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776B1 - 조립식 적재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적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776B1
KR101861776B1 KR1020170147434A KR20170147434A KR101861776B1 KR 101861776 B1 KR101861776 B1 KR 101861776B1 KR 1020170147434 A KR1020170147434 A KR 1020170147434A KR 20170147434 A KR20170147434 A KR 20170147434A KR 101861776 B1 KR101861776 B1 KR 101861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pillar
stacking
loa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826A (ko
Inventor
임재성
Original Assignee
상진에이알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진에이알피(주) filed Critical 상진에이알피(주)
Priority to KR102017014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7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58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withou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식 적재대는, 다수개의 끼임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부재;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끼임홀에 끼워지며, 상기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와 수직으로 설치되며, 물품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적재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재를 상기 기둥부재에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브라켓;를 포함하며, 상기 일 기둥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은 상기 타 기둥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적재대{Assembly type stacking rack}
본 발명은 조립식 적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대 또는 진열대는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선반이 구비되고, 각종 물품을 종류에 따라 정리 또는 보관하거나 물품을 진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적재대는 주로 금속판재를 재료로 제조되어 공장, 점포 및 가정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적재대는 설치의 편의성 및 공간 활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적재대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을 따로 제작하여 마련되며, 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적재대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재대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7812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등이 공지되었다. 종래기술은 플라스틱 성형에 의한 조립진열대를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은 플라스틱성형에 의해 제조된 선반, 기둥, 받침대를 조립하여 진열대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철재로 이루어진 진열대에 비해 원가가 절감되고 가벼우며 조립이 용이하고, 이와 더불어 좌우로 진열대의 연장이 가능토록 하는 플라스틱성형에 의한 조립진열대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장방향으로 긴 물품을 적재 또는 운반하는 작업을 실시할 경우 좁은 공간에서는 작업하기 매우 불편할 뿐만이 아니라, 적재대에 구비된 기둥에 의해 진로를 방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적재되는 물품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적재하기 위한 구성이 적층된 선반에만 의존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재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하여 적재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장방향으로 긴 물품을 적재 또는 운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적재되는 다양한 물품의 종류에 따라 다수개의 선반을 활용하여 물품을 분류 및 적재할 수 있는 조립식 적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적재대는, 다수개의 끼임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둥부재 ― 상기 기둥부재는 원통형 파이프의 형태이고, 각각의 기둥부재의 일단이 각각의 지지부재에 형성된 끼임홀에 끼워져,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둥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됨 ―; 상기 기둥부재와 수직으로 설치되며, 물품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적재부재 ― 상기 적재부재는 상기 기둥부재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적재부재가 그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동일한 높이에 설치됨 ―; 및 상기 기둥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재를 상기 기둥부재에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일 기둥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은 상기 타 기둥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기둥부재의 외주면 형상으로 천공된 결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을 통해 상기 기둥부재에 끼워져 결속되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와 수직하는 면을 제공하며, 해당 면에 상기 적재부재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적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재의 일단은 ㄷ자 형태이고, 상기 적재부재는 물품이 적재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선반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재와 접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의 지지부와 결합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선반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은 함께 상기 ㄷ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1부분은 결합공들을 포함하여, 상기 기둥부재를 기준으로 양방향에 배치된 적재부재들을 상기 결합공들을 관통하는 장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둥부재 양쪽 외측에서 상호결합하고, 동일한 높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양쪽 적재부재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해 양쪽 적재부재의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접하도록 세장형 부재를 배치하되, 상기 세장형 부재는 상기 기둥부재를 기준으로 양방향에 배치된 적재부재들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부재를 기준으로 양쪽에 2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식 적재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를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적재대는, 상기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재 중 최하층 적재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립식 적재대는, 상기 지지부재, 기둥부재, 브라켓 및 적재부재의 상호 조립을 통해 이루어진 기본 골조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커버부재를 통해 형성된 보호 골조에는 커버막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보호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커버부재 중 지붕 골조에 해당하는 일 커버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의 타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지부재에 형성된 끼임홀에 의해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따라 기둥부재를 가변적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장방향으로 긴 물품을 적재부재에 적재 또는 운반하기 매우 편리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기둥부재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적재부재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하여 적재할 수 있으며, 비좁은 공간에서도 양방향으로 적재 및 운반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셋째, 기둥부재에 형성된 고정홀을 통해 적재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적합한 위치 선정이 가능하다.
