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765B1 - Car barrier, System for managing car traff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 - Google Patents

Car barrier, System for managing car traff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765B1
KR101886765B1 KR1020170156469A KR20170156469A KR101886765B1 KR 101886765 B1 KR101886765 B1 KR 101886765B1 KR 1020170156469 A KR1020170156469 A KR 1020170156469A KR 20170156469 A KR20170156469 A KR 20170156469A KR 101886765 B1 KR101886765 B1 KR 101886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bar
sensing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트라웍스(주)
김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라웍스(주), 김선미 filed Critical 트라웍스(주)
Priority to KR1020170156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7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7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gate for a car, a car traffic manag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lifting gate for a car which includes a blocking bar for allowing or blocking the entry of the car,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blocking bar,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fting gat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gate is abnormal by us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fting gate sensed in the sensing uni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bnormal car traffic.

Description

차량용 차단기, 차량통행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ar barrier, System for managing car traff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reaker, a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차단기, 차량통행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행이 인가되지 않은 차량의 통행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차량의 통행을 예방, 방지, 감시 및 적발할 수 있는 차량용 차단기, 차량통행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ircuit breaker, a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ular circuit breaker capable of preventing, preventing, monitoring and detecting an abnormal vehicle passage, To a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에는 공장, 아파트, 특정의 주차장 등에 모든 차량의 통행이 자유롭게 허용되는 것은 아니며, 통행이 허용된 차량만이 출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공장, 아파트, 특정의 주차장 등과 같은 특정 공간(또는 지역)으로의 차량의 통행을 통제 관리하는 것이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이다. 특정의 주차장으로의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것은 주차관제 시스템이라고 하기도 한다.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은 이러한 주차관제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들 들어, 조류 독감, 구제역으로 인한 방역 등의 목적으로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을 통행을 통제 관리하는 것도 일종의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이다.In recent years, not all vehicles are allowed to freely enter a factory, an apartment, or a specific parking lot. Thus, it is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that controls the passage of the vehicle to a specific space (or area) such as a factory, an apartment, or a specific parking lot. It is also called a parking control system to control access of a vehicle to a specific parking lot.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is not limited to such a parking control system. For example, it is a kind of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that controls traffic passing through a specific point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bird flu and foot and mouth disease.

일반적으로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은, 차량의 통행을 실질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하는 물리적인 수단인 차단바를 가지는 차단기와, 상기 차량이 어떤 차량인지를 식별하는 차량식별수단, 통행이 허용된 차량의 정보를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식별수단에 의하여 식별된 차량이 통행이 인가된 차량인지를 판단하여 통행이 허용된 차량이라면 상기 차단기에 개방신호를 보내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Generally, a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breaker having a shut-off bar that is a physical means for substantially allowing or blocking the passage of a vehicl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which vehicle the vehicle is in,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dentified by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is a vehicle to which passage is permitted by using the database and sending an open signal to the breaker if the vehicle is allowed to pass.

차량식별수단에서 차량을 식별하는 방식은 크게 무선식별방식과 영상처리방식이 있으며, 근래에는 영상처리방식이 주류이다. 무선식별방식에서는, 차량에 설치되거나 운전자가 소지하는 무선 태그와 상기 무선 태그를 식별하는 리더를 이용하여 차량을 식별한다. 무선 태그로서는 RF ID, QR 코드, 블루투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영상처리방식에서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차량번호를 판독하여 차량을 식별한다.A method of identifying a vehicle by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includes a wireless identification method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In recent years, image processing methods are mainstream. In the radio identification system, a radio tag installed in a vehicle or carried by a driver and a reader for identifying the radio tag are used to identify the vehicle. As the wireless tag, an RF ID, QR code, Bluetooth, or the like can be used. I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the license plate is photographed and the vehicle number is read by image processing to identify the vehicle.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은 특정 공간(또는 지역)으로의 인가된 차량만의 통행을 허용한다. 그런데 현재의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서는 특정 공간으로의 인가된 차량만의 통행을 허용하는 것이 완전하지는 않다. 즉, 현재의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서는 인가되지 않는 차량의 통행도 쉽게 허용되며, 이러한 상황이 사후에 정확히 파악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permits passage of only authorized vehicles to a specific space (or area). However, in the present vehicle management system, it is not perfect to permit only authorized vehicles to pass into a specific space. That is, in the current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traffic of an unauthorized vehicle is easily allowed,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such situation.

왜냐하면,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차단기, 차량식별수단, 중앙처리부 등은 전기 전자적인 부품이거나 기계적인 부품인데 이러한 부품에서는 불가피하게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은, 현장 관리자 또는 원격 관리자가 차단기에 차단기 개폐신호를 보내어 차단바를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현장 관리자 또는 원격 관리자에게 주어진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관리자가 통행이 허가되지 않은 차량인 경우에도 차단기에 개방신호를 보내 차단바를 개방하여 해당 차량의 통행을 허용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breaker,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etc., which are components of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are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or mechanical components, which may inevitably cause an abnormality. In this case,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generally includes a function that a field manager or a remote manager sends a breaker opening / closing signal to the breaker to open / close the blocking bar. However, many problems arise due to these functions given to the field manager or the remote manager. For example, even in the case where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pass, the manager can send an open signal to the breaker to open the blocking bar to allow the vehicle to pass.

또한, 현장 관리자 또는 외부인이 차단바를 물리적으로 강제로 개방하여 비인가된 차량이 통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단바를 강제로 들어올리거나 차단바를 분리시키고 차량이 통행하는 것도 발생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for an unauthorized vehicle to pass by physically forcibly opening the shut-off bar by a field manager or an outsider. For example, it may happen that the blocking bar is forcibly lifted or the blocking bar is disconnected and the vehicle is passing by.

