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118B1 - Pressure controll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 Google Patents

Pressure controll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118B1
KR101879118B1 KR1020170000811A KR20170000811A KR101879118B1 KR 101879118 B1 KR101879118 B1 KR 101879118B1 KR 1020170000811 A KR1020170000811 A KR 1020170000811A KR 20170000811 A KR20170000811 A KR 20170000811A KR 101879118 B1 KR101879118 B1 KR 10187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tire
module
vehicle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9987A (en
Inventor
김호수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118B1/en
Publication of KR2018007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1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0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수동적인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및 TPC(Tire Pressure Control)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자동차 주행상태와 연동이 될 수 있도록 타이어 공기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에 있어서, 타이어(100)들과, 상기 타이어(100)들의 공기압을 모니터링하는 타이어공기압모니터링장치(TPMS)(200)와, 각 타이어(100)의 목표공기압을 산출하는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과, 각 타이어(100)에 상기 목표공기압을 주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펌프 및 밸브장치(400)와, 상기 펌프 및 밸브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0)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tire air pressure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a running state of a vehicle while compensating for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passive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TPC (Tire Pressure Contro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which comprises a tire (100), a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device (TPMS) (200) for monitor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A pump and valve device 400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the target air pressure to each tire 100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ump and valve device 400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 장치{PRESSURE CONTROLL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0001] PRESSURE CONTROLL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0002]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적인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및 TPC(Tire Pressure Control)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자동차 주행상태와 연동이 될 수 있도록 타이어 공기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re pressure control system for a pneumatic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n air-intake tir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air pressure.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공기압이 너무 작게 되면 하중 지지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고, 공기압이 너무 높게 되면 주행안락성도 저하되고, 타이어 접지 면적도 좁아져서 타이어의 접지력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 출시되는 고급 차량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 또는 계산하여 운전자에게 피드백(Feedback)을 해주는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이 장착되기도 한다. 운전자는 이 TPMS를 보고 공기압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타이어 공기압을 보충할 수 있다. In automotive pneumatic tires, the proper air pressure of a tire is very important. If the air pressure is too small, the load support function can not be performed properly. If the air pressure is too high, the running comfort is lowered, and the tire grounding area becomes narrower, so that the tire treading force also decreases. Therefore, recently introduced luxury vehicles are equipped with a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which provides feedback to the driver by measuring or calculating tire air pressure in various ways. The driver can compensate the tire air pres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ressure is insufficient by viewing the TPMS.

보편적인 것은 아니지만 장거리 운행을 하는 일부 트럭 및 대형 버스의 경우 별도의 공기압 주입 시스템을 갖추어서, 주행 중에 운전자가 타이어 공기압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면서, 공기압 가감을 할 수도 있다.In some trucks and large buses that are not universally operated, however, a separate pneumatic injection system may be provided to allow the driver to check tire pressure in real time while driving and to adjust the air pressure.

또한 요즈음 고급 차량의 경우 에코(Eco), 안락모드(Comfort mode), 스포츠모드(Sport mode) 등의 여러가지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있는 바, 상기와 같은 운전자의 주행모드의 선택에 따라 전기제어장치매핑(ECU Mapping) 및 서스펜션세팅(Suspension Setting)이 주행 모드별 최적으로 상태로 변경되기도 한다.In addition, various advanced modes such as Eco mode, Comfort mode, and Sport mode can be selected in the case of a luxury car these days.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driving mode of the driver, Device mapping (ECU Mapping) and Suspension setting (Suspension Setting) are changed to optimum state for each driving mode.

