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078B1 - 광학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Google Patents

광학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078B1
KR101889078B1 KR1020170065542A KR20170065542A KR101889078B1 KR 101889078 B1 KR101889078 B1 KR 101889078B1 KR 1020170065542 A KR1020170065542 A KR 1020170065542A KR 20170065542 A KR20170065542 A KR 20170065542A KR 101889078 B1 KR101889078 B1 KR 10188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temperature
tts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292A (ko
Inventor
문병준
이중훈
황성호
박세정
송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6/073,48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16712B2/en
Priority to PCT/KR2017/005594 priority patent/WO2017222203A1/ko
Priority to CN201780012927.9A priority patent/CN108700699B/zh
Priority to JP2018540872A priority patent/JP6667933B2/ja
Priority to EP17815616.2A priority patent/EP3392684A4/en
Priority to TW106119005A priority patent/TWI695772B/zh
Publication of KR2018000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7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for use in the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for producing polarisation effects, e.g. by a surface with polarizing properties or by an additional polariz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고리 구조의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면서도 치수 안정성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Optical film and polarization plat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리 구조의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면서도 치수 안정성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광학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편광된 빛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편광판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PVA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VA 소자와 같은 편광판은 자체의 기계적 특성이 약하고 외부 환경, 예를 들어 온도나 습도의 영향을 쉽게 받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이 필요하다.
이러한 보호 필름은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여야 하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편광판에 사용되는 PVA 소자의 보호 필름으로 종래에는 TAC 필름(Tri-Acetyl-cellulose Film)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TAC 필름보다 우수한 내열성 및 내흡수성 특성을 가지는 아크릴계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편광판 보호용 아크릴계 필름은 압출 캐스팅과 연신 가공을 통하여 제조되는데, 고온에서의 치수 변화가 적고 광학적 특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된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의 치수 안정성과 광학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열성을 부여하는 고리(cyclic) 구조의 단량체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고리 구조의 단량체를 도입할 경우, 원료의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공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고분자의 말단기가 분해되거나 저분자량의 첨가제들이 열분해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는 투명성이 우수하여 편광판 보호용 필름으로의 가능성이 있으나, 유리전이온도가 낮으며, 이에 따라 고온에서 사용시 치수 안정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연신하게 되면 연신 필름의 고온에서의 치수 안정성은 높아지나, 높은 연신 온도에 기인하여 필름 강도 등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필름에 첨가되는 저분자량의 첨가제가 필름 표면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필름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외관 불량에 의한 수율 감소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리 구조의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면서도 치수 안정성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광학용 필름, 특히 편광판 보호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한 결과, 후술할 바와 같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특정량 포함하고 또한 특정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적절한 연신 가공 조건에서, 상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치수 안정성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광학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용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1 내지 5 중량% 포함하고,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20,000 내지 150,000이고, 상기 광학용 필름에 대하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MD 방향 및 TD 방향으로 팽창 후 수축이 시작되는 온도(TTS)가 각각 100℃ 내지 120℃인, 