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603B1 -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603B1
KR101861603B1 KR1020160013971A KR20160013971A KR101861603B1 KR 101861603 B1 KR101861603 B1 KR 101861603B1 KR 1020160013971 A KR1020160013971 A KR 1020160013971A KR 20160013971 A KR20160013971 A KR 20160013971A KR 101861603 B1 KR101861603 B1 KR 10186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asuring instrument
height
frame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818A (ko
Inventor
고한종
Original Assignee
신영측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측기(주) filed Critical 신영측기(주)
Priority to KR102016001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12Instruments for setting out fixed angles, e.g. right ang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F16M11/245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01C15/004Reference lines, planes or s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측량기, 계측기, 라인레이저 등과 같은 계측장비를 소정 높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측장비의 설치 높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계측장비가 장착되는 상부 장착대와 하부 장착대를 동반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STAND ASSEMBLY FOR MEASUR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측량기, 계측기, 라인레이저 등과 같은 계측장비를 소정 높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측장비의 설치 높이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계측장비가 장착되는 상부 장착대와 하부 장착대를 동반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시공이나, 건물 내부의 타일 설치 작업 등과 같은 인테리어 시공 시, 구조물의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평, 수직을 이루도록 시공하는 것을 이들 구조물의 성능이나 내구성 등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로, 건축 및 토목 등의 분야에서는 시공 현장에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측량 또는 설정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 추가 달린 긴 줄이나 강선 등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기준라인의 측량 또는 설정이 부정확하고, 작업이 번거로우면서 작업시간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등, 효율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량기나 계측기 또는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레이저조사기 등의 계측장비를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삼각대와 같은 스탠드 어셈블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삼각대와 같은 스탠드 어셈블리는 계측장비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와 계측장비의 탈부착은 대부분 장착부에 구비된 볼트에 계측장비의 장착공을 나사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는 지지다리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장착부에 장착된 계측장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삼각대로 이루어진 스탠드 어셈블리를 사용하게 되면, 지면에 인접한 높이에 계측장비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자가 지지다리의 높이 조절을 수작업으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수평이 틀어지는 등 기준라인 설정의 정확도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스탠드 어셈블리는, 계측장비가 결합되는 장착부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에 많이 구애 받을 수밖에 없어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각종 기기 장치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삼각대와 같은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109596호, 등록특허 제10-1109597호, 공개특허 제10-2012-0000662호, 공개특허 제10-2010-0023213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면에서부터 상측 소정 높이까지 설치되는 계측장비의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계측장비가 장착되는 상부 장착대와 하부 장착대를, 무선 또는 유선의 제어수단과 연결된 구동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는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계측장비의 높이를 빠르고 정밀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범위가 상대적으로 큰 일반 높이 조절 기능과, 높이 조절 범위가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 조절 기능을 갖고, 이를 위해 일반 높이 조절 기능과 미세 높이 조절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선택키와, 높이 조절 기능에 따라 정해진 거리만큼 장착대가 승하강되도록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상, 하 높이 조절키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장소의 바닥면과 근접한 낮은 높이의 저소(低所)에서부터 스탠드 어셈블리의 최대 높이인 고소(高所)까지, 계측장비의 고정 높이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계측장비가 장착되는 제2 장착부를 구비하고 하부 장착대의 전면 장착부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는,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고, 최상단에 계측장비가 장착되는 제1 장착부를 구비한 상부 장착대와,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서 바닥면에 근접한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장착대와 동반하여 승하강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전면에 계측장비를 탈부착할 수 있는 전면 장착부를 구비한 하부 장착대와,
