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308B1 - 안전 주사기 - Google Patents

안전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308B1
KR101877308B1 KR1020180069014A KR20180069014A KR101877308B1 KR 101877308 B1 KR101877308 B1 KR 101877308B1 KR 1020180069014 A KR1020180069014 A KR 1020180069014A KR 20180069014 A KR20180069014 A KR 20180069014A KR 101877308 B1 KR101877308 B1 KR 10187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edle
filter
syringe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령
Original Assignee
씨엔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엔엠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엔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환자에게 주사액을 주사한 후 부주의로 인해 주삿바늘에 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사액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으며,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전 주사기는, 걸림 해제시 연결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팝핑되어 니들 끝단을 감싼 채로 고정되는 세이프티캡(safety cap)을 구비한 세이프티니들파트(safety needle part); 일단이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와 결합되되,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주사액을 필터링하는 필터파트(filter part); 및 일단이 상기 필터파트와 결합되되, 주사기의 루어(luer) 내부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이 장착된 배럴을 구비한 본체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주사기{SAFETY SYRINGE}
본 발명은 주사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환자에게 주사액을 주사한 후 부주의로 인해 주삿바늘에 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사액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으며,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주사기에 관한 기술이다.
환자 치료를 위해 환자에게 약물을 주입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주사기는 취급에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주삿바늘이 환자의 혈관으로 침투되어 주사액을 주입하게 되므로 한번 사용된 주사기는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폐기 처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비양심적인 병원에서는 사용된 주사기를 재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간혹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한다.
주삿바늘은 매우 날카롭기 때문에 취급시 고도의 주의가 필요하지만 의료진조차도 잠깐의 방심으로 인해 사용된 주삿바늘에 찔려 질병에 2차 감염되기도 하는 사고가 발생된다.
또한, 주사액에 미세한 유리 파편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 주사시 환자의 혈관 속으로 함께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일 회 사용 후 폐기되어야 하기 때문에 주사기 내부에 주사액이 일부 남은 채로 폐기될 수 있어 주사액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858호는 "주사기용 바늘의 캡핑장치"를 개시하였다.
첨부되는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주사기용 바늘의 캡핑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삿바늘이 구비되어 주사기에 탈착 가능하며, 외주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니들홀더와, 가이드부를 따라 주사 바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링크와, 링크를 따라 주사 바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주사 바늘의 단부를 덮기 위한 보호부를 구비하는 스위치부와, 니들홀더와 스위치부 사이에 배치되어 보호부가 주삿바늘의 단부를 덮도록 스위치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위치부(400)는 캡부(420), 걸림부(430) 및 로드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사용자가 걸림부(430)를 상방으로 밀면 걸림이 해제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캡부(4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바늘 끝을 덮게 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링크(300)를 따라 로드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캡부(420)와 주사바늘(201)의 센터축이 일치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캡부(420)가 눌러지는 경우 주사바늘(201)이 다시 돌출되어 사람을 찌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캡부(420)가 바늘 끝을 덮었을 때 스프링 내부의 바늘이 그대로 드러나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종래기술은 바늘에 찔리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803호는 "안전 주사기"를 개시하였다.
