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160B1 -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 Google Patents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160B1
KR101890160B1 KR1020160156634A KR20160156634A KR101890160B1 KR 101890160 B1 KR101890160 B1 KR 101890160B1 KR 1020160156634 A KR1020160156634 A KR 1020160156634A KR 20160156634 A KR20160156634 A KR 20160156634A KR 101890160 B1 KR101890160 B1 KR 10189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hutters
lifter
coupl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8029A (en
Inventor
곽호민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6015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160B1/en
Publication of KR2018005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1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는, 반송대차의 유지보수를 위해 반송대차가 출입되는 리프터 바디의 출입구 영역에 배치되며, 반송대차가 리프터 바디 내에 진입할 때는 오픈(open)되고 반송대차가 리프터 바디 내에 진입한 후에는 클로즈(close)되는 제1 및 제2 셔터; 제1 및 제2 셔터 모두를 업/다운(up/down)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용으로 제공하되 제1 셔터와 연결되는 공용 동력 제공부; 및 제1 및 제2 셔터에 연결되며, 공용 동력 제공부를 통해 제1 셔터가 업/다운 동작될 때, 제1 셔터의 업/다운 동작에 연동되어 제2 셔터가 함께 업/다운 동작되도록 유도하는 연동 동작 유도부를 포함한다.The conveyance truck main trough is started. The conveyance truck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entrance area of a lifter body in which a conveyance truck enters and exits for maintenance of a conveyance truck and is opened when the conveyance truck enters the lifter body First and second shutters that are closed after the conveyance truck enters the lifter body; A common power supply for commonly providing power for up / down operation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nd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And a second shutter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nd is engaged with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when the first shutter is operated up / down through the common power providing portion, And an interlocking motion inducing portion.

Description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본 발명은,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동력을 적용한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셔터들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어 동력 손실을 줄이면서도 원활한 동기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truck lif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or truck lifter that can achieve an up / down operation of shutters through a compact structure with minimal power applied thereto, To a conveyor truck main lifter capable of implementing synchronous control.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평면디스플레이는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기판 제조공정, 셀 제조공정 및 모듈 공정 등 수많은 단위 공정들을 거쳐 제품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수많은 단위 공정들로 이루어진 평면디스플레이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으로 클린룸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Flat panel displays such as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re fabricated through a number of unit processes such as substrate manufacturing process, cell manufacturing process and module process.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flat display made up of such a number of unit processes can be generally performed in a clean room.

클린룸 내부의 특정 공정장비에 의해 공정이 완료된 다수의 기판은 카세트(Cassette)에 적재된 후 무인 반송대차(Automatic Guided Vehicle: AGV)에 의해 클린룸 내의 다른 공정장비로 이송된다. 여기서, 다른 공정장비들에서 이미 공정이 수행되고 있거나, 또는 카세트에 적재된 기판을 임시 보관하기 위하여 클린룸 내부에는 복수의 스토커(stocker)가 배치된다.A large number of substrates, which have been processed by specific process equipment inside the clean room, are loaded on a cassette and then transferred to another process equipment in the clean room by an AGV (Automatic Guided Vehicle). Here, a plurality of stockers are arranged in the clean room in order to temporarily store the substrates loaded on the cassettes or the process is already performed in other process equipments.

그리고 스토커에서 다른 스토커로 카세트를 이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오버 헤드 셔틀(Over Head Shuttle: OHS)이 이용될 수 있다.And overhead shuttles (OHS) can generally be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transport cassettes from a stocker to another stocker.

이에 대해 부연한다. 일반적인 평면디스플레이 공정라인은 각 공정에 필요한 각종 공정장비와, 공정장비들에 공급될 기판이 적재된 카세트를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스토커와, 카세트를 스토커에서 다른 스토커로 이동시키는 오버 헤드 셔틀과, 오버 헤드 셔틀을 가이드하는 주행 레일을 포함한다.I will discuss this in detail. Typical flat display process lines include a variety of process equipment required for each process, a plurality of stalkers for storing cassettes loaded with substrates to be supplied to the process equipment, an overhead shuttle for transferring the cassettes from the stalker to other stalkers, And a running rail for guiding the head shuttle.

즉, 각 공정장비들은 각각의 스토커 주변에 배치되며, 스토커로부터 제공되는 카세트에 적재되어 있는 기판을 이용하여 각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공정을 거친 기판들은 다시 카세트에 적재되어 스토커에 보관된다. 이때, 카세트를 공정장비로 이송하거나 또는 카세트를 공정장비로부터 스토커로 이송하는 공정은 오버 헤드 셔틀이 이용된다. 오버 헤드 셔틀은 클린룸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스토커에 카세트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each process equipment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each stocker, and performs each process using a substrate mounted on a cassette provided from a stocker. Substrates that have undergone each process are then loaded onto cassettes and stored in the stocker. At this time, an overhead shuttle is used for transferring the cassette to the process equipment or transferring the cassette from the process equipment to the stocker. The overhead shuttle is for transporting the cassette to a plurality of stockers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lean room.

오버 헤드 셔틀을 이용한 카세트 이송장치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카세트를 이송하는 반송대차와, 반송대차에 의해 운반된 카세트를 임시 보관하는 적재 포트와, 적재 포트에 놓인 카세트를 반송대차로 이재하기 위한 이재 로봇(P&P)을 포함할 수 있다.A cassette transfer apparatus using an overhead shuttle is provided with a transfer carriage for transferring a cassette while moving along a running rail provided on a ceiling, a loading port for temporarily storing a cassette carried by the carriage, and a cassette placed on the loading port (P & P) for transferring to a bogie.

이와 같은 장비 운영에 사용되는 반송대차는 소정의 컨트롤을 통해 천장에서 레일(rail)을 타고 반송물 즉, 전술한 기판 내지는 기판이 탑재된 카세트, 혹은 마스크 등을 반송할 수 있다.The conveyance truck used for such equipment operation can carry a conveyed object, that is, a cassette, a mask, or the like, on which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or substrate is mounted, through a rail from a ceiling through a predetermined control.

