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223B1 - Apparatus for testing fine dust absorp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esting fine dust absorp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223B1
KR101890223B1 KR1020180064811A KR20180064811A KR101890223B1 KR 101890223 B1 KR101890223 B1 KR 101890223B1 KR 1020180064811 A KR1020180064811 A KR 1020180064811A KR 20180064811 A KR20180064811 A KR 20180064811A KR 101890223 B1 KR101890223 B1 KR 10189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inner case
case
sample contain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경수
Original Assignee
(주)엘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리드 filed Critical (주)엘리드
Priority to KR102018006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2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2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06Details, e.g. sample holders, mounting samples fo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866Sorption

Abstract

Disclosed is an apparatus to test absorption of fine dust, which includes a dual case to minimize influence of the fine dust on a test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to test absorption of fine dust comprises: an inner case having an inlet formed on one side to enable a testee to insert a part of a body into the inside; a sample container installed inside the inner case to receive the fine dust; an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ample container and flowing air to the sample container to make the fine dust sprayed into the inner case; a plurality of fans installed inside the inner case to disturb the sprayed fine dust; an outer case installed to surround the inner case at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so as to form the dual case, and having an inlet formed to enable the testee to insert the part of a body into the inside; and an air suction uni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a buffering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cases, and sucking the fine dust from the buffering space to discharge the sucked fine dust.

Description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Apparatus for testing fine dust absorption}[0001] Apparatus for testing fine dust absorption [0002]

본 발명은 이중 케이스를 구비하여 피시험자에게 미치는 미세먼지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having a double case and capable of minimizing the influence of fine dust on a subject.

근래 이르러, 미세먼지가 기준치를 넘는 나쁨에 해당하는 날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인 날씨 예보보다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에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이유는 다양한 내외적인 이유에 의해 미세먼지가 허용치를 넘는 날들이 반복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Recently, as the number of days that the fine dust exceeds the standard value is increased, the attention of the people is focu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fine dust rather than the general weather forecas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due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reasons, fine dusts are repeated over the permissible values and adversely affect the health.

최근 대기 중에는 여러 부유물질이 존재하며, 이러한 부유물질은 인위적인 오염원(공장 굴뚝, 자동차 등)에 의해 직ㆍ간접적으로 배출된 1차성 먼지와 배출된 가스상 물질이 대기 중 화학적 반응을 통해 생성된 2차성 먼지로 구성된다.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suspended substances in the atmosphere. These suspended substances are mainly composed of primary dusts discharged directly or indirectly by artificial pollutants (factory chimneys, automobiles, etc.) and secondary products Dust.

특히 부유물질에는 10㎛ 이하의 미세먼지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우리나라의 석탄연료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또는 중국에서 북서풍 계열의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먼지들이 우리나라의 오염물질이 된 것이며, 이러한 미세먼지의 농도는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Particularly, suspended particles have fine dusts of 10 μm or less. These fine dusts are the pollutants emitted from coal fuels in Korea or the dusts flying to Korea from the winds of the northwest winds from China are pollutants in Korea, and the concentration of these fine dusts is increasing.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외출 시 피부에 미세먼지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많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Many products have been released to prevent fine dust from being adsorbed on the skin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creases.

실제로 제품들이 미세먼지를 얼마나 흡착을 방지하는지 제품 출시 전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다. 이에 따라서, 제품 출시 전 제품의 미세먼지 흡착 정도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In fact, there was no device to test before product launch to see how products prevent adsorption of fine dus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that can easily determine the degree of fine dust adsorption of a product before product launch.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는 통상 밀폐 케이스 내부에 피시험자의 팔을 보호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고 출입구를 통하여 팔을 넣은 상태에서 미세먼지를 케이스 내부로 공급하여 시험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normally measures the inside of the sealed case to protect the subject's arm and conducts the test by supplying fine dust into the case with the arm inserted through the entrance.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는 시험 전후 준비 단계와 시험 후, 정리 단계에서 미세먼지가 작은 입자이기 때문에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상황이 발생되어 이를 피시험자를 비롯하여 그 주위의 사람들이 미세먼지를 흡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pparatus for testing fine dust adsorp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ne dust particles are discharged from the case to the outside of the case at the preparation stage, after the test, and after the te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sucks.

