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652B1 - Highload switch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Highload switch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652B1
KR101879652B1 KR1020170029237A KR20170029237A KR101879652B1 KR 101879652 B1 KR101879652 B1 KR 101879652B1 KR 1020170029237 A KR1020170029237 A KR 1020170029237A KR 20170029237 A KR20170029237 A KR 20170029237A KR 101879652 B1 KR101879652 B1 KR 101879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terminal
terminal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7002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6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6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A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peration knob receiving an operation force; a housing part coupled to the operation knob; a pusher transmitting the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knob; a movable terminal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moved by the pusher; and a fixing terminal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housing part, cutting off a predetermined part, contacting with the movable terminal, and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Therefore, the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is generated through an automation process to reduce a production time and a production cost.

Description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Highload switch for vehicle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load switch for vehicles,

본발명은 차량용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하우징부와 고정단자를 이중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생산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which integrally produces a housing part and a fixed terminal through a double injection process.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요 구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고부하 스위치 장치가 배치된다. 기존의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 하측에 위치하는 하우징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움직이는 푸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존재하는 고정단자 및 상기 푸셔에 의해 움직여 상기 고정단자와 접점을 일으키는 가동단자로 이루어져 있다.Generally, various kinds of high-load switch devices are disposed in the vehicle so as to operate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by using a current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not shown). The conventional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includes an operating unit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a housing unit located below the operating unit, a pusher moving by the operating unit, a fixed terminal existing inside the housing unit, And a movable terminal for generating a contact.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의 개수는 발생시켜야 하는 전기적 신호의 개수에 기인하여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2개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2쌍의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가 배치된다. 이는 하우징부에조립을 통해 결합된다. 조립을 통한 공정은 제작 시간 및 제작 비용 측면에서 자동화 공정에 비해 불리하다.The number of fixed and movable terminals is designed due to the number of electrical signals that must be generated. Since two electrical signals are generally generated, two pairs of fixed and movable terminals are disposed. Which is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through assembly. The assembly process is disadvantageous compared to the automated process in terms of production time and production cost.

또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고정단자 부분은 적어도 4개로 이루어진다. 이보더 더 많이 연결되는 스위치도 존재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고정단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인쇄회로기판의 공간 활용 효율이 낮아지며,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확대하게 하여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 효율이 낮아진다.And at least four fixed terminal portion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 may also be switches that connect more than this. As the number of the fixed terminal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reases, th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decreases and the siz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reases.

또한 상기 푸셔는 회동하는 조작부에 의해 전달되는 조작력을 선형적인 힘으로 변형하여 가동단자를 이동시킨다. 하지만 이와 같은 조작부의 회동 조작력은 상기 푸셔를 좌우로 흔들리게 한다. 이는 상기 푸셔의 상하 운동을 방해하여 상기 스위치의 오작동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 pusher deforms the operating force transmitted by the rotating operating portion to a linear force to move the movable terminal. However, such a turning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ng portion causes the pusher to swing to the left and right. This disadvantageously interferes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usher, resulting in malfunction of the switch.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3823호(2008.07.03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43823 (published on Mar. 3, 20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작 시간을 단축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production time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차량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malfunc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하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각종 전장소자가 결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부 또는 일체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조작노브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로 전달하는 푸셔, 상기 푸셔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단자, 상기 가동단자와 접점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정단자 및 상기 가동단자와 접촉되어 접지시키는 그라운드단자가 구비된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고정단자가 일체로 성형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그라운드단자가 일체로 성형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하 직선 이동되도록 배치된 상기 푸셔에 의하여 상기 가동단자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peration knob which is pivo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a user's operation; A push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ransferring the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knob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housing portion having a fixed terminal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and generating a grounding terminal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wherein 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the fixed terminal And an upper hous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ground terminal, The movable terminal is movably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lower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by the pusher disposed so as to move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upper housing at the same time and move up and down linearly.

여기서, 상기 고정단자는, 단수개의 터미널이 상기 하부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되되 3개의 연장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하부 하우징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 상기 3개의 연장부가 3개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자로 구현되도록 외부로 노출된 소정부가 절단될 수 있다.The fixed terminal is integrally molded into the lower housing so that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housing and three extended portions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three extend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terminals The predetermined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cut.

또한, 상기 3개의 연장부의 상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평행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s of the three extending portions may be formed in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상기 가동단자는, 상기 조작노브의 일측 회동 동작에 의하여 이동되는 제 1가동단자와, 상기 조작노브의 타측 회동 동작에 의하여 이동되는 제 2가동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3개의 연장부는, 상기 제 1가동단자가 이동되어 상기 고정단자에 형성된 2개의 고정단자 접점부 중 제 1고정단자 접점부와 접점되면 창문을 올리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1연장부와, 상기 제 2가동단자가 이동되어 상기 고정단자에 형성된 2개의 고정단자 접점부 중 제 2고정단자 접점부와 접점되면 창문을 내리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2연장부와, 상기 고정단자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 3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movable terminal that is moved by one rotation of the operation knob and a second movable terminal that is moved by another rotation of the operation knob, The extension part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for transferring a signal for raising the window to the control part when the first movable terminal is moved and contacts the first fixed terminal contact part of the two fixed terminal contact parts formed on the fixed terminal, A second extension part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lowering the window to the control part when the movable terminal is moved and contacts the second fixed terminal contact part of the two fixed terminal contact parts formed on the fixed terminal, 3 extensions.

또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가동단자와 접점되는 상기 2개의 고정단자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연장부가 연결된 본체부, 상기 소정부로서, 상기 제 1연장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 1연결부, 상기 소정부로서, 상기 제 2연장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 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부는 절단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사출 성형될 수 있다.The fixed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the two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the third extended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movable body,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integrally connecting the second extending part and the main body part,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ar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lower housing so as to be easily cut, And can be injection molded.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푸셔가 관통하는 홀부(22)가 형성되고, 상기 홀부에 배치되어 상기 푸셔의 상, 하 움직임을 도와주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upper housing may have a hole portion 22 through which the pusher passes, and a guide portion disposed in the hole portion to help the pusher move upward and downward.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를 형성된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 guide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housing and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a penetrating part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홀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the hole portion and the through portion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의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high load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자동화 공정을 통해 고정단자 및 그라운드를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 할 수 있어 조립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fixed terminal and the ground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through the automation process, the assembling process can be omitted.

