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545B1 - 분무기 - Google Patents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545B1
KR101880545B1 KR1020160119039A KR20160119039A KR101880545B1 KR 101880545 B1 KR101880545 B1 KR 101880545B1 KR 1020160119039 A KR1020160119039 A KR 1020160119039A KR 20160119039 A KR20160119039 A KR 20160119039A KR 101880545 B1 KR101880545 B1 KR 101880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solution
assembly
main body
pump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115A (ko
Inventor
홍기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Priority to KR102016011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545B1/ko
Priority to EP16002491.5A priority patent/EP3296023A1/en
Priority to US15/360,963 priority patent/US9878337B1/en
Priority to CN201611038461.3A priority patent/CN107837978B/zh
Publication of KR2018003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64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fed by mechanical pumping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81Apparatus supplied with low pressure gas, e.g. "hvlp"-guns; air supplied by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with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무기는 좌우로 분리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내부공간에 약액통 조립부, 송풍모듈 조립부, 펌프 조립부, 분사노즐 조립부가 각각 형성되며, 송풍모듈 조립부의 후방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송풍모듈 조립부의 전방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넥부가 형성된 본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부에 설치된 약액 주입구, 약액 주입구에 외부와의 공기 흐름을 위한 에어 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약액 주입구에 개폐되는 약액통 뚜껑 및 하부에 형성된 약액 배출구를 구비하여, 본체의 약액통 조립부에 조립되는 약액통; 본체의 송풍모듈 조립부에 설치되어 본체 내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넥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모듈; 본체의 펌프 조립부에 설치되어 약액통의 약액 배출구에 연결 파이프로 연결된 펌프; 본체의 분사노즐 조립부에 설치되어 펌프와 연결 파이프로 연결된 분사노즐 조립체; 및 본체 넥부의 단부에 분리결합되는 전후방이 개방된 관 형상의 고정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무기{sprayer}
본 발명은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며, 약액의 분사 및 분사거리를 조절이 가능하고, 분무기의 내부 구성요소의 조립이 용이한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에 압력을 가하여 넓은 면적으로 살포되도록 하는 분무기는 작동방식, 용도,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가정용, 농업용, 산업용 등의 용도와 분무 대상에 따라서 무상(霧狀) 또는 입상(粒狀)으로 분무되는 입자의 크기, 형태, 분무면적 등이 다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형태의 분무기의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다.
한편, 방역이나 살균을 위한 분무기의 경우에는 약액이 보다 넓은 면적에 고르게 살포되도록 하는 것이 방역 효과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가 수십 ~ 수백 ㎛ 이내로 분무되는 분무기들이 선호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역, 소독 등에 주로 사용되는 분무기는 흔히 약액분무기, 방역기, 살균소독기 등의 명칭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이와 같이 방역 또는 살균에 주로 사용되는 분무기 및 분무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들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188호(약액 분사장치),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064호(약액 미세분사노즐),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206호(약액 분사노즐의 와류 형성구) 등이 있다.
