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039B1 -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picule powder and natural complex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 - Google Patents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picule powder and natural complex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039B1
KR101862039B1 KR1020170003543A KR20170003543A KR101862039B1 KR 101862039 B1 KR101862039 B1 KR 101862039B1 KR 1020170003543 A KR1020170003543 A KR 1020170003543A KR 20170003543 A KR20170003543 A KR 20170003543A KR 101862039 B1 KR101862039 B1 KR 101862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nanoliposome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록
한병석
이석연
김지웅
방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00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0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03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picule powder; and a camu-camu extract, a peach extract, and niacinamide as active ingredients.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for skin of a user due to interaction among the active ingredients of natural raw materials and can maximize skin moisturizing and skin soothing effects.

Description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PICULE POWDER AND NATURAL COMPLEX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natural combination stabilized with a fine needle powder and a nanoliposo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에 의해 포접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composite extract containing a micropowder powder and a nanoliposome.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들을 온도 및 습도 변화,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Skin is the primary barrier of the human body. It protects the internal organs of the body from external stimuli such as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ultraviolet rays, and pollutant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aintenance of body homeostasis such as body temperature control.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분된다. 상기 표피층은 각질세포와 멜라닌 세포로 구성되는데, 피부 최외곽의 각질세포층은 외부환경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물리적, 화학적 혹은 물질의 투과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요구되며, 인체의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자체로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하여 유연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The skin is divided into the epidermal layer, the dermal layer and the subcutaneous fat layer. The skin layer is composed of keratinocytes and melanocytes. Since the keratinocytes in the outermost layer of the skin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they are required to have strong resistance against physical, chemical, or material permeation,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proper water content to maintain flexibility.

각질세포층에 존재하는 천연보습 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능을 가지며,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정상적인 각질세포층은 수분량이 약 10 내지 30% 정도 유지될 때 피부가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신체 보호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한다. 하지만, 각질세포층의 수분량이 10% 이하가 되면 피부는 거칠어지고 신체의 보호기능을 상실하여 피부 노화현상이 일어난다.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which is present in the keratin layer, has hydrophilic water retention capacit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kin moisturization. The normal keratinocyte layer is smooth and soft when the water content is maintained at about 10 to 30%, and the body protection functions normally. However,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keratinocyte layer is less than 10%, the skin becomes coarse, the protective function of the body is lost, and the skin aging phenomenon occurs.

건성 피부의 경우 각질세포의 결집력이 약화되어 피부표면으로부터 비늘조각과 같이 벗겨져 나오는 스케일링현상이 나타나며, 이와 같은 피부의 건성화 현상은 각질세포충의 수분함량이 정상 피부 대비 감소할 때 발생한다. 또한, 건강한 피부라 할지라도 혹독한 외부요인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세안, 면도 등에 의해 수분 부족현상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피부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은 적절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dry skin, the keratinocyte aggregation is weakened and scaling phenomenon appears as peel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skin. Such dryness of the skin occurs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keratinocyte is reduced compared to the normal skin. In addition, even a healthy skin may cause a water shortage phenomenon due to harsh external factors such as wind, cold weather, sunlight, cleansing, shaving, etc.,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keratinocyte layer is desirably maintained appropriately.

이런 이유로 피지 유사 성분이나 NMF 성분 또는 폴리올과 같은 보습제 등이 화장품에 첨가된다. For this reason, moisturizing agents such as sebum-like components, NMF components or polyols are added to cosmetics.

수용성 폴리올로서 수산기(OH 기)가 3개 이상인 글리세린, 솔리톨 등은 뛰어난 보습력을 가지는 반면 끈적임으로 인하여 사용성이 미흡하며, 수산기(OH 기)가 2개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천연보습인자인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PCA-Na),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 요소 등은 전해성이 강해 화장료의 유화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아미노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도 보습능력이 있으나 보습능력에 한계가 있다. Glycerin and solitol having three or more hydroxyl groups (OH groups) as the water-soluble polyol have excellent moisture resistance, but are insufficient in usability due to stickiness, and have a hydroxyl group (OH group) having two hydroxyl groups such as propylene glycol and 1,3-butylene glycol Can cause side effects to the skin. In addition, other natural moisturizing factors, such as sodium pyrrolidonecarboxylate (PCA-Na), sodium lactate, urea, etc., are highly electrolytic and may deteriorate emulsion stability of the cosmetic. Amino acids, collagen, and elastin also have moisturizing ability, but they have limited moisturizing ability.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은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될 수 있으며, 결국 피부가 노화될 수 있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에 의해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알루론산,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라이칸, 피브로넥틴 등이 절단되고 과다 염증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더욱 심화되는 경우 DNA 변이에 의한 돌연변이, 면역기능의 저하, 암의 유발이 촉진될 수 있다. Lipids, proteins, polysaccharides and nucleic acids, which are major components of the skin, can be oxidized to destroy skin cells and tissues, and the skin may eventually age. Particularly, oxidation of proteins can cause collagen, hyaluronic acid, elastin, proteoglycan, fibronectin, etc., which are connective tissues of the skin, to be cleaved and hyperinflammation reaction. In the case of further deepening, mutation due to DNA mutation, Cancer induction can be promoted.

따라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 되는 활성산소종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활발한 신진대사를 통해 손상 받은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 건강을 회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cell membrane by eradicating reactive oxygen species which are mediat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ultraviolet ray irradiation, and inflammation reaction occurring during the metabolism of the body, regenerate damaged cells through active metabolism, and restore skin health desirable.

한편, 화장품 업계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다수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Meanwhile, the cosmetics industry is developing a number of products using natural products to reduce skin irritation caused by various chemicals. In addition to low adverse effects on skin, natural materials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ly developed as cosmetic raw materials, as consumers have become more receptive to cosmetics using natural materials.

그러나, 통상의 방법으로 수득된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품은 피부 미백 효과 등 기능성이 충분히 구현되지 아니하며, 피부 개선 활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a cosmetic product containing a natural-derived extract obtained by a conventional method has not been sufficiently functionalized, such as a skin whitening effect, and the skin improving activity is not maintained constantly.

