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606B1 - 해상구조물군(群)의 계류 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군(群)의 계류 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606B1
KR101885606B1 KR1020167033415A KR20167033415A KR101885606B1 KR 101885606 B1 KR101885606 B1 KR 101885606B1 KR 1020167033415 A KR1020167033415 A KR 1020167033415A KR 20167033415 A KR20167033415 A KR 20167033415A KR 101885606 B1 KR101885606 B1 KR 101885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marine structure
rope
marine
ro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268A (ko
Inventor
타쿠주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모덱,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덱,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모덱,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4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3Mooring cables or ropes, hawsers, or the like; Adap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5Methods for installation or mooring of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n 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Spar-type semi-submersible structures, i.e. shaped as single slender, e.g.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trussed vertic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02E10/7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복수의 해상구조물(10)로 구성되는 해상구조물군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10)을 3방향 잉상 8방향 이하의 방향에 배치되는 계류밧줄(20)을 이용하여, 각각의 방향의 계류밧줄(20)을 각각의 계류기부(30)에 계지하여 계류하는 것과 함께, 적어도 1개의 계류기부(30)가, 해상구조물군 중의 3기 이상 8기 이하의 해상구조물(10)에 각각이 접속하는 계류밧줄(20)을 계지한다. 이것에 의해, 험악한 기상 및 해상의 조건하에서, 비록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계류밧줄(20)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30)의 계류기능의 상실이 발생해도, 그 해상구조물(10)은 이동하지만, 그 해상구조물(10)을 나머지의 계류밧줄(30)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여, 그 해상구조물(10)이 다른 해상구조물(10)과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그 계류방향의 계류밧줄(20)의 강도를 과도하게 높게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해상설치장소에 계류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군(群)의 계류 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SYSTEM FOR MOORING OFFSHORE STRUCTURE GROUP AND METHOD FOR MOORING OFFSHORE STRUCTURE GROUP}
본 발명은, 풍력발전장치 등을 탑재한 스파(spar)형 등의 복수의 해상구조물을 군(群)으로서 계류할 때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심이 깊은 해역에서, 해상구조물에 풍력발전설비 등을 탑재하는 경우에, 반잠수형(semi-sub) 혹은 텐션 레그 플랫폼(TLP) 등이 고안되었지만, 이들의 경우에는, 육상에서 일체적으로 조립하고, 시운전을 행하고 나서 설치장소로 예항하여, 계류 시스템에 의해 계류되는 것이 된다.
스파형의 해상구조물의 경우는, 스파는 낚시의 찌낚시와 같이 직립상태에서 떠있는 해상구조체로, 밸러스트수의 주수(注水) 등에 의해 부체(浮體)의 대부분은 해면하에 가라앉아있다. 이 스파는, 동요(動搖)가 비교적 적어서, 무거운 상부 구조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풍력발전설비를 구비한 스파형의 해상구조물에서는, 잠정적으로 부체의 흘수가 약 40m~80m로 깊고, 또한, 부체부분이 약 1000t(톤)이상의 큰 구조물이 된다.
이 스파형의 해상구조물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3/065826호 팜플렛에 기재되어 있듯이, 풍력을 이용하는 수평축 풍차 또는 수직축 풍차를 수면 윗부분에 배치하는 것과 함께, 조류력을 이용하는 수평축 수차 또는 수직축 수차를 수면 아래에 배치하여, 수평축 수차 또는 수직축 수차를 밸러스트로서 사용하는 부체식 유체력 이용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 해상풍력발전설비로서 사용하는 스파형의 해상구조물은, 해상풍력발전에 적합한 설치장소에, 한개뿐만 아니라, 다수 계류한다. 예를 들면, 일본출원의 특개 2004-17662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듯이, 해상에 있어서 각각의 풍력발전시설을 세워서 설치 지지하는 복수의 부체들을, 도중에 중간 싱커(sinker)를 설치한 계류체인으로 연결하는 것과 함께, 적당한 부체에는, 또한, 한쪽 끝에 계류앵커를, 도중에 중간 싱커를 설치한 계류체인을 연결한 해상풍력발전설비가 제안되고 있다.
이 해상풍력발전설비에서는, 복수의 해상발전설비와 계류기부(基部)의 배치의 예로서, 평면상 정육각형의 정점(頂点)에 해상발전설비인 부체를 배치하고, 각 부체를 평면상 정육각형의 중심에 배치한 중심 해상구조체와, 평면상 정육각형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인접하는 2개의 부체와 평면시에서 정삼각형을 구성하는 계류 앵커에서, 1기(基)의 중앙부체와 6기의 부체를 각각 7개의 방향의 중간 싱커를 설치한 계류체인과 이들의 계류체인 중 1개의 방향의 계류체인을 중앙부체에, 나머지 방향의 계류체인을 각각 고정하는 6개의 계류앵커로 계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나타내듯이, 1개의 해상구조물은, 3 방향 이상의 방향의 계류밧줄로 계류되는 일이 많고, 계류기부도 드래그 앵커(drag anchor)로 구성되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계류에서는, 한 방향의 계류밧줄은, 2줄 또는 3줄 등의 복수체의 계류밧줄로 구성되고, 거세어진 기상과 해상조건하에서, 그 중 1줄이 파손된 경우에도 연쇄적으로 계류밧줄이 파손되는 일 없이, 나머지 계류밧줄로 해상구조물을 원래 위치에 계속 계류될 수 있도록 각 계류밧줄의 강도를 설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계류밧줄의 개수가 많아지는 데다가, 계류밧줄에 요구되는 1개당의 파손강도와, 드래그 앵커에 요구되는 파주력(把駐力)이 커지게 되어, 해상구조물의 계류비용이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 2013/065826호 팜플렛
특허문헌 2: 일본출원의 특개 2004-176626호 공보
발명의 개시
험악한 기상 및 해상조건하에서, 다소 이동해도 문제가 없는 풍력발전설비 등을 탑재한 해상구조물에서는, 석유굴착용 드릴 파이프와 석유수송관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 위치유지가 엄격하게 필요한 해상구조물과는 다르게, 해상구조물을 위치유지하는 계류 밧줄이 파단된 경우에는, 반드시 원래의 위치에 해상구조물을 계속 계류할 필요는 없이, 해상구조물이 표류상태가 되지 않고, 또한 다른 해상구조물에 충돌하지 않으면 좋다는 기술적 사상이 인정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 기술적 사상에 따라, 험악한 기상 및 해상의 조건 하에서, 가장 부담이 큰 방향의 계류밧줄의 파단 또는 드래그 앵커의 주묘(走錨)가 발생해도, 나머지 방향의 계류밧줄군으로 그 해상구조물이 표류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계류 시스템과, 그 해상구조물이 이동하는 범위 내에 다른 해상구조물이 없는 배치로 해서, 그 해상구조물이 이동해도 다른 해상구조물에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군과 계류기부군의 배치를 고안했다.
또한, 험악한 기상 및 해상 조건하에서, 가장 부담이 큰 방향의 계류밧줄의 파단 또는 드래그 앵커의 주묘가 발생한 경우에는, 나머지 방향의 계류밧줄군에서는, 해상구조물의 이동에 따라, 계류방향이 변화해서, 드래그 앵커에서는 그 파주력(把駐力)이 변화하기 때문에, 계류기부로서는 파주력이 한 방향뿐인 드래그 앵커 대신에, 위에서 본 선회 방향에 관해서 계류력을 발휘하는 범위가 넓고, 계류력의 크기도 안정된 계류 파일(pile)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풍력발전장치 등을 탑재한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에 있어서, 험악한 기상 및 해상의 조건하에서, 가령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계류밧줄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의 계류기능의 손실이 발생해도, 그 해상구조물은 이동하지만, 그 해상구조물을 나머지의 계류밧줄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여, 그 해상구조물이 다른 해상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그 계류방향의 계류밧줄의 강도를 과도하게 높이지 않고, 안전하게 해상설치장소에 계류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시스템은, 복수의 해상구조물로 구성되는 해상구조물군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을 3방향 이상 8방향 이하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계류밧줄을 이용하여 각각의 방향의 계류밧줄을 각각의 계류기부에 고정하여 계류하되, 적어도 1개의 상기 계류기부가 상기 해상구조물군 중의 3기 이상 8기 이하의 해상구조물에 각각 접속하는 계류밧줄을 고정하며, 위에서부터 볼 때, 상기 해상구조물 중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상기 계류밧줄들이 이루는 각도에 있어서 다른 각도가 있거나, 또는, 위에서 볼 때, 상기 해상구조물과 이들의 계류기부와의 계류거리에 있어서 다른 계류거리가 있도록 함으로써 얻어지는 비대칭 배치패턴으로 상기 해상구조물과 상기 계류기부를 배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해상구조물을 수가 적은 계류밧줄과 적은 계류기부로 효율좋게 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류밧줄의 방향이 3방향 미만 즉 2방향 이하이면, 계류된 해상구조부가 이동하는 범위가 커지던가 혹은, 이 이동범위를 작게 하려고 하면 계류밧줄에 요구되는 계류력이 커지게 되어, 실용적이 아니게 된다. 또한, 계류밧줄의 방향이 9방향 이상이 되면, 계류밧줄의 개수와 계류기부의 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높이져서 실용적이 아니게 된다.