현재의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비인가된 차량의 통행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차량의 통행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또는 사후에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더욱 문제가 된다. 그런데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서 이러한 비정상적인 차량의 통행을 허용하는 것은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원래 목적과 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서 이러한 비정상적인 차량의 통행을 근본적으로 예방,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사후적으로 이를 감시, 적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Current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s are more problematic because there is no way to prevent or detect unauthorized vehicle traffic, such as traffic of unauthorized vehicles of this type. However, allowing the passage of such abnormal vehicles in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is contrary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prevent and prevent the abnormal traffic of vehicles in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and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monitor and detect such situations in the event of such a situ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적인 차량의 통행을 예방, 방지, 감시 및 적발할 수 있는 차량용 차단기, 차량통행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circuit breaker, a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event, prevent, monitor, and detect unusual vehicle traffic.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차단바와; 상기 차단바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차단기 작동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차단기의 비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단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including: a blocking bar for allowing or blocking a vehicle from entering or exiting;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blocking bar;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reaker;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reaker operates abnormally using the breaker operating stat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상기 감지부는,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차단바와 상기 구동부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차단바 감지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부 감지부 중의 최소한 한 개가 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sensing unit that senses a state of a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a blocking bar sensing unit that senses whether or not the sens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sensing unit, and at least one driving unit sensing unit that senses whether the sensing unit rotates .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구동부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구동부의 회전 여부와,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서의 받은 차단기 개방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차단기의 비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circuit breaker is operating abnormally by comparing and judging whether the driving unit sensed by the driving unit sensing unit is turned and the breaker opening signal received by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또한, 상기 전원 감지부, 상기 차단바 감지부 및 상기 구동부 감지부를 위한 보조 전원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 작동상태 및 시간정보를 매칭하여 보관하는 저장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기가 비정상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알람을 출력하는 경보부 및 감시용 카메라부 중 최소한 한 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ower unit for the power sensing unit, the blocking bar sens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sensing uni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storing the breaker operation state and time information.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alarm unit and a monitoring camera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if the breaker is determined to operate abnormal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차단바를 가지는 차단기와; 상기 차량이 어떤 차량인지를 식별하는 차량식별수단과; 통행이 허용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차량식별수단에서 식별된 차량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차량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통행 여부를 판단하며, 관리자에 의한 수동개방 기능을 가지며, 상기 수동개방 기능의 요청시에 통행하려는 차량정보를 입력받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brake system comprising: a circuit breaker having a shut-off bar for allowing or blocking passage of a vehicl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which vehicle the vehicle is; A database having information on a vehicle permitted to pass;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vehicl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ssing or not, and having a manual opening function by a manager,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관리자에 의한 수동개방 기능의 요청시에 통행하려는 차량정보가 입력되어야 상기 차단기에 상기 수동개방을 요청하게 할 수도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may request the breaker to request the passive opening when the vehicle information to be passed is input at the time of the request of the manual opening function by the manag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차단바를 가지는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차량이 어떤 차량인지를 식별하는 차량식별수단과; 통행이 허용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차량식별수단에서 식별된 차량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통행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감지부에서 받은 상기 차단기의 작동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식별수단이 해당 시간대에 수집한 차량정보와 상기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매칭한 통행이상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including: a circuit breaker having a shut-off bar for allowing or blocking passage of a vehicle;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which vehicle the vehicle is; A database having information on a vehicle permitted to pass;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ssing by 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and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databas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eaker received by the sensing unit is abnormal,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ravel abnormality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단바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차단바와 상기 구동부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차단바 감지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부 감지부 중의 최소한 한 개가 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includes a power sensing unit for sensing a state of a power source supplied to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locking bar, a blocking bar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blocking bar is separated from the driving unit, and a driving unit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driving unit is rotated. At least one of them.

그리고 상기 차량식별수단은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포함하여 상기 통행이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includes a vehicle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entry of the vehicle, and a camera unit that acquires an image of the vehicle,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generates the traveling anomaly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단바, 상기 차단바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가지는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단기의 비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차단기가 비정상 작동이라고 판단되면,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breaker, comprising: a first step of detecting an operation state of a breaker having a shut-off bar and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shut-off bar;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breaker is operating abnormally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eaker detected in the first step;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reaker is abnormal in the second step.

제2단계에서, 상기 차단기의 작동상태는, 상기 차단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 상기 차단바와 상기 구동부의 분리 여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여부 중의 최소한 한 개를 이용하여 상기 차단기의 비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step,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eaker is determ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a state of a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circuit breaker, a state of the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circuit breaker, a state where the power source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

상기 구동부의 회전여부와,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서의 받은 차단기 개방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차단기의 비정상 작동여부를 더욱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ircuit breaker is abnormal by comparing and judging whether or not the driving unit rotates and the breaker opening signal received by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그리고, 상기 제3단계에서 경보발령, 상기 차단기 작동상태 저장 및 상기 차단기 작동상태를 상기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 전송 중의 최소한 한 개를 수행하는 것이 될 수 있다.The third step may be to perform at least one of issuing an alarm, storing the breaker operating state, and transmitting the breaker operating state to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차단기, 차량통행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vehicle circuit breaker,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파악, 기록할 수 있으므로, 현장 관리자, 원격 관리자 또는 외부인에 의한 비인가 차량의 통행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차량의 통행을 예방,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state of the breaker can be grasped and recor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prevent the abnormal traffic of the unauthorized vehicle such as the on-site manager, the remote manager or the outsider.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된 차단기의 작동상태,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단기 및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운영을 감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and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and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차단기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차단기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차단기, 차량통행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될 실시예 또는 도면에 그려진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도 본 발명의 범주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ehicle circuit breaker, a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component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xamples, but these are only us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specific elements may be shown or described exaggeratedly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is is also intended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s also a categor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1,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은 차량의 통행을 실질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하는 물리적 수단인 차단바를 가지는 차단기(2)와, 상기 차량이 어떤 차량인지를 식별하는 차량식별수단(4), 상기 차단기(2), 상기 차량식별수단(4)과 소정의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각종 판단 및 판단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는 중앙처리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차단기(2), 차량식별수단(4) 및 중앙처리부(6)의 처리 결과 등을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9)가 상기 중앙처리부(6)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ircuit breaker 2 having a shut-off bar that is a physical means for substantially allowing or blocking the passage of a vehicle, vehicle identifying means 4 for identifying which vehicle the vehicle is,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6 for carrying out various judging and judging actions while exchang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with the breaker 2,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4, and the like. It is also preferable that a database 9 for storing the results of processing by the circuit breaker 2,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4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또한, 중앙처리부(6)에는 감시용 카메라부(8) 및 경보부(7)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처리부(6)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부(5), 모니터와 같은 출력부(3)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is connected to the monitoring camera unit 8 and the alarm unit 7. It is preferable that an input unit 5 such as a keyboard and an output unit 3 such as a monitor are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한편,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식별수단(4)은 무선식별방식과 영상처리방식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근래에 주류적으로 사용하는 차량번호를 판독하여 차량을 식별하는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차량식별수단(4)은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44),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42), 촬영된 차량의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판독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영상처리부의 기능은 중앙처리부(6)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영상처리부가 중앙처리부(6)에 포함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4 has a wireless identification system and an image processing system.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of a method of identifying a vehicle by reading a car number used mainly in recent years Explain. Therefore,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4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ehicle sensing portion 44 for sensing the entry of the vehicle, a camera portion 42 for acquiring the image of the vehicle,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reading out the number. The functions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are preferably includ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Hereinafter, 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차량 감지부(44)를 설명한다. The vehicle sensing unit 44 will be described.

차량 감지부(44)는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물리적인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과 영상처리방식이 있다. 물리적인 센서는 루프 센서, 지자기 센서, 영상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처리방식에서는, 카메라부에서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진입을 판단한다. 예를 들면, 차량번호판, 라이트, 그릴 등과 같은 차량의 특징을 검출하여 차량의 진입을 판단한다.The vehicle detection unit 44 detects the entry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method using a physical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The physical sensor may be a loop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 image sensor, or the like. I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entry of the vehicle. For example, a feature of a vehicle such as a license plate, a light, a grill or the like is detected to determine the entry of the vehicle.

카메라부(42)를 설명한다.The camera unit 42 will be described.

