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953B1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953B1
KR101874953B1 KR1020110113388A KR20110113388A KR101874953B1 KR 101874953 B1 KR101874953 B1 KR 101874953B1 KR 1020110113388 A KR1020110113388 A KR 1020110113388A KR 20110113388 A KR20110113388 A KR 20110113388A KR 101874953 B1 KR101874953 B1 KR 10187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light emitting
data voltage
image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512A (ko
Inventor
김성일
이배원
서문산성
구자헌
장운록
우수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953B1/ko
Priority to US13/425,873 priority patent/US8872816B2/en
Publication of KR2013004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7Switching ON and OFF the backlight within one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판부, 상기 표시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 그리고 제1 셔터와 제2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부의 발광 구간은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발광 구간과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발광 구간을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제2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1 셔터가 열린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3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셔터 안경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표시 장치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3차원(3 dimensional, 3D)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관심을 끌고 있으며, 다양한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 표시 기술에서는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표현한다. 즉, 왼쪽 눈(좌안)과 오른쪽 눈(우안)에는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영상이 비춰지고, 좌안에 비춰지는 영상(이하, "좌안 영상(left eye image) "이라 함)과 우안에 비춰지는 영상(이하, "우안 영상(right eye image) "이라 함)이 뇌로 전달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뇌에서 융합되어 깊이감(depth perception)을 갖는 3차원 영상으로 인식된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셔터 안경(shutter glasses), 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 등의 안경을 이용하는 안경식(stereoscopic) 방법과, 안경을 이용하지 않고 표시 장치에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등을 배치하는 비안경식(autostereoscopic) 방법이 있다.
셔터 안경 방식은 표시판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분리되어 연속적으로 출력되고, 셔터 안경의 좌안 셔터(left eye shutter)와 우안 셔터(right eye shutter)가 셔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입체 영상이 인식되는 방법이다. 셔터 안경의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 각각은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를 반복하므로 그 동작 주파수가 임계 융합 주파수(critical fusion frequency)보다 작을 경우 셔터 안경을 통해 인식되는 표시 영상이나 주변 영상이 깜박거리는 것(flickering)으로 느껴질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융합 주파수란 휘도가 다른 두 빛이 교대로 표시될 때 관찰자에게 일정 휘도의 빛으로 인식되어 깜박임을 느끼지 못하는 최소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셔터 안경을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셔터 안경을 통해 인식되는 영상의 플리커링을 줄이고 관찰자의 눈의 피로감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판부, 상기 표시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 그리고 제1 셔터와 제2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부의 발광 구간은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발광 구간과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발광 구간을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제2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1 셔터가 열린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판부, 상기 표시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 그리고 제1 셔터와 제2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에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제1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소에 상기 제2 영상에 대한 제2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백라이트부가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발광 구간에서 발광하는 단계, 상기 백라이트부가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발광 구간에서 발광하는 단계, 그리고 이웃한 제2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1 셔터가 열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은 상기 제1 발광 구간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하는 기본 열림 구간, 그리고 이웃하는 상기 제1 발광 구간 및 상기 제2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추가 열림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압은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제1 데이터 전압과 상기 제2 영상에 대한 제2 데이터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압의 입력 구간과 상기 제2 데이터 전압의 입력구간 사이에 수직 공백 구간이 위치하고, 상기 제1 발광 구간 및 상기 제2 발광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 공백 구간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구간에서 상기 제2 셔터는 닫히고, 상기 제2 발광 구간에서 상기 제1 셔터는 닫힐 수 있다.
이웃한 상기 제1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2 셔터가 열릴 수 있고, 상기 제1 셔터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과 상기 제2 셔터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는 75Hz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을 포함하는 표시판부, 상기 표시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 그리고 제1 셔터와 제2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는 75Hz 이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안경을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셔터 안경을 통해 인식되는 영상의 플리커링을 줄이고 관찰자의 눈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통합 제어부(integration controller)(650), 표시판부(display panel assembly)(1000), 백라이트 제어부(950), 그리고 셔터 부재(shutter member)(60)를 포함한다.