또한, 계류기부에 있어서도, 1개의 계류기부에서 2기 미만의 계류밧줄로 하면 계류기부의 수가 많아지게 되어,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9기 이상의 해상구조물에 각각 접속하는 계류밧줄을 설치하면, 해상구조물을 계류하고 있는 계류밧줄의 일부가 파단되어서, 해상구조물이 이동했을 때에, 계류기부에 있어서, 계류밧줄이 교차하여 계류밧줄에 손상이 생기기 쉽게 되어서, 교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실용적이 아니게 된다.
그리고, 해상구조물과 계류기부와의 사이의 계류밧줄의 개수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해상구조물을 적은 계류기부와 적은 계류밧줄의 개수로 계류하는 것이 가능, 게다가 해상구조물의 배치와 계류기부의 배치와 계류밧줄의 배치의 조합을,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계류밧줄의 일부가 파단된 경우에도, 그 해상구조물의 이동에 따라, 나머지 계류밧줄군의 계류밧줄의 해상구조물측의 접속부위에서의 계류방향의 큰 변화와, 계류기부측의 계지부위에서의 계류방향의 큰 변화를 허용가능해서, 그 해상구조물을 나머지의 계류밧줄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여, 그 해상구조물이 표류상태가 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한 조합으로 하는 것이 쉽게 가능하게 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각각의 상기 계류밧줄이 계지되는 복수의 상기 계류기부의 배치에 관해서, 위에서 볼때, 이들의 상기 해상구조물 중 적어도 1개의 상기 해상구조물에 있어서, 이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상기 계류밧줄끼리 이루는 각도에 있어서 다른 각도가 있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상기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각각의 상기 계류밧줄이 계지되는 복수의 상기 계류기부의 배치에 관해서, 위에서 볼때, 이들의 상기 해상구조물 중 적어도 한개의 상기 해상구조물에 있어서, 이 해상구조물과 이들의 계류기부와의 계류거리에 있어서 다른 계류거리가 있도록 구성되면, 예측되는 가장 험악한 기상 및 해상상태일 때, 가장 큰 계류력이 발생해서 파단될 가능성이 강한 방향의 계류밧줄과, 이 계류밧줄이 만일 파단했을 때에 남아서 해상구조물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나머지 2개 이상의 방향의 계류밧줄과는 다른 역할을 갖기 때문에, 다른 계류밧줄의 방향 혹은 계류밧줄의 길이로 하는 것으로, 각각의 계류밧줄의 역할에 적합한 길이와 강도로 해서 계류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결과로서 계류비용을 떨어트릴 수 있다. 혹은 이들의 구성에 의해 계류기부의 개수를 줄이는 것에 의해, 해상풍력 등의 사업비용의 상당비율을 차지하는 해상공사의 작업량을 비약적으로 경감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류밧줄 중 1개가 파단된 경우에 대한 대책을, 해상구조물의 이동을 전제로 해상구조물군과 계류기부의 배치로 행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해서, 각 계류밧줄의 설계강도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계류밧줄의 경량화, 계류밧줄의 설치공사의 용이화,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계류기부의 1개가 계류기능을 발휘하지 않게 된 경우에 대한 대책을, 해상구조물의 이동을 전제로 해상구조물과 계류기부의 배치로 행하기 때문에, 각 계류기부의 고정정도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계류기부의 경량화와 계류기부의 설치공사의 용이화, 비용 절감화가 가능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계류밧줄의 파단 또는 계류기부의 기능부전에 의해 표류 또는 이동하는 해상구조물이, 인접하는 해상구조물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동을 개시한 해상구조물의 이동방향을 인접하는 해상구조물로부터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류거리에 관해서, 상기의 큰 계류거리와 작은 계류거리의 차가, 계류되어 있는 상기 해상구조물을 위에서 부터 본 투영도에서의 상기 해상구조물의 평면도형의 외접원의 직경 이상, 또한, 상기의 큰 계류거리가 작은 계류거리의 3배의 거리 이하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계류거리라는 것은, 해상구조물에서의 계류밧줄의 고정위치로부터 계류기부에서의 계류밧줄의 고정위치까지의 수평거리를 말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류거리의 크기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 규정에 따라, 해상구조물과 계류기부의 배치를 설정하면, 용이하게 실용적인 범위에서, 계류밧줄의 파단 또는 계류기부의 기능부전에 의해 이동하는 해상구조물이, 인접하는 해상구조물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과 계류기부의 배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인 배치 패턴으로서는, 계류밧줄 길이에 의한 해상구조물의 배치에서, 계류거리와 계류방향을 바꾼 배치패턴 A, B, C, D와, 계류밧줄의 각도에 의한 해상구조물의 배치에서 계류각도를 비대칭으로 하는 배치패턴 E와, 혼합배치 패턴 F가 있고, 각각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이 배치 패턴 A의 구성은, 상기 해상구조물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 2개와 짧은 계류밧줄 1개로 계류되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짧은 상기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구성이고, 배치 패턴 B의 구성은, 상기 해상구조물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 2개와 짧은 계류밧줄 1개로 계류되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서로 역방향을 향하고 있는 구성이다.
또한, 배치 패턴 C의 구성은, 상기 해상구조물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 1개와 짧은 계류밧줄 2개로 계류되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길이가 긴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구성으로, 배치 패턴 D의 구성은, 상기 해상구조물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 1개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 2개로 계류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길이가 긴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서로 역방향을 향하고 있는 구성이다. 또한, 배치 패턴 A, B, C, D에 있어서는, 계류기부에서의 길이가 긴 계류밧줄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이 이루는 각도가 2개 있는데, 이들은 같은 각도라도 좋고, 다른 각도라도 좋다.
또한, 배치 패턴 E의 구성은, 상기 해상구조물이 3개의 제 1~제 3의 계류밧줄로 계류되되, 상기 제1의 계류밧줄과 상기 제2의 계류밧줄이 이루는 각도가 80도 이상 120도 미만이고, 상기 제2의 계류밧줄과 상기 제3의 계류밧줄이 이루는 각도가 120도 이상 140도 이하이고, 상기 제3의 계류밧줄과 상기 제1의 계류밧줄이 이루는 각도가 120도 이상 140 이하인 구성이고, 배치 패턴 F의 구성은, 상기 해상구조물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과 짧은 계류밧줄로 계류되고, 길이가 긴 계류밧줄 2개와 짧은 계류밧줄 1개로 계류되는 제1종의 해상구조물과, 길이가 긴 계류밧줄 1개와 짧은 계류밧줄 2개로 계류되는 제2종의 해상구조물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 3개로 계류되는 제3종의 해상구조물을 가지는 구성이다.
