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424B1 - 휴대기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424B1
KR101864424B1 KR1020150130806A KR20150130806A KR101864424B1 KR 101864424 B1 KR101864424 B1 KR 101864424B1 KR 1020150130806 A KR1020150130806 A KR 1020150130806A KR 20150130806 A KR20150130806 A KR 20150130806A KR 101864424 B1 KR101864424 B1 KR 101864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fixing jaw
fixing
mounting bod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021A (ko
Inventor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주)신형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형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신형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15013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4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높이를 갖는 휴대기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거치되는 휴대기기의 상단 및 하단을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시켜주는 상측 거치부재 및 하측 거치부재가 동시에 길이가 연장되되,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연장가능하게 안내하는 수단이 구비된 휴대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휴대기기(M1,M2,M3)가 놓여지는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와;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고정턱(200)과;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고정턱(300)과; 상기 상부고정턱(200)과 상기 하부고정턱(300) 간을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상부고정턱(200)과 상기 하부고정턱(300)이 동시에 길이가 연장되되,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연장가능하게 안내하는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거치대{Mobile mount}
본 발명은 다양한 높이를 갖는 휴대기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거치되는 휴대기기의 상단 및 하단을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시켜주는 상측 거치부재 및 하측 거치부재가 동시에 길이가 연장되되,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연장가능하게 안내하는 수단이 구비된 휴대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주로 쓰이는 내비게이션을 거치하기 용이하고 조작이 편리하도록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기기용 거치대가 제안되고 있다.
현재 제안되고 있는 다양한 휴대기기용 거치대 중 대한민국특허청에 등록(등록특허 제10-1025432호)된 것으로,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는 대상면에 부착되는 흡착부재(8)와, 휴대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부재(4)와, 상기 흡착부재(8)와 거치부재(4) 간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6)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거치부재(4)는 휴대기기의 다양한 크기에 상관없이 휴대기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장방형이며 일단에 받침턱(40)이 형성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제1 및 제2부재(41,42)와, 상기 제1 및 제2부재(41,42)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스프링(43,44)과, 제1부재(41)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6)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마감구(45,46)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흡착부재(8)를 차량의 대상면에 흡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측의 받침턱(40)에 구비된 제2부재(42)를 잡아당기면 거치부재(4)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스프링(43,44)이 탄성신장되면서 제2부재(42)가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후, 제1 및 제2부재(41,42) 사이에 거치하고자 하는 휴대기기를 배치한 상태에서 잡아당기고 있던 제2부재(42)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한 쌍의 스프링(43,44)은 탄성복원되는데 이때, 제1 및 제2부재(41,42) 사이에 배치된 휴대기기로 인해 원형으로 복원되지 못하고, 그 잔존하는 탄성력이 제1 및 제2부재(41,42)에 가해지면서 휴대기기를 고정시켜준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작용하는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휴대기기는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에 따라 그 높이차가 현저한 차이를 갖는다.
일예로, 애플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이폰4의 높이인 세로(H1)는 115.2mm이고, 삼성전자에서 판매되고 있는 갤럭시 노트4의 높이인 세로(H2)는 153.5mm이며, 삼성전자에서 판매되고 있는 갤럭시탭S8.4 4의 높이인 세로(H3)는 212.8mm를 갖는다.
