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109B1 -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109B1
KR101862109B1 KR1020150021725A KR20150021725A KR101862109B1 KR 101862109 B1 KR101862109 B1 KR 101862109B1 KR 1020150021725 A KR1020150021725 A KR 1020150021725A KR 20150021725 A KR20150021725 A KR 20150021725A KR 101862109 B1 KR101862109 B1 KR 101862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communication
portable persona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352A (ko
Inventor
김남균
박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칼라세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칼라세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칼라세븐
Priority to KR102015002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109B1/ko
Priority to PCT/KR2016/001380 priority patent/WO2016129928A1/ko
Publication of KR20160099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G06F19/34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가, 저출력 광선조사기를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이어폰 단자 또는 외부통신 단자(예로 USB 단자) 또는 충전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되,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는 기 설정된 질병에 따라서, 또는 기설정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에 따라서 저출력 광선조사기를 구동하여 치료하고, 치료전후 질병상태를 평가하여 저장하여,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로 통계처리를 행하고, 이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 중앙부에 광원을 구비하는 광선조사 전극을 일단에 장착하는, 광선 조사기; 이어폰 단자 또는 USB 단자 또는 충전단자 중의 어느 하나가, 광선 조사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어, 광선 조사기의 광선의 파장, 광선의 세기, 광선조사 시간 및 광선조사의 패턴을 제어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광선조사 제어신호에 의해 광선조사기가 구동이 시작되는, 광선조사 시작단계; 광선조사 시작단계 후, '광선조사 정지' 버튼이 선택되거나, 광선조사 시간이 종료되었다면, 광선조사기의 구동을 종료하고,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대답에 대한 점수를 읽어들이고,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메인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치료결과 자가평가단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일단위 또는 주단위 또는 월단위로 통계처리하여, 그래프, 문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치료결과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Application for low level light therapy using personal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가, 저출력 광선조사기를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이어폰 단자 또는 외부통신 단자(예로 USB 단자) 또는 충전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되,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는 기 설정된 질병에 따라서, 또는 기설정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에 따라서 저출력 광선조사기를 구동하여 치료하고, 치료전후 질병상태를 평가하여 저장하여,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로 통계처리를 행하고, 이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은 행동추적, 신체 정보 모니터링, 다이어트 및 체중감량 관리, 운동법 제공, 의료/건강 정보 및 갬페인 제공, 의료 정보 엑세스 및 예약관리, 의료담당자용 관리 프로그램, 건강 통합 서비스 웹 분야로 나뉘어 있다.
현재 애플리케이션 마켓에 등록되어 있는 헬스케어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대부분 행동 추적 기능을 활용한 피트니스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에 알려진 대부분의 치료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능동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정도 관리를 하는데 그치고 있다.
특히, 저출력 광선치료는 다양한 파장대역의 저출력 광선 에너지로 인체를 자극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피로회복이나 피부 미용 등을 목적으로, 혹은 대체 의학 및 통증치료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에는 한의학이나 대체의학 분야에서 저출력 광선치료의 광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경락의 기혈이 신체 표면에 모여 통과하는 경혈 부위를 자극함으로써 해당 경혈 부위와 말초신경계로 연결되어 있는 특정 신체 부위나 내부 장기에 대한 치료, 통증이나 염증 등의 치료(예컨대, 생리통 치료나 화상 치료 등), 중풍과 치매의 예방 및 치료, 혹은 건강관리를 도모하는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저출력 광선치료를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과 접목한 기기가 요망된다.
선행기술로, 동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385707호 '가시광선을 이용한 색광 치료 시스템'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85707호는 색광 치료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는 사용자가 색광 치료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선택하는 색광 치료용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치료나 예방 목적의 질병을 선택하는 질병별 질병명 아이콘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 사용자가 선택한 질병의 특징과 치료방법에 대한 안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 사용자가 선택한 질병의 색광 치료 시행 시의 광선의 조사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한 안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 사용자가 선택한 질병의 색광 치료 시행 시의 광선의 조사위치에 대한 안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 사용자가 색광 치료를 위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광선 조사시간 설정버튼, 광선밝기 조절버튼, 광선 조사패턴 설정버튼, 광선조사 시작버튼, 및 광선조사 종료버튼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색광 치료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등록특허 제10-1385707호는, 색광 치료기를 이용한 치료 방법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 치료방법, 광선조사방법 및 주의 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고 되어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으로 광선의 세기 등을 제어하는가에 대한 내용이 없고, 또한 사용자의 치료 전 상태를 입력하는 기능, 사용자의 치료 후 상태를 입력하는 기능, 사용자의 치료 전후를 비교하여 일별, 주별, 월별 치료 결과를 수치나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즉, 국내 등록특허 제10-1385707호의 경우, 단순히 치료할 뿐, 자신의 질병이 얼마나 호전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다. 더군다나, 통증에 관한 정도는 환자 자신만이 알 수 있는 것으로, 치료후, 바로 자가평가하는 작업을 하지 않는다면 이는 영원히 알기 어렵다.
