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253B1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253B1
KR101882253B1 KR1020120004358A KR20120004358A KR101882253B1 KR 101882253 B1 KR101882253 B1 KR 101882253B1 KR 1020120004358 A KR1020120004358 A KR 1020120004358A KR 20120004358 A KR20120004358 A KR 20120004358A KR 101882253 B1 KR101882253 B1 KR 101882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frame
terminal
transmitt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2838A (en
Inventor
유희정
이일구
강헌식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351,205 priority Critical patent/US9226323B2/en
Publication of KR2012008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8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2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단에서 중계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수신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계할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 응답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 및 상기 수신단으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단의 전송 커버리지 밖에 있는 수신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무선 LAN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고, 수신단에 연결된 인접 단말을 중계단으로 이용하여 직접 수신단과 연결할 수 없는 송신단에서 수신단과 통신을 할 수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elay frame at a relay termina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 relay request frame requesting transmission of data to a receiving end from a transmitting end, transmitting a relay response frame including information on data to be relayed to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respectively, And generating a relay frame including the 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lay frame to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coverage of the wireless LAN service by transmitting data to a receiving end outside the transmission coverage of the transmitting end, and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end from a transmitting end which can not directly connect with the receiving end, can do.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elay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중계 기술을 이용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relay technique.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기술은 비허가 대역에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 셀룰라(cellular) 시스템과는 달리, 기지국 역할을 하는 AP(Access Point)는 유선 네트워크와 전원만 연결되면 동작하므로 누구든지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낮은 비용으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보편화되었다.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technology is emerging as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provides high-speed data services in unlicensed bands. Unlike the conventional cellular system, an access point (AP) serving as a base station operates when a wired network and a power supply are connected only to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by anyone, and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t a low cost.

무선 LAN 기술의 분산적 동작(decentralized operation)은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며, 센서 네트워크 및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로도 확산되고 있다. 센서 네트워크와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전송할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고, 전송 주기도 짧기 때문에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가 전송 속도 증가보다 더 중요하다. The decentralized operation of wireless LAN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and spreading to sensor networks and smart utility networks. In the case of sensor networks and smart utility networks,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is not large and the transmission period is short, so that the service coverage expans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transmission rate increase.

무선 LAN 전송 규격들은 대부분 전송 속도 향상을 위해서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거나, 대역폭을 확장하는 형태로 발전해 왔다. 그 대표적인 예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n과 IEEE 802.11ac 표준 규격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이와 같은 전송 속도 향상이 네트워크 용량 증대라는 큰 의미를 갖지만, 센서 네트워크와 같인 정보 수집을 위한 네트워크에서는 커버리지 확대가 더 큰 의미를 갖는다. 커버리지가 확대될 경우 적은 수의 AP를 통해 넓은 영역에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Wireless LAN transmission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to use multiple antennas or to expand bandwidth in order to improve transmission speed. Typical examples are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n and the IEEE 802.11ac standard. However, in a typical network environment, such a transmission speed enhancement has a great significance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network, but in a network for collecting information, such as a sensor network, coverage expansion is more meaningful. When the coverage is expanded, the sensor network can be constructed at a low cost sinc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over a large area with a small number of APs.

기존 통신 시스템들에서 채택하고 있는 커버리지 확대 방식들에는 낮은 부호율(code rate)을 갖는 채널 부호화(channel coding) 방식이 사용되거나, 낮은 신호 대 잡음비에서 복호가 가능한 반복 송신(repetition) 방식이 사용되거나, 원하는 수신단에 높은 전력의 신호가 도달하도록 하는 빔형성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들은 물리 계층 규격을 많이 수정하거나, 다수의 안테나 사용에 따른 비용 부담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LAN 시스템에서의 커버리지 확대하는 기술, 특히, 중계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LAN의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는 기술이 요구된다.I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systems, a channel coding scheme having a low code rate is used or an iterative repetition scheme capable of decoding at a low signal-to-noise ratio is used , A beamforming technique may be used to allow a high power signal to reach the desired receiving end. However, such schemes may require a lot of modifications to the physical layer specifications or a cost burden due to the use of multiple antennas.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ology for expanding the coverage in the wireless LAN system, in particular, a technique for expanding the service area of the wireless LAN by using the relay technology.

중계 방식이란 송신단과 수신단 중간에 유휴 단말을 중계 단말로 이용하여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수신단에 중계 전송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IEEE 802.16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프레임 구조를 변형하여 기지국에서 모든 제어를 수행하는 형태로 중계 방식을 채택하여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무선 LAN의 경우 중앙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이 없기 때문에 무선 LAN의 핸드쉐이킹(hand shaking) 방식을 이용하여 중계 링크를 설정하고 중계 전송을 시작한다. 무선 LAN에서 중계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의 목적이 커버리지 확대보다는 전송 속도 향상에 있었기 때문에 중계단 및 수신단이 모두 송신단의 전송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사용 가능한 핸드쉐이킹 프로토콜이 정의된 상황이다. The relaying method is a method for relaying data received from a transmitting terminal to a receiving terminal by using an idle terminal as a relay terminal between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In a system such as Long Term Evolution (LTE) of 3GPP (3 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or IEEE 802.16, the frame structure is modified to perform all control in the base station, . However, in the case of wireless LAN, since there is no base station that performs centralized control function, the relay link is set up using the handshaking method of the wireless LAN and the relay transmission is started. In the wireless LAN, since the purpose of adding the relay function is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speed rather than to expand the coverage, a handshaking protocol that can be used is defined only when both the relay terminal and the receiver terminal are within the transmission coverage of the transmitter.

따라서, 송신단의 전송 커버리지 밖에 있는 수신단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receiving terminal outside the transmission coverage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is requir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elay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계 방식 및 중계 링크 설정을 위해 제어 프레임 및 데이터 프레임을 교환하는 핸드쉐이킹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shaking method for exchanging control frames and data frames for relaying and relay link establish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송신단의 데이터 및 중계단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중계 프레임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relay frame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of a transmitter and data of a rela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IEEE 802.11 MAC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LA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end wireless LA service coverage using the IEEE 802.11 MAC protocol.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단에서 중계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은 수신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계할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 응답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 및 상기 수신단으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relay frame in a relay termina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receiving, from a transmitter, a relay request frame requesting transmission of data to a receiver; Transmitting a response frame to each of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receiving data from the transmitting end, and generating a relay frame including the 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rame to the receiving end.

상기 중계단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일 수 있다.The relay terminal may be at least one terminal or an access point.

상기 중계단은, 상기 송신단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 수신하는 신호의 전송률(rate) 또는 도착점 주소(Destination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변의 단말들 중에서 선택된 단말일 수 있다.The relay terminal may be a terminal selected from neighboring terminals based on at least one of a size of a signal received at the transmitter, a rate of a signal to be received, and a destination address.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은 상기 중계단의 ACK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transmitting a frame including the data to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frame including the data may include ACK information of the relaying end.

주변 단말들의 신호 송신으로 인한 간섭을 차단하는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TS 프레임을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 request to send (RTS) frame for blocking interference due to signal transmission of neighboring terminals from the transmitting end, and transmitting the RTS frame to the receiving end.