종래 기술의 안전 주사기는 주사액이 배출 시에만 필터부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미처 여과되지 못한 이물질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또한, 피스톤을 끝까지 밀어도 필터바디 내부와 피스톤 앞단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어 주사액이 남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안전 주사기는 피스톤을 후방으로 당겨 주삿바늘을 실린더 내부로 이동시킨 후 사용자가 피스톤 부분을 일부러 꺾어야만 재사용이 방지되므로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8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803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된 주사기의 주삿바늘에 찔리는 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를 이루며, 조작이 간편한 세이프티캡이 구비되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된 주사기의 주삿바늘을 덮도록 세이프티캡이 작동된 후에는 스프링 내부의 바늘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이도록 하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에는 이중필터가 구비되어 주사액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사액의 잔류량을 줄이고 주사기의 재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피스톤 앞단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가 주사기의 루어 내측과 결합되어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이프티니들파트, 필터파트, 및 본체파트로 각각 모듈화되어 고객 요청에 따라 모듈을 선택하여 조립될 수 있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는걸림 해제시 연결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팝핑되어 니들 끝단을 감싼 채로 고정되는 세이프티캡(safety cap)을 구비한 세이프티니들파트(safety needle part); 일단이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와 결합되되,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주사액을 필터링하는 필터파트(filter part); 및 일단이 상기 필터파트와 결합되되, 주사기의 루어(luer) 내부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이 장착된 배럴을 구비한 본체파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는, 상기 니들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니들허브; 상기 니들허브가 내부에 장착되며, 외면 하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면 상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세이프티홀더(safety holder); 일단에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의 상측에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고정구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니들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가 형성된 세이프티캡; 및 일단이 상기 세이프티홀더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이프티캡에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이프티캡의 걸림 해제를 위해, 상기 걸림돌기는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구와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거나, 상기 세이프티캡을 회전시킴에 의해 걸림돌기에 걸렸던 걸림구가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이프티캡이 팝핑되면서 상기 세이프티홀더의 고정돌기와 상기 세이프티캡의 고정구가 결합되어 상기 세이프티캡이 니들 끝단을 감싼 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파트는, 이중필터를 구비하되, 상기 이중필터는 피스톤이 장착된 배럴과 결합되고, 상기 이중필터는 상기 배럴로 주사액이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배럴로 유입된 상기 주사액이 배출되는 배출포트가 구분되게 형성되어 두 번에 걸친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파트는, 일단은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파트과 결합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열리게 되는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배출포트가 형성된 이중필터; 및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배출포트 각각에 마련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중필터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되, 일체형이거나 조립형의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유입포트 및 배출포트에 일 방향으로만 열리는 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이프티홀더의 일단 내경면에는 톱니형의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일단 외면에는 상기 세레이션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결합은 이루어지지지만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이프티홀더의 하부에는 상하이동방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면 상부에는 상하이동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며,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하로 이동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일단 내경면에는 톱니형의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일단에 구비된 잠금부의 외면에는 상기 세레이션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결합은 이루어지지지만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파트는,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되는 주사액을 수용하는 배럴; 상기 배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럴 상단의 루어(luer)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 및 상기 삽입부를 관통시키며 상기 피스톤의 전단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개스킷(gask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는 종단면이 화살표 형태가 되도록 원통형몸체와 상기 원통형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원추형팁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 직경은 상기 원추형팁이 삽입되는 방향의 상기 루어의 개구 직경보다 크며, 상기 루어 내측에는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을 전방으로 강하게 누르면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을 통과하여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스킷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전단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되,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에 