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467B1 - pneumatic pulsatile VAD for preventing backflow - Google Patents

pneumatic pulsatile VAD for preventing backf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467B1
KR101882467B1 KR1020170030124A KR20170030124A KR101882467B1 KR 101882467 B1 KR101882467 B1 KR 101882467B1 KR 1020170030124 A KR1020170030124 A KR 1020170030124A KR 20170030124 A KR20170030124 A KR 20170030124A KR 101882467 B1 KR101882467 B1 KR 101882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lood
blood bag
assist device
ventricular as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기무
김유석
최성욱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0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4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4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22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 A61M60/126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 A61M60/148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via, into, inside, in line, branching on, or around a blood vessel in line with a blood vessel using resection or like techniques, e.g. permanent endovascular heart assist devices
    • A61M1/122
    • A61M1/1005
    • A61M1/106
    • A61M1/107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10Location thereof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body
    • A61M60/122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 A61M60/165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in, on, or around the heart
    • A61M60/17Implantable pumps or pumping devices, i.e. the blood being pumped inside the patient's body implantable in, on, or around the heart inside a ventricle, e.g. intraventricular ballo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40Details relating to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60/00Blood pumps; Devices for mechanical circulatory actuation; Balloon pumps for circulatory assistance
    • A61M60/50Details relating to control
    • A61M60/508Electronic control means, e.g. for feedback regulation
    • A61M60/562Electronic control means, e.g. for feedback regulation for making blood flow pulsatile in blood pumps that do not intrinsically create pulsatile flow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an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The pneumatic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an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comprises: a blood bag formed into a hollow shaft between the ventricles and the aorta and formed to temporarily store blood supplied from the ventricles; a first valve which is formed on one side in the blood bag, is formed to allow blood entering from the ventricles to flow only towards the blood bag, and is empty; a second valve which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blood bag, is formed to allow blood stored in the blood bag to flow only towards the aorta, and is empty; a housing which is formed into a hollow shaft to accommodate the blood bag, and decompresses and pressurizes the interior to contract and relax the blood bag; and a connection tu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od bag to connect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Description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pneumatic pulsatile VAD for preventing backflow}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pulsatile VAD for preventing backflow,

본 발명은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실보조장치에서 혈액을 공급할 때 밸브 주위에서 혈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혈액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for preventing blood clotting around a valve when blood is supplied from a ventricular assist device, To a pneumatic beating ventricular assist device.

일반적으로 심실보조장치(Ventricular Assit Device; VAD)는 종래의 통상적인 심부전 치료 약물이나 개심술로써 치료할 수 없는 심부전환자에서 심실의 기능을 기계적으로 도와주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ventricular assist devices (VADs) are devices that mechanically assist ventricular function in heart failure patients who can not be treated with conventional conventional heart failure medications or open heart surgery.

또한 심실보조장치는 이식되는 부위에 따라 이식형(implantable type) 심실보조장치와 체외형(extracoporeal type) 심실보조장치로 구분되며, 보조하는 심장 부위에 따라 좌심실보조장치(LVAD)와 우심실보조장치(RVAD), 양심실보조장치(BiVAD)로 구분된다. In addition, the ventricular assist device is divided into implantable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and extracoporeal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depending on the area to be implanted. Depending on the supporting heart part, th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 and the right ventricular assist device RVAD), and biopsy assist device (BiVAD).

주로 좌심실 보조장치가 많이 쓰이고 있으며 다른 분류 방법으로 동력원을 공급하는 방식의 차이에 따라 공기압력식(pneumatic type)과 전기식(electric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Most of th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s are mainly used and can be classified into pneumatic type and electric typ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supplying the power source by different classification method.

전기식타입은 전기유압식과 전기기계식으로 세분되며 구동방식에 따라 혈액을 박출할 때 박동(맥동)성의 존재여부에 따라 박동형(pulsatile type)과 비박동형(nonpulsatil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Electric type is subdivided into electrohydraulic type and electromechanical type and can be classified into pulsatile type and nonpulsatile type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pulsation when blood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driving type.

현재 여러 가지 형태의 심실보조장치 중에서 로터리 혈액펌프나 임펠러를 이용한 축류혈액펌프(Axial blood pump)를 이용한 것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나 이러한 펌프는 혈액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부품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여 혈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Currently, many types of ventricular assist devices using an axial blood pump using a rotary blood pump or an impeller have been developed. However, such a pump has a problem in that blood contacts the surface of a component made of a metal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ccur.