도 1은 전술한 종래 한 예의 약액 분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약액 분사장치(10)에서는 본체(12)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20)이 구동될 때 발생하는 공기가 공기노즐(22)의 후방에 마련된 좁은 유로(24)를 통과하면서 고압의 상태로 변하게 되고, 고압 상태의 공기 대부분은 공기노즐(22)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일부의 공기는 약액통 가압관(26)을 따라 약액통(30)의 상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약액통(30)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수면 상부로 약액통 가압관(26)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수면 상부 공간의 압력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하단이 약액통(30)의 하부까지 배관된 약액 펌핑관(32)을 따라 약액이 약액통(30) 외부로 배출되고, 약액통(30)으로부터 배출된 약액은 약액 펌핑관(32)과 연결된 약액 배출관(34)을 따라 약액노즐(36)까지 흐르게 된다. 한편, 약액노즐(36)의 주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20)으로부터 제공된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고 있는 공기노즐(22)이 형성된 상태임에 따라서 약액노즐(36)을 통해 배출되는 약액은 공기노즐(22)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 영향을 받아 안개형상의 분무가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약액통(30) 내부의 약액이 약액노즐(36)을 통해서 분무가 되기 위해서는 약액 분사장치(10)의 내부에 약액통 가압관(26), 약액 펌핑관(32) 및 약액 공급관(34)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관열결구(40)가 본체(12)와 약액통(30)이 조립되는 구간에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분사되는 약액을 조절하기 위한 약액조절수단(38)이 약액 배출관(34)의 도중에 설치되어야 하고, 본체(12)와 약액통(30)이 전술한 관연결구(4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립수단(50) 등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약액 분사장치의 경우에는 송풍팬의 구동으로 노즐 후방에서 발생한 압력 일부가 약액통으로 전달되고, 이렇게 약액통으로 전달된 고압의 공기에 의해서 약액통 내부의 약액이 펌핑되고, 약액 노즐을 통해 약액의 분무가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위해서는 본체 내부에 다수의 관이 배관되어야할 뿐만 아니라 약액 배출관 도중에 약액의 조절을 위한 별도의 장치도 마련되어야만 하는 등 약액 분무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188호(2012. 06. 18.)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064호(2012. 09. 2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206호(2011. 11. 03.)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약액의 분사 개시, 분사량 및 분사거리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고, 분무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분무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무기는, 좌우로 분리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내부공간에 약액통 조립부, 송풍모듈 조립부, 펌프 조립부, 분사노즐 조립부가 각각 형성되며, 송풍모듈 조립부의 후방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송풍모듈 조립부의 전방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넥부가 형성된 본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부에 설치된 약액 주입구, 약액 주입구에 외부와의 공기 흐름을 위한 에어 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약액 주입구에 개폐되는 약액통 뚜껑 및 하부에 형성된 약액 배출구를 구비하여, 본체의 약액통 조립부에 조립되는 약액통; 본체의 송풍모듈 조립부에 설치되어 본체 내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넥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모듈; 본체의 펌프 조립부에 설치되어 약액통의 약액 배출구에 연결 파이프로 연결된 펌프; 본체의 분사노즐 조립부에 설치되어 펌프와 연결 파이프로 연결된 분사노즐 조립체; 및 본체 넥부의 단부에 분리결합되는 전후방이 개방된 관 형상의 고정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에서, 약액통 조립부, 송풍모듈 조립부, 펌프 조립부 및 분사노즐 조립부는, 격벽, 리브, 결합 요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에서, 본체는 휴대용 손잡이 또는 멜빵 고리와의 결합을 연결고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에서, 약액통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표시창이 돌출되게 상하로 형성되고, 본체에는 약액통의 표시창에 대응되는 위치에 눈금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에서, 눈금창은 표시창에 대응되게 결합요홈이 가지는 것으로서, 본체에 형성된 절개홈에 분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에서, 눈금창은 나사결합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본체의 절개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에서, 눈금창의 일측에는 약액통의 측면을 눌러주는 누름돌기가 내향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에서, 약액통과 펌프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에는 필터모듈이 더 구비되고, 이 필터모듈은, 약액통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펌프에 연결되는 배출구 및 외향지게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본체에 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필터 고정구;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고 필터 