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882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882B1
KR101894882B1 KR1020170027929A KR20170027929A KR101894882B1 KR 101894882 B1 KR101894882 B1 KR 101894882B1 KR 1020170027929 A KR1020170027929 A KR 1020170027929A KR 20170027929 A KR20170027929 A KR 20170027929A KR 101894882 B1 KR101894882 B1 KR 10189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ll
tub
water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이찬호
정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공간 및 터브연결관을 통해 상기 터브와 연결된 제2공간을 포함하는 제1바디; 상기 제1공간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이면, 상기 제1공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유로형성부; 상기 제1공간을 상기 제1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홀; 상기 제1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과, 장치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탑 로딩(top loading) 방식으로 구분되었다.
탑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이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것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내부에 터브와 드럼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드로워와 터브 사이에 공간이 협소하여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가 구비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시 사용자가 직접 터브나 드럼으로 세제를 공급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드로워 내부에 구비된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공간 및 터브연결관을 통해 상기 터브와 연결된 제2공간을 포함하는 제1바디; 상기 제1공간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이면, 상기 제1공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유로형성부; 상기 제1공간을 상기 제1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홀; 상기 제1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관통홀;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류가 출입하는 터브 투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1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수평선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드로워의 배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제1급수유로; 급수원과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는 제2급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제1급수유로; 상기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제2급수유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급수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유로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유로는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관;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제2급수관; 상기 제1급수관과 상기 제2급수관을 연결하며,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2급수유로를 연결하는 분지관; 상기 연결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 내부의 물 중 일부를 상기 분지관으로 안내하는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바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차단벽; 상기 차단벽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통시키는 n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유로; 상기 연결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구분하는 제1격벽 및 제2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바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격벽이 연결되는 제1벽; 상기 제1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벽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2격벽이 고정되는 제2벽;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벽; 상기 상부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을 연결하며,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는 제3벽; 상기 상부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을 연결하며,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하는 제4벽;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3벽의 자유단과 상기 제4벽의 자유단이 상기 제1바디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벽과 상기 차단벽의 자유단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홀이 구비되는 커버; 상기 상부벽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에 접촉하고, 상기 상부벽이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1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차단벽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통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연통홀에 결합하면 상기 제1공간으로 세제를 배출시키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바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로워 내부에 구비된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3),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4)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단순히 상기 드로워(2)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드로워(2)가 삽입되는 출입구(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1)은 너비방향의 길이가 높이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드로워의 너비방향 길이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설정, 드럼의 지름이 드럼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는 상기 출입구(11)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로 삽입되는 드로워 바디(21),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출입구(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드로워 패널(23),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드로워 패널(23)은 상기 출입구(11)를 폐쇄하고,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캐비닛(1)에서 인출되면, 상기 드로워 패널(23)은 상기 출입구(11)를 개방하게 될 것이다.
