전극층(220)과, 상기 제1 전극층(22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1 오목부(C1)와,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오목부(C1)에 배치되는 발광소자(250)와, 상기 제1 전극층(221)과 상기 제2 전극층(222)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전극분리부(232)와,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오목부(C1)의 상기 발광소자(250) 상에 형광체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지층(270)과, 상기 수지층(270) 및 상기 전극층(220) 상에 렌즈(280); 및 상기 전극층(220) 하측에 배치되는 절연막 패턴(210)절연막 패턴(210)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the electrode layer 220 hav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 light emitting element 250 dispos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250 electrically separa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from each other, A resin layer 270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250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including a phosphor and a resin layer 270 formed on the resin layer 270, 220; And an insulating film pattern 210 disposed under the electrode layer 220. The insulating film pattern 210,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오목부(C1)는 상기 제1 전극층(221)의 일부 영역에 대해 제1 다운 셋(down-set) 영역 또는 절곡부 영역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오목부(C1)는 전극층(2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다운 셋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오목부(C1)는 상기 렌즈(280)의 상하간에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may be a first down-set region or a bend region for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a first downset reg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lectrode layer 220. [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ns 280. [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층(220)에 다운셋 하여 제1 오목부(C1)를 형성하고, 발광소자(250)를 실장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down-set on the electrode layer 220, and the light-emitting device 250 may be mounted on the electrode layer 220 to increase structural stability.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층(220) 상에 제1 오목부(C1)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오목부(C1) 영역에 발광소자(250)를 실장하고,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층(270)을 형성함으로써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층(Encapsulate) 형성시 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균일한 색온도를 연출할 수 있어 색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fter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is formed on the electrode layer 220,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mounted on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the resin layer 270 can be formed to have a dome shape when a resin layer including a phosphor is formed. Thus, a uniform color temperature can be produced, and color deviation can be improved.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250) 위에 형광체를 도팅(dotting)함으로써 기존 컵(Cup) 안에 채우는 형식보다 형광체의 면적이 감소하여 색편차를 줄임으로써 얼룩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더불어 세트의 두께도 낮출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rea of the phosphor is reduced by reducing the area of the fluorescent material by filling the fluorescent material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to fill the existing cup, thereby reducing the color deviation, Can also be reduced.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층(220) 상에 제1 오목부(C1)을 형성한 후 발광소자(250)를 실장함으로써 발광소자(250)가 안착 되는 위치가 낮아져서 와이어 본딩시 와이어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열응력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열응력에 의한 옐로우 링(Yellow ring)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first recessed portion C1 is formed on the electrode layer 220 and t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mounted,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seated is lowered, And minimizes the influence of thermal stress, thereby improving the yellow ring phenomenon caused by thermal stress.

또한, 실시예는 상기 제1 오목부(C1)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250) 및 상기 수지층(270) 둘레에 위치하는 홈(H)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상기 수지층(270) 외곽 둘레의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오목부(C1)에 홈(H)이 형성됨으로써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층(270)을 돔(dome) 형상으로 형성하여 색편차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형광체는 컨포멀코팅(conformal coating)등의 방법으로 돔 형상이 아닌 평평한 형상으로 도포할 수도 있다.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groove H formed on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located around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and the resin layer 270. [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a groove H is form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round the periphery of the resin layer 270 so that the resin layer 270 including the phosphor is dome- The phosphor may be applied in a flat shape instead of a dome by a method such as conformal coating.

또한, 실시예는 상기 제1 전극층(221)과 상기 제2 전극층(222)에 각각 형성된 제2 오목부(C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second concave portion C2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respectively.

상기 제2 오목부(C2)는 상기 제1 전극층(221) 또는 상기 제2 전극층(2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된 제2 다운셋 영역 또는 제2 절곡부 영역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오목부(C2)는 전극층(220)을 기준으로 모서리 또는 사이드에 형성된 제2 다운셋 영역일 수 있다.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may be a second downset region or a second bent portion reg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may be a second down-set region formed on an edge or a side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layer 220. [

