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141B1 - Polyimide film for produc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yimide film for produc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141B1
KR101871141B1 KR1020180027885A KR20180027885A KR101871141B1 KR 101871141 B1 KR101871141 B1 KR 101871141B1 KR 1020180027885 A KR1020180027885 A KR 1020180027885A KR 20180027885 A KR20180027885 A KR 20180027885A KR 101871141 B1 KR101871141 B1 KR 101871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olyimide
fabric
film
polyimid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경대
Original Assignee
권경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경대 filed Critical 권경대
Priority to KR102018002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1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141B1/en
Priority to PCT/KR2018/010837 priority patent/WO201915630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oll type polyimide fabric using a separation membran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upport a lower part of fabric to be used as a substrate by using a separation membrane; and coat polyimide varnish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rovided on the separation membrane at constant thickness, thereby preventing drying and breaking of the fabric when the polyimide varnish is coated; easily adjusting thickness of the polyimide varnish; and coating the polyimide varnish for the whole width of the sub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expand the polyimide varnish along a surface of a separation membrane film which supports the substrate when the polyimide varnish coated on the substrate passes through the substrate of the fabric and is moved to a lower part; and to maintain a smooth surface, thereby easily adjusting coating thickness of the polyimide varnish.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mprove productivity by coating the whole width of the substrate with the polyimide varnish. Provided is the roll type polyimide fabric using a separation membrane capable of being used by making the fabric graphite or being used as a substitute of a polyimide film.

Description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 {POLYIMIDE FILM FOR PRODUCING THE SAME}Roll type polyimide fabric using separator. {POLYIMIDE FILM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원단 제조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의 하단을 분리막으로 지지한 후, 분리막 위에 놓여지는 기재의 상면에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을 일정두께로 코팅하게 됨으로써, 두께 조정이 용이하며 또한 기재 전폭에 대한 폴리이미드 용액 도포가 가능케 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fabric) 원단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of manufacturing a roll type polyimide fabric using a separation memb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oll type polyimide fabric by separating a polyimide solution on a separator, To a polyimide fabric fabric having improved productivity in which the thickness is easily adjusted and the polyimide solution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width of the substrate.

일반적으로, 전자소자는 경박단소 및 다기능화되면서 고집적화되고 있어 열밀도의 증가로 인한 열 방출 문제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데, 열의 방출이 디바이스의 신뢰성 및 수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하다. In general, electronic devices are becoming thin and small, becoming highly integrated as they become multifunctional, and measures against heat emission problem due to an increase in thermal density are required, and it is important that heat emission is closely related to device reliability and service life.

이에 따라 다양한 방열 소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방열패드, 방열시트, 방열도료 등의 형태로 시판되어 기존의 방열팬, 방열핀, 히트 파이프 등의 방열기구를 보조하거나 대체하고 있다.Accordingly, a variety of heat dissipation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in the form of a heat dissipation pad, a heat dissipation sheet, and a heat dissipation paint, thereby supplementing or replacing existing heat dissipation fans, heat dissipation fins, and heat pipes.

이들 중 방열시트는 그라파이트 시트, 고분자-세라믹 복합시트, 다층코팅 금속박막시트 등의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라파이트 시트의 경우 경량이고 슬림하면서도 열전도도가 구리 이상으로 매우 높아,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기판과 기판 사이, 플라즈마 텔레비전 등을 구성하는 PDP 등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the heat-radiating shee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graphite sheet, a polymer-ceramic composite sheet, a multilayer coating metal thin film sheet, etc. In the case of graphite sheet, light weight, slimness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extremely high, And a PDP constituting a plasma television or the like.

필름 형상 그라파이트의 제조 방법의 대표예로서, 「익스팬드(팽창) 그라파이트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천연 그라파이트를 진한 황산과 진한 초산의 혼합액에 침지시킨 후 급격히 가열함으로써 그라파이트를 제조한다. 이 그라파이트는, 세정에 의하여 산이 제거된 후에, 고압 프레스에 의하여 필름 형상으로 가공된다.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film-shaped graphite, there is a method called " expanded graphite method ". In this method, graphite is prepared by immersing natural graphite in a mixture of concentrated sulfuric acid and concentrated acetic acid, followed by rapid heating. This graphite is processed into a film shape by a high-pressure press after the acid is removed by washing.

그러나, 이렇게 하여 제조된 필름 형상 그라파이트는 강도가 약하고, 다른 물리적 특성치도 우수하지 않으며, 또한 잔류 산의 영향이 우려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the film-shaped graphite produced in this way has weak strength, does not have excellent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has a problem that influence of residual acid is worried.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수한 고분자 필름을 직접 열처리하여 그라파이트화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이하, 「고분자 그라파이트화법」이라고 부른다). 이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사디아졸, 폴리이미드, 폴리페닐렌비닐렌, 폴리벤조이미다졸, 폴리벤조옥사졸, 폴리티아졸 및 폴리아미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그라파이트화법은, 종래의 익스팬드 그라파이트법과 비교하여 훨씬 간략한 방법으로, 본질적으로 산 등의 불순물의 혼입을 일으키지 않는 방법이고, 또한 단결정 그라파이트에 가까운 우수한 열전도성이나 전기 전도성이 얻어진다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special polymer film is directly heat treated to graphitiz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lymer graphitization method"). The polymer film used for this purpose includes, for example, polyoxadiazole, polyimide, polyphenylene vinylene, polybenzoimidazole, polybenzoxazole, polythiazole and polyamide film. The polymer graphitization method is a method which does not substantially involve incorporation of impurities such as an acid by a much simpler metho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xpanded graphite method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 conductivity close to that of single crystal graphite are obtained.