걸린 후에 상기 피스톤을 후방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상기 삽입부 하측의 피스톤의 가장 얇은 부분이 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걸림 해제시 연결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팝핑되어 니들 끝단을 감싼 채로 고정되는 세이프티캡(safety cap)을 구비한 세이프티니들파트(safety needle part); 및 일단이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와 결합되되, 주사기의 루어(Luer) 내부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이 장착된 배럴을 구비한 본체파트;를 포함하되,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와 상기 본체파트는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주사기의 니들을 통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주사액을 필터링하는 필터파트(filter part); 및 일단이 상기 필터파트와 결합되되, 주사기의 루어(Luer) 내부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이 장착된 배럴을 구비한 본체파트;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파트와 상기 본체파트는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주사기는 사용된 주사기의 주사 바늘이 세이프티캡에 의해 덮여진 상태가 되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주사 바늘이 세이프티캡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된 주삿바늘에 찔려 2차 감염을 당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된 주사기의 주삿바늘을 덮도록 세이프티캡이 작동된 후에는 스프링 내부의 바늘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에는 이중필터가 구비되어 유해 성분들이 혈관 내로 주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는 피스톤의 앞단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가 주사기의 루어 내측과 결합된 후에는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여 주사액의 잔류량을 줄이고 주사기의 재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는 주사기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이 일체화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된 주사기를 재사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는 세이프티니들파트, 필터파트, 및 본체파트로 각각 모듈화되어 고객 요청에 따라 모듈을 선택하여 조립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주사기용 바늘의 캡핑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팝핑된 상태의 세이프티캡과 세이프티홀더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필터파트에서 주사액이 흡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세이프티니들파트와 필터파트를 연결하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피스톤의 삽입부와 루어 내측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10은 필터파트와 본체파트를 연결하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주사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되는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는 주사액을 주입한 후에, 걸림 해제시 연결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팝핑되어 니들 끝단을 감싼 채로 고정되는 세이프티캡(safety cap)을 구비한 세이프티니들파트(safety needle part) 및 주사기의 니들과 연결되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주사액을 필터링하는 필터파트(filter part)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 또는 상기 필터파트와 결합되며, 주사기의 루어(Luer) 내부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이 장착된 배럴을 구비한 본체파트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는 세이프티니들파트, 필터파트, 및 본체파트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세 파트 중 세이프티니들파트와 본체파트만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터파트와 본체파트만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세 파트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조립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주사기는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 필터파트, 및 본체파트를 모두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팝핑된 상태의 세이프티캡과 세이프티홀더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필터파트에서 주사액이 흡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8은 세이프티니들파트와 필터파트를 연결하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9는 피스톤의 삽입부와 루어 내측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10은 필터파트와 본체파트를 연결하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안전 주사기는 처음에는 니들캡(100)이 니들(210)에 씌워진 상태로 제공되며, 사용시에는 상기 니들캡(100)을 제거한 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안전 주사기는 걸림 해제시 연결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팝핑되어 니들 끝단을 감싼 채로 고정되는 세이프티캡(safety cap)(250)을 구비한 세이프티니들파트(safety needle part)(200), 일단이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200)와 결합되되, 상기 니들(210)을 통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주사액을 필터링하는 필터파트(filter part)(300), 및 일단이 상기 필터파트(300)와 결합되되, 주사기의 루어(luer) 내부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421)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420)이 장착된 배럴(410)을 구비한 본체파트(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200)는 상기 니들(210)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니들허브(220), 상기 니들허브(220)가 내부에 장착되며 외면 하부에 걸림돌기(231)가 형성되고, 외면 상부에 고정돌기(232)가 형성된 세이프티홀더(safety holder)(230), 일단에 상기 걸림돌기(231)에 대응하는 걸림구(25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251)의 상측에 상기 고정돌기(232)에 대응하는 고정구(252)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니들(210)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253)가 형성된 세이프티캡(250), 및 일단이 상기 세이프티홀더(2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이프티캡(250)에 연결되는 탄성체(240)를 포함한다.