고정구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유입구에 결합되는 필터; 및 외주면에 필터 고정구의 내부공간 개방부를 개폐하는 밀폐원통이 내면에 형성되고, 밀폐원통의 외곽에 결합돌기와 한 쌍을 이루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외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필터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는, 휴대 및 분사작업이 용이할 뿐더러 약액의 분사 개시, 분사량 및 분사거리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고, 분무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약액 분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무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무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약액 주입구와 약액 뚜껑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2 및 도 3의 흡입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2 및 도 3의 분사노즐 조립체와 본체와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
도 8 및 9는 도 2 내지 도 7의 약액통과 본체의 주요부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2 내지 도 7의 필터모듈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2는 도 2 내지 도 7의 분사노즐 조립체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분사노즐 조립체의 내부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무기의 구성 및 작동 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약액 주입구와 약액 뚜껑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2 및 도 3의 흡입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 및 도 3의 분사노즐 조립체와 본체와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무기는, 한 쌍의 하우징(100a, 100b)으로 구성된 본체(100), 약액이 수용되는 약액통(200), 구동 모터와 송풍팬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송풍모듈(300), 약액을 펌핑하는 펌프(400), 5개의 분사노즐(530)을 가지는 분사노즐 조립체(500), 양방이 개방된 고정캡(600), 송풍모듈(300)과 펌프(400)를 포함하는 분무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가 구성된 제어회로패널(700), 그리고 전원이 충전 및 방전되는 배터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요소 중 분무기의 뼈대가 되는 본체(100)는 약액통(200)을 포함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내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분리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100a, 100b)으로 구성되는 사출 성형제품으로서 사출성형금형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좌우 대칭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한 쌍의 하우징(100a, 100b)은 일체형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하우징(100a, 100b)의 전방, 즉 넥부(170)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의 고정 캡(600)에 의해 체결된다. 이를 위해,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a, 100b)의 외측 둘레에는 고정캡(600)의 조립과 체결을 위한 고정캡 락킹부(172)가 형성되며, 고정캡 락킹부(172)에 대응하는 위치의 고정캡(600)의 내측 둘레에는 고정캡 락커(602)가 형성된다.
위의 본체(100)는 내부공간에 약액통 조립부(110), 송풍모듈 조립부(120), 펌프 조립부(130), 분사노즐 조립부(140), 배터리 조립부(150), 제어회로 조립부(160)가 구비되고, 송풍모듈 조립부(120) 후반부의 하우징(100a, 100b)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21)가 형성되며, 송풍모듈 조립부(120) 전방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고 전방이 개방된 형태의 넥부(170)가 형성된다.
여기서, 흡입구(121)는 도 5a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 쪽보다 외부 쪽이 낮게 본체(100)에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121a)에 의해 형성되거나 도 5b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 쪽보다 외부 쪽이 낮게 경사지게 형성된 그릴(121b)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외부공기(A)는 본체(100) 내부로 원활하게 흡입되나, 물과 같은 이물질(W)은 그릴(121a, 121b)에 의해 차단되어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위의 본체(100) 즉, 하우징(100a, 100b) 내의 약액통 조립부(110), 송풍모듈 조립부(120), 펌프 조립부(130), 분사노즐 조립부(140), 배터리 조립부(150) 및 제어회로 조립부(160)는 하우징(100a, 100b)과 함께 격벽(181), 리브(182) 및 결합 요홈(183)에 의해 구획된다.
여기서, 격벽(181)은 하우징(100a, 100b)의 내면에 수직 또는 수평지게 형성되어 하우징(100a, 100b)의 내부공간을 약액통(200), 송풍모듈(300), 펌프(400), 분사노즐 조립체(500), 배터리(800) 및 제어회로패널(70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하 또는 전후로 분할한다. 또한, 리브(182)는 하우징(100a, 100b)의 내면에 수평지게 형성되어, 각 약액통 조립부(110), 송풍모듈 조립부(120), 펌프 조립부(130), 분사노즐 조립부(140), 배터리 조립부(150) 및 제어회로 조립부(160)에 조립되는 약액통(200), 송풍모듈(300), 펌프(400), 분사노즐 조립체(500), 배터리(800) 및 제어회로패널(700)의 측면이나 전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결합 요홈(183)은 펌프 조립부(130)나 분사 노즐 조립부(140)를 구성하는 하우징(100a, 100b)에 직접 또는 별도의 리브에 의해 형성되어 펌프(400)나 분사노즐 조립체(500)의 일부를 결합할 수 있는 요홈을 제공한다.