이하, 타이어의 공기압을 제어하는 선행기술들을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prior art for controlling the tire air pressure will be describ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7355호 '타이어공기압제어시스템이 내장된 타이어 공기압 조절장치'는 타이어공기압제어시스템이 내장된 타이어 공기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휠의 림과 림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공기탱크와 배기탱크; 상기 각 탱크와 전동밸브가 설치된 파이프를 통해 각각 연결되며 타이어의 공기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기하도록 상기 공기튜브와 연결되어 있는 삼지연결관형태의 연결관과 상기 각 전동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제어수단 및 상기 밸브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기로 구성되는 연결부; 자동차 휠의 림과 타이어의 공기튜브 사이에 설치되어 타이어 공기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가 측정한 압력정보를 송신하는 무선송신기로 구성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압 정보를 전달받아 운전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운전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공기압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발생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한 후 이에 대응되는 밸브제어신호를 상기 밸브제어수단으로 전달하여 전동밸브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연통되어 있어 송수신되는 신호를 제어수단에 전달하여 제공하는 무선송수신기로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자동차 휠의 외측에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와 센서부 및 제어부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각각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0-0977355호는 운전자는 직접 화면이나 음성으로 제공되는 각 타이어의 압력정보를 인식한 후 필요에 따라 직접 운전환경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자동차 운행에 소요되는 유류소비량을 절감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연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아울러 본 발명에는 직접 최적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를 미리 제어부에 입력한 후에 수시로 수신되는 각 타이어의 압력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각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기시켜 운행환경 변화에 따른 최적의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제10-0977355호는 구성요소의 각 장치를 작동시키는 전력을 자가 발전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킨 후 이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전력을 요구하는 지그비 환경하에서 구동이 가능한 무선송수신기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10-0977355호는 타이어들의 일괄적인 공기압세팅만이 가능할 뿐 코너링, 제동, 가속시 등의 순간적인 타이어 공기압 요구수준을 충족시킬 수는 없었다. Korean Patent No. 10-0977355 'Tire Pressure Control Apparatus with Tire Pressure Control System' is a tire pressure control apparatus having a tire pressure control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between a rim and a rim of an automobile wheel Compressed air tanks and exhaust tanks; A connection pipe in the form of a trilateral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air tube for injecting or exhausting air into the air tube of the tire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tanks through a pipe provided with the electric valve, A connection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and a wireless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for controlling the valve control unit; A sensor unit disposed between the rim of the automobile wheel and the air tube of the tire, the sensor unit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ire air pressure and 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press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A display unit receiving the air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and providing the air pressure information to the driver with visual or auditory sense; An operation unit for selectively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driver's operation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nd receives the air pressure information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and transmits the received air pressur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unit, and transmits a valv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valve control unit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electric valve And a wireless transceive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 receiving a signal to / from the control unit to provide the control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automobile wheel and for generating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10-0977355 discloses that the driver recognizes the pressure information of each tire provided directly on the screen or voice and then increases or decreases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ccording to the direct driving environment a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oil consumption required for driving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directly inputting optimum tire pressure information directly to the control unit and then automatically injecting air into each tire according to the pressure information of each tire received from time to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optimum tire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r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No. 10-0977355 discloses that since the electric power for operat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component is generated by self-generated electricity, it is stored and used, so that a separate battery is not necessary and a ZigBee Another advantage is that the use of a wireless transceiver that can be operated in an environment can reduce the amount of energy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used. However, No. 10-0977355 only allows the tire pressure to be set at one time and can not meet the instant tire pressure requirements such as cornering, braking, and acceler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4064호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차량의 중량 감지 신호, 차량의 주행 관련 신호 및 차량의 외부환경 감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타이어별 기준 공기압에 기초하여 타이어별 공기압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감지 신호는 타이어별로 분배된 중량값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관련 신호는 차량의 주행 도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환경 감지 신호는 외부 기온과 습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배된 중량값이 클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 고속도로, 시내도로 또는 비포장 도로인지를 구별하여, 구별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 공기압을 연산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온이 높을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고, 외부 습도가 낮을수록 상기 기준 공기압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제10-1534064호 역시 타이어들의 일괄적인 공기압세팅만이 가능할 뿐 코너링, 제동, 가속시 등의 순간적인 타이어 공기압 요구수준을 충족시킬 수는 없었다.Korean Patent No. 10-1534064 'Tire Press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weight detection signal of a vehicle, a driving related signal of a vehicle, and an external environment sensing signal of a vehicle; A control unit for individually calculating a reference air pressure for each tire based on a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an actuator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air pressure for each tire based on the reference air pressure for each tire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wherein the weight sensing signal includes a weight value distributed for each tire, and the driving-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reference air pressure relatively more as the divided weight value is larg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The controller calculates different reference air pressur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discrimination, and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reference air pressure relatively more as the external temperature is higher, and when the external humidity is 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air pressure is calculated relatively larger An air pressure control device has been disclosed. However, the No. 10-1534064 does not allow the simultaneous tire pressure setting of the tires, and can not meet the instant tire pressure demand level such as cornering, braking, and acceler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7355호 '타이어공기압제어시스템이 내장된 타이어 공기압 조절장치', 공고일자 2010년08월20일Korean Patent No. 10-0977355 'Tire Pressure Control Apparatus with Tire Pressure Control System', Published Aug. 20, 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4064호 '타이어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공개일자 2015년06월19일Korean Patent No. 10-1534064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 date June 19, 201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괄적인 타이어 공기압의 설정뿐 아니라 코너링, 가속 및 제동시에도 타이어공기압을 상황에 맞게 제어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that controls not only a tire pressure but also tire pressure during cornering, acceleration, and brak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에 있어서, 타이어(100)들과, 상기 타이어(100)들의 공기압을 모니터링하는 타이어공기압모니터링장치(TPMS)(200)와, 각 타이어(100)의 목표공기압을 산출하는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과, 각 타이어(100)에 상기 목표공기압을 주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펌프 및 밸브장치(400)와, 상기 펌프 및 밸브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pressure of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tire (100); a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device (TPMS) for monitor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for calculating a target air pressure of each tire 100 and a pump and valve device 400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the target air pressure to each tire 100, And a control device (500) for