카메라부(42)는 통행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다. 카메라부는 카메라 또는 스마트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는 영상만을 획득하는 일반적 의미의 카메라이다. 스마트 카메라는 영상만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획득한 영상을 분석 및 해석하는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즉, 스마트 카메라는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판독할 수 있으며, 차량의 형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진입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알고리즘을 탑재하면, 카메라 주변에 사람이나 기타 객체가 감지되면 해당 영상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카메라부로서 스마트 카메라를 사용하면, 후술하는 중앙처리부에서 차량의 진입을 검출하거나 차량번호를 판독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스마트 카메라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부가 항상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차량번호를 인식 또는 분석하도록 하여 차량감지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camera section 42 photographs a passing vehicle and acquires an image. The camera part may be a camera or a smart camera. The camera is a general-purpose camera that acquires images only. Smart camera means a camera that has algorithms to analyze and analyze acquired images rather than acquire images only. That is, the smart camera can analyze the photographed image and read out the vehicle number,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entry of the vehicle by analyzing the shape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algorithm is installe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detecting a corresponding image when a person or other object is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camera. Therefore, when a smart camera is used as the camera section, it is possible for the smart camera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entry of the vehicle or reading out the vehicle number from the central processing section described later. Further, the camera unit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t all times, and the vehicle number may be recognized or analyz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vehicle detection unit.

이하에서는 편의상 카메라부(42)로서 일반 카메라를 사용하고, 차량감지부(44)로서 물리적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예들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 general camera is used as the camera unit 42 for convenience, and a physical sensor is used as the vehicle sensing unit 44. FIG.

중앙처리부(6)를 설명한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will be described.

중앙처리부(6)는 카메라부(42)에서 획득하는 영상을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하여 분석, 처리하고 해석하여 차량의 번호를 판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처리부(6)는 일반적으로 윈도우 기반의 산업용 컴퓨터를 사용하지만, 라즈베리, 아두이노 등과 같은 임베디드 리눅스를 이용하여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analyzes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42 by image processing, processes and analyzes the image, and reads the vehicle numb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generally uses a window-based industrial computer,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hardware using embedded Linux such as Raspberry, Arduino, and the like.

또한, 중앙처리부(6)는 판독된 차량이 통행이 인가된 차량인지를 판단하여 통행이 허용된 차량이라면 차단기(2)에 개방신호를 보내게 된다. 즉, 중앙처리부(6)에서는 판독된 차량번호를 데이터베이스(9)에 저장된 통행인가 차량번호와 비교하여, 해당 차량의 통행을 허용 또는 비허용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중앙처리부(6)는 해당 차량이 통행이 허용된 차량이라고 판단되면, 차단기(2)에 개방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determines whether the read vehicle is a vehicle to which traffic is applied, and sends an open signal to the circuit breaker 2 if the vehicle is allowed to pass. That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compares the read vehicle number with the traffic-granted vehicle number stored in the database 9 to determine whether to permit or not allow the vehicle to pas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outputs an open signal to the circuit breaker 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 vehicle permitted to pass.

본 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부(6)는 종래의 중앙처리부와는 달리 추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중앙처리부(6)는 차단기(2)의 작동상태를 받아서, 차량이 비정상적으로 통행한다고 판단되면 소정의 조치를 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통행한다는 것은 중앙처리부(6)에서 판독된 차량이 통행이 허용되는 차량으로 판단되어 차단기(2)에 개방신호를 보내어 차단바가 개방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이외의 경우는 비정상적 차량의 통행으로 볼 수 있다.(차량의 비정상적 통행 및 차단기의 작동상태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함)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additional function unlike the conventional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has a function of receiv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2 and taking a predetermined a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abnormally. The normal traveling of the vehicle means that the vehicle rea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is judged to be a traffic permitting vehicle and sends an open signal to the breaker 2 to open the blocking bar. Therefore, it can be regarded as a passage of an abnormal vehicle (the abnormal passage of the vehicle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break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한편, 중앙처리부(6)에는 감시용 카메라부(8) 및 경보부(7)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시용 카메라부(8)는 통행관리 구역 부근과 차량 진입 영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처리부(6)에서 차단기(2)에서 받은 차단기 작동상태 등을 근거로 비정상적 차량의 통행이라고 판단되면 감시용 카메라부(8)에서 소정 구역의 영상을 획득하여 인덱스를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덱스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촬영 시간 등과 촬영의 기본정보를 포함하고 차단기 작동상태 등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감시용 카메라부(8)는 소정 구역을 상시적으로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monitoring camera unit 8 and the alarm unit 7.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veillance camera unit 8 is installed to photograph the vicinity of the traffic management area and the vehicle entry area. It is preferable that an image of a predetermined region is acquired by the monitoring camera unit 8 and the index is added and stor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 vehicle is traveling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breaker 2 received from the breaker 2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 The index is not limited, but basically includes basic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ing time and photographing, and preferably includes a breaker operating state and the like. Of course, the surveillance camera unit 8 can photograph a predetermined area at all times.

또한, 중앙처리부(6)에서는 비정상적인 차량의 통행이 발생된다고 판단하면, 경보부(7)에 알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경보부(7)는 경광등, 전광판 등과 같은 시각적 수단 또는 부저, 스피커 등과 같은 청각적 수단이 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determines that abnormal vehicle travel occurs, the alarm unit 7 can output an alarm. The alarm unit 7 may be visual means such as a warning light, electric signboard or the like, or auditory means such as a buzzer, a speaker, and the like.

데이터베이스(9)를 설명한다. The database 9 will be described.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9))는 통행이 허용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행이 허용된 차량에 대한 정보는 차량을 각각 구별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이면 되지만, 각각의 차량에 부여된 고유의 번호인 차량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asically, the database 9 preferably has information on a vehicle that is allowed to pass. The information on the vehicle permitted to pass may be information of a type in which the vehicle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u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vehicle number which is a unique number assigned to each vehicle.

통행이 허용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아파트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첫째, 통행이 허용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는 입주민 차량 등과 같이 원래 통행 허용으로 등록된 차량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둘째, 입주민이 아니지만 해당 아파트를 방문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이다. 이 경우에는 방문 차량에 대한 정보는 원래 통행이 허용된 차량이 아니지만, 해당 아파트에 입차 시에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고, 해당 아파트에서 출차할 때는 입차시 기록된 정보가 일종의 통행이 허용된 차량에 대한 정보가 된다. 즉, 대부분의 경우에 데이터 베이스에 보관되는 통행이 허용된 차량에 대한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두가지 종류의 차량 정보 중의 하나 또는 조합이 된다. 예를 들어, 공영주차장, 민영주차장 등은 두번째 형태의 차량 정보가 된다. There are two types of information about vehicles that are allowed to pass. Describe an apartment as an example. First, the information on the vehicles which are allowed to pass may be information on the vehicles which are originally permitted to pass, such as a resident vehicle. Second, it i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that is not a resident but who visits the apartment.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visiting vehicle is not a vehicle which is originally allowed to pass, but information on the vehicle is recorded when entering the apartment, and when the apartment is departing from the apartment, It become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That is, in most cases, the information on the vehicles permitted to pass stored in the database is on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types of vehicl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public parking lot, a private parking lot, etc. become the second type of vehicle information.