따라서, 질병 등에 따라 광선의 세기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가 요망되고, 또한, 치료전후의 상태를 자가평가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렇게 얻어진 자가평과 데이터에 대한 통계처리를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로 행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확인하도록 하여, 보다 치료효과의 활성화를 가져오고, 또한, 병원의 의사도 이를 참조하여 환자 치료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이 요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출력 광선조사기는 광선조사구동부를 포함하는 광선조사제어부와 광선조사 전극부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저출력 광선조사기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이어폰 단자 또는 외부통신 단자(예로 USB 단자, 아이폰단자 등) 또는 충전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되,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는 기 설정된 질병에 따라서, 또는 기설정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에 따라서 저출력 광선조사기를 구동하여 치료하고, 치료전후 질병상태를 평가하여 저장하여,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로 통계처리를 행하고, 이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메인서버에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질병에 따른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구동 방법을 갱신하고, 메인서버는,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및 자가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요청(즉, 인증을 통해 등록된 환자임이 확인된 후)이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메인서버에 저출력 광선치료기의 기기번호(예컨대, 시리얼 번호)는 등록, 저장되어 있으며, 메인서버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출력 광선치료기의 기기번호에 따라, 환자별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및 자가평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는, 사용자가 설정한 질병에 대한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사용방법 및 프로브 부착 위치를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한 사진, 2D 또는 3D 인체 모형 그림에 표시한 사진 또는 동영상형태로 화면상에 출력하고, 치료 시 주의사항 등의 정보를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광선조사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치료가 종료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 전송하고,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메인서버를 더 포함하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자가평가 결과의 점수로서,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광선 조사기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에 연결되며 광선조사 전극을 구비한 광선조사 전극부에, 전력 및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광선조사기 연결잭과, 그리고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광선조사기 연결잭을 통해 들어온 신호들 중 전원 구동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원 구동신호에 의해 광선 조사기를 구동하게 하고,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광선조사기 연결잭으로부터 들어온 신호들 중 광선조사 제어신호로부터 광선 조사기의 광선조사 전극부에서 출력되는 광선의 파장, 광선의 세기, 광선 조사의 패턴, 광선조사의 시간을 제어하는, 광선 조사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 중앙부에 광원을 구비하는 광선조사 전극을 일단에 장착하는, 광선 조사기; 이어폰 단자 또는 USB 단자 또는 충전단자 중의 어느 하나가, 광선 조사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어, 광선 조사기의 파장, 광선의 세기 및 광선조사 시간 및 광선조사 패턴을 제어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광선조사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치료가 종료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 전송하고,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메인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자가평가 결과의 점수로서, 메인서버로 전송한다.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광선조사기의 번호를 이용하여, 광선조사기를 메인서버에 등록한다.
메인서버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질병명,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광선의 세기신호, 광선조사 시간 신호 및 광선조사 패턴신호를 포함하는 광선조사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각 초기 자가평가 항목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 전송하고, 각 초기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메인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 또는 자가평가 결과의 점수를 일단위 또는 주단위 또는 월단위로 통계처리하여, 그래프, 문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광선 조사기의 광선패턴을 제어한다.
광선 조사기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모듈 또는 DA컨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PWM(Pulse width modulation) 모듈 또는 DA컨버터 중 어느 하나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 중앙부에 광원을 구비하는 광선조사 전극을 일단에 장착하는, 광선 조사기; 이어폰 단자 또는 USB 단자 또는 충전단자 중의 어느 하나가, 광선 조사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어, 광선 조사기의 파장, 광선의 세기 및 광선조사 시간 및 광선조사의 패턴을 제어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광선조사 제어신호에 의해 광선조사기가 구동이 시작되는, 광선조사 시작단계; 광선조사 시작단계 후, '광선조사 정지' 버튼이 선택되거나, 광선조사 시간이 종료되었다면, 광선조사기의 구동을 종료하고,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대답에 대한 점수를 읽어들이고,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메인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치료결과 자가평가단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일단위 또는 주단위 또는 월단위로 통계처리하여, 그래프, 문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치료결과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방법은, 광선조사단계의 전에,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사용자가 설정한 광선조사 세기, 광선조사 시간, 광선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광선조사 제어 파라미터를 메인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하는, 제어 파라미터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방법은, 제어 파라미터 설정단계의 전에,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광선조사기의 번호를 이용하여, 광선조사기를 메인서버에 등록하는 광선조사기 등록단계; 메인서버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질병명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질병명 저장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에 따르면, 저출력 광선조사기는 광선조사구동부를 포함하는 광선조사제어부와 광선조사 전극부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저출력 광선조사기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이어폰 단자 또는 외부통신 단자(예로 USB 단자, 아이폰단자 등) 또는 충전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는 기 설정된 질병에 따라서, 또는 기설정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에 따라서 저출력 광선조사기를 구동하여 치료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치료전후 질병상태를 평가하여 저장하여,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로 통계처리를 행하고, 이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통증에 관한 정도는 환자 자신만이 알 수 있는 것으로, 치료후, 바로 자가평가하도록 이루어져, 단순히 질병을 치료만 하는 것이 아나라, 자신의 질병이 얼마나 호전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어, 환자로 하여금 이를 확인하도록 하여, 보다 치료효과의 활성화를 가져오고, 또한, 병원의 의사도 이를 참조하여 환자 치료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메인서버에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질병에 따른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구동 방법을 갱신하고, 메인서버는,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및 자가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요청(즉, 인증을 통해 등록된 환자임이 확인된 후)이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관리자는 체계적인 환자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고, 이를 환자 및 의사는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질병에 따라 타인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또는 저출력 광선조사기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별로 환자 데이터의 등록을 행하게 하여, 등록된 환자의 인증을 거쳐진 경우에만,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하여 개인정보를 보장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메인서버에 저출력 광선치료기의 기기번호(예컨대, 시리얼 번호)를 등록, 저장하고 있으며, 메인서버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출력 광선치료기의 기기번호에 따라, 환자별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및 자가평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저출력 광선치료기의 기기번호에 따른 사용자도 등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는, 사용자가 설정한 질병에 대한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사용방법 및 프로브 부착 위치를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한 사진, 2D 또는 3D 인체 모형 그림에 표시한 사진 또는 동영상형태로 화면상에 출력하고, 치료 시 주의사항 등의 정보를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져, 초보자라도 사용이 간단하고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와 저출력광선조사프로브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의 질병을 안전하고 간단하고 편리하게 치료를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자신의 질병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치료할 수 있는 스마트폰 베이스의 개인용 치료기기 시장을 새롭게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선조사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치료가 종료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 전송하고,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메인서버를 더 포함하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자가평가 결과의 점수로서,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선 조사기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에 연결되며 광선조사 전극을 구비한 광선조사 전극부에, 전력 및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광선조사기 연결잭과, 그리고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광선조사기 연결잭을 통해 들어온 신호들 중 전원 구동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원 구동신호에 의해 광선 조사기를 구동하게 하고,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광선조사기 연결잭으로부터 들어온 신호들 중 광선조사 제어신호로부터 광선 조사기의 광선조사 전극부에서 출력되는 광선의 파장, 광선의 세기, 광선 조사의 패턴, 광선조사의 시간을 제어하는, 광선 조사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광선조사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에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충전단자)에 광선조사기를 연결하되, 광선조사기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한 경우이다.