또한, 고분자 그라파이트화법에서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나노튜브 등의 첨가제를 고분자 필름과 혼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Further, a method of mixing an additive such as carbon nanotubes with a polymer film is known 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polymer graphitization method.

그러나, 고분자 그라파이트화법의 경우, 익스팬드 그라파이트법과 비교하여 두꺼운 필름 형상의 그라파이트를 얻는 것이 어려우며, 그라파이트화를 위해서 매우 고온에서 장시간의 열처리가 필요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olymer graphitiza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thick film-like graphite in comparison with the expanded graphite method, and a long time heat treatment at a very high temperature is required for graphitization.

일반적으로, 양질의 그라파이트로의 변환을 위해서는 5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출발 원료 필름이 필요하며, 2,900℃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 30분 이상의 열처리가 필요한데, 열전도율과 유연성은 서로 상충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열전도율과 유연성이 모두 우수한 그라파이트 시트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a starting material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50 占 퐉 is required for conversion to graphite of good quality, and a heat treatment for at least 30 minutes in a temperature range of 2,900 占 폚 or more is required. However, since thermal conductivity and flexibility are in a trad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graphite sheet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flexibility.

즉, 도 1은 그라파이터 시트를 이루는 기존의 무기재 필름 타입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서, 이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패브릭 원단으로 이루어진 기재(200) 위에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300)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면서 흡착시켜 피막을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통해 소정의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패브릭 원단으로 이루어진 기재(200)를 생략한 상태로 폴리이미드 용액(300)만을 일정한 두께로 펼쳐 필름 상태로 성형한 피막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That is, FIG. 1 shows a conventional inorganic film-type polyimide film constituting a grapheater sheet. This is because the polyimide solution (Polyimide Varnish) is formed on the substrate 200 made of a fabric fabric as shown in FIG. 2, A predetermined film can be obtained through a process of applying the coating layer 30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le adsorbing the coating layer to integrate the coating. FIG. 1 shows a film structure in which only the polyimide solution 300 is stretch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with the substrate 200 made of a fabric fabric omitted.

그러나, 첨부된 도 1은 물론이려니와 도 2의 경우 역시, 건조공정에서 경화되면서 폴리이미드 용액(300)이 도포되지 않은 기재(200)의 좌우 양측에서 원단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당겨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기재의 양측이 울거나 말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휨과 주름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polyimide solution 300 is partially pulled out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fabric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200 on which the polyimide solution 300 is not applied, As a result, both sides of the base material are weighed or curled, resulting in warping and wrinkling.

그러므로, 연속적으로 감아 롤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어렵고, 나아가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keep the rolls in a continuously wound state, which further disadvantageously deteriorates the merchantability.

더불어,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콤마코팅(Comma coating) 장비의 인쇄기 롤러(400)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200) 위에 폴리이미드 용액(300)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시, 상기 인쇄기 롤러(400)에는 선단이 최대한 좁은 폭을 가지는 콤마나이프(401)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폴리이미드 용액(300)이 상기 인쇄기 롤러(400)의 표면에 간섭됨이 없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3, when the polyimide solution 300 is applied on the base material 20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by using a press roller 400 of a comma coating equipment, the press roller 400 Is formed with a comma knife 401 whose tip is as narrow as possible so that the polyimide solution 300 is applied at a uniform thicknes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ess roller 400. [

하지만, 상기와 같은 콤마나이프(401)는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0)을 누르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상기 기재(200) 위에 도포되는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300)이 기재(200) 내부로 침투하여 하부로 스며나오게 되면서 불규칙한 두께를 만드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고,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기재(200)의 일면에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을 1차 도포하고, 상기 기재(200)의 타면에 다시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을 2차 도포하여 그라파이터 시트의 두께 균일성을 유지하기도 하였다.However, since the comma knife 401 acts to press the polyimide solution 300, the polyimide solution 300 coated on the base material 200 may be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base 200 The polyimide solution is first coated on one side of the base material 200 and the base material 200 is co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material 200. As a result, The polyimide varnish was again applied to the other side of the sheet to maintain the thickness uniformity of the sheet.

즉, 상기 기재(200) 위에 도포되는 폴리이미드 용액(300)을 상기 인쇄기 롤러(400)가 상부에서 누르게 되면, 상기 인쇄기 롤러(400)에 형성되는 콤마나이프(401)로 인해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0)이 기재(200) 하부로 스며나오면서 불규칙한 두께, 즉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하부에 미세한 비정형 돌기부(310)를 반복적으로 생성하게 되는 것이었으며,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하부에 다시 폴리이미드 용액을 추가로 도포하면서 평활면을 만들어 주어야 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정 두께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That is, when the press roller 400 presses the polyimide solution 300 applied on the substrate 200, the comma knife 401 formed on the press roller 400 causes the polyimide solution 300 300 are repeatedly formed at irregular thickness, that is, fine irregular protrusions 310 are formed repeatedly at the bottom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polyimide solution is again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200 It was necessary to make a smooth surface while applying it, and it was possible to maintain a certain thickness through this process.

