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653B1 - Holder for vehicle with variable spacer - Google Patents

Holder for vehicle with variable spac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653B1
KR101862653B1 KR1020160102922A KR20160102922A KR101862653B1 KR 101862653 B1 KR101862653 B1 KR 101862653B1 KR 1020160102922 A KR1020160102922 A KR 1020160102922A KR 20160102922 A KR20160102922 A KR 20160102922A KR 101862653 B1 KR101862653 B1 KR 101862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pacer
terminal
widt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8039A (en
Inventor
최문수
Original Assignee
최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수 filed Critical 최문수
Priority to KR102016010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653B1/en
Publication of KR2018001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0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6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장착하는 홀더(16)가 구비된 차량용거치대에 있어서, 얇은 판넬로 이루어져 삽입깊이나 삽입각도에 따라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스페이서(15)를, 상기 홀더(16)와 거치대판넬(12) 사이의 틈새(14)에 삽입하여 상기 홀더(16)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홀더(16)에 단말기의 장착을 쉽게 하여 탈착부분이 마찰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스페이서(15)의 삽입 각도나 깊이에 따라 홀더(16)의 폭을 각각 너비가 다른 단말기에 알맞도록 가변시킨 후에는 홀더 자체의 텐션만으로도 단말기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 없이 단말기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가변형 스페이서(15)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holder for mounting a terminal, wherein a spacer, which is made of a thin panel and can vary in width according to an insertion depth or an insertion angle, The width of the holder 16 can be changed by inserting the holder 16 into the gap 14 between the holder 12 and the holder 16 so that the terminal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holder 16 to prevent the detachable portion from being damaged due to fric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terminal with the tension of the holder itself after varying the width of the holder 16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gle or depth of the holder 16 so as to be suitable for terminals having different width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nt for a vehicle having a variable spacer 15 so as to mount the terminal quickly and stably.

Description

가변형 스페이서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HOLDER FOR VEHICLE WITH VARIABLE SPACER}[0001] DESCRIPTION [0002] HOLDER FOR VEHICLE WITH VARIABLE SPACER [

본 발명은 단말기를 장착하는 홀더(16)가 구비된 차량용거치대에 있어서, 얇은 판넬로 이루어져 삽입각도나 삽입깊이에 따라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스페이서(15)를, 상기 홀더(16)와 거치대판넬(12) 사이의 틈새(14)에 삽입하여 상기 홀더(16)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홀더(16)에 폭의 크기가 다른 단말기의 장착을 쉽게 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vehicle having a holder for mounting a terminal, wherein a spacer (15) made of a thin panel and capable of varying the width according to an insertion angle or insertion depth is mounted on the holder (16) And the width of the holder 16 can be changed by inserting it into the gap 14 between the holder 12 and the holder 16 so that mounting of terminals having different widths is facilitated in one holder 16.

이에 따라 단말기의 탈착에 따른 홀더(16)나 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하며, 스페이서(15)의 삽입 각도나 깊이에 따라 홀더(16)의 폭을 각각 너비가 다른 단말기에 알맞도록 가변시킨 후에는 홀더 자체의 텐션만으로도 단말기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 없이 단말기를 신속하고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가변형 스페이서(15)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holder 16 and the terminal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terminal and after the width of the holder 16 is varied to suit the terminal having a different width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gle or depth of the spacer 1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radle having a variable spacer 15 so that a terminal can be easily fixed only by its own tension and a terminal can be quickly and stably mounted regardless of the size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일반적으로 차량용 거치대의 단말기 장착부분은 폭이 고정되어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가 다양해진 오늘날의 실정에는 맞지 않으며, 기존의 단말기보다 폭이 넓은 단말기를 장착할 시 홀더의 벌림 정도가 더 커져서 텐션을 많이 받게 됨으로써 단말기나 홀더에 손상을 줄 수 있고, 탈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In general, the terminal mounting portion of a car docking station is not suitable for today's situation where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varied due to its fixed width, and when the terminal having a width wid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terminal is install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 damage the terminal or the holder, and it is troublesome to attach and detach it.

