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197B1 - 혈소판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혈소판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197B1
KR101892197B1 KR1020180070886A KR20180070886A KR101892197B1 KR 101892197 B1 KR101892197 B1 KR 101892197B1 KR 1020180070886 A KR1020180070886 A KR 1020180070886A KR 20180070886 A KR20180070886 A KR 20180070886A KR 101892197 B1 KR101892197 B1 KR 10189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late
rotating plate
platelet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진
김근덕
Original Assignee
(주)웰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포트 filed Critical (주)웰포트
Priority to KR102018007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72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or for conservation, e.g. freezing, drying or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5Means for agitating or shaking blood containers
    • A61M1/0254Means for agitating or shaking blood containers with a support plate moving only in one plane, e.g. horizon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원심분리 공정을 거쳐 나뉘어진 혈중 혈소판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혈소판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혈소판 추출장치는 본체부, 피스톤부, 외벽부 그리고 개폐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내측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관체와, 관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관체의 하부에 시료 중의 적혈구층이 수용되는 하부챔버를 형성하는 제1분리판과, 제1분리판의 상측에 이격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관체의 상부에 시료 중의 혈장층이 수용되는 상부챔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1분리판과의 사이에 시료 중의 혈소판층이 수용되는 중앙챔버를 형성하는 제2분리판을 가진다. 피스톤부는 외주면이 관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시료를 상향 이동시킨다. 외벽부는 관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작동공간을 가지도록, 관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개폐부는 제1분리판에 밀착 구비되고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회전판과, 제2분리판에 밀착 구비되고 제2관통공에 대응되는 제4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회전판과, 작동공간에 구비되고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과 연결되며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1회전판 및 제1회전판을 회전시켜 제1분리판 및 제2분리판을 동시에 개폐하는 핸들을 가진다.

Description

혈소판 추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PLATELET RICH PLASMA}
본 발명은 혈소판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분리 공정을 거쳐 나뉘어진 혈중 혈소판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혈소판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은 폐에서 받아들인 산소를 조직세포에 운반하고, 조직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폐로 운반하여 밖으로 방출되도록 하며, 소화관에서 흡수된 영양소를 장기나 조직 세포로 운반한다. 그리고, 혈액은 조직의 분해 산물로서 생체에 불필요한 물질을 신장으로 운반하여 몸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내분비선에서 분비된 호르몬을 작용 기관·조직까지 운반한다. 또한, 혈액은 체열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그 밖에 생체에 침입한 세균·이물질 등을 파괴·무독화(無毒化)시키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혈액은 각종 질병이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주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부분도 있지만, 혈액 내에 성장인자가 풍부히 들어 있는 혈소판은 치료목적으로 사용된다.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중에서 혈소판은 주로 혈장에 존재하며 혈장은 PRP(Platelet rich plasma) 및 PPP(Platelet poor plasma)로 나누어진다. 이중 PRP는 통증부분, 특히 무릎안좌, 인대, 근육 등에 이식되어 줄기세포를 자극하여 세포가 생성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치료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PRP는 채취된 혈액의 1% 정도로 소량이며, 점도가 높아 적혈구로부터 분리가 어려워 적혈구를 제외한 PRP를 추출하는 기술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PRP는 인체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PRP 분리용기에 주입한 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기존에는 PRP 분리용기로 시험관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PRP 추출이 번거로워 최근에는 액실이 이분할된 분리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PRP 분리장치는 인체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PRP 분리장치에 주입한 후 혈액이 주입된 PRP 분리장치를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비중차에 의해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혈구, PRP 및 혈장이 3단으로 분리된다. 이때, PRP는 혈소판과 백혈구로 형성된 흰색의 얇은 층으로 구분되는 경계층인 버피코트를 포함한다.