광학용 필름을 제공한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는 투명성이 우수하여 광학용 필름, 특히 편광판 보호용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필름으로 제조할 경우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신 공정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유리전이온도가 낮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광학용 필름은 고온에서 연신 이력이 완화되어 치수 안정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광학용 필름의 열적 치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TTS(Temperature of Thermal Shrinkage)라는 변수를 도입하였고, 이는 연신 공정으로 제조된 광학용 필름이 연신 이력이 완화되면서 급격하게 수축하기 시작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광학용 필름에 온도를 가하였을 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팽창 후 수축이 시작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열적 치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내에 고리 구조를 도입하는 방법이 있으나,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원료의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보다 고온에서 가공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고리 구조가 아닌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1 내지 5 중량% 포함하고,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 내지 150,000이고, 또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후술할 바와 같은 조건으로 연신 공정을 수행할 경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용 필름의 TTS가 100℃ 내지 120℃로 광학용 필름용으로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를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를 의미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그 말단에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메틸 아크릴레이트는 공중합체의 분해를 억제하고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TTS의 물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고리 구조의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고분자의 화학 구조 내에 고리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1.5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 및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또는 3.0 중량% 이하로 포함한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외에 메틸 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화 중합법, 유화-현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말단에 도입하기 위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먼저 중합한 후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20,000 내지 16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00 내지 140,000이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 미만인 경우에는 광학용 필름으로 제조하였을 때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160,000 초과인 경우에는 용융 압출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가 10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광학용 필름으로 제조하였을 때 열적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가 101℃ 이상, 102℃ 이상, 103℃ 이상, 104℃ 이상, 105℃ 이상, 106℃ 이상, 107℃ 이상, 108℃ 이상, 109℃ 이상, 또는 110℃ 이상이고; 119℃이하, 118℃이하, 117℃이하, 또는 116℃이하이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첨가제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열 안정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들은 연신 공정을 통해 제조된 광학용 필름의 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되어야 하며, 분자량 2,000 이하의 저분자량 첨가제 물질은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2중량 %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광학용 필름"이란, 상술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연신하여 제조된 필름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상술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MD 방향으로 1.5배 내지 2.5배 및 TD 방향으로 1.5배 내지 3.5배의 2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연신은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분자를 정렬하는 것으로, 연신 정도에 따라 제조되는 광학용 필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D 방향으로 1.6배 이상, 또는 1.7배 이상; 및 2.4배 이하, 2.3배 이하, 2.2배 이하, 2.1배 이하, 또는 2.0배 이하로 연신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TD 방향으로, 2.0배 이상, 2.1배 이상, 2.2배 이상, 2.3배 이상, 또는 2.4배 이상; 및 3.4 배 이하, 3.3배 이하, 3.2배 이하, 또는 3.1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조건으로 연신함으로써 광학용 필름의 열적 치수 안정성, 즉 광학용 필름의 TTS가 100℃ 내지 120℃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상술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MD 방향 및 TD 방향으로 2축 연신함에 있어서, 상기 MD 방향의 연신 배율과 TD 방향의 연신 배율의 비(TD 연신 배율/MD 연신 배율)는 1.05 이상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D 방향의 연신 배율과 TD 방향의 연신 배율의 비(TD 연신 배율/MD 연신 배율)는 1.1 이상 1.7 이하, 1.2 이상 1.7 이하, 또는 1.3 이상 1.7 이하이다.