상기 드로워 패널(23)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 및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컨트롤패널(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는 상기 출입구(11)를 통해 캐비닛(1)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터브(3)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 형상의 드로워 바디(2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 커버(25)에는 드로워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관통홀(251)과 제2관통홀(253)이 구비된다. 상기 제1관통홀(251)은 의류의 출입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홀(253)은 의류의 세탁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3)는 상기 드로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바디(31), 상기 터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터브 커버(33)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커버(33)에는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를 상기 터브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331),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터브 제1관통홀(3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투입구(331)는 드로워 커버에 구비된 제1관통홀(25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 제1관통홀(333)은 드로워 커버의 제2관통홀(25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투입구(331)는 터브 바디(31) 내부로 의류를 공급하거나 터브 바디(31) 내부의 의류를 터브 바디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터브 투입구(331)는 상기 터브 커버(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35)에 의해 개폐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터브(3)는 터브지지부(37)를 통해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21)에는 드로워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터브 바디(31)에는 터브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드로워 브라켓에 안착되고, 상기 터브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터브 브라켓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지지부(37)는 상기 터브 바디(31)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3)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4)은 상부면에 투입구(43)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4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43)는 상기 터브 투입구(331)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터브 투입구(331)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는 투입구(43)를 통해 드럼 바디(41)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드럼 바디(41)의 바닥면과 원주면 등에는 드럼 바디(41) 내부를 터브 바디(31)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 관통홀(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41)는 구동부(47)에 의해 터브 바디(31) 내부에서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47)는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터브 바디(31)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47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73),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4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475)은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43)는 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75)이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한다는 것은, 회전축과 터브 바디의 바닥면 사이의 각도가 설계나 조립 시 요구되는 공차를 오차범위로 가지는 90도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로워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드로워 커버(25)에 구비된 세제공급부(8)를 통해 상기 터브(3)에 세제를 공급한다. 상기 터브(3) 및 세제공급부(8)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급수부는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유로(61) 및 상기 세제공급부(8)로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유로(6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유로(61)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관(611), 터브 커버에 구비된 터브 제1관통홀(333)에 연결된 제2급수관(615), 상기 드로워 커버(25)에 고정되어 상기 제1급수관과 제2급수관을 연결하는 커넥터(C)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가 캐비닛(1)에서 인출될 때 제1급수관(611)이 커넥터(C)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1급수관(611)은 주름관(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된 관 또는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한 구조의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611)은 급수밸브(61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즉, 상기 급수밸브(613)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또한, 상기 제2급수관(615)은 드로워 커버(25)에 구비된 제2관통홀(253)을 통해 터브 관통홀(333)과 커넥터(C)를 연결하며, 상기 터브(3)의 진동 시 제2급수관(615)이 커넥터(C)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급수유로(61)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한 급수원(미도시)과 상기 터브 커버에 구비된 터브 관통홀(333)을 연결하는 하나의 급수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은 주름관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급수유로(65)는 급수원과 세제공급부(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커넥터(C)와 세제공급부(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제2급수유로(65)가 제1급수유로(61)에서 분지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C)는 제1급수관(611)과 제2급수관(615)을 연결하며 고정부(618) 등을 통해 드로워 커버(25)에 고정된 연결관(612), 상기 제2급수유로(65)를 상기 연결관(612)에 연결하는 분지관(61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612)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612) 내부로 유입되는 물 중 일부를 상기 분지관(614)으로 안내하는 가이더(6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3)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9)를 통해 터브(3)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수부(69)는 드로워 바디(21)에 고정되는 배수펌프(691),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을 배수펌프(691)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693), 상기 배수펌프(691)에서 배출되는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69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배수관(695)은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공급부(8)는 상기 드로워 커버(25)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제1공간(S1) 및 터브연결관(813)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31)에 연결되는 제2공간(S2)이 구비된 제1바디(81, 88), 상기 제1공간에 기 설정된 기준수위의 액체가 공급되면 제1공간의 액체를 제2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유로형성부(82, 84), 상기 제1공간(S1)을 상기 제1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홀(881)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이 구비되는 베이스(81),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88)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연통홀(881)은 상기 커버(88)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공간(S1)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1)은 제2급수유로(65)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베이스(81)에는 상기 제2급수유로(65)가 연결되는 제1유로(85), 상기 제1유로(85)와 상기 제1공간(S1)을 연결하는 제2유로(86),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구분하는 유로격벽(87), 상기 유로격벽(87)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연결하는 연결홀(87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871)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유로제어부(67)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유로제어부(67)는 상기 베이스(81)에 고정되는 하우징(671), 일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675)은 상기 제1유로(85) 내부의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는 피스톤(6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은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675)이 상기 연결홀(871)을 폐쇄하는 위치로 설정되고, 상기 제2지점은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675)이 상기 연결홀(871)을 개방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673)은 스프링(679)과 코일(677)에 의해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스프링(673)은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675)을 제1지점에 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코일(677)은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675)을 제2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브연결관(813)은 상기 베이스(81)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공간(S2)에 연통하는 배출구(811)를 통해 상기 제2공간(S2)에 연결되고, 상기 터브 커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터브 제2관통홀(335, 도 2 참고)을 통해 터브(3)에 연결된다. 