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096B1 - 홈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096B1
KR101896096B1 KR1020160121463A KR20160121463A KR101896096B1 KR 101896096 B1 KR101896096 B1 KR 101896096B1 KR 1020160121463 A KR1020160121463 A KR 1020160121463A KR 20160121463 A KR20160121463 A KR 20160121463A KR 101896096 B1 KR101896096 B1 KR 101896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t
devices
control
uni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358A (ko
Inventor
윤동희
김재언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씨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씨오
Priority to KR102016012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0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홈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은, 댁내에 설치된 월패드를 이용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월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복수의 기기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댁내의 거주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거주자를 식별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패턴 및 식별된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는 패턴 학습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하는 UI 제공부 및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되는 거주자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홈 서비스 시스템{Home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홈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에 설치된 월패드(Wall Pad)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기기 상태 정보와 거주자로부터 수신되는 생활 패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거주자의 생활 환경을 고려한 기기 제어를 수행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가정에도 다양한 종류의 가전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정에 설치되는 월패드(Wall Pad)를 통해 가전 제품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거주자는 상기 월패드를 이용하여 방문자 및 경비실과 통화할 수 있으며, 공동현관문을 제어하거나 외부에 설치된 CCTV로부터 제공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집 외부 또는 내부에서 가전기기 등을 제어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월패드 제조사에서는 제한적인 부분에 한하여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른 제조사 제품과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월패드 제조사에 관계없이 댁내에 설치된 기기의 제어를 수행 가능하고, 거주자의 생활 패턴과 기기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은, 댁내에 설치된 월패드를 이용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월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복수의 기기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댁내의 거주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거주자를 식별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패턴 및 식별된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는 패턴 학습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하는 UI 제공부 및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되는 거주자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거주자가 사용하는 단말 기기와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하며, 상기 패턴 학습부는 상기 단말 기기와의 BLE 통신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 제공부는 식별된 거주자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GUI를 제공하며, 서로 다른 GUI는 각각 서로 다른 제어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댁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거주자의 단말 기기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거주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주자의 상기 댁내에서의 위치 정보, 일정 정보 및 외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정보는 날씨 정보와 교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는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상기 거주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이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 UI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분석하여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기기에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부여하고, 상기 댁내의 동일한 공간에 설치된 기기들을 하나의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거주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학습부는 상기 거주자가 입력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며, 상기 생활 패턴은 요일 및 시간대에 따른 상기 거주자의 제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월패드 제조사에 관계없이 댁내에 설치된 기기의 제어를 수행 가능하고, 거주자의 생활 패턴과 기기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복수의 통신 모듈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신부(110), 통신부(120), 패턴 학습부(130), UI 제공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댁내에 설치된 월패드(Wall Pad)를 이용하며,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월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복수의 기기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월패드와 구분되는 별도의 장치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월패드에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월패드(Wall Pad)는 댁내에 설치된 가전기기를 제어하거나, 가스, 전기, 수도 등의 사용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월패드에 연결되며, 동시에 댁내에 설치되는 제어 대상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 각각의 사용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각 기기의 온/오프 정보, 전력 사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월패드와 상기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들이 연결되는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에 새로운 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새롭게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복수의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분석하여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현재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10)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패킷 분석은 상기 월패드와 각각의 기기를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리버스 엔지니어링(Reverse Engineering)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정에 설치된 월패드의 제조사, 종류에 관계 없이 각종 기기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상기 댁내의 거주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거주자를 식별한다. 통신부(12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을 이용하여 거주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의 상기 댁내 존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거주자의 댁내 거주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BLE 신호의 강도를 분석하여 해당 거주자의 대략적인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상기 거주자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신부(120)는 상기 거주자의 통신 단말과 지속적인 BLE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상기 댁내에 복수의 거주자들이 거주하는 경우 각각의 거주자들의 댁내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식별하기 위해서 상기 댁내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미리 부여할 수 있다.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패턴 및 식별된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한다.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패턴은 데이터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정보를 통해 학습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신부(110)는 난방 장치의 사용 여부, 설정된 온도 등에 관한 정보를 상기 난방 장치로붙터 수신할 수 있으며,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난방 장치의 시간대별 사용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패턴 학습부(130)는 통신부(120)로부터 식별된 거주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 및 동선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가 거주자의 상기 댁내 존재를 판단하면,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거주자가 댁내에 머무는 시간의 길이를 판단하고, 상기 거주자의 위치 정보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거주자의 동선을 판단하고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댁내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상기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댁내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거주자가 각각의 기기를 제어하는 패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주자의 조명, 난방, 에어컨, 커튼 등에 대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거주자의 일반적인 기기 제어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요일, 시간을 고려하는 학습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거주자의 낮 시간 동안의 제어 패턴 또는 심야 시간 동안의 제어 패턴을 구분하여 학습할 수 있다.