이렇게 3단으로 분리된 구조에서 PRP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상승부재를 이용하여 적혈구를 액실이 이분할되는 부위까지 상승시킨 후 상측에 주사기를 결합하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먼저 혈장을 추출하고, 다른 주사기를 이용하여 PRP를 추출하기 때문에, 추출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PRP 분리용기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장을 상측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혈장이 다 추출되지 못하고 남아 이후 PRP를 추출할 때 PRP의 상부에 잔존하는 혈장이 함께 추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혈장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혈장 하부의 PRP의 일부가 함께 추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후 추출되는 PRP의 회수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PRP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PRP 아래 층의 적혈구까지 함께 추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28163호(2012.03.23.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심분리 공정을 거쳐 나뉘어진 혈중 혈소판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혈소판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하부에 상기 시료 중의 적혈구층이 수용되는 하부챔버를 형성하는 제1분리판과, 상기 제1분리판의 상측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상부에 상기 시료 중의 혈장층이 수용되는 상부챔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분리판과의 사이에 상기 시료 중의 혈소판층이 수용되는 중앙챔버를 형성하는 제2분리판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이 상기 관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시료를 상향 이동시키는 피스톤부; 상기 관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작동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관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벽부; 그리고 상기 제1분리판에 밀착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회전판과, 상기 제2분리판에 밀착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공에 대응되는 제4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작동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2회전판과 연결되며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1회전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1분리판 및 상기 제2분리판을 동시에 개폐하는 핸들을 가지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혈소판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하부에 상기 시료 중의 적혈구층이 수용되는 하부챔버를 형성하는 제1분리판과, 상기 제1분리판의 상측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상부에 상기 시료 중의 혈장층이 수용되는 상부챔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분리판과의 사이에 상기 시료 중의 혈소판층이 수용되는 중앙챔버를 형성하는 제2분리판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이 상기 관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시료를 상향 이동시키는 피스톤부; 하단부는 상기 제1분리판의 중앙과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분리판의 중앙과 연결되도록 상기 관체의 축방향으로 구비되며, 내측에는 설치공간을 가지는 심부; 그리고 상기 제1분리판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회전판과, 상기 제2분리판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공에 대응되는 제4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설치공간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2회전판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1회전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1분리판 및 상기 제2분리판을 동시에 개폐하는 레버를 가지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혈소판 추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판은 상기 제1분리판의 하면에 밀착 구비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회전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1분리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실링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판은 상기 제2분리판의 상면에 밀착 구비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회전판의 하면에는 상기 제2분리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2실링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며, 상기 핸들의 상부가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핸들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3슬릿을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중 상기 중앙챔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혈소판층을 빨아들이기 위한 주사바늘이 관통되도록 제1투과막이 구비되고, 상기 외벽부에는 상기 제1투과막에 대향되도록 제2투과막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제1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제2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은 상기 제1결합홀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 및 상기 제2결합홀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를 가지고, 상기 관체는 상기 핸들이 원주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제1결합구가 상기 관체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슬릿과, 상기 제2결합구가 상기 관체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슬릿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이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에 상기 핸들의 내주면이 상기 관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슬릿 및 상기 제2슬릿이 밀폐되도록 상기 관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중 상기 중앙챔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혈소판층을 빨아들이기 위한 주사바늘이 관통되도록 투과막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며, 상기 레버의 상부가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노출공을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혈소판층이 중앙챔버에 수용되도록 한 후, 중앙챔버가 하부챔버 및 상부챔버와 구획되도록 하고, 주사바늘을 중앙챔버에 직접 삽입하여 혈소판층을 추출함으로써, 혈소판의 추출공정이 간단하고, 추출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챔버가 하부챔버 및 상부챔버와 구획된 상태에서 혈소판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혈소판 만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혈소판 추출장치는 본체부(100), 피스톤부(200), 외벽부(300) 그리고 개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는 관체(110), 제1분리판(120) 및 제2분리판(130)을 가질 수 있다.