이 배치 패턴 A, B, C, D, E, F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기하학적 패턴을 이용하여, 1개의 계류밧줄이 파단했을 때에, 나머지 계류밧줄에 계류되어 있던 해상구조물이 이동해서, 나머지 계류밧줄로 붙들어서 이동을 정지할 때까지, 다른 해상구조물에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길이가 긴 계류밧줄은 짧은 계류밧줄에 비해서 큰 계류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의 방향을 큰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해 두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계류밧줄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해상구조물군의 설치 수역의 넓이와 수심, 수저(水底)형상 등에 대응시켜서, 이 배치 패턴 A, B, C, D, E, F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채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계류밧줄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의 계류기능의 상실이 발생해도, 그 해상구조물은 이동하지만, 그 해상구조물을 나머지의 계류밧줄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여, 그 해상구조물이 다른 해상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배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류기부에서의 상기 계류밧줄은, 수저(水底)에 세워서 설치한 주상체(柱狀體)의 측면 또는 모서리 또는 상부에 설치된 계류밧줄 고정구에 고정되되, 상기 계류밧줄 고정구는 상기 주상체에 대해서 수평방향에 요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류기부를 드래그 앵커로 형성하는 경우보다도, 계류방향이 선회해서 변화한 경우라도 계류력의 변화가 적고, 또한 계류 고정구의 요동이라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계류기부측의 고정부위에서의 위에서 본 계류밧줄의 선회가능한 범위를 크게 잡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류밧줄이 고정되는 계류 고정구가 요동가능하기 때문에, 계류밧줄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의 계류기능의 상실에 의해, 해상구조물이 최초로 계류된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변화해도, 계류밧줄 및 주상체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에 있어서, 길이가 긴 계류밧줄과 짧은 계류밧줄이 고정되는 상기 계류기부에 있어서, 길이가 긴 계류밧줄의 고정위치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의 고정위치보다도 아래 위치로 해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패턴 B, D, F에서는, 계류밧줄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의 계류기능의 상실시에,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크게 변화해서 같은 계류기부에 접속된 길이가 긴 계류밧줄을 넘어가는 일은 있어도, 길이가 긴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크게 변화해서 같은 계류기부에 접속된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을 넘어가는 일은 없기 때문에, 계류밧줄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의 계류기능의 상실에 의해, 해상구조물이 처음으로 계류된 위치로부터 이동해서, 중앙방향으로 연장된 계류밧줄과 인접방향으로 연장된 계류밧줄 중 어느 하나의 계류방향이 크게 변화한 경우에도, 서로 간섭하는 일없이, 계류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한 방향의 계류밧줄이 파단되어도, 나머지의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길이가 긴 계류밧줄과 짧은 계류밧줄이 서로 엉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계류밧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류밧줄은 상기 해상구조물측의 접속부위에서의 계류계지구에 고정되되, 상기 계류계지구는 상기 해상구조물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류계지구의 요동이라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해상구조물측의 접속부위에서의 위에서 본 계류밧줄의 선회가능한 범위를 크게 잡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류밧줄이 고정되는 계류계지구가 요동가능하기 때문에, 계류밧줄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의 계류기능의 상실에 의해, 해상구조물이 처음으로 계류된 위치로부터 이동해서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변화해도, 계류밧줄 및 계류계지구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류기부에서의 상기 계류밧줄은, 수저에 세워서 설치한 주상체의 측면 또는 모서리 또는 상부에 설치된 계류밧줄 고정구에 고정되되, 상기 계류밧줄 고정구는 상기 주상체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길이가 긴 계류밧줄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이 고정되는 상기 계류기부에 있어서, 길이가 긴 계류밧줄의 고정위치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의 고정위치보다도 아래의 위치로 하고, 또한, 상기 계류밧줄은 상기 해상구조물측의 접속부위에서의 계류계지구에 고정되되, 상기 계류계지구는 상기 해상구조물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류고정구의 요동과, 계류계지구의 요동이라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계류밧줄의 선회가능한 범위를 크게 잡는 것이 가능하여, 계류밧줄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의 계류기능의 상실에 의해, 해상구조물이 처음으로 계류된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변화해도, 계류밧줄, 주상체, 계류계지구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류밧줄들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계류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여, 계류밧줄들이 서로 얽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향은, 복수의 해상구조물로 구성되는 해상구조물군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을 3방향 이상 8방향 이하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계류밧줄을 이용하여 각각의 방향의 계류밧줄을 각각의 계류기부에 고정하여 계류하되, 적어도 1개의 상기 계류기부가 상기 해상구조물군 중의 3기 이상 8기 이하의 해상구조물에 각각 접속하는 계류밧줄을 고정하며, 위에서부터 볼 때, 상기 해상구조물 중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상기 계류밧줄들이 이루는 각도에 있어서 다른 각도가 있거나, 또는, 위에서 볼 때, 상기 해상구조물과 이들의 계류기부와의 계류거리에 있어서 다른 계류거리가 있도록 함으로써 얻어지는 비대칭 배치패턴으로 상기 해상구조물과 상기 계류기부를 배치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해상구조물을 적은 계류밧줄과 적은 계류기부로 효율적으로 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해상구조물과 계류기부 사이의 계류밧줄의 개수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해상구조물을 적은 계류기부와 적은 계류밧줄의 개수로 계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해상구조물의 배치와 계류기부의 배치와 계류밧줄의 배치의 조합을,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계류밧줄의 일부가 파단된 경우에도, 그 해상 구조물의 이동에 따른, 나머지의 계류밧줄군의 계류밧줄의 해상구조물측의 접속부위에서의 계류방향의 큰 변화와, 계류기부측의 고정부위에서의 계류방향의 큰 변화를 허용가능하여, 그 해상구조물을 나머지 계류밧줄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여, 그 해상구조물이 표류상태가 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에 의하면, 풍력발전장치 등을 탑재한 해상구조물군의 계류에 있어서, 험악한 기상 및 해상의 조건하에서, 예를 들면,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계류밧줄의 일부가 파단되어도, 그 해상구조물은 이동하지만, 그 해상구조물을 나머지의 계류밧줄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여, 그 해상구조물이 표류상태가 되는 것과, 그 해상구조물이 다른 해상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서, 그 계류방향의 계류밧줄의 강도를 과도하게 높게 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해상설치장소에 계류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의 배치패턴 A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배치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의 배치패턴 B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배치도이다.
[도 4] 도 4는,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의 배치패턴 C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배치도이다.
[도 5] 도 5는,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의 배치패턴 D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배치도이다.
[도 6] 도 6은,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의 배치패턴 E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배치도이다.
[도 7] 도 7은,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의 계류 시스템의 배치패턴 F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배치도이다.
[도 8] 도 8은, 배치패턴 D에서의 계류밧줄 파단시의 해상구조물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 도 9는, 계류기부를 위에서 본 도로, 계류밧줄의 요동가능한 고정방법과 선회가능한 범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0] 도 10은, 계류기부를 측면에서 본 도로, 계류밧줄의 계류위치의 높이 차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1] 도 11은, 계류기부를 주상체의 윗면에 1개의 계류밧줄 고정구를 설치하여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 도 12는, 계류기부를 주상체의 윗면에 2개의 계류밧줄 고정구를 설치하여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 도 13은, 계류기부를 주상체의 윗면에 3개의 계류밧줄 고정구를 설치하여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 도 14는, 계류기부를 윗면에 1개의 계류밧줄 고정구를 설치한 주상체를 2개로 묶은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15] 도 15는, 계류기부를 윗면에 1개의 계류 고정구를 설치한 주상체를 3개로 묶은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 도 16은, 계류밧줄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계류기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서는, 해상구조물로서는, 풍력을 이용하는 수직축 풍차를 수면 윗부분에 배치한, 스파형의 해상구조물을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 스파형의 해상구조물에 한정할 필요는 없이, 그 외의 해상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나타내듯이, 여기에서 예시하는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10)은, 상부구조물(11)과 하부구조물(12)로 이루어진, 스파형의 해상구조물이다. 이 상부구조물(11)은, 회전축(11aa)과 수직날개(11ab)를 가지는 수직축 풍차(11a)와 이 수직축풍차(11a)를 지지하는 풍차지지부(11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하부구조물(12)은, 추(錘)(12a)와 부력체(12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발전한 전력과 해상구조물(10)에 설치한 각종 센서(도시하지 않음)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육상측 기기(도시하지 않음)에 보내는 것과 함께, 풍차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육상측 기기로부터 제어신호를 받기 위한 케이블(40)이 부표(41)를 동반하여, 해상구조물(10)로부터 육상측 기기까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2A)~(2D)(이하 2라고 총칭한다)에서는, 도 2~도 7의 배치패턴 A, B, C, D, E, F에서 나타내듯이, 복수의 해상구조물(10A)~(10D)(이하 10이라고 총칭한다)로 구성되는 해상구조물군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10)을 3방향 이상 8방향이하의 방향에 배치되는 계류밧줄(20A), (20B), (20C)(이하 20이라고 총칭한다)을 이용하여, 각각의 방향의 계류밧줄(20A), (20B), (20C)을 각각의 계류기부(30)에 고정하여 계류한다. 그것과 함께, 적어도 1개의 계류기부(30)가, 해상구조물군(10) 중 3기 이상 8기 이하의 해상구조물(10)에 각각 접속하는 계류밧줄(30)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은, 복수의 해상구조물(10)로 구성되는 해상구조물군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10)을 3방향 이상 8방향 이하의 방향에 배치되는 계류밧줄(20)을 이용하여, 각각의 방향의 계류밧줄(20)을 각각의 계류기부(30)에 계지하여 계류하는 것과 함께, 적어도 1개의 계류기부(30)가, 해상구조물군 중의 3기 이상 8기 이하의 해상구조물(10)에 각각이 접속하는 계류밧줄(30)을 고정하는 방법이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해상구조물(10)을 적은 수의 계류밧줄(20)과 적은 수의 계류기부(30)로 효율있게 계류한다. 즉, 해상구조물(10)과 계류기부(30)와의 사이의 계류밧줄(20)의 개수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해상구조물(10)을 적은 계류기부(30)와 적은 계류밧줄(10)의 개수로 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계류밧줄(20)은, 단순히 계류밧줄(20) 자체 무게에 의한 현수선(catenery)만의 계류력이라도 좋지만, 필요에 따라 중간 싱커와 중간 부체를 설치하여, 해상구조물(10)의 이동거리에 대한 계류력의 관계를 보다 적절한 것으로 해도 좋다.
