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089B1 - 디지털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089B1
KR101870089B1 KR1020170154611A KR20170154611A KR101870089B1 KR 101870089 B1 KR101870089 B1 KR 101870089B1 KR 1020170154611 A KR1020170154611 A KR 1020170154611A KR 20170154611 A KR20170154611 A KR 20170154611A KR 101870089 B1 KR101870089 B1 KR 10187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odule
pressing
roller
adhesiv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진호
Original Assignee
방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진호 filed Critical 방진호
Priority to KR102017015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 B41J15/165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for tensio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by use of redirecting rollers or redirecting nonrevolv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3Rollers driven, e.g. feed rollers separate from pla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를 위한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의 하부로 이송하는 피동롤러;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출력이 완료된 피출력물을 이송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피출력물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회수롤러;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공급롤러의 출구 측에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후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피출력물을 한 스텝 이송시키면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의 견인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면서 상기 피출력물에 장력을 가하는 인출 측의 텐션롤러; 상기 인출 측의 텐션롤러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인출 측의 가이드장치; 상기 인출 측의 텐션롤러 또는 그 인출 측의 텐션롤러를 견인하는 피출력물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인출 측의 소재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인출 측의 소재위치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인출 측의 텐션롤러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는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인출 측의 텐션롤러가 소정의 하한 위치로 하강할 때까지 상기 피출력물을 인출시켜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롤러를 회전구동하는 인출용의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센서를 통해 텐션롤러 의 상하한 위치를 검출하여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의 피출력물에의 공급량과 회수량 및 인출과 회수 시기를 최적으로 제어 결정하기 때문에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에 감겨져 있는 피출력물 양에 관계없이, 특히 복수의 피출력물을 하나의 공급롤러를 통해 이송할 때 복수의 텐션롤러 및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의 제어를 통해 이송되는 각각의 피출력물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고 피딩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인쇄장치{Digital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디지털 인쇄기에 장착된 복수의 피출력물의 공급 및 배출되는 장력과 피딩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디지털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인쇄장치(Digital Printing Machine)는, 디지털 제어부에서 원하는 출력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Head)로부터 잉크를 프린팅용지(피출력물)에 덧칠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창출하되, 자주(마젠타; M), 노랑(엘로우;Y), 청록(시안;C) 및 흑색(블랙; BK)을 감산혼합기법을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그려내도록 하는 최신의 프린팅장치이다. 상기한 감산혼합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색상을 갖는 잉크가 개별적으로 수용되어 각각의 색상을 주사하는 인쇄헤드로 공급되어 각각의 인쇄헤드에서 주사되는 색상의 잉크가 덧칠해짐으로써 새로운 색이 시현된다. 디지털 인쇄기에서 길이가 긴 피출력용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피출력용지가 감긴 롤을 사용한다. 그리고 피출력 용지는 일정한 장력이 부여되면서, 디지털 인쇄기의 헤드 하부에서 일정한 속도로 이송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기술에서는, 도 1과 같이 디지털 인쇄기(100)의 헤드부(102)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제1이송가이드(106)와 제2이송가이드(108)를 설치하고, 상기 제1이송가이드(106)에 피출력물(10,12)을 공급하기 위해 공급샤프트(104)에 설치되는 공급롤(14)이 상기 제1이송가이드(106)의 전단에 위치하고, 출력된 피출력물(10)을 감아서 회수하기 위해 회수샤프트(110)에 설치되는 회수롤(16)이 상기 제2이송가이드(108)의 후단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회수샤프트(110)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토크를 상기 회수샤프트(110)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출력물(10,12)에 장력을 주면서 공급과 회수를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공급샤프트(104)에는 구동모터 또는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상기 회수샤프트(110)와 반대로 하여 상기 피출력물(10,12)에 장력을 주게 된다. 