둘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고정단자의 개수가 줄어들어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Second, the number of fixed terminal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셋째, 푸셔가 원활하게 작동할수 있다.Third, the pusher can work smoothl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우징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조작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조작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의 그라운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가동단자와 고정단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고정단자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1의 가동단자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n exploded view of a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housing part of Figure 1,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Fig. 1,
Fig.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Fig. 1,
Figure 5 shows the ground of Figure 1,
Fig. 6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vable terminal and the fixed terminal in Fig. 1,
Fig. 7 shows the fixed terminal of Fig. 1,
Figure 8 shows the movable terminal of Figure 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heavy load switch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우징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조작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조작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의 그라운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가동단자와 고정단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고정단자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1의 가동단자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n exploded view of a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housing of FIG. 1,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ortion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the ground of Fig. 1, Fig. 6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vable terminal and the fixed terminal of Fig. 1, and Fig. 7 is a cross- And Fig. 8 shows the movable terminal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제 1방향은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면을 가르키면서 상기 스위치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제 1방향과 수직이면서 상기 스위치의 바닥면과 평행인 방향이며, 제 3방향은 상기 제 1방향 및 상기 제 2방향과 수직이면서 상기 스위치의 상 측을 가르키는 방향을 말한다. 상기 방향들은 도 2내지 도 8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tch while pointing to a relatively long surface in the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and the second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Parallel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refers to a direction pointing to the upper side of the switch. These directions are applied similarly in Fi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하는 조작노브(10)와, 상기 조작노브(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각종 전장 소자(미도시)가 결합된 인쇄회로기판(7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 결합된 하우징부(20)를 포함한다.A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knob 10 which rotates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a user's operation and a control device 10 which is disposed below the operation knob 10, And a housing unit 20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70,

여기서, 하우징부(2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조작노브(1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하부로 전달하는 푸셔(30)와, 상기 푸셔(30)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단자(40)와, 상기 가동단자(40)와 접점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정단자(50)와, 상기 가동단자(40)와 접촉되어 접지시키는 그라운드단자(60)가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20 is provided with a pusher 30 for receiving the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knob 1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nd transmitting the operation forc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 fixed terminal 50 which contacts the movable terminal 40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a ground terminal 60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40 to ground the movable terminal 40 May be provid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부(2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자(5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하부 하우징(25)과, 상기 그라운드단자(6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상부 하우징(21)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housing unit 20 includes a lower housing 25 into which the fixed terminal 50 is integrally injection-molded, and a ground terminal 60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housing 25, And an upper housing 21 to be molded.

상기 하부 하우징(25)과 상기 상부 하우징(21) 사이에는 상기 가동단자(40)가 설치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푸셔(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21)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을 관통하여 상기 조작노브(10)로부터의 조작력을 전달받도록 구비된다.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movable terminal 40 can be installed is formed between the lower housing 25 and the upper housing 21 and the pusher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housing 21 and the lower housing 21, So as to receive the operation force from the operation knob (10)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상기 조작노브(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일측인 전방 또는 타측인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움직인다. 여기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상기 조작노브(10)를 푸쉬하는 동작(푸쉬 동작)으로 전방 회동시키고, 손가락으로 걸림시켜 잡아당기는 동작(풀링 동작)으로 후방 회동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knob 10 is rotatably moved forward or backward to one side relative to the user. Here, the user can forwardly rotate the operation knob 10 by pushing the finger (push operation) with his or her finger, and can rotate backward by pulling and pulling the finger (pulling operation).

특히, 풀링 동작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림되도록, 상기 조작 노브의 전방면은 오목하게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작노브(10)의 내부는 비어있는 사각형 뚜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front surface of the operation knob may have a recessed shape depressed rearward so that the user's finger is caught in the pull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operation knob 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mpty rectangular lid.

상기 조작노브(10)는, 상기 푸셔(3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내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단(11a,11b)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knob 10 may include projecting ends 11a and 11b extending downward to move the pusher 30 therein.

상기 조작노브(10)는 두 가지 작동에 대해서 별개의 조작력을 전달해야 하므로, 두 가지 작동에 의해 이동시키는 푸셔(30)가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Since the operation knob 10 must transmit a separate operation force to the two opera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two pushers 30 to be moved by two operations.

상기 돌출단(11a,11b)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노브(10) 내부에 2개가 상호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단(11a,11b)은 제 1방향과 제 3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조작노브(10) 내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단(11a,11b)은 상기 조작노브(10)의 내부 상측 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서 상기 2개의 푸셔(30)와 접촉하게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protruding ends 11a and 11b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nipulation knob 10 such that two protruding ends 11a and 1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ends 11a and 11b are disposed in the operation knob 10 so as not to overlap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The protruding ends 11a and 11b may extend downward from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knob 10 to be in contact with the two pushers 30.

상기 돌출단(11a,11b)은 제 1돌출단(11a)과 제 2돌출단(11b)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The protruding ends 11a and 11b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end 11a and a second protruding end 11b.

상기 제 1돌출단(11a)은 상기 조작노브(10)가 풀링 동작될 때 상기 2개의 푸셔(30) 중 하나를 가압하여 하방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접점 신호는 창문을 올리는 전기적 신호로 정의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ding end 11a can press one of the two pushers 30 to move downward when the operation knob 10 is pulled. In this case, the contact signal can be defined as an electric signal for raising the window.

또한, 상기 제 2돌출단(11b)은 상기 조작노브(10)가 푸쉬 동작될 때 상기 2개의 푸셔(30) 중 다른 하나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접점 신호는 창문을 내리는 전기적 신호로 정의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projecting end 11b can move the other one of the two pushers 30 when the operation knob 10 is pushed. In this case, the contact signal can be defined as an electrical signal that drops the window.

상기 하우징부(20)에는 상기 푸셔(30), 상기 가동단자(40) 및 상기 고정단자(5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ousing 20 may include the pusher 30, the movable terminal 40, and the fixed terminal 50.