위의 본체(100)의 약액통 조립부(110)에 조립되는 약액통(200)은 약액이 저장되는 용기로서, 상부에는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약액 주입구(2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약액이 배출되는 약액 배출구(230)이 형성된다. 위의 약액 주입구(210)에는 약액통 뚜껑(220)이 나사 결합에 의해 개폐되는데, 이 약액통 뚜껑(22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액통(200) 외부와의 공기 흐름을 위한 에어 홀(22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약액통 뚜껑(220)의 내부에는 에어홀(221)이 연통되는 체크밸브(222)가 설치된다. 이 체크밸브(222)는 약액통(200)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를 통과시키지만, 반대로 약액통(200)에 저장된 약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체(100)의 송풍모듈 조립부(120)에 조립되는 송풍모듈(300)은 구동모터와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본체(100)의 송풍모듈 조립부(120)에 설치되어 본체(100) 내부로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약액과 함께 넥부(170)를 통해 외부로 토출한다. 또한, 본체(100)의 펌프 조립부(130)에 조립되는 펌프(400)는 양단이 연결 파이프(410a, 410b)에 의해 약액통(200)의 약액 배출구(230)와 분사노즐 조립체(500)에 각각 연결되어, 약액통(200)의 약액을 분사노즐 조립체(500)로 펌핑한다.
이때 약액통(200), 펌프(400) 및 분사노즐 조립체(500)와 연결 파이프(410a, 410b)는 다양한 형상의 연결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연결작업이 용이할 뿐더러 연결과정이나 연결 후 연결 파이프(410a, 410b)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약액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약액이 분사되는 분사노즐 조립체(500)는 본체(100)의 분사노즐 조립부(140), 즉 넥부(170)의 내부에 설치되어, 펌프(400)와 연결 파이프(410a)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a, 100b) 넥부(170)의 상하좌우에는 분사노즐 조립체(500)의 각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 요홈(18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100a, 100b) 넥부(170)의 좌우에 형성된 결합 요홈(183)은 완전체이고, 상하에 형성되는 결합 요홈(183)은 반쪽으로서, 하우징(100a, 100b)의 결합으로 완전체가 된다.
고정캡(600)은 전후방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본체(100) 넥부(170)의 단부에 분리결합되어, 한 쌍의 하우징(100a, 100b)을 일체형으로 체결하는 한편 약액과 공기가 특정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부에는 분무기의 휴대를 위한 휴대용 손잡이(191)와 함께 연결고리(192a)(192b)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분무기를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는 멜빵 고리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도 8 및 9는 도 2 내지 도 7의 약액통과 본체의 주요부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와 약액통(200)은 약액통(200)에 저장중인 약액의 수위를 본체(100) 밖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눈금창(193)과 표시창(240)을 각각 구비한다.
위와 같은 눈금창(193)과 표시창(240)은 각각 본체(100)와 약액통(200) 보다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는 약액통(2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특히, 본체(100)의 눈금창(193)과 약액통(200)의 표시창(240)은 상호 밀착되게 겹쳐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체(100)의 하우징(100a, 100b)이 불투명질 재질로 성형되기 때문에 본체(100)에 표시창(240)을 설치하기 위해, 본체(100)에는 표시창(240)에 대응하는 절개홈(194)이 형성되고, 표시창(240)은 본체(100)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성형되어 위의 절개홈(194)에 결합된다.
이렇게 본체(100)와 별개의 부품으로 성형되는 표시창(240)은 내면에 약액통(200)의 눈금창(193)이 결합되는 결합요홈(193a)이 형성되고, 그의 주변은 본체(100)의 절개홈(194)에 결합시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폭으로 연장되어 있다.