따라서, 우수한 기능성과 함께 생체 안정성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 화장료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EWG 1 등급에 해당하는 천연 성분만을 담아 민감한 피부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 피부 외용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Accordingly, there is a continuing need to develop cosmetic produ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which have excellent functionalities and excellent biostability and skin improving effec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n eco-friendly skin external preparation product that can contain only natural ingredients corresponding to EWG 1 grade and can safely use sensitive skin.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뿐만 아니라 생체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not only functionality but also biostabilit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세침 분말; 및 카무카무 추출물, 복숭아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powder powder comprising; And camucam extract, peach extract, and niacinamide (Niacinamide) as an active ingredien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무카무 추출물, 상기 복숭아 추출물, 및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mucame extract, the peach extract, and the niacinamide may be stabilized by a nanoliposom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대두 유래의 레시틴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anoliposome may be stabilized with soybean-derived lecithin having a phosphatidylcholine content of at least 70% by weigh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즈마리잎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및 로즈힙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osemary leaf extract, peppermint leaf extract, and rose hip extrac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로즈마리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페퍼민트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로즈힙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mprise 10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rosemary leaf extract, 10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peppermint leaf extract,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rosehip extrac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화장료 조성물.In one embodiment, the extra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hydrous or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acetone, petroleum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trichloromethane, dichloromethane, chloroform,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extracted with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ol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 antioxidant, skin moisturizing, or skin cleans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is comprised of a softening agent, a nutritional lotion, a water cream, a nutritional cream, a massage cream, an essence, an ampoule, a gel, an eye cream, a cleansing cream, a cleansing foam, a cleansing water, a pack, Lt; / RTI > may be formulated into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원료의 유효성분들이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의 피부 건강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acts with the effective ingredients of the natural raw material to benefit the skin health of the user and maximizes the skin moisturizing and skin soothing effects.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된 천연 원료는 EWG 1 등급에 해당하는 원료로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없고 민감한 피부에도 안심하고 적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natural raw material applied to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w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EWG 1 grade and can be applied safely to sensitive skin without harmfulness to human bod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set forth in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intended to encompass all commonly used generic terms that may be considered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upon the intent or circumstance of the skilled artisan,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The numerical range includes numerical values defined in the above range. All numerical limitations of all the maximum numerical value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 all lower numerical limitations as the lower numerical limitations are explicitly stated. All the minimum numerical limitation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 all higher numerical limitations as the higher numerical limitations are explicitly stated. All numerical limitation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include any better numerical range within a broader numerical range, as narrower numerical limitations are explicitly sta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은 미세침 분말; 및 카무카무 추출물, 복숭아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A fine needle powd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mucame extract, peach extract, and niacinamide (Niacinamide)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개선 효과 및 생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추출물 및 기타 첨가 성분이 피부에 동시에 작용하므로 상승 효과로 인해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현저히 증대될 수 있으며, 미세침 분말은 상기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extract of natural origin as an active ingredient, so that it is excellent in skin improving effect and biosafety, and skin irritation can be minimized. Particularly, since the extract and other ingredients are simultaneously acting on the skin, the skin moisturizing effect, the skin soothing effect and the skin elasticity improving effect can be remarkably increased owing to the synergistic effect, and the fine needle powder can effectively improve the skin absorbency of the active ingredient have.

특히,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EWG 1 등급 성분만을 함유하므로 기능성과 안전성을 모두 충족하고 있으며, 유해성이 없어 민감한 피부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In particular, since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only EWG level 1 components, it satisfies both functionality and safety, and is easy to apply to sensitive skin because it is not harmful.

EWG 등급은 미국의 비영리 환경 시민단체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에서 발표하는 화장품 성분 유해 등급으로서 EWG는 화장품 성분의 유해성에 대해 면밀한 조사를 진행해 성분 유해도를 1등급에서 10등급까지 구분하고 있으며, 1등급 및 2등급을 안전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EWG is a cosmetic ingredient harmful grade announced by EWG (Environmental Working Group), a nonprofit environmental NGO in the United States. EWG carefully examines the harmfulness of cosmetic ingredients and classifies the hazard level from 1 to 10, and 1 Class 2 and Class 2 are classified as safety class.

상기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주름개선효능과 관련된 콜라겐 합성, 탄력 개선,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진정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 means an effective amount that can exhibit a skin improving effect, for example, a degree of collagen synthesis associated with a wrinkle reducing effect, an elasticity improvement, a skin irritation alleviation, can do.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카무카무 추출물, 복숭아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가 우수하며, 미세침 분말 분말은 유효 성분의 피부 내 흡수를 현저히 촉진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is excellent in antioxidation, skin moisturizing and soothing effects, including camucam extract, peach extract, and Niacinamid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fine needle powder can remarkably accelerate the absorp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to the skin have.

상기 미세침(Spicule)은 대개 유럽, 러시아 지역의 담수에서 서식하는 해면 동물에서 채취되는 다양한 미세침의 형태를 띈 칼슘과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복합 물질이고, 일반적으로 분말의 형태로 수득할 수 있다. Spicule is a composite material composed of calcium and silicate in the form of various fine needles taken from sponges living in fresh water in Europe and Russia, and can be generally obtained in the form of powder.

상기 미세침은 미세한 침상형 구조로서 피부층을 침투하여 미세 통로를 형성하므로 도포된 화장료 성분의 침투 효과가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침은 인위적 상처 치유에 작용하는 콜라겐의 피부재생을 촉진하고 피부 조직 온도를 상승시켜 생체 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ine needle-like structure penetrates the skin layer as a fine needle-like structure and forms a micro channel, so that the penetration effect of the applied cosmetic ingredient can be remarkably increased. In addition, the fine needle can promote skin regeneration of collagen which acts on an artificial wound healing, and increase the skin tissue temperature to increase bioactivity.

상기 미세침은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서 피부에 접촉될 때 피부를 자극하여 미세한 기공을 형성하고 체내에서 용해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분말형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ne needle is a harmless substance to the human bod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owdery material capable of stimulating the skin to form fine pores and dissolved or discharged in the body.

상기 미세침 분말은 해면 동물에서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해면 동물은 스폰질라 라쿠스트리스 엘(Spongilla lacustris L.), 스폰질라 프라길리스 레이디(Spongilla fragilis Leidy) 및 에피다티아 플루비아틸리스(Ephydatia fluviatilis) 종에 속하는 해면일 수 있다.The fine needle powder can be obtained in a spongy animal, and the spongy animal is a Spongilla lacustris L. ), Spongilla fragilis Leidy , and Ephydatia fluviatilis species.

상기 해면동물은 근육, 신경 또는 장기가 존재하지 않은 원시적인 해양 생물로 5000 여종 이상이 존재한다. 골편은 무척추 동물의 체내에 존재하는 바늘 모양을 가지는 골격의 기능을 하는 조직으로 주로 규산 및 탄산 칼슘을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해면동물은 탄산칼슘 또는 규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1축, 3축, 4축 또는 다축 골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sponge animal is a primitive marine creature with no muscle, nerves or organs, and more than 5,000 species are present. The skeleton is a tissue that functions as a needle-like skeleton existing in the body of invertebrate animals, and mainly contains silicic acid and calcium carbonate. The sponge animal may comprise uniaxial, triaxial, tetragonal or multiaxial bone fragments containing calcium carbonate or silicic acid as a major component.

상기 해면동물은 주황색이나 청록색 등 다양한 색의 스펀지(sponge) 형태로 주로 바다에 서식하나, 민물 해면동물도 존재한다.The sponge is sponge of various colors such as orange or cyan, and it lives mainly in the sea, but there is also a freshwater sponge.

상기 해면동물은 세포들이 응집된 상태로 조직의 시초 단계에 있는 생물이며 몸체는 스펀지 섬유소(sponge fibers), 체벽을 형성하는 골편(spicules) 및 골편에 결합된 세포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편의 주성분은 석회질, 규산 또는 실리카 등이고 크기는 100 ㎛ 내외이므로 현미경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The sponge animal is an organism that is in the initial stage of tissue in a state where cells are aggregated, and the body is composed of sponge fibers, spicules forming body wall, and cells bound to bone fragments. The main component of the bone fragments is calcite, silicic acid, silica or the like, and the size is about 100 탆 or so and can be observed by a microscope.

상기 골편은 피부 재생의 효과적 수단으로서, 다양한 병인의 과색소침착, 미세 주름, 일광에 의한 손상 및 표재성 흉터, 면포, 확대된 모공과 같은 시각적 안면 결함을 교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물리적 시술인 미세 피부 연마술 및 피부 연마술, 화학 박피술, CO2 레이저 박피술 및 어븀 레이저 박피술에 대한 천연의 대안적 접근법으로 활용되고 있다.The bone fragment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ans of skin regeneration to correct visual facial defects such as hyperpigmentation of various etiologies, fine wrinkles, sun damage, superficial scars, cotton wool, and enlarged pores. It is also being used as a natural alternative approach to microdermabrasion and skin erosion, chemical peeling, CO 2 laser ablation, and erbium laser ablation, which are physical procedures to improve skin conditions.