또한, 상기 연신 온도는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10℃ 내지 30℃ 높은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신 온도는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11℃ 내지 29℃ 높은 온도, 12℃ 내지 28℃ 높은 온도, 13℃ 내지 27℃ 높은 온도, 14℃ 내지 26℃ 높은 온도, 또는 15℃ 내지 25℃ 높은 온도에서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광학용 필름은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 보다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00인 경우, 압출 연신 후 광학용 필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28,000으로 약 1.7% 감소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MD 방향 및 TD 방향의 TTS 값이 각각 100℃ 내지 120℃이다. TTS(Temperature of Thermal Shrinkage)는 연신 공정으로 제조된 광학용 필름이 연신이 풀리면서 급격하게 수축하기 시작하는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연신 방향인 MD 방향 및 TD 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다. 후술할 실시예와 같이 80 × 4.5 mm의 광학용 필름을 TMA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대기 조건 하에 온도를 가하여 MD 방향 및 TD 방향으로 각각 팽창 후 수축이 시작되는 온도를 TTS 값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MD 방향의 TTS 값이, 101℃ 이상, 102℃ 이상, 103℃ 이상, 또는 104℃ 이상이고; 115℃ 이하, 114℃ 이하, 113℃ 이하, 112℃ 이하, 111℃ 이하, 또는 110℃ 이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TD 방향의 TTS 값이, 101℃ 이상, 102℃ 이상, 또는 103℃ 이상이고; 115℃ 이하, 114℃ 이하, 113℃ 이하, 112℃ 이하, 111℃ 이하, 또는 11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상기 MD 방향의 TTS 및 TD 방향의 TTS 차이가 10℃ 이하이다. 상기 차이가 10℃ 초과인 경우에는, 광학용 필름의 이방성이 높아 광학 필름 용도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는 연신 가공에 의하여 고분자 사슬의 배향이 MD 및 TD 방향으로 균형 있게 되지 않고 어느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진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광학용 필름 물성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D 방향의 TTS 및 TD 방향의 TTS 차이가 9℃ 이하, 8℃ 이하, 7℃ 이하, 또는 6℃ 이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와, 상기 MD 방향의 TTS 및 TD 방향의 TTS 차이가 각각 15℃ 이하이다. 상기 차이가 15℃ 초과인 경우에는 TTS 값이 너무 낮아 고온의 내구성 평가 온도 범위에서 필름이 수축하는 등의 치수 변화가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와, 상기 MD 방향의 TTS 차이가,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또는 10℃ 이하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와, 상기 TD 방향의 TTS 차이가, 14℃ 이하, 13℃ 이하, 또는 12℃ 이하이다. 상기 각각의 차이가 적을수록 TTS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에 근접하여 고온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일례로 10 um 내지 200 u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열 안정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UV 흡수제를 포함하고, 파장 380 nm에서의 UV 투과도 값이 0% 초과 2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용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광판의 기계적 특성을 보완하고, 외부 환경, 예를 들어 온도나 습도의 영향으로부터 편광판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필름은, 고리 구조의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트를 사용하면서도 치수 안정성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5리터 반응기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97.5 wt%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 2.5 wt%의 단량체 혼합물 1000 g을 넣고, 증류수 2000 g, 5% 폴리비닐알코올 용액 8.4 g(POVAL PVA217, kuraray 사), 및 분산 조력제로 붕산 0.1 g을 투입하고 용해하였다. 여기에, 사슬이동제로 n-옥틸머캡탄 2.5 g, 중합개시제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5 g을 투입하고 4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수상에 분산시켜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80℃로 승온하여 90분 동안 중합시킨 후, 30℃로 냉각시켰다. 얻어진 비드를 증류수로 세척 및 탈수한 후에 건조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와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유리전이온도 115℃, 중량평균분자량 120,000이었다. 