등록특허 제1763403호Patent No. 1763403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먼지 흡착 시험 시 시험 케이스 내부의 미세먼지가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어 피시험자가 흡입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피시험자에게 안전한 시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st environment for a testee by providing a test environment to a subject by minimizing the aspiration of the subject by discharging the fine dust inside the test case to the outside of the case during 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And to provide a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일측에는 신체 일부가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내측 케이스; 상기 내측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미세먼지가 수용되는 샘플용기; 상기 샘플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케이스 내부로 미세먼지가 분사되도록 상기 샘플용기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내측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미세먼지를 교란시키는 복수개의 팬; 이중 케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케이스 외부에 상기 내측 케이스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신체 일부가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외측 케이스; 및 상기 내측 케이스와 외측 케이스 사이 공간인 완충 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완충 공간의 미세먼지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공기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nal-body case having an inner case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a part of a body is inserted into the body; A sample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inner case to receive fine dust; An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ample container and supplying air to the sample container so that fine dust is injected into the inner case; A plurality of fans installed inside the inner case and disturbing fine dust to be injected; An outer case installed to surround the inner case at an outer side of the inner case so as to form a double case and having a charging port into which a part of the body is inserted; And an air suction par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a cushioning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sucking and discharging fine dust in the cushioning sp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완충 공간과 연통되도록 공기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공기 호스에는 진공 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suction unit is connected to an air hos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uffer space, and a vacuum pump may be connected to the air hos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호스에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진공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hose is provided with a handle, and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acuum pump.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측 케이스의 투입구를 통하여 피시험자의 팔을 삽입 시, 삽입되는 거리가 항상 일정하도록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andl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so that the insertion distance of the tester's arm through the inlet of the inner case is always constant.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투입구를 통과하여 삽입되는 신체 일부의 외면에는 미세먼지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차폐부재가 신체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내측 케이스의 투입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차폐부재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투입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a shielding member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a part of the body inserted through the inlet port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so as to surround the body part so as to prevent the fine dust from flowing out, And an outer shielding member protruding outward from a charging port of the outer c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샘플용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기가 상기 샘플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유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 및 상기 샘플용기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샘플용기 내의 미세먼지가 공기와 함께 상기 내측 케이스 내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유로를 개폐하는 제2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valve installed in a first flow path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ample container and opening / closing the first flow path so that air in the air supply unit flows into the sample container; And a second valve installed in a second flow path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ample container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flow path so that fine dust in the sample container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case together with ai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샘플용기의 일면 상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1유로가 설치되는 상기 샘플용기와 마주하는 상기 샘플용기의 타면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샘플용기 내로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미세먼지는 공기에 의해 상기 내측 케이스로 배출됨으로써, 신체 일부에 묻은 시료 상으로 미세먼지가 낙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flow path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sample container, the second flow path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sample container facing the sample container in which the first flow path is installed,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ample container, the fine dust is discharged to the inner case by air, so that the fine dust may fall on the sample placed on a part of the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유로의 일단에는 상기 샘플용기 내측까지 연장되고 끝단은 폐쇄되어 막힌 미세먼지 분사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미세먼지 분사 파이프는 미세먼지가 상기 샘플용기 사방으로 분사되어 퍼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ne end of the first flow path is provided with a fine dust jet pipe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sample container and closed at its end, and the fine dust jet pipe is provided with a fine dust jetting pipe A plurality of ejection holes may be 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먼지를 재배출시키거나 시료의 시험 종료 시기를 판단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 및 상기 압력측정부와 연동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내측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릴리프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ssur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pressure measuring unit coupled to the case to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case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fine dust is grown or released when the sample is tested. And a relief valve that is operat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pressure measuring unit and is opened or closed to adjust a pressure inside the inner c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케이스와 외측 케이스의 내부 청결을 위한 도어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둘레에는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re each provided with a door for cleansing the inside thereof, and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door may be provided around the doo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본 발명은 시험장치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의 팬이 공기 유동을 교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공급되는 미세먼지가 한쪽에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농도편차를 줄임으로써 더욱 현실적인 시험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ans are installed in the test apparatus case to disturb the air flow, thereby preventing the minute dust that is supplied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and reducing the concentration deviation, thereby realizing a more realistic test environment .

(2) 본 발명은 시험장치 케이스를 이중 케이스로 구성하고 그 사이의 완충공간에 공기흡입기를 연결함으로써 피시험자에게 흡입될 수 있는 미세먼지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2)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minimizes the amount of fine dust that can be sucked into the testee by constructing a test case case as a double case and connecting an air inhaler to the buffer space therebetwee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의 내부 구성품을 은선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의 내측 케이스와 외측 케이스의 도어를 모두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내측 케이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내측 케이스의 내부 구성품을 은선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의 평면상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샘플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의 외측 케이스를 은선 처리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의 실제 시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ternal components of a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ilver lin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inner case of 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and the door of the outer case are opened.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ase which is a component of a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inner cas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hidden lin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lan view.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mple container which is a component of a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case of 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ubjected to silver halide treatment.
FIG. 8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tes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where a section such as a layer, a film, an area, a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section,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On the contrary, where a section such as a layer, a film, an area, a plate, etc. is referred to as being "under" another sec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section is "directly underneath"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여기서, 미세먼지 대신 오염물질을 시험할 수도 있고, 오염물질은 화학물질, 유해물질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Here, pollutants may be tested instead of fine dust, and pollutants include not only chemical substances but also harmful substances.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100)는 외부의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에 미세먼지가 흡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험장치이다. 이때,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은 피부표면에 바르는 제품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은 화장품, 연고 및 외용제 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st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fine dust is adsorbed on a product that protects skin exposed to external fine dust. At this time, the product for protecting the skin may be a produc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kin, and more specifically, the product for protecting the skin may be a cosmetic product, an ointment, a external preparation, and the like.

이를 위하여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100)는 내측 케이스(110), 외측 케이스(130), 샘플용기(120) 및 공기공급부, 복수개의 팬(170), 공기흡입부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100 includes an inner case 110, an outer case 130, a sample container 120 and an air supply unit, a plurality of fans 170, and an air suction unit.

상기 내측 케이스(11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외부에서 케이스(1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ase 110 may have a hollow shape having an inner space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case 110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상기 외측 케이스(130)는 이중 케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케이스(110) 외부에 상기 내측 케이스(11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신체 일부가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132)가 형성된다.The outer case 13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inner case 110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case 110 so as to form a double case and has an inlet 132 into which a part of the body is insert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내측 케이스(110)의 형상이 함체 형상으로 설명 및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내부에 샘플용기가 설치되어 시료를 테스트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면 육면체, 원통형, 다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inner case 110 is described as an enclos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f a space for testing a sample can be formed by providing a sample container therein, , A cylindrical shape, a polyhedral shape, and the like.