또한 펌프가 고장 등을 이유로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혈액이 통과할 수 없어 교체를 하지 않는다면 심실보조장치로서 기능할 수가 없고, 비교적 고가로서 환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f the pump does not operate due to a failure,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lood can not pass through and can not function as a ventricular assist device unless it is replac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066569호는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혈액이 제1 방향으로는 유동할 수 있되,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역류는 방지하는 폴리머 밸브로서, 혈액이 통과하는 양단으로 개방된 중공을 가지고, 양측으로 한 쌍의 절개면이 형성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및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 절개면 상에 씌워지는 막 형상의 한 쌍의 리플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 쌍의 리플렛은 연결부에 의해 단부에서 연결되며, 리플렛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리플렛은 혈액이 제1 방향으로 유동할 때 구멍이 개방되도록 서로 떨어지는 개방 위치와, 혈액이 제2 방향으로 유동하려 할 때 구멍이 폐쇄되도록 구멍 부근에서 서로 밀착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66569 for solving these problems relates to a polymer valve and a pacemaker-type catheter-assisted ventricular assist device using the same, wherein blood can flow in a first direction, A polymer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in a second direction comprising: a support having a pair of support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so as to have a hollow opening at both ends through which blood passes and a pair of cut- A pair of leaflets made of a member and a polymer material and covering the respective cut surfaces, the pair of leaflets being connected at their ends by a connecting portion, the leaflets being formed with holes, An open position where the holes are opened to each other so that when the blood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And is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vicinity of the ho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혈액이 내부로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밸브 주위에서 발생한 혈전들로 인하여 혈액이 응고되고, 밸브 사이에 혈전이 생성됨으로써 밸브가 닫히지 못하여 지속적인 역류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혈액공급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blood is solidified due to blood clots generated around the valve when the blood is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inside, and blood clots are generated between the valves, so that the valve is not closed and continuous backflow occurs, .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06656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6656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배출된 혈액에 역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heartbeat-assisted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an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capable of preventing backflow from occurring in blood discharged when blood is supplied or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혈액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혈액의 유동에 의해 혈액이 정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혈전생성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heartbeat-assisted ventricular assist device in which blood flow is prevented from being stagnated when blood is supplied or discharged, thereby preventing blood clot 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혈액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밸브 주위의 난류 발생을 감소시키고 중심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층류 발생을 유도하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improved in the reflux prevention function which induces the generation of laminar flow 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around the valve when the blood is supplied or discharged and generating a central f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는 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중공축으로 형성되며 심실에서 공급되는 혈액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혈액주머니와, 상기 혈액주머니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심실에서 유입되는 혈액이 상기 혈액주머니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제1밸브와, 상기 혈액주머니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혈액주머니에 저장된 혈액을 상기 대동맥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제2밸브와, 상기 혈액주머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축으로 형성되며 내부를 감압 및 가압시켜 상기 혈액주머니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혈액주머니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an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comprising: a blood bag formed as a hollow shaft between a ventricle and aorta and configured to temporarily store blood supplied from a ventricle; A first valve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blood bag and formed so that blood flowing in the blood chamber flows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blood bag and is hollow inside; A housing which is formed in a hollow shaft so as to accommodate the blood bag and which reduces and 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blood bag so as to shrink and relax the blood bag; And a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to each other And that is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상기 혈액주머니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이완되면 상기 제2밸브는 닫히고 상기 제1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심실로부터 혈액이 상기 혈액주머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when the blood bag of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xed by the housing, the second valve is closed and the first valve is opened so that blood flows into the blood bag from the ventricle .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상기 혈액주머니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수축되면 상기 제1밸브는 닫히고 상기 제2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혈액주머니에 저장된 혈액이 상기 대동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blood bag of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tracted by the housing, the first valve is closed, the second valve is opened, and the blood stored in the blood bag is discharged to the aorta .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의 내부에는 비압축성유체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체적이 감소되어 내부에 수용된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을 통해 개방되지 않은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 내부로 유입되면서 압력 및 체적증가를 통해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incompressible flui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of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nd when the first valve or the second valve is opened, And the incompressible fluid accommodated therein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valve or the second valve that is not opened through the coupling pipe connecting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to each other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by increasing the pressure and the volume .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비압축성유체에 의해 체적이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of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the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tructed of elastic materials so that the volume can be reduced or increased by the incompressible fluid contained therein .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는 상기 혈액주머니에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혈액을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시킬 수 있도록 중심이 상부 방면으로 돌출된 후 절개면 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혈액이 유동하면 압력에 의해 절개면 또는 홀이 밀착되어 혈액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of the pneumatic pacemaker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the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is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so as to allow the blood to flow in or out by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in the blood bag A cut surface or a hole is formed after protruding, and when the blood flows, a cut surface or a hole is closely attached by pressure to block or supply blood.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혈액의 유동이 발생되어 닫힐 때 혈액이 아치형상을 따라 와류를 발생시켜 정체되어 있는 혈액을 순환시킴으로써 혈전생성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of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n arch shape, so that when the blood flows, the blood forms a vortex along the arch shape and is stagnated And blood circulation is carried out to prevent thrombus 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 의하면 혈액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배출된 혈액에 역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the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ackflow is not generated in the discharged blood when the blood is supplied or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 의하면 혈액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혈액의 유동에 의해 혈액이 정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혈전생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neumatic-type heart-shaped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the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lood is prevented from being stagnated by the flow of blood when the blood is supplied or discharged, thereby preventing thrombos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 의하면 혈액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밸브 주위의 난류 발생을 감소시키고 중심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층류 발생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the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ood is supplied or discharged, turbulence generation around the valve is reduced and center flow is generated, thereby inducing generation of laminar flow.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리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박동형 도관형 심실보조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혈액주머니 내부로 혈액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혈액주머니로부터 혈액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polymer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beating type catheter-based ventricular assist device us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type hear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blood supply to the inside of a blood bag of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lood is discharged from a blood bag of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본 발명은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실보조장치에서 혈액을 공급할 때 밸브 주위에서 혈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혈액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for preventing blood clotting around a valve when blood is supplied from a ventricular assist device, To a pneumatic beating ventricular assist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는 혈액주머니(200)(도3 참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축으로 형성되며 내부를 감압 및 가압시켜 혈액주머니(200)(도3 참조)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the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hollow shaft to accommodate the blood bag 200 (see FIG. 3), and depressurizes and pressurizes the blood bag 200 And a housing 100 for contracting and relaxing the pouch 200 (see Fig. 3).

