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252B1 -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252B1
KR101865252B1 KR1020160115920A KR20160115920A KR101865252B1 KR 101865252 B1 KR101865252 B1 KR 101865252B1 KR 1020160115920 A KR1020160115920 A KR 1020160115920A KR 20160115920 A KR20160115920 A KR 20160115920A KR 101865252 B1 KR101865252 B1 KR 101865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housing
new
dispens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346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16011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2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9/00006
    • G06K9/00221
    • G06K9/00597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신공구를 저장하고 불출하는 신공구 반출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구공구를 저장하고 반납하는 구공구 반납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공구를 반납하고 상기 신공구를 불출하는 공구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관리자의 서버 및 상기 인식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공구 반출부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복수의 상기 신공구의 종류와 수량 및 상태와, 상기 구공구 반납부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복수의 상기 구공구의 종류와 수량 및 상태 정보 및 상기 인식부와 연계하여 상기 공구 사용자에게 상기 신공구를 불출하도록 하거나, 상기 신공구의 불출 거절을 상기 공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되며, 상기 구공구 반납부를 통하여 반납하기 위하여 상기 구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언제든지 공구의 불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공구의 현황 파악과 원활한 공구의 수급이 가능하도록 한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TOOLS EXCHANGING APPARATUS USING TOOL DELIVERY CASE ASSEMBLY}
본 발명은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언제든지 공구의 불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공구의 현황 파악과 원활한 공구의 수급이 가능하도록 한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머시닝 센터, 선반 등과 같은 가공기계가 대상물을 특정 형태 또는 형상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엔드밀(EndMill), 팁(Tip), 연마기 등과 같은 가공용의 도구를 의미하는 공구는 가공을 하기 위해 기계에 설치되고 가공을 하는 과정에서 마모, 파손 등이 발생되어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공구는 기존의 공구를 연마, 개조를 통해 사용할 수 있으나 대부분은 외부에서 구매하며, 구매시 공구는 주로 케이스에 보관되어 반입된다.
가공 담당자는 가공을 위해 필요한 공구를 수급하기 위해 공구 불출증을 작성하고, 공구 불출증과 함께 기존의 사용 완료된 공구를 공구 관리자에게 반납을 하게 되며, 공구 관리자는 준비된 새로운 공구를 가공 담당자에게 전달해 주고 불출증을 회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반납된 공구는 폐기, 재사용 여부를 판단하여 반납 공구를 재사용하거나 반납 공구를 폐기하고 새로운 공구를 구매한다.
공구 관리자는 공구 불출증을 기반으로 공구 수불 대장을 정리하여 공구의 수급 현황을 파악한다.
공구 관리자는 생산 계획을 고려할 때, 수불장을 기반으로 현재 보유중인 공구가 최소 필요량보다 작은 경우, 공구 매입처에 발주를 하게 된다.
따라서, 가공비중 공구 사용과 관련된 비용은 전체 직접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등록특허 제10-1374534호의 "다종 공구 수납 호환성을 향상시킨 공구 수납대"와, 등록실용신안 제20-0134490호의 "공구보관함" 등과 같은 선행기술은, 공구를 정리 수납하여 반납 공구와 새로이 구매한 공구를 구분하여 가공 담당자와 공구 관리자의 업무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공구 관리자의 감독 하에서만 가공 담당자가 공구 관리자의 허락을 득한 후 해당 신규 공구를 불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시 사용이 힘든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특히, 선행기술과 함께 기존의 공구 수불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공구의 수불 과정에서 불출의 내용이 정확하게 기입되지 않아 공구가 도난,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금액적 손실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때, 이러한 손실이 정상적인 불출의 과정에서 발생된 것인지 도난, 분실과 같은 경우인지 파악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공구의 분실 방지를 위해 잠금 장치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공구 수불 담당자가 없는 경우 불출의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공구의 수불 정보가 자동으로 전산화되지 않아 자료 입력을 위해 추가적인 전산 비용이 발생되고, 공구의 수불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누락 또는 지연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필요량 이상의 재고를 항시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37453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344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언제든지 공구의 불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공구의 현황 파악과 원활한 공구의 수급이 가능하도록 한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구의 수불 과정을 무인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토록 함으로써 금액적 투명성을 확보하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신공구를 저장하고 불출하는 신공구 반출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구공구를 저장하고 반납하는 구공구 반납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공구를 반납하고 상기 신공구를 불출하는 공구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관리자의 서버 및 상기 인식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공구 반출부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복수의 상기 신공구의 종류와 수량 및 상태와, 상기 구공구 반납부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복수의 상기 구공구의 종류와 수량 및 상태 정보 및 상기 인식부와 연계하여 상기 공구 사용자에게 상기 신공구를 불출하도록 하거나, 상기 신공구의 불출 거절을 상기 공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되며, 상기 구공구 반납부를 통하여 반납하기 위하여 상기 구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공구 반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신공구 투입구와 연통되며, 복수의 상기 신공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신공구 보관함과, 상기 신공구 보관함의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신공구 반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신공구가 불출되는 제1 경로를 제공하는 불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공구 보관함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신공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공구 사용자의 상기 인식부에 의한 인식 여부에 따라 상기 신공구 반출구를 통하여 불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공구 사용자에게 불출 거절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공구 반납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구공구 투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구공구가 반납되는 제2 경로를 제공하는 반납 가이드와, 상기 반납 가이드의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구공구 수거구와 연결되고, 