특히, 상기 하우징부(20) 중 상기 상부 하우징(21)에는 상기 푸셔(30)의 상단이 상기 하우징부(20) 내부에서부터 외부로 연장할 수 있도록 내외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홀부(22)가 구비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upper housing 21 of the housing part 20 is provided with a hole part 22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pusher 30 can pass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part 20 so as to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part 20 .

상기 홀부(22)에는, 상기 푸셔(30) 외에 가이드부(23)가 더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3)는 상기 홀부(22)에서 제 2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홀부(22)가 형성된 상기 상부 하우징(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pusher 30, the guide portion 23 may be further inserted into the hole portion 22. The guide portion 2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housing 21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hole portion 22 and having the hole portion 22 formed therein.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3)에는 상기 푸셔(30)가 내부로 관통하는 구멍(도면부호 미표기, 도 2 및 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guide portion 23 may be provided with a hole (not shown) (see FIGS. 2 and 3) through which the pusher 30 passes.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123)는 상기 상부 하우징(21)과는 별도로 제조되고, 상술한 구멍과 동일한 구멍이 형성되되 하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21)의 하면에 면접되게 부착되고, 상단부는 상기 홀부(22)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형성된 관통부(71a,71b)를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상면보다 높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4, the guide part 123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upper housing 21, and is formed with the same hole as the above-mentioned hole,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part 123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21 And the upper end portion may protrude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the hole portion 22 and through portions 71a and 71b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

상기 가이드부(23)는, 상기 푸셔(30)가 오로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관통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21)의 홀부(22)에 의하여만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보다 가이드 높이를 더 제공하여 상기 푸셔(30)가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guide portion 23 is formed so that the pusher 30 is guided only upwardly by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nd the hole portion 22 of the upper housing 21, So that the pusher 30 can be stably moved up and down.

상기 푸셔(30)는 상기 조작노브(10)가 회동하면서 전달하는 조작력에 의해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로 유동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기 푸셔(30)의 좌우 유동 현상은 상하 이동에 소정의 간섭 현상을 일으키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부(23)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푸셔(30)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여 스위칭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The pusher 30 can be moved left and right by the operation force transmitted while rotating the operation knob 10, and the left and right flow phenomenon of the pusher 30 is not limited to a predetermined interference phenomen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23 is further provided to facilitat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usher 30, thereby preventing the malfunction of the switching.

한편, 상기 고정단자(50)는, 상기 하부 하우징(20)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 될 수 있다. 이중 사출 성형 방식은 도전체인 상기 고정단자(50)를 금형의 캐비티에 고정시키고, 절연물질은 몰딩용 수지를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형상을 가진 캐비티에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xed terminal 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housing 20 by a dual injection molding method. In the dual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fixing terminal 50 may be fixed to the cavity of the mold, and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injected into the cavity having the shape of the lower housing 20 to harden the molding resin.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상기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고 전원을 받아들여서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로가 인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70).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prints a circuit for applying power to the switch, receiving power, and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control unit.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상기 조작노브(10) 하부와 상기 하우징부(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노브(10)와 상기 하우징부(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may be disposed under the operation knob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0. That is, it can be disposed between the operation knob 10 and the housing part 2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상면에는 고정단자(50)가 포함된 상기 하우징부(20)와 각종 전장 소자가 솔더링 또는 결합되고, 하면에는 상기 하우징부(20)의 상면이 접하도록 결합된다.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전장 소자 및 하우징부가 모두 편중되어 설치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것과는 상이하다. 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상기 조작노브(10)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근접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높이를 축소시켜 제품의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part 20 including the fixed terminal 50 is soldered or coupled to various electric elemen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nd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part 20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abutted.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ior art in which both the electric element and the housing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is is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nd the operation knob 10 is sufficiently close to reduce the height of the vehicle high load switch as a whole to enable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상기 하우징부(20)는,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체결돌기부(24)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관통부(72)가 관통되는 동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는 상기 푸셔(30)가 상기 조작노브(10)의 조작력을 원할하게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상기 푸셔(30)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관통부(71a,71b)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71a,71b)는 제 1관통부(71a)와 제 2관통부(71b)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 1관통부(71a)에는 상기 제 1돌출단(11a)과 대응되는 푸셔(30)가 관통 할 수 있고, 상기 제 2관통부(71b)에는 상기 제 2돌출단(11b)과 대응되는 푸셔(30)가 관통 할 수 있다.The housing part 20 can be coupled with the operation of penetrating the fastening protrusion part 24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part 72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is provided with through portions 71a and 71b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usher 30 so that the pusher 30 can smoothly receive the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ing knob 10, Can be formed. The penetrating portions 71a and 71b may include a first penetrating portion 71a and a second penetrating portion 71b. The pusher 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ding end 11a can penetrate through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71a and the pusher 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ding end 11b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71b. The pusher 30 can penetrate.