하우징(100)의 일단은 심실과 연결되어 있어 심실로부터 혈액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심실로부터 유입된 혈액을 대동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One end of the housing 100 is connected to the ventricle so that an inlet 110 formed to allow blood to flow into the ventricle is formed and at the other end an outlet 120 Is formed.

하우징(100)의 중단에는 도 3의 혈액주머니(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으며 혈액주머니(200)를 수축하거나 이완시키기 위해 하우징(100)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구(130)가 구비되어 있다.The housing 100 is internally hollow to accommodate the blood bag 200 of FIG. 3 and includes a pressure regulator 130 for regula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ousing 100 to contract or relax the blood bag 200 .

압력조절구(130)는 임펠러나 펌프로 형성된 가압장치(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도 3의 혈액주머니(200)가 이완되도록 하여 혈액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하우징(10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도 3의 혈액주머니(200)가 공기에 의해 수축되어 혈액을 대동맥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게 된다.The pressure regulator 130 is connected to a pressurizing device (not shown) formed by an impeller or a pump to suck the air inside the housing 100 to relax the blood bag 200 of FIG. Or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o constrict the blood bag 200 of FIG. 3 by air to discharge the blood into the aorta.

즉, 압력조절구(13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급함으로써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한 도 3의 혈액주머니(200)를 이완 및 수축시켜 혈액이 공급되거나 배출되게 한다.That is, by sucking or supplying the air inside the housing 100 through the pressure regulator 130, the blood bag 200 of FIG. 3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is relaxed and contracted to supply or discharge the blood.