또한, 상기 내측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신체의 일부가 내부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입구(112)에는 내측 케이스(110)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차폐부재(191)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let 112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case 110 so that a part of the body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t this time, an inner shielding member 191 extending inward from the inner case 110 side may be coupled to the input port 112.

이때, 상기 내측 케이스(110)와 상기 외측 케이스(130)의 투입구(112,132)를 통과하여 삽입되는 신체 일부의 외면에는 미세먼지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차폐부재(191,193)가 신체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차폐부재(191,193)는 상기 내측 케이스(110)의 투입구(112)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차폐부재(191)와, 상기 외측 케이스(130)의 투입구(13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차폐부재(193)를 포함한다. 각각의 차폐부재(191,193)들은 밴드(192,194)에 의해 조여져 미세먼지가 빠져 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shielding members 191 and 193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inlet ports 112 and 132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30 so as to prevent the fine dust from flowing out, The shielding members 191 and 193 may include an inner shielding member 191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put port 112 of the inner case 110 and an outer shielding member 191 projecting outward from the input port 132 of the outer case 130. [ Member 193 as shown in FIG. Each of the shielding members 191 and 193 is tightened by the bands 192 and 194 to prevent fine dust from escaping.

상기 내측 차폐부재(191)는 내측 케이스(110) 내부로 투입되지 않은 신체의 다른 부분을 감싸 케이스(110)와 외부의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내측 케이스(110) 내로 투입되는 신체의 일부분이 사용자의 팔일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면, 사용자의 손과 팔 일부가 내측 케이스(110)의 내부로 투입된다. 그리고 팔의 일부분은 내측 차폐부재(191)에 의해 감싸진다.The inner shielding member 191 may cover another part of the body that is not inserted into the inner case 110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se 110 and the outside. More specifically, when a part of the body put into the inner case 110 is the user's arm, for example, a part of the user's hand and arm are inserted into the inner case 110. [ And a part of the arm is surrounded by the inner shielding member 191. [

이때, 내측 차폐부재(191)의 말단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192)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팔과 손을 내측 케이스(110) 내부로 투입시킨 후, 내측 차폐부재(191)의 밴드(192)를 이용하여 내측 차폐부재(191)를 사용자의 팔에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 band 192 for fixing the user's body part may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ner shielding member 191. The inner shield member 191 can be fixed to the user's arm using the band 192 of the inner shield member 191 after the user inserts the arm and the hand into the inner case 110 .

이에, 밴드(192)에 의하여 내측 차폐부재(191)가 신체의 일부에 고정됨으로써 실험 중에 내측 케이스(110) 내부의 미세먼지가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inner shielding member 191 is fixed to a part of the body by the band 19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ne dust inside the inner case 110 from moving to the outside during the experiment.

여기서, 내측 차폐부재(191)는 방수 가능한 천 재질일 수 있으며, 밴드(192)는 벨크로, 단추와 같은 재료일 수도 있다.Here, the inner shielding member 191 may be a waterproof cloth material, and the band 192 may be a material such as a velcro or button.

또한, 상기 투입구(112)를 통하여 내측 케이스(110) 내로 투입된 팔은 피부 위로 미세먼지가 낙하될 수 있도록 평행을 유지해야 하며,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평행을 유지하는 것이 힘들 수 있다. 이에 팔의 평행을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내측 케이스(110)의 저면에는 팔이 놓이는 안착부가 결합될 수도 있다.Also, the arm inserted into the inner case 110 through the inlet 112 must be kept parallel to allow fine dust to fall on the skin, and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parallelism during the test. The seat portion on which the arm is placed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so as to maintain the parallelism of the arms.

한편, 상기 내측 케이스(110)에는 내측 케이스(110)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116)가 결합될 수 있다.The door 116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ase 110 to open and close the inner case 110.

상기 내측 케이스(110)의 내부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도어(116)의 일단은 내측 케이스(110)와 힌지 결합되고, 이에 도어(116)는 내측 케이스(110)에 대해서 선회하며 이동될 수 있다.One end of the door 116 is hinged to the inner case 110 so as to open or close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110. The door 116 can be pivotally moved about the inner case 110 have.

이에 따라, 미세먼지가 내측 케이스(110) 내에 분사된 후, 도어(116)를 개방하여 내측 케이스(110) 내부 공간을 청소할 수 있으며, 또는 미세먼지 분사 전 샘플용기(120)와 결합되는 제2밸브(152)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after the fine dust is sprayed into the inner case 110,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110 can be cleaned by opening the door 116, or a second The valve 152 can be controlled.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 케이스(110)와 마주하는 도어(116)의 일면 둘레에는 내측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110 may be provided around a surface of the door 116 facing the inner case 110.

이때,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100)는 실링부재에 의해 내측 케이스(110)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100 can block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110 from the outside by a sealing member.

한편, 상기 복수개의 팬은 상기 내측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미세먼지를 교란시키게 된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fans are installed inside the inner case 110 to disturb the fine dust to be sprayed.