이에 별개로 만들어진 각각의 홀더를 상하 또는 좌우로 확장할 수 있는 확장장치가 구비된 홀더가 등장하였다.A holder having an expansion device capable of vertically or horizontally expanding each of the separately formed holders has appeared.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을 이용한 별도의 확장장치가 구비된 홀더의 경우, 조작이 번거로워질 뿐만 아니라, 홀더를 확장하거나 조이기 위하여 내부의 복잡한 기구물들을 계속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잦은 작동으로 인하여 홀더가 마모되거나 고장이 날 확률이 높으며, 부품 개수가 많아짐으로 인하여 거치대가 무거워지고, 제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holder equipped with a separate extension device using a conventional spring, since not only the operation is troublesome but also the complicated internal mechanisms are continuously operated to expand or tighten the hold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bability of this day is high and the number of parts is increased, which causes the mounting base to be heavy and causes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기존의 단말기 거치대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사이즈가 큰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면, 거치대를 전면 교체하여야 하므로 소비자에게 전적으로 비용 부담이 전가되는 단점이 있어, 다양한 크기의 단말기를 손쉽고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가변형 스페이서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terminal is used, a large-sized terminal is required to completely replace the terminal, so that a cost burden is totally transferred to a consumer. Thu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vehicle mount.

한국 등록 특허 제20-0455389호Korean Patent No. 20-0455389 한국 등록 특허 제10-1403413호Korean Patent No. 10-14034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기를 장착하는 홀더(16)가 구비된 차량용거치대에 있어서, 얇은 판넬로 이루어져 삽입각도나 삽입깊이에 따라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스페이서(15)를, 상기 홀더(16)와 거치대판넬(12) 사이의 틈새(14)에 삽입하여 상기 홀더(16)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홀더(16)에 폭의 크기가 다른 단말기의 장착을 쉽게 하도록 하고, 탈착부분이 마찰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 없이 단말기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가변형 스페이서(15)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ount having a holder for mounting a terminal, the mount including a spacer 15 made of a thin panel, The width of the holder 16 can be varied by inserting the holder 16 into the gap 14 between the holder 16 and the shelf panel 12,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dle for a vehicle having a variable spacer 15 so as to make it easy to mount the cradle, to prevent the detachable portion from being damaged due to friction, and to mount the terminal quickly and stab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Furth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를 장착하는 홀더(16)가 구비된 차량용거치대에 있어서, 단말기를 지지하는 거치대판넬(12)과, 상기 거치대판넬(12)을 차량에 거치하는 거치대프레임, 상기 거치대판넬(12)에 단말기를 고정하는 홀더(16)와, 상기 홀더(16)의 폭을 가변시키는 스페이서(15)로 구성되되, 상기 스페이서(15)를 홀더(16)와 거치대판넬(12) 사이의 틈새(14)에 삽입하여 상기 홀더(16)의 폭을 가변시켜 폭이 다른 단말기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가변형 스페이서(15)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에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mount having a holder for mounting a terminal, the mount including a mount panel for supporting the terminal, a mount frame for mounting the mount mount panel on the vehicle, A holder 16 for fixing the terminal to the cradle panel 12 and a spacer 15 for varying the width of the holder 16 so that the spacer 15 is held between the holder 16 and the cradle panel And a variable spacer (15) for mounting terminals having different widths by varying the width of the holder (16) by inserting it into a gap (14) between the terminals (12).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치대판넬(12)의 후면에 거치대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수단(13)이 구비되고, 상기 홀더(16)는 상기 연결수단(13)에 결합되되, 상기 홀더(16)는 상기 거치대판넬(12)의 후면과 틈새(14)를 유지하도록 결합한다.The holder 1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ans 13 and the holder 16 is connected to the holder frame 16 by means of the connecting means 13, So as to hold the gap (14)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panel (12).

이때 상기 홀더(16)는 상기 연결수단(13)에 결합되는 결합부(17)와, 상기 결합부(17)의 양쪽에 연결되는 날개부(18)로 이루어지되, 상기 날개부(18)는 거치대 판넬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단부(19)와 거치대판넬(12)의 전단에 위치하는 전단부(20)로 구성된다.The holder 16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7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13 and a wing portion 18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17, And a front end portion 19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cradle panel and a front end portion 20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cradle panel 12.

또한, 상기 스페이서(15)는 상기 연결수단(13)에 끼울 수 있는 끼움부(10)와, 상기 홀더(16)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외주면(11)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변외주면(11)은 상기 스페이서(15)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별로 상이한 폭 너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acer 15 is composed of a fitting portion 10 that can be fitted to the connecting means 13 and a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 capable of varying the width of the holder 16, 11 may have different widths depending on the central axis of the spacer 15.