통합 제어부(650)는 외부로부터 영상 정보(DATA)를 입력 받아 입력 영상 신호(IDAT), 3D 인에이블 신호(3D_EN), 3D 타이밍 신호(3D_TM), 3D 동기 신호(3D_sync), 그리고 입력 영상 신호(IDAT)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CONT1) 등을 생성한다. 통합 제어부(650)는 입력 영상 신호(IDAT), 3D 인에이블 신호(3D_EN), 입력 제어 신호(CONT1) 등을 표시판부(1000)의 타이밍 제어부(600)에 전달할 수 있고, 3D 인에이블 신호(3D_EN) 및 3D 타이밍 신호(3D_TM)를 백라이트 제어부(950)에 전달할 수 있고, 3D 동기 신호(3D_sync)를 셔터 부재(6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 영상 신호(IDAT)는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으며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면 1024(=210), 256(=28) 또는 64(=26) 개의 계조(gray)를 가질 수 있다. 3D 인에이블 신호(3D_EN)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3D 모드로 동작하도록 지시하고, 3D 타이밍 신호(3D_TM)는 3D 모드에 따른 여러 구동 신호의 타이밍 정보를 담을 수 있다. 3D 동기 신호(3D_sync)는 3D 모드에 따라 셔터 부재(60)가 포함하는 셔터의 열림과 닫힘(on/off) 시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이다. 입력 제어 신호(CONT1)는 영상 표시와 관련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판부(1000)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표시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표시 장치는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알 수 있는 모든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부(10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판(display panel)(300)과 이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 게이트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ler)(600), 그리고 표시판(300)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부(backlight unit)(900)를 포함한다.
표시판(300)은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표시 신호선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주사 신호"라고도 함)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GL1- GLn)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L1-DLm)을 포함한다. 각 화소(PX)는 해당 게이트선(GL1, …, GLn) 및 데이터선(DL1, … DLm)에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도시하지 않음)와 이에 연결된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게이트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통합 제어부(650)로부터 입력 받은 3D 인에이블 신호(3D_EN)에 따라 2D 모드 또는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입력 영상 신호(IDAT)와 입력 제어 신호(CONT1)를 기초로 입력 영상 신호(IDAT)를 표시판(3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CONT2) 및 데이터 제어 신호(CONT3) 등을 생성한 후, 게이트 제어 신호(CONT2)를 게이트 구동부(400)로 내보내고 데이터 제어 신호(CONT3)와 처리한 영상 신호(DAT)를 데이터 구동부(500)로 내보낸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표시판(300)의 데이터선(DL1-DLm)에 연결되어 계조 전압 생성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받은 계조 기준 전압을 분압하여 전체 계조에 대한 계조 전압을 생성하거나 복수의 계조 전압을 계조 전압 생성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데이터 제어 신호(CONT3)에 따라 한 행의 화소(PX)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DAT)를 수신하고 계조 전압으로부터 각 디지털 영상 신호(DAT)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DAT)를 데이터 전압(Vd)으로 변환한 다음, 이를 해당 데이터선(DL1-DLm)에 인가한다. 3D 모드에서 데이터 전압(Vd)은 좌안 데이터 전압과 우안 데이터 전압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게이트선(GL1-GLn)에 연결되어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선(GL1-GLn)에 인가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타이밍 제어부(60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Von)을 게이트선(GL1-GLn)에 인가하여 이 게이트선(GL1-GLn)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데이터선(DL1-DLm)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Vd)이 턴온된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해당 화소(PX)에 인가될 수 있다.