패턴 학습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획득되는 거주자의 위치 정보와 제어 신호를 함께 학습함으로써 상기 거주자의 위치에 따른 기기 제어 패턴을 학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주자가 거실에 위치하는 경우의 상기 제어 패턴과 상기 거주자가 욕실에 위치하는 경우의 상기 제어 패턴은 다를 수 있으므로, 패턴 학습부(130)는 시간에 따른 거주자의 위치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제어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학습부(130)는 데이터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사용 정보와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모두 고려하여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대한 사용 패턴과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생활 패턴은 상기 거주자의 시간에 따른 기기 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UI 제공부(140)는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GUI는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되는 조명, 가스차단기, 엘리베이터, 난방, 에어컨, 커튼 등의 현재 상태를 텍스트와 이미지를 통해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UI 제공부(140)는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거주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상기 GUI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GUI는 상기 거주자로 하여금 상기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UI는 상기 댁내에 설치된 조명의 현재 상태를 제공함과 동시에 각각의 조명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GUI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UI 제공부(140)는 식별된 거주자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G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GUI는 각각 서로 다른 제어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댁내에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거주자가 2명의 부모와 1명의 자녀를 포함하는 경우, 자녀에게는 부모에 비하여 제한된 범위의 제어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UI 제공부(140)는 부모에게는 상기 댁내에 설치된 모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녀에게는 제한된 숫자의 기기에 대한 제어만 가능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녀에게는 가스 차단기, 난방장치, 에어컨 등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한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부(120)는 각각의 거주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와의 BLE 통신을 통하여 현재 상기 댁내에 위치하는 거주자가 누구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UI 제공부(140)는 통신부(120)로부터 거주자 식별 결과를 수신하고 식별 결과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GUI를 해당 거주자의 통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GUI는 BLE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거주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Wi-Fi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GUI는 상기 거주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거주자에 의한 GUI 요청은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되는 UI 실행을 통해 통신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되는 거주자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거주자는 UI 제공부(140)에서 해당 거주자의 통신 단말에 제공되는 GUI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에 설치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가 수신하는 상기 제어 신호는 BLE 통신뿐만 아니라, Wi-Fi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서도 전달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댁내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댁내에 설치된 기기들을 댁내에서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집 밖에 있는 경우에도 Wi-Fi,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기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패턴 학습부(130)와 UI 제공부(140)는 별도의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댁내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사용 상태에 관한 정보, 거주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기기 사용 패턴과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월패드에 직접 연결되어 패턴 학습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상기 월패드와 원격지에 위치하는 별도의 서버를 통해 구성 가능하다.