상기 상부 장착대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구동수단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부 장착대의 높이 조절 범위가 상대적으로 큰 일반 높이 조절 기능과, 상기 상부 장착대의 높이 조절 범위가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 높이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일반 높이 조절 기능과 상기 미세 높이 조절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선택키와, 높이 조절 기능에 따라 정해진 거리만큼 상기 상부 장착대가 승하강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상, 하 높이 조절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에서,
계측장비가 장착되는 제2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장착대의 전면 장착부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제어수단을 통해 계측장비가 장착되는 상부 장착대와 하부 장착대의 높이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구동수단을 통해 높이 조절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닥면에 근접한 저소(低所)에서부터 높이 조절 한계 높이의 고소(高所)까지 다양한 높이에 계측장비를 고정, 설치할 수 있어, 계측장비의 설치 높이의 제약이 없고,
계측장비의 상하 높이와 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 시 장착부재만을 분리하여 단독으로 벽면 등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어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따라서 건축물 시공 시 수직벽면의 하부를 축조할 때와 같이 낮은 높이에서부터 높은 높이까지의 측량 또는 기준라인 설정이 가능하여, 각종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범용성 및 효용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의 사시도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의 샘플 사진도.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에서, 무선 리모컨을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에서, 무선 리모컨의 샘플 사진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에서 장착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의 본체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의 교체블록을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S)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하부 장착대(130)에 장착되는 계측장비(10)가 배치되는 방향을 정방으로 하여 전후를 정하고, 정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계측장비를 소정 높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 및 도 4b에는 계측장비(10)로써, 수평레이저 조사부(11)와 수직레이저 조사부(12)를 구비한 레이저조사기(10L, 10S; 라인레이저)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4a에 도시된 대형 레이저조사기(10L)는 수평, 수직선 형태의 레이저를 사방으로 조사할 수 있는 기기이고, 도 4b에 도시된 소형 레이저조사기(10S)는 수평, 수직선 형태의 레이저를 전방으로만 조사하는 기기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레이저조사기뿐만 아니라, 각종 측량기, 계측기 등 건축 시공 시 수평 및/또는 수직 측량이나 기준라인 설정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기를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계측장비(10)는 저면에 장착공(13)이 마련되는 바, 계측장비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장착공(13)에 하향레이저 조사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접이식 다리(150)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인 도 1, 접이식 다리(150)를 편 상태의 사시도인 도 2, 제어수단(200)으로써 무선 리모컨의 정면도인 도 3, 계측장비(10)에 따라 교체블록(330)의 사용 여부를 달리하여 도시한 장착부재(300)의 분리 사시도인 도 4a, 도 4b, 본체(100)의 종단면도인 도 5, 교체블록(330)의 종단면도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S)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장착대(120)와 하부 장착대(130) 와 상기 상부 장착대(120)가 높이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수단(140) 및 프레임(110)을 바닥면에 거치하기 위한 접이식 다리(150)를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구동수단(140)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200), 그리고 상기 하부 장착대(130)의 부착부(131) 전면에 탈부착되는 장착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서 승하강되어 높이가 가변되는 상부 장착대(120)와, 상기 상부 장착대(120)와 연결되어 동반 승하강되는 하부 장착대(130)와, 상기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장착대(120)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14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110)이 거치되도록 접이 가능한 접이식 다리(150)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수용부(111)가 마련되어, 수용부(111)에 상부 장착대(120)가 삽입되어 승하강된다.
그리고 상부 장착대(120)의 승하강을 위해 상기 프레임(110)의 상단에는 구동수단(14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은, 상단부에 구동수단(140)이 내장되면서 상기 접이식 다리(150)가 힌지 결합되는 하우징(미지칭)을 포함하고, 하우징에는 수평지시계(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본체(10)를 바닥면에 설치할 때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지시계의 일례로는 액체가 봉입된 투명한 유리관에 수평지지선이 구비되고 유리관 내부에 형성되는 기포를 상기 수평지시선에 맞추어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의 수평지시계가 있으며,
상기 방식의 수평지시계뿐만 아니라 전자식 수평지시계 등 수평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수평지시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장착대(120)는 최상단에 구비되어, 계측장비(10)가 장착될 수 있는 제1 장착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부(121)는 계측장비의 장착공(13)에 체결될 수 있는 수나사부(121l)를 포함하고, 이 경우, 다양한 종류 또는 사양의 계측장비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상부 장착대(120)와 제1 장착부(121)가 서로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직경이 다른 수나사부를 갖는 제1 장착부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술하는 장착부재(300)의 제2 장착부(320)와 별도로, 제1 장착부(121)에도 계측장비(10)의 장착이 가능하고, 상부 장착대(120)의 승하강을 이용해 제1 장착부(121)에 장착된 계측장비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장착대(120)는 상기 제1 장착부(121)(보다 엄밀하게는 수나사부(121l))와 연통되도록 최상단에서 최하단까지 관통 형성된 통과홀(122)을 포함한다.