관체(110)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관체(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체(110)의 하단부에는 플랜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11)는 관체(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체(11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제1나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분리판(120)은 관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관체(1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제1분리판(120)은 관체(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관체(110)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분리판(120)에는 제1관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공(121)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관통공(121)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관통공(121)은 각각의 제1관통공(121)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관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이 확보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분리판(120)에 의해 관체(110)의 하부에는 하부챔버(C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챔버(C1)는 제1분리판(120)에 의해 관체(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1분리판(120)의 하면 중앙에는 제1회전축(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축(122)은 관체(110)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분리판(130)은 관체(110)의 내부에서 제1분리판(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관체(1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즉, 제2분리판(130)은 관체(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관체(110)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분리판(130)에는 제2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공(131)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2관통공(131)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2관통공(131)은 각각의 제2관통공(131)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이 확보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분리판(130)에 의해 관체(110)의 상부에는 상부챔버(C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챔버(C2)는 제2분리판(130)에 의해 관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2분리판(130)의 상면 중앙에는 제2회전축(1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회전축(132)은 관체(11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시에, 제2분리판(130)은 제1분리판(120)과의 사이에 중앙챔버(C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분리판(120) 및 제2분리판(130)에 의해 관체(110)의 내부공간은 하부챔버(C1), 상부챔버(C2) 및 중앙챔버(C3)로 나뉘어질 수 있다.
관체(110)의 내부공간에는 시료가 채워질 수 있으며, 시료는 원심 분리된 혈액일 수 있다. 원심 분리된 혈액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적혈구층, 혈소판층 및 혈장층으로 분리되는데, 하부챔버(C1)에는 적혈구층이, 중앙챔버(C3)에는 혈소판층이, 그리고 상부챔버(C2)에는 혈장층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관체(110)의 외주면 중 중앙챔버(C3)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1투과막(14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투과막(140)은 주사바늘이 관통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투과막(140)은 중앙챔버(C3)에 수용되는 혈소판층이 누출되지 않도록 관체(110)에 마련되며,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피스톤부(20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부(200)는 관체(110)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나사부(112)에는 마운트(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마운트(10)와 나사 결합되는 푸셔(11)가 회전하면서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피스톤부(200)는 푸셔(11)에 의해 밀어 올려지면서 관체(110) 내부의 시료를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피스톤부(200)는 외주면에 복수의 시일링(201)을 가질 수 있으며, 시일링(201)은 관체(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시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외벽부(300)는 내측지름이 관체(110)의 외측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체(1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벽부(300)는 하단부에 걸림부(301)를 가질 수 있으며, 걸림부(301)는 외벽부(300)보다 작은 내측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301)는 내주면에 제2나사부(302)를 가질 수 있다. 제2나사부(302)는 관체(110) 하부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벽부(300)의 제2나사부(302)가 제1나사부(112)에 결합되면, 걸림부(301)의 상면은 플랜지(111)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외벽부(300)의 내주면과 관체(110)의 외주면이 이격되면서 관체(110)의 외주면과 외벽부(300)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작동공간(305)이 형성될 수 있다.
외벽부(300)는 제2투과막(310)을 가질 수 있으며, 제2투과막(310)은 관체(110)에 구비되는 제1투과막(140)에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투과막(310)은 제1투과막(140)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사바늘은 제2투과막(310) 및 제1투과막(140)을 관통해서 중앙챔버(C3)로 삽입될 수 있다.
개폐부(400)는 제1회전판(410), 제2회전판(420) 및 핸들(430)을 가질 수 있다.
제1회전판(410)은 제3관통공(411)을 가질 수 있으며, 제3관통공(411)은 제1관통공(1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판(410)은 제1결합공(412)을 가질 수 있으며, 제1결합공(412)은 제1회전판(4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공(412)에는 제1분리판(120)의 제1회전축(12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회전판(410)은 제1분리판(1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제1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회전판(410)의 상면에는 제1실링층(415)의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층(415)은 제1분리판(120)의 하면에 밀착되어 시료가 제1회전판(410) 및 제1분리판(120)의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판(410)의 외주면에는 제1결합홀(4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홀(416)은 제1회전판(41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판(420)은 제4관통공(421)을 가질 수 있으며, 제4관통공(421)은 제2관통공(13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판(420)은 제2결합공(422)을 가질 수 있으며, 제2결합공(422)은 제2회전판(4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공(422)에는 제2분리판(130)의 제2회전축(13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회전판(420)은 제2분리판(13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제2회전축(13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판(420)의 하면에는 제2실링층(425)의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층(425)은 제2분리판(130)의 상면에 밀착되어 시료가 제2회전판(420) 및 제2분리판(130)의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판(420)의 외주면에는 제2결합홀(4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홀(426)은 제2회전판(42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핸들(430)은 제1결합홀(416)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431) 및 제2결합홀(426)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432)를 가질 수 있다.