그리고, 출력이 완료되면 상기 회수샤프트(110)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피출력물(10,12) 사이의 장력이 일정하지 않고 이송속도에 차이가 있게 되면 공급롤(14)과 회수롤(16)의 감김량과 풀림량의 불균형을 가져오고 인쇄 품질이 고르지 못한 문제를 야기한다. 이 같은 점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10-1585860호에서는 이송되는 인쇄지(피출력물)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텐션롤러를 설치하고, 그 텐션롤러의 양측을 회전이 가능하고 또 상기 인쇄지의 장력에 따라 자연적 승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텐션롤러를 텐션거치부에 회전과 승하강 가능하게 거치하고 있으며, 상기 텐션거치부는 이웃한 상기 텐션롤러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해 양측으로 텐션절개홈을 형성한 텐션하우징, 상기 텐션하우징의 내측에 나란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 텐션랙기어부, 상기 텐션롤러의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텐션롤러가 수평을 유지한 채 승하강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텐션피니언기어부, 및 상기 텐션하우징을 상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특허발명의 종래 구조에 의하면, 텐션롤러가 이송되는 인쇄지의 장력에 따라 장력이 크면 상승 이동을 하고 작으면 텐션롤러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인쇄지에 장력을 부여하는 기능만을 가질 뿐 공급롤과 회수롤에서의 인쇄지의 인출량 및 회수량을 텐션롤러에 연동하여 적시에 적량으로 제어하는 기능이 없어 하나의 긴 롤러 축상에 2개 이상의 인쇄지를 이송하면서 각기 인쇄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롤러에 감겨져 있는 각각의인쇄지의 양의 차이에 따라 이송량 및 속도에 불균형을 초래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고, 인쇄지의 텐션력 부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실린더부재를 설치하여 롤러 축과 직각 방향으로 텐션하우징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다른 롤러 장치들과의 간섭을 피하여 실린더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장치의 레이아웃성을 크게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텐션피니언기어부가 기구의 일측에서만 텐션랙기어부와 맞물린 형태로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되므로 좌우 유격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기구학적 구성의 결여로 승하강 이동 시 흔들림이 발생하고, 텐션피니언기어부의 타측을 유격이 없이 지지하는 표면으로 형성하여 면접촉을 유지토록 하는 것을 해결책으로 가정한다 하더라도 이는 톱니 형상인 텐션피니언기어부가 지지표면을 긁고 지나가게 되므로 마모의 원인이 되고 또 텐션롤러의 승하강 이동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텐션랙기어부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형성되어 있어, 인쇄지의 공급 방향과의 불일치로 텐션롤러의 승하강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장치 운용 상의 충격에 의한 진동과 소음 등에 의하여 쾌적한 환경 조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672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하나의 롤러 상에 장착된 복수의 피출력물(인쇄용지)의 공급 및 배출되는 장력과 피딩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장력을 부여하면서, 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토록 인출롤러와 회수롤러의 인출 및 회수의 적절한 시기와 양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텐션롤러의 승하강 이동이 자연스럽고도 부드러우며, 텐션롤러의 승하강 이동 시흔들림이 없고 마찰 손실이 감소되며 마모 발생이 최소화되는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인쇄장치에 있어서, 인쇄를 위한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의 하부로 이송하는 피동롤러;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출력이 완료된 피출력물을 이송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피출력물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회수롤러;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공급롤러의 출구 측에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후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피출력물을 한 스텝 이송시키면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의 견인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면서 상기 피출력물에 장력을 가하는 인출 측의 텐션롤러;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는 디지털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텐션롤러의 승하강 이동에 의해 이송되는 피출력물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되, 센서를 통해 텐션롤러의 상하한 위치를 검출하여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의 피출력물에의 공급량과 회수량 및 인출과 회수 시기를 최적으로 제어 결정하기 때문에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에 감겨져 있는 피출력물 양에 관계없이, 특히 복수의 피출력물을 하나의 공급롤러를 통해 이송할 때 복수의 텐션롤러 및 공급롤러와 회수롤러의 제어를 통해 이송되는 각각의 피출력물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고 피딩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현장에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인쇄장치 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텐션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텐션롤러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텐션롤러의 일측 단부를 가이드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쇄장치에 있어 하나의 공급롤러로 복수의 피출력물을 공급하여 인쇄 시 각각의 피출력물에