또한, 데이터베이스(9)에는, 차량 영상, 상기 차량 영상에서 판독된 차량번호(통상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영상획득시각, 위치정보 등(이하 편의상 '진출입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base 9 preferably stores a vehicle image, a vehicle number (normal text type data) read from the vehicle image, an image acquisition time, location information, etc. (hereinafter, 'entry / exit information' .

차량의 정상적 통행 및 비정상적 통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normal traffic and abnormal traffic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정상적인 형태의 차량의 통행은 차단기(2)가 중앙처리부(6)에서 정상적인 개방신호를 받아서 개방되어,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이다. 즉, 중앙처리부(6)에서 통행하려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판독하며, 판독된 차량번호가 데이터베이스(9)에 통행 인가 차량으로 등록되어 있으면, 차단기(2)에 개방신호를 보내고 최종적으로 이 신호에 의하여 차단바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이다. The passage of the vehicle in the normal form is a case in which the breaker 2 is opened by receiving a normal open signal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and the vehicle is passing. That is, if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to be traversed is rea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and the read vehicle number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9 as a traffic-approved vehicle, an open signal is sent to the circuit breaker 2, This is the case when the blocking bar is automatically opened and the vehicle is passing.

이러한 경우 이외의 차량의 통행은 비정상적 차량의 통행으로 생각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차량의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차량이 통행하기 위해서는 작동되는 것은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에 차단기(2)이므로, 상기 차단기(2)가 어떤 상황에서 작동되었는지(이하 편의상 '차단기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2)의 작동상태를 기반으로 비정상적 차량의 통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기(2)의 작동상태를 이용하여 차량의 비정상적 통행을 판단함으로써,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서는 비정상적 차량의 통행을 방지, 감시 및 적발하기 위한 개선을 제안한다.In such a case, the passage of the vehicle may be considered as the passage of the abnormal vehicle. There are many possible causes of abnormal vehicle traffic. However, since it is the circuit breaker 2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that is operated in order for the actual vehicle to travel, it detects the state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2 is opera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ircuit breaker operating state' One way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bnormal vehicle is traveling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2.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u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2 to determine the abnormal traffic of the vehicle,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proposes an improvement to prevent, monitor, and detect abnormal traffic.

도 2를 참조하여, 차단기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를 설명한다. 차단기(2)의 일반적인 기계적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제어적 측면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pable of detecting a breaker operation state will be described. Since the general mechanical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2 is well know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mainly be described in terms of control.

차단바(21)는 상하로 회전하여 차량의 출입을 실제 허용 또는 차단하는 물리적 수단이다. 차단바(21)는 상기 차단바(21)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구동부(22)에 연결된다. 구동부(22)는 차단기(2)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24)와 연결된다. 제어부(24)에는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과 통신부(25)를 통하여 통신한다. 제어부(24), 통신부(25), 구동부(22)는 소정 형상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locking bar 21 is a physical means that rotates up and down to actually allow or block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he blocking bar 21 is connected to a driving unit 22 for operating the blocking bar 21 up and down. The driving unit 22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24 which controls various components of the circuit breaker 2. [ The control unit 24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via the communication unit 25. [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24, the communication unit 25, and the driving unit 22 are installed inside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구동부(22)로서는 통상 모터가 사용되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실질적으로 차단바(2)가 연결된다.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에 연결된 차단바(21)가 상하로 회전함으로써 차량의 통행을 허용 또는 차단하게 된다. As the drive unit 22, a normal motor is used, and the shut-off bar 2 is connected substantially to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the shut-off bar 21 connected to the motor is rotated up and down to allow or block the passage of the vehicle.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2)의 다른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전에 차단기(2)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2 will be described before describing the other components of the circuit break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차단기(2)에서 실제 물리적으로 차량의 통행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것은 차단바(21)이다. 즉, 차단기의 구성요소 중에 실제 물리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은 차단바(21)이며 상기 차단바(21)는 개방 또는 페쇄된다. 그런데, 차량의 통행 관리 측면에서 보면, 차단바(21)는 폐쇄된 상태로 있다가 차량의 통행을 허용할 때 차단바(21)가 개방된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구별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편의상 차단바 개방 및 차단바 개방신호라는 표현을 사용한다.Firstly, it is the blocking bar 21 that blocks or permits the passage of the vehicle physically in the circuit breaker 2. That is, the actually physically opened or close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ircuit breaker is the shut-off bar 21 and the shut-off bar 21 is opened or closed. However, in terms of the traffic management of the vehicle, the shut-off bar 21 is closed and the shut-off bar 21 is changed to the open state when the vehicle is allowed to pass. 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the expression of the cut-off bar opening and shutoff bar opening signal is used except for the case where distinction is particularly required.

다음으로, 차단기(2)의 정상작동과 비정상 작동을 설명한다.Next, the normal operation and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will be described.

차단기(2)가 정상적 작동하는 경우는,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의 중앙처리부(6)에서 차량번호가 판독되고 판독된 차량번호가 통행이 출입된 차량번호로 판단되어, 상기 중앙처리부(6)가 차단기(2)로 차단바(21)의 개방신호를 보내고, 상기 차단기(2)는 이러한 정상 개방신호를 받아서 개방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이외에는 차단기(2)의 비정상 작동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When the breaker 2 operates normally, the vehicle number is read o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of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and the read out vehicle number is judged to be the vehicle number in which the traffic is entered and exited. ) Sends an open signal of the shut-off bar (21) to the circuit breaker (2), and the circuit breaker (2) is opened by receiving this normal open signal. Otherwis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circuit breaker 2 is operating abnormally.

차단기(2)의 비정상적인 작동의 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xamples of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차단기(2)의 비정상적인 작동은, 중앙처리부(6)의 정상 개방신호에 의하여 차단바(21)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경우(이하 편의상 '자동개방') 이외의 경우이다. 차단기(2)의 비정상 작동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주로 차단바(21)가 정상적 자동개방 신호가 없는데 개방되는 가능성이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is a case other than the case where the shut-off bar 21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normal opening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hereinafter referred to as "automatic opening"). There are various abnormal operations of the breaker 2,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hut-off bar 21 is opened without a normal automatic opening signal. An example of this is as follows.