관체(110)는 제1슬릿(115) 및 제2슬릿(116)을 가질 수 있다.
제1슬릿(115)은 제1분리판(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회전판(410)의 측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체(110)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구(431)는 제1슬릿(115)을 관통하여 제1회전판(410)의 제1결합홀(416)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슬릿(116)은 제2분리판(1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회전판(420)의 측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체(110)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구(432)는 제2슬릿(116)을 관통하여 제2회전판(420)의 제2결합홀(426)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430)이 관체(110)의 원주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제1슬릿(115)은 제1결합구(431)가 관체(11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제2슬릿(116)은 제2결합구(432)가 관체(11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핸들(430)이 원주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핸들(430)과 결합된 제1회전판(410)은 제1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동시에 제2회전판(420)은 제2회전축(13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제1회전판(410)의 제3관통공(411)과 제1분리판(120)의 제1관통공(121)은 개폐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제2회전판(420)의 제4관통공(421)과 제2분리판(130)의 제2관통공(131)도 개폐될 수 있다. 제1회전판(410)의 제3관통공(411)과 제1분리판(120)의 제1관통공(121)이 연결되어 하부챔버(C1) 및 중앙챔버(C3)가 연결될 때, 제2회전판(420)의 제4관통공(421)과 제2분리판(130)의 제2관통공(131)도 연결되어 상부챔버(C2) 및 중앙챔버(C3)는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판(410)의 제3관통공(411)과 제1분리판(120)의 제1관통공(121)이 서로 어긋나 하부챔버(C1) 및 중앙챔버(C3)가 연결되지 않을 때, 제2회전판(420)의 제4관통공(421)과 제2분리판(130)의 제2관통공(131)도 서로 어긋나 상부챔버(C2) 및 중앙챔버(C3)는 동시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핸들(430)은 관체(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핸들(430)이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에 핸들(430)의 내주면이 관체(1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핸들(430)이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핸들(430)에 의해 제1슬릿(115) 및 제2슬릿(116)이 실링될 수 있고, 중앙챔버(C3)에 수용되는 혈소판이 제1슬릿(115) 또는 제2슬릿(116)을 통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핸들(430)의 내주면과 관체(1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실링 효과가 증가될 수 있도록, 서로 밀착되는 핸들(430)의 내주면 및 관체(110)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실링층(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혈소판 추출장치는 커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500)는 외벽부(300)의 제3나사부(303)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4나사부(501)를 가질 수 있으며, 커버부(500)가 외벽부(30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면 커버부(500)는 본체부(100)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다.
커버부(500)는 제3슬릿(505)을 가질 수 있으며, 제3슬릿(505)을 통해서는 핸들(430)의 상부가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3슬릿(505)은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핸들(430)은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혈소판 추출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체(110)의 내부공간에 원심 분리된 혈액이 마련될 수 있다. 혈액은 원심 분리되어 아래에서부터 적혈구층(1), 혈소판층(2) 및 혈장층(3)으로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회전판(410)의 제3관통공(411)은 제1분리판(120)의 제1관통공(121)과 연결되고, 제2회전판(420)의 제4관통공(421)은 제2분리판(130)의 제2관통공(131)과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제2회전판(420)의 제4관통공(421)과 제2분리판(130)의 제2관통공(131)이 연결된 상태는 도 5의 (a)와 같은 수 있다.