controlling the valve device (4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장시간 주행으로 인한 타이어(100) 내부온도 및 공기압 상승시 공기압을 기설정된 기준공기압(P_OE)의 90~110%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시간주행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calculates the target air pressure P_OE for the long period of time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tire 100 and the air pressure at the time of increasing the air pressure to 90 to 110% And a driving module 3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주차 및 정차시 타이어(100)의 공기압을 기설정된 기준공기압(P_OE)으로 복원시키는 주정차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may include a vehicle diverter module 320 for restor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ir pressure P_OE during parking and stopp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타이어(100)의 공기압을 임의 조절할 수 있는 주행모드별추가공기압조절모듈(33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may include an additional air pressure control module 330 for each mode, which can arbitrarily adjust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의 코너링(Cornerning)시 회전 외측타이어(110)의 공기압을 상승시키고, 회전 내측타이어(120)의 공기압을 저감시키는 코너링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rnering module 340 may include a cornering module 340 that increases the air pressure of the rotating outer tire 110 and reduces the air pressure of the rotating inner tire 120 at the time of cornering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너링모듈(340)은 코너링에 따른 횡방향하중이동값(LLT(Lateral Load Transfer))을 하기의 식1)에서와 같이 설정하고, 식1) LLT(Lateral Load Transfer) = mah/T, 회전 외측타이어(110)의 공기압(P_Out)을 하기의 식2)에서와 같이 설정하며, 식2) P_Out=P_OE*(1+LLT/(mg/2)*α), 회전 내측타이어(120)의 공기압(P_In)을 하기의 식3)에서와 같이 설정하고, 식3) P_In=P_OE*(1-LLT/(mg/2)*α), 상기 식1) 내지 식3)에서의 변수 중, m은 차량의 질량, g는 중력가속도, P_OE는 기준공기압, a는 횡가속도, h는 차량무게중심까지의 높이, T는 타이어간의 간격이며, 코너링시 공기압보정인자인 α는 0.1~0.3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ering module 340 sets a lateral load transfer value (LLT) according to cornering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1, and calculates LLT (2) P_Out = P_OE * (1 + LLT / (mg / 2) * 留) is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2) P_OE * (1-LLT / (mg / 2) *?) And the air pressure P_In of the rotating inner tire 120 is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3) In the equation 3, m is the mass of the vehicle, g is the acceleration of gravity, P_OE is the reference air pressure, a is the lateral acceleration, h is the heigh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T is the spacing between tires, Can be set to 0.1 to 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차량의 제동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을 상승시키고,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을 저감시키는 제동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may include a brake module 350 that raises the air pressure of the front tire 130 during braking of the vehicle and reduces the air pressure of the rear tire 140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제동모듈(350)은 주행방향하중이동값(Longitudinal Load Transfer(LT))을 하기의 식4)와 같이 설정하고, 식4) LT= mbh/W, 제동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P_front)은 하기의 식5)와 같이 설정하며, 식5) P_Front=P_OE*(1+LT/(mg/2)*β), 제동시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P_rear)은 하기의 식6)과 같이 설정하고, 식6) P_Rear=P_OE*(1-LT/(mg/2)*β), 상기 식4) 내지 식6)에서의 변수 중, m은 차량의 질량, h는 차량무게중심까지의 높이, g는 중력가속도, P_OE는 기준공기압, W는 전후륜간의 휠베이스이고, b는 주행방향의 가속도이며, 제동시 공기압 보정인자인 β는 0.1~0.3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ing module 350 sets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ad transfer value (L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equation (4), and LT = mbh / W, P_Front = P_OE * (1 + LT / (mg / 2) *?), And the rear tire tires 140 during braking are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5) P_Rear = P_OE * (1-LT / (mg / 2) *?) And the parameters in the above equations 4 to 6 are set as shown in Equation 6 below. m is the mass of the vehicle, h is the heigh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g is the gravity acceleration, P_OE is the reference air pressure, W is the wheelbas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b is the acceleration in the running direction, 0.1 to 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차량의 가속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을 저감시키고,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을 증가시키는 가속모듈(3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includes an acceleration module 360 that reduces the air pressure of the front tire 130 when the vehicle accelerates and increases the air pressure of the rear tire 14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가속모듈(360)은 주행방향하중이동값(Longitudinal Load Transfer(LT))을 하기의 식4)와 같이 설정하고, 식4) LT= mbh/W, 가속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P_front)은 하기의 식7)과 같이 설정하며, 식7) P_Front=P_OE*(1-LT/(mg/2)*β), 가속시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P_rear)은 하기의 식8)과 같이 설정하고, 식8) P_Rear=P_OE*(1+LT/(mg/2)*β), 상기 식4), 식7) 및 식8)에서의 변수 중, m은 차량의 질량, h는 차량무게중심까지의 높이, g는 중력가속도, P_OE는 기준공기압, W는 전후륜간의 휠베이스이고, b는 주행방향의 가속도이며, 제동시 공기압 보정인자인 β는 0.1~0.3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leration module 360 sets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ad transfer (LT) value as follows: LT = mbh / W, P_Front = P_OE * (1 - LT / (mg / 2) *?), The rear tire tires 140 at the time of acceleration are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7) P_Rear = P_OE * (1 + LT / (mg / 2) *?), The above equation 4), the equation 7), and the equation 8) are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Where h is the height of the vehicle to the center of gravity, g is the gravity acceleration, P_OE is the reference air pressure, W is the wheelbas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b is the acceleration in the running direction, The factor? Can be from 0.1 to 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중 타이어의 공기압을 실시간으로 최적의 주행상태에 맞도록 조정을 함으로써, 차량 및 타이의의 성능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즉, 1) 기본 주행시 적정 OE 타이어 공기압 유지를 통한 최적 차량 성능 확보, 2) 차량 주행모드에 맞는 타이어 공기압 설정을 통한 타이어 성능 조율 가능, 3) 주행조건에 따른 자동 타이어 공기압 보정을 통한 최적 타이어 성능 유지 및 내구성 확보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코너링(Cornerning)시에는 회전 반경 바깥쪽, 제동시에는 전륜, 가속시에는 후륜쪽으로 하중이동(Load Transfer)이 발생하여 갑작스런 타이어 힘 불균형이 발생하고, 하중을 더 많이 받는 타이어에는 그만큼 하중 부하율이 높아지게 되기때문에, 장기적으로 이런 하중이동 발생시 타이어에는 압축, 인장이 반복되어 피로파괴로 이어진다. 따라서 하중이동(Load Tranfer)이 발생하는 쪽 타이어 공기압을 올려주게 되면 안정적인 접지형상 유지 및 타이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the tie is maintained in the best state by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during running in real time in accordance with the optimum running condition. 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ire performance by setting the tire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3) Optimal tire performance by correcting the automatic tire pressure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Maintenance and durability can be expected. Particularly, during cornering, a load transfer occurs to the outside of the turning radius, to the front wheel during braking and to the rear wheel during acceleration, so that unexpected tire force imbalance occurs, and for a tire which receives a larger load, The tire is repeatedly subjected to compression and tensile, resulting in fatigue failure. Therefore, if the tire air pressure at the side where the load transfer occurs is increased, stable ground shape maintenance and tire durability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 장치의 코너링시의 공기압 제어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 장치의 제동시의 공기압 제어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ir pressure control at the time of cornering of the pneumatic tir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air pressure of the pneumatic tire of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ame tim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에 있어서, 타이어(100)들과, 상기 타이어(100)들의 공기압을 모니터링하는 타이어공기압모니터링장치(TPMS)(200)와, 각 타이어(100)의 목표공기압을 산출하는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과, 각 타이어(100)에 상기 목표공기압을 주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펌프 및 밸브장치(400)와, 상기 펌프 및 밸브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0)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타이어공기압모니터링장치(TPMS)(200)가 타이어별로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공기압의 번화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타이어공기압모니터링장치(TPMS)(200)가 각 타이어의 공기압을 균일하도록 설정한 뒤, 상기 펌프 및 밸브장치(400)를 통해 각 타이어(100)에게 공기압을 배분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tire 100; a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device (TPMS) 200 for monitor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A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for calculating a target air pressure of each tire 100; a pump and valve device 400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the target air pressure to each tire 100; 400 for controlling the pneumatic tire of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TPMS) 200 senses the variation of the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each tire, and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the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TPMS) The air pressure is distributed to each tire 100 through the pump and the valve device 400 after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is set to be uniform.