여기에, UV 흡수제(Tinuvin 360, BASF 사)를 고형분 기준으로 1.5 wt%, 산화방지제(Irganox 1010, BASF 사)를 고형분 기준으로 1.5 wt%를 컴파운딩하여 최종적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265℃에서 용융시키고 T-Die를 통하여 시트 형태로 압출 캐스팅한 후, Tg+15℃인 130℃에서 MD 방향으로 1.8배 및 TD 방향으로 2.5배로 2축 연신하여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MD 방향으로 1.8배 및 TD 방향으로 3.0배로 2축 연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Tg+20℃인 13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및 TD 방향으로 2.5배로 2축 연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Tg+20℃인 13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및 TD 방향으로 3.0배로 2축 연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Tg+10℃인 12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및 TD 방향으로 2.5배로 2축 연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Tg+10℃인 125℃에서 MD 방향으로 1.8배 및 TD 방향으로 3.0배로 2축 연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5리터 반응기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89.0 wt%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 11.0 wt%의 단량체 혼합물 1000 g을 넣고, 증류수 2000 g, 5% 폴리비닐알코올 용액 8.4 g(POVAL PVA217, kuraray 사), 및 분산 조력제로 붕산 0.1 g을 투입하고 용해하였다. 여기에, 사슬이동제로 n-옥틸머캡탄 2.5 g, 중합개시제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5 g을 투입하고 4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수상에 분산시켜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80℃로 승온하여 90분 동안 중합시킨 후, 30℃로 냉각시켰다. 얻어진 비드를 증류수로 세척 및 탈수한 후에 건조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와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유리전이온도 99℃, 중량평균분자량 95,000이었다. 여기에, UV 흡수제(Tinuvin 360, BASF 사)를 고형분 기준으로 1.5 wt%, 산화방지제(Irganox 1010, BASF 사)를 고형분 기준으로 1.5 wt%를 컴파운딩하여 최종적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265℃에서 용융시키고 T-Die를 통하여 시트 형태로 압출 캐스팅한 후, Tg+20℃인 119℃에서 MD 방향으로 1.8배 및 TD 방향으로 2.5배로 2축 연신하여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MD 방향으로 1.8배 및 TD 방향으로 3.0배로 2축 연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Tg+5℃인 120℃에서 MD 방향으로 2.2배 및 TD 방향으로 2.2배로 2축 연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Tg인 115℃에서 MD 방향으로 2.2배 및 TD 방향으로 2.2배로 2축 연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5리터 반응기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95 wt%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 5 wt%의 단량체 혼합물 1000 g을 넣고, 증류수 2000 g, 5% 폴리비닐알코올 용액 8.4 g(POVAL PVA217, kuraray 사), 및 분산 조력제로 붕산 0.1 g을 투입하고 용해하였다. 여기에, 사슬이동제로 n-옥틸머캡탄 2.5 g, 중합개시제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5 g을 투입하고 4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수상에 분산시켜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80℃로 승온하여 90분 동안 중합시킨 후, 30℃로 냉각시켰다. 얻어진 비드를 증류수로 세척 및 탈수한 후에 건조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와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유리전이온도 110℃, 중량평균분자량 120,000이었다. 여기에, UV 흡수제(Tinuvin 360, BASF 사)를 고형분 기준으로 1.5 wt%, 산화방지제(Irganox 1010, BASF 사)를 고형분 기준으로 1.5 wt%를 컴파운딩하여 최종적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265℃에서 용융시키고 T-Die를 통하여 시트 형태로 압출 캐스팅한 후, Tg+5℃인 115℃에서 MD 방향으로 2.4배 및 TD 방향으로 2.4배로 2축 연신하여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광학용 필름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1) TTS(Temperature of Thermal Shrinkage): 광학용 필름을 80 × 4.5 mm의 치수로 샘플을 제조한 후, TA TMA(Q400)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기 조건 하에, 승온 속도 10℃/min 및 하중 0.02 N의 조건으로 온도를 가하였을 때, 상기 샘플이 MD 및 TD 방향으로 각각 팽창 후 수축이 시작되는 변곡점의 온도(접선 기울기가 0)를 TTS 값으로 하였다.
2) 치수변화(MD/TD): 광학용 필름을 20 × 200 mm의 치수로 샘플을 제조한 후, 85℃의 오븐에서 100시간 체류 후 초기 길이 대비 변화한 길이를 측정하였다. 변화한 길이를 초기 길이 대비 백분율 값을 치수 변화 값으로 하였다.
3) POL Bending (MD/TD): 광학용 필름을 PVA 편광 소자의 보호 필름으로 하고, 반대면에서는 COP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 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편광판을 MD 및 TD 방향으로 140 × 20 mm로 제단한 후 COP 보호 필름 면에 PSA를 라미네이션하여 COP 보호 필름 면을 150 × 30 mm 크기의 0.7 t glass에 라미네이션 하였다. Glass에 라미네이션한 편광판을 80℃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체류시킨 다음,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aging 처리하였다. 이후 휘어진 편광판의 한쪽을 지면에 고정시킨 후, 들떠 있는 편광판의 다른 쪽 높이를 측정하여 이를 Pol Bending 값으로 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g 연신온도 연신비
(MD×TD)
TTS
(MD/TD)
[Tg-TTS]
(MD/TD)
치수변화
(MD/TD)
Pol Bending
(MD/TD)
단위 - ℃/℃ ℃/℃ %/% mm/mm
실시예 1 115 130 1.8×2.5 104/103 11/12 -0.52/-0.63 0.75/0.4
실시예 2 115 130 1.8×3.0 106/100 9/15 -0.45/-0.85 0.66/0.48
실시예 3 115 135 1.8×2.5 106/105 9/10 -0.42/-0.52 0.63/0.37
실시예 4 115 135 1.8×3.0 108/103 7/12 -0.37/-0.61 0.6/0.39
비교예 1 115 125 1.8×2.5 99/98 16/17 -0.74/-0.94 1.05/0.55
비교예 2 115 125 1.8×3.0 102/96 13/19 -0.74/-0.94 0.8/0.61