도 4는 도 3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에 광선조사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광선조사기 및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구성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를 설명하기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에 광선조사기의 USB용 연결잭을 연결하되, 광선 조사기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이어폰 커넥터에 광선조사기의 이어폰용 연결잭을 연결한 경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제어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초기 실행화면과 광선조사기 등록화면과 질병 설정화면의 일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정보제공 화면의 일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초기 자가진단 화면의 일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치료시의 화면의 일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치료결과 자가평가 화면의 일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정보를 나타내는 일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이란, 스마트폰, 태블릿, PDA, 노트북, 노트패드, 스마트 워치, 애플 아이폰, 애플 아이패드, 애플 아이워치, 기타 모바일 장치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을 나타내며, 도 2는 도 1의 광선조사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은 광선 조사기(100),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 메인서버(400),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선 조사기(100)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이어폰 단자 또는 외부통신 단자(예로 USB 단자) 또는 충전단자에 연결되어,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저출력 광선조사기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 수신된 광선조사 제어신호에 의해 광선을 출력한다.
광선 조사기(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광선을 출력하는 광선조사 전극(120)을 구비한 광선조사 전극부(110)과 상기 광선조사 전극부(110)에 전력 및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광선조사기 연결잭(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선조사기 연결잭(150)과 광선조사 전극부(110)는 전선(130)에 의해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서, 광선 조사기(100)는 광선 조사기 제어부(200)를 더 구비하며, 광선 조사기 제어부(200)는 광선조사기 연결잭(150)으로부터 들어온 신호들 중 전원 구동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원 구동신호에 의해 광선 조사기(100)를 구동하게 하고, 광선조사기 연결잭(150)으로부터 들어온 신호들 중 광선조사 제어신호로부터 광선 조사기(100)의 광선조사 전극부(110)에서 출력되는 광선의 파장, 광선의 세기, 광선 조사의 패턴, 광선조사의 시간 등을 제어한다.
광선조사 전극(120)은 피부접착식 전극으로, 전극 내측 중앙부에 광원을 구비한다. 여기서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를 사용할 수도 있다.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은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한 단말로, 사용자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을 통해 광선 조사기(100)를 메인서버(400)에 등록하고, 기 설정된 질병에 따라서, 또는 기설정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에 따라서 광선 조사기(100)를 구동하는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이어폰 단자 또는 외부통신 단자(예로 USB 단자) 또는 충전단자로 전송한다. 또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은 치료후에 질병상태(질병의 호전 정도)를 사용자로 하여금 자가 평가하게 하여, 그 결과를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로 통계처리를 행한다. 또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은 질병명,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자가 평가결과 등을 메인서버(400)로 전송한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을 통해 광선 조사기(100)의 사용자명, 개인정보 등을 더 등록할 수 있다.
메인서버(400)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를 통해, 광선 조사기(100)를 등록하며, 등록된 광선 조사기(100)로부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을 통해 수신된 질병명,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자가 평가결과, 사용자명, 개인정보, 광선 조사기 번호 등을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한다.
메인서버(400)는, 등록된 광선 조사기(100) 또는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에서 요청된 데이터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로 전송한다. 또한, 메인서버(400)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구동방법(소정 응용프로그램)을 갱신하여,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00)는 광선 조사기(100)별로 또는 사용자별로, 질병명,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자가 평가결과, 사용자명, 개인정보, 광선 조사기 번호 등을 저장한다.
도 1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하여 저장한 사용자정보, 자가진단 및 치료결과는 메인서버(40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는 시스템 경로를 가진다. 즉, 상기 사용자정보, 자가진단 및 치료결과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메인서버(40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은 get 방식 또는 post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서버(400)는 병의원이나 의료기기를 개발하는 연구기관에 설치된 서버 중 하나일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에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충전단자)에 광선조사기를 연결하되, 광선조사기 제어부(200)를 별도로 구비한 경우이다.
다시말해, 도 3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충전단자)(340)에 광선조사기 연결잭(150), 즉 광선조사기의 USB용 연결잭(154)을 연결하되, 특정한 인터페이스, 즉, 광선조사기 제어부(200)를 구비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광선조사기 제어부(200)는 광선조사 전극(120)을 구동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모듈을 구비하거나, 또는, USB 커넥터(충전단자)(340)로부터 수신된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경하는 DA (Digital Analog Converter) 변환기를 구비한다.
도 4는 도 3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에 광선조사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광선조사기 및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구성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광선조사기(100)는 USB OTG모듈(210), 전압 레귤레이터(220),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250), 광선조사 구동부(270), LED 동작 표시등(280), 광성조사 전극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중 USB OTG((universal serial bus on-the-go))모듈(210), 전압 레귤레이터(220),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250), 광선조사 구동부(270), LED 동작 표시등(280)는 광선 조사기 제어부(200)라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광선조사기의 USB용 연결잭(154)은 USB OTG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USB OTG모듈(210)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을 호스트로 하여,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과 광선 조사기 제어부(200)에 설치된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250)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일반적으로 USB OTG모듈(210)은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단말과 같은 포터블 장치간에서 점대점 통신이 가능하도록 각 장치가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호스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HNP(Host Negotiation Protocol)와 장치들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상대방 기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연결을 유지하는 SRP(Session Request Protocol)를 구비하고 있다.
즉,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250)와 연결된 USB OTG모듈(210)를 스마트폰용 연결커넥터(110)와 연결하고,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을 호스트로 하여,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과 광선 조사기 제어부(200)에 설치된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250)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전압 레귤레이터(220)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250)의 동작전압에 맞도록 변환시켜주는 수단으로, 전압 레귤레이터(220)에서 출력된 동작전압을 전원으로 하여 광선조사기(100)가 구동된다.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250)는 광선 조사기 제어부(2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 USB OTG모듈(210)을 통해 수신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제어명령을 해석하여 광선조사 파장, 광선조사 세기, 광선조사 시간, 광선조사 패턴, 광선조사 시작과 종료 등을 제어한다. 즉,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250)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제어명령을 해석하여 광원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광선조사구동부(270)로 전송한다.
광선조사구동부(270)는 PWM모듈로 이루어지며,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250)로부터 수신된 광원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을 구동시킨다. 광선조사구동부(270)는 광원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압이나 전류증폭 회로를 포함한다.
LED동작표시등(280)은 광선조사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등으로, 즉, 광선조사전극이 구동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LED 등이다.
