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398B1 - Heat recovery ventilator - Google Patents

Heat recovery venti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398B1
KR101884398B1 KR1020170155429A KR20170155429A KR101884398B1 KR 101884398 B1 KR101884398 B1 KR 101884398B1 KR 1020170155429 A KR1020170155429 A KR 1020170155429A KR 20170155429 A KR20170155429 A KR 20170155429A KR 101884398 B1 KR101884398 B1 KR 10188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body frame
indoo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이씨
Priority to KR102017015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3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or having an outdoor suction hole, an indoor suction hole, an indoor discharge hole, and an outdoor discharge ho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recovery ventilator, having an additional suction hole for sucking indoor air and discharging the same so as to rapidly discharge polluted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allowing indoor air sucked into the additional suction hol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an operation of a heat exchanging unit, thereby securing cost efficiency. Moreover, the ventilator comprises: a main frame having a first damper; and a frame cover having an indoor suction hole and an indoor discharge hole.

Description

열회수 환기장치{Heat recovery ventilator}[0001] Heat recovery ventilator [0002]

본 발명은 실외 공기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 후에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recovery ventilator in which energy efficiency is improved by exchanging outdoor air with room air and supplying the indoor air to the room.

우리가 생활하는 실내의 공기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오염되고 있으며, 쾌적한 삶을 위해서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환기가 필수적이다.Indoor air in our living room is polluted by various factors. In order to live a comfortable life, it is essential to vent the contaminated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to introduce outdoor air into the room.

특히, 사무실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무는 곳에서는 수시로 환기를 시켜야 한다. 이때, 일반적인 환기는 창문을 개방하거나 환풍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다.Especially, in places where many people, such as offices, stay in a narrow space, ventilation should be made from time to time. At this time, there was a method of opening a window or using a ventilator in general ventilation.

그러나 건물의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킬 경우, 건물의 냉난방효율이 떨어지고, 최근에는 건물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창의 설치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건물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가 건물에 설치되고 있다.However, when the windows of a building are opened to ventilate, the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of the building deteriorates. Recently, ventilation devices for forcibly ventilating the building air are installed on the building to minimize window installation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have.

또한, 오늘날 우리의 주거공간이 갈수록 고층화됨에 따른 안정성 문제와 에너지 절약, 소음, 보안 등의 문제로 창문의 개방이 제한되는 등 생활공간이 갈수록 기밀화 또는 폐쇄화되고 있다.In addition, today 's living space is becoming more and more high - level, stability problems, energy conservation, noise and security problems, such as the opening of the window is limited, the living space is becoming more and more closed or confined.

이러한 변화에 따라 오늘날 거의 모든 건물에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환기장치로 전열 교환부를 구비한 폐열 회수형 환기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As a result of this change, almost all of buildings today require a ventilator that supplies fresh air to the inside and discharges the air inside to the outside, and a waste heat recovery type ventilator having an overall heat exchange portion is mainly used as the ventilator have.

이러한 구조의 폐열 회수형 환기장치는 실외 공기를 실외 흡기구에 의해 프레임 내부로 유입시켜 필터로 필터링한 후 실내 배출구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고, 동시에 실내 흡기구를 통해 실내 공기를 프레임 내부로 유입시킨 후 실외 배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킨다.In the waste heat recovery type ventilator of this structur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frame by an outdoor air intake port, filtered by a filter, and then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an indoor air outlet. At the same time,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frame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And discharged outdoors through an outlet.

일반적인 폐열 회수형 환기장치의 프레임 내부에는 전열 교환부가 구비되는데, 실내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실외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상기 전열 교환부를 통과하면서 자신의 열에너지(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하고, 실외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 또한 상기 전열 교환부를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가 전열 교환부에 전달한 열에너지를 받은 후 실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배출은 송풍기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며, 송풍기 등의 작동 제어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콘트롤 박스에 의해 이루어진다.In the conventional waste heat recovery type ventilating apparatus, an indoor heat exchanger is provided inside the frame,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passes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unit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outlet, And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air intake port also passes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indoor outlet after receiving the heat energy transmitted to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by the indoor air. At this time, the discharge of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is performed by the blower, and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blower and the like is performed by the control box installed in the fram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90987호에는 건물을 신축한 후 새집증후군을 초래하는 유해성분이 검출되는 일정 기간동안에는 전열 교환부를 통해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유해성분이 용이하게 실외로 배출되고, 일정기간이 경과하여 유해성분이 더 이상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필터 및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해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재순환시킴으로써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이 소개된 바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690987 discloses a method of ventilating indoor / outdoor air through a total heat exchange por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which a harmful component causing a sick house syndrome is detected after a building is expanded or contracted, so that the harmful component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air cleaning system using a ventilation unit capable of preventing heat loss by purifying indoor air using a filter and an anion generator and recycling it to the room has been introduced.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필터와 음이온 발생 물질을 교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고, 시스템의 내부에 결로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열 교환부의 열교환 성능이 떨어지면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전열 교환부의 교체를 위해 프레임 전체를 분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patent ha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replacing the filter and the anion generating material, and frequently causes condensation inside the system. When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total heat exchanging part is lowered, it is required to be periodically replaced. In order to replace the total heat exchanging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hole should be disassembled.