이때,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복수개의 팬(170)은 상기 내측 케이스(110)의 하단부 구석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결국 4개의 팬이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팬(170)이 전원공급에 따라 회전하게 되면 상기 내측 케이스(110) 내부로 공급된 미세먼지는 상기 복수개의 팬(170)들에 의한 공기 유동에 의해 혼합되면서 상기 내측 케이스(110) 내부에 골고루 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 케이스(110)의 내부의 미세먼지의 농도가 위치마다 거의 비슷한 분포를 이룰 것이다.Referring to FIG. 8, the plurality of fans 170 are installed inside the lower end corner of the inner case 110, and thus four fans are installed. When the plurality of fans 170 are rotated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the fine dust supplied into the inner case 110 is mixed with the air flowing by the plurality of fans 170, And spread evenly inside. Accordingly,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inside the inner case 110 will be approximately the same for each position.

상기 내측 케이스(110)의 상부측에는 내측 케이스(1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측정부(118)가 결합될 수 있다.A pressure measuring unit 118 for measuring a pressure inside the inner case 1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ase 110.

상기 압력측정부(118)는 마세먼지가 내측 케이스(110) 내부로 배출될 때 내측 케이스(1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pressure measuring unit 118 may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inner case 110 when the dust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case 110.

이에, 작업자는 상기 압력측정부(118)에 의해 측정된 내측 케이스(110) 내부의 압력으로 미세먼지를 재배출시키거나 시료의 시험 종료 시기를 판단하여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can set the micro dust to be cultivated or releas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inner case 110 measured by the pressure measuring unit 118 or by determining the end time of the test of the sample.

한편,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내측 케이스(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측 케이스(110)의 투입구(112)를 통하여 피시험자의 팔을 삽입 시, 삽입되는 거리가 항상 일정하도록 손잡이(180)가 설치될 수 있다.8, when the arm 18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through the insertion port 112 of the inner case 110, Can be installed.

이때, 피시험자는 상기 내측 케이스(110) 내부로 팔을 삽입한 다음, 상기 손잡이(180)를 손바닥이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붙잡으면 된다.At this time, the examinee may insert the arm into the inner case 110, and then hold the handle 180 with the palm facing upward.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샘플용기(120)는 내측 케이스(110)로 미세먼지를 방출시키기 위한 미세먼지를 수용하며, 내측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샘플용기(120)는 내측 케이스(110)의 상부측 일측에 결합되며, 샘플용기(120)의 일부는 내측 케이스(11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6, the sample container 120 receives fine dust for discharging fine dust to the inner case 110 and is coupled 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ase 110.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the sample container 1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ase 110, and a part of the sample container 12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ase 110 in a protruding manner.

구체적으로, 샘플용기(120)는 일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123)가 형성되는 용기케이스(121)와, 용기케이스(121)의 개구부(123)를 폐쇄하는 뚜껑(122)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ample container 120 includes a container case 121 having an opening 123 opened in one direction, and a lid 122 closing the opening 123 of the container case 121.

이때, 미세먼지는 개구부(123)를 통하여 용기케이스(121) 내부로 유입되어야 하므로, 개구부(123)가 내측 케이스(110)의 외부와 연통되어야 한다. 이에, 개구부(123)가 내측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용기케이스(121)는 내측 케이스(11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된다.At this time, fine dust must flow into the container case 121 through the opening 123, so that the opening 123 must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110. The container case 121 is positioned inside the inner case 110 so that the opening 123 protrudes outside the inner case 110.

또한, 상기 샘플용기(120)는 내부에 유입된 미세먼지를 내측 케이스(110)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공기공급부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sample container 120 is connected to an air supply unit for discharging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inner case 110.

보다 상세히, 도 6에서와 같이 샘플용기(120)의 일측에는 공기공급부에서 공급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로(141)가 결합되며, 타측에는 샘플용기(120)내의 미세먼지와 공기가 배출되는 제2유로(142)가 결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 first flow path 141 through which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flows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ample container 120, and fine dust and air in the sample container 120 are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The second flow path 142 may be coupled.

이때, 제1유로(141)는 샘플용기(120)의 일면 상측에 결합되며, 보다 상세히는 내측 케이스(110)의 일면 상부측을 관통하여 제1유로(141)의 일면 상측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2유로(142)는 샘플용기(120)의 타면 하측에 결합되며, 특히, 제2유로(142)는 제1유로(141)가 결합되는 샘플용기(120)의 일면과 마주하는 면 하부측에서 내측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 측으로 연장된다.At this time, the first flow path 14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ample container 120, and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low path 141. The second flow path 142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ample container 120 facing the one surface of the sample container 120 to which the first flow path 141 is coupled, To the inner space side of the inner case (110).

이때,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유로(141)의 일단에는 상기 샘플용기(121) 내측까지 연장되고 끝단은 폐쇄되어 막힌 미세먼지 분사 파이프(143)가 설치되고, 상기 미세먼지 분사 파이프(143)는 미세먼지가 상기 샘플용기(121) 사방으로 고르게 분사되어 퍼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분사홀(14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공급부에서 공급된 미세먼지는 상기 제1밸브(151)가 개방되면 상기 제1유로(141)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미세먼지 분사 파이프(143)를 통과하여 분사된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 분사홀(143a)에 의해 미세먼지가 뭉치지 않고 고르게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6, a fine dust injection pipe 143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flow path 141 to extend to the inside of the sample container 121 and closed at its end, and the fine dust injection pipe 143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pray holes 143a so that fine dust can be uniformly sprayed to the sample container 121 and spread. Accordingly, the fine dust supplied from the supply and supply unit moves along the first flow path 141 when the first valve 151 is opened, and is then injected through the fine dust injection pipe 143. At this time, fine dust can be uniformly sprayed by the fine dust jet holes 143a without clumping.