이렇게 상부 장착대(120)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개구된 통과홀(122)을 형성하게 되면, 계측장비(10)를 제1 장착부(121)에 장착하였을 때, 장착공(13)에 형성된 계측장비의 하향레이저 조사부가 통과홀(122)과 동일선 상에 배치되고, 계측장비에서 조사되는 하향레이저는 통과홀(122)을 통과하여 바닥면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면에 도달하는 하향레이저를, 스탠드 어셈블리(S)를 설치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이용하여, 계측장비를 보다 정확한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장착대(130)는 상기 상부 장착대(120)에 연결되어 동반 승하강되는 것으로, 상부 장착대(120)의 상단(보다 엄밀하게는 상부 장착대(120) 몸체와 제1 장착부(121)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부(131)와, 상기 연결부(131)의 전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부착부(132)로 구성된다.
상기 부착부(132)는 상기 연결부(131)에서 하측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바닥면에 근접한 높이까지 연장 형성된 평판 형상으로,
접이식 다리(150)의 보조 다리(151)(152)를 모두 수용한 상태에서, 스탠드 어셈블리(S)가 설치되는 경우를 감안하여, 프레임(1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부착부(132)의 좌우 폭은 프레임(110)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되, 접이식 다리(150)의 접힘을 간섭하지 않는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 장착대(130)(보다 엄밀하게는 부착부(13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자성체(311)의 자력을 이용해 장착부재(300)를 부착부(132)의 전면 장착부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부착부(132)의 후면에는 상기 프레임(110)에 지지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구비되어 하부 장착대(220)의 밀림 방지 및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140)은 전동모터(미도시)와, 전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양방향 회전하는 구동기어(141)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장착대(120)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기어(141)와 치합되는 랙기어부(1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수단(150)을 통해 제어되는 전동모터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141)가 상기 랙기어부(123)를 승하강시켜, 상부 장착대(120)와 이와 연결된 하부 장착대(200)를 동반하여 승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다리(150)는 프레임(110) 둘레를 따라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가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프레임(110)의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접거나 펼 수 있다.
이러한 접이식 다리(150)는 직경이 다른 하나 이상의 보조 다리(151)(152)가 수용되어 보조 다리(151)(152)의 인출 정도를 조절하여 본체(100)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본체(100)의 수평 상태를 맞추는데 활용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53은 조임부재로, 가압부를 펼치면 접이식 다리(150)에서 보조 다리(151)(152)를 넣거나 뺄 수 있고, 가압부를 접으면 보조 다리(151)(152)가 고정된다.
이 경우 복수개의 접이식 다리(150)를 개별적으로 접거나 펼치지 않도록, 접이식 다리(150)는 프레임(110)의 외주에 끼워지는 승강체(154)와, 상기 승강체(154)와 상기 접이식 다리(150) 사이를 힌지 결합 구조로 연결하는 연결바(155)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접이식 다리(150)를 접거나 펼치게 되면 연결바(155)의 힌지 결합 구조로 인해 승강체(154)가 프레임(110)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나머지 다른 접이식 다리(150)가 동시에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구동수단(14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동모터와 연결된 구동기어(141)의 회전수 또는 회전시간을 달리하여 상부 장착대(120)와 하부 장착대(13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수단(200)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리모컨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무선 리모컨과 별개로, 구동수단(140)이 내장된 하우징에 무선 리모컨과 동일한 기능으로 연동하여 조작할 수 있는 일체형 컨트롤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무선 리모컨으로 구성된 제어수단(20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수단(200)은, 상기 상부 장착대(120)의 높이 조절 범위가 상대적으로 큰 일반 높이 조절 기능과, 상기 상부 장착대(120)의 높이 조절 범위가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 높이 조절 기능을 포함한다.