백라이트부(900)는 표시판(300)의 뒤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의 예로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형광 램프,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표시판부(1000)는 1 수평 주기("1H"라고도 쓰며,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한 주기와 동일함)를 단위로 하여 모든 게이트선(GL1-GLn)에 대하여 차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고 모든 화소(PX)에 데이터 전압(Vd)을 인가하여 한 프레임(frame)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3D 모드에서 한 프레임은 모든 화소(PX)에 대해 좌안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 또는 모든 화소(PX)에 우안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좌안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프레임과 우안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프레임 사이에 수직 공백 구간(VB)이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수직 공백 구간(VB)은 좌안 데이터 전압 또는 우안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프레임과 동일한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공백 구간(VB)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백라이트 제어부(950)는 통합 제어부(650)로부터 3D 타이밍 신호(3D_TM)와 3D 인에이블 신호(3D_EN) 등을 입력 받아 이들을 바탕으로 백라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백라이트부(900)에 전송한다. 이와 달리 백라이트 제어부(950)는 타이밍 제어부(6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백라이트부(900)는 백라이트 제어 신호의 제어에 따라 소정 시간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셔터 부재(60)는 통합 제어부(650)로부터 셔터의 개폐 타이밍 및 개폐 유지 시간 등에 대한 신호인 3D 동기 신호(3D_sync)를 입력 받아 이에 따라 셔터를 개폐할 수 있다. 3D 동기 신호(3D_sync)는 타이밍 제어부(600)에서 생성되어 셔터 부재(6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셔터 부재(60)는 표시판부(1000)와 동기되어 있을 수 있다. 셔터 부재(60)의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의 개폐를 통해 관찰자는 표시판부(1000)가 표시하는 영상을 입체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부재(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셔터(61, 61') 및 우안 셔터(62, 62')를 포함하는 셔터 안경일 수 있다. 이러한 셔터 안경은 기계식 셔터 안경 (고글), 광학식 셔터 안경, 헤드마운트,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MEMS)(멤스라 함)을 이용한 셔터로 이루어진 셔터 안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판부(100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선(GL1-GLn)에 게이트 온 전압(Von)이 인가되는 순서를 나타낸다. 즉, 표시판부(1000)의 첫 번째 게이트선(GL1)부터 마지막 게이트선(GLn)까지 게이트 온 전압(Von)이 차례대로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부재(60)는 셔터 안경으로서 좌안 셔터(61, 61')와 우안 셔터(62, 6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판부(1000)가 좌안 영상(101, 102)과 우안 영상(101', 102')을 번갈아 표시하면 셔터 부재(60)의 우안 셔터(62, 62')와 좌안 셔터(61, 61')는 표시판부(1000)에 동기되어 번갈아 가면서 빛을 차단한다. 좌안 셔터(61, 61')는 열린 상태의 좌안 셔터(61) 또는 닫힌 상태의 좌안 셔터(61')일 수 있고, 우안 셔터(62, 62')는 닫힌 상태의 우안 셔터(62) 또는 열린 상태의 우안 셔터(6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안 셔터가 열린 상태인 동안 좌안 셔터는 닫힌 상태일 수 있으며, 반대로 좌안 셔터가 열린 상태인 동안 우안 셔터는 닫힌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표시 모드에 따라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는 모두 열린 상태일 수도 있고, 모두 닫힌 상태일 수도 있다.
표시판부(1000)에 좌안 영상(101, 102)이 표시되면, 셔터 부재(60)의 좌안 셔터(61)는 빛이 투과되는 열린 상태가 되고 우안 셔터(62)는 빛을 차단하는 닫힌 상태가 된다. 표시판부(1000)에 우안 영상(101', 102')이 출력되면, 셔터 부재(60)의 우안 셔터(62')는 빛이 투과되는 열린 상태가 되고 좌안 셔터(61')는 빛을 차단하는 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일정 시간 동안에는 왼쪽 눈에 의해서만 좌안 영상이 인식되고, 그 다음 일정 시간 동안에는 오른쪽 눈에 의해서만 우안 영상이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차이에 의해 깊이감을 갖는 입체 영상이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에 도시한 그림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왼쪽 눈으로 인식되는 영상은 N번째 프레임(F(N))의 영상으로서 사각형의 좌안 영상(101) 및 삼각형의 좌안 영상(102)이 거리 α만큼 떨어져 있는 영상이다. 한편, 오른쪽 눈으로 인식되는 영상은 (N+1)번째 프레임(F(N+1))의 영상으로서 사각형의 우안 영상(101') 및 삼각형의 우안 영상(102')이 거리 β만큼 떨어져 있는 영상이다. 여기서 α와 β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양 눈에서 인식되는 복수의 영상 간의 거리가 서로 다르면 사각형 뒤로 삼각형이 떨어져 있다고 인식하게 되어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삼각형과 사각형이 떨어져 있는 거리 α 및 β를 조절하여 두 모양이 떨어져 있다고 느끼는 거리(깊이감)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도 3을 앞에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게이트 구동부(400)가 게이트선(GL1-GLn)에 차례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고 데이터 구동부(500)가 데이터선(DL1-DLm)에 데이터 전압(Vd)을 인가하면, 표시판(300)의 화소(PX)에 해당 데이터 전압(Vd)이 인가되어 해당 계조의 영상을 표시한다. 데이터 전압(Vd)이 포함하는 우안 데이터 전압(R1)과 좌안 데이터 전압(L1, L2) 각각은 한 프레임 동안 모든 화소(PX)에 입력될 수 있다. 한 프레임의 우안 데이터 전압(R1)과 한 프레임의 좌안 데이터 전압(L1, L2)은 교대로 모든 화소(PX)에 입력될 수 있다.
