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921B1 - Probe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and apparatus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obe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and apparatus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921B1
KR101870921B1 KR1020160157428A KR20160157428A KR101870921B1 KR 101870921 B1 KR101870921 B1 KR 101870921B1 KR 1020160157428 A KR1020160157428 A KR 1020160157428A KR 20160157428 A KR20160157428 A KR 20160157428A KR 101870921 B1 KR101870921 B1 KR 10187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ampling pipe
probe
teeth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8448A (en
Inventor
정현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921B1/en
Publication of KR20180058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4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부위를 생검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조준 시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을 수 있고, 충분한 조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생체 조직의 유출로 인한 수술 시야 방해 및 최적 수술 기회가 감소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프로브 단부가 보호되고,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외과 수술용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생체 조직 흡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중공부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채취 파이프; 및 상기 채취 파이프의 돌출되는 일단부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투쓰를 포함하는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와 이를 구비한 생체 조직 흡인 장치를 제공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the possibility of slipping or shaking at the time of aiming so as to be able to biopsy or remove an accurate site, sufficient tissue can be removed, obstruction of the surgical field due to leakage of biotissue, And to provide a new surgeon's probe and a biotissue aspirating apparatus having the probe for protecting the end of the probe and securing the safety of the practitioner and the surge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llecting pipe which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hollow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one end thereof is protruded outwardly and in which a hollow part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first teeth disposed at a protruding end of the sampling pipe, and a biopsy tissue aspir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Description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생체 조직 흡인 장치{Probe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and apparatus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for aspirating a biological tissue, and a device for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생체 조직 흡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한 부위를 생검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조준 시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을 수 있고, 충분한 조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생체 조직의 유출로 인한 수술 시야 방해 및 최적 수술 기회가 감소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프로브 단부가 보호되고,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외과 수술용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생체 조직 흡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for aspirating a living tissue and a living tissue aspir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for aspirating a living tissue, A probe for a new surgical operation which can solve problems such as obstruction of an operation field due to leakage of a living tissue and reduction of an optimal operation opportunity and which can secure the end of a probe and ensure the safety of a practitioner and a pati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ing body tissue suction device.

종래의 암세포 제거 등을 위한 외과 수술은 환부에 접근하기 위해 절개하는 부위가 커서 회복하기까지 고통이 크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외상을 남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좁은 영역을 절개하고 프로브를 삽입하여 암세포 등의 생체 조직을 흡인하여 채취하거나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에 사용되는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를 구비하는 생체 조직 흡인 장치는 시술자와 환자 모두에게 안전하여야 하고, 정확한 부위에 대하여 충분한 조직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확한 부위를 생검하거나 제거하기 위해서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가 조준할 때부터 흔들리면 안 되며, 충분한 조직을 제거하여 조직이 흐르거나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내부에 조직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 조건이 필요하다. Conventional surgery for removing cancer cells ha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pain, and trauma until the incision is made in order to approach the les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using a method of cutting a narrow area and inserting a probe into a living tissue such as cancer cells to collect or remove the tissue is used. The biopsy aspirating apparatus having a probe for aspirating a living tissue used at this time should be safe for both the patient and the patient, and sufficient tissue should be removed for the correct site.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biopsy or remove the precise site, the probe for biopsy should not be shaken from the time of aiming, and sufficient space should be provided for storing tissues so that the tissue does not flow or overflow to the outside .

또한, 제거한 생체 조직의 유출(spillage)의 측면에서 프로브의 단부 팁(Tip)이 조직에 안정되게 접지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좁은 단부 팁 크기로 인해 한 번의 접촉으로 제거할 수 있는 조직의 양에 한계가 있으며, 생체 조직의 유출(spillage)로 인한 수술 시야 방해 및 최적 수술 기회가 감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erms of the spillage of the removed biotissue, the end tip of the probe does not stably ground to the tissue, and the limit of the amount of tissue that can be removed with a single contact due to the relatively narrow end tip size There may be problems such as obstruction of the surgical field due to spillage of the biotissue and reduction of the optimal operation opportunity.