즉, 제어수단(200)은, 상부 장착대(120)(하부 장착대(130) 포함.)의 승하강 거리를 2단계를 선택하여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일반 높이 조절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상부 장착대(120)가 상대적으로 큰 거리(대략 3~1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5mm)를 한 번에 승하강되고, 미세 높이 조절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상부 장착대(120)가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대략 0.1~1mm,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0.2~0.4mm)를 한 번에 승하강되도록 하여, 상부 장착대(120)를 설치 높이와 근접하게 빠르게 승하강 시킨 후 미세 높이 조절을 통해 정확한 설치 높이에 계측장비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일반 높이 조절 기능과 상기 미세 높이 조절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선택키(201)와, 높이 조절 기능에 따라 정해진 거리만큼 상기 상부 장착대(120)가 승하강되도록 상기 구동수단(140)을 작동시키는 상, 하 높이 조절키(202)를 포함한다.
기능 선택키(201)는 일반 높이 조절 기능과, 미세 높이 조절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도면에서는 2개)으로 구성되어, 기능 선택키(201)를 통해 높이 조절 기능을 선택한 후, 상, 하 높이 조절키(202)를 누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별 거리만큼 상부 장착대(120)가 승하강되도록 구동수단(140)이 제어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탠드 어셈블리(S)를 설치한 후, 스탠드 어셈블리에서 벗어나 계측 설정에 최적화된 장소에서 시공 설계에 맞게 계측장비의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종래의 삼각대와 같이 수작업으로 스탠드 어셈블리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 기능별 정해진 거리만큼 상부 장착대(120)의 높이 설정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계측장비(10)의 설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무선 리모컨과, 구동수단(140) 및/또는 일체형 컨트롤러는,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 공지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호 연동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203은 무선 리모컨용 전원버튼이고, 도면부호 204는 기능 선택 및 상하 높이 조절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들이다.
다음으로 도 2,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300)는 계측장비(10)가 장착되는 제2 장착부(320)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것으로, 부착부(132)에 상응하는 평판 형상의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2 장착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10)에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311)가 구비되어, 장착부재(300)가 금속 재질의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에 자력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장착부(320)는 계측장비의 장착공(13)에 체결될 수 있는 수나사부(324s)(331l)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계측장비를 장착부재(300)에 장착한 후 장착부재(300)를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통과홀(122)로 조사되는 하향레이저를 이용해, 시공 설계에 맞게 본체(100)를 정확한 위치에 거치한 상태에서,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에 부착되는 장착부재(300)를 적절한 높이 및 위치로 조정하여 계측장비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제1 장착부(121)와 별도로, 프레임(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 모든 부위에 장착부재(300)의 설치가 가능해짐에 따라, 상부 장착대(120)와 하부 장착대(130)의 높이 조절 및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에 부착되는 장착부재(300)의 부착 높이와 위치 조절을 통해, 계측장비(10)를 본체(100)가 거치되는 바닥면에 근접한 저소에서부터 상부 장착대(120)의 상승 한계높이까지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어, 현장 요건에 구애받지 않고 수평, 수직의 기준라인을 측량 또는 설정을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반 삼각대와 유사하게 상부 장착대(120)의 최상단에 제1 장착부(121)만이 구비될 경우, 계측장비를 설치할 수 있는 높이 범위는 본체(100)(보다 엄밀하게는 프레임(110))의 상단 높이에서부터, 상부 장착대(120)의 상승 한계 높이까지밖에 형성되지 않는데 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110)의 전방에 배치된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에 장착부재(300)가 탈부착되므로, 계측장비의 설치 높이가 본체(100)가 거치되는 바닥면에 근접한 저소까지 확장됨과 동시에, 하부 장착대(130)의 좌우 폭만큼 장착부재(300)의 수평 위치까지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의 일정 장소에 거치되는 본체(100)에 대하여 계측장비의 설치 높이 및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를 거치할 수 있는 장소의 면적이 매우 협소한 경우라도, 본체(100)를 적절 위치에 거치한 상태에서 계측장비의 높이 및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계측장비의 활용 폭을 향상시켜 이를 이용한 시공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314는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부재로, 계측장비(10)가 장착된 장착부재(300)를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에 부착되었을 때 계측장비의 하중에 