장력을 가하기 위해 복수개로 텐션롤러를 분리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의 평면도 형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인쇄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16는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과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50)를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50)는, 도 2의 개략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쇄를 위한 피출력물(51)을 인쇄헤드부(52)에 공급하기 위해 피출력물(51)을 롤상으로 권회하고 있는 공급롤러(53)와, 상기 공급롤러(53)로부터 인출되어 공급되는 피출력물(51)을 인쇄헤드부(52)의 하부로 안내 이송하는 피동롤러(54)와, 상기 인쇄헤드부(52)에 의해 인쇄출력이 완료된 피출력물(51)을 이송하는 구동롤러(55)와, 인쇄가 끝나고 상기 구동롤러(55)의 모터(도시 생략)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피출력물(51)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회수롤러(56)를 포함하고 있다. 피출력물(51)의 인출(공급) 측에는 이송되는 피출력물(51)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공급롤러(53)의 출구 측에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헤드부(52)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후 상기 구동롤러(55)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피출력물(51)을 한 스텝 이송시키면 상기 이송되는 출력물(51)의 견인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면서 상기 피출력물(51)에 장력을 가하는 인출 측 텐션롤러(57)와, 상기 인출 측 텐션롤러(57)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인출 측 가이드장치(58)와, 상기 인출 측 텐션롤러(57) 또는 그 인출 측 텐션롤러(57)를 견인하는 피출력물(51)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인출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a)와, 상기 인출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a)로부터 상기 인출 측 텐션롤러(57)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출 측텐션롤러(57)가 소정의 하한 위치로 하강할 때까지 상기 피출력물(51)을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롤러(53)를 회전구동하는 인출용 구동기구(5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출력물(51)의 회수 측에는,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51)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회수롤러(56)의 입구 측에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헤드부(52)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후 상기 구동롤러(55)가 회전하여 상기 피출력물(51)을 한 스텝 이송시키면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51)이 회수측에서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늘어짐을 없애고 피출력물(51)에 견인력을 부여하도록 중력에 의해 하강 이동하면서 상기 피출력물(51)에 장력을 가하는 회수 측 텐션롤러(60)와, 상기 회수 측 텐션롤러(6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회수측 가이드장치(61)와, 상기 회수 측 텐션롤러(60) 또는 그 회수 측 텐션롤러(60)를 견인하는 피출력물(51)의 하한 위치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회수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b)와, 상기 회수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b)로부터 상기 회수 측 텐션롤러(60)의 하한 위치를 검출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수 측 텐션롤러(60)가 소정의 상한 위치로 상승할 때까지 상기 피출력물(61)을 감아들이도록 상기 회수롤러(56)를 회전구동하는 회수용 구동기구(63)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공급(인출) 측 텐션롤러(57)(추후 설명할 회수 측 텐션롤러의 구조도 동일하다)를 도시한 것으로, 텐션롤러(57)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회전축(64)의 단부에는 각기 피니언기어(65)가 장착되며. 그 피니언 기어(65)의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가이드 롤러(6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급 측 텐션롤러(57)의 양단은 도 4에 도시하는 것 같이 측벽부재(70)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인출 측 가이드장치(58)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인출 측 가이드장치(58)는 내측에 직선형 기어인 래크기어(67)가 형성된 래크바(68)와, 그 래크바(68)와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내측으로 상기 피니언기어(65)를 수용하여 축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기 위한 ㄴ자 단면 구조의 구속부재(69)로 구성되며, 상기 구속부재(69)의 래크기어 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한 부재에는 가이드롤러 접촉주행면(7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피니언 기어(65)가 상기 래크기어(67)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66)가 상기 가이드롤러 접촉주행면(71)과 구름접촉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피니언 기어(65)의 축과 가이드 롤러(66)의 축을 분리시켜 서로 상대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피니언 기어(65)와 래크기어(67)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예를 들면 양 축이 서로 슬립하여 상대적 회전 운동하거나 또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구성), 이로써 상기 텐션롤러(57)의 축심과 수평을 이루는 직각 방향으로의 유격 및 진동소음이 없게 구성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에 