상기 골편은 피부층에 접촉되어 마찰될 때,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각질세포 응집을 감소시키고, 각질층, 피지 플러그, 및 각질세포를 탈리시켜 피부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When the bone fragments come into contact with and rub against the skin layer, they are physically separated to reduce keratinocyte aggregation, and the keratin layer, sebum plug, and keratinocytes can be desorbed to promote regeneration of the skin.

상기 미세침 분말의 입자 평균 길이는 60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입자 평균 길이가 60㎛ 미만이면 피부 내에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기공을 형성할 수 없고, 500 ㎛이면 분산성이 저하되거나 피부에 대한 과도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length of the fine needle-like powder may be 60 to 500 탆. If the average particle length is less than 60 탆, it can not effectively penetrate into the skin to form pores. If it is 500 탆, the dispersibility may be lowered or excessive stimulation to the skin may occur.

상기 미세침 분말은 침상형 구조로 미세침이 피부층을 침투하여 미세 통로를 형성하므로 도포된 화장료 성분의 침투 효과가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침 분말은 인위적 상처 치유에 작용하는 콜라겐의 피부재생을 촉진하고 피부 조직 온도를 상승시켜 생체 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microneedle powder has a needle-shaped structure, and the microneedle penetrates the skin layer to form a micro channel, so that the penetration effect of the applied cosmetic ingredient can be remarkably increased. In addition, the micropowder powder promotes skin regeneration of collagen which acts on an artificial wound healing, and increases skin tissue temperature to increase bioactivity.

상기 미세침 분말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세침 분말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피부 침투 개선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5.0중량% 초과이면 필요 이상의 미세침 분말로 인해 부작용이나 피부 트러블이 야기될 수 있다.The fine needle-like powder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5-5.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fine needle-like powder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enetration of the skin may not be realized sufficiently. If the content is more than 5.0% by weight, unnecessary fine needle-shaped powder may cause side effects or skin troubles.

상기 미세침 분말의 원재료 그 자체로는 불균형한 침 형태와 기타 불순물로 인해 피부에 손상을 일으켜 피부에 알레르기나 염증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미세침 분말의 원재료는 가공 및 정제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즉, 상기 미세침 분말이 균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분류하고, 선택적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타 첨가제를 섞어, 파우더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The raw material of the fine needle powder itself may cause skin irritation due to imbalanced needle shape and other impurities, which may cause side effects such as allergy or inflammation to the skin. Thus, the raw material of the micropowder powder may undergo processing and purification processes. That is, the fine needle-like powder can be classified into powder having a uniform length and other additives capable of selectively improving the skin's skin effect.

상기 “카무카무(Myrciaria dubia)”는 중남미 열대 우림지역의 하류 부근의 습지대에 생육하고, 높이 2∼3 m이며, 직경 2∼3 cm인 빨간 열매를 맺는 관목이다. 상기 카무카무 나무는 아마존강 유역의 열대 우림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열매는 밝은 오렌지색이며 직경은 약 1 내지 3 cm이다. 상기 열매 안에는 50 내지 55%의 붉은 과육과 1 내지 3개의 종자를 가지고 있다.The " Myrciaria " dubia "is a shrub that grows in a wetland near the downstream of the Latin American rainforest and is 2 to 3 m high and has a red fruit with a diameter of 2 to 3 cm. The Kamookam tree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rainforest area of the Amazon river basin. The fruit is bright orange and has a diameter of about 1 to 3 cm. The fruit has 50 to 55% of red flesh and 1 to 3 seeds.

상기 “복숭아(Prunus persica)”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한방에서는 성숙한 과실의 종자를 건조한 도인을 복부팽만감, 복부통, 혈액순환장애, 월경불순 등에 이용하며 완화제로서 사용된다(Hur J. Dongeuibogam. . Bupin Publishing, Seoul, Korea. p.1246, 2005). 상기 복숭아는 유기산, 식이섬유, 탄닌, 벤조후란과 같은 파이토케미칼(phytochemical)을 다량 함유하며 항산화 작용, 혈전용해활성, 지질저하작용 등의 생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The "Peach ( Prunus persica "is a deciduous tree belonging to the family Rosaceae. It is used as an emollient in the oriental herb that is used to dry seeds of mature fruit, such as abdominal bloat, abdominal cavity, blood circulation disorder, menstrual irregularity (Hur J. Dongeuibogam. Bupin Publishing, Seoul, Korea, p.1246, 2005). The peach contains a large amount of phytochemicals such as organic acids, dietary fibers, tannins, and benzofurans, and can realize biological effects such as antioxidative action, thrombolytic activity, and lipid lowering action.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수용성 비타민 B3, 비타민 PP로 알려져 있으며, 인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녹색 채소나 곡류 등의 식품에 포함되어 있고 열과 빛에도 안정적이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세라마이드와 함께 라멜라 구조형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의 합성을 동시에 촉진하여 표피의 수분 상실을 감소시키고 지질량을 개선할 수 있다.Niacinamide, known as water-soluble vitamin B3 and vitamin PP, is essential for the human body and is contained in foods such as green vegetables and grains, and is stable to heat and light. The niacinamide together with the ceramide can promote the synthesis of the cholesterol and fatty acid necessary for formation of the lamellar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ereby reducing the moisture loss of the epidermis and improving the fat mass.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나노클로롭시스 오세아니카를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extract" refers to a solvent in which an effe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an extraction raw material has been transferred by contacting a solvent and an extraction raw material under specific conditions. If a substance is separated from a natural product, the extraction method, You can include them all regardless. For example, it may include extracts of components dissolved in a solvent from natural products by using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nd specific components of natural products, such as oils obtained by extracting only specific components such as oil.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drying and then pulverizing the nanocloprosis oseanica, or various extrac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such as a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nd an ethanol extraction method.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60 내지 80% 농도(v/v)의 에탄올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Wherein the extra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nhydrous or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cetone, petroleum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trichloromethane, dichloromethane, chloroform, hexane and 1,3-butylene glycol (V / v) of ethanol,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extracted with a concentration of 60 to 80% (v / v) ethanol.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천연 원료의 생리 활성 물질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The extraction ratio of the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larity of the solvent. Since the ethanol is excellent in selectivity for extracting a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from a natural raw material, the ethanol extract can realize an optimal skin improving effect Can

물과 에탄올은 극성이 상이하고 각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탄올의 농도가 60% 미만이면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80% 초과이면 적정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Since the water and ethanol have different polarities and the effective components to be extracted depend on the polarity,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so that an optimal skin improving effect can be realized. At this time, if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is less than 60%, the effective ingredient showing skin improving effect may not be extracted sufficiently, and if it is more than 80%, an adequate yield may not be realized.

상기 추출물은 추출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The extract is washed with water, dried and pulverized, and extracted and extracted with a solvent having a volume of 8 to 12 times the weight of the raw material for about 1 to 24 hours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circulation extraction, pressure extraction, Followed by filtration. In addition, the extract can be obtained in powder form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vacuum distillation or freeze-drying.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ract may also contain an extract which has been subjected to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For example, the extract may be subjected to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such as separation u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Lt; RTI ID = 0.0 > fractions. ≪ / RTI >

이 때, 상기 카무카무 추출물, 상기 복숭아 추출물, 및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나노리포좀에 의해 포접되어 피부 내에 안정적으로 침투하며, 상기 나노리포좀은 미세침 분말과 함께 피부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mucame extract, the peach extract, and the niacinamide may be stabilized by a nanoliposome. The extract and niacinamide are encapsulated by nanoliposomes and penetrate stably in the skin, and the nanoliposome can act effectively on the skin together with the fine needle powder.