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대차의 부품을 교체하는 등 반송대차의 유지보수(maintenance)가 필요한 경우, 천장 측의 반송대차를 지상으로 내리게 되는데, 이때는 소위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를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maintenance of the conveyance truck is required, for example, by replacing the parts of the conveyance truck that carries the conveyed article, the conveyance truck on the ceiling is lowered to the ground. In this case, a so-called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Can be used.

반송대차가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내에 진입되면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내의 업/다운(up/down) 장치가 반송대차를 받아 지상으로 내리게 되며,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업/다운 장치가 반송대차를 다시 천장 측으로 올리게 된다.When the conveying carriage enters the conveying carriage main lifter, the up / down device in the conveying carriage main lifter receives the carriage and descends to the ground. When the maintenance is completed, the up / down device returns the carriage carriage again It is raised to the ceiling side.

한편, 반송대차의 유지보수를 위해 반송대차가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에 진입한 후에는 반송대차가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에서 임의로 나오지 못하도록 셔터(shutter)를 닫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conveyance truck enters the conveyance truck main lifter for the maintenance of the conveyance truck, the shutter should be closed so that the conveyance truck can not come out from the conveyance truck main lifter.

이때는 반송대차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제1 및 제2 셔터를 포함하는 이중 셔터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반송대차가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에 진입하고 할 때는 제1 및 제2 셔터가 오픈(open)되고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에 진입된 후에는 제1 및 제2 셔터가 클로즈(close)될 수 있다.In this case, a double shutter including first and second shutters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onveyance truck. When the conveyance truck enters the conveyance truck main lifter,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re opened,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can be closed after entering the truck main lifter.

이처럼 제1 및 제2 셔터는 반송대차의 진입 여부에 따라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의 구동을 위한 적절한 방안이 요구되나 현재까지는 기구적으로 복잡한 구조, 예컨대 제1 및 제2 셔터마다 개별적인 구동장치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등 복잡한 구조를 적용하여 왔기 때문에 불필요한 동력 손실이 발생됨은 물론 동기 제어가 어렵고, 또한 제1 및 제2 셔터의 부드러운 업/다운(up/down) 동작 구현이 불가하여 제1 및 제2 셔터의 동작 편차에 따른 소음과 진동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must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onveyance truck enters, a proper method for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is required. However, until now, Since unnecessary power loss is generated and synchronous control is difficult, and a smooth up / down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of noise and vibration due to the motion devi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for solving the problem.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102906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08-010290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최소한의 동력을 적용한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셔터들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어 동력 손실을 줄이면서도 원활한 동기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인해 셔터들의 업/다운 동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소음과 진동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veyor truck lifter that can smoothly and stably perform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shutters due to the organic mechanism, thereby remarkably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r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송대차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반송대차가 출입되는 리프터 바디의 출입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대차가 상기 리프터 바디 내에 진입할 때는 오픈(open)되고 상기 반송대차가 상기 리프터 바디 내에 진입한 후에는 클로즈(close)되는 제1 및 제2 셔터; 상기 제1 및 제2 셔터 모두를 업/다운(up/down)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용으로 제공하되 상기 제1 셔터와 연결되는 공용 동력 제공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셔터에 연결되며, 상기 공용 동력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 셔터가 업/다운 동작될 때, 상기 제1 셔터의 업/다운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제2 셔터가 함께 업/다운 동작되도록 유도하는 연동 동작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veyance apparatus for a conveyance truck, which is disposed in an entrance area of a lifter body in which the conveyance truck enters and exits for maintenance of a conveyance truck, is opened when the conveyance truck enters the lifter body, First and second shutters that are closed after entering the lifter body; A common power providing unit commonly provided with power for up / down operation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nd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And a control unit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nd coupled to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when the first shutter is operated up / down through the common power providing unit, Down operation of the conveyor truck, and an interlocking motion inducing unit for guiding the conveyor truck to move down.

상기 연동 동작 유도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 셔터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셔터에 배치되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는 연동 가이드; 및 상기 제1 셔터에 연결되며, 상기 장공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nterlocking motion inducing unit includes an interlocking guid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hutter and the other end disposed on the first shutter, wherein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guide; And a guide roller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and guided while being mov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slot coupled to the slot.

상기 가이드 롤러는 무동력 자유회전 롤러일 수 있다.The guide roller may be a nonmoving free rotation roller.

상기 연동 동작 유도부는, 상기 제1 셔터에 연결되며,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제1 셔터 연결부; 및 상기 제2 셔터에 연결되며, 일측에서 상기 연동 가이드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제2 셔터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nterlocking motion inducing unit includes: a first shutter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and forming a place where the guide roller is coupled at one side; And a second shutter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shutter and forming a place where the interlocking guide is coupled at one side.

상기 제1 셔터 연결부와 상기 제2 셔터 연결부의 마주보는 벽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업/다운 동작 시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가 충돌되지 않게 완충시키는 제1 및 제2 완충패드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hutter pads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ushioning pads for preventing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during up / down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Can be combined.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가 배치되는 상기 리프터 바디의 벽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가 업/다운 동작되는 라인을 이루는 공용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A common rail may be provided on a wall of the lifter body where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re disposed, the common rail forming a line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re operated.

상기 공용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레일 맞물림 결합되고 상기 제1 셔터와 연결되는 제1 레일 블록; 및 상기 공용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레일 맞물림 결합되고 상기 제2 셔터와 연결되는 제2 레일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rail block movably rail-engaged with the common rail and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And a second rail block movably rail-engaged with the common rail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hutter.

상기 공용 동력 제공부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단부에서 길이 연장 또는 축소되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일 수 있다.The common power providing portion may be a cylinder having a cylinder main body and a cylinder rod extending or contracted at an end of the cylinder main body.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제1 레일 블록을 한 몸체로 연결시키는 블록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블록 연결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는 플로팅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block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cylinder rod and the first rail block to each other through a body; And a floating joint interposed between the cylinder rod and the block connection bracket.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클로즈(close)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개별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가 임의로 낙하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제1 및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toppers for individual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in a clos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from falling arbitrarily .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의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셔터에 지지되는 완충재질의 제1 및 제2 완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may be coupled to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are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상기 리프터 바디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의 설치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업/다운 동작 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1 셔터의 길이가 상기 제2 셔터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shutte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hutter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during up / down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wherein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are different on the lifter body, Can be formed shorter.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클로즈(close) 상태에서 상기 제1 셔터를 상기 제2 셔터로 1차 업(up) 동작시키고, 이어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함께 2차 업(up) 동작시켜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오픈(open) 상태가 되도록 상기 공용 동력 제공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ignal for an open or a clos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first up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to the second shutter in a clos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on power providing uni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re in an open state.