특히, 눈금창(193)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누름돌기(193b)가 내향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본체(100)에 약액통(200)을 조립하였을 때 약액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약액통(200)이 본체(100)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약액통(200)의 측면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본체(100)의 절개홈(194)에 결합되는 눈금창(193)은 나사결합이나 초음파 융착 또는 각종 접착제에 의해 본체(100)에 고정된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약액통(200)에 저장중인 약액의 수위를 표시할 수 있는 눈금이 눈금창(193) 즉, 본체(100)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창(240) 즉, 약액통(200)에 형성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 내지 도 7에서 약액통(200)과 펌프(400)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410b) 상에 위치한 필터모듈(420)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위와 같이 약액통(200)과 펌프(400)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410b) 상에는 약액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도 10 및 도 11과 같은, 필터 모듈(420)이 구비되는데, 이는 필터 고정구(421), 필터(422) 및 필터캡(423)으로 이루어진다.
위의 필터 고정구(421)는 본체(100)의 필터 결합공(100c)에 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조립되어 나사 결합 등에 의해 본체(10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에는 약액통(200)과의 연결을 위한 유입구(421a)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펌프(400)와의 연결을 위한 배출구(421b)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 필터 고정구(421)는 끝 부분, 즉 본체(100)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필터캡(423)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421c)가 형성되고, 이 결합돌기(421c)와 일정간격, 즉 본체(100)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421d)가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421c)와 고정돌기(421d)는 각 수평지게 배치된 2개의 이상의 돌기로서 본체(100)와 결합시 각각 본체(100)의 외부와 내부에 위치하여 필터 고정구(421)를 본체(100)에 고정하거나 필터캡(423)과 결합된다.
필터 고정구(421)의 내부에 결합되는 필터(422)는 일측과 측면이 망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개방된 방향이 안쪽을 향하도록 필터 고정구(421)의 내부에 결합되어 유입구(421a)와 배출구(421b)를 망으로 가로 막음으로써, 유입구(421a)로 유입되어 배출구(421b)로 배출되는 약액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필터(422)의 일측에는 필터(422)의 분리 결합을 위한 손잡이(422a)가 형성된다.
위의 필터 고정구(421)의 개방된 방향에 분리 결합되는 필터캡(423)은 원판 형상의 캡 본체(423e)와, 캡 본체(423e)의 내면에 형성되어 필터 고정구(421)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밀폐 원통(423b)과, 캡 본체(423e)의 내면에 밀폐 원통(423b)과 일정간격을 두고 필터 고정구(421)의 결합돌기(421c)와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돌기(423c) 및 캡 본체(423e)의 외면에 형성된 개폐 손잡이(423d)를 구비한다.
특히, 밀폐 원통(423b)의 외주면에 오링(423a)이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필터 고정구(421)에 필터캡(423)이 결합되었을 때 필터 고정구(421)의 내면에 필터캡(423) 밀폐 원통(423b)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필터 모듈(420)을 경유하는 약액이 외부로 새지 않는다.
도 12는 도 2 내지 도 7의 분사노즐 조립체(50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분사노즐 조립체(5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노즐 조립체(500)는, 약액통, 즉 펌프와 연결되는 연결부(510), 연결부(510)의 한쪽 끝 부분으로부터 연결부(510)와 직각을 이루면서 십자형으로 분기된 분기관(520), 분기관(520)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분사노즐(530), 분사노즐(530)의 전단에 분리 결합되는 노즐캡(540)을 구비한다.
위와 같이 연결부(510)와 분기관(520)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서, 내부에 약액의 흐름을 위한 유로(551)가 형성된다. 분기관(520) 단부의 개방된 유로(551)는 사출 성형 후 별도의 마감작업을 통해 밀폐한다.