이때 도 3의 혈액주머니(200)가 이완 및 수축되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중단의 공기만 배출되거나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air of the interruption of the housing 100 is discharged or supplied so that the blood bag 200 of FIG. 3 relaxes and contracts.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는 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중공축으로 형성되며 심실에서 공급되는 혈액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혈액주머니(200)와, 혈액주머니(2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심실에서 유입되는 혈액이 혈액주머니(200)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제1밸브(300)와, 혈액주머니(200)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혈액주머니(200)에 저장된 혈액을 대동맥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제2밸브(400)와, 혈액주머니(200)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관(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the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od bag 200 formed as a hollow shaft between the ventricle and the aorta and configured to temporarily store blood supplied from the ventricle A first valve 300 form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blood bag 200 and formed so that blood flowing from the vent chamber flows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blood bag 200 and is hollow inside; A second valve 40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lood bag 200 and configured to flow only the blood stored in the blood bag 200 in the direction of the aorta, And a connection pipe (500) connecting the second valves (400) to each other.

혈액주머니(200)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심실로부터 공급되는 혈액이 이동될 수 있도록 유입로(22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혈액을 대동맥으로 보낼 수 있도록 배출로(230)가 마련되어 있다.The blood bag 20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blood bag 200 has an inflow path 220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allow blood to be supplied from the ventricle, and a discharge path 230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blood bag 200, Lt; / RTI >

이때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저장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가 일측과 타측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도 2의 하우징(100) 내부가 감압되거나 가압될 때 압력에 의해 혈액주머니(200)의 저장부(210)가 이완되거나 수축될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storage unit 210 is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thickness of the storage unit 210 is thinn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200, so that whe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of FIG. 2 is depressurized or pressurized, It is desirable that the second body 210 can be relaxed or contracted.

또한 혈액주머니(200)는 도 2의 하우징(100)에 의해 이완되면 제2밸브(400)는 닫히고 제1밸브(300)가 개방되어 심실로부터 혈액이 혈액주머니(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when the second valve 400 is closed and the first valve 300 is opened, the blood is introduced into the blood bag 200 from the ventricle. .

또한 혈액주머니(200)는 도 2의 하우징(100)에 의해 수축되면 제1밸브(300)는 닫히고 제2밸브(400)가 개방되어 혈액주머니(200)에 저장된 혈액이 대동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when the first valve 300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400 is opened, the blood stored in the blood bag 200 is discharged into the aorta .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혈액주머니(200)의 이완과 수축에 의해 반대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혈액주머니(20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만 혈액이 이동될 수 있도록 제1밸브(300)는 혈액주머니(200)의 일측에 위치한 유입로(220)에 형성되고 제2밸브(400)는 혈액주머니(200)의 타측에 위치한 배출로(230)에 형성되게 된다.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ar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reverse by the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the blood bag 200 so that the blood can be moved only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blood bag 200 The first valve 300 is formed in the inflow path 220 located at one side of the blood bag 200 and the second valve 400 is formed at the discharge path 230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blood bag 200.

또한 제1밸브(300)는 유입로(220)와 저장부(210) 사이에 위치하여 혈액주머니(200)의 내측면에서 중심축을 향해 돌출된 후 저장부(210) 방면으로 휘어져 있는 단면을 가지고, 제2밸브(400)는 저장부(210)와 배출로(230) 사이에 위치하여 혈액주머니(200)의 내측면에서 중심축을 향해 돌출된 후 배출로(230) 방면으로 휘어져 있는 단면을 가지게 된다.The first valve 300 is positioned between the inflow channel 220 and the storage unit 210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f the blood bag 200 toward the center axis and has a section bent toward the storage unit 210 The second valve 400 is located between the storage unit 210 and the discharge passage 230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lood bag 200 toward the central axis and has a curved section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230 do.

즉,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혈액주머니(200)의 일측에서 타측방면으로 혈액이 유동할 때만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반대 방향으로 혈액이 유동하는 경우 닫혀 혈액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닫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are configured to be opened only when the blood flows from one side of the blood bag 200 to the other side, and when the blood flows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will be closed.