또한, 실외 공기가 전열 교환부를 통과하는 경우에 오히려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므로 우회 덕트를 사용하는 기술이 소개되었으나, 복잡한 우회 덕트로 인하여 환기장치가 커지고, 제작비용 및 유지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although the energy efficiency is sometimes lowered when the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ing part, the technology using the bypass duct has been introduced. However, since the complicated bypass duct increases the ventilation device, A problem has arise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90987호Korean Patent No. 069098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외 흡기구, 실내 흡기구, 실내 배출구 및 실외 배출구를 갖는 환기 장치에 실내 공기를 더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흡입구를 더 형성하여 줌으로써, 오염된 실내 공기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전열 교환부의 작동없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효과를 갖는 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apparatus having an outdoor air inlet, an indoor air inlet, an indoor air outlet and an outdoor air outle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 recovery ventilator which is capable of rapidly discharging contaminated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discharging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to the outside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회수 환기장치는, 실외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실내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전열 교환부에서 열교환한 후에 상기 실외 공기는 실내 배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상기 실내 공기는 실외 배출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recovery ventilator, wherein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an outdoor air intake port is heat-exchanged with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an indoor air intake port in an electric heat exchange unit, And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utdoor outlet,

상기 실외 흡기구 및 실외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열 교환부와, 실외 흡기구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상기 전열 교환부를 지나지 않고 실내 배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우회 덕트와, 상기 실외 흡기구와 상기 전열 교환부 제1면 사이에서 통기공을 갖는 격벽, 및 회동에 의해 상기 통기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실외 흡기구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전열 교환부 또는 우회 덕트로 유도하는 제1 댐퍼가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및A bypass duct through which the outdoor heat exchanging unit and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outdoor air intake port are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exhaust por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ing unit and the outdoor air intake port and the outdoor air outlet, And a first damper for guid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outdoor air intake port to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or the bypass duct by opening or closing the air hole by pivoting, frame; And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를 폐쇄하고, 상기 실내 흡기구 및 실내 배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덮개;를 포함하고,And a frame cover which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and in which the indoor air inlet and the indoor outlet are formed,

상기 프레임덮개는 상기 실외 배출구와 전열 교환부 제4면 사이에 소정 면적으로 개구되는 흡입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댐퍼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는 송풍기에 의해 실외 배출구로 강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rame cover further includes a suction port that is opened between the outdoor discharge port and the fourth surface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area, and a second damper that opens or closes the suction por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air is forcedly discharged to the outdoor outlet by the blower.

본 발명에 다른 열회수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heat recovery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실외 흡기구, 실내 흡기구, 실내 배출구 및 실외 배출구를 갖는 환기 장치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별도의 흡입구를 더 형성하여 줌으로써, 오염된 실내 공기를 실외 배출구를 통해 빠르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quickly discharge the contaminated indoor air through the outdoor air outlet by forming a separate air inlet for sucking indoor air into the ventilator having the outdoor air inlet, the indoor air inlet, the indoor air outlet, and the outdoor air outlet, It is effective.

또한,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흡입구로 흡입된 후 실외 배출구를 통해 바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전열 교환부를 거치지 않아 전열 교환부의 사용 없이도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indoor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and then discharged directly through the outdoor discharge port, the indoor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using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which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