우안 데이터 전압(R1)의 입력 구간과 좌안 데이터 전압(L1, L2)의 입력 구간 사이에는 수직 공백 구간(VB)이 있을 수 있다. 수직 공백 구간(VB)에서는 데이터 전압(Vd)이 입력되지 않을 수도 있고, 직전 프레임의 좌안 데이터 전압(L1, L2) 또는 우안 데이터 전압(R1)이 한번 더 입력될 수도 있다. 수직 공백 구간(VB)도 한 프레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연속하는 한 우안 데이터 전압(R1) 입력 구간 및 좌안 데이터 전압(L1, L2) 입력 구간, 그리고 각 데이터 전압(Vd)의 입력 후에 하나씩 위치하는 두 개의 수직 공백 구간(VB)은 하나의 프레임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각 수직 공백 구간(VB)이 한 프레임 동안 유지될 경우 한 프레임 세트는 네 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직 공백 구간(VB)은 한 프레임보다 작은 시간 동안 유지될 수도 있고,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부(900)는 백라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발광 구간(ON) 동안 발광할 수 있다. 백라이트부(900)의 각 발광 구간(ON) 동안에 표시판(300)은 각 발광 구간(ON) 직전의 프레임에 화소(PX)에 입력된 우안 데이터 전압(R1) 또는 좌안 데이터 전압(L1, L2)에 따른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백라이트부(900)의 각 발광 구간(ON)은 수직 공백 구간(VB)의 적어도 일부와 시간적으로 중첩할 수 있으며, 해당 수직 공백 구간(VB) 직전 프레임의 데이터 전압(L1, L2, R1)의 입력 구간과 일부 중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은 복수의 화소(PX) 중 적어도 하나의 화소(PX)에 좌안 데이터 전압(L1, L2) 또는 우안 데이터 전압(R1)이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발광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발광 구간(ON)은 좌안 데이터 전압(L1, L2) 또는 우안 데이터 전압(R1)의 입력의 완료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1 시간(t1) 전 또는 입력 완료 후부터 제1 시간(t1')이 지나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 구간(ON)은 해당 수직 공백 구간(VB) 이후의 데이터 전압 입력 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제2 시간(t2) 전 또는 제2 시간(t2') 후에 종료될 수 있다. 표시판(300)의 영상 표시 응답 속도가 느릴 경우 발광 구간(ON)이 데이터 전압의 입력 완료 후 제1 시간(t1') 후에 시작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판(300)에 데이터 전압(Vd)이 입력되어도 표시 응답 속도에 따라 해당 영상이 늦게 표시될 수 있으므로 발광 구간(ON)이 다음 프레임의 데이터 전압 입력 구간의 시작 후 제2 시간(t2') 후까지 지속되더라도 크로스토크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제1 시간(t1, t1') 및 제2 시간(t2, t2') 각각은 표시판(300)의 표시 응답 속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제1 시간(t1, t1') 및 제2 시간(t2, t2') 중 적어도 하나는 0일 수 있다.
이웃하는 발광 구간(ON)의 시작점 사이의 거리는 5-10ms일 수 있고, 각 발광 구간(ON)의 시간 폭(Wb)은 1-3ms 일 수 있다. 발광 구간(ON)의 시작점 사이의 거리와 시간 폭(Wb)은 표시 장치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좌안 데이터 전압(L1, L2)의 입력 구간과 하나의 우안 데이터 전압(R1)의 입력 구간을 포함하는 한 프레임 세트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 구간(O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한 프레임 세트 동안 백라이트부(900)가 계속하여 켜져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셔터 부재(60)의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의 개폐 시간을 조정하여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구별하여 볼 수 있다.
셔터 부재(60)의 좌안 셔터의 열림 구간은 기본 열림 구간(LO1)과 이와 이웃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열림 구간(LO2)을 포함한다. 기본 열림 구간(LO1)에 좌안 셔터는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의 적어도 일부 동안 열려 있을 수 있다. 기본 열림 구간(LO1)과 이와 이웃하는 추가 열림 구간(LO2) 사이에는 닫힘 구간이 위치한다. 결론적으로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두 발광 구간(ON) 사이에는 좌안 셔터의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LO1, LO2)이 위치할 수 있다.