또한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혈액주머니(200)의 이완과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혈액의 유동을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되며,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서로 반대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low of blood generated by the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the blood bag 200 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can be opened and closed as opposed to each oth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혈액주머니(200) 내부로 혈액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blood supply to the inside of the blood bag 200 of the pneumatic-type heart-shaped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의 내부에는 비압축성유체가 수용되어 있으며, 제1밸브(300) 또는 제2밸브(400)가 개방되는 경우 체적이 감소되어 내부에 수용된 비압축성 유체는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500)을 통해 개방되지 않은 제1밸브(300) 또는 제2밸브(400) 내부로 유입되면서 압력 및 체적증가를 통해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4, incompressible fluids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of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nd the first valve 300 or the second valve 400 The volume is reduced when the two valve 400 is opened so that the incompressible fluid contained therein is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500 connecting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to the first valve 300 or the second valve 400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by increasing the pressure and the volume.

또한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비압축성유체에 의해 체적이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are formed of elastic materials so that the volume can be reduced or increased by the incompressible fluid accommodated in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내부에 수용된 비압축성유체의 양에 따라 체적이 변화할 수 있게 되고,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연결관(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are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so that the volume of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incompressible fluid accommodated therei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pipe 500.

이때 연결관(500)을 통해 비압축성유체는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밸브(300)가 열리는 경우 제2밸브(400)에 비압축성유체가 몰리면서 체적이 증가하면서 맞물려 닫히게 되고, 제2밸브(400)가 열리게 되면 제1밸브(300)로 비압축성유체가 몰리면서 체적이 증가해 닫히게 된다.The incompressible fluid can be moved to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via the connection pipe 500. Accordingly, when the first valve 300 is opened, incompressible fluid is supplied to the second valve 400 When the second valve 400 is opened, the volume of the incompressible fluid is increased by the first valve 300, and the volume is increased.

도 4-A처럼 혈액주머니(200)는 도 2의 하우징(100)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도 2의 하우징(100) 내부 압력이 감소되는 경우 혈액주머니(200)의 저장부(210)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혈액주머니(200)가 이완되게 된다.2,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100 of FIG. 2 is reduc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torage unit 210 of the blood bag 200 is lowered The blood bag 200 becomes relatively large and the blood bag 200 is relaxed.

혈액주머니(200)가 이완되면서 저장부(210) 내의 압력이 점차 감소되게 되고 유입로(220)와 배출로(230)에 존재하는 혈액의 압력이 저장부(210) 내의 압력보다 커져 압력차에 의해 저장부(210) 방면으로 유동되게 된다.The pressure in the storage part 210 gradually decreases as the blood bag 200 is loosened and the pressure of the blood present in the inflow path 220 and the discharge path 230 becomes larger than the pressure in the storage part 210, And flows toward the storage portion 210 side.

즉, 혈액은 배출로(230)와 유입로(220)에서 저장부(210)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때 압력차와 혈액의 유동에 의해 제1밸브(300)는 저장부(210) 방면으로 가압되면서 체적이 감소하게 되고 내부에 수용된 비압축성유체가 연결관(500)을 통해 제2밸브(400)로 유입되게 된다.That is, the blood moves from the discharge path 230 and the inflow path 220 toward the storage part 210. At this time, the first valve 300 is press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and the blood flow toward the storage part 210, And the incompressible fluid contained therein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valve 40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500.

또한 제2밸브(400)는 배출로(230)에서 저장부(210) 방향으로 이동되는 혈액의 유동과 압력차에 의해 저장부(210) 방면으로 이동되면서 닫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제2밸브(400)로 유입되는 비압축성유체의 양이 증가되면서 제2밸브(400)의 체적이 커져 혈액이 배출로(230)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The second valve 400 is moved toward the storage part 210 by the flow of the blood and the pressure differenc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part 210 from the discharge path 230 and is closed while the second valve 400 The volume of the second valve 400 is increased and the blood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230. In this case,

도 4-B처럼 혈액주머니(200)가 도 2의 하우징(100)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어 도 2의 하우징(100)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 혈액주머니(200)의 저장부(210)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작아져 혈액주머니(200)가 수축되게 된다.When the blood bag 200 is supplied with air into the housing 100 of FIG. 2 and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100 of FIG. 2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4-B, the storage portion 210 of the blood bag 200 The pressure is relatively reduced and the blood bag 200 is contracted.