상기 중계 응답 프레임은 RT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lay response frame may include RTS information.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서 전송을 허락하는 CTS(Clear-To-Send) 프레임을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CTS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 CTS (clear-to-send) frame ready for receiving data from the receiving end, and transmitting the CTS frame to the transmitting end.

상기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함을 지시하는 ACK 프레임을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CK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n ACK frame indicating successful reception of the data from the receiving end, and transmitting the ACK frame to the transmitting end.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은, 상기 수신단이 상기 송신단의 전송영역 밖에 있을 때 전송될 수 있다.The relay request frame may be transmitted when the receiver is outside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transmitter.

상기 송신단과 상기 수신단 사이에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단이 상기 송신단의 전송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f the beacon frame is not transmitted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ceiving end is outside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transmitting end.

상기 중계 프레임은 IEEE(Institu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a/g 규격의 프레임일 수 있다.The relay frame may be a frame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a / g standard.

상기 중계 프레임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완전히 복조하고 다시 변조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lay frame may be configured by completely demodulating and re-modulating the data or the relay request frame.

상기 중계 프레임은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할 상기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lay frame may further include data of the relay terminal itself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상기 중계 프레임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이득 조절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보상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lay frame may be configured by performing gain control and carrier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on the data or the relay request frame.

상기 중계 프레임은,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할 상기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lay frame may further include data of the relay terminal itself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는 각각 MAC(Media Access Control) 프레임 양식에 따라 출발점 주소, 도착점 주소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and the data of the relay terminal itself may include a starting point address, a destination address and a length information according to a MAC (Media Access Control) frame format.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말은 수신단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어느 데이터를 중계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 응답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 및 상기 수신단으로 각각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을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transmitting a relay frame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a relay request frame for requesting data transmission to a receiver and a relay response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frame to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respectively, wherei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data from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relay frame including the data to the receiving end.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단의 전송 커버리지 밖에 있는 수신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무선 LAN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tend wireless LAN service coverage by transmitting data to a receiver outside the transmission coverage of the transmitter.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단에 연결된 인접 단말을 중계단으로 이용하여 직접 수신단과 연결할 수 없는 송신단에서 수신단과 통신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 receiving end from a transmitting end which can not directly connect with a receiving end using a neighbor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receiving end as a relay end.

도 1은 중계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중계단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송신단이 수신단의 전송 영역 밖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단, 수신단 및 중계단 사이에서 프레임을 주고받는 핸드쉐이팅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송신단, 수신단 및 중계단 사이에서 프레임을 주고받는 핸드쉐이킹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계층 중계 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리계층 중계 프레임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단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프레임을 중계하는 중계단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서 프레임을 중계하는 수신단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서 중계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s using relaying.
2 shows another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relay terminal.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handshaking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ame between a transmitting end, a receiving end, and a relay en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transmitting end is located outside a transmitting end of a receiving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handshaking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s between a transmitting end, a receiving end, and a relay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physical layer rela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physical layer rela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transmitting end that transmits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relaying terminal relaying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that relays fr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performs a relay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중계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s using relaying.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단(110), 중계단(120) 및 수신단(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transmitting terminal 110, a relay terminal 120, and a receiving terminal 130.

수신단(130)은 송신단의 전송 영역(111) 밖에 위치한다. 송신단(110)의 전송 영역(또는 커버리지)이란 송신단(110)에서 최소의 전송률로 프레임을 전송했을 때, 수신단(130)에서 복조가 가능한 공간적 영역을 말한다. 중계단(120)은 송신단(110)과 수신단(130)의 공통영역에 존재한다. 따라서 중계단(120)의 전송 영역(121)에 송신단(110) 및 수신단(130)이 모두 포함된다.The receiving end 130 is located outside the transmitting end 111 of the transmitting end. The transmission area (or coverage) of the transmission terminal 110 refers to a spatial area that can be demodulated by the reception terminal 130 when the transmission terminal 110 transmits a frame at a minimum transmission rate. The relay terminal 120 exists in a common area betwe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30. Therefore, both the transmission terminal 110 and the reception terminal 130 ar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region 121 of the relay terminal 120.

송신단(110)은 수신단(130)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중계단(120)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중계단(120)은 수신한 송신단(110)의 신호를 수신단(130)으로 전송한다.The transmitting terminal 110 transmits a signal to the relay terminal 120 in order to transmit a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130 and the relay terminal 120 transmits the signal of the receiving terminal 110 to the receiving terminal 130.

도 2는 중계단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2 shows another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relay terminal.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단(210), 중계단(220) 및 수신단(230)을 포함한다.2,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transmitting terminal 210, a relay terminal 220, and a receiving terminal 230.

송신단의 전송 영역(211) 내에 중계단(220)과 수신단(230)이 모두 존재한다. 그런데, 중계단(220)과 송신단(230)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송신단(210)과 수신단(230)사이의 거리가 멀다. 송신단(210)은 중계단(220)으로 11Mbps의 전송률로 전송할 수 있지만, 송신단(210)은 수신단(230)으로 2Mbps의 전송률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단(220)은 수신단(230)으로 5.5Mbps의 전송률로 전송할 수 있다.Both the relay terminal 220 and the reception terminal 230 exist in the transmission region 211 of the transmission terminal.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210 and the receiving end 230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220 and the transmitting end 230. The transmitting end 210 can transmit data at a transmission rate of 11 Mbps to the transmitting end 220 but the transmitting end 210 can transmit the data at a transmission rate of 2 Mbps to the receiving end 230. [ The relay station 220 can transmit the data to the receiver 230 at a transmission rate of 5.5 Mbps.

따라서, 송신단(210)은 중계단(220)을 거쳐서 수신단(230)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송신단(210)에서 수신단(230)으로 직접 신호를 전송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다. 만약, 물리 계층 및 MAC 계층의 오버헤드(overhead)를 감안하지 않고 계산하면, 송신단(210)은 평균 8.25Mbps(=(11+5.5)/2)의 전송률로 중계단(220)을 거쳐서 수신단(230)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more efficient for the transmitter 210 to transmit a signal to the receiver 230 via the relay 220 than to transmit directly from the transmitter 210 to the receiver 230. If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without considering the overhead of the physical layer and the MAC layer, the transmitting terminal 210 transmits a signal through the relay terminal 220 at an average rate of 8.25 Mbps (= (11 + 5.5) / 2) 230). ≪ / RTI >

상기 도 2와 같이 수신단와 중계단이 송신단의 전송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채널을 이용할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일종의 제어 프레임인 RTS(Request-To-Send)와 CTS(Clear-To-Send)를 모든 단말이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중계 링크 설정을 위한 핸드쉐이킹 과정이 비교적 수월하지만, 상기 도 1과 같이 송신단 수신단의 전송 영역 밖에 존재하고 수신단이 송신단의 전송 영역 밖에 존재하면 중계 링크 설정을 위한 핸드쉐이킹 과정이 복잡하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receiving end and the relay end are within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transmitting end, a request-to-send (RTS) and a clear-to-send (CTS) The handshaking process for relay link setup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However, if the handshaking process for establishing the relay link exists outside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transmitting end receiving end and exists outside the transmission ending range of the transmitting end as shown in FIG. 1, Do.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 1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상기 도 2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bo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shown in FIG. 1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송신단이 수신단의 전송 영역 밖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단, 수신단 및 중계단 사이에서 프레임을 주고받는 핸드쉐이킹(handshaking)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송신단에 수신단으로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이 도시된 것은 일 예일 뿐이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이 SIFS(Short Inter Frame Space) 간격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송신단, 수신단 및 중계단은 각각 AP(Access Point)일 수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andshaking process in which a frame is exchanged between a transmitting end, a receiving end, and a repeating en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transmitting end is located outside a transmitting end of a receiving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one data frame to the transmitting end in the transmitting end is merely an example, and a plurality of data frames may be transmitted at intervals of SIFS (Short Inter Frame Space). Meanwhile, the transmitting end, the receiving end, and the relay end may be APs (access points), respectively.