게다가, 해상구조물(10)의 배치와 계류기부(30)의 배치와 계류밧줄(20)의 배치의 조합에 의해,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계류밧줄(20)의 1개가 파단된 경우에도, 그 해상구조물(10)을 나머지 2개 이상의 계류밧줄(20)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여, 그 해상구조물(10)이 표류상태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조합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계류밧줄(20)의 방향이 3방향 미만 즉 2방향 이하이면, 계류된 해상구조부(10)가 이동하는 범위가 커지게 되든가, 혹은, 이 이동범위를 작게 하고자 하면 계류밧줄(20)에 요구되는 계류력이 커지게 되어, 실용적이지 않게 된다. 특히 2방향의 경우에 1방향의 계류밧줄(20)이 파단되었을 때 1방향 계류가 되기 때문에, 이동범위가 현저하게 넓어지게 되고, 인접하는 해상구조물에 충돌할 위험성이 현저하게 높아진다. 또한,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계류밧줄(20)의 방향이 9방향 이상이 되면, 계류밧줄(20)의 개수와 계류기부(30)의 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높아지게 되어 실용적이지 않게 된다.
또한, 계류기부(30)에 있어서도, 1개의 계류기부(30)에서 2기 미만의 계류밧줄(20)로 하면 계류기부(30)의 수가 많아지고,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9기 이상의 해상구조물(10)에 각각 접속하는 계류밧줄(20)을 설치하면,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고 있는 계류밧줄(20)의 일부가 파단되어도, 해상구조물(10)이 이동했을 때에, 계류기부(30)에 있어서, 계류밧줄(20)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 결과, 계류밧줄(20)이 교차하여 계류밧줄(20)에 손상이 생기기 쉽게 되고, 실용적이지 않게 된다.
이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2)에 있어서는, 해상구조물군 중 1개의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계류밧줄(20) 중 1개가 파단된 경우에, 이 해상구조물(10)이 나머지의 계류밧줄(20)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이동했을 때에, 다른 해상구조물(10)과 충돌하는 것이 기하학적으로 불가능한 비대칭 배치 패턴을 갖도록 해상구조물(10)과 계류기부(30)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계류밧줄(20)의 하나가 파단된 경우에 대한 대책을, 해상구조물(10)의 이동을 전제로 해상구조물(10)과 계류기부(30)의 배치로 행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비해서, 각 계류밧줄(20)의 설계강도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계류밧줄(20)의 경량화, 계류밧줄(20)의 설치공사의 용이화, 비용 절감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2)에 있어서는, 1개의 계류기부(30)의 계류기능이 기능하지 않게 된 경우에, 이 계류기부(30)에 계지되어 있는 계류밧줄(20)에 의해 계류되어 있는 해상구조물(10)이, 나머지의 계류밧줄(20)이 허용하는 범위 내로 이동했을 때에, 다른 해상구조물(10)과 충돌하는 것이 기하학적으로 불가능한 비대칭 계류배치패턴을 갖도록 해상구조물(10) 계류기부(30)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계류기부(30)의 1개가 계류기능을 발휘하지 않게 된 경우에 대한 대책을, 해상구조물(10)의 이동을 전제로 해상구조물(10)과 계류기부(30)의 배치로 행하기 때문에, 각 계류기부(30)의 고정정도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계류기부(30)의 경량화와 계류기부(30)의 설치공사의 용이화, 비용 절감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각각의 계류밧줄(20)이 고정된 복수의 계류기부(30)의 배치에 관해서, 위에서 볼 때, 이들의 해상구조물(10) 중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10)에 있어서, 이 해상구조물(10)과 이들의 계류기부(30)와의 계류거리(L)에 있어서 다른 계류거리(L1), (L2)가 있도록, 혹은, 이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계류밧줄(20)들이 이루는 각도(α1), (α2), (α3)에 있어서 다른 각도가 있도록 구성한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예측되는, 가장 험악한 기상 및 해상상태시에, 가장 큰 계류력이 발생하여, 파단될 가능성이 강한 방향의 계류밧줄(20)과, 이 계류밧줄(20)이 만일 파단되었을 시에 남은 해상구조물(10)의 표류 또는 이동을 막기 위한 나머지 2개 이상의 방향의 계류밧줄(20)은, 다른 역할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계류밧줄(20)의 방향, 혹은 계류밧줄(20)의 길이로 하는 것으로, 각각의 계류밧줄(20)의 역할에 적합한 길이와 강도로 해서 계류효율을 향상가능하고, 결과로서, 계류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혹은, 이들의 구성에 의해 계류기부(30)의 개수를 줄이는 것에 의해, 해상풍력 등의 사업의 비용의 상당비율을 차지하는 해상공사 작업량을 비약적으로 경감하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계류밧줄(20)의 파단 또는 계류기부(30)의 기능부전에 의해 이동하는 해상구조물(10)이, 인접하는 해상구조물(10)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동을 개시한 해상구조물(10)의 이동방향을 인접하는 해상구조물(10)로부터 빗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해상구조물(10)과 계류기부(30) 사이의 계류거리(L)에 관해서, 큰 계류거리(L1)와 작은 계류거리(L2)의 차(△L)가, 계류되어 있는 해상구조물(10)을 위에서 본 투영도에서의 해상구조물(10)의 평면도형의 외접원의 직경(D) 이상, 또한 큰 상기 계류거리(L1)가 작은 계류거리(L2)의 3배의 거리 이하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L=L1-L2≥D, 또한 L1≤3×L2」로 한다.
또한, 이 계류거리(L)라는 것은, 해상구조물(10)에서의 계류밧줄(20)의 고정위치로부터 계류기부(30)에서의 계류밧줄(20)의 고정위치까지의 수평거리이고, 이 해상구조물(10)의 외접원은, 예를 들면, 풍력발전이라면, 날개가 가장 외접원이 크게 되는 위치의 외접원으로 한다. 또한, 계류를 위해 주위에 돌출한 부분이 있으면 그 선단에 접하는 외접원으로 한다. 즉, 최대 지름이 되는 외접원을 이 해상구조물(10)의 외접원으로 해서 채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류거리(L)의 크기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 규정에 따라 해상구조물(10)과 계류기부(30)의 배치를 설정하면, 용이하게 실용적인 범위에서, 계류밧줄(20)의 파단 또는 계류기부(30)의 기능부전에 의해 이동하는 해상구조물(10)이, 인접하는 해상구조물(10)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상구조물(10)과 계류기부(30)의 배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보다 구체적인 배치패턴에 대해서, 도 2~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계류밧줄 길이에 의한 해상구조물(10)의 배치에서, 계류거리(L)와 계류방향을 바꾼 배치패턴(A), (B), (C), (D)와, 계류밧줄의 각도에 의한 해상구조물의 배치에서 계류각도를 비대칭으로 하는 배치패턴(E)과, 혼합배치패턴(F)을 예시한다. 이들의 배치패턴(A)~(F)은, 각각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이 배치패턴(A), (B), (C), (D)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2A), (2B), (2C), (2D)의 구성은,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각각의 계류밧줄(20)이 고정되는 복수의 계류기부(30)의 배치에 관해서, 위에서 볼 때, 이들의 해상구조물(10) 중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10)에 있어서, 이 해상구조물(10)과 이들의 계류기부(30)와의 계류거리에 있어서 다른 계류거리(L1), (L2)가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나타내는 배치패턴(A)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2A)의 구성은, 해상구조물(10A)(한겹 동그라미)이 계류거리가 L1인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을 2개와, 계류거리가 L2인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 1개로 계류되고, 또한 이웃하는 해상구조물(10)의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의 계류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구성이고, 또한, 도 3에서 나타내는 배치패턴(B)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2B)의 구성은, 동일하게,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 2개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 1개로 고정되는데, 이웃하는 해상구조물(10)의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의 계류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 배치패턴(A)은, 비교적 수심이 얕은 수역에 적합하고, 배치패턴(B)는, 설치장소의 수역이 좁고 긴 수역 등에서 해상구조물(10)을 일렬로 늘어놓는 장소에 적합하다.