그리고 환기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 교환부 및 필터 등의 구성을 간단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replace the constitution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and the filter or the like provided inside the ventilator.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모식도 및 환기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본체프레임 내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본체프레임에서 프레임덮개 또는 루버가 분해되는 분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도 및 저면도
1 to 3 are a schematic view of a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view of a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frame of the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exploded views of the frame cover or louver in the main body frame of the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a combined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모식도 및 아래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1 to 3 are a schematic view and a schematic view of a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회수 환기장치는, 실외 흡기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실내 흡기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전열 교환부(20)에서 열교환한 후에 상기 실외 공기는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상기 실내 공기는 실외 배출구(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 흡기구(11) 및 실외 배출구(14)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열 교환부(20)와, 실외 흡기구(1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상기 전열 교환부(20)를 지나지 않고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우회 덕트(40)와, 상기 실외 흡기구(11)와 상기 전열 교환부(20)의 제1면(21) 사이에서 통기공(51)을 갖는 격벽(50), 및 회동에 의해 상기 통기공(51)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실외 흡기구(1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전열 교환부(20) 또는 우회 덕트(40)로 유도하는 제1 댐퍼(55)가 구비되는 본체프레임(10); 및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부를 폐쇄하고, 상기 실내 흡기구(12) 및 실내 배출구(13)가 형성되는 프레임덮개(19);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10) 내부에서 상기 실내 배출구(13)와 전열 교환부(20)의 제3면(23) 사이 또는 상기 실외 배출구(14)와 전열 교환부(20) 제4면(24) 사이에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송풍기(16)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덮개(19)에는 상기 실외 배출구(14)와 전열 교환부(20)의 제4면(24)과 사이에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5)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구(15)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댐퍼(5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eat recovery venti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1 is heat-exchanged with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12 in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11) and an outdoor outlet (14) are formed, and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indoor air outlet (13) A bypass duct (40) for discharging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outdoor air inlet (11)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13)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A partition wall 50 having a vent hole 51 between the outdoor air intake port 11 and the first surface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and a partition wall 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nt hole 51 by rotation,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port 11 is passed through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or bypass A main body frame (10) having a first damper (55) for guiding to a duct (40); And a frame cover (19) for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10) and forming the room air intake port (12) and the room air outlet port (13) A blower 16 for forcibly discharging air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surface 23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and the fourth surface 24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or between the outdoor outlet 14 and the fourth surface 24 of the total heat- And the frame cover 19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15 through which room air flows between the outdoor discharge port 14 and the fourth surface 24 of the total heat exchange part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damper (56) for opening or closing the suction port (15).

먼저,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외 흡기구(11)와 실외 배출구(14)가 형성되는 본체프레임(10); 및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부를 폐쇄하고 실내 흡기구(12)와 실내 배출구(13)가 형성되는 프레임덮개(19);를 포함한다.First, the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frame 10 formed in a box shape with its top opened and having an outdoor air inlet 11 and an outdoor air outlet 14; And a frame cover (19) which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frame (10) and in which an indoor air inlet (12) and an indoor air outlet (13) are formed.

상기 본체프레임(10)은 실외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실외 흡기구(11)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 배출구(14)가 사용 환경에 따라 동일면 또는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실내에서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전열 교환부(20)가 구비된다.The main body frame 10 is provided with an outdoor air inlet 11 for introducing outdoor air into the interior and an outdoor outlet 14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exterior, An entire heat exchanging part 20 for exchanging heat between indoor air introduced from the room and outdoor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각각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10a)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10a)는 슬라이딩 체결되는 차단판(10b)에 의해 폐쇄되거나 개방되며, 상기 실외 흡기구(11) 및/또는 실외 배출구(14)는 본체 프레임(10)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덕트(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를 갖는 차단판(10b)이 본체 프레임(10)의 일면 관통구(10a)에 체결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through hole 10a is formed in each side surface of the body frame 10 and the through hole 10a is closed or opened by a sliding plate 10b to which the sliding door 10 is fastened, And the outlet port 14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0 or a shielding plate 10b having a connecting port for connection with a duct (not shown) 10a, respectively.

상기 전열 교환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로 형성되고, 실외 흡기구(11), 실내 흡기구(12), 실내 배출구(13) 및 실외 배출구(14)와 대응되는 제1면(21), 제2면(22), 제3면(23) 및 제4면(24)의 측면을 가지며, 열교환성과 투습성이 있는 적층된 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공기를 흐르게 하여 한쪽에서 다른 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열뿐만 아니라 수분까지 회수하여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3,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is formed in a hexahedron and has a first surface 12a corresponding to the outdoor air inlet 11, the indoor air inlet 12, the indoor air outlet 13 and the outdoor air outlet 14, The other side has the side faces of the first face 21, the second face 22, the third face 23 and the fourth face 24 and allows the air to flow differently between the heat- The air can be recovered up to moisture as well as the heat of the air moving in the direc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프레임(10)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실내 배출구(13)와 전열 교환부(20)의 제3면(23) 사이 또는/및 실외 배출구(14)와 제4면(24)의 사이에는 송풍기(16)가 형성된다.4 shows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fram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pace between the indoor outlet 13 and the third surface 23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and / Between the four surfaces 24, a blower 16 is formed.

