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220B1 - System for generating large amounts of sterilized wat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generating large amounts of sterilized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220B1
KR101866220B1 KR1020160158879A KR20160158879A KR101866220B1 KR 101866220 B1 KR101866220 B1 KR 101866220B1 KR 1020160158879 A KR1020160158879 A KR 1020160158879A KR 20160158879 A KR20160158879 A KR 20160158879A KR 101866220 B1 KR101866220 B1 KR 10186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izing
sterilizing water
tank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9972A (en
Inventor
이세형
오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렌텍
Priority to KR1020160158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220B1/en
Priority to CN201710018332.6A priority patent/CN108117177B/en
Publication of KR2018005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2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 원수를 공급받아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생성부; 및 상기 살균수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살균수를 외부로 공급 또는 분사하는 살균수공급부;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supply system comprising: a raw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raw water for generating sterile water; A sterilizing aquatic part supplied with raw water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And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from the sterilizing aquatic part to the outside.

Figure R1020160158879
Figure R1020160158879

Description

대용량 살균수 생성 시스템{SYSTEM FOR GENERATING LARGE AMOUNTS OF STERILIZED WATER}SYSTEM FOR GENERATING LARGE AMOUNTS OF STERILIZED WATER [0002]

본 발명은 대용량으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at a large capacity.

최근에는 대기 또는 토양의 오염이 심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각종 분야에서 사람의 건강을 위해 주변시설에 살균을 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pollution of air or soil is getting worse. According to this tendency, devices for sterilizing the surrounding facilities for the health of people in various fields are being developed.

예를 들어, 학교 또는 기업 내부의 식당이나 농장 등과 같은 비교적 넓은 지역의 살균을 위해 살균수의 분사가 요구될 수 있으며, 또는, 국제적으로 점점 더 까다롭게 요구되는 선박의 평형수 제공을 위해 살균수가 제공될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For example, spraying of sterile water may be required to sterilize relatively large areas such as restaurants or farms within schools or businesses, or sterilized water may be provided to provide equilibrium water for vessels increasingly demanding internationally There is also a need to become.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의 살균수의 제공은 수조 내에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격막을 두고, 물과 염수를 섞어 생성되는 희석 식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얻어지는 산성수를 살균수로 이용하고 있다.In this situation, the conventional disinfecting water is provided by using an acidic water obtained by electrolyzing dilute saline produced by mixing water and saline with a diaphragm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in the water tank as sterilization wat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간당 살균수 생성 능력이 미비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대형 공간에 살균수를 분사 또는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apparatus is not only complicated in structure, but also has a low ability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per hour.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spraying 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to such a large space.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장치는 살균수를 만들기 위한 수질에 따라 생성되는 살균수의 성능이 저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terilized water produced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for producing the sterilized water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의 살균수를 수질에 구애받지 않고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infection water generating system capable of rapidly producing a large amount of sterilized water with excellent effects without being affected by water qua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 원수를 공급받아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생성부; 및 상기 살균수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살균수를 외부로 공급 또는 분사하는 살균수공급부;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ilizing apparatus comprising: a raw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raw water for generating sterile water; A sterilizing aquatic part supplied with raw water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And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from the sterilizing aquatic part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살균수생성부는 공급되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살균수공급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공급되는 원수 또는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가 형성되는 살균수탱크; 및 상기 살균수탱크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수용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unit may include a sterilizing water tank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raw water to be supplied flow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generated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ing unit, and a drain unit for discharging the supplied raw water or sterilizing water to the outside ; And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device accommodated in the sterilizing water tank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o generate sterilizing water.

또한, 상기 살균수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원수가 기설정된 제1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와, 생성된 살균수가 기설정된 제2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위에 도달될 경우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가 온(on)되고, 상기 제2 수위에 도달할 경우,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가 오프(off)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raw water disposed in the sterilizing water tank arrives at a predetermined first water level and whether or not the generated sterilizing 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second water level,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may be turned on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first water level, and may be turned off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second water level.

또한, 상기 살균수탱크에 연통되어 나트륨을 공급하는 제1 나트륨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odium supply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terilizing water tank to supply sodium.

또한,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는 절연 재질의 분리판; 상기 분리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단자가 배치되는 제1 전극판; 상기 분리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단자가 배치되는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 분리판 및 제2 전극판을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은 백금족 금속을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전극판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전극판을 180°뒤집었을 때 상기 제2 전극판의 제2 단자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device may include an isolation plate of an insulating material; A first electrode plat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or plate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or plate and having a first terminal to which power is applied at one side; A second electrode plat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or plate and disposed below the separator plate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to which power is applied at one side; And a hous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the separator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wherei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formed by depositing or coating a platinum group metal, And the first terminal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f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when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inverted by 180 °.

또한,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는 상기 살균수탱크 내부에서 틸팅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되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측면으로 분사하기 위해 측면에 유입수 유출홀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is disposed in the sterilization water tank at a tilting position. The inle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The cap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two inflow outlet holes formed in the side wall.

또한, 상기 살균수탱크의 일측에는 투명창이 설치되어 내부에 배치된 살균수 생성장치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볼 수 있다.In addition,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transparent window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terilizing water tank and raw water flowing in from the inlet can be seen.

또한, 상기 원수공급부와 살균수생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공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살균수생성부에 제공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etreatment unit disposed between the raw water supply unit and the sterilizing aquatic life unit to filter raw water and provide the raw water to the sterilizing aquatic life unit.