특히, 세이프티니들파트(200)를 구성하는 세이프티캡(250)은 주사기가 사용되기 전에는 세이프티홀더(230)의 걸림돌기(231)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가 주사기를 사용한 후 노출된 니들(210)을 감싸도록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면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40)의 탄성력에 의해 세이프티캡(250)이 팝핑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뾰족한 니들끝을 감싸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이프티캡(250)의 걸림 해제를 위해, 상기 걸림돌기(231)는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구(251)와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거나 상기 세이프티캡(250)을 회전시킴에 의해 걸림돌기(231)에 걸렸던 걸림구(251)가 연결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이프티캡(250)이 팝핑되면서 상기 세이프티홀더(230)의 고정돌기(232)와 상기 세이프티캡(250)의 고정구(252)가 결합되어 상기 세이프티캡(250)이 상기 니들(210)의 끝단을 감싼 채로 고정될 수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상기 세이프티홀더(230)에서 고정돌기(232)가 형성된 부분은 세이프티캡(250)을 걸림 해제하기 전에는 약간 오므려진 형태로 상기 세이프티캡(250) 내부에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세이프티캡(250)이 팝핑되어 상승할 때는 상기 세이프티캡(250)의 고정구(252)와 만나며 양 외측으로 펼쳐져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니들(210)이 상기 세이프티홀더(230)와 세이프티캡(25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캡(250)이 고정되므로 외력에 의해 니들(210) 끝단이 외부로 튀어나올 수 없어 사용자가 니들에 찔리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파트(300)는 세이프티니들파트(200)과 본체파트(400)사이에 장착되며, 주사액에 포함된 유해한 이물질을 두 번에 걸쳐 걸러주는 기능을 하는 이중필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필터(320)는 피스톤(420)이 장착된 배럴(410)과 결합되고, 상기 이중필터(320)는 상기 배럴(410)로 주사액이 유입되는 유입포트(321a)와 상기 배럴(410)로 유입된 상기 주사액이 배출되는 배출포트(321b)가 구분되게 형성되어 두 번에 걸친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주사액을 배럴(410) 안으로 도입하고자 피스톤(420)을 당기게 되면 니들(210)을 통해 주사액이 흡입되어 유입포트(321a)를 통과하여 배럴(410) 내부로 유입하게 된다(도 7의 (a) 참조).
반대로 배럴(410) 내부로 유입된 주사액을 환자에게 주사하고자 피스톤(420)을 밀게 되면 주사액은 배출포트(321b)를 빠져나가게 된다(도 7의 (b)참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파트(300)는 일단은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20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럴(420)과 결합되는 필터하우징(310), 상기 필터하우징(310) 내부에 장착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열리게 되는 상기 유입포트(321a)와 상기 배출포트(321b)가 형성된 이중필터(320), 상기 유입포트(321a)와 상기 배출포트(321b) 각각에 마련되는 거름망(322)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름망(322)은 5㎛ 이상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여과능력을 갖는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이중필터(220)는 실리콘으로 제작하도록 하며, 어느 일측이 유입포트(321a)가 되고, 타측이 배출포트(321b)가 되며, 이중필터(320)는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분리되어 조립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유입포트(321a) 및 배출포트(321b) 측에는 일 방향으로만 열리게 되는 밸브(323)가 하나씩 마련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열리게 된다. 그리고 각 밸브(323)와 이격되어 거름망(322)이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중필터(320)가 일체형 이중필터인 경우는 밸브(323)가 되는 부위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형태이며, 분리 조립되는 형태인 경우에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밸브가 해당 위치에 조립되고 결합 구조상 어느 한 방향으로만 열리게 된다.
한편, 필터하우징(310)의 내부에 이중필터(320)의 안정적 설치를 위해 필터하우징(310) 내부에 결합되어 이중필터(320)를 받쳐주게 되는 서포터(3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는 필터파트(300)에 의해 주사액이 두 번에 걸친 필터링이 이루어진 후 환자에게 주사되기 때문에 만에 하나 주사액에 인체에 유해한 입자상 물질이 존재하더라도 확실하게 걸러지게 되므로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4와 5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주사기가 처음에 제공되는 상태로 니들(210)에 니들캡(100)이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b)는 주사기를 사용하기 위해 니들캡(10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c)는 주사액을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주사액이 이중필터(320)의 거름망(323)에 의해 1회 필터링되며 유입포트(321a)를 통해 배럴(410)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d)는 주사액을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주사액이 이중필터의 거름망(323)을 통해 1회 더 필터링되며 배출포트(321b)를 통해 니들(210)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e)는 주사기 사용 후 세이프티캡(250)을 걸림 해제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세이프티홀더(230)의 걸림구(231)를 가압하거나 세이프티캡(250)을 회전시켜 걸림구(231)와 걸림홈(251)의 결합을 해제시키면 탄성체(2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세이프티캡(250)이 팝핑된다. 