상기 리프터 바디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가 최대 상승위치 이상으로 업(up)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로 셔터의 최대 상승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더 마련될 수 있다.A limit switch may be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ifter body to transmit maximum lif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hutter to the controller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from being operated up to a maximum rise position or more.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의 동력을 적용한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셔터들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어 동력 손실을 줄이면서도 원활한 동기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인해 셔터들의 업/다운 동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소음과 진동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aw up / down operation of the shutters through a compact structure applying a minimum of power, thereby realizing smooth synchronous control while reducing power loss, and also by virtue of an organic mechanism Up and down operation of the shutters can be made smooth and stable so that noise and vibration can be remarkab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반송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도로서 셔터의 클로즈(close)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셔터가 1차 업(up)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셔터의 오픈(open)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B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의 제어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conveyance truck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yance truck.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showing a close state of the shutter.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utter is up-operated in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shutter.
6 is a perspective view of region A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ea B in Fig.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onveyance truck main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반송대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도로서 셔터의 클로즈(close)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셔터가 1차 업(up)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셔터의 오픈(open)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A 영역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B 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의 제어블록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conveyor truck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yor truck,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body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shutter,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utter of FIG. 3,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gion B in FIG. 4, and FIG.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onveyance truck main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100)는 최소한의 동력을 적용한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셔터(110,120)들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어 동력 손실을 줄이면서도 원활한 동기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인해 셔터(110,120)들의 업/다운 동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소음과 진동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셔터(110,120)와, 제1 및 제2 셔터(110,120) 모두를 업/다운(up/down)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용으로 제공하는 공용 동력 제공부(130)와, 제1 셔터(110)의 업/다운 동작에 연동되어 제2 셔터(120)가 함께 업/다운 동작되도록 유도하는 연동 동작 유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3 to 5, the conveyor truck lif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 / down movement of the shutters 110 and 120 is performed through a compact structure using minimum power, Up / down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ereby achieving smooth synchronous control while reducing power loss. Also, since the organic mechanism enables smooth up and down operation of the shutters 110 and 120,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commonly used to provide power for up and down operations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nd bo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 And a linkage operation inducing unit 140 for inducing the second shutter 120 to be operat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110.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설명에 앞서 천장 대차시스템 및 그에 적용되는 반송대차(190)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eiling trolley system and a conveyance truck 190 applied thereto.

OHS 또는 OHT(Overhead Hoist Shuttle OR Transport, 천장 대차시스템)는 이송할 소형 반송 대상물이 많은 대형병원,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공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OHS or OHT (Overhead Hoist Shuttle OR Transport) can be installed in large hospitals, semiconductors and flat panel display production plants where there are many small transport objects to be transported.

이와 같은 천장 대차시스템은 천장에 설치되는 주행 레일(미도시)과,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대상물을 운반하는 반송대차(190,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ceiling trolley system may include a running rail (not shown)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a conveying carriage 190 (see FIG. 2) running along the running rail and carrying the object.

일 예로, 이러한 천장 대차시스템이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평판패널 생산 라인에 설치된 경우, 클린룸 내의 천장공간을 이용해서 주행 레일이 설치되는데, 주행 레일 상에서 구동되는 반송대차(190)는 반도체 웨이퍼, 기판, 마스크, 글라스, 카세트 등이 적재된 반송 대상물을 반송 포트들 사이에서 운반한다.For example, when such a ceiling trolley system is installed in a semiconductor or display flat panel production line, a traveling rail is installed using a ceiling space in a clean room. The transportation trolley 190, which is driven on a traveling rail, , A glass, a cassette, and the like are carried between transporting ports.

여기서, 주행 레일은 지주 등에 의해 클린룸의 천장 등으로부터 지지되며, 주행 레일 본체와 급전 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송대차(190)는 주행 구동부를 구비하여 주행 레일의 본체 내를 주행할 수 있고, 수신부에 의해 급전 레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Here, the running rail is supported by a support or the like from a ceiling of a clean room, and can be composed of a running rail main body and a power feeding rail. The transport bogie 190 may include a travel driving unit to travel within the main body of the traveling rail, and may receive signals from the feed rail by the receiving unit.

그리고 반송대상물 중 기판은 각종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 즉,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판, PDP(Plasma Display Panel) 기판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기판. LED(Light Emitting Diodes) 기판, TSP(Touch Screen Panel) 기판,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 및 각종 반도체에 사용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 objects to be transported, the substrate may be a flat panel display (FP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bstrate, a plasma display panel (PDP) substrate,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substrate. (Light Emitting Diodes) substrate, a TSP (Touch Screen Panel) substrate, a PCB (Printed Circuit Board) substrate, and a substrate used for various semiconductors.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100)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반송대차(19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다.Prior to a specific description of the conveyor truck main lif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veyor truck 190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

반송대차(190)는 반송물을 반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리프트를 통해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 레일로 승강된 후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ransporting carriage 190 is for transporting the transported goods,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be moved up and down by a running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through a lift, and then moved along the running rail.

반송대차(190)는 마스크 타입(Mask type) 반송대차 또는 글라스 타입(Glass Type) 반송대차 등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구별하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마스크 타입 반송대차가 글라스 타입 반송대차보다 사이즈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conveying carriage 190 can be distinguished by a mask type conveyance carriage or a glass type carriage carriage, but it is not distinguish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reference, it is known that the mask type conveyance truck is larger than the glass type conveyance truck.