비교예 3 99 119 1.8×2.5 93/92 6/7 -0.57/-1.06 1.31/0.73
비교예 4 99 119 1.8×3.0 95/90 4/9 -1.03/-1.32 1.25/0.77
비교예 5 115 120 2.2×2.2 99/108 16/7 - -
비교예 6 115 115 2.2×2.2 96/105 19/10 - -
비교예 7 110 115 2.4×2.4 93/99 17/11 - -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를 비교하면, 연신 온도를 높게 할수록 높은 TTS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치수 변화도 적은 광학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bending이 작은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3, 실시예 4 및 비교예 4를 비교하여도 동일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광학용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고,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1 내지 5 중량% 포함하고,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20,000 내지 160,000이고,
    상기 광학용 필름에 대하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MD 방향 및 TD 방향으로 팽창 후 수축이 시작되는 온도(TTS)가 각각 100℃ 내지 110℃인,
    광학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가 100℃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D 방향의 TTS 및 TD 방향의 TTS 차이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와, 상기 MD 방향의 TTS 및 TD 방향의 TTS 차이가 각각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필름은 UV 흡수제를 포함하고, 파장 380 nm에서의 UV 투과도 값이 0% 초과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
  6.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MD 방향으로 1.5배 내지 2.5배 및 TD 방향으로 1.5배 내지 3.5배의 2축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고, 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1 내지 5 중량% 포함하고,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20,000 내지 160,000인,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용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D 방향의 연신 배율과 TD 방향의 연신 배율의 비(TD 연신 배율/MD 연신 배율)이 1.05 이상 1.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은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10℃ 내지 30℃ 높은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용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KR1020170065542A 2016-06-22 2017-05-26 광학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88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73,480 US10816712B2 (en) 2016-06-22 2017-05-29 Optical film and polarization plate comprising the same
PCT/KR2017/005594 WO2017222203A1 (ko) 2016-06-22 2017-05-29 광학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201780012927.9A CN108700699B (zh) 2016-06-22 2017-05-29 光学膜和包括其的偏光板
JP2018540872A JP6667933B2 (ja) 2016-06-22 2017-05-29 光学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偏光板
EP17815616.2A EP3392684A4 (en) 2016-06-22 2017-05-29 OPTICAL FILM AND POLARIZATION FILM THEREWITH
TW106119005A TWI695772B (zh) 2016-06-22 2017-06-08 光學膜以及包含此光學膜的偏光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225 2016-06-22
KR20160078225 2016-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92A KR20180000292A (ko) 2018-01-02
KR101889078B1 true KR101889078B1 (ko) 2018-08-16

Family

ID=6100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542A KR101889078B1 (ko) 2016-06-22 2017-05-26 광학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16712B2 (ko)
EP (1) EP3392684A4 (ko)
JP (1) JP6667933B2 (ko)
KR (1) KR101889078B1 (ko)
CN (1) CN108700699B (ko)
TW (1) TWI6957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640B1 (ko) * 2016-09-20 2020-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964436B1 (ko) 2016-09-20 2019-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력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934486B1 (ko) 2016-09-20 2019-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립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960477B1 (ko) 2016-09-20 2019-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립성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21B1 (ko) 2011-06-01 2014-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5645A (en) * 1958-12-05 1964-06-02 Goodyear Aerospace Corp Laminates
NL7904113A (nl) * 1979-05-25 1980-11-27 Philips Nv Optisch uitleesbare informatieschijf,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ervan alsmede een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ze werkwijze.
