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495B1 -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stable up-down moving installed therein - Google Patents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stable up-down moving installed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495B1
KR101864495B1 KR1020160125417A KR20160125417A KR101864495B1 KR 101864495 B1 KR101864495 B1 KR 101864495B1 KR 1020160125417 A KR1020160125417 A KR 1020160125417A KR 20160125417 A KR20160125417 A KR 20160125417A KR 101864495 B1 KR101864495 B1 KR 101864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unit
case
unit assembly
guid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5403A (en
Inventor
하연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495B1/en
Publication of KR20180035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4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4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6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electric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조작부가 구비되는 상판부의 이면에 밀착 설치될 수 있는 조작유닛의 설치 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조리기기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50); 상기 케이스(5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2);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는 조작유닛 조립체(6);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531);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가이드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가이드(627); 및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51)와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를 상방으로 가세함으로써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상부면과 상기 상판부의 저면을 밀착시키는 탄성체(7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operation unit that can be closely installed on a back surface of an upper plate portion having an operation portion on a surface thereof, and a cooking device provided with the operation unit, comprising: a cas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 predetermined space; An upper plate 2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50 to cover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space and having a surface on which the food is placed; An operation unit assembly (6)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provided in the case; A first guide (531) provided on a side wall of the cas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guide (627)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assembly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elastic body (70)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portion (51) of the case and the operation unit assembly,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by urg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upward do.

Description

안정적인 상하이동이 가능한 조작유닛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STABLE UP-DOWN MOVING INSTALLED THEREI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unit capable of stable up-and-down movemen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조작부가 구비되는 상판부의 이면에 밀착 설치될 수 있는 조작유닛의 설치 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operation unit that can be close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a top plate portion having an operation portion on a surface thereof.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조리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Generally, a cooking appliance is a device that cooks food by generating heat using gas or electricity.

전기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조리기기로는 유도가열 조리기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조리기는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강력한 자력선이 조리용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가 흘러 용기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으로 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 조리 장치이다.A typical cooking machine using electricity is an induction heating cooker. Generally, an induction heating cooker causes a high frequency current to flow through a working coil or a heating coil, and when a strong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by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passes through the cooking vessel, eddy current flows and the container itself is heated And performs the cooking function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기본적인 가열원리를 살펴보면, 가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성체인 조리 용기 자체 유도(induction) 가열에 의해 발열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식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가스의 연소가 필요 없어 연소 배기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용기 자체에 즉각적으로 열이 발생함으로 열의 복사나 전도를 통한 전달 과정이 최소화되어 빠른 속도로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asic heating principle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heating coil, the cooking vessel itself is heated by induction heating, thereby cook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refore,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does not need to burn the gas because it does not generate the combustion exhaust gas, and the heat is instantly generated in the container itself, thereby minimizing the transfer process through heat radiation and conduction, There are advantages.

그러나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다수의 가열 코일을 동시에 구동할 때 전력이 다량으로 소모됨에 따르는 연료 비용 증가 문제와, 가열 코일을 제어하는 회로의 발열 문제 등으로 인해 화력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thermal power may be limited due to a problem of an increase in fuel cost due to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consumed when driving a plurality of heating coils at the same time, a heating problem of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coil, .

한편 가스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조리기기로는 가스 레인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 레인지는 버너가 제품의 외부로 노출되어 화염이 직접 조리물 또 는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는 오픈 플레임 타입과, 버너가 제품의 내부에 구비되며, 연소열을 이용하여 복사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복사체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복사파를 이용하여 조리물 도는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는 라디언트 타입으로 나뉘어진다.On the other hand, a typical cooking machine using gas is a gas range. In general, a gas range is an open flame type in which a burn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product and a flame directly heats a container containing cooked food or cooked food, and a burner is provided inside the product. It is divided into a radiant type which uses a radiated wave emitted from the heated radiator to hea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or the cooked material.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9449호에는 케이스의 상면을 세라믹 플레이트가 차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세라믹 플레이트 하방의 케이스 내부 공간에는 가스의 공급에 의해 점화되는 버너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조작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가스 밸브를 개폐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69449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ceramic plate shields the upper surface of a case, and a space inside the case below the ceramic plate is provided with a burner system which is ignited by the supply of gas. Which can open and close a gas valve through manipulation of the gas valve to adjust the thermal power.

라디언트 타입과 같이 가스를 사용하는 기술은, 연료의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조리에 사용하므로, 열에너지를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기보다 저가인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연료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technology using gas such as the radiant type uses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of the fuel for the cooking, so that the heat energy can be used very efficiently and the fuel cost can be reduced by using the gas which is lower than electricity .

다만 이러한 방식은 열의 전달 경로가 유도가열 방식보다 길기 때문에, 유도 가열 조리기기보다는 조리물을 신속하게 가열하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가스와 같은 연료를 연소하기 때문에 반드시 연소 배기 가스가 발생한다.However, this method does not heat the food faster than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because the heat transfer path is longer than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In addition, since this method burns fuel such as gas, combustion exhaust gas necessarily occurs.

유도 가열 방식과 연료 연소 방식의 조리기기는 어느 한 방식의 장점이 다른 방식의 단점을 보완해준다는 면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Induction heating and fuel combustion cooking appliances can provide users with a variety of conveniences if they can be used together in the sense that the merits of one approach complement the other.

한편 유도 가열 방식이나 라디언트 타입의 연료 연소 방식의 조리기기는 모두, 세라믹글라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탑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탑플레이트에는 조리용기나 음식물이 올려진다.On the other hand, all of the cooking apparatuses of the induction heating type and the radiant type fuel combustion type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made of ceramic glass or the like, and the cooking vessel or food is put on the top plate.

그리고 세련된 외관을 위해,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 전방부에, 상기 조리기기를 조작하고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을 표시하는 조작부와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order to provide a sophisticated appearance, it is general that a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portion and a display portion for operating the cooking device and display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device.

이들 조작부와 표시부는 세라믹글라스 하부에 설치한 PCB에 마련된다. 그러나 탑플레이트 하부에 직접 PCB를 밀착 설치하는 구조는 구현하기 어렵고, 조립 과정이 복잡해진다. These operation parts and the display part are provided on the PCB provided under the ceramic glas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 structure in which the PCB is direct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the assembl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한편 PCB를 탑플레이트 하부에 고정되는 본체부에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PCB를 본체부에 고정하고 탑플레이트를 본체부에 고정하면서, 탑플레이트와 PCB를 밀착시키는 것은 제조 및 조립 공차, 탑플레이트의 변형 등의 변수가 너무 많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본체부에 PCB를 고정할 때에는 탑플레이트가 변형되거나 충격을 받았을 때 PCB에 이러한 충격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conceivable to install the PCB on the main body fix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fixing the PCB to the main body and fixing the top plate to the main body, the top plate and the PCB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are too many variables such as manufacturing tolerance and deformation of the top plate. Particularly, when the PCB is fixed to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pac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CB when the top plate is deformed or impacted.

또한 유도 가열 방식과 가스 연소 방식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조리기기는 내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PCB를 설치할 공간이 부족하고, 좁은 공간에 PCB를 배치하기 위해 긴 형태의 PCB를 적용할 경우에는, 이를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하는 구조를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안정적인 탄성 지지를 위해 탄성체의 설치 개소를 늘리면, 그만큼 내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합리적인 설계라 할 수 없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space of the cooking apparatuses having a combin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the gas combustion method is limited,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PCB is insufficient, and when a long type PCB is used for arranging the PCB in a narrow space, It is not easy to realize a structure for supporting elasticity. Further, if the number of elastic parts is increased for stable elastic support, the space occupied by the elastic parts can not be a reasonable design.

또한 설계자가 의도한대로 PCB가 상하로 정확히 이동하지 않고 전후 또는 좌우로 유동하는 경우 PCB가 제위치에서 탑플레이트에 밀착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입력사항이 PCB에 제대로 입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Also, if the PCB does not move up and down exactly as intended by the designer, the PCB will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op plate from the position when the front and back or the left and right flows and the user's input is not inputted to the PCB properly.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PCB에 안정적인 탄성 지지 구조를 적용하면서도 탄성 지지 구조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PCB가 정확히 의도된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조작유닛 설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CB having a stable elastic supporting structure, minimizing an area occupied by the elastic supporting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unit mounting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시입력기판이 제조 및 조립 공차에 관계 없이 탑플레이트 이면에 확실히 밀착되며, 표시입력기판의 모든 영역이 제 위치에서 탑플레이트 이면에 고르게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input substrate is reliably adher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top plate regardless of manufacturing and assembly tolerances and all areas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re uniformly adher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top plate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표시입력기판이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탑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변형이 표시입력기판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bsorbing an impact such that impact or deformation applied to the top plate does not affect the display input substrate even when the display input substrate is installed in the case.

또한 탑플레이트의 조작영역과 표시입력기판을 정확히 정렬하고, 탑플레이트가 상하로 그 높이가 변형되더라도 표시입력기판이 지속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which can precisely align an operation region of a top plate with a display input substrate and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input substrate is continuously aligned at an accurate position even when the top plate is deformed in height .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표시입력기판을 모듈화하여 제공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가 용이하고, 제품의 조립 공정을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작동유닛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on unit assembly in which the above-described display input board is modularized and thus the components can be shared easily and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product can be easily configur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작동유닛 조립체를 사용한 조리기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ing appliance using the above operation unit assembl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50); 상기 케이스(5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2);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는 조작유닛 조립체(6);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531);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가이드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가이드(627); 및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51)와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를 상방으로 가세함으로써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상부면과 상기 상판부의 저면을 밀착시키는 탄성체(70);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ase (50) having an open top and a predetermined space; An upper plate 2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50 to cover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space and having a surface on which the food is placed; An operation unit assembly (6)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provided in the case; A first guide (531) provided on a side wall of the cas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guide (627)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assembly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elastic body (70)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portion (51) of the case and the operation unit assembly,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by urg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upward To the cooking device.

이에 따르면 탄성체가 조작유닛 조립체를 상방으로 가세하여 제2가이드가 제1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상하 유동하며 상판부 저면에 제 위치에 정확히 밀착된다.According to this, the elastic body urges the operation unit assembly upward, and the second guide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and flows upward and downward,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recisely.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상기 상판부의 저면과 밀착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표시입력기판(60); 및 상기 표시입력기판이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627)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체와 체결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을 받는 홀더(61, 62);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unit assembly includes: a display input substrate (60) having an upp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 holder (61, 62) having the display input substrate mounted thereon, the second guide (627) provided thereon, and a holder (61, 62) fastened to the elastic body to receiv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즉 표시입력기판이 직접 탄성체와 체결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강성이 있는 홀더 부분이 탄성체의 탄성을 받게 되므로, 탄성체의 탄성이 표시입력기판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의 탄성이 제2가이드에 전달될 때에도, 강성이 있는 홀더를 통해 제2가이드에 전달되므로, 제2가이드가 제1가이드를 따라 원활하게 안내되며 이동 가능하다.That is, the display input substrate is not directly coupled with the elastic body, and the relatively rigid holder portion receives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can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lso, when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guide,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guide through the rigid holder, so that the second guide can be smoothly guided along the first guide and movable.