한편, 차량이 장시간 주행하게 되면 타이어의 내부온도가 높아져 공기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150km/h를 넘는 고속주행시에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장시간 주행으로 인한 타이어(100) 내부온도 및 공기압 상승시 공기압을 기설정된 기준공기압(P_OE)의 90~110%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시간주행모듈(3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행이 끝난 뒤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주차 및 정차시 타이어(100)의 공기압을 기설정된 기준공기압(P_OE)으로 복원시키는 주정차모듈(320)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travels for a long tim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tire rises and the air pressure rises. This phenomenon can also occur at high speeds exceeding 150 km / h.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includes an elongated running module 310 for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tire 100 due to long running and the air pressure at 90 to 110%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air pressure P_OE . After the travel,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includes a parking diverter module 320 for restor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ir pressure P_OE during parking and stopping.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타이어(100)의 공기압을 임의조절할 수 있는 주행모드별추가공기압조절모듈(3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압이 비교적 적은 타이어에서는 사용자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고, 기준공기압(P_OE)에서는 주행시 핸들링 성능이 최적화되며, 타이어의 공기압이 비교적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연비의 주행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락모드(comfort mode)로서 기준공기압(P_OE)의 80~90%의 공기압을 선택할 수 있고, 드라이빙모드로서 기준공기압(P_OE)의 90~110%의 공기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연비모드로서 기준공기압(P_OE)의 110~120%의 공기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주행모드별추가공기압조절모듈(330)이 타이어의 공기압을 제어해주게 된다.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may include an additional air pressure control module 330 for each mode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In a tire with a relatively low air pressure, the user can feel a sense of comfort. In a reference air pressure (P_OE), handling performance is optimized. When the tire pressure is relatively high, relatively high fuel consumption can be achieved.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the air pressure of 80 to 90% of the reference air pressure P_OE as the comfort mode, select the air pressure of 90 to 110% of the reference air pressure P_OE as the driving mode, Mode, air pressure of 110 to 120% of the reference air pressure (P_O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of the user, the additional air pressure control module 330 for each traveling mode controls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이 코너링(Cornerning)시 회전 외측타이어(110)의 공기압을 상승시키고, 회전 내측타이어(120)의 공기압을 저감시키는 코너링모듈(340)을 포함한다. 도 2의 첫 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링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외측타이어(110)에 걸리는 부하(Fo0)와 내측타이어(120)에 걸리는 부하(Fi0)가 mg/2로서 동일하다. 그러나 코너링시에는 도 2의 두 번째 그림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의 이동이 발생하여 외측타이어(110)에 걸리는 부하(FoC)와 내측타이어(120)에 걸리는 부하(FiC)가 횡방향하중이동값(LLT(Lateral Load Transfer)) 만큼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때, mg x T/2 + ma x h - FoC x T = 0의 관계식이 성립하게 되고, 따라서, FoC = mg/2 + mah/T가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cornering module 340 for raising the air pressure of the rotating outer tire 110 and reducing the air pressure of the rotating inner tire 120 when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of the vehicle is cornering do. 2, the load Fo0 applied to the outer tire 110 and the load Fi0 applied to the inner tire 120 are equal to each other in mg / 2 in the cornering-free state. 2, the load FoC applied to the outer tire 110 and the load FiC applied to the inner tire 120 are calculated as a lateral load movement value (LLT (Lateral Load Transfer)). At this time, a relationship of mg x T / 2 + ma x h - FoC x T = 0 is established, and thus FoC = mg / 2 + mah / T.