수의 상기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에 각각 수납된 상기 구공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공구 보관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공구 보관함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구공구들의 적재량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구공구 수거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는, 상기 구공구가 수납된 상기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에 구비된 인식편에 형성된 상기 구공구의 정보를 인식하는 공구 정보 인식기와, 상기 공구 사용자의 ID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상기 공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안면 인식기, 상기 공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기, 상기 공구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인식기, 상기 공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성문 인식기, 상기 공구 사용자가 숫자나 문자 또는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암호를 직접 입력하는 입력 인식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는,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구공구가 수용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 바디와,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바디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캡과, 상기 캡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공구의 정보를 상기 공구 사용자 및 상기 인식부가 인식토록 하는 인식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의 개방된 상기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와 연통되고 상기 바디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체적이 가변되는 완충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 수단은 상기 캡이 상기 바디를 덮는 압력에 의하여 팽창되어 상기 바디에 수용된 상기 구공구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의 개방된 상기 일면과 대면하는 폐쇄된 타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완충 패드와, 상기 캡의 개방된 상기 일면과 대면하는 폐쇄된 타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완충 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구의 양단부는 상기 제1 완충 패드 및 상기 제2 완충 패드와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하우징에 신공구 반출부와,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에 수용된 구공구를 저장하고 반납하는 구공구 반납부와, 인식부와, 제어부가 구비된 구성으로부터 공구 관리자가 감독할 필요없이 24시간 365일 언제든지 공구의 불출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공구의 현황 파악과 원활한 공구의 수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구의 수불 과정을 무인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토록 함으로써 금액적 투명성을 확보하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구관리자는 기기제어 장치에서 처리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현황이 파악하여 공구 수급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사전예측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영자는 공구 수불내역이 명확해지므로 공구운영과 관련된 투명성을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구매입처(판매상)에서는 서버에 있는 공구 수급 데이터를 연동하여 능동적인 사전 공급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비를 통해 원격에서 공구교환기를 관리 할 수 있게 하여 관리자의 관리상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의 주요부인 공구 불출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의 주요부인 공구 불출 케이스의 완충 수단이 작동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의 주요부인 공구 불출 케이스의 완충 수단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의 주요부인 공구 불출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의 주요부인 공구 불출 케이스의 완충 수단이 작동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의 주요부인 공구 불출 케이스의 완충 수단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신공구 반출부(20)와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가 투입되는 구공구 반납부(30)와 인식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후술할 각 구성부(20, 30, 40, 50)들이 구비되며,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가 투입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신공구 반출부(20)는 하우징(10)에 구비되며, 하우징(10)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신공구를 저장하고 불출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구공구 반납부(30)는 하우징(10)에 구비되며, 하우징(10)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구공구(61)를 저장하고 반납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인식부(4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고, 구공구(61)를 반납하고 신공구를 불출하는 공구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제어부(5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고, 관리자의 서버 및 인식부(40)와 연결되며, 신공구 반출부(20)에 의하여 하우징(10) 내부에 수납된 복수의 신공구의 종류와 수량 및 상태와, 구공구 반납부(30)에 의하여 하우징(10) 내부에 수납된 복수의 구공구(61)의 종류와 수량 및 상태 정보 및 인식부(40)와 연계하여 공구 사용자에게 신공구를 불출하도록 하거나, 신공구의 불출 거절을 공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는 인식부(40)에 의하여 인식되며, 구공구 반납부(30)를 통하여 반납하기 위하여 구공구(61)를 수납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구 관리자가 감독할 필요없이 24시간 365일 언제든지 공구의 불출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공구의 현황 파악과 원활한 공구의 수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구의 수불 과정을 무인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토록 함으로써 금액적 투명성을 확보하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구관리자는 기기제어 장치에서 처리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현황이 파악하여 공구 수급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사전예측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영자는 공구 수불내역이 명확해지므로 공구운영과 관련된 투명성을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구매입처(판매상)에서는 서버에 있는 공구 수급 데이터를 연동하여 능동적인 사전 공급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비를 통해 원격에서 공구교환기를 관리 할 수 있게 하여 관리자의 관리상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신공구 반출부(2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된 신공구 투입구(21)와 연통되며, 복수의 신공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우징(10)에 내장되는 신공구 보관함(22)과, 신공구 보관함(22)의 하부측으로부터 하우징(10)의 타측에 형성된 신공구 반출구(23)와 연결되고, 신공구가 불출되는 제1 경로(25)를 제공하는 불출 가이드(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50)는 신공구 보관함(22)에 수용된 복수의 신공구 중 적어도 하나를 공구 사용자의 인식부(40)에 의한 인식 여부에 따라 신공구 반출구(23)를 통하여 불출되도록 하거나, 공구 사용자에게 불출 거절 통지하게 된다.