나아가, 상기 스페이서(15)는 상기 틈새(14)에 끼워져 가변외주면(11)에 의하여 상기 홀더(16) 후단부(19)의 폭을 가변시킴으로써 이와 비례하여 상기 홀더(16) 전단부(20)의 폭을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spacer 15 is inserted into the gap 14 to vary the width of the rear end portion 19 of the holder 16 by the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20 of the holder 16, To be varie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해 거치대를 설치함으로써 거치대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고, 홀더(16)에 단말기의 장착을 쉽게 하여 탈착부분이 마찰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 없이 단말기를 신속하고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radle by installing the cradl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the terminal to the holder 16 so as to prevent the detachable portion from being damaged due to friction. So that the terminal can be quickly, stably, and firmly mounted.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변외주면이 L1 > L2 > L3 를 이루는 스페이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가 L3 너비로 삽입된 거치대판넬의 후면부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가 L2 너비로 삽입된 거치대판넬의 후면부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가 L1 너비로 삽입된 거치대판넬의 후면부 및 평면도
도 6는 단말기가 장착되기 전 거치대의 정면도
도 7은 거치대에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ide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ar cradle.
FIG. 2 is a plan view of a spacer having a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L1>L2> L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lan view of a rear portion and a top view of a cradle panel in which a spacer is inserted at a width of L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ar portion and a top view of a cradle panel in which spacers are inserted at a width of L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ar portion and a top view of a cradle panel in which spacers are inserted at a width of L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the holder before the terminal is mounted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terminal is mounted on a crad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replaceable as equivalents in the ele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변외주면이 L1 > L2 > L3 를 이루는 스페이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가 L3 너비로 삽입된 거치대판넬의 후면부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가 L2 너비로 삽입된 거치대판넬의 후면부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가 L1 너비로 삽입된 거치대판넬의 후면부 및 평면도, 도 6는 단말기가 장착되기 전 거치대의 정면도, 도 7은 거치대에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 spacer having a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1> L2> L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rear surface portion of a cradle panel in which a spacer is inserted at a width of L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and a plan view of a cradle panel in which a spacer is inserted at a width of L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rear view and a plan view of a cradle panel in which a spacer is inserted at a width of L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holder before the terminal is mounted, and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holder.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식 차량용 거치대는, 얇은 판넬로 이루어져 삽입각도나 삽입깊이에 따라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각각 폭이 다른 부위를 갖는 스페이서(15)를, 상기 홀더(16)와 거치대판넬(12) 사이의 틈새(14)에 삽입하여 상기 홀더(16)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홀더(16)에 단말기의 장착을 쉽게 하여 탈착부분이 마찰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스페이서(15)의 삽입 각도나 깊이에 따라 홀더(16)의 폭을 각각 너비가 다른 단말기에 알맞도록 가변시킨 후에는 홀더 자체의 텐션만으로도 단말기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 없이 단말기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insertable type vehi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cer 15, which is formed of a thin panel and has portions having different widths so as to vary a width according to an insertion angle or an insertion depth, The holder 16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holder 16 by inserting the holder 16 into the gap 14 between the holder 16 and the panel 12 to change the width of the holder 16, The terminal can be easily fixed only by the tension of the holder itself after varying the width of the holder 16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gle or depth of the spacer 15 so as to be suitable for terminals having different widths, So that the terminal can be quickly and stably mount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페이서(15)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는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6)와 거치대판넬(12)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틈새(14)에 판재로 이루어진 스페이서(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3, the vehicle cradle including the variable spacer 1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in a gap 14 which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holder 16 and the cradle panel 12 So that the spacer 15 can be inserted.