상기 제2 오목부(C2)는 상기 렌즈(280)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오목부(C2)는 상기 렌즈(280)의 외곽부와 접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렌즈(280)의 외곽 하측에 배치된 제2 오목부(C2)가 열응력 스트레스에 의한 렌즈(280)의 변형을 저지해 줌으로써 렌즈(280)의 박리(Delamination)문제를 방지하여 습기침투에 대한 기밀성이 강화되어 신뢰성이 개선된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may overlap with the lens 280 i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For example,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outer frame portion of the lens 280, so that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disposed below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ns 280 is deformed by thermal stress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e backlight uni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reliability can be provided by preventing the delamination problem of the lens 280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lens 280, thereby enhancing airtightness against moisture penetration .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280)는 상기 제2 오목부(C2)와 상하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오목부(C2)에 의해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the lens 280 may overlap with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us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한편, 상기 렌즈(280)는 상기 제2 오목부(C2)와 상하방향으로 중첩하지 않을 수도 있다.Meanwhile, the lens 280 may not overlap with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오목부(C2)는 전극으로 역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상기 제2 오목부(C2)의 저면으로 제1 전극층(221), 제2 전극층(222)의 일부가 노출되고, 저면으로 노출된 제1 전극층(221), 제2 전극층(222)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may serve as an electro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are partially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And the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wo-electrode layer 222.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극층(220)은 상기 절연막 패턴(210)을 관통하는 돌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ectrode layer 220 may include a protruding electrode penetrating the insulating layer pattern 210.

예를 들어, 상기 전극층(220)의 돌출 전극은 상기 제1 오목부(C1) 또는 상기 제2 오목부(C2)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ding electrode of the electrode layer 220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이에 따라 전극층(220)의 돌출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층(221)에 형성되는 제1 돌출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층(222)에 형성되는 제2 돌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층(220)의 돌출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층(221)에서 연장되는 제1 돌출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층(222)에서 연장되는 제2 돌출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돌출 전극과 상기 제2 돌출 전극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ruding electrode of the electrode layer 220 may include a first protruded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a second protruded electrode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For example, the protruding electrode of the electrode layer 220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a second protruding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And the protruding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can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실시예에서 제1 전극층(221)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C1)와 제2 오목부(C2)는 제1 돌출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층에 형성되는 제2 오목부(C2)는 제2 돌출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may function as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1 C2 may function as a second protruding electrode.

상기 제1 돌출 전극과 상기 제2 돌출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일 수 있으며, 복수일 경우라도 상기 제1 돌출 전극과 상기 제2 돌출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돌출 전극이 양극(+)인 경우 상기 제2 돌출 전극은 음극(-)일 수 있고, 상기 제1 돌출 전극이 음극(-)인 경우 상기 제2 돌출 전극은 양극(+)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may have a plurality of polarities, and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That is, when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is a positive electrode,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may be a negative electrode. When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is a negative electrode,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is a positive electr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돌출 전극 및 상기 제2 돌출 전극은 동일한 극성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돌출 전극 및 상기 제2 돌출 전극과 다른 극성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may have the same polarity, and in this case, the first recess may have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실시예에 의하면 안정적인 전극구조의 제공을 위해 전극층(220) 하부(bottom)로 노출되는 전극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층(220) 하측에 형성되는 절연막 패턴(210)에 의해 노출되는 전극층 부분을 하부(bottom) 전극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de structure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electrode layer 220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electrode structure.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electrode layer exposed by the insulating film pattern 210 formed under the electrode layer 220 may be used as a bottom electrode.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저면 돌출 전극을 구비함으로써 SMD(surface-mount devices) 등의 공정시 틸트(tilt)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전극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bottom protruding electrode is provided, problems such as tilt during a process such as SMD (surface-mount devices) and the like are not caused, thereby providing a structurally stable electrode structure.

그러므로 실시예에 의하면 안정적인 전극 구조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backlight unit, and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stable electrode structure.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층(221)과 제2 전극층(222)은 전극분리부(232)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대칭개구부(231)가 상기 제1 오목부(C1)를 기준으로 상기 전극분리부(232)와 대칭되는 위치의 상기 제1 전극층(221)에 상기 전극분리부(232)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열응력에 대해 안정적일 수 있고, 반사면 상의 비대칭에 의한 광 균일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분리부(232) 및 대칭개구부(231)는 분리영역(230)을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by the electrode separator 232 and the symmetrical opening 231 may be formed on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electrode separator 232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electrode separator 232 so as to be stable to thermal stress, The light uniformity problem can be solved. The electrode separator 232 and the symmetric opening 231 may form the isolation region 230.