기본 열림 구간(LO1)은 대응하는 발광 구간(ON)의 시작점보다 제3 시간(t3) 전 또는 제3 시간(t3') 후에 시작하여 상기 발광 구간(ON)의 종료점보다 제4 시간(t4) 후 또는 제4 시간(t4') 전에 끝날 수 있다. 제3 시간(t3)은 좌안 셔터를 통해 보여지는 표시판(300)의 영상 이외의 주변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이전 우안 영상이 보여지지 않는 정도까지 충분한 시간일 수 있다. 기본 열림 구간(LO1)은 이웃하는 우안 영상 표시를 위한 발광 구간(ON)과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발광 구간(ON)에서 표시되는 좌안 영상은 기본 열림 구간(LO1)에서 열려 있는 좌안 셔터를 통하여 관찰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이때 우안 셔터는 닫혀 있을 수 있다.
추가 열림 구간(LO2)은 추가 열림 구간(LO2)이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LO1)과 대응하는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의 직전 또는 직후의 발광 구간(ON), 즉 표시되는 좌안 영상의 직전 또는 직후 프레임의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과 상기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LO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열림 구간(LO2)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은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LO1)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과 0보다 큰 시간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이웃하는 발광 구간(ON)과 제5 시간(t5)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이때 셔터의 응답 속도, 즉 셔터가 완전히 닫히는 속도에 따라 제5 시간(t5)을 적절히 조절하여 좌안 셔터를 통해 이전 또는 다음 프레임의 우안 영상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셔터 부재(60)의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 제5 시간(t5)은 0에 근사할 수 있다. 추가 열림 구간(LO2)은 대부분 백라이트부(900)가 꺼져 있는 시간과 중첩할 수 있으며 관찰자는 좌안 셔터를 통해 표시판(300)의 영상을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추가 열림 구간(LO2)은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의 일부와 중첩할 수도 있다.
우안 셔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셔터 부재(60)의 우안 셔터의 열림 구간은 기본 열림 구간(RO1)과 이와 이웃하는 추가 열림 구간(RO2)을 포함한다. 기본 열림 구간(RO1)에 우안 셔터는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의 적어도 일부 동안 열려 있을 수 있다. 기본 열림 구간(RO1)과 이와 이웃하는 추가 열림 구간(RO2) 사이에는 닫힘 구간이 위치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두 발광 구간(ON) 사이에는 우안 셔터의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RO1, RO2)이 위치할 수 있다.
기본 열림 구간(RO1)은 대응하는 발광 구간(ON)의 시작점보다 제6 시간(t6) 전 또는 제6 시간(t6') 후에 시작하여 상기 발광 구간(ON)의 종료점보다 제7 시간(t7) 후 또는 제7 시간(t7') 전에 끝날 수 있다. 제6 시간(t6)은 우안 셔터를 통해 보여지는 표시판(300)의 영상 이외의 주변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이전 좌안 영상이 보여지지 않는 정도까지 충분한 시간일 수 있다. 기본 열림 구간(RO1)은 이웃하는 좌안 영상 표시를 위한 발광 구간(ON)과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발광 구간(ON)에서 표시되는 우안 영상은 기본 열림 구간(RO1)에서 열려 있는 우안 셔터를 통하여 관찰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이때 좌안 셔터는 닫혀 있을 수 있다.
추가 열림 구간(RO2)은 추가 열림 구간(RO2)이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RO1)과 대응하는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 직전 또는 직후의 발광 구간(ON), 즉 표시되는 우안 영상의 직전 또는 직후의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과 상기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RO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열림 구간(RO2)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은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RO1)의 시작점 또는 종료점과 0보다 큰 시간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이웃하는 발광 구간(ON)과 제8 시간(t8)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이때 셔터의 응답 속도, 즉 셔터가 완전히 닫히는 속도에 따라 제8 시간(t8)을 적절히 조절하여 우안 셔터를 통해 이전 또는 다음 프레임의 좌안 영상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셔터 부재(60)의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 제8 시간(t8)은 0에 근사할 수 있다. 추가 열림 구간(RO2)은 대부분 백라이트부(900)가 꺼져 있는 시간과 중첩할 수 있으며 관찰자는 우안 셔터를 통해 표시판(300)의 영상을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추가 열림 구간(RO2)은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의 일부와 중첩할 수도 있다.