또한, 신공구 반출부(20)는, 신공구 보관함(22)과 불출 가이드(24) 사이에 구비되어 제어부(50)에 의하여 제어되고, 인식부(40)에 의한 인식에 따라 신공구 반출구(23)를 향하는 제1 경로(25)와 상호 연통시키는 반출 개폐기(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구공구 반납부(3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된 구공구 투입구(31)와 연결되어, 구공구(61)가 반납되는 제2 경로(35)를 제공하는 반납 가이드(32)와, 반납 가이드(32)의 하부측으로부터 하우징(10)의 타측에 형성된 구공구 수거구(33)와 연결되고, 복수의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에 각각 수납된 구공구(6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우징(10)에 내장되는 구공구 보관함(3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50)는 구공구 보관함(34)에 수용된 복수의 구공구(61)들의 적재량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구공구 수거구(33)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구공구 반납부(30)는, 제어부(50)와 연결되고, 구공구 보관함(34)에 구비되어 복수의 구공구(61)들의 적재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적재량 정보를 제어부(50)로 전달하는 중량 센서(이하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공구 반납부(30)는, 제어부(50)와 연결되고, 중량 센서로 감지된 적재량 정보와 제어부(50)의 설정 범위를 넘으면 구공구 수거구(33)를 개방하는 수거 개폐기(이하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인식부(40)는, 구공구(61)가 수납된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에 구비된 인식편(66)에 형성된 구공구(61)의 정보를 인식하는 공구 정보 인식기(이하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식부(40)는, 공구 정보 인식기와 함께, 공구 사용자의 ID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공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안면 인식기, 공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기, 공구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인식기, 공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성문 인식기, 공구 사용자가 숫자나 문자 또는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암호를 직접 입력하는 입력 인식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면이 개방되어 구공구(61)가 수용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 바디(62)와, 일면이 개방되어 바디(62)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캡(64)과, 캡(64)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공구(61)의 정보를 공구 사용자 및 인식부(40)가 인식토록 하는 인식편(66)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인식편(66)에는 도 2와 같이 해당 구공구(61)의 품번과 품명 및 규격 등과 함께, 예를 들어 "*8x200123123121*" 등과 같이 공구 사용자와 관리자 또는 인식부(40)에서 인식 가능한 바코드 등의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재됨과 동시에, 인식부(40)에서 인식하여 서버(이하 미도시)와 구공구(61) 관련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RFID 태그(69)를 내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는, 내부에 수납된 구공구(6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바디(62)의 개방된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 오리피스(63)와, 오리피스(63)와 연통되고 바디(62)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바디(62)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체적이 가변되는 완충 수단(65)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 수단(65)은 캡(64)이 바디(62)를 덮는 압력에 의하여 도 4와 같이 팽창되어 바디(62)에 수용된 구공구(61)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것이다.
오리피스(63)는 더욱 상세하게는 바디(62)의 개방된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지지체(62a)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관통된 것이며, 완충 수단(65)은 지지체(62a)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이다.