이 때문에,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는 작게는 115.2mm에서 크게는 212.8mm까지 다양한 크기 규격을 갖는 휴대기기가 안전하게 고정되게 제공해야 하지만,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는 제1 및 제2부재(41,42) 중 제2부재(42)만 길이 연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높이를 갖는 휴대기기에 모두 적용되어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4참조)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1부재(41)도 제2부재(42)와 동일하게 별도의 스프링을 장착하여 길이가 연장되게 서비스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사용자가 양 손으로 제1부재(41) 및 제2부재(42)를 동시에 잡고서 길이를 연장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기기의 고정 자체를 수행하지 못하는 새로운 문제점이 파생되기 때문에, 다양한 높이를 갖는 모든 휴대기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부재(41) 및 제2부재(42)가 동시에 길이가 연장이 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되,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연장가능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025432호(등록일자:2011년03월21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높이를 갖는 휴대기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거치되는 휴대기기의 상단 및 하단을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시켜주는 상측 거치부재 및 하측 거치부재가 동시에 길이가 연장되되,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연장가능하게 안내하는 수단이 구비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CD 투입구에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안내하는 수단이 구비된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휴대용 거치대는, 휴대기기가 놓여지는 휴대기기 거치몸체와;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고정턱과;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고정턱과; 상기 상부고정턱과 상기 하부고정턱 간을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상부고정턱과 상기 하부고정턱이 동시에 길이가 연장되되,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연장가능하게 안내하는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의 내벽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피니언기어와; 일측이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피니언기에 연결되는 태엽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상부고정턱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피니언기어의 일측에 맞물리는 상측 랙기어와; 일단이 상기 하부고정턱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피니언기어의 타측에 맞물리는 하측 랙기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휴대용 거치대에는, 일단이 상기 하부고정턱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 랙기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는 하측 외부 보강관과; 일단이 상기 상부고정턱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하측 랙기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는 상측 외부 보강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거치대에는,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의 배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측 고정날개와 하측 고정날개의 간격이 CD 투입구의 폭 보다 더 큰 간격을 갖되,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상측 고정날개가 하부로 이동하여 좁혀진 간격이 CD 투입구의 폭 보다 작은 간격을 갖아 투입고정되게 제어하는 CD투입구용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CD투입구용 고정부재는, 상측부가 개방되어 버튼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배면이 개구되어 조작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 쪽에 상기 하측 고정날개가 연결된 장착몸체와; 상기 장착몸체의 버튼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배면 쪽에 상기 상측 고정날개가 연결되고, 그 연결된 상기 상측 고정날개가 상기 장착몸체의 조작공간을 통해 노출된 버튼몸체와; 하측이 상기 장착몸체의 바닥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버튼몸체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몸체에 탄성복원력을 전달하여 상기 버튼몸체의 상측 고정날개가 상기 장착몸체의 조작공간을 이루는 상면에 가압접촉되도록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몸체의 상측 고정날개는 상부쪽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높이를 갖는 모든 휴대기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거치되는 휴대기기의 상단 및 하단을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시켜주는 상측 거치부재 및 하측 거치부재가 동시에 길이가 연장되되,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연장가능하게 안내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측 거치부재 및 하측 거치부재를 동시에 길이 연장한 후 다른 한 손에 파지된 휴대기기를 거치하여 사용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쪽에 고정을 위해 차량의 CD 투입구에 인입되는 고정용 날개들에 직접적으로 외력을 주지 않고 고정시켜주는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장기간 사용중에도 고정용 날개의 변형 없이 사용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에 다양한 높이를 갖는 휴대기기의 거치여부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 중 휴대기기 거치몸체 및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 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거치대에 다양한 높이를 갖는 휴대기기가 거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 중 CD 투입구용 고정부재를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 중 CD 투입구용 고정부재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 중 CD 투입구용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차량의 CD 투입구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는 크게, 휴대기기 거치몸체(100), 상부고정턱(200), 하부고정턱(300),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 및 CD투입구용 고정부재(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100)는 휴대기기(M1,M2,M3)의 배면이 놓여지는 부재로서, 후술되는 상부고정턱(200) 및 하부고정턱(300)이 연결될 수 있게 상측 및 하측에 연결공간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상부고정턱(200)은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상단 쪽에 배치되어,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에 놓여지는 휴대기기(M1,M2,M3)의 상단 부분에 접촉되고, 후술되는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스프링력에 의해 그 접촉된 휴대기기(M1,M2,M3)의 상단 부분을 고정시켜 휴대기기(M1,M2,M3)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게 제공하는 부재이다.
상기 하부고정턱(300)은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하단 쪽에 배치되어,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에 놓여지는 휴대기기(M1,M2,M3)의 하단 부분에 접촉되고, 후술되는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스프링력에 의해 그 접촉된 휴대기기(M1,M2,M3)의 하단 부분을 고정시켜 휴대기기(M1,M2,M3)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게 제공하는 부재이다.