일반적으로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은, 현장 관리자 또는 원격 관리자가 차단기(2)에 개폐신호를 보내어 차단바(21)를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중앙처리부(6)에 메뉴 형태로 구비되어, 관리자가 입력부(5)를 이용하여 차단기(2)에 개방신호를 보내게 된다. 또한, 차단기(2)의 소정 위치에 수동개방버튼(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수동개방버튼을 눌러 차단바(21)를 개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차단바(21)의 개방은, 비록 차단바(21)가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개방되지만 통행하려는 차량의 통행 인가 여부에 상관없이 차단바(21)가 개방되므로, 차단기(2)의 정상적 작동이라고 보기 어렵다.(이하 정상적 개방신호에 의한 '자동개방'이 아닌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개방한다는 의미로 편의상 '수동개방'이라함) 따라서, 현장 관리자 또는 원격 관리자가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에 부여된 '수동개방' 기능을 이용하여 차단바(21)를 개방하는 경우도 일단 차단기(2)의 비정상적 작동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Generally,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a function that a field manager or a remote manager sends an opening / closing signal to the circuit breaker 2 to open / close the shut-off bar 21. [ This func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menu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so that the manager sends an open signal to the circuit breaker 2 using the input unit 5. [ Further, a manual opening button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to open the blocking bar 21 by pressing the manual opening button. The opening of the blocking bar 21 of this type allows the blocking bar 21 to be open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blocking bar 21 is opened by an electrical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ual openin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that it is manually opened by an administrator, not by an automatic opening signal by a normal opening signa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the breaker bar 21 into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breaker 2 once.

또한, 현장 관리자 또는 외부인이 차단바(21)를 물리적으로 강제로 개방하여 차량을 통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단바(21)를 강제로 들어올리거나 차단바(21)를 분리시키고, 차량이 통행할 수 있다.(이하 편의상 '인위적 개방"이라 함) 이러한 경우도 차단기(2)의 비정상 작동이라고 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field manager or the outside person to open the shut-off bar 21 physically to forcibly ope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blocking bar 21 may be forcibly lifted or the blocking bar 21 may be disconnected so that the vehicle can pa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rtificial opening " .

차단기(2)의 인위적 개방이 가능한 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xamples in which the circuit breaker 2 can be artificially opened are as follows.

통상 차단바(21)는 상기 차단바(21)가 연결된 구동부(22)로의 전원이 차단(OFF)되면 개방되도록 설정되거나 차단바(21)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구동부(22)로의 전원이 차단되면, 사람이 차단바(21)를 수동으로 인위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구동부(21)로의 전원이 오프(OFF)되는 경우를 차단기(2)의 비정상 작동으로 볼 수 있다. Normally, the shut-off bar 21 is set to open when the power to the drive unit 22 connected to the shut-off bar 21 is turned off or to manually open the shut-off bar 21. That is, when the power to the drive unit 22 is cut off, it is possible for the person to manually open the shut-off bar 21 manually. Therefore, when the power to the driving unit 21 is turned off, it can be regarded as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또한, 차단바(21)는 구동부(22)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차단바(21)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탈착 가능한 결합수단으로 구동부(22)에 연결된다. 그런데, 차단바(21)를 구동부(22)에서 인위적으로 분리시키면, 차량이 통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단바(21)가 구동부(22)에서 분리되면, 차단기(2)의 비정상적 작동으로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bar 2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riving unit 22 in general. That is, the shut-off bar 2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2 by a detachable coupling means such as a bolt and a nut so as to facilitate replacement. However, if the blocking bar 21 is artificially separated from the driving unit 22, it is possible for the vehicle to pass through. Therefore, if the shut-off bar 21 is disconnected from the drive 22, it can be regarded as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

또한, 구동부(22)에 전기가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사람이 차단바(21)에 연결된 구동부(22)를 강제로 회전(이하 편의상 '강제회전')시켜 차단바(21)를 인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2)를 강제로 회전시키는 것도 차단기(2)의 비정상적 작동으로 볼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22, the driving bar 22 connected to the blocking bar 21 is forcibly rota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ced rotation' for convenience) so that the blocking bar 21 is artificially opened can do. Therefore, forcibly rotating the driving unit 22 can also be regarded as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정리하면, 차단기(2)의 비정상 작동은 구동부(22)로의 전원의 오프, 차단바(21)를 구동부(22)에서 분리, 구동부(22)의 강제회전이 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을 이용하여 차단바(21)를 수동개방하는 경우도, 차량 통행 인가 여부가 판단과 무관하게 차단바(21)를 개방하여 주는 것이므로 차단기(21)의 비정상 작동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mmary,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may be a forced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22 by disconnecting the power-off and shut-off bar 21 from the driving unit 22 to the driving unit 22. Also, when the manager manually opens the shut-off bar 21 by using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since the shut-off bar 21 is open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pass, It is desirable to include it in abnormal operation.

다음으로, 상술한 차단기(2)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방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a method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breaker 2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기(2)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부(27, 28, 29)가 구비된다. 감지부(27, 28, 29)는 제어부(24)에 연결되며, 제어부(24)에서는 상기 감지부(27, 28, 29)에서 감지된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이용하여, 차단기(2)의 정상작동 및 비정상작동을 판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units 27, 28, 29 are provided to sense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2. [ The sensing units 27, 28 and 29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4 and the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based on the operating states of the circuit breakers sensed by the sensing units 27, Judge operation and abnormal operation.

또한, 차단기(2)가 전기적 신호에 의하며 개방되는 경우에도, 수신된 차단기 개방신호의 종류에 의하여 차단기(2)의 정상작동 및 비정상작동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부(6) 또는 수동개방버튼(미도시)으로 부터의 받은 '수동개방'신호에 의하여 차단바(21)가 개방되는 경우에도 차단기의 비정상 작동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even when the circuit breaker 2 is opened by an electrical signal,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normal operation and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by the kind of the received circuit breaker open signal. For example, even when the shut-off bar 21 is opened by a 'manual open'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or a manual open button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the shut-off unit as an abnormal operation.

한편, 감지부(27, 28, 29)는 차단기(2)의 작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특히 상술한 것과 같은 작동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감지부(27, 28, 29)는 특히 구동부(22)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27), 차단바(21)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차단바 감지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7, 28, 29)는 구동부(22)의 강제 회전을 감지하는 구동부 감지부(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s 27, 28 and 29 are for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2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but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have the function of sensing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 For example, the sensing units 27, 28 and 29 include a power sensing unit 27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22, a blocking bar sensing unit 27 for sensing whether the blocking bar 21 is detached, (Not shown). The sensing units 27, 28 and 29 may include a driving unit sensing unit 29 for sensing the forced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22. [

각각의 감지부(27, 28, 29)를 상세히 설명한다.Each of the sensing units 27, 28 and 2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차단기(2)의 구성요소 중에 전기가 필요한 구성요소에 전기가 공급된다. 전원 감지부(27)는 전원이 온(ON), 오프(OFF)되는 것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특히, 전원 감지부(27)는 차단기(2)의 구동부(22)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lectricity is supplied to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ircuit breaker 2 that require electricity. The power sensing unit 27 is a means for sensing that the power is turned on or off. In particular, the power sensing unit 27 preferably senses whether the breaker 2 is powered by the driver 22.

차단바 감지부(28)는 구동부(22)와 차단바(21)가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며, 예들 들어 근접 스위치, 리미트 스위치 등을 설치하면 차단바(21)의 분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hut-off bar sensing unit 28 senses the separation of the drive unit 22 and the shut-off bar 21. If a proximity switch or a limit switch is provided, for example, the shut-off bar 21 can be detected .