상기 송풍기(16)는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기(16)에 의해 전열 교환부(20) 제1면(21)에서 제3면(23)으로 안내되는 실외 공기와 상기 송풍기(16)에 의해 전열 교환부(20) 제2면(22)에서 제4면(24)으로 안내되는 실내 공기는 상하로 이격되어 직교로 교차하면서 열교환 될 수 있고, 열교환 후에 실외 공기는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실내 공기는 실외 배출구(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The blower 16 is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frame 10 to the outside and the blower 16 removes the third surface 23 from the first surface 21 of the total heat- And the indoor air guided from the second surface 22 to the fourth surface 24 by the blower 16 are vertically spaced and can be heat exchanged while intersecting at right angles After the heat exchange, the out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discharge port (13), and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door discharge port (14).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내부에서 전열 교환부(20)의 하부에는 우회 덕트(40)가 형성되고, 실외 흡기구(11)와 전열 교환부(20) 제1면(21)의 사이에는 격벽(50)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50)에는 통기공(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51)의 하측에는 회전 가능한 제1 댐퍼(55)가 형성되며, 상기 전열 교환부(20)의 제1면(21)과 제2면(22)에는 필터(25)가 수용된 필터케이스(26)가 구비된다.A bypass duct 4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otal enthalpy heat exchanger 20 in the main body frame 10 and between the first air inlet 11 and the first surface 21 of the total enthalpy heat exchanger 20 A partition wall 50 is formed, and a vent hole 51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50. A first damper 55 capable of rotating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nt hole 51. A filter 25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urface 21 and the second surface 22 of the total heat- A filter case 26 is provided.

상기 우회 덕트(40)는 실외 흡기구(1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상기 전열 교환부(20)를 지나지 않고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열 교환부(20)의 제1면(21)에 구비되는 필터(29)는 우회 덕트(40)의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bypass duct 40 is for allowing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outdoor air intake port 11 to be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discharge port 13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The filter 29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21 of the bypass duct 40 may extend to the lower end of the bypass duct 40. [

상기 격벽(50)은 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져서 격벽(50)과 제1면(21) 사이의 거리가 짧더라도 통기공(51)을 통과한 실외 공기가 제1면(21)에 고르게 퍼지도록 안내하고, 후면 양측단부에는 필터(25) 또는 필터(25)가 수용된 필터케이스(26)가 슬라이딩 장착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다.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50 and the first surface 21 is short so that the outdoor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vent hole 51 spreads evenly on the first surface 21 And a fastening portion for slidingly mounting the filter case 26 accommodating the filter 25 or the filter 25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따라서 상기 제1 댐퍼(55)가 통기공(51)을 폐쇄하면, 실외 공기는 전열 교환부(20)를 거치지 않고 실외 흡기구(11)와 우회 덕트(40)를 통과하여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상기 제1 댐퍼(55)가 통기공(51)을 개방하면, 우회 덕트(40)가 폐쇄되어 실외 공기는 전열 교환부(20)의 제1면(21)과 제3면(23)를 거쳐서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damper 55 closes the vent hole 51, the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1 and the bypass duct 4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When the first damper 55 opens the vent hole 51, the bypass duct 40 is closed so that the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first surface 21 of the total heat- And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room outlet 13 through the surface 23.

상기 제1 댐퍼(55)가 통기공(51)을 폐쇄한 때에는 제1 댐퍼(55)가 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여 제1 댐퍼(55)는 실외 공기를 우회 덕트(40)로 안내하고, 제1 댐퍼(55)가 통기공(51)을 개방한 때에는 제1 댐퍼(55)가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여 제1 댐퍼(55)는 실외 공기를 전열 교환부(20) 제1면(21)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안내한다.When the first damper 55 closes the vent hole 51, the first damper 55 is inclined forward and upward so that the first damper 55 guides the outdoor air to the bypass duct 40, When the first damper 55 opens the vent hole 51, the first damper 55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first damper 55 moves the outdoor air to the first surface 21 of the total heat-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개방된 상부는 프레임덮개(19)에 의해 폐쇄되는데, 상기 프레임덮개(19)는 상기 전열 교환부(20) 제2면(22)에 대응하는 모서리부 또는 일측부에 실내 공기가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실내 흡기구(12)가 형성되고, 전열 교환부(20) 제3면(23)에 대응하는 모서리부 또는 일측부에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 배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덮개(19)의 상측에는 상기 실내 흡기구(12) 및 실내 배출구(13)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면서 상기 프레임덮개(19)를 보호하는 루버(60)가 본체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된다.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10 is closed by the frame cover 19 and the frame cover 19 is fixed to the corn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rface 22 of the total heat- The indoor air inlet 12 for introducing the indoor air into the main body frame 10 is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or one s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surface 23 of the total heat- The frame cover 19 is provided with an indoor discharge port 13 for controll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ir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indoor air intake port 12 and the indoor air discharge port 13, The louver 6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10.