현재 의료용으로 사용 중인 조직 생검 도구나 수술 시 조직을 제거하는 도구들은 위의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생체 조직 흡인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를 고안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된다. The tissue biopsy instrument currently used for medical use or the tool for removing the tissue at the time of surgery do not satisfy all of the above conditions. Therefore, a new biopsy aspirator and a probe for biopsy aspirator There is a great ne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033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033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756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5756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부위를 생검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조준 시 미끄러지거나 흔들리지 않을 수 있고, 충분한 조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생체 조직의 유출(spillage)로 인한 수술 시야 방해 및 최적 수술 기회가 감소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프로브 단부가 보호되고,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외과 수술용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생체 조직 흡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biopsy or remove an accurate site, which can be slipped or shaken when aimed, A probe for a surgical operation which can secure the safety of a practitioner and a physician, and a biopsy su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상기 본체의 중공부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채취 파이프; 및 A collecting pipe which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hollow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one end thereof is protruded outwardly and in which a hollow part is formed; And

상기 채취 파이프의 돌출되는 일단부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투쓰를 포함하는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를 제공한다. And a plurality of first teeth disposed at a protruding end of the sampling pipe.

여기서, 상기 본체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2 투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teeth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제2 투쓰(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반복적인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Here, it is possible that repeated irregularities are formed at one or more ends of the second teeth 150.

여기서, 상기 제1 투쓰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고, 복수의 제1 투쓰가 등간격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Here, a sharp blade may be formed in the first tooth and a plurality of first teeth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상기 본체의 중공부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채취 파이프; A collecting pipe which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hollow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one end thereof is protruded outwardly and in which a hollow part is formed;

상기 채취 파이프의 돌출되는 일단부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투쓰; 및 A plurality of first teeth disposed at one projecting end of the sampling pipe; And

상기 채취 파이프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채취 파이프 내부 중공부의 압력을 낮추어 상기 채취 파이프 단부의 생체 조직이 상기 채취 파이프 중공부 내측으로 흡인되도록 하는 진공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 유닛을 포함하는 생체 조직 흡인 장치를 제공한다. And a vacuum uni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ampling pipe to provide a vacuum pressure for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hollow inside the sampling pipe to allow the living tissue of the sampling pipe end to be sucked into the sampling pipe hollow portion, to provide.

여기서, 상기 채취 파이프가 상기 본체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는 일방향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nidirectional transfer unit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that the collecting pipe moves along the hollow portion of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채취 파이프가 길이 방향에 나란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의 중공부를 따라 전후진 가능하도록 이송하는 회전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pip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transfer unit that transfers the sampling pipe so as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hollow portion of the main body while rotating about a central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생체 조직 흡인 장치에 의하면, 흡인 대상 생체 조직에 접근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해당 부위의 생체 조직을 흡인할 수 있고, 프로브 단부가 보호되며,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obe for biopsy aspi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iopsy-aspir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pproach the biotissue to be aspirated so as not to slip, to suck the biotissue of the biopsy site, to protect the probe end, Safety can be en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흡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체 조직 흡인 장치에 사용되는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채취 파이프의 단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의 정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 내지 도 7는 도 4를 기준으로 한 본 발명의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ving tissue aspi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obe for aspirating a living tissue used in the living tissue aspi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ampling pipe disposed inside the biopsy-aspirating probe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front view of a probe for biopsy aspiration as viewed from direction A of FIG. 2. FIG.
Figures 5 to 7 illustrate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4;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질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흡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생체 조직 흡인 장치에 사용되는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채취 파이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iopsy aspi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configuration of a probe for biopsy aspirating used in the biopsy aspi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ampling pipe disposed inside the probe for biopsy as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view from the direction A of FIG. The drawings are show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생체 조직 흡인 장치(1000)는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10), 구동 유닛(30) 및 진공 유닛(2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 living body tissue aspir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ving body tissue drawing probe 10, a drive unit 30, and a vacuum unit 20.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10)는 본체(100), 채취 파이프(200) 및 제1 투쓰를 포함한다. 2 to 4, a probe 10 for biopsy aspi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sampling pipe 200, and a first tooth.

