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992B1 - Method for Transferring DRM Contents using UICC, Terminal, UICC and Local-Bearer Access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ansferring DRM Contents using UICC, Terminal, UICC and Local-Bearer Access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992B1
KR101870992B1 KR1020110102371A KR20110102371A KR101870992B1 KR 101870992 B1 KR101870992 B1 KR 101870992B1 KR 1020110102371 A KR1020110102371 A KR 1020110102371A KR 20110102371 A KR20110102371 A KR 20110102371A KR 101870992 B1 KR101870992 B1 KR 101870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icc
local bearer
terminal
modul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3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1882A (en
Inventor
김경태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3001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8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이용한 DRM컨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방법으로서,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는 단말의 비접촉 프론트엔드(ContLess Front-end; CLF)를 통해 상대 UICC로 전송하고, DRM 컨텐츠 자체는 블루투스 등의 별도 로컬 베어러로 전송하되,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UICC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을 이용하는 방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M content transmission method using a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and a method for acquiring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therefor, wherein digital rights data of the DRM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a non-contact front-end (CLF) UICC, and transmits the DRM contents themselves to a separate local bearer such as Bluetooth, but provides a method of using the UICC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to acquire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Description

UICC를 이용한 DRM컨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방법과 단말 및 UICC {Method for Transferring DRM Contents using UICC, Terminal, UICC and Local-Bearer Access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therefor}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DRM contents using UICC, a method for acquiring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for the DRM contents, a terminal and a UICC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이용한 DRM컨텐츠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방법과 단말 및 UICC, 좀 더 구체적으로는 UICC를 이용하여 고용량(High-capacity) DRM 컨텐츠 및 디지털 권리(rights)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A DRM content transmission method using a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a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therefor, a high-capacity DRM content and digital rights using a UICC, and more specifically, a UICC, To a technique for transmitting the data.

최근 근거리 무선통신의 한 방식으로서 NFC가 논의되고 있는 바, NFC 통신은 NFC 모듈을 장착한 단말(이하, NFC 단말이라 함) 사이에서 13.56MHz 주파수 대역(14kHz의 대역폭)을 이용해 최대 10센티미터 이하의 근접 거리에서 최대 424Kbps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다.Recently, NFC has been discussed as a method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NFC communication is a method in which a frequency band of 13.56 MHz (bandwidth of 14 kHz) is used between terminals with NFC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FC terminals) 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t a maximum transmission speed of 424Kbps at a close range.

NFC통신은 크게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 P2P 모드, 리더/라이터(Reader/Writer) 모드의 3가지 모드로 동작하도록 정의된다. NFC communication is largely defined to operate in three modes: card emulation mode, P2P mode, and reader / writer mode.

이러한 NFC 기술은 단일 기기 내부에서 스마트 카드와 리더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ISO/IEC 14443 접근 카드 표준의 확장형 기술로서, NFC 통신은 상대적으로 짧은 셋업 타임(0.1초 이내)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통신 가능한 거리가 10센티미터 내외로 짧을 뿐 아니라 블루투스나 기타 다른 근거리 통신에 비하여 전송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This NFC technology is an extension of the ISO / IEC 14443 access card standard that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a smart card and a reader in a single device. NFC communication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relatively short setup time (within 0.1 seco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as short as about 10 centimeters, and the transmission speed is slower than Bluetooth or othe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한편, GSM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카드로 사용되는 UICC는 모든 종류의 개인 정보의 통합 및 보안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통상 수백 KByte 이상의 용량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a UICC used as a smart car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GSM and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is responsible for the integration and security of all kind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usually has a capacity of several hundred KBytes or more.

또한, UICC는 GSM 네트워크에서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UMTS 네트워크에서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그 외에도 GSM 및 UMTS 네트워크 모두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주소록(Phonebook)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ICC includes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pplication in a GSM network,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pplication in a UMTS network, an application capable of accessing both GSM and UMTS networks, ) Or as a storage space for other applications.

현재 논의중인 표준사양에서는 이러한 UICC의 비접촉식 사용 형태(Use Case of Contactless UICC Service)로서, 티켓(Ticket) 애플리케이션, 지불(Payment) 애플리케이션, 건강관리(Health care) 애플리케이션, , 디지털 권리(Digital Right) 애플리케이션, 물류(Retail) 애플리케이션 등이 논의되고 있다.The standard specification being discussed at the moment is the UICC's Use Case of Contactless UICC Service which is used for Ticket applications, Payment applications, Health care applications, Digital Right applications , And retail applications are being discussed.

한편, UICC를 이용하여 DRM 컨텐츠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NFC 단말 사이에 송수신할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transmit / receive large amount of data such as DRM contents between NFC terminals using UICC.

본 발명은 UICC를 이용한 DRM 컨텐츠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M content transmission method using a UICC.

본 발명은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는 단말의 비접촉 프론트엔드(ContLess Front-end; CLF)를 통해 상대 UICC로 전송하고, DRM 컨텐츠 자체는 블루투스 등의 별도 로컬 베어러로 전송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rights data of DRM contents to a counterpart UICC through a non-contact front-end (CLF) of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DRM contents themselves to a separate local bearer such as Bluetooth.

본 발명은 DRM 컨텐츠의 전송을 위한 로컬 베어러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해서, UICC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을 이용하여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cquiring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using a UICC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to perform local bearer pairing for transmission of DRM contents.

본 발명은 NFC 모드 실행시 원스텝(One Step)으로 상대 단말장치의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하고, 그를 이용하여 DRM 컨텐츠를 P2P 전송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cquiring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of a counterpart terminal device in one step in the NFC mode and P2P transmitting DRM contents using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단말(Terminal) 애플리케이션 또는 원격 터미널에서 요청이 있는 경우UICC 내의 CAT이 블루투스 프로파일 또는 Wi-Fi 프로파일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a CAT within a UICC to obtain and provide a Bluetooth profile or a Wi-Fi profile when requested by a terminal application or a remote terminal.

본 발명은 UICC CAT을 이용하여UICC에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WiFi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cquiring Bluetooth MAC address information or WiFi address information in a UICC using a UICC CA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UICC, 로컬 베어러 모듈 및 비접촉 프론트엔드(ContLess Front-end; 이하 ‘CLF’)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에서의 DRM 컨텐츠 전송방법으로서, 상기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가 상기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의 CLF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UICC로 전송되는 디지털 권리 전송 단계와, 상기 DRM 컨텐츠는 상기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의 로컬 베어러 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는 DRM 컨텐츠 전송 단계와, 상기 수신장치는 수신한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DRM 컨텐츠를 사용하는 DRM 컨텐츠 이용 단계를 포함하는 DRM 컨텐츠 전송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M content transmission method between a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receiving apparatus each having a UICC, a local bearer module and a non-contact front-end (CLF) A digital rights transfer step in which the rights data is transferred to the UICC of the receiving apparatus via the CLF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and a DRM content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DRM content through the local bearer module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DRM content using step of using the DRM content using the received digital rights dat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UICC, 로컬 베어러 모듈 및 CLF를 구비하며, 외부 장치로 DRM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말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CLF를 통해 상기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외부 수신장치의 UICC로 전송하며, 상기 CLF를 통한 디지털 권리 데이터 전송 이후에, 상기 로컬 베어러 모듈을 통해서 상기 DRM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말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having a UICC, a local bearer module and a CLF and transmitting DRM contents to an external device, wherein the terminal transmits the digital rights data of the DRM contents to the UICC And provides a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DRM content through the local bearer module after digital rights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CLF.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UICC, 로컬 베어러 모듈 및 CLF를 구비하며, 외부 장치로부터 DRM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CLF를 통해 외부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상기 UICC로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수신 이후에, 상기 로컬 베어러 모듈을 통해서 상기 DRM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having a UICC, a local bearer module and a CLF and receiving DRM content from an external device, wherein the terminal receives digital rights data of the DRM content from an external transmitting device via the CLF UICC, and receives the DRM contents through the local bearer module after receiving the digital dat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UICC, 로컬 베어러 모듈 및 CLF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에서 DRM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방법으로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CLF가 송신장치의 CLF로부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요청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UIC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UICC는 CAT을 이용하여 OEM 모듈에게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요청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OEM 모듈이 상기 로컬 베어러 모듈로부터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UICC의 CAT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CLF를 통해 상기 획득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상기 송신장치의 CLF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for transmitting DRM contents between a transmitting apparatus having a UICC, a local bearer module and a CLF and a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to the UICC, the UICC transmitting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to the OEM module using the CAT, and transmitting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from the local bearer module Transferring the obtained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CLF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rough the CLF after acquiring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CAT of the UICC;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UICC, 로컬 베어러 모듈 및 CLF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에서 DRM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방법으로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CLF가 송신장치의 CLF로부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요청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UIC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UICC는 CAT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요청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로컬 베어러 모듈로부터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UICC의 CAT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CLF를 통해 상기 획득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상기 송신장치의 CLF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for transmitting DRM contents between a transmitting apparatus having a UICC, a local bearer module and a CLF and a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a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from the UICC and transmitting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to the UICC after the UICC launches the application using the CAT and then transmitting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to the application; Receiving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l bearer module and forwarding it to the CAT of the UICC;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CLF of the transmitting device via the CLF And provides a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UICC, 로컬 베어러 모듈 및 CLF를 구비하며 외부 장치와 DRM 컨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로서, 상기 UICC의 CAT은 상기 로컬 베어러 모듈을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획득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having a UICC, a local bearer module and a CLF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RM contents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the CAT of the UICC launching an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local bearer module, And transmits the acquired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외부 장치와 DRM 컨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내에 구비되는 UICC로서, 상기 UICC는 로컬 베어러 모듈 및 CLF와 연동되며, 상기 UICC는 CAT을 이용하여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UICC를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ICC provided in a terminal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RM contents to / from an external device, wherein the UICC is interlocked with a local bearer module and a CLF, and the UICC acquires the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using CAT And then provides the UICC to the exter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호된 DRM 컨텐츠 및 디지털 권리를 전송하는 전체 흐름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 내부 구성요소의 명칭과 인퍼테이스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4및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제공방안의 일 실시예로서 OEM을 통해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블루투스 프로파일)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6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블루투스 프로파일(BT Profile)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 및 UICC의 내부 구조도이다.
FIG. 1 illustrates an overall flow of transmitting protected DRM content and digital righ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llustrates the names and interfaces of internal components of a termina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and 5 illustrate a method of acquiring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Bluetooth profile) through an OEM as one embodiment of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flow diagrams of a method for obtaining Bluetooth Profile (BT Profile)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terminal and a UICC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unclear.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일 예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을 관할하는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기기에서 수행되는 모든 작업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an example, and an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a system for manag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ll operations performed in the system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최근 UICC 메모리 크기가 Kbyte에서 Mbyte단위로 아주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UICC의 용도를 새로운 서비스까지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Recently, the UICC memory size has increased very rapidly from Kbyte to Mbyte, which provides the possibility to extend the UICC usage to new services.