상기 “나노리포좀”은 통상적인 리포좀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1 내지 150nm인 리포좀을 의미할 수 있다.The " nanoliposome " may refer to a liposome having a typical liposome form and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150 nm.

상기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은 90 내지 130nm일 수 있다. 상기 나노리포좀의 평균입자 지름이 130nm 초과이면 피부침투 효과가 저하되고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90nm 미만이면 나노리포좀 내에 유효 성분이 적절히 내포되지 않을 수 있다.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nanoliposome may be 90 to 130 nm.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nanoliposome is more than 130 nm, the skin penetration effect may be lowered and the formulation stability may be deteriorated.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90 nm, the nanoliposome may not properly contain the active ingredient.

상기 나노리포좀은 폴리올, 유성 성분, 계면활성제, 인지질,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nanoliposome may be prepared by a mixture comprising a polyol, an oily component, a surfactant, a phospholipid, a fatty acid and water.

상기 폴리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컨대,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은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7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The type of the polyo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glycerin, methylpropanediol, isoprene glycol, pentylene glycol, erythritol, xylitol, sorbitol, have. Preferably, the polyol may be prop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or glycerin, and the polyol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to 7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anoliposome.

상기 유성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과 같은 실리콘 오일;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프로폭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계 오일; 피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및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노이드 지질;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시토스테릴설페이트 또는 C10 내지 40 지방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2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As the oily component, various oil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hydrocarbon-based oils such as hexadecane and paraffin oil; Ester-based synthetic oils; Silicone oils such as dimethicone and cyclomethicone; Vegetable oils such as sunflower oil, corn oil, soybean oil, avocado oil, sesame oil and fish oil; Ethoxylated alkyl ether oils; Propoxylated alkyl ether oils; Sphingoid lipids such as phytosphingosine, sphingosine and sphinganine; cholesterol; Sitosterol; Cholesteryl sulfate; Cetostearyl sulphate or C10 to 40 fatty alcohols. The oil compon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to 2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anoliposome.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또는 트리알킬포스페이트일 수 있으며,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As the surfactant, various surfactant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For example,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mphoteric surfactants and nonionic surfactants can be used, and preferably anionic surfactants and Nonionic surfactants can be used. The anionic surfactant may be an alkyl acyl glutamate, an alkyl phosphate, an alkyl lactate, a dialkyl phosphate or a trialkyl phosphate, and the nonionic surfactant may be an alkoxylated alkyl ether, an alkoxylated alkyl ester, an alkyl polyglycoside, Polyglyceryl esters and sugar esters. The surfacta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anoliposome.

상기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로 이용된 것으로서, 천연 인지질(예컨대,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 (예컨대,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수첨 레시틴)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첨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을 사용할 수 있다. The phospholipid is used as both affinity lipids, and natural phospholipids (e.g., egg yolk lecithin or soy lecithin, sphingomyelin) and synthetic phospholipids (e.g., 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 or hydrogenated lecithin) Hydrogenated lecithin can be used.

한편, 상기 나노리포좀은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대두 유래의 레시틴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으며, 상기 대두 유래의 레시틴은 수화 단계를 거쳐 임의적으로 수소가 첨가된 수첨 레시틴일 수 있다. Meanwhile, the nanoliposome may be stabilized by soybean-derived lecithin having a phosphatidylcholine content of 70 wt% or more, and the soybean-derived lecithin may be hydrogenated lecithin optionally hydrogenated through a hydration step.

상기 대두 유래의 수첨 레시틴은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으며, 피부 침투능이 우수하므로 상기 갈로일 펩타이드의 피부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 대두 유래의 수첨 레시틴은 단단하게 결합된 분자들 사이에 물분자가 도입되어 팽윤되므로 유화시 오일입자를 둘러쌓음으로써 안정한 에멀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oybean-derived hydrogenated lecithin is excellent in stability, has no irritation to the skin, and has excellent skin penetration ability, so that the skin absorption of the gallic acid peptide can be promoted. The hydrogenated lecithin derived from soybean is swollen by the introduction of water molecules between tightly bound molecules, so that a stable emulsion can be formed by surrounding oil particles during emulsification.

상기 나노리포좀의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70 중량% 미만인 경우 불순물이 과도하게 포함되어 평균입자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을 적정 비율 이상 유지함으로써 피부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phosphatidylcholine in the nanoliposome is less than 70% by weight, impurities may be excessively contained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may be increased. Therefore, the skin absorption can be promoted by maintaining the content of the phosphatidylcholine at a proper ratio or more.

상기 지방산은 고급 지방산으로서, 바람직하게는 C12-22 알킬 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며,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또는 리놀레산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The fatty acid is a higher fatty acid, preferably a saturated or unsaturated fatty acid of a C12-22 alkyl chain, such as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or linoleic acid. The fatty acid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anoliposome.

또한, 상기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일 수 있으며,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2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used for preparing the nanoliposome may be deionized distilled water, a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20.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anoliposome.

상기 나노리포좀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nanoliposomes can be prepared by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but preferably they can be prepared by applying a mixture containing the components to a high pressure homogenizer.

상기 나노리포좀은 목적하는 나노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예컨대, 압력, 횟수 등)으로 균질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bar의 압력 하에서 1 내지 5회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통과시켜 제조될 수 있다. The nanoliposomes can be homogenized under various conditions (e.g., pressure, number of times, etc.) according to the desired nanoparticle size, and can be prepared by passing through a high pressure homogenizer 1-5 times under a pressure of 600 to 1200 bar have.

한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즈마리잎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및 로즈힙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적인 추출물에 의한 시너지 효과로 인해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osemary leaf extract, peppermint leaf extract, and rose hip extract. The cosmetic composition can maximize skin moisturizing and skin soothing effects due to the synergy effect of the additional extract.

상기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는 로즈메리 혹은 미질향이라고도 하며, 잎, 순, 꽃이 식용 가능한 꿀풀과(Labiatae)의 상록 작은 관목이다. 상기 로즈마리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허브이며 푸른 잎과 특유의 향을 갖는다. 상기 로즈마리는 알파-피넨, 아피게닌, 베타-카로틴, 베타-시토스테롤, 베둘린산, 보르네올, 커피산, 캐퍼, 카프노솔, 카바크롤, 카르본, 카리오필렌, 클로로겐산, 디오스민, 겐콰닌, 게라니올, 헤스페이딘, 리모넨, 리날로올, 올레놀산, 1,8-시네욜, 로즈마리놀, 로즈마릭산, 살리실산, 스쿠알렌, 타닌, 티몰, 어솔릭산, 칼슘, 마그네슘, 망간, 인, 칼륨, 아연, 비타민 B1, 비타민 B3, 비타민 C 등 다양한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The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 "is an evergreen small shrub of Labiatae, also known as a rosemary or mild fragrance, which is edible with leaves, seeds, and flowers. The rosemary is a perennial herb that originates from the Mediterranean coast, and has green leaves and distinctive aroma. The rosemary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pha-pinene, apigenin, beta-carotene, beta-sitosterol, beudulinsic acid, borneol, coffee acid, caper, capnosol, carbacol, carnos, cariopilene, chlorogenic acid, diosmin, But are not limited to, lanolin, lysine, laniol, hespeyedin, limonene, linalool, oleic acid, 1,8-cinenol, rosemarynol, rosmaric acid, salicylic acid, squalane, tannin, thymol, ascorbic acid, calcium, magnesium, , Zinc, vitamin B1, vitamin B3, vitamin C, including various active ingredients, including excellent skin improvement effect.