의해 장착부재(300)의 부착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장착부재(300)를 도입하게 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에 2개 이상의 계측장비(10)를 장착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b 에서는 대표적으로,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 하측에 소형 레이저조사기(10S)가, 전면 상측에 다른 타입의 레이저조사기(10S')가 각각, 장착부재(30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30)는 소형 레이저조사기(10S)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벽부(미지칭)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장착부(320)는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천공된 슬릿홈(321a)을 구비하고,
계측장비(10)의 장착공(13)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324s)를 구비한 장착볼트(324)가 상기 슬릿홈(321a)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슬릿홈(321a)을 통해 장착볼트(324)를 전, 후진시켜, 이에 장착되는 계측장비(10)의 전, 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슬릿홈(321a)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슬릿홈(321a)의 좌우 폭보다 직경이 넓어지도록 확장되는 확공부(321l)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슬릿홈(321a)의 후단에 확공부(321l)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확공부(321l)는 장착볼트(324)의 수나사부(324s)의 위치를 확공부(321l)의 직경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볼트(324)와 슬릿홈(321a)(확공부(321l) 포함)을 이용한 계측장비의 위치 조절 및 나사 결합 형태의 장착을 위해, 상기 제2 장착부(320)는 상기 슬릿홈(321a)을 구비한 상판(321)과, 상기 상판(321)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하판(322)으로 구성되며, 상판(321)과 하판(322) 사이에 좌우 측면이 개구된 안내홈(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장착볼트(324)는, 헤드부(미지칭)가 상기 안내홈(323)으로 좌우 노출되면서 수나사부(323s)가 슬릿홈(321a)을 관통하여 제2 장착부(320)의 상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장착부재(30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장착볼트(324)의 위치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안내홈(323)으로 노출된 헤드부를 이용해 장착볼트(324)를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때 장착볼트(324)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장착부(320)는 상판(321)과 하판(322)의 전,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안내홈(323)의 전, 후방이 폐쇄되는 형태가 바람직한데,
제2 장착부(320)가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되면, 헤드부와 수나사부(324s)가 'ㅗ'자 형상으로 연결된 장착볼트(324)를 안내홈(323) 상에 배치하기 어려우므로,
제작의 편의를 위해 장착부재(300)가 반으로 나뉜 좌, 우 분체(미도시)로 이루어져, 좌, 우 분체의 안내홈(323) 사이에 장착볼트(324)를 끼운 상태에서 좌, 우 분체를 접착하여 장착부재(300)가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계측장비(10)의 저면에 장착공(13)이 아닌 돌출된 형태의 나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장착부(320)의 하판(322)에는 계측장비의 나사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사공(322s)(322l)이 마련된다.
이러한 나사공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가 마련되어 서로 다른 종류 또는 사양의 계측장비를 모두 장착부재(300)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나사공(322s)은 슬릿홈(321a)과 수직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나사공(322l)은 확공부(321l)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직경이 서로 다른 제1, 제2 나사공(321s)(322l)을, 슬릿홈(321a)과 확공부(321l)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하게 되면, 장착부재(300)를 뒤집어 하부 장착대(130)의 전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착공(13)이 없는 계측장비의 장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계측장비의 위치 조절을 위해 후술하는 하향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장비(10)를 스탠드 어셈블리(S)가 아닌 별도의 수직벽면(미도시)에 장착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장착부재(300)를 부착부(132)에서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부재(300)의 몸체부(310)에는 걸이공(312)이 더 구비된다.
상기 걸이공(312)은 수직벽면에 볼트나 못을 고정한 후 계측장비가 장착된 장착부재(300)를 볼트나 못에 걸어서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300)는 몸체부(310)의 좌우 측면에 눈금(313)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눈금(313)을 이용해 계측장비의 높이 조절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나 사양의 계측장비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계측장비(10)에 따라 구비되는 장착공(13)의 크기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도 4a, 도 4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300)는 계측장비의 장착공(13) 크기에 맞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블록(330)을 포함한다.