차세대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에 기반을 두며,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저장과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단말내에 저장하되, 그를 관리하기 위하여UICC를 이용하는 방식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The next generation service is based on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and multimedia contents such a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storage are stored in the terminal, and UICC is used to manage the multimedia contents.

또한, UICC 또는 스마트 카드 사이에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과 관련이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하여 서비스 이용시 타임 레이턴시(Time Latency)를 피할 수 있는 빠른 데이터 접속 기술과 함께 단말 내외부에 있는 원격 서비스와의 연결특성(Connectivity)이 요구될 것이다.In addition, there will be a larg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between a UICC or a smart card. To achieve this, a fast data access technology that can avoid time latency when using a service, ) Will be required.

그러나,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이러한 경향이 반영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서비스의 진화에 따라서 UICC-단말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 스택 등이 수정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수정은 과거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가져야 할 것이다.However, as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this trend is not reflected, and as the evolution of these services, UICC-terminal interfaces and protocol stacks need to be modified. Of course, these modifications should have backward compatibility.

UICC의 진화된 서비스의 일예로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기능을 고려할 수 있는 바, UICC는 암호화/복호화된 MMS, MP3 파일, 비디오 클립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파일 들을 단말 사이에 안전하고 빠르게 전송할 필요가 있다.UICC can be used to manage multimedia files such as encrypted / decrypted MMS, MP3 files, video clips and so on, as an example of the advanced service of UICC. It is necessary to transmit securely and quickly.

한편, 단말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의 방식으로서 NFC 통신이 제안되어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이러한 NFC 기술에 의한 P2P 데이터 전송은 상대적으로 짧은 셋업 타임(0.1초 이내)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통신 가능한 거리가 10센티미터 내외로 짧을 뿐 아니라 블루투스나 기타 다른 근거리 통신에 비하여 전송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NFC에 의한 데이터 전송속도는 최대 484 Kbps인 반면, 블루투스는 10미터 거리에서 최대 2.1Mbps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Meanwhile, NFC communication has been proposed as one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erminals. Hereinafter, P2P data transmission by the NFC technique has an advantage of having a relatively short setup time (within 0.1 seco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as short as about 10 centimeters, and the transmission speed is slower than Bluetooth or othe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For reference, NFC data transmission speed is up to 484 Kbps, while Bluetooth can transmit data up to 2.1 Mbps at a distance of 10 meters.

한편, NFC단말 등의 비접촉 프론트 엔드(CLF)는 단말 내의 회로로서 비접촉 통신의 아날로그 부분을 처리하고, 비접촉 프로토콜의 일부 레이어를 처리할 수 있으며, 단말과 UICC 사이의 데이터 처리를 담당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a noncontact front end (CLF) such as an NFC terminal can process an analog portion of noncontact communication as a circuit in a terminal, process some layers of the noncontact protocol, and configure a structure capable of processing data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ICC Element.

또한, CLFI는 UICC와 CLF 사이의 물리계층 인터페이스(Physical Interface)를 의미하며, CLFIP는 CLFI를 통한 UICC와 CLF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한다.Also, CLFI means a physical interface between a UICC and a CLF, and CLFIP means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UICC and a CLF via a CLFI.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논의되고 있는 UICC의 비접촉식 사용 형태(Use Case of Contactless UICC Service)로서, 티켓(Ticket) 애플리케이션, 지불(Payment) 애플리케이션, 건강관리(Health care) 애플리케이션, , 디지털 권리(Digital Right) 애플리케이션, 물류(Retail)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하여 정의된 요구 사항(Requirement) 들은 아래 표 1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UICC's Use Case of Contactless UICC Service, which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includes a Ticket application, a Payment application, a Health care application, a Digital Right ) The requirements defined for the application, the retail application, etc.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 현재의 UICC의 비접촉 서비스 중 P2P 모드의 요구 사항[Table 1] Requirements of P2P mode among non-contact services of current UICC

Figure 112011078368288-pat00001
Figure 112011078368288-pat00001

이러한 현재까지 정의된 요구사항 또는 P2P 모드 요구사항으로는 UICC 상에서의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 또는 교환을 위한 환경까지 커버하지는 못한다.Such currently defined requirements or P2P mode requirements do not cover the environment for the transmission or exchange of large amounts of data on the UICC.

따라서, 신속한 세션 개시 및 가능한 한 빠른 데이터 전송 모두를 만족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블루투스와 같은 더 빠른 단거리(Short-Range)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P2P 모드를 제안하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atisfy both a quick session start and a data transmission as fast as possible, and to propose a P2P mode using fast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이러한,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기능으로서 UICC의 여러 사용 예 중 하나로서,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함)가 존재할 수 있다.Digital rights manag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M) may exist as one of various examples of use of the UICC as a multimedia file management function.

UICC를 이용하여 장치 또는 단말 사이에서 고용량(High-Capacity)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이러한 DRM의 새로운 사용 예(Use Case)가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A new use case of this DRM may be needed when transmitting high-capacity multimedia data between devices or terminals using UIC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장치내에서 안전한 메커니즘을 필요로 하는 디지털 권리가 목적 장치 내의 UICC 내부로 전송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gital rights requiring a secure mechanism in the host device are transmitted into the UICC in the destination device.

또한, 호스트 장치 내에서 큰 공간이 필요한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목표 장치(Target Device)의 단말 내부로 전송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Also, the large-capacity multimedia contents requiring a large space in the host apparatus will need to be transferred to the terminal of the target device.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 자체는 수신 단말의 터미널 측으로 전송되지만, 보안이 필요한 컨텐츠의 DRM 정보 등은 UICC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rge-capacity multimedia contents themselves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ide of the receiving terminal, but the DRM information of the contents requiring security is transmitted to the UICC.

이에 본 발명은 UICC의 여러 사용예 중에서 DRM 부분에 대해서, UICC를 이용한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디지털 권리를 장치 사이에 전송하는 것과 관련된 사용예를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usage example related to transferring a large amount of multimedia contents and digital rights using a UICC between DRM parts among various UICC usage examples.