또한, 상기 전처리부는 제1 탱크와, 상기 제1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필터링하는 무연탄을 포함하는 무연탄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treatment unit may include an anthracite filter unit including a first tank and an anthracite coal disposed inside the first tank to filter raw water.

또한, 상기 전처리부는 제2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필터링하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활성탄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treatment unit may include a second tank and an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disposed in the second tank and containing activated carbon for filtering the raw water.

또한, 상기 전처리부는 제3 탱크와, 상기 제3 탱크에 연통되어 소금물을 공급하는 제2 나트륨공급부를 포함하는 양이온수지필터부를 포함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treatment section may include a cationic resin filter section including a third tank and a second sodium supply section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tank to supply brine.

또한, 상기 전처리부는 제4 탱크와, 상기 제4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필터링하는 섬유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treatment unit may include a fourth tank and a microfilter unit disposed inside the fourth tank and including a fiber material for filtering raw water.

또한,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원수를 상기 살균수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살균수와 혼합하여 상기 살균수공급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aw water treated by the pretreatment unit may be mixed with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from the sterilizing aquatic part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ing part.

본 발명은 대용량으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하수 또는 수도물 등 수질에 구애받지 않고 탁월한 살균수를 생성하여 넓은 지역에 효과적으로 살균수를 제공 또는 분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infection water generating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disinfected water in a large capacity, and can generate disinfected water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water quality such as ground water or tap water, thereby effectively providing or spraying sterilized water in a wide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생성부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단자수용부의 확대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shown in Fig. 3;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ic meanings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here the terms used herein contradict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y shall be as defined herein.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생성부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단자수용부의 확대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shown in Fig. 3.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시스템(1)은 크게 원수공급부(10), 전처리부(20), 살균수생성부(30) 및 살균수공급부(40)를 포함할 수 있다.1,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water supplying unit 10, a pretreatment unit 20, a sterilizing aquatic producing unit 30 and a sterilizing water supplying unit 40 .

상기 원수공급부(10)는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원수를 공급하며, 이러한 원수는 지하수 또는 수돗물일 수 있으나,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시스템(1)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모든 종류의 물일 수 있다. The raw water supply unit 10 supplies raw water for generating sterilized water, which may be ground water or tap water, but may also include all of the water supplied from outside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kind of water.

본 발명은 이러한 원수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대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가진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erilized water having a large amount of excellent effect without depending on the kind of such raw water.

따라서, 본 발명은 원수로부터 살균수를 바로 생성할 수도 있으나, 공급되는 원수의 성질을 고려하여 상기 원수공급부(10)와 살균수생성부(30) 사이에 배치되어 제공되는 원수를 필터링한 후에 상기 살균수생성부(30)에 제공하는 전처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generate sterilized water from the raw water, but after filtering the raw water disposed between the raw water supply part 10 and the sterilizing aquatic part 30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the raw water to be supplied, And a pretreatment unit 20 for providing the water to the aquatic function unit 30.

상기 전처리부(20)는 무연탄필터부(21), 활성탄필터부(22), 양이온수지필터부(23) 또는 마이크로필터부(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treatment unit 20 may include an anthracite filter unit 21, an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22, a cation resin filter unit 23, or a microfilter unit 24.

이러한 무연탄필터부(21), 활성탄필터부(22), 양이온수지필터부(23) 및 마이크로필터부(24)는 전부 구비될 수도 있으나, 공급되는 원수의 성질을 고려하여 개별적 또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anthracite filter unit 21, the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22, the cation resin filter unit 23, and the micro filter unit 24 may be all provided, but they may be individually or selectively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raw water to be supplied .

또한, 상기 무연탄필터부(21), 활성탄필터부(22), 양이온수지필터부(23) 및 마이크로필터부(24)의 탱크 각각은 드레인부가 형성되어 탱크 내부에 잔존하는 원수 또는 필터링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Each of the tanks of the anthracitic coal filter unit 21, the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22, the cation resin filter unit 23 and the microfilter unit 24 is provided with a drain uni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무연탄필터부(21)는 제1 탱크(21a)와, 상기 제1 탱크(21a) 내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필터링하는 무연탄(2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연탄필터부(21)는 정수 또는 폐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인 처리의 여과방식을 가진다.The anthracite coal filter unit 21 may include a first tank 21a and an anthracite coal 21b arranged inside the first tank 21a to filter raw water. Therefore, the anthracite filter unit 21 has a filtration system of physical treatment us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or wastewater.

무연탄(21b)은 타 여과재와 비교하여 수질 향상과 함께 여과속도가 빠르고 여과재로써 경도가 높아 입자의 마모 손실이 적고, 내알칼리성이며 실리카의 용출이 없어 초순수의 전처리 여과에 적합하다.The anthracite coal (21b) has a higher filtration rate and a higher hardness as a filter medium, and has less wear loss of particles, is alkali-resistant, and does not elute silica, and is suitable for pretreatment filtration of ultrapure water.

여기서, 상기 무연탄필터부(21)는 원수를 필터링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키기 위한 제1 바이패스(21c)와,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2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thracite filter unit 2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ypass 21c for passing the raw water without filtering and a drain 21d for discharging the raw water to the outside.