한편,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그라운드(60)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60)의 일단부는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과 평행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단자(5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접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위치 내부에 상기 그라운드단자(60)를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접지 회로를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치 내부에는 수분 유입 등의 외부적인 사유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쇼트 현상으로 오작동이 일어나거나, 인쇄회로기판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따라서 본 발명은 접지회로를 별도로 구성하여,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2, one end of the ground 6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housing part 20.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ground 60 is bent to be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nd grounds the power applied to the fixed terminal 50 . That is, the ground terminal 60 can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ground terminal 60 in the switch. There is a problem that a malfunction or a printed circuit board is damaged due to an electric short due to an external cause such as water inflow in the inside of the switch.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ly constitute a ground circuit, Can be prevented.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그라운드단자(60)는 한 쌍의 가동단자(40)에 대응하여 한 쌍의 그라운드접점부(61,6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1가동단자 접점부(43)와 접촉하는 제 1그라운드 접점부(61)와 제 2가동단자 접점부(48)와 접촉하는 제 2그라운드 접점부(62)로 이루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라운드단자(60)는, 상기 상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 방식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21)에 상기 고정단자(5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ground terminal 60 may include a pair of ground contact portions 61 and 62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movable terminals 40. A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61 that contacts the first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43 and a second ground contact portion 62 that contacts the second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48. Here, the ground terminal 60 may be integrally injection molded into the upper housing 25 by a dual injection molding method. This may be the same as the manner in which the fixed terminal 50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housing 21, as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그라운드단자(60)의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25)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한 쌍의 그라운드접점부(61,62)는 상기 상부 하우징(25)의 하부로 노출되며, 상기 그라운드단자(60)의 일단부 및 상기 한 쌍의 그라운드접점부(61,6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5)의 내부에 은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ground terminal 60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25 and the pair of ground contact portions 61 and 62 are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25,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terminal 60 and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pair of ground contact portions 61 and 62 are hidden inside the upper housing 25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푸셔(30)는, 푸셔상단부(31)와 푸셔하단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상단부(31)는 상기 홀부(22)를 관통하여 상기 조작노브(10)와 접촉하여 상기 조작노브(10)의 조작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셔하단부(32)는 상기 가동단자(40)와 접촉하여 상기 푸셔상단부(31)로부터 전달되는 조작력을 상기 가동단자(40)에 전달할 수 있다.The pusher 30 may include a pusher upper end 31 and a pusher lower end 32. [ The pusher upper end 31 penetrates through the hole 22 and contacts the operation knob 10 to receive the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knob 10. [ The pusher lower end portion 32 may contact the movable terminal 40 to transmit the operation force transmitted from the pusher upper end portion 31 to the movable terminal 40.

상기 푸셔상단부(31)는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푸셔하단부(32)는 상기 가동단자(40)에 조작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푸셔상단부(31)와는 형태가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푸셔하단부(32)는 제 1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가동단자(40)의 제 1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셔상단부(31)와 상기 푸셔하단부(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usher upper portion 3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he pusher lower end portion 32 may be different in shape from the pusher upper end portion 31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operation force to the movable terminal 40. [ That is, the pusher lower end portion 32 may have a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a length of the movable terminal 40 in the first direction. Further, the pusher upper end 31 and the pusher lower end 32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joined together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가동단자(40)는 제 1가동단자(41)와 제 2가동단자(46)로 이루어 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movable terminal 40 may include a first movable terminal 41 and a second movable terminal 46.

상기 제 1가동단자(41)는 가운데 부분이 상하로 관통되게 제 1관통홀(4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가동단자(41)의 일단부(41a)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1관통홀(44)의 중간부까지 연장되는 제 1탄성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41a of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is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44 through which a middle portion passes vertically, The first elastic portion 42 extending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44 may be formed.

상기 제 2가동단자(46) 또한 상기 제1가동단자(41)와 마찬가지로 제 2관통홀(49)과 상기 제 2가동단자(46)의 일단부(46a)에 일체로 연장되는 제 2탄성부(47)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movable terminal 46 also has a second through hole 49 like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and a second elastic portion 46 integrally extending to one end 46a of the second movable terminal 46. [ (47) may be formed.

상기 가동단자(40)는, 그 자체로 고유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되, 고정단자(50)에 설치되면서 가동단자(40)의 중간부분이 하방으로 라운딩지게 형상 변형되어 설치됨으로써 상방으로 라운딩지게 형상 변형될 때 자체 탄성력이 발휘되어 후술하는 접점부(43,48)가 빠른 속도로 고정단자 접점부(52a,52b) 및 그라운드접점부(61,62) 사이에서 접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The movable terminal 4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inherently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movable terminal 40 is mounted on the fixed terminal 50, the middle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40 is deformed in a downwardly rounded shape, Self-elasticity is exerted when the shape is deformed, and the contact portions 43 and 48 described later can change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52a and 52b and the ground contact portions 61 and 62 at a high speed.

또한, 상기 탄성부(42,47)도 고정단자(50)에 설치되면서 형상 변형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동단자(40)가 형상 변형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은 상기 가동단자(40)가 상기 고정단자(50)와 접점이 끝나고 조작력이 제거시 다시 원래 위치로 신속하게 리턴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Also, the elastic portions 42 and 47 may be provided on the fixed terminal 50 to be deformed in shape to provid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o that the movable terminal 40 is deformed in shape. The resilient force provides a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movable terminal 40 ends the contact with the fixed terminal 50 and quickly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operation force is removed.

상기 제 1가동단자(41)는 선단부에 상기 그라운드단자(60)와 접점하는 제 1가동단자 접점부(4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가동단자(46)의 선단부에도 상기 그라운드단자(60)와 접점하는 제 2가동단자 접점부(48)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접점부들(43,48)은 상기 가동단자(4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접점부(61,62)와 접점이 원활하게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may be formed with a first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4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60 at the distal end portion thereof and the ground terminal The second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48 can be formed. The contact portions 43 and 48 may protrude from the movable terminal 40 to smoothly generate a contact with the ground contact portions 61 and 62.

한편, 상기 고정단자(50)는, 단수개의 터미널(Terminal)이 상기 하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성형되되, 3개의 연장부(53a,53b,53c)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하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 상기 3개의 연장부(53a,53b,53c)가 상이한 단자로 구현되도록 외부로 노출된 소정부가 절단될 수 있다.The fixed terminal 50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plurality of terminals in the lower housing 25 so that the three extended portions 53a, 53b and 53c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lower housing 25 The predetermined portions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cut so that the three extending portions 53a, 53b and 53c are realized as different terminals.