반송대차(190)는 기판 등의 반송물이 인입 후 안착되는 대차본체(191)와, 대차본체(191)에 결합되어 주행 레일을 따라 구동하는 구동용 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차본체(191) 내에는 반송물 탑재공간(S)이 마련된다.The transport bogie 190 may include a bogie main body 191 on which a transported article such as a substrate is seated after being drawn and a drive wheel (not shown) coupled to the bogie main body 191 and driven along the drive rail. A carrying object mounting space S is provided in the bogie body 191.

이러한 반송대차(190)에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외관으로 반송대차(190)의 센터를 알 수 있도록 센터 플레이트(192)가 설치된다. 센터 플레이트(192)는 반송대차(190)의 중심부에 설치될 수 있다.A center plate 192 is provided on the conveying carriage 19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enter of the conveyance carriage 190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center plate 192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nveying carriage 190.

반송대차(190)가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할 때, 정확한 위치를 따라 이동하거나 정확한 지점에서 회전하기 위하여 반송대차(190)에는 주행 레일을 센싱하는 센서모듈(193)이 설치될 수 있다.A sensor module 193 may be installed on the conveyance carriage 190 to sense the running rail in order to move along the exact position or to rotate at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carriage 190 travels along the carriage rail.

한편, 이와 같은 반송대차(190)를 이용해서 반송물을 운반하는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노후화에 의해 혹은 여러 이상 원인에 의해 반송대차(190)를 유지보수(maintenance)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ork for transporting the transported goods is carried out by using the transporting truck 190, it may be necessary to maintain the transporting truck 190 due to aging or due to various causes.

이처럼 반송대차(19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천장 측의 반송대차(190)를 지상으로 내리게 되는데, 이때는 도 1과 같은 구조의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100)를 사용한다.When the maintenance of the transport bogie 190 is required, the transport bogie 190 on the ceiling is lowered to the ground. In this case, the transport bogie lifter 100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is used.

반송대차(190)가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100)의 리프터 바디(101) 내에 진입되면 리프터 바디(101) 내의 업/다운(up/down) 장치(미도시)가 반송대차(190)를 받아 지상으로 내리게 되며,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업/다운 장치가 반송대차(190)를 다시 천장 측으로 올리게 된다. 이때, 리프터 바디(101)에는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구비된다.When an up / down device (not shown) in the lifter body 101 receives the conveyance carriage 190 when the conveyance carriage 190 enters the lifter body 101 of the conveyance truck main lifter 100 When the maintenance is completed, the up / down device raises the conveyance carriage 190 back to the ceiling side. At this time, the lifter body 101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도 1, 그리고 도 3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제1 및 제2 셔터(110,120)는 반송대차(190)의 유지보수를 위해 반송대차(190)가 출입되는 리프터 바디(101)의 출입구 영역에 배치되는 구조물이다.Referring to FIGS. 1 and 3 to 7,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disposed at the entrance and exit areas of the lifter body 101 in which the conveyance truck 190 enters and exits for maintenance of the conveyance truck 190. [ Respectively.

제1 및 제2 셔터(110,120)는 반송대차(190)가 리프터 바디(101) 내에 진입할 때는 오픈(open, 도 5 참조)되고 반송대차(190)가 리프터 바디(101) 내에 진입한 후에는 클로즈(close, 도 3 참조)된다. 참고로, 도 4의 경우는 클로즈(close, 도 3 참조) 상태에서 오픈(open, 도 5 참조) 상태로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동작되기 전의 상태이다.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opened when the conveying carriage 190 enters the lifter body 101 and after the conveyance carriage 190 enters the lifter body 101 Close (see FIG. 3). 4 is a state before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operated in a state of being opened (see FIG. 5) in a closed state (see FIG. 3).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셔터(110,120)는 모두가 봉 형상의 구조로 제작되며, 제1 및 제2 셔터 브래킷(110a,120a)에 의해 공용 레일(150) 상에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레일 블록(151,152)에 연결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all made of a rod-shaped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shutter brackets 110a and 120a can move on the common rail 150, 2 rail blocks 151, 152, respectively.

공용 레일(150)과 제1 및 제2 레일 블록(151,152)은 모두 리프터 바디(101)의 양측에 한 쌍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셔터(110,120)는 도 3의 클로즈(close) 상태에서 도 4의 1차 업(up) 동작 과정을 거쳐 도 5의 오픈(open)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도 5의 오픈(open) 상태에서 리프터 바디(101) 내로 반송대차(190)가 진입될 수 있으며, 진입된 후에는 다시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도 3의 클로즈(close) 상태로 배치되어 반송대차(190)가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안전사고 발생을 피할 수 있다.Since both the common rail 150 and the first and second rail blocks 151 and 152 are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lifter body 101,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in a close state Up operation of FIG. 4 and an open state of FIG. 5 via the first up operation of FIG.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ort bogie 190 can be introduced into the lifter body 101 in the open state of Fig. 5, and once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closed, close state so that the conveying carriage 190 is not drawn out arbitrarily. Therefore, safety accidents can be avoided.

공용 동력 제공부(130)는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셔터(110,120) 모두를 업/다운(up/down)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용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공용 동력 제공부(130)는 제1 셔터(110)와 연결된다.The common power supply providing unit 130 commonly provides power for up / down operation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in this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shared power supply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110.

본 실시예에서 공용 동력 제공부(130)는 실린더(130)로 적용된다. 즉 공용 동력 제공부(130)는 실린더 본체(131)와, 실린더 본체(131)의 단부에서 길이 연장 또는 축소되는 실린더 로드(132)를 구비하는 실린더(130)로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적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mmon power supply 130 is applied to the cylinder 130. The common power supply 130 includes a cylinder body 131 and a cylinder 130 having a cylinder rod 132 extending or reduced in length from an end of the cylinder body 131. The common power supply 130 Can be applied.

이때, 공용 동력 제공부(130)로서의 실린더(130)가 제1 레일 블록(151)과 연결되기 위해 블록 연결 브래킷(135)과, 플로팅 조인트(137)가 마련된다.At this time, a block connecting bracket 135 and a floating joint 137 are provided for connecting the cylinder 130 as the common power supply providing part 130 to the first rail block 151. [

블록 연결 브래킷(135)은 실린더(130)의 실린더 로드(132)와 제1 레일 블록(151)을 한 몸체로 연결시키는 일종의 브래킷이다. 그리고 플로팅 조인트(137)는 실린더 로드(132)와 블록 연결 브래킷(135) 사이에 개재되는 조인트이다.The block connection bracket 135 is a kind of bracket that connects the cylinder rod 132 of the cylinder 130 and the first rail block 151 in one body. And the floating joint 137 is a joint interposed between the cylinder rod 132 and the block connecting bracket 135.