상기 본체(100)는 채취 대상 생체 조직의 위치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된 부재이다. The main body 100 is a member formed to be long enough to reach the position of the living tissue to be harvested and has a hollow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상기 채취 파이프(20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으로 생체 조직이 흡인되는 부재로서, 상기 본체(100)의 중공부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 가능하다. 채취 파이프(200)의 단부는 생체 조직을 분리하기 쉽도록 날카롭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시술자와 환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채취 파이프(200)의 단부가 작동 시에만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채취 파이프(200)는 상기 본체(100)의 중공부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traction pipe 200 is a member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to which the living tissue is sucked. The collection pipe 200 is dispos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hollow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sampling pipe 200 is made sharply so as to easily separate the living tissu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ampling pipe 200 is made to protrude outward only during operation in order to secure the operator and the patient,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mpling pipe 200 is made movable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상기 채취 파이프(200)의 직경은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직경의 크기가 작으면 접촉 상태에서 제거할 수 있는 조직의 양에 한계가 있게 된다. The diameter of the sampling pipe 200 is preferably large enough. If the size of the end diameter is small, there is a limit to the amount of tissue that can be removed in the contact state.

상기 채취 파이프(200)의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단부에는 복수의 제1 투쓰(250)들이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제1 투쓰(250)들은 채취 또는 제거대상 생체 조직이 쉽게 분리되도록 채취 파이프(200)의 전진 동작에 의해 조직을 파고들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투쓰(250)의 단부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투쓰의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밑변 부분이 상기 채취 파이프의 단부에 고정되고, 다른 두 변에 대응하는 부분에 칼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투쓰는 상기 채취 파이프의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야 하고 경사 각도는 상기 채취 파이프의 중심축과 이루는 예각이 45도 이하인 것이 생체 조직을 파고드는 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first teeth 250 are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one end portion of the sampling pipe 200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first teeth 250 penetrate the tissue by the advancing movement of the sampling pipe 200 so that the living tissue to be harvested or removed is easily separated. The end of the first tooth 25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harp blade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ell.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first tooth has a planar shape of an isosceles triangle shape, a base portion is fix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ampling pipe, and a blade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two sides. In addition, the first penetration should be inclined so as to be inward toward the center axis of the sampling pipe,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ampling pipe is 45 degrees or less. So that it can be smoothly performed.

한편, 상기 본체(100)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2 투쓰(150)들이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투쓰(150)들은 본체(100)의 단부가 조직에 닿은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돌기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외과 수술 중이나 생검을 위해 생체 조직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채취 또는 제거 대상 생체 조직 부위를 조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2 투쓰(150)들과 같은 돌기가 프로브 본체(100)의 단부에 형성되어 마찰력과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투쓰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사 각도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이루는 예각이 45도 이상인 것이 이웃한 생체 조직을 순차적으로 흡인하는 동작을 하는데 방해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econd teeth 150 are further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second teeth 150 are formed in the form of protrusions that can provide a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does not slip while contacting the tissue. When biopsy is taken for surgery or for biopsy, it should be possible to accurately target the tissue part to be harvested or remove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protrusions such as the second teeth 150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probe main body 100 to provide frictional force and supporting force. The second throw is preferably inclined so as to face outwar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is 45 degrees or more, So that it is not disturbed.

제2 투쓰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단부는 본체의 직경보다 직경이 감소되어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것은 제2 투쓰가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좁은 절개부를 통해 프로브가 삽입될 때 진행 방향 주변의 생체 조직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 투쓰의 마찰력 확보의 장점을 누리면서 환부로의 접근 과정이나 시술 후에 프로브를 후퇴시키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생체 조직을 파손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When the second tooth is disposed, th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is preferably reduced in diameter by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thereby forming a step. The formation of the step is for preventing the second tooth from protruding outward so as to prevent the biotissue in the vicinity of the advancing direction from being damaged when the probe is inserted through the narrow cutou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biotissue from being damaged unnecessarily in the process of approaching the affected part and retreating the probe after the procedure while enjoying the advantage of secur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econd tooth.