상기 활성탄필터부(22)는 제2 탱크(22a)와, 상기 제2 탱크(22a) 내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필터링하는 활성탄(22b)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22 may include a second tank 22a and activated carbon 22b disposed inside the second tank 22a to filter raw water.

활성탄(22b)은 흡착제로서 물속에 용존된 잔류염소 및 유기물을 흡착하여 BOD, GOD 제거와 탈취기능을 가진다.The activated carbon 22b adsorbs residual chlorine and organic substances dissolved in water as an adsorbent, and has BOD, GOD removal and deodorization functions.

여기서, 상기 활성탄필터부(22)는 원수를 필터링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키기 위한 제2 바이패스(22c)와,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2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2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ypass 22c for passing the raw water without filtering and a drain 22d for discharging the raw water to the outside.

상기 양이온수지필터부(23)는 제3 탱크(23a)와, 상기 제3 탱크(23a)에 연통되어 소금물을 공급하는 제2 나트륨공급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tionic resin filter unit 23 may include a third tank 23a and a second sodium supply unit 23b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tank 23a to supply salt water.

이러한 양이온수지필터부(23)는 원수 중에 경도 성분인 칼슘, 마그네슘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원수의 부드러움과 배관 내의 스케일 방지를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이온수지의 재생을 위해 상기 제2 나트륨공급부(23b)는 소금물을 상기 제3 탱크(23a)에 공급할 수 있다.The cationic resin filter unit 23 is a device for removing hardness components calcium and magnesium in raw water, and can be arranged for softness of raw water and scale prevention in piping. Therefore, for regeneration of the cation resin, the second sodium supply part 23b can supply salt water to the third tank 23a.

여기서, 상기 양이온수지필터부(23)는 원수를 필터링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키기 위한 제3 바이패스(23c)와,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2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tionic resin filter unit 23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ypass 23c for passing the raw water without filtering and a drain 23d for discharging the raw water to the outside.

상기 마이크로필터부(24)는 제4 탱크(24a)와, 상기 제4 탱크(24a) 내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필터링하는 섬유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필터부(24)는 필터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시된 것과 같이 병렬로 다 수개가 연결될 수 있다.The micro filter unit 24 may include a fourth tank 24a and a fiber material disposed inside the fourth tank 24a to filter raw water.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filtering efficiency, a plurality of micro filter units 24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s shown in the figure.

섬유제를 사용한 마이크로필터부(24)는 물 속에 용존된 부유물질 및 탁도 제거를 위함이며, 상기 무연탄필터부(21) 또는 활성탄필터부(22)를 거친 원수에 포함된 미립자를 제거하는 기능을 포함한다.The microfilter unit 24 using the fibrous agent is provided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anthracite filter unit 21 or the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22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and turbidity dissolved in water do.

한편, 이렇게 전처리된 원수는 별도의 배관을 사용하여 후술할 살균수생성부(30)로부터 생성된 살균수와 혼합하여 상기 살균수공급부(40)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100)로써 생성되는 살균수는 탁월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처리된 원수와 일정비율로 혼합하여도 우수한 살균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aw water thus pretreated may be mixed with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from the sterilizing aquatic part 30 to be introduced in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art 40 by using a separate piping. Since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sterilizing pow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excellent sterilizing power even if mixed with the raw water pretreated at a certain ratio.

상기 살균수생성부(30)는 상기 원수공급부(10) 또는 전처리부(20)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aquatic part 30 may receive raw water from the raw water supply part 10 or the pretreatment part 20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구체적으로, 상기 살균수생성부(30)는 살균수탱크(31)와 살균수 생성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위센서(32), 제1 나트륨공급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erilizing aquatic part 30 may include a sterilizing water tank 31 and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device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32 and a first sodium supplying part 33 .

상기 살균수탱크(31)는 공급되는 원수가 유입되는 캡(34)(31a)와,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살균수공급부(40)로 배출하는 배출구(31b)와, 상기 공급되는 원수 또는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water tank 31 includes a cap 34 and 31a into which raw water to be supplied flows, an outlet 31b through which the generated sterilization water is discharged to 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unit 40, A drain portion 31c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outside can be formed.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살균수탱크(31)의 일측에는 투명창이 설치되어 내부에 배치된 살균수 생성장치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볼 수 있으며, 내부에 적외선이 방출되는 UV 램프 또는 LED가 설치될 수도 있다. 투명창을 통하여, 상기 살균수탱크(31) 내부에서 살균수 생성장치(100)의 작동 여부와 살균수 생성 정도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LED 조명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도 있다.As shown in FIG. 2, a sterilizing water generator disposed inside the transparent sterilizing water tank 31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erilizing water tank 31, and UV lamps for emitting infrared rays may be used. LEDs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whether or not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0 operates and the degree of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within the sterilizing water tank 31. In the case of LED illumina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visual aesthetic sense is given to the user.

상기 제1 나트륨공급부(33)는 살균수의 살균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 농도의 소금물을 상기 살균수탱크(31)에 공급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살균수탱크(31) 내에 소금물이 농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살균수 생성 시스템(1)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드레인부(31c)를 통해 상기 살균수탱크(31) 내부의 원수 또는 살균수를 배출할 수 있다. 즉, 원수중에 경도 성분인 칼슘(Ca),마그네슘(Mg)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물에 부드러움과 배관내의 스케일방지를 위한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염수(NaCl)를 상기 살균수탱크(31)의 뒤쪽 방향으로 반복해서 공급함으로서 역세척하는 것이다. The first sodium supply part 33 may be arranged to supply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f salt water to the sterilizing water tank 31 in order to improve sterilizing ability of sterilized water. In this case, when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system 1 is not used to prevent concentration of the brine in the sterilizing water tank 31, the raw water in the sterilizing water tank 31 through the drain portion 31c Sterile water can be discharged. That is, it is a device for removing calcium (Ca) and magnesium (Mg) which are hardness components in raw water, and has functions for softness of water and prevention of scale in piping. For example, backwashing is carried out by repeatedly supplying saline (NaCl)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sterilization water tank 31.