광선조사구동부(270)와 연결된 전선(130)의 끝단에 광선조사전극 연결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되며, 광선조사전극 연결커넥터는 광선조사 전극(120)과 연결된다.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은 송수신부(310), 키입력부(320), USB 커넥터(340),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 디스플레이부(360), 메모리부(38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310)는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로부터 수신된 질병명,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자가 평가결과, 사용자명, 개인정보, 광선 조사기 번호 등을 메인서버(400)로 전송한다.
키입력부(32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자가 평가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 스위치와, 시작/종료 스위치 등을 구비한다.
USB 커넥터(340)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USB 연결단자로, 광선조사기의 USB용 연결잭(154)와 연결된다.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는 기 설정된 질병에 따라서, 또는 기설정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에 따라서 광선 조사기(100)를 구동하는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USB 커넥터(340)로 전송한다. 또한,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는 치료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질병상태(질병의 호전 정도)를 사용자로 하여금 자가 평가하게 하는 문항을 제시하고, 키입력부(320)로부터 수신된 결과를 송수신부(310)를 통해, 메인서버(400)로 전송하며, 메모리부(380)에 저장한다. 자가평가 결과를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로 통계처리를 행한다.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은 자가 평가결과를 메인서버(400)로 전송할 때, 광선 조사기 번호, 질병명,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등을 함께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360)는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로부터 수신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자가평가 결과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부(380)는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로부터 수신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자가평가 결과, 광선 조사기 번호, 질병명, 개인정보, 사용자명 등을 저장한다.
도 5는 도 4의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를 설명하기위한 블럭도이다.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는, 등록모듈부(351), 광선조사기 제어모듈부(353), 제어파라미터 설정 모듈부(355), 초기 자가평가 모듈부(357), 치료결과 자가평가 및 저장 모듈부(359), 정보제공 모듈부(3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록모듈부(351)는,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를 통해, 메인서버(400)에, 광선 조사기(100)별, 즉, 광선 조사기 번호로 등록하거나, 광선 조사기(100)별(광선 조사기 번호에 따라)로 등록하고, 등록된 광선 조사기(100)의 사용자별(사용자명)로 등록할 수 있다. 등록시 개인정보(이름, 나이, 질병명 등)를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를 통해, 메인서버(400)에 저장할 수 있다.
광선조사기 제어모듈부(353)는 제어파라미터 설정 모듈부(355)에서 설정된 제어파라미터에 따라,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USB 커넥터(340)로 전송한다.
제어파라미터 설정 모듈부(355)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 상에서, 키입력부(32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광선조사기 제어모듈부(353)로 전송한다.
만약, 사용자가 별도의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를 설정하기 않았다면, 메모리부(380)으로부터, 종전에 설정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 또는 질병에 따라 기 설정된 광선조사제어용 파라메터를 읽어들여 광선조사기 제어모듈부(353)로 전송할 수 있다.
초기 자가평가 모듈부(357)는 데이터베이스(500)으로부터 메인서버(400)을 통해 치료 초기의 자가평가용 항목들을 읽어들여,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 상의 디스플레이부(360)로, 자가평가용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항목들에 대한 대답을 수신한다.
예를들어, 각 항목들은 답변을 선택하면, 선택된 답변에 따라 점수가 정하여지고(순위도가 주어지고 그 순위도에 따른 점수가 주어짐), 이 점수들을 합산하여 초기 자가평가결과를 얻을 수 있다. 초기 자가평가용 항목들은 질병에 따라 다른 항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료결과 자가평가 및 저장 모듈부(359)는 데이터베이스(500)으로부터 메인서버(400)을 통해 치료결과 자가평가용 항목들을 읽어들여,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 상의 디스플레이부(360)로, 치료결과 자가평가용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항목들에 대한 대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각 답변에 따라 점수가 정하여지며, 이 점수들을 합산하여 치료결과 자가평가결과를 얻으며, 얻어진 치료결과 자가평가결과를 메인서버(400)을 통해 데이터서버(500)에 저장한다. 또한, 얻어진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치료결과 자가평가결과, 광선 조사기 번호를 메인서버(400)로 전송하여, 광선조사기(100)별로 치료결과 자가평가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제공 모듈부(361)은 사용자가 선택한 질병에 따라서, 광선조사시간, 광선조사 전극의 부착위치 및 전체 치료기간 등에 대한 안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메인서버(400)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360)에 영상, 문자 등으로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등록단계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응용프로그램 상에서, 메인서버(400)에 연결되어, 광선 조사기(100)의 번호,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등록을 행한다(S10). 경우에 따라서, 광선 조사기(100)의 등록 및 사용자 등록(사용자명, 개인정보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질병선택단계로, 사용자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360)에 디스플레이된 질병명 중 치료받고자 하는 질병명을, 키입력부(320)를 통해 선택하면, 선택된 질병명에 따른 키신호, 즉 질병명 신호가,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로 전송된다(S20).
제어 파라미터설정단계로, 사용자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키입력부(320)를 통해, 광선조사제어 파라미터, 즉, 광선조사 전극부(110)을 통해 조사되는 광선의 세기(광 강도), 광선 조사 패턴, 광선조사 시간 등을 설정하면, 설정된 광선조사제어 파라미터 신호인, 광선의 세기신호, 광선 조사 패턴신호, 광선조사 시간 신호가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로 전송된다(S30).
질병명 및 광선조사 제어파라미터 저장단계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는 질병명 신호 및 광선조사 제어파라미터 신호를 메인서버(400)으로 전송하고(S40), 메인서버(400)는 수신된 질병명 신호 및 광선조사 제어파라미터 신호를 데이터베이스(500)에 광선 조사기별(또는 환자별), 날짜별로 저장한다(S50).
광선조사단계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은 광선조사 제어파라미터 신호에 따라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USB 커넥터(340)를 통해, 광선 조사기(100)로 전송되고(S60), 광선조사기 제어부(200)는, 광선조사 제어신호에 따라 광선조사 전극부(110)가 광선을 조사하도록, 구동된다(S70).