도 3을 참조하면, 송신단과 수신단사이에 중계 링크의 설정이 시도된다(S300). 송신단은 수신단의 전송 영역 밖에 있다면, 수신단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제어 프레임(예를 들어, 비콘(beacon)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다. 그래서, 그래서 기존 무선 LAN(Local Access Network)에서는 BSS(Basic Service Set)를 구성하지 못한다. 이때, 송신단은 접속 가능한 수신단이 없다고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3, an attempt is made to establish a relay link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S300). If the transmitting end exists outside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receiving end, it can not receive a control frame (for example, a beacon frame)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end. Therefore, in a conventional wireless LAN (Local Access Network), a BSS (Basic Service Set) can not be configured. 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terminal judges that there is no connectable receiving terminal.

송신단은 중계단을 검색 및 선택한다(S305). 송신단은 수신단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제어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을지라도, 주변의 다른 단말(또는 AP)들이 수신단으로 송신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주변의 다른 단말(또는 AP)들이 중계 단말의 후보가 될 수 있다. 송신단은 상기 주변의 다른 단말(또는 AP)들 중 하나를 중계단으로 선택한다. 일 예로, 송신단은 수신한 신호의 크기, 수신한 신호의 전송률(rate) 또는 도착점 주소(Destination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주변의 다른 단말(또는 AP)들 중에서 중계단을 선택한다.The transmitting end searches and selects the relay end (S305). Although the transmitting terminal can not receive the control frame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it may be possible for other terminals (or APs) in the vicinity to receive the fram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The other terminals (or APs) in the vicinity can be candidates for the relay terminal. The transmitting terminal selects one of the other terminals (or APs) in the vicinity as a relay terminal.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end selects a relay node among the neighboring nodes (or AP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received signal, the rat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destination address.

송신단은 선택한 중계단으로 중계 요청(relay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하여 중계 전송을 요청한다(S310). 중계 요청을 수신한 중계단은 수신단으로 중계 전송을 하는 것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중계 전송의 수락 여부는 중계단 또는 수신단의 큐 상태, 전원 상태 또는 다른 단말을 위한 중계 전송의 수행 여부등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terminal transmits a relay request frame to the selected relay terminal to request relay transmission (S310). The relay node that has received the relay request determines whether it is possible to relay data to the receiving node. The acceptance of the relay transmissio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queue state of the relay terminal or the receiving terminal, the power state, whether or not the relay transmission is performed for the other terminal, and the like.

중계단에서 수신단으로 중계 전송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중계단은 중계 응답(relay response) 프레임을 송신단 및 수신단으로 각각 전송하여 중계 전송을 수락하는 응답을 한다(S315). If it is possible to perform relay transmission from the relay terminal to the receiver terminal, the relay terminal transmits a relay response frame to the transmitter terminal and the receiver terminal, respectively, and responds to accept the relay transmission (S315).

중계 응답을 수신한 송신단은 중계 전송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중계 응답을 수신한 수신단은 중계단이 어느 송신단의 데이터를 중계 전송할 것인지도 확인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end that has received the relay response can confirm that it can perform the relay transmission and the receiving end that has received the relay response can confirm which relay node transmits the data of the transmitting end.

이때, 송신단은 중계단으로부터 중계 전송을 수락하는 중계 응답이 수신할 때까지 중계 요청을 반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end may repeat the relaying request until the relaying response which accepts the relaying transmission is received from the relaying end.

송신단은 주변 단말들의 송신으로 인한 간섭을 사전에 차단하여 충돌을 막기 위해서 RTS(Request-To-Send) 프레임(또는 RTS 정보)을 중계단으로 전송하고(S320), 중계단도 RTS 프레임(또는 RTS 정보)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S325). The transmitting end transmits a Request-To-Send (RTS) frame (or RTS information) to the relay node in step S320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due to transmission of neighboring nodes in advance, To the receiving end (S325).

수신단은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서 전송을 허락하는 CTS(Clear-To-Send) 프레임(또는 CTS 정보)을 중계단으로 전송하고(S330), 중계단은 CTS 프레임(또는 CTS 정보)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S335). 상기 과정들을 통해 송신단은 수신단으로 간섭이나 방해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받을 수 있다The receiving end transmits a CTS (or CTS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end (S330) and transmits the CTS frame (or CTS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end (S335). Through the above processes, the transmitting end can be guaranteed an opportunity to transmit data to the receiving end without interference or interference

송신단은 중계단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S340), 중계단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S345). 이때, 중계단이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이 송신단으로도 전송되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중계단이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함에 대한 ACK(acknowledgement)역할을 한다. The transmitting end transmits the data frame to the relay end (S340), and the relay end transmits the data frame to the receiving end (S345). At this time, if the data frame transmitted from the relay station to the receiver stat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station, the data frame serves as an acknowledgment (ACK) for the relay station to receive the data frame from the transmitter station.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단은 ACK 프레임을 중계단으로 전송하고(S350), 중계단은 ACK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한다(S355). 송신단에서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단에서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과정이다.The receiver receiving the data frame transmits the ACK frame to the relay terminal (S350), and the relay terminal transmits the ACK frame to the transmitter (S355). And confirming that the receiver has received the data fram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낮아지지만, 무선 LAN의 서버스 커버리지 넓어진다. 따라서, 높은 전송 속도보다는 넓은 커버리지가 요구되는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 등에서 유용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transmission speed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is lowered, but the server coverage of the wireless LAN is widened. Therefore, it is useful in applications of sensor networks requiring a wide coverage rather than a high transmission ra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송신단, 수신단 및 중계단 사이에서 프레임을 주고받는 핸드쉐이킹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송신단에 수신단으로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만 도시되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이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이 SIFS 간격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송신단, 수신단 및 중계단은 각각 AP일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handshaking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s between a transmitting end, a receiving end, and a relay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only a process of transmitting one data frame to a receiving end is shown here, this i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data frames may be transmitted at SIFS intervals. The transmitting end, the receiving end, and the relay end may be APs, respectively.

도 4를 참조하면, 송신단과 수신단사이의 중계 링크의 설정이 시도된다(S400). 송신단은 수신단의 전송 영역 밖에 있으므로, 수신단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제어 프레임(예를 들어, 비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다면, 기존 무선 LAN에서는 BSS를 구성하지 못한다. 이때, 송신단은 접속 가능한 수신단이 없다고 판단한다. Referring to FIG. 4, an attempt is made to set up a relay link between a transmitting end and a receiving end (S400). Since the transmitting end is outside the transmitting end of the receiving end, if the receiving end can not receive a control frame (for example, a beacon frame) periodically transmitted, the BSS can not be configured in the existing wireless LAN. 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terminal judges that there is no connectable receiving terminal.