혈액주머니(200)가 수축되면서 저장부(210) 내의 압력은 점차 증가되게 되고 유입로(220)와 배출로(230)에 존재하는 혈액의 압력보다 저장부(210) 내의 압력이 더 커지게 되므로 압력차에 의해 저장부(210)에 저장된 혈액은 유입로(220)와 배출로(230)를 향해 유동되게 된다.As the blood bag 200 contracts, the pressure in the storage part 210 gradually increases and the pressure in the storage part 210 becomes larger than the pressure of the blood in the inflow path 220 and the discharge path 230 The bl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is caused to flow toward the inflow path 220 and the discharge path 230 by the pressure difference.

즉, 혈액은 저장부(210)에서 배출로(230)와 유입로(220)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때 압력차와 혈액의 유동에 의해 제2밸브(400)는 배출로(230) 방면으로 가압되면서 체적이 감소되고 내부에 수용된 비압축성유체가 연결관(500)을 통해 제1밸브(300)로 유입되게 된다.That is, the blood moves from the storage part 210 toward the discharge path 230 and the inflow path 220. At this tim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and the flow of the blood, the second valve 400 is pressed toward the discharge path 230 And the incompressible fluid contained therein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valve 30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500. [

또한 제1밸브(300)는 저장부(210)에서 유입로(220) 방향으로 이동되는 혈액의 유동과 압력차에 의해 유입로(220) 방면으로 이동되면서 닫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제1밸브(300)로 유입되는 비압축성유체의 양이 증가되면서 제1밸브(300)의 체적이 커져 혈액이 유입로(220)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The first valve 300 is closed while being moved toward the inflow path 220 by the flow of the blood and the pressure difference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inflow path 220 from the storage part 210.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first valve 300 is increased and the blood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inflow path 220.

또한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혈액의 유동이 발생되어 닫힐 때 혈액이 아치형상을 따라 와류를 발생시켜 정체되어 있는 혈액을 순환시킴으로써 혈전생성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are formed in an arcuate shape, so that when the blood flows, the blood generates a vortex along the arch shape when the blood is closed, thereby circulating the stagnant blood, .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혈액의 유동방향을 따라 혈액이 유입되는 면은 중심축이 내측면을 향해 파여진 형상을 가지고 배출되는 면은 중심축이 외축면을 향해 돌출되는 아치형 형상을 가지게 된다.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may have the same shape,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blood flows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blood has a wedge shape with the central axis oriented toward the inner side, And the central axis has an arcuate shape protruding toward the outer surface.

즉, 상부 중심이 돌출되어 있으며 양측은 내측면을 향해 파여진 아치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혈액이 유동할 때 아치형상을 따라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혈액이 잔류하지 않고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혈전 생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upper center is protruded, and the both sides are formed as an arch shape which is squeezed toward the inner side, so that the blood can circulate along the arch shape when flowing, so that the blood can be circulated without remaining, Can be preven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혈액주머니(200)로부터 혈액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lood is discharged from a blood bag 200 of a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의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혈액주머니(200)에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혈액을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시킬 수 있도록 중심이 상부 방면으로 돌출된 후 절개면 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혈액이 유동하면 압력에 의해 절개면 또는 홀이 밀착되어 혈액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of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improved blood 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ut surface or a hole is formed after the center protrudes to the upper surface so as to allow the blood to flow or block the blood, and when the blood flows, the cut surface or the hole is closely contacted by pressure to block or supply blood .

혈액이 중심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도 5-A와 같이 중심이 상부면으로 돌출되고 양측면은 돌출된 중심을 향해 곡면으로 형성된 이엽판(bi-leaflet type)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are arranged in a curved shape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nd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bi-leaflet type).

또한 돌출된 중심은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절개면이 형성되어 있어 혈액이 공급되면 절개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otruded center is formed with a cut surface in the front to back direction,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cut surface when blood is supplied.

이때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의 하부면에는 상부면에 형성된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하부면에 유입된 혈액이 곡면을 따라 중심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혈액이 이동되는 경우 혈액이 곡면을 가압하면서 절개면이 닫혀 혈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valve 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lve 400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blood introduced into the lower surface is moved along the curved surface in the center direction and discharged When the blood is mov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 blood is pressed on the curved surface, and the incision surface is closed to prevent the blood from flowing.

또한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 내부는 비압축성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비압축성유체의 양에 따라 체적이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절개면이 밀착되는 면이 넓어져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is hollow to accommodate the incompressible fluid, and the volume of the incompressible fluid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compressible fluid, The sealing force can be improved.