치료결과 자가평가단계로, 광선 조사기(100)의 광선조사가 종료되면,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은 메모리부(380)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500)으로부터 메인서버(400)를 통해 수신된, 자가평가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고, 각 자가평가 항목에 대해 사용자가 키입력부(320)을 통해 답변을 선택하면,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은 키입력부(320)로부터 각 자가평가 항목에 대한 답변 키값을 수신하게 되고,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는, 수신된 각 자가평가 항목에 대해 답변 키값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어, 각 자가평가 항목들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자가평가 결과에 대한 점수로 한다(S80).
자가평가 결과 저장단계로, 자가평가 결과에 대한 점수를 메인서버(400)로 전송하여(S90),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게 한다(S100).
통계처리단계로, 자가평가 결과에 대한 점수를 이용하여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로 통계처리를 행하고(S110), 통계처리한 결과를 메인서버(400)로 전송하여(S120),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하게 한다(S130).
화면출력단계로, 질병명, 광선조사 제어파라미터, 자가평가 결과, 자가평가 결과의 통계처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60)에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에 광선조사기의 USB용 연결잭을 연결하되, 광선 조사기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다.
도 7의 경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에 PWM모듈이나 DA컨버터가 내장된 경우로, 광선 조사기(100)가 별도의 광선 조사기 제어부(200)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이다. 즉, 광선 조사기(100)가, PWM모듈이나 DA컨버터가 내장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600)에 설치된 USB 커넥터(충전단자)(34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은 Android, Android Wear, Android Open Source Project, Apple iOS, Tizen, MS window, BlackBerry, FireFox, MiUi, Color 중 하나를 OS(operating system)로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와치를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이어폰 커넥터(330)에 광선조사기의 이어폰용 연결잭(151)을 연결한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이어폰 커넥터(330)는 음향신호 단자들(오른쪽 음향신호 단자, 왼쪽 음향신호 단자), 접지신호단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이어폰 커넥터(330)에서 음향신호 단자들 중 하나로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광선조사 제어신호에 의해 광선조사 전극(120)이 구동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제어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광선조사기 등록여부 판단단계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은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즉, 본 발명의 저출력광선치료용 앱)이 실행되면,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연산처리부(350)은 광선 조사기(100) 등록여부를 판단하게 되며(S11), 만약, 광선 조사기(100)가 등록되어 있다면, 제어파라미터 설정단계(S30)으로 간다.
광선조사기 등록단계로, 광선조사기 등록여부 판단단계(S11)에서 광선 조사기(100)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 상에서 메인서버(400)와 연게되어, 신규 사용자는 광선 조사기(100)를 등록한다(S13). 이때, 광선 조사기(100)의 등록은 광선 조사기(100)의 번호(예컨대, 시리얼번호)와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서 등록하면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 자동으로 저장되고, 동시에 메인서버(400)으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다.
질병명 선택단계로, 광선조사기 등록단계(S13) 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360) 상에 다수개의 질병명이 표시되고, 그 중 하나를 키입력부(3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질병명에 따른 키신호, 즉 질병명 신호와 동시에 질병명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각각의 질병치료에 적절한 광선 파장신호가, 키입력부(320)로부터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로 전송된다(S20).
즉, 광선조사기 등록단계(S13)에서 기기등록을 마친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UI화면에 사용자가 등록한 광선 조사기(100)로 치료가 가능한 국제질병코드에 등록된 다수개의 질병명이 제시되고, 사용자는 치료하고자 하는 질병 1개를 선택하게 된다.
질병 치료방법 안내단계로, 질병명 선택단계(S20)에서 선택한 질병에 따라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은, 광선조사시간, 광선조사 전극의 부착위치 및 전체 치료기간 등에 대한 안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으로부터 메인서버(400)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360)에 영상, 문자 등으로 출력한다(S23).
즉, 질병명 선택단계(S20)에서 사용자가 질병명을 선택하면, 선택한 질병에 관한 정보와 저출력광선치료를 위하여 필요한 치료정보 예컨대, 광선조사 전극의 부착위치, 광선조사 시간, 광선조사 세기, 광선조사 패턴, 주의사항, 총 치료기간, 1일 치료시간 및 치료횟수, 기기 사용방법 등의 정보를 문자, 숫자, 2D 또는 3D 사진이나 동영상 중의 하나 이상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치료정보를 제공한다.
초기 자가평가단계로, 질병 치료방법 안내단계 후,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350)의 초기 자가평가 모듈부(357)는 자가진단 문항이 설문지형식으로 UI화면, 즉, 디스플레이부(360)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치료 전 상태를 입력하면, 이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에 자동으로 저장되고, 동시에 메인서버(400)으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500)에, 사용자가 등록한 광선 조사기(100)의 번호와 함께 전송되어 저장된다(S25).
제어 파라미터 설정단계로, 연산처리부(350)의 제어파라미터 설정 모듈부(355)가 구동되어, UI화면, 즉, 디스플레이부(360)에 광선조사 제어파라미터관련 항목들을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광선조사 세기(Low, Mid, High), 광선조사 시간(10분, 20분, 30분), 광선조사 패턴(연속, 불연속) 등의 광선조사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게 한다(S30). 여기서, 광선조사 제어파라미터관련 항목들을 데이터베이스(500)으로부터 메인서버(400)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360)에 제시되며, 설정된 광선조사 제어파라미터 들은 메인서버(400)으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다.
광선조사기 등록여부 판단단계(S11)에서 광선 조사기(100)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 파라미터 설정단계(S30)으로 와서, 광선조사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게 한다.
제어 파라미터 설정단계(S30)에서, 광선조사 세기는 광선 조사기(100)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이어폰 커넥터(330)에 연결하는 경우는 광선조사의 세기별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메모리부(380)에 미리 저장된 연속시간 신호형태의 특수음원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광선조사의 세기를 제어한다. 만약 광선조사 제어부(200)가 내장된 광선 조사기(100)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이어폰 커넥터(330)에 연결하는 경우는 광선조사기 제어부(200)의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이나 또는 DA컨버터방식으로 광선조사의 파장과 광선조사의 세기를 제어한다.
제어 파라미터 설정단계(S30)에서, 광선 조사기(100)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USB 커넥터(충전단자)(340)에 연결하되, 광선조사기 제어부(200)을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는, 광선조사기 제어부(200)의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이나 또는 DA컨버터방식으로 광선조사의 파장과 광선조사의 세기를 제어한다.