이에 따라, 상기 코너링모듈(340)은 코너링에 따른 횡방향하중이동값(LLT(Lateral Load Transfer))을 하기의 식1)에서와 같이 설정하고,Accordingly, the cornering module 340 sets the lateral load shift value (LLT) according to the cornering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1)

식1) LLT(Lateral Load Transfer) = mah/TEquation 1) LLT (Lateral Load Transfer) = mAh / T

회전 외측타이어(110)의 공기압(P_Out)을 하기의 식2)에서와 같이 설정하며, The air pressure P_Out of the rotating outer tire 110 is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2,

식2) P_Out=P_OE*(1+LLT/(mg/2)*α)P_Out = P_OE * (1 + LLT / (mg / 2) *?)

회전 내측타이어(120)의 공기압(P_In)을 하기의 식3)에서와 같이 설정하고,The air pressure P_In of the rotating inner tire 120 is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xpression 3,

식3) P_In=P_OE*(1-LLT/(mg/2)*α)P_In = P_OE * (1-LLT / (mg / 2) *?)

상기 식1) 내지 식3)에서의 변수 중, m은 차량의 질량, g는 중력가속도, P_OE는 기준공기압, a는 횡가속도, h는 차량무게중심까지의 높이, T는 타이어간의 간격이며, 코너링시 공기압보정인자인 α는 0.1~0.3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 a is the heigh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T is the spacing between the tires, m is the mass of the vehicle, g i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P_OE is the reference air pressure, a is the lateral acceleration, h is the height to the vehicle center of gravity, It is preferable that?, Which is an air pressure correction factor at the time of cornering, is set to 0.1 to 0.3.

즉, 외측타이어(110)에는 LLT만큼 부하를 더하고, 내측타이어(120)에는 LLT만큼 부하를 감하여 공기압을 산출하는 것이다. 코너링모듈(340)에 의해 산출된 상기의 각 타이어의 공기압은 제어장치(500)에 의해 펌프 및 밸브장치(400)를 통해 조절되게 된다.That is, the load is added to the outer tire 110 by LLT, and the load on the inner tire 120 is reduced by LLT to calculate the air pressure. The air pressure of each of the tires calculated by the cornering module 340 is adjusted by the control device 500 through the pump and the valve device 400.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차량의 제동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을 상승시키고,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을 저감시키는 제동모듈(350)을 포함한다. 3,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includes a braking module (not shown) for raising the air pressure of the front tire 130 during braking of the vehicle and reducing the air pressure of the rear tire 140 350).

상기의 제동모듈(350)은 주행방향하중이동값(Longitudinal Load Transfer(LT))을 하기의 식4)와 같이 설정하고The braking module 350 sets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ad transfer value LT in the running direction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식4) LT= mbh/WEquation 4) LT = mbh / W

제동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P_front)은 하기의 식5)와 같이 설정하며, The air pressure P_front of the front tire 130 at the time of braking is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5,

식5) P_Front=P_OE*(1+LT/(mg/2)*β)(5) P_Front = P_OE * (1 + LT / (mg / 2) *?)