또한, 실내 배출구(13) 하측에 본체프레임(10) 내부에는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역유입되는 공기를 수용 및/또는 차단하기 위한 소정 공간의 수용부(A)가 형성되어,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역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수용부(A)에 일시적 또는 소정시간 수용된 후 송풍기(16)의 작동에 의해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강제 배출된다.A receiving space A for receiving and / or blocking air flowing back into the main body frame 10 through an indoor discharge port 13 is provided in the main frame 10 below the indoor discharge port 13, So that the air that is inversely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discharge port 13 is temporarily or temporarily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A and then forcedly discharged through the indoor discharge port 13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6. [

또한, 상기 수용부(A)에는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제 등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A may be provided with a perfume or the like which emits a perfume.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본체프레임(10)에서 프레임덮개(19) 또는 루버(60)가 분해되는 분해도이다.5 and 6 are exploded views in which the frame cover 19 or the louver 60 is disassembled from the main body frame 10 to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프레임덮개(19)에는 실외 배출구(14)와 전열 교환부(20) 제4면(24) 사이에 소정 면적의 흡입구(15)가 더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5)의 일측에는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구(15)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댐퍼(56)가 형성된다.The frame cover 19 of the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15 having a predetermined area between the outdoor discharge port 14 and the fourth surface 24 of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A second damper 56 for opening or closing the suction port 15 is formed by rotation.

즉,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 흡기구(12) 뿐 아니라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유입되어 실외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는 전열 교환부(20)를 거치지 않고 실외 배출구(14)를 통해 바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오염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으며, 전열 교환부(20)를 사용하지 않고도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전열 교환부(20)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때, 실외 배출구(14)와 전열 교환부(20) 제4면(24) 사이에 구비되는 송풍기(16)의 구동에 의해 실내 공기가 상기 흡입구(15)로 유입되어 실외 배출구(14)로 강제 배출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venti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m ai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frame 10 through the inlet port 12 as well as the inlet port 15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port 14,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15 is discharged directly through the outdoor outlet 14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so that the contaminated indoor air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durability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is improved. At this time, by driving the blower 16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outlet 14 and the fourth surface 24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the indoor air flows into the inlet 15 and is forced into the outdoor outlet 14 Is discharged.

또한, 상기 흡입구(15)는 상기 통기공(51)이 제1 댐퍼(55)에 의해 폐쇄될 때 제2 댐퍼(56)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통기공(51)이 제1 댐퍼(55)에 의해 개방되어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전열 교환부(20)를 통과할 때에는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ction port 15 is opened by the second damper 56 when the air hole 51 is closed by the first damper 55 and the air hole 51 is opened by the first damper 55. [ And closes when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frame 10 passes through the total heat-exchanging part 20. [

즉, 여름 새벽과 같이 실내 온도가 실외 온도보다 높거나 겨울 낮과 같이 실내 온도가 실외 온도보다 낮은 경우 또는 봄 가을에는 통기공(51)을 폐쇄하고 상기 흡입구(15)를 개방함으로써, 실외 공기는 전열 교환부(2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우회 덕트(40)를 지나 실내로 유입되게 하면서 동시에 실내 공기는 흡입구(15)와 실외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at is,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or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like the winter day, as in the dawn of summer, or by closing the air hole 51 and opening the air inlet 15 in spring and autumn, The indoor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port 15 and the outdoor outlet port 14 while allowing the indoor air to flow into the room through the bypass duct 4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

또한, 실외 배출구(14)와 전열 교환부(20) 제4면(24) 사이에 구비되는 송풍기(16)만을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실내 공기를 상기 흡입구(15)로만 흡입한 후 실외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only the blower 16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outlet 14 and the fourth surface 24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is driven independently to suck indoor air only through the inlet 15, )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프레임덮개(19)에는 상기 전열 교환부(20)가 프레임덮개(19)를 관통하여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삽입되거나 본체프레임(10) 내부에서 외부로 쉽게 인출되도록 하여 전열 교환부(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소정 너비의 지지구(17)가 형성된다.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body frame 10 through the frame cover 19 and is easily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frame 10 to the frame cover 19, (17) of a predetermined width for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f the first housing (20).

상기 지지구(17)는 전열 교환부(2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연부는 본체프레임(10) 내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지지편(17a)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17)를 통해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전열 교환부(20)가 상기 지지편(17a)에 의해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The support 17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upport 17 is protru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side the main frame 10 And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inserted and fixed into the body frame 10 through the support 1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eces 17a.