또한, 상기와 같이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300)을 기재(2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도포시킨 후 경화시, 온도 조건 및 경화조건은 1차와 2차로 구분되는데, 1차 코팅시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300)의 특성상 저온에서 코팅 후 1차 경화작업(예; 1차 온도 조건 1번 챔버 50℃~60℃, 2번 챔버 80℃~100℃, 3번챔버 120℃, 4번 챔버 150℃~160℃, 5번 챔버 100℃~120℃의 조건)을 마무리하고, 2차 코팅시에는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300)의 특성상 고온에서 코팅 후 2차 경화작업(예; 2차 온도 조건 1번 100℃, 2번 150℃, 3번 200℃, 4번 200℃, 5번 100℃)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1,2차에 걸친 경화 작업은 코팅면과 비코팅면이 말리는 현상을 초래하여 이 또한 롤 상태로 보관이 어려웠던 것이다.When the polyimide varnish 300 is co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ubstrate 200 as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and the curing conditions are differ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s when curing the polyimide varnish 300. In the first coating, (Eg, primary temperature condition 50 ° C. to 60 ° C. for the first temperature condition, 80 ° C. to 100 ° C. for the second chamber, 120 ° C. for the third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s subjected to a second curing operation after the coating at a high tempera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imide varnish (300) Example 2: Second temperature condition 1, 100 ° C, 2 times 150 ° C, 3 times 200 ° C, 4 times 200 ° C, 5 times 100 ° C) And the non-coated surface was dried, which was also difficult to keep in a roll state.

등록특허공보 제10-1669155호(공고일 2016.10.2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69155 (Notification Date October 25, 2016)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2740호(공개일 2017.06.27)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72740 (published on June 27, 2017)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4586호(공개일 2017.06.30)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74586 (Publication date 2017.06.30)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8762호(공개일 2017.08.30)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98762 (Publication date 2017.08.30)

등록특허공보 제10-1778739호(공고일 2017.09.14)Patent Registration No. 10-1778739 (Publication date 2017.09.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기재로 사용되는 패브릭 원단의 하단을 분리막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그 위에 놓여지는 기재의 상면에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을 일정두께로 코팅하게 됨으로써, 기재의 처짐과 신축을 억제하며, 폴리이미드 용액 코팅시 패브릭 원단의 말림현상과 끊어짐 현상을 방지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fabric) 원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yimide varnish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upper surface of a base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ll type polyimide fabric using a separator that prevents sagging and elongation of a substrate and prevents the fabric from being curled and broken during coating of the polyimide solu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재 위에 도포되는 폴리이미드 용액이 패브릭 원단의 기재를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할 때 기재를 지지하고 있는 분리막 표면을 따라 확산되어 전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 인하여, 폴리이미드 용액의 코팅 두께 조정이 용이하고, 나아가 기재 전폭에 대한 폴리이미드 용액 도포가 또한 가능하게 됨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fabric) 원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imide solution which is capable of diffusing along the surface of a separator supporting the substrate to maintain a wholly smooth surface when the polyimide solution applied on the substrate moves down through the substrate of the fabric fabric, To provide a roll-shaped polyimide fabric fabric using a separator which is easy to adjust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olution, and which further improves the productivity because the application of the polyimide solution to the entire width of the substrate is also possib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 조건 및 경화조건을 1차 경화공정에서는 200℃ 이하에서 경화시켜 퀄 즉 힘을 없애도록 하여 필름이 말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어지는 2차 경화공정에서는 3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20~350℃에서 경화되도록 하여 폴리아시드가 폴리아미드로 완전히 아미드화 되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패브릭(fabric) 원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ring process which cures at 200 캜 or lower in a primary curing process to eliminate the quality or force so as to prevent the film from drying, , More preferably at 320 to 350 ° C so that the polyacid is completely amidated with the polyamide to provide a good quality fabric.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은, (a)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분리막 필름; (b) 상기 분리막 필름 위에 포개어진 상태로 적층 공급되며, 순면 패브릭 원단을 포함하는 천연섬유 또는 인조섬유로 이루어진 기재; (c) 상기 분리막 필름 위에 포개어진 상기 기재의 상면에 공급되어 콤마장비의 인쇄기 롤러를 이용하여 표면이 평활면을 이루도록 일정두께로 도포되는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 으로 이루어지고, (d) 상기 기재 상면으로 도포되는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은 상기 기재에 함침된 후 기재의 바닥부에 이르게 되면서 상기 분리막 필름과 인접하는 상기 기재의 하부면에 하나의 평활 표면 유지막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oll type polyimide fabric fabric using a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separator film continuously fed; (b) a substrate made of natural fibers or man-made fibers stacked on the separator film in a stacked state and comprising a face cloth fabric; (c) a polyimide solution (Polyimide Varnish) which is suppli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superimposed on the separator film and applied with a certain thickness so that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ecomes smooth by using a printing machine roller of a comma machine; (D) the polyimide solution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impregnated into the substrate and then reaches the bottom of the substrate, and one smoothness is impar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djacent to the separator film And a surface-retaining film are simultaneously formed.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연속적으로 챔버에 공급되는 상기 분리막 필름은 0.05t∼0.1t 범위내의 PET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film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hamber may be a PET film in the range of 0.05 t to 0.1 t.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PET필름은 양면 실리콘 또는 불소 코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T film may be made of a double-sided silicone or fluorine co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기재의 일면에 코팅되는 폴리이미드 용액은 130,000∼180,000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imide solution coat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has a viscosity of 130,000 to 180,000.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분리막 필름의 폭은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이 상기 기재의 전체면에 도포되면서 상기 기재의 측면으로 확산되는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 일부가 상기 분리막 필름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재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separator film is such that the polyimide solution is sprea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while a portion of the polyimide solution diffused to the side of the substrate is positioned over the separator film. And has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폴리이미드 용액이 코팅된 상기 기재는, 챔버에서 열처리하여 건조되는 것으로서, 저온 건조를 통해 도포막에 생성되는 기포(기공)을 제거하도록 1차 코팅 작업을 실시하며, 도포되는 폴리이미드 용액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조건의 2차 코팅작업을 추가로 실시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coated with the polyimide solution is dried by a heat treatment in a chamber, and is subjected to a primary coating operation to remove bubbles (pores) formed in the coating film through low temperature drying , The secondary coating operation of the same condition is further carried out in order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polyimide solution to be appli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1차 코팅 또는 2차 코팅 작업은,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의 특성상 저온에서 코팅 후 온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저온 건조의 과정으로 진행하고; 상기 1차 또는 2차 저온 건조 이후에 200℃에서 건조하는 고온 건조시키며; 상기 고온 건조 후에 온도를 더욱 증가시켜 320℃의 온도에서 이미드화 건조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coating or the secondary coating operation proceeds to a low-temperature drying process for sequentially increasing the post-coating temperature at a low temperatur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imide solution; Drying at 200 < 0 > C after the primary or secondary cryogenic drying; After the high-temperature drying, the temperature is further increased to imidize and dry at a temperature of 320 ° C.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1차 및 2차 저온 건조는 순차 배열되는 챔버들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1번 챔버 30℃, 2번 챔버 50℃, 3번 챔버 60℃, 4번 챔버 80℃, 5번 챔버 100℃의 온도를 가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low-temperature drying sequentially increase the temperatures of the chambers sequentially arrang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hamber is 30 ° C, the second chamber is 50 ° C, the third chamber is 60 ° C,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is 80 DEG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5 is 100 DEG C.