따라 상기 텐션롤러(57)를 상기 인출 측 가이드장치(58)의 개방된 상부에서 하측으로 삽입하면 피니언 기어(65)가 상기 래크기어(67)와 맞물림이 일어나면서 동시에 상기 가이드 롤러(66)는 상기 가이드롤러 접촉주행면(71)의 표면에 구름접촉하게 되며, 텐션롤러(57)를 지지하는 힘을 제거하면, 텐션롤러(57)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힘이 작용하여 피니언기어(65)가 회전하여 래크기어(67)를 따라 하강하게 되며, 이때 래크기어(67)의 건너편은 가이드롤러(66)가 가이드롤러 접촉주행면(71)에 밀착하여 구름 운동을 하면서 하강 이동이 가이드되므로, 유격에 따른 흔들림이나 소음 발생이 없고, 또한 마찰 감소로 부드러운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개략도의 인쇄헤드부(52)를 기준하여 우측부분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피동롤러(54)와 공급롤러(53)사이에는 피출력물(51)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다수의 보조롤러(72)(73)(74)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2개의 보조롤러(73)(74) 사이에서 주행하게 되는 피출력물(51)은 대략 U 자 형상으로 상기 텐션롤러(56)를 휘감아 돌아나가며, 이때 인출 방향이 인쇄헤드부(52) 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어 이 인출 방향에 맞추어 상기 인출 측 가이드장치(58)도 경사지게 설치, 즉 10~40°정도 범위에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인출 방향에 맞추어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출 측 가이드장치(58)의 래크기어(67)가 수직방향을 이루는 것에 비해 피출력물(51)의 인출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도를 가질 때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상기 텐션롤러(56)의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다. 도 7은 상기 피출력물(51)의 인출(공급)용 구동기구(59)를 나타낸 도면으로, 인출용 구동기구(59)는 모터(75)와 그 모터(75) 축에 연장하여 회전하는 웜(76)과, 그 웜(76)과 직각을 이루는 상기 공급롤러(53)의 회전축(77)에 고정된 웜기어(78)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75)가 정방향 회전(피출력물을 공급하도록 인출하는 방향)하면 웜(76)이 감속된 회전력을 상기 웜기어(78)에 전달하여 공급롤러(53)가 회전하며 피출력물(51)을 인출 공급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개략도의 인쇄헤드부(52)를 기준하여 좌측부분에 나타난 것과 같이 구동롤러(55)와 회수롤러(56) 사이에는 피출력물(51)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다수의 보조롤러(79)(80)(8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수 측 텐션롤러(60)와 회수 측 가이드장치(61) 및 회수용 구동기구(63)의 세부적 구성은 앞서 설명한 인출측 장치들(57)(58)(59)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 구성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는 것으로 하여 반복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구체적 세부 구성의 지칭이 필요한 경우 인출 측 장치 구성요소의 도면부호에 별도의 첨자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로서,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82)는 피출력물(51)을 결선시킨 상태에서 인쇄를 시작하게 될 때 인쇄헤드부(52)를 작동 제어하여 피출력물(51)에 원하는 도형이나 문자 등의 인쇄를 실시하게 되며, 인쇄가 종료하면, 제어부(82)가 구동롤러(55)의 모터를 미리 설정해 놓은 소정시간 동안 구동시켜 피출력물(51)을 다음 인쇄 지점이 인쇄헤드부(52) 아래에 위치 되어질 때까지 1스텝 이송시키게 된다. 구동롤러(55)가 회전하면 인출 측의 피출력물(51)이 구동롤러(55) 측으로 이송되며, 이때 공급롤러(53)는 정지상태이므로 견인력을 받게 되는 피출력물(51)은 U 자형으로 휘감은 인출 측 텐션롤러(57)를 끌어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인출 측 가이드장치(58)에서 래크기어(67)에 피니언기어(65)로 맞물려 있는 션롤러(57)는 회전하면서 래크기어(67) 기어를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됨으로써 가해지는 장력만큼 텐션롤러(57)가 상승하여 피출력물(51)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때 만일, 인출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a)가 소재, 즉 피출력물 또는 텐션롤러(57)의 상승 위치가 정해진 상한 위치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82)는 인출용 구동기구(59)가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모터(75) 회전에 의해 웜(76)과 맞물린 웜기어(78)가 회전하여 공급롤러(53)에 감겨 있는 피출력물(51)이 인출되어지게 되며, 이는 곧바로 인출 측의 피출력물(51)의 길이 증대를 가져와 장력이 감소되며, 늘어진 인출량에 따른 장력감소를 자동적으로 보상하도록 지지력을 상실한 인출 측 텐션롤러(57)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피출력물(51)에 장력을 가하게 되며, 텐션롤러(57)가 소정 위치에 하강하면 제어부(82)가 모터(75)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이로써 피출력물(51)이 공급롤러(53)에 감겨 있는 양에 관계없이 항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공급롤러(53)로부터의 인출량을 적절한 설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롤러(55)가 회전하여 피출력물(51)의 이송이 이루어지면, 회수 측의 피출력물(51)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장력의 감소를 가져와 늘어짐이 발생되며, 이 늘어짐에 의한 장력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회수 측 텐션롤러(60)가 설계된 초기 상승 위치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피출력물(51)에 장력을 가하게 되며, 이때 회수측 텐션롤러(60)의 하강이 설계된 하한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한 회수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b)가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82)는 회수용 구동기구(63)(회수용 구동기구의 구조는 도 7에 도시한 인출용 구동기구와 동일하다)를 구동시켜 회수롤러(56)로 하여금 피출력물(51)을 감아들이게 된다.