여기서, 상기 3개의 연장부(53a,53b,53c)의 상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 평행되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그라운드단자(60)의 일단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 접하도록 결합된다.The upper ends of the three extending portions 53a, 53b and 53c are bent in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nd ar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단자(50)는, 본체부(51), 상기 가동단자(40)와 접점이 일어나는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연결되는 상기 3개의 연장부(53a, 53b, 53c),상기 본체부(51)와 상기 연장부(53a, 53b, 53c)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부(55a, 55b) 및 상기 가동단자(4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7, 58)를 포함할 수 있다.7, the fixed terminal 5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51,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52a and 52b on which contacts with the movable terminal 40 are formed, 53b and 53c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51 and two connecting portions 55a and 55b connecting the body portion 51 and the extending portions 53a and 53b and 53c, (57, 58) for securing the base (40).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도 1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자(50)를 이루는 구성 중 상기 3개의 연장부(53a,53b,53c)와 상기 고정부(57,58)와 상기 고정단자 접점부(52a,52b) 및 상기 연결부(55a,55b)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전부 상기 하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닉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1 and 7, the three extension portions 53a, 53b, and 53c, the fixing portions 57 and 58, and the fixed terminal contact 50, which constitute the fixed terminal 50, It is preferable that all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portions 52a and 52b and the connecting portions 55a and 55b are form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y are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lower housing 25. [

즉, 상기 고정단자 접점부(52a,52b)는, 상기 본체부(51)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 하우징(25)의 내부면 상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3개의 연장부(53a,53b,53c)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57,58)는 상기 가동단자(40)가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55a,55b)는, 소정부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자에 의하여 절단되어야 하는 부위이므로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52a and 52b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51 and ar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25, and the three extended portions 53a, 53b and 53c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The fixing portions 57 and 58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movable terminal 40, The connecting portions 55a and 55b are prestressed and can be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they are to be cut by the manufacturer as described later.

상기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는 2개의 가동단자(41, 46)와의 접촉을 통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단자 접점부(52a,52b)는, 상기 제 1가동단자 접점부(43)와 접점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부(51)에 구비된 제 1고정단자 접점부(52a)와, 상기 제 2가동단자 접점부(48)와 접점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부(51)에 구비된 제 2고정단자 접점부(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는 상기 고정단자(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고정단자(50)와 결합하는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52a and 52b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hrough contact with the two movable terminals 41 and 46,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52a and 52b include a first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a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51 at a posi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43, And a second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b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51 at a posi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48. [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52a and 52b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ed terminal 50 and may be formed as a conductor separately formed and coupled with the fixed terminal 50. [

상기 3개의 연장부(53a,53b,53c)는, 제 1연장부(53a), 제 2연장부(53b) 및 제 3연장부(5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연장부(53a,53b,53c)는 제 2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개의 연장부(53a,53b,53c)의 상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평행하게 절곡될 수 있다.The three extending portions 53a, 53b and 53c may include a first extending portion 53a, a second extending portion 53b and a third extending portion 53c. The three extending portions 53a, 53b, and 53c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upper ends of the three extension portions 53a, 53b, and 53c may be bent in parallel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서, 상기 3개의 연장부(53a,53b,53c)는 각각 상이한3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자로 구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래 단수개의 터미널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에는 적어도 2군데의 소정부가 절단되어야 한다.In the meantime, in the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extension parts 53a, 53b and 53c should be realized as terminals performing three different functions. In order to do this, at least two predetermined portions should be cut off after being integrally injection-molded into the lower housing 25 by being provided with a single number of terminals.

여기서 절단되어어야 할 상기 2군데의 소정부는, 상기 제 1연장부(53a)와 상기 본체부(51)를 연결하는 상기 제 1연결부(55a)와, 상기 제 2연장부(53b)와 상기 본체부(51)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55b)일 수 있다.The two prongs to be cut here ar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5a connecting the first extending portion 53a and the main body portion 5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5b connecting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53b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55b connecting the main body portion 51. [

상기 2개의 가동단자(41,46)는 각각 상기 조작노브(10)의 일측 회동 동작 및 타측 회동 동작에 의하여 별개로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51)의 제 1고정단자 접점부(52a) 및 제 2고정단자 접점부(52b)와 접점되도록 제 2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바, 상기 본체부(51)를 연결하는 상기 제 1연결부(55a) 및 상기 제 2연결부(55b) 또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wo movable terminals 41 and 46 are separately moved by one rotation operation and the other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knob 10 to move the first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a of the main body portion 51 and the second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b of the main body portion 51,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55a and 55b connecting the main body portion 51 are mutually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52b. Direction.

한편, 상기 연장부(53a,53b,53c)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인쇄회로기판(70) 하면에 도포된 솔더 크림에 안착되어 오븐 내에서 결합되는 자동화 공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각각의 단자로부터 단자 핀이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솔더공에 삽입되는 납땜되는 수동 솔더 결합 방식을 버리고 자동화 공정으로 전환함으로써 작업 시간 및 인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The bent portions of the extended portions 53a, 53b, and 53c may be coupled to the solder cream appli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 by an automated process to be combined in the oven. Thus, conventionally, terminal pins are provided from the respective terminals to eliminate solder passive solder bonding, which is inserted into a solder hole form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switch to an automated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work time and human rights cost.

한편, 상기 고정단자(50)의 상기 3개의 연장부(53a,53b,53c)는 각각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ree extension portions 53a, 53b, and 53c of the fixed terminal 50 may perform the following functions, respectively.

상기 제 1연장부(53a)는 상기 제 1가동단자(41)가 상기 고정단자(50)에 형성된 2개의 고정단자 접점부(52a,52b) 중 상기 제 1고정단자 접점부(52a)와 접점되면 "창문을 올리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extending portion 53a is formed so that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contacts the first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a of the two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52a and 52b formed on the fixed terminal 50, Quot; window open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 2연장부(53b)는 상기 제 2가동단자(46)가 상기 고정단자(50)에 형성된 2개의 고정단자 접점부(52a,52b) 중 상기 제 2고장단자 접점부(52b)와 접점되면 "창문을 내리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extending portion 53b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movable terminal 46 contacts the second fault terminal contact portion 52b of the two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52a and 52b formed in the fixed terminal 50, And transmits the "signal for lowering the window" to the control unit.

아울러, 상기 제 3연장부(53c)는 미도시의 전원부로부터 상기 고정단자(50)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third extension portion 53c functions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ource unit to the fixed terminal 50 (not shown).

여기서, 상기 하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상기 고정단자(50) 중상기 제 1연결부(55a) 및 상기 제 2연결부(55b)를 절단하면, 상기 본체부(51)에 연결된 상기 제3연장부(53c)로부터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된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55a and 55b of the fixed terminal 50 integrally injection-molded on the lower housing 25 are cut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5a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5b,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third extension part 53c.