여기서 스페이서(15)는 도3의 연결수단(13)에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끼움부(10)와, 홀더(16)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외주면(11)으로 구성되는데, 도2의 일 실시예에서 보듯 상기 가변외주면(11)의 너비가 다양하므로 삽입깊이에 따라 또는 회전시 홀더(16)에 닿는 부분의 횡측 너비가 달라지게 된다. 특히 도3 내지 도5에서 보듯, 스페이서(15)를 연결수단(1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 폭 너비가 L1, L2, L3...Ln 등으로 상이하게 되며, 이때 폭의 너비는 L1 > L2 > L3 ... > Ln 으로 다단을 이루게 된다. The spacer 15 is composed of a fitting portion 10 to be fitted to the connecting means 13 of Fig. 3 and a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 capable of varying the width of the holder 16, Since the width of the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 vari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ateral width of the portion contacting the holder 16 varies depending on the insertion depth or rotation. As shown in FIGS. 3 to 5, when the spacer 15 is rotated about the connecting means 13 as a center axis, the widths of the spacers 15 differ by L1, L2, L3, ..., Ln, > L2> L3 ...> Ln.

또한 도2에서 보듯 스페이서(15)를 거치대와 일체형으로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끼움부(10)를 통하여 홀더의 연결수단(13)과 분리가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스페이서(15)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너비가 다양한 단말기나 단말기의 케이스 장착 유무, 또는 두께가 다른 어떠한 케이스를 끼우더라도 이에 관계 없이 단말기를 손쉽고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2, the spacers 15 can be replaced with spacers 15 of various sizes by making it possible to separate the spacer 15 from the connecting means 13 of the holder through the fitting portion 10, instead of designing the spacer 15 integrally with the cradle. It is desirable that the terminal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moun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terminal has a wide width,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mounted on a case, or any case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그리고 도3에서 보듯이 상기 거치대 판넬의 후면에는 차량에 설치되는 거치대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13)이 구비되는데, 이 연결수단(13)에 상기 홀더(16)가 결합하게 되며, 상기 홀더(16)는 이처럼 상기 연결수단(13)과 결합되는 결합부(17)와, 상기 결합부(17)의 측면 양쪽에 연결되는 날개부(18)로 이루어지되, 상기 날개부(18)는 거치대 판넬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단부(19) 및 거치대판넬(12)의 전단에 위치하여 단말기를 직접 고정시키는 전단부(20)로 구성되며 전단부(20)에는 단말기와 맞닿아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21)가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on the rear surface of the cradle panel, there is provided a connecting means 13 for connecting a cradle frame to be mounted on the vehicle. The holder 16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ans 13, The wing portion 16 is formed of a coupling portion 17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13 and a wing portion 18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17, And a front end portion 20 which is positioned at a front end of the rear end panel 19 and a front end panel 12 which ar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panel and directly fixed to the terminal. In the front end portion 20, A protruding portion 21 is provided.

이때 상기 전단부(20) 및 돌출부(21)에는 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20) and the protrusion (21)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a non-slippery portion for fixing the terminal.

또한 상기 스페이서(15)의 가변외주면(11)은 상기 홀더(16)와 맞닿게 되고, 홀더(16) 전단부(20)에 각 마주보고 대칭을 이루는 돌출부(21)의 가장 짧은 거리를 D이라 할 때, 스페이서(15)의 삽입깊이 또는 상기 연결수단(1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때마다 달라지는 가변외주면(11)의 너비에 따라 D의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The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 of the spacer 15 abuts against the holder 16 and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protruding portions 21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20 of the holder 16 is D The length of D varies depending on the insertion depth of the spacer 15 or the width of the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 which varies with rotation about the connecting means 13 as a central axis.

특히 도2의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15)의 외주면의 폭 너비가 각도에 따라 L1, L2, L3, ... Ln 등으로 달라진다고 할 때, 도3 내지 도5에서 보듯이 너비 또한 L1 > L2 > L3 ... > Ln을 이루며, 도3 내지 도5에서처럼 상기 스페이서(15)가 여러 각도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홀더(16)의 후단부(19)의 폭 너비도 스페이서(15)의 가변외주면(11)의 너비에 대응하여 L1 > L2 > L3 ... > Ln 으로 변화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acer 15 varies in accordance with angles, such as L1, L2, L3, ..., Ln, The width of the rear end portion 19 of the holder 16 is also adjust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5 of the spacer 15 by the insertion of the spacer 15 at various angles as shown in FIGS. 11 > to Ln >

이에 따라 도3 내지 도5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전단부(20)의 돌출부(21)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인 D는 각 L1에 대응되는 D1, L2에 대응되는 D2, L3에 대응되는 D3, Ln에 대응되는 Dn으로 달라지게 되며, 스페이서(15)의 외주면의 너비와 마찬가지로 D1 > D2 > D3 > ... > Dn을 이루게 된다.3 to 5,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s 21 of the front end portion 20 is D1 corresponding to each L1, D2 corresponding to L2, D3 corresponding to L3, Ln corresponding to L3, D2> D3> ...> Dn as in the case of th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acer 15.