여기에서, L1〉L2이지만,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은 완전히 동일한 길이일 필요는 없고,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B)과의 차(△L)에 비해서,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들의 차가 1/3이하 정도라면 좋다. 이하는 같다.
또한, 도 4에서 나타내는 배치패턴(C)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2C)의 구성은, 해상구조물(10B)(두겹 동그라미)이 계류거리가 L1인 거리가 긴 계류밧줄(20A) 1개와 계류거리가 L2인 거리가 짧은 계류밧줄(20B) 2개로 고정되고, 또한 이웃하는 해상구조물(10)의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의 계류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구성이고, 또한, 도 5에서 나타내는 배치패턴(D)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2D)의 구성은, 동일하게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 1개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 2개로 고정되는데, 이웃하는 해상구조물(10)의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의 계류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구성이다.
또한, 이 배치패턴(C)에서는, 계류기부(30)에서의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이 이루는 각도(r2), (r3)가 90도 이상이 되고, 배치패턴(D)에서는, 계류기부(30)에서의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이 이루는 각도(r2), (r3)가 90도 미만으로 되어있다. 또한 이 (r2) 와 (r3)는 같은 각도여도 좋고, 다르게 해도 좋다. 즉, 배치패턴(C)에서는, L1〉L2, 또한 r2≥90°, 또한 r3≥90°이다. 이 배치패턴(C)은, 중간적인 수심의 수역에 적합하다. 또한, 배치패턴(D)에서는, L1〉L2, 또한 r2〈90°, 또한 r3〈90°이다. 이 배치패턴(D)은, 설치장소의 수역이 좁고 긴 수역 등에서 해상구조물(10)을 2열로 늘어놓은 장소에 적합하다.
또한, 도 6에서 나타내듯이, 이 배치패턴(E)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2E)의 구성은,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각각의 계류밧줄(20C)이 고정되는 복수의 계류기부(30)의 배치에 관해서, 위에서 볼 때, 이들의 해상구조물(10) 중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10C)(3겹 동그라미)에 있어서, 이 해상구조물(10C)을 계류하는 계류밧줄(20C)들이 이루는 각도 (α1), (α2), (α3)에 있어서 다른 각도가 있게 구성된다. 즉,α1≠α2, 또는 α2≠α3, 또는 α3≠α1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배치패턴(E)의 구성에서는, 해상구조물(10C)이 3개의 제 1~제 3의 계류밧줄(20Ca)~(20Cc)로 계류되는 것과 함께, 제 1의 계류밧줄(20Ca)과 제 2의 계류밧줄(Cb)이 이루는 각도(α1)가 80도 이상 120도 미만이고, 제 2의 계류밧줄(20Cb)과 제 3의 계류밧줄(20Cc)이 이루는 각도(α2)가 120도 이상 140도 이하이고, 제 3의 계류밧줄(20Cc)과 제 1의 계류밧줄(20Ca)이 이루는 각도(α3)가 120도 이상 140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된다. 즉, 80°≤α1〈120°, 또한 120°≤α2〈140°, 또한, 120°≤α3〈140이다. 또한, 제 1~제 3의 계류밧줄(20Ca)~(20Cc)의 길이 또는 계류거리는 3개 다 같아도, 2개 같고 1개가 달라도 좋고, 3개 다 달라도 좋다.
그리고, 도 7에서 나타내듯이, 혼합배치패턴의 배치패턴(F)의 구성은, 해상구조물(10)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로 계류되고,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 2개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 1개로 계류되는 제 1종의 해상구조물(10A)(1겹 동그라미)와,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의 1개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의 2개로 계류되는 제 2종의 해상구조물(10B)(2겹 동그라미)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의 3개로 계류되는 제 3종의 해상구조물(10D)(3겹 동그라미)을 가지는 구성이다. 이 배치패턴(F)은, 복잡하지만 계류기부의 수가 적게 끝나고, 비교적 깊은 수심의 수역에 적합하다.
이 배치패턴(F)의 구성은 일견 복잡해 보이지만, 도면의 횡방향(왼쪽에서 오른쪽방향)에 관해서는, 제 3종의 해상구조물(10D)(3겹 동그라미)(No. 1)의 가로에, 제 2종의 해상구조물(10B)(2겹 동그라미)이 2개(NO2, NO3), 제 1종의 해상구조물(10A)(1겹 동그라미)이 1개(NO.4)에, 제 2종의 해상구조물(10B)(2겹 동그라미)이 1개(NO.5), 제 1종의 해상구조물(10A)(1겹 동그라미)이 2개(N0. 6, NO. 7)이고, 제 3종의 해상구조물(10D)(3겹 동그라미)(다음의 NO. 1)에 연결되는 구성이고, 7개의 해상구조물(10)로, 이 배열을 반복하고, 그리고, 도면의 상하방향(위에서부터 아래방향)에 관해서는, 위의 열NO. 5와 NO. 6의 사이에, 다음 열의 NO. 1이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들의 배치패턴 (A), (B), (C), (D), (E), (F)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기하학적 패턴을 이용하여, 1개의 계류밧줄(20)이 파단되었을 때, 나머지의 계류밧줄(20)에 계류되어 있던 해상구조물(10)이 이동을 개시하여, 나머지의 계류밧줄(20)에 붙들려서 이동을 정지하기까지, 다른 해상구조물(10)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에 비해서 큰 계류력을 발휘가능하기 때문에, 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의 방향을 큰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 예를 들면, 풍상(風上)방향으로 해놓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계류밧줄(2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해상구조물군의 설치수역의 넓이와 수심, 수저형상 등에 대응시켜서, 이 배치패턴(A), (B), (C), (D), (E), (F)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채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계류밧줄(20)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30)의 계류기능의 상실이 발생해도, 그 해상구조물(10)은 이동하지만, 그 해상구조물(10)을 나머지의 계류밧줄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여, 그 해상구조물(10)이 다른 해상구조물(10)과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배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배치패턴(D)에 있어서, 계류밧줄(20A), (20B)의 1줄이 파단했을 때의 모습을 도 8에서 나타낸다.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이 파단했을 때에는, 도 8의 도면 위쪽에서 나타내듯이, 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에 계류되어 있던 해상구조물(10)이 이동허용범위 내(해칭 내)를 이동하여 나머지의 짧은 계류밧줄(20B)에 붙들려서 이동을 정지하기까지, 다른 해상구조물(10)에 충돌하지 않고, 이동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도 8에서는, (r1), (r2), (r3)를 모두 120°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은, 계류기부(30)에 있어서 60°의 선회를 하게 된다.
또한, 도 8의 도면의 아래쪽에서 나타내듯이,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이 파단했을 때는, 이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에 계류되어있던 해상구조물(10)이 이동허용범위 내(해칭 내)를 이동하여 나머지의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에 붙들려서 이동을 정지하기까지, 다른 해상구조물(10)에 충돌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는, 나머지 짧은 계류밧줄(20B)은, 계류기부(30)에 있어서, 82°의 선회를 하고, 나머지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은, 계류기부(30)에 있어서, 38°의 선회를 하는 것이 된다.