완충 수단(65)은 인식편(66)이 구비된 캡(64)으로 닫는 압력에 의하여 팽창하는 것으로, 바디(62)에 수납되는 구공구(61)를 구공구 투입구(31)를 통해 던져넣더라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완충 수단(65)은 팽창 비닐백의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캡(64)을 바디(62)로부터 분리하면 구공구(61)에 팽창하여 밀착되어 있던 완충 수단(65)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되면서 수축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반납공구가 수납된 바디(62)와 결합되어 씌어져있던 캡(64)을 단순히 바디(62)로부터 벗겨내어 분리하기만 하면, 구공구(61)의 정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는, 더욱 확실한 구공구(61)의 보호를 위하여, 바디(62)의 개방된 일면과 대면하는 폐쇄된 타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완충 패드(67)와, 캡(64)의 개방된 일면과 대면하는 폐쇄된 타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완충 패드(6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공구(61)의 양단부는 제1 완충 패드(67) 및 제2 완충 패드(68)와 대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를 이용하여 공구 사용자가 구공구(61)를 반납하고 신공구를 불출하는 일련의 과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공구 사용자는 자신의 ID 카드나 생체 인식 등을 통하여 인식부(40)에서 인증을 거쳐 구공구(61) 투입을 요청하게 된다.
이후, 공구 사용자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에 있는 구공구(61)를 구공구 투입구(31)를 통하여 투입하게 된다.
단, 공구 사용자의 정보가 올바르지 않다면 구공구(61)는 구공구 투입구(31)를 통하여 되돌려지게 될 것이다.
계속하여, 인식부(40)가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에 있는 인식편(66)의 ID를 인식하여 제어부(50)에서 최종적으로 인증하게 된다.
단, 구공구(61)와 관련된 정보가 올바르지 않으면 구공구(61)는 구공구 투입구(31)를 통하여 되돌려지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최종적으로 인식된 구공구(61)와 일치하는 신공구의 위치를 인식하여 이젝터(이하 미도시)를 해당 신공구의 위치에 맞게 배치하여 대기시키게 된다.
단, 신공구의 위치 인식 및 이젝터의 위치가 정상적이지 않다면 구공구(61)는 구공구 투입구(31)를 통하여 되돌려지게 될 것이다.
이후, 이젝터가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에 있는 신공구를 이젝트시키면서 공구 사용자의 정보를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60)에 기록하고 이젝트되는 정보를 제어부(50)에 보내게 된다.
단, 이젝터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으면 구공구(61)는 구공구 투입구(31)를 통하여 되돌려지게 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공구 사용자는 신공구 반출구(23)를 통하여 신공구를 꺼내가거나, 인식부(40)에 의한 인식 실패 또는 이젝터 및 제어부(50)의 오작동으로 인하여구공구 투입구(31)를 통해 되돌려지게 되는 반환되는 구공구(61)를 다시 꺼내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언제든지 공구의 불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공구의 현황 파악과 원활한 공구의 수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하우징
20...신공구 반출부
21...신공구 투입구
22...신공구 보관함
23...신공구 반출구
24...불출 가이드
25...제1 경로
30...구공구 반납부
31...구공구 투입구
32...반납 가이드
33...구공구 수거구
34...구공구 보관함
35...제2 경로
40...인식부
50...제어부
60...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
61...구공구
62...바디
62a...지지체
63...오리피스
64...캡
65...완충 수단
66...인식편
67...제1 완충 패드
68...제2 완충 패드
69...RFID 태그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신공구를 저장하고 불출하는 신공구 반출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투입된 구공구를 저장하고 반납하는 구공구 반납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공구를 반납하고 상기 신공구를 불출하는 공구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관리자의 서버 및 상기 인식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공구 반출부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복수의 상기 신공구의 종류와 수량 및 상태와, 상기 구공구 반납부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복수의 상기 구공구의 종류와 수량 및 상태 정보 및 상기 인식부와 연계하여 상기 공구 사용자에게 상기 신공구를 불출하도록 하거나, 상기 신공구의 불출 거절을 상기 공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되며, 상기 구공구 반납부를 통하여 반납하기 위하여 상기 구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는,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구공구가 수용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 바디와,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바디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캡과,
    상기 캡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공구의 정보를 상기 공구 사용자 및 상기 인식부가 인식토록 하는 인식편과,
    상기 바디의 개방된 상기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와 연통되고 상기 바디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체적이 가변되는 완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 수단은 상기 캡이 상기 바디를 덮는 압력에 의하여 팽창되어 상기 바디에 수용된 상기 구공구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공구 반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신공구 투입구와 연통되며, 복수의 상기 신공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신공구 보관함과,
    상기 신공구 보관함의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신공구 반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신공구가 불출되는 제1 경로를 제공하는 불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공구 보관함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신공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공구 사용자의 상기 인식부에 의한 인식 여부에 따라 상기 신공구 반출구를 통하여 불출되도록 하거나, 상기 공구 사용자에게 불출 거절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공구 반납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구공구 투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구공구가 반납되는 제2 경로를 제공하는 반납 가이드와,