이때, Dn은 상이한 단말기들의 폭 너비보다 좁게되어, 단말기를 밀어넣으면 상기 돌출부(21)와 상기 홀더(16)의 전단부(20)로써 단말기의 측면이 고정되고, 단말기의 후면은 거치대판넬(12)의 전면부에 맞닿음으로써 도7에서 보이듯 안정적으로 단말기가 거치되게 된다. 즉, 이로써 폭 너비가 각기 다른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탈착시 마찰로 인하여 단말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신속하고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Dn is narrower than the width width of different terminals. When the terminal is pushed in, the side of the terminal is fix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21 and the front end portion 20 of the holder 16,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is fixed to the cradle panel 12 The terminal is stably stood as shown in FIG. That is,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mount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deteriorating the terminal due to fric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detached with different width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기의 탈착이 더욱 용이하도록 탄성력을 갖춘 재질의 홀더(1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holder 16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the termina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끼움부 11 : 가변외주면
12 : 거치대판넬 13 : 연결수단
14 : 틈새 15 : 스페이서
16 : 홀더 17 : 결합부
18 : 날개부 19 : 후단부
20 : 전단부 21 : 돌출부
10: fitting portion 11: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 cradle panel 13: connecting means
14: Clearance 15: Spacer
16: holder 17:
18: wing portion 19: rear end portion
20: front end portion 21:

Claims (5)

단말기의 탈착에 따른 홀더(16)나 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하며, 스페이서(15)의 삽입 각도나 깊이에 따라 홀더(16)의 폭을 각각 너비가 다른 단말기에 알맞도록 가변시킨 후에는 홀더 자체의 텐션만으로도 단말기를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 없이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가변형 스페이서(15)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를 지지하는 거치대판넬(12); 상기 거치대판넬(12)을 차량에 거치하는 거치대프레임; 상기 거치대판넬(12)에 단말기를 고정하는 홀더(16); 상기 홀더(16)의 폭을 가변시키는 스페이서(15)가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서(15)를 홀더(16)와 거치대판넬(12) 사이의 틈새(14)에 삽입하여 상기 홀더(16)의 폭을 가변시켜 폭이 다른 단말기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가변형 스페이서(15)가 구비하되
상기 거치대판넬(12)의 후면에는 거치대프레임과 연결되는 연결수단(13)이 구비되고, 상기 홀더(16)는 상기 연결수단(13)에 결합되되, 상기 홀더(16)는 상기 거치대판넬(12)의 후면과 틈새(14)를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홀더(16)는 상기 연결수단(13)에 결합되는 결합부(17)와, 상기 결합부(17)의 양쪽에 연결되는 날개부(18)로 구성되되, 상기 날개부(18)는 거치대 판넬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단부(19)와 거치대판넬(12)의 전단에 위치하는 전단부(20) 및 단말기와 직접 맞닿는 돌출부(21)로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15)는 상기 틈새(14)에 끼워져 가변외주면(11)에 의하여 상기 홀더(16) 후단부(19)의 폭을 가변시킴으로써 이와 비례하여 상기 홀더(16) 전단부(20)의 폭을 변화시키되
상기 스페이서(15)는 연결수단(1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이때 상기 홀더(16)와 맞닿는 상기 돌출부(21)는 서로 마주보고 대칭을 이루며, 상기 마주보는 돌출부(21)가 이루는 가장 짧은 거리를 L1이라 할 때, 상기 스페이서(15)가 상기 연결수단(1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때마다 상기 홀더(16)와 맞닿게 되는 상기 돌출부(21)가 이루는 거리는 상기 L1과 달라지고,
이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15)의 외주면의 폭 너비가 각도에 따라 L1, L2, L3, ... Ln 로 달라져 상기 스페이서(15)가 여러 각도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홀더(16)의 후단부(19)의 폭 너비도 스페이서(15)의 가변외주면(11)의 너비에 대응하여 L1 > L2 > L3 ... > Ln 으로 변화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스페이서(15)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holder 16 or the terminal due to detachment of the terminal and to change the width of the holder 16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gle or depth of the spacer 15 so as to be suitable for terminals having different widths, And a variable spacer (15) for holding the terminal regardless of the size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by allowing the terminal to be easily fixed with only the tension
A cradle panel (12) for supporting the terminal; A cradle frame for mounting the cradle panel 12 on a vehicle; A holder (16) for fixing the terminal to the cradle panel (12); A spacer 15 for varying the width of the holder 16 is provided,
The spacer 15 is inserted into the gap 14 between the holder 16 and the stand panel 12 to vary the width of the holder 16 so as to mount terminals having different widths. And
The holder 1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ans 13 and the holder 16 is connected to the cradle panel 12 via a connecting means 13 connected to the cradle frame 12 on the rear surface of the cradle panel 12, ) And the gap 14
The holder 16 is composed of a coupling portion 17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13 and a wing portion 18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17, A rear end portion 19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panel and a front end portion 20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shelf panel 12 and a protruding portion 21 contacting with the terminal directly
The spacer 15 is inserted in the clearance 14 to vary the width of the rear end portion 19 of the holder 16 by the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 so that the width of the front end portion 20 of the holder 16 To change
The spacers 15 are configured to rotate with the connecting means 13 as a central axis and the protrusions 21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holder 16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opposed protrusions 21 The distance formed by the projecting portion 21 which abuts against the holder 16 every time the spacer 15 rotates about the connecting means 13 as a center axis is defined as L1 And,
Th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acer 15 is changed to L1, L2, L3, ... Ln according to the angle so that the rear end 19 of the holder 16 is inserted, Wherein the width of the spacer (15) is changed to L1>L2> L3 ...> L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variab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 of the spacer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02922A 2016-08-12 2016-08-12 Holder for vehicle with variable spacer KR1018626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22A KR101862653B1 (en) 2016-08-12 2016-08-12 Holder for vehicle with variable spa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22A KR101862653B1 (en) 2016-08-12 2016-08-12 Holder for vehicle with variable spa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039A KR20180018039A (en) 2018-02-21
KR101862653B1 true KR101862653B1 (en) 2018-05-31