상기 회수롤러(56)가 피출력물(51)을 감아들이게 되면, 피출력물의 장력이 증가하게 되며, 이 같은 장력 증대에 따라 회수 측 텐션롤러(60)가 상승 이동을 하여 장력을 초기 설정치로 유지되도록 하며, 이 상승 이동이 초기 설정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82)는 회수 측 텐션롤러(60)를 정지토록 회수용 구동기구(63)의 모터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을 차단토록 제어하며, 이로써 피출력물(51)이 회수롤러(56)에 감겨 있는 양에 관계없이 항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회수롤러(56)로부터 감아들이는 양을 적절한 설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게 되는것이다.
이 같은 방식으로 피출력물의 인출 및 회수를 제한하면 하나의 롤러 상에 2개 이상의 피출력물을 공급할 때 양쪽의 감겨 있는 분량이 차이가 있더라도 항시 적절한 장력과 이송 속도를 유지하도록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83은 인쇄헤드부(52)에 대응되는 소재지지부(83)로서, 예를 들면, 이송되어 온 피출력물(51)을 진공 흡착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고, 인쇄헤드부(52)에서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가 끝나 회수 측으로 배출 이송할 때에는 진공흡착기구가 컨베어벨트 식으로 형성되어 구동롤러(55)와 협력하여 피출력물(51)의 안정적 이송을 돕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16은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는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50)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B)와, 상기 지지부(B)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1110)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11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1121)와, 상기 바닥부(11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112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상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B),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1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설정범위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1121)와, 상기 바닥부(11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112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1122)는 상기 바닥부(11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11221)와, 상기 최하단유동체(11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11223)와, 상기 최하단유동체(11221)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11222)를 포함한다. 상기 최하단유동체(11221),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 및 상기 중단유동체(11222)의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ML)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1122)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s1)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s1)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L)가 복수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L)는 상기 지지부(B)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자성층(ML)에 후단측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EL)와, 히팅을 위한 히팅부(HL)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층(ML)은 외부 제어수단(미도시) 제어 하에 (예 : 전력원 공급 여부 등)에 따라 동작이 on 또는 off 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HL), 상기 초음파 진동부(EL), 상기 자성층(ML)의 동작은 외부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다양한 순서로 동작되거나, 동시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진퇴형 노즐(N)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B)를 향해 접착액을 토출한 뒤 상기 자성층(ML) 내부로 후퇴한다. 또한, 상기 노즐(N)이 상기 지지부(B)와 접촉함으로써 접착액을 토출하며 후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체(1122)는, 상기 완충공간(s1)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FU)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FU)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1122)는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 상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11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의 상부에는 완충패드(112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모듈(1120)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B)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체(1122)는, 상기 중단유동체(11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11221)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은 상기 중단유동체(11222)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11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14 내지 도 19는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유동체(1222)는 상기 중단유동체(12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12221)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는 상기 중단유동체(12222)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12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20은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최하단유동체(12221), 상기 중단유동체(12222),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내부와 외부 간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흡착모듈(I)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모듈(I)은 제1 흡착모듈(I1)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I2)와, 상기 제2 흡착모듈(I2)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I3)을 포함한다.
도 21은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1210)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1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P1)과, 상기 제1 가압모듈(P1)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유동체(12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P2)과, 상기 제2 가압모듈(P2)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12222)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P3)과, 상기 제3가압모듈(P3)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P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모듈(P1)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P1)을 상기 베이스몸체부(12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L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P2)을 상기 제1 가압모듈(P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L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P3)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P3)을 상기 제2 가압모듈(P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L3)이 구비된다.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P4)을 상기 제3 가압모듈(P3)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L4)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압모듈(P1)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P4)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된다.
도 22는 도 21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각각 상기 최하단유동체(12221) 내지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 상에 바(Bar)형상체로 결속되어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바 형상체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기 제1 가압모듈(P1)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하단유동체(12221)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3 가압모듈(P2)이 상기 제2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중단유동체(12222)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4 가압모듈(P4)이 상기 제3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제4 가압모듈(P4)이 하방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 조임모듈(L1) 내지 상기 제4 조임모듈(L4)을 통해 상호 결속된다.