JP2002131540A (ja) 2000-10-23 2002-05-09 Fuji Photo Film Co Ltd 熱可塑性フイルム、位相差板、円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768280A (zh) * 2003-03-28 2006-05-03 富士胶片株式会社 偏振片及其制备方法,和图象显示装置
JP2006084712A (ja) 2004-09-15 2006-03-30 Mitsubishi Rayon Co Ltd 低熱収縮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5062687A1 (de) 2005-12-23 2007-07-05 Röhm Gmbh PMMA-Folie mit besonders hoher Witterungsbeständigkeit und hoher UV-Schutzwirkung
JP5210858B2 (ja) 2006-03-17 2013-06-12 株式会社きもと 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用バインダー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
TWI387777B (zh) 2006-04-06 2013-03-01 Nippon Catalytic Chem Ind 光學用薄膜及其製造方法
JP2007334140A (ja) 2006-06-16 2007-12-27 Sekisui Chem Co Ltd 位相差フィルム
JP5068105B2 (ja) 2007-06-07 2012-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非晶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非晶性樹脂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444424B (zh) 2007-06-14 2014-07-11 Nippon Catalytic Chem Ind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 resin molded product using the resin composition, a protective element for a polarizing elem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molded product
JP2009292870A (ja) 2008-06-02 2009-12-17 Fujifilm Corp アクリ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光学補償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316164B1 (ko) * 2008-10-08 2013-10-08 (주)엘지하우시스 수지 시럽, 상기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US8361264B2 (en) 2009-03-06 2013-01-29 Konica Minolta Opto, Inc.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produced by the proces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plate
JP5489663B2 (ja) 2009-03-10 2014-05-14 株式会社カネカ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
JP5430187B2 (ja) 2009-03-13 2014-02-26 株式会社日本触媒 2軸延伸フィルム
KR20110126921A (ko) 2010-05-18 2011-11-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264833B1 (ko) * 2010-09-30 2013-05-15 가부시키가이샤 지로 코포레토 프란 보호시트 및 편광판
JP2012082304A (ja) 2010-10-08 2012-04-26 Kaneka Corp 光学用フィルム
JP2012082358A (ja) 2010-10-14 2012-04-26 Kaneka Corp 光学用フィルム
KR20120058773A (ko) 2010-11-30 2012-06-08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269673B1 (ko) 2011-04-13 2013-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CN103619946B (zh) * 2011-07-01 2016-08-17 旭化成株式会社 丙烯酸系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成型体
KR101418755B1 (ko) 2011-10-05 2014-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상필름
JP5726053B2 (ja) 2011-11-25 2015-05-27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メタクリル系樹脂の製造方法
JP2013114198A (ja) 2011-11-30 2013-06-10 Keio Gijuku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樹脂材料及び画像表示装置
TWI491624B (zh) 2012-06-01 2015-07-11 Lg Chemical Ltd 樹脂組成物、使用其所形成之光學膜、包含其之偏光板、以及包含其之液晶顯示裝置
WO2014057939A1 (ja) 2012-10-12 2014-04-17 学校法人慶應義塾 アクリル系共重合体、二軸延伸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40142766A (ko) * 2013-06-04 2014-12-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938897B1 (ko) 2013-06-05 2019-01-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
KR101533883B1 (ko) 2013-06-18 2015-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526705A (ja) 2013-06-21 2016-09-0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を含む偏光板
WO2015047005A1 (ko) 2013-09-30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914815B1 (ko) 2013-09-30 2018-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5098676A1 (ja) 2013-12-27 2015-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ドープ組成物、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342791B2 (ja) 2013-12-27 2018-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20160138219A (ko) 2014-03-31 2016-12-02 주식회사 쿠라레 2 축 연신 필름과 그 제조 방법, 편광자 보호 필름, 가식 필름, 및 적층 필름
US10328675B2 (en) 2014-05-30 2019-06-25 Zeon Corporation Multilayer film and wound body
KR101765372B1 (ko) * 2014-11-26 2017-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소자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6536047B2 (ja) 2015-01-29 2019-07-0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21B1 (ko) 2011-06-01 2014-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92A (ko) 2018-01-02
CN108700699B (zh) 2021-01-15
TW201811537A (zh) 2018-04-01
US10816712B2 (en) 2020-10-27
EP3392684A4 (en) 2019-04-03
US20190025489A1 (en) 2019-01-24
TWI695772B (zh) 2020-06-11
JP2019508736A (ja) 2019-03-28
EP3392684A1 (en) 2018-10-24
JP6667933B2 (ja) 2020-03-18
CN108700699A (zh)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815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889078B1 (ko) 광학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042213B1 (ko)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EP3333224B1 (en)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optical film comprising same
KR101934486B1 (ko) 슬립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960477B1 (ko) 슬립성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10054750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2082358A (ja) 光学用フィルム
KR102049023B1 (ko) 인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2034735B1 (ko) 광학용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WO2017222203A1 (ko) 광학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8030759A1 (ko) 광학 재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KR101521682B1 (ko) 보관 안정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174694B1 (ko)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304589B1 (ko) 투명성, 인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KR102176880B1 (ko) 위상차 필름,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150290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KR101627975B1 (ko) 인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박형 편광판
KR20140105094A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