상기 홀더는, 상기 표시입력기판의 저면과 측면을 지지하며 고정하는 기판홀더(61); 및 상기 기판홀더(61)의 하부에서 상기 기판홀더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2가이드(627)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체의 탄성을 받는 홀더지지브래킷(62)을 포함한다. 이처럼 기판홀더와 홀더지지브래킷을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면 기판과 기판홀더를 모듈로 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조리기기와도 해당 모듈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The holder includes a substrate holder (61) for supporting and fix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nd a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bstrate hold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holder 61 and provided with the second guide 627 and receiving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If the substrate holder and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are formed as separate parts,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holder can be used as modules, so that the module can be shared with other cooking machines.

특히 홀더지지브래킷은 당해 조리기기의 환경에 맞게 설계되어 이러한 모듈 형태의 기판홀더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조리기기마다 내부 구조가 다를 때에는 기판홀더는 그대로 사용하고 홀더지지브래킷만 설계 변경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holder support bracket can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can support such a modular type substrate holder, when the internal structure is different for each cooking appliance, the substrate holder can be used intact and only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can be designed and changed.

또한 제2가이드가 기판홀더가 아닌 홀더지지브래킷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기판홀더와 홀더지지브래킷의 연결 부위를 통하지 않고 홀더지지브래킷만을 통해 제2가이드로 확실히 전달된다.Further, since the second guide is formed on the holder support bracket rather than the substrate holder, the elastic force is reliably transmitted to the second guide only through the holder support bracke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ubstrate holder and the holder support bracket which are relatively weak.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에는 제2기판(601)이 설치되는 기판 고정부(62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판을 복층으로 설치하여 공간을 절약하고 관련 구성을 보다 컴팩트하게 집약할 수 있다.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may be provided with a substrate fixing portion 625 on which the second substrate 601 is mounted. Accordingly, the substrate can be installed in a multi-layer structure to save space and to more compactly integrate the related structure have.

상기 홀더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 마주하거나 접하는 면이 마련된다. 이에 따르면 케이스 측벽의 면과 조작유닛조립체의 면이 서로 마주하거나 접하여, 조작유닛 조립체의 요동을 방지하고, 두 면이 상대적으로 접동하여 조작유닛 조립체의 상하 유동이 제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surface facing or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case. According to this, the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case and the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face each other or face each other to preven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from rocking, and the two surfaces relatively slid so tha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vertically moved.

상기 제1가이드가 마련된 측벽은 케이스의 정면부(53)이고, 상기 케이스의 정면부 후면과 마주하거나 접하는 홀더의 면은 전면부(626)일 수 있다. 사용자 편의성 등을 고려하였을 때, 이는 가열부가 있는 조리기기에서 조작유닛이 위치해야 할 최적의 위치이다.The side wall provided with the first guide may be the front portion 53 of the case and the surface of the holder which faces or contacts the front portion of the case may be the front portion 626. User convenience, etc., this is the optimum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ng unit should be located in the cooking appliance with the heating section.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제1가이드가 마련된 케이스의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는 각각 상기 케이스와 조작유닛 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있어서, 조작유닛 조립체의 상하 방향 슬라이드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조작유닛 조립체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ase provided with the first guide, and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and the operation unit assembly, , It is possible to stably move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even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from swinging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스프링이 양단 중앙에 배치되면 조작유닛에 대한 지지안정성을 높이면서도 탄성체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케이스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The elastic body may be a leaf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at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When the leaf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both ends, the number of elastic bodies can be minimized while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unit is improved, and the space inside the case can be saved.

여기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판스프링의 고정부(73)는,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보다 더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를 체결한 상태에서 조작유닛 조립체를 케이스에 더욱 쉽게 고정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portion 73 of the leaf spring fixed to the case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fixed to the case It can be more easily fixed.

상기 제1가이드는, 소정의 단면을 가지고 상부에 마련되는 투입구(532)와, 상기 투입구의 단면보다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투입구로부터 하향 연장된 슬롯(5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슬롯(533)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슬롯(533)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더 길게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로부터 외향 돌출된 네크(629)와, 상기 네크(629)의 선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슬롯(533)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투입구(532)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는 헤드(628)를 포함한다.The first guide includes a slot 532 having a predetermined cross section an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lot 53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lot an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slot, A neck 629 having a width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lot 533 and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operation unit assembly to a thicknes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ot 533; And a head 628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slot 533 and smaller than the slot 532.

이는 간단한 구조와 간단한 방법으로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가 체결되면서, 케이스 측벽에 대해 조작유닛 조립체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요동을 방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은 허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This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re fastened together by a simple structure and a simple method to preven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from swinging back and forth and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case side wall and allowing the slid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가 상기 케이스(50)의 저면부(51) 상에 거치되고 상기 상판부(2)가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628)가 위치하는 높이보다 상기 투입구(532)의 높이가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면,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를 간단히 끼워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조작유닛 조립체가 케이스에 대해 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조작유닛 조립체의 탄성체와 케이스의 고정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operating unit assembly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51 of the case 50 and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of the loading port 532 The operation unit assembly can be held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fastened to the case by simply fastening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to each other, Can be more easily fixed.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1조리가열부(8);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조리가열부와 이웃하여 수용되며 상기 제1조리가열부와 다른 종류의 열원을 가지고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2조리가열부(9);를 더 포함하는 복합식 조리기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식 조리기기는, 서로 다른 열원의 가열부를 사용함으로 인해 내부 공간이 부족할 수 있지만,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 설치 구조를 적용하면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작은 크기의 케이스 내에 복합식 조리기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oking device includes a first cooking cavity (8)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heating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plate; And a second cooking cavity heating part (9)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djacent to the first cooking cavity heating part and which heats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plate part with a different kind of heat source from the first cooking cavity heating part Can be a complex cooking device. However, when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nstallation structure is applied, the internal spac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so that a multi-type cooking device is realized in a small size case. It is possible to do.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에 조작 입력부가 마련되며, 폭방향 및 상기 폭방향보다 긴 길이방향을 가지는 형태의 표시입력기판(60); 상기 표시입력기판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표시입력기판을 고정하고, 상기 표시입력기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홀더; 및 일측 단부가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 고정부(73)가 마련된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은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탄성체는 홀더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을 이루는 면(626)에는 제2가이드(627)가 마련된 조작유닛 조립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input substrate having a shape having a width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longer than the width direction; A holder for fixing the display input substrate such that an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is exposed and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nd an elastic body having one end portion provided on the holder and the other end portion provided with a fixing portion 73.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lastic body is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And a second guide 627 is provided on the longitudinal surface 626 of the holder.

상기 홀더는, 상기 표시입력기판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기판홀더(61); 및 상기 기판홀더(61)의 하부에서 상기 기판홀더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탄성체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홀더지지브래킷(62);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의 전면부(626)에 마련될 수 있다.The holder includes: a substrate holder (61)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nd a holder support bracket (62) detachably fastened to the substrate hold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holder (61) and to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body is fixed, and the second guide includes a holder support bracket (Not shown).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에는 제2기판(601)이 설치되는 기판 고정부(625)가 마련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is provided with a substrate fixing part 625 on which the second substrate 601 is mounted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guid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조립방법으로서, 표시입력기판(60)과, 표시입력기판 하부를 지지하는 홀더(61,62)와, 홀더 하부에 탄성체(70)를 조립하여 조작유닛 조립체(6)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홀더에 마련된 제2가이드를 상기 조리기기의 케이스의 측벽에 마련된 제1가이드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하는 단계;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의 탄성체 타단부를 조리기기의 케이스 저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스에 상판부를 고정하며 상판부 저면이 조작유닛 조립체(6)를 눌러 탄성체가 압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assembling a cooking appliance, which comprises a display input substrate (60), holders (61,62)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nd an elastic body Assembl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Tightening the second guide provided on the holder so as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guide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case of the cooking appliance; Fixing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fixing the upper plate to the case and press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so as to compress the elastic body.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를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2가이드의 헤드를 상기 제1가이드의 투입구에 정렬하여 관통 삽입하는 단계; 및 헤드를 투입구에 삽입한 상기 단계 후, 상기 홀더를 하방으로 내려 상기 제2가이드의 헤드에서 홀더로 연장되는 네크 부위를 상기 투입구로부터 하향 연장된 슬롯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헤드가 상기 슬롯에 간섭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of fastening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includes aligning the head of the second guide to the slot of the first guide and inserting the head through the slot; And inserting the neck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of the second guide into the slo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lot so as to interfere with the slot after the step of inserting the head into the slot, So as not to fall out.

상술한 조립 방법에 의하면, 케이스의 측벽에 의해 상하로 이동이 안내되고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는 요동이 방지되는 조작유닛 조립체를 케이스에 매우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ssembling method, the operation unit assembly, which is guided by the side wall of the case up and down and prevented from swinging in the front,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installed very simply on the case.

본 발명에 의하면, 비좁은 설치 공간에서 공간 차지를 최소화하면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로 탑플레이트의 이면에 표시입력기판을 확실히 밀착시킬 수 있고, 표시입력기판이 정위치에서 탑플레이트의 이면에 확실히 밀착할 수 있으며, 표시입력기판의 모든 영역을 탑플레이트 이면에 고르게 밀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rmly adhere the display input substrate to the back surface of the top plate with a compact and simple structure by minimizing the space occupation in the cramped installation space, and to securely adhere the display input substrate to the back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can be evenly adher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top plat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및 조립 공차에 관계 없이 표시입력기판이 탑플레이트에 확실히 밀착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input substrate can be sur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p plate regardless of manufacturing and assembly toleranc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입력기판이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탑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변형을 탄성체가 흡수하여 표시입력기판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display input substrate is mounted on the case, the influence of the elastic body absorbing the impact or deformation applied to the top plate to be applied to the display input substrat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탑플레이트의 조작영역과 표시입력기판을 정확히 정렬하고, 아울러 탑플레이트가 상하로 그 높이가 변형되더라도 표시입력기판이 지속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input substrate can be maintained in a precisely aligned position even if the operating area of the top plate is accurately aligned with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nd the height of the top plate is deformed up and dow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입력기판의 밀착 구조를 작동유닛 조립체로 모듈화 구현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가 용이하고, 제품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ose contact structure of the display input board is modularized into the operation unit assembly, the components can be easily shared, and the product can be assembled easily.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일실시예로서 조리기기의 케이스와 상판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조작유닛 조립체의 기판홀더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4는 조작유닛 조립체의 기판홀더 하부에 조립되는 홀더지지브래킷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5는 조리기기 내에 설치된 조작유닛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작유닛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의 후방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작유닛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조작유닛 조립체를 케이스에 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조작유닛 조립체를 케이스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1은 도 10과 같이 케이스에 조작유닛 조립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케이스에 상판부를 고정하여 상판부 저면에 조작유닛 조립체가 밀착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2는 케이스와 상판부 사이에 조작유닛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가 잘 도시될 수 있도록 케이스와 상판부를 측면에서 절개하여 그 내부를 측면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그리고
도 13은 가전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절개하여 조작유닛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se of a cooking device and a top plate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of Fig. 1,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bstrate holder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supporting bracket assembled under the substrate holder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provided in the cooking apparatus,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of FIG. 5 assemble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of Fig. 6,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ep of install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of Fig. 5 in the case, Fig.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case in Fig. 8,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ate of Fig. 9,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by fixing the upper plate to the case with the operation unit assembly being installed in the case as shown in Fig. 10,
12 is a side view of a case and an upper plate cut out from the side so as to show a state where an operation unit assembly is installed between the case and the upper plate,
13 is a sid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installed by cutting the home appli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조리기기의 외관][Appearance of cook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케이스와 상판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조작유닛의 표시입력기판이 생략된 구조를 도시하였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se of a cooking device and an upper plate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input board of the operation unit is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판부(2)와 본체부(3)로 구분될 수 있다. 본체부(3)는 판상의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스(50)의 내부에 조리기기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구성들이 수용되어 이루어진다. 케이스(50)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저면부(51)의 네 모서리 단부에서 측면부(52), 정면부(53) 및 배면부(54)가 상향 절곡되어 상면이 오픈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top plate portion 2 and a main body portion 3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3 is accommodated in a case 50 made of a plate-shaped steel material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cooking appliance. The case 50 has a shape in which the side face portion 52, the front face portion 53, and the back face portion 54 are bent upward to open the upper face at the four corner edges of the rectangular bottom face portion 51 constituting the bottom face .