제어 파라미터 설정단계(S30)에서, PWM모듈이나 DA컨버터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600)의 USB 커넥터(충전단자)(340)에 광선 조사기(100)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이나 또는 DA컨버터방식으로 광선조사의 파장과 광선조사의 세기를 제어한다.
광선조사 패턴은 광선 조사기(100)가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이어폰 커넥터(330)에 연결된 경우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에 저장된 연속시간 신호형태의 특수음원을 특정한 시간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출력되고, 광선 조사기(100)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의 USB 커넥터(충전단자)(340)에 연결하는 경우는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이나 또는 DA컨버터방식으로 광선조사 패턴을 제어한다.
광선조사 시간은 시간 제어 함수를 이용하여 선택된 시간을 호출하여 광선조사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광선조사 시간은 앱 개발 방식에 따라 각기 OS에서 제공되는 시간 제어 함수를 이용하여 선택된 시간을 호출하여 광선조사 시간을 제어한다.
광선조사단계로, 제어 파라미터 설정단계(S30) 후, '광선치료 시작' 버튼이 선택되면, 제어 파라미터 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된 광선 조사 세기, 광선 조사 시간, 광선 조사 패턴과 질병명 선택단계(S20)에서 자동으로 설정된 광선 조사 파장에 따라, 광선조사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광선 조사기(100)으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광선 조사기(100)가 구동되어, 광선조사 전극부(110)에서 광선이 조사된다(S71).
즉, 질병명을 선택함으로서 자동으로 설정되는 광선 조사 파장 외에 사용자가 광선 조사 세기, 광선 조사 시간, 광선 조사 패턴에 대한 설정을 마치고, '광선치료 시작' 버튼이 선택되면, 입력한 광선조사 제어파라미터의 값들이 일괄적으로 실행되어 광선치료가 시작된다.
광선조사 정지여부 판단단계로, '광선조사 정지' 버튼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72), '광선조사 정지' 버튼이 선택되었다면, 광선조사 종료단계(S75)로 간다.
광선조사시간 종료여부 판단단계로, 광선조사 정지여부 판단단계(S72)에서 '광선조사 정지' 버튼이 선택되지 않았다면, 타이머 또는 카운터 등을 이용하여, 광선조사 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종료되지 않았다면, 광선조사 정지여부 판단단계(S72)로 되돌아간다.
광선조사 종료단계로, 광선조사, 즉, 광선치료가 종료되고, 제어 파라미터, 즉, 광선조사 파장, 광선조사 세기, 광선조사 시간과 광선조사 패턴에 입력된 값이 초기화된다(S75).
즉, 광선치료 중 사용자에 의해 '광선조사 정지' 버튼이 강제로 선택되면 광선치료 종료단계(S75)로가서, 광선치료가 종료되고, 광선조사 파장, 광선조사 세기, 광선조사 시간과 광선조사 패턴에 입력된 값이 초기화된다. 또 다른 종료의 경우는 선택된 광선조사 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광선치료가 종료되며, 광선조사 파장, 광선조사 세기, 광선조사 시간과 광선조사 패턴에 입력된 값이 초기화된다.
광선조사 종료 알림단계로, 광선조사 종료단계(S75) 후, 광선조사가 종료되었다는 사실을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S77). 즉, 광선조사 종료 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람은 소리, 진동 또는 팝업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 한다.
치료결과 자가평가단계로, 광선조사 종료 알림단계(S77) 후, 치료결과 자가평가 및 저장 모듈부(359)가 구동되어, 치료결과 자가평가 (설문)항목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에 대한 대답을 선택함에 의해, 상기 각 항목별로 점수가 부여되고, 이 점수들을 합산하여 치료결과 자가평가 점수로 하고, 상기 각 항목별 답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별 점수, 치료결과 자가평가 합산 점수 등을 광선 조사기(100)의 번호와 함께 메인서버(40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500)에 광선 조사기(100)별로 저장하게 한다(S81). 또한,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별 점수, 치료결과 자가평가 합산 점수 등을 일별 단위, 주별 단위, 월별 단위의 통계 처리한다. 여기서, 치료결과 자가평가 (설문)항목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질병설문을 기준으로 만들어져 있다.
즉, 치료결과 자가평가 및 저장 모듈부(359)은 치료 종료 후,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질병설문을 통해 치료결과를 입력 및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 저장할 수 있으며, 동시에 특정한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가 등록한 광선 조사기(100)의 번호와 함께 전송되어 저장된다.
치료결과 확인여부 판단단계로, 사용자가 '치료결과 보기' 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치료결과보기 요청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141), 만약, 치료결과보기 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종료한다.
치료결과 확인단계로, 치료결과 확인여부 판단단계(S141)에서 치료결과보기 요청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치료결과 자가평가단계에서 얻어진 결과, 즉, 각 항목별 답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별 점수, 치료결과 자가평가 합산 점수 등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그래프, 숫자, 문자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별 단위, 주별 단위, 월별 단위의 통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142). 즉,사용자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디스플레이부(UI 화면)에 치료 전후의 상태를 그래프, 숫자, 문자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일별, 주별, 월별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초기 실행화면과 광선조사기 등록화면과 질병 설정화면의 일예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정보제공 화면의 일예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초기 자가진단 화면의 일예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 구동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였을 때의 로그인 화면으로, 만약, 광선 조사기(100)가 등록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광선 조사기(100)의 번호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하고, '치료하기' 버튼을 선택하여 치료를 진행한다. 만약 광선 조사기(100)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기기등록' 버튼을 선택하여 광선 조사기(100)를 등록한다.
도 10의 (b)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실행시의 광선조사기 등록을 위한 UI화면으로, 신규사용자는 기기등록버튼을 선택하여, 광선조사기(100)의 번호 등록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완료'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광선조사기(100)를 등록한다.
도 10의 (c)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실행시의 치료받을 질병을 설정하기 위한 UI화면으로, 화면상에 국제 질병 분류코드에 있는 다수개의 질병명을 표시되하고, 사용자는 치료하고자 하는 질병을 선택한다.
도 11의 (a)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실행시, 저출력광선조사프로브 부착위치 및 광선조사기(100)의 사용방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다.
도 11의 (b)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실행시, 광선조사의 세기, 광선조사의 1회 조사시간, 1일 광선조사의 회수, 광선조사의 패턴, 선택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평균 치료기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이다.