이때, 상기 세이프티캡(250)은 팝핑되다가 세이프티캡(250)의 고정구(252)와 세이프티홀더(230)의 고정돌기(232)가 결합되면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200)와 상기 필터파트(300)는 일단 결합되면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세이프티홀더(230)의 일단 내경면에는 톱니형의 세레이션(233)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310)의 일단 외면에는 상기 세레이션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결합은 이루어지지지만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아 분리되지 않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이프티홀더(230)의 하부에는 상하이동방지구(234)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310)의 외면 상부에는 상하이동방지돌기(312)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며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하로 이동이 되지 않아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200)와 상기 필터파트(300)는 일단 결합되면 분리가 되지 않아 일부 의료인들이 주사기의 일부 부품을 재사용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체파트(400)는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되는 주사액을 수용하는 배럴(410), 상기 배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럴 상단의 루어(luer)(412)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421)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420), 및 상기 삽입부(421)를 관통시키며 상기 피스톤의 전단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개스킷(gasket)(4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 주사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개스킷(430)이 상기 배럴(410)과 밀착하여 주사액을 밀어내는 것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는 상기 삽입부(421)가 루어(412) 내부로 삽입되어 이중필터(320) 하단까지 주사액을 밀어내므로 배럴(410) 내에 주사액이 잔류하여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부(421)는 종단면이 화살표 형태가 되도록 원통형몸체(421a)와 상기 원통형몸체(421a)의 일단에 형성된 원추형팁(421b)으로 구성되며, 상기 루어(412) 내측에는 고정턱(41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추형팁(421b)의 저면 직경은 상기 원추형팁(421b)이 삽입되는 방향의 상기 루어(412)의 개구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는 제조시에 상기 원추형팁(421b)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412)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주사액을 주입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420)을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피스톤(420)을 전방으로 강하게 누르면 상기 원추형팁(421b)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412a)을 통과하여 상기 원추형팁(421b)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412a)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스톤(420)을 후방으로 당겨도 피스톤(420)이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스킷(43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431)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420)의 전단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431)에 대응하는 결합돌기(422)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431)과 상기 결합돌기(422)는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원추형팁(421b)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412a)에 걸린 후에 상기 피스톤(420)을 후방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상기 삽입부(421) 하측의 피스톤(420)의 가장 얇은 부분이 부러지게 되어,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파트(300)와 상기 본체파트(400) 또한 일단 결합하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하우징(310)의 일단 내경면에는 톱니형의 세레이션(311)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410)의 일단에 구비된 잠금부(411)의 외면에는 상기 세레이션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결합은 이루어지지지만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아 분리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필터파트(300)와 상기 본체파트(400)는 일단 결합되면 분리가 되지 않아 일부 의료인들이 주사기의 일부 부품을 재사용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310)이 상기 배럴(410)의 몸통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잠금부(411)와 결합하므로, 상기 배럴(410)의 몸통부분과 결합하는 경우보다 필터파트(300)의 직경이 축소된다. 따라서, 주사액 잔류량을 더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외형적으로도 둔탁하지 않고 슬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상태도와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안전 주사기는 필터파트(300)를 제외하고 세이프티니들파트(200)와 본체파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1과 도 12에서, (a)는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가 처음 제공되는 상태로 니들에 니들캡(100)이 씌워진 상태로 제공된다. (b)는 주사기를 사용하기 위해 니들캡(10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c)는 주사액을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d)는 주사액을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e)는 주사기 사용 후 세이프티캡(250)을 걸림해제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는 필터파트(300)가 없어 주사액 내의 이물질을 거르지는 못하나 세이프티니들파트(20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니들 끝단에 찔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홀더(230)의 일단 내경면에는 톱니형의 세레이션(233)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410)의 