케이스(50)의 개방된 상면에는 상기 상판부(2)가 덮여져 고정된다. 상판부(2)의 넓이는 저면부(51)의 넓이보다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1)는 싱크대의 상판에 마련되되, 상기 저면부(51)보다는 넓고 상판부(2)보다는 작은 크기의 개구에 얹어질 수 있다. 즉 저면부(51)보다 측방으로 더 외향 돌출되어 있는 상판부(2)의 저면이 상기 싱크대의 상판 개구 가장자리 상에 얹어지는 형태로 주방에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portion 2 is covered and fix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case 50. [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portion 2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ortion 51. The cooking appliance 1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late of the sink, but may be placed in an opening which is wider than the bottom portion 51 and smaller than the upper plate 2. [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2, which is more outwardly projected laterally than the bottom surface portion 51, can be installed on the kitchen in the form of being placed on the top edge opening edge of the sink.

상기 상판부(2)는 상기 조리기기(1)가 싱크대의 상판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대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면으로 노출되어 조리기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The upper plate 2 shields the opening of the sink when the cooking appliance 1 is mounted on the upper plate of the sink, and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1.

그리고, 상기 상판부(2)는 조리를 위한 용기와 식품이 올려 질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는 탑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The upper plate portion 2 includes a container for cooking and a top plate 20 for providing a surface on which the food can be raised.

또한 탑플레이트(20)의 후방에는 상기 본체부(3)의 내부 구성들을 냉각한 후 배출되는 공기나, 상기 본체부(3) 내에서 연소된 혼합기의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벤트부재(30)가 마련된다.A vent member (not shown)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op plate 20 to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after cool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in body 3 and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mixed gas combusted in the main body 3 30 are provided.

또한 상판부(2)는 상기 탑플레이트(20)와 벤트부재(30)를 고정하며 이들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10)을 포함한다.The upper plate portion 2 includes a top plate frame 10 fixing the top plate 20 and the vent member 30 and constituting the outer rim thereof.

[상판부의 구성][Configuration of Top Panel]

상판부(2)는 전체적인 상판부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10)과, 상기 상판프레임(10) 내측에 체결되는 탑플레이트(20)와, 상기 탑플레이트(20)의 후단부와 상기 상판프레임(10)의 후면부 사이에 마련되는 벤트부재(30)를 포함한다.The upper plate 2 includes a top plate frame 10 constituting an outer frame of the overall upper plate portion, a top plate 20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top plate frame 10, And a vent member 30 provided between the rear surface portions of the base 10.

상판프레임(10)은 상면부(11)와 측면부(12)가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들 중 상면부(1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고, 측면부(12)는 상기 상면부(11)의 외측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The top plate frame 10 is provided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11 and the side surface portions 12 bent. The upper surface portion 11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 is integrally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2 is bent downward at an outer en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 [

상판프레임(10) 내에는 상기 탑플레이트(20)와 벤트부재(30)가 끼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탑플레이트(20)는 상판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고, 벤트부재(30)는 상기 상판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된다. 다만 이들의 설치 위치나 관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른 변형 예가 적용될 수 있다.The top plate 20 and the vent member 30 are fitted and fixed in the top plate frame 10. The top plate 2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top plate frame 10 and the vent member 30 is fixed to the top plate 20, And is disposed behind the frame 10. 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relationship of these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other modified examples may be applied.

탑플레이트(20)는 세라믹 글라스로 구성될 수 있고, 두께가 있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탑플레이트(20)의 전방부에는 케이스의 조작유닛 수용부(55)에 수용된 조작유닛의 상면과 대응하는 조작 부위(4)를 식별할 수 있도록 조작부 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 표시는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인쇄되거나,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상기 조작유닛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세라믹 글라스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작 전에는 외부로 표시가 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근처를 터치하였을 때 세라믹 글라스의 저면으로부터 백라이트가 점등되어 조작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의 조작부 표시부위 저면은 조작유닛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다.The top plate 20 may be formed of a ceramic glass and has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plate 20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ng portion display for identifying the operating portion 4 corresponding to the top surface of the operating unit accommodated in the operating unit accommodating portion 55 of the case. The operation portion display may be pri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attached in the form of a film, or the corresponding ceramic glass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form so that the operation unit can be exposed. Also, although the display is not displayed outside before the opera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vicinity, the backlight may be turned on from the bottom of the ceramic glass to display the operation por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top plat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이러한 조작유닛 및 이와 밀착되는 탑플레이트 부분은 후술할 본체부(3)의 제1팬(96)의 공기 유동에 의해 냉각되어, 사용자가 탑플레이트(20)의 조작 영역을 터치하였을 때 뜨겁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operating unit and the top plate portion closely contacting the operating unit are cooled by the air flow of the first fan 96 of the main body 3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hot when touching the operating area of the top plate 20 .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20)가 상기 케이스(50) 상에 고정되었을 때, 후술할 본체부(3)의 버너(901, 902)와 워킹코일(82)과 대응하는 탑플레이트(20) 위치에는, 해당 위치가 가열부 위치임을 표시하는 표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표식은 버너의 가열부인지, 인버터 가열부인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At the positions of the top plate 20 corresponding to the burners 901 and 902 and the working coil 82 of the main body 3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top plate 20 is fixed on the case 50, A mark indicating that the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he heating unit may be provided. These markings can also be display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heating portion of the burner and the inverter heating portion.

상술한 탑플레이트(20)의 상면 가장자리 중 전방 쪽 가장자리와 두 측방 쪽 가장자리는 상기 상판프레임(10)의 상면부(11) 저면과 밀착 고정되고, 상기 탑플레이트(20)의 좌우측 및 전방측 측면은 상기 상판프레임(10)의 좌우측 및 전방측 측면부(12)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들의 고정 방식은, 가령 탑플레이트(20)와 상판프레임(10) 사이에는 내열 실리콘 접착부재가 주입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front edge and the two side edges of the upper surface edge of the top plate 20 are close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surface portion 11 of the top plate frame 10 and the left and right side and front side surfaces Are tightly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plate fram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ide portion 12. In these fixing methods, for example, a method in which a heat-resistant silicone adhesive member is injected between the top plate 20 and the top plate frame 10 to mutually fix them can be used.

상기 상판프레임(10)의 내측 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벤트부재(30)가 설치된다. 벤트부재(30) 상판부(2)의 상방으로 약간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벤트부재(30)의 상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트랙형 장공 형태의 배기공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배기공은 피어싱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때 피어싱 금형을 상부에서 하향하도록 작업하여 배기공의 내주면의 버(burr)가 하향하도록 함으로써 외관 품질을 높이고 날카로운 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 vent member 30 having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rear side of the upper frame 10. The vent member 30 may have a shape slightly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portion 2 and exhaust holes in the form of track elongated holes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may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 member 30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exhaust hole can be formed by a piercing process. At this time, the piercing mold is downwardly moved from the top to lower the bur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ust hole,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quality and preventing the sharp bu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상판부(2)의 저면에는 상기 케이스(50)의 측면부(52), 정면부(53) 및 배면부(54)와 대응하는 형태의 연결브래킷(40; 도 12 및 도 13 참조)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을 상기 케이스의 측면부, 정면부 및 배면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상판부를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12 and 13)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portion 52, the front surface portion 53 and the back surface portion 54 of the case 50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2 , The upper bracket can be fixed to the case by fixing the connection bracket to the side surface portion, the fron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 surface portion of the case.

[본체부 내부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에는 조작유닛의 표시입력기판이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였다.2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por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of Fig.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input board of the operation unit is omitted.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의 본체부(3)의 하우징으로서 기능을 하는 케이스(50)의 내부에는 가스연소가열부(9)와 유도가열부(8)가 내장된다. 케이스(50)의 공간은 칸막이 기능을 하는 베리어(7)에 의해 가스연소가열부(9)를 위한 공간과 유도가열부(8)를 위한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베리어(7)는 이 두 공간을 공간적으로 격리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gas heating unit 9 and an induction heating unit 8 are embedded in a case 50 serving as a housing of the main body 3 of the cooking appliance 1 . The space of the case 50 can be divided into a space for the heat part 9 and a space for the induction heating part 8 by the gas barrier 7 functioning as a partition, Spatially isolate space.

실시예에서 베리어(7)의 좌측에 위치하는 가스연소가열부(9)는,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연소가 일어나는 복수의 버너(901, 902)와, 상기 버너를 고정하며 수용하는 인슐레이터(94)를 포함한다. 즉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는 상기 인슐레이터(94)에 수용되어 모듈화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화된 인슐레이터(94)는 상기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케이스(50)의 좌측 공간에 수용된다.In the embodiment, the gas burning heater 9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rrier 7 includes a plurality of burners 901 and 902 for burning the supplied mixed gas, an insulator 94 for fixing and receiving the burner, . That is, the first burner 901 and the second burner 902 are accommodated in the insulator 94 and are modularized. The modular insulator 94 is accommodated in the left space of the case 50 separated by the barrier 7.

제1버너(901)는 조리기기의 전방 좌측에 위치하며, 제2버너(902)는 후방 중앙에 위치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버너의 개수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너의 위치는 버너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91)의 구조와 배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first burner 901 is located on the front left side of the cooking apparatus and the second burner 902 is located on the rear center. However,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burners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The position of the burne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exhaust duct 91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burner.

상기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에는 가스가 공급된다. 가스는 케이스 우측 후단부에 마련된 레귤레이터(93)를 통해 감압되어 조리기기로 공급된다.Gas is supplied to the first burner 901 and the second burner 902. The gas is decompressed through the regulator 93 provided at the right rear end of the case and supplied to the cooking apparatus.

상기 레귤레이터(93)를 통과한 가스는 배관을 따라 이동하여 케이스 좌측 후단부에 마련된 밸브 조립체(92)에 유입된다. 밸브 조립체(92)에서는 전체적인 버너(901, 902)에 대한 공급 여부가 제어된다. 즉 밸브 조립체(92)가 닫히면 조리기기(1) 내로 가스가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밸브 조립체(92)는 각 버너(901, 902)에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여부와 공급량도 제어한다. 즉 밸브 조립체(92)에 유입된 가스는 분기되어 각 버너(901, 902)로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gulator 93 moves along the piping and flows into the valve assembly 92 provided at the left rear end of the case. In the valve assembly 92, the supply to the entire burners 901 and 902 is controlled. That is, when the valve assembly 92 is closed, the supply of gas into the cooking apparatus 1 is blocked. The valve assembly 92 also controls whether or not the gas supplied to each of the burners 901 and 902 is separately supplied and the supply amount. That is, the gas introduced into the valve assembly 92 can be branched and controlled to be independently supplied to each of the burners 901 and 902.