본 실시예처럼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제1 셔터(110)와 연결되어 동작되는 경우, 도 3의 클로즈(close) 상태에서 도 4의 1차 업(up) 동작 과정, 즉 제1 셔터(110)의 1차 업(up) 동작 과정을 거친 후, 도 5처럼 제1 및 제2 셔터(110,120) 모두가 업(up) 동작되어 최종적인 오픈(open)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hared power supply unit 130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shutter 11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lose state of FIG. 3, the first up operation of FIG. 4,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may be operated in a first up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110 and t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may be disposed in a final open state as shown in FIG.

물론, 제1 및 제2 셔터(110,120) 모두에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연결되는 것을 고려해볼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많아지면서 장비가 복잡해질 수 있고, 또한 그만큼 동기 제어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본 실시예처럼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제1 셔터(110)와 연결되고 제1 셔터(110)로 하여금 제2 셔터(120)를 밀어 올리는 형태로서 도 5처럼 오픈(open) 상태로 배치될 수 있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Of cours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common power supply 130 is connected to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However,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common power supplies 130 increas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common power supply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110 and the first shutter 1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utter 120 It may be desirable to be able to be placed in an open state as shown in Fig.

이처럼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제1 셔터(110)와 연결되어 제1 셔터(110)에 직접적인 동력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5처럼 제1 및 제2 셔터(110,120) 모두가 업(up) 동작되어 최종적인 오픈(open) 상태로 배치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연동 동작이 필요하다. 이는 연동 동작 유도부(140)가 담당한다.Although the common power supply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110 to provide the direct power to the first shutter 110,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both up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be disposed in a final open state. The interlocking operation inducing unit 140 takes charge of this.

연동 동작 유도부(140)는 도 6 및 도 7에 잘 나타난 것처럼 연동 동작 유도부(140)는 제1 및 제2 셔터(110,120)에 연결되는 구조물로서, 공용 동력 제공부(130)를 통해 제1 셔터(110)가 업/다운 동작될 때, 제1 셔터(110)의 업/다운 동작에 연동되어 제2 셔터(120)가 함께 업/다운 동작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6 and 7, the interlocking motion inducing unit 140 i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The interlocking motion inducing unit 140 includes a first shutter Down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110 when the first shutter 110 is operated up / down, so that the second shutter 120 can be operated up / down together with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110. [

다시 말해, 연동 동작 유도부(140)는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제1 셔터(110)와 연결되어 제1 셔터(110)에 직접적인 동력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5처럼 제1 및 제2 셔터(110,120) 모두가 업(up) 동작되어 최종적인 오픈(open) 상태로 배치될 수 있게끔 제1 및 제2 셔터(110,120)를 연동 동작시킨다.In other words, although the interlocking operation induc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110 to provide the direct power to the first shutter 110, the first and second shutter 110 are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interlocked so that both of the shutters 110 and 120 are operated up to be disposed in a final open state.

이러한 연동 동작 유도부(140)는 일단부가 제2 셔터(1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셔터(110)에 배치되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공(142)이 형성되는 연동 가이드(141)와, 제1 셔터(110)에 연결되며, 장공(142)에 결합되어 장공(142)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되는 가이드 롤러(143)를 포함한다.The interlocking operation guide 140 includes an interlocking guide 14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hutter 120 and the other end disposed in the first shutter 110 and having a longitudinal slot 142 formed therein, And a guide roller 143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110 and guided while being moved along the locus of the long hole 142 by being coupled to the long hole 142.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롤러(143)는 장공(142)에서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무동력 자유회전 롤러로 적용된다. 가이드 롤러(143)의 적용을 위해 제1 셔터(110)에는 제1 셔터 연결부(144)가 연결된다.In this embodiment, the guide roller 143 is applied as a nonmoving free rotation roller that is moved while being rotated in the slot 142. A first shutter connection part 144 is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110 for application of the guide roller 143.

제1 셔터 연결부(144)는 제1 셔터(110)를 감싸는 형태로 제1 셔터(110)에 연결되며, 일측에서 가이드 롤러(143)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The first shutter connection part 144 is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110 in a manner to surround the first shutter 110 and forms a place where the guide roller 143 is coupled from one side.

이와 같은 제1 셔터 연결부(144)와 대응되게 제2 셔터(120) 측에는 제2 셔터 연결부(146)가 마련된다. 제2 셔터 연결부(146) 역시, 제2 셔터(120)를 감싸는 형태로 제2 셔터(120)에 연결되며, 일측에서 연동 가이드(141)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한다.A second shutter connection part 146 is provided on the second shutter 120 side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shutter connection part 144. The second shutter connection part 146 is also connected to the second shutter 120 in a manner to surround the second shutter 120 and forms a place where the interlocking guide 141 is coupled from one side.

이에,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도 3(도 6)에서 도 4(도 7)처럼 제1 셔터(110)를 1차로 업(up) 동작시키면 이때는 제1 셔터(110)만 업(up) 동작되면서 제1 셔터(110)가 제2 셔터(120)에 근접될 수 있다. 이때는 가이드 롤러(143)가 장공(142)의 궤적을 따라 상승되면서 제1 셔터(110)의 안정적인 업(up)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다.When the shared power supply 130 is operated to first up the first shutter 110 as shown in FIG. 3 (FIG. 6) to FIG. 4 (FIG. 7), only the first shutter 110 is up The first shutter 110 can be brought close to the second shutter 120 while being operated. 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143 is lift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slot 142 and can lead to a stable up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110.