그리고 상기 지지구(17)는 지지구덮개(17b)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데, 상기 지지구덮개(17b)는 상기 전열 교환부(20)를 지지하거나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부에는 소정반경의 통공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전열 교환부(20)를 확인할 수 있으며, 손잡이가 상기 통공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상기 전열 교환부(20)가 상기 지지구(17)를 통해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지지구덮개(17b)로 지지구(17)를 폐쇄하면서 상기 전열 교환부(20)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상기 전열 교환부가 상기 지지구를 통해 외부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전열 교환부(20)의 교체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 support 17b is opened or closed by a support 17b. The support 17b supports or supports the entire heat exchange part 20, So that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and a handle is formed across the through hole.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case 10 through the support 17 and the support 17 is closed by the support lid 17b to heat the entire heat-exchanging portion 20 So that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pport, and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 지지구덮개(17b)는 상기 프레임덮개(19)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전열 교환부(20)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덮개(19)에 체결될 수도 있다.The support lid 17b may be fastened to the frame lid 19 and fastened to the frame lid 19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

또한, 상기 지지구(17)의 소정거리 외측에는 전열 교환부(20) 제1면(21) 또는/및 제2면(22)에 구비되는 필터(25)가 프레임덮개(19)를 관통하여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삽입되거나 본체프레임(10) 내부에서 프레임덮개(19)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필터삽입구(18)가 형성된다.A filter 25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21 and / or the second surface 22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passes through the frame lid 19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utside the support 17 A filter insertion port 18 is formed which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frame 10 or through the frame cover 19 inside the main frame 10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25)는 손잡이를 갖는 뚜껑이 몸체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필터케이스(26)에 수용되고, 필터(25)가 수용된 필터케이스(26)를 상기 필터삽입구(18)를 통해 본체프레임(10) 내부로 간단히 삽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7 and 8, the filter 25 is housed in a filter case 26 that is formed so that a lid having a handle is openable and closable in the body, and a filter case 26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frame 10 through the filter insertion port 18 or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for replacement.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 내부에서 상기 전열 교환부(20)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필터케이스(26)가 슬라이딩 체결되거나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하는 필터체결브라켓(27)이 형성된다.9, a filter fastening bracket 27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in the main body frame 10 so that the filter case 26 is slidably or slidably pulled out .

상기 필터체결브라켓(27)은 내부에 주름부(27a)가 형성되어 상기 주름부에 전열 교환부(20)의 모서리부가 밀착되고, 테두리부는 해당 모서리부에 인접하는 전열 교환부(20)의 2개의 면으로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필터케이스(26)가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는 레일홈(27b)이 형성되며, 하나의 필터체결브라켓(27)의 양측 테두리부의 레일홈(27b)에는 필터케이스(26)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체결됨으로써, 제1면(21) 내지 제4면(24)의 4개의 면을 갖는 전열 교환부(20)의 각 면에 필터(25)가 필요할 경우, 4개의 필터체결브라켓(27)이 필요하게 된다. The filter fastening bracket 27 has a corrugated portion 27a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rrugated portion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rugated portion. And the filter case 26 is formed in the rail groove 27b on both side edges of one filter fastening bracket 27. The filter case 26 is provided with a rail groove 27b protruding toward the surface of the filter case 26, When the filter 25 is required on each surface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having four surfaces of the first surface 21 to the fourth surface 24 by slidingly fastening one end of the four filter-securing brackets 27) is required.

본 발명에서는 전열 교환부(20) 제1면(21)과 제2면(22)에 필터(25)가 구비됨으로, 전열 교환부(20) 제1면(21)의 양측 모서리부와 제2면(22)과 제3면(23)이 만나는 모서리부에 3개의 필터체결브라켓(27)이 각각 세워져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25 is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21 and the second surface 22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so that both side edges of the first surface 21 of the total heat- Three filter fastening brackets 27 are provided at the corner portions where the surface 22 and the third surface 23 meet.

한편,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덮개(19)에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도면에서는 하측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과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덮개커버(30);를 더 포함한다.2A and 2B,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10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cover 19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in the drawing) And a lid cover (30) which forms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lid cover (30).

상기 덮개커버(30)는 본체프레임(10)과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실내 공기가 프레임덮개(19)의 실내 흡기구(12) 또는/및 흡입구(15)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실외 흡기구(11)를 통해 본체프레임(10)으로 유입되어 실내 배출구(13)로 배출되는 실외 공기가 상기 틈새를 통해 실내로 퍼지면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lid cover 30 allows the indoor air to flow into the indoor air intake port 12 and / or the air intake port 15 of the frame lid 19 or through the outdoor air intake port 11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frame 10 and discharged to the indoor discharge port 13 is spread out through the gap and discharged to the room.

상기 덮개커버(30)는 상기 본체프레임(10), 프레임덮개(19) 및 /또는 루버(60)를 보호하고, 본체프레임(1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실내에서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유입되거나 본체프레임(10) 내부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The lid cover 30 protects the main body frame 10, the frame lid 19 and / or the louver 60 and can be connected to be vertically movable in the main frame 10,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or discharg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may be adjusted.

즉, 상기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덮개커버(30)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틈새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실내에서 본체프레임(10)으로 유출입하는 공기의 양 또는 유출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and out of the main body frame 10 from inside the room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frame 10 and the cover 30 by adjusting the clearance interval.