상기 밸브 조립체(92)에서 공급된 가스는 노즐(95)을 통해 각 버너(901, 902)로 유입된다. 각 버너로 노즐을 통해 가스가 주입될 때 압력이 있는 가스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1차 공기가 혼합되며 상기 버너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가스의 혼합기는 버너 내에서 연소된다.The gas supplied from the valve assembly 92 flows into each of the burners 901 and 902 through the nozzle 95. When gas is injected into the respective burners through the nozzles, primary air is mixed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gas with pressure, and is introduced into the burner. The mixture of air and ga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is burned in the burner.

이처럼 상기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는 각각 독립적으로 가스를 연소시키고, 가스의 연소열은 버너의 적열플레이트(911, 912)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적열플레이트(911, 912)는 고온으로 가열되면 상방을 향해 복사 열전달을 하게 된다.Thus, the first burner 901 and the second burner 902 independently burn gas, and the heat of the gas heats the heat generating plates 911 and 912 of the burner. When the heat generating plates 911 and 912 are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they radiate heat upward.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는 인슐레이터(94)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배기덕트(91)를 따라 유동하여 배기덕트(91)의 단부에 개방된 토출구(910)를 통해 상향 배출된다.The exhaust gas burned in the first burner 901 and the second burner 902 flows along each of the exhaust ducts 91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insulator 94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91 (910).

상기 배기덕트(91)는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고온의 연소 배기가스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상당히 고온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처럼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상기 적열 플레이트 외의 다른 구성을 지나치게 승온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가스연소가열부(9) 쪽 공간에 이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50)의 저면부(51)에 박스팬 형태의 제1팬(96)을 설치할 수 있다. 제1팬은 가장 발열이 많은 가스연소가열부(9)의 냉각을 위한 구성으로서, 후술할 제2팬(97)이나 제3팬(85)보다 더 큰 팬을 사용할 수 있다. 박스팬은 가장 단순한 구조이면서 차지하는 체적에 대비하여 흡입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많아 흡입 효율이 좋다.Since the exhaust duct 91 defines the path through which exhausted combustion gases are discharged, the exhaust duct 91 can be continuous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exhaust gas and can rise to a considerably high temperature.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gas from excessively rais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glow plate, the gas combustion separated by the barrier 7 supplies air to cool the space in the heat part 9 There is a need.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x fan-shaped first fan 96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51 of the case 50. The first fan can use a fan that is larger than the second fan 97 or the third fan 8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a configuration for cooling the heat portion 9, which is the most heat-consuming gas combustion. The box fan is the simplest structure, but the suction efficiency is good because the amount of air that can be sucked is large compared to the volume occupied.

제1팬은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가스연소가열부(9)의 설치 공간에 마련되고, 케이스의 중앙부에서 약간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1팬은 후술할 조작유닛의 바로 후방에 배치된다.The first fan is provided with the gas combustion divided by the barrier 7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eating part 9 and is located slightly forward in the center of the case. The first fan is disposed immediately behind the opera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제1팬(96)은 케이스(50)의 외측 하부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를 상기 케이스(50) 내의 가스연소가열부(9) 설치 공간 쪽으로 공급한다. 제1팬은 박스 팬으로서, 하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토출한다. 상부로 토출된 공기는 모든 방향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유동하게 된다.The first fan 96 supplies air having relatively low temperature in the space below the outer side of the case 50 towar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heat part 9 in the case 50. The first fan is a box fan, which sucks the lower air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upper part. The air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is distributed in a uniformly distributed manner in all directions.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앞서 설명한 노즐 쪽에서 가스와 혼합기를 만들기 위한 1차 공기로 공급된다. 나머지 공기의 대부분은 상기 인슐레이터(94)와 그 후방으로 연장된 배기덕트(91)의 외면과 접촉하여 인슐레이터와 배기덕트를 냉각하며 케이스 후방에 마련된 토출구(910)를 통해 상향 배출된다. A portion of the supplied air is supplied to the primary air for making the gas and the mixer at the nozzle side described above. Most of the remaining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or 94 and the exhaust duct 91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insulator 94 to cool the insulator and the exhaust duct and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discharge port 91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se.

또한 상기 제1팬(96)을 통해 공급된 공기 중 나머지 공기의 일부는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55)에 수용되는 조작유닛과도 접촉하며 이를 냉각한 후, 상기 토출구(910)로 이동하여 상향 배출된다.A part of the remaining air in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fan 96 also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peration unit accommodated in the operation unit accommodating portion 55. After cooling it, the air moves to the discharge port 910, .

서로 다른 가열방식을 가지는 유도가열부(8)와 가스연소가열부(9)는 모두 가열 열원에 필요한 전장품과 부품에 차이가 있고, 이들이 모두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 공간은 매우 협소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조작유닛을 설치할 만한 공간적 여유가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의 폭은 좁고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는 길게 형성된 세장형(細長型)의 조작유닛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한다.Both the induction heating furnace 8 and the gas burning furnace 9 having different heating methods differ in the electrical parts and components required for the heating heat source, and they are all disposed in the case. Therefore, the space inside the case is inevitably very narrow, and accordingly there is no space enough to install the operation uni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sidered to provide a long, elongated type operation unit having a narrow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long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ront of the case.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케이스의 전방에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마련된 조작유닛 수용부(55)에는, 홀더지지브래킷(62)이 탄성체(70)를 매개로 케이스의 저면부(51)에 고정된다. 탄성체(70)는 가늘고 긴 형태의 홀더지지브래킷(6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길이방향 양단부에 마련된다.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portion 51 of the case via the elastic body 70 in the operating unit accommodating portion 55 provided in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ront of the case. The elastic body 70 i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stably supporting the elongated holder support bracket 62.

홀더지지브래킷(62) 상부에는 기판홀더(61)가 고정되고, 기판홀더(61)의 상부에는 도 1과 도 2에서는 미도시한 표시입력기판(6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판홀더(61)의 하부에 있는 홀더지지브래킷(62)에는 표시입력기판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고 입력된 명령에 따라 각 가열부(8, 9)를 제어하는 작동기판(601)이 설치된다.A substrate holder 61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and a display input substrate 60 not shown in FIGS. 1 and 2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holder 61. An operation board 601 for controlling the display contents of the display input board and controlling the heating units 8 and 9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is installed in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provided below the substrate holder 61 do.

조작유닛의 표시입력기판은 조리기기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조작 방식은 터치 외에도 다양한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display input board of the operation unit is a configuration operated by the user to adjust the thermal power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can be operated by the user's touch operation. However, various other methods other than the touch can be applied to the operation method.

토출구(910)를 통해서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배기덕트를 통해 유동되어 나오는 배기가스와, 상기 케이스(50) 내의 가스연소가열부(9) 쪽 공간을 냉각하며 나오는 공기가 혼합되며 상향 배출된다.The exhaust gas flowing through the exhaust duct of the insulator through the discharge port 910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ase 50 by cooling the gas in the case 50 to cool the space in the heat part 9 are mixed and discharged upward.

한편 상기 케이스의 좌측 후방부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92)를 별도로 냉각하기 위한 제2팬(97)이 설치된다. 제2팬(97) 역시 박스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제2팬(97)에 의해 케이스 외측 공간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벤트부재(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밸브 조립체(92)에는 가스의 분배와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가 구비되는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 구성이 열에 민감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econd fan (97) for cooling the valve assembly (92) is installed on the left rear portion of the case. The second fan 97 may also be a box fa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outer space of the case by the second fan 97 moves to the rear of the cas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member 30. The valve assembly 92 is provided with a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supply of the gas, and the internal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valve assembly 92 may be sensitive to heat.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밸브조립체(92)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제2팬(97)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밸브조립체(92)를 상기 인슐레이터(94)와는 별도로 냉각하는 구조를 예시한다. 따라서 케이스(50)에서 상기 밸브조립체(92)가 마련된 위치의 후방부에는, 별도의 덕트 구성 없이 상기 벤트부재(30)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In view of th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econd fan 97 for cooling the valve assembly 92 is provided, and the valve assembly 92 is cooled separately from the insulator 94 . Therefor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member (30) without a separate duct structure on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50) where the valve assembly (92) is provided.

밸브조립체(92)가 별도의 공간에 있다면, 제1팬(96)보다는 소형인 제2팬(97)만으로도 밸브조립체(92)를 냉각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밸브조립체(92)와, 연소 가열 방식의 가열장치가 내장된 인슐레이터(94)는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좌측 공간에 함께 배치된다. 따라서 연소 가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이 밸브조립체(92)로 전달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밸브조립체(92)와 인슐레이터(94) 사이에 제2베리어(7-1)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제2베리어를 설치하게 되면, 밸브조립체(92)가 설치된 공간이 인슐레이터 설치 공간과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소 가열 방식의 가열장치에서 발생한 열이 대류나 복사 등을 통해 제2베리어가 설치된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조립체(92)의 냉각을 제2팬(97)으로 독립적으로 할 수 있다.If the valve assembly 92 is in a separate space, a second fan 97 smaller than the first fan 96 may be sufficient to cool the valve assembly 92 alone. The valve assembly 92 and the insulator 94 having the heating device of the combustion heating type are disposed together in the left space separated by the barrier 7. Therefore,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heating device can not be exclud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alve assembly 92.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arrier 7-1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valve assembly 92 and the insulator 94. When the second barrier is installed, the space where the valve assembly 92 is installed can be separated from the insulator installation space. Accordingly,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device of the combustion heating system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pace where the second barrier is installed through convection or radiation, so that the cooling of the valve assembly 92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by the second fan 97 have.

한편 상기 케이스에서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우측 공간에는 유도가열부(8)가 마련된다. 유도가열부(8)는 상기 우측 공간의 전방에 마련되는 중간판(81) 상에 설치된 워킹코일(82)과, 상기 케이스(50)의 저면부(51) 상에 설치되되 상기 중간판(81)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에 마련되는 제어기판(미도시)과, 상기 케이스의 우측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된 수용부(56)의 저면부(51) 부분에 마련되는 전원기판(미도시)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ight space defined by the barrier 7 in the case, an induction heating portion 8 is provided. The induction heating unit 8 is provided with a working coil 82 provided on an intermediate plate 81 provided in front of the right space and a working coil 82 mounted on the bottom plate 51 of the case 50, And a power board (not shown) provided at a bottom portion 51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56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right space of the case do.

또한 상기 유도가열부(8)는 상기 워킹코일(82)의 전방에서 상기 중간판(81) 상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는 표시부(83)를 더 포함한다. 표시부(83)는 상기 워킹코일(82)이 작동할 때 상기 워킹코일이 작동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The induction heating portion 8 further includes a display portion 83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plate 81 in front of the working coil 82 and capable of emitting visible light upward. The display unit 83 is for visually displaying that the working coil is operating when the working coil 82 is operating.

전원기판은 노이즈필터PCB로서, 상기 워킹코일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92)와 제어기판(87), 그리고 표시입력기판(60) 및 작동기판(601)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워킹코일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기판에는 고발열칩의 일종인 IGBT(미도시)가 실장되는데, 이 칩은 온도 관리가 필요한 칩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The power supply board is a noise filter PCB and functions to remove noise from a power source to be supplied to the working coil. The power supply board includes a valve assembly 92 and a control board 87, and a display input board 60 and an operation board 601 ) To the power source. The control boar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coil. An IGBT (not shown), which is a kind of high heat generating chip, is mounted on the control board. The chip is a chip requiring temperature control.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working coil can not be controlled.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케이스(50)의 우측 전방에는 제3팬(85)이 설치된다. 상기 제3팬(85)은 케이스(50)의 외부 공간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토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a third fan 85 is installed on the right front side of the case 50. The third fan 85 may be a sirocco fan that sucks air from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space of the case 50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rear.