이때, 상기 조작노브(10)가 풀링 동작에 의하여 당겨지면 상기 푸셔(30) 중 어느 하나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가동단자(41)를 가압하고, 상기 제 1가동단자(41)의 제 1가동단자 접점부(43)가 상기 제 1고정단자 접점부(52a)와 접점되면서 상기 제 1연장부(53a)를 통해 제어부로 하여금 창문이 클로즈되도록 전기적으로 소통된다.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knob 10 is pulled by the pulling operation, any one of the pushers 30 moves downward to press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The first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43 contacts the first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a and is electrically communicated through the first extended portion 53a to the control portion so that the window is closed.

반대로, 상기 조작노브(10)가 푸쉬 동작에 의하여 눌림되면 상기 푸셔(30) 중 다른 하나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가동단자(46)를 가압하고, 상기 제 2가동단자(46)의 제 2가동단자 접점부(48)가 상기 제 2고정단자 접점부(52b)와 접점되면서 상기 제 2연장부(53b)를 통해 제어부로 하여금 창문이 오픈되도록 전기적으로 소통된다. Conversely, when the operation knob 10 is pressed by the pushing operation, the other one of the pushers 30 moves downward to press the second movable terminal 46, and the second movable terminal 46 The second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48 contacts the second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b and is electrically communica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second extended portion 53b so that the window is opened.

한편, 상기 고정단자(50)는 제 1고정부(57)와 제 2고정부(58)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부(57)는 제 1마운트(57a)와 제 2마운트(57b)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고정부(58)는 제 3마운트(58a)와 제 4마운트(58b)로 이루어 질 수 있다. The fixed terminal 50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57 and a second fixing part 58. The first fixing part 57 may include a first mount 57a and a second mount 57b. 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ortion 58 may include a third mount 58a and a fourth mount 58b.

상기 고정부(57, 58)는 제 2방향으로 열린 'ㄷ'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마운트(57a)의 끝단부에 제 1홈부(57c)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마운트(57b)의 끝단부에는 제 2홈부(57d), 상기 제 3마운트(58a)의 끝단부에는 제 3홈부(58c), 상기 제 4마운트(58b)의 끝단부에는 제 4홈부(58d)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s 57 and 58 may be formed in a 'C' shape opened in the second direction. A first groove 57c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mount 57a. Similarly, a second groove 57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mount 57b, a third groove 58c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mount 58a, and a fourth groove 58c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ourth mount 58b. A groove 58d may be formed.

상기 제 1고정부(57)는 상기 제 1연장부(53a)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58)는 상기 제 2연장부(53b)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 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5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53a. The second fixing portion 58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53b.

상기 제 1고정부(57)는 상기 제 1고정단자 접점부(52a)와 접점이 일어나는 제 1가동단자(4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고정부(58)는 상기 제 2고정단자 접점부(52b)와 접점이 일어나는 제 2가동단자(46)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가동단자(41)는 가동단자 타단부(41b)가 상기 제 1마운트(57a) 끝단에 형성된 제 1홈부(57c)에 끼움되고, 제 1탄성부(52)의 타단부도 상기 제 2마운트(47b) 끝단에 형성된 재 2홈부(57d)에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가동단자(56)는 가동단자 타단부(56b)가 상기 제 3마운트(48a) 끝단에 형성된 제 3홈부(58c)에 끼움되고, 제 2탄성부(57)의 타단부도 상기 제 4마운트(48b) 끝단에 형성된 제 4홈부(58d)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들은 상기 고정단자(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격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The first fixing part 57 may fix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which contacts the first fixed terminal contact part 52a. The second fixing part 58 can fix the second movable terminal 46, which contacts with the second fixed terminal contact part 52b.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portion 57c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mount 57a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lastic portion 52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57c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mount 57a, 2 mount 47b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mount 47b. The second movable terminal 56 is inserted into the third groove 58c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mount 48a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ortion 57 is fitted into the third groove 58c, And the fourth groove 58d formed at the end of the fourth mount 48b. The mount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ed terminal 40, may be formed spaced apart, o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up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구동되어 소정의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방식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method of driving a high load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사용자가 조작을 하면, 조작력은 조작노브(10)를 통해 상기 푸셔상단부(31)에 전달된다. 그러면 푸셔(3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푸셔하단부(32)와 접촉하는 가동단자(40)의 중간부분이 하방으로 어느 정도 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가동단자(41)는 제 1탄성부로(42)부터 전달되는 탄성력과 상기 제 1가동단자(41)의 고유의 저항력이 작용하여 상기 푸셔 하단부(32)와 접촉되는 중간부분만이 변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의 조작력이 상기 제 1탄성부(42)의 탄성력 및 상기 제 1가동단자(41)의 저항력보다 더 크게 작용할 경우 상기 제 1탄성부(42)가 제 1마운트(57a)에 고정된제 1가동단자 타단부(41b)를 중심으로 순간적으로 원호운동하고, 제 1가동단자(41)가 상기 고정단에 형성된 제 1고정단자 접점부(52a)와 대향 접점됨으로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 2가동단자(46)도 이와 마찬가지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수준에서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the opera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usher upper portion 31 through the operation knob 10. [ The pusher 30 moves downward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movable terminal 40 contacting the pusher lower end portion 32 is pushed downward to some extent. The elastic force transmitted from the first elastic portion 42 and the inherent resistance force of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are applied to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so that only the intermediate portion contacting the pusher lower end portion 32 And is moved downward. When the user's operation force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part 42 and the resistance of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the first elastic part 42 is moved to the first mount 57a And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a formed on the fixed terminal so that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 The second movable terminal 46 is preferably operated in the same mann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changed at a level that can be easily desig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상기 제 1고정단자 접점부(52a)는 상기 제 1고정부(57)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51) 일단의 상측에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고정단자 접점부(52b)는 상기 제 2고정부(58)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본체부(51)의 타단 상측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단자(41)의 접점부(52a)와 상기 제 1고정부(57)가 제 3방향으로 일직선하에 놓이고, 상기 제 2고정단자 접점부(52b)와 상기 제 2고정부(58)가 제 3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놓일 수 있다. 이로써 선형적인 형상을 가지는 기존의 가동단자(4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가동단자 개발비용 절감 및 제조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진다.The first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a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5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fixing portion 57, And can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5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58. The contact portion 52a of the first fixed terminal 41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57 ar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second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b, The portion 58 may be laid straight in the third direction. As a result, since the existing movable terminal 40 having a linear shape can be used, the cost for developing a new movable terminal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상기 고정단자(50)의 재료는 제작공정, 이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재료의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fixed terminal 50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of a suitabl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a manufacturing process, a purpose of use, and the like.