송신단은 중계단을 검색 및 선택한다(S405). 송신단은 수신단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제어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을지라도, 주변의 다른 단말(또는 AP)들은 수신단으로 송신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는 있다. 상기 주변의 다른 단말(또는 AP)들이 중계 단말의 후보가 될 수 있다. 송신단은 상기 주변의 다른 단말(또는 AP)들 중 하나를 중계단으로 선택한다. 일 예로, 송신단은 수신한 신호의 크기, 수신한 신호의 전송률 또는 도착점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주변의 다른 단말(또는 AP)들 중에서 중계단을 선택한다.The transmitting terminal searches for and selects the relay terminal (S405). Although the transmitting terminal can not receive the control frame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receiving terminal, other terminals (or APs) in the vicinity may be able to receive the 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The other terminals (or APs) in the vicinity can be candidates for the relay terminal. The transmitting terminal selects one of the other terminals (or APs) in the vicinity as a relay terminal.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end selects a relay node among the neighboring nodes (or AP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received signal, the transmission rat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destination address.

송신단은 선택한 중계단으로 중계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여 중계 전송을 요청한다(S410). 이때, 중계 요청 프레임은 주변 단말들의 송신으로 인한 간섭을 사전에 차단하여 충돌을 막기 위해서 RTS 프레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RTS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중계 요청을 수신한 중계단은 수신단으로 중계 전송을 하는 것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중계 전송의 수락 여부는 중계단 또는 수신단의 큐 상태, 전원 상태 또는 다른 단말을 위한 중계 전송의 수행 여부등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transmitting end sends a relay request frame to the selected relay node to request relay transmission (S410). At this time, the relay request frame may include information of the RTS frame in order to block the interference caused by transmission of peripheral terminals in advance and prevent collision.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transmit a separate RTS frame. The relay node that has received the relay request determines whether it is possible to relay data to the receiving node. The acceptance of the relay transmissio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queue state of the relay terminal or the receiving terminal, the power state, whether or not the relay transmission is performed for the other terminal, and the like.

중계단에서 수신단으로 중계 전송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중계단은 중계 응답 프레임을 송신단 및 수신단으로 각각 전송하여 중계 전송을 수락하는 응답을 한다(S415). 이때, 중계 응답 프레임은 주변 단말들의 송신으로 인한 간섭을 사전에 차단하여 충돌을 막기 위해서 RTS 프레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RTS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If it is possible to perform relay transmission from the relay terminal to the receiver terminal, the relay terminal transmits a relay response frame to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respectively, and responds to accept the relay transmission (S415). At this time, the relay response frame may include information of the RTS frame in order to block the interference due to the transmission of the neighboring terminals in advance to prevent the collision.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transmit a separate RTS frame.

중계 응답을 수신한 송신단은 중계 전송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중계 응답을 수신한 수신단은 중계단이 어느 송신단의 데이터를 중계 전송할 것인지 알 수 있다. The transmitting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relay response confirms that relay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and the receiving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relay response can know which relay terminal is to relay data of which transmitting terminal.

이때, 송신단의 중계 요청은 중계단으로부터 중계 전송을 수락하는 중계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lay request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can be repeated until a relay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relay terminal to accept the relay transmission.

수신단은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서 전송을 허락하는 CTS 프레임을 중계단으로 전송하고(S420), 중계단은 CTS 프레임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S425). 상기 과정들을 통해 송신단은 수신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받는다The receiving end is ready to receive the data, and transmits a CTS frame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to the relaying end (S420). The relaying end transmits the CTS frame to the receiving end (S425). Through the above procedures, the transmitting end is guaranteed an opportunity to transmit data to the receiving end

송신단은 중계단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S430), 중계단은 데이터 프레임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을 생성하여 수신단으로 전송한다(S435). 이때, 중계단이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이 송신단으로도 전송되면,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중계단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함에 대한 ACK 역할을 한다. The transmitting terminal transmits the data frame to the relaying terminal (S430), and the relaying terminal generates the relaying frame including the data frame and transmits it to the receiving terminal (S435). At this time, if the data frame transmitted from the relay station to the receiver stat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station, the relay station serves as an ACK for receiving the data frame.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단은 ACK 프레임을 중계단으로 전송하고(S440), 중계단은 ACK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한다(S445). 송신단에서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단에서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과정이다.The receiver receiving the data frame transmits the ACK frame to the relay terminal (S440), and the relay terminal transmits the ACK frame to the transmitter (S445). And confirming that the receiver has received the data fram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다른 예로, 상기 도 4와 유사하게, 중계 응답 프레임과 CTS 프레임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프레임을 정의하여 중계 링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similar to FIG. 4, a frame including both the relay response frame and the CTS frame may be defined to form a relay link.

이제, 본 발명에 따라서 중계단에서 중계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Now, a method of generating a relay frame in a rela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중계 프레임의 구조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을 중계단이 완전히 복조하고 다시 변조하여 구성한 중계 프레임(실시예1)과 중계단에서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을 완전히 복조하지 않고 이득 조절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하여 구성한 중계 프레임(실시예2)이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 대하여, 중계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할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There are two types of relay frames. A relay frame (Embodiment 1) configured by completely demodulating and modulating the frame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end, and a relay frame (not shown) configured by compensating the gain control and the carrier frequency offset without completely demodulating the frame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end Example 2). In addition, for each of the embodiments, there are cases where the data of the relay node itself to be transmitted from the relay node to the receiver node is included or not includ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계층 중계 프레임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중계단이 수신데이터를 모두 복조한 후 상황에 따라 중계단 자신이 수신단에 전달할 데이터까지 포함하여 다시 구성한 중계 프레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physical layer rela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lay frame that the relay terminal reconfigures after including all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e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fter demodulating all received data.

도 5를 참조하면, 중계단에서 수신 프레임을 복조 후 재 변조하는 경우는 비중계 프레임과 같은 구조의 물리계층 프레임 구성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5, when a received frame is demodulated and then re-modulated in a relay terminal, a physical layer frame structure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a hydrometer frame is provided.

중계 프레임은 IEEE 802.11a/g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lay frame may be configured using the frame structure of IEEE 802.11a / g.

또한, 상기 도 5의 (a)는 중계단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없어서 중계할 데이터 필드(DATA1)만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이고, 상기 도 5의 (b)는 중계할 데이터 필드(DATA1) 및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 필드(DATA2)를 모두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이다. 5A is a relay frame including only the data field DATA1 to be relayed because there is no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relay terminal. FIG. 5B shows a data field DATA1 to be relayed and a relay field And a data field DATA2 of the data field DATA2.

상기 도 5의 (a) 와 (b)의 중계 프레임은 모두 STF(Short Training Field), LTF(Long Training Field), 시그널 필드(SIG)를 앞부분에 포함한다. 5 (a) and 5 (b) all include a short training field (STF), a long training field (LTF), and a signal field (SIG).