즉, OMA SRM(Open Mobile Alliance Secure Removable Media) 스펙등에 따라서 디지털 권리(Digital Rights)는 UICC에 저장하고 그에 대한 관리는 단말(Terminal)이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OMA SRM 스펙은 디지털 권리의 정의와 관리 과정을 상세하게 정의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는 SRM 능력을 UICC 까지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digital rights can be stored in the UICC according to the OMA SRM specification, and the management of the digital rights can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The OMA SRM specification defines the definition and management process of digital rights in detail, and this specification is characterized by extending the SRM capability to UICC.

몇몇의 DRM-보호 컨텐츠를 수집하여 오래된 휴대폰에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는 새로운 휴대폰 또는 단말을 구입하고자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체 전 단말 내에 있는 모든 컨텐츠를 새로운 단말에서도 사용(Play)하고 싶을 것이며, 따라서 이전 단말에서 새로운 단말로 컨텐츠 및/또는 디지털 권리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여야 한다. 이 때 UICC가 이용될 수 있다.A user who collects some DRM-protected content and stores it on an old cell phone may want to purchase a new cell phone or terminal. In this case, it is desired that all contents in the terminal before the replacement are to be used in a new terminal, and therefore, information on the contents and / or the digital rights should be transmitted from the previous terminal to the new terminal. UICC can be used at this time.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우선, 이전 단말, 즉 송신측 단말(Sender) 내에 있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즉 DRM 에이전트 등이 성공적인 상호 인증을 한 후에 해당 컨텐츠 및/또는 권리를 이전 단말에서부터 새로운 단말(목적 단말 또는 수신측 단말)의 UICC로 전송할 수 있다.First,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a previous terminal, that is, a sender (a sender), that is, a DRM agent, performs successful mutual authentication and then transmits the content and / or rights from a previous terminal to a new terminal UICC.

또한, 카드 상에 저장된 DRM 컨텐츠 및/또는 권리는 양 엔터티 사이의 성공적인 인증 이후에 카드로부터 새로운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이전 단말에서 획득한 컨텐츠를 새로운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다.Also, the DRM content and / or rights stored on the card can be transferred from the card to the new terminal after successful authentication between the two entities, whereby the user can use the content acquired from the previous terminal in the new terminal.

또한, 다른 사용자들에게 속하는 단말들 사이 또는 다른 형태(예를 들면, 휴대폰과 PC 등)의 단말들 사이에서도 해당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하여 위와 동일한 과정들이 포함될 수 있다.Also,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may be included between terminals belonging to different users or between terminals of other types (e.g., mobile phones and PCs) in order to share the content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UICC를 이용하여 DRM 보호된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그의 디지털 권리를 전송하는 사용 예를 제안한다.Meanwhil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usage example of transmitting DRM protected large capacity (multimedia) contents and digital rights thereof using UICC.

사용자는 디지털 선물(Digital Gifts) 및 권리와 같은 보호된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친구 등의 다른 단말로 전송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때 UICC가 이용될 수 있다.A user needs to transmit protected large-capacity multimedia contents such as digital gifts and rights to another terminal such as a friend, at which time a UICC can be us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ollow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호스트 장치 내에 있는 디지털 권리가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UICC 내로 전송될 수 있다.1) Digital rights in the host device can be transferred into the UICC via the contactless interface.

2)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예를 들면, 적외선, 블루투스 또는 WLAN 등과 같은 로컬 베어러(Local Bearer)를 경유하여 목적 장치(Target Device)의 단말(Terminal)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2) Large capacity (multimedia) cont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target device via a local bearer such as infrared, Bluetooth or WLAN.

3)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에서 획득한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목적 장치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3) The user can use the large-capacity multimedia contents acquired from the host device in the destination device.

상기 과정은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속한 단말들 사이 또는 다른 형태(예를 들면, 휴대폰과 PC 등)의 단말들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process may be used equally between terminals belonging to different users or between terminals of other types (for example, a mobile phone and a PC) in order to share large-capacity multimedia contents.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DRM 컨텐츠 전송방법은 UICC, 로컬 베어러 모듈 및 비접촉 프론트엔드(CLF)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에서의 DRM 컨텐츠 전송방법으로서,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의 CLF를 경유하여 수신장치의 UICC로 전송되고, DRM 컨텐츠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의 로컬 베어러 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며, 수신장치는 수신한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DRM 컨텐츠를 사용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DRM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M content transmission method between a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receiving apparatus having a UICC, a local bearer module, and a non-contact front end (CLF) Is transmitted to the UICC of the receiving apparatus via the CLF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the DRM content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local bearer module of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uses the received digital rights data And using the DRM contents.

또한, 전술한 CLF는 NFC 모듈이며, 송신장치는 리더 모드로 동작하고, 수신장치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로컬 베어러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WLAN(Wi-Fi) 모듈 및 적외선 모듈 등일 수 있다.The local bearer module may be a Bluetooth module, a WLAN (Wi-Fi) module, and an infrared module. The NFC module may be a NFC module, a transmitting device may operate in a reader mode, a receiving device may operate in a card emulation mode, have.

또한, 송신장치의 UICC는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을 이용하여 수신장치의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송신장치는 획득한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수신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한 후, DRM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ICC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can acquir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using a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and the transmitting apparatus performs Bluetooth pairing with the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acquired Bluetooth profile of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n transmits the DRM contents.

또한, 이를 위하여 론치 애플리케이션 특성(Launch Application Feature) 중 하나로서, UICC의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이 로컬 베어러 모듈을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one of the Launch Application Features, a card application toolkit (CAT) of the UICC may have a function of launching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local bearer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권리 및 컨텐츠 전송방법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다.1 shows an overall flow of a digital rights an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의하면, 호스트 장치 내에 있는 디지털 권리가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UICC 내로 전송되고, 대용량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예를 들면, 적외선, 블루투스 또는 WLAN 등과 같은 로컬 베어러(Local Bearer)를 경유하여 목적 장치(Target Device)의 단말(Terminal)측으로 전송되는 전체 흐름을 도시한다.1, the digital rights in the host device are transferred into the UICC via the contactless interface, and the large capacity (multimedia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device via a local bearer, such as infrared, Bluetooth or WLAN, (Target Device) to the terminal side of the target device.

도 1에 의한 과정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according to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권리 및 컨텐츠 전송방법에서, 송신측은 리더모드로 동작하고, 수신측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digital rights an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side may operate in a reader mode and the receiving side may operate in a card emulation mo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우선, mp3 파일과 같이 대용량 DRM 컨텐츠 또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피어(peer) 단말에 접촉한다. 즉, 송신장치가 피어방식으로 수신장치와 접속된다.(S110)First, a peer terminal is contacted to transmit a large amount of DRM contents or a large amount of data such as an mp3 file. That is,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in a peer manner (S110)

그러면, 송신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컨텐츠의 DRM 데이터 또는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송신측 장치의 UICC로 전송한다. 송신측 장치의 UICC는 해당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송신장치의 비접촉 프론트 엔드(Contactless Front-End; CLF)를 통하여 수신 장치의 CLF를 경유하여 수신장치의 UICC로 전송한다.(S120)Then, the application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the DRM data or digital rights data of the corresponding contents to the UICC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e UICC of the transmitting-side apparatus transmits the digital rights data of the corresponding DRM contents to the UICC of the receiving apparatus via the CLF of the receiving apparatus via the contactless front-end (CLF)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S120)

다음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송신 장치의 비접촉 프론트 엔드 사이에서 수신 장치의 접속정보 또는 수신장치의 로컬 베어러 정보(Bearer Data)를 획득한다.(S130) 송신장치가 수신장치의 베어러 정보를 획득할 때 UICC CAT을 이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도 2 이하를 참고로 추가 설명한다.Next, the application obtains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or the local bearer information (Bearer Data) of the receiving apparatus between the non-contact front ends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S130)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obtains the bearer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And a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further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following.