종래기술에 의하면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층은 전극 분리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극분리선은 습기 유입에 취약하여 기밀성(Sealing quality)이 문제가 되어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electrode layer can be electrically separated by an electrode separation line in order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Such an electrode separation line is problematic in terms of reliability because it is vulnerable to inflow of moisture and thus has a problem of sealing quality.

이에 실시예는 전극분리부(232)를 곡선을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습기침투의 경로를 길게 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y forming the electrode separator 232 to include a curve, the path of the moisture penetration can be lengthened to enhance the airtightness,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상기 전극분리부(232) 또는 상기 대칭개구부(231)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오목부(C1)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선형태를 포함함으로써 습기침투의 경로를 길게 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separator 232 or the symmetric opening 231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curved shape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by enhancing the airtightness by lengthening the path of moisture penetration.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극분리부(232) 또는 상기 대칭개구부(231)는 상기 제2 오목부(C2)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선형태를 구비함으로써 습기침투의 경로를 길게 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lectrode separator 232 or the symmetric opening 231 has a curved shape at a position close 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thereby enhancing the airtightness by extending the moisture permeating path, Can be improved.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분리부(232) 또는 상기 대칭개구부(231)는 상기 제1 오목부(C1) 및 상기 제2 오목부(C2)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선형태를 구비함으로써 습기침투의 경로를 길게 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lectrode separator 232 or the symmetrical opening 231 may have a curved shape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The reliability can be improved by enhancing the airtightness.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극분리부(232) 및/또는 상기 대칭개구부(231)는 상기 제1 오목부(C1) 및/또는 상기 제2 오목부(C2)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선형태를 구비하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직선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de separator 232 and / or the symmetrical opening 231 may have a curved shape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 or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The remaining regions may be linea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실시예는 상기 전극분리부(232) 또는 상기 대칭개구부(231)는 상기 제1 오목부(C1) 및/또는 상기 제2 오목부(C2)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선형태를 구비함과 아울러 나머지 영역에서 불규칙한 곡선형태(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습기침투의 경로를 길게 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lectrode separator 232 or the symmetrical opening 231 may have a curved shape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 or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By providing an irregular curved shape (not shown) in the remaining area,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reliability by enhancing the airtightness by lengthening the path of moisture penetration.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오목부(C1)는 상기 전극분리부(232)와 상기 대칭개구부(231) 사이의 전극층(220)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오목부(C2)는 상기 전극분리부(232)와 상기 대칭개구부(231)의 외측의 전극층(220)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layer 220 between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232 and the symmetric opening portion 23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may b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electrode layer 220, And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separating portion 232 and the electrode layer 220 outside the symmetric opening 231.

상기 제2 오목부(C2)는 제1 전극층(221)의 모서리에 2개, 제2 전극층(222)의 모서리에 2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오목부(C2)는 상기 제1 전극층(221)과 상기 제2 전극층(222)의 모서리에 각각 1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is formed at two corner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wo at the corners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cess C2 may be formed at one or more corner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respectively.

상기 발광소자(250)는 상기 제1 오목부(C1)의 실장영역에 실리콘 에폭시 등의 다이 접착제(미도시)를 형성한 후 실장되거나 유테틱(Eutectic) 본딩에 의해 실장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may be mounted after mounting a die bonding agent (not shown) such as silicon epoxy on the mounting region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or by eutectic bonding.

상기 발광소자(250)는 와이어에 의해 반사층(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소자(250)는 제1 와이어(261)에 의해 제1 반사층(2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와이어(262)에 의해 제2 반사층(2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flective layer 240 by wires.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flective layer 241 by a first wire 261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flective layer 242 by a second wire 262 .

실시예에 의하면 신뢰성이 개선됨으로써 광효율이 증대된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e backlight uni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light efficiency can be provided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방법을 설명하면서 실시예의 특징을 좀 더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조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4 to 1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the features of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meantime, the description of the manufacturing method is based on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but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우선, 도 4와 같이, 절연막층(210a)을 준비하고, 도 5a와 같이 절연막 패턴(210)을 형성한다. 도 5b는 도 5a의 상면도이며, 도 5a는 도 5a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rst, as shown in FIG. 4, an insulating film layer 210a is prepared and an insulating film pattern 210 is formed as shown in FIG. 5A. FIG. 5B is a top view of FIG. 5A, and FIG. 5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5A.