상기 교체블록(330)은 장착볼트(324)의 수나사부(324s)와 다른 직경을 갖는 수나사부(331l)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수나사부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 교체블록을 복수개 구비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조사기(10L)(10S)의 직경이 서로 다를 경우,
이에 대응하여, 장착부재(300)는 소형 레이저조사기(10S)의 장착공(13)에 대응하는 상대적으로 소형의 수나사부(324s)를 갖는 장착볼트(324)와, 대형 레이저조사기(10L)의 장착공(13)에 대응하는 상대적으로 대형의 수나사부(331l)를 갖는 교체블록(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교체블록(330)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볼트(324)의 수나사부(324s)(즉 소형 레이저조사기(10S)의 장착공(13))에 대응하는 결합공(332s; 도 6 참고.)이 마련되어, 교체블록(330)을 제2 장착부(320)의 상부로 돌출된 장착볼트(324)의 수나사부(324s)에 나사 결합하여, 교체블록(33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계측장비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체블록(330)은 상부로 돌출된 수나사부(331l)를 갖는 상부 회전체(331)와, 상기 상부 회전체(33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장착볼트(324)의 수나사부(324s)가 결합되는 결합공(332s)을 갖는 하부 고정체(332)로 구성된다.
따라서 교체블록(330)을 장착볼트(324)에 나사 결합하게 되면, 하부 고정체(332)가 제2 장착부(320)에 고정되고, 계측장비(10)가 장착되는 상부 회전체(331)는 하부 고정체(3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여 계측장비의 좌우 방향을 가변할 수 있다.
상부 회전체(331)는 외주에 천공된 복수개의 볼트 체결공(331a)을 구비하고, 하부 고정체(332)는 볼트 체결공(331a)에 대응하여 축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332b)을 구비하여, 볼트부재(333)가 볼트 체결공(331a)을 통해 결합되어 가이드홈(332b)에 삽입되면,
상부 회전체(331)와 하부 고정체(332) 상호간의 결속 및 회전이 가능해지며, 이 경우 볼트부재(333)의 조임에 의해 상부 회전체(33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볼트 체결공(331a) 및 가이드홈(332b)의 구성은 도면과 반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장착볼트(324)의 수나사부(324s)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한 볼트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 상부 장착대(120)의 통과홀(12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회전체(331)와 하부 고정체(332) 사이는 별도의 제동수단 없이 자유 회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볼트부재(333)를 이용해 상부 회전체(331)를 고정시킬 때 계측장비의 무게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에서 틀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체(331)의 수평 회전을 안정적으로 보장하면서도 고정 상태를 정밀 제어할 수 있는 회전 억제수단을 도입하였다.
본 발명의 회전 억제수단은
상기 상부 회전체(331)와, 상기 하부 고정체(332) 사이에서 서로 접하도록 개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접면에 서로 치합되는 톱니부(334a)를 구비한 제1 고정판(334A)및 제2 고정판(334B),
상기 상부 회전체(331)와 상기 제1 고정판(334A) 사이,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체(332)와 상기 제2 고정판(334B)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인장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제1 스프링(334a) 및 제2 스프링(33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프링(334a)―제1 고정판(334A)―제2 고정판(334B)―제2 스프링(334b)은 상부 회전체(331)와 하부 고정체(332)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 개재되어 있으며, 각각은 중앙에 삽입홀(미지칭)이 마련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 고정체(332)의 축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적층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판(334A)은 제1 스프링(334a)에 의해 하부 고정체(332) 방향(하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제2 고정판(334B)은 상기 제2 스프링(334b)에 의해 상부 회전체(331) 방향(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부재(333)를 풀어서 상부 회전체(331)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이 제1, 제2 스프링(334a)(334b)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각 톱니부(334a)가 서로 치합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부 회전체(331)를 수평 회전시키면,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제1, 제2 스프링(334a)(334b)이 각각 압축되면서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이 동반 회전하게 되고, 상부 회전체(331)의 회전을 멈추면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의 치합에 의해 상부 회전체(331)의 회전 상태가 고정, 유지된다.