넷째, 주요 구성의 조립을 통해 이루어진 기본 골조를 보호하는 다수개의 커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먼지 및 습기 등을 원척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적재된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다섯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지지부재를 직교하여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의 장방향 길이에 따라 적합한 적재부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의 구성요소 중 보강부재를 포함한 조립식 적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의 적재부재 및 브라켓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의 적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와 다른 형태의 적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의 기본 골조 및 보호 골조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예를 들어, 조립에 수반되는 구성들 상호간의 볼트결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등.)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조립식 적재대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의 구성요소 중 보강부재를 포함한 조립식 적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의 적재부재 및 브라켓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의 적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와 다른 형태의 적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의 기본 골조 및 보호 골조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적재대(110)에 대해 설명하면, 조립식 적재대(100)는 지지부재(110), 기둥부재(120), 적재부재(130), 브라켓(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연결부재(150), 보강부재(160) 및 커버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1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파이프(Pipe)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10)는 다수개의 끼임홀(111)이 지지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재(120)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단이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끼임홀(111)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기둥부재(120)의 단면은 끼임홀(111)에 끼워지도록 끼임홀(111)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부재(110)에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부재(1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부재(110)와 기둥부재(120)는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둥부재(120)는 지지부재(110)와 수직으로 설치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둥부재(120)는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끼임홀(111) 중 지지부재(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위치한 끼임홀(1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부재(130)는 장방향으로 긴 물품(G)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기둥부재(120)와 수직으로 설치되어 다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재부재(130)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10)와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장방향으로 긴 물품(G)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재(130)와 수직방향으로 긴 물품(G)을 말하며, 일 적재부재(130)와 타 적재부재(130)의 상면에 양단부가 적재되어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물품(G)의 무게중심이 양단부 방향으로 분산되어 전체적인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적재부재(130)에 적재된 물품(G)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적재부재(130)는 지지부재(110) 및 기둥부재(12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일 적재부재(130)와 타 적재부재(130)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물품(G)의 적재 또는 운반 작업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작업자가 물품(G)의 중심부를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물품(G)의 적재 또는 운반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재부재(140)는 적재되는 물품(G)에 따라 적재되어진 물품(G)이 지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10)와 결합되는 기둥부재(1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아닌 중심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적재부재(130)에 적재되는 장방향으로 긴 물품(G)의 적재 또는 운반 작업 시 진로를 방해 받지 않을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브라켓(140)은 기둥부재(120)에 설치되어 적재부재(130)를 기둥부재(120)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구성으로,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브라켓(140)은 적재부재(13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브라켓(140)은 결속부(141) 및 지지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속부(141)는 기둥부재(120)의 외주면 형상으로 천공된 결속홀(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속홀(142)을 통해 기둥부재(120)에 끼워져 결속된다. 즉, 결속홀(141)을 통해 브라켓(140)은 기둥부재(120)의 높이방향을 따라 적재부재(130)에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43)는 결속부(14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기둥부재(120)와 수직하는 면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해당 면에 적재부재(130)가 결합되도록 하여 적재부재(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14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공(144)이 지지부(14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43)에 형성된 결합공(144)을 통해 기둥부재(120)를 기준으로 적재부재(130)가 양방향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물품(G)을 분류하여 양방향으로 적재부재(130)에 적재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43)에 형성된 결합공(144)은 적재부재(130)에 형성된 결합공과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되며, 이를 통해 적재부재(13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결합수단으로 쓰이는 볼트결합은 실시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볼트결합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기둥부재(120)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재부재(130) 및 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브라켓(140)의 결합 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라켓(140)은 기둥부재(120)에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기둥부재(120)는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다수개의 고정홀(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홀(121)에 관통 삽입되어 브라켓(14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1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140)은 적재부재(130) 및 적재부재(130)에 적재된 물품(G)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전술한 고정홀(121)에 삽입되는 고정핀(122)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기둥부재(120)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적재부재(1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ㄷ자 형태이고, 일 적재부재(130) 및 타 적재부재(130)에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어 기둥부재(130)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한 적재부재(130)들 간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져 기둥부재(120)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재(120)에 형성된 고정홀(121)을 통해 브라켓(120)이 설치되는 높이를 설정 또는 조절할 수 있고, 고정홀(121)이 기둥부재(120)에 다수개로 마련되기 때문에 적재부재(130)가 다층구조를 이룰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재부재(130)를 고정시키는 브라켓(140)이 반대로 뒤집어진 형태로 기둥부재(120)에 끼워져 브라켓(140)에 형성된 결합공(144) 및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결합공이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140)에 의해 지지부재(110)에 끼워진 기둥부재(120)의 결합력 및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일 기둥부재(1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140)은 타 기둥부재(1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140)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재부재(130)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브라켓(140)이 기둥부재(130)에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야 적재부재(130)에 적재되는 물품(G)이 균형을 이루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도2의 일 브라켓(140)의 높이(A)는 이와 대응되는 타 브라켓(140)의 높이(A’)와 동일하고, 일 브라켓(140)의 높이(B)는 이와 대응되는 타 브라켓(140)의 높이(B’)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15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지지부재(110)들 사이를 연결시키며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구성으로, 지지부재(110)들 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50)는 지지부재(11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지지부재(110)와 타 지지부재(12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빗살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재(150)는 적재부재(130)와 마찬가지로 물품(G)을 적재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연결부재(150)에 적재되는 물품(G)과 이러한 빗살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안정되게 물품(G)을 적재할 수 있다.