시로코 팬을 통해 베리어(7)의 우측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 칩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해 부착된 히트싱크(미도시)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그중 일부는 중간판(81)에 설치된 워킹코일(82)을 냉각하며, 또한 상기 수용부(56)에 설치되어 있는 노이즈필터PCB 부분을 냉각하며 케이스 후단부에 도달하여 상향 배출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on the right side of the barrier 7 via the sirocco fan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GBT chip and a heat sink (not shown) attached thereto to cool the IGBT chip and cools them. Cooling the working coil 82, cooling the portion of the noise filter PCB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56, and reaching the rear end of the case to be discharged upward.

베리어(7, 7-1)는 서로 다른 가열 방식을 적용하고 있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냉각이 필요한 공간들을 서로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베리어는 케이스(50)의 저면부(51)에서 상향 연장된 판재 형태이며, 필요에 따라 측면부(52), 배면부(54) 등에도 고정되어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다.Barriers 7 and 7-1 apply different heating schemes or function to separate spaces that need cool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Such a barrier is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51 of the case 50 and can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portion 52 and the back surface portion 54 as necessary to maintain firmness.

[조작유닛 조립체][Operation unit assembly]

이하 조작유닛 조립체(6)에 포함되는 기판홀더(61), 홀더지지브래킷(62), 탄성체(70), 그리고 도 1과 도 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던 표시입력기판(60)과 작동기판(601)의 설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substrate holder 61,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the elastic body 70 included in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and the display input substrate 60 and the operation substrate 601 (not shown in Figs. 1 and 2)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조작유닛 조립체의 기판홀더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4는 조작유닛 조립체의 기판홀더 하부에 조립되는 홀더지지브래킷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5는 조리기기 내에 설치된 조작유닛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작유닛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의 후방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작유닛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조작유닛 조립체를 케이스에 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조작유닛 조립체를 케이스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는 각각 표시입력기판(60)과 작동기판(601)이 생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strate holder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supporting bracket assembled below the substrate holder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of Fig. 5 assemble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of Fig. 6 viewed from the rear, and Fig. 8 is a step of install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of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case in FIG. 8,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in rear view of the state in FIG. FIGS. 3 and 4 show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input substrate 60 and the operation substrate 601 are omitted, respectively.

본 발명의 탑플레이트(20) 저면에 밀착되는 표시입력기판(6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사용자에게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다. 상기 감지부와 디스플레이부는 PCB에 실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user's touching oper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oking device to the user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60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mounted on a PCB.

내부적으로 설치공간의 여유가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은 좌우로 긴 실질적인 장방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입력기판은 본체부(3) 내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탑플레이트 전방부 저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입력기판의 디스플레이와 입력 감지는 작동기판(601)에 의해 제어된다.The display input board 6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at is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view of the insufficient space for the installation space internally. The display input boar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plate. The display and input sensing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r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board 601.

표시입력기판(60)과 작동기판(601)은 홀더(61, 62)에 의해 고정된다. 홀더(61, 62)는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을 고정하며 표시입력기판의 저면을 골고루 지지하는 기판홀더(61)와, 상기 기판홀더(6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기판(601)을 고정하며 탄성체(7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홀더지지브래킷(62)을 포함한다. 표시입력기판(60)은 상판부 저면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상부의 홀더(61)에 고정되는 반면, 작동기판(601)은 컴팩트한 구성 배치를 위해 하부의 홀더(62)에 고정된다.The display input board 60 and the operating board 601 are fixed by the holders 61 and 62. The holders 61 and 62 include a substrate holder 61 for fixing the display input substrate 60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evenly, And a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70). The display input board 60 is fixed to the upper holder 61 since it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while the actuating board 601 is fixed to the lower holder 62 for a compact configuration.

기판홀더(61)는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의 적어도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여 주는 상부 구조부를 가진다. 이러한 상부구조부는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의 저면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입력기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형태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판홀더(61)는 상기 상부 구조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의 하부 구조부를 가진다. 하부구조부는, 상기 상부구조부의 표시입력기판 측면을 지지하는 부재가 하향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구조부의 하단부는 기판홀더(6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지지브래킷(62)의 상부에 의해 지지된다. 기판홀더(61)의 후방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안착레그(613)이 마련된다.The substrate holder 61 has an upper structure portion for supporting at least an edge portion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60. The upper structure portion includes a bottom edge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60 and a shape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nd the substrate holder 61 has a lower structur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tructure portion. The lower structural part may have a shape in which a member supporting the side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of the upper structural part extends downwar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al portion is supported by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holder 61. At the rear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holder 61, there is provided a seating leg 613 extending downward.

홀더지지브래킷(62)에 대한 기판홀더(61)의 착탈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기판홀더(61)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후크 형태의 제1체결부재(611)가 기판홀더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기판홀더의 하단부에는 내면 쪽에 제1체결부재(611)가 마련되고, 측방에 위치하는 기판홀더의 하단부에는 외면 쪽에 제1체결부재(611)가 마련된다. A first fastening member 611 in the form of a hook extending downwar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holder 61 along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holder 61 A plurality of them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first fastening member 611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holder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a first fastening member 611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holder located laterally.

이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의 상단부 부근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611)가 끼워진 후 후크 형상에 걸려 다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홀 형태의 제2체결부재(621)가 마련된다. 상기 제1체결부재(611)의 설치위치와 마찬가지로, 제2체결부재는, 전방에 위치하는 홀더지지브래킷(62)의 상단부 내면과, 측방에 위치하는 홀더지지브래킷의 상단부 외면 쪽에 마련된다.A second fastening member 621 in the form of a hole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end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so as to prevent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1 from being caught in the hook shape after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1 is fitted. Similar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1, the second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loca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positioned on the side.

또한 기판홀더(61)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홀더지지브래킷(62)의 상단부에는 상기 기판홀더(61)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면적을 더 넓혀주는 지지대(622)가 구비된다. 지지대는 홀더지지브래킷(62)의 상단부에서 내향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대는, 기판홀더(61)의 저면을 확실히 지지하기 위해 홀더지지브래킷(62)의 전면부(626)와 측면부 자체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 없이, 지지대(622) 상면의 면적을 통해 기판홀더(61)의 저면을 확실히 지지해준다.A support base 622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to widen the area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face of the substrate holder 61 so that the support force against the substrate holder 61 can be increased. The support is configur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The support is supported by the substrate holder (not shown) through the area of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622,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front portion 626 and the side portion itself of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to secure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holder 61 61).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기판홀더(61)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대(622)의 상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의 안착홈(612)을 더 마련하여, 기판홀더(61)가 홀더지지브래킷(62)에 의해 더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substrate holder 61 may be provided on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so that the substrate holder 61 is supported by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 So as to be more firmly supported.

상술한 체결부재(611, 621)와 지지대(622), 안착홈(612) 등의 구성에 의해 기판홀더(61)는 홀더지지브래킷(62) 상에 착탈 가능하면서도, 유동 없이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The substrate holder 61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and securely fixed without flowing by the constitution of the coupling members 611 and 621 and the supporting table 622 and the mounting groove 612 and the like .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의 하부에는 작동기판(601)을 설치할 수 있는 기판 고정부(625)가 마련된다. 기판 고정부(625)에 고정되는 작동기판(601)은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의 표시 사항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토대로 유도가열부(8)와 가스연소가열부(9)의 작동을 제어한다.A substrate fixing part 625 is provided below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to mount the operating substrate 601 thereon. The operation board 601 fixed to the board fixing portion 625 controls the display of the display input board 60 and receives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display input board 60, Based o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the induction heating unit 8 and the gas combustio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9.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은 모두 긴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며, 각각 제1기판(60)과 제2기판(601)이 설치된다. 또한 이들(61, 62)은 직사각형의 전방과 양측에 해당하는 테두리 부분이 서로 고정된다.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의 후면은 서로 체결되지 않고, 기판홀더(61)와 기판고정부(625) 사이에 마련된 개방구를 구비한다. 상기 개방구에 인접하여 상기 제1팬(9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구는 제1기판(60)과 제2기판(601)을 냉각하기 위해 조작유닛 조립체(6)의 내부 공간에 공기가 유동해 들어올 수 있는 통로가 된다.The substrate holder 61 and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both have a long rectangular shape and are provided with a first substrate 60 and a second substrate 60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ront portions of the rectangle and the edge portions corresponding to both sides are fixed to each other. The substrate holder 6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are not fastened to each other but have an opening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holder 61 and the substrate fixing portion 625. Since the first fan 96 is provid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opening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the opening of the opening allows air to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to cool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60 and 601 It becomes a passage that can flow in.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의 전면부(626)는 케이스(50)의 정면부(53)과 마주하는 평판 형상이며, 좌우 양측에 적어도 한 쌍의 제2가이드(627)를 구비한다. 제2가이드(627)는 케이스(50)의 제1가이드(531)와 협력하여 조작유닛 조립체(6)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요동을 방지하고 조작유닛 조립체(6)가 후술할 탄성체(7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하 이동할 때 그 이동을 안내해 준다.The front surface portion 626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facing the front surface portion 53 of the case 50 and has at least a pair of second guides 627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 second guide 627 prevent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lateral swinging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guide 531 of the case 50 and prevents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from moving to the side of the elastic body 7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when it is moved up and down.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의 양측면에는 탄성체결합부(623)가 구비된다. 탄성체결합부(623)는 홀더지지브래킷(62)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케이스 내에서 조작유닛 수용부(55)의 후방으로는 가열부가 설치되어 공간이 부족하고, 상기 표시입력기판이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방으로도 공간이 부족하다. 아울러 표시입력기판이 좌우로 긴 장방형이기 때문에, 이러한 표시입력기판의 좌우에 판스프링과 같이 일방향(상하방향)으로는 탄성 변형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다른 방향(전후 좌우 방향)으로는 상당한 견고함을 유지하는 탄성체를 설치하면, 전후 좌우로는 유동이 적고 상하로는 탄성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탄성 지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an elastic coupling portion 623 is provided. The elastic coupling portions 623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ing unit is disposed behind the operation unit accommodating unit 55 in the case, the space is insufficient and the display input board is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input board is long an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elastic deformation is smoothly performed in one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lik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input board,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imple elastic supporting structure while allowing less movement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enabling elastic movem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아울러 기판(60)과 기판홀더(61)를 홀더지지브래킷(62)의 길이보다 조금 작게 마련하여, 탄성체결합부(623)가 기판(60)과 기판홀더(61)의 양측 단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면, 표시입력기판(60)과 기판홀더(61)를 홀더지지브래킷(62)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홀더지지브래킷(62)에 탄성체를 쉽게 체결할 수 있다.The substrate 60 and the substrate holder 61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so that the elastic member engaging portion 623 is located outside the both ends of the substrate 60 and the substrate holder 61 The elastic body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even when the display input board 60 and the substrate holder 61 are provided on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

탄성체체결부는 후술할 탄성체(70)의 측면지지부(75) 및 바닥면지지부(74)와 각각 접하는 측면과 바닥면을 구비하며, 바닥면에는 스크류 체결용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 탄성체(70)의 바닥면지지부(74)를 스크류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탄성체(70)의 폭방향 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탄성체(70)를 수용하는 수용가이드(624)가 하향 연장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어서, 탄성체에 대해 조작유닛이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has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ide supporting portion 75 and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74 of the elastic body 7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with a screw- The support portion 74 can be fixed with a screw. Further, a receiving guide 624, which supports lateral sides of the elastic body 70 and accommodates the elastic body 70,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extend downward, To some extent.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이 분리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각각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이는 사출 성형 시 취출 또는 금형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제조 상의 편의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아울러 제1기판(60)이 설치되는 기판홀더(61), 그리고 제2기판(601)이설치되는 홀더지지브래킷(62)을 각각 다른 종류(세탁기, 식기세척기 등)나 다른 규격(소형 조리기기, 대형 조리기기 등)의 기기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듈화할 수 있다. 가령 기판(60, 601)의 규격이 동일하기만 하면, 다른 기판을 사용하더라도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과 탄성체(70)를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bstrate holder 61 and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are separately formed, it is easy to install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his is also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injection molding or the mold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The substrate holder 61 on which the first substrate 60 is mounted and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on which the second substrate 601 is mounted are mounted on a different type (washing machine, dishwasher, etc.) , Large cooking devices, etc.) can also be modularized for use. The substrate holder 61,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and the elastic body 70 can be used in common, even if another substrate is used as long as the sizes of the substrates 60 and 601 are the same.