다음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로컬 베어러 칩(Local Bearer Chip) 또는 모듈에게 로컬 베어러 네크워크 연결을 요청한다.(S140) 본 실시예에서서 로컬 베어러는 블루투스, Wi-Fi, 적외선 통신 등이 될 수 있으며, 수신장치의 로컬 베어러 정보는 블루투스 접속정보, Wi-Fi 접속 정보 또는 적외선 접속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접속정보 및 Wi-Fi 접속정보는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Wi-Fi MAC 어드레스 등이 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the application requests a local bearer chip or a local bearer network connection to the module (S140). In this embodiment, the local bearer may be Bluetooth, Wi-Fi, infrared communication, The local bearer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may be Bluetooth connection information, Wi-Fi connection information, or infrared connection information. The Bluetooth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may be a Bluetooth MAC address, a Wi-Fi MAC addres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해당 로컬 베어러를 통한 베어러 네트워크가 연결되면 송신 장치의 로컬 베어러 칩은 해당 컨텐츠(mp3 파일 등)를 수신 장치의 대응되는 로컬 베어러 칩으로 P2P 전송한다.(S150)Next, when the bearer network through the local bearer is connected, the local bearer chip of the sender apparatus P2P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mp3 file, etc.) to the corresponding local bearer chip of the receiver apparatus (S150)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해당 컨텐츠를 수신한 수신 장치에서는 이미 UICC에 전송된 해당 컨텐츠의 DRM 데이터 또는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the content can use the DRM data or the digital rights data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lready transmitted to the UICC to use the corresponding content.

한편, 위를 위하여 송신장치 또는 수신장치의 CLF에 론칭(Launching)되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제한이 없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limit to the application that must be launched to the CLF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or the receiving apparatus for the above purpose.

로컬 베어러는 블루투스, WLAN(Wi-Fi), 적외선 통신 베어러 등이 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ocal bear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Bluetooth, WLAN (Wi-Fi), infrared communication bearer,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블루투스 및 WLAN과 같은 로컬 베어러를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하여, 피어로 연결된 단말에게 로컬 베어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UICC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 도 2를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ICC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is used to launch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local bearer such as infrared, Bluetooth and WLAN and provide local bearer information to a peer-connected termina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은 NFC 지원이 가능한 단말로서, UICC 모듈(210)과, CLF로서의 NFC 모듈(220)과, 로컬 베어러 모듈로서 블루투스(BT) 모듈(230) 및 Wi-Fi 모듈(240)을 포함하며,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250)와, 그 상위단에 각 모듈들의 구동부(260; UICC 드라이버, NFC 드라이버, BT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와, 그 상위의 핸드셋 부팅 및 제어 소프트웨어(270; OEM)와, 각 모듈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80) 및 상위 응용 프로그램(29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ncludes a UICC module 210, an NFC module 220 as a CLF, a Bluetooth (BT) module 230 and a Wi-Fi module 240 as a local bearer module, (UICC driver, NFC driver, BT driver, Wi-Fi driver) and an upper handset boot and control software (270) of the respective modules at an upper end thereof. OEM), an application program 280 and an upper application program 290 of each module, and the like.

또한, 각 모듈과 모듈 구동부 사이에는 UICC-단말 프로토콜, NFC-단말 프로토콜, BT-단말 프로토콜, WiFi-단말 프로토콜 등이 정의되어 있으며, NFC 모듈과 단말(Terminal) 또는 UICC 모듈 사이에 정의된 HCI(Host Controller Interface) 또는 SWP(Single Wire Protocol) 등이 그 일 예이다.The UICC-terminal protocol, the NFC-terminal protocol, the BT-terminal protocol, and the WiFi-terminal protocol are defined between each module and the module driving section, and the HCI defined between the NFC module and the terminal or UICC module Host Controller Interface) or SWP (Single Wire Protocol).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송신측 단말 및 수신측 단말 모두가 NFC 단말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both the transmitting side terminal and the receiving sid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described as NFC terminal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2에서는 로컬 베어러 모듈로서 블루투스 모듈(230) 및 Wi-Fi 모듈(240)을 예시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둘 중 하나의 모듈만 구비할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형태의 로컬 베어러 모듈이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FIG. 2, the Bluetooth module 230 and the Wi-Fi module 240 are illustrated as a local bearer module. However, the local bearer module may include only one of the modules, or may include other types of local bearer modules It might b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 내부 구성요소의 명칭과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시한다.Figure 3 illustrates the names and interfaces of internal components of a terminal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 내부는 NFC콘트롤러 칩(310), UICC(320), OEM(330), 응용 애플리케이션(340), 블루투스 모듈(350), Wi-Fi 모듈(36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응용 애플리케이션은 유저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3, an NFC controller chip 310, a UICC 320, an OEM 330, an application application 340, a Bluetooth module 350, a Wi-Fi module 360), and the application may not have a user interface.

또한, 각 모듈 또는 칩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서, la는 외부 단말과의 비접촉 인터페이스, lb는 NFC 칩과 USIM(UICC) 사이의 인터페이스, lc는 UICC와 단말(Terminal) 또는 호스트 사이의 인터페이스, ld는 UICC와 응용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인터페이스, le는 애플리케이션 상의 블루투스 칩 정보 접근 인터페이스, lf는 블루투스 칩과 단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Lb is an interface between the NFC chip and the USIM (UICC), lc is an interface between the UICC and the terminal or the host, ld is an interface between the UICC and the terminal or the host, An interface between the UICC and the application application, le a Bluetooth chip information access interface on the application, and lf an interface between the Bluetooth chip and the terminal.

또한, 블루투스 모듈 및 Wi-Fi 모듈에는 각각 블루투스 프로파일 및 Wi-Fi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프로파일은 MAC 어드레스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Wi-Fi module may each have a Bluetooth profile and a Wi-Fi profile, and the profile may be a MAC addr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로컬 베어러를 관리하거나 피어(Peer) 상태의 단말에게 로컬 베어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UICC CAT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 도 4 이하를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ICC CAT can be used to manage a local bearer or provide local bearer information to a peer terminal,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Explain.

이하에서는, 로컬 베어러로서 블루투스를, 로컬 베어러 데이터로서 블루투스 프로파일 또는 블루투스 접속 정보를 예시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Bluetooth as a local bearer and Bluetooth profile or Bluetooth connection information as local bearer data are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이하에서는 P2P 페어링, 더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페어링(BT Paring)을 로컬 베어러 네트워크 연결과 동등한 개념으로 사용한다.In the following, P2P pairing, more specifically, Bluetooth pairing (BT Paring) is used as a concept equivalent to a local bearer network connec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컬 베어러 정보 획득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OEM을 통해서 블루투스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FIG. 4 illustrates a method of acquiring Bluetooth profile information through an OEM as one embodiment of a local bearer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4는 도 1의 과정 중에서 송신 장치가 수신 장치에게 수신 장치의 로컬 베어러 정보, 즉 블루투스 접속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수신장치에서 자신의 블루투스 접속 정보를 송신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다.That is, FIG. 4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transmitting device provides its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to a transmitting device in a receiving device when the receiving device requests local bearer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device, that is,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FIG.

즉, 송신 장치인 외부 단말 (Sender) 에서 P2P 페어링을 하기 위해 해당 수신 장치(Receiver) 의 BT / WIFI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처리하는 방안으로 크게 OEM 모듈을 이용하는 방법과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도 4 및 5는 OEM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를, 도 6 및 도 7은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That is, when an external terminal (Sender) as a transmitter requests a BT / WIFI profile of a corresponding receiver to perform P2P pairing, a method of using an OEM module and a method of using an application are widely used Figs. 4 and 5 show the case of using the OEM module, and Figs. 6 and 7 show the case of using the application application.

도 4는 수신 장치에서 OEM 모듈을 이용하여 로컬 베어러 접속 정보를 송신장치에 제공하는 경우 수신 장치 내부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4 illustrates a signal flow inside a receiving apparatus when providing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using an OEM module in the receiving apparatus.

도 4와 같이, 수신장치의 CFL인 NFC 칩은 NFC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상태에서 송신 장치, 더 구체적으로는 송신장치의 CFL인 NFC 칩으로부터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대한 요청 명령을 비접촉으로 수신한다(S410)4, the NFC chip, which is the CFL of the receiving apparatus, receives the request for the Bluetooth profile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NFC chip, which is the CF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in the NFC card emulation mode (S410)

수신장치의 NFC 칩은 수신장치의 UICC로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 요청 명령을 전달하며(S420), UICC는 CAT을 이용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한다. 더 구체적으로 CAT는 UICC와 단말 간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블루투스 접속정보 획득 요청 명령을 단말의 OEM 모듈로 전달한다(S430)The NFC chip of the receiving apparatus transmits the Bluetooth profile request command to the UICC of the receiving apparatus (S420), and the UICC processes the request using the CAT. More specifically, the CAT transmits the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acquisition request command to the OEM module of the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UICC and the terminal (S430)

UICC CAT가 OEM 모듈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접속정보 획득 요청 명령은 구체적으로 GET SERVICE INFORMATION (BT param.) Command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acquisition request command transmitted by the UICC CAT to the OEM modul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GET SERVICE INFORMATION command.