패턴 학습부(130)는 복수의 가정에서 제공되는 기기 사용 패턴을 분석, 학습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사한 가족 구성을 갖는 다른 가정의 에너지 소비량, 기기 사용 패턴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UI 제공부(140) 또한 상기 서버를 통해 구성되어 거주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에 GUI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는 통신부(12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BLE 통신을 비롯하여 Wi-Fi, 데이터 통신을 통해 통신부(12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복수의 통신 모듈의 배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통신부(120)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120)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거주자의 단말 기기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은 복수의 분리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월패드에 연결된 하나의 통신 모듈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월패드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거주자에 관한 정보가 원활하게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은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통신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거주자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거주자와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댁내의 여러 위치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주자가 도 2의 주방에 위치하는 경우, 주방에 설치된 통신 모듈은 상기 거주자의 통신 단말을 통해 높은 강도의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거실에 설치된 통신 모듈은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의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통신 모듈이 수신하는 상기 BLE 신호의 세기를 고려하면,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UI 제공부(140)는 상기 거주자의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거주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이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 UI를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판단된 상기 거주가의 현재 위치가 거실인 경우, UI 제공부(140)는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되는 GUI에서 거실에 설치된 조명과 티비에 대한 제어 UI가 가장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주자의 현재 위치가 방-2로 판단된 경우, UI 제공부(140)는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되는 GUI에서 방-2에 설치된 조명에 대한 제어 UI가 가장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판단된 상기 거주자의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UI 제공부(14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UI 제공부(140)는 상기 거주자의 통신 단말에 설치되는 구성일 수 있다. UI 제공부(140)가 상기 통신 단말에 설치되는 경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과 통신부(120)와의 통신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GUI를 상기 통신 단말의 표시부(내지는 표시 패널)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태바(Status Bar)를 드래그 하는 경우 상기 댁내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커스텀 아이콘(Custom Icon) 또는 토클 스위치(Toggle Switch)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스텀 아이콘(Custom Icon) 또는 토클 스위치(Toggle Switch)는 상기 통신 단말의 위치에 가까운 기기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스위치가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댁내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에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댁내의 동일한 공간에 설치된 기기들을 하나의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1에 ID 7과 ID 8이 할당된 2개의 전등 스위치가 존재하고, ID 12가 할당된 1개의 히터가 존재하는 경우, ID 7, 8, 12는 방-1 이라는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UI 제공부(140)는 방-1 그룹을 일괄 제어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거주자의 위치 정보를 학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거주자의 점유도가 높은 공간을 파악하고, 해당 공간에 대한 제어 우선권을 부여할 수도 있다.
방-1에 제1 거주자가 점유하는 시간이 많고 방-2는 제2 거주자가 점유하는 시간이 많은 경우, 또는 방-1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가 제1 거주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횟수가 많고 방-2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가 제2 거주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횟수가 많은 경우, 홈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제1 거주자와 상기 제2 거주자를 각각 방-1과 방-2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우선권이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거주자가 댁내에 동시에 존재할 때, 방-1에 대한 제어 권한은 상기 제1 거주자에게만 부여될 수 있다. 다만, 거실, 주방 또는 욕실과 같이 가구 구성원 모두가 사용하는 공간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 우선권을 부여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에 포함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은 거주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은 댁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거주가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과의 BLE 통신을 통하여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거주자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거주자의 동선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일 아침에 상기 거주자가 방-1에서 욕실로 이동하여 20분간 머문 후에 다시 방-1로 이동하여 10분간 머물고, 주방으로 이동하여 20분간 머물렀음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학습된 데이터는 제어부(15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학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거주자의 제어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거주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적절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거주자가 평일 아침에 일반적인 기상 시간에 욕실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욕실 조명을 온(0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주자가 욕실을 벗어나 방-1에 위치하면 상기 욕실 조명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거주자가 주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방 조명을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거주자의 동선을 학습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거주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을 계속 소지하는 경우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제어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거주자의 통신 단말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 이외에도 데이터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기기의 상태 정보를 학습함으로써, 상기 제어 동작과 유사한 형태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댁내에 설치된 기기의 상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하고,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기의 상태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또한 동일한 시간이라 하더라도 요일에 따라 상태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패턴 학습부(130)는 상기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평일과 휴일로 구분하여 학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부(120)는 해당 거주자가 부재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댁내에 거주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댁내의 조명 기기와 난방 기기의 상태를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거주자의 통신 단말을 통해 제어 신호가 제어부(150)로 전달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단말에서 제2 통신 모듈로 제어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된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댁내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단말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통신 모듈이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은 모두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UI 제공부(140)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GUI 역시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50)는 