상기 “페퍼민트(Mentha piperita)”는 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짙은 녹색으로 자루가 있고 부드러우며, 잎과 꽃은 사탕·후식·음료·샐러드와 다른 음식들을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한다. 상기 페퍼민트는 멘톨(Menthol), 멘톤(Menton), 멘틸 아세테이드(Menthyl Acetate), 민토퓨란(Minthofuran), 리모넨 풀곤(Pulegone) 등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에 보습 및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The "Peppermint (Mentha piperita ) "is a perennial plant of the cypress plant, monocotyledonous plant. It is dark green with a bag and soft, leaves and flowers are also used to make candies, desserts, drinks, salads and other foods. The peppermint may contain various ingredients such as Menthol, Menton, Menthyl Acetate, Minthofuran, and Pulegone to impart moisturizing and refreshing sensation to the skin.

상기 “로즈힙(Rosa canina)”은 들장미 꽃이 핀 후에 맺은 열매를 가리키며 'Rose Haw'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로즈힙은 중앙아시아와 터키지역에서 자생하고 있으며(YamanKaradeniz, 1983) 유럽과 미국에서는 수 년동안 차(Tea)나 비타민 C보충제, 식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영국의 허브약전에 의하면 로즈힙은 위염, 설사, 갈증, 비타민 C 결핍증에 특효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고, 채소나 과일보다 비타민 C가 20 내지 40% 많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다양한 피부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 Rosa canina " refers to the fruit after the blooming of the blooming flowers and is also called "Rose Haw". The rose hips are native to Central Asia and Turkey (YamanKaradeniz, 1983) and have been used in tea and vitamin C supplements and food medicines for year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Herb Pharmacopoeia in the UK, Rosehip is said to be effective against gastritis, diarrhea, thirst and vitamin C deficiency. It contains 20 to 40% more vitamin C than vegetables and fruits. Can be implemented.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로즈마리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페퍼민트잎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로즈힙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10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rosemary leaf extract, 10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peppermint leaf extract,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rose hip extract.

상기 추출물의 혼합 비율의 편차가 큰 경우 각 추출물의 유효성분에서 유래한 피부 개선 효과가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 및 최종 산물의 품질을 고려하여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중량 범위에서 유효성분에서 유래한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variation of the mixing ratio of the extract is large, the skin improvement effect derived from the active ingredient of each extract may not be properly implemented, and thus the mixing ratio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The extract may be provided with an optimal skin improving effect derived from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above weight range.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상기 알코올은 60 내지 90% 농도(v/v)의 에탄올일 수 있다.Wherein the extra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nhydrous or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cetone, petroleum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trichloromethane, dichloromethane, chloroform, hexane and 1,3-butylene glycol , And the alcohol may be ethanol at a concentration of 60 to 90% (v / v).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진정용일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used for antioxidant, skin moisturizing or skin cleansing.

상기 "피부 보습"은 피부의 수분 손실(수분 증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피부조직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피부 보습 효과는 각질 개선효과, 피부자극 감소효과 등 다양한 측면의 추가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수반할 수 있다.The term " skin moisturizing " means any action that maintains the homeostasis of the skin tissue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moisture loss (moisture evaporation) of the skin and the like. The skin moisturizing effect may be accompanied by an additional skin improving effect in various aspects such as an exfoliation improving effect and a skin irritation reducing effect.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ftening longevity, nutritional lotion, moisture cream, nutritional cream, massage cream, essence, ampoule, gel,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and powder Can be formulat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by a conventional method. The contents disclosed in Remington ' 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in the formulation of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an be referred to, and i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 Inc., Washington, 1995).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to a general emulsified formulation and a solubilized formulation. For example, lotion such as soft lotion or nutrition lotion; Lotion such as facial lotion, body lotion; Nourishing cream, moisture cream, cream such as eye cream; essence; Makeup ointment; spray; Gel; pack; Sunscreen; Makeup base; A foundation such as a liquid type, a solid type or a spray type; powder; Make-up removers such as cleansing creams, cleansing lotions and cleansing oils; Or a cleansing agent such as a cleansing foam, a soap, a body wash,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may be formulated into ointments, patches, gels, creams or spray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ropriately blended with other ingredients within the range of not compromis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formulation or the purpose of use, in addition to the essential ingredients in each formulation.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a conventional acceptable carrier and may appropriately contain, for example, oil, water, a surfactant, a moisturizer, a lower alcohol, a thickener, a chelating agent, a colorant, no.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The acceptable carrier may vary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For example, when formulated into ointments, pastes, creams or gels, there may be used an animal oil, a vegetable oil, a wax, a paraffin, a starch, a tracer, a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 bentonite, silica, talc, zinc oxide, Mixture can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into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polyamide powder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In the case of a spray, Propellants such as carbon, propane, butane or dimethyl ether.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into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a solubilizing agent or an emulsifying agent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benzoate, 1,3-butyl glycol oil may be used, and in particular, fatty acid esters of cottonseed oil, peanut oil, corn oil, olive oil, castor oil and sesame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may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When formulated into a suspension,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as a carrier component,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etc. may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into soap, it is preferable to use, as a carrier component, an alkali metal salt of a fatty acid, a fatty acid hemiester salt, a fatty acid protein hydrolizate, isethionate, a lanolin derivative, an aliphatic alcohol, a vegetable oil, Can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which is generally us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quality or function of the final product, such as a lipid, an organic solvent, a solubilizing agent, a thickening agent, a gelling agent, a softening ag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Surfactants, water,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metal ion sequestrants,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blocker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 agents, And may further contain adjuva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ics or dermatology, such as any other ingredient.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However, the adjuvant and the mixing ratio thereof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so as not to affect the preferable properti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 천연 추출물의 제조 1: Preparation of natural extract

카무카무 열매, 복숭아 열매, 로즈마리잎, 페퍼민트잎, 로즈힙을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각각 100g씩 수득하였다.After thoroughly rinsing the fruits of Kamuca mushroom, peach fruit, rosemary leaf, peppermint leaf and rosehip, they were thoroughly dried at room temperature and pulverized to obtain 100 g of pulverized products, respectively.

각 분쇄물 100g에 대해 각각 10배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70% 질량농도)를 용매로 하여 7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침적 추출하였다. 100 g of each pulverized product was immersed and extracted with a 10-fold volume of an aqueous ethanol solution (70% mass concentration) as a solvent at a temperature of 70 ° C for 12 hours.

추출물을 250메쉬 및 0.5㎛ 필터로 여과한 후 잔여 원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30℃에서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형분을 수득하였다.The extract was filtered with 250 mesh and 0.5 mu m filters and then extracted three times in the same manner for the remaining raw materials. The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30 DEG C and lyophilized to obtain a solid fraction.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  2 : 나노리포좀의Nanoliposome 제조 Produce

나노리포좀의 제조를 위해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A상에 B상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습윤 시켰으며, 이후 C 상을 첨가하고 70-80℃에서 가열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 용액은 600-1000 bar의 조건으로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3회 통과 후 냉각되었으며 평균 입자 지름 약 100nm 의 나노리포좀을 수득하였다.For the preparation of nanoliposomes, B phase was added to A phase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and wetted uniformly, then C phase was added and heated to mix at 70-80 ° C. The mixed solution was passed through a high-pressure homogenizer three times under a condition of 600-1000 bar, and cooled to obtain a nanoliposom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100 nm.