제동시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P_rear)은 하기의 식6)과 같이 설정하고,The air pressure P_rear of the rear tire 140 at the time of braking is set as shown in Equation 6 below,

식6) P_Rear=P_OE*(1-LT/(mg/2)*β)(6) P_Rear = P_OE * (1-LT / (mg / 2) *?)

상기 식4) 내지 식6)에서의 변수 중, m은 차량의 질량, h는 차량무게중심까지의 높이, g는 중력가속도, P_OE는 기준공기압, W는 전후륜간의 휠베이스이고, b는 주행방향의 가속도이며, 제동시 공기압 보정인자인 β는 0.1~0.3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륜타이어(130)에는 LLT만큼 부하를 더하고, 후륜타이어(140)에는 LLT만큼 부하를 감하여 공기압을 산출하는 것이다. 코너링모듈(340)에 의해 산출된 상기의 각 타이어의 공기압은 제어장치(500)에 의해 펌프 및 밸브장치(400)를 통해 조절되게 된다.In the variables in the above equations 4 to 6, m is the mass of the vehicle, h is the heigh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g i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P_OE is the reference air pressure, W is the wheel bas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Is an acceleration in the direction of braking, and β, which is an air pressure correction factor during braking, is preferably 0.1 to 0.3. That is, the load is added to the front tire 130 by LLT, and the load of the rear tire 140 is reduced by LLT to calculate the air pressure. The air pressure of each of the tires calculated by the cornering module 340 is adjusted by the control device 500 through the pump and the valve device 40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차량의 가속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을 저감시키고,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을 증가시키는 가속모듈(360)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includes an acceleration module 360 that reduces the air pressure of the front tire 130 when the vehicle is accelerated and increases the air pressure of the rear tire 140,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가속모듈(360)은 주행방향하중이동값(Longitudinal Load Transfer(LT))을 하기의 식4)와 같이 설정하고The acceleration module 360 sets the traveling direction load shift value (L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4)

식4) LT= mbh/WEquation 4) LT = mbh / W

가속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P_front)은 하기의 식7)과 같이 설정하며, The air pressure P_front of the front tire 130 at the time of acceleration is set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식7) P_Front=P_OE*(1-LT/(mg/2)*β)(7) P_Front = P_OE * (1-LT / (mg / 2) *?)

가속시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P_rear)은 하기의 식8)과 같이 설정하고,The air pressure P_rear of the rear tire 140 at the time of acceleration is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8)

식8) P_Rear=P_OE*(1+LT/(mg/2)*β)(8) P_Rear = P_OE * (1 + LT / (mg / 2) *?)

상기 식4), 식7) 및 식8)에서의 변수 중, m은 차량의 질량, h는 차량무게중심까지의 높이, g는 중력가속도, P_OE는 기준공기압, W는 전후륜간의 휠베이스이고, b는 주행방향의 가속도이며, 제동시 공기압 보정인자인 β는 0.1~0.3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동의 경우와 반대로 전륜타이어(130)에는 LLT만큼 부하를 감하고, 후륜타이어(140)에는 LLT만큼 부하를 더하여 공기압을 산출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너링모듈(340)에 의해 산출된 상기의 각 타이어의 공기압은 제어장치(500)에 의해 펌프 및 밸브장치(400)를 통해 조절되게 된다.Where m is the mass of the vehicle, h is the height to the vehicle center of gravity, g i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P_OE is the reference air pressure, W is the wheelbas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 b is the acceleration in the running direction, and β, which is the air pressure correction factor during braking, is preferably 0.1 to 0.3. That is, contrary to the case of braking, the load is reduced by LLT to the front tire 130, and the load is added to the rear tire 140 by LLT to calculate the air pressure. As described above, the air pressure of each of the tires calculated by the cornering module 340 is adjusted by the control device 500 through the pump and the valve device 400.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하중이동(Load Transfer)이 발생하여 갑작스런 타이어 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된 하중만큼 부하를 계산하여 공기압을 배분함으로써 하중이동에 의한 압축, 인장의 반복으로 인한 피로파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안정적인 접지형상 유지 및 타이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sudden tire imbalance occurs due to a load transfer,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load as much as the shifted load and distributes the air pressure, thereby repeating compression and tensioning by the movement of the loa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atigue breakdown caused by the fatigue crack, and to maintain the stable ground shape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ti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타이어
110: 외측타이어
120: 내측타이어
130: 전륜타이어
140: 후륜타이어
200: 타이어공기압모니터링장치(TPMS)
300: 목표공기압산출모듈
310: 장시간주행모듈
320: 주정차모듈
330: 주행모드별추가공기압조절모듈
340: 코너링모듈
350: 제동모듈
360: 가속모듈
400: 펌프 및 밸브장치
500: 제어장치
100: Tire
110: outer tire
120: Inner tire
130: Front tire
140: rear tire
200: Tire pressure monitor (TPMS)
300: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10: Long travel module
320: drive vehicle module
330: Additional air pressure control module for each driving mode
340: cornering module
350: Braking module
360: Acceleration module
400: Pump and valve unit
500: control device