한편 상기 기판홀더(61)의 후방에는 대략 중앙부에서 하향 연장된 형태의 안착레그(613)가 마련된다. 안착레그(613)는 후술할 케이스(50)에 설치된 조작유닛 안착대(551)와 함께, 케이스(50)에 대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의 설치 위치를 정확히 규제하고, 탄성체에 의해서 상하 유동할 수 있는 조작유닛 조립체(6)의 상항 방향 유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가 하강할 수 있는 하한을 규제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레그(613)는, 상기 조작유닛 안착대(551)와 함께, 서로 고정되지 않는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의 후방 구조에 대해 기판홀더(61)의 후방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여 준다.On the other hand, a seating leg 613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ubstrate holder 61 and extends downward from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holder 61. The mounting leg 613 accurately regulate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with respect to the case 50 together with the operation unit mounting table 551 provided in the case 50 to be described later, Directional flow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that can be operated and regulate the lower limit to which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can descend. The seating leg 61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lding force of the substrate holder 61 against the rear of the substrate holder 61 and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against the rear of the substrate holder 61 .

안착레그(61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리브(6131)와 저부리브(6132)를 형성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ribs 6131 and the lower ribs 6132 are formed on the seating leg 613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a sufficient rigidity can be ensured.

조작유닛 조립체(6)를 구성하는 탄성체에 대해서는 이하 별도로 설명한다.The elastic members constitut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below.

[탄성체 구조][Elastomeric structure]

본 발명에 적용하는 탄성체는 판스프링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는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부(71)와, 탄성부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구조, 그리고 탄성부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작유닛(보다 구체적으로는 홀더지지브래킷)에 고정되는 구조를 포함한다.The elastic bod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This structure includes a resilient portion 71 that exhibits elasticity,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and is fixed to the case, and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and is fixed to the operation unit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support bracket) do.

탄성부(71)는 하향경사면과 상향경사면이 서로 일측에서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어지며 만나는 대략 ">"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71)의 탄성은 하향경사면과 상향경사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굽혀질 때 그 복원력, 특히 이들을 잇는 부드러운 곡면 부분이 이루는 내각이 좁아질 때 그 복원력으로부터 탄성을 얻을 수 있다. The elastic portion 71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downward inclined face and the upwardly inclined f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mooth curved face from one side and substantially meet each other.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portion 71 can be obtained from the restoring force when the downwardly inclined face and the upwardly inclined face are b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ticularly when the internal angle formed by the smooth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m is narrowed.

이러한 탄성부(71)는 상술한 홀더지지브래킷(62)의 탄성체결합부(623) 하부에 위치하며 홀더지지브래킷(62)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므로, 조작유닛 조립체(6)에 대한 탄성 지지력이 거의 모두 상방으로 작용한다. 또한 탄성부(71)가 상술한 수용가이드(624) 내에 위치하므로 조리기기의 전후방향으로 탄성부가 출렁이는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elastic portion 71 is located below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623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upwardly, the elastic supporting force of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62 agains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Almost all act upward. Since the elastic portion 71 is located in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guide 624, it is possible to prevent swinging of the elastic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탄성부(71)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체결합부(623)의 바닥면에 접하며 이를 지지하는 바닥면지지부(74)와, 상기 탄성체결합부(623)의 측면에 접하며 이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부(75)가 구비된다. 바닥면지지부(74)는 탄성체결합부의 저면에 접한 상태에서 스크류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71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support portion 74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body coupling portion 623 and a side support portion 75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elastic body coupling portion 623, .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74 can be fastened and fixed by a screw or the lik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상술한 측면지지부와 바닥면지지부는 탄성부(71) 상부로 수직 연장된 부분의 하부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 형태로 하향 절개하고, 이 부분을 절곡하여 제작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탄성부 상부로 수직 연장된 부분의 단부를 90도 절곡하여 수평이 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지지부를 수평으로 절곡할 때 바닥면지지부와 함께 거동하여 바닥면지지부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가 "∪" 형태의 절개부위를 다시 상방으로 절곡하여 "n" 형태로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측면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지지부에는 스크류 체결홀이 마련되어 있고, 이를 통해 스크류를 관통 체결할 수 있다.The side support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support portion are formed by cutting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portion vertically extending above the elastic portion 71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orm of "∪" and bending the portion. In detail, the end portion of the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is bent 90 degrees to be horizontal so that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can be formed. Further, when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is bent horizontally, the incision portion acting as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is bent upward again to form an "n" The side support portion can be formed by standing upright.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crew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screw can be fastened.

바닥면지지부(74)가 탄성체결합부에 고정되면,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이 더욱 확실히 전해질 수 있다. 또한 측면지지부(75)가 탄성체결합부의 측방을 지지하여 조작유닛 조립체(6)가 측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면지지부가 탄성체결합부에 고정되는 것이 예시되었지만, 이와 달리 측면지지부가 탄성체결합부에 고정되거나, 두 구성 모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74 is fixed to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the elastic force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more reliably transmitted. The side support portion 75 also supports the lateral sides of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to preven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from flowing sideway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is fixed to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Alternatively, the side supporting portion may be fixed to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or both of the configurations may be fixed.

앞서 설명한 탄성부(71)는 길이방향으로 중앙부가 절개되어 슬롯 형태로 트여져 있고, 하부에서 위쪽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트여진 중앙부를 통해 상기 바닥면지지부(74)가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부를 통해 바닥면지지부(74)에 스크류를 쉽게 체결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71 described above is cut in a longitudinally central portion and slot-shaped, and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74 is expos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ried portion when viewed from below. Therefore, the screw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74 through the center portion.

다음으로 탄성부(71)의 하부에는 케이스(50)의 저면부 상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저면지지부(72)와, 한 쌍의 저면지지부(72) 사이에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케이스(50)의 탄성체설치부(511)에 스크류 등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73)를 포함한다.A pair of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s 72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case 50 and a pair of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s 72 are bent at a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71 in a " And a fixing portion 73 which is fixed to the elastic body mounting portion 511 of the body 50 through a screw or the like.

상술한 저면지지부와 탄성체 설치부는, 탄성부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부분을 "=" 형태로 절개하고 절개되어 구분된 3개의 부분 중 가운데 부분을 된 부위의 윗부분을 90도 절곡하고 다시 수평으로 절곡하여 "ㄱ"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양측의 두 부분이 저면지지부를 구성하고, 절곡되어 "ㄱ"자로 된 부분이 고정부(73)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에 홀을 형성하고 스크류를 관통하여 케이스(50)의 탄성체설치부(511)에 체결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bottom support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are formed by cutting the plate member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portion in the form of "= ", be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ion, So that the two portions on both sides constitute the bottom suppor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of the "a" Further, a hole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art, and the screw may be passed through and screwed to the elastic body mounting part 511 of the case 50.

상기 탄성체는, 상하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고정부(73)가 상기 홀더(61, 62)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가 상부로 노출되어 케이스에 대한 탄성체의 고정 작업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is exposed upward so that the fixing operation of the elastic body with respect to the case is made more convenient by allowing the fixing portion 73 to be located further outward than the holders 61 and 62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조작유닛 조립체의 상하 이동 가이드 및 요동 방지 구조][Up-and-down movement guide and swing prevention structur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이하 도 1, 도 2, 도 4, 도 8 및 도 9 등을 참조하여 상술한 조작유닛 조립체(6)의 상하 이동 가이드 구조 및 요동 방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유닛 조립체(6)는 케이스(50)의 가장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며, 또한 조작유닛 조립체(6)가 설계자의 의도대로 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하로 안내되기에 유리한 배치이다.Hereinafter, the up-and-down moving guide structure and the anti-swing structur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2, 4, 8, 9,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can be installed at the frontmost position of the case 50. [ This provides a condition for securing the space inside the case, and is an arrangement in which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s installed in the correct position as intended by the designer and is advantageously guided up and down.

조작유닛 조립체(6)의 전방, 보다 구체적으로는 홀더지지브래킷(62)의 전방에 마련된 전면부(626)는 복수 개의 제2가이드(627)가 마련되고(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2가이드가 좌우로 서로 이격 마련된 형태가 예시됨),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의 전면부와 마주하는 케이스(50)의 정면부(53)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627)가 마련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가이드(531)가 마련된다.A front portion 626 provided in front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more specifically, in front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guides 627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guide 627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portion 53 of the case 50 facing the front portion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In this case, A first guide 531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531.

제1가이드(531)와 제2가이드(627)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부분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의 전면부는 상기 케이스(50)와 접하거나 매우 가깝게 배치된다.The first guide 531 and the second guide 627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re engaged, the front portion of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is engaged with the case 50 or very clos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제1가이드(531)는 홀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627)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531)는 상부에 마련된 투입구(532)와, 상기 투입구(532)에서 하향 연장된 형태의 슬롯(533)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532)의 좌우 방향 폭은 상기 슬롯(533)의 좌우 방향 폭보다 크다. 상기 제2가이드(627)는 상기 전면부(626)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네크(629)와, 상기 네크(629)의 단부에서 그 단면이 확대된 형태의 헤드(628)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uide 531 may be in the form of a hole, and the second guide 627 may be in the form of a projection. The first guide 531 includes a slot 532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slot 53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lot 532. The lateral width of the slot 532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lot 533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econd guide 627 includes a neck 629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portion 626 and a head 628 having an enlarged cross section at an end of the neck 629.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628)의 단면(A1)은 상기 투입구(532)의 단면(A2)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투입구(532)를 통해서는 헤드(628)의 투입과 이탈이 자유롭다. 반면 헤드(628)의 폭은 상기 슬롯(533)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헤드(628)는 상기 슬롯 부분을 통해서는 통과하지 못한다.8, the cross-section A1 of the head 628 i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 A2 of the inlet 532.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input / output of the head 628 is free through the inlet 532. Whereas the width of the head 628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lot 533. [ Thus, the head 628 does not pass through the slot portion.