이후,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푸셔(11)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피스톤부(200)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피스톤부(200)는 원심 분리된 혈액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하부챔버(C1), 상부챔버(C2) 및 중앙챔버(C3)는 각각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혈장층(3)은 하부챔버(C1) 및 중앙챔버(C3)를 통과한 후 상부챔버(C2)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혈소판층(2)은 중앙챔버(C3)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c) 및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혈소판층(2)이 중앙챔버(C3)에 수용되면, 핸들(430)을 회동시켜 제1회전판(410) 및 제2회전판(420)을 회전시켜 제1관통공(121) 및 제3관통공(411)이 닫히도록 하고, 제2관통공(131) 및 제4관통공(421)이 닫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중앙챔버(C3)에는 혈소판층(2)만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챔버(C3)에 혈소판층(2)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2투과막(310) 및 제1투과막(140)을 관통하도록 주사바늘(30)을 삽입하여 혈소판층(2)을 빨아들임으로써 혈소판을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혈소판층(2)이 중앙챔버(C3)에 수용되도록 한 후, 중앙챔버(C3)가 하부챔버(C1) 및 상부챔버(C2)와 구획되도록 하고, 주사바늘(30)을 중앙챔버(C3)에 직접 삽입하여 혈소판층(2)을 추출함으로써, 혈소판의 추출공정이 간단하고, 추출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혈소판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혈소판층의 상부의 혈장층을 먼저 추출하여 제거하고 이후 혈소판을 추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혈장층을 추출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출시간이 단축되고, 추출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혈장층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혈소판층과 적혈구층이 상승하게 되면서 혈소판층 및 적혈구층의 경계면에서 서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순수한 혈소판의 추출이 어렵게 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중앙챔버(C3)가 하부챔버(C1) 및 상부챔버(C2)와 구획된 상태에서 혈소판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혈소판 만이 추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혈소판 추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부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이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혈소판 추출장치는 본체부(1100), 피스톤부(1200), 심부(1600) 그리고 개폐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0)는 관체(1110), 제1분리판(1120) 및 제2분리판(1130)을 가질 수 있다.
관체(1110)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분리판(1120)은 관체(1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1관통공(1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분리판(1120)은 관체(1110)의 하부에 시료 중의 적혈구층이 수용되는 하부챔버(C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분리판(1130)은 제1분리판(1120)의 상측에 이격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시료가 이동하도록 하는 제2관통공(1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분리판(1130)은 관체(1110)의 상부에 시료 중의 혈장층이 수용되는 상부챔버(C2)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1분리판(1120)과의 사이에 시료 중의 혈소판층이 수용되는 중앙챔버(C3)를 형성할 수 있다.
피스톤부(1200)는 본체부(1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이 관체(11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시료를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피스톤부(1200)는 마운트(10)와 결합되는 푸셔(11)에 의해 상향 이동될 수 있다.
심부(1600)는 제1분리판(1120) 및 제2분리판(113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단부는 제1분리판(1120)의 중앙과 연결되고, 상단부는 제2분리판(1130)의 중앙과 연결될 수 있다. 심부(1600)는 관체(1110)의 축방향으로 구비되며, 내측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심부(1600)의 양단부는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챔버(C1) 및 상부챔버(C2)는 심부(16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개폐부(1400)는 제1회전판(1410), 제2회전판(1420) 및 레버(1430)를 가질 수 있다.
제1회전판(1410)은 제1분리판(11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제1관통공(1121)에 대응되는 제3관통공(1411)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판(1410)의 중앙에는 제1결합공(14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결합공(1412)에는 제1끼움홈(14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판(1410)의 상면에는 제1분리판(1120)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실링층(1415)이 구비될 수 있다.
제2회전판(1420)은 제2분리판(113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제2관통공(1131)에 대응되는 제4관통공(1421)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판(1420)의 중앙에는 제2결합공(14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합공(1422)에는 제2끼움홈(14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판(1420)의 하면에는 제2분리판(113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2실링층(1425)이 구비될 수 있다.
레버(1430)는 심부(1600)의 설치공간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레버(1430)는 제1끼움홈(1413)과 결합되는 제1끼움구(1431) 및 제2끼움홈(1423)과 결합되는 제2끼움구(1432)를 가질 수 있다.
레버(1430)가 심부(1600)의 설치공간을 관통하여 구비된 상태에서, 제1결합공(1412)에 삽입되고, 제1끼움구(1431)가 제1끼움홈(1413)에 결합되면, 레버(1430)와 제1회전판(1410)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레버(1430)가 심부(1600)의 설치공간을 관통하여 구비된 상태에서, 제2결합공(1422)에 삽입되고, 제2끼움구(1432)가 제2끼움홈(1423)에 결합되면, 레버(1430)와 제2회전판(1420)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레버(1430)가 회전하면 제1회전판(1410) 및 제2회전판(1420)은 동시에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분리판(1120) 및 제2분리판(1130)이 동시에 개폐될 수 있다.