상기 진공 유닛(20)은 상기 채취 파이프(200)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채취 파이프(200) 내부 중공부의 압력을 낮추어 상기 채취 파이프(200) 단부의 생체 조직이 상기 채취 파이프(200) 중공부 내측으로 흡인되도록 하는 진공 압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흡인 장치(1000)의 사용자가 흡인 동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이나 발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진공 유닛(20)의 동작 스위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The vacuum unit 2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ampling pipe 200 to lower the pressure of the hollow inside the sampling pipe 200 so that the living tissue at the end of the sampling pipe 200 is located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sampling pipe 200 Lt; RTI ID = 0.0 > vacuum. ≪ / RTI > The operation switch of the vacuum unit 20 may be further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s hands or feet can reach so that the user of the living tissue suc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suction operation.

상기 구동 유닛(30)은 일방향 이송 유닛 또는 회전 구동 유닛일 수 있다. The drive unit 30 may be a unidirectional transfer unit or a rotary drive unit.

상기 일방향 이송 유닛은 상기 채취 파이프(200)가 상기 본체(100)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존의 다양한 일방향 미세 이송 메커니즘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터, 랙 및 피니언의 조합,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하는 전자기식 이송 유닛, 피에조 스택 또는 초음파 진동자 등이 상기 일방향 이송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The uni-directional transfer unit provides power for moving the collecting pipe 200 along the hollow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various conventional one-way micro transfer mechanisms are applicable.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motor, a rack and a pinion, an electromagnetic transfer unit using a magnet and an electromagnet, a piezo stack or an ultrasonic transducer may constitute the uni-directional transfer unit.

예를 들어,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상기 채취 파이프(200)가 전후진동을 하면서 생체 조직을 파고들고, 진공 유닛(20)에 의해 인가되는 진공 압력이 채취 파이프(200) 내측으로 생체 조직을 흡인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n ultrasonic vibrator, the sampling pipe 200 oscillates back and forth by the ultrasonic vibrator, and the vacuum pressure applied by the vacuum unit 20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ampling pipe 200 The living tissue is sucked.

한편, 상기 일방향 이송 유닛은 일방향 이송과 동시에 상기 채취 파이프(200)를 회전시키는 회전 이송 유닛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회전 이송 유닛은 상기 채취 파이프(200)가 길이 방향에 나란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중공부를 따라 전후진 가능하도록 이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nidirectional transfer unit may be replaced with a rotary transfer unit for rotating the sampling pipe 200 at the same time as unidirectional transfer. The rotation transfer unit can transfer the sampling pipe 20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hollow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while rotating about the central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예를 들어, 상기 회전 이송 유닛은,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감속기, 상기 감속기 출력축에 연결되어 기어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나사, 상기 나사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벽에 형성된 케이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나사의 단부에 상기 채취 파이프(200)가 연결된 경우, 상기 나사를 회전 구동하면 상기 나사가 상기 케이싱을 따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채취 파이프(200)의 전후진이 가능하고, 동시에 채취 파이프(200)가 회전하는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otary transfer unit may include a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speed reducer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motor, a screw connected to the reducer output shaft and rotated by rotation of the motor, And a casing in which a corresponding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wall. When the sampling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crew, when the screw is driven to rotate, the screw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casing so that the sampling pipe 20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An operation in which the motor 200 rotates can be implemented.