도 11의 (c)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실행시, 광선조사기(100) 동작 및 보관 시 주의사항과 치료 시 주의사항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이다.
도 12는 상기 응용프로그램 실행시, 초기 자가진단 UI화면으로, 국제 질병분류코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질병에 대한 표준화된 설문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질병 상태를 입력한다. 상부에 구비된, '1' 버튼에서 '10' 버튼은 각 순번의 설문항목을 보기 위한 버튼으로, 도 12는 10개의 설문항목 중, 6번째의 설문항목을 의미하며, 6번째의 설문 내용은 생리시 매달 진통제를 평균 몇 알 복용하나?이고, 그 답으로 사용자가 7~9알이라고 답을 선택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만약 선택 항목이 없을 시 기타입력란에 자신의 질병상태에 관한 내용을 문자나 숫자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자가평가 항목 중 약의 복용량에 따른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치료시의 화면의 일예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의 치료결과 자가평가 화면의 일예이다.
도 13의 (a)는 치료하기의 시작화면, 즉, 도 10의 (a)의 화면에서 '치료하기'버튼을 선택한 경우로, 광선조사 세기(710), 광선조사 시간(720), 광선조사 패턴(730)을 설정하며, 도 13의 (a)의 경우, 광선조사 세기(710)는 'LOW'를 선택하고, 광선조사 시간(720)은 20분으로 하고, 광선조사 패턴(730)은 연속으로 설정하였다. 광선치료시작 버튼(740)을 선택하여 광선치료 시작을 할 수 있고, 치료하는 중에 남은 치료시간(700)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 13의 (a)에서는, 광선치료가 시작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는 20분이 남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13의 (b)는 치료하기의 종료화면, 즉, 도 13의 (a)에서 광선치료종료 버튼(770)이 선택되거나, 치료 시간이 경과되면, 광선조사 세기(710), 광선조사 시간(720), 광선조사 패턴(730)이 초기화 된다. 치료종료 후에는 '치료결과 입력' 버튼(750)을 선택하여 치료결과의 자가평가를 입력하고 '치료결과보기' 버튼(760)을 선택하여 치료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4의 (a)는 치료결과 자가평가시의 화면으로, 치료가 종료된 후, 즉, 도 13의 (b)에서, '치료결과입력' 버튼을 선택하면 치료결과를 그래프, 문자, 숫자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된 치료결과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 저장버튼을 누르면 상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에 저장되고 메인서버(40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된다. 도 14의 (a)의 자가평가 항목은 두통, 불면증, 긴장(초조, 불안감), 설사 등을 포함한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서 치료결과 자가평가를 행하여, 그 결과를 통계처리한 그래프의 일예이다. 도 14의 (a)에서, 치료결과 입력이 완료되거나 치료결과 보기버튼이 선택되면, 도 14의 (b)에서와 같이, 치료결과를 일별, 주별, 월별에 따라 치료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치료 결과는 그래프, 문자, 숫자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표현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정보를 나타내는 일예이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가 기기를 신규 등록할 때 입력한 기기번호, 나이 등 자신의 치료 전후 상태를 기기번호별로 제시하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일일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았지만 휴대용 개인통신단말(300)에 광선조사기(100)를 연결하여 저출력광선치료를 행하게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저출력광선치료가 가능한 질병은 대단히 많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저출력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은, 관절염치료기, 알츠하이머치료기, 뇌졸중치료기, 편두통치료기, 우울증치료기, 협심증치료기, 천식치료기, COPD, 통증치료기, 위염 및 위궤양치료기, 전립선치료기, 요실금치료기, 전립선치료기, 불임치료기, 손목수근증후군 치료기, 월경전증후군(PMS)치료기, 부종치료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광선 조사기 110 : 광선조사 전극부
120 : 광선조사 전극 130 : 전선
150 : 광선조사기 연결잭 151 : 이어폰용 연결잭
154 : USB용 연결잭 200 : 광선 조사기 제어부
210 : USB OTG모듈 220 : 전압 레귤레이터
250 :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 270 : 광선조사 구동부
280 : LED 동작 표시등 300 :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310 : 송수신부 320 : 키입력부
330 : 이어폰 커넥터 340 : USB 커넥터
350 : 개인통신단말 연산처리부 351 : 등록모듈부
353 : 광선조사기 제어모듈부 355 : 제어파라미터 설정 모듈부
357 : 초기 자가평가 모듈부 359 : 치료결과 자가평가 및 저장 모듈부
360 : 디스플레이부 361 : 정보제공 모듈부
380 : 메모리부 400 : 메인서버
500 : 데이터베이스 700 : 치료시간
710 : 광선조사 세기 720 : 광선조사 시간
730 : 광선조사 패턴 740 : 광선치료시작 버튼
750 : '치료결과 입력' 버튼 760 : '치료결과보기' 버튼
770 : 광선치료종료 버튼

Claims (12)

  1. 내측 중앙부에 광원을 구비하는 광선조사 전극을 일단에 장착하는, 광선 조사기; 이어폰 단자 또는 USB 단자 또는 충전단자 중의 어느 하나가, 광선 조사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어, 광선 조사기의 광선의 파장, 광선의 세기 및 광선조사 시간를 제어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광선조사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치료가 종료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 전송하고,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메인서버를 더 포함하되,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자가평가 결과의 점수로서,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광선조사기의 번호를 이용하여, 광선조사기를 메인서버에 등록하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광선 조사기의 광선패턴을 제어하며,
    광선 조사기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에 연결되며, 광선조사 전극을 구비한 광선조사 전극부에, 전력 및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광선조사기 연결잭;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광선조사기 연결잭을 통해 들어온 신호들 중 전원 구동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원 구동신호에 의해 광선 조사기를 구동하게 하고,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광선조사기 연결잭으로부터 들어온 신호들 중 광선조사 제어신호로부터 광선 조사기의 광선조사 전극부에서 출력되는 광선의 파장, 광선의 세기, 광선 조사의 패턴, 광선조사의 시간을 제어하는, 광선 조사기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광선 조사기 제어부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을 호스트로 하여, 휴대용 개인통신단말과 광선 조사기 제어부에 설치된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USB OTG모듈;
    USB OTG모듈을 통해 수신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제어명령을 해석하여 광선조사 파장, 광선조사 세기, 광선조사 시간, 광선조사 패턴, 광선조사 시작과 종료를 제어하기 위한 광원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광선조사구동부로 전송하는,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메인서버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질병명,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광선의 세기신호 및 광선조사 시간 신호를 포함하는 광선조사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각 초기 자가평가 항목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 전송하고, 각 초기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메인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 또는 자가평가 결과의 점수를 일단위 또는 주단위 또는 월단위로 통계처리하여, 그래프, 문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광선 조사기 제어부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광선조사기 연산처리부의 동작전압에 맞도록 변환시켜주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며,
    전압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된 동작전압을 전원으로 하여 광선조사기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광선 조사기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모듈 또는 DA컨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PWM(Pulse width modulation) 모듈 또는 DA컨버터 중 어느 하나를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시스템.