여기서, 상기 미세번지 분사 파이프(143)는 끝단이 폐쇄되지 않을 수도 있고, 단면 형태는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end of the fine address injection pipe 143 may not be closed, and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as well as a circular shape may be applie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그리고, 상기 제1유로(141)에는 공기공급부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용기케이스(121) 내로 유입하도록 제1유로(14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밸브(15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유로(142)에는 샘플용기(120) 내의 미세먼지를 내측 케이스(110)로 배출시키도록 제2유로(14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밸브(152)가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14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valve 151 that opens or closes the first flow path 141 so as to allow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to flow into the container case 121, The flow path 142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valve 152 for opening or closing the second flow path 142 so as to discharge the fine dust in the sample container 120 to the inner case 110.

이때, 제1밸브(151) 및 제2밸브(152)를 통하여 내측 케이스(110)의 내부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배출 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gree of discharge of contaminants discharged into the inner case 110 through the first valve 151 and the second valve 152 can be finely adjusted.

한편, 샘플용기(120)의 내부에는 오염물질이 제2유로(142)측에 수집되도록 경사면(124)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clined surface 124 may be formed in the sample container 120 so that contaminants are collected on the second flow path 142 side.

이때, 경사면(124)은 용기케이스(121)의 측면에서 저면으로 경사지며, 제2유로(142)가 결합되는 용기케이스(121)의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용기케이스(121)의 측면들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124 is inclin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case 121 to the bottom surface, and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case 121 except for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case 121 to which the second flow path 142 is coupled .

이에 샘플용기(120)의 개구부(123)를 통하여 유입된 미세먼지들을 용기케이스(121)의 측면들에 형성된 경사면(124)을 따라 용기케이스(121)의 저면에 수집되며, 제1유로(141)로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에 의하여 제2유로(142)를 통하여 내측 케이스(110) 내로 배출된다.The fin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123 of the sample container 120 is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case 121 along the inclined surface 124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case 121, The air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case 11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42 by the air.

한편, 공기공급부는 제1유로(141)와 연결되며, 샘플용기(120) 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141 and can supply air into the sample container 120.

한편, 상기 내측 케이스(110)와 외측 케이스(130)는 이중 케이스를 형성하되, 도어(131,116)를 기준으로, 내측 케이스(110)의 우측면, 바닥면, 그리고 배면은 상기 외측 케이스(130)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 케이스(110)의 정면, 좌측면, 상면에는 사이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완충 공간(S)을 이루게 된다.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30 form a double case and the right side face, the bottom face and the rear face of the inner case 110 are connected to the outer case 130 with reference to the doors 131, . Therefore, a spac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lef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This space forms the buffer space S.

상기 공기흡입부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내측 케이스(110)와 외측 케이스(130) 사이 공간인 완충 공간(S)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완충 공간(S)의 미세먼지를 흡입하게 된다.1 to 8, the air suction unit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a cushioning space S,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30, and sucks the fine dust in the cushioning space S, .

이때,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완충 공간(S)과 연통되도록 공기 호스(160)가 외측 케이스(130)의 관통홀(130a)을 통과하여 연결되고, 상기 공기 호스(160)에는 진공 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The air hose 160 is connected to the air hose 160 through a through hole 130a of the outer case 130 so that the air hose 160 communicates with the buffer space S, have.

이때, 상기 공기 호스(160)에는 손잡이(161)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61)에는 상기 진공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r hose 160 is provided with a handle 161, and the handle 161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vacuum pump.

이렇게 상기 공기흡입부를 구성한 이유는, 미세먼지의 입자가 매우 작기 때문에 아무리 실링부재를 사용하여 실링하고 청소하다고 하더라도, 준비 과정, 시험과정, 그리고 정리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시험장치 외부로 흘러나와 피시험자가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이를 방지하고자 함이다. 즉 미세먼지가 가장 많이 배출되는 도어 부근에 완충 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고, 그 부분으로 흘러나온 미세먼지를 2차적으로 상기 공기흡입부를 통하여 처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air suction unit is constructed is that since the particles of the fine dust are very small, even when the sealing member is used for sealing and cleaning, fine dust flows out of the testing apparatus during the preparation process, This is to prevent as much as possible because it can be self-inhaled. That is, the buffer space S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where the fine dust is most discharged, and the fine dust flowing into the portion is secondarily treated through the air suction por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100)를 사용하여 미세먼지 흡착 실험을 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of performing 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using 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측 케이스(110) 내로 투입되는 신체는 팔이며, 작업자의 팔 중 시험을 위해 노출된 부분은 시험 부위로 지칭하고, 시험에 사용되는 제품들은 시료로 지칭한다.Firs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which is put into the inner case 110 is the arm, the exposed part of the operator's arm is referred to as the test part, and the products used for the test are referred to as the sample.