Prize 성분ingredient 함량(중량%)Content (% by weight) AA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4040 BB 레시틴lecithin 55 콜레스테롤cholesterol 2.52.5 세라마이드Ceramide 2.52.5 쇼듐스테아로일 락테이트Sodium stearoyl lactate 0.50.5 폴리솔베이트-80Polysorbate-80 0.50.5 스테아린산Stearic acid 0.50.5 CC 카무카무 추출물Kamakamu extract 4.04.0 복숭아 추출물Peach extract 4.04.0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10.1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미량a very small amount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Balance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3 :  3: 미세침Fine needle 분말 제조 Powder manufacturing

건조된 해면(Spongilla lacustris )에서 수득한 천연 스폰지 200g에 0.5N-수산화나트륨 용액을 800ml를 투입하여 초음파 공정으로 혼합 및 분쇄하였다. 교반 후 원심분리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제수로 700ml를 투입하여 가용성 불순물 및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제거하였다.Dried sponges ( Spongilla 800 g of a 0.5 N sodium hydroxide solution was added to 200 g of the natural sponge obtained in lacustris and mixed and pulverized by an ultrasonic process. After stirring, impurities were removed by centrifugation and 700 ml of purified water was added to remove soluble impurities and sodium hydroxide solution.

2%-L-아스코르빈산 용액 800ml로 미량의 수산화나트륨을 화학 반응으로 제거하고 과투입된 L-아스코르빈산 용액을 제거한 후 건조시켜 정제수가 제거된 미세침 분말을 수득하였다. A small amount of sodium hydroxide was removed by chemical reaction with 800 ml of a 2% -L-ascorbic acid solution, and then the charged L-ascorbic acid solution was removed, followed by drying to obtain fine needle powder from which purified water was removed.

실시예Example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수득한 추출물 및 발효 추출물의 피부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기 표 2와 같이 시료를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정하였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시중에서 구득하여 사용하였다.In order to verify the skin improving effect of the extracts and fermented extracts obtained,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set by mixing the samples as shown in Table 2 below. Niacin amide was obtained and used on the market.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구분division 실시예
1
Example
One
실시예
2
Example
2
실시예
3
Example
3
실시예
4
Example
4
실시예
5
Example
5
실시예
6
Example
6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One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미세침 분말Fine needle powder 2020 2020 2020 2020 2020 2020 -- -- -- -- 카무카무 추출물Kamakamu extract 2020 -- -- -- -- -- 3030 3030 -- -- 복숭아 추출물Peach extract 2020 -- -- -- -- -- 3030 3030 -- --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50.5 -- -- -- -- -- -- 0.50.5 -- -- 나노리포좀
(제조예 2)
Nanoliposome
(Production Example 2)
-- 4040 2525 2525 2525 2525 -- -- 6060 37.537.5
로즈마리잎
추출물
Rosemary leaves
extract
-- -- 1515 1010 -- 55 -- -- -- 7.57.5
페퍼민트잎 추출물Peppermint leaf extract -- -- 55 1010 55 -- -- -- 7.57.5 로즈힙 추출물Rosehip extract -- -- -- -- 55 55 -- -- -- 7.57.5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 피부 안전성 시험 1: Skin safety test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가 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정제수에 현탁하여 농도별(100, 50, 25 μg/mL)로 조성한 후, 하기의 방법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The toxicity of the sampl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o the cells was measured. Sampl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suspended in purified water and prepared by concentration (100, 50, 25 μg / mL),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세포 독성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모스만(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HDF(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를 96-well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 CO2 에서 24 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Cytotoxicity was performed by modifying the method of Mosmann to measure cell viability using MTT {3- (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reagent. HDF (Human Dermal Fibroblast) cells were seeded in a 9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1 × 10 4 cells / well and stabilized at 37 ° C and 5% CO 2 for 24 hours.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MTT를 5 mg/mL 농도로 처리하여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MSO(Dimethyl sulfoxide)를 100μL씩 투입하고, 10 분 동안 교반한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Sampl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treated for each concentration and cultured for 24 hours. After the medium was removed, MTT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5 mg / mL and cultured for 2 hours. 100 μL of DMSO (dimethyl sulfoxide)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stirred for 10 minutes 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측정 결과, 각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는 상기 복합 추출물이 인체에 무해하며 안전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at all concentrations of each sample.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ed extrac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excellent in safety.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피부 보습 효과 시험 2: skin moisturizing effect test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성의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되,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4의 시료만을 달리하였다.The skin moisturizing power improving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p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evaluated. A cream form cosmetic composition of the same composition was prepared using the samp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Each of the samples was formulated into creams having the same composition, but the samples of Examples 1 to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different.

상기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피실험자(20세 내지 40세 여성) 50명을 5명씩 10개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그룹에 대해 안면 전체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포함하는 크림을 1일 2회씩 연속 1개월 간 도포시켰다.In order to measure the skin moisturizing effect of the cream form cosmetic composition, 50 subjects (20 to 40 year-old female) were divided into 10 groups of 5 persons each, an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groups each containing the samp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cream was applied twice a day for 1 month continuously.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corneometer(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미리 측정하여 기본 값을 삼고, 1주, 2주, 4주 경과 후의 피부 전도도 증가율(%)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skin conductivity was measured in advance using a 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 under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24 ° C, 40% humidity) before the start of application and the values were measured at 1 week, 2 weeks, The skin conductivity increase rate (%) was measured and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구분division 1주1 week 2주2 weeks 4주4 weeks 실시예 1Example 1 3232 3838 5353 실시예 2Example 2 3838 4343 5656 실시예 3Example 3 4242 4747 5959 실시예 4Example 4 4747 5050 6565 실시예 5Example 5 4646 5151 6666 실시예 6Example 6 4949 5454 7070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10 1313 151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111 1616 1919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414 2121 2828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818 2525 3131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실험군은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피부 전도도 증가율이 우수하였다. 특히,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실시예 2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전도도 증가 효과는 매우 우수하였다.Referring to Table 3, the test group to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6 was applied exhibited excellent skin conductivity increase rate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1 to 4. In particular,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Examples 2 to 6 containing nanoliposome-stabilized extracts and niacinamide showed excellent skin conductivity increasing effect.

피부 전도도는 피부 수분량에 비례하므로, 상기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6의 시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비교예의 시료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비해 피부 수분 함량도 높게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Since the skin conductivity is in proportion to the skin moisture content, it was confirm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ples of Examples 1 to 6 kept the skin moisture content higher than tho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ples of the comparative example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 피부 장벽 개선 효과 시험 3: Skin barrier improvement test

실험예 1의 크림 제형 화장료 적용에 따른 피부의 경피 수분 손실량(TEWL: Trans-Epidemal Water Loss)을 Tewameterr(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The skin barrier improvement effec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trans-epidemic water loss (TEWL) according to the cream form cosmetic application of Experimental Example 1 using Tewameterr (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

피실험자(20세 내지 40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오른쪽과 왼쪽 얼굴에 각 시료를 바르고 눈가에서 3cm 우측으로 1cm 아래로 떨어진 부위를 바르기 전과 바른 후 1시간, 3시간, 6시간의 경피 수분 손실량을 Tewameterr(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평가하고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Each sample was applied to the right and left faces of 50 subjects (20-40 years old female), and 1, 3, and 6 hours of percutaneous water los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area 1 cm below the right side 3 cm Was measured three times using Tewameterr (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to evaluate the amount of percutaneous water los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구분division 1시간1 hours 3시간3 hours 6시간6 hours 실시예 1Example 1 16.8%16.8% 14.2%14.2% 10.5%10.5% 실시예 2Example 2 15.1%15.1% 13.6%13.6% 9.5%9.5% 실시예 3Example 3 14.5%14.5% 11.7%11.7% 8.7%8.7% 실시예 4Example 4 13.6%13.6% 12.6%12.6% 7.9%7.9% 실시예 5Example 5 13.0%13.0% 12.8%12.8% 7.5%7.5% 실시예 6Example 6 11.7%11.7% 9.6%9.6% 6.8%6.8%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4.3%24.3% 21.4%21.4% 18.2%18.2%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3.6%23.6% 20.6%20.6% 17.4%17.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0.2%20.2% 17.3%17.3% 14.7%14.7%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18.1%18.1% 15.6%15.6% 12.2%12.2%

[% of control] [% of control]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6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장벽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실시예 2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장벽 개선효과는 현저히 증대되었다.Referring to Table 4, it was confirmed that the skin barrier improvement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mulated with the samples of Examples 1 to 6 was high. In particular, the skin barrier improvement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Examples 2 to 6 containing the nano liposome-stabilized extract and niacinamide was remarkably enhanced.