GET SERVICE INFORMATION 명령어는 UICC가 주어진 장치에서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참조(Look)하라고 단말에 요청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서, 구체적으로는 특정 서비스와 관련된 완전한 서비스 레코드를 참조할 때 사용된다. 이를 통하여 UICC가 특정 서비스를 정확하게 정의(예를 들면 프로토콜 스택 등)할 수 있다.The GET SERVICE INFORMATION command is used when the UICC requests the terminal to look up detailed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service on a given device. Specifically, the GET SERVICE INFORMATION command is used to refer to a complete service record related to a specific service. This allows the UICC to accurately define a particular service (eg, a protocol stack).

이러한 블루투스 접속정보 획득 요청명령을 수신한 OEM 모듈은 해당 요청명령을 파싱(Parsing)한 후, 블루투스 접속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신장치의 해당 로컬 베어러 모듈인 블루투스 칩에 접근한다.(S440)After receiving the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acquisition request command, the OEM module parses the request command and accesses the Bluetooth chip, which is a corresponding local bearer module of the reception device, in order to secure the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S440)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칩은 자신의 접속정보, 즉 로컬 베어러 접속 정보로서의 블루투스 프로파일 또는 블루투스 어드레스 정보를 OEM에게 응답한다(S450)The Bluetooth chip of the receiving device responds to the OEM with the Bluetooth profile or Bluetooth address information as its own access information, i.e.,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S450)

OEM은 UICC CAT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UICC로 전달한다(S460) OEM이 UICC로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회신할 때의 명령은, 구체적으로 TERMINAL RESPONSE(Service Record[BT profile]) Command 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EM transmits the Bluetooth profile to the UICC using the UICC CAT (S460). When the OEM returns the Bluetooth profile to the UICC, the command may be specifically a TERMINAL RESPONSE (Service Record [BT profile]) Command, It is not.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수신한 UICC CAT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CLF인 NFC 칩으로 전달한다(S470).The UICC CAT receiving the Bluetooth profile transmits the Bluetooth profile to the NFC chip which is the CLF (S470).

수신장치의 CLF인 NFC 칩은 UICC CAT으로부터 수신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블루투스 프로파일)를 송신장치의 CLF(NFC 칩)으로 전송한다.(S480)The NFC chip, which is the CLF of the receiving apparatus, transmits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Bluetooth profile) received from the UICC CAT to the CLF (NFC chip)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S480)

송신장치는 이로써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으며, 송신장치는 그 후에 수신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형성한 후에 이미 전송된 디지털 권리에 대응되는 DRM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The transmitting device can thereby acquire the Bluetooth profile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transmitting device can then transmit the DRM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lready transmitted digital rights after establishing the Bluetooth pairing with the receiving device.

블루투스 페어링(paring) 및 WiFi 페어링 과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는 송신 장치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획득한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 등)를 이용하여 소켓 요청을 수신장치로 전송하고, 수신장치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ACK 또는 수락(Accept)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the Bluetooth pairing and WiFi pairing process, a known technique can be used. Specifically, the transmitting device transmits a socket request (Bluetooth address) using the Bluetooth profile (Bluetooth MAC address information, etc.)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can transmit the ACK or Accept message as a response thereto.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BluetoothSocket 및 BluetoothServerSocket와 같은 API 또는 클래스(Class)를 이용할 수 있으며, BluetoothServerSocket를 이용하여 하나의 단말이 서버 소켓이 되고, 원격에 있는 다른 단말은 이 서버 소켓을 가지는 단말에 연결(connect) 요청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 요청시 서버 소켓을 가지는 단말의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연결 요청을 받은 단말은 BluetoothSocket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측 단말에서 요구하는 연결을 수락(accept 또는 ACK) 함으로써 블루투스 페어링이 완료된다.More specifically, an API or a class such as BluetoothSocket and BluetoothServerSocket can be used. One terminal becomes a server socket using BluetoothServerSocket, and the other terminal in a remote connection is connected to a terminal having this server socket connect request. When the connection request is made, the MAC address of the terminal having the server socket is used. The terminal that receives the connection request completes Bluetooth pairing by accepting (accept or ACK) the connection requested from the client side terminal using BluetoothSocket.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장치가 서버측 단말이 되어 서버 소켓을 열어두게 되고, 송신장치가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해 연결 요청을 하면, 수신장치가 그에 대한 수락(ACK)을 함으로써 페어링이 수행되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iving device becomes the server side terminal and opens the server socket. When the transmitting device makes a connection request using the Bluetooth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device, the receiving device receives an ACK So that the pairing is performed.

또한, WiFi 페어링 과정 역시 전술한 블루투스 페어링 과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lso, the WiFi pairing process can be performed similarly to the Bluetooth pairing process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UICC CAT의 구성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UICC CA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UICC CAT 기술은 ETSI TS 102 223 표준에 개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블루투스 프로파일과 같은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의 획득 및 전송에 사용되는 UICC CAT 명령어는 TERMINAL RESPONSE, DECLARE SERVICE, GET SERVICE INFORMATION 등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ICC CAT technique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 described in the ETSI TS 102 223 stand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the UICC CAT instruction used to acquire and transmit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such as a Bluetooth profile, TERMINAL RESPONSE, DECLARE SERVICE, GET SERVICE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의 획득 및 전송 또는 디지털 권리의 UICC 내의 저장을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세스 또는 UICC 데이터 공간은 CAT 상의 서비스 레코드(Service Record) 프로세스 및 그 영역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process or UICC data space used for the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of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or for storage within the UICC of the digital rights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he Service Record process and its area on the CAT.

UICC CAT에서 규정하는 서비스 레코드는 관련된 기술에 종속된 각각 다른 포맷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브젝트(Object)는 터미널에서 UICC쪽으로 또는 UICC에서 터미널 쪽의 양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UICC CATs can use different formats depending on the technology involved, and these objects can be used in both directions from the terminal to the UICC or from the UICC to the terminal.

이러한 서비스 레코드 오브젝트는 CAT 애플리케이션이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선언(Declare)할 때 사용하는 DECLARE SERVICE 명령어나, CAT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GET SERVICE INFORMATION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se service record objects may be, but are not limited to, the DECLARE SERVICE command used when deciding which services a CAT application can support, or the GET SERVICE INFORMATION command used when a CAT application searches for services.

이러한 서비스 레코드는 아래 표 2와 같은 데이터 형식을 가질 수 있다.These service records can have the data format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Figure 112011078368288-pat00002
Figure 112011078368288-pat00002

여기서, 로컬 베어러 기술 식별자(Local Bearer Technology Identifier)는 ‘01’인 경우 블루투스인 것으로 코딩 될 수 있으며, 미래를 위한 예비 자원인 ‘05’ 내지 ‘FF’ 중 하나의 자원이 Wi-Fi(WLAN)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Local Bearer Technology Identifier can be coded as being Bluetooth when it is '01' and one of the preliminary resources '05' to 'FF' for the future is Wi-Fi (WLAN) . ≪ / RTI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AT 기술은 ETSI TS 102 223 및 그의 향후 버전에 규정된 사양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AT technique u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specified in ETSI TS 102 223 and future versions thereof,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CAT는 카드 애플리케이션 툴키트(Card Application Toolkit)의 약어로서, ICC(Integrated Circuit Card)에 의하여 사용되도록 정의되는 포괄적인 명령어 또는 프로시저(Procedure) 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ETSI의 TS 102 223 등의 표준에서 정의되어 있다.CAT stands for Card Application Toolkit, which means a generic set of instructions or procedures defined for use by an ICC (Integrated Circuit Card), and is defined in a standard such as TS 102 223 of ETSI Is defined.

이러한 CAT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접속기술과 무관하거나 그와 별도로 정의되는 것으로서, UICC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임의의 ICC일 수 있다.Such a CAT is independent of or is defined separately from a generic network access technology, and the UICC may be any ICC suppor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to access the network.

이 때,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 접속 애플리케이션(Network Access Application; NAA)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NAA는 3G 플랫폼에서만 사용되는 USIM 애플리케이션, TSIM 애플리케이션, ISIM 애플리케이션 등을 의미할 수도 있고, 3G 또는 2G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SIM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기타 RUIM, 제조업자와 오퍼레이터와 독립적으로 터미널(Terminal) 및 ICC 사이의 연관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특정한 인터페이스인 모든 애플리케이션 일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application for accessing the network may be defined as a Network Access Application (NAA), which may mean a USIM application, a TSIM application, an ISIM application, etc., And may be a SIM that is used in a 3G or 2G platform and may be any application that is a specific interface that can guarante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ICC independently of other RUIMs, manufacturers and operators.