제3 시간(t3)과 제6 시간(t6)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제3 시간(t3')과 제6 시간(t6')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제4 시간(t4)과 제7 시간(t7)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제4 시간(t4')과 제7 시간(t7')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제5 시간(t5)과 제8 시간(t8)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좌안 셔터의 기본 열림 구간(LO1)의 시간 폭(W1), 좌안 셔터의 추가 열림 구간(LO2)의 시간 폭(W2), 우안 셔터의 기본 열림 구간(RO1)의 시간 폭(W3), 그리고 우안 셔터의 추가 열림 구간(RO2)의 시간 폭(W4)은 각각 1-6ms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보기 위한 기본 열림 구간(LO1, RO1) 이외에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열림 구간(LO2, RO2)을 둠으로써 기본 열림 구간(LO1, RO1)만 있을 때에 비해 셔터 부재(60)의 동작 주파수를 2배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 각각의 온/오프 동작 주파수를 임계 융합 주파수보다 크게 하여 플리커링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융합 주파수는 실험 결과 대략 75Hz일 수 있고 셔터의 동작 주파수가 임계 융합 주파수 이상일 때 플리커링이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 공백 구간(VB)이 한 프레임 동안 지속되는 경우 표시판부(1000)의 영상 표시 주파수가 240Hz일 때 셔터 부재(60)의 좌안 셔터 또는 우안 셔터의 동작 주파수는 120Hz 이상일 수 있고 이는 임계 융합 주파수보다 크므로 각 셔터를 통해 플리커링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각 셔터의 동작 주파수란 단위 시간(1초) 동안에 포함된 모든 열림 구간의 개수일 수 있으며 열림 구간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직 공백 구간(VB)의 길이와 무관하게 좌안 영상 표시 주파수 또는 우안 영상 표시 주파수가 60Hz이고 각 프레임 세트 당 하나의 추가 열림 구간(LO2, RO2)이 포함되어 있을 때, 셔터 부재(60)의 좌안 셔터 또는 우안 셔터의 동작 주파수는 그의 2배인 120Hz일 수 있고 플리커링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적으로 확인된 임계 융합 주파수(75Hz)를 고려하면 우안 영상 또는 좌안 영상 각각의 표시 주파수가 대략 37.5Hz일 때 우안 셔터 또는 좌안 셔터의 동작 주파수는 임계 융합 주파수인 대략 75Hz 이상이 될 수 있다. 이때 표시판부(1000)의 영상 표시 주파수는 대략 150Hz 이상일 수 있다.
다음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각각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 중 적어도 하나의 추가 열림 구간(LO2, RO2)의 위치가 도 3과 다를 수 있다.
추가 열림 구간(LO3)은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LO1)과 대응하는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의 직전 발광 구간(ON)과 상기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LO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열림 구간(LO3)의 종료점은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LO1)의 시작점과 시간적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이웃하는 발광 구간(ON)과 제9 시간(t9)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이때 셔터의 응답 속도에 따라 제9 시간(t9)을 적절히 조절하여 좌안 셔터에 의해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셔터 부재(60)의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 제9 시간(t9)은 0일 수도 있다.
우안 셔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추가 열림 구간(RO3)은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RO1)과 대응하는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 직전의 발광 구간(ON)과 상기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RO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열림 구간(RO3)의 종료점은 이웃하는 기본 열림 구간(RO1)의 시작점과 시간적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이웃하는 발광 구간(ON)과 제10 시간(t10)의 간격을 둘 수 있다. 이때 셔터의 응답 속도에 따라 제10 시간(t10)을 적절히 조절하여 우안 셔터에 의해 이전 프레임의 좌안 영상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셔터 부재(60)의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 제10 시간(t10)은 0일 수도 있다.
좌안 셔터의 추가 열림 구간(LO3)의 시간 폭(W5), 그리고 우안 셔터의 추가 열림 구간(RO3)의 시간 폭(W6)은 각각 1-6ms일 수 있다.
이 밖의 추가 열림 구간(LO3, RO3)의 특징은 앞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추가 열림 구간(LO2, RO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음,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 중 적어도 하나의 두 기본 열림 구간(LO1, RO1)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추가 열림 구간(LO2, LO3, RO2, RO3)이 위치할 수 있는 예를 보여준다.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두 실시예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달리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과 다음 프레임의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추가 열림 구간(LO2)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과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추가 열림 구간(LO3)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복수의 추가 열림 구간(LO2, LO3) 사이 또는 기본 열림 구간(LO1)과 추가 열림 구간(LO2, LO3) 사이에는 닫힘 구간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과 다음 프레임의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추가 열림 구간(RO2)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과 이전 프레임의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 사이에 두 개 이상의 추가 열림 구간(RO3)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복수의 추가 열림 구간(RO2, RO3) 사이 또는 기본 열림 구간(RO1)과 추가 열림 구간(RO2, RO3) 사이에는 닫힘 구간이 존재한다.