상기 절연막 패턴(210)은 펀칭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sulating film pattern 210 may be formed by a punching proc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절연막 패턴(210)은 이후 형성되는 제1 전극층(221)과 제2 전극층(222)의 각각의 하측에 부착되는 제1 절연막 패턴(211) 및 제2 절연막 패턴(21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절연막 패턴(210)은 두 전극층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고 인접한 두 전극층을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insulating layer pattern 210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layer pattern 211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pattern 212 which are formed below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The insulating film pattern 210 maintains the gap between the two electrode layers and supports and fixes the two adjacent electrode layers.

상기 절연막 패턴(210)은 이후 형성될 제1 오목부(C1), 제2 오목부(C2)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1 관통홀(T1), 제2 관통홀(T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film pattern 210 may be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T1 and a second through hole T2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to be formed later have.

또한, 상기 절연막 패턴(210)은 인접한 두 전극층 사이에 배치된 전극분리부(232), 대칭개구부(231) 영역을 커버하며, 수지층(27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액상의 수지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sulating film pattern 210 covers the electrode separator 232 and the symmetrical opening 231 disposed between adjacent two electrode layers and prevents liquid resin from leaking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sin layer 270 Can be prevented.

상기 절연막 패턴(210)은 투광성 또는 비 투광성 필름을 포함하며, 예컨대 PI(폴리 이미드) 필름, PET(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름,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필름,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TAC(트라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 PAI(폴리아마이드-이미드), PEEK(폴리에테리-에테르-케톤), 퍼플루오로알콕시(PF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 필름(PE, PP, P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sulating film pattern 210 includes a light-transmitting or non-light-transmitting film,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PI (polyimide) film, a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n EVA (ethylene vinyl acetate) film, a PEN (PA), polyetheretherketone (PEEK), perfluoroalkoxy (PFA), polyphenylene sulfide (PPS), resin films (PE, PP, PET) and the like.

다음으로, 도 6과 같이 상기 절연막 패턴(210) 상에 전극층(22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층(220)은 구리(Cu), Cu-Ni, Cu-Mg-Sn와 같이 구리(Cu)를 포함하는 합금, Fe-Ni와 같이 철(Fe)을 포함하는 합금(alloy),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n electrode layer 220 is formed on the insulating film pattern 21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electrode layer 220 may be formed of an alloy including copper (Cu), Cu-Ni, Cu-Mg-Sn, an alloy including Fe ), Aluminum (Al), or an alloy including aluminu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전극층(220)은 15㎛~30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께는 바람직하게 15㎛~35㎛ 범위로 형성될 수 있고 발광소자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으로 기능하며, 또한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도하는 방열 부재로 동작할 수 있다.The electrode layer 220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15 μm to 300 μm.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layer 220 may preferably be in the range of 15 μm to 35 μm and functions as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operate as a heat dissipating member that conducts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dissipating unit.

다음으로, 도 7과 같이 상기 전극층(220)에 프레스 공정 또는 식각을 통해 제1 전극층(221)과 제2 전극층(222)으로 분리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7, the electrode layer 220 can be separated into a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222 through a pressing process or etching.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극층(221)과 제2 전극층(222)은 전극분리부(232)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대칭개구부(231)가 이후 형성되는 제1 오목부(C1)를 기준으로 상기 전극분리부(232)와 대칭되는 위치의 상기 제1 전극층(221)에 형성되어 열응력에 대해 안정적이며 반사부의 대칭구조로 광 균일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전극분리부(232), 대칭개구부(231)는 상기 전극층에 대한 식각공정 또는 프레스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by the electrode separator 232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formed after the symmetrical opening 231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electrode separator (232) on the basi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32) and is stable to thermal stress and can increase the light uniformity with a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reflector. The electrode separator 232 and the symmetric opening 231 may be formed by an etching process or a pressing process for the electrode layer.