보강부재(16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0)와 수직으로 설치되어 적재부재(130)의 저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보강홀(112)에 볼트결합에 의해 설치되며, 적재부재(130) 중 최하층에 해당하는 적재부재(130)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재(160)는 지지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거나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끼임홀(110)에 끼워져 적재부재(130)의 저면을 지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보강조절바(16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17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구성들을 습기 및 먼지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지지부재(110), 기둥부재(120), 적재부재(130), 브라켓(140), 연결부재(150) 및 보강부재(160)를 통해 이루어진 기본 골조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 골조를 형성하며, 다수개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다수개의 커버부재(170)를 통해 형성된 보호 골조에는 커버막이 덮여지며, 이러한 커버막을 통해 상기 각 구성들의 조립을 통해 이루어진 기본 골조를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습기 및 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커버부재(170) 중 지붕 골조에 해당하는 일 커버부재(170)는 기둥부재(120)의 타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탈착부(171)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착부(171)는 기둥부재(120)의 타단에 형성된 탈착결속부(123)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보호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커버부재(170)는 커버조절바(172)를 구비하여 보호 골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전술한 기본 골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골조를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작업 시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한편, 적재부재(130)는 실시하기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재(130)는 결합부(131) 및 선반부(132) 및 보강지지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31)는 일면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브라켓(140)의 지지부(143)에 형성된 결합공(144)과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선반부(132)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기둥부재(120)와 접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140)의 지지부(143)와 결합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선반부(132), 그리고 상기 결합부(131)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은 함께 ㄷ자 형태를 이룬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31)의 상기 제1부분은 결합공들을 포함하여, 기둥부재(120)를 기준으로 양방향에 배치된 적재부재(130)들을 상기 결합공들을 관통하는 장볼트를 이용하여 기둥부재(120) 양쪽 외측에서 상호결합한다. 그리고, 선반부(132)는 결합부(1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물품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또한, 보강지지부(133)는 결합부(131)의 타측으로부터 선반부(13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선반부(132)와 연결되며, 선반부(1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강지지부(133)를 통해 선반부(132) 및 선반부(132)에 적재된 물품(G)의 하중을 결합부(131)와 분담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더욱 안전하게 물품을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부재(1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적재부재(130)와 타 적재부재(130) 사이를 연결시켜 상호간의 고정력 및 지지력을 높이기 위한 파이프형태의 부재가 별도로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적재부재(13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면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브라켓(140)의 지지부(143)에 형성된 결합공(144)과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일 적재부재(130)와 타 적재부재(13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별도로 마련된 평면 시트 또는 합판 등의 선반부재(미도시)가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부재(미도시)를 통해 물품(G)이 적재되기 때문에 적재된 물품(G)이 수평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립식 적재대
110 : 지지부재
111 : 끼임홀
112 : 보강홀
120 : 기둥부재
121 : 고정홀
122 : 고정핀
123 : 탈착결속부
130 : 적재부재
131 : 결합부
132 : 선반부
133 : 보강지지부
140 : 브라켓
141 : 결속부
142 : 결속홀
143 : 지지부
144 : 결합공
150 : 연결부재
160 : 보강부재
161 : 보강조절바
170 : 커버부재
171 : 탈착부
172 : 커버조절바
G : 물품

Claims (6)

  1. 조립식 적재대로서,
    다수개의 끼임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되,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둥부재 ― 상기 기둥부재는 원통형 파이프의 형태이고, 각각의 기둥부재의 일단이 각각의 지지부재에 형성된 끼임홀에 끼워져,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둥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됨 ―;
    상기 기둥부재와 수직으로 설치되며, 물품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적재부재 ― 상기 적재부재는 상기 기둥부재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설치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적재부재가 그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동일한 높이에 설치됨 ―; 및