다시말해, 상기 1차 및 2차 코팅후 경화하는 조건은 1차 경화공정에서 200℃ 이하로 경화시켜 퀄 즉 힘을 없애도록 하여 필름이 말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어지는 2차 경화공정에서는 3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20~350℃에서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폴리아시드가 폴리이미드로 완전히 이미드화 되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패브릭(fabric) 원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curing conditions after the primary coating and the secondary coating are cured to 200 ° C or lower in the primary curing process to prevent the film from drying due to the elimination of quality or force, and in the subsequent secondary curing proce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20 to 350 ° C., so that the polyacid is completely imidized with polyimide, thereby providing a fabric of good qua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인쇄기 롤러에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에 의해 형성되는 도포막을 균일한 두께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이 기재 내부로 수용되도록 코팅 처리하는 콤마나이프를 형성하되, 상기 콤마나이프는 상기 인쇄기 롤러에 형성되는 결합단차면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 roller having a comma knife for coating a polyimide solution on the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while keeping the coating film formed by the polyimide solution at a uniform thickness, And the comma knif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upling step formed on the printing roller by using a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은 그라파이터화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의 대체품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shaped polyimide fabric fabric is used as a grapfator or as a substitute for a polyimide film.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은 기재로 사용되는 패브릭 원단의 하단을 분리막으로 지지한 후, 분리막 위에 놓여지는 기재의 상면에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을 일정두께로 코팅하게 됨으로써, 폴리이미드 용액 코팅시 패브릭 원단의 말림현상과 끊어짐 현상을 방지하고, 폴리이미드 용액의 두께 조정이 용이함은 물론, 기재 전폭에 대한 폴리이미드 용액 도포가 또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roll type polyimide fabric fabric using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supporting a lower end of a fabric used as a base material with a separation membrane, and then applying a polyimide solu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y coa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curling and breaking of the fabric at the time of polyimide solution coating, to easily adjust the thickness of the polyimide solution, and also to apply the polyimide solution to the entire width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은 또한, 패브릭 원단을 그라파이터화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의 대체품으로 사용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enables to provide a polyimide fabric fabric in the form of a roll using a separator used as a substitute for a polyimide film, or to make the fabric usable as a graphed fabric.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폴리이미드 용액만을 이용하여 피막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2는 종래 기재 표면에 폴리이미드 용액을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3은 종래 콤마장비의 인쇄기롤러를 이용하여 기재 표면에 폴리이미드 용액을 도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챔버에 분리막 필름과 기재를 함께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콤마장비의 인쇄기롤러를 이용하여 기재 표면에 폴리이미드 용액을 도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콤마장비의 인쇄기롤러를 이용하여 기재 표면에 폴리이미드 용액을 도포하는 상태를 보인 실제 구현 사진.
1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a coating film is formed using only a conventional polyimide solution.
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ating film is formed by applying a polyimide solution to the surface of a conventional substrat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yimide solutio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base material using a conventional press roller of a comma equipments.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oll-shaped polyimide fabric fabric us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ion membrane film and a substrate are supplied together to a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yimide solutio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base material using a printing machine roller of a comma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hotograph of an actual implement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yimide solution is applied to a surface of a substrate using a roller of a printer of a comma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의 제조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챔버에 분리막 필름과 기재를 함께 공급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콤마장비의 인쇄기롤러를 이용하여 기재 표면에 폴리이미드 용액을 도포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콤마장비의 인쇄기롤러를 이용하여 기재 표면에 폴리이미드 용액을 도포하는 상태를 보인 실제 구현 사진을 보인 것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roll-shaped polyimide fabric fabric using a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ion membrane film and a substrate are supplied to a chamber together with the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yimide solution is applied to a surface of a base material using a printing machine roller of a comma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olyimide solution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은,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의 코팅 두께를 조정하면서 원하는 안정된 두께(예; 100㎛ 이상)를 유지하면서 폴리이미드 용액 코팅시 패브릭 원단의 말림현상과 끊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a)공정 내지 (d)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것이다.4 to 7, a roll type polyimide fabric fabric using a sepa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esired stable thickness (for example, 100 mm) while adjusting a coating thickness of a polyimide varnish (A) to (d) can be obtained by sequentially performing the steps (a) to (d) so as to prevent curling and breakage of the fabric fabric when the polyimide solution is coated.