실시예는 전극분리선(230)을 곡선을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습기침투의 경로를 길게 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electrode separation line 230 is formed so as to include a curve so that the path of the moisture penetration can be lengthened to enhance the airtightness,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상기 전극분리부(232) 또는 상기 대칭개구부(231)는 상기 제1 오목부(C1)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선형태를 구비함으로써 습기침투의 경로를 길게 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electrode separator 232 or the symmetrical opening 231 has a curved shape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cave C1.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by enhancing the airtightness by lengthening the path of moisture penetration.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극분리부(232) 또는 상기 대칭개구부(231)는 상기 제2 오목부(C2)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선형태를 구비함으로써 습기침투의 경로를 길게 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lectrode separator 232 or the symmetric opening 231 has a curved shape at a position close 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thereby enhancing the airtightness by extending the moisture permeating path, Can be improved.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분리부(232) 또는 상기 대칭개구부(231)는 상기 제1 오목부(C1) 및 상기 제2 오목부(C2)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선형태를 구비함으로써 습기침투의 경로를 길게 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lectrode separator 232 or the symmetrical opening 231 may have a curved shape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The reliability can be improved by enhancing the airtightness.

또한, 실시예는 상기 전극분리부(232) 또는 상기 대칭개구부(231)는 상기 제1 오목부(C1) 및/또는 상기 제2 오목부(C2)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선형태를 구비함과 아울러 나머지 영역에서 불규칙한 곡선형태(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습기침투의 경로를 길게 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lectrode separator 232 or the symmetrical opening 231 may have a curved shape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 or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By providing an irregular curved shape (not shown) in the remaining area,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reliability by enhancing the airtightness by lengthening the path of moisture penetration.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는 이후 형성되는 수지층 외곽 둘레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전극층(221)에 홈(H)을 형성함으로써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층(270)을 돔(dome) 형상으로 형성하여 색편차를 줄일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7, in the embodiment, a groove H is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resin layer to be formed later, so that the resin layer 270 including the phosphor is formed into a dome shape So that the color deviation can be reduced.

상기 제1 전극층(221)에 형성되는 홈(H)은 해프 에칭(half ethching)에 의해 제1 전극층(221)을 관통하지 않도록 식각을 진행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grooves H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may be etched so as not to penetrate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by half-etch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도 8과 같이 전극층(220)에 대해 제1 오목부(C1) 및 제2 오목부(C2) 형성공정을 진행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층(220)에 다운셋 하여 제1 오목부(C1)를 형성하고, 발광소자(250)를 실장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Next,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is performed on the electrode layer 220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down-set on the electrode layer 220, and the light-emitting device 250 may be mounted on the electrode layer 220 to increase structural stability.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오목부(C1)는 상기 제1 전극층(221)의 일부 영역에 대해 제1 다운 셋(down-set) 영역 또는 절곡부 영역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오목부(C1)는 전극층(2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다운 셋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오목부(C1)는 상기 렌즈(280)의 상하 간에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may be a first down-set region or a bend region for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or example,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a first downset reg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lectrode layer 220. [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ns 280. [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층(220) 상에 제1 오목부(C1)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오목부(C1)에 발광소자(250)를 실장하고,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층(270)을 형성함으로써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층(Encapsulate) 형성시 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균일한 색온도를 연출할 수 있어 색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formed on the electrode layer 220 and t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to form the resin layer 270 including the phosphor It is possible to form a dome shape when forming a resin layer (encapsulate) including a phospho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uniform color temperature and to improve the color deviation.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250) 위에 형광체를 도팅(dotting)함으로써 기존 컵(Cup) 안에 채우는 형식보다 형광체의 면적이 감소하여 색편차를 줄임으로써 얼룩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더불어 세트의 두께도 얇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rea of the phosphor is reduced by reducing the area of the fluorescent material by filling the fluorescent material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to fill the existing cup, thereby reducing the color deviation, Can be made thinner.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층(220) 상에 제1 오목부(C1)을 형성한 후 발광소자(250)를 실장함으로써 발광소자(250)가 안착 되는 위치가 낮아져서 와이어 본딩시 와이어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열응력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열응력에 의한 옐로우 링(Yellow ring)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first recessed portion C1 is formed on the electrode layer 220 and t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mounted,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seated is lowered, And minimizes the influence of thermal stress, thereby improving the yellow ring phenomenon caused by thermal stress.

