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339B1 -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339B1
KR101863339B1 KR1020160049401A KR20160049401A KR101863339B1 KR 101863339 B1 KR101863339 B1 KR 101863339B1 KR 1020160049401 A KR1020160049401 A KR 1020160049401A KR 20160049401 A KR20160049401 A KR 20160049401A KR 101863339 B1 KR101863339 B1 KR 101863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link
hinged
link memb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377A (ko
Inventor
김진호
박종영
장동두
김형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9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33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를 연결하여 휠체어 등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되, 각 스텝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큰 하중에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스텝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탑재공간을 형성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발판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과 프레임은 지지링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지지링크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의 하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에 의해 상부와 하부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step of the escalator for handicapp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를 연결하여 휠체어 등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되, 각 스텝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큰 하중에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 이송장치로써의 에스컬레이터는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실어 나르기 위해 사람들의 유동이 많은 건물의 층간 사이 또는 긴 복도에 설치되어진다. 특히,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이나 전철 등 역사 내의 환승통로와 같이 승객이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하는 구간이나 역사의 입출구 구간에서 일반이용객이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환승구조물로 설치 운영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건물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트러스와 트러스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트러스의 양쪽 단부에는 랜딩부가 구성되고, 트러스의 내부에는 구동모터와 스텝체인 및 스텝체인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기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텝체인에는 다수의 스텝이 연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측면 지지 프레임의 각 상부에는 핸드레일이 스텝의 주행 속도와 같은 주행속도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핸드레일은 스텝체인을 주행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주행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컬레이터는 경사부분에서는 계단식의 스템이 구성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계단식의 스텝에 탑재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지만 휠체어나 전동스쿠터와 같은 이동보조수단을 이용한 장애인의 경우에는 휠체어나 전동스쿠터를 에스컬레이터에 탑재시킬 수 있는 구조에 어려움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휠체어나 전동스쿠터 탑재구조로는 에스컬레이터와는 별도로 에스컬레이터 장치가 설치된 역사 내의 벽면에 경사 가이드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승강되는 대차를 이용한 구조가 이용되고 있으나, 에스컬레이터와 별도로 대차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9049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휠체어나 전동스쿠터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구비되어지되 스프로킷(156)의 회전에 의해 연결바(142)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텝군이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스쿠터를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 상에 설치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6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161); 상기 가이드(161) 각각의 가이드공 상에 상하로 출몰되는 지지대(162); 상기 지지대(162)의 상부면으로 설치되는 승강판(163); 상기 승강판(163)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판 작동수단; 및 상기 승강판(163)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스프로킷(156)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치결합되는 랙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9049호에 기재된 기술은 다수개의 스텝을 연결하여 휠체어가 탑승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각각의 스텝들은 연결바에 의해서만 지지되게 되므로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스텝을 연결바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연결하여 휠체어 등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게 하되, 후부에 위치하는 스텝의 하부에 지지링크를 구비하여 스텝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연결바와 지지링크가 이중으로 스텝을 지지하도록 하여 지지력을 높여주어 장시간 사용에도 연결바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텝을 지지하는 지지링크를 제1,2,3링크부재와 회동바가 서로 엇갈리게 절첩되도록 형성하되, 제3링크부재의 하단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제1,2,3링크부재가 펼쳐지면 하단에 케스터가 구비되는 회동바가 하부로 회전하도록 하여 케스터가 보조 레일과 접하도록 하여 스텝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도록 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스텝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탑재공간을 형성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발판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과 프레임은 지지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링크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의 하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에 의해 상부와 하부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링크는 제1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제3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3링크부재를 