반면,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containing no fine needle powder did not sufficiently realize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by the active ingredien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시험 4: Skin wrinkle improvement test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rinkles of the skin,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10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피시험자는 4주 동안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실험예 1의 크림 제형 화장료를 안면에 고르게 도포하여 충분히 흡수시켰다.100 women aged 30 years or older were divided into 10 groups of 10 persons. The subjects were uniformly applied to the facial face by applying the cream formulations of Experimental Example 1 to the face in the morning and evening for 4 weeks.

주름개선 평가를 위하여 ANTERA 3D(Miravex, Ireland)를 적용하였으며,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ANTERA 3D (Miravex, Ireland) was applied for evaluation of wrinkle improvement. Instrumentation was performed before the test material was used, after 2 weeks, and after 4 weeks use.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눈꼬리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시험 물질 사용 전에 측정한 이미지와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측정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pro software를 이용하여 매칭시킨 후 일치된 측정부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The same test person measured the left part of the left eye of each subject and the same area was measured by overlapping with the image measured before the test material for the reproducibility of the measurement. The captured images were matched using ANTERA pro software, which is dedicated to ANTERA 3D, and the matched measurement sites were used for analysis.

측정값은 측정변수인 Indentation index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을 나타내는 Wrinkles small값을 분석하였다. 하기 표 5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사용에 따른 피시험자의 4주 후의 Wrinkles small값의 변화량을 나타내었다. 즉,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할수록 Wrinkles small 값의 변화량은 크게 나타난다. The measured values were analyzed using the Indentation index, which is a measurement variable. Table 5 shows changes in the Wrinkles small value of the testees after 4 week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smetics formulated into the samples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That is, the better the wrinkle improvement effect is, the larger the variation of the wrinkles small value is.

구분division Wrinkles small 평균값Wrinkles small average 실시예 1Example 1 1.351.35 실시예 2Example 2 1.431.43 실시예 3Example 3 1.461.46 실시예 4Example 4 1.501.50 실시예 5Example 5 1.481.48 실시예 6Example 6 1.551.5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560.56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0.650.6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0.760.76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0.850.85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6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Referring to Table 5, it was confirmed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formulated with the samples of Examples 1 to 6 was excellent in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wrinkles.

특히,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실시예 2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는 현저히 개선된 반면,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In particular,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Examples 2 to 6 containing nano liposome-stabilized extracts and niacinamide significantly improved the skin wrinkle-improving effect, while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hich did not contain fine needle powder,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rinkles of the skin was relatively insufficien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5: 피부 진정 효과 평가(피부 온도 감소율) 5: Evaluation of skin soothing effect (skin temperature reduction rate)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의한 열노화 방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the anti-aging effect of the samp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20~30대 건강한 피험자 50명의 전완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 전 20분간 피험자의 실험 부위(전완부)를 직사광선에 노출시켰다. 시험 시료와 대조 시료를 전완부의 선정된 시험부위(2cm X 2cm)에 Micro Pipette을 사용하여 각각 50uL의 양으로 도포하였으며, 시료 도포 전, 도포 직후, 도포 5분 후, 도포 20분 후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Subjects in the 20th to 30th healthy subjects were in the forelimb of 50 subjects. The experimental site (forearm) of the subject was exposed to direct sunlight for 20 minutes before the test. Test specimens and control specimens were applied to the selected test site (2 cm × 2 cm) of the forearm using a micropipette in an amount of 50 μL,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before application of the sample,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5 minutes after application and 20 minutes after application Respectively.

피부 진정 효과의 비료를 위한 음성 대조군으로 물을 사용하였다. 측정 후 각 시료의 온도 감소율은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도출하였다.Water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for skin soothing fertilizers. The temperature decrease rate of each sample after the measurement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

열 감소율(%)=(1-시료 적용 부위의 온도/비적용 부위의 온도) x 100Thermal Reduction Rate (%) = (1-Temperature of sample application site / Temperature of non-use site) x 100

[열감소율(%)][Heat reduction rate (%)] 구분division 적용 직후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5분 후5 minutes later 20분 후After 20 minutes 대조군(물)Control (water) 5.35.3 0.70.7 0.20.2 실시예 1Example 1 8.48.4 5.35.3 2.42.4 실시예 2Example 2 9.59.5 5.35.3 2.82.8 실시예 3Example 3 11.511.5 7.27.2 4.74.7 실시예 4Example 4 12.212.2 8.68.6 5.35.3 실시예 5Example 5 12.812.8 8.28.2 5.65.6 실시예 6Example 6 14.114.1 10.510.5 6.46.4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6.36.3 2.52.5 1.61.6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6.46.4 2.72.7 1.51.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6.66.6 2.72.7 1.91.9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7.27.2 4.34.3 2.32.3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실험군은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실시예 2 및 6의 화장료 조성물은 20분 경과 후에도 열 감소율이 유지되어 피부 진정 효과의 지속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Referring to Table 6,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6 was applied exhibited excellent skin soothing effect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1 to 4. [ In particular,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Examples 2 and 6 containing nano liposome-stabilized extracts and niacinamide showed that the heat reduction rate was maintained even after 20 minutes, and the persistence of skin soothing effect was high.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6 : 피부 침투 효과 평가 6: Evaluation of skin penetration effect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의 피부 침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skin penetration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stabilized by nanoliposome,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Dermal Equivalent (DE)-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1 X 105 cell/㎖를 인체의 결합조직을 이루는 섬유조직과 유사한 겔 구조에 콜라겐 수용액 3 mg/㎖ : 5 X DEM : 2:2 소듐바이카보네이트와 200 mM Hepes 완충액이 포함된 0.05 N 수산화나트륨이 7:2:1로 혼합된 배지에 접종하여 5CO2, 37℃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Dermal Equivalent (DE) - Normal human fibroblasts 1 × 10 5 cells / ㎖ in a gel structure similar to the fibrous tissue that forms the connective tissue of human body. Collagen solution 3 mg / ml: 5 X DEM: 2: 2 Sodium bicarbonate and 200 mM Hepes buffer solution is 0.05 N sodium hydroxide solution containing the 7: cultured was inoculated to the medium in a mixture with 1 5CO 2, 37 ℃ for 7 days: 2.

3 ㎛ 다공성폴리카보네이트 (porous polycarbonate) 재질로 된 막 (membrane)에 의해 안쪽과 바깥쪽이 구분된 플레이트의 안쪽에 넣고 섬유아세포가 배양된 Derma Equivalent(DE) 표면 위에 표피각질형성세포(Epidermal Keratinocyte) 1X 105 cell/㎖ 세포를 접종하여 EGF와 BPE가 함유된 K-SFM 배지를 안쪽과 바깥쪽에 넣고 7일 동안 배양하였다.Epidermal keratinocyte was placed on the surface of Derma Equivalent (DE) where fibroblasts were cultured by inserting inside and outside plates separated by 3 ㎛ porous polycarbonate membrane. 1 × 10 5 cells / ㎖ cells were inoculated and K-SFM medium containing EGF and BPE was placed inside and outside for 7 days.