    상기 반납 가이드의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구공구 수거구와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에 각각 수납된 상기 구공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공구 보관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공구 보관함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구공구들의 적재량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구공구 수거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구공구가 수납된 상기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에 구비된 인식편에 형성된 상기 구공구의 정보를 인식하는 공구 정보 인식기와,
    상기 공구 사용자의 ID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상기 공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안면 인식기, 상기 공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기, 상기 공구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인식기, 상기 공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성문 인식기, 상기 공구 사용자가 숫자나 문자 또는 특수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암호를 직접 입력하는 입력 인식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의 개방된 상기 일면과 대면하는 폐쇄된 타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완충 패드와,
    상기 캡의 개방된 상기 일면과 대면하는 폐쇄된 타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 완충 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구의 양단부는 상기 제1 완충 패드 및 상기 제2 완충 패드와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KR1020160115920A 2016-09-08 2016-09-08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KR10186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920A KR101865252B1 (ko) 2016-09-08 2016-09-08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920A KR101865252B1 (ko) 2016-09-08 2016-09-08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46A KR20180028346A (ko) 2018-03-16
KR101865252B1 true KR101865252B1 (ko) 2018-06-07

Family

ID=6191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920A KR101865252B1 (ko) 2016-09-08 2016-09-08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803B1 (ko) * 2021-02-24 2021-06-03 주영림 지능형 가공툴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67A (ja) * 2001-03-19 2002-10-03 Honda Plus Kk 工具ケース用クッション部材及び工具ケース
JP2003220581A (ja) * 2002-01-30 2003-08-05 Osg Corp 切削工具用収納容器
KR20120003443A (ko) * 2009-02-27 2012-01-10 피르마 귀링 오하게 모듈형 자동 공구 공급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6985A (ja) * 1991-05-08 1992-11-25 Amada Co Ltd 工具保管装置
KR0134490Y1 (ko) 1995-05-17 1999-01-15 박승부 공구보관함
KR101374534B1 (ko) 2012-03-26 2014-03-13 (주)태진이엔지 다종 공구 수납 호환성을 향상시킨 공구 수납대
KR20160075967A (ko) * 2014-12-19 2016-06-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분실방지 기능이 구비된 공구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67A (ja) * 2001-03-19 2002-10-03 Honda Plus Kk 工具ケース用クッション部材及び工具ケース
JP2003220581A (ja) * 2002-01-30 2003-08-05 Osg Corp 切削工具用収納容器
KR20120003443A (ko) * 2009-02-27 2012-01-10 피르마 귀링 오하게 모듈형 자동 공구 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46A (ko)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5069A (en) Self-service transaction apparatus and method
US7500568B2 (en) Standalone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epositing and dispensing cash
US9269236B2 (en) RFID tag dispenser
US20070026949A1 (en) Equipment for transporting chips and chip carrier structure therefor
CN104134293B (zh) 媒介处理装置及金融设备
US20070063019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opening and closing a cassette
US6192296B1 (en) Installation for exchanging articles, in particular gas cylinders
KR101865252B1 (ko) 공구 불출 케이스 어셈블리를 활용한 공구 교환 장치
US11066240B1 (en) Automated pharmacy system
CN101176123A (zh) 货币入出款机
US20200272980A1 (en) System for Managing Garments
US2012019123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port of safe bags
JP2019114171A (ja) 自動販売機および自動販売機システム
JP5255458B2 (ja) 紙幣取引装置と紙幣取引システム
KR100299491B1 (ko) 물품보관시스템및그제어방법
CN107958534B (zh) 盒推板锁定装置
JP2012168658A (ja) 現金自動預払システム、該制御方法、及び収納装置
US20080265017A1 (en) Credit card and security system
JPH06266963A (ja) 売上金入金機
KR102472851B1 (ko) 카드 발급 및 보충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KR102512535B1 (ko) 카드 보관을 위한 슬롯을 구비하는 카드 관리 장치
KR102685799B1 (ko) 예약 환전 서비스와 현장 환전 서비스가 가능한 이용자 맞춤형 환전 키오스크
WO2015182729A1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状態管理方法
AU2005205742A1 (en) Equipment for transporting chips and chip carrier structure therefor
IT202000014917A1 (it) Dispositivo automatico di distribuzione e raccolta con sterilizzazione artico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