구동부 감지부(29)는 구동부(22)의 강제 회전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구동부 감지부(29)는 타코미터, 근접 스위치, 포토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sensing unit 29 senses the forced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22. The driving unit sensing unit 29 may be implemented using a tachometer, a proximity switch, a photosensor, or the like.

제어부(24) 또는 구동부 감지부(29)는 관리자에 의한 '수동개방'과 차량통행 관리시스템 등에 의한 '자동개방'을 구분하여 검출하도록 하여, '수동개방'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4)에서는 구동부 감지부(29)의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부(22)의 작동 횟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부(22)의 작동 횟수는 차량관리 시스템(1)의 중앙처리부(6)에 전송되며, 상기 구동부(22)의 작동횟수를 이용하여 실제 통행한 것으로 기록된 차량의 댓수와 구동부(22)의 작동 횟수를 비교하여 차량의 비정상 통행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부(22)의 작동횟수를 이용하여, 1일 또는 주기별 차량의 통행 댓수를 판단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24 or the driving unit sensing unit 29 discriminates between 'manual opening' by the manager and 'automatic opening' by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so as to detect 'manual opening' .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24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2 by using the signal of the driving unit sensing unit 29 and stores the counted number of times.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2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of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1 and the number of vehicles recorded as actually passed using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2, It is possible to judge the abnormal passage of the vehicle. Further, by using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2,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number of vehicles traveling by one day or a period.

한편, 감지부(27, 28, 29)에서 감지된 차단기 작동상태는 시간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부(30)에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기의 작동상태 및 시간정보는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에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reaker operating state sensed by the sensing units 27, 28, and 29 is matched with the time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In addition, the operating state and time information of the circuit breaker are preferab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1.

한편, 전원 감지부(27), 차단바 감지부(28) 및 구동부 감지부(29)를 위한 별도의 보조 전원부(26)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보조 전원부(26)로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auxiliary power unit 26 for the power sensing unit 27, the shutoff bar sensing unit 28, and the driving unit sensing unit 29. A battery may be used as the auxiliary power source 26. [

한편, 제어부(24)에는 경보부(23)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4)에는 감시용 카메라부(31)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4)에서 차단바(21)가 비정상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경보부(23)에서 알람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4)에서 차단바(21)가 비정상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감시용 카메라부(31)를 이용하여 해당 상황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4)에 연결된 감시용 카메라부(31)는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에 연결된 감시용 카메라부(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4 is preferably connected to an alarm unit 23. Also, the control unit 24 can be connected to the monitoring camera unit 31. It is preferable that the alarm unit 23 outputs an alarm if the control unit 24 determines that the shut-off bar 21 operates abnorm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ut-off bar 21 is operating abnormally in the control unit 24,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veillance camera unit 31 is used to photograph the situation. The monitoring camera unit 31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4 can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monitoring camera unit 8 connected to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1. [

한편, 상술한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의 각각의 구성요소들 예들 들어, 중앙처리부(6), 제어부(24), 전원 감지부(27), 구동부 감지부(28), 차단바 감지부(29) 등은 설명의 편의상 기능적 측면에서 편의상 분류한 것이며,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으로 반드시 분리되는 개념은 아니며,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나의 소프트웨어에 다수의 모듈형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6, a control unit 24, a power sensing unit 27, a driving unit sensing unit 28, a blocking bar sensing unit 29) are categorized conveniently for convenience in terms of functions, and are not necessar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hardware and software, and may be implemented in a plurality of modules in one software or in one software, and hardware or software But may be implemented in any suitable combination.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기(2)의 제어부(24)와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의 중앙처리부(6)를 각각의 구성요소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의 중앙처리부(6)가 차단기(2)의 제어부(24)의 기능을 같이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차단기(2)에서 제어부(24) 외의 다른 구성요소는 중앙처리부(6)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 제어부(24)의 경보부(23) 및 감시용 카메라부(31)는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의 경보부(7) 및 감시용 카메라부(8)로 대체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4 of the circuit breaker 2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of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are described as constituent ele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of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24 of the circuit breaker 2 as well. In this case, components other than the control unit 24 in the circuit breaker 2 are preferably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In this case, the alarm unit 23 and the monitoring camera unit 31 of the control unit 24 may be replaced with the alarm unit 7 and the monitoring camera unit 8 of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기 및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ircuit breaker and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차단기(2)의 감시부(27, 28, 29)에서는 차단기(2)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차단기(2)의 제어부(24)에서는 감시부(27, 28, 29)에서 받은 차단기(2)의 작동상태를 이용하여 차단기(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는지 또는 비정상적으로 작동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에서는 구동부(22)로의 전원이 오프, 차단바(21)가 구동부(22)에서 분리, 구동부(22)의 강제 회전의 경우에는 차단기의 비정상 작동으로 판단한다. 관리자에 의한 수동개방의 경우에도 일단 비정상 작동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nitoring units 27, 28 and 29 of the circuit breaker 2 detect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2. [ The control unit 24 of the circuit breaker 2 determines whether the circuit breaker 2 has operated normally or abnormally by u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2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units 27, For example, in the control unit 24, power to the driving unit 22 is turned off, the blocking bar 21 is separated from the driving unit 22, and the controller 22 determines that the circuit breaker is abnormal if the driving unit 22 is forcibly rotated. Even in the case of manual opening by the manager,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at the operation is abnormal.

제어부(24)는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시간정보와 매칭하여 저장부(30)에 기록한다. 또한 제어부(24)는 차단기(2)가 비정상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경보부(23)를 통하여 알람을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24 match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with the time information and records it in the storage unit 30. [ If the controller 24 determines that the circuit breaker 2 is operating abnormally, the controller 24 outputs an alarm through the alarm unit 23.

한편, 차단기(2)의 제어부(24)는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에서는, 차단기(2)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정보를 받으면, 감시용 카메라부(8)를 작동시키거나 경보부(7)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4 of the circuit breaker 2 preferably transmit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to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1. [ In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when receiving information that the circuit breaker 2 is operating abnormally,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monitoring camera unit 8 or operate the alarm unit 7. [

다음으로,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will be described.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에서는 관리자에 의한 수동개방 기능이 있다. 관리자에 의한 수동개방의 경우에는,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의 입력부(5)를 통하여 최소한 해당 차량번호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동개방한 경우의 이유, 시간 등의 추가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는 현장 관리자에 의한 차단기(2)의 수동개방이 정당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부(6)는 수동개방의 경우에 차량번호, 수동개방의 이유 등이 입력되어 있으면, 정상적 차량통행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 차량통행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1), there is a manual opening function by the manager. In the case of the manual opening by the manager, it is preferable to receive the vehicle number at least through the input unit 5 of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and further information such as the reason for the manual opening, Of course it is possible. This is to confirm whether the manual opening of the circuit breaker 2 by the field manager is legitimate. For example, if the vehicle number and the reason for the manual opening are inputted in the case of the manual open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the normal vehicle traveling state, and otherwis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in an abnormal state.