상기 덮개커버(30)는 줄 또는 바(bar)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본체프레임(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줄 또는 바를 당기거나 풀어 상기 본체프레임(10)과 덮개커버(30) 사이의 틈새 간격을 조절 및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미도시)이 본체프레임(10)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덮개커버(30)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부를 완전히 차폐하여 프레임덮개(19)의 실내 흡기구(12) 및 실내 배출구(13)가 폐쇄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lid cover 30 may be vertically mov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10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string or a bar and may be pulled or loosened so that the main frame 10 and the lid cover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and controll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main body frame 10 and the main body frame 10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frame 10, The indoor intake port 12 and the indoor exhaust port 13 of the frame cover 19 may be closed.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Examples should be understood.

10 : 본체프레임 11 : 실외 흡기구
12 : 실내 흡기구 13 : 실내 배출구
14 : 실외 배출구 15 : 흡입구
16 : 송풍기 17 : 지지구
18 : 필터삽입구 19 : 프레임덮개
20 : 전열 교환부 25 : 필터
26 : 필터케이스 27 : 필터체결브라켓
30 : 덮개커버 50 : 격벽
51 : 통기공 55 : 제1 댐퍼
56 : 제2 댐퍼 60 : 루버
10: main body frame 11: outdoor air intake port
12: indoor intake port 13: indoor outlet
14: Outside outlet 15: Inlet
16: blower 17:
18: Filter insertion port 19: Frame cover
20: total heat exchange part 25: filter
26: Filter case 27: Filter fastening bracket
30: cover cover 50: partition wall
51: vent hole 55: first damper
56: second damper 60: louver

Claims (6)

실외 흡기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실내 흡기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전열 교환부(20)에서 열교환한 후에 상기 실외 공기는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상기 실내 공기는 실외 배출구(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 흡기구(11)와 실외 배출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전열 교환부(20)와, 실외 흡기구(1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상기 전열 교환부(20)를 지나지 않고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우회 덕트(40)와, 상기 실외 흡기구(11)와 상기 전열 교환부(20)의 제1면(21) 사이에서 통기공(51)을 갖는 격벽(50) 및 회전에 의해 상기 통기공(51)을 개방 또는 폐쇄하여 실외 흡기구(1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전열 교환부(20) 또는 우회 덕트(40)로 유도하는 제1 댐퍼(55)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프레임(10); 및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부를 폐쇄하고, 상기 실내 흡기구(12) 및 실내 배출구(13)가 형성되는 프레임덮개(19);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10) 내부에는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역유입되는 공기가 수용되고, 일측에 연결되는 송풍기(16)의 작동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공기가 실내 배출구(13)를 통해 본체프레임(10) 외부로 배출되는 소정 공간의 수용부(A)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덮개(19)에는 상기 실외 배출구(14)와 전열 교환부(20) 제4면(24) 사이에 소정 면적으로 개구되어 제2 댐퍼(56)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흡입구(15)가 더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흡입구(15)와 실내 흡기구(12)를 통해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실내 흡기구(12)를 통해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공기가 본체프레임(10)으로 빠르게 유입되고, 상기 흡입구(15)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가 전열교환기(20) 및 우회 덕트(40)를 거치지 않고 실외 배출구(14)를 통해 본체프레임(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air intake port 11 is heat-exchanged with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door intake port 12 in the total heat-exchanging section 20, and then the out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indoor discharge port 13, Wherein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utdoor outlet (14)
Wherein the outdoor air inlet port 11 and the outdoor air outlet port 14 are formed and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and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outdoor air inlet port 11 are connected to the indoor air outlet 13 (50) having a vent hole (51) between the outdoor air inlet (11) and the first surface (21) of the total heat exchange part (20) A first damper 55 for guiding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outdoor air intake port 11 to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or the bypass duct 40 by opening or closing the air vent 51 by rotation (10); And
And a frame lid (19) for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10) and forming the indoor air intake port (12) and the indoor air discharge port (13)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frame 10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13 is received in the main body frame 10 and the air contained in the indoor air outlet 13 of the main body frame 10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frame cover 19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15 which is open at a predetermined area between the outdoor outlet 14 and the fourth surface 24 of the total heat-exchanging portion 20 and is opened or closed by the second damper 56 So that the room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frame 10 through the inlet 15 and the room air inlet 12 to thereby reduce the amount of room air flowing into the main frame 10 through the room air inlet 12 A larger amount of air is rapidly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frame 10 so that the room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15 passes through the outdoor outlet 14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otal enthalpy heat exchanger 20 and the bypass duct 40, (10).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5)는,
상기 통기공(51)이 제1 댐퍼(55)에 의해 개방되어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전열 교환부(20)를 통과할 때에는 제2 댐퍼(56)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통기공(51)이 제1 댐퍼(55)에 의해 폐쇄될 때에는 제2 댐퍼(56)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ort (15)
The air vent 51 is opened by the first damper 55 and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frame 10 is closed by the second damper 56 when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And is opened by the second damper (56) when the vent hole (51) is closed by the first damper (5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고, 상기 틈새를 통해 본체프레임(10) 외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프레임(10) 내부로 유입되거나 본체프레임(10) 내부의 공기가 본체프레임(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덮개커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body frame 10 to allow air to move between the main frame 10 and the main body frame 10, And a lid cover (30) for allowing air in the main body frame (10) to flow into the main body frame (10) or to allow air in the main body frame (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ame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0) 내부에서 실내 배출구(13)와 전열 교환부(20)의 제3면(23) 사이에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송풍기(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ir blower (16) for forcibly discharging air is provided between the indoor discharge port (13) and the third surface (23) of the total heat exchange portion (20) in the main body frame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55429A 2017-11-21 2017-11-21 Heat recovery ventilator KR101884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29A KR101884398B1 (en) 2017-11-21 2017-11-21 Heat recovery venti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29A KR101884398B1 (en) 2017-11-21 2017-11-21 Heat recovery venti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398B1 true KR101884398B1 (en) 2018-08-30