STF는 패킷 감지(packet detection) 관련 정보, AGC(Automatic Gain Control) 관련 정보, 거친(coarse)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carrier frequency offset : CFO) 추정(estimation) 관련 정보 또는 시간 동기화(time synchronization)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STF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packet detection, information related to Automatic Gain Control (AGC), information related to a coarse carrier frequency offset (CFO) estimation, or tim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m.

LTF는 좋은(fine) 반송파 오프셋 추정 관련 정보, 또는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The LTF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fine carrier offset estimation, or channel estimation related information.

시그널 필드는 레이트(RATE), 또는 길이 정보(LENGTH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트는 전송률일 수 있다.The signal field includes a rate (RATE) or length information (LENGTH information). The rate may be a transmission rate.

중계할 데이터 필드(DATA1)는 출발점 주소(source address)가 송신단이고 도착점 주소 (destination address)가 수신단인 페이로드(payload)가 존재하고,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 필드(DATA2)는 출발점 주소가 중계단이고 도착점 주소가 수신단인 페이로드(payload)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필드(DATA1, DATA2)는 각 데이터 별로 MAC 프레임 양식에 따라서 각 페이로드에서 출발점 주소와 도착점 주소 및 길이(length)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데이터 중 데이터가 송신단의 중계 데이터인지 중계단의 전송 데이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The data field DATA1 to be relayed has a payload in which the source address is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destination address is the receiving end and the data field DATA2 of the relaying end itself has a start address And a payload in which the destination address is the receiving end exists. As described above, the data fields (DATA1, DATA2) may include the starting point address, the destination address, and the length information in each payload according to the MAC frame format for each dat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data of the two data is the relay data of the transmitter or the data of the rela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리계층 중계 프레임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이다. 중계단이 중계할 수신데이터를 모두 복조하지 않고,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를 우선 전송한 후에 중계할 수신데이터를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한 후에 이어서 전송하도록 구성한 중계 프레임이다. 중계단에서 수신 프레임을 모두 복조하지 않을 경우,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보상하는 이유는 송신단-중계단, 중계단-수신단 사이의 두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의 합이 기존 STF 및 LTF 구조에서 추정할 수 있는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physical layer rela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station does not demodulate all of the received data to be relayed but transmits the data to be transmitted after first transmitting the data to be relayed after compensating the carrier frequency offset. The reason for estimating and compensating the carrier frequency offset when all the received frames are not demodulated at the relay end is that the sum of the two carrier frequency offsets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lay end and the receiving end can be estimated in the existing STF and LTF structures It may be out of range of the carrier frequency offset.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의 (a)는 중계단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없어서 중계할 데이터 필드(DATA1)만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이고, 상기 도 6의 (b)는 중계할 데이터 필드(DATA1) 및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 필드(DATA2)를 모두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이다. Referring to FIG. 6, FIG. 6A illustrates a relay frame including only a data field DATA1 to be relayed because there is no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relay terminal. FIG. 6B illustrates a data field DATA1 to be relayed. And a data field (DATA2) of the relay terminal itself.

상기 도 6의 (a)의 중계 프레임은 STF를 포함한다. STF는 패킷 감지 관련 정보, AGC 관련 정보, 거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추정 관련 정보 또는 시간 동기화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STF는 중계단이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한 STF이며, 중계단에서 패킷 감지, AGC에 사용되기 때문에, 수신한 STF를 그대로 전송할 경우 길이 및 파형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중계단은 STF를 중계하지 않는다.The relay frame of FIG. 6A includes the STF. The STF includes at least one of packet sensing related information, AGC related information, coarse carrier frequency offset estimation related information, or time synchronization related information. Since the STF is an STF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end and is used for packet detection and AGC at the relay e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ngth and the waveform may not be constant when the received STF is directly transmitted. Therefore, the relay station does not relay the STF.

또한, 중계 프레임은 R-LTF, R-SIG 필드, DATA1 필드로 구성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수정 버전 패킷(CFO corrected version packet)을 포함한다. 이는 송신단에서 전송단으로 전송된 수신 데이터에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CFO)을 보상된 버전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수신을 위해서 패킷 감지, AGC를 수행하고, 반송파 주파수 오차(CFO)를 STF와 LTF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또한, 시간 동기(LTF의 시작점 찾는 과정) 역시 맞춘다. 추정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기반으로 총 수신 프레임에 걸쳐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해 준다. 그리고 SIG 필드만을 복조하거나, 수신 전력을 기반으로 프레임의 끝을 예측하여 수신 프레임의 길이는 OFDM 심볼 단위로 몇 OFDM 심볼인지 계산한다.In addition, the relay frame includes a CFO corrected version packet composed of R-LTF, R-SIG field and DATA1 field. This is a version in which the carrier frequency offset (CFO) is compensated for the received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end to the transmitting end. Specifically, packet detection and AGC are performed for frame reception, and carrier frequency error (CFO) is estimated using STF and LTF. In addition, time synchronization (the process of find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LTF) is also adjusted. And compensates for the carrier frequency offset across the total received frame based on the estimated carrier frequency offset. Then, only the SIG field is demodulated, or the end of the frame is predicted based on the received power, and the length of the received frame is calculated as OFDM symbols for each OFDM symbol.

이를 통해, LTF, 시그널 필드, 및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하려는 데이터 필드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이 보상되지만, 이러한 중계 파트에 STF는 포함되지 않는다.This compensates for the LTF, the signal field, and the carrier frequency offset of the data field to b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end to the receiving end, but does not include the STF in such a relaying part.

한편, 상기 도 6의 (b)는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 필드 또한 전송하고자 하는 중계 프레임이며, 따라서, 상기 도 6의 (b)의 중계 프레임은 상기 도 6의 (a)에 LTF, SIG1 필드, SIG2 필드 및 DATA2 필드가 더 포함된다.6 (b) is a relay frame to which the relay terminal itself also wants to transmit. Therefore, the relay frame of FIG. 6 (b) corresponds to the LTF, SIG1 field, The SIG2 field and the DATA2 field are further included.

SIG1 필드는 상기 도 5의 시그널 필드와 같이 레이트(rate) 정보와 길이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것은 전송하는 데이터와는 별도로 다른 단말들의 전송을 해당 프레임이 끝날 때까지 지연시키기 위해서 설정한다. 따라서, 레이트 정보를 특정 레이트로 고정하고 길이 정보를 전체 중계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한다. 다른 단말들이 SIG1 필드를 보고 중계 프레임이 전송되는 동안 채널을 사용하기 않게 만드는 기능을 스푸핑(spoofing)이라고 한다. IEEE 802.11 규격에서 사용된다.The SIG1 field includes rat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as in the signal field of FIG. 5, but it is set to delay transmission of other terminals until the end of the corresponding frame, apart from data to be transmitted. Therefore, the rate information is fixed at a specific rate and the length information is set equal to the length of the entire relay frame. The function that causes other terminals to use the channel while watching the SIG1 field and the relay frame is transmitted is called spoofing. It is used in the IEEE 802.11 standard.

SIG2 필드는 중계단이 수신단으로 보내는 실제 데이터 필드에 대한 레이트 정보와 길이 정보를 포함한다. The SIG2 field includes rat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for the actual data field that the relay node sends to the receiver.

DATA2 필드는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이다.The DATA2 field is a field containing the data of the relay node itself.