연결하는 제2링크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링크부재는 제1연결부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3링크부재는 제2연결부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2링크부재와 제2,3링크부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3링크부재의 하단에는 하부에 케스터가 구비되는 회동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링크부재의 하단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바의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바의 중심부에는 제2브라켓에 형성되는 회동축이 삽입되는 회동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동공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판에는 상기 케스터가 인출되도록 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바가 펼쳐질 경우 회동바의 하단에 구비되는 케스터는 메인 레일의 내측에 형성되는 보조 레일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스텝을 연결바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연결하여 휠체어 등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게 하되, 후부에 위치하는 스텝의 하부에 지지링크를 구비하여 스텝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연결바와 지지링크가 이중으로 스텝을 지지하도록 하여 지지력을 높여주어 장시간 사용에도 연결바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텝을 지지하는 지지링크를 제1,2,3링크부재와 회동바가 서로 엇갈리게 절첩되도록 형성하되, 제3링크부재의 하단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제1,2,3링크부재가 펼쳐지면 하단에 케스터가 구비되는 회동바가 하부로 회전하도록 하여 케스터가 보조 레일과 접하도록 하여 스텝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상태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가 적용된 스텝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가 적용된 스텝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에서 지지링크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가 적용된 스텝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가 적용된 스텝의 후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에서 지지링크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우선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경사지게 형성되는 메인 레일에 각 스텝(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케스터(430)가 지지되어 메인 레일을 따라 스텝(200)들이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스텝(200)은 장애인 모드로 작동될 경우,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스텝(200)들이 서로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면에 탑재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휠체어나 카트 등이 탑재될 수 있어, 장애인이 휠체어 등에 탑승한 상태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텝(200)은 사용자가 탑승하는 발판(300)과 상기 발판(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프레임(4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텝(200)들 중 일부는 발판(300)의 하부에 전후 슬라이딩되는 연결바(320)와 연결바가 삽입되는 연결부재(310)를 구비하여 장애인 모드에서 인접한 스텝(200)이 서로 수평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320)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성은 렉, 피니언 구조 등의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된 다수 개의 스텝(200)은 발판(300)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후부에 위치하는 스텝(200)의 발판(300)은 프레임(400)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발판(300)과 프레임(400)은 지지링크(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발판(300)의 하면에는 제1브라켓(33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400)의 하판(410) 상면에는 제2브라켓(420)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링크(500)의 상부는 제1브라켓(330)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되고, 지지링크(500)의 하부는 제2브라켓(420)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링크(500)는 제1브라켓(330)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부재(510)와 상기 제2브라켓(420)에 힌지결합되는 제3링크부재(530)와 상기 제1,2링크부재(510,530)를 연결하는 제2링크부재(520)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장애인 모드로 작동할 경우에는 링크부재(500)가 펼쳐져서 발판(3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연결바(320)와 링크부재(500)로 분산됨으로써, 하중이 큰 휠체어 등이 탑재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되며,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연결바(3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일반모드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2,3링크부재(510,520,530)이 절첩되어 각 스텝(200)이 계단 형태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링크부재(510,520)는 제1연결부재(550)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제1링크부재(510)의 하단은 제1연결부재(550)의 상부와 힌지결합되고, 제2링크부재(520)의 상단은 제1연결부재(550)의 하부와 힌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3링크부재(520,530)는 제2연결부재(560)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제2링크부재(520)의 하단은 제2연결부재(56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제3링크부재(530)의 상단은 제2연결부재(560)의 하부와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2연결부재(550,56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2,3링크부재(510,520,530)이 일측 방향으로만 절첩되게 되는데, 상기 제1,2링크부재(510,520)와 제2,3링크부재(520,53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첩되게 연결되어, 상기 지지링크(500)가 완전히 절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3링크부재(530)의 하부에는 하단에 케스터(544)가 구비되는 회동바(540)가 힌지 결합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3링크부재(530)의 하단은 상기 제2브라켓(420)에 힌지결합되며, 힌지결합된 부분에서 절곡부(532)가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데, 상기 절곡부(532)의 단부에 회동바(540)의 상단이 힌지결합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420)의 측부에는 회동축(422)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동축(422)은 상기 회동바(540)의 중심부에는 