도 5 내지 도 7에는 도 4를 기준으로 한 본 발명의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5 to 7 show vari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투쓰(151)들 사이의 간격(d1)은 좁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검이나 수술 도중에 분리된 생체 조직이 유출되는 틈을 작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간격(d1)은 프로브의 중심축(도 4 내지 도 7에서는 중심점)에 대해 하나의 제2 투쓰(151)가 차지하는 각도(또는 호의 길이)의 4분의 1 이하로 좁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d1 between the second teeth 151 is kept narrow. This is to maintain a small gap between the biopsy and the dissected biopsy during surgery. More specifically, the interval d1 is narrowed to one quarter or less of the angle occupied by one second tooth 151 (or the length of the arc)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probe (the center point in Figs. 4 to 7) desirable.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투쓰(152)들의 외측 단부에는 톱니 형상의 돌기들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톱니 형상의 돌기들이 존재하면 생체 조직과 맞닿는 면에서의 마찰력을 충분히 제공하여 프로브가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ends of the second teeth 152 have serrated projections. When such teeth-like protrusions are presen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vent the probe from slipping by providing sufficient frictional force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living tissue.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투쓰(251)들은 폭이 좁고 길이가 진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경우에는 제1 투쓰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분리된 생체 조직의 유출 가능성이 감소한다. As shown in FIG. 7, it is further preferred that the first teeth 251 are made in a narrow and lengthwise shape. When the width is narrow and the length is long,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teeth is narrowed, and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the separated biotissue is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흡인 장치(1000)는 외래 혹은 수술장에서의 질병진단을 위한 조직생검과 수술(특히 암수술) 시 암조직의 주변으로의 유출(spillage) 없이 정확하고 충분한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The biopsy suc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and sufficiently remove the tissue biopsy for diagnosing disease in the outpatient or surgical field and spillage of the cancer tissue during surgery do.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흡인 장치(1000)는 특정 수술 방식이나 특정 수술 부위에 한정되지 않고, 개복/개흉수술이나, 내시경/복강경/흉강경/로봇수술에도 작용될 수 있다. The biopsy suc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rgical method or a specific surgical site but can be applied to open / open thoracic surgery, endoscopic / laparoscopic / thoracoscopic / robotic surgery.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직선 운동이 가능하다"거나 "회전이 가능하다"고 언급된 구성요소에는 공지의 직선 운동 기구부나 회전 운동 기구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생략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기구부 구성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이 언급되어 있지 않아도 충분히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meantim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wn components of the linear motion mechanism or the rotational motion mechanism are omitted from the components mentioned as "capable of linear motion" or "capable of rot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arried out without mentioning the specific configuration.

지금까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짐이 자명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 20: 진공 유닛
30: 구동 유닛 100: 본체
110: 본체 중공부 120: 단차
150, 151, 152: 제2 투쓰 200: 채취 파이프
250, 251: 제1 투쓰 1000: 생체 조직 흡인 장치
10: probe for biopsy aspiration 20: vacuum unit
30: drive unit 100:
110: main body hollow portion 120: stepped portion
150, 151, 152: second tooth 200: sampling pipe
250, 251: first tooth 1000: living tissue suction device

Claims (7)