상기 고정단자(50)는 상기 하우징부(20)와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상기 고정단자(50)는 상기 하부하우징(25)에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단자(50)를 상기 하부 하우징(25)과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에 의해서, 상기 고정단자(50)와 하우징부(20)를 생산하는 과정은 자동화 공정으로 가능하게 한다. 이는 기존의 고정단자(50)를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 가능하게 하여, 인건비 감축 및 제조 공정을 단축시켜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fixed terminal 5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part 2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terminal 50 may be integrally injected into the lower housing 25. [ Also, the fixed terminal 50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lower housing 25 and the insert molding. By such methods,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fixed terminal 50 and the housing portion 20 is made possible by an automated process. This makes it possible to omit the step of assembling the existing fixed terminal 50, thereby reducing the labor cost and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다만, 상기 고정단자(50)와 상기 하우징부(20)를 일체로 생산한다면, 상기 가동단자(40)와의 접점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단자(50)의 소정부를 절단해야 함은 이미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제 1연결부(55a) 및 제 2연결부(55b)를 절단할 수 있다.However, if the fixed terminal 50 and the housing portion 20 are integrally produced, the fixed terminal 50 and the housing portion 20 are formed so as to generate at least two different electrical signals by the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40, )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55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5b can be cut.

고정단자(50)를 생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고정단자(50)의 재료로 사용되는 도전체를 프레스 금형하는 제 1단계, 상기 도전체를 벤딩하는 제 2단계, 상기 도전체를 포함하여 하우징(20)을 사출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고정단자(50)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ducing the fixed terminal 50 may be as follows. A first step of press-molding a conductor used as a material of the fixed terminal 50, a second step of bending the conductor, a third step of injecting the housing 20 including the conductor, And a fourth step of cutting off a portion of the second substrate 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위치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상기 고정단자(50)를 평면상에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한다. 일 실시예로서 프레스 금형 공정을 거칠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First, the fixed terminal 50 is formed in a desired shape on a plane. In one embodiment, the die may be subjected to a press die proces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밴딩 공정을 통해 구체적인 형상(도7참조)을 제작한다.Next, a specific shape (see FIG. 7) is produced through a bending process.

그 다음으로, 상기 고정단자(50)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25)을 사출한다. 이중사출공정에 의할 수 있으나이에 한정하지 않는다.Next, the lower housing 25 including the fixed terminal 50 is inject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그리고 다음으로, 상기 고정단자(50)의 제 1연결부(55a) 및 제 2연결부(55b)를 절단하는 공정을 가진다. 그 후의 제작공정은 일반적인 스위치 제작 공정과 같다.Next, a step of cutt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55a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55b of the fixed terminal 50 is performed. The subsequent fabrication process is the same as the general switch fabrication process.

상기 공정에 의할 경우 이점은 다음과 같다. 하부 하우징(25)을 상기 고정단자(50)와 자동 공정을 이용하여 일체로서 생산 할 수 있다. 상기 자동화 공정을 통하면 종래 생산공정에서, 고정단자(50)와 상기 하부 하우징(25)을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dvantages of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The lower housing 25 can be produced integrally with the fixed terminal 50 using an automatic process. In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 the step of assembling the fixed terminal 50 and the lower housing 25 may be omitte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time can be shorten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조작노브 11a: 제 1단
11b: 제 2단 20: 하우징부
21: 상부 하우징 22: 홀부
23:가이드부 24: 체결돌기부
25: 하부 하우징 30: 푸셔
31: 푸셔상단부 32: 푸셔 하단부
40: 가동단자 41: 제 1가동단자
41a: 제1가동단자 일단부 41b: 제 1가동단자 타단부
42: 제 1탄성부 43: 제 1가동단자 접점부
44: 제 1관통홀 46: 제 2가동단자
46a: 제 2가동단자 일단부 46b: 제 2가동단자 타단부
47: 제 2탄성부 48: 제 2가동단자 접점부
49: 제 2관통홀 50: 고정단자
51: 본체부 52a: 제 1고정단자 접점부
52b: 제2고정단자 접점부 53a: 제1연장부
53b: 제 2연장부 53c: 제 3연장부
55a: 제1연결부 55b: 제 2연결부
57: 제 1고정부 57a: 제1마운트
57b: 제2마운트 57c: 제 1홈부
57d: 제 2홈부 58: 제 2고정부
58a: 제3마운트 58b: 제 4마운트
58c: 제 3홈부 58d: 제 4홈부
60: 그라운드단자 61: 제 1그라운드 접점부
62: 제 2그라운드 접점부 70: 인쇄회로기판
71: 관통부 71a: 제 1관통부
71b: 제2관통부 72: 체결관통부
10: Operation knob 11a: First stage
11b: second stage 20: housing part
21: upper housing 22:
23: guide portion 24: fastening protrusion
25: lower housing 30: pusher
31: pusher upper part 32: pusher lower part
40: movable terminal 41: first movable terminal
41a: one end of the first movable terminal 41b: one end of the first movable terminal
42: first elastic portion 43: first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44: first through hole 46: second movable terminal
46a: one end of the second movable terminal 46b: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able terminal
47: second elastic portion 48: second movable terminal contact portion
49: second through hole 50: fixed terminal
51: main body portion 52a: first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2b: second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53a: first extension portion
53b: second extension part 53c: third extension part
55a: first connection part 55b: second connection part
57: first fixing portion 57a: first mounting portion
57b: second mount 57c: first groove portion
57d: second groove portion 58: second fixing portion
58a: third mount 58b: fourth mount
58c: third groove portion 58d: fourth groove portion
60: ground terminal 61: first ground contact portion
62: second ground contact part 70: printed circuit board
71: penetrating portion 71a: first penetrating portion
71b: second penetrating part 72: fastening penetrating part