Family

ID=6152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922A KR101862653B1 (en) 2016-08-12 2016-08-12 Holder for vehicle with variable spac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6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7474A1 (en) * 2019-01-04 2020-07-08 Samsonite IP Holdings S.àr.l Hold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290B2 (en) 1992-04-03 2001-05-14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Gas sensor
KR101112601B1 (en) * 2011-08-30 2012-02-16 주식회사 태성화이어 Holder apparatus of smart-phon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290B2 (en) 1992-04-03 2001-05-14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Gas sensor
KR101112601B1 (en) * 2011-08-30 2012-02-16 주식회사 태성화이어 Holder apparatus of smart-phon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039A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2779B2 (en) Multi-device dash mount for vehicles
US9682738B1 (en) Combination water bottle and phone holder with mirror
US8899537B2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EP2612489B1 (en) Support for mobile terminal, that can receive mobile terminals of different dimensions
US10220797B2 (en) Anti-vibration mount for an in-vehicle video display
US20160018051A1 (en) Holding device
KR101862653B1 (en) Holder for vehicle with variable spacer
KR101753520B1 (en) A smartphone cradle
KR200455407Y1 (en) Portable Terminal Cradle for Motorcycle
CN102548326B (en) Electronic device
US9341202B2 (en) Support device
US8848352B2 (en) Display device
KR101304305B1 (en) Supporter for vehicles
KR20180000621U (en) Stand for mobile phone
US20230092192A1 (en) Damping bracket for supporting articles and protective case for elecronic device with same
KR20190056224A (en) Vehicle Only Smartphone Charging cradle and Smart phone case
KR200494299Y1 (en) Notebook Computer Stand
KR101689251B1 (en) Banner frame
KR200488289Y1 (en) Stand of portable terminal
KR200486313Y1 (en) Blowhole holder for vehicle
KR20130001512U (en) Smart phone Mounts
KR101939705B1 (en) Case stand for mobile terminal
KR20190140317A (en) Apparatus for attaching protective film on portable terminals
CN217634652U (en) Shooting support
CN217329109U (en) Shooting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