혈소판 추출장치는 커버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500)는 본체부(1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부(1100)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다. 커버부(1500)는 중앙에 노출공(1510)을 가질 수 있으며, 레버(1430)의 상부는 노출공(15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공(1510)은 레버(1430)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1430)의 상단부에는 헤드(143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헤드(1433)를 돌려 레버(14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노출공(1510)은 헤드(1433)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0)의 외주면 중 중앙챔버(C3)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중앙챔버(C3)에 수용되는 혈소판층을 빨아들여 혈소판을 추출하기 위한 주사바늘이 관통되도록 투과막(114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챔버(C3)에는 심부(1600)가 구비되고, 심부(1600)의 내측으로 레버(1430)가 위치되기 때문에,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레버(1430)를 통해 이물질이 중앙챔버(C3)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원심분리된 혈액에서 혈소판층은 채취된 혈액의 1% 정도로 소량이나, 도 1 내지 도 8에는 설명의 편의상 중앙챔버(C3)의 크기를 과장하여 크게 도시하였다. 중앙챔버(C3)의 부피는 혈소판 추출장치의 사용용량에 따라 계산되는 부피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적혈구층 2: 혈소판층
3: 혈장층 100,1100: 본체부
115: 제1슬릿 116: 제2슬릿
120,1120: 제1분리판 130,1130: 제2분리판
140: 제1투과막 200,1200: 피스톤부
300: 외벽부 310: 제2투과막
400,1400: 개폐부 410,1410: 제1회전판
420,1420: 제2회전판 430: 핸들
500,1500: 커버부 505: 제3슬릿
1140: 투과막 1430: 레버
1600: 심부 C1: 하부챔버
C2: 상부챔버 C3: 중앙챔버

Claims (10)

  1.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하부에 상기 시료 중의 적혈구층이 수용되는 하부챔버를 형성하는 제1분리판과, 상기 제1분리판의 상측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상부에 상기 시료 중의 혈장층이 수용되는 상부챔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분리판과의 사이에 상기 시료 중의 혈소판층이 수용되는 중앙챔버를 형성하는 제2분리판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이 상기 관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시료를 상향 이동시키는 피스톤부;
    상기 관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작동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관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벽부; 그리고
    상기 제1분리판에 밀착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회전판과, 상기 제2분리판에 밀착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공에 대응되는 제4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작동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2회전판과 연결되며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1회전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1분리판 및 상기 제2분리판을 동시에 개폐하는 핸들을 가지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2.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체의 하부에 상기 시료 중의 적혈구층이 수용되는 하부챔버를 형성하는 제1분리판과, 상기 제1분리판의 상측에 이격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시료가 이동하도록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상부에 상기 시료 중의 혈장층이 수용되는 상부챔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분리판과의 사이에 상기 시료 중의 혈소판층이 수용되는 중앙챔버를 형성하는 제2분리판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이 상기 관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면서 상기 시료를 상향 이동시키는 피스톤부;
    하단부는 상기 제1분리판의 중앙과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분리판의 중앙과 연결되도록 상기 관체의 축방향으로 구비되며, 내측에는 설치공간을 가지는 심부; 그리고
    상기 제1분리판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회전판과, 상기 제2분리판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관통공에 대응되는 제4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설치공간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2회전판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회전판 및 상기 제1회전판을 회전시켜 상기 제1분리판 및 상기 제2분리판을 동시에 개폐하는 레버를 가지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판은 상기 제1분리판의 하면에 밀착 구비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회전판의 상면에는 상기 제1분리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1실링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판은 상기 제2분리판의 상면에 밀착 구비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회전판의 하면에는 상기 제2분리판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2실링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며, 상기 핸들의 상부가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핸들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제3슬릿을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중 상기 중앙챔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혈소판층을 빨아들이기 위한 주사바늘이 관통되도록 제1투과막이 구비되고,
    상기 외벽부에는 상기 제1투과막에 대향되도록 제2투과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제1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제2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은 상기 제1결합홀에 결합되는 제1결합구 및 상기 제2결합홀에 결합되는 제2결합구를 가지고,
    상기 관체는 상기 핸들이 원주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제1결합구가 상기 관체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슬릿과, 상기 제2결합구가 상기 관체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2슬릿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이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에 상기 핸들의 내주면이 상기 관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슬릿 및 상기 제2슬릿이 밀폐되도록 상기 관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 중 상기 중앙챔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혈소판층을 빨아들이기 위한 주사바늘이 관통되도록 투과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며, 상기 레버의 상부가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노출공을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소판 추출장치.