상기 네크(629)의 폭은 상기 슬롯(533)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 또한 상기 네크(629)의 전후방향 두께(T1)는 상기 슬롯(533) 부분의 두께(T2)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네크(629)는 상기 슬롯(533) 부분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롯(5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The width of the neck 629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lot 533. The thickness T1 of the neck 629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slot 533. Accordingly, the neck 629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533 while being fitted in the slot 533.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의 제2가이드(627)의 헤드(628)와 상기 케이스(50)의 제1가이드(531)의 투입구(532)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정면부(53)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헤드(628)를 투입구(532)에 완전히 통과시킨 후(이 상태에서 제2가이드의 네크 부분은 투입구 부분을 가로지르고 있게 됨), 조작유닛 조립체(6)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의 네크(629)가 상기 제1가이드(531)의 슬롯(533)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8, when the head 628 of the second guide 627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s aligned with the inlet 532 of the first guide 531 of the case 50 The head 628 is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inlet 532 from the rear of the case front portion 53 (in this state, the neck portion of the second guide crosses the inlet portion),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the neck 629 of the second guide is disposed to cross the slot 533 of the first guide 531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태에서는, 조작유닛 조립체(6)가 뒤로 움직이는 힘을 받더라도 헤드(628)와 케이스가 간섭하여 조작유닛 조립체가 뒤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고, 조작유닛 조립체(6)가 전방으로 움직이는 힘을 받더라도 전면부(626)가 케이스와 간섭하여 조작유닛 조립체가 앞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조작유닛 조립체의 전후 방향 위치가 정확히 규제된다.In this state, even i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s subjected to the force of moving backward, the case 628 interferes with the case to preven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from being pushed back, and even i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s subjected to forward force,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forward by interfering with the case 626, thereby precisely regula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반면 네크(629)의 전후방향 길이(T1)는 케이스의 전후방향 두께(T2)에 비해 약간 크고, 네크의 폭이 슬롯의 폭보다 약간 작으므로 조작유닛 조립체(6)가 상하로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며 이동하는 것은 허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rear length T1 of the neck 629 is slightly larger than the front-rear thickness T2 of the case, and the width of the neck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lot, And is allowed to m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유닛 조립체(6)에 대해 탄성체(70)가 양측 단부의 중앙부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탄성체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수용가이드(624)가 탄성체를 전후에서 지지한다 하더라도, 조작유닛 조립체(6)가 탄성체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구조는 이와 같이 전후 방향 요동이 있을 수 있는 조작유닛 조립체를 확실히 지지하여 전후방향 요동을 방지한다. 물론 네크의 길이(T1)가 케이스의 두께(T2)보다 약간 길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 약간의 요동은 허용될 수 있고, 이는 조작유닛 조립체(6)의 상단이 밀착되는 상판부(2)의 처짐 등의 변형에 대해 조작유닛 조립체(6)가 순응하여 요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astic body 70 is provided only at the central portion of both end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even if the elastic body is constituted by the leaf spring and the receiving guide 624 supports the elastic body from the front There may be a limit to completely preven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from swinging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elastic body.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structure securely suppor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capable of oscillat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prevent oscilla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course, since the length T1 of the neck is slightly long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case, slight swing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can be permitted, which is caused by deflection of the top plate portion 2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s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can swing in compli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가이드가 하나만 있지 아니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조작유닛 조립체(6)의 좌우 양단에 배치된 탄성체(70)의 탄성 변형율이 달라 조작유닛 조립체가 좌우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물론 네크의 폭이 슬롯의 폭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 약간의 요동은 허용될 수 있고, 이는 조작유닛 조립체(6)의 상단이 밀착되는 상판부(2)의 처짐 등의 변형에 대해 조작유닛 조립체(6)가 순응하여 요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t only one first and second guides but two positions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is structure prevents the operation unit assembly from swinging to the left and right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rate of the elastic body 70 disposed at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Of course, since the width of the neck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lot, slight swinging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be permitt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for deformation such as sagging of the upper plate portion 2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s in close contact, Allowing assembly 6 to oscillate in compliance.

케이스 정면부(53)의 제1가이드(531)에 조작유닛 조립체의 제2가이드(627)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조작유닛 조립체의 하단에 있는 탄성체(70)가 케이스(50)의 저면부(51)의 탄성체설치부(511) 상에 얹어지면,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629)가 슬롯 쪽으로 진입된 상태가 되므로, 조작유닛 조립체가 제1가이드(531)에 의해 임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 등으로 탄성체(70)와 탄성체설치부(511)를 고정하면, 조작유닛 조립체가 케이스에 대해 정 위치에 설치된다.The elastic body 70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case 5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guide 627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fitted to the first guide 531 of the case front portion 53 9 and 10, the operating unit assembly is moved by the first guide 531 to the temporary position by the first guide 531, . In this state, when the elastic body 70 and the elastic body mounting portion 511 are fixed with bolts or the like,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installed in the correc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as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를 결합하여 조작유닛 조립체의 자중 외에 다른 외력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네크(629)는 슬롯 쪽으로 진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 조립 상태에서 조작유닛 조립체의 헤드(628)는 케이스의 투입구(53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헤드가 투입구로부터 빠져 나가 조립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when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re engaged and the neck 629 is in a state of entering the slot side in a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other than the self weight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given . Therefore, in the assembled state, the head 628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case inlet 532, so that the head is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inlet and disturbing the assembled state.

도 11은 도 10과 같이 케이스에 조작유닛 조립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케이스에 상판부를 고정하여 상판부 저면에 조작유닛 조립체가 밀착된 상태를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2는 케이스와 상판부 사이에 조작유닛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가 잘 도시될 수 있도록 케이스와 상판부를 측면에서 절개하여 그 내부를 측면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그리고 도 13은 가전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절개하여 조작유닛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by fixing the upper plate to the case with the operation unit assembly being installed in the case as shown in Fig. 10, And FIG. 13 is a sid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installed by cutting the electric home appli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FIG. 13 is a side view of the case and the upper plate cut away from the side,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정면부의 제1가이드와 조작유닛조립체의 제2가이드를 체결한 후 케이스의 저면부(51)에 탄성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2)를 케이스(50)에 설치하면, 조작유닛 조립체의 탄성체(70)가 눌리며 조작유닛 조립체의 제2가이드가 케이스의 제1가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표시입력기판(60)이 상판부(2) 저면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브래킷(40)을 케이스에 고정하면, 표시입력기판(60)은 상판부(2)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판부(2) 상에 무거운 조리물이 올려져 상판부에 처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조작유닛 조립체는 정위치를 유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방으로 탄성 가세되어 있으므로, 표시입력기판이 정위치에서 탑플레이트(2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슬롯의 하한은 상기 탑플레이트의 처짐으로 인해 조작유닛 조립체가 충분히 하강할 수 있는 범위까지 개방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after the first guide of the front face portion of the case and the second guid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are fastened, an elastic body is fixed to the bottom face portion 51 of the case, The elastic member 70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pushed and the second guid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moves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of the case,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2. When the connection bracket 40 is fixed to the case in this state, the display input board 60 is brought into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plate portion 2. [ In this state, even if heavy food is put on the upper plate portion 2 and deformation such as sagging occurs in the upper plate portion, the operation unit assembly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hel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elasticity is applied upward, The substrate remains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lower end of the slot is preferably open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operating unit assembly can be sufficiently lowered due to deflection of the top plate.

이하 상술한 조작유닛 조립체(6)의 조립 방법과, 이를 조리기기에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on the cook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먼저 조작유닛 조립체(6)를 조립에 대해 살펴보면, 표시입력기판(60)을 기판홀더(61) 상부에 고정하고, 홀더지지브래킷(62)의 기판고정부(625)에 작동기판(601)을 고정한다. 그리고 홀더지지브래킷의 양측에 마련된 탄성체결합부 하부의 수용가이드(624) 내에 탄성부(71)를 수용하고 바닥면지지부(74)와 측면지지부(75)를 각각 탄성체결합부의 하면과 측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탄성부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나 있는 절개 슬롯을 통해 탄성체결합부 하면에 바닥면지지부(74)를 고정한다.The display input board 6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holder 61 and the operation board 601 is fixed to the board fixing portion 625 of the holder support bracket 62 Fixed.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74 and the side supporting portion 75 are hel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respectively, by receiving the elastic portion 71 in the receiving guide 624 below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 74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through a cutting slo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portion.

그리고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의 안착홈(612)과 지지대(622)를 대면시키며 제1체결부재(611)의 후크를 제2체결부재(621)의 홀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조작유닛 조립체(6)를 완성한다.The hooks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s 611 are fitted and fixed in the holes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s 621 by facing the seating grooves 612 of the substrate holder 61 and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62 and the support base 622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s completed.

이어서 조작유닛 조립체(6)를 조리기기에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유닛 조립체의 전면부(626)의 헤드부(628)를 케이스(50) 정면부(53)의 삽입구(532)에 끼우고 아래로 내림으로써,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 저면부(51)에 안착된 탄성체(70)에 의해 조작유닛 조립체가 지지되도록 한다.8, the head portion 628 of the front portion 626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attached to the front portion 53 of the case 50,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70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51 of the case 50 as shown in FIGS. 9 and 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532 and lowering downward.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 저면부(51)에 'ㄷ'자 형태로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이를 'ㄱ'자 형태로 절곡하여 융기된 형상의 탄성체설치부(511)에, 상기 탄성체의 저면지지부(72)와 고정부(73)를 정렬하여 끼워지도록 한다. 그러면, 한 쌍의 저면지지부(72) 사이의 간격이 탄성체설치부(511)의 수직부분의 폭과 대응하므로, 한 쌍의 저면지지부(72) 사이에 탄성체설치부(511)의 수직부분이 끼워 맞춰지고, 고정부(73)가 탄성체설치부(511)의 수평부분의 윗부분에 접하며 올려진다. 이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고정부(73) 홀에 나사를 관통하여 탄성체설치부(511)에 체결하면 조작유닛 조립체(6)의 탄성체가 탄성체설치부(511)에 고정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0, the cut part is cut into a 'C' shape on the bottom part 51 of the case 50, and the cut part is bent in a ' , The bottom supporting portion 72 of the elastic body and the fixing portion 73 are aligned and fitted.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bottom support portions 72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511, a vertical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511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bottom surface supporting portions 72 And the fixing portion 7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elastic body mounting portion 511 and is lifted up. In this state, when the screw passes through the hole in the fixing portion 73 from the upper portion and is fastened to the elastic body mounting portion 511, the elastic body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is fixed to the elastic body mounting portion 511.

이처럼 케이스에서 융기된 형태의 탄성체설치부 양측을 저면지지부가 접하게 하고, 융기된 탄성체설치부에 고정부를 고정하면, 탄성체의 단부가 케이스에 전후 좌우 상하 모든 방향으로 확실히 고정된다.In this way, when the bottom support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elastic body mounting portion raised in the case and the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raised elastic body mounting portion, the end portion of the elastic body is firmly fixed to the case in all directions.

그리고 케이스(50) 내에 설치해야 할 다른 구성들도 설치한다.Other configurations to be installed in the case 50 are also provided.

이렇게 설치를 완료하면 탄성체(70)에 의해 조작유닛 조립체(6)의 상단부에 설치된 표시입력기판(60)은 케이스(50)의 측벽들, 가령 정면부(53)보다 다 상향 돌출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홀더의 안착레그(613)가 케이스(50)에 고정된 조작유닛 안착대(551)와 마주하지만, 도 13에 도시된 것보다는 약간 떠 있는 상태가 된다.The display input board 6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by the elastic body 70 protrudes upward more than the side walls of the case 50, Also, in this state, the seating leg 613 of the holder is opposed to the operation unit seating base 551 fixed to the case 50, but is somewhat more floating than that shown in Fig.