다만, 상기 터브연결관(813)은 터브 제1관통홀(333)을 통해 터브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88)에 구비되는 연통홀(881)은 사용자가 세제를 제1공간(S1)으로 투입하는 세제투입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통홀(881)은 상기 드로워 커버(25)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 바디(21)가 캐비닛(1)에서 인출된 때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 바디가 캐비닛에서 인출된 때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한 상기 연통홀(881)은 상기 드로워 커버(25)의 어느 영역에나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홀(881)은 상기 드로워 커버(25)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관통홀(251)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수평선(L)의 후방에 위치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관통홀(251)과 상기 드로워 바디(21)의 배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A1) 중 드로워의 인출 시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A2)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82, 84)는 상기 제1공간(S1)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 이상이면 상기 제1공간(S1)에 저장된 액체를 제2공간(S2)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바디 격벽(82) 및 연결유로(8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격벽(82)은 상기 베이스(81)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구분하는 수단으로, 상기 베이스(8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결유로(84)를 향해 연장되는 제1격벽(821) 및 제2격벽(8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821)과 제2격벽(823)은 베이스(81)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821)의 자유단과 상기 제2격벽(823)의 자유단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격벽(821)의 자유단과 상기 제2격벽(823)의 자유단 사이에는 베이스(81)에서 돌출된 차단벽(825)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유로(84)는 상기 차단벽(825)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연통시키는 n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연결유로(84)는 상기 제1바디의 베이스(8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격벽(821)의 자유단이 연결되는 제1벽(842), 상기 베이스(8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격벽(823)이 연결되는 제2벽(8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843)은 상기 제1벽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벽(825)은 상기 제1벽(842)과 제2벽(84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벽(842)과 제2벽(843)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연결유로(84)는 상기 제1벽(842)과 제2벽(843)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벽(844), 상기 상부벽(844)에 고정되어 상기 제1벽(842)과 제2벽(843)을 연결하는 제3벽(846), 및 상기 상부벽(844)에 고정되어 상기 제1벽(842)과 제2벽(843)을 연결하는 제4벽(847)을 포함한다. 상기 제3벽(846)은 상기 제1공간(S1)에 위치하고, 상기 제4벽(847)은 상기 제2공간(S2)에 위치된다.
상기 차단벽(825)과 연결유로(84) 사이에 n자 형상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81)에는 상기 제3벽(846)의 자유단과 상기 제4벽(847)의 자유단이 상기 베이스(8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벽(844)과 상기 차단벽(825)의 자유단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848)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벽(842), 제2벽(843), 제3벽(846), 및 제4벽(847)이 서로 틈이 없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유로형성부(82, 84)는 사이펀 현상(siphon)을 이용하여 상기 제1공간(S1)에 저장된 액체를 제2공간(S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1)으로 물이나 세제가 공급될 경우, 부력 때문에 상기 상부벽(844)이 커버(88)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벽(844)이 제1벽(842)과 제2벽(84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세제공급부(8)는 상기 상부벽(844)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88)에 접촉하는 가압부(845, 도 4 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 바디(21)를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한 뒤 연통홀(881)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가 급수밸브(613) 및 유로제어부(67)를 제어하여 제1공간(S1)에 물을 기준수위 이상 공급하면, 상기 연통홀(881)에 저장된 세제는 제2공간(S2)으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기준수위는 차단벽(825)의 높이와 동일한 수위를 의미한다. 상기 제2공간(S2)으로 이동한 세제와 물은 터브 연결관(813)을 통해 상기 터브(3)로 이동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S1)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많을 경우, 연통홀(881)을 통해 물이 제1공간(S1)의 외부로 배출될 위험이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격벽(821)의 높이(H2)는 상기 제1벽(842)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차단벽(825)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1)으로 유입된 물이 제1격벽(821)을 넘어 제2공간(S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2격벽(823)의 높이 역시 상기 제2벽(843)의 높이보다 낮고 차단벽(825)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1)으로 유입된 물이 연통홀(88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공간(S1)에 세제를 투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세제공급부(8)는 상기 연통홀(881)에 착탈 가능한 제2바디(89), 상기 제2바디(89)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8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89)에는 상기 연통홀(881)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바디 고정부(8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1)으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바디(89)가 상기 커버(88)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2바디(89)에는 핸들(895)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891)는 상기 제2바디(89)가 상기 연통홀(881)에 결합하면 상기 제1공간(S1)으로 세제를 배출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저장부(891)는 상부면에 공급구(893)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891)의 내주면은 상기 공급구(89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89)가 구비된 세제공급부(8)의 경우, 사용자는 저장부(891)에 세제를 투입한 뒤 상기 제2바디(89)를 연통홀(881)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공간(S1)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2: 드로워