이와는 달리, 관리자에 의한 수동개방의 경우에 차량번호, 수동개방의 이유 등을 미리 입력하여야만 수동개방 신호를 구동부(22)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manual opening by the manager, it is also possible to send the manual opening signal to the driving unit 22 only when the vehicle number and the reason for the manual opening are inputted in advance.

한편, 이러한 차량통행 관리시스템(2)의 기능은 차단기(2)의 작동상태와 상관없이 구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t is, of course, possible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2 irrespective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2. [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의 작용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에서는 차량식별수단(4)에서 식별된 차량정보와 데이터베이스(9)의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에서는 차단기(2)의 감지부(27, 28, 29)에서 감지된 차단기의 작동상태을 전송 받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ssing by 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4 and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database 9. [ In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the operating states of the breakers sensed by the sensing units 27, 28 and 29 of the circuit breaker 2 can be received.

따라서,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에서는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근거로 하여 차단기(2)가 비정상 작동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식별수단(4)이 해당 시간대에 수집한 차량정보와 상기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매칭한 정보(이하 '통행이상정보')를 생성하고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량식별수단(4)이 해당 시간대에 수집한 차량정보는 차량번호가 될 수 있으며, 해당 시간대는 차단기(2)가 비정상 작동한 시간의 전후로 소정 시간대를 의미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향후에 차단기 비정상 작동에 의한 통행의 원인 등을 사후적으로 적발 판단하기 위함이다.Therefore, in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ircuit breaker 2 has been abnormally operated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4 determines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orresponding time period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It is desirable to generate and store matched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raffic abnormality information "). Here,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4 in the corresponding time zone may be a vehicle number, and the corresponding time zone means a predetermined time zone before and after the time when the circuit breaker 2 abnormally operates.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judge the cause of the traffic due to abnormal operation of the breaker in the future.

한편, 차량식별수단(4)이 차량감지부(44)와 카메라부(42)인 경우에는, 중앙처리부(6)는 상기 카메라부(42)에서 촬영한 영상을 포함하여 통행이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카메라부(42)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번호를 판독하지 못한 경우에도 육안으로는 식별가능한 경우가 있고, 차량의 영상으로 해당 차량, 차량 소유주 등을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4 is the vehicle detection unit 44 and the camera unit 42,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generates the travel abnorm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42 . In this case, even if the vehicle number can not be read fro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ction 42,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and the vehicle, owner, etc. of the vehicle can be tracked with the image of the vehicl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2)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A control method of the circuit break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먼저, 차단기(2)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제1단계, S1). 다음에는 제1단계(S1)에서 감지된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단기의 비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한다(제2단계, S3) 다음에는 차단기(2)가 비정상 작동이라고 판단되면(S5), 필요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제3단계, S7, S9, S11)First,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2 is sensed (first step, S1).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ircuit breaker is abnormally operated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sensed in the first step S1 (second step, S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ircuit breaker 2 is abnormal (S5) , And performs necessary necessary operations (third step, S7, S9, S11)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기의 작동상태는 상기 차단기(2)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 상기 차단바(21)와 구동부(22)의 분리 여부 및 구동부(22)의 회전 여부 중의 최소한 한 개가 될 수 있다. 제2단계(S3)에서 이러한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이용하여 차단기(2)의 비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단계(S3)에서 구동부(22)의 회전여부와,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에서의 받은 차단기 개방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차단기의 비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2)가 회전하였는데 '자동개방' 또는 '수동개방'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비정상 작동으로 판다할 수 있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breaker may be at least one of a state of a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breaker 2, whether or not the breaker bar 21 is separated from the drive unit 22, and whether the drive unit 22 is rotated hav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ircuit breaker 2 is operating abnormally by us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in the second step S3.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ircuit breaker is operating abnormally by comparing and judging whether or not the drive unit 22 is rotated in the second step S3 and the breaker open signal received by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 For example, if the driving unit 22 rotates but there is no 'automatic opening' or 'manual opening' signal, it can be judged as an abnormal operation.

제3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는 작업은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보발령(S7), 차단기 작동상태를 저장(S9), 차단기 작동상태를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 전송(S11)하는 것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적절히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The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third step is not limited, but may include issuing an alarm (S7), storing the breaker operating state (S9), transmitting the breaker operating state to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S11) , Thes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combination.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기 및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vehicle circuit breaker and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2)의 비정상적 작동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러한 내용이 저장부(30)에 기록된다. 또한 경보부(23)를 통하여 알람이 발생하며, 감시용 카메라부(31)에 해당 상황이 촬영된다. 따라서 현장 관리자 또는 원격 관리자에 의한 차량통행 관리시스템(1)의 자의적 운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circuit breaker 2 is operating abnormally, such contents are recorded in the storage section 30. [ Further, an alarm is generated through the alarm unit 23, and the corresponding situation is photographed in the monitoring camera unit 31. Therefore, arbitrary operation of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1 by the field manager or the remote manager can be prevented.

또한, 관리자에 의한 수동개방의 경우에 수동개방의 사유 및 차량번호가 입력하도록 하면, 관리자에 의한 자의적 운영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관리자에 의한 수동개방의 경우에 수동개방의 사유 및 차량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중앙처리부(1)에서 차단기(2)로 수동개방 신호를 보내지 않도록 구성하면, 관리자에 의한 자의적 운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manual opening by the manager, if the reason for the manual opening and the vehicle number are inputted, the arbitrary operation by the manager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if the reason for the manual opening and the vehicle number are not inputted in the case of the manual opening by the manag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is configured not to send the manual opening signal to the circuit breaker 2, Can be blocked.

또한, 현장 관리자, 원격 관리자 또는 외부자에 의하여 차단기(2)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된 경우에 사후에 이를 적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차단기(2)가 비정상적으로 작동이 발생하면, 이러한 상황이 저장부(30)에 기록되게 되며, 차량통행 관리장치(1)의 감시용 카메라부(8) 및/또는 차단기(2)의 감시용 카메라부(31)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It can also be detected after the breaker 2 has been abnormally operated by a field manager, a remote manager or an outside party. This situation is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30 when the breaker 2 is operated abnormally and the situation of the breaker 2 and / or the camera unit 8 of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device 1 The situation can be grasped by us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unit 31. [

또한, 카메라부(42) 및 중앙처리부(6)에 의하여 통행한 차량의 영상 및 차량번호를 알 수 있으므로, 사후적으로 차단기(2)를 비정상적으로 작동시켜 비정상적으로 통행한 차량을 찾아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운영을 사후적으로도 감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and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passed by the camera unit 42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 can be know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vehicle that abnormally traveled by abnorm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2 .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명 특히 차단기의 제어부,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의 중앙처리부 등은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of the circuit break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and the lik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performed by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computer, Lt; / RTI >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medium readable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1 : 차량통행 관리시스템 2 : 차단기
27 : 전원 감지부 28 : 구동부 감지부
29 : 차단바 감지부
1: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2: Circuit breaker
27: Power sensing unit 28: Driving unit sensing unit
29:

Claims (15)

차량의 출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차단바와;
상기 차단바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차단바와 상기 구동부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차단바 감지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부 감지부 중의 최소한 한 개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차단바를 개방하라는 정상적 개방신호가 없는데도 상기 구동부 감지부에서 상기 구동부의 회전이 감지되거나, 상기 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전원의 오프가 감지되거나, 상기 차단바 감지부에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차단바의 분리가 감지되면, 통행이 인가되지 않은 차량이 통행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단기.
A blocking bar for permitting or blocking access of the vehicle;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blocking bar;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a cut-off bar and a cut-off bar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rive unit is separated, and a drive uni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cut- Weal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is sensed by the driving unit sensing unit or the power sensing unit detects that the power source is turned off even when there is no normal opening signal to open the blocking bar, The control unit judges that the unauthorized vehicle has pas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부, 상기 차단바 감지부 및 상기 구동부 감지부를 위한 보조 전원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단기.The circuit break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power unit for the power sensing unit, the blocking bar sens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sensing unit.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내용 및 시간정보를 매칭하여 보관하는 저장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단기.The break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storing contents and tim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제5항에 있어서, 통행이 인가되지 않는 차량이 통행한다고 판단되면, 알람을 출력하는 경보부 및 차량 통행 구역을 촬영하는 감시용 카메라부 중 최소한 한 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단기.The break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alarm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and a surveillance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vehicle passage area,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vehicle to which passage is not permitted is pas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통행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차단바를 가지는 차단기와;
상기 차단바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차단바와 상기 구동부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차단바 감지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구동부 감지부 중의 최소한 한 개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차량이 어떤 차량인지를 식별하는 차량식별수단과;
통행이 허용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차량식별수단에서 식별된 차량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통행이 허용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차량이 통행이 허용된 차량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단바를 개방하라는 정상적 개방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보내며, 상기 정상적 개방신호가 없는데도 상기 구동부 감지부에서 상기 구동부의 회전이 감지되거나, 상기 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전원의 오프가 감지되거나, 상기 차단바 감지부에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차단바의 분리가 감지되면, 통행이 인가되지 않은 차량이 통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량식별수단이 해당 시간대에 수집한 차량정보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내용을 매칭한 통행이상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차량통행 관리시스템.
A circuit breaker having a blocking bar for allowing or blocking passage of the vehicle;
At least one of a shut-off bar, a shut-off ba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hut-off bar is separated from the drive unit, and at least one drive unit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rive unit is rotated, A sensing unit including the sensing unit;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which vehicle the vehicle is;
A database having information on a vehicle permitted to pass;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permitted to pass through, 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vehicle identification means and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databas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allowed to pas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and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is sensed by the driving unit sensing unit or the power sensing unit is turned off when the normal opening signal is not present, A central processing unit which determines that a vehicle not passing through the vehicle has passed when the separation of the bar is detected and generates the traveling abnormality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at the time zone and the sensing contents of the sensing unit Included vehicle traffic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식별수단은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포함하여 상기 통행이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통행 관리시스템.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vehicle identification unit includes a vehicl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entry of the vehicle, and a camera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travel abnormality information. 차단바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 상기 차단바와 상기 구동부의 분리 여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여부 중의 최소한 한 개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차단바를 개방하라는 정상적 개방신호가 없는데도 상기 구동부의 회전이 감지되거나, 상기 전원의 오프가 감지되거나, 상기 구동부와 상기 차단바의 분리가 감지되면, 통행이 인가되지 않은 차량이 통행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통행이 인가되지 않은 차량이 통행한 것이라고 판단되면,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제어방법.
A first step of detecting at least one of a state of a power source supplied to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locking bar, whether or not the blocking bar is separated from the driving unit, and whether the driving unit is rotated;
If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is detected or the power off is detected or the sepa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blocking bar is detected even though there is no normal opening signal to open the blocking bar, A second step;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if it is determined in the second step that a vehicle not passing traffic has pas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경보발령, 상기 제1단계의 감지 내용의 저장 및 상기 제1단계의 감지 내용을 차량통행 관리시스템에 전송 중의 최소한 한 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단기의 제어방법.13.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2, wherein in the third step, at least one of issuing an alarm, storing sensing contents in the first step, and transmitting detection contents in the first step to a vehicle travel management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circuit breaker.
KR1020170156469A 2017-11-22 2017-11-22 Car barrier, System for managing car traff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 KR1018867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69A KR101886765B1 (en) 2017-11-22 2017-11-22 Car barrier, System for managing car traff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69A KR101886765B1 (en) 2017-11-22 2017-11-22 Car barrier, System for managing car traff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252A Division KR20190059197A (en) 2018-07-26 2018-07-26 Car barrier, System for managing car traff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765B1 true KR101886765B1 (en) 2018-08-08

Family

ID=6322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69A KR101886765B1 (en) 2017-11-22 2017-11-22 Car barrier, System for managing car traff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76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297A (en) * 1998-06-24 2000-01-14 Teruo Ido Parking lot gate management system
JP2017105336A (en) * 2015-12-10 2017-06-15 ローム株式会社 Blocking rod monitor and blocking rod monitoring method
KR101794335B1 (en) * 2017-03-03 2017-11-06 삼성하나넷 (주) Intelligent parking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297A (en) * 1998-06-24 2000-01-14 Teruo Ido Parking lot gate management system
JP2017105336A (en) * 2015-12-10 2017-06-15 ローム株式会社 Blocking rod monitor and blocking rod monitoring method
KR101794335B1 (en) * 2017-03-03 2017-11-06 삼성하나넷 (주) Intelligent parking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153196U (en) Anti-trailing unattended pedestrian passageway equipment
US20150379795A1 (en) Active Detection Typ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mart Door Lock Controller
KR101963842B1 (en) Managing system for reverse drive sensing apparatus
JP202109687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492799B1 (en) Entrance control integrated video recor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2466031A (en) Vehicle area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vehicle-mounted personnel information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4999141B (en) Storage battery car parking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system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368757B1 (en) Parked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100109705A (en) Labor management system of a construction site using rfid and dvr
KR20190059197A (en) Car barrier, System for managing car traff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
KR101886765B1 (en) Car barrier, System for managing car traff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s
CN105096408A (en) Two-way intelligent video analysi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13110222A (en) Mine holographic safety intelligent air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W201931316A (en)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site and access control method for vehicles
CN109791711B (en) Access management system
KR101537389B1 (en) Entrance control and observation integration systems
TWM560675U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parking site, and management system thereof
JP2007034902A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vehicle abnormality, an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rking lot
TWM560674U (en) Management system of parking site
KR101075862B1 (en) Entrance control integration systems
KR20160023516A (en) Cloud security identifying system
CN205644854U (en) Security alarm system
KR101579178B1 (en) entrance control systems using area image and temperature sensing data
JP4945130B2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lot
JP2007328601A (en) Cabinet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