이 경우 상부 회전체(331)와 제1 고정판(334A), 그리고 하부 고정체(332)와 제2 고정판(334B)이 서로 완전 분리되어 있으면 제1, 제2 고정판(334A)(334B)과 별개로 상부 회전체(331)만이 따로 공회전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회전체(331)와 제1 고정판(334A), 그리고 하부 고정체(332)와 제2 고정판(334B)은 각각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이 승강할 수 있는 상부 장착대(120)(미도시)로 연결되어, 하부 고정체(332)와 제2 고정판(334B)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회전체(331)와 제1 고정판(334A)만이 수평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스프링(334a)(334b)은 각각 직경이 다른 복수개가 서로 동심원 형태로 중첩 배열되어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다(도면에서는 제1, 제2 스프링(334a)(334b)이 각각 두 개씩 내, 외측에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
그리고 상부 회전체(331)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재(333)를 조이게 되면, 상부 회전체(331)가 하강하면서 제1, 제2 스프링(334a)(334b)이 압축 한계까지 압축됨에 따라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의 치합 상태가 고정되어, 상부 회전체(331)의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회전 억제수단을 도입하면, 상부 회전체(331)를 회전시켜 방향을 조절할 때 계측장비의 무게로 인해 상부 회전체(331)의 회전상태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볼트부재(333)와 더불어 제1, 제2 고정판(334A)(334B)의 치합으로 인한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계측장비 10L, 10S, 10S' : 레이저 조사기
11, 12 : 레이저 조사부 13 : 장착공
S : 스탠드 어셈블리
100 : 본체 110 : 수직프레임 110a : 하우징
111 : 수용부 120 : 상부 장착대 121 : 제1 장착부
122 : 통과홀 123 : 랙기어부 130 : 하부 장착대
131 : 연결부 132 : 부착부 140 : 구동수단
141: 구동기어 150 : 접이식 다리 153 : 조임부재
151, 152 : 보조 다리 154 : 승강체 155 : 연결바
200 : 제어수단 201 : 기능 선택키 203 : 전원버튼
202 : 상, 하 높이 조절 키 204 : 램프
300 : 장착부재 310 : 몸체부 311 : 자성체
312 : 걸이공 314 : 미끄럼 방지부재 315 : 눈금
320 : 제2 장착부 321 : 상판 322 : 하판
323 : 안내홈 324 : 장착볼트 321a : 슬릿홈
321b : 확공부 330 : 교체블록 331 : 회전체
332 : 고정체 334A, 334B : 고정판 332s : 결합공
332a : 볼트 체결공 334a, 334b : 스프링 334T : 톱니부
121l, 324s, 331l : 수나사부 322l, 322s : 나사공

Claims (4)

  1.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거치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고, 최상단에 계측장비(10)가 장착되는 제1 장착부(121)를 구비한 상부 장착대(120)와,
    상기 프레임(110)의 외부에서 바닥면에 근접한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장착대(120)와 동반하여 승하강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전면에 계측장비(10)를 탈부착할 수 있는 전면 장착부를 구비한 하부 장착대(220)와,
    상기 상부 장착대(120)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140)을 포함하는 본체(100); 및
    상기 구동수단(14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장착대(120)는 상기 제1 장착부(121)에서 최하단까지 관통 형성된 통과홀(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 장착부(121)에 장착된 계측장비(10)의 하향 레이저가 상기 통과홀(122)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상부 장착대(120)의 높이 조절 범위가 상대적으로 큰 일반 높이 조절 기능과, 상기 상부 장착대(120)의 높이 조절 범위가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 높이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일반 높이 조절 기능과 상기 미세 높이 조절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선택키(201)와, 높이 조절 기능에 따라 정해진 거리만큼 상기 상부 장착대(120)가 승하강되도록 상기 구동수단(140)을 작동시키는 상, 하 높이 조절키(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측장비(10)가 장착되는 제2 장착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장착대(220)의 전면 장착부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며, 계측장비의 장착공(13) 크기에 맞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블록(330)을 포함한 장착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교체블록(330)은 상부로 돌출된 수나사부(331l)를 갖는 상부 회전체(331)와, 상기 상부 회전체(33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장착볼트(324)의 수나사부(324s)가 결합되는 결합공(332s)을 갖는 하부 고정체(332)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회전체(331)의 수평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억제수단은,
    상기 상부 회전체(331)와, 상기 하부 고정체(332) 사이에서 서로 접하도록 개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접면에 서로 치합되는 톱니부(334a)를 구비한 제1 고정판(334A)및 제2 고정판(334B),