Family

ID=6345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429A KR101884398B1 (en) 2017-11-21 2017-11-21 Heat recovery venti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39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346B1 (en) * 2018-12-03 2019-12-04 주식회사 티아이씨 Air conditioning system in building room
KR102209816B1 (en) * 2020-07-13 2021-01-29 은성화학(주)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that can easily change the suction and discharge direc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air
KR102447466B1 (en) 2021-11-29 2022-09-23 최락주 Cover of Heat recovery ventila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781A (en) * 2001-11-15 2003-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Ventilator
KR100690987B1 (en) 2005-11-03 2007-03-09 임형선 Air cleaning system using ventilation unit
KR20090019050A (en) * 2007-08-20 2009-02-25 고모텍주식회사 Ventilation unit for ceiling type
KR101514998B1 (en) * 2014-07-28 2015-05-20 (주)진성이알브이 Air Heat Exchanger
KR20150108046A (en) * 2014-03-04 2015-09-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Bypass Duct
KR101606922B1 (en) * 2014-10-21 2016-03-29 은성화학(주) a Heat exchanger ventilator of bypass-type with pre-hea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781A (en) * 2001-11-15 2003-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Ventilator
KR100690987B1 (en) 2005-11-03 2007-03-09 임형선 Air cleaning system using ventilation unit
KR20090019050A (en) * 2007-08-20 2009-02-25 고모텍주식회사 Ventilation unit for ceiling type
KR20150108046A (en) * 2014-03-04 2015-09-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Bypass Duct
KR101514998B1 (en) * 2014-07-28 2015-05-20 (주)진성이알브이 Air Heat Exchanger
KR101606922B1 (en) * 2014-10-21 2016-03-29 은성화학(주) a Heat exchanger ventilator of bypass-type with pre-hea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346B1 (en) * 2018-12-03 2019-12-04 주식회사 티아이씨 Air conditioning system in building room
KR102209816B1 (en) * 2020-07-13 2021-01-29 은성화학(주)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that can easily change the suction and discharge direc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air
KR102447466B1 (en) 2021-11-29 2022-09-23 최락주 Cover of Heat recovery venti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972B1 (en) Window mounted Smart Clean Ventilation purifier
EP1795691B1 (en) Window having a ventilation equipment
KR100617085B1 (en) Thin-type ventilating device
KR101941574B1 (en) A heat recovery ventilator for preventing condensation
KR101884398B1 (en) Heat recovery ventilator
KR102052348B1 (en) Vantilation
KR20080015230A (en) No fan - double window system with melting blind
KR20070095575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dapted in window
KR102115696B1 (en) Wast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KR101895355B1 (en) A ventilator for waste heat recovery
KR101851677B1 (en) A heat recovery ventilator for preventing condensation
KR102202404B1 (en) Ventilation
KR101851676B1 (en) A ventilator for waste heat recovery
KR20060098281A (en) Ventilation system
KR102235582B1 (en) Ventilation
KR100543596B1 (en) Support structure of filter assembly for ventilation system
KR20050055316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dapted in window
KR20090006362A (en) Ventilator
KR20060121053A (en) Method for instituting energy recovery ventilation
KR100604476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dapted in window
KR100548927B1 (en) A inspection door mounting structure of ventilation system
KR102524280B1 (en) Household Ventilation System with Condensation Prevention and Odor Removal Function
CN111237922B (en) External window type indoor fresh air purifier
KR200422771Y1 (en) Ventilation system using a non-power damper unit
KR101155480B1 (en) Air conditioner and Discharge direc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