이러한 CAT는 명령어,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각 프로시저에서의 터미널과 ICC 상의 필수 사양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se CATs are concepts that include commands, application protocols, terminals on each procedure, and required specifications on the ICC.

도 5는 도 4와 같은 과정에서 UICC CAT과 OEM 사이의 동작만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only the operation between the UICC CAT and the OEM in the process of FIG.

도 5와 같이, 수신장치의 UICC는 자신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획득하기 위하여 CAT의 GET SERVICE INFORMATION (BT param.) Command을 단말(Terminal)측, 더 구체적으로는 OEM 모듈로 전송한다(S510)5, the UICC of the receiving apparatus transmits a CAT's GET SERVICE INFORMATION (BT param.) Command to the terminal, more specifically to the OEM module to obtain its own Bluetooth profile (S510)

그러면, OEM은 자체적인 OEM 로직을 통해서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와 같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획득하며(S520), 획득된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CAT의 TERMINAL RESPONSE(Service Record[BT profile]) Command 명령을 통해서 UICC로 전달한다(S530)Then, the OEM obtains the Bluetooth profile such as the Bluetooth MAC address through its own OEM logic (S520), and transmits the obtained Bluetooth profile to the UICC through the CAT's TERMINAL RESPONSE (Service Record [BT profile]) command S530)

OEM 로직은 GET SERVICE INFORMATION (BT param.) Command을 수신한 경우 블루투스 칩(로컬 베어러 모듈)에게 그 명령을 전달하여 그에 대한 회신으로서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로직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EM logic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logic that, when receiving a GET SERVICE INFORMATION (BT param.) Command, passes the command to the Bluetooth chip (local bearer module) and receives a Bluetooth profile as a reply to the command.

도 5는 수신 장치에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로컬 베어러 접속 정보를 송신장치에 제공하는 경우 수신 장치 내부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5 shows a signal flow inside a receiving apparatus when providing a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to a transmitting apparatus by using a separate application in the receiving apparatus.

도 5와 같이, 수신장치의 CFL인 NFC 칩은 NFC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상태에서 송신 장치, 더 구체적으로는 송신장치의 CFL인 NFC 칩으로부터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대한 요청 명령을 비접촉으로 수신한다(S510)5, the NFC chip, which is the CFL of the receiving apparatus, receives the request for the Bluetooth profile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NFC chip, which is the CF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in the NFC card emulation mode (S510)

수신장치의 NFC 칩은 수신장치의 UICC로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 요청 명령을 전달하며(S520), UICC는 CAT을 이용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한다. The NFC chip of the receiving device transmits the Bluetooth profile request command to the UICC of the receiving device (S520), and the UICC processes the request using the CAT.

더 구체적으로 CAT는 애플리케이션 론칭(Application Launching) 방안에 따라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 또는 론칭한 후, UICC와 응용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인터페이스(ld)를 통해서 블루투스 접속정보 획득 요청 명령을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S530)More specifically, the CAT drives or launches a separate application for acquiring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pplication launching scheme, and then transmits the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acquisition request command To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S530)

이러한 블루투스 접속정보 획득 요청명령을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요청명령을 파싱(Parsing)한 후, 블루투스 접속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신장치의 해당 로컬 베어러 모듈인 블루투스 칩에 접근한다.(S540)The application receiving the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acquisition request command accesses the Bluetooth chip which is the local bearer module of the reception device to secure the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after parsing the request command (S540)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칩은 자신의 접속정보, 즉 로컬 베어러 접속 정보로서의 블루투스 프로파일 또는 블루투스 어드레스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게 응답한다(S550)The Bluetooth chip of the receiving device responds to the application with its own access information, i.e., Bluetooth profile or Bluetooth address information as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S550)

해당 애플리케이션은UICC CAT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UICC로 전달한다(S560). 애플리케이션이 UICC로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회신할 때의 명령은, 구체적으로 TERMINAL RESPONSE(Service Record[BT profile]) Command 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pplication transmits the Bluetooth profile to the UICC using the UICC CAT (S560). The command when an application returns a Bluetooth profile to the UICC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TERMINAL RESPONSE (Service Record [BT profile]) Command.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수신한 UICC CAT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CLF인 NFC 칩으로 전달한다(S570).The UICC CAT receiving the Bluetooth profile transmits the Bluetooth profile to the NFC chip which is the CLF (S570).

수신장치의 CLF인 NFC 칩은 UICC CAT으로부터 수신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블루투스 프로파일)를 송신장치의 CLF(NFC 칩)으로 전송한다.(S580)The NFC chip, which is the CLF of the receiving apparatus, transmits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Bluetooth profile) received from the UICC CAT to the CLF (NFC chip)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S580)

송신장치는 이로써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으며, 송신장치는 그 후에 수신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형성한 후에 이미 전송된 디지털 권리에 대응되는 DRM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The transmitting device can thereby acquire the Bluetooth profile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transmitting device can then transmit the DRM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lready transmitted digital rights after establishing the Bluetooth pairing with the receiving device.

블루투스 페어링(paring) 및 WiFi 페어링 과정은 이미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The Bluetooth pairing and WiFi pairing process has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so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도 7은 도 5와 같은 과정에서 UICC(CAT), 단말(Terminal) 및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동작만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only the operation between the UICC (CAT), the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in the process as shown in FIG.

도7과 같이, 수신장치의 UICC는 자신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획득하기 위하여 CAT의 론치 애플리케이션 특성(Launch Application Feature)를 이용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710). 또한, UICC는 CAT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구동 이후에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요청 명령을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 GET SERVICE INFORMATION (BT param.) Command을 이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UICC of the receiving apparatus uses the CAT Launch Application Feature to acquire its own Bluetooth profile (S710). In addition, the UICC can use the CAT to send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to the application after the application starts, and the GET SERVICE INFORMATION (BT param.) Command can be used at this time.

론치 애플리케이션 특성(Launch Application Feature)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Launch Application Feature (Launch Application Feature) is described as follows.

론치 애플리케이션 특성은 UICC로 하여금 프로액티브(Proactive) 명령을 이용하여 단말상의 애플리케이션과 통신, 론치(Launch) 및 발견하도록 하는 것이다. 론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스테이지 1 요구사항과 하이레벨 기재를 제공한다. 요구사항은 툴키트(Toolkit) 특성의 TS 122 038의 3GPP 스테이지 1 스펙 내에 존재하는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한다. 론칭되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주로 에어 인터페이스와 독립적이기 때문에, 3GPP 보다는 TC-SCP에서 표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른 통신 표준에 이용될 수 있다.The launch application feature allows the UICC to communicate, launch, and discover applications on the terminal using Proactive commands. Provides Stage 1 requirements and high-level descriptions for launch applications. The requirements are based on the requirements existing in the 3GPP Stage 1 specification of TS 122 038 of the Toolkit specification. Since the applications to be launched are largely independent of the air interface, it is desirable to standardize in TC-SCP rather than 3GPP. Of course, it can be used for other communication standards.

이러한 특성을 위한 단말 애플리케이션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a terminal application for this characteristic is as follows.

- 이메일 :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이 POP 서버, SMTP 서버, 로긴, 비밀번호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제공하면서, 이메일 클라이언트를 단말상에 론칭할 수 있다.- Email: The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can launch an email client on the terminal, providing parameters such as POP server, SMTP server, login, password, and so on.

- 네트워크 관리 최적화 : CAT는 USIM으로 리포트하는 단말내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을 위한 채널 및 애플리케이션 매트릭스에도 이용될 수 있다.- Network Management Optimization: CAT can launch applications in the terminal to report to USIM. It can also be used for channel and application metrics for network performance monitoring.

- 프로액티브 동기화 : 적절한 이벤트에 의하여 트리거되는 CAT 애플리케이션은 UE 및 동기화 서버 내에 있는 데이터 엔터티와 관련된 데이터 동기 프로세스(예를 들면, ME 구성 데이터 또는 가입자 관련 파라미터 등)의 시작을 명령할 수 있다.Proactive Synchronization: A CAT application triggered by an appropriate event can command the start of a data synchronization process (e.g., ME configuration data or subscriber related parameters, etc.) associated with the UE and data entities in the synchronization server.