도 23는 도 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1123) 상에는 상기 지지부(B)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1123a)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1123b)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123b)은 상기 플레이트부(1123a)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1123)와 상기 지지부(B)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FS)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킨다. 상기 각 자성층(ML)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상으로 소정의 관통공(FH)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1123b)로부터 분사된 접착액은 상기 관통공(FH)에 유입되어, 상기 지지부(B)가 상기 고정모듈(1120)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층(ML) 상호간을 결속시켜 상기 고정모듈(1120)과 상기 지지부(B) 상호간의 결속을 강화시킨다. 상기 완충패드(11231) 상면부에는 상기 완충패드(1123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본체부(11231a1)와, 상기 본체부(11231a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토출부(11231a2)를 포함하는 제2 분사노즐(11231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노즐(11231a)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상기 바닥부(1121)는 하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체(1121a)와, 수평방향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제2 가압체(1121b)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는, 상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3 가압체(1121c)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1121)는, 상기 제1 가압체(1121a)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체(1121a)와 상기 바닥부(11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3 분사노즐(AN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체(1121b)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체(1121b)와 상기 바닥부(11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4 분사노즐(AN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는, 상기 제3 가압체(1121c)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가압체(1121c)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5 분사노즐(AN3)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는, 저면부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6 분사노즐(1111)이 구비되며, 상기 제6 분사노즐(1111)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제2 본체부(1111b)와, 제2 본체부(1111b)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제2 토출부(11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6 분사노즐(1111)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50: 디지털 인쇄기 51: 피출력물
52: 인쇄헤드부 53: 공급롤러
54: 피동롤러 55: 구동롤러
56: 회수롤러 57: 인출 측 텐션롤러
58: 인출 측 가이드장치 59: 인출용 구동기구
60: 회수 측 텐션롤러 61: 회수 측 가이드장치
62a, 62b: 소재위치 감지센서 63: 회수용 구동기구
64: 회전축 65: 피니언기어
66: 가이드롤러 67: 래크기어
68: 래크바 69: 구속부재
70: 측벽부재 71: 가이드롤러 접촉주행면
72,73,74,79,80,81: 보조롤러 75: 모터
76: 웜 77: 회전축
78: 웜기어 82: 제어부
6a: 케이블 인입구 7: 하부 플랜지
7a: 앵커볼트 7b: 너트
FS1: 제1 충진공간 FS2: 제2 충진공간
FS3: 제3 충진공간 PT1: 제1 피스톤 부재
PT2: 제2 피스톤 부재 PT3: 제3 피스톤 부재

Claims (18)

  1. 디지털 인쇄장치에 있어서,
    인쇄를 위한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의 하부로 이송하는 피동롤러;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출력이 완료된 피출력물을 이송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피출력물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회수롤러;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공급롤러의 출구 측에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후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피출력물을 한 스텝 이송시키면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의 견인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면서 상기 피출력물에 장력을 가하는 인출 측의 텐션롤러;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체는,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와, 상기 최하단유동체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와, 상기 최하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기 최상단유동체 및 상기 중단유동체의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가 복수 구비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부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되는 디지털 인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완충공간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
    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체는,
    상기 최상단유동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몸체 저면부를 향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의 상부에는 완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키며,
    상기 고정모듈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디지털 인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는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은 상기 중단유동체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하는 디지털 인쇄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는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하는 디지털 인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기 중단유동체,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흡착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흡착모듈은 제1 흡착모듈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와, 상기 제2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인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과,
    상기 제1 가압모듈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유동체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과,
    상기 제2 가압모듈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과,
    상기 제3 가압모듈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인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을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을 상기 제1 가압모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을 상기 제2 가압모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을 상기 제3 가압모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압모듈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되는 디지털 인쇄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자성층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상으로 소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접착액은 상기 관통공에 유입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고정모듈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층 상호간을 결속시켜 상기 고정모듈과 상기 지지부 상호간의 결속을 강화시키는 디지털 인쇄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 상면부에는 상기 완충패드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2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노즐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하는 디지털 인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하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체와, 수평방향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체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는,
    상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를 가압하기 위한 제3 가압체가 구비되는 디지털 인쇄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 가압체가 상기 지지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체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3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체가 상기 지지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체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4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는,
    상기 제3 가압체가 상기 지지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가압체와 상기 베이스몸체부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5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디지털 인쇄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부는,
    저면부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6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제6 분사노즐은 상기 베이스몸체부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제2 본체부와, 제2 본체부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제2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6 분사노즐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하는 디지털 인쇄장치.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진퇴형 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접착액 토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지부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퇴되면서 접착액을 토출하는 디지털 인쇄장치.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진퇴형 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착액 토출하며,
    상기 진퇴형 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기 접착액과 혼합을 위한 유체가 토출되는 디지털 인쇄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의 전단부에는 상기 진퇴형 노즐을 수용하도록 소정형상의 믹싱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믹싱모듈은,
    상기 진퇴형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액과 유체를 믹싱한 혼합액을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지지부에 토출하는 디지털 인쇄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믹싱모듈은,
    상기 접착액과 상기 유체를 상기 혼합액으로 믹싱하되, 상기 접착액과 상기 유체를 설정온도 값으로 유지한 채,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디지털 인쇄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믹싱모듈은 상기 자성층 상에 진퇴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지털 인쇄장치.