Claims (8)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하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각종 전장소자가 결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상면이 접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조작노브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로 전달하는 푸셔, 상기 푸셔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단자, 상기 가동단자와 접점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정단자 및 상기 가동단자와 접촉되어 접지시키는 그라운드단자가 구비된 하우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고정단자가 일체로 성형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그라운드단자가 일체로 성형되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하 직선 이동되도록 배치된 상기 푸셔에 의하여 상기 가동단자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An operation knob that is turn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a user's operation;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knob and having various electric element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A pusher which receives an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knob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ransfers the operation force to a lower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 movable terminal which is moved by the pusher, A housing part having a fixed terminal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to generate an electric signal and a ground terminal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so as to be grounded;
Lt; / RTI >
The housing portion includes a lower hous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ed terminal, and an upper hous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ound terminal,
Wherein the movable terminal is movably arranged in the space between the lower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by the pusher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upper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단수개의 터미널이 상기 하부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되되 3개의 연장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하부 하우징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 상기 3개의 연장부가 3개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자로 구현되도록 외부로 노출된 소정부가 절단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terminal is integrally molded into the lower housing so that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housing and the three extended portions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three extending portions are provided with terminals for performing three different functions Wherein the predetermined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s cut off.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연장부의 상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평행되게 절곡 형성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upper ends of the three extending portions are bent in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는, 상기 조작노브의 일측 회동 동작에 의하여 이동되는 제 1가동단자와, 상기 조작노브의 타측 회동 동작에 의하여 이동되는 제 2가동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의 상기 3개의 연장부는,
상기 제 1가동단자가 이동되어 상기 고정단자에 형성된 2개의 고정단자 접점부 중 제 1고정단자 접점부와 접점되면 창문을 올리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1연장부와;
상기 제 2가동단자가 이동되어 상기 고정단자에 형성된 2개의 고정단자 접점부 중 제 2고정단자 접점부와 접점되면 창문을 내리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2연장부와;
상기 고정단자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 3연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movable terminal includes a first movable terminal which is moved by one rotation of the operation knob and a second movable terminal which is moved by another rotation of the operation knob,
Wherein the three extension portions of the fixed terminal are provided with:
A first extension part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raising a window to the control part when the first movable terminal is moved and contacts the first fixed terminal contact part of the two fixed terminal contact parts formed on the fixed terminal;
A second extension part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lowering the window to the control part when the second movable terminal is moved and contacts the second fixed terminal contact part of the two fixed terminal contact parts formed on the fixed terminal;
And a third extension for applying power to the fixed termi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가동단자와 접점되는 상기 2개의 고정단자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연장부가 연결된 본체부;
상기 소정부로서, 상기 제 1연장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 1연결부; 및
상기 소정부로서, 상기 제 2연장부와 상기 본체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 2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부는 절단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사출 성형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ed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the two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movable terminal, the third extending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fixed terminal contact portion;
A first connecting portion integrally connecting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And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integrally connecting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injection-mol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lower housing for easy cut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푸셔가 관통하는 홀부(22)가 형성되고,
상기 홀부에 배치되어 상기 푸셔의 상, 하 움직임을 도와주는 가이드부를 더포함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housing has a hole (22) through which the pusher passes,
And a guide portion disposed in the hole to assis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ush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를 형성된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로 돌출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housing and protrudes to an upper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a penetration portion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홀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부를 동시에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로 돌출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uide portion protrudes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the hole portion and a through portion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KR1020170029237A 2017-03-08 2017-03-08 Highload switch for vehicles KR1018796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237A KR101879652B1 (en) 2017-03-08 2017-03-08 Highload switch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237A KR101879652B1 (en) 2017-03-08 2017-03-08 Highload switch for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652B1 true KR101879652B1 (en) 2018-08-16

Family

ID=6344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237A KR101879652B1 (en) 2017-03-08 2017-03-08 Highload switch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6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161A (en) * 2020-12-22 202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ed switch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898A (en) * 2000-07-27 2002-02-02 박재범 A Moduale switch of Dower Window
KR100843823B1 (en) 2007-03-09 2008-07-03 주식회사 신창전기 A high load switch for vehicles
JP2012119213A (en) * 2010-12-02 2012-06-21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Switch device
KR101686086B1 (en) * 2016-11-11 2016-12-13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switc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898A (en) * 2000-07-27 2002-02-02 박재범 A Moduale switch of Dower Window
KR100843823B1 (en) 2007-03-09 2008-07-03 주식회사 신창전기 A high load switch for vehicles
JP2012119213A (en) * 2010-12-02 2012-06-21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Switch device
KR101686086B1 (en) * 2016-11-11 2016-12-13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switch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161A (en) * 2020-12-22 202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ed switch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509325B1 (en) * 2020-12-22 2023-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ed switch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2000650B2 (en) 2020-12-22 2024-06-04 Lg Electronics Inc. Reed switch assembly and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3870B2 (en) Switch device
US6914201B2 (en) Multiple detent switch
US5613600A (en) 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JP2018014276A (en) Switch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180903B1 (en) Tact Switch
CN107924777B (en) Switch for electrical equipment
US6756554B1 (en) Tact switch
KR20040014582A (en)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KR101879652B1 (en) Highload switch for vehicles
US10453630B2 (en) Surface mount snap switch
CN211319978U (en) Key type intelligent wall switch
EP1148524B1 (en) Seesaw-type power-supply switch device
US7396251B2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stress relief
US5770825A (en) Switch device
KR200488488Y1 (en) Highload switch for vehicles
US4200781A (en) Manual switch for portable tools
JP6877006B2 (en) Handle switch
JP2018122831A (en) Handle switch
KR101668255B1 (en) Rotary switch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39215Y1 (en) Slide Switch Module
KR100455858B1 (en) Rotary push switch for a car room lamp
US6995650B2 (en) Electrical part prevented from improper mounting on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part
US5990433A (en) Molded electrical switch
JPH0561590A (en) Stylus pen
US9812271B2 (en) Push type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