DATA2 필드 이후, 다시 R-LTF부터 시작하는 새로운 프레임 구조가 연결된다, 이는 중계단이 송신단으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한 이후에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CFO: Carrier Frequency Offset)를 보상한 프레임을 그대로 전송하는 형태이다. 추정된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기반으로 총 수신 프레임에 걸쳐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해 준다. 그리고 시그널 필드만을 복조하거나, 수신 전력을 기반으로 프레임 끝을 예측하여 수신 프레임의 길이는 OFDM 심볼 단위로 몇 OFDM 심볼인지 계산한다.After the DATA2 field, a new frame structure starting from R-LTF is concatenated. This is a form in which a relay terminal transmits a frame compensated for a carrier frequency offset (CFO) after receiving a frame from a transmitter . And compensates for the carrier frequency offset across the total received frame based on the estimated carrier frequency offset. Then, only the signal field is demodulated, or the end of the frame is predicted based on the received power, and the length of the received frame is calculated as OFDM symbols for each OFDM symbol.

이렇게 중계 프레임에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보상된 프레임과 수신 프레임의 길이 정보가 포함되고 중계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 데이터, 전송률, 및 길이를 기반으로 중계단 데이터의 길이를 계산한다. If the relay frame includes the length of the frame compensated for the carrier frequency offset and the length of the received frame and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is included in the relay terminal, the length of the relay terminal data is calculated based on the data, the transmission rate and the length.

이렇게 계산된 수신 프레임의 길이 및 중계단 데이터의 길이를 바탕으로 총 중계 프레임을 길이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SIG1 필드의 레이트 정보와 길이 정보를 구성한다. 일 예로, 레이트 정보는 하나의 레이트로 고정한 후 길이 정보만 총 프레임의 길이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The total length of the relay fram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length of the received frame and the length of the relay terminal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rate information and the length information of the SIG1 field are configured based on the length. For example, the rate information may be fixed at one rate, and then the length information may be set to match the length of the total frame.

SIG2 필드가 포함하는 중계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되는 DATA2 필드에 대한 레이트 정보와 길이 정보를 통해 DATA2 필드가 복조될 수 있다. The DATA2 field may be demodulated through the rate information and the length information for the DATA2 field transmitted from the relay terminal included in the SIG2 field to the receiver.

중계단은 DATA2 필드에 대한 복조를 수행한 후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한 DATA1에 대한 복조를 시작한다. 우선, R-LTF를 기반으로 반송파 주파수를 추정/보상하고, 채널을 추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R-SIGNAL 필드를 복조하여 레이트 정보 및 길이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DATA1을 복조한다. The relay node performs demodulation on the DATA2 field and then starts demodulation on the DATA1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to the receiver. First, the carrier frequency is estimated / compensated based on the R-LTF, and the channel is estimated. Based on this, the R-SIGNAL field is demodulated to extract rate information and length information, and the DATA1 is demodulated using the R-SIGNAL field.

본 발명에서는 기존 IEEE 802.11 MAC 프로토콜 및 물리계층 규격을 기반으로 무선 LAN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특히 IEEE 802.11a/g OFDM 물리계층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IEEE 802.11n, IEEE 802.11ac 외의 다른 물리계층 규격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extending the wireless LAN service area based on the existing IEEE 802.11 MAC protocol and the physical layer standard is proposed. In particular, the IEEE 802.11a / g OFDM physical layer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other physical layer standards other than IEEE 802.11n and IEEE 802.11ac.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단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transmitting end that transmits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송신단은 수신단과 중계 링크의 설정을 시도한다(S700). 송신단의 전송영역 밖에 수신단이 위치하는 경우, 송신단은 중계단을 검색하고 선택한다(S705).Referring to FIG. 7, the transmitting end attempts to establish the relay link with the receiving end (S700). If the receiving end is located outside the transmitting end of the transmitting end, the transmitting end searches for and selects the repeating end (S705).

송신단은 선택한 중계단으로 중계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S710). 이때, 송신단은 중계단이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중계응답을 상기 중계 요청에 대한 중계 응답으로 수신할 수 있다(S715).The transmitting terminal transmits the relay request frame to the selected relay terminal (S710). 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end may receive the relay response transmitted by the relay node to the receiving node as a relay response to the relay request (S715).

송신단은 주변 단말들의 송신으로 인한 간섭을 사전에 차단하여 충돌을 막기 위해서 RTS 프레임을 중계단으로 전송한다(S720). 수신단이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서 전송을 허락하는 CTS 프레임을 중계단을 통해 수신한다(S725).In step S720, the transmitter transmits an RTS frame to the relay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collision by blocking interference due to transmission of peripheral terminals in advance. The receiving end is ready to receive the data, and receives the CTS frame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through the relaying end (S725).

송신단은 중계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S730), 수신단이 데이터를 적절히 수신한 경우 ACK 프레임을 중계단을 통해 수신한다(S735).The transmitting end transmits the data to the repeating end (S730). When the receiving end properly receives the data, the transmitting end receives the ACK frame through the repeating end (S735).

한편, RTS 프레임이 중계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면 RTS 프레임을 전송되는 것은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RTS frame is included in the relay request frame, the transmission of the RTS frame may b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프레임을 중계하는 중계단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relaying terminal relaying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중계단은 송신단으로부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다(S800). 이때, 중계단은 상기 중계 요청에 대한 중계 응답을 수신단(또는 송신단)으로 전송한다(S805).Referring to FIG. 8, the relay station receives the relay request frame from the transmitter (S800). At this time, the relay node transmits a relay response to the relay request to the receiving node (or the transmitting node) (S805).

중계단은 주변 단말들의 송신으로 인한 간섭을 사전에 차단하여 충돌을 막기 위한 RTS 프레임을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여(S810), 상기 RTS 프레임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S815).In step S815, the relay node receives an RTS frame from the transmitting node to prevent collision by interrupting interference due to transmission of neighboring nodes in step S810, and transmits the RTS frame to the receiving node in step S815.

중계단은 수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서 전송을 허락하는 CTS 프레임을 수신하여(S820), 상기 CTS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한다(S825).The relay terminal is ready to receive data from the receiver and receives the CTS frame for allowing transmission (S820), and transmits the CTS frame to the transmitter (S825).

중계단은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S830),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을 생성하여 수신단으로 전송한다(S835).The relay terminal receives the data from the transmitter (S830), generates a relay frame including the data, and transmits the relay frame to the receiver (S835).

중계단은 수신단이 데이터를 적절히 수신한 경우 ACK 프레임을 수신단으로부터 수신하여(S840), 상기 ACK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한다(S845).The relay station receives the ACK frame from the receiver in step S840 if the receiver properly receives the data, and transmits the ACK frame to the transmitter in step S845.

한편, RTS 프레임이 중계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면 RTS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은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RTS frame is included in the relay request frame, transmission of the RTS frame may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서 프레임을 중계하는 수신단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receiving terminal that relays fr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수신단은 송신단과 제어 프레임을 송수신하여 중계 링크 연결을 시도한다(S900). 송신단의 전송영역 밖에 수신단이 위치하는 경우, 중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9, the receiving end transmits and receives a control frame with the transmitting end to attempt a relay link connection (S900). When the receiving end is located outside the transmission region of the transmitting end, the relaying operation is performed.