또한, 실시예는 상기 제1 오목부(C1) 형성시 상기 전극층(220)을 기준으로 모서리 또는 사이드에 제2 오목부(C2)를 형성할 수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예를 들어, 상기 제2 오목부(C2)는 상기 제1 전극층(221)과 상기 제2 전극층(222)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2 다운셋 영역 또는 제2 절곡부 영역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may be formed at an edge or a side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layer 220 when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is formed (see FIGS. 1 and 3). For example, the second recess C2 may be a second down-set region or a second bend region formed at the edge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no.

상기 제2 오목부(C2) 형성공정은 상기 제1 오목부(C1) 형성공정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오목부(C2)는 이후 형성되는 렌즈(280)의 외곽부와 접하여 형성됨으로써, 렌즈(280)의 외곽 하측에 배치된 제2 오목부(C2)가 열응력 스트레스에 의한 렌즈(280)의 변형을 저지해 줌으로써 렌즈(280)의 박리(Delamination)문제를 방지하여 습기침투에 대한 기밀성이 강화되어 신뢰성이 개선된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portion of the lens 280 to be formed later so that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ns 280 is in contact with the thermal stress stress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backlight unit, and an imag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reliability can be provided by preventing the delamination problem of the lens 280 by preventing the lens 280 from being deformed due to moisture penetration have.

한편, 실시예에서 렌즈(280)는 제2 오목부(C2)와 접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오목부(C2)에 의해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the lens 280 may not contact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In this case,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상기 제1 오목부(C1)는 상기 전극분리부(232)와 상기 대칭개구부(231) 사이의 전극층(220)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오목부(C2)는 상기 전극분리부(232)와 상기 대칭개구부(231)의 외측의 전극층(220)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de layer 220 between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232 and the symmetric opening portion 231.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may be formed in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232 and the edge of the electrode layer 220 outside the symmetric opening 231. [

상기 제2 오목부(C2)는 제1 전극층(221)의 모서리에 2개, 제2 전극층(222)의 모서리에 2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오목부(C2)는 상기 제1 전극층(221)과 상기 제2 전극층(222)의 모서리에 각각 1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is formed at two corner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wo at the corners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cess C2 may be formed at one or more corners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respectively.

실시예에 의하면 안정적인 전극구조의 제공을 위해 전극층(220) 하부(bottom)로 노출되는 전극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층(220) 하측에 형성되는 절연막 패턴(210)에 의해 노출되는 전극층 부분을 하부(bottom) 전극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de structure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electrode layer 220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electrode structure.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electrode layer exposed by the insulating film pattern 210 formed under the electrode layer 220 may be used as a bottom electrode.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극층(220)은 상기 절연막 패턴(210)을 관통하는 돌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220)의 돌출 전극은 상기 제1 오목부(C1) 및 상기 제2 오목부(C2)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de layer 220 may include a protruding electrode penetrating the insulating layer pattern 210. The protruding electrode of the electrode layer 220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이에 따라 전극층(220)의 돌출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층(221)에서 연장되는 제1 돌출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층(222)에서 연장되는 제2 돌출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돌출 전극과 상기 제2 돌출 전극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protruding electrode of the electrode layer 220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a second protruding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실시예에서 제1 전극층(221)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C1)와 제2 오목부(C2)는 제1 돌출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층에 형성되는 제2 오목부(C2)는 제2 돌출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 C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C2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may function as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1 C2 may function as a second protruding electrode.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저면 돌출 전극을 구비함으로써 SMD(surface-mount devices) 등의 공정시 틸트(tilt)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전극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bottom protruding electrode is provided, problems such as tilt during a process such as SMD (surface-mount devices) and the like are not caused, thereby providing a structurally stable electrode structure.