한편, 도 3(도 6)에서 도 4(도 7)처럼 제1 셔터(110)를 1차로 업(up) 동작되어 제2 셔터(120)에 근접될 때, 제1 셔터(110)와 제2 셔터(120)가 충돌되면 곤란하다. 이를 저지시키기 위해 도 7의 확대된 부분처럼 제1 셔터 연결부(144)와 제2 셔터 연결부(146)의 마주보는 벽면에는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업/다운 동작 시 상기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충돌되지 않게 완충시키는 제1 및 제2 완충패드(145,147)가 결합된다. 제1 및 제2 완충패드(145,147)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혹은 고무 등 완충이 가능한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hutter 110 is first operated up to approach the second shutter 120 as shown in FIG. 3 (FIG. 6) to FIG. 4 (FIG. 7), the first shutter 110 and the second shutter 120 2 It is difficult when the shutter 120 collides.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up and down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s shown in the enlarged part of FIG. 7, on the opposite wall surfaces of the first shutter connection part 144 and the second shutter connection part 146, The first and second cushioning pads 145 and 147 are combined so that the second shutters 110 and 120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buffer pads 145 and 147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urethane, rubber, or the like.

앞서도 잠시 언급한 것처럼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동작, 특히 슬라이딩 업/다운 동작을 위해 공용 레일(150)을 비롯하여 제1 및 제2 레일 블록(151,152)이 마련된다.The first and second rail blocks 151 and 152 including the common rail 150 are provided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particularly the sliding up / down operation.

공용 레일(150)은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배치되는 리프터 바디(101)의 벽체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업/다운 동작되는 라인을 이룬다.The common rail 150 is provided on the wall of the lifter body 101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disposed and forms a lin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operated up and down.

그리고 제1 레일 블록(151)은 공용 레일(150)에 이동 가능하게 레일 맞물림 결합되되 제1 셔터(110)와 제1 셔터 브래킷(110a)으로 연결되며, 제2 레일 블록(152) 역시 공용 레일(150)에 이동 가능하게 레일 맞물림 결합되되 제2 셔터(120)와 제2 셔터 브래킷(120a)으로 연결된다.The first rail block 151 is movably rail-engaged with the common rail 15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110 and the first shutter bracket 110a. The second rail block 152 is also connected to the common rail 150. [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shutter 120 and the second shutter bracket 120a.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주변에는 제1 및 제2 스토퍼(161,162)가 마련된다. 즉 제1 및 제2 스토퍼(161,162)는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원점 상태, 즉 도 3과 같은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클로즈(close) 상태에서 제1 및 제2 셔터(110,120)를 개별적으로 지지하여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임의로 낙하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First and second stoppers 161 and 162 are provide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61 and 162 are positioned in the origi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that is, in the close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nd supports the shutters 110 and 120 individually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from falling down arbitrarily.

이러한 제1 및 제2 스토퍼(161,162)의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셔터(110,120)에 지지되는 완충재질의 제1 및 제2 완충부재(161a,162a)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제1 및 제2 완충부재(161a,162a)에 지지될 때, 소음이 발생되거나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완충부재(161a,162a)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가급적 해당위치에서 교체형으로 적용되는 편이 바람직할 수 있다.First and second cushioning members 161a and 162a, which are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coupl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61 and 162,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cushioning members 161a and 162a,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or damage to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The first and second cushioning members 161a and 162a may be made of rubber, urethane, or silicon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cushioning members 161a and 162a are adapted to be replac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도 3의 클로즈(close) 상태에서 도 4의 1차 업(up) 동작 과정, 즉 제1 셔터(110)의 1차 업(up) 동작 과정을 거친 후, 도 5처럼 제1 및 제2 셔터(110,120) 모두가 업(up) 동작되어 최종적인 오픈(open) 상태로 배치될 때, 제1 및 제2 셔터(110,120) 간에 간섭이 일어나면 곤란하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in the close state of FIG. 3 and after the first up operation of FIG. 4, that is, the first up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110 It is difficult for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up and disposed in the final open state as shown in FIG.

이에,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리프터 바디(101) 상에서 제1 및 제2 스토퍼(161,162)의 설치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마련되는데, 특히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업/다운 동작 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1 셔터(110)의 길이가 제2 셔터(1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서 도 5처럼 제1 셔터(110)의 업(up) 동작이 진행되어도 제1 셔터(110)가 주변 구조물에 간섭되는 현상은 없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61 and 162 are provided on the lifter body 101 in different positions.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moved up and down, The length of the first shutter 110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hutter 120. [ Therefore, the first shutter 1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even if the first shutter 110 is moved up as shown in FIG.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100)에는 장치의 컨트롤을 위해 입력부(171), 리미트 스위치(173), 그리고 컨트롤러(180)가 더 갖춰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yance truck lif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171, a limit switch 173, and a controller 180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입력부(171)는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부(171)는 리프터 바디(101)의 일측에 버튼 타입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리모콘 타입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171 inputs signals for opening or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The input unit 171 may be applied to one side of the lifter body 101 as a button type or as a remote control type.

리미트 스위치(173)는 리프터 바디(101)의 상단부에 마련되되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최대 상승위치 이상으로 업(up)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180)로 셔터의 최대 상승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리프터 바디(101)의 하단부에 별도의 리미트 스위치가 더 갖춰져서 제1 및 제2 셔터(110,120), 특히 제1 셔터(110)가 최대 하강위치 이하로 다운(down)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limit switch 173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er body 101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80 so as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from being operated up to the maximum rising position And transmits the rising position information. Similarly, a separate limit switch is furth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ifter body 101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particularly the first shutter 110, from being operated down below the maximum falling position It might be.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71)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클로즈(close, 도 3 참조) 상태에서 도 4처럼 제1 셔터(110)를 제2 셔터(120)로 1차 업(up) 동작시키고, 이어 제1 및 제2 셔터(110,120)를 함께 2차 업(up) 동작시켜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오픈(open, 도 5 참조) 상태가 되도록 공용 동력 제공부(13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in the closed state (see FIG. 3)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171, 5)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b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together to perform a second up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common power providing unit 130 is controlled.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performing such a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181 (CPU), a memory 182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18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71)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클로즈(close, 도 3 참조) 상태에서 도 4처럼 제1 셔터(110)를 제2 셔터(120)로 1차 업(up) 동작시키고, 이어 제1 및 제2 셔터(110,120)를 함께 2차 업(up) 동작시켜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오픈(open, 도 5 참조) 상태가 되도록 공용 동력 제공부(13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controls the first shutter 110 and the second shutter 110 in a closed state (see FIG. 3)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171, Up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b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together to perform a first up operation with the second shutter 120, (See FIG. 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versal power supply 130. As shown in FIG.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182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The memory 182 may b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located locally or remotely and may be any of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including,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y be at least one or more memories.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ircuit 18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81 to support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The support circuit 18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 / 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71)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클로즈(close, 도 3 참조) 상태에서 도 4처럼 제1 셔터(110)를 제2 셔터(120)로 1차 업(up) 동작시키고, 이어 제1 및 제2 셔터(110,120)를 함께 2차 업(up) 동작시켜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오픈(open, 도 5 참조) 상태가 되도록 공용 동력 제공부(13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first shutter 11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171 in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operated to perform a second up operation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5) state, and a series of such processes and the lik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82. [0064] Typically, a software routin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2. The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software routines, it is also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or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n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이하,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100)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veyance truck lifter 100 will be described.