작업자는 시험 부위를 제외한 부위는 오염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차폐부재 등의 보호장비로 차폐시킨다. 그리고 시험 부위를 세정제로 세정하고 항온항습 공간에서 자연 건조시킨다.The operator is shielded by the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the shielding member so as not to expose the parts except the test site to the pollutants. The test area is cleaned with a cleaning agent and air drie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space.

이때, 보호장비의 일부분은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으로 시험 부위가 외부로 노출된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protective equipment is opened, and the test site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 the opened part.

보호장비의 개구로 노출되는 시험 부위를 화상사진 또는 확대경으로 베이스라인(baseline)을 측정한다.Measure the baseline of the test area exposed by the opening of the protective equipment with an image photograph or a magnifying glass.

그리고 개구로 노출되는 시험 부위에 시험에 사용되는 제품들을 도포하여 충분히 흡수시킨다.Then, the test area exposed to the opening is coated with the products to be tested and absorbed sufficiently.

이때, 제품들은 시험을 위한 제품 및 시험을 위한 제품과 대조하기 위한 제품을 준비하여 시험 부위)에 도포한다. 여기서,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험을 위한 제품은 시험시료로 지칭하고, 대조를 위한 제품은 대조시료로 지칭한다.At this time, the products are prepared for the test and the products to be tested are compared with the products for the test and applied to the test site).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for the test is referred to as a test sample, and the product for the control is referred to as a control sample.

이때 시험을 위한 시험제품을 도포할 부위와 시험제품 도포부위와 비교할 무처치 부위를 지정하고 시험부위에 시험제품을 도포한다. 여기서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험을 위한 제품은 시험시료로 지칭한다. At this time, designate the area to be tested for the test product and the untreated area to be compared with the test product application area, and apply the test product to the test area.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duct for testing is referred to as a test sample.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대조시료와 시험시료를 4개로 사각형형상으로 도포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시험 부위에 도포되는 대조시료와 시험시료의 면적, 형태, 배열 또는 개수는 시료의 시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ample and the test sample are appli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four piec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area, shape, arrangement, or number of the control sample and the test sample applied to the test site can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test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시험시료를 사각형형상으로 도포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무처치부위에 시험시료와의 비교를 위하여 대조시료를 도포할 수도 있다. 이때 대조시료란 대조를 위한 제품을 말한다. 또한 시험부위의 면적, 형태, 배열 또는 개수는 시료의 시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sample is appli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 control sample may be applied to the untreated site for comparison with the test sample. At this time, the control sample refers to a control product. It is also noted that the area, shape, arrangement or number of test sites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est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그리고, 샘플용기(120)의 뚜껑(122)을 열고, 샘플용기(120) 내로 미세먼지를 유입시킨다. 이때 미세먼지는 지름이 10㎛인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세먼지는 지름이 10㎛ 이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물질로 지름이 10㎛이하의 물질 중 카본블랙(carbon black) 이나 산화철(iron oxide)이 사용될 수 있다.Then, the lid 122 of the sample container 120 is opened, and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sample container 120. In this case, fine dust means that the diameter is 10 mu m. Therefore, the fine dus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aterial having a diameter of 10 μm or less. More specifically, carbon black or iron oxide may be used as a contaminant among materials having a diameter of 10 탆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샘플용기(120)의 내부로 0.5g의 미세먼지를 투입하고, 공기공급부(130)를 작동시켜 내측 케이스(110)내부의 압력을 세팅한다. 보다 상세히, 제1밸브(151)를 개방하여 샘플용기(12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고, 제2유로(142)를 통하여 미세먼지가 배출되며, 이로 인하여 내측 케이스(110) 내의 압력을 압력측정부(118)에서 측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0.5 g of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sample container 120, and the air supply unit 130 is operated to set the pressure inside the inner case 11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valve 151 is opened to supply air into the sample container 120, and the fine dust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42. As a result, the pressure in the inner case 110 is measured by pressure measurement Can be measured at portion 118.

이때, 압력측정부(118)에서 측정된 압력을 통하여 작업자는 미세먼지의 재배출 여부 또는 시료의 시험 종료 시점을 판단하여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determine whether the fine dust is discharged through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measuring unit 118 or the end point of the test of the sample.

이후, 보호장비를 착용한 팔을 투입구(112)를 통하여 내측 케이스(110) 내로 투입하여 손으로 손잡이를 잡는다. 이때, 미세먼지가 분사되는 제2유로(142)와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Then, the arm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is inserted into the inner case 110 through the input port 112, and the handle is held by hand. At this time, the fine dust is made to be in line with the second flow path 142 to be sprayed.

또한, 내측 케이스(110) 내의 미세먼지가 외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차폐부재(191)의 밴드(192)를 사용하여 팔에 차폐부재(191)를 고정시킨다.Further, the band 192 of the inner shielding member 191 is used to secure the shielding member 191 to the arm so as to prevent the fine dust in the inner case 110 from flowing to the outside.

이후 제1밸브(151)를 개방하여 샘플용기(120)측으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2유로(142)를 통하여 미세먼지를 배출시킨다. 이때, 5분 간격으로 3 내지 4회 제1밸브(151)를 개방시킨다.Thereafter, the first valve 151 is opened to supply air to the sample container 120 side to discharge the fine dust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42. At this time, the first valve 151 is opened three to four times at intervals of 5 minutes.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미세먼지를 5분 간격으로 3 내지 4회 정도 배출되도록 제1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시료의 시험 특성 또는 내측 케이스(110) 내에 분사된 미세먼지의 양에 따라 변경되어 시험이 진행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alve is opened to discharge the fine dust three to four times at intervals of 5 minut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tes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est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or the amount of the fine dust injected into the inner case 110.