    상기 상부 회전체(331)와 상기 제1 고정판(334A) 사이,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체(332)와 상기 제2 고정판(334B)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인장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제1 스프링(334a) 및 제2 스프링(334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KR1020160013971A 2016-02-04 2016-02-04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KR101861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971A KR101861603B1 (ko) 2016-02-04 2016-02-04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971A KR101861603B1 (ko) 2016-02-04 2016-02-04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18A KR20170092818A (ko) 2017-08-14
KR101861603B1 true KR101861603B1 (ko) 2018-05-29

Family

ID=6014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971A KR101861603B1 (ko) 2016-02-04 2016-02-04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6507B2 (en) 2019-01-25 2023-12-19 Stanley Black & Decker Inc. Laser leve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71B1 (ko) * 2018-04-27 2019-09-19 장미희 계측기기 설치용 거치 브래킷
CN111336357A (zh) * 2020-03-05 2020-06-26 鞠世进 一种建筑工程现场测绘装置
KR102433325B1 (ko) * 2020-12-28 2022-08-16 이희정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손 소독장치
CN114321665A (zh) * 2022-01-14 2022-04-12 浙江四维远见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测绘工程辅助测绘装置
CN115839467B (zh) * 2023-02-21 2023-05-12 湖南维好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地理测绘仪用的定位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476B1 (ko) * 2014-04-25 2014-06-03 주식회사 대한지오매틱스 통합기준점 및 국가수준점의 수준 측량용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477770B1 (ko) * 2013-07-18 2014-12-31 신영측기(주)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지지대
KR101503026B1 (ko) * 2014-12-08 2015-03-18 (주)케이지에스테크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털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770B1 (ko) * 2013-07-18 2014-12-31 신영측기(주)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지지대
KR101403476B1 (ko) * 2014-04-25 2014-06-03 주식회사 대한지오매틱스 통합기준점 및 국가수준점의 수준 측량용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503026B1 (ko) * 2014-12-08 2015-03-18 (주)케이지에스테크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털스테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6507B2 (en) 2019-01-25 2023-12-19 Stanley Black & Decker Inc. Laser leve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18A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603B1 (ko) 계측장비의 자동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측장비용 스탠드 어셈블리
KR101675068B1 (ko)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스탠드 어셈블리
KR101824714B1 (ko) 거리 측정이 가능한 레이저 계측기
KR101477770B1 (ko)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지지대
KR101747021B1 (ko) 레이저수준기 받침대
KR101409187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용 삼각대의 지면충격 보호장치
KR101619402B1 (ko)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349214B1 (ko) 정밀수준측량용 인바스타프 높낮이 조절장치
KR20190007640A (ko) 볼트와 너트 체결 시험장치
JP2018518679A (ja) 高低調節が可能なレーザーレベル装置
CN216345048U (zh) 一种建筑基础工程定位检测装置
KR200487559Y1 (ko) 레이저 레벨러용 자성 마운트 키트
KR102257011B1 (ko)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KR101985749B1 (ko) 범용성이 향상된 계측기기용 마운트
KR101530887B1 (ko) 이동형 마스트 수직 설치 장치 및 설치방법
JP2017026504A (ja) 墜落防止手すりの強度試験装置
KR101480230B1 (ko) 센터 마운트 및 그를 구비한 볼바 시스템
JP5225174B2 (ja) 中性子サーベイメータ補助装置
KR200445330Y1 (ko) 레이저 표시장치
KR101358459B1 (ko) 두 지점간 경로의 변동여부 확인을 위한 측량장치 지면 고정시스템
KR102018636B1 (ko) 계측기기용 마운트 및 스탠드
KR101848493B1 (ko) 신체 밸런스 측정기
CN220703859U (zh) 校准安装支架和长晶装置
JPH1151653A (ja) 測量機用三脚の昇降装置
KR200491395Y1 (ko) 설치가 자유로운 계측기기용 마운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