플레이트 안쪽의 배지를 버려 공기가 배양세포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바깥쪽에 10% FBS가 함유된 K-SFM과 EGF가 들어있지 않은 DMEM이 동량으로 혼합된 배지를 넣고 2주간 배양하여 다층의 표피와 진피가 형성된 인공피부를 수득하였다. The medium on the inside of the plate was discarded so that air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ultured cells, and K-SFM containing 10% FBS and DMEM containing no EGF were added to the outside of the culture medium for 2 weeks. A dermal artificial skin was obtained.

여기에 실험예 1에서 제형화한 화장료를 상단의 인공피부 조직에 적용하고 4시간 배양 후 조직 내 나이아신아마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The cosmetic material formulated in Experimental Example 1 was applied to the upper artificial dermal tissue, and after 4 hours of culture, the content of niacinamide in the tissues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below.

구분division 나이아신아마이드 함량(㎍/㎖)The content of niacinamide (占 퐂 / ml) 실시예 1Example 1 4.24.2 실시예 2Example 2 13.513.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3.43.4

표 7을 참조하면,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의 화장료와 비교하여 피부 침투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ferring to Table 7, it was confirmed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2 containing the nanoliposome-stabilized extract and niacinamide had remarkably excellent skin penetration effect as compared with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the examples.

반면,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되어 있음에도 미세침 분말이 적용되지 않은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피부 침투효과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3, in which the micropowder powder was not applied even though it was stabilized by nanoliposome, was found to have slightly insufficient skin penetration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미세침 분말; 및
카무카무 추출물, 복숭아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Fine needle powder; And
A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camucam extract, peach extract, and niacinam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무카무 추출물, 상기 복숭아 추출물, 및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camucam extract, the peach extract, and the niacinamide are stabilized by nanoliposo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대두 유래의 레시틴에 의해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anoliposome is stabilized by soybean-derived lecithin having a phosphatidylcholine content of 70 wt%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로즈마리잎 추출물, 페퍼민트잎 추출물, 및 로즈힙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osemary leaf extract, a peppermint leaf extract, and a rose hip extrac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ra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nhydrous or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cetone, petroleum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trichloromethane, dichloromethane, chloroform, hexane and 1,3-butylene glycol Gt; cosmetic < / RTI > composition.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6,
Cosmetics formulated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ftening longevity, nutritional lotion, moisture cream, nutritional cream, massage cream, essence, ampoule, gel,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and powder Composition.
KR1020170003543A 2017-01-10 2017-01-10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picule powder and natural complex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 KR1018620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543A KR101862039B1 (en) 2017-01-10 2017-01-10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picule powder and natural complex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543A KR101862039B1 (en) 2017-01-10 2017-01-10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picule powder and natural complex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039B1 true KR101862039B1 (en) 2018-05-29

Family

ID=6245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543A KR101862039B1 (en) 2017-01-10 2017-01-10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picule powder and natural complex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03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845A (en) * 2018-04-11 2019-10-2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icro-structure skin absorption enhancer, local anesthetics containing micro-structure skin absorption enhancers, and anesthetic method using local anesthetic containing micro-structure skin absorption enhancer
KR102074214B1 (en) * 2019-09-06 2020-02-06 주식회사 에이치앤비나인 A structure for accelerating transdermal absorption, a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and a cosmetics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200073327A (en) * 2018-12-13 2020-06-24 (주)파이온텍 Method for impregnating micropore of spicule with liposome
JP7497901B2 (ja) 2019-09-06 2024-06-11 ビーエヌ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経皮吸収を促進するための構造体、前記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前記構造体を含む化粧品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350A (en) * 2004-11-01 2006-05-18 Nippon Menaade Keshohin Kk Nmf production promo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350A (en) * 2004-11-01 2006-05-18 Nippon Menaade Keshohin Kk Nmf production promot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845A (en) * 2018-04-11 2019-10-2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icro-structure skin absorption enhancer, local anesthetics containing micro-structure skin absorption enhancers, and anesthetic method using local anesthetic containing micro-structure skin absorption enhancer
KR102080860B1 (en) 2018-04-11 2020-02-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icro-structure skin absorption enhancer, local anesthetics containing micro-structure skin absorption enhancers, and anesthetic method using local anesthetic containing micro-structure skin absorption enhancer
KR20200073327A (en) * 2018-12-13 2020-06-24 (주)파이온텍 Method for impregnating micropore of spicule with liposome
KR102272303B1 (en) 2018-12-13 2021-07-05 (주)파이온텍 Method for impregnating micropore of spicule with liposome
KR102074214B1 (en) * 2019-09-06 2020-02-06 주식회사 에이치앤비나인 A structure for accelerating transdermal absorption, a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and a cosmetics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21045343A1 (en) * 2019-09-06 2021-03-11 주식회사 에이치앤비나인 Structure for promoting transdermal absorp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N112770711A (en) * 2019-09-06 2021-05-07 株式会社靓安9 Structure for promoting percutaneous absorp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JP2022547914A (en) * 2019-09-06 2022-11-16 ビーエヌ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tructure for promoting percutaneous absorption, method for producing said structur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id structure
EP4014951A4 (en) * 2019-09-06 2023-10-18 BN Co., Ltd. Structure for promoting transdermal absorp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JP7497901B2 (ja) 2019-09-06 2024-06-11 ビーエヌ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経皮吸収を促進するための構造体、前記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前記構造体を含む化粧品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231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containing propolis spicule powder
KR102625374B1 (en) Use of extract of the pericarp of Nephelium rapaceum for hydrating skin and/or mucous membranes
KR101860307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skin containing water-soluble silicon
KR20070081192A (en) Cosmetic compostion comprising liposome incorporating oryzanol, rice bran oil and phospholipid
JP5253862B2 (en) Melanin production inhibitor / collagen production promoter
KR101810229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containing teatree leaves spicule powder
KR101862039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picule powder and natural complex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
KR101810226B1 (en) Cosmetic compositon containing complex extracts from salmon
KR20120054906A (en) Solubilizatio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oleanolic acid
KR10051308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eramide liposome with phyto complex extract and ceramide
KR101908408B1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esquamation comprising spicule powder and natural powder
KR20120000251A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laminaria japonica
KR10185444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geretia theezans extracts and spicule powder
KR102130243B1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ti-wrinkle, anti-aging, and anti-oxidation containing glutathione, natural spicule powder, acetyl hexapeptide and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
KR101896563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igustrum lucidum Aiton extract for moisturizing the skin
KR100937187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Functional Cosmetics from Bokbunja Wine Processing Waste
KR20210040522A (en)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mask pack comprisint the same and preperation method of the cosmetic composition
KR101969684B1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and skin pore reduction containing natural spicule powder and natural complex extract
KR20190085686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cro algae extracts stabilized in algaesome as active ingredient
KR100803925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Comprising Radix glycyrrhizae, Phellodendri Cortex, Radix Cynanchi Wilfordii and Cortex mori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
KR20180082058A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esquama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extract
KR10043489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edical plant complex extracts stabilized with liquid crystalsome
KR101436819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ng, soothing skin and improving acne
KR20120004021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 encapsulated in liposo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44419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edical plant complex extracts stabilized with nanolipos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