미세먼지 분사 완료 후, 내측 케이스(110) 내에 분사된 마세먼지가 충분히 자유낙하가 되도록 대기한 후, 팔의 부착부재를 떼어내고, 시험부위를 보존하여 팔을 내측 케이스(110)에서 꺼낸다.After finishing the fine dust spraying, wait for the dirt sprayed in the inner case 110 to sufficiently fall down, remove the attachment member of the arm, hold the test site, and take out the arm from the inner case 110.

이후 베이스라인과 동일하게 화상 또는 확대경 촬영을 진행한다. 이때, 시험부위가 뭉개지지 않도록 비접촉하여 측정한다.Then, an image or a magnifying glass is taken in the same manner as the baseline. At this time, measurement is made in a non-contact manner so that the test site is not crushed.

그리고 베이스라인 대비 시험부위에 부착된 미세먼지의 색상 정도를 픽셀 값으로 분석하여 시험제품에 미세먼지의 흡착정도를 확인한다.Then, the degree of color of fine dust attached to the test site relative to the baseline is analyzed as a pixel value, and the degree of adsorption of fine dust on the test product is confirmed.

이후, 작업자는 도어(116)를 개방하여 내측 케이스(110) 내부에 분사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등의 청소를 시행한다.Thereafter, the operator opens the door 116 to perform cleaning such as removing fine dust sprayed inside the inner case 110.

이에 따라서, 케이스 내에 시료를 도포한 신체의 일부를 투입하고, 케이스 내에 미세먼지를 분사하여 시료 상에 미세먼지를 낙하시킴으로써, 시료에 미세먼지의 흡착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ly, by injecting a part of the body coated with the sample in the case and injecting the fine dust into the case to drop the fine dust on the sample, the degree of adsorption of fine dust on the sample can be determin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110 : 내측 케이스 112, 132 : 투입구
116, 131 : 도어 118 : 압력측정부
120 : 샘플용기 130 : 외측 케이스
160 : 공기 호스 161, 180 : 손잡이
170 : 복수개의 팬
100: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110: inner case 112, 132: inlet
116, 131: door 118: pressure measuring unit
120: sample container 130: outer case
160: air hose 161, 180: handle
170: Multiple fans

Claims (10)

일측에는 신체 일부가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내측 케이스;
상기 내측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미세먼지가 수용되는 샘플용기;
상기 샘플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케이스 내부로 미세먼지가 분사되도록 상기 샘플용기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공급부;
상기 내측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미세먼지를 교란시키는 복수개의 팬;
이중 케이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 케이스 외부에 상기 내측 케이스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신체 일부가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외측 케이스; 및
상기 내측 케이스와 외측 케이스 사이 공간인 완충 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완충 공간의 미세먼지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공기흡입부;
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An inner case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 part of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inner case;
A sample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inner case to receive fine dust;
An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sample container and supplying air to the sample container so that fine dust is injected into the inner case;
A plurality of fans installed inside the inner case and disturbing fine dust to be injected;
An outer case installed to surround the inner case at an outer side of the inner case so as to form a double case and having a charging port into which a part of the body is inserted; And
An air suction par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a cushioning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sucking and discharging the fine dust in the cushioning space;
Wherein 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완충 공간과 연통되도록 공기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공기 호스에는 진공 펌프가 연결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ction part is connected to an air hos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uffer space, and a vacuum pump is connected to the air ho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호스에는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진공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ir hose is provided with a handle, and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vacuum pu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측 케이스의 투입구를 통하여 피시험자의 팔을 삽입 시, 삽입되는 거리가 항상 일정하도록 손잡이가 설치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so that a distance to be inserted when the arm of the tester is inserted through the inlet of the inner case is always const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투입구를 통과하여 삽입되는 신체 일부의 외면에는 미세먼지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차폐부재가 신체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내측 케이스의 투입구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차폐부재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투입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ielding member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a body part inserted through the inlet port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so as to enclose a part of the body,
Wherein the shielding member includes an inner shielding member protruding inward from a charging port of the inner casing and an outer shielding member protruding outward from a charging port of the outer ca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용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기가 상기 샘플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유로를 개폐하는 제1밸브; 및
상기 샘플용기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샘플용기 내의 미세먼지가 공기와 함께 상기 내측 케이스 내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유로를 개폐하는 제2밸브;
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valve installed in a first flow path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ample container and opening / closing the first flow path so that air in the air supply unit flows into the sample container; And
A second valve installed in a second flow path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ample container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flow path so that fine dust in the sample container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case together with air;
Further comprising: a micro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샘플용기의 일면 상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1유로가 설치되는 상기 샘플용기와 마주하는 상기 샘플용기의 타면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샘플용기 내로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미세먼지는 공기에 의해 상기 내측 케이스로 배출됨으로써, 신체 일부에 묻은 시료 상으로 미세먼지가 낙하되는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flow path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sample container and the second flow path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ample container facing the sample container in which the first flow path is provided, The fine dust is discharged to the inner case by air to thereby cause the fine dust to fall on the sample adhering to a part of the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일단에는 상기 샘플용기 내측까지 연장되고 끝단은 폐쇄되어 막힌 미세먼지 분사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미세먼지 분사 파이프는 미세먼지가 상기 샘플용기 사방으로 분사되어 퍼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ne dust spray pipe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flow path and is closed to close the end of the sample container. The fine dust spray pip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ray holes The fine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를 재배출시키거나 시료의 시험 종료 시기를 판단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
상기 압력측정부와 연동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내측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릴리프 밸브;
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essure measuring unit coupled to the case to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case so as to determine whether the fine dust is grown or released,
A relief valve that is operat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pressure measuring unit and opens and closes to adjust a pressure inside the inner case;
Further comprising: a micro dust adsorption test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스와 외측 케이스의 내부 청결을 위한 도어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둘레에는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된 미세먼지 흡착시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oor for cleansing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respectively, and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inside of the door is provided around the door.
KR1020180064811A 2018-06-05 2018-06-05 Apparatus for testing fine dust absorption KR101890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11A KR101890223B1 (en) 2018-06-05 2018-06-05 Apparatus for testing fine dust absor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11A KR101890223B1 (en) 2018-06-05 2018-06-05 Apparatus for testing fine dust absorp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223B1 true KR101890223B1 (en) 2018-08-31