21: 드로워 바디 23: 드로워 패널 25: 드로워 커버
3: 터브 4: 드럼 47: 구동부
61: 제1급수유로 611: 제1급수관 613: 급수밸브
615: 제2급수관 C: 커넥터 65: 제2급수유로
67: 유로제어부 671: 하우징 673: 피스톤
677: 코일 679: 스프링 69: 배수부
8: 세제공급부 81: 베이스 811: 배출구
813: 터브연결관 82: 바디 격벽 821: 제1격벽
823: 제2격벽 825: 차단벽 84: 연결유로
842:제1벽 843:제2벽 844:상부벽
845:가압부 846: 제3벽 847: 제4벽
848: 스페이서 85: 제1유로 86: 제2유로
87: 유로격벽 871: 연결홀 88: 커버
881: 연통홀 89: 제2바디 891: 저장부
893: 공급구 895: 핸들 897: 제2바디 고정부

Claims (13)

  1. 출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며,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공간 및 터브연결관을 통해 상기 터브와 연결된 제2공간을 포함하는 제1바디;
    상기 제1공간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이면, 상기 제1공간 내부의 물을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유로형성부;
    상기 제1공간을 상기 제1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홀;
    상기 제1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드로워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면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관통홀;
    상기 터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의류가 출입하는 터브 투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1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드로워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수평선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드로워의 배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제1급수유로;
    급수원과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는 제2급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제1급수유로;
    상기 제1급수유로와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제2급수유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급수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유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유로는
    급수원에 연결된 제1급수관;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제2급수관;
    상기 제1급수관과 상기 제2급수관을 연결하며,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2급수유로를 연결하는 분지관;
    상기 연결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 내부의 물 중 일부를 상기 분지관으로 안내하는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바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차단벽;
    상기 차단벽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연통시키는 n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유로;
    상기 연결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구분하는 제1격벽 및 제2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바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격벽이 연결되는 제1벽;
    상기 제1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벽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2격벽이 고정되는 제2벽;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벽;
    상기 상부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을 연결하며,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는 제3벽;
    상기 상부벽에 고정되어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을 연결하며,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하는 제4벽;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제3벽의 자유단과 상기 제4벽의 자유단이 상기 제1바디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벽과 상기 차단벽의 자유단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통홀이 구비되는 커버;
    상기 상부벽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에 접촉하고, 상기 상부벽이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1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차단벽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연통홀에 결합하면 상기 제1공간으로 세제를 배출시키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바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27929A 2017-03-03 2017-03-03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29A KR101894882B1 (ko) 2017-03-03 2017-03-03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29A KR101894882B1 (ko) 2017-03-03 2017-03-0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882B1 true KR101894882B1 (ko) 2018-09-04

Family

ID=6359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929A KR101894882B1 (ko) 2017-03-03 2017-03-0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8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615A (ko) * 2004-06-14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090052459A (ko) *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40102016A (ko) * 2013-02-13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615A (ko) * 2004-06-14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090052459A (ko) *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40102016A (ko) * 2013-02-13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0251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a detergent supply module
EP271981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etergent dissolution device
US1119323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7001668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69732A (ko) 의류처리장치
EP313894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drainage connector
KR2019000962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2690A (ko) 세탁장치
US11001954B2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device
KR10189488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1927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54153B1 (ko) 의류처리장치
EP3656910A1 (en) Washing machine
US11661696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47316B1 (ko) 세탁기
KR10220373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01101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3160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1161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885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32285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219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52401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