수신단은 중계단으로부터 중계 응답을 수신하여, 어느 송신단으로부터 어느 중계단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S905).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the relay response from the relay terminal, and can know from which transmitting terminal the data is to be received through which relay terminal (S905).

수신단은 송신단이 전송한 RTS 프레임을 중계단을 통해 수신한다(S910). 이에 대한 응답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서 전송을 허락하는 CTS 프레임을 중계단으로 전송한다(S915).The receiving end receives the RTS fram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end through the relay node (S910). In response to this, the CTS frame ready for receiving data and transmitting is transmitted to the relay node (S915).

중계단으로부터 송신단의 데이터를 수신하고(S920), 적절히 수신했음을 알리는 ACK 프레임을 중계단으로 전송한다(S925).The data of the transmitting end is received from the relaying end (S920), and an ACK frame indicating that the receiving has been properly performed is transmitted to the relaying end (S925).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서 중계 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performs a relay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단(1000), 중계단(1030) 및 수신단(106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transmitting terminal 1000, a relaying terminal 1030, and a receiving terminal 1060.

송신단(1000)은 송신부(1005), 수신부(1010), 및 프로세서(1015)를 포함한다.The transmitting terminal 1000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1005, a receiving unit 1010, and a processor 1015.

프로세서(1015)는 송신부(1005)와 수신부(1010)를 통해 수신단과 중계 링크의 설정을 시도하도록 동작한다. 송신단의 전송영역 밖에 수신단이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015)는 중계단을 검색하고 선택하도록 동작한다. 프로세서(1015)는 중계 요청 프레임, 또는 RTS 프레임을 생성한다.The processor 1015 operates to set up the relay link with the receiver through the transmitter 1005 and the receiver 1010. When the receiving end is located outside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transmitting end, the processor 1015 operates to search for and select the relay end. The processor 1015 generates a relay request frame, or an RTS frame.

송신부(1005)는 선택한 중계단으로 중계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 The transmitting unit 1005 transmits the relay request frame to the selected relay station.

송신부(1005)는 주변 단말들의 송신으로 인한 간섭을 사전에 차단하여 충돌을 막기 위해서 RTS 프레임을 중계단으로 전송한다. 단, RTS 프레임이 중계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면 RTS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은 생략될 수 있다.The transmitting unit 1005 transmits an RTS frame to the relaying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due to interference with transmissions of neighboring terminals in advance. However, if the RTS frame is included in the relay request frame, transmission of the RTS frame may be omitted.

송신부(1005)는 중계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transmitter 1005 transmits data to the relay terminal.

수신부(1010)는 송신부(1005)에서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중계 응답을 상기 중계 요청에 대한 중계 응답으로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010 can receive the relay respons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1005 to the receiving end as a relay response to the relay request.

수신부(1010)는 수신단이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서 전송을 허락하는 CTS 프레임을 중계단을 통해 수신한다.The receiving unit 1010 receives the CTS frame through the relay node, which is ready for receiving data and allows transmission.

수신부(1010)는 수신단이 데이터를 적절히 수신한 경우 ACK 프레임을 중계단을 통해 수신한다.The receiving unit 1010 receives the ACK frame through the relay terminal when the receiving terminal properly receives the data.

한편, 중계단(1030)은 송신부(1035), 수신부(1040), 및 프로세서(1045)를 포함한다. 중계단은 단말일 수 있다. 또는 중계단은 AP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lay terminal 1030 includes a transmitter 1035, a receiver 1040, and a processor 1045. The relay terminal may be a terminal. Or the relay station may be an AP.

송신부(1035)는 중계 요청에 대한 중계 응답을 수신단(또는 송신단)으로 전송한다.The transmitting unit 1035 transmits a relay response to the relay request to the receiving end (or the transmitting end).

송신부(1035)는 RTS 프레임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한편, RTS 프레임이 중계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면 RTS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은 생략될 수 있다.The transmitting unit 1035 transmits the RTS frame to the receiving end. On the other hand, if the RTS frame is included in the relay request frame, transmission of the RTS frame may be omitted.

송신부(1035)는 CTS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한다.The transmitting unit 1035 transmits the CTS frame to the transmitting end.

송신부(1035)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The transmitting unit 1035 transmits the relay frame including the data to the receiving end.

송신부(1035)는 ACK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한다.The transmitting unit 1035 transmits the ACK frame to the transmitting end.

수신부(1040)는 송신단으로부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다. The receiving unit 1040 receives the relay request frame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수신부(1040)는 주변 단말들의 송신으로 인한 간섭을 사전에 차단하여 충돌을 막기 위한 RTS 프레임을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한다.The receiving unit 1040 receives an RTS frame from the transmitting end to prevent collision by blocking interference due to transmission of peripheral terminals in advance.

수신부(1040)는 수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서 전송을 허락하는 CTS 프레임을 수신한다The receiving unit 1040 receives a CTS frame that is ready to receive data from the receiving end and permits transmission

수신부(1040)는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receiving unit 1040 receives data from the transmitting end.

수신부(1040)는 수신단이 데이터를 적절히 수신한 경우 ACK 프레임을 수신단으로부터 수신한다.The receiving unit 1040 receives an ACK frame from the receiving end when the receiving end properly receives the data.

프로세서(1045)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을 생성한다.The processor 1045 generates a relay frame containing the data.

한편, 수신단(1060)은 송신부(1065), 수신부(1070), 및 프로세서(1075)를 포함한다.The receiving terminal 1060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1065, a receiving unit 1070, and a processor 1075.

프로세서(1075)는 송신단과 제어 프레임을 송수신하여 중계 링크 연결을 시도하도록 동작한다. 송신단의 전송영역 밖에 수신단이 위치하는 경우, 중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함이다.The processor 1075 operates to transmit and receive a control frame with the transmitting end to attempt a relay link connection. When the receiving end is located outside the transmission region of the transmitting end, the relaying operation is performed.

프로세서(1075)는 CTS 프레임, 또는 ACK 프레임을 생성한다.The processor 1075 generates a CTS frame, or an ACK frame.

수신부(1070)는 중계단으로부터 중계 응답을 수신한다. 어느 송신단으로부터 어느 중계단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070 receives the relay response from the relay terminal. It is possible to know from which transmitting terminal the data is to be received through which relay terminal.

수신부(1070)는 송신단이 전송한 RTS 프레임을 중계단을 통해 수신한다. The receiver 1070 receives the RTS frame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through the relay terminal.

수신부(1070)는 중계단으로부터 송신단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을 수신한다.The receiving unit 1070 receives the relay frame including the data of the transmitting end from the relaying end.

송신부(1065)는 RTS에 대한 응답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서 전송을 허락하는 CTS 프레임을 중계단으로 전송한다.The transmitting unit 1065 is ready to receive data in response to the RTS, and transmits a CTS frame for allowing transmission to the relaying end.

송신부(1065)는 데이터를 적절히 수신했음을 알리는 ACK 프레임을 중계단으로 전송한다.The transmitting unit 1065 transmits an ACK frame indicating that the data has been properly received to the relay node.

한편,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may include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ther chipset, logic circuitry and / or data processing device.