일단에 구비된 잠금부(411) 외면에는 상기 세레이션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결합은 이루어지지지만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아 분리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 또한 일부 의료인들에 의한 재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상태도와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안전 주사기는 세이프티니들파트(200)를 제외하고 필터파트(300)와 본체파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안전주사기와는 달리 세이프티니들파트(200)가 없으므로 일반 주사기 니들(허브)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서, (a)는 니들캡(100)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b)는 주사액을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c)는 주사액을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d)는 주사기 사용 후 니들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는 세이프티니들파트(200)가 없어 주사기 니들 끝단에 의해 찔릴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필터파트(300)가 구비되어 주사액 내의 이물질을 이중으로 걸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310)의 일단 내경면에는 톱니형의 세레이션(311)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410)의 일단에 구비된 잠금부(411) 외면에는 상기 세레이션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결합은 이루어지지지만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아 분리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 또한 일부 의료인들에 의한 재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의 안전 주사기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본체파트(400)를 포함하므로, 피스톤(420) 형상에 따른 주사액 잔류량 감소 및 재사용 금지 효과도 가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주사기는 크게 네 가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사용된 주사기의 니들에 찔려 감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주사액을 2번에 걸쳐 걸러지게 한 다음 환자에게 주사되게 함으로써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사용된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이프티니들파트, 필터파트, 및 본체파트의 세 파트로 나뉘어져 고객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파트만 조립하여 안전 주사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100: 니들캡
200 : 세이프티니들파트
210 : 니들 220 : 니들허브
230 : 세이프티홀더 231 : 걸림돌기
232 : 고정돌기 233: 세레이션(세이프티파트 연결용)
234: 상하이동방지구 240 : 탄성체
250 : 세이프티캡 251 : 걸림구
252 : 고정구 253 : 통과구
300 : 필터파트
310 : 필터하우징 311 : 세레이션(필터파트 연결용)
312 : 상하이동방지돌기 320 : 이중필터
321a : 유입포트 321b : 배출포트
322 : 거름망 323 : 밸브
330 : 서포터
400 : 본체파트
410 : 배럴 411 : 잠금부
412 : 루어 412a : 고정턱
420 : 피스톤 421 : 삽입부
421a : 원추형팁 421b : 원통형몸체
422 : 결합돌기 430 : 개스킷
431 : 결합홈

Claims (9)

  1. 걸림 해제시 연결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팝핑되어 니들 끝단을 감싼 채로 고정되는 세이프티캡(safety cap)을 구비한 세이프티니들파트(safety needle part);
    일단이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와 결합되되,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주사액을 필터링하는 필터파트(filter part); 및
    일단이 상기 필터파트와 결합되되, 주사기의 루어(luer) 내부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이 장착된 배럴을 구비한 본체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는,
    상기 니들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니들허브; 상기 니들허브가 내부에 장착되며, 외면 하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면 상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세이프티홀더(safety holder); 주사액의 주입 전 및 주입 동안, 일단에서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되는 걸림구가 형성되고, 주사액의 주입 후, 상기 세이프티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고정돌기 사이의 거리를 이동하여 상기 걸림구의 상측에서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니들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가 형성된 세이프티캡; 및 일단이 상기 세이프티홀더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이프티캡에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이프티캡이 상기 걸림구를 통해 상기 걸림돌기를 끼워 니들 축 주위로 하나의 수평레벨에서 회전하거나 상기 탄성체의 변위를 통해 상기 세이프티홀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팝핑되면서 상기 세이프티홀더의 고정돌기와 상기 세이프티캡의 고정구가 결합되어 상기 세이프티캡이 니들 끝단을 감싼 채로 고정되고,
    상기 세이프티캡의 걸림 해제를 위해, 상기 걸림돌기는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구와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거나, 상기 세이프티캡을 회전시킴에 의해 걸림돌기에 걸렸던 걸림구가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파트는,