상기 수위센서(32)는 상기 살균수탱크(31)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원수가 기설정된 제1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와, 생성된 살균수가 기설정된 제2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검출된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수위에 도달될 경우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100)를 온(on) 시키고, 상기 제2 수위에 도달할 경우,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100)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The water level sensor 32 is disposed inside the sterilizing water tank 31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incoming 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first water level and whether or not the generated sterilizing 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second water level The control unit (not shown) turns o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100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reached from the detected information, and when the sterilizer water generator 100 reaches the second water level, (100) can be turned off.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100)는 상기 살균수탱크(31)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31a)와 배출구(31b) 사이에 수용되어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1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terilization water tank 31 between the inlet 31a and the outlet 31b to generate sterilizing water.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100)는 크게 분리판(110), 제1 전극판(120), 제2 전극판(130) 및 하우징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유닛(150) 또는 케이블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and 4,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separation plate 110, a first electrode plate 120, a second electrode plate 130, And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unit 140, and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unit 150 or a cable unit 160.

상기 분리판(11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후술할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을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용도로 배치될 수 있다. The separator 11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disposed to separate a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1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분리판(110)은 상기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의 간격을 조절하여 살균수 생성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두 개 이상이 상기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late 11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 thickness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to control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capacity,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구체적으로, 이러한 분리판(110)은 유체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제3 프레임(111)과, 상기 제3 프레임(111)의 비어 있는 내부에서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3 프레임(111)의 내측면에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3 리브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프레임(111) 및 제3 리브부(1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frame 110 includes a third frame 111 in which the fluid flows smoothly and a second frame 111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empty interior of the third frame 111, The third frame 111 and the third rib 112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third frame 111 and the third rib 1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3 프레임(111)은 대략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3 리브부(112)는 상기 제3 프레임(111)의 대향변에 연결되는 수직리브와, 상기 수직리브에 직교되게 다른 두 대향변에 배치되는 수평리브와, 상기 수직리브와 수평리브가 교차되는 곳에 교차되는 사선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rd rib 111 may include a vertical rib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s of the third frame 111, and a third rib 111. The third rib 11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 horizontal rib disposed at two opposing sides orthogonal to the vertical rib, and a diagonal rib intersecting the vertical rib and the horizontal rib at an intersection.

한편, 상기 제3 프레임(111) 또는 상기 제3 리브부(112)가 교차되는 곳에는 후술할 하우징부(140)의 체결홀(1414, 1424)에 대응되는 체결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A coupling hole 113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s 1414 and 1424 of the housing part 14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third frame 111 and the third rib part 112 have.

상기 제1 전극판(120)은 상기 분리판(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단자(1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판(130)은 상기 분리판(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단자(131)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or plate 110 and may be disposed on the separator plate 110 and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21 to which power is applie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or plate 110 and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or plate 110, have.

여기서, 상기 제1 전극판(120)과 제1 단자(121) 또는 상기 제2 전극판(130)과 제2 단자(131)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first terminal 121, or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nd the second terminal 131 may be integrally formed.

살균수를 대량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판(120) 및 제2 전극판(130)은 인체에 무해한 내식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판(120) 및 제2 전극판(130)은 철판 및/또는 티타늄으로 형성한 후에, 백금, 이리듐, 팔라듐, 오스듐, 류테늄 등의 백금족 금속을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may be formed of a metal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in order to form sterilized water in a large quantity.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may be formed of an iron plate and / or titanium, and may be formed of a platinum group metal such as platinum, iridium, palladium, osmium, .

다만, 살균수를 대량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은 상기 분리판(110)의 제3 리브부(112)로써 형성되는 유동홀, 또는 후술할 하우징부(140)의 제1 리브부(1412), 제2 리브부(1422)로써 형성되는 유동홀을 갖지 아니하고, 체결홀(122)을 제외한 통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전극판(120) 및 제2 전극판(130)의 대향면에서 활발한 살균수 생성이 일어나기 때문에 표면에 증착 또는 코팅된 백금 등이 벗겨질 수 있다.However,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may be formed as a flow hole formed by the third rib portion 112 of the separator plate 110, The first rib portion 1412 and the second rib portion 1422 of the housing portion 140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except for the fastening hole 122. [ In this case, since the sterilizing water is actively generated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the platinum deposited or coated on the surface can be peeled off.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전극판(120)을 제2 전극판(130)의 위치에, 상기 제2 전극판(130)을 제1 전극판(120) 위치로 교체하여 상기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의 바깥면을 다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더 포함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plac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with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nd replacing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with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can be us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어느 하나를 180° 뒤집어서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판(120)의 제1 단자(121)는 상기 제1 전극판(120)을 180°뒤집었을 때 상기 제2 전극판(130)의 제2 단자(131)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상기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이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may be formed by inverting on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by 180 °. That is, the first terminal 121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f the second terminal 131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when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is inverted by 180 ° So that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제1 단자(121)는 상기 제1 단자수용부(1413) 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131)는 상기 제2 단자수용부(1423) 방향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어 후술할 제1 단자수용부(1413)와 제2 단자수용부(1423)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절연물질의 효과적인 충진을 도모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21 is bent at least onc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13 and the second terminal 131 is bent at leas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23 And can be stably formed in the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13 and the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effective filling of the insulating material can be achieved.