  10. 내측 중앙부에 광원을 구비하는 광선조사 전극을 일단에 장착하는, 광선 조사기; 이어폰 단자 또는 USB 단자 또는 충전단자 중의 어느 하나가, 광선 조사기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어, 광선 조사기의 광선의 파장, 광선의 세기, 광선조사 시간 및 광선조사 패턴을 제어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을 포함하며, 광선 조사기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의 USB 커넥터에 연결되며, 광선조사 전극을 구비한 광선조사 전극부에, 전력 및 광선조사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광선조사기 연결잭;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광선조사기 연결잭을 통해 들어온 신호들 중 전원 구동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원 구동신호에 의해 광선 조사기를 구동하게 하고,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광선조사기 연결잭으로부터 들어온 신호들 중 광선조사 제어신호로부터 광선 조사기의 광선조사 전극부에서 출력되는 광선의 파장, 광선의 세기, 광선 조사의 패턴, 광선조사의 시간을 제어하는, 광선 조사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사용자가 설정한 광선조사 세기, 광선조사 시간, 광선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광선조사 제어 파라미터를 메인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하는, 제어 파라미터 저장단계;
    제어 파라미터 저장단계 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는 제어 파라미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광선 조사 세기, 광선 조사 시간, 광선 조사 패턴을 이용하여 광선조사 제어신를 생성하여 광선 조사기로 전송하며,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수신된 광선조사 제어신호에 의해 광선조사기의 구동이 시작되는, 광선조사 시작단계;
    광선조사 시작단계 후, '광선조사 정지' 버튼이 선택되거나, 광선조사 시간이 종료되었다면, 광선조사기의 구동을 종료하고,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대답에 대한 점수를 읽어들이고,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메인서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치료결과 자가평가단계;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각 치료결과 자가평가 항목의 답변에 대한 점수를 일단위 또는 주단위 또는 월단위로 통계처리하여, 그래프, 문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치료결과 확인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제어 파라미터 설정단계의 전에, 휴대용 개인통신단말은, 광선조사기의 번호를 이용하여, 광선조사기를 메인서버에 등록하는 광선조사기 등록단계;
    메인서버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질병명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질병명 저장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기반 광선조사기의 구동방법.
KR1020150021725A 2015-02-12 2015-02-12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KR101862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25A KR101862109B1 (ko) 2015-02-12 2015-02-12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PCT/KR2016/001380 WO2016129928A1 (ko) 2015-02-12 2016-02-11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25A KR101862109B1 (ko) 2015-02-12 2015-02-12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352A KR20160099352A (ko) 2016-08-22
KR101862109B1 true KR101862109B1 (ko) 2018-06-11

Family

ID=5661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725A KR101862109B1 (ko) 2015-02-12 2015-02-12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2109B1 (ko)
WO (1) WO2016129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614B1 (ko) 2016-05-11 2021-04-09 주식회사 칼라세븐 스마트통신기기 기반의 저출력 광선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1499A (ko)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칼라세븐 스마트통신기기 기반의 저출력 광선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19333B1 (ko) * 2019-10-08 2022-07-11 신봉근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085044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칼라세븐 신체기능 증진용 빛패드 제어정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9304A (ja) * 2007-04-20 2008-11-06 Sensor:Kk ケータイ@ヘルスケア(楽楽健康管理)
WO2012048302A2 (en) * 2010-10-07 2012-04-12 Biomobie Corp. Handheld excitation terminal and emf emitter providing dynamic optimization of emission and therapeutic effect and remote therapeutic system
KR101263556B1 (ko) * 2010-11-22 2013-05-1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조사 기능을 갖는 휴대폰
KR20130005598A (ko) * 2011-07-06 2013-01-16 문성모 광 조사기,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79576B1 (ko) * 2013-01-07 2015-01-21 김남균 휴대형 스마트 통신기기에 구비된 색광 치료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9928A1 (ko) 2016-08-18
KR20160099352A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219B1 (ko) 스마트통신기기 기반의 저출력 광선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321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hototherapy
Dobkin Behavioral self-management strategies for practice and exercise should be included in neurologic rehabilitation trials and care
KR101862109B1 (ko) 저출력 광선조사기와 연결된 휴대용 개인통신단말 제어방법
KR102089634B1 (ko) 광선치료용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장치
KR20140128630A (ko) 원격 치료 시스템 및 환자 단말
KR20190051499A (ko) 스마트통신기기 기반의 저출력 광선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osser et al. Technology-mediated therapy for chronic pain management: the challenges of adapting behavior change interventions for delivery with pervasive communication technology
de Dicastillo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telematics platform for monitoring of patients in ambulatory major surgery
US201201513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 directed stress assistance
WO20220360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ntal health improvement
KR102160875B1 (ko) 복합 자극을 통한 뇌 운동 장치 및 방법
CN113384393B (zh) 按摩设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按摩设备
KR20220000629A (ko) 행동 습관 개선을 제공하는 관리 시스템
Sgubin et al. Gamification in Rehabilitation: The Role of Subjective Experience in a Multisensory Learning Context–A Narrative Review
Bestmann et al. GARRY: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ic System
Lakshminarayanan et al. Feasibility and usability of a virtual-reality-based sensorimotor activation apparatus for carpal tunnel syndrome patients
KR20210068813A (ko) 딥러닝 기반 고주파 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M530156U (zh) 結合智慧型設備使用的雙向診療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