이 경우에,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에 비해서 큰 계류력을 발휘가능하기 때문에, 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의 방향을 큰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 예를 들면, 바람(W)에 대해서 풍상방향과 조류의 상류방향으로 해놓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계류밧줄(20A), (20B)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의 배치패턴을 실시할 때의 계류기부(30)의 구성과, 계류밧줄(20)의 계류기부(30)측의 계류 고정구(31)와, 해상구조물(10)측의 접속부위에서의 계류계지구(1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나타내듯이, 계류밧줄(20A), (20B)의 수저(水底)측을 고정하는 계류기부(30)를 계류파일로 구성하고, 이 계류파일에서의 계류밧줄(20A), (20B)은, 수저(3)에 세워서 설치한 주상체(30a)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설치된 계류밧줄 고정구(31)에 고정된다. 이 계류밧줄 고정구(31)는 계류파일의 주상체(30a)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고정한다. 또한, 도 11~도 13에서 나타내듯이, 주상체(30a)의 윗면에, 계류밧줄 고정구(31)를 설치해도 좋고, 도 14 및 도 15에서 나타내듯이, 윗면에 계류밧줄 고정구(31)를 설치한 주상체(30a)를 묶어서 구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계류기부(30)를 드래그 앵커로 형성하는 경우보다도, 계류방향이 선회해서 변화한 경우에도 계류력의 변화가 적고, 또한 계류밧줄 고정구(31)의 요동이라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계류기부(30)측의 고정부위에서의 위에서 본 계류밧줄(20A), (20B)의 선회가능한 범위(β)를 크게 잡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류밧줄(20A), (20B)이 고정되는 계류밧줄 고정구(31)가 요동가능하기 때문에, 계류밧줄(20A), (20B)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30)의 계류기능의 상실에 의해, 해상구조물(10)이 처음으로 계류된 위치에서 이동하여 계류밧줄(20)의 계류방향이 변화하여도, 계류밧줄(20A), (20B) 및 계류기부(30)의 주상체(30a)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나타내듯이, 계류기부(30)측의 고정부위에서의 위에서부터 본 계류밧줄(20)의 선회가능한 범위(β(β1, β2, β3))가 5°이상이 되도록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부위의 계류밧줄 고정구(31)의 부위에서, 위에서 본, 바꿔 말하자면 평면상 계류밧줄(20A), (20B)의 선회가능한 범위(β)를 크게 한다. 또한, 선회가능한 범위(β)의 상한은, 계류밧줄 고정구(31)가 측면에 설치된 경우는 180°정도까지, 계류밧줄 고정구(31)가 윗면에 설치된 경우는 360°까지, 가능하면, 제한없이 몇번이라도 회전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과 짧은 계류밧줄(20B)이 고정되는 계류기부(30)에 있어서,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의 고정위치를 짧은 계류밧줄(20B)의 고정위치보다도 아래 위치로 한다. 즉, 도 10에서 나타내듯이, 계류기부(30)에서의 인접하는 3방향 내의 중앙방향으로 연장된 계류밧줄(20A)의 계류위치를 최하위치로 한다. 또한, 나머지의 양측의 인접방향으로 연장된 계류밧줄(20B)의 계류위치를 서로 높이가 다른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서 나타내듯이, 주상체(30a)의 상면에 계류밧줄 고정구(31)를 설치한 경우는, 계류밧줄 고정구(31)의 받침대 부분의 높이를 바꾸는 것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 나타내듯이, 윗면에 계류밧줄 고정구(31)를 1개만 설치한 주상체(30a)를 묶은 구성에서도 같은 식으로 계류밧줄 고정구(31)의 받침대 부분의 높이를 바꾸는 것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배치패턴(B), (D), (F)에서는, 계류밧줄(20A), (20B)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30)의 계류기능의 상실시에,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의 계류방향이 크게 변화해도 같은 계류기부(30)에 접속된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을 넘어가는 일은 있어도,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의 계류방향이 크게 변화해도 같은 계류기부(30)에 접속된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을 넘어가는 일은 없기 때문에, 계류밧줄(20A), (20B)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30)의 기능의 상실에 의해, 해상구조물(10)이 처음으로 계류된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중앙방향으로 연장된 계류밧줄(20A), (20B)과 인접방향으로 연장된 계류밧줄(20A), (20B)중 어느하나의 계류방향이 크게 변화한 경우에도,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계류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한 방향의 계류밧줄(20A)(또는, 20B)이 파단하여,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과 짧은 계류밧줄(20B)이 엉키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계류밧줄(20A), (20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류밧줄(20A), (20B)은 해상구조물(10)측의 접속부위에서의 계류계지구(13)에 계지되는 것과 함께, 이 계류계지구(13)는 해상구조물(10)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계류계지구(13)의 요동이라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해상구조물(10)측의 접속부위에서의 위에서부터 본 계류밧줄(20)의 선회가능한 범위를 크게 잡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류밧줄(20)이 계지되는 계류계지구(13)가 요동가능하기 때문에, 계류밧줄(20)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30)의 계류기능의 상실에 의해, 해상구조물(10)이 처음으로 계류되는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계류밧줄(20)의 계류방향이 변화해도, 계류밧줄(20) 및 계류계지구(13)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의 계류밧줄 고정구(31)의 요동과 계류계지구(13)의 요동이라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계류밧줄(20)의 선회가능한 범위를 크게 잡는 것이 가능하여, 계류밧줄(20)의 일부의 파단과, 계류기부(30)의 계류기능의 상실에 의해, 해상구조물(10)이 처음으로 계류된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계류밧줄(20)의 계류방향이 변화해도, 계류밧줄(20), 주상체(30a), 계류계지구(13)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류밧줄(20)들이,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계류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여, 계류밧줄(20)들이 엉켜서 손상되는 일을 피할 수 있다.
이 각각이 요동가능한 계류밧줄 고정구(31)와 계류계지구(13)를 이용하는 구성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는, 미리 계류방향이 설정되어, 그 방향을 향해서 계류밧줄(20)이 고정접속되고, 해상구조물(10)측의 접속부위와, 계류기부(30)측의 계지부위에 있어서는 한 방향을 향하여 계류밧줄(20)을 고정지지하도록 구성되어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 접속부위와 계지부위의 양쪽 부위에서, 동시에 위에서부터 본, 바꿔말하면 평면시에서의 계류밧줄(20)의 선회가능한 범위를 크게 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만일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계류밧줄(20)의 일부가 파단된 경우에도, 그 해상구조물(10)의 이동에 따라, 나머지 계류밧줄군의 계류밧줄(20)의 해상구조물(10)측의 접속부위에서의 계류방향의 큰 변화와, 계류기부(30)측의 고정부위에서의 계류방향의 큰 변화를 허용가능하기 때문에, 그 해상구조물(10)을 나머지 계류밧줄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여, 그 해상구조물(10)이 표류상태가 되는 것을 피할 때에 계류밧줄(2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 나타내듯이, 계류밧줄(20A), (20B)의 계류장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계류밧줄(20A), (20B)의 길이조정을 행하지만, 이 길이조정은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계류밧줄(20A), (20B)도 길이조정의 기구 및 방법은 같기 때문에, 계류밧줄(20)로서 설명한다.
이 길이조정용 계류기구(4)는, 주(主)계류밧줄(20a)의 부분과 부(副)계류밧줄(20b)의 부분으로 나눠서 형성된 계류밧줄(20)과, 부계류밧줄(20b)의 한쪽 끝을 고정하고, 또한, 수중에 배치된 계류파일(계류기부)(30)의 계류밧줄 고정구(31)와, 주계류밧줄(20a)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 조정구(21)를 갖고서 구성된다.
그것과 함께, 부계류밧줄(20b)의 다른 쪽 끝에 제 1 계합부(係合部)(20ba)를 설치한다. 또한, 주계류밧줄(20a)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 조정구(21)에 제 1 계합부(20ba)에 결합하는 제 2 계합부(21a)를 설치한다. 그리고, 해상구조물(10)에 한쪽 끝이 고정된 주계류밧줄(20a)의 다른쪽 끝측에 길이 조정구(21)를 장착한다. 이 길이 조정구(21)의 제 2 계합부(21a)를 제 1 계합부(20ba)에 결합시켜서, 해상구조물(10)과 계류밧줄 고정구(31)와의 사이를, 주 계류밧줄(20a), 길이조정구(21), 제 2 계합부(21a), 제 1 계합부(20ba), 부계류밧줄(20b)로 접속하고, 길이 조정구(21)에 의해 주계류밧줄(20a)의 길이를 조정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다음으로, 이 계류기구(4)를 이용하여 행하는 계류밧줄(20)의 길이조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계류밧줄(20)을 주계류밧줄(20a)의 부분과 부계류밧줄(20b)의 부분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이 부계류밧줄(20b)의 한쪽 끝을 계류밧줄 고정구(31)로 계지하고, 다른쪽 끝에는 제 1계합부(20ba)를 설치한다. 한편, 주계류밧줄(20a)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구(21)에 제 1계합부(20ba)에 결합하는 제 2계합부(21a)를 설치한다.