한편, 상기 제1 전극판(120) 및 제2 전극판(130)에는 상기 분리판(110)과 후술할 하우징부(140)의 체결홀(1414, 1424)에 대응되는 체결홀(122, 132)이 적어도 한 개 이상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re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122 and 132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1414 and 1424 of the separating plate 110 and a housing unit 140 ) May be formed at least one each.

또한, 살균수 생성을 더욱 대량으로 도모하기 위해, 상기 제1 전극판(120), 분리판(110) 및 제2 전극판(130)은 한 쌍으로써, 다수 개가 후술할 하우징부(1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the separator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may be a pair of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plates 120 in a housing part 140 .

상기 하우징부(140)는 상기 제1 전극판(120), 분리판(110) 및 제2 전극판(130)을 수용할 수 있으며, 살균수 생성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housing unit 140 may receive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the separator plat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0.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부(140)는 제1 하우징(141)과 제2 하우징(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부(140)는 절연재질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제1 하우징(141) 및 제2 하우징(142)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14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141 and a second housing 142. The housing part 14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metal, 141 and the second housing 142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1 하우징(141)은 유체가 유동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제1 프레임(1411)과, 상기 제1 프레임(1411)의 비어 있는 내부에서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 프레임(1411)의 내측면에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 리브부(1412)와, 상기 제1 단자(121)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41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단자수용부(14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41 has a first frame 1411 in which the fluid is allowed to flow, and a second frame 1411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hollow interior of the first frame 1411, And a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13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411 so as to receive the first terminal 121. The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13 includes a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13, .

상기 제2 하우징(142)은 유체가 유동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제2 프레임(1421)과, 상기 제2 프레임(1421)의 비어 있는 내부에서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2 프레임(1421)의 내측면에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 리브부(1422)와, 상기 제2 단자(131)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142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단자수용부(14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42 has a second frame 1421 in which the fluid is allowed to flow, and a second frame 1421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hollow interior of the second frame 1421, And a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23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1421 to receive the second terminal 131. The second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23 includes a first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423, .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1411)과 제1 리브부(1412) 및 제2 프레임(1421)과 제2 리브부(1422)는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frame 1411, the first rib portion 1412, the second frame 1421, and the second rib portion 1422 may be integrally formed.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1411) 및/또는 제2 프레임(1421)은 각각 대략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리브부(1412) 및/또는 제2 리브부(1422)는 각각 상기 제1 프레임(1411) 및 제2 프레임(1421)의 대향변에 연결되는 수직리브와, 상기 수직리브에 직교되게 다른 두 대향변에 배치되는 수평리브와, 상기 수직리브와 수평리브가 교차되는 곳에 교차되는 사선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frame 1411 and / or the second frame 1421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or rectangular shape,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rib 1412 and / The vertical ribs 1422 respectively have vertical rib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s of the first frame 1411 and the second frame 1421, horizontal ribs disposed at two opposing sides orthogonal to the vertical ribs, And may include crossed ribs intersecting where the horizontal ribs intersect.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하우징(141)의 제1 리브부(1412)의 교차점, 제1 리브부(1412)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프레임(1411)과 접하는 곳 및 상기 제1 단자수용부(14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체결홀(14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하우징(142)의 제2 리브부(1422)의 교차점, 제2 리브부(1422)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프레임(1421)과 접하는 곳 및 상기 제2 단자수용부(14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체결홀(1424)이 상기 제1 하우징(141)의 체결홀(1414)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rib portion 1412 of the first housing 141, the portion of the first rib portion 1412 where the first rib portion 1412 contacts the first frame 1411, 1413 may have a fastening hole 1414 formed therein. At this time,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rib portion 1422 of the second housing 142, the place where one of the second rib portions 1422 contacts with the second frame 1421, The fastening holes 142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holes 1414 of the first housing 141.

이렇게 상기 하우징부(140), 분리판(110), 제1 전극판(120) 및 제2 전극판(130)에 체결홀(1414, 1424, 113, 122, 132)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경우, 상기 하우징부(140)를 가압하며 체결하는 체결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fastening holes 1414, 1424, 113, 122 and 132 are formed in the housing part 140, the separation plate 110,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fastening unit 150 for pressing and fastening the housing part 140.

이러한 체결유닛(150)은 무전해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한정되지는 아니하나, 상기 체결홀(1414, 1424, 113, 122, 132)에 체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141)과 제2 하우징(142)을 상호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볼트(151)와 너트(152)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fastening unit 150 may be formed of a non-electrolytic material and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1414, 1424, 113, 122, And at least one pair of bolts 151 and nuts 152 for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142 and 142 against each other.

한편, 도 4는 제2 단자수용부(1423)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단자수용부(1413)도 동일 형상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 단자수용부(1413), 제1 케이블의 도면 및 부재번호는 생략한다.4 shows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portion 1423. Since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portion 1413 can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portion 1413 and the first cable receiving portion 1413, The member numbers are omitted.