- 스트리밍 : CAT는 CAT에 의해 제공되는 주소(예를 들면, URL 등)와 함께 비디오 클립을 스트리밍하기 위하여 단말내부의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할 수 있다.Streaming: The CAT may launch a streaming application within the terminal to stream the video clip with the address provided by the CAT (e.g., URL, etc.).

특히, 론치 애플리케이션 특성 중에서 본 발명을 위하여 로컬 베어러 관리 기능이 추가될 수 있으며, 로컬 베어러 관리 기능은 UICC의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이 적외선, 블루투스 및 WLAN과 같은 로컬 베어러를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피어상태의 상대 단말에게 로컬 베어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local bearer management function can be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launch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local bearer management function can be realized by a UICC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launching an application for managing a local bearer such as infrared, Bluetooth and WLAN I can do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local bearer information to the peer peer terminal.

한편, 도 7에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요청 명령을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접근을 통해서 단말(Terminal), 더 구체적으로는 단말 내의 블루투스 칩으로부터 블루투스 프로파일 또는 블루투스 접속정보를 요청하여 회신받는다(S720)Meanwhile, in FIG. 7, the application receiving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requests the Bluetooth profile or the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Bluetooth chip in the terminal through application access (S720)

애플리케이션은 단말에게 Terminal Response Command를 전송하고(S730), 단말은 CAT의 TERMINAL RESPONSE(Service Record[BT profile]) Command 명령을 통해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인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UICC로 전달한다(S740)The application transmits a terminal response command to the terminal (S730), and the terminal transmits the Bluetooth profile, which is the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to the UICC through the CAT's TERMINAL RESPONSE command (Service Record [BT profi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단말의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 및 전송하기 위하여 UICC의 CAT을 이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T of the UICC is used to acquire and transmit the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of the U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블루투스 프로파일 등을 단말 내의 메모리(UICC가 아닌)에 별도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대 단말의 요청시 CLF로 전달해주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만일 블루투스 칩과 같은 로컬 베어러 형태나 칩이 변경될 때, 그때마다 메모리 내부의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갱신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의 실시간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페어링이 불가능해 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Bluetooth profile or the like may be separately stored in the memory (not the UICC) of the terminal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LF upon request of the counterpart terminal. However, if such a method is used, if the local bearer type such as the Bluetooth chip or the chip is changed It may be inconvenient to update the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in the memory each time. In addition, when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is not updated in real tim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Bluetooth pairing can not be performed.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상대 요청이 있는 경우에 UICC CAT을 이용하여 바로 로컬 베어러 모듈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해결되고 결과적으로 더 안정적인 블루투스 페어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Howev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relative request, the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can be acquired and provided in real time by accessing the local bearer module directly using the UICC CAT. And as a result, more stable Bluetooth pairing is possible.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 및 UICC의 내부 구조도이다.8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terminal and a UICC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UICC는 단말과 단말 부팅 과정 중에 UICC 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인 CAT를 통하여 단말(터미널호스트)와의 사이에서 UICC의 가입자 정보 (폰번호, IMSI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UICC는 단말이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애플릿이 존재한다.The UIC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quire subscriber information (phone number, IMSI, etc.) of UICC with the terminal (terminal host) through CAT which is an application existing on the UICC during the terminal and terminal booting process . Also, as described above, the UICC has a plurality of applet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terminal.

UICC에는 각 애플릿에 사용되는 정보를 SIM 툴킷 프레임워크에서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에서 관리하며, 해당 구조는 ETSI TS 102.223의 표준 형태를 따를 수 있다.The UICC manages the information used by each applet in the file system managed by the SIM toolkit framework, and its structure can conform to the standard form of ETSI TS 102.223.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Wi-Fi페어링을 위한 특별한 파일 시스템이 존재할 필요는 없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 special file system for Bluetooth pairing or Wi-Fi pairing.

도 8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UICC는 외부 장치와 DRM 컨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내에 구비되는 UICC로서, 로컬 베어러 모듈(블루투스 모듈) 및 CLF(NFC 칩)과 연동되며, CAT을 이용하여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한 후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8, the UIC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ICC included in a terminal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RM contents to / from an external device, and is interlocked with a local bearer module (Bluetooth module) and a CLF (NFC chip) And acquires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acquired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UICC(820)는 단말(800) 내의 단말핸드셋 부팅 및 제어 소프트웨어인 OEM S/W(810)와 UICC-터미널 인터페이스(ETSI TS 221; 81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UICC(820)는 내부에 여러 기능별 애플릿(Applet)을 보유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UICC 8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EM S / W 810 and the UICC-terminal interface (ETSI TS 221) 812, which are terminal handset boot and control software in the terminal 800 And the UICC 820 has applets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UICC가 보유한 애플릿은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GSM 애플릿(821), 본 발명에 의한 CAT를 포함하는 툴키트 애플릿(822), 로딩을 위한 로더 애플릿(Loader Applet; 823) 및 기타 애플릿(824) 등을 포함하고 있다.The applet held by the UICC includes a GSM applet 821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 toolkit applet 822 including a C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ader applet 823 for loading and other applet 824 .

또한, UICC는 SIM 툴킷 프레임워크(SIM Toolkit Framework; 830)을 포함하며, SIM 툴킷 프레임워크는 그 내부에 툴킷 레지스트리(831), 툴킷 핸들러(832), 파일 시스템(8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ICC includes a SIM Toolkit Framework 830, which may include a toolkit registry 831, a toolkit handler 832, a filesystem 833, etc.,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면,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는 NFC와 같은 CLF를 이용하여 상대 단말의 UICC로 전송하고, 대용량의 DRM 컨텐츠를 블루투스와 같은 별도의 로컬 베어러를 통해서 P2P로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rights of the DRM contents are transmitted to the UICC of the counterpart terminal by using the CLF such as NFC, and the large capacity DRM content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P2P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data quickly.

특히, 단말의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 및 전송하기 위하여 UICC의 CAT을 이용할 수 있어서 안정적인 블루투스 페어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UICC CAT can be used to acquire and transmit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of a terminal,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stable Bluetooth pairing is possibl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대의 NFC 단말 사이에서 DRM 컨텐츠와 같이 대용량 데이터를 P2P 송수신할 때, NFC 세션 형성시에 상대 단말의 블루투스 프로파일 등의 로컬 베어러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그 이후에는 NFC의 P2P 방식이 아닌 별도의 블루투스 또는 WiFi 를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P2P 송수신 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when two-way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wo NFC terminals such as DRM contents,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 Bluetooth profile of the other terminal is generated at the time of forming an NFC session, and thereafter, And transmits or receives large amount of data through P2P or Bluetooth over WiFi.

이로써, 종래의 NFC 표준에서는 ISO 18092 방식에 의하여 양 NFC 단말 사이에서 P2P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단말 사이의 거리가 제한적(~10cm)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린 점(~484Kbps)과 비교할 때, 본 실시예를 이용하면 UICC와 NFC 기술(송신측의 NFC 리더 모드 및 수신측의 NFC 카드 모드)을 이용하여 상대 단말의 블루투스 또는 WiFi 접속 정보를 일괄로 획득하여 접속한 후 해당 통신 방식으로 P2P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서 거리(~수십 m) 및 데이터 전송속도(>2Mbps)에서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NFC standard, P2P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both NFC terminals according to the ISO 18092 method. In this case, when compared with the point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is limited (~ 10 cm) and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slow (~ 484 Kbp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uetooth or WiFi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is collectively acquired using the UICC and the NFC technology (NFC reader mode on the transmitting side and NFC card mode on the receiving side) Can be performed to improve the distance (~ several tens of meters) and the data transmission rate (> 2 Mbps).

또한, UICC CAT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상대 단말의 블루투스 접속정보를 획득한 후, 그 정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WiFi 페어링을 수행함으로써, 블루투스 또는 WiFi 방식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신속하게 P2P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 is obtained in real time using the UICC CAT, and Bluetooth / WiFi pairing is performed using the information, so that the large amount of data can be P2P transmitted in a Bluetooth or WiFi manner.