또한, 해상구조물(10)에 한쪽 끝이 고정된 주계류밧줄(20a)의 다른쪽 끝측에 길이조정구(21)를 설치하고, 길이 조정구(21)로 주계류밧줄(20a)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한다. 이 길이조정은 길이 조정구(21) 중에 주계류밧줄(20a)의 계류사슬을 통하여, 임의의 계류사슬 링을 결합용 금속으로 고지할 수 있게 한다. 계류기부(30)를 수저(水底)에 메울 때에, 이 계류기부(30)의 계류밧줄 고정구(31)에 부계류밧줄(20b)의 한쪽 끝측을 고정해둔다.
그리고, 해상구조물(10)의 계류시에, 해상구조물(10)에 한쪽 끝이 고정된 주계류밧줄(20a)을 주계류밧줄(20a)의 다른쪽 끝측을 길이조정구(21)를 통해서, 그 다른쪽 끝을 보조밧줄(22)로 지지하면서, 길이조정구(21)를 계류기부(30)까지, 수중 로봇(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이동시키고, 길이조정구(21)의 제 2계합부(21a)를 제 1계합부(20ba)에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해상구조물(10)과 계류밧줄 고정구(31)와의 사이를, 주계류밧줄(20a), 길이조정구(21), 제 2계합부(21a), 제 1계합부(20ba), 부계류밧줄(20b)로 접속한다. 이 접속 후에, 보조밧줄(22) 또는 주계류밧줄(20a)을 잡아당겨서, 계류장력 또는 계류길이 또는 해상구조물(10)의 위치를 계측하면서, 주계류밧줄(20a)의 길이를 조정하여 길이조정구(21)에 주계류밧줄(20a)의 길이를 고정한다.
바꿔말하면, 계류밧줄(20)을 주계류밧줄(20a) 부분과 부계류밧줄(20b)의 부분으로 나눠서 형성하고, 계류밧줄 고정구(31)에 한쪽 끝이 고정된 부계류밧줄(10b)의 다른 쪽 끝에 설치한 제 1계합부(20ba)에 결합하는 제 2계합부(21a)를 주계류밧줄(20a)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구(21)를 설치하고, 해상구조물(10)에 한쪽 끝이 고정된 주계류밧줄(10a)의 다른쪽 끝측에 길이조정구(21)를 설치하고, 길이조정구(21)의 제 2계합부(21a)를 제 1계합부(20ba)에 결합시켜서, 해상구조물(10)과 계류밧줄 고정구(31)의 사이를, 주계류밧줄(20a), 길이조정구(21), 제 2계합부(21a), 제 1계합부(20ba), 부계류밧줄(20b)로 접속한 후에, 길이조정구(21)에 의해 주계류밧줄(20a)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 주계류밧줄(20a)의 길이는, 예를 들면, 해상구조물(10)이 3방향의 계류밧줄(20A), (20B)로 계류되는 경우에는, 그만큼, 해상구조물(10)의 설치위치의 정밀도는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먼저, 2방향의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을 계류길이를 미리 설정하고, 이 설정길이에 육상측 또는 설치장소에서 세트하고 나서 계류기부(30)에 접속한다. 이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에서는, 길이조정을 하지 않아도 괜찮기 때문에, 고가의 길이조정구(21)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20B)을 계류기부(30)에 접속한 후, 길이가 긴 계류밧줄(20A)을, 상기의 수순으로 계류기부(30)에 접속하고, 길이조정을 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본 발명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2),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에 의하면, 풍력발전장치 등을 탑재한 해상구조물군의 계류에 있어서, 험악한 기상 및 해상의 조건하에서, 비록, 해상구조물(10)을 계류하는 계규밧줄(30)의 일부가 파단되어도, 그 해상구조물(10)은 이동하지만, 그 해상구조물(10)을 나머지 계류밧줄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고, 그 해상구조물(10)이 표류상태가 되는 것과, 그 해상구조물(10)이 다른 해상구조물(10)과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그 계류방향의 계류밧줄(20)의 강도를 과도하게 높게 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해상설치장소에 계류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에 의하면, 험악한 기상 및 해상의 조건 하에서, 비록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계류밧줄의 일부가 파단되어도, 그 해상구조물은 이동하지만, 그 해상구조물을 나머지의 계류밧줄군에 의해 계속 계류하여, 그 해상구조물이 표류상태가 되는 것과, 그 해상구조물이 다른 해상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서, 그 계류방향의 계류밧줄의 강도를 과도하게 높게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해상설치장소에 계류할 수 있다. 따라서, 풍력발전장치 등을 탑재한 해상구조물 등의 많은 해상구조물을 복수계류할 때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호의 설명
2, 2A, 2B, 2C, 2D, 2E, 2F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3 수저(水底)
4 계류기구
10, 10A, 10B, 10C, 10D 해상구조물
11 상부구조물
11a 수직축풍차
11aa 회전축
11ab 수직날개
12 하부구조물
12a 추(錘)
12b 부력체
13 계류계지구
20, 20A, 20B 계류밧줄
20a 주(主)계류밧줄
20b 부(副)계류밧줄
20ba 제 1계합부
21 길이 조정구
21a 제 2계합부
30 계류파일(계류기부(基部))
31 계류밧줄 고정구

Claims (17)

  1. 복수의 해상구조물로 구성되는 해상구조물군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을 3방향 이상 8방향 이하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계류밧줄을 이용하여 각각의 방향의 계류밧줄을 각각의 계류기부에 고정하여 계류하되, 적어도 1개의 상기 계류기부가 상기 해상구조물군 중의 3기 이상 8기 이하의 해상구조물에 각각 접속하는 계류밧줄을 고정하며,
    위에서부터 볼 때, 상기 해상구조물 중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상기 계류밧줄들이 이루는 각도에 있어서 다른 각도가 있거나, 또는, 위에서 볼 때, 상기 해상구조물과 이들의 계류기부와의 계류거리에 있어서 다른 계류거리가 있도록 함으로써 얻어지는 비대칭 배치패턴으로 상기 해상구조물과 상기 계류기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상구조물군의 계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해상 구조물과 계류기부의 상기 비대칭 배치패턴에 의해, 상기 해상구조물군 중 1개의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계류밧줄 중 1개가 파단되더라도, 이 해상구조물이 나머지의 계류밧줄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이동했을 때에 다른 해상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해상 구조물과 계류기부의 상기 비대칭 배치패턴에 의해, 1개의 상기 계류기부의 계류기능이 기능하지 않게 되더라도, 이 계류기부에 고정되어 있는 계류밧줄에 의해 계류되어 있는 해상구조물이 나머지의 계류밧줄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이동했을 때에 다른 해상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거리에 관해서, 큰 계류거리와 작은 계류거리의 차가 계류되어 있는 상기 해상구조물을 위에서부터 본 투영도에서의 상기 해상구조물의 평면도형의 외접원의 직경이상으로, 또한, 큰 계류거리가 작은 계류거리의 3배의 거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 2개와 짧은 계류밧줄 1개로 계류되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거리가 짧은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 2개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 1개로 계류되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서로 역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 1개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 2개로 계류되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길이가 긴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 1개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 2개로 계류되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길이가 긴 계류밧줄의 계류방향이 서로 역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이 3개의 제 1~ 제 3의 계류밧줄로 계류되되, 상기 제1의 계류밧줄과 상기 제2의 계류밧줄이 이루는 각도가 80도 이상 120도 미만이고, 상기 제2의 계류밧줄과 상기 제 3의 상기 계류밧줄이 이루는 각도가 120도 이상 140도 이하이고, 상기 제 3의 상기 계류밧줄과 상기 제 1의 상기 계류밧줄이 이루는 각도가 120도 이상 14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이 길이가 긴 계류밧줄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로 계류되되, 길이가 긴 계류밧줄 2개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 1개로 계류되는 제 1종의 해상구조물과, 길이가 긴 계류밧줄 1개와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 2개로 계류되는 제 2종의 해상구조물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 3개로 계류되는 제 3종의 해상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기부에서의 계류밧줄은 수저에 세워서 설치한 주상체의 측면 또는 모서리 또는 상부에 설치된 계류밧줄 고정구에 고정되되, 상기 계류밧줄 고정구는 상기 주상체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기부에 길이가 긴 계류밧줄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이 고정되되, 길이가 긴 계류밧줄의 고정위치를 짧은 계류밧줄의 고정위치보다도 아래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밧줄은 해상구조물측의 접속부위에서의 계류계지구에 고정되되, 상기 계류계지구는 해상구조물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기부에서의 계류밧줄은 수저에 세워서 설치한 주상체의 측면 또는 모서리 또는 상부에 설치된 계류밧줄 고정구에 고정되되, 상기 계류밧줄 고정구는 상기 주상체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계류기부에 길이가 긴 계류밧줄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이 고정되되 길이가 긴 계류밧줄의 고정위치를 길이가 짧은 계류밧줄의 고정위치보다도 아래의 위치로 하고, 또한, 상기 계류밧줄은 해상구조물측의 접속부위에서의 계류계지구에 고정되되, 상기 계류계지구는 해상구조물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 시스템.