상기 (a)공정은 챔버로 분리막 필름(10)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분리막 필름(10)은 일예로서, 0.05t∼0.1t 범위내의 PET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분리막 필름(10)으로 사용되는 상기 PET필름은 양면 실리콘 또는 불소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이같은 분리막 필름(10)은 기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기재를 충분히 적신후 기재의 하부로 침출되는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과 점착되지 않는 이형성을 보유한 박리지이면 족한 것이므로 이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소재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PET필름으로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In the step (a), the separation membrane film 10 is supplied to the chamber. As the separation membrane film 10, for example, a PET film within the range of 0.05 t to 0.1 t may be used. However, the PET film used as the separator film 10 is made of double-sided silicone or fluorine coating. Such a separator film 10 ha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sufficiently wetting the substrate, It is sufficient that a release material having a releasability that does not adhere to the polyimide varnish which is leached is sufficient. Therefore, various kinds of materials including paper or synthetic resin can be selectively used. no.

여기서, 상기 분리막 필름(10)은 필름 위에 놓여지는 기재(20)의 표면에 폴리이미드 용액(30)을 도포시, 상기 기재(20)의 내부로 스며들어 하부로 흘러나오는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의 평활한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분리막 필름(10)의 폭은 상기 기재(20)의 폭보다 넓게 제공되는 것이다.When the polyimide solution 30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0 placed on the film, the separator film 10 penetrates into the substrate 20 and flows into the polyimide solution 30 So that the width of the separator film 10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ubstrate 20.

다시말해, 상기 기재(20) 위에 도포되는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이 상기 기재(20)의 전체면에 충분히 함침된 이후 하부면에 이르게 되면, 기재(20)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분리막 필름(10)에 닿게 되면서 평면으로 확산되어 평활한 바닥부를 이룰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한면의 코팅 공정을 통해서도 전체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양면이 모두 평활한 표면막 상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polyimide solution 30 applied on the substrate 20 is sufficiently impregn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20 and then reaches the bottom surface, the polyimide solution 30, which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20, So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smooth bottom by spreading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film 10 so that both sides having a uniform thickness can provide a smooth surface film state through a single coating process.

이때, 상기 기재(20)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기재(20)를 구성하는 천연 섬유는 크게 셀룰로오스 섬유, 단백질 섬유 및 광물성 섬유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i) 면 또는 케이폭 등과 같은 종자섬유, (ii) 아마, 저마, 대마, 또는 황마 등과 같은 줄기섬유, (iii) 야자섬유와 같은 과실섬유, 및 (iv) 마닐라마, 아바카 또는 사이잘마와 같은 잎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단백질섬유는 (i) 양모 섬유, (ii) 견 섬유 및 (iii) 헤어 섬유를 포함한다.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기재(20)는, 면, 마, 모 및 견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se material 20 may be made of natural fibers, and the natural fibers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20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cellulose fibers, protein fibers, and mineral fibers. The cellulosic fiber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 seed fibers such as cotton or kapok, (ii) stem fibers such as flax, hemp, hemp or jute, (iii) fruit fibers such as coconut fibers, and (iv) Or sisal, said protein fibers comprising (i) wool fibers, (ii) silk fibers and (iii) hair fibers. As the base material 20 made of natural fibers, at least one natural fi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tton, hemp, wool and silk can be preferably used.

또한, 상기 기재(20)는 인조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기재(20)를 구성하는 인조 섬유는 크게 유기질 섬유 및 무기질 섬유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유기질 섬유는 (i) 레이온, 텐셀(라이오셀) 또는 모달과 같은 셀룰로오스계 섬유 및 단백질계 섬유를 포함하는 재생 섬유, (ii) 아세테이트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하는 반합성 섬유, 및 (iii)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플루오르에틸렌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섬유와 같은 합성섬유를 포함한다. The base material 20 may be made of artificial fiber, and the artificial fiber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20 may be roughly divided into an organic fiber and an inorganic fiber. The organic fiber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 regenerated fibers including cellulose-based fibers and protein-based fibers such as rayon, tencel (lyocell), or modal, (ii) semisynthetic fibers including cellulosic fibers such as acetate or triacetate, (iii) a synthetic fiber such as a polyamide fiber, a polyester fiber, a polyurethane fiber, a polyethylene fiber, a polyvinyl chloride fiber, a polyfluoroethylene fiber, a polyvinyl alcohol fiber, an acrylic fiber or a polypropylene fiber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재(20)가 인조 섬유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인조 섬유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기재(20)는 레이온, 아세테이트 및 트리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substrat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man-made fibers, the man-made fiber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olyester, polyurethane, polyethylene, polyvinyl chloride, polyfluoroethylene, polyvinyl alcohol, acrylic and polypropylene And at least one kind of cellulose fi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yon, acetate and triacetate can be preferably used as the base material 20. [