거주자의 상기 댁내에서의 위치 정보, 일정 정보 및 외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외부 정보는 날씨 정보와 교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내부 이벤트와 외부 이벤트를 고려하여 상기 댁내에 설치된 기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주자가 댁내에 존재하지 않고, 댁내의 전등과 히터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거주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주자가 상기 GUI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외출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댁내의 전등과 히터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댁내의 전등과 히터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거주자가 댁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거주자의 상태를 취침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주자가 상기 GUI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취침으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댁내의 전등과 히터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댁내에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한파 주의보가 발령된 경우, 제어부(150)는 패턴 학습부(130)에 의해 학습된 난방 제어 패턴보다 이른 시간에 난방을 가동하거나, 학습된 난방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제어부(150)는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거주자가 설정한 도로가 평소보다 막히는 경우 침실 조명을 평소보다 이른 시간에 온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거주자가 설정한 시간보다 이른 시간에 기상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사용자의 전력 이용 패턴을 고려하여 상기 댁내의 전력 사용량을 조절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거주자와 유사한 주거 형태를 갖는 주변 가구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UI 제공부(14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거주자에게 에너지 절감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주변 가구의 전력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기 사용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UI 제공부(140)는 상기 댁내의 거주자의 거주 이력 및 기기 사용 패턴을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날짜별 전력 사용량, 요일별 전력 사용량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통신부(120)는 거주자의 통신 단말에 저장된 상기 거주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상기 일정 정보를 고려하여 댁내의 기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거주자가 부재시의 기기 상태를 미리 설정한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일정 정보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상기 기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홈 서비스 시스템 110: 데이터 수신부
120: 통신부 130: 패턴 학습부
140: UI 제공부 150: 제어부

Claims (12)

  1. 댁내에 설치된 월패드를 이용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월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복수의 기기로부터 사용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댁내의 거주자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거주자를 식별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사용 패턴 및 식별된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는 패턴 학습부;
    상기 복수의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상기 거주자에게 제공하되, 식별된 거주자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제어 권한을 갖도록 미리 결정된 GUI를 제공하며, 특정 거주자에게는 제한된 숫자의 기기에 대한 제어만 가능한 GUI를 제공하는 UI 제공부; 및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되는 거주자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거주자가 사용하는 단말 기기와의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하며,
    상기 패턴 학습부는 상기 단말 기기와의 BLE 통신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댁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과 상기 거주자의 단말 기기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거주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거주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주자의 상기 댁내에서의 위치 정보, 일정 정보 및 외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정보는 날씨 정보와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상기 거주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이 설치된 기기에 대한 제어 UI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Data Packet)을 분석하여 상기 월패드에 연결된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기기에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부여하고, 상기 댁내의 동일한 공간에 설치된 기기들을 하나의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거주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학습부는 상기 거주자가 입력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며,
    상기 생활 패턴은 요일 및 시간대에 따른 상기 거주자의 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
KR1020160121463A 2016-09-22 2016-09-22 홈 서비스 시스템 KR101896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63A KR101896096B1 (ko) 2016-09-22 2016-09-22 홈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63A KR101896096B1 (ko) 2016-09-22 2016-09-22 홈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58A KR20180032358A (ko) 2018-03-30
KR101896096B1 true KR101896096B1 (ko) 2018-09-06

Family

ID=6190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463A KR101896096B1 (ko) 2016-09-22 2016-09-22 홈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496B1 (ko) * 2020-10-21 2022-12-02 주식회사 휴앤텍 제조사별 월패드와 자동연동이 가능한 환기시스템
KR102371970B1 (ko) * 2021-06-29 2022-03-10 엑스파워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778B1 (ko) * 2012-11-27 2019-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90937A (ko) * 2014-01-29 2015-08-07 주식회사 글로비트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KR20160035894A (ko) * 2014-09-24 2016-04-0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패턴 수치화를 통한 패턴지수 산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58A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357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EP3807854B1 (en) Smart-home device placement and installation using augmented-reality visualizations
US10070505B2 (en) Scalable building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82693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n-off a group or all lights or appliances of premises
TWI469581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CN210323870U (zh) 一种楼宇能耗管理***
CA3013523C (en) Home automation system
US9226371B2 (en) User control of an environmental parameter of a structure
EP33555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7953419B2 (en) Method for integration of network nodes
KR101214235B1 (ko) 무선 센싱 모듈,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무선 조명 시스템
KR20130091573A (ko) 공동주택단지에서의 최적 에너지 관리 및 에너지 설비 제어 연동 시스템
KR101738784B1 (ko)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CN112020184B (zh) 一种基于物联网的楼宇照明***及方法
KR101896096B1 (ko) 홈 서비스 시스템
CN108475043A (zh) 多输入的触摸控制***
EP3384733B1 (de) Leistungssteuervorrichtung
KR101772221B1 (ko) 개인을 위한 아이오티 홈 스마트 시스템
CN202735782U (zh) 一种智能家庭综合控制***
US10503190B2 (en) Residential-area-energy-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cial network
EP3845980B1 (en) Wall mountable universal backplane
Mahmud et al. Energy conservation for existing cooling and lighting loads
KR20170062424A (ko) IoT 환경 구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결합된 지능형 통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 방법
CN110546962B (zh) 显示方法、程序以及显示***
KR20080082516A (ko) 링킹 유틸리티 제어 장치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