    상기 기둥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재를 상기 기둥부재에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일 기둥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은 상기 타 기둥부재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기둥부재의 외주면 형상으로 천공된 결속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을 통해 상기 기둥부재에 끼워져 결속되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와 수직하는 면을 제공하며, 해당 면에 상기 적재부재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적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재의 일단은 ㄷ자 형태이고,
    상기 적재부재는 물품이 적재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선반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재와 접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의 지지부와 결합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선반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은 함께 상기 ㄷ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1부분은 결합공들을 포함하여, 상기 기둥부재를 기준으로 양방향에 배치된 적재부재들을 상기 결합공들을 관통하는 장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둥부재 양쪽 외측에서 상호결합하고,
    동일한 높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양쪽 적재부재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해 양쪽 적재부재의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접하도록 세장형 부재를 배치하되, 상기 세장형 부재는 상기 기둥부재를 기준으로 양방향에 배치된 적재부재들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부재를 기준으로 양쪽에 2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적재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를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적재대는,
    상기 지지부재와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재부재 중 최하층 적재부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적재대는,
    상기 지지부재, 기둥부재, 브라켓 및 적재부재의 상호 조립을 통해 이루어진 기본 골조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커버부재를 통해 형성된 보호 골조에는 커버막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커버부재 중 지붕 골조에 해당하는 일 커버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의 타단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적재대.
  6. 삭제
KR1020170147434A 2017-11-07 2017-11-07 조립식 적재대 KR10186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34A KR101861776B1 (ko) 2017-11-07 2017-11-07 조립식 적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34A KR101861776B1 (ko) 2017-11-07 2017-11-07 조립식 적재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162A Division KR20170066925A (ko) 2015-12-07 2015-12-07 조립식 적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826A KR20170126826A (ko) 2017-11-20
KR101861776B1 true KR101861776B1 (ko) 2018-07-05

Family

ID=6080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434A KR101861776B1 (ko) 2017-11-07 2017-11-07 조립식 적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42B1 (ko) 2018-02-26 2020-02-20 김경조 적재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880B2 (ja) * 1993-02-18 2001-07-11 倉敷紡績株式会社 肝細胞の分離方法
JP4512122B2 (ja) * 2007-08-08 2010-07-28 芳満 浅野 パレ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880B2 (ja) * 1993-02-18 2001-07-11 倉敷紡績株式会社 肝細胞の分離方法
JP4512122B2 (ja) * 2007-08-08 2010-07-28 芳満 浅野 パ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826A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81274A1 (en) Demountable shelving unit
US4199069A (en) Rack
US8066131B2 (en) Modular overhead storage system
US7059573B2 (en) Offset bracket
US5711429A (en) Glass shipping rack having removable front and/or rear gates
US20070187349A1 (en) Inexpensive cable pallet stop
US10506880B2 (en) Utility rack having end supports with folding cross-members
CA2431472C (en) System for holding items
US7699167B2 (en) Rolled goods handler
KR101861776B1 (ko) 조립식 적재대
US3486634A (en) Modular rack system
KR20170066925A (ko) 조립식 적재대
US9731739B2 (en) Shelving base frame
KR102079642B1 (ko) 적재대
CN1039565A (zh) 托盘
US20180305121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carton flow bed rack and carton flow bed rack
CA3140879A1 (en) A scaffold rack
US9307835B2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a warehouse storage system
KR101539254B1 (ko) 후판 적치대 및 이의 이송용 지그
RU2527704C1 (ru) Колодка обеспечения устойчивости стеллажа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едметов
EP1518798B1 (en) Plate-like object conveying equipment
US6179137B1 (en) Stackable carrying rack
CN210761817U (zh) 一种可拆卸木托盘
US20050183375A1 (en) Plate-shaped article carrier
JP2019127280A (ja) パレット機能を有するラック及び保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