상기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상부고정턱(200)과 하부고정턱(300) 간을 스프링력을 통해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상부고정턱(200)과 하부고정턱(300)이 동시에 길이가 연장되되,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연장가능하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의 세부구성은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내벽에 설치되는 지지축(410)과, 지지축(410)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피니언기어(420)와, 일측이 지지축(410)에 연결되고, 타측이 피니언기어(420)에 연결되는 태엽스프링(430)과, 일단이 상부고정턱(200)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피니언기어(420)의 일측에 맞물리는 상측 랙기어(440)와, 일단이 하부고정턱(3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피니언기어(420)의 타측에 맞물리는 하측 랙기어(4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측 랙기어(440) 및 하측 랙기어(450)는 피니언기어(420)에 맞물려 각각 상하 이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보강기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보강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일단이 하부고정턱(3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측 랙기어(44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는 하측 외부 보강관(460) 및 일단이 상부고정턱(200)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측 랙기어(45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는 상측 외부 보강관(470)이 구비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통해 다양한 높이를 갖는 휴대기기(M1,M2,M3)가 거치되는 과정을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기기(M1)의 높이인 세로(H1)가 115.2mm 정도의 작은 크기인 경우 사용자는 한 손에 휴대기기(M1)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하부고정턱(300)을 잡고서 하부 쪽으로 잡아 당기면 하부고정턱(300)에 연결된 하측 랙기어(450)도 같이 하부 쪽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하측 랙기어(450)에 일측이 맞물린 피니언기어(4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피니언기어(420)의 타측에 맞물린 상측 랙기어(440)는 상부 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측 랙기어(440)에 연결된 상부고정턱(200)도 함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상부고정턱(200)과 하부고정턱(300)이 서로 벌어지기 때문에 조금만 잡아 당겨도 된다.
여기서, 피니언기어(420)와 지지축(410)에 양단이 연결된 태엽스프링(430)은 피니언기어(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탄성압축되어진 상태이다.
이후, 한 손에 파지된 작은 사이즈의 휴대기기(M1)를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잡아 당긴 하부고정턱(300)에 가해진 힘을 서서히 제거하면, 탄성압축된 태엽스프링(430)은 탄성복원되면서 상부고정턱(200)과 하부고정턱(300)을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니언기어(4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피니언기어(420)에 각각 맞물린 상측 랙기어(440) 및 하측 랙기어(450)가 각각 하부 및 상부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측 랙기어(440) 및 하측 랙기어(450)에 연결된 상부고정턱(200)과 하부고정턱(300)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면서 작은 사이즈의 휴대기기(M1)의 상하측을 가압하여 고정시켜 준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휴대기기(M2)의 높이인 세로(H2)가 153.5mm 정도의 중간 정도의 크기인 경우에는 하부고정턱(300)을 조금 더 잡아 당기면 되고, 마지막으로 휴대기기(M3)의 높이인 세로(H3)가 큰 212.8mm 정도의 경우에도 하부고정턱(300)을 더 잡아 당길 경우 상부고정턱(200) 또한 동시에 벌어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큰 사이즈의 휴대기기(M3)도 제한 없이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CD투입구용 고정부재(500)는 휴대기기 거치몸체(100)가 연결되는 것으로, 상측 고정날개(521)와 하측 고정날개(513)의 간격(I1)이 CD 투입구의 폭(W) 보다 더 큰 간격을 갖되,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상측 고정날개(521)가 하부로 이동하여 좁혀진 간격(I2)이 CD 투입구의 폭(W) 보다 작은 간격을 갖아 투입고정되게 제어하는 부재로서, 차량의 CD 투입구에 휴대기기 거치몸체(100)가 고정될 수 있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CD투입구용 고정부재(500)의 세부구성은 상측부가 개방되어 버튼수용공간(511)이 형성되고, 배면이 개구되어 조작공간(512)이 형성되며, 배면 쪽에 하측 고정날개(513)가 연결된 장착몸체(510), 장착몸체(510)의 버튼수용공간(511)에 배치되는 것으로, 배면 쪽에 상측 고정날개(521)가 연결되고, 그 연결된 상측 고정날개(521)가 장착몸체(510)의 조작공간(512)을 통해 노출된 버튼몸체(520) 및 하측이 장착몸체(510)의 바닥에 연결되고, 상측이 버튼몸체(520)의 하면에 연결되어, 버튼몸체(520)에 탄성복원력을 전달하여 버튼몸체(520)의 상측 고정날개(521)가 상기 장착몸체(510)의 조작공간(512)을 이루는 상면에 가압접촉되도록 제공하는 스프링(5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버튼몸체(520)의 상측 고정날개(521)는 상부쪽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스프링(530)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고정되는 상측 고정날개(521)와 하측 고정날개(513)의 간격(I1)이 차량의 CD 투입구 폭(W) 보다 커서 차량의 CD 투입구로부터 본 발명의 CD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가 이탈되지 않게 제공하여 준다.