형성되는 회동공(542)에 삽입되게 되며, 상기 회동공(542)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래서, 장애인 모드로 에스컬레이터가 운행될 경우 다수 개의 스텝(200)이 연결되어 후부의 스텝(200)이 발판(300)과 프레임(400)이 이격되면서 지지링크(500)가 펼쳐지게 되면, 제3링크부재(530)가 제2브라켓(420)과의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절곡부(532)가 회전하게 되며, 절곡부(532)의 단부에 힌지결합된 회동바(540)는 제2브라켓(420)의 회동축(4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회동바(540)의 단부에 구비되는 케스터(544)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링크(500)가 펼쳐지게 되면, 지지링크(500)의 하단에 구비되는 회동바(540)가 회전하여 케스터(544)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메인 레일의 내측에는 추가적으로 보조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케스터(544)가 보조 레일과 접하게 되어, 발판(300)을 통하여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링크(500)을 통하여 상기 보조 레일로 전달하게 됨으로써,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400)을 형성하는 하판(410)에는 상기 회동바(540) 및 케스터(544)에 대응되도록 인출구(412)가 형성되어 지지링크(500)가 펼쳐지게 되면, 하판(410)의 상부에 위치하던 회동바(540)가 인출구(412)를 통하여 하부로 인출되고 그에 따라 케스터(544)가 하부로 인출되게 되어 케스터(544)가 보조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를 연결하여 휠체어 등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되, 각 스텝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큰 하중에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00 : 스텝 300 : 발판
310 : 연결부재 320 : 연결바
330 : 제1브라켓 400 : 프레임
410 : 하판 420 : 제2브라켓
430 : 케스터 500 : 지지링크
510 : 제1지지부재 520 : 제2지지부재
530 : 제3지지부재 540 : 회동바
550 : 제1연결부재 560 : 제2연결부재

Claims (9)

  1. 스텝을 연결하여 탑재공간을 형성하는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발판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과 프레임은 지지링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지지링크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의 하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에 의해 상부와 하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지지링크는 제1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제3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3링크부재를 연결하는 제2링크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링크부재의 하단에는 하부에 케스터가 구비되는 회동바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3링크부재의 하단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바의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바의 중심부에는 제2브라켓에 형성되는 회동축이 삽입되는 회동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링크부재는 제1연결부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3링크부재는 제2연결부재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2링크부재와 제2,3링크부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공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상기 케스터가 인출되도록 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가 펼쳐질 경우 회동바의 하단에 구비되는 케스터는 메인 레일의 내측에 형성되는 보조 레일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KR1020160049401A 2016-04-22 2016-04-22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KR101863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401A KR101863339B1 (ko) 2016-04-22 2016-04-22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401A KR101863339B1 (ko) 2016-04-22 2016-04-22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377A KR20170121377A (ko) 2017-11-02
KR101863339B1 true KR101863339B1 (ko) 2018-06-04

Family

ID=6038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401A KR101863339B1 (ko) 2016-04-22 2016-04-22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82B1 (ko) 2020-12-31 2022-05-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형 스마트 에스컬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375A (ja) * 1983-03-18 1984-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タ装置
JP4041874B2 (ja) * 1997-07-18 2008-02-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車いす兼用エスカレ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82B1 (ko) 2020-12-31 2022-05-3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형 스마트 에스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377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2020023306A (ja) 車椅子の乗客を飛行機に搭乗させるための入れ子式乗客階段用のリフト
KR101372262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KR102068931B1 (ko) 이동가능한 계단겸용 장애인용 리프트장치
KR101863339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KR101940648B1 (ko)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JPH07315742A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KR101644622B1 (ko)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KR100466446B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JP4689102B2 (ja) 階段昇降機
KR101583706B1 (ko)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37880B1 (ko) 교통약자용 계단 이송 장치
KR101913710B1 (ko)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JPS597630B2 (ja) 階段昇降装置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KR101583708B1 (ko)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1644625B1 (ko)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KR101732919B1 (ko) 에스컬레이터용 휠체어 탑재구간의 0.5 스텝장치
JP2001199656A (ja) 階段昇降機
CN220745038U (zh) 一种辅助上楼机
JPH1059658A (ja) 階段昇降座席装置
JP2000118971A (ja) 段差解消装置
JP3097909B2 (ja) 階段昇降機
KR100211351B1 (ko) 철도차량의 장애자용 승하차장치
JPH0826648A (ja) マン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