Claims (10)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에 있어서,
타이어(100)들과, 상기 타이어(100)들의 공기압을 모니터링하는 타이어공기압모니터링장치(TPMS)(200)와, 각 타이어(100)의 목표공기압을 산출하는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과, 각 타이어(100)에 상기 목표공기압을 주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펌프 및 밸브장치(400)와, 상기 펌프 및 밸브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0)와, 차량의 코너링(Cornerning)시 회전 외측타이어(110)의 공기압을 상승시키고, 회전 내측타이어(120)의 공기압을 저감시키는 코너링모듈(340)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링모듈(340)은 코너링에 따른 횡방향하중이동값(LLT(Lateral Load Transfer))을 하기의 식1)에서와 같이 설정하고,
식1) LLT(Lateral Load Transfer) = mah/T
회전 외측타이어(110)의 공기압(P_Out)을 하기의 식2)에서와 같이 설정하며,
식2) P_Out=P_OE*(1+LLT/(mg/2)*α)
회전 내측타이어(120)의 공기압(P_In)을 하기의 식3)에서와 같이 설정하고,
식3) P_In=P_OE*(1-LLT/(mg/2)*α)
상기 식1) 내지 식3)에서의 변수 중,
m은 차량의 질량, g는 중력가속도, P_OE는 기준공기압, a는 횡가속도, h는 차량무게중심까지의 높이, T는 타이어간의 간격이며,
코너링시 공기압보정인자인 α는 0.1~0.3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
An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A tire air pressure monitoring device (TPMS) 200 for monitor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s 100; a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for calculating a target air pressure of each tire 100; A control device 500 for controlling the pump and the valve device 400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the target air pressure into or from the tire 100; And a cornering module (340) for rais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10) and reducing the air pressure of the rotating inner tire (120)
The cornering module 340 sets the lateral load shift value (LLT) according to the cornering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LLT (Lateral Load Transfer) = mAh / T
The air pressure P_Out of the rotating outer tire 110 is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2,
P_Out = P_OE * (1 + LLT / (mg / 2) *?)
The air pressure P_In of the rotating inner tire 120 is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xpression 3,
P_In = P_OE * (1-LLT / (mg / 2) *?)
Among the variables in the above formulas (1) to (3)
where m is the mass of the vehicle, g is the acceleration of gravity, P_OE is the reference air pressure, a is the lateral acceleration, h is the height to the vehicle center of gravity,
Wherein the air pressure correction factor? During cornering is set to 0.1 to 0.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장시간 주행으로 인한 타이어(100) 내부온도 및 공기압 상승시 공기압을 기설정된 기준공기압(P_OE)의 90~110%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시간주행모듈(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includes an elongated running module 310 for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tire 100 due to long running and the air pressure at 90 to 110%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air pressure P_OE And the air pressure of the pneumatic tire is contro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주차 및 정차시 타이어(100)의 공기압을 기설정된 기준공기압(P_OE)으로 복원시키는 주정차모듈(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includes a parking space module (320) for restor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ir pressure (P_OE) during parking and stopp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타이어(100)의 공기압을 임의 조절할 수 있는 주행모드별추가공기압조절모듈(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comprises an additional air pressure control module (330) for each mode, which can arbitrarily adjust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according to the driver's cho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차량의 제동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을 상승시키고,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을 저감시키는 제동모듈(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includes a brake module 350 for raising the air pressure of the front tire 130 and reducing the air pressure of the rear tire 140 during braking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동모듈(350)은 주행방향하중이동값(Longitudinal Load Transfer(LT))을 하기의 식4)와 같이 설정하고
식4) LT= mbh/W
제동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P_front)은 하기의 식5)와 같이 설정하며,
식5) P_Front=P_OE*(1+LT/(mg/2)*β)
제동시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P_rear)은 하기의 식6)과 같이 설정하고,
식6) P_Rear=P_OE*(1-LT/(mg/2)*β)
상기 식4) 내지 식6)에서의 변수 중,
m은 차량의 질량, h는 차량무게중심까지의 높이, g는 중력가속도, P_OE는 기준공기압, W는 전후륜간의 휠베이스이고, b는 주행방향의 가속도이며,
제동시 공기압 보정인자인 β는 0.1~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raking module 350 sets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ad transfer value LT in the running direction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Equation 4) LT = mbh / W
The air pressure P_front of the front tire 130 at the time of braking is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5,
(5) P_Front = P_OE * (1 + LT / (mg / 2) *?)
The air pressure P_rear of the rear tire 140 at the time of braking is set as shown in Equation 6 below,
(6) P_Rear = P_OE * (1-LT / (mg / 2) *?)
Among the variables in the above formulas 4) to 6)
m is the mass of the vehicle, h is the heigh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g i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P_OE is the reference air pressure, W is the wheelbas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Wherein the braking pressure correction coefficient β is 0.1 to 0.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공기압산출모듈(300)은 차량의 가속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을 저감시키고,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을 증가시키는 가속모듈(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rget air pressure calculation module 300 includes an acceleration module 360 for reducing the air pressure of the front tire 130 when the vehicle is accelerated and increasing the air pressure of the rear tire 140. [ Pneumatic control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가속모듈(360)은 주행방향하중이동값(Longitudinal Load Transfer(LT))을 하기의 식4)와 같이 설정하고
식4) LT= mbh/W
가속시 전륜타이어(130)의 공기압(P_front)은 하기의 식7)과 같이 설정하며,
식7) P_Front=P_OE*(1-LT/(mg/2)*β)
가속시 후륜타이어(140)의 공기압(P_rear)은 하기의 식8)과 같이 설정하고,
식8) P_Rear=P_OE*(1+LT/(mg/2)*β)
상기 식4), 식7) 및 식8)에서의 변수 중,
m은 차량의 질량, h는 차량무게중심까지의 높이, g는 중력가속도, P_OE는 기준공기압, W는 전후륜간의 휠베이스이고, b는 주행방향의 가속도이며,
제동시 공기압 보정인자인 β는 0.1~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제어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cceleration module 360 sets the traveling direction load shift value (L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4)
Equation 4) LT = mbh / W
The air pressure P_front of the front tire 130 at the time of acceleration is set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7) P_Front = P_OE * (1-LT / (mg / 2) *?)
The air pressure P_rear of the rear tire 140 at the time of acceleration is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8)
(8) P_Rear = P_OE * (1 + LT / (mg / 2) *?)
Among the variables in the above formulas 4), 7) and 8)
m is the mass of the vehicle, h is the heigh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g i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P_OE is the reference air pressure, W is the wheelbas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Wherein the braking pressure correction coefficient β is 0.1 to 0.3.
KR1020170000811A 2017-01-03 2017-01-03 Pressure controll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KR1018791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811A KR101879118B1 (en) 2017-01-03 2017-01-03 Pressure controll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811A KR101879118B1 (en) 2017-01-03 2017-01-03 Pressure controll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87A KR20180079987A (en) 2018-07-11
KR101879118B1 true KR101879118B1 (en) 2018-07-16