다음, 도 6에 도시한 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더 구체적으로 좌안 셔터의 열림 구간과 우안 셔터의 열림 구간이 서로 중첩하지 않으며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구동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좌안 셔터의 기본 열림 구간(LO1)의 시작점은 대응하는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의 시작점보다 제3 시간(t3) 전에 위치하고 종료점은 대응하는 발광 구간(ON)의 종료점과 대략 일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안 셔터의 기본 열림 구간(RO1)의 시작점은 대응하는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의 시작점보다 제6 시간(t6) 전에 위치하고 종료점은 대응하는 발광 구간(ON)의 종료점과 대략 일치할 수 있다. 이때 제3 시간(t3)과 제6 시간(t6) 중 적어도 하나는 0일 수 있다.
좌안 셔터의 추가 열림 구간(LO2)의 종료점은 다음 프레임의 우안 영상 표시를 위한 발광 구간(ON)의 시작점보다 제5 시간(t5) 전에 위치할 수 있고, 우안 셔터의 추가 열림 구간(RO2)의 종료점은 다음 프레임의 좌안 영상 표시를 위한 발광 구간(ON)의 시작점보다 제8 시간(t8) 전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시간(t5)은 제3 시간(t3)과 동일할 수 있고, 제8 시간(t8)은 제5 시간(t5)과 동일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 열림 구간(LO1, RO1)과 추가 열림 구간(LO2, RO2) 사이에 다른 추가 열림 구간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좌안 셔터의 추가 열림 구간(LO3)의 시작점은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의 종료점과 일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안 셔터의 추가 열림 구간(RO3)의 시작점은 이전 프레임의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의 종료점과 일치할 수 있다.
모든 열림 구간(LO1, LO2, LO3, RO1, RO2, RO3) 각각의 시간 폭(W1, W2, W3, W4, W5, W6)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모든 열림 구간(LO1, LO2, LO3, RO1, RO2, RO3) 각각의 시간 폭(W1, W2, W3, W4, W5, W6)은 1-5ms일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한 실시예는 대부분 앞에서 설명한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추가 열림 구간(LO2, RO2)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은 각 수직 공백 구간(VB)에서 이전 프레임의 데이터 전압(L1, L2, R1)의 입력 구간의 종료점으로부터 제1 시간(t1')이 지나고 시작하여 다음 프레임의 데이터 전압(L1, L2, R1)의 입력 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제2 시간(t2')이 지나고 끝날 수 있다.
좌안 셔터의 열림 구간(LO)은 이전 프레임의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의 종료점부터 시작하여 다음 프레임의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의 시작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전에 끝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안 셔터의 열림 구간(RO)은 이전 프레임의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의 종료점부터 시작하여 다음 프레임의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구간(ON)의 시작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전에 끝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좌안 영상 표시 주파수와 좌안 셔터의 동작 주파수는 동일할 수 있고 우안 영상 표시 주파수와 우안 셔터의 동작 주파수는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셔터에서 보여지는 영상의 플리커링을 제거하기 위해 각 셔터의 동작 주파수를 임계 융합 주파수 이상이 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융합 주파수를 75Hz라 할 때 좌안 영상 표시 주파수 또는 우안 영상 표시 주파수가 75Hz일 때 플리커링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한 프레임의 수직 공백 구간(VB)도 포함한 모든 영상의 표시 주파수는 75Hz의 네 배인 300Hz 이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60: 셔터 부재 300: 표시판
400: 게이트 구동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타이밍 제어부 650: 통합 제어부
900: 백라이트부 950: 백라이트 제어부
1000: 표시판부 VB: 수직 공백 구간

Claims (20)

  1.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판부,
    상기 표시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 그리고
    제1 셔터와 제2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부의 발광 구간은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발광 구간과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발광 구간을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제2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1 셔터가 열리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은
    상기 제1 발광 구간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하는 기본 열림 구간, 그리고
    이웃하는 상기 제1 발광 구간 및 상기 제2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추가 열림 구간
    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은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제1 데이터 전압과 상기 제2 영상에 대한 제2 데이터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압의 입력 구간과 상기 제2 데이터 전압의 입력구간 사이에 수직 공백 구간이 위치하고,
    상기 제1 발광 구간 및 상기 제2 발광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 공백 구간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1 발광 구간에서 상기 제2 셔터는 닫히고, 상기 제2 발광 구간에서 상기 제1 셔터는 닫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이웃한 상기 제1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2 셔터가 열리고,
    상기 제1 셔터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과 상기 제2 셔터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는 75Hz 이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은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제1 데이터 전압과 상기 제2 영상에 대한 제2 데이터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압의 입력 구간과 상기 제2 데이터 전압의 입력구간 사이에 수직 공백 구간이 위치하고,
    상기 제1 발광 구간 및 상기 제2 발광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 공백 구간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발광 구간에서 상기 제2 셔터는 닫히고, 상기 제2 발광 구간에서 상기 제1 셔터는 닫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이웃한 상기 제1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2 셔터가 열리고,
    상기 제1 셔터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과 상기 제2 셔터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는 75Hz 이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1.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판부, 상기 표시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 그리고 제1 셔터와 제2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에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제1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소에 상기 제2 영상에 대한 제2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백라이트부가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발광 구간에서 발광하는 단계,
    상기 백라이트부가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발광 구간에서 발광하는 단계, 그리고
    이웃한 상기 제2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1 셔터가 열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은
    상기 제1 발광 구간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하는 기본 열림 구간, 그리고