상술한 상태에서 케이스(50)의 측벽에 상판부(2)의 저면에 설치된 연결브래킷(40)을 고정시키면(도 12, 도 13 참조), 상판부의 탑플레이트(20) 저면이 상기 표시입력기판(60)가 접하며 조작유닛 조립체(6)를 하향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탄성체(70)는 압착되며 도 11과 같이 눌린 상태가 된다. 탄성체가 압착되며 발생하는 복원력은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를 상방 가세하고, 이에 따라 표시입력기판(60)의 상부면이 탑플레이트의 저면에 밀착한다.12 and 13),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0 of the top plate portion is fixed to the side of the display input board (not shown) by fixing the connecting bracket 4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2 to the side wall of the case 50 in the above- 6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ress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downward. Then, the elastic body 70 is pressed and pressed as shown in FIG. The restoring force generated by pressing the elastic body pushes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upwar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6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이렇게 조작유닛 조립체(6)가 밑으로 눌려 이동할 때, 상기 조작유닛 안착대(551)에 안착레그(613)가 안착되고, 또한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에 의해 조작유닛 조립체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된다. 또한 이동이 안내되면서 조작유닛 조립체(6)는 여전히 정렬을 유지하므로, 탑플레이트가 상하로 유동하더라도 조작유닛 조립체(6)가 이와 정렬된 위치에서 상하로 함께 움직이게 된다.When the operating unit assembly 6 is pushed downward, the seating leg 613 is seated on the operating unit seating base 551,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s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guided. Also, as the movement is guided,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still maintains alignment, so that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moves up and down together in the aligned position even if the top plate flows up and down.

조리기기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도 11과 도 1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유닛 조립체(6)의 하단부와 케이스 저면부(51) 사이에 어느 정도 갭이 있기 때문에, 탑플레이트가 하중을 받거나 충격을 받더라도 탄성체가 이를 흡수함으로써 표시입력기판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11 and 13 and the like, there is a certain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6 and the case bottom portion 51. Therefore, even if the top plate receives a load or an impact The elastic body absorbs the shock, so tha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impact on the display input substra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1: 조리기기
2: 상판부
3: 본체부
4: 조작 부위
7, 7-1: 베리어
8: 유도가열부
9: 가스연소가열부
10: 상판프레임
20: 탑플레이트(세라믹글라스)
30: 벤트부재
40: 연결브래킷
50: 케이스
51: 저면부
511: 탄성체설치부
52: 측면부
53: 정면부
531: 제1가이드
532: 투입구
533: 슬롯
54: 배면부
55: 조작유닛 수용부
551: 조작유닛 안착대
56: 노이즈필터PCB 수용부
57: 제어기판 수용부
60: 표시입력기판(제1기판)
601: 작동기판(제2기판)
61: 기판홀더
611: 제1체결부재(후크)
612: 안착홈
613: 안착레그
6131: 상하리브
6132: 저부리브
62: 홀더지지브래킷
621: 제2체결부재(홀)
622: 지지대
623: 탄성체결합부
624: 수용가이드
625: 기판고정부
626: 전면부
627: 제2가이드
628: 헤드
629: 네크
70: 탄성체
71: 탄성부
72: 저면지지부
73: 고정부
74: 바닥면지지부
75: 측면지지부
81: 중간판
82: 워킹코일
83: 표시부
85: 제3팬
901, 902: 제1버너, 제2버너
911, 912: 적열플레이트
91: 배기덕트
910: 토출구
92: 밸브 조립체
93: 레귤레이터
94: 인슐레이터
95: 노즐
96: 제1팬
97: 제2팬
1: Cooking equipment
2:
3:
4: Operation site
7, 7-1: Barrier
8: Induction heating part
9:
10: top plate frame
20: Top plate (ceramic glass)
30: Vent member
40: Connection bracket
50: Case
51:
511:
52:
53: Front section
531: First guide
532: Inlet port
533: Slot
54:
55: Operation unit receiving part
551: Operation unit seat
56: Noise filter PCB accommodating part
57: Control board receiving portion
60: display input substrate (first substrate)
601: Operation substrate (second substrate)
61: substrate holder
611: first fastening member (hook)
612:
613: Seated leg
6131: Upper and lower ribs
6132: bottom rib
62: Holder support bracket
621: second fastening member (hole)
622: Support
623: Elastic coupling part
624: Reception guide
625: substrate fixing section
626: front part
627: Second Guide
628: Head
629: Neck
70: elastomer
71:
72: bottom support
73:
74:
75:
81: Middle plate
82: Working coil
83:
85: Third fan
901, 902: a first burner, a second burner
911, 912: Glow plate
91: Exhaust duct
910:
92: valve assembly
93: Regulator
94: Insulator
95: Nozzles
96: First fan
97: the second fan

Claims (17)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는 조작유닛 조립체;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에 마련되며 상기 제1가이드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와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를 상방으로 가세함으로써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상부면과 상기 상판부의 저면을 밀착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는, 소정의 단면을 가지고 상부에 마련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단면보다 작은 폭을 이루며 상기 투입구로부터 하향 연장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슬롯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슬롯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더 길게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로부터 외향 돌출된 네크와, 상기 네크의 선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슬롯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투입구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가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 상에 거치되고 상기 상판부가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가 위치하는 높이보다 상기 투입구의 높이가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판부가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의 상방 가세력에 의해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상부면이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밀착되는 조리기기.
A case having a top open and a predetermined space;
An upp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shield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space and having a surface on which the food is placed;
An operation unit assembly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provided in the case;
A first guide provided on a side wall of the case and guiding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guide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assembly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n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of the case and the operation unit assembly and urg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upward to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Wherein the first guide includes a slot having a predetermined cross section an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lot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slot with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slot,
The second guide having a width equal to or less than the width of the slot and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peration unit assembly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ot, And a hea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inlet,
The operating unit assembly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a height at which the head is positioned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case through the elastic body and the upper plate portion is not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by an upward urg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in a state where the upper plate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상기 상판부의 저면과 밀착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표시입력기판; 및
상기 표시입력기판이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체와 체결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을 받는 홀더;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ncludes:
A display input substrate having an upp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nd a hold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nd provided with the second guide and coupled with the elastic body to receiv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표시입력기판의 저면과 측면을 지지하며 고정하는 기판홀더; 및
상기 기판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기판홀더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2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체의 탄성을 받는 홀더지지브래킷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lder comprises:
A substrate holder for holding and fixing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nd
And a holder supporting bracket detachably coupled to the substrate holder at a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holder, the second guide being provided, and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receiving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더지지브래킷에는 제2기판이 설치되는 기판 고정부가 마련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lder support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substrate fixing part on which the second substrate is mount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 마주하거나 접하는 면이 마련된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surface facing or in contact with a side wall of the cas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가 마련된 측벽은 케이스의 정면부이고,
상기 케이스의 정면부 후면과 마주하거나 접하는 홀더의 면은 전면부인 조리기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side wall provided with the first guide is a front portion of the case,
Wherein the surface of the holder which is in contact with or in contact with the front part rear face of the case is a front 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제1가이드가 마련된 케이스의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는 각각 상기 케이스와 조작유닛 조립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된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ase provided with the first guide,
Wherein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and the operation unit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제1가이드가 마련된 케이스의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스프링인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unit assembly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ase provided with the first guide,
Wherein the elastic body is a leaf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at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판스프링이고,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판스프링의 고정부는,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body is a leaf spring,
Wherein the fixing portion of the leaf spring fixed to the case is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의 조리기기의 조립방법으로서,
표시입력기판과, 표시입력기판 하부를 지지하는 홀더와, 홀더 하부에 탄성체를 조립하여 조작유닛 조립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홀더에 마련된 제2가이드를 상기 조리기기의 케이스의 측벽에 마련된 제1가이드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하는 단계;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탄성체 타단부를 조리기기의 케이스 저면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스에 상판부를 고정하며 상판부 저면이 조작유닛 조립체를 눌러 탄성체가 압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를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2가이드의 헤드를 상기 제1가이드의 투입구에 정렬하여 관통 삽입하는 단계; 및
헤드를 투입구에 삽입한 상기 단계 후, 상기 홀더를 하방으로 내려 상기 제2가이드의 헤드에서 홀더로 연장되는 네크 부위를 상기 투입구로부터 하향 연장된 슬롯에 삽입하여 상기 홀더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탄성 가세되는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판부를 고정하기 전에도 상기 헤드가 상기 슬롯에 간섭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상판부를 고정할 때 상기 홀더가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하강 안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A method of assembl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A holder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input substrate; an assembly of an elastic body at a lower portion of the holder to manufacture an operation unit assembly;
Tightening the second guide provided on the holder so as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guide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case of the cooking appliance;
Fixing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elastic body of the operation unit assemb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Fixing the upper plate to the case and pressing the operation unit assemb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compress the elastic body,
The step of fastening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includes:
Aligning the head of the second guide with the slot of the first guide and inserting the head; And
After the step of inserting the head into the slot, the neck portion downwardly extending from the head of the second guide to the holder is inserted into a slo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lot so that the hold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So that the head is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with the slot before fix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allowing the holder to be guided downwardly in a downward direction when the upper plate portion is fixed, Way.
삭제delete
KR1020160125417A 2016-09-29 2016-09-29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stable up-down moving installed therein KR1018644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417A KR101864495B1 (en) 2016-09-29 2016-09-29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stable up-down moving install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417A KR101864495B1 (en) 2016-09-29 2016-09-29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stable up-down moving installed ther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403A KR20180035403A (en) 2018-04-06
KR101864495B1 true KR101864495B1 (en) 2018-06-04

Family

ID=6197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417A KR101864495B1 (en) 2016-09-29 2016-09-29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stable up-down moving installed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49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331Y1 (en) 2000-04-26 2000-09-15 조영제 A indicating lamp on street
KR200410593Y1 (en) * 2005-12-06 2006-03-13 박춘경 Nipple high-control device for a sprinkl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457B1 (en) * 2004-10-1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range
KR101025935B1 (en) * 2008-07-22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ting apparatus and the assembling metho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331Y1 (en) 2000-04-26 2000-09-15 조영제 A indicating lamp on street
KR200410593Y1 (en) * 2005-12-06 2006-03-13 박춘경 Nipple high-control device for a sprink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403A (en)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862B1 (en) A cooker having vent
KR101931412B1 (en) A combination cooker including induction heater
KR101634193B1 (en) cooking appliance
US10408461B2 (en) Gas cooker
KR101864489B1 (en)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therein
US10969109B2 (en) Combination type cooker
KR101864495B1 (en)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apable of stable up-down moving installed therein
KR101930065B1 (en)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ooling system installed therein
KR101931413B1 (en) A cooker having cooling package for working coil installed therein
KR101851865B1 (en) A combination cooker including induction heater
US20170067646A1 (en) Gas cooker and valve assembly for gas cooker
KR101935486B1 (en) Cooking appliance
KR102481609B1 (en) 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ooling system installed therein
KR101864488B1 (en) A home appliance and guide-duct integrated fan installed therein
KR101705462B1 (en) Gas cooker
KR102481604B1 (en) Combination cooking appliance
KR101851863B1 (en) A combination type cooker having packing member installed therein
KR101870526B1 (en) Combination cooking appliance
KR101939440B1 (en) Combination cooking appliance
KR101867176B1 (en) Cooking appliance
KR101867177B1 (en) A combination cooker including induction heater
KR20220161106A (en) Electric range
KR20100084287A (en) A built-in type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