또한, 장착몸체(510)에 연결되는 하측 고정날개(513) 및 버튼몸체(520)의 상측 고정날개(521)의 개수는 도면상에는 2개로 표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휴대기기 거치대의 크기에 따라 각각 3개 내지 4개 등 다양한 개수를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스프링(5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스프링(530)이 안치되는 버튼몸체(520)의 내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어, 그 돌출된 가이드 돌기에 스프링(530)이 끼워짐으로써, 스프링(530)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휘어지지 않고 압착 및 복원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휴대기기 거치대를 차량의 CD 투입구 장착을 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CD투입구용 고정부재(500)를 이루는 장착몸체(510) 상의 버튼몸체(520)를 누르면, 버튼몸체(52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530)이 탄성압착되면서 버튼몸체(520)가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버튼몸체(520)의 배면에 연결된 상측 고정날개(521)도 함께 하부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버튼몸체(520)의 상측 고정날개(521)와 장착몸체(510)의 하측 고정날개(513)의 간격(I2)은 차량의 CD 투입구 폭(W) 보다 작아져서 상측 고정날개(521)와 하측 고정날개(513)가 자유롭게 차량의 CD 투입구로 진입가능하다.
이후, 스프링(530)의 탄성압착에 의해 간격(I2)이 좁아진 상측 고정날개(521)와 하측 고정날개(513)를 차량의 CD 투입구에 인입한다.
이후,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압착된 스프링(530)이 탄성복원되는데 이와 연동하여 버튼몸체(520)도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버튼몸체(520)의 배면에 연결된 상측 고정날개(521)도 함께 상부로 이동하여, 버튼몸체(520)의 상측 고정날개(521)와 장착몸체(510)의 하측 고정날개(513)의 간격(I1)은 차량의 CD 투입구 폭(W) 보다 커짐으로써, 본 발명의 CD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가 이탈되지 않게 제공한다.
더욱이, 상부이동된 상측 고정날개(521)는 상부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의 CD투입구에서 본 발명의 휴대기기용 거치대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안내한다.
한편, CD투입구용 고정부재(500)에 연결되는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경우 사용자가 위치한 곳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 즉, 전방위 각도로 조절가능하도록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배면에는 연결공간이 형성된 배면측 연결체(110)가 구비하고, CD투입구용 고정부재(500)에는 볼(540)이 돌출 구비됨으로써, 그 구비된 배면측 연결체(150)의 연결공간에 볼(241)이 수용되어 연결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100 : 휴대기기 거치몸체 110 : 배면측 연결체
200 : 상부고정턱 300 : 하부고정턱
410 : 지지축 420 : 피니언기어
430 : 태엽스프링 440 : 상측 랙기어
450 : 하측 랙기어 460 : 하측 외부 보강관
470 : 상측 외부 보강관 500 : CD투입구용 고정부재
510 : 장착몸체 511 : 버튼수용공간
512 : 조작공간 513 : 하측 고정날개
520 : 버튼몸체 521 : 상측 고정날개
222 : 이탈방지턱 523 : 연결돌기
530 : 스프링 540 : 볼

Claims (7)

  1. 휴대기기(M1,M2,M3)가 놓여지는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와;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고정턱(200)과;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고정턱(300)과;
    상기 상부고정턱(200)과 상기 하부고정턱(300) 간을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상부고정턱(200)과 상기 하부고정턱(300)이 동시에 길이가 연장되되, 사용자가 한 손으로 연장가능하게 안내하는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배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측 고정날개(521)와 하측 고정날개(513)의 간격(I1)이 CD 투입구의 폭(W) 보다 더 큰 간격을 갖되,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상측 고정날개(521)가 하부로 이동하여 좁혀진 간격(I2)이 CD 투입구의 폭(W) 보다 작은 간격을 갖아 투입고정되게 제어하는 CD투입구용 고정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CD투입구용 고정부재(500)는, 상측부가 개방되어 버튼수용공간(511)이 형성되고, 배면이 개구되어 조작공간(512)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 쪽에 상기 하측 고정날개(513)가 연결된 장착몸체(510)와; 상기 장착몸체(510)의 버튼수용공간(511)에 배치되는 것으로, 배면 쪽에 상기 상측 고정날개(521)가 연결되고, 그 연결된 상기 상측 고정날개(521)가 상기 장착몸체(510)의 조작공간(512)을 통해 노출된 버튼몸체(520)와; 하측이 상기 장착몸체(510)의 바닥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버튼몸체(520)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몸체(520)에 탄성복원력을 전달하여 상기 버튼몸체(520)의 상측 고정날개(521)가 상기 장착몸체(510)의 조작공간(512)을 이루는 상면에 가압접촉되도록 제공하는 스프링(5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튼몸체(520)의 상측 고정날개(521)는 상부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턱용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내벽에 설치되는 지지축(410)과;