상기 제1 단자수용부(1413)는 상기 제1 단자(121)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수용부(1423)는 상기 제2 단자(131)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홈(1423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portion 1413 is formed with a first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irst terminal 121 and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portion 1423 is formed by a second terminal receiving portion 1423, Receiving grooves 1423a can be formed.

이러한 경우,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100)는 상기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부는 상기 제1 수용홈에 일단이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자(121)에 양극이 연결되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수용홈(1423a)에 일단이 배치되어 상기 제2 단자(131)에 음극이 연결되는 제2 케이블(16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161)은 각각 제1 단자(121)와 제2 단자(131)에 전기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able unit 1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respectively, The cable portion includes a first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an anod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21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423a, And the second cable 16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21 and the second terminal 131. The first cable 121 and the second cable 16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21 and the second terminal 131, have.

또한, 상기 유동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제1 단자(121)와 제1 케이블의 접촉부분과 상기 제2 단자(131)와 제2 케이블(161)의 접촉부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수용홈과 제2 수용홈(1423a)은 절연 물질로 충진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a short between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1 and the first cable and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131 and the second cable 161 by the flowing fluid,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423a may be fill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또한, 상기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1423a)은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홈 또는 제2 수용홈(1423a)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제2 케이블(161)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클램프(162)를 더 포함함으로써, 단자와 케이블간의 통전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내부 이물질 및 유체 유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423a are bent at least once, and the first cable or the second cable (not shown)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or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423a 161 are fixed by the cable clamp 162,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duct current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able and to effectively block the foreign matter and the fluid flow.

한편,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하우징부(140) 내부에는 초음파 진동자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물의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스케일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n ultrasonic vibrat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140, and the scale generated upon electrolysis of water by the ultrasonic vibrator may be physically removed.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100)에 따르면,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이 체결홀(122, 132)을 제외하고 통판 형태로 형성되어 대량의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의 대향면에서 수중방전이 일어나고, 이에 의해 물분자(H2O)가 수소원자(H)와 산소원자(O)의 이온상태로 분해되어 기포가 발생되고 수중확산이 시작된다. 생성되는 H+와 O2 -가 주변의 물분자와 반응하여 수산기(OH-)를 비롯하여, H2O2 및 O3가 생성되고, 이 때 생성되는 수산기는 매우 불안정해져서 물속에 세균류의 세포막에 있는 H+와 결합하여 세균의 세포막은 파괴되어 살균될 수 있다. 또한, 공급수의 수중에 함유된 미량의 염소성분과 물분자와 반응하여 살균기능을 갖는 치아염소산이 생성되어 살균효과가 향상될 수도 있다.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hole except for the fastening holes 122 and 132, Of sterilized water. Specifically, a water discharge occurs at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whereby water molecules (H 2 O) react with hydrogen atoms (H) and oxygen atoms It is decomposed into ionic state and bubbles are generated and diffusion in water is started. The resulting H + and O 2 - react with the surrounding water molecules to generate hydroxyl groups (OH - ), H 2 O 2 and O 3 , and the hydroxyl groups formed at this point are very unstable, It binds to the H +, and cell membranes of bacteria can be destroyed and sterilized. In addition, hypochlorous acid having a sterilizing function may be generated by reacting with a trace amount of chlorine component and water molecules contained in the water of the supplied water, thereby improving the sterilizing effect.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100)는 백금족 금속으로써 코팅된 제1 전극판(120) 및 제2 전극판(130)을 포함하여 대용량으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으로 살균수의 분사 또는 제공이 요구되는 넓은 장소에 신속하게 대량의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coated with a platinum group metal, sterilizing water can be produced in a large capacity ,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 amount of sterilized water can be rapidly provided in a large area requiring spraying or supply of sterilized water in a large amou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100)는 제1 전극판(120) 및 제2 전극판(130)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에 따른 대향면의 코팅이 벗겨지더라도 제1 전극판(120)과 제2 전극판(130)을 상호 교차시켜서 바깥면을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re formed in corresponding shapes in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sterilization w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late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130 are cross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uter surface can be reused.

더욱 효과적인 살균수 생성을 위해,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100)는 상기 살균수탱크(31) 내부에서 틸팅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31a)는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10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원수의 전기분해 효율을 높히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100)는 살균수탱크(31) 내부에서 수직이나 수평 또는 다양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100 is disposed in a tilted manner within the sterilization water tank 31 and the inlet 31a is formed below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100 This is to increase the electrolysis efficiency of the raw water. Of course,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100 may be provid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or in various directions within the sterilization water tank 31.

또한, 상기 유입구(31a)의 상측에 배치되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측면으로 분사하기 위해 측면에 유입수 유출홀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캡(34)을 더 포함하여,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100)에 균일하게 원수가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캡(34)은 막힌 상면을 가지고 측면에 다수의 유출홀이 있어서,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100) 방향으로 직접 분출되지 않고, 살균수탱크(31) 내부에서 고르게 확산된 뒤에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100)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ap further includes a cap (34)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31a) and having at least two inflow water outlet holes formed on the side thereof for spraying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to the side, The raw water can be uniformly flowed into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apparatus 100. That is, the cap 34 has a clogged upper surface and has a plurality of outflow holes on its side, so that the raw water does not directly spray towar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100, but diffuses evenly in the sterilizing water tank 31 So that the sterilized water generator 1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erilization water generator 100.