KR1020180070886A 2018-06-20 2018-06-20 혈소판 추출장치 KR10189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886A KR101892197B1 (ko) 2018-06-20 2018-06-20 혈소판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886A KR101892197B1 (ko) 2018-06-20 2018-06-20 혈소판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197B1 true KR101892197B1 (ko) 2018-08-28

Family

ID=6345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886A KR101892197B1 (ko) 2018-06-20 2018-06-20 혈소판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19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1929B2 (ja) * 2001-03-29 2010-03-1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成分分離用血液バッグ及び血液分離方法
KR101128163B1 (ko) 2011-09-22 2012-03-23 황의재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170028B1 (ko) * 2011-12-20 2012-08-01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KR101473352B1 (ko) * 2012-04-24 2014-12-16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KR101626373B1 (ko) * 2015-02-04 2016-06-01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혈액 분리 장치
KR101646751B1 (ko) * 2016-05-04 2016-08-08 (주)조아테크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KR101672804B1 (ko) * 2009-12-31 2016-11-04 김성욱 모든 바이오샘플을 분리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전 자동 원심분리기용 튜브
KR20170010712A (ko) * 2016-02-22 2017-02-01 (주)조아테크 측면에서 prp 추출이 용이한 혈액분리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1929B2 (ja) * 2001-03-29 2010-03-1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成分分離用血液バッグ及び血液分離方法
KR101672804B1 (ko) * 2009-12-31 2016-11-04 김성욱 모든 바이오샘플을 분리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전 자동 원심분리기용 튜브
KR101128163B1 (ko) 2011-09-22 2012-03-23 황의재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170028B1 (ko) * 2011-12-20 2012-08-01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KR101473352B1 (ko) * 2012-04-24 2014-12-16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KR101626373B1 (ko) * 2015-02-04 2016-06-01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혈액 분리 장치
KR20170010712A (ko) * 2016-02-22 2017-02-01 (주)조아테크 측면에서 prp 추출이 용이한 혈액분리용기
KR101646751B1 (ko) * 2016-05-04 2016-08-08 (주)조아테크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501B2 (en) Methods for separating constituents of biologic liquid mixtures
EP2495302B1 (en) Bio-device for extracting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mesenchymal stem cells in peripheral blood
KR101128163B1 (ko) 일회용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KR101170028B1 (ko) 혈액 분리 장치
KR101433293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CN108654141B (zh) 一种富血小板血浆制备装置
KR101666451B1 (ko) 혈소판이 풍부한 성장인자 추출을 위한 혈액분리 및 추출장치
KR101279652B1 (ko) 응고 촉매체를 구비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장치, 이를 이용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 및 응고방법
KR101504819B1 (ko) 원심분리용 용기
WO2012121452A1 (ko)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KR101892197B1 (ko) 혈소판 추출장치
KR101897979B1 (ko) 성분별 분리추출이 용이한 원심분리용기
EP3912654A1 (en) Body fluid component separating device
CN108290086B (zh) 用于提取富含血小板的生长因子的血液分离机提取装置
KR200471024Y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기
CN218106820U (zh) 一种血液分离装置
JP7388621B2 (ja)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RU2740100C1 (ru) Вакуумная пробир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огащённой тромбоцитами аутологичной плазмы
US20220133962A1 (en) Body fluid component separating device
CN115501923A (zh) 一种离心分离管及其使用方法与应用
KR102224939B1 (ko) 혈소판 추출장치
CN114100871A (zh) 血液分离器具
KR102609232B1 (ko)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방법
KR200471027Y1 (ko) 응고 촉매체를 구비한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기
CN117018689B (zh) Prp提取装置及提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