    상기 니들을 통해 유입되는 주사액을 수용하는 배럴; 상기 배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럴 상단의 상기 루어(luer)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 및 상기 삽입부를 관통시키며 상기 피스톤의 전단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개스킷(gasket);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종단면이 화살표 형태가 되도록 원통형몸체와 상기 원통형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원추형팁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 직경은 상기 원추형팁이 삽입되는 방향의 상기 루어의 개구 직경보다 크며, 상기 루어 내측에는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을 전방으로 강하게 누르면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을 통과하여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에 걸리는 안전 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파트는, 이중필터를 구비하되, 상기 이중필터는 피스톤이 장착된 배럴과 결합되고, 상기 이중필터는 상기 배럴로 주사액이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배럴로 유입된 상기 주사액이 배출되는 배출포트가 구분되게 형성되어 두 번에 걸친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파트는,
    일단은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파트과 결합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열리게 되는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배출포트가 형성된 이중필터; 및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배출포트 각각에 마련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필터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되, 일체형이거나 조립형의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유입포트 및 배출포트에 일 방향으로만 열리는 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홀더의 일단 내경면에는 톱니형의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일단 외면에는 상기 세레이션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결합은 이루어지지지만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홀더의 하부에는 상하이동방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외면 상부에는 상하이동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며,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하로 이동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일단 내경면에는 톱니형의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일단에 구비된 잠금부의 외면에는 상기 세레이션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결합은 이루어지지지만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전단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되,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에 걸린 후에 상기 피스톤을 후방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상기 삽입부 하측의 피스톤의 가장 얇은 부분이 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9. 걸림 해제시 연결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팝핑되어 니들 끝단을 감싼 채로 고정되는 세이프티캡(safety cap)을 구비한 세이프티니들파트(safety needle part); 및
    일단이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와 결합되되, 주사기의 루어(Luer) 내부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이 장착된 배럴을 구비한 본체파트;를 포함하되,
    상기 세이프티니들파트는,
    상기 니들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니들허브; 상기 니들허브가 내부에 장착되며, 외면 하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면 상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세이프티홀더(safety holder); 주사액의 주입 전 및 주입 동안, 일단에서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되는 걸림구가 형성되고, 주사액의 주입 후, 상기 세이프티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고정돌기 사이의 거리를 이동하여 상기 걸림구의 상측에서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고정구가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니들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가 형성된 세이프티캡; 및 일단이 상기 세이프티홀더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이프티캡에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이프티홀더의 일단 내경면에는 톱니형의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일단에 구비된 잠금부 외면에는 상기 세레이션에 대응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호간 결합은 이루어지지만 일단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아 분리가 되지 않고,
    상기 본체파트는,
    니들을 통해 유입되는 주사액을 수용하는 배럴; 상기 배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럴 상단의 상기 루어(luer)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삽입되어 주사액을 밀어내는 상기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된 피스톤; 및 상기 삽입부를 관통시키며 상기 피스톤의 전단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개스킷(gasket);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종단면이 화살표 형태가 되도록 원통형몸체와 상기 원통형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원추형팁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 직경은 상기 원추형팁이 삽입되는 방향의 상기 루어의 개구 직경보다 크며, 상기 루어 내측에는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을 전방으로 강하게 누르면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을 통과하여 상기 원추형팁의 저면이 상기 고정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KR1020180069014A 2018-06-15 2018-06-15 안전 주사기 KR10187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014A KR101877308B1 (ko) 2018-06-15 2018-06-15 안전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014A KR101877308B1 (ko) 2018-06-15 2018-06-15 안전 주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090 Division 2017-07-28 2017-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308B1 true KR101877308B1 (ko) 2018-07-11