그리고, 상기 기재(20)의 측면으로 확산되는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의 일부가 상기 분리막 필름(10)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에 상기 기재(20)는 상기 분리막 필름(10)의 폭보다 적은 폭을 가지는 전폭의 코팅필름으로 제작될 수도 있는 것이다. A part of the polyimide solution 30 diffus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0 can be positioned on the separator film 10 so that the substrate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parator film 10, Width < / RTI > film having a width less than the width.

상기 (b)공정은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a)공정으로부터 챔버로 공급되는 상기 분리막 필름(10) 위에 패브릭 원단으로 이루어진 기재(20)가 포개지도록 공급하는 것이다.5 (b), the substrate 20 made of a fabric material is placed on the membrane film 10 supplied to the chamber from the step (a).

즉, 상기 분리막 필름(10)의 평면에 상기 기재(20)의 타면이 접촉되면서, 상기 기재(20)와 상기 분리막 필름(10)이 적층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substrate 20 and the separator film 10 are laminated while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20 is in contact with the plane of the separator film 10.

상기 (c)공정은 상기 (b)공정으로부터 분리막 필름(10) 위에 포개어진 상기 기재(20)의 일면에 130,000∼180,000의 점도를 가지는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30)을 공급하여, 상기 기재(20)의 일면에 콤마장비의 인쇄기 롤러(40)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을 코팅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step (c), a polyimide solution (30) having a viscosity of 130,000 to 180,000 is suppli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0) superimposed on the separator film (10) The polyimide solution 30 is coat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20 by using a printer roller 40 of a comma machine.

즉,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인쇄기 롤러(40)에는 상기 기재(20)의 일면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에 의해 형성되는 도포막을 균일한 두께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이 상기 기재(20) 내부로 수용되도록 코팅 처리하는 콤마나이프(41)를 형성하고 있는 것인데, 이같은 인쇄기 롤러(40)에는 결합단차면(40a)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단차면(40a)에 체결부재(50)를 이용하여 상기 콤마나이프(41)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콤마나이프(41)는 상기 인쇄기롤러(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재(20)의 일면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이 균일한 두께로서 평면을 유지하도록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을 코팅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polyimide solution (30)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0) while the coating film formed by the polyimide solution (30) The joining step surface 40a is formed on the joining step surface 40a and the joining step surface 40a is formed on the joining step surface 40a of the joining step surface 40a. And the comma knife 41 is detachably attached using the fastening member 50. Therefore, the comma knife 41 is provided with the polyimide solution 30 so that the polyimide solution 30 maintains a flat surface with uniform thickness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2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rinter roller 40 Coating process.

이때,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은 상기 기재(20)의 내부로 스며들면서 상기 분리막 필름(10)의 표면을 따라 상기 기재(20)의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이고, 이어서 상기 기재(20)에 충분히 함침된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은 상기 기재(20)의 바닥부에 이르게 되는 것이므로 상기 분리막 필름(10)과 인접하는 상기 기재(20)의 표면에는 하나의 평활 표면 유지막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olyimide solution 30 is diffused inside the substrate 20 along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film 10 while penetrating into the substrate 20, and then the substrate 20 is sufficiently Since the impregnated polyimide solution 30 reaches the bottom of the substrate 20, one smooth surface-retaining film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0 adjacent to the separator film 10 .

상기 (d)공정은 상기 (c)공정으로부터 폴리이미드 용액(30)이 코팅된 상기 기재(20)를 챔버에서 열처리하여 건조(또는 경화)시키는 것이고, 이에 따라 일면에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이 코팅되고 타면에는 분리막 필름(10)이 형성된 상기 기재(20)는 패브릭 원단을 그라파이터화하여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의 대체품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step (d), the base material 20 coated with the polyimide solution 30 is heat-treated in the chamber to dry (or cure) the polyimide solution 30 from the step (c) The base material 20 on which the separator film 1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can be used as a fabricator and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 polyimide film.

이때, 상기 챔버에서 상기 기재(20)에 대한 가열시, 그 가열에 따른 온도 조건과 경화 조건은, 저온 건조를 통해 도포막에 생성되는 기포(기공)을 제거하도록 1차 코팅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포되는 폴리이미드 용액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조건의 2차 코팅작업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at the time of heating the substrate 20 in the chamber, the temperature condition and the cur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heating are such that a primary coa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remove bubbles (pores) generated in the coating film through low temperature drying will be.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applied polyimide solution, a secondary coating operation under the same condition can be additionally performed.