위의 분기관(520)에는 5개의 분사노즐(530)이 구비되는데, 이는 분기관(520)의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고정관(521)과, 중앙에 노즐 구멍(522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부(522b)가 형성되어, 고정관(521)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고정체(522)로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관(521)에 고정체(522)가 일체형으로 결합됨으로써, 고정체(522)의 중앙과 고정체(522)와 고정관(521) 사이에 약액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 구멍(522a, 522c)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관(521)에는 노즐캡(540)이 결합되는데, 이의 중앙에 관통공(54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541)의 주변, 즉 내면이 관통공(54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꺼워지면서 경사면(542)을 가짐으로써, 분사구멍(522a)으로부터 분사되는 약액을 관통공(541)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고, 분사 구멍(522c)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을 경사면(542)을 타고 관통공(541)을 통해 일정각도로 퍼지게 분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배터리 조립부(150)가 구비되고, 해당 배터리 조립부(150)에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800)가 내입되어 분무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패널(700)에 연결되며, 배터리(800)에 전원 연결구(710)가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분무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을뿐더러 분무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충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회로패널(700)에 접속되는 조절 노브(720)가 그의 일부가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송풍모듈(30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약액을 분사거리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회로패널(700)은 조절 노브(720)의 구동(회전)에 연동해서 펌프(400)와 송풍모듈(300)의 구동모터를 동시에 '온/오프'시키는 한편 송풍모듈(300)의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의 몇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0 : 본체 100a, 100b : 하우징
110 : 약액통 조립부 120 : 송풍모듈 조립부
121 : 흡입구 130 : 펌프 조립부
140 : 분사노즐 조립부 150 : 배터리 조립부
160 : 제어회로 조립부 170 : 넥부
181 : 격벽 182 : 리브
183, 193a : 결합 요홈 191 : 휴대용 손잡이
192a, 192b : 연결고리 193 : 눈금창
194 : 절개홈 193b : 누름 돌기
200 : 약액통 210 : 약액 주입구
220 : 약액통 뚜껑 221 : 에어홀
222 : 체크밸브 230 : 약액 배출구
240 : 표시창 300 : 송풍모듈
400 : 펌프 410a, 410b : 연결 파이프
420 : 필터모듈 421 : 필터 고정구
421a : 유입구 421b : 배출구
421c, 423c : 결합돌기 423 : 필터캡
423a : 오링 423b : 밀폐 원통
423d : 개폐 손잡이 500 : 분사노즐 조립체
600 : 고정캡 700 : 제어회로패널
710 : 전원 연결구 720 : 조절 노브
800 : 배터리

Claims (12)

  1. 분리결합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약액통 조립부, 송풍모듈 조립부, 펌프 조립부, 분사노즐 조립부 및 배터리 조립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약액통 조립부가 위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눈금창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모듈 조립부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펌프 조립부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필터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모듈 조립부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넥부가 형성되되 상기 넥부의 내측 둘레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 요홈이 형성되는 한편 외측 둘레에는 고정캡 락킹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조립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부에는 약액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눈금창에 대응하는 위치의 측면에는 표시창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약액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약액 주입구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약액통 뚜껑에는 외부와의 공기 흐름을 위한 에어 홀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에어 홀의 내측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약액통 조립부에 조립되는 약액통;
    상기 송풍모듈 조립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내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넥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모듈;
    상기 펌프 조립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액 배출구와 연결 파이프로 연결되는 펌프;