다음으로, 도 9와 같이 상기 전극층(220) 상에 반사층(2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240)은 제1 전극층(221) 상에 제1 반사층(241), 상기 제2 전극층(222) 상에 제2 반사층(242)을 포함할 수 있다.Next, a reflective layer 240 may be formed on the electrode layer 220 as shown in FIG. The reflective layer 240 may include a first reflective layer 241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and a second reflective layer 242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상기 반사층(240)은 은(Ag), 니켈(Ni), 알루미늄(Al) 또는 그 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reflective layer 2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ver (Ag), nickel (Ni), aluminum (Al), and an alloy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도 10과 같이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오목부(C1)에 발광소자(250)를 실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오목부(C1)의 실장영역에 실리콘 에폭시 등의 다이 접착제(미도시)를 형성한 후 발광소자(250)를 실장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0,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is mounted on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can be mounted after a die adhesive (not shown) such as silicon epoxy is formed on the mounting region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이후, 상기 발광소자(250)는 제1 와이어(261)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와이어(262)에 의해 제2 전극층(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221 by a first wire 261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222 by a second wire 262. [ have.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층(220)의 제1 오목부(C1)에 발광다이오드를 실장함으로써 발광소자가 안착 되는 위치가 낮아져서 와이어 본딩시 와이어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열응력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열응력에 의한 옐로우 링(Yellow ring)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mounting the light emitting diode on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of the electrode layer 220,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seated is lowered, so that the height of the wire can be lowered during wire bonding,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rmal stre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yellow ring phenomenon caused by the heat treatment.

다음으로, 상기 제1 전극층의 제1 오목부(C1)의 상기 발광소자(250) 상에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층(270)을 형성한다.Next, a resin layer 270 including a fluorescent material is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실시예에 의하면 전극층(220) 상에 제1 오목부(C1)를 형성한 후, 상기 제1 오목부(C1)에 발광소자(250)를 실장하고,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층(270)을 형성함으로써 형광체를 포함하는 수지층(Encapsulate) 형성시 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균일한 색온도를 연출할 수 있어 색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The first concave portion C1 may be formed on the electrode layer 220 and t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5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concave portion C1 to form the resin layer 270 including the phosphor It is possible to form a dome shape when forming a resin layer (encapsulate) including a phospho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uniform color temperature and to improve the color deviation.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 위에 형광체를 도팅(dotting)함으로써 기존 컵(Cup) 안에 채우는 형식보다 형광체의 면적이 감소하여 색편차를 줄임으로써 얼룩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더불어 세트의 두께도 낮출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fluorescent material is reduced by reducing the area of the fluorescent material by filling the fluorescent material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to fill the existing cup, thereby reducing the color deviation, Can be lowered.

다음으로, 도 11과 같이 상기 수지층(270) 및 상기 전극층(220) 상에 렌즈(280)를 형성한다.Next, a lens 280 is formed on the resin layer 270 and the electrode layer 220 as shown in FIG.

실시예에서의 렌즈(280)는 중심부가 오목하고 주변부가 원형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렌즈(280)는 상기 수지층(270)의 물질과 유사한 물성을 물질로 형성하여 열응력에 따른 열팽창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280)는 실리콘(Silicone)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ens 280 in the embodiment may have a concave center portion and a circular portion at the peripheral portion. The lens 28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imilar to the material of the resin layer 270 so as to minimize thermal expansion stress due to thermal stress. For example, the lens 280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는 안정적인 전극 구조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can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backlight unit, and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stable electrode structur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신뢰성이 개선됨으로써 광효율이 증대된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e backlight uni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light efficiency can be provided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1100)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cklight unit and an image display device 11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00)는 바텀 커버(1152), 상기에 개시된 발광소자 패키지(200)가 어레이된 기판(1020), 광학 부재(1154), 및 표시 패널(1155)을 포함한다.12, a display device 1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bottom cover 1152, a substrate 1020 on which the above-describe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is arrayed, an optical member 1154, and a display panel 1155 ).

상기 기판(1020)과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200)는 발광 모듈(1060)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1152),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1060), 광학 부재(1154)는 라이트 유닛(1150)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substrate 102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200 may be defined as a light emitting module 1060. The bottom cover 1152, at least one light emitting module 1060, and the optical member 1154 may be defined as a light unit 1150.

상기 바텀 커버(1152)에는 수납부(115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bottom cover 1152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15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상기 광학 부재(1154)는 렌즈, 도광판, 확산 시트, 수평 및 수직 프리즘 시트, 및 휘도 강화 시트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은 PC 재질 또는 PMMA(Poly methy methacry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도광판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확산 시트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주고, 상기 수평 및 수직 프리즘 시트는 입사되는 광을 표시 영역으로 집광시켜 주며, 상기 휘도 강화 시트는 손실되는 광을 재사용하여 휘도를 향상시켜 준다. Here, the optical member 115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ens, a light guide plate, a diffusion sheet, a horizontal and vertical prism sheet, and a brightness enhancement sheet. The light guide plate may be made of a PC material or a PMMA (poly methy methacrylate) material, and such a light guide plate may be removed. The diffusion sheet diffuses incident light,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rism sheets condense incident light into a display area. The brightness enhancing sheet enhances brightness by reusing the lost light.