상기 1차 및 2차 코팅 작업은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30)의 특성상 저온에서 코팅 후 온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며 1번 챔버 30℃, 2번 챔버 50℃, 3번 챔버 60℃, 4번 챔버 80℃, 5번 챔버 100℃의 조건으로 저온 건조를 진행한 다음, 이를 200℃에서 고온 건조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 320℃의 온도에서 이미드화 건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coating operations sequentially increase the post-coating temperature at low tempera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imide varnish 30, and the first chamber 30 ° C, the second chamber 50 ° C, the third chamber 60 ° C, The fourth chamber 80 ° C. and the fifth chamber 100 ° C., followed by high temperature drying at 200 ° C., followed by imidization drying at a temperature of 320 ° C.

다시말해, 상기 1차 및 2차 코팅후 경화하는 조건으로써, 1차 경화공정에서 200℃ 이하로 경화시켜 퀄 즉 힘을 없애도록 하여 필름이 말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어지는 2차 경화공정에서는 3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20~350℃에서 경화되도록 하여 폴리아시드가 폴리이미드로 완전히 이미드화 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as a condition for curing after the primary coating and the secondary coating, the primary curing process is cured to 200 ° C or lower to eliminate the quality or force, thereby preventing the film from being curled. In the subsequent secondary curing process, Lt; 0 > C or more, more preferably 320 to 350 < 0 > C, so that the polyacid is completely imidized with the polyimide.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1차 코팅 또는 2차 코팅에 따른 건조 작업을 진행하더라도, 상기 기재(20)는 타면에 포개어진 상기 분리막 필름(10)에 의해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30)의 코팅면이 말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dry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imary coating or the secondary coating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ubstrate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ried by the separation membrane film 10 superimposed on the other surface to dry the coating surface of the polyimide solution 30. [ The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은, 고열에 녹지 않고 열수축이 0.1mm 이하로 견딜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패브릭 원단을 이용한 차별성과, 자체적인 생산이 가능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패브릭 원단의 패턴으로 진품 구별이 가능하고, 코팅성의 우수성으로 인해 타 소재와 복합화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roll type polyimide fabric raw fabric using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soluble in high temperature and can withstand heat shrinkage of 0.1 mm or less. This is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bric using the fabric, It is possible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an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genuine from the pattern of the fabric fabric, and it is advantageous that it is easy to composite with another material due to the excellent coating propert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과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not at all.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not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 described and tha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changes are, of cours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분리막 필름 20; 기재
30; 폴리이미드 용액 40; 인쇄기롤러
40a; 결합단차면 41; 콤마나이프
50; 체결부재
10; A separator film 20; materials
30; Polyimide solution 40; Press roller
40a; A coupling stage surface 41; Comma Knife
50; The fastening member

Claims (11)