반송대차(190)를 유지보수하고자 할 경우, 우선 입력부(171)를 조작하여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도 5의 오픈(open)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는 컨트롤러(180)에 의해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동작된다.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동작되면 도 3에서 도 4처럼 제1 셔터(110)가 제2 셔터(120)로 1차 업(up) 동작된다. 다시 말해, 공용 동력 제공부(130)가 도 3(도 6)에서 도 4(도 7)처럼 제1 셔터(110)를 1차로 업(up) 동작시키면 이때는 제1 셔터(110)만 업(up) 동작되면서 제1 셔터(110)가 제2 셔터(120)에 근접될 수 있다. 이때는 가이드 롤러(143)가 장공(142)의 궤적을 따라 상승되면서 제1 셔터(110)의 안정적인 업(up)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다.When the conveyance truck 190 is to be maintained,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opened by operating the input unit 171 first. At this time, the common power supply 130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180. When the shared power supply unit 130 is operated, the first shutter 110 is firstly operated up to the second shutter 120 as shown in FIG. 3 to FIG. In other words, when the common power supply 130 performs the first up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110 as shown in Fig. 3 (Fig. 6) to Fig. 4 (Fig. 7), only the first shutter 110 the first shutter 110 can be brought close to the second shutter 120 while the first shutter 110 is operated. 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143 is lift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slot 142 and can lead to a stable up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110.

그러 다음, 계속되는 공용 동력 제공부(130)의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 셔터(110,120)가 함께 2차 업(up) 동작되어 도 5와 같은 오픈(open) 상태가 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반송대차(190)가 리프터 바디(101) 내로 진입된다.Then,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are up-operated together by the operation of the subsequent common power providing unit 130 to be in an open state as shown in FIG. 5, The conveying carriage 190 enters the lifter body 101.

반송대차(190)가 리프터 바디(101) 내로 진입된 후에는 전술한 역순으로 동작되어 도 3과 같은 제1 및 제2 셔터(110,120)의 클로즈(close)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한다.After the conveying carriage 190 enters the lifter body 101, it is operated in the above-described reverse order to keep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110 and 120 close as shown in FIG. 3,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한의 동력을 적용한 콤팩트한 구조를 통해 셔터(110,120)들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어 동력 손실을 줄이면서도 원활한 동기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인해 셔터(110,120)들의 업/다운 동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소음과 진동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shutters 110 and 120 can be brought about through the compact structure using the minimum power, thereby reducing the power loss, Synchronous control can be implemented. Further, due to the organic mechanism,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shutters 110 and 120 can be smoothly and stably performed, so that the noise and vibration can be remarkably reduc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0 :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101 : 리프터 바디
110 : 제1 셔터 120 : 제2 셔터
130 : 공용 동력 제공부 131 : 실린더 본체
132 : 실린더 로드 135 : 블록 연결 브래킷
137 : 플로팅 조인트 140 : 연동 동작 유도부
141 : 연동 가이드 142 : 장공
143 : 가이드 롤러 144 : 제1 셔터 연결부
145 : 제1 완충패드 146 : 제2 셔터 연결부
147 : 제2 완충패드 150 : 공용 레일
151 : 제1 레일 블록 152 : 제2 레일 블록
161 : 제1 스토퍼 161a : 제1 완충부재
162 : 제2 스토퍼 162a : 제2 완충부재
171 : 입력부 173 : 리미트 스위치
180 : 컨트롤러 190 : 반송대차
100: conveying truck main lifter 101: lifter body
110: first shutter 120: second shutter
130: common power supply 131: cylinder body
132: cylinder rod 135: block connecting bracket
137: floating joint 140: interlocking motion inducing part
141: interlocking guide 142: long hole
143: guide roller 144: first shutter connection part
145: first buffer pad 146: second shutter connection
147: second buffer pad 150: common rail
151: first rail block 152: second rail block
161: first stopper 161a: first buffer member
162: second stopper 162a: second buffer member
171: Input unit 173: Limit switch
180: Controller 190:

Claims (14)