상기 광학 부재(1154)는 상기 발광 모듈(1060) 위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 모듈(1060)로부터 방출된 광을 면 광원화 하거나, 확산, 집광 등을 수행하게 된다.The optical member 1154 is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module 1060,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060 is converted into a surface light source, or diffused or condensed.

실시예는 안정적인 전극 구조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can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 backlight unit, and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stable electrode structur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신뢰성이 개선됨으로써 광효율이 증대된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the backlight unit,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light efficiency can be provided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and modified by other person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ccordingly, the contents of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branche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Claims (11)

상호 이격되며 제1돌출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층과 제2돌출전극을 포함하는 제2 전극층을 구비하는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1 오목부;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에 각각 형성된 제2 오목부;
상기 제1 오목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전극분리부;
상기 발광소자 상에 형광체를 포함하여 형성된 수지층;
상기 수지층 및 상기 전극층 상에 렌즈; 및
상기 전극층 하측에 배치되는 절연막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전극과 상기 제2돌출전극은 상기 절연막 패턴을 관통하며,
상기 제1돌출전극은 상기 제1오목부 및 상기 제2오목부에 대응되어 배치되어 노출되고,
상기 제2돌출전극은 상기 제2오목부에 대응되어 배치되어 노출되는 발광소자 패키지.
An electrode laye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layer including a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including a second protruding electrode spaced from each other;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respectively;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 the first recess;
An electrode separator for electrically separa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 resin layer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include a phosphor;
A lens on the resin layer and the electrode layer; And
And an insulating film pattern disposed under the electrode layer,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penetrate the insulating film pattern,
Wherein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is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recess and the second recess,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is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eces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극분리부와 대칭되는 위치의 상기 제1 전극층에 상기 전극분리부와 동일하게 형성된 대칭개구부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ymmetric opening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layer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electrode separato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전극분리부 및 상기 대칭개구부 사이에 형성되는 발광소자 패키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and the symmetrical opening.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전극층 및 상기 제2전극층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발광소자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an edg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전극과 상기 제2 돌출 전극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발광소자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irst protruding electrode and the second protruding electrode ar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분리부 또는 상기 대칭개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오목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곡선형태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separating portion and the symmetrical opening portion comprises:
And a curved shape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렌즈의 외곽부와 접하고 상기 렌즈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중첩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recess is in contact with an outer frame portion of the lens and overlaps with the lens in a vertical direction in at least a partial reg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목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수지층 둘레에 위치하는 홈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3,
And a groove formed on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surround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resin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115398A 2011-11-07 2011-11-07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KR1018966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398A KR101896662B1 (en) 2011-11-07 2011-11-07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398A KR101896662B1 (en) 2011-11-07 2011-11-07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185A KR20130050185A (en) 2013-05-15
KR101896662B1 true KR101896662B1 (en) 2018-09-07

Family

ID=4866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398A KR101896662B1 (en) 2011-11-07 2011-11-07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662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62B1 (en) * 2008-03-21 2011-01-12 주식회사 루멘스 Lead frame of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using the lead fr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KR101623185B1 (en) * 2009-11-04 2016-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CD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064090B1 (en) * 2009-11-17 2011-09-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 light-
KR101647512B1 (en) * 2010-03-25 2016-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185A (en)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8723B2 (en) Light emitting device
US8309983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JP4744178B2 (en) Light emitting diode
US20090267102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896661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JP2014036127A (en) Light emitting device
EP2562830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20130161665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ing same
US8853726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US8476662B2 (en)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cklight unit
JP5350947B2 (en) Light emitting diode
KR101849712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KR101896662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KR100961770B1 (en) Packaging method for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1896659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KR101926456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1946835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KR101880454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1795051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JP6399057B2 (en) Light emitting device
KR20130080299A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back light unit and display unit
KR102008286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unit using the same
KR101978941B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1831278B1 (en) Light-emitting device
KR20130024153A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