(a) 연속적으로 챔버에 공급되는 분리막 필름;
(b) 상기 분리막 필름 위에 포개어진 상태로 적층 공급되며, 순면 패브릭 원단을 포함하는 천연섬유 또는 인조섬유로 이루어진 기재;
(c) 상기 분리막 필름 위에 포개어진 상기 기재의 상면에 공급되어 콤마장비의 인쇄기 롤러를 이용하여 표면이 평활면을 이루도록 일정두께로 도포되는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 으로 이루어지고,
(d) 상기 기재 상면으로 도포되는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Polyimide Varnish)은 상기 기재에 함침된 후 기재의 바닥부에 이르게 되면서 상기 분리막 필름과 인접하는 상기 기재의 하부면에도 또 하나의 평활 표면 유지막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
(a) a separation film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hamber;
(b) a substrate made of natural fibers or man-made fibers stacked on the separator film in a stacked state and comprising a face cloth fabric;
(c) a polyimide solution (Polyimide Varnish) which is suppli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superimposed on the separator film and applied with a certain thickness so that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becomes smooth by using a printing machine roller of a comma machine; Lt; / RTI >
(d) The polyimide solution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impregnated into the substrate and then reaches the bottom of the substrate, while another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djacent to the separator film is coated with another smooth surface- Wherein the polyimide fiber fabric is formed at the same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챔버에 공급되는 상기 분리막 필름은 0.05t∼0.1t 범위내의 PET필름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The roll type polyimide fabric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or film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hamber is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of 0.05 t to 0.1 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ET필름은 양면 실리콘 또는 불소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The roll of polyimide fabric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ET film is made of a double-sided silicone or fluorine coat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일면에 코팅되는 폴리이미드 용액은 130,000∼180,000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The roll of polyimide fabric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imide solution coat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has a viscosity of 130,000 to 180,0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필름의 폭은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이 상기 기재의 전체면에 도포되면서 상기 기재의 측면으로 확산되는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 일부가 상기 분리막 필름 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기재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separator film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ubstrate so that the polyimide solution is appli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portion of the polyimide solution diffused to the sides of the substrate is positioned over the separator film Shaped polyimide fabric fabric using a separator.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 용액이 코팅된 상기 기재는, 챔버에서 열처리하여 건조되는 것으로서, 저온 건조를 통해 도포막에 생성되는 기포(기공)을 제거하도록 1차 코팅 작업을 실시하고, 도포되는 폴리이미드 용액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2차 코팅작업을 추가로 실시하며,
상기 1차 코팅 및 2차 코팅 작업은,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의 특성상 저온에서 코팅 후 온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저온 건조의 과정으로 진행하고; 저온 건조 이후에 200℃에서 건조하는 고온 건조시키며; 상기 고온 건조 후에 온도를 더욱 증가시켜 320℃의 온도에서 이미드화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bstrate coated with the polyimide solution is a substrate which is dried by heat treatment in a chamber and is subjected to a primary coating operation to remove bubbles (pores) generated in the coating film through low temperature drying, A secondary coating operation is further performed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polyimide solution,
The primary coating and the secondary coating operation proceed to a low temperature drying process for sequentially increasing the post-coating temperature at a low temperatur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imide solution; Drying at low temperature, followed by drying at 200 ° C; Wherein the temperature is further increased after the high temperature drying to imidize and dry at a temperature of 320 ° C.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저온 건조는 순차 배열되는 챔버들의 온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1번 챔버 30℃, 2번 챔버 50℃, 3번 챔버 60℃, 4번 챔버 80℃, 5번 챔버 100℃의 온도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w-temperature drying sequentially increase the temperatures of the chambers sequentially arranged so that the first chamber is at 30 DEG C, the second chamber is at 50 DEG C, the third chamber is at 60 DEG C, , And the fifth chamber is subjected to a temperature of 100 캜.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코팅후 경화는 1차 경화에서 200℃ 이하로 경화시켜 퀄 즉 힘을 없애도록 하여 필름이 말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어지는 2차 경화에서는 320℃ 이상에서 경화되도록 하여 폴리아시드가 폴리이미드로 완전히 이미드화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uring after the first and second coatings is cured to 200 DEG C or less in the first curing to remove the quality or force so as to prevent the film from drying, and in the subsequent curing, So that the polyacid is completely imidized into the polyimide. ≪ RTI ID = 0.0 > [0002]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 롤러에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에 의해 형성되는 도포막을 균일한 두께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폴리이미드 용액이 기재 내부로 수용되도록 코팅 처리하는 콤마나이프를 형성하되, 상기 콤마나이프는 상기 인쇄기 롤러에 형성되는 결합단차면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inting roller is provided with a comma knife for coating the polyimide solution on the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so that the polyimide solution is received in the substrate while maintaining a unifor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formed by the polyimide solution, Wherein the comma knife is detachably attached to a surface of a coupling step formed on the roller of the printing press using a faste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은 그라파이터화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의 대체품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을 이용한 롤 형태의 폴리이미드 패브릭 원단.The roll of polyimide fabric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shaped polyimide fabric fabric is used as a grapefighter or as a substitute for a polyimide film.
KR1020180027885A 2018-02-07 2018-03-09 Polyimide film for producing the same KR1018711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85A KR101871141B1 (en) 2018-03-09 2018-03-09 Polyimide film for producing the same
PCT/KR2018/010837 WO2019156302A1 (en) 2018-02-07 2018-09-14 Roll-type polyimide fabric using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85A KR101871141B1 (en) 2018-03-09 2018-03-09 Polyimide film for produc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314A Division KR101841416B1 (en) 2018-02-07 2018-02-07 Polyimid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141B1 true KR101871141B1 (en) 2018-06-25

Family

ID=6280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885A KR101871141B1 (en) 2018-02-07 2018-03-09 Polyimide film for produc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14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426B1 (en) 2007-01-30 2008-01-03 제일모직주식회사 Coating slurry for manufacturing the cation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membran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mbrane-electrode assembly, fuel cell
KR101425427B1 (en) 2013-10-15 2014-08-01 주식회사 삼일기계 Apparatus for multi-coating tex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426B1 (en) 2007-01-30 2008-01-03 제일모직주식회사 Coating slurry for manufacturing the cation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membran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mbrane-electrode assembly, fuel cell
KR101425427B1 (en) 2013-10-15 2014-08-01 주식회사 삼일기계 Apparatus for multi-coating tex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62429A1 (en) Aramid nanofiber-based insulation pap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1502992B1 (en) Carbon fiber paper and porous carbon electrode substrate for fuel cell therefrom
US10370506B2 (en) Carbon fiber thermoplastic resin prepreg,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and producing method
TWI659926B (en) Porous carbon material, carbon material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method of manufacturing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rous carbon material
CN107108227B (en) Graphite flak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060281381A1 (en) Speaker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2343246A1 (en) Electrode substrate for electrochemical cells based on low-cost manufacturing processes
US11745463B2 (en) Multilayer graphite sheet with excellent electromagnetic shielding cap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9923091B (en) Method for preparing graphite flake
US8709590B2 (en) Hot-press cushio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871141B1 (en) Polyimide film for producing the same
KR101841416B1 (en) Polyimid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19156302A1 (en) Roll-type polyimide fabric using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923732B2 (en) Method for producing roll-type gas diffusion layer having excellent spreading property
JP6750192B2 (en) Gas diffusion layer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JP6011859B2 (en) Method for producing porous electrode substrate precursor sheet and porous electrode substrate precursor sheet
EP0792213B1 (en) Transfer printing and laminating blanket
US20150090433A1 (en) Thermal shield sheet
JP6212966B2 (en) Porous carbon electrode
JP2002138385A (en) Nonwoven fabric of staple fiber of polyimid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epreg using the nonwoven fabric
JP202403210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as diffusion electrode base material
KR101939338B1 (en) Method for preparing roll type graphite sheet
KR101809641B1 (en) Method for preparing roll type graphite sheet
JPH0976220A (en) Manufacture of ceramic green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