반송대차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반송대차가 출입되는 리프터 바디의 출입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대차가 상기 리프터 바디 내에 진입할 때는 오픈(open)되고 상기 반송대차가 상기 리프터 바디 내에 진입한 후에는 클로즈(close)되는 제1 및 제2 셔터;
상기 제1 및 제2 셔터 모두를 업/다운(up/down)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용으로 제공하되 상기 제1 셔터와 연결되는 공용 동력 제공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셔터에 연결되며, 상기 공용 동력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1 셔터가 업/다운 동작될 때, 상기 제1 셔터의 업/다운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제2 셔터가 함께 업/다운 동작되도록 유도하는 연동 동작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The conveyance truck is disposed in an entrance area of a lifter body in which the conveyance truck enters and exits for maintenance of a conveyance truck, is opened when the conveyance truck enters the lifter body, and after the conveyance truck enters the lifter body First and second shutters that are closed;
A common power providing unit commonly provided with power for up / down operation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nd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And
Wherein the first shutter is coupled to the first shutter and the second shutter is coupled to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when the first shutter is operated up / down through the common power providing unit, And an interlocking motion inducing unit for guiding the interlocking motion to be op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동작 유도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 셔터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셔터에 배치되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는 연동 가이드; 및
상기 제1 셔터에 연결되며, 상기 장공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locking operation inducing unit comprises:
An interlocking guid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hutter and the other end disposed on the first shutter, wherein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 guide roller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and guided while being moved along the trajectory of the slot coupled to the slo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무동력 자유회전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uide roller is a non-motion free rotation rol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동작 유도부는,
상기 제1 셔터에 연결되며,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제1 셔터 연결부; 및
상기 제2 셔터에 연결되며, 일측에서 상기 연동 가이드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제2 셔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terlocking operation inducing unit comprises:
A first shutter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and forming a place where the guide roller is coupled at one sid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hutter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shutter and forming a portion to which the interlocking guide is coupled at one si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 연결부와 상기 제2 셔터 연결부의 마주보는 벽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업/다운 동작 시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가 충돌되지 않게 완충시키는 제1 및 제2 완충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nd second shutter pads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ushioning pads for preventing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during up / down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가 배치되는 상기 리프터 바디의 벽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가 업/다운 동작되는 라인을 이루는 공용 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mmon rail is provided on a wall of the lifter body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re disposed, the common rail forming a line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re operated up and dow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레일 맞물림 결합되고 상기 제1 셔터와 연결되는 제1 레일 블록; 및
상기 공용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레일 맞물림 결합되고 상기 제2 셔터와 연결되는 제2 레일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first rail block movably rail-engaged with the common rail and connected to the first shutter;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ail block movably coupled to the common rail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hut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동력 제공부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단부에서 길이 연장 또는 축소되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mmon power providing portion is a cylinder having a cylinder main body and a cylinder rod which is extended or reduced in length at an end portion of the cylinder main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제1 레일 블록을 한 몸체로 연결시키는 블록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블록 연결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는 플로팅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9. The method of claim 8,
A block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cylinder rod and the first rail block to each other through a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floating joint interposed between the cylinder rod and the block connection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클로즈(close)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개별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가 임의로 낙하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제1 및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toppers for individually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in a clos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from falling arbitrarily, Wherein the conveyor truck main lifter is characterized in tha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의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셔터에 지지되는 완충재질의 제1 및 제2 완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of buffer material, which are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re coupled to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바디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의 설치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업/다운 동작 시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1 셔터의 길이가 상기 제2 셔터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ength of the first shutte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hutter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during up / down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wherein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are different on the lifter body,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at of the conveyance truck.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클로즈(close) 상태에서 상기 제1 셔터를 상기 제2 셔터로 1차 업(up) 동작시키고, 이어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함께 2차 업(up) 동작시켜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오픈(open) 상태가 되도록 상기 공용 동력 제공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ignal for an open or a clos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nd
Up operation of the first shutter to the second shutter in a clos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on power providing uni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are in an open state by performing a second up operation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바디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셔터가 최대 상승위치 이상으로 업(up)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로 셔터의 최대 상승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메인트 리프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limit switch is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ifter body to transmit maximum lif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hutter to the controller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from being operated up to a maximum lift position or higher. Bogie truck lifter.
KR1020160156634A 2016-11-23 2016-11-23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KR1018901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634A KR101890160B1 (en) 2016-11-23 2016-11-23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634A KR101890160B1 (en) 2016-11-23 2016-11-23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029A KR20180058029A (en) 2018-05-31
KR101890160B1 true KR101890160B1 (en) 2018-08-21

Family

ID=6245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634A KR101890160B1 (en) 2016-11-23 2016-11-23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1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167B1 (en) * 2018-11-29 2019-07-18 진호권 Lift for glass door detach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72B1 (en) * 2020-02-06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
KR102352196B1 (en) * 2020-09-01 2022-01-14 이현만 Photomask with increased tightening force Inbox Outbox for mov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806A (en) 1999-12-17 2001-06-26 Shinko Electric Co Ltd Station for carrier facility
JP2007227760A (en) 2006-02-24 2007-09-06 Murata Mach Ltd Transport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0279B2 (en) * 1994-02-22 1999-01-27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Clean transfer method and device
KR101398908B1 (en) 2007-05-22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bilit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mobile ip
JP5429559B2 (en) * 2010-02-01 2014-02-26 株式会社ダイフク Warehouse equipment
JP5720954B2 (en) * 2012-03-06 2015-05-20 株式会社ダイフク Cleaning device for overhead convey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806A (en) 1999-12-17 2001-06-26 Shinko Electric Co Ltd Station for carrier facility
JP2007227760A (en) 2006-02-24 2007-09-06 Murata Mach Ltd Transport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167B1 (en) * 2018-11-29 2019-07-18 진호권 Lift for glass door detach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029A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4713B2 (en) Inter-floor transfer equipment
US7261510B2 (en)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system
KR101716524B1 (en) Substrate container storage system
KR100935134B1 (en) Overhead traveling vehicle system
KR101927363B1 (en) Integrated systems for interfacing with substrate container storage system
KR101890160B1 (en) Maint lifter for transport carriage
KR20200027996A (en) Ceiling transport vehicle, transpor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eiling transport vehicle
KR102277209B1 (en) Stoker
US20120093620A1 (en) Stocker
JP2009256004A (en) Article storage facility
WO2011083525A1 (en) Transfer vehicle system
CN112912321A (en) Ceiling suspension shelf
CN108290687B (en) Storage device and transport system
KR20200035639A (en) Carriage system
KR20040065984A (en) Processing and storing facility
KR101398929B1 (en) Transporting vehicle system
KR20180136112A (en) Vehicle transferring system
KR20210041345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KR20220026360A (en) Carrier storage apparatus
JP2000124284A (en) Transfer apparatus
KR101866775B1 (en) Vehicle transferring system
KR102596509B1 (en) Transferring apparatus
US20230257198A1 (en) Storage shelf and transport vehicle system
KR102367039B1 (en) Carriage and carriage system, and transfer method using the carriage
KR102305772B1 (en) Foldable safety tool and transport carriage lif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