Family

ID=6291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811A KR101879118B1 (en) 2017-01-03 2017-01-03 Pressure controll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11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5810A (en) * 1989-10-19 1991-06-10 Mitsubishi Motors Corp Tyre pressure abnormality detecting method
JPH09229804A (en) * 1996-02-27 1997-09-05 Denso Corp Tire air pressure measurement and adjusting device
KR20040001668A (en) * 2002-06-28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device and the method for air pressure controling of tire in vehicle
KR20070060670A (en) * 2005-12-09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vision system for ground area of a tire and method thereof
KR20130118991A (en) * 2011-03-18 2013-10-30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Trave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355B1 (en) 2009-10-06 2010-08-20 송명준 Tire pressure controlling device including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KR101534064B1 (en) 2013-12-11 2015-07-08 자동차부품연구원 Apparatus of controlling air pressure of tir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5810A (en) * 1989-10-19 1991-06-10 Mitsubishi Motors Corp Tyre pressure abnormality detecting method
JPH09229804A (en) * 1996-02-27 1997-09-05 Denso Corp Tire air pressure measurement and adjusting device
KR20040001668A (en) * 2002-06-28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device and the method for air pressure controling of tire in vehicle
KR20070060670A (en) * 2005-12-09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vision system for ground area of a tire and method thereof
KR20130118991A (en) * 2011-03-18 2013-10-30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Trave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87A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9354B2 (en) Ride he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7499271B (en) Electric control air suspension based passenger car rollover prevention control method
US7957865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7219540B2 (en) Tire pressure adjustment system
EP3466783A1 (en) Control method for when vehicle has flat tire,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US20170166212A1 (en) Method for actuating electric motors in serial hybrid vehicles or fully electric vehicles having at least two separately driven axles
JP2007533520A (en) Air suspension system with air shut-off valve
JP2006232268A (en) Air suspension system with supply air restriction valve
CN105939873A (en) Tyre apparatus
JP7076541B2 (en) Symmetrically, dynamically equalized capacity and pressure air management system
KR20130118991A (en) Traveling device
KR20200118134A (en) Control unit for air management system
CN102656033B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14501657A (en) Method for controlling pressure balance in a chassis with a drive axle and a slave axle
US10994746B2 (en) Vehicle dynamic control monitoring system
KR20120124670A (en) Active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air suspension of commercial vehicle
US10442256B2 (en) System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for a utility vehicle
US20060178799A1 (en) Enhanced roll control system
US20170158016A1 (en) Air suspension indvidual corner control to optimize traction
WO2013190570A1 (en) Loa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101879118B1 (en) Pressure controll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KR100580529B1 (en) pressure regulation system for tire
JPS5830809A (en) Car height control method
US20040094929A1 (en) Vehicle having interconnected suspensions
US20080221756A1 (en) Air suspension to control power h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