Family

ID=6291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014A KR101877308B1 (ko) 2018-06-15 2018-06-15 안전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30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851A (en) * 1991-01-04 1992-03-03 Ragner & Staab Associates Safety needle with spring-loaded shield
US5292314A (en) * 1993-02-11 1994-03-08 International Medical Consultants, Inc. Automatic needle protector
US5389085A (en) * 1993-02-11 1995-02-14 International Medical Consultants, Inc. Automatic needle protector
US6322540B1 (en) * 2000-03-10 2001-11-27 International Technology Group Safe needle device for syringe
KR20040089831A (ko) * 2003-04-15 2004-10-22 백우인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밀대구조
KR20070000687U (ko) * 2005-12-09 2007-06-13 창쯔 천 안전 주사기
KR20080080551A (ko) * 2005-11-15 2008-09-04 글로벌 메디세이프 홀딩스 리미티드 플런저 잠금 수단을 구비한 안전 주사기
KR20100098919A (ko) * 2009-03-02 2010-09-10 백우인 일회용 안전주사기
US8075522B2 (en) * 2000-05-31 2011-12-13 Novo Nordisk A/S Disposable double pointed injection needle, and an insulin injection system comprising a disposable double pointed injection needle
US8241255B2 (en) * 2002-03-27 2012-08-14 Safety Syringes, Inc. Syringe with needle guard injection device
KR101448858B1 (ko) * 2014-05-15 2014-10-13 송태섭 주사기용 바늘의 캡핑장치
KR101572663B1 (ko) * 2015-05-20 2015-11-27 (주)상아프론테크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851A (en) * 1991-01-04 1992-03-03 Ragner & Staab Associates Safety needle with spring-loaded shield
US5292314A (en) * 1993-02-11 1994-03-08 International Medical Consultants, Inc. Automatic needle protector
US5389085A (en) * 1993-02-11 1995-02-14 International Medical Consultants, Inc. Automatic needle protector
EP1265658B1 (en) * 2000-03-10 2004-11-10 International Technology Group Safe needle device for syringe
US6322540B1 (en) * 2000-03-10 2001-11-27 International Technology Group Safe needle device for syringe
US8075522B2 (en) * 2000-05-31 2011-12-13 Novo Nordisk A/S Disposable double pointed injection needle, and an insulin injection system comprising a disposable double pointed injection needle
US8241255B2 (en) * 2002-03-27 2012-08-14 Safety Syringes, Inc. Syringe with needle guard injection device
KR20040089831A (ko) * 2003-04-15 2004-10-22 백우인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밀대구조
KR20080080551A (ko) * 2005-11-15 2008-09-04 글로벌 메디세이프 홀딩스 리미티드 플런저 잠금 수단을 구비한 안전 주사기
KR20070000687U (ko) * 2005-12-09 2007-06-13 창쯔 천 안전 주사기
KR20100098919A (ko) * 2009-03-02 2010-09-10 백우인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1448858B1 (ko) * 2014-05-15 2014-10-13 송태섭 주사기용 바늘의 캡핑장치
KR101572663B1 (ko) * 2015-05-20 2015-11-27 (주)상아프론테크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1835C2 (ru) Медицин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и блокирующий механизм для него
RU2095090C1 (ru) Шприц для подкожных инъекций
KR101435898B1 (ko) 필터 니들 일체형 주사기
US4066079A (en) Filter needle
US6958055B2 (en) Retractable needle syringe including a sheath and an intravenous adapter
KR100981586B1 (ko) 주사기용 안전 필터 팁
KR101324555B1 (ko) 안전 필터를 구비하는 주사기용 허브
KR102278970B1 (ko) 인슐린 투약용 안전 주사기
KR101532413B1 (ko) 안전필터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101513465B1 (ko) 일회용 주사기의 안전 필터
KR101364496B1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101419839B1 (ko) 주사기용 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KR20160096405A (ko) 약액내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주사기용 필터팁
KR20180103496A (ko) 스틱 인저리 방지기능을 갖는 주사기
KR101596941B1 (ko)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877308B1 (ko) 안전 주사기
KR20200069539A (ko) 이중격실 사전충진 안전주사기
KR102185590B1 (ko) 주사기 안전캡 장치
KR101668686B1 (ko)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
KR101419838B1 (ko) 주사기용 바늘 캡핑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KR20190002857U (ko) 인슐린 투약용 안전 펜 니들
KR100292848B1 (ko) 수납 가능한 표준 바늘이 있는 안전 주사기
US10773030B2 (en) Safety syringe
JP6995317B2 (ja) 感染防止用の二重針付き注射器
KR102352293B1 (ko) 사용한 주사기의 폐기용 보호캡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