상기 살균수공급부(40)는 상기 살균수생성부(30)로부터 생성된 대량의 살균수를 외부로 공급 또는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시스템(1)은 단체급식소의 주방, 배식처, 식탁 등을 소독하거나, 쿨링타워의 냉각수, 생육식물의 성장수, 식수 또는 선박의 평형수 등과 같은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unit 40 can supply or spray a large amount of sterilized water generated from the sterilizing aquatic part 30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disinfection water generation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erilize a kitchen, a foodservice, a kitchen table, etc. of a group foodservice, It can be used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nge and its equivalent range.

1: 살균수 생성 시스템 10: 원수공급부
20: 전처리부 21: 무연탄필터부
22: 활성탄필터부 23: 양이온수지필터부
24: 마이크로필터부 30: 살균수생성부
40: 살균수공급부 100: 살균수생성장치
1: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system 10: raw water supply unit
20: Pretreatment unit 21: Anthracite filter unit
22: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23: cationic resin filter unit
24: Micro filter section 30: Sterilization aquatic part
40: sterilization water supply part 100: sterilization water generation device

Claims (13)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
원수를 공급받아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생성부; 및
상기 살균수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살균수를 외부로 공급 또는 분사하는 살균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생성부는, 공급되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살균수공급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공급되는 원수 또는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가 형성되는 살균수탱크; 및 상기 살균수탱크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수용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는 상기 살균수탱크 내부에서 틸팅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되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측면으로 분사하기 위해 측면에 유입수 유출홀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A raw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raw water for generating sterile water;
A sterilizing aquatic part supplied with raw water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And
And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r spraying sterilizing water generated from the sterilizing aquatic part to the outside,
Wherei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comprises a sterilizing water tank in which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raw water to be supplie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generated sterilizing water 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r, and a drain for discharging the supplied raw water or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outside are formed; And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device accommodated in the sterilizing water tank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o generate sterilizing water,
Wherein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device is disposed in a tilting manner in the sterilizing water tank,
The inle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ap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and having at least two inflow water outlet holes formed on the side thereof for spraying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to the 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원수가 기설정된 제1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와, 생성된 살균수가 기설정된 제2 수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위에 도달될 경우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가 온(on)되고, 상기 제2 수위에 도달할 경우,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가 오프(off)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side the sterilizing water tank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incoming 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first water level and whether or not the generated sterilizing 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second water level,
Wherein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device is turned on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reached and off when the second water level is rea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탱크에 연통되어 나트륨을 공급하는 제1 나트륨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sodium feeder communicating with said sterilizing water tank to supply sodium.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
원수를 공급받아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생성부; 및
상기 살균수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살균수를 외부로 공급 또는 분사하는 살균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생성부는, 공급되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살균수공급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공급되는 원수 또는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가 형성되는 살균수탱크; 및 상기 살균수탱크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수용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수 생성장치는,
절연 재질의 분리판;
상기 분리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제1 단자가 배치되는 제1 전극판;
상기 분리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전원이 인가되는 제2 단자가 배치되는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 분리판 및 제2 전극판을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은 백금족 금속을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전극판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전극판을 180°뒤집었을 때 상기 제2 전극판의 제2 단자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A raw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raw water for generating sterile water;
A sterilizing aquatic part supplied with raw water to generate sterilized water; And
And a steriliz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r spraying sterilizing water generated from the sterilizing aquatic part to the outside,
Wherei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or comprises a sterilizing water tank in which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raw water to be supplie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generated sterilizing water 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r, and a drain for discharging the supplied raw water or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outside are formed; And a sterilizing water producing device accommodated in the sterilizing water tank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o generate sterilizing water,
Wherein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device comprises:
Separator plate of insulating material;
A first electrode plat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or plate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or plate and having a first terminal to which power is applied at one side;
A second electrode plat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or plate and disposed below the separator plate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to which power is applied at one side; And
And a housing part for housing the first electrode plate, the separator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Wherei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re formed by depositing or coating a platinum group metal, and a first terminal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when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inverted by 180 °, Of the sterilizing water producing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탱크의 일측에는 투명창이 설치되어 내부에 배치된 살균수 생성장치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볼 수 있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device disposed inside the sterilizing water tank and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and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system capable of viewing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부와 살균수생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공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살균수생성부에 제공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etreatment unit disposed between the raw water supply unit and the sterilizing aquatic life unit to filter raw water and provide the raw water to the sterilizing aquatic life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제1 탱크와, 상기 제1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필터링하는 무연탄을 포함하는 무연탄필터부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
An anthracite filter portion including a first tank and an anthracite coal disposed inside the first tank to filter raw wa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제2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필터링하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활성탄필터부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
A second tank, and an activated carbon filter portion disposed inside the second tank and containing activated carbon for filtering raw wa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제3 탱크와, 상기 제3 탱크에 연통되어 소금물을 공급하는 제2 나트륨공급부를 포함하는 양이온수지필터부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
And a cationic resin filter portion including a third tank and a second sodium supply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tank to supply bri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제4 탱크와, 상기 제4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필터링하는 섬유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필터부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
A fourth tank, and a microfilter portion disposed inside the fourth tank and including a fiber material for filtering raw wa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원수를 상기 살균수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살균수와 혼합하여 상기 살균수공급부로 유입시키는 살균수 생성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nd sterilizing water generated from the sterilizing aquatic part is mixed with the raw water treated by the pretreatment part and is introduced into the sterilizing water supplying part.
KR1020160158879A 2016-11-28 2016-11-28 System for generating large amounts of sterilized water KR1018662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879A KR101866220B1 (en) 2016-11-28 2016-11-28 System for generating large amounts of sterilized water
CN201710018332.6A CN108117177B (en) 2016-11-28 2017-01-10 System for generating large amount of sterilized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879A KR101866220B1 (en) 2016-11-28 2016-11-28 System for generating large amounts of sterilized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972A KR20180059972A (en) 2018-06-07
KR101866220B1 true KR101866220B1 (en) 2018-06-12