Family

ID=6340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811A KR101890223B1 (en) 2018-06-05 2018-06-05 Apparatus for testing fine dust absorp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22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069A (en) 2019-11-27 2021-06-07 방극진 performance test device for mask
KR20210152180A (en) * 2020-06-08 2021-12-15 주식회사 휴먼피부임상시험센터 Test Apparatus for Performance of the Anti-dust
CN114002121A (en) * 2021-10-18 2022-02-01 浙江鼎力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Detection device for building engineering supervis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1976A (en) * 1997-04-11 1998-10-23 Toshiba Corp Particle measuring device
CN203720050U (en) * 2014-01-10 2014-07-16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PM2.5 air pollution experiment box
JP5946109B2 (en) * 2015-03-20 2016-07-05 日本無機株式会社 Air purifier and its test system
JP5950144B2 (en) * 2011-06-15 2016-07-13 日本無機株式会社 Air purifier and its test system
KR101675469B1 (en) * 2016-03-24 2016-11-1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Apparatus for making Dust environment artificially
KR101763403B1 (en) 2017-01-10 2017-08-01 (주)엘리드 Device for testing pollutant absorp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1976A (en) * 1997-04-11 1998-10-23 Toshiba Corp Particle measuring device
JP5950144B2 (en) * 2011-06-15 2016-07-13 日本無機株式会社 Air purifier and its test system
CN203720050U (en) * 2014-01-10 2014-07-16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PM2.5 air pollution experiment box
JP5946109B2 (en) * 2015-03-20 2016-07-05 日本無機株式会社 Air purifier and its test system
KR101675469B1 (en) * 2016-03-24 2016-11-1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Apparatus for making Dust environment artificially
KR101763403B1 (en) 2017-01-10 2017-08-01 (주)엘리드 Device for testing pollutant absorp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069A (en) 2019-11-27 2021-06-07 방극진 performance test device for mask
KR20210152180A (en) * 2020-06-08 2021-12-15 주식회사 휴먼피부임상시험센터 Test Apparatus for Performance of the Anti-dust
KR102425138B1 (en) 2020-06-08 2022-07-29 주식회사 휴먼피부임상시험센터 Test Apparatus for Performance of the Anti-dust
CN114002121A (en) * 2021-10-18 2022-02-01 浙江鼎力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Detection device for building engineering supervi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223B1 (en) Apparatus for testing fine dust absorption
KR101753202B1 (en) Cosmetics anti-pollution performance test apparatus and performance test method using the same
EP1754552B1 (en) Safety cabinet for antibiohazard
KR101763403B1 (en) Device for testing pollutant absorption
US11422070B2 (en) Sampling probe, automatic sampling device, and container detection system
US6660054B2 (en) Fingerprint processing chamber with airborne contaminant containment and adsorption
JP2019534144A (en) Cleaning disinfection and drying system
KR101675469B1 (en) Apparatus for making Dust environment artificially
KR101737611B1 (en) Analysis system of dust-blocking of cosmetics using Apparatus for making Dust environment artificially
KR20020021344A (e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particle counter and cleaning device, cleaning method, cleanliness diagnosis method and semiconductor fabric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9104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ment and testing of extremely toxic substances
JP6622069B2 (en) Apparatus having a shielded working roo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976987B1 (en) Instrument for testing particulate contamination of cleanroom supplies
JPH0363544A (en) Emitted particle measuring apparatus
CN110261368B (en) Sample detection box for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KR20210032187A (en) Anti-pollution efficacy measuring device for black carbon and the measuring method
KR102425138B1 (en) Test Apparatus for Performance of the Anti-dust
JP3759010B2 (en) Cleaning device, cleaning method, cleanliness diagnosis method,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cleaning device
KR102489332B1 (en) Booth Capable For 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Chuah et al. Simultaneous control of particle contamination and VOC pollution under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of a mini-environment that contains a coating process
CN108645794A (en) A kind of reflectivity detection device and its detection method
KR20210125401A (en) Multi-Direction Walking-Through Booth Capable Forspecimens Collection On The Non-Contact Type
TH19399A3 (en) Particle Permeability Test Equipment
KR100683272B1 (en) Device for preventing treatment liquid from leaking
TH19399C3 (en) Particle Permeability Tes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