삭제delete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11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의 중공부(110) 내부에 머무는 위치와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내부에 생체 조직이 흡인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채취 파이프(200); 및
상기 채취 파이프(200)의 돌출되는 일단부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투쓰(25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생체조직에 닿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제2 투쓰(15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투쓰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10)
A main body 100 in which a hollow portion 11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llecting pipe (200) capable of moving between a position where the body (110) stays inside the hollow part (110) and a position where one end protrudes outward and a hollow part in which a living body tissue is sucked; And
And a plurality of first teeth (250) disposed at one projecting end of the sampling pipe (200)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teeth (150) protru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to provide a frictional force so as not to slip when touching the living tissue,
And the second throw is disposed obliquely to the outsi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axis of the main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투쓰(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반복적인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10).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end of the second tooth (150) has repeated irregulariti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투쓰(250)의 단부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고, 복수의 제1 투쓰(250)가 등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10).
The method of claim 2,
A probe (10) for biopsy aspir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harp blade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tooth (250) and a plurality of first teeth (25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의 중공부(110)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채취 파이프(200);
상기 채취 파이프(200)의 돌출되는 일단부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투쓰(250);
상기 본체(100)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생체조직에 닿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제2 투쓰(150); 및
상기 채취 파이프(200)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채취 파이프(200) 내부 중공부의 압력을 낮추어 상기 채취 파이프(200) 단부의 생체 조직이 상기 채취 파이프(200) 중공부 내측으로 흡인되도록 진공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 유닛(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투쓰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생체 조직 흡인 장치(1000)..
A main body 100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 collecting pipe (200) having a hollow part formed inside the hollow part (110)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protruding outwardly;
A plurality of first teeth 250 disposed at one projecting end of the sampling pipe 200;
A plurality of second teeth 150 protru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to provide a frictional force so as not to slip when touching the living tissue; And
The pressure of the hollow inside the sampling pipe 200 is lowered to provide a vacuum pressure so that the living tissue at the end of the sampling pipe 200 is suck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ampling pipe 200 And a vacuum unit (20)
And the second throw is disposed obliquely toward the outsi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채취 파이프(200)가 상기 본체(100)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는 일방향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생체 조직 흡인 장치(1000).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uni-directional transfer unit for adjusting a distance that the collecting pipe (200) moves along the hollow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채취 파이프(200)가 길이 방향에 나란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중공부를 따라 전후진 가능하도록 이송하는 회전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생체 조직 흡인 장치(1000).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ampling pipe (200)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hollow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while rotating about a central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160157428A 2016-11-24 2016-11-24 Probe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and apparatus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having the same KR101870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28A KR101870921B1 (en) 2016-11-24 2016-11-24 Probe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and apparatus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28A KR101870921B1 (en) 2016-11-24 2016-11-24 Probe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and apparatus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448A KR20180058448A (en) 2018-06-01
KR101870921B1 true KR101870921B1 (en) 2018-06-25

Family

ID=6263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428A KR101870921B1 (en) 2016-11-24 2016-11-24 Probe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and apparatus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9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3992A1 (en) * 2018-08-01 2020-02-06 R H L Down Pty Ltd Biopsy pun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822A (en) 1994-03-24 1996-06-18 Biopsys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biopsy and collection of soft tissue
WO2004082484A1 (en) * 2003-03-18 2004-09-30 Carlo Bianchini Device for bone marrow biopsy
CN202015221U (en) 2011-02-10 2011-10-26 孙涛 Dismal bone cor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utt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0333A (en) 2012-11-30 2014-06-10 국립암센터 Device for sampling biopsy
KR20160057564A (en) 2014-11-13 2016-05-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Biopsy needle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6822A (en) 1994-03-24 1996-06-18 Biopsys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biopsy and collection of soft tissue
WO2004082484A1 (en) * 2003-03-18 2004-09-30 Carlo Bianchini Device for bone marrow biopsy
CN202015221U (en) 2011-02-10 2011-10-26 孙涛 Dismal bone cor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ut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448A (en)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9316B2 (en) Biopsy device
US11446050B2 (en) Tissue resectors with cutting wires, hand operated tissue resect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EP3804639B1 (en) Multi-mode oscillating lithotripter
EP2624762B1 (en) Bone marrow harvesting device having flexible needle
ES2233285T3 (en)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ED SURGICAL BIOPSY DEVICE.
US10080569B2 (en) Shaped tip burr instrument
KR202000128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ntracranial hemorrhage
CN103281973A (en) Tissue removal apparatus
EP3361971B1 (en) Surgical device
KR101870921B1 (en) Probe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and apparatus of aspirating biological tissue having the same
KR102221770B1 (en) Device for removal dur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JP7361022B2 (en) Insertable endoscopic instrument for removing tissue using a retractable tool at the cutting tip
EP3709905B1 (en) Debris removal system with automated clearance of lumen obstructions
US9649124B2 (en) Curved blade tissue shaver
JP6669842B1 (en) Suction tube with blade
JP7295562B2 (en) Suction tube with blade
WO2016115433A1 (en) Excisional device distal working end actuation mechanis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