도 5-B와 같이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는 링 또는 도넛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후 양측면에서 돌출된 중심을 향해 연결된 곡면이 형성되게 된다.As shown in FIG. 5-B,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are formed in a ring or donut structure, and a curved surface connected to a center protruding from both sides after the center is protruded upward is formed.

제1밸브(300)와 제2밸브(400)의 중심에는 혈액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상부면에 형성된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하부면에 유입된 혈액이 곡면을 따라 중심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les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valve 300 and the second valve 400 so as to allow blood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lve 4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od introduced into the lower surface is moved in the center direction along the curved surface to be discharged.

또한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혈액이 이동되는 경우 혈액이 곡면을 가압하면서 홀이 닫혀 혈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lso, when the blood is mov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 blood may pressurize the curved surface while the hole is closed to prevent blood from entering.

이때 혈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홀과 양측면으로 연결된 곡면은 비틀어진 상태의 주름관을 가지고 있어 비압축성유체가 증가되면 주름관이 팽창되면서 비틀어져 홀을 막을 수 있게 되며, 비압축성유체가 감소되면 주름관이 수축되면서 홀이 개방되어 혈액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incompressible fluid is increased, the corrugated tube is inflated and twisted to be able to close the hole. When the incompressible fluid is reduced, the corrugated tube contracts and the hole So that the blood can be discharg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 의하면 혈액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배출된 혈액에 역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으며, 혈액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혈액의 유동에 의해 혈액이 정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혈전생성을 방지하고, 혈액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때 밸브 주위의 난류 발생을 감소시키고 중심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층류 발생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neumatic beating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the improve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ood is supplied or discharged, the discharged blood can be sealed to prevent backflow, The blood is prevented from being stagnated by the flow of the blood, and when the blood is supplied or discharged,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around the valve is reduced, and a central flow is generated, thereby inducing generation of laminar flow.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as a limitati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odify 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therefore,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claims set forth to cover many of such variations.

100 : 하우징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압력조절구
200 : 혈액주머니
210 : 저장부
220 : 유입로
230 : 배출로
300 : 제1밸브
400 : 제2밸브
500 : 연결관
100: Housing
110: inlet
120: Outlet
130: Pressure regulator
200: Blood bag
210:
220: Inflow path
230: exhaust passage
300: first valve
400: second valve
500: Connector

Claims (7)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에 있어서,
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중공축으로 형성되며 심실에서 공급되는 혈액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혈액주머니와;
상기 혈액주머니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심실에서 유입되는 혈액이 상기 혈액주머니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제1밸브와;
상기 혈액주머니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혈액주머니에 저장된 혈액을 상기 대동맥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제2밸브와;
상기 혈액주머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축으로 형성되며 내부를 감압 및 가압시켜 상기 혈액주머니를 수축 및 이완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혈액주머니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비압축성유체에 의해 체적이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
A pneumatic padded ventricular assist device having improved backflow protection,
A blood bag formed as a hollow shaft between the ventricle and the aorta and formed so as to temporarily store blood supplied from the ventricle;
A first valve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blood bag and formed so that blood flowing in the ventricle flows only in a direction of the blood bag and is hollow inside;
A second val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lood bag and configured to flow blood stored in the blood bag only in a direction of the aorta;
A housing formed as a hollow shaft to accommodate the blood bag and configured to reduce and pressurize the blood bag to shrink and relax the blood bag;
And a connection pip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lood bag for connecting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are constructed of elastic materials so that the volume can be reduced or increased by the incompressible fluid contained in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A pneumatic,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improved anti-reflux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주머니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이완되면 상기 제2밸브는 닫히고 상기 제1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심실로부터 혈액이 상기 혈액주머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blood bag is relaxed by the housing, the second valve is closed and the first valve is opened so that blood flows into the blood bag from the ventricle.
A pneumatic,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improved anti-reflux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주머니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수축되면 상기 제1밸브는 닫히고 상기 제2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혈액주머니에 저장된 혈액이 상기 대동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blood bag is retracted by the housing, the first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is opened so that blood stored in the blood bag is discharged into the aorta.
A pneumatic,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improved anti-reflux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의 내부에는 비압축성유체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체적이 감소되어 내부에 수용된 비압축성 유체는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을 통해 개방되지 않은 상기 제1밸브 또는 상기 제2밸브 내부로 유입되면서 압력 및 체적증가를 통해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compressible fluid is received within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and the volume is reduced when the first valve or the second valve is opened so that the incompressible fluid received therein is delivered to the first and second valves, Wherein the first valve or the second valve, which is not opened through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valves to each othe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valve or the second valve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through pressure and volume increase.
A pneumatic,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improved anti-reflux func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는 상기 혈액주머니에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혈액을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시킬 수 있도록 중심이 상부 방면으로 돌출된 후 절개면 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혈액이 유동하면 압력에 의해 절개면 또는 홀이 밀착되어 혈액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are formed with a cut surface or a hole after the center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so as to allow the blood to flow in or out by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in the blood bag, And the incision surface or the hol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by the pressure, thereby blocking or supplying the blood.
A pneumatic,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improved anti-reflux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혈액의 유동이 발생되어 닫힐 때 혈액이 아치형상을 따라 와류를 발생시켜 정체되어 있는 혈액을 순환시킴으로써 혈전생성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이 향상된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are formed in an arcuate shape so that when blood is flowed and closed, the blood generates a vortex along the arch shape to circulate the stagnant blood to prevent blood clot formation
A pneumatic, pulsatile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improved anti-reflux function.
KR1020170030124A 2017-03-09 2017-03-09 pneumatic pulsatile VAD for preventing backflow KR1018824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24A KR101882467B1 (en) 2017-03-09 2017-03-09 pneumatic pulsatile VAD for preventing backf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24A KR101882467B1 (en) 2017-03-09 2017-03-09 pneumatic pulsatile VAD for preventing backf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467B1 true KR101882467B1 (en) 2018-07-27