    상기 지지축(410)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피니언기어(420)와;
    일측이 상기 지지축(4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피니언기어(420)에 연결되는 태엽스프링(430)과;
    일단이 상기 상부고정턱(200)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일측에 맞물리는 상측 랙기어(440)와;
    일단이 상기 하부고정턱(3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피니언기어(420)의 타측에 맞물리는 하측 랙기어(4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하부고정턱(3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 랙기어(44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는 하측 외부 보강관(460)과;
    일단이 상기 상부고정턱(200)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하측 랙기어(45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는 상측 외부 보강관(4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거치몸체(100)의 배면에는 연결공간이 형성된 배면측 연결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CD투입구용 고정부재(500)에는 볼(540);이 돌출구비되어, 그 구비된 배면측 연결체(150)의 연결공간에 상기 볼(540)이 수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대.
KR1020150130806A 2015-09-16 2015-09-16 휴대기기용 거치대 KR101864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06A KR101864424B1 (ko) 2015-09-16 2015-09-16 휴대기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06A KR101864424B1 (ko) 2015-09-16 2015-09-16 휴대기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021A KR20170033021A (ko) 2017-03-24
KR101864424B1 true KR101864424B1 (ko) 2018-06-05

Family

ID=5850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806A KR101864424B1 (ko) 2015-09-16 2015-09-16 휴대기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083B1 (ko) * 2018-01-26 2019-03-08 임재현 휴대폰 거치대
CN110723078B (zh) * 2019-10-28 2020-11-27 江西昌河汽车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车载平板电脑支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60B1 (ko) * 2012-06-29 2013-01-21 이동엽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241A (ko) * 1999-05-07 2000-12-05 한종환 차량용 휴대폰 걸이대
KR100811224B1 (ko) * 2006-09-01 2008-03-07 진혜민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025432B1 (ko) 2010-12-20 2011-03-28 이동엽 휴대 통신기기용 거치대
KR20120053993A (ko) * 2012-04-12 2012-05-29 주식회사포모바일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60B1 (ko) * 2012-06-29 2013-01-21 이동엽 간편한 탈부착구조의 cd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021A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4420B2 (en) Flexible screen extension structure, flexible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US8240628B2 (en) Holding apparatus
US8780546B2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8967561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TWI510164B (zh) 電子裝置
US8300388B2 (en) Accessory strap securing mechanism
US9454184B2 (en)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apparatus usable with the same
US20120211633A1 (en) Connection mechanism for support apparatus
WO2015100966A1 (zh) 便携式显示装置
US20130168288A1 (en) Support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6911344B (zh) 一种卡托组件和一种终端
KR101864424B1 (ko) 휴대기기용 거치대
CN110583103A (zh) 遥控器
US20190186679A1 (en) Support
CN103167065A (zh) 滑动机构及使用该滑动机构的电子装置
US975674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upporting module thereof
US849132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hip card ejecting mechanism
CN107197060B (zh) 悬挂装置
TWI662877B (zh) 功能元件旋轉復位裝置及電子設備
US2013005091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lot cover ejection mechanism
KR102035206B1 (ko) 거치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선풍기
CN108808365B (zh) 芯片卡固定组件及应用该芯片卡固定组件的电子装置
US8355249B2 (en) Protective cover mechanism
CN202873207U (zh) 移动终端保护壳
TW201328507A (zh) 插拔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