이로써, 세션 셋업 타임이 짧은 NFC 모드에서 신속하게 원스텝으로 상대 단말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실제 데이터의 P2P 송수신은 전송속도가 빠른 타 통신 기법(블루투스/WiFi)을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P2P 전송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This enables efficient peer-to-peer transmission by acquiring the Bluetooth profile of the peer terminal in a one-step manner in the NFC mode with a short session setup time and using other communication technique (Bluetooth / WiFi) There is an effect to ma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or the like may be includ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9)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로컬 베어러 모듈 및 비접촉 프론트엔드(ContLess Front-end; CLF)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및 UICC, 로컬 베어러 모듈 및 비접촉 프론트엔드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간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장치의 비접촉 프론트엔드를 통해 상기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상기 수신장치의 비접촉 프론트엔드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상기 수신장치의 UICC로 전달하는, 디지털 권리 전송 단계;
상기 송신장치의 UICC가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단계;
상기 송신장치의 로컬 베어러 모듈을 통해 상기 DRM 컨텐츠를 상기 수신장치의 로컬 베어러 모듈로 전송하는, DRM 컨텐츠 전송 단계; 및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한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DRM 컨텐츠를 사용하는, DRM 컨텐츠 이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는 상기 CAT 상의 서비스 레코드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레코드는 로컬 베어러를 특정하는 로컬 베어러 기술 식별자(Local Bearer Technology Identifier)를 포함하는, DRM 컨텐츠 전송방법.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protocol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including a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a local bearer module, and a non-contact front-end (CLF) and a receiving device including a UICC, a local bearer module, As a content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ing a digital rights data of the DRM content to a non-contact front end of the receiving device through a non-contact front end of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rights data of the DRM content to a UICC of the receiving device;
A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acquiring step of acquiring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using a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by the UICC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 DRM content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DRM content to a local bearer module of the receiving apparatus through a local bearer module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And using the DRM content using the digital rights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device,
Wherein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service record on the CAT, the service record including a Local Bearer Technology Identifier specifying a local bear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LF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이며, 상기 디지털 권리 전송단계는 NFC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전송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F i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digital rights transferring step is performed by NFC.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리더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수신장치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전송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operates in a reader mode and the receiving apparatus operates in a card emulation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베어러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WLAN(Wi-Fi) 모듈 및 적외선 모듈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전송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al bearer module is at least one of a Bluetooth module, a WLAN (Wi-Fi) module, and an infrared modu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이며,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한 후, 상기 DRM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전송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is a Bluetooth profile, and the transmitting device performs Bluetooth pairing with the receiving device using the Bluetooth profile of the receiving device, and then transmits the DRM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획득단계는,
상기 UICC의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이 상기 로컬 베어러 모듈을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RM 컨텐츠 전송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acquiring step includes:
And launching an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local bearer module by a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of the UICC.
외부 수신장치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말로서,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 통합 및 보안을 담당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상기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외부 수신장치의 UICC로 전송하는 비접촉 프론트엔드(ContLess Front-end; CLF); 및
상기 비접촉 프론트엔드를 통한 디지털 권리 데이터의 전송 이후에, 상기 DRM 컨텐츠를 상기 외부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로컬 베어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UICC가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수신장치의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는 상기 CAT 상의 서비스 레코드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레코드는 로컬 베어러를 특정하는 로컬 베어러 기술 식별자(Local Bearer Technology Identifier)를 포함하는, 단말.
1. A terminal for transmitt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content to an external receiving apparatus,
A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for integrating and secur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terminal user;
A non-contact front-end (CLF) for transmitting digital rights data of the DRM contents to a UICC of an external receiving apparatus; And
And a local beare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RM content to the external receiving device after transmission of digital rights data via the non-contact front end,
The UICC of the terminal obtains local bearer acces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receiving apparatus using a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Wherein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service record on the CAT, the service record including a Local Bearer Technology Identifier identifying a local bearer.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이며, 상기 단말은 상기 외부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수신장치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한 후, 상기 DRM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is a Bluetooth profile, and the terminal performs Bluetooth pairing with the external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Bluetooth profile of the external receiving apparatus, and then transmits the DRM conten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LF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이며, 상기 단말은 리더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LF i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terminal operates in a reader mode.
외부 송신장치로부터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로서,
단말 사용자의 개인 정보 통합 및 보안을 담당하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상기 외부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DRM 컨텐츠의 디지털 권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UICC로 전달하는 비접촉 프론트엔드(ContLess Front-end; CLF); 및
상기 디지털 권리 데이터 수신 이후에, 상기 DRM 컨텐츠를 수신하는 로컬 베어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UICC의 CAT(Card Application Toolkit)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외부 송신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는 상기 CAT 상의 서비스 레코드에 저장되고, 상기 서비스 레코드는 로컬 베어러를 특정하는 로컬 베어러 기술 식별자(Local Bearer Technology Identifier)를 포함하는, 단말.
1. A terminal for receiv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content from an external transmission apparatus,
A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for integrating and secur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terminal user;
A non-contact front-end (CLF) for receiving the digital rights data of the DRM content from the external transmission device and delivering the digital rights data to the UICC; And
And a local bearer module for receiving the DRM content after receiving the digital rights data,
The terminal obtains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CAT (Card Application Toolkit) of the UICC and transmits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ransmission apparatus,
Wherein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service record on the CAT, the service record including a Local Bearer Technology Identifier identifying a local bearer.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CC의 CAT는 상기 단말의 OEM 모듈에게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요청 명령을 전송한 후,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AT of the UICC transmits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to the OEM module of the terminal and acquires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as a response thereto.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CC의 CAT는 상기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에게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 요청 명령을 전송한 후,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로컬 베어러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AT of the UICC obtains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as a response to the local bearer connection information request command to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102371A 2011-07-20 2011-10-07 Method for Transferring DRM Contents using UICC, Terminal, UICC and Local-Bearer Access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therefor KR1018709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2183 2011-07-20
KR1020110072183 2011-07-20
KR20110072709 2011-07-21
KR1020110072709 2011-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82A KR20130011882A (en) 2013-01-30
KR101870992B1 true KR101870992B1 (en) 2018-07-23

Family

ID=4784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371A KR101870992B1 (en) 2011-07-20 2011-10-07 Method for Transferring DRM Contents using UICC, Terminal, UICC and Local-Bearer Access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9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64B1 (en) * 2013-06-05 2014-04-04 주식회사 파수닷컴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right for secure content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of mobile device
KR102325737B1 (en) 2014-12-03 2021-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375A (en) * 2006-01-31 2007-08-16 Dainippon Printing Co Ltd Content reproduction system
US20070197164A1 (en) 2006-02-23 2007-08-23 Arnold Sheynma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bluetooth pairing
US20100084465A1 (en) * 2007-01-26 2010-04-08 Lg Electronics Inc. Contactless management between a smart card an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0050B2 (en) * 2005-06-24 2014-02-26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Data communication system, device for executing IC card function, control method theref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9467530B2 (en) * 2006-04-11 2016-10-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network entity,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content
KR101075802B1 (en) * 2008-02-01 2011-10-25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Internet service support apparatus with bluetooth and internet access support method and contents providing method using the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375A (en) * 2006-01-31 2007-08-16 Dainippon Printing Co Ltd Content reproduction system
US20070197164A1 (en) 2006-02-23 2007-08-23 Arnold Sheynma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bluetooth pairing
US20100084465A1 (en) * 2007-01-26 2010-04-08 Lg Electronics Inc. Contactless management between a smart card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82A (en)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1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fi connection using wi-fi protected setup in portable terminal
US202203269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ly providing profile for communication service
EP3170328B1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profile management server
US9609458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servers, methods for controlling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erver
US83858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EP3185642B1 (en) Method and terminal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US20180103499A1 (en) Control method for bluetooth communication and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US83961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 access information in using removable external modem
US20120099566A1 (en) Wireless docking with out-of-band initiation
CN107439027A (en) The apparatus and method installed and interoperated for electronic user identity module (ESIM)
EP3291608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ata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201846B (en) Wireless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soft AP (access point) technology
CN102869014A (en) Terminal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CN103415013A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WiFi terminal to have rapid access to WiFi AP
WO2013127124A1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implementing wi-fi connection through nfc
CN104584490A (en)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evice
US20130017777A1 (en) Wireless Network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and Wireless Network Relay Device
KR101811452B1 (en) Access Profile Registration/Acquiction Method using UICC Application, Peer-to-Pe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Terminal therefor
US20230076852A1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plurality of sim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1870992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DRM Contents using UICC, Terminal, UICC and Local-Bearer Access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therefor
CN111132129B (en) SIM car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1803972B1 (en) Apparatus having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and File registration Method and Peer-to-Peer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EP2683128A1 (en) A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corresponding second device and system
US20230199662A1 (en) Euicc access without baseband wireless support
US202401878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MULTIPLE eSIM PROF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