    상기 필터 결합공에 설치되는 필터 고정구의 내부공간에 필터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필터 고정구의 개방된 외측에 필터캡이 설치되며, 상기 필터 고정구 내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상기 연결 파이프의 도중이 연결되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모듈;
    상기 펌프 후방에 배관되는 상기 연결 파이프의 끝단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십자형으로 분기되는 분기관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분사노즐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에는 노즐캡이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 조립부에 조립되되 상기 분기관의 각 단부는 상기 넥부의 상기 결합 요홈에 수용되는 분사노즐 조립체;
    상기 넥부에 분리결합되는 전후방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 둘레에는 상기 고정캡 락킹부에 대응하는 고정캡 락커가 형성된 고정캡;
    상기 본체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전원 연결구와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조립부에 설치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된 조절 노브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모듈의 구동모터의 회전과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회로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눈금창의 조립을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눈금창에는 상기 표시창에 대응하는 결합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휴대용 손잡이 또는 멜빵 고리와의 결합을 연결고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119039A 2016-09-19 2016-09-19 분무기 KR101880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39A KR101880545B1 (ko) 2016-09-19 2016-09-19 분무기
EP16002491.5A EP3296023A1 (en) 2016-09-19 2016-11-23 Sprayer
US15/360,963 US9878337B1 (en) 2016-09-19 2016-11-23 Sprayer
CN201611038461.3A CN107837978B (zh) 2016-09-19 2016-11-23 喷雾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39A KR101880545B1 (ko) 2016-09-19 2016-09-19 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115A KR20180031115A (ko) 2018-03-28
KR101880545B1 true KR101880545B1 (ko) 2018-08-17

Family

ID=5739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039A KR101880545B1 (ko) 2016-09-19 2016-09-19 분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78337B1 (ko)
EP (1) EP3296023A1 (ko)
KR (1) KR101880545B1 (ko)
CN (1) CN107837978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96A (ko)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노즐 어셈블리
KR102215252B1 (ko) * 2019-08-21 2021-02-15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KR20220032852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파티클 2차오염이 없는 휴대용 방역기
KR20230012901A (ko) 2021-07-16 2023-01-26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노즐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0814A (zh) * 2018-04-13 2018-11-09 河南大诚通用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压力传感技术的植保无人机防震荡药液箱
KR200488096Y1 (ko) * 2018-08-23 2018-12-12 유진수 약액 살포용 분무장치
US11684947B2 (en) * 2018-11-09 2023-06-27 Illinois Tool Works Inc. Modular fluid application device for varying fluid coat weight
WO2020257186A1 (en) * 2019-06-17 2020-12-24 Oms Investments, Inc. Mist sprayer apparatus
KR102227941B1 (ko) * 2019-07-30 2021-03-15 조승현 휴대용 수소수 미스트 분사기
CN210545798U (zh) * 2019-08-22 2020-05-19 佛山市耐堡电气有限公司 喷雾机
JP1671544S (ko) * 2019-12-25 2020-11-02
USD989231S1 (en) * 2020-03-27 2023-06-13 Particle Co., Ltd. Sterilizer
USD962387S1 (en) 2020-07-21 2022-08-30 Electrimist, LLC Electrostatic disinfecting sprayer
CN111760722A (zh) * 2020-07-28 2020-10-13 士商(上海)机械有限公司 喷雾器
CN111760690A (zh) * 2020-07-28 2020-10-13 士商(上海)机械有限公司 喷雾器
CN111760693A (zh) * 2020-07-28 2020-10-13 士商(上海)机械有限公司 喷头及喷雾器
USD962388S1 (en) * 2020-09-10 2022-08-30 Electrimist, LLC Electrostatic disinfecting sprayer
CN111992346A (zh) * 2020-09-18 2020-11-27 士商(上海)机械有限公司 喷雾器
CN113020137B (zh) * 2021-03-03 2023-01-20 南京市同亮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废油污清洁剂的钢管油污清洁装置
KR102494943B1 (ko) * 2021-07-16 2023-02-06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약액 분무장치