    이웃하는 상기 제1 발광 구간 및 상기 제2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추가 열림 구간
    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압의 입력 구간과 상기 제2 데이터 전압의 입력구간 사이에 수직 공백 구간이 위치하고,
    상기 제1 발광 구간 및 상기 제2 발광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 공백 구간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발광 구간에서 상기 제2 셔터는 닫히고, 상기 제2 발광 구간에서 상기 제1 셔터는 닫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서,
    이웃한 제1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2 셔터가 열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셔터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과 상기 제2 셔터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는 75Hz 이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1항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압의 입력 구간과 상기 제2 데이터 전압의 입력구간 사이에 수직 공백 구간이 위치하고,
    상기 제1 발광 구간 및 상기 제2 발광 구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직 공백 구간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1항에서,
    이웃한 제1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2 셔터가 열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셔터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과 상기 제2 셔터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1항에서,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는 75Hz 이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삭제
KR1020110113388A 2011-11-02 2011-11-02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74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88A KR101874953B1 (ko) 2011-11-02 2011-11-02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3/425,873 US8872816B2 (en) 2011-11-02 2012-03-21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88A KR101874953B1 (ko) 2011-11-02 2011-11-02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512A KR20130048512A (ko) 2013-05-10
KR101874953B1 true KR101874953B1 (ko) 2018-07-06

Family

ID=4817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388A KR101874953B1 (ko) 2011-11-02 2011-11-02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72816B2 (ko)
KR (1) KR101874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9821A1 (en) * 2012-08-14 2014-02-2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riving method of 3d shutter type glasses and driving circuit thereof
US9269305B2 (en) * 2012-09-11 2016-02-23 Apple Inc. Reduced backlight turn on time
KR102026473B1 (ko) * 2012-11-20 2019-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39847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JP7031133B2 (ja) * 2017-03-28 2022-03-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504A (ko) * 2009-07-22 2011-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15B2 (ja) 1989-07-05 1995-03-2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感熱性転写記録シート
KR100273188B1 (ko) 1997-12-08 2000-12-01 김완수 플리커리스입체영상시청장치
KR100577761B1 (ko) 1998-12-24 200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화상 표시장치
KR20020050042A (ko) 2000-12-20 2002-06-26 박남은 플리커 없는 액정셔터 안경방식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0406217B1 (ko) 2001-04-24 2003-11-17 이상룡 떨림현상이 없는 입체 영상수신장치
JP4985184B2 (ja) 2007-07-26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JP2009152897A (ja) 2007-12-20 2009-07-09 Toshiba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立体映像表示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KR101362771B1 (ko) 2008-09-17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747298B1 (ko) 2009-09-04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lcd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419549B (zh) * 2010-07-23 2013-12-11 Acer Inc 快門眼鏡以及控制快門眼鏡的方法
KR101705368B1 (ko) * 2010-08-11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504A (ko) * 2009-07-22 2011-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72816B2 (en) 2014-10-28
US20130106836A1 (en) 2013-05-02
KR20130048512A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322B1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6073218B2 (ja) 立体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8040307B2 (en) 2D/3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5671032B2 (ja) エッジ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を備えるlcd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7549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utter glasses
KR20100032284A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US9025013B2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with reduced crosstalk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97057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JP2011128548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観察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KR101874953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02702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787975B2 (en)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2015017264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987243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976205B2 (en)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and a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9202402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598396B1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US20150221263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24023B1 (ko)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입체영상 표시 장치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셔터 안경
KR20100073321A (ko) 입체 영상 시스템
KR1017618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54119B1 (ko)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101836887B1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KR101882937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20048285A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