Family

ID=6307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124A KR101882467B1 (en) 2017-03-09 2017-03-09 pneumatic pulsatile VAD for preventing backf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46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5198B1 (en) * 1994-02-07 2003-07-16 Baxter International Inc.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valved blood conduit
KR20090095975A (en) * 2008-03-07 2009-09-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 pulsatile cardiopulmonary auxiliary device
KR101066569B1 (en) 2010-04-06 2011-09-21 주식회사 리브라하트 Polymer valve and pulsatile conduit-type vad using the same
US20150088251A1 (en) * 2013-09-26 2015-03-26 San Dieg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Cardiac valve prosthesi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5198B1 (en) * 1994-02-07 2003-07-16 Baxter International Inc.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valved blood conduit
KR20090095975A (en) * 2008-03-07 2009-09-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 pulsatile cardiopulmonary auxiliary device
KR101066569B1 (en) 2010-04-06 2011-09-21 주식회사 리브라하트 Polymer valve and pulsatile conduit-type vad using the same
US20150088251A1 (en) * 2013-09-26 2015-03-26 San Dieg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Cardiac valve prosthe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8124B2 (en) Catheter device
US7217236B2 (en) Universal pneumatic ventricular assist device
US5928132A (en) Closed chest intra-aortic balloon based ventricular assist device
CN107771089B (en) Blood pump
CA3020247C (en) Catheter device
US9333284B2 (en) Heart assist device
US20130317604A1 (en) Polymer valve and pulsatile catheter-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using same
US20090259089A1 (en) Expandable catheter for delivery of fluids
US8869395B2 (en) Fluid pumping device and components with static seal
CA3045168A1 (en) Catheter device
JP2008248884A (en) Device for axially conveying body fluids
WO1998028034A1 (en) Valve for a heart assist device
KR101882467B1 (en) pneumatic pulsatile VAD for preventing backflow
AU2004286722A1 (en) Actuator for a heart assist device
KR101882479B1 (en) pneumatic pulsatile VAD for preventing thrombosis and backflow
EP2617443B1 (en) Pressure actuated single-lumen blood pumping device
KR20170134042A (en) Blood Pump Catheter
KR102525303B1 (en) A blood pump and an oxidation system having the same that flows blood in one direction
KR20170134040A (en) Blood Pump Catheter
AU2011204807A1 (en) Artificial heart
CN117083102A (en) Blood pump device with leak-free aortic adapter assembly and device implantation method
KR20170134041A (en) Blood Pump Catheter
AU2011202650B2 (en) Actuator for a heart assist device
CN113164736A (en) Thrombectomy manifold for ventricular assi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