KR1020170154611A 2017-11-20 2017-11-20 디지털 인쇄장치 KR10187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11A KR101870089B1 (ko) 2017-11-20 2017-11-20 디지털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11A KR101870089B1 (ko) 2017-11-20 2017-11-20 디지털 인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089B1 true KR101870089B1 (ko) 2018-07-20

Family

ID=6310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611A KR101870089B1 (ko) 2017-11-20 2017-11-20 디지털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0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996B1 (ko) * 2019-07-04 2020-01-14 위길환 호일 워터 데칼 전사물 제작 방법
KR102077598B1 (ko) * 2019-07-04 2020-02-14 위길환 호일 워터 데칼 전사물 및 그 제작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0574B2 (ja) * 1999-10-15 2004-08-04 株式会社セイフティーテクノ 滑り支承式免震装置
KR101536729B1 (ko) 2014-12-18 2015-07-16 주식회사 딜리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 공급배출장치
KR101771585B1 (ko) * 2016-06-13 2017-09-05 주식회사 딜리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0574B2 (ja) * 1999-10-15 2004-08-04 株式会社セイフティーテクノ 滑り支承式免震装置
KR101536729B1 (ko) 2014-12-18 2015-07-16 주식회사 딜리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 공급배출장치
KR101771585B1 (ko) * 2016-06-13 2017-09-05 주식회사 딜리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550574호(2004.08.04.)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996B1 (ko) * 2019-07-04 2020-01-14 위길환 호일 워터 데칼 전사물 제작 방법
KR102077598B1 (ko) * 2019-07-04 2020-02-14 위길환 호일 워터 데칼 전사물 및 그 제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585B1 (ko)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
KR101870089B1 (ko) 디지털 인쇄장치
CN102712198B (zh) 喷墨打印机及输送介质的方法
CN101062737B (zh) 用于将薄片材料绕到卷轴上的卷绕机及其相应的卷绕方法
US7540125B2 (en) Burs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7415472B (zh) 印刷装置以及运送装置
CN1107416A (zh) 一种卷筒纸印刷机的防缠绕装置及其使用方法
EP0710566B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US9168770B2 (en) Roll paper supply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CN205932163U (zh) 一种中间动力装置及包括该动力装置的带式输送机
CN207670004U (zh) 一种用于橡胶软管的喷墨打印机
KR101425427B1 (ko) 원단 멀티코팅 장치
KR101918418B1 (ko) 케이블타이용 스트립체의 제조방법
CN207171766U (zh) 一种木工砂光机
US20070181737A1 (en) Tape extracting unit
KR20230114169A (ko) 합판 코팅 및 재단 장치
US9278534B2 (en) Translatable web support
KR101974093B1 (ko)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
CN205418171U (zh) 一种自动包装***及其装置
KR100830983B1 (ko) 자동포장장치
KR20030069452A (ko) 인쇄기용 골판지 공급장치
CN209776946U (zh) 用于地板包装的步进式输送线
KR200195248Y1 (ko) 코일적재용 패드 공급장치
CN218434067U (zh) 一种纠偏防翻无轴放卷机
CN115489914A (zh) 一种高效型物流运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