  15. 복수의 해상구조물로 구성되는 해상구조물군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을 3방향 이상 8방향 이하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계류밧줄을 이용하여 각각의 방향의 계류밧줄을 각각의 계류기부에 고정하여 계류하되, 적어도 1개의 상기 계류기부가 상기 해상구조물군 중의 3기 이상 8기 이하의 해상구조물에 각각 접속하는 계류밧줄을 고정하며,
    위에서부터 볼 때, 상기 해상구조물 중 적어도 1개의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상기 계류밧줄들이 이루는 각도에 있어서 다른 각도가 있거나, 또는, 위에서 볼 때, 상기 해상구조물과 이들의 계류기부와의 계류거리에 있어서 다른 계류거리가 있도록 함으로써 얻어지는 비대칭 배치패턴으로 상기 해상구조물과 상기 계류기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해상 구조물과 계류기부의 상기 비대칭 배치패턴에 의해, 상기 해상구조물군 중 1개의 해상구조물을 계류하는 계류밧줄 중 1개가 파단되더라도, 이 해상구조물이 나머지의 계류밧줄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이동했을 때에 다른 해상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해상 구조물과 계류기부의 상기 비대칭 배치패턴에 의해, 1개의 상기 계류기부의 계류기능이 기능하지 않게 되더라도, 이 계류기부에 고정되어 있는 계류밧줄에 의해 계류되어 있는 해상구조물이 나머지의 계류밧줄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이동했을 때에 다른 해상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
KR1020167033415A 2014-07-08 2014-09-25 해상구조물군(群)의 계류 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 KR101885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0793A JP5685670B1 (ja) 2014-07-08 2014-07-08 洋上構造物群の係留システム、及び、洋上構造物群の係留方法
JPJP-P-2014-140793 2014-07-08
PCT/JP2014/075358 WO2016006126A1 (ja) 2014-07-08 2014-09-25 洋上構造物群の係留システム、及び、洋上構造物群の係留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268A KR20160149268A (ko) 2016-12-27
KR101885606B1 true KR101885606B1 (ko) 2018-09-06

Family

ID=5282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415A KR101885606B1 (ko) 2014-07-08 2014-09-25 해상구조물군(群)의 계류 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51211B2 (ko)
EP (1) EP3168131B1 (ko)
JP (1) JP5685670B1 (ko)
KR (1) KR101885606B1 (ko)
CN (1) CN106687366B (ko)
CA (1) CA2954232C (ko)
PT (1) PT3168131T (ko)
WO (1) WO2016006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6250B2 (ja) * 2015-08-04 2017-12-13 和歌山県 船舶係留装置
DE102015121371B4 (de) * 2015-12-08 2018-11-15 Aerodyn Consulting Singapore Pte Ltd Offshore-Windpark
CN111046537B (zh) * 2019-11-26 2022-12-23 中国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第七一0研究所 一种潜标***布放时水下分离系留索强度仿真方法
CN113753177A (zh) * 2021-08-24 2021-12-07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系泊缆固定结构、浮动式系泊***以及海上风力发电机组
WO2023143685A1 (en) * 2022-01-26 2023-08-03 Vestas Wind Systems A/S An offshore wind farm with asymmetrically positioned anchor points
CN114684324A (zh) * 2022-03-11 2022-07-01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漂浮式风机组和漂浮式风机阵
CN114872840B (zh) * 2022-04-02 2023-05-02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漂浮式海上测风平台
CN115783152B (zh) * 2022-11-24 2024-07-16 中国海洋大学 一种多浮体模块重力式交叉连接装置及其设计与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0589A1 (en) 2000-07-27 2002-02-07 Christoffer Hannevig Floating structure for mounting a wind turbine offshore
JP2004176626A (ja) 2002-11-27 2004-06-24 Hitachi Zosen Corp 洋上風力発電設備
US20130152839A1 (en) 2011-12-15 2013-06-20 Andreas Graf System of anchoring and mooring of floating wind turbine tower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towing and erecting thereof
DE102012007613A1 (de) * 2012-04-16 2013-10-17 Walter Schopf Schwimmende Trägerbasis für Offshore-Windenergieanlag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7419B1 (fr) * 2006-10-20 2009-01-09 Nenuphar Sarl Reseau de flotteurs,notamment destine pour d'eoliennes et/ou d'hydroliennes sur des sites marins de profondeur importante.
US8096116B2 (en) * 2008-01-22 2012-01-17 Ocean Power Technologies, Inc. Mooring of multiple arrays of buoy-like WECs
US8698338B2 (en) * 2010-03-08 2014-04-1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Offshore energy harvesting, storage, and power generation system
FR2967470B1 (fr) * 2010-11-17 2016-09-09 Ideol Installation et procede d'exploitation d'energie eolienne
JP5918503B2 (ja) 2011-11-04 2016-05-18 拓樹 中村 浮体式流体力利用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風力推進船
DK201200188U3 (da) * 2012-01-04 2013-04-29 Hm Power Ab Forankringssystem til en park af flydende vindkraftenheder
US9222458B2 (en) * 2012-11-27 2015-12-29 Ocean Power Technologies, Inc. Mooring anchor system for wave energy converters (WEC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0589A1 (en) 2000-07-27 2002-02-07 Christoffer Hannevig Floating structure for mounting a wind turbine offshore
JP2004176626A (ja) 2002-11-27 2004-06-24 Hitachi Zosen Corp 洋上風力発電設備
US20130152839A1 (en) 2011-12-15 2013-06-20 Andreas Graf System of anchoring and mooring of floating wind turbine tower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towing and erecting thereof
DE102012007613A1 (de) * 2012-04-16 2013-10-17 Walter Schopf Schwimmende Trägerbasis für Offshore-Windenergieanl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16750A (ja) 2016-02-01
CN106687366A (zh) 2017-05-17
EP3168131B1 (en) 2020-02-12
US20170166286A1 (en) 2017-06-15
CN106687366B (zh) 2020-05-01
EP3168131A1 (en) 2017-05-17
US10351211B2 (en) 2019-07-16
JP5685670B1 (ja) 2015-03-18
WO2016006126A1 (ja) 2016-01-14
CA2954232C (en) 2019-01-08
PT3168131T (pt) 2020-05-18
CA2954232A1 (en) 2016-01-14
EP3168131A4 (en) 2018-04-04
KR20160149268A (ko)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606B1 (ko) 해상구조물군(群)의 계류 시스템, 및 해상구조물군의 계류방법
ES2718934T3 (es) Base de turbina eólica flotante con patas de tensión de tipo abocinado, turbina eólica marina y método de construcción
EP2993270B1 (en) Submersible structure for actively supporting towers of generators and sub-stations or similar elements, in maritime facilities
KR102645773B1 (ko) 플로팅 풍력 터빈 조립체 및 상기 플로팅 풍력 터빈 조립체를 계류시키기 위한 방법
US8668452B2 (en) Floating device for production of energy from water currents
ES2694449B2 (es) Estructura flotante para aerogenerador marino
KR101592131B1 (ko) 부체식 풍력 발전 장치
KR102144423B1 (ko) 반잠수식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CN210653580U (zh) 一种共享系泊的海上风电平台群
WO2022098288A1 (en) Mooring system comprising buoys and anchors
WO2015038003A1 (en) A floating hull with a stabilizing portion
KR20230041656A (ko)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소 내외의 전력 케이블들의 손상 방지 시스템
JP2022178448A (ja) 浮体構造物支持構造、浮体構造物の設置方法
WO2005059255A1 (en) Anchor system for a pontoon bridge
KR102477563B1 (ko) 해상 풍력발전 장치
US20240043098A1 (en) Mooring system
EP4201797A1 (en) Subsea configuration for floating structures of an offshore wind farm
KR20240103227A (ko) 부유식 플랫폼의 공유 앵커
WO2023057671A1 (es) Plataforma flotante semisumergible para aerogenerador marino
WO2024132939A1 (en) Floating structure and mooring system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CN117284432A (zh) 一种半潜式风电平台
KR20130006751U (ko) 부유체의 안벽 계류 장치 및 계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