CN113648446B (zh) * 2021-08-17 2023-02-03 张长海 一种肿瘤处理喷雾消毒器
KR102363614B1 (ko) 2022-01-11 2022-02-15 여석경 와류식 분사구조와 플라즈마와 수소수를 이용한 살균 소독 방역용 초미립자 분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2330A1 (en) * 2000-07-24 2003-03-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sprayers
KR100811221B1 (ko) * 2007-12-05 2008-03-07 정경남 액체 살포용 분무장치
JP2012030166A (ja) * 2010-07-29 2012-02-16 Hitachi Koki Co Ltd 噴霧器
KR101153188B1 (ko) * 2010-04-06 2012-06-18 홍기술 약액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5112A (en) * 1941-04-11 1943-07-27 Nicholas A Constantine Sprayer
DE8532675U1 (ko) * 1985-11-19 1991-04-04 Koller, Heinrich, 8510 Fuerth, De
US5715999A (en) * 1996-01-30 1998-02-10 Hsu; Chin-Tien Atomizer
US7178743B2 (en) * 2004-06-29 2007-02-20 Clarke Consumer Products, Inc. Portable sprayer
WO2010080145A1 (en) * 2009-01-06 2010-07-15 Stylus, Inc. Airbrush
KR101079206B1 (ko) 2009-07-21 2011-11-03 홍기술 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KR101185064B1 (ko) 2011-04-21 2012-09-21 홍기술 약액 미세분사노즐
US10589298B2 (en) * 2014-09-04 2020-03-17 Victory Innovations Company Electrostatic fluid delivery system
CN205128245U (zh) * 2015-11-16 2016-04-06 浙江欧森机械有限公司 一种喷雾器
CN205392802U (zh) * 2016-02-19 2016-07-27 台州市庆丰机械有限公司 动力喷雾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2330A1 (en) * 2000-07-24 2003-03-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sprayers
KR100811221B1 (ko) * 2007-12-05 2008-03-07 정경남 액체 살포용 분무장치
KR101153188B1 (ko) * 2010-04-06 2012-06-18 홍기술 약액 분사장치
JP2012030166A (ja) * 2010-07-29 2012-02-16 Hitachi Koki Co Ltd 噴霧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196A (ko)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노즐 어셈블리
KR102215252B1 (ko) * 2019-08-21 2021-02-15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KR20220032852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파티클 2차오염이 없는 휴대용 방역기
WO2022055038A1 (ko) * 2020-09-08 2022-03-17 주식회사 파티클 2차오염이 없는 휴대용 방역기
KR102426931B1 (ko) * 2020-09-08 2022-07-29 주식회사 파티클 2차오염이 없는 휴대용 방역기
KR20230012901A (ko) 2021-07-16 2023-01-26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노즐 어셈블리
US11707750B2 (en) 2021-07-16 2023-07-25 Smbure Co., Ltd. Nozzle assembly for spr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78337B1 (en) 2018-01-30
EP3296023A1 (en) 2018-03-21
KR20180031115A (ko) 2018-03-28
CN107837978A (zh) 2018-03-27
CN107837978B (zh)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545B1 (ko) 분무기
US7354008B2 (en) Fluidic nozzle for trigger spray applications
KR101778971B1 (ko) 휴대용 전동식 연무기
KR101862497B1 (ko)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KR101692347B1 (ko) 분무기 및 분무조절장치
US7448557B2 (en) Application and method to disperse substance contained in a replaceable cartridge
US6715698B2 (en) Manually operable trigger sprayer with rearwardly located sprayer valve
US7032841B1 (en) Hand-held battery power sprayer
KR20040100930A (ko) 외부 혼합 용기를 구비하는 이중 분무기
US7891583B2 (en) Dome pump spray assembly
PT1079936E (pt) Difusor de produtos liquidos sob a forma de pulverizadores
TW201343261A (zh) 具可拆卸襯裡之噴霧器液體供應器
EP1634652B1 (en) Cap with a suction type spray head
CN111346750A (zh) 液体喷雾器
WO2004076073A1 (ja) 液状体噴射アダプター及び液状体供給貯液具
US6997396B2 (en) Battery operated airbrush
CN109153029B (zh) 扳机式喷射器
KR20190030696A (ko) 펌프 헤드 및 계량 장치
JP2005066588A (ja) ノズル部材、ポンプ式噴出器用噴出装置、エアゾール式噴出器用噴出装置、押出し式噴出器用噴出装置および噴出器
KR102210851B1 (ko) 나선형 돌출부를 이용하는 액체 분무기
US20030225427A1 (en) Wristband type electric nose cleaner
US20170173599A1 (en) Modular Nozzle Assembly and Fluidic Plate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reating 2-D or 3-D Spray Patterns
KR102395262B1 (ko) 약액 분사 장치
JP3473719B2 (ja) 噴霧ノズル
KR200482918Y1 (ko) 압축식 수동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