또한, 송신단, 수신단 및 중계단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end, the receiving end and the relay end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in which data is stored, and the memory may be a read-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flash memory, a memory card, Storage device. When the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software, the above-described techniques may be implemented with modules (processes, functions, and so on)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The module is stored in memory and can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memory may be internal or external to the processor and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 by any of a variety of well known means.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system, the method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steps, and some steps may occur in different orders . It will als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eps shown in the flowchart are not exclusive and that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that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20)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단에서 중계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계할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 응답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 및 상기 수신단으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단은 상기 중계 응답 프레임을 통해 중계 전송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단으로 제공하고,
상기 중계단은 상기 중계 응답 프레임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수신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A method for transmitting a relay frame in a relay termina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a relay request frame from a transmitting terminal requesting transmission of data to a receiving terminal;
Transmitting a relay response frame including information on data to be relaye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respectively;
Receiving data from the transmitting end; And
Generating a relay frame including the 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relay frame to the receiver,
Wherein the relay station provides the transmitting terminal with information on whether to perform relay transmission through the relay response frame,
Wherein the relaying step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ransmitting terminal that transmits the data through the relay response frame to the receiv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단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y terminal is at least one terminal or an access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단은,
상기 송신단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 수신하는 신호의 전송률(rate) 또는 도착점 주소(Destination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변의 단말들 중에서 선택된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peating stage may include:
Wherein the terminal is a terminal selected from neighboring terminals based on at least one of a size of a signal received by the transmitter, a rate of a signal to be received, and a destination addr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은 상기 중계단의 ACK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transmitting a frame including the data to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frame including the data includes ACK information of the relay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주변 단말들의 신호 송신으로 인한 간섭을 차단하는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TS 프레임을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n RTS (Request To Send) frame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to block interference due to signal transmission of peripheral terminals; And
And transmitting the RTS frame to the receiving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응답 프레임은 RTS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y response frame includes RTS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서 전송을 허락하는 CTS(Clear-To-Send) 프레임을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CTS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Clear-To-Send (CTS) frame from the receiving end ready to receive data and allowing transmission; And
And transmitting the CTS frame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함을 지시하는 ACK 프레임을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CK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n ACK frame from the receiving end indicating that the data is successfully received; And
And transmitting the ACK frame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은,
상기 수신단이 상기 송신단의 전송영역 밖에 있을 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request frame includes:
And when the receiver is located outside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transmitter, the relay frame is transmitt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과 상기 수신단 사이에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단이 상기 송신단의 전송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f the beacon frame is not transmitted between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ing end exists outside the transmission end of the transmitting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프레임은 IEEE(Institu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a/g 규격의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y frame is an IEEE 802.11a / g standard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프레임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완전히 복조하고 다시 변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frame includes:
Wherein the data or the relay request frame is completely demodulated and re-modulat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프레임은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할 상기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lay frame
Further comprising data of the relay terminal itself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프레임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이득 조절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보상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frame includes:
Wherein the data or the relay request frame is compensated by gain adjustment and carrier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프레임은,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할 상기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relay fram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data of the relay terminal itself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termina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중계단 자신의 데이터는 각각 MAC(Media Access Control) 프레임 양식에 따라 출발점 주소, 도착점 주소 및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프레임 전송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ata and the data of the relay terminal each include a starting point address, a destination address, and a length information according to a MAC (Media Access Control) frame forma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수신단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어느 데이터를 중계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 응답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 및 상기 수신단으로 각각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계 프레임을 상기 수신단으로 전송하되,
상기 단말은 상기 중계 응답 프레임을 통해 중계 전송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송신단으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중계 응답 프레임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송신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수신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 relay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receiver for receiving a relay request frame requesting data transmission to a receiver from a transmitter; And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relay response frame including information on which data is relayed to the transmitting end and the receiving end, respectively,
Wherei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data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Wherein the transmitter transmits a relay frame including the data to the receiver,
The terminal provides the transmitting terminal with information on whether to perform the relay transmission through the relay response frame,
Wherein the terminal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ransmitting terminal that transmits the data through the relay response frame to the receiving terminal.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송신단이 수신하는 신호의 크기, 수신하는 신호의 레이트(rate) 또는 도착점 주소(Destination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주변의 단말들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is selected from neighboring terminals based on at least one of a size of a signal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a rate of a signal to be received, and a destination addres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완전히 복조하고 다시 변조하여 상기 중계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The method of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 processor for generating the relay frame,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emodulates and modulates the data or the relay request frame completely to form the relay fram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이득 조절 및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 보상하여 상기 중계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The method of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 processor for generating the relay frame,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the relay frame is configured by performing gain control and carrier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on the data or the relay request frame.
KR1020120004358A 2011-01-14 2012-01-1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822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51,205 US9226323B2 (en) 2011-01-14 2012-01-16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23 2011-01-14
KR20110004223 2011-01-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498A Division KR102016066B1 (en) 2011-01-14 2018-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838A KR20120082838A (en) 2012-07-24
KR101882253B1 true KR101882253B1 (en) 2018-08-24

Family

ID=467144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358A KR101882253B1 (en) 2011-01-14 2012-01-1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180084498A KR102016066B1 (en) 2011-01-14 2018-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498A KR102016066B1 (en) 2011-01-14 2018-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822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24781B3 (en) * 2014-12-03 2016-04-14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configuring a radio network and central station for a radio network
KR102415905B1 (en) * 2021-11-15 2022-07-05 (주) 시스메이트 Physical layer based private secure network system and method thereof supporting public wireless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503A (en) * 2000-08-16 2002-02-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Wireless packet relay method
US20050206554A1 (en) * 2004-02-09 2005-09-22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60198477A1 (en) * 2005-03-02 2006-09-07 Moorti R T Carrier detection for multiple receiver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89B1 (en) * 2006-06-30 2013-05-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System and method relaying a fram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2244498A1 (en) * 2008-02-14 2010-10-27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relay device,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8787277B2 (en) * 2009-02-09 2014-07-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503A (en) * 2000-08-16 2002-02-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Wireless packet relay method
US20050206554A1 (en) * 2004-02-09 2005-09-22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60198477A1 (en) * 2005-03-02 2006-09-07 Moorti R T Carrier detection for multiple receiver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838A (en) 2012-07-24
KR102016066B1 (en) 2019-08-29
KR20180088338A (en)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63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670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ssion in wireless LAN
KR101903998B1 (en) Improved fragmentation for long packets in a low-speed wireless network
US8942123B2 (en) Deferral mechanism for improved medium reuse in wireless networks with transmit power imbalances
EP31600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JP5418042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735031B1 (en) Method for selecting an entity based on a total link quality
US76096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low-overhead, high spatial reuse medium access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US201800353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plified store and forward relays
EP155799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virtual carrier sensing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CN107612662B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relay
JP2016540434A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st commun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140056223A1 (en) Fragmentation for long packets in a low-speed wireless network
CN106233791A (en) The definition of different NDP PS polling types
KR1020160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la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91358A1 (en) Improved fragmentation for long packets in a low-speed wireless network
JP2013232858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20160360397A1 (en) Color coding for data confirmation signals
JP2016535525A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2005253021A (e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JP408678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21357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568978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