Family

ID=6222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879A KR101866220B1 (en) 2016-11-28 2016-11-28 System for generating large amounts of sterilized wa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6220B1 (en)
CN (1) CN10811717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256B1 (en) * 2021-11-22 2023-03-21 금호미쓰이화학 주식회사 Wastewater treatment method to remove high-boiling-point organic matter and low-boiling-point organic mat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80B1 (en) * 2005-09-23 2007-03-09 박호원 Water sterilizing purifier filter module with electrolyzer
KR100842423B1 (en) * 2007-12-26 2008-07-01 길대수 Fabrication method of disinfection water using electrolysis and the apparatu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8432A (en) * 1967-04-24 1971-04-15
CN1162247A (en) * 1994-07-29 1997-10-15 东陶机器株式会社 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centration hypochlorous acid, method of forming strongly acidic sterile water containing low-concentration hypochlorous acid and apparatus therefor
JP2003512918A (en) * 1999-09-03 2003-04-08 キム,ヒー,ジュン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terilized water
JP2004288799A (en) * 2003-03-20 2004-10-14 Sony Corp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integrate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ligh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all
KR20090096268A (en) * 2008-03-07 2009-09-10 정인조 Water purifier equipped ionizer
KR101017918B1 (en) * 2008-11-14 2011-03-04 박병호 Method for producing ion reduced water using ion exchange resin
KR101152090B1 (en) * 2010-04-27 2012-06-12 문정아 Electrolytic ion water generator having scale prevention function
WO2011145902A2 (en) * 2010-05-19 2011-11-24 Woongjin Coway Co., Lt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and cleansing method thereof
KR20120067142A (en) * 2010-12-15 2012-06-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Softener having sterilized water chamber and method for working the same
CN102138568B (en) * 2011-03-15 2013-04-24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卫生装备研究所 Method and equipment for preparing isosmotic disinfection cleaning solution
CN103723798B (en) * 2012-10-12 2016-02-10 格伦特克有限公司 Water Exit portion is in the sterilized water production cartridge of side
KR101564594B1 (en) * 2013-06-19 2015-10-30 주식회사 이오니아 Water ionizer
CN203498489U (en) * 2013-08-08 2014-03-26 苛氯工程设备技术(上海)有限公司 Dispersing cycle structure of anode plate of electrolytic cell
KR101701106B1 (en) * 2014-04-03 2017-02-01 (주)이온케어스 Electrolytic cell of ion water purifier employing thesame
CN204714568U (en) * 2015-06-03 2015-10-21 厦门科牧智能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nnular electrolyzer
CN105441973A (en) * 2015-12-30 2016-03-30 福建浩达智能科技有限公司 Hypochlorous acid preparation method and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80B1 (en) * 2005-09-23 2007-03-09 박호원 Water sterilizing purifier filter module with electrolyzer
KR100842423B1 (en) * 2007-12-26 2008-07-01 길대수 Fabrication method of disinfection water using electrolysis and the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17177A (en) 2018-06-05
CN108117177B (en) 2021-08-10
KR20180059972A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54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RU2494971C2 (en) Installation for water softening by reverse osmosis
KR101893186B1 (en) Electrolysis apparatus available for multipurpose use of hydrogen through fusion electrolysis
JP6017911B2 (en) Artificial dialysis water production equipment for personal dialysis
KR100691380B1 (en) Water sterilizing purifier filter module with electrolyzer
KR101193544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1842552B1 (en) Electrolytic Carbon Filter and Equipment of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CN101306854A (en) Water treatment device
US6843895B2 (en) Portable device for electrochemical processing of liquids
KR102172075B1 (en) Electrolysis of tubular type for water waste and sweage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reof
JP2002059152A (en) System for cleaning water
KR101866220B1 (en) System for generating large amounts of sterilized water
KR200391598Y1 (en) Cold and Hot Water Sterilizing Purifier with Electrolyzer
JPWO2020171238A1 (en) Sterilization and cleaning method using water electrolyzer and water electrolyzer and decomposition / removal method of harmful substances
KR100841102B1 (en) An electrolytic water creating device
KR20190064185A (en) smart Water generation device
KR102365667B1 (en) Electrolyzed water forming device including an electrolysis module
JP3150370B2 (en) Electrolytic treatment method for treated water containing microorganisms
KR101853883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large amounts of sterilized water
KR100999956B1 (en) Immersion Type Strong Acidic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Negative Ion-exchange Membrane
KR100680859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scale filter
US20190345051A1 (en) Method for providing ultrapure water
KR101880977B1 (en) Complex device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sterilizing water
KR201600479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raywater
JP5702198B2 (en) Water treat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